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6653A - 칸나비게롤을 포함하는 조성물 - Google Patents

칸나비게롤을 포함하는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6653A
KR20220126653A KR1020220028843A KR20220028843A KR20220126653A KR 20220126653 A KR20220126653 A KR 20220126653A KR 1020220028843 A KR1020220028843 A KR 1020220028843A KR 20220028843 A KR20220028843 A KR 20220028843A KR 20220126653 A KR20220126653 A KR 2022012665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air
composition
lotion
ginseng
ski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28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권민정
진무현
이소영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22012665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653A/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61K8/347Phen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19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inorganic ingredie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33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oxygen
    • A61K8/34Alcoho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4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nitrogen
    • A61K8/42Am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0Sugars; Derivatives thereof
    • A61K8/606Nucleosides; Nucleotides; Nucleic aci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3Vitamin B group
    • A61K8/675Vitamin B3 or vitamin B3 active, e.g. nicotinamide, nicotinic acid, nicotinyl aldehyde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3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 A61K8/67Vitamins
    • A61K8/676Ascorbic acid, i.e. vitamin C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7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organic macromolecular compounds
    • A61K8/73Polysaccharides
    • A61K8/735Mucopolysaccharides, e.g. hyaluronic acid; Derivatives thereof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 A61K8/98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of animal origin of species other than mammals or birds
    • A61K8/988Honey; Royal jelly, Propoli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5Preparations for sensitiv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2Mixtures of compounds complementing their respective func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Dermatolog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Zoology (AREA)
  • Biochemistry (AREA)
  • Inorganic Chemistry (AREA)
  • Pharmaceuticals Containing Other Organic And Inorganic Compounds (AREA)
  • Cosmetics (AREA)
  • Polymers With Sulfur, Phosphorus Or Metals In The Main Chai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칸나비게롤(Cannabigerol); 및 아이소푸레골(isopulegol), 인삼 추출물, 병풀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비타민 C (vitamin C), 판테놀 (panthenol), 아데노신 (adenosine), 세드롤 (cedrol), 인삼조사포닌, 및 프로폴리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항염 또는 피부 진정용;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보습, 항염 또는 피부 진정, 미백 효과 모두 칸나비게롤(Cannabigerol); 단독일 때보다 아이소푸레골(isopulegol), 인삼 추출물, 병풀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비타민 C (vitamin C), 판테놀 (panthenol), 아데노신 (adenosine), 세드롤 (cedrol), 인삼조사포닌, 및 프로폴리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과 조합하였을 때 상승 효과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Description

칸나비게롤을 포함하는 조성물 {The composition comprising cannabigerol}
본 발명은 칸나비게롤(Cannabigerol); 및 아이소푸레골(isopulegol), 인삼 추출물, 병풀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비타민 C (vitamin C), 판테놀 (panthenol), 아데노신 (adenosine), 세드롤 (cedrol), 인삼조사포닌, 및 프로폴리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조성물로, 구체적으로 상기 조성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항염 또는 피부 진정용; 또는 미백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최근 환경오염으로 인한 자외선 양의 증가, 서구화된 생활습관, 스트레스 등 피부건강을 위협하는 요인들이 증가하고 있다. 이들은 피부 오염, 건조, 트러블, 피부면역체계 이상 등을 유발하며, 결국 피부염, 거칠음, 급격한 노화 등을 야기한다.
기존에 알려진 피부 보습, 항염 또는 피부 진정, 또는 미백 등 효능을 갖는 유효 성분은 인체 적용 시 자극과 발적 등 안전성 문제를 일으킬 수 있다. 따라서 유효 성분은 안전성과 안정성에 따른 사용량의 제한이 있어 실질적인 개선 효과를 기대하기 어려운 문제가 있다.
