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8173A - 휴립복토기 - Google Patents
휴립복토기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28173A KR20220128173A KR1020210032890A KR20210032890A KR20220128173A KR 20220128173 A KR20220128173 A KR 20220128173A KR 1020210032890 A KR1020210032890 A KR 1020210032890A KR 20210032890 A KR20210032890 A KR 20210032890A KR 20220128173 A KR20220128173 A KR 20220128173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rotating
- shaft
- power transmission
- power
- rotation
- Prior art date
Links
- 239000002689 soil Substances 0.000 claims abstract description 52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85
- 230000000284 resting effect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30
- 238000009412 basement excav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3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3
- 230000005855 radiation Effects 0.000 abstract 1
- 238000003780 inser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10
- 230000037431 inser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0
- 239000003337 fertilizer Substance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0465 moul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03971 tillage Methods 0.000 description 5
- 229910052571 earthenware Inorganic materials 0.000 description 4
- 241000209094 Oryza Specie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7164 Oryza sativa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3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3
- 235000009566 rice Nutrition 0.000 description 3
- 239000002361 compost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8878 coupling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0168 coupling process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859 coupling rea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4459 forage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9000007788 liquid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423 maintenance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507 spray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9000010902 straw Substances 0.000 description 2
- 238000005406 washing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41000196324 Embryophyta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1124569 Lycaenidae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41000607479 Yersinia pestis Specie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553 drill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0694 effects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13 farm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5086 pump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31 sow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 XLYOFNOQVPJJNP-UHFFFAOYSA-N water Substances O XLYOFNOQVPJJNP-UHFFFAOYSA-N 0.000 description 1
- 238000009333 weeding Method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C—PLANTING; SOWING; FERTILISING
- A01C5/00—Making or covering furrows or holes for sowing, planting or manuring
- A01C5/06—Machines for making 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for sowing or planting
- A01C5/066—Devices for covering drills or furrow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33/00—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 A01B33/02—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 A01B33/021—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with rigid tools
- A01B33/022—Tilling implements with rotary driven tools, e.g. in combination with fertiliser distributors or seeders, with grubbing chains, with sloping axles, with driven discs with tools on horizontal shaft transverse to direction of travel with rigid tools with helicoidal tools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59/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 A01B59/04—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 A01B59/042—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connection between animals or tractors and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for machines pulled or pushed by a tractor having pulling means arranged on the rear part of the tractor
-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B—SOIL WORKING IN AGRICULTURE OR FORESTRY;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OF AGRICULTURAL MACHINES OR IMPLEMENTS, IN GENERAL
- A01B71/00—Construction or arrangement of setting or adjusting mechanisms, of implement or tool drive or of power take-off; Means for protecting parts against dust, or the like; Adapting machine elements to or for agricultural purposes
- A01B71/06—Special adaptations of coupling means between power take-off and transmission shaft to the implement or machine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20—Off-Road Vehicles
- B60Y2200/22—Agricultural vehicles
- B60Y2200/221—Tractors
-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60/00—Technologies relating to agriculture, livestock or agroalimentary industries
- Y02P60/14—Measures for saving energy, e.g. in green hous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Soil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Zoology (AREA)
- Soil Working Implements (AREA)
- Structure Of Belt Conveyors (AREA)
- Massaging Devices (AREA)
Abstract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립복토기는 트랙터의 동력취출축과 연결되며, 상기 동력취출축으로부터 축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축동력을 전달받아서 축회전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어서 상기 회전부의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는 배토삽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트랙터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토삽부는 상기 회전부의 축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서 지면의 흙을 상기 트랙터의 좌우 방향 분산되게 성형한다.
Description
휴립복토기가 개시된다. 구체적으로, 도랑을 파내는 휴립복토기가 개시된다.
일반적으로, 트랙터는 여러 농작업을 수행하기 편리한 구조와 특성을 가지고 있으며, 예를 들어, 플로우(plow), 해로우(harrow), 로터베이터, 회전경운작업기, 배토기, 파종기, 중경제초기, 비료살포기, 붐스프레이어 또는 트레일러 등의 작업도구를 부착하여, 경운, 휴립, 중경제초(땅 표면을 얕게 갈아 잡초를 없앰), 비료살포, 병해충방제, 양수, 탈곡 등 각종 농작업의 동력원으로 이용된다. 트랙터의 본체는 기관, 차체, 동력전달장치, 주행장치, 동력취출장치, 작업기 연결장치, 유압장치 및 전기장치 등으로 이루어져 있으며, 이를 통해 작업도구들에 동력을 제공하고, 작업도구들을 견인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구체적으로, 트랙터를 원동기로 하여 작업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작업기의 종류는 수 십종에 이른다. 대표적인 트랙터 부착작업기로는 결속기, 결속볏짚절단기, 고압세척기, 구굴기, 굴삭기, 그래플, 논두렁조성기, 땅속작물수확기, 로더, 로터리 경운작업기, 랩피복기, 모어, 무논정지기, 반전집초기, 발근기, 벼직파기, 비료살포기, 사료배합기, 사료작물수확기, 스피드스프레이어, 심경 로터리 경운작업기, 심토파쇄기, 액상비료살포기, 잔가지파쇄기, 쟁기, 제초기, 주행형 동력분무기, 중경제초기, 톱밥제조기, 퇴비살포기, 트레일러, 파종기, 해로우, 휴립복토기, 휴립피복기 등이다.
이들 중, 휴립복토기는 배토기라고도 불리우며, 휴립은 두둑 및 고랑 만들기라는 뜻을 가지고, 복토는 작물의 종자를 파종한 후 흙을 덮는 것을 의미한다. 즉, 휴립복토기는 고랑을 만들어 작물의 종자를 파종한 후 흙을 덮는 기계를 총칭한다.
이러한 휴립복토기는 일반적으로 흙을 파서 좌우로 갈라지게 하는 경운 날을 구비하고 있으며, 트랙터의 주행에 따라, 트랙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 경운 날을 회전함으로써, 고랑을 만들 수 있다.
