KR20220129396A - 모터 - Google Patents

모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9396A
KR20220129396A KR1020210034251A KR20210034251A KR20220129396A KR 20220129396 A KR20220129396 A KR 20220129396A KR 1020210034251 A KR1020210034251 A KR 1020210034251A KR 20210034251 A KR20210034251 A KR 20210034251A KR 20220129396 A KR20220129396 A KR 2022012939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cattering
prevention member
hole
shaft
scattering preven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4251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80720B1 (ko
Inventor
한만승
홍성렬
곽동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코아오토모티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코아오토모티브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코아오토모티브
Priority to KR1020210034251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80720B1/ko
Publication of KR2022012939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939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807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807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3Couplings; Details of shaft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67Elements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69Bearings or seals
    • F16H57/0471Bearing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4Features relating to lubrication or cooling or heating
    • F16H57/048Type of gearings to be lubricated, cooled or heated
    • F16H57/0497Screw mechanisms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5/00Casings; Enclosures; Supports
    • H02K5/04Casings or enclosures characterised by the shape, form or construction thereof
    • H02K5/16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 H02K5/161Means for supporting bearings, e.g. insulating supports or means for fitting bearings in the bearing-shield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HELECTRICITY
    • H02GENERATION; CONVERSION OR DISTRIBUTION OF ELECTRIC POWER
    • H02K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0Arrangements for handling mechanical energy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dynamo-electric machines, e.g. structural association with mechanical driving motors or auxiliary dynamo-electric machines
    • H02K7/08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 H02K7/083Structural association with bearings radially supporting the rotary shaft at both ends of the rotor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T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RELATED TO TRANSPORTATION
    • Y02T10/00Road transport of goods or passengers
    • Y02T10/60Other road transportation technologies with climate change mitigation effect
    • Y02T10/64Electric machine technologies in electromobility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ower Engineering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Reciprocating, Oscillating Or Vibrating Motors (AREA)
  • Motor Or Generator Fram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모터에 관한 것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소정의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샤프트; 상기 회전축이 연장되는 축 방향 일측에 오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디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스크류; 상기 오일에 침지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축 방향 일측에서 상기 샤프트와 연결된 제1 베어링; 및 상기 축 방향 타측에서 상기 샤프트와 연결된 제2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는,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할 때,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오일이 상기 제2 베어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나선 형상을 가지는, 모터가 제공될 수 있다.

Description

모터{MOTOR}
본 발명은 모터에 대한 발명이다.
일반적으로 베어링은 원통형의 축을 지지하고 축에 수직으로 작용하는 하중을 받아서 축을 부드럽게 회전시키는 기계요소를 일컫는다.
또한, 베어링은 주로 자동차 엔진, 모터, 전동기 등 회전하는 기계가 있는 경우, 회전축과 회전체 사이의 마찰력을 저감시키기 위해 필수적으로 있어야 하는 기계요소 중 하나이다. 베어링과, 회전체의 중심 축이 될 수 있는 샤프트가 접촉하고 있는 부분을 저널이라고 하는데, 이러한 저널에서 샤프트와 베어링의 접촉 정도에 따라, 미끄럼베어링과 구름베어링으로 나눠질 수 있으며, 근래에 대다수의 모터에서는 구름베어링을 사용하고 있다.
베어링은, 모터가 장시간 회전하는 경우, 마찰이 커질 수 있기 때문에 윤활제를 필요로 하며, 윤활제는 크게 그리스 윤활과 오일 윤활제로 나누어지며, 그리스 윤활제는 반고체 또는 고체상의 윤활제이며, 오일 윤활제는 액체상의 윤활제이다.
그리스 윤활제는 장기간 보존이 가능하다는 장점이 있지만 교환, 세정, 이물질 제거가 곤란하다는 단점이 있다. 따라서, 분해 및 조립을 반복하는 것이 용이하지 않은 모터에는 주로 오일 윤활제를 사용해 왔다.