칸나비게롤은 대마(Cannabis sativa)의 씨에서 얻을 수 있는 미량의 유효 성분으로, 대마 외에 식물의 발효, 미생물을 통한 물질 전환 등을 통해서 얻을 수도 있다. 칸나비게롤은 항정신성 물질이 아니며, 다양한 효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예의 연구 노력한 결과, 본 발명자들은 칸나비게롤(Cannabigerol);을 아이소푸레골(isopulegol), 인삼 추출물, 병풀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비타민 C (vitamin C), 판테놀 (panthenol), 아데노신 (adenosine), 세드롤 (cedrol), 인삼조사포닌, 프로폴리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과 조합하였을 때, 각 성분들의 단독 사용 보다 HAS-2(Hyaluronan Synthase 2) 또는 AQP3(Aquaporin 3)의 발현 증가, NO의 생성 억제,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가 월등히 뛰어난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게 되었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화장료, 의약외품 조성물을 위한, 칸나비게롤(Cannabigerol); 및 아이소푸레골(isopulegol), 인삼 추출물, 병풀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비타민 C (vitamin C), 판테놀 (panthenol), 아데노신 (adenosine), 세드롤 (cedrol), 인삼조사포닌, 및 프로폴리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HAS-2 또는 AQP3의 발현 증가, NO의 생성 억제,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가 있으며, 본 발명의 조합으로 인해 상승 효과가 있는 바, 화장료 또는 의약외품 조성물로 효과적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확인한 것처럼,
HAS-2 또는 AQP3의 발현 증가, NO의 생성 억제,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 모두 칸나비게롤(Cannabigerol) 단독일 때보다 아이소푸레골(isopulegol), 인삼 추출물, 병풀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비타민 C (vitamin C), 판테놀 (panthenol), 아데노신 (adenosine), 세드롤 (cedrol), 인삼조사포닌 및 프로폴리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과 조합하였을 때 시너지 효과가 발생함을 확인하였다.
본 발명은 칸나비게롤(Cannabigerol); 및
아이소푸레골(isopulegol), 인삼 추출물, 병풀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비타민 C (vitamin C), 판테놀 (panthenol), 아데노신 (adenosine), 세드롤 (cedrol), 인삼조사포닌, 및 프로폴리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항염 또는 피부 진정용 또는 미백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상기 유효 성분들은(칸나비게롤(Cannabigerol), 아이소푸레골(isopulegol), 인삼 추출물, 병풀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비타민 C (vitamin C), 판테놀 (panthenol), 아데노신 (adenosine), 세드롤 (cedrol), 인삼조사포닌, 및 프로폴리스) 상기 유효 성분의 법적으로 허용된 시판품 또는 상용 성분들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출물"은 상기 식물 소재의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축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의 상기 추출물은 추출 후 건조 분말 형태로 제조되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인삼 또는 병풀 추출물의 제조에는 인삼 또는 병풀의 전초, 잎, 뿌리, 열매, 줄기 등 인삼 또는 병풀의 어느 부위를 사용하여도 무방하다.
본 발명의 "인삼조사포닌"은 인삼 추출물내에 존재하는 정제되기 전의 사포닌이며, 인삼 내에 포함되어 있는 사포닌, 사포닌으로 표시되는 물질, 사포닌으로 변화될 물질 또는 사포닌으로 추정되는 물질 모두를 말한다. 인삼에 포함된 사포닌은 파낙사디올계사포닌(Ra1, G- Ra2, G- Ra3, G- Rb1, G- Rb2, Rb3, G- Re, G- Rd, G- Rs1, G-Rs2, Rg3(20 S), G- Rg3(20 R), G- Rh2, G- Rs3, Rs4, G- Rg5, G- F4,Q - R1, N- R4, Rg6 등) 파낙사트리올계사포닌(Re, Rf, Rg1, Rg2(20 S), Rg2(20 R), Rh1(20 S), Rh2(20 R), 20- glc- Rf, N- R1, Rh4, Rf2 등), 올레인계사포닌(G-R등) 등이 있을 수 있다.