이와 같은 휴립복토기에 대한 설명은 대한민국 특허 출원번호 제 10-2019-0006812호 ‘휴립복토기’에 자세하게 개시되어 있다.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고랑의 성형 후 이랑의 무너짐 문제를 저감할 수 있는 휴립복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두번째 목적은 고랑 성형의 효율을 높이기 위한 휴립복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세번째 목적은 내구성이 향상되는 휴립복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네번째 목적은 고랑 성형 시 장애물에 의한 문제를 저감하는 휴립복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섯번째 목적은 고랑 성형 시 이랑의 불균일 문제를 저감할 수 있는 휴립복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첫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립복토기는 트랙터의 동력취출축과 연결되며, 상기 동력취출축으로부터 축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축동력을 전달받아서 축회전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어서 상기 회전부의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는 배토삽부;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트랙터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토삽부는 상기 회전부의 축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서 지면의 흙을 상기 트랙터의 좌우 방향 분산되게 성형한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립복토기의 상기 회전부는 제1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회전부는, 일부가 상기 동력전달부의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위치되는 제1 회전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된 제1 회전축과 결합되는 회전기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 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동력취출축과 연결되어서 상기 동력취출축의 축회전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수용축; 상기 동력수용축과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동력수용기어; 및 상기 동력수용기어와 상기 회전기어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재;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동력수용축은 상기 동력취출축에 의해 축회전될 수 있고, 상기 동력수용기어는 상기 동력수용축과 함께 회전될 수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동력수용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기어로 전달할 수 있고, 상기 배토삽부는 상기 회전기어에 결합된 상기 제1 회전축에 의해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두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립복토기의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회전기어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동력전달기어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회전부는 제2 회전부를 더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일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제1 회전축의 돌출 방향과 반대되는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 회전축;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2 회전축과 결합되는 역회전기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동력전달기어와 역회전기어는 맞물리게 배치되어서, 상기 제1 회전부의 회전력이 상기 제2 회전부로 전달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세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립복토기의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일측에 배치되며 탄성을 가지는 타이트너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타이트너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서,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일측을 밀도록 회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네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립복토기의 상기 배토삽부는 복수의 삽날부재들을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복수의 삽날부재들 각각은 상기 회전부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복수의 삽날부재들 각각은 방사방향 말단이 상기 트랙터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립복토기의 상기 복수의 삽날부재들은 상기 회전부의 원둘레 방향을 따라서 2열로 복수 개가 배열될 수 있으며, 각 열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삽날부재들은 방사방향 말단이 상기 트랙터의 전방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상기 삽날부재들과 방사방향 말단이 상기 트랙터의 후방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상기 삽날부재들이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립복토기의 2열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삽날부재들은 상기 회전부의 축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고, 오버랩되는 한 쌍의 상기 삽날부재들은 방사방향 말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만곡되거나 서로 반대 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립복토기의 2열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삽날부재들은 상기 회전부의 둘레 방향에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섯 번째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립복토기는 상기 동력전달부에서 상기 회전부의 돌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부와 상기 배토삽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선형 또는 곡선형 단면을 구비하는 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배토삽부가 지면을 통과하여 나오는 방향의 일 단부보다 상기 배토삽부가 지면으로 들어가는 방향의 타 단부가 더 높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휴립복토기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와 제2 가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회전부는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상기 배토삽부는 상기 제1 회전부에 결합되는 제1 배토삽부와 상기 제2 회전부에 결합되는 제2 배토삽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전방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후방에 배치될 수 있고,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전방에서 상기 제1 배토삽부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후방에서 상기 제2 배토삽부보다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상술한 해결수단을 통해 얻게 되는 본 발명의 효과는 다음과 같다.
첫째, 본 발명의 휴립복토기에 의하면, 휴립복토기의 배토삽부가 설치된 회전축이 트랙터의 진행방향(즉, 일반적으로 트랙터의 직진 방향) 또는 후진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됨으로써, 배토삽부가 고랑을 성형 시 지면의 흙을 트랙터를 기준으로 좌우측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 배토삽부는 회전축에 의해 원심회전되어서 고랑에 차 있는 흙을 퍼내어 이랑 방향으로 분산시킬 수 있다. 이때, 배토삽부가 원심회전되어 고랑을 성형함으로써, 고랑은 둥근 단면을 갖도록 성형될 수 있고, 이에 따라 고랑의 측면 흙이 고랑의 하단으로 무너져 내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이랑의 무너짐 문제를 저감할 수 있으며, 이에 의해 고랑의 배수 역할이 유지될 수 있고, 후속 로터리 작업의 효율을 증대시킬 수 있으며, 이랑의 농작물들이 고랑에 들어가는 것이 예방될 수 있다. 또한, 이에 따라 수확량이 증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첫번째 목적은 고랑의 성형 후 이랑의 무너짐 문제를 저감할 수 있는 휴립복토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랑이 무너져 이랑에 심어지는 농작물들이 고랑으로 떨어짐, 트랙트의 수평이 유지되지 않음, 배토판이 없어서 적은 힘과 작업시간으로 성형가능)(1항)
둘째, 본 발명의 휴립복토기에 의하면, 휴립복토기는 적어도 두 개의 배토삽부를 구비하며, 이러한 배토삽부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함으로써, 일 배토삽부에서 제거되지 못한 장애물(예를 들어, 돌 등)을 반대 방향으로 힘을 가할 수 있어, 고랑 성형시 문제가 되는 장애물을 밀어낼 가능성이 증가하며, 두 배토삽부는 서로 높이가 다르게 형성되어서 각 배토삽부가 파내는 흙의 양이 줄어들고, 구 배토삽부가 동시에 회전됨으로써 에너지가 효율이 향상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보다 트랙터와 더 가깝게 배치되는 배토삽부는 예를 들어 20cm의 깊이로 고랑을 성형할 수 있고, 이후 상대적으로 트랙터와 더 멀리 배치되는 배토삽부는 예를 들어 40cm의 깊이로 고랑을 성형할 수 있다. 이때 보다 트랙터와 더 가깝게 배치되는 배토삽부가 트랙터의 전진에 의해 먼저 고랑을 성형할 수 있고, 이후 상대적으로 트랙터와 더 멀리 배치되는 배토삽부가 이어서 고랑을 성형함으로써, 결국 각각의 배토삽부가 40cm의 고랑을 성형하는 것보다 배토삽부에 작용하는 하중이 절감될 수 있다.
셋째, 본 발명의 휴립복토기에 의하면, 휴립복토기의 동력전달부는 트랙터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아서 복수 개의 배토삽부, 즉 배토삽부가 배치되는 회전부 중 회전축에 동력을 분배할 수 있다. 이러한 복수 개의 회전축들은 동력전달부 내의 체인이나 벨트 등으로 형성되는 동력전달부재로부터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는데, 이러한 체인이나 벨트는 장시간의 사용시 늘어나는 문제가 발생한다.
체인이나 벨트가 늘어날 경우, 동력전달부 내에 위치되는 기어들에서 체인이나 벨트가 분리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타이트너는 체인이나 벨트가 기어와 분리되지 않도록 체인이나 벨트의 일 측을 밀어서 장력을 유지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타이트너는 휴립복토기의 내구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넷째, 본 발명의 휴립복토기에 의하면, 휴립복토기의 배토삽부의 각각의 삽날부재들은 회전축에서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며, 돌출방향의 말단이 서로 만곡되어서 고랑 성형의 대상이 되는 흙 속의 장애물을 용이하게 밀어낼 수 있다.
