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7687A - 가변형 후드 장치 - Google Patents
가변형 후드 장치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27687A KR20220127687A KR1020210032319A KR20210032319A KR20220127687A KR 20220127687 A KR20220127687 A KR 20220127687A KR 1020210032319 A KR1020210032319 A KR 1020210032319A KR 20210032319 A KR20210032319 A KR 20210032319A KR 20220127687 A KR20220127687 A KR 20220127687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hood
- arm
- variable
- hole
- rib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24C15/2085—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adjustable in height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04—POSITIVE - DISPLACEMENT MACHINES FOR LIQUIDS; PUMPS FOR LIQUIDS OR ELASTIC FLUIDS
- F04F—PUMPING OF FLUID BY DIRECT CONTACT OF ANOTHER FLUID OR BY USING INERTIA OF FLUID TO BE PUMPED; SIPHONS
- F04F5/0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 F04F5/14—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 F04F5/16—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 F04F5/20—Jet pumps, i.e. devices in which flow is induced by pressure drop caused by velocity of another fluid flow the inducing fluid being elastic fluid displacing elastic fluids for evacuating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C—DOMESTIC STOVES OR RANGES ; DETAILS OF DOMESTIC STOVES OR RANGES, OF GENERAL APPLICATION
- F24C15/00—Details
- F24C15/20—Removing cooking fumes
- F24C15/2078—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 F24C15/2092—Removing cooking fumes movable extendable or pivotable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0—Details common to, or for 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or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13/02—Ducting arrangements
- F24F13/0218—Flexible soft ducts, e.g. ducts made of permeable textiles
-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4—HEATING; RANGES; VENTILATING
- F24F—AIR-CONDITIONING; AIR-HUMIDIFICATION; VENTILATION; USE OF AIR CURRENTS FOR SCREENING
- F24F7/00—Ventilation
- F24F7/04—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 F24F7/06—Ventilation with ducting systems, e.g. by double walls; with natural circulation with forced air circulation, e.g. by fan positioning of a ventilator in or against a conduit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Fluid Mechanics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Ventilation (AREA)
- Superstructure Of Vehicle (AREA)
- Outer Garments And Coats (AREA)
- Prevention Of Foul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가변형 후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이는, 벽면에 고정되는 지지홀더와; 상기 지지홀더에 지지된 상태로 수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홀더와; 상기 회전홀더에 지지되며 3차원 운동 가능한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의 단부에 장착되고, 사용 시 펼쳐지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두는 접이식후드와; 상기 접이식후드에 연결되며 실외로 연장되는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 내에, 실외를 향하는 방향의 공기 흐름을 형성하여 접이식후드에 음압을 유도하는 배기수단이 포함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가변형 후드 장치는, 접이식후드의 3차원적 위치 조절이 가능하므로 접이식후드로서의 사용 가능한 물리적 범위가 넓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서 한쪽에 밀착시키므로 주방을 한결 넓게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배기를 위해 팬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팬의 회전 시 발생하는 소음이 없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가변형 후드 장치는, 접이식후드의 3차원적 위치 조절이 가능하므로 접이식후드로서의 사용 가능한 물리적 범위가 넓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서 한쪽에 밀착시키므로 주방을 한결 넓게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배기를 위해 팬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팬의 회전 시 발생하는 소음이 없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가변형 후드 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3차원적 이동이 가능하여, 냄새나 가스 발생 지점에 근접시켜 보다 효율적인 배기를 수행할 수 있는, 가변형 후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주방에서 음식물을 가열 조리할 때 발생하는 냄새나 미세먼지, 일산화탄소나 이산화탄소 등의 유해가스는, 실내 공기를 오염시키는 오염원으로서, 실내 거주자의 건강에 좋지 않고 불쾌감을 줄 수 있다. 이에 따라 실내를 자주 환기해야 하는데, 실제로는 환기가 충분히 이루어지지 못하는 경우가 많다.
한편, 주방용 후드는, 조리과정에서 발생하는 연기나 냄새는 물론 유해가스를 실외로 배출시키는 환기장치로서, 가스렌지나 인덕션 렌지 등의 가열원 상부에 설치된다. 이러한 후드는, 이를테면, 기체를 받아들이는 케이싱, 흡기팬, 필터, 덕트 등을 포함하는 장치로서, 흡기팬을 구동하여 기체를 빨아올리고, 빨아올린 기체를 덕트를 통해 배기하는 구조를 갖는다.
그런데 종래의 후드는, 가열원과의 거리가 멀어서 기체를 효율적으로 빨아올리지 못한다는 단점을 갖는다. 말하자면, 가스렌지로부터 발생하는 유해가스나 프라이팬에서 발생하는 냄새 등을 완벽히 제거하지 못하는 것이다. 그나마 흡기팬을 고속 회전시키면 기체 제거율이 올라가기는 하지만, 이번에는 기계적 소음의 문제가 발생한다.