본 발명의 인삼조사포닌은 상기 언급된 또는 언급되지 않은 여러 종류의 인삼사포닌의 혼합물일 수 있고, 단일 종류의 인삼사포닌일 수도 있으며, 이와 대등한 효과를 나타내는 진세노사이드, 슈도진세노사이드 또는 그 외의 인삼사포닌 일수도 있다.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또는 의약외품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는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파우더, 파운데이션, 밤(balm), 연고, 세정제, 헤어샴푸, 헤어토닉, 헤어린스, 헤어로션, 모발 영양화장수, 헤어트리트먼트, 헤어에센스, 헤어팩, 헤어리퀴드, 비에어로졸 무스, 비에어로졸 스프레이, 에어로졸 무스 또는 에어로졸 스프레이의 제형일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의 "피부 보습"이란 피부에 수분감을 증가시켜주고, 수분 손실을 억제하여 촉촉한 상태를 유지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HAS-2(Hyaluronan Synthase 2) 또는 AQP3(Aquaporin 3)의 발현 증가로 피부 보습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조성물은 HAS-2 또는 AQP3의 발현 증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항염"이란 염증을 억제하는 것을 말하며, 상기 염증은 어떤 자극에 대한 생체조직의 방어반응의 하나로, 조직 변질, 순환 장애와 삼출, 조직 증식의 세가지를 병발하는 복잡한 병변을 말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염증은 선천성 면역의 일부이며 다른 동물에서처럼 인간의 선천성 면역은 병원체에 특이적으로 존재하는 세포 표면의 패턴을 인식한다. 식세포는 그런 표면을 가진 세포를 비자기로 인식하고 병원체를 공격한다. 만일 병원균이 신체의 물리적 장벽을 깨고 들어온다면 염증반응이 일어난다. 염증반응은 상처부위에 침입한 미생물들에 대한 적대 환경을 만드는 비특이적인 방어작용이다. 염증반응에서, 상처가 나거나 외부 감염체가 체내로 들어왔을 때, 초기단계 면역반응을 맡고 있는 백혈구들이 몰려들어 사이토카인을 발현한다. 따라서 세포 내 사이토카인의 발현양이 염증반응 활성화의 지표가 된다. 염증과 관련된 피부질환의 예로는 아토피 피부염, 건선, 방사선, 화학물질, 화상 등에 의해 촉발되는 홍반성 질환, 산 화상, 수포성 피부병, 태선 모양 종류 질환, 알레르기에 기한 가려움증, 지루성 습진, 장미 여드름, 심상성 천포창, 다형 삼출성 홍반, 결절 홍반, 귀두염, 음문염, 원형 탈모증과 같은 염증성 모발 손실, 피부 T-세포 림프종 등이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특히 본 발명의 항염 효과를 통해서 예를 들어, 여드름과 같은 피부 트러블 개선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NO의 생성 억제로 항염 효과를 확인하였다.
본 발명의 "피부 진정"이란 염증, 또는 염증에 의해 야기되는 소양감, 발적, 통증, 작열감 또는 종창 등을 완화시키거나 감소시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서, 상기 피부 진정은 염증 감소 또는 억제에 의한 피부 진정 효과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NO의 생성 억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미백" 이란 멜라닌 색소의 합성을 저해하여 피부 톤을 밝게 할 뿐만 아니라, 멜라닌의 피부 침착(과색소 침착증)을 억제하거나 방지, 자외선, 호르몬 또는 유전에 기인한 기미, 주근깨를 완화 또는 개선하는 모든 작용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였다.