다섯째, 본 발명의 휴립복토기에 의하면, 휴립복토기의 가이드 플레이트는 배토삽부가 회전됨에 따라 분사되는 흙을 가이드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는 판형으로 형성되어서 배토삽부에서 분사되는 흙이 지면을 기준으로 하늘 방향으로 향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즉, 가이드 플레이트는 흙이 휴립복토기의 좌측 또는 우측으로 분사되어 고랑에 흙이 다시 쌓이는 것을 방지하고 원하는 방향으로 흙을 분산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립복토기가 트랙터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휴립복토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휴립복토기를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된 휴립복토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도시된 휴립복토기의 배면도이다.
도 6과 도7은 도 1에서 도시된 휴립복토기의 회전부에 결합되는 배토삽부의 두 예시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휴립복토기의 동력전달부의 내부 형상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8에서 도시된 동력전달부의 내부 형상 중 하부의 회전기어와 동력전달기어 및 역회전기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서 도시된 동력전달부의 내부 형상 중 타이트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휴립복토기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휴립복토기를 확대한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1에서 도시된 휴립복토기의 정면도이다.
도 5는 도 1에서 도시된 휴립복토기의 배면도이다.
도 6과 도7은 도 1에서 도시된 휴립복토기의 회전부에 결합되는 배토삽부의 두 예시를 도시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휴립복토기의 동력전달부의 내부 형상을 도시한다.
도 9는 도 8에서 도시된 동력전달부의 내부 형상 중 하부의 회전기어와 동력전달기어 및 역회전기어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10은 도 8에서 도시된 동력전달부의 내부 형상 중 타이트너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이하, 본 발명에 관련된 휴립복토기에 대하여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된 도면은 본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 예를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일 뿐, 첨부된 도면에 의해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술적 사상이 제한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포함한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실시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포함된 구성요소와, 공통적인 기능을 포함하는 구성요소는, 다른 실시 예에서 동일한 명칭을 사용하여 설명하기로 한다.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이상, 어느 하나의 실시 예에 기재한 설명은 다른 실시 예에도 적용될 수 있으며, 중복되는 범위에서 구체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언하여, 동일한 구조의 도면부호를 갖는 구성은 다른 기재가 없는 이상 다른 실시 예에서도 동일 또는 유사한 구성으로 인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1320번의 도면부호와 또한 유사한 명칭을 갖는 구성은 별다른 기재가 없다면 320번, 2320번, 3320번 등등의 구성과 동일하거나 유사한 구성일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휴립복토기(1)가 트랙터(T)에 설치된 모습을 도시한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반적으로 휴립복토기(1)는 트랙터(T)의 후방(트랙터의 전진 방향을 기준으로 후방)에 위치하며, 트랙터(T) 후방에 위치한 동력취출장치(PTO; Power Take-Off)와 연결되어 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트랙터(T)의 동력취출장치가 전방으로 돌출되는 경우에 휴립복토기(1)는 트랙터(T)의 전방에 설치될 수도 있다.
이러한 트랙터(T)의 동력취출장치는 일반적으로 축회전을 생성하는 동력취출축(T1)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휴립복토기(1)는 조인트(J)를 통해 동력취출축(T1)과 연결되어서 축동력을 전달받을 수 있다. 이는 아래에서 보다 자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휴립복토기(1)는 다양한 추가작업도구를 연결할 수 있으며, 추가작업도구는 동력취출장치의 동력 또는 트랙터(T)의 주행력 등에 의해 동작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휴립복토기(1)는 마스트부(10;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와 프레임(90; 도 2 내지 도 5에서 도시)을 포함할 수 있다.
마스트부(10)는 서로 지지되도록 연결되는 센터마스트(16), 제1 사이드마스트(12), 제2 사이드마스트(14)를 포함할 수 있고, 프레임(90)은 각각의 센터마스트(16), 제1 사이드마스트(12) 및 제2 사이드마스트(14)에 고정될 수 있다.
센터마스트(16), 제1 사이드마스트(12), 제2 사이드마스트(14) 각각은 휴립복토기(1)를 트랙터(T)에 고정할 수 있으며, 또는 추가작업도구를 설치할 수도 있다. 즉, 센터마스트(16), 제1 사이드마스트(12), 제2 사이드마스트(14)는 트랙터(T)와 프레임(90)을 연결할 수 있으며, 또한, 트랙터(T)와 추가작업도구를 연결할 수도 있다.
추가작업도구는 농업을 수행하는 데 필요한 도구, 즉 결속기, 결속볏짚절단기, 고압세척기, 구굴기, 굴삭기, 그래플, 논두렁조성기, 땅속작물수확기, 로더, 로터리 경운작업기, 랩피복기, 모어, 무논정지기, 반전집초기, 발근기, 벼직파기, 비료살포기, 사료배합기, 사료작물수확기, 스피드스프레이어, 심경 로터리 경운작업기, 심토파쇄기, 액상비료살포기, 잔가지파쇄기, 쟁기, 제초기, 주행형 동력분무기, 중경제초기, 톱밥제조기, 퇴비살포기, 트레일러, 파종기, 해로우, 휴립피복기 등일 수 있다.
도 2는 도 1에서 도시된 휴립복토기(1)의 사시도이며, 도 3은 도 1에서 도시된 휴립복토기(1)를 확대한 측면도이다. 또한, 도 4는 도 1에서 도시된 휴립복토기(1)의 정면도이고, 도 5는 도 1에서 도시된 휴립복토기(1)의 배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일 실시예에 따른 휴립복토기(1)는 동력전달부(20), 회전부(30, 40) 및 배토삽부(50, 60)을 포함한다.
동력전달부(20)는 프레임(90)에 고정될 수 있으며, 프레임(90)과 마스트부(10)가 결합되고 마스트부(10)와 트랙터(T)가 결합됨에 따라 동력전달부(20)도 트랙터(T)를 중심으로 위치가 고정될 수 있다.
트랙터(T)는 동력전달부(20)의 방향으로 동력취출축(T1)이 돌출될 수 있으며, 동력전달부(20) 방향으로 돌출되는 동력취출축(T1)의 단부는 동력전달부(20)와 연결될 수 있다. 동력취출축(T1)은 축동력을 생성할 수 있으며, 동력전달부(20)는 동력취출축(T1)에서 생성되는 축동력을 수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력전달부(20)는 트랙터(T) 방향으로 돌출되는 동력수용축(23)을 포함할 수 있으며, 동력수용축(23)과 동력취출축(T1)은 조인트(J)에 의해 서로 연결될 수 있다.
