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8117A - 픽업트럭의 루프탑 지지 구조 - Google Patents

픽업트럭의 루프탑 지지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8117A
KR20220128117A KR1020210032774A KR20210032774A KR20220128117A KR 20220128117 A KR20220128117 A KR 20220128117A KR 1020210032774 A KR1020210032774 A KR 1020210032774A KR 20210032774 A KR20210032774 A KR 20210032774A KR 20220128117 A KR20220128117 A KR 2022012811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ngth
sliding part
loading box
extended
pickup truc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277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병열
Original Assignee
김병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김병열 filed Critical 김병열
Priority to KR102021003277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8117A/ko
Publication of KR2022012811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8117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PVEHICLES ADAPTED FOR LOAD TRANSPORTATION OR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00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 B60P3/32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 B60P3/34Vehicles adapted to transport, to carry or to comprise special loads or objects comprising living accommodation for people, e.g. caravans, camping, or like vehicles the living accommodation being expansible, collapsible or capable of rearrangement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9/00Supplementary fittings on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e.g. luggage, sports gear or the like
    • B60R9/04Carriers associated with vehicle roof
    • B60R9/045Carriers being adjustable or transformable, e.g. expansible, collapsibl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HBUILDINGS OR LIKE STRUCTURES FOR PARTICULAR PURPOSES; SWIMMING OR SPLASH BATHS OR POOLS; MASTS; FENCING; 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0Tents or canopies, in general
    • E04H15/02Tents combined or specially associated with other devices
    • E04H15/06Tents at least partially supported by veh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200/00Type of vehicle
    • B60Y2200/10Road Vehicles
    • B60Y2200/14Trucks; Load vehicles, Busses
    • B60Y2200/141Light truck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Transportation (AREA)
  • Fittings On The Vehicle Exterior For Carrying Loads, And Devices For Holding Or Mounting Articles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Abstract

개시된 본 발명에 따른 픽업트럭의 루프탑 지지 구조는, 픽업트럭의 적재함에 설치된 지지대 상에 고정되어, 인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연결되는 확장길이 조절부재; 및 상기 확장길이 조절부재의 최선단에 고정되어 상기 확장길이 조절부재의 길이 신장시 상기 적재함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하 공간을 활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픽업트럭의 적재함에 설치된 지지대 상에 슬라이딩부가 확장길이 조절부재에 의해 적재함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슬라이딩부의 상측에 루프탑 텐트 등이 고정 가능면서 슬라이딩부의 하측은 어닝 역활을 하게 되며, 슬라이딩부의 인출 후에 적재함의 상측에 확장부를 구비하여 슬라이딩부에서의 확장 공간으로 활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픽업트럭의 루프탑 지지 구조 {ROOF TOP SUPPORT STRUCTURE OF PICK-UP TRUCK}
본 발명은 픽업트럭의 루프탑 지지 구조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픽업트럭의 적재함 상에 루프탑 공간을 형성하고, 이 공간을 확장시켜 다양하게 활용 가능한 루프탑 지지 구조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픽업트럭은 후방에 작은 적재함이 구비된 소형 트럭으로 최근에는 소비자의 다양한 요구에 부응하기 위해 레저용 차량에도 적재함이 마련되기도 한다.
즉, 픽업트럭은 소정의 적재물을 적재할 수 있는 수납공간인 적재함이 구비된다.
그리고 적재함에는 루프탑 텐트나 자전거 캐리어를 고정시키는 용도로 사용하도록 롤바를 설치하고 있다.
이렇게, 루프탑에 설치되어 텐트 등을 고정시키는 기술이 한국등록특허 제2153977호에 제안된 바 있다.
그러나 특허문헌 1은 차량의 루프탑 공간에서만 한정적으로 사용하여 공간 활용이 극히 제한적인 문제점이 있었다.
한국등록특허 제2153977호(2020.09.03)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점을 감안하여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해결과제는, 픽업트럭의 적재함에 설치된 롤바인 지지대 상에 인출 가능한 루프탑을 지지하여 사용 공간의 확장이 가능한 픽업트럭의 루프탑 지지 구조를 제공하는데 그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에 따른 픽업트럭의 루프탑 지지 구조는, 픽업트럭의 적재함에 설치된 지지대 상에 고정되어, 인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연결되는 확장길이 조절부재; 및 상기 확장길이 조절부재의 최선단에 고정되어 상기 확장길이 조절부재의 길이 신장시 상기 적재함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하 공간을 활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장길이 조절부재의 길이 신장시 상기 적재함의 상측에 상기 슬라이딩부에서 확장되도록 확장부가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측에 구조물이 고정되고, 하측이 어닝 역활을 할 수 있다.