상기 조성물은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적인 유화 제형 및 가용화 제형의 형태일 수 있다. 예컨대, 유연 화장수 또는 영양 화장수 등과 같은 화장수, 훼이셜 로션, 바디로션 등과 같은 유액, 영양 크림, 수분 크림, 아이 크림 등과 같은 크림, 에센스, 화장연고, 밤(balm), 스프레이, 젤, 팩, 선 스크린, 메이크업 베이스, 액체 타입, 고체 타입 또는 스프레이 타입 등의 파운데이션, 파우더, 클렌징 크림, 클렌징 로션, 클렌징 오일과 같은 메이크업 제거제, 클렌징 폼, 비누, 바디 워시 등과 같은 세정제 등의 제형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상기 화장품은 본 발명의 조성물에 추가로 지방 물질, 유기 용매, 용해제, 농축제 및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및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제형은 유효성분이 단기간 내에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메이크업 제거제, 세정제 등과 같은 워시-오프(wash-off)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비교적 높은 농도의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할 수 있을 것이다. 반면, 유효성분이 장기간 동안 피부에 머무르게 되는 화장수, 유액, 크림, 에센스 등의 리브-온(leave-on) 타입의 화장품의 경우에는 워시-오프 타입의 화장품에 비해 낮은 농도의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을 포함해도 무방할 것이다.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본 발명의 한 구체예에서, 상기 조성물은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을 전체 조성물 중량에 대하여 0.000001 중량% 내지 10 중량%(바람직하게는 0.000001 중량% 내지 1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이 상기 본 발명의 조성물을 0.000001 중량% 미만으로 포함할 경우에는 충분한 보습, 항염 또는 피부 진정, 미백 효과를 기대할 수 없고, 10 중량%를 초과하여 포함할 경우에는 알러지 등 원치 않는 반응이 발생하거나 피부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수 있으므로 이를 방지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의약외품 조성물"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나, 의약품 보다 인체에 미치는 작용이 경미한 물품을 의미하고,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 및 사람이나 동물의 구조와 기능에 약리학적 영향을 줄 목적으로 사용하는 물품 중 기구, 기계 또는 장치가 아닌 것을 제외한 물품용 조성물을 의미한다. 약사법에 따른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하며, 일 구체예로 피부 외용제, 개인위생용품 또는 내복용 제제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이 아니며, 의약외품의 제제화 방법, 용량, 이용방법, 구성성분 등은 기술분야에 공지된 통상의 기술로부터 적절히 선택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포함되는 상기 언급된 성분들 각각은 바람직하게는 각 국 정부에 의해 규정된 규범에 명시된 최대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경우 각 국 정부에서 규정하는 화장품 안전에 관한 법률 에 명시된 최대 사용량을 초과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의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험예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이들 실험예는 본 발명에 대한 이해를 돕기 위한 목적일 뿐이므로, 어떤 의미로든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실험예 1: 실험 시료 제조
실험에 앞서, 하기와 같이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인삼 추출물 제조
인삼(Panax ginseng) 뿌리를 질량의 30배에 해당하는 7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상온에서 3일간 추출한 후 감압 여과하였다. 여과한 추출물은 rotary evaporator(Buchi, Switzerland)로 농축, 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병풀 추출물 제조
병풀(Centella asiatica) 잎을 질량의 30배에 해당하는 70% 에탄올 수용액을 가하여 상온에서 3일간 추출한 후 감압 여과하였다. 여과한 추출물은 rotary evaporator(Buchi, Switzerland)로 농축, 건조하여 추출물을 제조하였다.
인삼조사포닌 제조
제조한 인삼 추출물을 물과 수포화부탄올을 동량 섞은 용매로 3회 반복 추출하고 수포화부탄올 층을 합하여 rotary evaporator(Buchi, Switzerland)로 감압농축하였다.
상기 추출물 외의 시료는 하기와 같다.
시료 번호 조성물
비교예 1 무첨가 대조군
비교예 2 양성 대조군(각 효능 평가 실험 참조)
실시예 1 칸나비게롤 (Cannabigerol, CBG)
실시예 2 이소푸레골
실시예 3 인삼 추출물
실시예 4 병풀 추출물
실시예 5 나이아신아마이드
실시예 6 히알루론산
실시예 7 비타민 c
실시예 8 판테놀
실시예 9 아데노신
실시예 10 세드롤
실시예 11 인삼조사포닌
실시예 12 프로폴리스
하기 실험예 1-1 내지 1-4의 실험 방법에 따라 시료의 각 성분의 농도가 조절되었다.