동력수용축(23)은 동력취출축(T1)과 결합되어서 동력취출축(T1)의 축회전력을 수용할 수 있다. 동력전달부(20)는 동력취출축(T1)의 축회전력을 회전부(30, 40)에 전달할 수 있다. 회전부(30, 40)는 동력전달부(20)에서 전후 방향으로 연장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30, 40)는 휴립복토기(1)가 트랙터(T)의 후방에 위치될 때 트랙터(T)의 전진방향 또는 후진방향(일반적으로 트랙터의 전방 또는 후방)을 향하도록 동력전달부(20)에서 돌출될 수 있다. 즉 회전부(30, 40)는 트랙터의 전방과 후방을 정의하는 직선과 평행하게 위치될 수 있다.
이러한 회전부(30, 40)는 동력전달부(20)로부터 축동력을 전달받아서 축회전할 수 있다.
배토삽부(50, 60)는 복수 개의 삽날부재(52, 54, 56, 58)을 포함할 수 있고, 각각의 삽날부재(52, 54, 56, 58)들은 회전부(30, 40)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배토삽부(50, 60)는 회전부(30, 40)의 방사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이러한 배토삽부(50, 60)는 동력취출축(T1)과 동력전달부(20)으로부터 축동력을 전달받은 회전부(30, 40)의 축회전에 의해 지면의 흙을 트랙터(T)의 좌우 방향으로 분산되게 성형할 수 있다. 여기서 흙은 지면에 있는 흙을 의미하며, 이러한 지면의 흙이 좌우 방향으로 분산됨에 따라 지면에 홈이 형성되고 이는 고랑을 정의한다.
도면과 상세한 살명에서 휴립복토기(1)가 트랙터(T)의 후방에 위치하는 것으로 도시되고 설명되지만,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휴립복토기의 회전부들의 회전축이 트랙터의 전진 또는 후진 방향과 평행하게 배치되는 경우에 휴립복토기는 트랙터의 측방이나 전방에 위치될 수도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다시 참조하여 설명하면, 프레임(90) 상에 고정된 동력전달부(20)는 하측으로 연장되게 형성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20)의 하우징(21-1, 21-2)에서 돌출되는 동력수용축(23)은 돌출 방향 단부에 복수 개의 홈이 형성될 수 있으며, 조인트(J)는 동력수용축(23)의 복수 개의 홈에 끼워질 수 있다. 이에 따라 조인트(J)는 동력취출축(T1)의 축동력을 동력수용축(23)에 효율적으로 전달할 수 있다.
회전부(30, 40)는 제1 회전부(30)와 제2 회전부(4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회전부(30)는 동력전달부(20)의 전방(동력수용축(23)이 돌출된 방향)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회전부는 동력전달부(20)의 후방(동력수용축(23)이 돌출된 방향에 반대되는 방향)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회전부(30)와 제2 회전부(40)는 서로 반대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제1 회전부(30)에는 제1 배토삽부(50)가 결합될 수 있고, 제2 회전부(40)에는 제2 배토삽부(60)가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회전부(30)는 동력전달부(20)에서 돌출되는 제1 회전축(32)을 포함할 수 있고, 제1 회전축(32)의 축 둘레를 연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제1 드럼부재(38)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부(40)는 제1 회전부(30)와 마찬가지로 동력전달부(20)에서 돌출되는 제2 회전축(42)을 포함할 수 있고, 제2 회전축(42)의 축 둘레를 연장하는 방향으로 돌출되게 결합되는 제2 드럼부재(48)를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회전축(32)과 제2 회전축(42)은 동력전달부(20)를 통해 축회전 동력을 전달받아 서로 다른 방향으로 축회전될 수 있다. 제1 드럼부재(38)는 제1 회전축(32)의 방사방향으로 제1 회전축(32)의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1 회전축(32) 상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1 드럼부재(38)와 제1 회전축(32)은 각각 원형 단면을 가지며, 동일한 중심점을 가지도록 제1 회전축(32)은 제1 드럼부재(38)의 중심부에 위치되고, 제1 드럼부재(38)는 제1 회전축(32)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제1 회전축(32)의 외경은 330mm, 제1 드럼부재(38)의 외경은 680mm, 즉 제1 회전축(32)의 외경을 제외한 제1 드럼부재(38)의 순직경은 350mm 일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드럼부재(48)는 제2 회전축(42)의 방사방향으로 제2 회전축(42)의 일부를 감싸도록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회전축(42) 상에 복수 개가 배치될 수도 있다. 보다 상세하게 제2 드럼부재(48)와 제2 회전축(42)은 각각 원형 단면을 가지며, 동일한 중심점을 가지도록 제2 회전축(42)은 제2 드럼부재(48)의 중심부에 위치되고, 제2 드럼부재(48)는 제2 회전축(42)의 외측면을 따라 연장된다. 바람직하게, 이러한 제2 회전축(42)의 외경은 330mm, 제2 드럼부재(48)의 외경은 680mm, 즉 제2 회전축(42)의 외경을 제외한 제2 드럼부재(48)의 순직경은 350mm 일 수 있다.
각각의 드럼부재들(38, 48)은 회전축(32, 42)들과 함께 회전될 수 있으며, 즉, 드럼부재(38, 48)는 회전축(32, 42)의 축회전을 따라서 축회전될 수 있다.
제1 배토삽부(50)와 제2 배토삽부(60)는 복수의 삽날부재들(52, 54, 56, 58)을 포함하고, 이러한 삽날부재들(52,54, 56, 58)은 각각 제1 드럼부재(38)와 제2 드럼부재(48)에서 방사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배토삽부(50)와 제2 배토삽부(60)는 지면과 접촉되어서 회전부(30, 40)의 축회전에 의해 회전되고, 이에 따라 지면의 흙을 성형할 수 있다.
이는 아래에서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된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동력전달부(20)를 기준으로 제1 회전부(30)와 제1 배토삽부(50)는 제2 회전부(40)와 제2 배토삽부(60) 보다 높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트랙터(T)를 기준으로 휴립복토기(1)의 배치 방향에 따라 변경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휴립복토기(1)가 트랙터(T)의 전방에 설치되는 경우, 트랙터(T)의 방향으로 배치되는 제1 회전부(30)와 제1 배토삽부(50)는 제2 회전부(40)와 제2 배토삽부(60)보다 낮게 배치될 수 있다. 이는 트랙터(T)의 전진 방향에 따라 선행되는 회전부(30, 40)와 배토삽부(50, 60)가 후행되는 회전부(30, 40)와 배토삽부(50, 60) 보다 높게 배치되는 것을 의미한다.