하지만 오일 윤활제의 경우 액체이므로, 모터에 봉입된 오일 윤활제는 일측에만 오일이 침지되고, 모터 내의 타측에 배치된 베어링에는 오일이 원활하게 공급되지 못하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모터의 구동을 통해 모터의 일측에 침지된 오일 윤활제를 모터의 타측에 배치된 베어링으로 공급할 수 있는 모터의 필요성이 요구되어왔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상기와 같은 배경에 착안하여 발명된 것으로서, 오일이 침지되지 않는 곳에 배치된 베어링에 원활하게 오일을 공급할 수 있는 모터를 제공하고자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소정의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샤프트; 상기 회전축이 연장되는 축 방향 일측에 오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디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스크류; 상기 오일에 침지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축 방향 일측에서 상기 샤프트와 연결된 제1 베어링; 및 상기 축 방향 타측에서 상기 샤프트와 연결된 제2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는,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할 때,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오일이 상기 제2 베어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나선 형상을 가지는, 모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측에 상기 샤프트가 배치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된 내측벽부; 일단이 상기 내측벽부와 연결되며, 상기 샤프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내측벽부와 대향하도록 연장되는 외측벽부를 포함하는, 모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측벽부로 둘러싸인 제1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제1 수용공간의 상기 축 방향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된 오일이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중공 외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내측벽부의 내주면과 접하는 제1 비산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모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베어링은, 상기 제1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된 오일에 침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류는,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어링과 상기 제1 비산방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모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2 베어링과 접하는 제2 비산방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비산방지부재에는,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비산되는 오일이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비산방지부재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서 상기 제1 비산방지부재를 관통하는 제1 비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비산방지부재에는 상기 제1 비산홀과 연통하도록 상기 제2 비산방지부재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서 상기 제2 비산방지부재를 관통하는 제2 비산홀이 형성되는, 모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비산방지부재 및 상기 제2 비산방지부재와 접하도록 상기 제1 비산방지부재와 상기 제2 비산방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로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터에는, 상기 제1 비산홀 및 상기 제2 비산홀과 연통하는 로터홀이 형성되는, 모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비산방지부재, 제2 비산방지부재, 및 상기 로터 각각은,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비산되는 오일이 상기 제1 비산홀, 상기 로터홀 및 상기 제2 비산홀을 따라 유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나선 형상을 가지는, 모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 비산방지부재, 상기 로터 및 상기 제2 비산방지부재는, 상기 샤프트를 둘러싸고,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비산홀, 상기 로터홀 및 상기 제2 비산홀은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모터가 제공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수용공간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측벽부, 상기 바닥부 및 상기 외측벽부로 둘러싸인 제2 수용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벽부에는, 상기 제1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수용공간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오일이 다른 하나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벽부를 관통하는 연통홀이 형성된, 모터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오일이 침지되지 않는 곳에 배치된 베어링에 원활하게 오일을 공급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A-A'를 따라 절단한 단면도이다.
도 3은 도 2를 확대한 단면도이다.
도 4은 도 1의 모터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5는 제1 비산방지부재의 사시도이다
도 6은 로터의 사시도이다.
도 7은 제2 비산방지부재의 사시도이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구현하기 위한 구체적인 실시예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아울러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또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공급', '유동'된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 공급, 유동될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로 사용된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제1, 제2 등과 같이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요소들을 설명하는데 사용될 수 있지만, 해당 구성요소들은 이와 같은 용어들에 의해 한정되지는 않는다. 이 용어들은 하나의 구성요소들을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는 목적으로만 사용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하는"의 의미는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및/또는 성분을 구체화하며, 다른 특정 특성, 영역, 정수, 단계, 동작, 요소, 성분 및/또는 군의 존재나 부가를 제외시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명세서에서 상부, 하부, 상면 등의 표현은 도면에 도시를 기준으로 설명한 것이며 해당 대상의 방향이 변경되면 다르게 표현될 수 있음을 미리 밝혀둔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축 방향(R)은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술할 샤프트(200)의 회전축이 연장되는 방향일 수 있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1)의 구체적인 구성에 대하여 설명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터(1)는, 모터(1)의 하부에 침지된 오일을 모터(1)의 상부에 배치된 베어링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러한 모터(1)는, 바디부(100), 샤프트(200), 스크류(300), 스테이터(400), 로터(500), 베어링부(600), 비산방지부(700), 및 바텀케이스(800)를 포함할 수 있다.
바디부(100)는, 오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디부(100)는, 샤프트(200)가 원활하게 회전할 수 있도록 베어링부(600)를 고정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바디부(100)는 제1 바디(110) 및 제2 바디(1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바디(110)에는 후술할 제1 베어링(610)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1 바디(110)에는 오일이 침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바디(110)는 내측벽부(111), 바닥부(112), 및 외측벽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내측벽부(111)는 침지된 오일을 둘러싸는 벽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내측벽부(111)는 축 방향(R)으로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내측벽부(111)의 내측에는 샤프트(200)가 배치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벽부(111)의 내측에 형성된 중공은 원기둥 형상일 수 있다. 한편, 내측벽부(111)에는 연통홀(111a)이 형성될 수 있다.