이와 같은 문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국내 공개특허공보 제10-2009-0081262호 (주방용 후드)가 개시된 바 있다. 개시된 주방용 후드는, 가스레인지 상부에 위치하도록 싱크대 일측에 설치되며, 전방면 하단부 일측에는 제어부가 구비되며, 상부면 일측에는 배기구가 형성되는 메인 커버; 메인 커버의 상부면과 연통되도록 메인 커버의 상부면 타측에 설치되는 보조 커버; 메인 커버의 상부면 일측에 형성된 배기구에 설치되며, 제어부와 연결되는 배기 팬; 메인 커버의 하단부 타측에 하부 끝단이 연결되고, 상부 끝단은 보조 커버의 상단부에 연결되며, 제어부와 연결되는 상하 이동수단 및 상하 이동수단과 양측면이 연결되며, 제어부와 연결되는 상하 이동수단이 작동됨에 따라 승강되는 흡기수단으로 구성된다.
그런데 개시된 주방용 후드는, 흡기수단이 수직방향으로만 움직인다는 한계를 갖는다. 이를테면 흡기수단이 수평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어, 복수의 가열원이 설치되어 있는 주방에서는 사용하기가 곤란한 것이다.
또한 팬회전 모터가 흡기수단의 하단부에 배치되므로, 사용 시 소음이 크며, 특히 모터가 가열원과 가까이 위치함에 따라, 가열원에 의해 음식과 함께 가열된다는 단점을 갖는다.
본 발명은 상기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창출한 것으로서, 후드의 3차원적 위치 조절이 가능하므로 후드로서의 사용 가능한 물리적 범위가 넓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서 한쪽에 밀착시킬 수 있으며, 저소음 구동이 가능한, 가변형 후드 장치를 제공함에 목적이 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과제의 해결수단으로서의 본 발명의 가변형 후드 장치는, 벽면에 고정되는 지지홀더와; 상기 지지홀더에 지지된 상태로 수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홀더와; 상기 회전홀더에 지지되며 3차원 운동 가능한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의 단부에 장착되고, 사용 시 펼쳐지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두는 접이식후드와; 상기 접이식후드에 연결되며 실외로 연장되는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 내에, 실외를 향하는 방향의 공기 흐름을 형성하여 접이식후드에 음압을 유도하는 배기수단이 포함된다.
또한, 상기 지지홀더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정 내경을 갖는 수직홀을 제공하고, 상기 회전홀더는; 상기 수직홀에 축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축과, 끼움축에 연결대를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서, 반원형 원판의 형상을 취하며, 제1관통공과, 제1관통공을 중심으로 등각 배치되는 다수의 제2관통공을 갖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아암부는; 상기 지지브라켓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연장단부에는 아암연결핀을 구비한 제1아암과, 제1아암의 아암연결핀에 링크되고 회전 가능한 제2아암과, 관절부를 통해 제2아암의 단부에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장단부가 상기 접이식후드와 결합하는 제3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제1아암의 단부에는, 상기 제1관통공에 대응하는 지지핀구멍과, 제2관통공에 대응하는 각도핀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핀구멍은 제1관통공에 맞추어진 상태로 지지핀을 통과시키고, 각도핀구멍은 선택된 제2관통공에 맞추어진 상태로 각도유지핀을 통과시킨다.
또한, 상기 배기관은 휘어질 수 있는 주름관으로서, 연장단부에는 창틀에 끼워져 고정 가능한 고정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배기수단은, 송풍기, 송풍기와 연결되고 배기관의 내부로 인입되며 송풍기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배기관 내부로 분출하는 공기유도관을 구비한다.
그리고, 상기 배기관의 내부에는 벤투리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공기유도관은 밴투리부의 하류측에 배치된다.
또한, 상기 접이식후드는; 제3아암의 단부에 링크되고 배기관과 연결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아래에 연결되며, 사용 시 펼쳐져 배기 대상 기체를 헤드부로 유도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혀지는 날개부를 포함한다.
아울러, 상기 날개부는; 헤드부에 대해 힌지 연결되며 상하로 회전 가능하고, 상향 회동한 상태로 측방향 양단부가 상호 밀착하여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다수의 분할날개를 구비한다.
또한, 상기 날개부는; 상기 헤드부에 고정되되 헤드부를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정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고정리브와, 각 고정리브에 핀 연결되며 상하로 회전 가능한 회전리브와, 상기 회전리브가 상향 회전하여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리브고정수단과, 상기 고정리브 및 회전리브에 고정되며, 회전리브가 상향 회전한 상태에서 펼쳐져, 배기 대상 기체를 헤드부로 유도하는 내열투광원단이 구비된다.