<실험예 1-1> 보습 효능 평가
보습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섬유아세포(fibroblast)를 이용하여 HAS-2, AQP3의 발현 증가 정도를 확인하였다. 섬유아세포는 10% FBS (Fetal Bovine Serum)가 첨가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um, Gibco)을 기본 배지로 하여 2~5 x 104 cells/㎖ 농도로 seeding하고 배양하였다. 배양된 세포를 10% FBS와 칼슘 이온이 포함되지 않은 DMEM배지로 옮긴 후, 실시예 및 비교예를 아래 표 2에 해당하는 농도로 단독 및 조합 처리하여 24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24시간 경과 후 세포를 회수하여 인산완충생리식염수(Phosphate-Buffered Saline, PBS)로 세척하고, RNeasy mini kit (Qiagen, 카탈로그 넘버 74104)를 이용하여 전체 RNA를 추출하였다. RNA를 cDNA Synthesis Kit (PhileKorea) 이용하여 역전사반응을 수행하였다. 합성된 cDNA는 정량 후 물로 희석하여 모든 반응에 동일 양을 사용하였다. TaqMan® Universal Master Mix II(Thermo Fisher, 카탈로그 넘버 4440043)와 TaqMan® GeneExpression Assays (Thermo Fisher, 카탈로그 넘버 4331348), HAS2 프라이머(5'-CCCAAAATGTGAAGCTTGGT -3'), AQP3 프라이머(5'-AGACAGCCCCTTCAGGATTT-3')를 사용하였다. StepOnePlus® Realtime PCR System (Applied Biosystems, 카탈로그 넘버 4376600)를 이용하여 실시간 중합 효소 연쇄 반응(quantitative real time PCR)을 수행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우스키핑 유전자(housekeeping gene) Glyceraldehyde-3-phosphate dehydrogenase (GAPDH, 5'-TGCACCACCAACTGCTTAGC-3')를 기준으로 ΔΔCt 방법으로 계산하여 나타내었다. 양성 대조군(비교예 2)으로는 all-trans-Retinoic acid 100 nM를 사용하였다. 각 시료의 HAS2, AQP3 유전 자의 발현 정도는 추출물을 첨가하지 않은 비교예 1의 mRNA 발현량을 100%로 기준하여 수치화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2내의 실시예 2, 5 내지 10 의 "실시예 1과의 조합"은 실시예 1 0.0001%와 실시예 2, 5 내지 10 0.0009%를 포함하여 0.001%의 총 시료 농도로 처리된 것이며,
실시예 3, 4, 11 및 12의 "실시예 1과의 조합"은 실시예 1 0.0001%와 실시예 3, 4, 11 및 12 0.0099%를 포함하여 0.01%의 총 시료 농도로 처리된 것이다.
시료 번호 시료 농도 HAS2 mRNA 농도 증가율 (%) AQP3 mRNA 농도 증가율 (%)
각 시료 단독 사용 실시예 1과 조합 각 시료 단독 사용 실시예 1과 조합
비교예 1 0.00 0
비교예 2 35.59 21.32
실시예 1 0.0001% 8.54 7.66
실시예 2 0.001% 2.25 29.81 11.40 25.14
실시예 3 0.01% 16.73 43.15 4.49 19.06
실시예 4 0.01% 15.00 32.95 2.51 20.93
실시예 5 0.001% 6.72 18.10 8.97 18.14
실시예 6 0.001% 6.41 33.79 3.78 12.76
실시예 7 0.001% 18.32 46.31 7.88 20.28
실시예 8 0.001% 3.17 16.95 2.48 20.53
실시예 9 0.001% 2.51 31.24 6.23 22.25
실시예 10 0.001% 8.06 22.67 0.98 16.59
실시예 11 0.01% 5.83 44.25 4.26 20.72
실시예 12 0.01% 6.09 35.54 4.90 23.94
상기 표 2와 같이, 실시예 1과 실시예 2 내지 12의 조합을 통해 비교예 1 대비 HAS2 mRNA와 AOP3 mRNA 농도가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단독 대비 조합을 통한 상승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1-2> 항염 효능 평가