연통홀(111a)은 내측벽부(111)에 후술할 제1 수용공간(131) 및 제2 수용공간(132)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오일이 다른 하나로 유동할 수 있도록 내측벽부(111)를 관통하여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200)가 회전하면, 제1 수용공간(131)에 수용된 오일이 제2 베어링(620)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제2 수용공간(132)에 수용된 오일은 연통홀(111a)을 통해 제1 수용공간(131)으로 유동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샤프트(200)의 회전이 멈추면, 제2 베어링(620)으로 이송되었던 오일이 다시 제1 수용공간(131)으로 이송될 수 있다. 이 경우, 제1 수용공간(131)에 있던 오일은 연통홀(111a)을 통해 제2 수용공간(132)으로 유동할 수 있다.
바닥부(112)는 침지된 오일을 둘러싸는 바닥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바닥부(112)의 일단은 내측벽부(111)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바닥부(112)는 샤프트(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200)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부(112)는 내측벽부(111)와 수직일 수 있다.
외측벽부(113)는 침지된 오일을 둘러싸는 벽을 제공할 수 있다. 외측벽부(113)는 바닥부(112)의 타단과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외측벽부(113)는 내측벽부(111)와 대향하도록 연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내측벽부(111)와 대향하도록 연장된 외측벽부(113)는 바닥부(112)와 수직일 수 있다.
제2 바디(120)는 제1 바디(110)와 연결될 수 있다. 또한 제2 바디(120)에는 후술할 제2 베어링(620)이 고정될 수 있다. 또한, 제2 바디(120)에는 스테이터(400)가 고정될 수 있다.
한편, 제1 바디(110)에는 수용공간(130)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130)은 오일이 수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이러한 수용공간(130)에 수용된 오일은, 로터(500)의 회전을 통해 제1 베어링(610)으로부터 제2 베어링(620)으로 이송될 수 있다. 수용공간(130)은 제1 수용공간(131) 및 제2 수용공간(13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수용공간(131)은 오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1 수용공간(131)은 적어도 일부가 내측벽부(111)로 둘러싸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용공간(131)은 내측벽부(111) 및 바텀케이스(800)로 둘러싸일 수 있다. 이러한 제1 수용공간(131)에는 스크류(300)가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용공간(131)에는, 제1 수용공간(131) 및 스크류(300)로 둘러싸인 오일이 유동할 수 있는 유로가 형성될 수 있다.
제2 수용공간(132) 오일이 수용되는 공간을 제공할 수 있다. 제2 수용공간(132)은 적어도 일부가 내측벽부(111), 바닥부(112) 및 외측벽부(113)로 둘러싸일 수 있다.
샤프트(200)는 소정의 회전축을 가지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다. 샤프트(200)는 내측벽부(111)의 내측에 형성된 중공에 배치될 수 있다.
스크류(300)는 제1 수용공간(131)에 있던 오일을 제1 수용공간(131)의 외측으로 이송할 수 있다. 이러한 스크류(300)는 축 방향(R)에 있어서 제1 베어링(610)과 후술할 제1 비산방지부재(71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스크류(300)는 샤프트(200)의 외주면에 연결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크류(300)는 샤프트(200)의 외주면에 접하도록 연결되어, 샤프트(200)와 함께 회전할 수 있다. 스크류(300)는, 샤프트(200)와 함께 회전할 때, 제1` 수용공간(131)에 수용된 오일이 제2 베어링(620)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나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스테이터(400)는 로터(500)와 전자기적으로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테이터(400)에는 코일(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으며, 이러한 코일에 흐르는 전류와 자기장 사이에서 작용하는 힘에 의해 로터(500)가 회전될 수 있다. 스테이터(400)는 제2 바디(120)에 고정 배치될 수 있다.