그리고, 상기 리브고정수단은; 상기 회전리브에 고정되는 일정 곡률의 원호형로드와, 원호형로드에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라쳇핑거와, 상기 헤드부에 지지되고, 원호형로드를 통과시키는 통로를 제공하며, 통로의 내부에는 상기 라쳇핑거에 걸려 회전리브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톱니부가 형성된 록킹튜브를 포함한다.
상기와 같이 이루어지는 본 발명의 가변형 후드 장치는, 후드의 3차원적 위치 조절이 가능하므로 후드로서의 사용 가능한 물리적 범위가 넓다. 또한,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서 한쪽에 밀착시키므로 주방을 한결 넓게 사용할 수 있다. 아울러, 배기를 위해 팬을 사용하지 않으므로 팬의 회전 시 발생하는 소음이 없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후드 장치의 구성과 사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후드 장치를 따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후드 장치에서 후드와 배기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후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배기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후드 장치에 적용 가능한 접이식후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후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접이식 후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후드 장치에 적용 가능한 또 다른 구성의 접이식 후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후드 장치를 따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후드 장치에서 후드와 배기관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내지 4c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후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배기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후드 장치에 적용 가능한 접이식후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후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접이식 후드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후드 장치에 적용 가능한 또 다른 구성의 접이식 후드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하나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후드 장치(30)의 구성과 사용 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 2는 가변형 후드 장치를 따로 도시한 분해 사시도이다. 또한, 도 3은 가변형 후드 장치에서 후드와 배기관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4a 내지 4c는 가변형 후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다양한 배기방식을 설명하기 위한 부분 단면도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후드 장치(30)는, 싱크대(12)와 가스렌지(13) 등이 설치되어 있는 주방(11)에 적용되며, 가스렌지(13)를 이용한 음식물 조리 시 발생하는 냄새와 유해가스를 실외로 배출한다. 이러한 가변형 후드 장치(30)는, 지지홀더(31), 회전홀더(33), 아암부, 접이식후드(40), 배기관(65), 배기수단을 포함한다.
지지홀더(31)는 주방의 일측 벽면(11a)에 고정되는 것으로서, 수직홀(31a)을 갖는다. 수직홀(31a)은 일정 내경을 가지는 수직 구멍으로서 후술할 끼움축(33a)을 축회전 가능하게 지지한다. 지지홀더(31)는 가스렌지(13)의 주변에 설치한다. 아울러, 끼움축(33a)이 수직홀(31a)에 대해 분해 가능하므로, 지지홀더(31)를 2개 이상 설치하여, 후드장치(30)의 위치를 바꿔 가면서 사용할 수 있다.
회전홀더(33)는, 지지홀더(31)에 끼워진 상태로 가상의 수직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부재로서, 끼움축(33a), 연결대(33b), 지지브라켓(33d)을 포함한다.
끼움축(33a)은 수직홀(31a)에 삽입되는 환봉형 부재로서, 수직홀(31a)에 삽입된 상태로 축회전 가능하다. 또한 수직홀(31a)에 대해 분리도 자유롭다.
연결대(33b)는 끼움축(33a)의 상단부에 일체를 이루며 끼움축(33a)과 지지브라켓(33d)을 연결하는 부재이다. 연결대(33b)에 의해, 끼움축(33a)과 지지브라켓(33d)이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다.
지지브라켓(33d)은 두 장의 반원형원판(33h)을 구비하고 수용공간(33e)을 제공한다. 수용공간(33e)은 후술할 제1아암(35)의 일단부를 수용하는 공간이다. 각 반원형원판(33h)에는 제1관통공(33f)과 제2관통공(33g)이 형성되어 있다. 제1관통공(33f)은 반원형원판의 대략 중앙부에 형성된 구멍이다. 또한 제2관통공(33g)은 제1관통공(33f)을 중심으로 하는 원의 원주방향으로 배치된 구멍이다. 제1관통공(33f)에는 지지핀(34a)이, 제2관통공(33g)에는 각도유지핀(34b)이 끼워진다. 이에 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상기 구조를 갖는 회전홀러(33)는, 지지홀더(31)에 끼워진 상태로, 끼움축(33a)을 회전축으로 삼아 좌우방향으로 회전 가능하다.
아암부는, 회전홀더(33)에 지지되며 3차원 운동 가능한 것으로서, 제1아암(35), 제2아암(36), 제3아암(37)을 구비한다. 3차원 운동이라 함은, 접이식후드(40)를 전후좌우상하의 모든 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운동이다.
제1아암(35)은, 일단부가 수용공간(33e)에 삽입 지지된 상태로 길이방향으로 연장된 막대형 부재이로서, 일단부에는 지지핀구멍(35a)과 각도핀구멍(35c)을, 타단부에는 아암연결핀(35e)을 갖는다. 아암연결핀(35e)은 제1아암(35)의 단부에 제2아암(36)을 연결시키기 위한 환봉형 부재이다.