상기 확장길이 조절부재의 길이 신장시 상기 슬라이딩부의 단부가 트리거 기둥에 의해 지지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의하면, 픽업트럭의 적재함에 설치된 지지대 상에 슬라이딩부가 확장길이 조절부재에 의해 적재함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슬라이딩부의 상측에 루프탑 텐트 등이 고정 가능하면서 슬라이딩부의 하측은 어닝 역활을 하게 되며, 슬라이딩부의 인출 후에 적재함의 상측에 확장부를 구비하여 슬라이딩부에서의 확장 공간으로 활용 가능한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픽업트럭의 루프탑 지지 구조가 차량 적재함에 설치된 지지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픽업트럭의 루프탑 지지 구조의 확장길이 조절부재 길이가 신장된 상태를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픽업트럭의 루프탑 지지 구조에서 슬라이딩부가 최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픽업트럭의 루프탑 지지 구조에서 슬라이딩부가 최대 인출된 후 확장부에 의해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픽업트럭의 루프탑 지지 구조에서 슬라이딩부가 최대 인출되어 슬라이딩부의 상측에 루프탑 텐트가 설치되고, 하측에 어닝 천막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상기와 같은 목적, 특징 및 다른 장점들은 첨부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함으로써 더욱 명백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픽업트럭의 루프탑 지지 구조에 대해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의한 픽업트럭의 루프탑 지지 구조가 차량 적재함에 설치된 지지대에서 분리된 상태를 도시한 분해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의한 픽업트럭의 루프탑 지지 구조의 확장길이 조절부재 길이가 신장된 상태를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의한 픽업트럭의 루프탑 지지 구조에서 슬라이딩부가 최대 인출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에 의한 픽업트럭의 루프탑 지지 구조에서 슬라이딩부가 최대 인출된 후 확장부에 의해 확장된 상태를 도시한 사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에 의한 픽업트럭의 루프탑 지지 구조에서 슬라이딩부가 최대 인출되어 슬라이딩부의 상측에 루프탑 텐트가 설치되고, 하측에 어닝 천막이 설치된 상태를 도시한 측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면, 본 발명에 의한 픽업트럭의 루프탑 지지 구조(100)는 확장길이 조절부재(110) 및 슬라이딩부(150)를 포함한다.
이때, 픽업트럭(10)은 도 1,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방에 적재함 도어(30)의 의해 개폐 가능한 적재함(20)이 구비되고, 적재함(20)의 양측에 롤바인 지지대(40)가 구비되며, 지지대(40) 상에 본 발명에 의한 픽업트럭의 루프탑 지지 구조(100)가 설치된다.
이때, 지지대(40)는 적재함(20)의 양측에 "
Figure pat00001
" 자 형상으로 설정 간격마다 복수 설치되고, 각각의 상부에 평행한 바(42)로 지지하도록 구비된다.
확장길이 조절부재(11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대(40)의 상부에 평행하게 설치된 바(42)의 상부에 고정되어 인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연결된다.
한편, 확장길이 조절부재(110)는 고정부(120), 제1 이동안내부(130) 및 제2 이동안내부(140)를 포함한다.
그리고 확장길이 조절부재(110)는 알루미늄재 등으로 압출 성형되어 가볍고 얇으면서 강도를 유지 가능하다.
그리고 고정부(120)의 저면이 제1 이동안내부(130)의 저면과 일치하도록 연결되고, 제2 이동안내부(140)의 상면이 제2 이동안내부(140)의 상면과 일치하도록 연결되어 슬라이딩부(150)의 저면 전체가 제2 이동안내부(140)와 제2 이동안내부(140)의 상면에 고정된다.
또한, 확장길이 조절부재(110)는 길이 신장시 제2 이동안내부(140)의 후단이 고정부(120)의 선단 위치까지 인출되고, 제1 이동안내부(130)가 제2 이동안내부(140)와 고정부(120)를 중첩된 상태로 겹치게 연결하여 제2 이동안내부(140)의 처짐을 방지한다.
고정부(120)는 지지대(40)의 상부에 평행하게 설치된 바(42)의 상면에 고정되는 구성으로, 평면 형상이 "
Figure pat00002
" 형상으로 형성되며, 고정몸체(122), 제1 가이드홈(124) 및 제1 연결부(126)로 구성된다.
고정몸체(122)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일정길이 형성된 몸체로 한 쌍으로 이격 배치된다.
제1 가이드홈(124)은 이격 배치된 고정몸체(122)의 마주보는 내측면 전체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내부에 제1 이동롤러(134a)가 이동시 가이드 기능을 한다.
제1 연결부(126)는 이격 배치된 고정몸체(122)의 이웃한 단부를 서로 연결한다.
제1 이동안내부(130)는 고정부(120)의 안쪽에서 이동하는 구성으로, 평면 형상이 "
Figure pat00003
"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1 이동안내몸체(132), 제1, 2 이동롤러(134a, 134b) 및 제2 연결부(136)로 구성된다.
