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80068909A -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 Google Patents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80068909A
KR20180068909A KR1020180065584A KR20180065584A KR20180068909A KR 20180068909 A KR20180068909 A KR 20180068909A KR 1020180065584 A KR1020180065584 A KR 1020180065584A KR 20180065584 A KR20180065584 A KR 20180065584A KR 20180068909 A KR20180068909 A KR 2018006890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kin
green tea
seed extract
extract
example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55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1945981B1 (ko
Inventor
유세진
백석윤
양미숙
장희경
김주연
Original Assignee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아모레퍼시픽 filed Critical (주)아모레퍼시픽
Priority to KR10201800655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945981B1/ko
Publication of KR2018006890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8006890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94598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945981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rmatology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Cosmetics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녹차(Camellia sinensis)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 보호, 항노화, 항주름, 피부 탄력 개선, 미백, 피부 보습, 아토피 등의 피부 건조 질환의 예방 및 개선, 피지 조절, 항염증, 여드름 등의 피부 트러블 예방 또는 개선, 피부 혈색 개선, 각질 제거, 탈모 예방, 항비듬의 용도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Skin external composition comprising germinated Camellia sinensis seed extract}
본 발명은 녹차(Camellia sinensis)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 보호, 항노화, 항주름, 피부 탄력 개선, 미백, 피부 보습, 아토피 등의 피부 건조 질환의 예방 및 개선, 피지 조절, 항염증, 여드름 등의 피부 트러블 예방 또는 개선, 피부 혈색 개선, 각질 제거, 탈모 예방, 항비듬, 모발의 광택 및 부드러움 개선, 얼굴 또는 바디의 볼륨 및 탄력 증진, 얼굴 또는 바디의 라인 개선의 용도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인간의 피부는 나이가 들어감에 따라 여러 가지 내적, 외적 요인에 의해 변화를 겪는다. 즉, 내적으로는 신진대사를 조절하는 각종 호르몬의 분비가 감소하고, 면역 세포의 기능과 세포들의 활성이 저하되어 생체에 필요한 면역 단백질 및 생체 구성 단백질들의 생합성이 줄어들게 되며, 외적으로는 오존층 파괴로 인하여 태양 광선 중 지표에 도달하는 자외선의 함량이 증가하고 환경 오염이 더욱 심화됨에 따라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 등이 증가함으로써, 피부의 두께가 감소하고, 주름이 증가하며, 탄력이 감소될 뿐 아니라 피부 혈색도 칙칙해지고, 피부 트러블이 자주 발생하며, 기미와 주근깨 및 검버섯 또한 증가하는 등 여러 가지 변화를 일으키게 된다.
노화가 진행될수록 피부를 구성하는 물질인 콜라겐, 엘라스틴, 히알루론산 및 당단백질의 함유량 및 배열이 변하거나 감소하는 증상들이 나타나게 되고, 자유 라디칼 및 활성 유해 산소에 의한 산화적 스트레스를 받게 된다. 또한 노화가 진행되거나 자외선에 의해서, 피부를 구성하는 대부분의 세포에서는, 염증을 일으킨다고 알려져 있는 전염증성 사이토카인(proinflammatory cytokine)을 생성하는 효소인 사이클로옥시제나제-2(Cox-2, cyclooxygenase)의 생합성이 증가하고, 이들 염증성 인자에 의해 피부조직을 분해하는 효소인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아제(MMP, Matrix metalloproteinase)의 생합성이 증가하며, iNOS(inducible nitric oxide synthase)에 의한 NO(nitric oxide) 생성이 증가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즉 자연적으로 진행되는 내인성 노화에 따른 세포 활성의 감소 및 미세염증에 의해 기질물질의 생합성이 감소되고, 여러 가지 유해 환경에 의한 스트레스의 증가 및 태양 광선에 의한 활성 산호 종의 증가와 같은 외적 요인에 의해 분해 및 변성이 가속화되어 피부 기질이 파괴되고 얇아지면서 피부 노화의 제반 증상들이 나타나게 된다. 따라서, 이러한 노화의 현상들을 방지하고, 개선시킬 수 있는 활성성분에 대하여 많은 연구가 이루어 있다.
사람의 피부색을 결정하는 데는 여러 가지 요인들이 관여하는데, 그 중에서도 멜라닌 색소를 만드는 멜라노사이트(melanocyte)의 활동성, 혈관의 분포, 피부의 두께 및 카로티노이드와 빌리루빈 등 인체 내외의 색소 함유 유무 등의 요인들이 중요하다.
이중 특히 가장 중요한 요인은 인체 내의 멜라노사이트에서 타이로시나제 등의 여러 가지 효소가 작용하여 생성되는 멜라닌이라는 흑색 색소이다. 이 멜라닌 색소의 형성에는 유전적 요인, 호르몬 분비, 스트레스 등과 관련된 생리적 요인 및 자외선 조사 등과 같은 환경적 요인 등이 영향을 미친다.
신체 피부의 멜라닌 세포에서 생성되는 멜라닌 색소는 검은 색소와 단백질의 복합체 형태를 갖는 페놀계 고분자 물질로서, 태양으로부터 조사되는 자외선을 차단하여 진피 이하의 피부기관을 보호해주는 동시에 피부 생체 내에 생겨난 자유 라디칼 등을 잡아주는 등 피부 내 단백질과 유전자들을 보호해주는 유용한 역할을 담당한다.