지지핀구멍(35a)은 제1관통공(33f)에 맞추어진 상태로 지지핀(34a)을 통과시키는 구멍이다. 제1아암(35)이 지지핀(34a)을 중심으로 상하로 회전 가능한 것이다. 또한, 각도핀구멍(35c)은, 선택된 제2관통공(33g)에 맞추어진 상태로 각도유지핀(34b)을 통과시키는 구멍이다. 각도유지핀(34b)을 이용해 제1아암(35)을 필요한 각도로 유지시킬 수 있다. 세 개의 제2관통공(33g) 중, 어떤 제2관통공을 선택할지는 사용자에 의해 결정된다.
제2아암(36)은, 제1아암(35)의 아암연결핀(35e)에 링크되고, 아암연결핀(35e)을 회전중심으로 삼아 회전 가능한 막대형 부재이다. 제2아암(36)의 일단부에는 아암연결핀(35e)이 끼워지는 링크구멍(36a)이 마련되어 있고, 타단부에는 제3아암(37)과 연결되는 관절부(36c)가 구비된다.
제3아암(37)은 관절부(36c)를 통해 제2아암(36)에 연결되는 부재로서 단부에 후드결합홀(37a)을 갖는다. 후드결합홀(37a)은, 접이식후드(40)에 마련되어 있는 상부고정힌지(41a)의 사이에 삽입된 상태로 힌지핀(41b)을 통과시킨다. 제3아암(37)이 힌지핀(41b)을 통해 접이식후드(40)와 연결되는 것이다.
한편, 접이식후드(40)는, 제3아암(37)의 단부에 연결되고, 사용 시 펼쳐지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둘 수 있는 구조의 후드이다. 즉, 요리를 할 때에는 펼쳐진 상태로 가스렌지(13)의 상부에 배치되고, 필요 없을 때에는 접어놓는 것이다. 접이식후드(40)의 기본 기능은 일반적인 후드와 마찬가지이다. 말하자면, 요리 시 발생하는 냄새나 기체를 빨아들여 배기하는 것이다. 접이식후드(40)에 관한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배기관(65)은 휘어질 수 있는 형태의 주름관으로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일단부가 헤드부(41)에 연결되고, 타단부는 고정블록(66)과 결합한다. 고정블록(66)은 대략 육면체의 형상을 취하며,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창문틀(15a)과 여닫이창(15b)의 사이에 끼워진 상태로 고정된다. 도 1의 도면부호 17은 고정블록(66)을 받치는 받침블록이다. 배기관(65)이 창문(15)에 고정되므로, 접이식후드(40)에 의해 모아진 기체는 배기관(65)을 통해 실외로 배기될 수 있다.
또한, 배기수단은, 배기관(65) 내부에, 실외를 향하는 방향의 공기 흐름을 형성하여 접이식후드(40)에 음압을 유도하는 것이다. 즉, 접이식후드(40)의 헤드부(41) 내부에 음압이 형성되게 함으로서, 요리 시 발생하는 유해가스나 냄새가 헤드부(41)를 통해 배기관(65)으로 유도되게 하는 것이다.
이러한 배기수단에는 송풍기(67)과 공기유도관(67a)이 포함된다. 송풍기(67)는 배기관(65)의 외부에 설치된다. 이를테면, 주방 내에 설치된 선반(16)에 배치될 수 있는 것이다. 배기관(65) 내부에 공기를 공급할 수 있는 한 송풍기(67)의 위치는 얼마든지 변경 가능하다. 송풍기(67)는 압축공기를 생성하여 공기유도관(67a)으로 압입한다.
공기유도관(67a)은, 송풍기(67)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배기관(65) 내부로 분출한다. 공기유도관(67a)의 단부에는 분사노즐(67b)이 장착되어 있다. 분사노즐(67b)을 통해 분출된 공기는 하류측으로 이동하며 대기로 빠져나간다. 이 때 상류측 압력이 낮아져, 배기 대상가스가 배기관(65) 내부로 유입함은 물론이다.
도 4a에 도시한 배기수단에는 벤투리부(65c)가 포함되고, 공기유도관(67a)이 벤투리부(65c)의 내부공간으로 인입한 후 하류측으로 절곡된 형태를 취한다. 공기유도관(67a)을 통해 공기가 분출함에 따라 벤튜리부(65c)의 내부 압력이 낮아져 배기 대상 가스의 배기가 보다 효율적으로 이루어진다.
도 4b의 공기유도관(67a)은 배기관(65)의 내부로 인입한 후 하류측으로 절곡된 형상을 취한다.
또한, 도 4c의 배기수단에는 스트림가이더(65e)가 구비된다. 스트림가이더(65e)는 배기관(65)의 유동단면적을 좁혀, 배기 대상 가스가 보다 빠른 속도로 배출되게 작용한다. 또한 공기유도관(67a)은 스트림가이더(65e)의 하류측에 다수 개가 대칭으로 배치된다.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후드 장치(30)에 적용 가능한 접이식후드(4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5는 접이식후드(40)가 펼쳐진 모습이고, 도 6은 접혀진 모습이다.