제1 이동안내몸체(132)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일정길이 형성된 몸체로 한 쌍으로 이격 배치된다.
제1 이동롤러(134a)는 제1 이동안내몸체(132)의 대향된 외측면에 다수 설치되어 고정몸체(122)의 제1 가이드홈(124) 내에 위치된다.
이때, 제1 이동롤러(134a)는 제1 가이드홈(124)의 바닥면에 구름 접촉한 상태로 위치되어 제1 이동안내부(130)가 고정부(120)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때 이동이 원할케 한다.
제2 이동롤러(134b)는 제2 이동안내몸체(142)의 대향된 내측면에 다수 설치되어 제2 이동안내몸체(142)의 제2 가이드홈(144) 내에 위치된다.
제2 이동롤러(134b)도 제1 이동롤러(134a)와 마찬가지로 제2 가이드홈(144)의 바닥면에 구름 접촉한 상태로 위치되어 제2 이동안내부(140)가 제1 이동안내부(130)에서 슬라이딩 이동될 때 이동이 원할케 한다.
제2 연결부(136)는 이격 배치된 제1 이동안내몸체(132)의 이웃한 단부를 서로 연결한다.
제2 이동안내부(140)는 제1 이동안내부(130)의 안쪽에서 이동하는 구성으로, 평면 형상이 사다리 형상으로 형성되며, 제2 이동안내몸체(142), 제2 가이드홈(144) 및 제3 연결부(146)로 구성된다.
제2 이동안내몸체(142)는 사각 기둥 형상으로 일정길이 형성된 몸체로 한 쌍으로 이격 배치된다.
제2 가이드홈(144)은 이격 배치된 제2 이동안내몸체(142)의 대향된 외측면 전체에 내측으로 함몰 형성되어 내부에 제2 이동롤러(134b)가 이동시 가이드 기능을 한다.
제3 연결부(146)는 이격 배치된 제2 이동안내몸체(142)의 이웃한 대향면을 서로 복수 연결한다.
더욱이, 제2 이동안내부(140)에는 상면에 슬라이딩부(150)가 고정되어 가장 많이 인출되는 제2 이동안내부(140)를 통해 슬라이딩부(150)가 적재함(20)에서 외측 방향으로 인출된다.
슬라이딩부(150)는 도 1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판상으로 구비되되, 확장길이 조절부재(110)의 제2 이동안내부(140)에 고정되어 확장길이 조절부재(110)의 최대 길이 신장시 적재함(20)의 외부로 인출되면서 상하 공간을 활용 가능하도록 구비된다.
더욱이, 슬라이딩부(150)는 확장길이 조절부재(110)에 의해 최장 신장시 단부에 처짐이 발생할 수 있으므로 이를 위해 양측에 트리거 기둥(160)에 지지된다. 이때, 트리거 기둥(160)은 길이 조절이 가능하다.
또한, 슬라이딩부(15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에 구조물인 루프탑 텐트(200)가 설치 가능하고, 최대 길이 신장시 픽업트럭(10)의 적재함(20)의 외측에 위치되므로 하측 역시 공간 활용이 가능하다.
이렇게, 슬라이딩부(150)가 어닝 기능을 하면서 슬라이딩부(150)의 하측 공간에 어닝 천막(210) 역시 설치 가능하여 공간을 활용 가능하다.
한편, 확장길이 조절부재(110)는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최장 신장시 고정부(120)와 제1 이동안내부(130) 상에 고정된 판상의 확장부(170)를 더 포함한다.
확장부(170)는 확장길이 조절부재(110)에 의해 길이가 최대로 신장되면서 슬라이딩부(150)가 픽업트럭(10)의 적재함(20)의 외측에 위치되는 경우 적재함(20)의 상측인 고정부(120)와 제1 이동안내부(130)가 노출되므로 노출된 공간을 활용하기 위해 구비된다.
이렇게, 확장부(170)는 슬라이딩부(150)에서 확장된 공간으로 활용할 수 있다.
한편, 도면에는 도시하지 않았지만, 확장부(170)는 확장길이 조절부재(110)에 의해 고정된 슬라이딩부(150)에 고정 가능하도록 고정구가 구비 가능하다. 이 경우, 고정구는 슬라이딩부(150) 측 단부 양측면에 후크 형상으로 형성되고, 후크의 단부가 결속되도록 확장부(170)의 단부 양측면에 홈이 형성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의한 픽업트럭의 루프탑 지지 구조(100)는 픽업트럭(10)의 적재함(20)에 설치된 지지대(40)의 바(42) 상에 슬라이딩부(150)가 확장길이 조절부재(110)에 의해 적재함(20)의 외부로 인출 가능하도록 구비되어 슬라이딩부(150)를 최대로 인출한 후 적재함(20)의 상측인 고정부(120)와 제1 이동안내부(130) 상에 판상의 확장부(170)가 확장 설치된다.