이에 따라, 선행되는 회전부(30, 40)와 배토삽부(50, 60)는 일정 수준 깊이로 흙을 성형하여 고랑을 생성할 수 있으며, 후행되는 회전부(30, 40)와 배토삽부(50, 60)는 선행되는 회전부(30, 40)와 배토삽부(50, 60)가 성형한 고랑의 깊이보다 깊게 고랑을 생성할 수 있다. 따라서, 선행하는 회전부(30, 40) 및 배토삽부(50, 60)에 부가되는 흙의 하중과 후행하는 회전부(30, 40) 및 배토삽부(50, 60)의 흙의 하중은 서로 유사하여 회전부들(30, 40)과 배토삽부들(50, 60)에 부가되는 힘이 어느 하나에 치우치지 않고 분산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5를 다시 참조하여 설명하면, 본 발명의 휴립복토기(1)는 가이드 플레이트(70, 80)를 포함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70, 80)는 회전부(30, 40)는 동력전달부(20) 또는 프레임(90)에 고정될 수 있으며, 이러한 가이드 플레이트(70, 80)는 동력전달부(20)로부터 회전부(30, 40)가 돌출되는 돌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게 배치될 수 있다.
가이드 플레이트(70, 80)는 선형 또는 곡선형 단면을 구비하는 판형태로 형성될 수 있으며, 회전부(30, 40)의 회전 방향에 따라 배토삽부(50, 60)가 지면을 통과하여 나오는 방향의 일 단부가 배토삽부(50, 60)가 지면으로 들어가는 방향의 타 단부가 더 높게 배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30, 40)와 배토삽부(50, 60)의 회전에 따라 지면의 흙이 배토삽부(50, 60)에 의해 회전부(30, 40)의 방사방향으로 분산될 수 있다. 분산되는 흙은 일부가 회전부(30, 40)와 배토삽부(50, 60)의 상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70, 80)에 부딪힐 수 있고, 일부는 이랑 방향으로 흩날릴 수 있다. 이따 가이드 플레이트(70, 80)에 부딪히는 흙들도 원심력에 의해 가이드 플레이트(70, 80)에 부딪힌 후 이랑 방향으로 흩날릴 수 있으며, 즉, 가이드 플레이트(70, 80)에 의해 배토삽부(50, 60)가 퍼올리는 흙은 이랑 방향으로 이동될 수 있다.
이러한 가이드 플레이트(70, 80)는 회전부(30, 40) 및 배토삽부(50, 60)가 두 개 구비되는 경우 마찬가지로 두 개가 구비될 수 있다. 즉, 본원의 실시예에서 가이드 플레이트(70, 80)는 제1 가이드 플레이트(70)와 제2 가이드 플레이트(8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가이드 플레이트(70)는 제1 회전부(30) 및 제1 배토삽부(5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가이드 플레이트(80)는 제2 회전부(40) 및 제2 배토삽부(60)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위에서 설명된 바와 같이, 제1 회전부(30)와 제2 회전부(40)는 서로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제1 가이드 플레이트(70)와 제2 가이드 플레이트(80)도 도면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 단부의 높이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다.
도 6과 도7은 도 1에서 도시된 휴립복토기(1)의 회전부(30)에 결합되는 배토삽부(50)의 두 예시를 도시한다.
구체적으로, 도 6은 배토삽부(50)가 포함하는 복수의 삽날부재(52, 54, 56, 58)들이 서로 쌍을 이루며 오버랩되게 배열되는 것을 도시하고, 도 7은 배토삽부(50)의 복수의 삽날부재(52, 54, 56, 58)들이 서로 어긋나게 배열되는 것을 도시한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회전부(30) 상에 배치되는 삽날부재(52, 54, 56, 58)들은 각각 서로 이격되게 배열될 수 있다.
이격되게 배열되는 삽날부재(52, 54, 56, 58)들은 도 6 및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각각의 방사방향 말단(회전부(30)를 기준으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는 삽날부재의 끝 단)이 만곡되게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삽날부재(52, 54, 56, 58)들의 말단은 트랙터(T)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적어도 한 방향을 향하도록 만곡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삽날부재(52, 54, 56, 58)들의 말단은 삽날부재(52, 54, 56, 58)들의 몸체를 기준으로 트랙터(T) 또는 그 반대 방향으로 20도만큼 만곡될 수 있으며, 또는 30도나 60도만큼 만곡될 수도 있다.
구체적으로, 이러한 만곡된 복수의 삽날부재(52, 54, 56, 58)들은 도 6 및 도 7에서 도시되는 바와 같이, 회전부(30), 즉 드럼부재(38) 상에서 원둘레 방향으로 2 열로 배치될 수 있다. 제1 열에 배치되는 삽날부재(52, 54)들은 제1-1 삽날부재(52) 및 제1-2 삽날부재(54)를 포함하고, 제2 열에 배치되는 삽날부재(56, 58)들은 제2-1 삽날부재(56) 및 제2-2 삽날부재(54)를 포함할 수 있다.
제1-1 삽날부재(52), 제1-2 삽날부재(54), 제2-1 삽날부재(56) 및 제2-2 삽날부재(58)는 말단의 만곡된 방향과 열에 따라서 구분되며, 각각 복수개가 구비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열에 배치되는 제1-1 삽날부재(52)와 제2 열에 배치되는 제2-2 삽날부재(58)는 말단이 같은 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고, 제 열에 배치되는 제1-2 삽날부재(54)와 제2-1 삽날부재(56)는 말단이 같은 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으며, 제1-1 삽날부재(52)와 제1-2 삽날부재(54)는 말단이 서로 반대 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으며, 제2-1 삽날부재(56)와 제2-2 삽날부재(58)도 말단이 서로 반대방향으로 만곡될 수 있다.
이러한 제1-1 삽날부재(52), 제1-2 삽날부재(54), 제2-1 삽날부재(56) 및 제2-2 삽날부재(58)들은 각각 복수 개가 구비될 수 있다.
각 열에서 이러한 삽날부재(52, 54, 56, 58)들은 교대로 배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회전부(30) 상의 제1 열에 예를 들어 6개의 삽날부재(52, 54)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6개의 삽날부재(52, 54)들은 원둘레를 따라서 제1-1 삽날부재(52), 제1-2 삽날부재(54), 제1-1 삽날부재(52), 제1-2 삽날부재(54), 제1-1 삽날부재(52), 제1-2 삽날부재(54) 순서로 배열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회전부(30) 상의 제2 열에 예를 들어 6개의 삽날부재(56, 58)들이 배치될 수 있으며, 6개의 삽날부재(56, 58)들은 원둘레를 따라서 제2-1 삽날부재(56), 제2-2 삽날부재(58), 제2-1 삽날부재(56), 제2-2 삽날부재(58), 제2-1 삽날부재(56), 제2-2 삽날부재(58) 순서로 배열될 수 있다.