도시한 바와 같이, 접이식후드(40)는, 속이 빈 원통의 형상을 취하는 헤드부(41)와, 헤드부 하부의 날개부(43)를 포함한다. 헤드부(41)는 상부고정힌지(41a)을 통해 제3아암(37)의 단부에 링크됨과 아울러 배기관(65)과 연결된다. 배기관(65) 내부에 음압이 형성됨에 따라 헤드부(41) 하부의 기체가 헤드부(41)에 모인 후 배기관(65)으로 빨려 들어간다.
또한 헤드부(41)의 하부에는 다수의 하부고정힌지(41e)가 고정되어 있다. 하부고정힌지(41e)는 분할날개(43a)의 회전힌지(43e)와 일대일 대응한다. 각 하부고정힌지(41e)와 회전힌지(43e)를 맞닿게 한 상태에서 힌지핀(43f)을 연결함으로써 헤드부(41)에 대한 분할날개(43a)이 결합이 이루어진다.
날개부(43)는 다수의 분할날개(43a)를 포함한다. 분할날개(43a)는 모두 동일한 사이즈를 가지며, 위에 설명한 바와 같이, 하부고정힌지(41e)에 힌지핀(43f)으로 연결된다. 각각의 분할날개(43a)는 상부로 완전히 전개된 상태에서 이웃 분할날개(43a)의 두께면과 접하여 전개된 상태를 유지한다. 이를 위해, 각 분할날개(43a)의 일측 두께면에는 돌출부(43c)가, 반대측 두께면에는 홈부(43d)가 형성되어 있다.
각 분할날개(43a)의 돌출부(43c)는, 날개부(43)가 완전히 개방된 상태에서, 이웃 하는 분할날개(43a)의 홈부(43d)에 끼워진다. 이와 같이 홈부(43d)가 돌출부(43c)에 삽입됨으로서, 분할날개(43a)가 중력의 작용을 받으면서 서로에 대해 어긋나지 않고 밀착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날개부(43)를 접기 위해서는, 임의의 두 개의 분할날개(43a)를 손으로 잡고 어긋나게 하면, 다른 분할날개(43a)도 분리되고, 중력의 작용에 의해 하부로 쳐져 도 6의 상태가 된다.
상기 날개부(43)는, 투광성 내열 글라스나 아크릴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또는,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테두리부는 스테인리스스틸로 제작하고 내측에 투광창(43b)을 고정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투광성 부재를 이용함으로서, 접이식후드(40)를, 조리용기의 바로 위 높이까지 최대한 하강시킨다 하더라도 접이식후드의 하부 상황을 육안 확인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후드 장치에 적용할 수 있는 다른 종류의 접이식 후드(40)의 구성 및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이하, 상기한 도면부호와 동일한 도면부호는 동일한 기능의 동일한 부재를 가리킨다.
도 7에 도시한 접이식 후드(40)는, 헤드부(41), 고정리브(45a), 회전리브(45c), 리브고정고정수단, 내열투광원단(51)을 포함한다.
고정리브(45a)는, 헤드부(41)의 주연부에 고정되되 헤드부를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정간격을 이루는 부재로서, 수용홈(45b)을 갖는다. 수용홈(45b)은 회전리브(45c)의 삽입부(45d)를 수용하는 홈이다.
회전리브(45c)는, 고정리브(45a)에 연결핀(45q)을 통해 연결되며, 마치 우산살과 같이 상하로 회전 가능한 선형 부재이다. 회전리브(45c)의 단부에는 삽입부(45d)가 형성되어 있다. 삽입부(45d)는 수용홈(45b)에 삽입되는 부분이다. 수용홈(45b)에 삽입부(45d)을 끼운 상태로, 연결핀(45q)을 통과시켜 고정리브(45a)에 대한 회전리브(45c)를 연결한다.
내열투광원단(51)은, 고정리브(45a) 및 회전리브(45c)의 저면에 접착 고정된 공지의 가요성 내열 방염 원단이다. 내열투광원단(51)은, 우산의 방수원단과 같이, 회전리브(45c)를 펼칠 때, 팽팽하게 펼쳐져, 하부의 배기 대상 기체를 헤드부로 유도한다.
한편, 리브고정수단은, 회전리브(45c)가 상향 회전한 상태에서,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역할을 한다. 리브고정수단은,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록킹핀(45f)과 스프링(45m)을 포함한다. 또한, 리브고정수단이 동작할 수 있도록, 삽입부(45d)의 일측에는 록킹홈(45e)이 형성되어 있고, 고정리브(45a)에는 장착공간부(45p)가 마련되어 있다.