피부 진정 및 염증 개선 효과를 검증하기 위하여, NO 생성 억제 효과를 mouse macrophage cell line인 Raw 264.7 세포(ATCC, 카탈로그 넘버 CRL-2788)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DMEM 에 10% FBS 를 첨가하여 성장 배지로 이용하였으며 Raw264.7 세포를 1~2 x 105 cells/㎖ 농도로 seeding 하고 5% CO2 incubator에서 하루 동안 배양하였다. 배지를 제거하고 무혈청배지로 12시간 starvation 시킨 후, 실시예 및 비교예를 아래 표 3에 해당하는 농도로 단독 및 조합 처리하여 30 분 동안 전처리 하였다. 이후, 500 ng/ml의 LPS(Lipopolysaccharides, SIGMA, 카탈로그 넘버 L43901)를 처리하고 18 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배양 후 상층액을 취해 96-well tissue culture plate에 옮기고, GREISS reagent(SIGMA, 카탈로그 넘버 G4410)를 가해 상온에서 15분간 반응시킨 후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54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비교예 2)으로는 L-NMMA 100 μM을 사용하였다. 이후, NO 정량 키트를 이용하여 NO 생성 억제능을 하기 식과 같이 평가하였으며, 그 결과는 아래 표 3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3내의 실시예 2, 5 내지 10 의 "실시예 1과의 조합"은 실시예 1 0.0001%와 실시예 2, 5 내지 10 0.0009%를 포함하여 0.001%의 총 시료 농도로 처리된 것이며,
실시예 3, 4, 11 및 12의 "실시예 1과의 조합"은 실시예 1 0.0001%와 실시예 3, 4, 11 및 12 0.0099%를 포함하여 0.01%의 총 시료 농도로 처리된 것이다.
- NO 생성 억제능(%)={1-(시료 첨가시 NO 생성량/시료 무첨가시 NO 생성량)}x100
시료 번호 시료 농도 NO 생성 억제능(%)
각 시료 단독 사용 실시예 1과 조합
비교예 1 0.00
비교예 2 53.02
실시예 1 0.0001% 26.21
실시예 2 0.001% 13.50 59.04
실시예 3 0.01% 27.18 62.38
실시예 4 0.01% 27.53 57.73
실시예 5 0.001% 9.84 53.67
실시예 6 0.001% 24.09 60.74
실시예 7 0.001% 37.81 66.90
실시예 8 0.001% 21.42 57.97
실시예 9 0.001% 24.12 60.91
실시예 10 0.001% 12.47 52.72
실시예 11 0.01% 19.42 60.70
실시예 12 0.01% 25.63 57.80
상기 표 3과 같이, 실시예 1과 실시예 2 내지 12의 조합을 통해 비교예 1 대비 NO 생성 억제능이 증가함을 확인하였고, 단독 대비 조합을 통한 상승 효과를 확인하였다.
<실험예 1-3> 피부 미백 효능 평가 (Melanin test)
미백 효과를 검증하기 위해, 멜라닌 세포(Melanocyte) 내에 타이로시네이즈 활성(Tyrosinase activity) 정도를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MNT-1 멜라노마 세포(ATCC, 카탈로그 넘버 CRL-3450)를 10% FBS가 포함된 DMEM 배지에 1~2 x 105 cells/㎖의 농도로 seeding하고 24시간 배양하였다. 실시예 및 비교예를 아래 표 4에 해당하는 농도로 배양된 멜라닌 세포에 단독 및 조합 처리하여 72시간 배양한 후, 세포를 회수하였다. 13,000 rpm으로 1분간 원심 분리하고 상층액을 제거한 후, pellet에 0.5% triton X-100 용액 300 μl를 첨가하여 세포를 lysis 하였다. 이를 다시 13,000 rpm으로 3분간 원심 분리하고 pellet과 상층액을 따로 회수하였다. 회수한 cell lysis 상층액 100 μl를 취하고 여기에 1 mM L-DOPA(SIGMA) 용액을 첨가한 후 37℃에서 1시간 반응시켰다. 반응액은 ELISA reader를 이용하여 450nm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양성 대조군(비교예 2)으로는 알부틴(arbutin) 200 μl/mL를 사용하였다. 하기 표 4내의 실시예 2, 5 내지 10 의 "실시예 1과의 조합"은 실시예 1 0.0001%와 실시예 2, 5 내지 10 0.0009%를 포함하여 0.001%의 총 시료 농도로 처리된 것이며,
실시예 3, 4, 11 및 12의 "실시예 1과의 조합"은 실시예 1 0.0001%와 실시예 3, 4, 11 및 12 0.0099%를 포함하여 0.01%의 총 시료 농도로 처리된 것이다.