도 6을 다시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열 및 제2 열로 각각 배치된 복수 개의 삽날부재들(52, 54, 56, 58)은 방사방향 말단이 서로 마주보거나 서로 반대방향을 향하도록 배열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열에 배치되는 삽날부재들(52, 54)과 제2 열에 배치되는 삽날부재들(56, 58)은 회전부(30)의 축 방향으로 서로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다. 제1 열에 배치되는 제1-1 삽날부재(52)는 제2 열에 배치되는 제2-2 삽날부재(58)와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1-1 삽날부재(52)와 제2-2 삽날부재(58)는 말단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1 삽날부재(52)와 제2-2 삽날부재(58)는 말단이 서로를 바라보도록, 말단이 가까워지는 서로 방향을 향하도록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1 열에 배치되는 제1-2 삽날부재(54)는 제2 열에 배치되는 제2-1 삽날부재(56)와 오버랩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제1-2 삽날부재(54)와 제 2-1 삽날부재(56)는 말단이 서로 다른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따라서 제1-2 삽날부재(54)와 제2-1 삽날부재(56)는 말단이 서로 멀어지는 방향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또는 도 7을 다시 참조하여, 제1 열에 배치되는 삽날부재들(52, 54)과 제2 열에 배치되는 삽날부재들(56, 58)은 회전부(30)의 축 방향으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될 수도 있다.
즉, 복수의 삽날부재들(52, 54, 56, 58)은 회전부(30)의 회전에 의해 지면을 향할 때, 하나씩 순차적으로 지면에 접촉될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휴립복토기(1)의 동력전달부(20)의 내부 형상을 도시하고, 도 9는 도 8에서 도시된 동력전달부(20)의 내부 형상 중 하부의 회전기어(34)와 동력전달기어(36) 및 역회전기어(46)의 결합관계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또한, 도 10은 도 8에서 도시된 동력전달부(20)의 내부 형상 중 타이트너(26)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8 내지 도 10을 참조하여, 동력전달부(20)는 하우징(21-1, 21-2), 베어링(22-11, 22-12, 22-22, 22-32), 동력수용축(23), 동력수용기어(24), 동력전달부재(25) 및 타이트너(26)를 포함할 수 있다.
회전부(30, 40)는 제1 회전부(30)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1 회전부(30)의 제1 회전축(32)은 일부가 하우징(21-1, 21-2)의 외측에 배치되고, 다른 일부는 하우징(21-1, 21-2)의 내부에 배치되어서, 일부가 하우징(21-1, 21-2)으로부터 돌출되는 형상으로 하우징(21-1, 21-1)에 고정될 수 있다. 이러한 제1 회전부(30)는 하우징(21-1, 21-2) 내에 위치되는 제1 회전축(32)과 결합되는 회전기어(34)를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21-1, 21-2)은 동력전달부(20)의 외측을 정의하며 내부에 중공을 구비하는 통 형태일 수 있다. 예를 들어, 하우징(21-1, 21-2)은 상하로 길게 형성될 수 있으며, 하우징(21-1, 21-2)의 상부쪽에는 동력수용축(23)이 돌출될 수 있고, 하우징(21-1, 21-2)의 하부쪽에는 제1 회전축(32)이 돌출될 수 있다.
하우징(21-1, 21-2)은 일 면을 정의하는 제1 하우징(21-1)과 대향하는 다른쪽 일 면을 정의하는 제2 하우징(21-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하우징(21-1)과 제2 하우징(21-2)은 서로 결합되어서 내부에 중공을 구비하는 통 형태를 이룰 수 있다.
베어링(22-11, 22-12, 22-32)은 제1-1 베어링(22-11), 제1-2 베어링(22-12), 제3-1 베어링(미도시), 제3-2 베어링(22-32)을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베어링들(22-11, 22-12, 22-32)은 하우징(21-1, 21-2)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거나 하우징(21-1, 21-2)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1 베어링은 제1 하우징(21-1)의 상부쪽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하우징(21-1)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동력수용축(23)은 제3-1 베어링을 통해 일부가 하우징(21-1, 21-2)의 내부에 수용되고, 다른 일부가 제1 하우징(21-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3-2 베어링(22-32)은 제2 하우징(21-2)의 상부쪽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하우징(21-2)의 내측면에 동력수용축(23)의 일단을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3-1 베어링과 제3-2 베어링(22-32)은 동력수용축(23)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1-1 베어링(22-11)은 제1 하우징(21-1)의 하부쪽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하우징(21-1)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으며, 제1 회전축(32)은 제1-1 베어링(22-11)을 통해 일부가 하우징(21-1, 21-2)의 내부에 수용되고, 다른 일부가 제1 하우징(21-1)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1-2 베어링(22-12)은 제2 하우징(21-2)의 하부쪽에 배치될 수 있고, 제2 하우징(21-2)의 내측면에 제1 회전축(32)의 일단을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 1-1 베어링(22-11)과 제1-2 베어링(22-12)은 제1 회전축(32)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회전부(30, 40)가 제2 회전부(40)를 포함하는 경우에, 베어링(22-11, 22-12, 22-22, 22-32)은 제2-1 베어링(미도시)과 제2-2 베어링(22-2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1 베어링과 제2-2 베어링(22-22)은 제1-1 베어링(22-11), 제1-2 베어링(22-12), 제3-1 베어링(미도시), 제3-2 베어링(22-32)과 마찬가지로, 하우징(21-1, 21-2)의 일면을 관통하도록 배치되거나 하우징(21-1, 21-2)의 내측면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2-1 베어링은 제2 하우징(21-2)의 하부쪽, 제1-2 베어링(22-12)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으며, 제2 하우징(21-2)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회전축(42)은 제2-1 베어링을 통해 일부가 하우징(21-1, 21-2) 내부에 수용되고, 다른 일부가 제2 하우징(21-2)의 외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즉, 제1 회전축(32)과 제2 회전축(42)은 서로 반대되는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으며, 서로 평행하게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제2 회전축(42)은 상대적으로 제1 회전축(32)보다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제2-2 베어링(22-22)은 제2 하우징(21-1)의 하부족에 배치될 수 있고, 제 하우징(21-1)의 내측면에 제2 회전축(42)의 일단을 고정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1 베어링과 제2-2 베어링(22-22)은 제2 회전축(42)의 회전을 허용할 수 있다.