록킹홈(45e)은 록킹핀(45f)의 단부가 삽입되는 홈이고, 장착공간부(45p)은 스프링(45m) 및 록킹핀(45f)의 일부가 수용되는 공간이다. 장착공간부(45p)는 록킹홈(45e)에 대응한다.
록킹핀(45f)은, 화살표 c방향이나 그 반대방향으로 움직일 수 있는 핀형 부재로서, 핀헤드(45g)와 스프링걸림부(45h)를 갖는다. 핀헤드(45g)는, 이를테면 사용자가 록킹핀(45f)를 화살표 c 방향으로 당기기 위해 잡는 손잡이이다. 또한 스프링걸림부(45h)는 스프링(45m)에 의해 탄성력을 전달받는 부분이다. 록킹핀(45f)은 스프링걸림부(45h)를 통해 스프링의 탄력을 전달받아 화살표 c방향의 반대 방향으로 탄력 지지되며, 록킹홈(45e)에 끼워져 회전리브(45c)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한다.
회전리브(45c)를 접으려면, 고정리브(45a)의 측부로 돌출되어 있는 핀헤드(45g)을 화살표 c방향으로 당겨 록킹핀(45f)을 록킹홈(45e)으로부터 분리한다. 록킹핀(45f)이 분리되면 회전리브(45c)는 자중에 의해 하부로 접혀진다. 접혀져 있던 회전리브(45c)를 펼치기 위해서는, 록킹핀(45f)을 화살표 c방향으로 당긴 상태로, 회전리브(45c)를 상부로 올려 록킹홈(45e)이 록킹핀(45f)의 연장선상에 위치하도록 한 후, 록킹핀(45f)을 놓는다. 록킹핀(45f)을 놓으면 스프링(45m)의 작용에 의해 록킹핀(45f)이 록킹홈(45e)에 끼워진다.
도 9 및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가변형 후드 장치에 적용 가능한 또 다른 구성의 접이식 후드(40)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에 도시한 접이식 후드(40)는, 헤드부(41), 일정간격을 이루는 네 개의 고정리브(45a), 각 고정리브(45a)에 연결핀(45q)으로 링크되는 회전리브(45c), 내열투광원단(51), 리브고정수단을 포함한다.
리브고정수단은, 회전리브(45c)가 상향 회전하여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것으로서, 원호형로드(46), 리쳇핑거(46a), 록킹튜브(47), 튜브고정대(48)를 갖는다.
원호형로드(46)는 일정곡률의 원호형 부재로서, 일단부가 회전리브(45c)에 일체를 이루고, 타단부는 측부구멍(41f)에 삽입되어 있다. 측부구멍(41f)은 헤드부(41)의 주연부에 형성되어 있는 관통공으로서, 원호형로드(46)를 통과시킨다. 원호형로드(46)는 측부구멍(41f)을 통해 헤드부(41) 내부로 부분적으로 삽입된다.
또한 원호형로드(46)에는 라쳇핑거(46a)가 설치된다. 라쳇핑거(46a)는 핑거축(46c)을 통해 원호형로드(46)에 회전 가능하도록 설치된 부재로서, 후술할 톱니부(47c)에 걸려 회전리브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한다.
록킹튜브(47)는 튜브고정대(48)를 통해 헤드부(41)의 외측부에 고정된 사각파이프형 부재로서 내측에 톱니부(47c)를 갖는다. 톱니부(47c)는 라쳇핑거에 걸리는 부분이다. 원호형로드(46)는 록킹튜브(47)가 제공하는 통로(47a)에 끼워진 상태로, (라쳇핑거가 없다면) 회전리브(45c)의 회전에 따라 화살표 g방향이나 그 반대 방향으로 자유로이 이동 가능하다.
그러나 라쳇핑거(46a)가 구비되어 있고, 로킹튜브(47)의 내부에는 톱니부가 형성되어 있으므로, 원호형로드(46)의 화살표 g방향 움직임은 제약된다. 말하자면, 일단 펼쳐진 회전리브(45c)가 펼쳐진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것이다.
이상, 본 발명을 구체적인 실시예를 통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에 한정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의 범위 내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하여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하다.