로터(500)는 샤프트(200)에 연결되며, 샤프트(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터(500)는 샤프트(200)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배치되어, 샤프트(200)를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로터(500)는 후술할 제1 비산방지부재(710) 및 제2 비산방지부재(720)와 접하도록, 제1 비산방지부재(710)와 제2 비산방지부재(720)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로터(500)에는 로터홀(510)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로터(500)에는 복수 개의 로터홀(510)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로터홀(510)은 제1 로터홀(510a), 제2 로터홀(510b), 및 제3 로터홀(510c)을 포함할 수 있다.
베어링부(600)는, 샤프트(200)의 회전을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베어링부(600)는, 로터(500)와 연결된 샤프트(200)를 지지할 수 있다. 이러한 베어링부(600)는 제1 베어링(610) 및 제2 베어링(62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베어링(610)은 제1 수용공간(131)내부에 수용된 오일에 침지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베어링은 축 방향(R) 일측(예를 들어, 도 2의 하측)에서 샤프트(200)와 연결될 수 있다.
제2 베어링(620)은 축 방향(R) 타측(예를 들어, 도 2의 상측)에서 샤프트(200)와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베어링(620)은, 제2 베어링(620)의 외측면이 제2 바디(120)에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베어링(620)은 모터(1)의 회전에 의해 제1 비산홀(711), 로터홀(510) 및 제1 비산홀(711)을 따라 유동하는 오일에 침지될 수 있다.
비산방지부(700)는 샤프트(200)의 회전에 의해 바디부(100)의 내부에서 오일이 비산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러한 비산방지부(700)는 제1 비산방지부재(710) 및 제2 비산방지부재(7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비산방지부재(710)는 제1 수용공간(131)의 축 방향(R) 타측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수용공간(131)의 축 방향(R) 일측에는 제1 베어링(610)이 배치되고, 축 방향(R) 타측에는 제1 비산방지부재(710)가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비산방지부재(710)는 제1 수용공간(131) 내부에 수용된 오일이 스크류(300)의 회전에 의해 중공 외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내측벽부(111)의 내주면과 접할 수 있다. 이러한 제1 비산방지부재(710)는 샤프트(200)를 둘러싸고, 샤프트(200)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샤프트(200)와 제1 비산방지부재(710) 사이에서 오일이 유동하지 않도록 제1 비산방지부재(710)는 샤프트(20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비산방지부재(710)에는 제1 비산홀(711)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비산방지부재(710)에는 스크류(300)의 회전에 의해 비산되는 오일이 유동할 수 있도록 제1 비산방지부재(710)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서 제1 비산방지부재(710)를 관통하는 제1 비산홀(711)이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비산홀(711)은 축 방향(R)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제1 비산방지부재(710)에는 복수 개의 제1 비산홀(71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비산홀(711)은 제1 홀(711a), 제2 홀(711b), 및 제3 홀(711c)을 포함할 수 있다.
제2 비산방지부재(720)는 제2 베어링(620)과 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비산방지부재(720)는 축 방향(R)을 따라 제2 베어링(620)과 접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비산방지부재(720)는 샤프트(200)를 둘러싸고 샤프트(200)의 외주면에 밀착되도록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2 비산방지부재(720)에는 제2 비산홀(721)이 형성될 수 있다.
제2 비산방지부재(720)에는 제1 비산홀(711)과 연통하도록 제2 비산방지부재(720)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서 제2 비산방지부재(720)를 관통하는 제2 비산홀(72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제2 비산방지부재(720)에는 복수 개의 제2 비산홀(721)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비산홀(721)은 제4 홀(721a), 제5 홀(721b), 및 제6 홀(721c)을 포함할 수 있다.
로터홀(510), 제1 비산홀(711), 및 제2 비산홀(721)은 축 방향(R)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또한, 로터홀(510), 제1 비산홀(711), 및 제2 비산홀(721)은 연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로터홀(510a), 제1 홀(711a), 및 제4 홀(721a)은 축 방향(R)을 따라 연통하여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제2 로터홀(510b), 제2 홀(711b), 및 제5 홀(721b)은 축 방향(R)을 따라 연통하여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제3 로터홀(510c), 제3 홀(711c), 및 제6 홀(721c)은 축 방향(R)을 따라 연통하여 유로를 형성할 수 있다.