동력수용기어(24)는 하우징(21-1, 21-2) 내측에 배치되는 동력수용축(23)과 결합될 수 있다. 이러한 동력수용기어(24)는 벨트, 체인 등으로 형성될 수 있는 동력전달부재(25)에 의해 회전기어(34)와 연결될 수 있다.
동력수용기어(24)와 회전기어(34)가 연결됨으로써, 트랙터(T)의 동력취출축에 의해 생성되는 축회전은 조인트(J)와 동력수용축(23)으로 전달되고, 동력수용축(23)과 동력수용기어(24)가 함께 회전되며, 동력전달부재(25)에 의해 회전기어(34)로 회전력이 전달될 수 있다. 따라서 회전기어(34)와 결합된 제1 회전축(32)이 축회전될 수 있으며, 제1 회전축(32)에 결합된 제1 배토삽부(50)가 회전될 수 있다.
회전부(30, 40)가 제2 회전부(40)를 포함하는 경우, 제1 회전부(30)는 회전기어(34)의 옆에 이격되게 배치되는 동력전달기어(36)를 포함할 수 있고, 동력전달기어(36)는 회전기어(34)와 마찬가지로 제1 회전축(32)과 결합하여 함께 회전될 수 있다.
도 9를 참조하여, 제2 회전부(40)는 하우징(21-1, 21-2) 내에서 제2 회전축(42)과 결합되는 역회전기어(46)를 포함할 수 있으며, 제2 회전부(40)의 역회전기어(46)는 제1 회전부(30)의 동력전달기어(36)와 맞물릴 수 있다. 이에 따라 제2 회전축(42)은 제2 회전축(32)과 반대 방향으로 회전될 수 있다.
도 10을 참조하여, 타이트너(26)는 동력전달부재(25)의 옆에서 동력전달부재(25)와 접촉되게 배치될 수 있다. 동력전달부재(25)는 회전기어(34)와 동력수용기어(24)의 원둘레와 원둘레를 잇도록 배치될 수 있다. 타이트너(26)는 탄성을 가질 수 있으며, 하우징(21-1, 21-2)에 부착되어서 탄성에 의해 동력전달부재(25)를 밀도록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타이트너(26)는 장력유지축(262), 장력유지요소(264), 토션스프링(266), 고정핀(268)을 포함할 수 있고, 장력유지축(262)과 고정핀(268)은 하우징(21-1, 21-2)의 내측면에서 돌출되게 형성될 수 있다. 장력유지축(262)에는 장력유지요소(264)가 회전 가능하게 배치될 수 있으며, 장력유지요소(264)는 장력유지축(262)을 중심으로 일 방향으로 길게 연장될 수 있다. 토션스프링(266)은 장력유지요소(264)와 장력유지축(262) 및 고정핀(268) 모두에 걸쳐서 설치될 수 있으며, 고정핀(268)과 장력유지요소(264) 사이가 멀어지도록 장력유지요소(264)에 탄성을 제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장력유지요소(264)는 일단이 동력전달부재(25) 방향으로 향할 수 있으며, 장력유지요소(264)가 동력전달부재(25)를 밀어내며, 동력전달부재(25)는 체인 또는 벨트가 늘어나는 것과 관계없이 장력이 유지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휴립복토기는 상기 설명된 실시예들의 구성과 방법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상기 실시예들은 다양한 변형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각 실시예들의 전부 또는 일부가 선택적으로 조합되어 구성될 수도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예를 들어, 설명된 기술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순서로 수행되거나, 및/또는 설명된 구조, 장치 등의 구성요소들이 설명된 방법과 다른 형태로 결합 또는 조합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균등물에 의하여 대치되거나 치환되더라도 적절한 결과가 달성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아니 되며, 후술하는 청구범위뿐 아니라 이 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 : 휴립복토기
10 : 마스트부
12 : 제1 사이드마스트
14 : 제2 사이드마스트
16 : 센터마스트
20 : 동력전달부
21-1 : 제1 하우징
21-2 : 제2 하우징
22-11 : 제1-1 베어링
22-12 : 제1-2 베어링
22-22 : 제2-2 베어링
22-32 : 제3-2 베어링
23 : 동력수용축
24 : 동력수용기어
25 : 동력전달부재
26 : 타이트너
262 : 장력유지축
264 : 장력유지요소
266 : 토션 스프링
268 : 고정핀
30 : 제1 회전부
32 : 제1 회전축
34 : 회전기어
36 : 동력전달기어
38 : 제1 드럼부재
40 : 제2 회전부
42 : 제2 회전축
46 : 역회전기어
48 : 제2 드럼부재
50 : 제1 배토삽부
52 : 제1-1 삽날부재
54 : 제1-2 삽날부재
56 : 제2-1 삽날부재
58 : 제2-2 삽날부재
60 : 제2 배토삽부
70 : 제1 가이드 플레이트
80 : 제2 가이드 플레이트
90 : 프레임
T : 트랙터
T1 : 동력취출축
J : 조인트
10 : 마스트부
12 : 제1 사이드마스트
14 : 제2 사이드마스트
16 : 센터마스트
20 : 동력전달부
21-1 : 제1 하우징
21-2 : 제2 하우징
22-11 : 제1-1 베어링
22-12 : 제1-2 베어링
22-22 : 제2-2 베어링
22-32 : 제3-2 베어링
23 : 동력수용축
24 : 동력수용기어
25 : 동력전달부재
26 : 타이트너
262 : 장력유지축
264 : 장력유지요소
266 : 토션 스프링
268 : 고정핀
30 : 제1 회전부
32 : 제1 회전축
34 : 회전기어
36 : 동력전달기어
38 : 제1 드럼부재
40 : 제2 회전부
42 : 제2 회전축
46 : 역회전기어
48 : 제2 드럼부재
50 : 제1 배토삽부
52 : 제1-1 삽날부재
54 : 제1-2 삽날부재
56 : 제2-1 삽날부재
58 : 제2-2 삽날부재
60 : 제2 배토삽부
70 : 제1 가이드 플레이트
80 : 제2 가이드 플레이트
90 : 프레임
T : 트랙터
T1 : 동력취출축
J : 조인트
Claims (10)
- 트랙터의 동력취출축과 연결되며, 상기 동력취출축으로부터 축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전달부;
상기 동력전달부에서 돌출되며, 상기 동력전달부로부터 축동력을 전달받아서 축회전하는 회전부; 및
상기 회전부에 결합되어서 상기 회전부의 방사 방향으로 돌출되는 배토삽부;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상기 트랙터의 전후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되며,
상기 배토삽부는 상기 회전부의 축회전에 의해 상기 회전부를 중심으로 회전하여서 지면의 흙을 상기 트랙터의 좌우 방향 분산되게 성형하는, 휴립복토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제1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1 회전부는,
일부가 상기 동력전달부의 하우징으로부터 돌출되게 형성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서 위치되는 제1 회전축; 및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된 제1 회전축과 결합되는 회전기어;
를 포함하고,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하우징의 일 면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상기 동력취출축과 연결되어서 상기 동력취출축의 축회전동력을 전달받는 동력수용축;
상기 동력수용축과 결합되며, 상기 하우징 내에 배치되는 동력수용기어; 및
상기 동력수용기어와 상기 회전기어를 연결하는 동력전달부재;
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수용축은 상기 동력취출축에 의해 축회전되고,
상기 동력수용기어는 상기 동력수용축과 함께 회전되며,
상기 동력전달부재는 상기 동력수용기어의 회전력을 상기 회전기어로 전달하고,
상기 배토삽부는 상기 회전기어에 결합된 상기 제1 회전축에 의해 회전되는, 휴립복토기.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회전기어와 이격되게 배치되는 동력전달기어를 더 포함하며,
상기 회전부는 제2 회전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제1 회전축과 평행하게 배치되며, 일부가 상기 하우징 내에 위치되고, 다른 일부가 상기 제1 회전축의 돌출 방향과 반대되는 상기 하우징 외측으로 돌출되는 제2 회전축; 및
상기 하우징 내에서 상기 제2 회전축과 결합되는 역회전기어;
를 포함하며,
상기 동력전달기어와 역회전기어는 맞물리게 배치되어서, 상기 제1 회전부의 회전력이 상기 제2 회전부로 전달되는, 휴립복토기.