11:주방 11a:벽면 12:싱크대
13:가스렌지 15:창문 15a:창문틀
15b:여닫이창 16:선반 17:받침블록
30:후드장치 31:지지홀더 31a:수직홀
33:회전홀더 33a:끼움축 33b:연결대
33d:지지브라켓 33e:수용공간 33f:제1관통공
33g:제2관통공 33h:반원형원판 34a:지지핀
34b:각도유지핀 35:제1아암 35a:지지핀구멍
35c:각도핀구멍 35e:아암연결핀 36:제2아암
36a:링크구멍 36c:관절부 37:제3아암
37a:후드결합홀 40:접이식후드 41:헤드부
41a:상부고정힌지 41b:힌지핀 41e:하부고정힌지
41f:측부구멍 43:날개부 43a:분할날개
43b:투광창 43c:돌출부 43d:홈부
43e:회전힌지 43f:힌지핀 45a:고정리브
45b:수용홈 45c:회전리브 45d:삽입부
45e:록킹홈 45f:록킹핀 45g:핀헤드
45h:스프링걸림부 45m:스프링 45p:장착공간부
45q:연결핀 46:원호형로드 46a:라쳇핑거
46c:핑거축 47:록킹튜브 47a:통로
47c:톱니부 48:튜브고정대 51:내열투광원단
65:배기관 65c:벤투리부 65e:스트림가이더
66:고정블록 67:송풍기 67a:공기유도관
67b:분사노즐
13:가스렌지 15:창문 15a:창문틀
15b:여닫이창 16:선반 17:받침블록
30:후드장치 31:지지홀더 31a:수직홀
33:회전홀더 33a:끼움축 33b:연결대
33d:지지브라켓 33e:수용공간 33f:제1관통공
33g:제2관통공 33h:반원형원판 34a:지지핀
34b:각도유지핀 35:제1아암 35a:지지핀구멍
35c:각도핀구멍 35e:아암연결핀 36:제2아암
36a:링크구멍 36c:관절부 37:제3아암
37a:후드결합홀 40:접이식후드 41:헤드부
41a:상부고정힌지 41b:힌지핀 41e:하부고정힌지
41f:측부구멍 43:날개부 43a:분할날개
43b:투광창 43c:돌출부 43d:홈부
43e:회전힌지 43f:힌지핀 45a:고정리브
45b:수용홈 45c:회전리브 45d:삽입부
45e:록킹홈 45f:록킹핀 45g:핀헤드
45h:스프링걸림부 45m:스프링 45p:장착공간부
45q:연결핀 46:원호형로드 46a:라쳇핑거
46c:핑거축 47:록킹튜브 47a:통로
47c:톱니부 48:튜브고정대 51:내열투광원단
65:배기관 65c:벤투리부 65e:스트림가이더
66:고정블록 67:송풍기 67a:공기유도관
67b:분사노즐
Claims (8)
- 벽면에 고정되는 지지홀더와;
상기 지지홀더에 지지된 상태로 수직의 회전축을 중심으로 회전 가능한 회전홀더와;
상기 회전홀더에 지지되며 3차원 운동 가능한 아암부와;
상기 아암부의 단부에 장착되고, 사용 시 펼쳐지며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어두는 접이식후드와;
상기 접이식후드에 연결되며 실외로 연장되는 배기관과;
상기 배기관 내에, 실외를 향하는 방향의 공기 흐름을 형성하여 접이식후드에 음압을 유도하는 배기수단이 포함된,
가변형 후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홀더는, 수직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정 내경을 갖는 수직홀을 제공하고,
상기 회전홀더는;
상기 수직홀에 축회전 가능하게 끼워지는 끼움축과,
끼움축에 연결대를 통해 연결되는 것으로서, 반원형 원판의 형상을 취하며, 제1관통공과, 제1관통공을 중심으로 등각 배치되는 다수의 제2관통공을 갖는 지지브라켓을 포함하고,
상기 아암부는;
상기 지지브라켓에 상하로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되고 연장단부에는 아암연결핀을 구비한 제1아암과,
제1아암의 아암연결핀에 링크되고 회전 가능한 제2아암과,
관절부를 통해 제2아암의 단부에 연결되고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며 연장단부가 상기 접이식후드와 결합하는 제3아암을 포함하며,
상기 제1아암의 단부에는, 상기 제1관통공에 대응하는 지지핀구멍과, 제2관통공에 대응하는 각도핀구멍이 형성되고,
상기 지지핀구멍은 제1관통공에 맞추어진 상태로 지지핀을 통과시키고, 각도핀구멍은 선택된 제2관통공에 맞추어진 상태로 각도유지핀을 통과시키는,
가변형 후드 장치.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은 휘어질 수 있는 주름관으로서, 연장단부에는 창틀에 끼워져 고정 가능한 고정블록을 구비하고,
상기 배기수단은,
송풍기, 송풍기와 연결되고 배기관의 내부로 인입되며 송풍기로부터 공급된 공기를 배기관 내부로 분출하는 공기유도관을 구비하는,
가변형 후드 장치. -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배기관의 내부에는 벤투리부가 더 구비되고, 상기 공기유도관은 밴투리부의 하류측에 배치되는,
가변형 후드 장치. -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접이식후드는;
제3아암의 단부에 링크되고 배기관과 연결되는 헤드부와,
상기 헤드부의 아래에 연결되며, 사용 시 펼쳐져 배기 대상 기체를 헤드부로 유도하고, 사용하지 않을 때에는 접혀지는 날개부를 포함하는,
가변형 후드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헤드부에 대해 힌지 연결되며 상하로 회전 가능하고, 상향 회동한 상태로 측방향 양단부가 상호 밀착하여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는 다수의 분할날개를 포함하는,
가변형 후드 장치. - 제5항에 있어서,
상기 날개부는;
상기 헤드부에 고정되되 헤드부를 중심으로 방사방향으로 연장되며 일정간격을 이루는 다수의 고정리브와,
각 고정리브에 핀 연결되며 상하로 회전 가능한 회전리브와,