로터(500), 제1 비산방지부재(710), 및 제2 비산방지부재(720) 각각은, 스크류(300)의 회전에 의해 비산되는 오일이 로터홀(510), 제1 비산홀(711), 및 제2 비산홀(721)을 따라 유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나선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바텀케이스(800)는 제1 바디(110)의 일단부에 연결될 수 있다. 바텀케이스(800)는 제1 수용공간(131)에 수용된 오일이 침지될 수 있도록 제1 수용공간(131)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쌀 수 있다. 또한, 바텀케이스(800)와 바디부(100) 사이에는 O-ring과 같은 실링부재(미도시)가 배치될 수 있으며, 이러한 실링부재는 제1 수용공간(131)에 수용된 오일이 바텀케이스(800)와 바디부(100) 사이로 누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을 갖는 모터(1)의 작용 및 효과에 대하여 설명한다.
샤프트(200), 스크류(300), 제1 비산방지부재(710) 및 제2 비산방지부재(720)는 로터(500)와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또한, 로터(500)가 회전하면, 제1 수용공간(131)에 침지되어있는 오일은, 제1 비산홀(711), 제2 비산홀(721), 및 로터홀(510)이 연통하여 형성하는 유로를 따라 제2 베어링(620)으로 유동할 수 있다. 즉, 모터(1)는 로터(500)의 회전을 통해, 오일이 침지되지 않은 제2 베어링(620)에 오일이 공급할 수 있다. 또한, 로터(500)가 회전하면, 제2 수용공간(132)에 수용된 오일이 연통홀(111a)을 통해 제1 수용공간(131)으로 유동할 수 있다. 또한, 로터(500)의 회전이 멈추면, 제1 수용공간(131)에 수용된 오일이 연통홀(111a)을 통해 제2 수용공간(132)으로 유동할 수 있다.
모터(1)는 비산방지부(700)를 통해 제1 수용공간(131)에 수용된 오일이 제2 베어링(620)으로 유동하는 동안, 바디부(100) 내부에 오일의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는 효과가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형태들을 조합/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형상의 패턴을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 모터 100: 바디부
110: 제1 바디 111: 내측벽부
111a: 연통홀 112: 바닥부
113: 외측벽부 120: 제2 바디
130: 수용공간 131: 제1 수용공간
132: 제2 수용공간 200: 샤프트
300: 스크류 400: 스테이터
500: 로터 510: 로터홀
510a: 제1 로터홀 510b: 제2 로터홀
510c: 제3 로터홀 600: 베어링부
610: 제1 베어링 620: 제2 베어링
700: 비산방지부 710: 제1 비산방지부재
711: 제1 비산홀 711a: 제1 홀
711b: 제2 홀 711c: 제3 홀
720: 제2 비산방지부재 721: 제2 비산홀
721a: 제4 홀 721b: 제5 홀
721c: 제6 홀 800: 바텀케이스

Claims (9)

  1. 소정의 회전축을 가지며, 상기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는 샤프트;
    상기 회전축이 연장되는 축 방향 일측에 오일이 수용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된 바디부;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에 연결되는 스크류;
    상기 오일에 침지되도록 상기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축 방향 일측에서 상기 샤프트와 연결된 제1 베어링; 및
    상기 축 방향 타측에서 상기 샤프트와 연결된 제2 베어링을 포함하고,
    상기 스크류는, 상기 샤프트와 함께 회전할 때, 상기 수용공간에 수용된 오일이 상기 제2 베어링으로 이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나선 형상을 가지는,
    모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바디부는,
    상기 축 방향으로 연장되고, 내측에 상기 샤프트가 배치될 수 있는 중공이 형성된 내측벽부;
    일단이 상기 내측벽부와 연결되며, 상기 샤프트로부터 멀어지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바닥부; 및
    상기 바닥부의 타단과 연결되며, 상기 내측벽부와 대향하도록 연장되는 외측벽부를 포함하는,
    모터.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측벽부로 둘러싸인 제1 수용공간을 포함하고,
    상기 모터는,
    상기 제1 수용공간의 상기 축 방향 타측에 배치되며, 상기 제1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된 오일이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상기 중공 외측으로 비산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하여 상기 내측벽부의 내주면과 접하는 제1 비산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모터.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어링은,
    상기 제1 수용공간 내부에 수용된 오일에 침지될 수 있도록 상기 제1 수용공간에 배치되며,
    상기 스크류는, 상기 축 방향에 있어서 상기 제1 베어링과 상기 제1 비산방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모터.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2 베어링과 접하는 제2 비산방지부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1 비산방지부재에는,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비산되는 오일이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제1 비산방지부재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서 상기 제1 비산방지부재를 관통하는 제1 비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비산방지부재에는 상기 제1 비산홀과 연통하도록 상기 제2 비산방지부재의 내주면과 외주면 사이에서 상기 제2 비산방지부재를 관통하는 제2 비산홀이 형성되는,
    모터.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산방지부재 및 상기 제2 비산방지부재와 접하도록 상기 제1 비산방지부재와 상기 제2 비산방지부재 사이에 배치되는 로터를 더 포함하고,
    상기 로터에는, 상기 제1 비산홀 및 상기 제2 비산홀과 연통하는 로터홀이 형성되는,
    모터.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산방지부재, 상기 제2 비산방지부재, 및 상기 로터 각각은, 상기 스크류의 회전에 의해 비산되는 오일이 상기 제1 비산홀, 상기 로터홀 및 상기 제2 비산홀을 따라 유동할 수 있도록 적어도 일부가 나선 형상을 가지는,
    모터.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비산방지부재, 상기 로터 및 상기 제2 비산방지부재는, 상기 샤프트를 둘러싸고, 상기 샤프트의 외주면과 접하도록 배치되며,
    상기 제1 비산홀, 상기 로터홀 및 상기 제2 비산홀은 상기 축 방향을 따라 연장되는,
    모터.