이렇게, 슬라이딩부(150)에 루프탑 텐트(200)를 설치한 상태에서 확장 설치된 확장부(170)를 통해 전실 등으로 사용 가능하며, 슬라이딩부(150)의 저면 양측에 트리거 기둥(160)에 의해 지지하게 되는 경우 슬라이딩부(150)의 처짐 방지와, 슬라이딩부(150)의 최장 신장시 픽업트럭(10)의 적재함(20)의 외측에 위치되므로 슬라이딩부(150) 하측에 어닝 천막(210)을 설치하면서 공간을 활용 가능하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10: 픽업트럭 20: 적재함
30: 적재함 도어 40: 지지대
100: 픽업트럭의 루프탑 지지 구조
110: 확장길이 조절부재 120: 고정부
130: 제1 이동안내부 140: 제2 이동안내부
150: 슬라이딩부 160: 트리거 기둥
170: 확장부 200: 루프탑 텐트
210: 어닝 천막

Claims (4)

  1. 픽업트럭의 적재함에 설치된 지지대 상에 고정되어, 인출 길이의 조절이 가능하도록 다단으로 연결되는 확장길이 조절부재; 및
    상기 확장길이 조절부재의 최선단에 고정되어 상기 확장길이 조절부재의 길이 신장시 상기 적재함의 외부로 인출된 상태에서 상하 공간을 활용 가능하도록 구비되는 슬라이딩부;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트럭의 루프탑 지지 구조.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길이 조절부재의 길이 신장시 상기 적재함의 상측에 상기 슬라이딩부에서 확장되도록 확장부가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트럭의 루프탑 지지 구조.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슬라이딩부는 상측에 구조물이 고정되고, 하측이 어닝 역활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트럭의 루프탑 지지 구조.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확장길이 조절부재의 길이 신장시 상기 슬라이딩부의 단부가 트리거 기둥에 의해 지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픽업트럭의 루프탑 지지 구조.
KR1020210032774A 2021-03-12 2021-03-12 픽업트럭의 루프탑 지지 구조 KR20220128117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774A KR20220128117A (ko) 2021-03-12 2021-03-12 픽업트럭의 루프탑 지지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2774A KR20220128117A (ko) 2021-03-12 2021-03-12 픽업트럭의 루프탑 지지 구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8117A true KR20220128117A (ko) 2022-09-20

Family

ID=8344654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2774A KR20220128117A (ko) 2021-03-12 2021-03-12 픽업트럭의 루프탑 지지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8117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977B1 (ko) 2020-04-01 2020-09-09 천정국 개방성 및 출입성이 향상된 루프탑 텐트용 데크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53977B1 (ko) 2020-04-01 2020-09-09 천정국 개방성 및 출입성이 향상된 루프탑 텐트용 데크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850944B2 (en) Slim drawer slide
KR102300601B1 (ko) 픽업 트럭의 인출식 적재함의 처짐방지 레일구조
US11085198B2 (en) Retractable shelter
RU2696189C2 (ru) Система ящика для хранения (варианты), транспортное средство и способ обеспечения дополнительного отделения для хранения
CA2533682C (en) Expandable trailer
US6257638B1 (en) Travel trailer with rear wall slide-out room
US7506909B2 (en) Expandable truck bed
US20080265618A1 (en) Multiple slide-out room for a recreational vehicle
US20100319160A1 (en) Adjustable door stop
KR20220128117A (ko) 픽업트럭의 루프탑 지지 구조
US3980121A (en) Bracket for use in a retractable awning
CN108454498A (zh) 适于皮卡车厢的侧面安装的导轨
KR20150081063A (ko) 차량의 이동식 텐트
WO2023165114A1 (zh) 一种可连接帐篷的车顶行李架横杆组件
KR20180008131A (ko) 슬라이딩식 확장형 테이블이 구비된 수납장 겸용 테이블
KR102607241B1 (ko) 차량의 인출식 적재시스템의 처짐방지 구조
CN210116449U (zh) 行李舱置物架总成及车辆
JPH0379478A (ja) トラックの箱型荷室
KR102399013B1 (ko) 상하차 가능한 캠핑구조체
US20210067088A1 (en) Frame for a mobile solar power panel system
JP6522804B2 (ja) キャンプコンテナ
CN216020216U (zh) 一种改进滑道装置的层架
DE202022104592U1 (de) Schienensystem für deckenseitige Lagerung in Wohnmobilstauräumen
JP3115020U (ja) 窓周り用室内物干し装置
JPH0732123U (ja) 移動式シェルタ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