-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일측에 배치되며 탄성을 가지는 타이트너를 더 포함하고,
상기 타이트너는 상기 하우징의 일면에서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서, 탄성을 이용하여 상기 동력전달부재의 일측을 밀도록 회전되는, 휴립복토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배토삽부는 복수의 삽날부재들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삽날부재들 각각은 상기 회전부에서 서로 이격되게 배치되며,
상기 복수의 삽날부재들 각각은 방사방향 말단이 상기 트랙터의 전방 또는 후방 중 적어도 한 방향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휴립복토기.
-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삽날부재들은 상기 회전부의 원둘레 방향을 따라서 2열로 복수 개가 배열되며,
각 열에 배치되는 상기 복수의 삽날부재들은 방사방향 말단이 상기 트랙터의 전방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상기 삽날부재들과 방사방향 말단이 상기 트랙터의 후방으로 만곡되게 형성되는 상기 삽날부재들이 교대로 배열되는, 휴립복토기.
- 제6 항에 있어서,
2열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삽날부재들은 상기 회전부의 축방향으로 오버랩되게 배치되며,
오버랩되는 한 쌍의 상기 삽날부재들은 방사방향 말단이 서로 마주보도록 만곡되거나 서로 반대 방향으로 만곡되는, 휴립복토기.
- 제6항에 있어서,
2열로 배치된 상기 복수의 삽날부재들은 상기 회전부의 둘레 방향에서 서로 어긋나게 배치되는, 휴립복토기.
-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동력전달부에서 상기 회전부의 돌출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돌출되며, 상기 회전부와 상기 배토삽부의 상측에 배치되는 가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는 선형 또는 곡선형 단면을 구비하는 판 형태로 형성되며, 상기 회전부의 회전 방향에 따라 상기 배토삽부가 지면을 통과하여 나오는 방향의 일 단부보다 상기 배토삽부가 지면으로 들어가는 방향의 타 단부가 더 높게 배치되는, 휴립복토기.
- 제1 항에 있어서,
제1 가이드 플레이트와 제2 가이드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는 제1 회전부와 제2 회전부를 포함하고,
상기 배토삽부는 상기 제1 회전부에 결합되는 제1 배토삽부와 상기 제2 회전부에 결합되는 제2 배토삽부를 포함하며,
상기 제1 회전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전방에 배치되고,
상기 제2 회전부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후방에 배치되며,
상기 제1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전방에서 상기 제1 배토삽부보다 상측에 배치되고,
상기 제2 가이드 플레이트는 상기 동력전달부의 후방에서 상기 제2 배토삽부보다 상측에 배치되는, 휴립복토기.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2890A KR20220128173A (ko) | 2021-03-12 | 2021-03-12 | 휴립복토기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2890A KR20220128173A (ko) | 2021-03-12 | 2021-03-12 | 휴립복토기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8173A true KR20220128173A (ko) | 2022-09-20 |
Family
ID=8344656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2890A KR20220128173A (ko) | 2021-03-12 | 2021-03-12 | 휴립복토기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28173A (ko) |
-
2021
- 2021-03-12 KR KR1020210032890A patent/KR20220128173A/ko active IP Right Grant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US4624197A (en) | Minimum tillage toolbar and method for using same | |
JP7142381B2 (ja) | まぐわを有する耕作装置 | |
CN110036715A (zh) | 作物秸秆或绿肥作物剪截集中沟埋还田方法及相关设备 | |
JP2009100659A (ja) | 深耕爪を装備した成形培土器ユニット | |
KR20030071180A (ko) | 직파기 | |
CN104620708B (zh) | 用于深条形耕作的松土机 | |
US11558988B2 (en) | Rotary ground engaging tool with double loop barbed links | |
KR100809832B1 (ko) | 땅속작물 수확기 | |
US9194103B2 (en) | Tractor mounted excavation implement | |
KR20220036564A (ko) | 휴립복토기 | |
KR20220128173A (ko) | 휴립복토기 | |
KR20010049555A (ko) | 건답직파장치 | |
KR100920776B1 (ko) | 근채 수확기 | |
CN105993246A (zh) | 一种深松施肥机 | |
JP3049499B1 (ja) | 全茎式多条植付機 | |
KR100966623B1 (ko) | 쟁기 | |
CN112088600B (zh) | 一种无人驾驶定播的种植方法 | |
CN102160478B (zh) | 秸秆深埋保护性耕作复合机具 | |
KR102272400B1 (ko) | 복토장치 | |
CN115136760A (zh) | 一种盐碱地专用大豆起垄覆膜播种机 | |
KR200397543Y1 (ko) | 땅속작물 수확기 | |
CN109906693A (zh) | 手扶式深松除草机 | |
KR200182603Y1 (ko) | 농기계용 로타리날 개선구조 | |
JP4828704B2 (ja) | 掘削耕耘作業機 | |
CN212034765U (zh) | 一种丰产沟挖掘装置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902 |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 ||
E90F |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 ||
E701 |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