  9.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공간은,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측벽부, 상기 바닥부 및 상기 외측벽부로 둘러싸인 제2 수용공간을 더 포함하고,
    상기 내측벽부에는,
    상기 제1 수용공간 및 상기 제2 수용공간 중 어느 하나에 수용된 오일이 다른 하나로 유동할 수 있도록 상기 내측벽부를 관통하는 연통홀이 형성된,
    모터.
KR1020210034251A 2021-03-16 2021-03-16 모터 KR1025807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251A KR102580720B1 (ko) 2021-03-16 2021-03-16 모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4251A KR102580720B1 (ko) 2021-03-16 2021-03-16 모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9396A true KR20220129396A (ko) 2022-09-23
KR102580720B1 KR102580720B1 (ko) 2023-09-20

Family

ID=834459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4251A KR102580720B1 (ko) 2021-03-16 2021-03-16 모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80720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290Y2 (ja) * 1990-02-09 1996-02-14 株式会社クボタ 縦軸エンジンの回転軸の下部ジャーナル軸受装置
JP2004208463A (ja) * 2002-12-26 2004-07-22 Nissan Motor Co Ltd 回転電機の冷却構造
JP5062680B2 (ja) * 2007-12-11 2012-10-31 有限会社シノハラ バルブ装置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5290Y2 (ja) * 1990-02-09 1996-02-14 株式会社クボタ 縦軸エンジンの回転軸の下部ジャーナル軸受装置
JP2004208463A (ja) * 2002-12-26 2004-07-22 Nissan Motor Co Ltd 回転電機の冷却構造
JP5062680B2 (ja) * 2007-12-11 2012-10-31 有限会社シノハラ バルブ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80720B1 (ko) 2023-09-2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271612B1 (en) Spindle motor
JP3578948B2 (ja) モータ
CN107044439B (zh) 真空泵
MXPA96004568A (en) Assembly of chumacera autopresuriz
JP2016505352A (ja) ダイレクトドライブによるセパレータ
CN101252296A (zh) 电机
KR980009984A (ko) 자체 가압식 저어널 베어링 조립체
JP2016505352A5 (ko)
CN104411988A (zh) 流体动压轴承装置以及具备该流体动压轴承装置的电动机
JP6747354B2 (ja) 遠心圧縮機
US20030161558A1 (en) Fluid bearing and brushless motor having the same
JP7022051B2 (ja) 電動駆動ユニットの潤滑・冷却構造
JP2018014857A (ja) 電動モータの冷却構造
KR20120043504A (ko) 유체 동압 베어링 어셈블리
US20070058895A1 (en) Anti-friction thrust bearing centering device for hermetic refrigeration compressors
KR20220129396A (ko) 모터
JP6588374B2 (ja) 回転装置
JP2018145969A (ja) ターボ圧縮機
JP3970264B2 (ja) 軸封装置およびその軸封装置を備えるモータ
US3915519A (en) Lubricating bearing
FI60292B (fi) Oljerum
US3325231A (en) Miniature motor bearing
JP2020165533A (ja) 流体動圧軸受装置
JP2021532298A (ja) 軸受ケージ
JP2009303444A (ja) 扁平形モー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