시료 번호 시료 농도 타이로시네이즈 활성 (%)
각 시료 단독 사용 실시예 1과 조합
비교예 1 100
비교예 2 57.94
실시예 1 0.0001% 89.75
실시예 2 0.001% 98.23 72.79
실시예 3 0.01% 89.34 70.10
실시예 4 0.01% 80.93 61.28
실시예 5 0.001% 77.25 60.99
실시예 6 0.001% 88.98 66.99
실시예 7 0.001% 73.84 51.77
실시예 8 0.001% 98.59 75.48
실시예 9 0.001% 77.91 50.05
실시예 10 0.001% 95.68 76.77
실시예 11 0.01% 84.42 71.39
실시예 12 0.01% 92.26 77.44
상기 표 4와 같이, 실시예 1과 실시예 2 내지 12의 조합을 통해 비교예 1 대비 타이로시네이즈의 활성이 억제됨을 확인하였고, 단독 대비 조합을 통한 상승 효과를 확인하였다.

Claims (12)

  1. 칸나비게롤(Cannabigerol); 및
    아이소푸레골(isopulegol), 인삼 추출물, 병풀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비타민 C (vitamin C), 판테놀 (panthenol), 아데노신 (adenosine), 세드롤 (cedrol), 인삼조사포닌, 및 프로폴리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또는 의약외품인, 피부 보습용 조성물.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파우더, 파운데이션, 밤(balm), 연고, 세정제, 헤어샴푸, 헤어토닉, 헤어린스, 헤어로션, 모발 영양화장수, 헤어트리트먼트, 헤어에센스, 헤어팩, 헤어리퀴드, 비에어로졸 무스, 비에어로졸 스프레이, 에어로졸 무스 또는 에어로졸 스프레이의 제형인, 피부 보습용 조성물.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HAS-2 또는 AQP3의 발현 증가 효과를 갖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
  5. 칸나비게롤(Cannabigerol); 및
    아이소푸레골(isopulegol), 인삼 추출물, 병풀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비타민 C (vitamin C), 판테놀 (panthenol), 아데노신 (adenosine), 세드롤 (cedrol), 인삼조사포닌, 및 프로폴리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항염 또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6. 제 5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또는 의약외품인, 항염 또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7.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파우더, 파운데이션, 밤(balm), 연고, 세정제, 헤어샴푸, 헤어토닉, 헤어린스, 헤어로션, 모발 영양화장수, 헤어트리트먼트, 헤어에센스, 헤어팩, 헤어리퀴드, 비에어로졸 무스, 비에어로졸 스프레이, 에어로졸 무스 또는 에어로졸 스프레이의 제형인, 항염 또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8. 제 6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NO의 생성 억제 효과를 갖는, 항염 또는 피부 진정용 조성물.
  9. 칸나비게롤(Cannabigerol); 및
    아이소푸레골(isopulegol), 인삼 추출물, 병풀 추출물, 나이아신아마이드(niacinamide), 히알루론산(hyaluronic Acid), 비타민 C (vitamin C), 판테놀 (panthenol), 아데노신 (adenosine), 세드롤 (cedrol), 인삼조사포닌, 및 프로폴리스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하나 또는 그 이상;을 포함하는, 미백용 조성물.
  10.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또는 의약외품인, 미백용 조성물.
  11. 제 10항에 있어서,
    상기 화장료는 화장수, 에센스, 로션, 크림, 팩, 젤, 파우더, 파운데이션, 밤(balm), 연고, 세정제, 헤어샴푸, 헤어토닉, 헤어린스, 헤어로션, 모발 영양화장수, 헤어트리트먼트, 헤어에센스, 헤어팩, 헤어리퀴드, 비에어로졸 무스, 비에어로졸 스프레이, 에어로졸 무스 또는 에어로졸 스프레이의 제형인, 미백용 조성물.