상기 회전리브가 상향 회전하여 펼쳐진 상태를 유지하게 하는 리브고정수단과,
상기 고정리브 및 회전리브에 고정되며, 회전리브가 상향 회전한 상태에서 펼쳐져, 배기 대상 기체를 헤드부로 유도하는 내열투광원단이 구비된,
가변형 후드 장치. - 제7항에 있어서,
상기 리브고정수단은;
상기 회전리브에 고정되는 일정 곡률의 원호형로드와,
원호형로드에 회전운동 가능하도록 설치되는 라쳇핑거와,
상기 헤드부에 지지되고, 원호형로드를 통과시키는 통로를 제공하며, 통로의 내부에는 상기 라쳇핑거에 걸려 회전리브가 하강하는 것을 방지하는 톱니부가 형성된 록킹튜브를 포함하는,
가변형 후드 장치.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2319A KR20220127687A (ko) | 2021-03-11 | 2021-03-11 | 가변형 후드 장치 |
US17/586,830 US20220290880A1 (en) | 2021-03-11 | 2022-01-28 | Variable hood apparatus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2319A KR20220127687A (ko) | 2021-03-11 | 2021-03-11 | 가변형 후드 장치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7687A true KR20220127687A (ko) | 2022-09-20 |
Family
ID=8319365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2319A KR20220127687A (ko) | 2021-03-11 | 2021-03-11 | 가변형 후드 장치 |
Country Status (2)
Country | Link |
---|---|
US (1) | US20220290880A1 (ko) |
KR (1) | KR20220127687A (ko) |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81262A (ko) | 2008-01-23 | 2009-07-28 | 이헌 | 주방용 후드 |
Family Cites Families (5)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US2594533A (en) * | 1950-01-03 | 1952-04-29 | Craig C Baker | Locking hinge |
CN2214630Y (zh) * | 1995-05-15 | 1995-12-06 | 黄樾 | 分离式排油烟机 |
SE506381C2 (sv) * | 1996-03-18 | 1997-12-08 | Jenny Larsson | Utsugsanordning, speciellt för kökspis, försedd med en kåpa vars omkrets är variabel |
KR100625830B1 (ko) * | 2005-03-30 | 2006-09-22 | 서선자 | 조리용기 뚜껑의 냄새 배출장치 |
KR20110119353A (ko) * | 2010-04-27 | 2011-11-02 | 진용상 | 벤투리 효과를 이용한 렌지후드 구조 |
-
2021
- 2021-03-11 KR KR1020210032319A patent/KR20220127687A/ko unknown
-
2022
- 2022-01-28 US US17/586,830 patent/US20220290880A1/en active Pending
Patent Cit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090081262A (ko) | 2008-01-23 | 2009-07-28 | 이헌 | 주방용 후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US20220290880A1 (en) | 2022-09-15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101829364B1 (ko) | 주방용 레인지 후드장치 | |
KR20220127687A (ko) | 가변형 후드 장치 | |
JP2011112251A (ja) | 室内循環式レンジフード | |
KR20080029523A (ko) | 주방용 후드장치 | |
KR20220127689A (ko) | 주방용 가변식 후드장치 | |
JP2007333358A (ja) | 換気装置付き調理台 | |
KR20220127688A (ko) | 위치 조절형 후드 장치 | |
CN116336530B (zh) | 一种具有可隐藏风幕组件的吸油烟机 | |
CN216702344U (zh) | 易于清理水雾的烘焙用烤箱 | |
CN207473816U (zh) | 一种烟感探头探测器 | |
TW202107021A (zh) | 排氣系統 | |
JP2005106374A (ja) | オープンキッチン用の排気装置 | |
CN109579085B (zh) | 一种吸油烟机 | |
KR20100133276A (ko) | 주방용 후드 | |
KR100543662B1 (ko) | 레인지 후드 | |
CN208641283U (zh) | 一种坐姿雷火灸艾灸仪 | |
CN207584853U (zh) | 导烟板组件及抽油烟机 | |
JP2004305411A (ja) | 囲炉裏付きクッキングテーブル | |
CN101229461B (zh) | 一种螺旋气流隔离的油烟脱排装置 | |
JP2004077073A (ja) | レンジフードファン | |
KR102711246B1 (ko) | 주방 후드용 에어커튼형 배기 유도장치 | |
JP2003240299A (ja) | レンジフードファン | |
CN1409050A (zh) | 抽油烟机 | |
JP4427311B2 (ja) | 排気装置 | |
KR100543661B1 (ko) | 레인지 후드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