  12. 제 9항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타이로시네이즈(Tyrosinase) 활성 억제 효과를 갖는, 미백용 조성물.
KR1020220028843A 2021-03-08 2022-03-07 칸나비게롤을 포함하는 조성물 KR2022012665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210030241 2021-03-08
KR1020210030241 2021-03-0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653A true KR20220126653A (ko) 2022-09-16

Family

ID=8322794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28843A KR20220126653A (ko) 2021-03-08 2022-03-07 칸나비게롤을 포함하는 조성물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26653A (ko)
WO (1) WO2022191551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5778828A (zh) * 2023-02-10 2023-03-14 安婕妤化妆品科技股份有限公司 一种含有富勒烯的化妆品组合物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S2860452T3 (es) * 2015-02-16 2021-10-05 Apirx Pharmaceutical Usa Llc Composiciones cosméticas y tópicas que comprenden cannabigerol y cannabidiol
PE20200677A1 (es) * 2016-08-03 2020-06-11 Zelda Therapeutics Operations Pty Ltd Composicion de cannabis
US10206888B2 (en) * 2017-06-06 2019-02-19 Cmg Partners, Inc. Cannabis-based therapeutic product for treatment of chronic pain
KR20240017990A (ko) * 2018-01-13 2024-02-08 트루티바 인코포레이티드 노화 방지 및 피부 톤 미백 조성물 및 이를 위한 방법
US20220296482A1 (en) * 2019-06-11 2022-09-22 Symrise Ag Synthesis and purification of cannabigerol and its application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91551A1 (ko) 2022-09-1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2889027B1 (en) Oral preparation, injection preparation, external skin preparation and cosmetic method for preventing or improving wrinkles
KR102257524B1 (ko) 피부 진정 및 재생효과를 지니는 병풀 유래 엑소좀 함유 피부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40040790A (ko) 쿠메스트롤 또는 쿠메스트롤을 포함하는 발아콩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미용용 조성물
KR101928797B1 (ko)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2171133B1 (ko) 병풀 추출물 및 개양귀비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JP2021509413A (ja) カポックの木の花抽出物、及びそれを含有する美容、医薬又は皮膚科用組成物
US10555894B2 (en) Plant extract comprising sucrose esters as an active agent for use in cosmetic, dermatological or nutricosmetic composition
KR101460569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유효 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개선, 피부미백 및 여드름 개선용 화장료 조성물
KR20130031988A (ko) 플로랄진세노사이드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220126653A (ko) 칸나비게롤을 포함하는 조성물
KR100860605B1 (ko) 스트로브 잣나무피 추출물 및 니아신아마이드를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8909A (ko)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60146246A (ko) 항산화, 미백 및 주름개선 효과를 갖는 조성물
US10143648B2 (en) Peptide and oside extract of schisandra fruit and improvement in the response of the cutaneous neurosensory system
KR101430636B1 (ko) 진세노사이드 Rh2 및 진세노사이드 Rg3를 함유하는 기능성 화장료 조성물
KR102525579B1 (ko) 쌀, 갈대, 옥촉서예, 당아욱 및 알로에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보호용 화장료 조성물
KR101934564B1 (ko)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00018139A (ko) 돌나물 추출물 및 리포익산-peg 콘쥬게이트를 함유하는피부외용제 조성물
KR100964428B1 (ko) 약용식물 추출물을 포함하는 피부 염증 완화용 화장료조성물
KR102021764B1 (ko) 진세노사이드 Rh4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10064292A (ko) 루시놀 및 하수오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KR20120129598A (ko) 지구자, 길경, 밀싹 및 세이지 추출물을 함유하는 미백 화장용 조성물
EP4144345A1 (en) Prunella vulgaris extract and use thereof
TWI787173B (zh) 作為有效成分含有人參皂苷的化妝品組合物的用途
EP3354255B1 (en) Cosmetics composition containing ginsenoside as active ingredie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