이와 같이 피부 내, 외부의 스트레스적 자극에 의해 생겨난 멜라닌은 스트레스가 사라져도 피부 각질화를 통해서 외부로 배출되기 전까지는 없어지지 않는 안정한 물질이다. 그러나 멜라닌이 필요 이상으로 많이 생기게 되면 기미, 주근깨 및 점 등과 같은 과색소 침착증을 유발하여 미용상으로 좋지 않은 결과를 가져오게 된다.
오늘날 동양권의 여성들은 백옥같이 하얗고 깨끗한 피부를 선호하며 이를 미의 중요한 기준으로 삼고 있기 때문에 과색소 침착에 대한 치료 및 미용상 문제를 해결하고자 하는 요구가 늘어나게 되었다.
이와 같은 요구에 부응하여 종전부터 아스코르빈산, 코지산, 알부틴, 하이드로퀴논, 글루타치온 또는 이들의 유도체, 또는 타이로시나제 저해활성을 가진 물질들을 화장료나 의약품에 배합하여 사용하여 왔으나, 이들의 불충분한 미백효과, 피부에 대한 안전성 문제, 화장료에 배합 시 나타나는 제형 및 안정성의 문제 등으로 인해 그 사용이 제한되고 있다.
피부 중에서 최외각에 위치한 표피(epidermis)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외부로부터의 다양한 자극(화학물질, 대기오염물질, 건조한 환경, 자외선 등의 물리 및 화학적 자극인자)에 대한 방어와 피부를 통한 체내 수분의 과도한 발산을 막는 보호기능이며, 이러한 보호기능은 각질형성세포로 구성된 각질층이 정상적으로 형성되어 있을 때만 그 기능을 유지할 수 있다. 표피 중에서도 가장 바깥에 존재하는 각질층(stratum corneum, horney layer)은 각질형성세포로부터 형성되며, 분화가 완결된 각질 세포와 그를 둘러싼 지질층으로 구성되어 있다(J. Invest. Dermatol. 1983; 80: 44~49). 각질세포는 표피 최하층에서 지속적으로 증식(proliferation)하는 기저세포(basal cell)가 단계적으로 형태 및 기능상의 변화를 거치며, 피부 표면까지 상승한 특징적은 세포이며, 일정 기간이 경과하면 오래된 각질세포는 피부에서 탈락되고 새로운 각질세포가 그 기능을 대신하게 되는데, 이러한 반복적인 일련의 변화 과정을 ‘표피 세포의 분화’ 또는 ‘각화(keratinization)’라고 부른다. 각화과정 중의 각질형성세포는 천연보습인자(natural moisturizing factor; NMF)와 세포간 지방질(세라마이드, 콜레스테롤, 지방산)을 생성하면서 각질층을 형성하여, 각질층이 견고함과 유연성을 가지게 하여 피부장벽(skin barrier)으로서의 기능을 보유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각질층은 과도한 세안이나, 목욕 등의 생활 습관적 요인, 건조한 대기, 오염물질 등의 환경적인 요인 및 아토피성 피부나 노인성 피부 같은 내인성 질환 등으로 인해 쉽게 그 기능이 손실될 수 있으며, 실제적으로 현대에 들어서 더욱 늘어난 여러 요인들로 인해 최근에는 건조피부증상 및 이로 인한 제반 장해를 호소하는 사람들이 점점 증가하고 있는 추세이다. 따라서, 적절한 피부수분을 유지하기 위하여 외부로부터 수분을 공급하거나, 체내로부터의 수분 손실을 방지하기 위한 연구가 많이 진행되어 왔으며, 실제로 수분보유능력이 있는 여러 종류의 보습제(moisturizer)가 개발되어 주로 화장품 영역에서 많이 사용되고 있다.
그러나, 생활환경 중에 인간에 대한 위해 요인이 점점 증가하고, 노령인구가 급격히 늘어나면서, 각질층의 생성-탈락속도(turnover rate)가 늦어지고, 각질형성세포의 지질합성능력이 저하되거나, 표피에서 정상적인 세포의 분열, 성숙 및 분화가 원활하지 않음으로써, 각질층의 보습인자와 지질의 양이 감소되어 정상적인 각질층의 기능을 유지하지 못하는 상태, 즉 피부장벽기능이 와해된 상태의 피부를 갖게 되는 경우가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이러한 비정상적인 표피세포의 분열, 분화로 인해 피부는 피부건조증, 아토피 및 건선 등의 다양한 피부 질환을 유발하게 되며, 이러한 제 질환들은 자체로 수분 보유 기능만을 갖는 통상적인 보습제 만으로는 그 증상을 약간 완화시킬 수는 있으나, 근본적인 치유를 기대하기는 어려운 실정이다.
일반적으로 두피 및 얼굴을 포함한 피부에서 피지는 피부의 보습 유지나 미생물의 침입을 막는 역할을 담당하지만, 피지가 과잉으로 분비되면 탈모가 촉진되고 여드름이 악화되며 여드름에 의한 모공 확대가 촉진되고 지루성 피부염이 발생하는 등 여러 가지 질환이 유발된다.
이러한 피지의 과분비는 여러 원인에 의해서 발생하는데 그 중에서도 가장 중요한 것은 피지선의 활성에 있어 피지 분비를 촉진하는데 관여하는 호르몬 가운데 하나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ihydrotestosterone: DHT)의 양에 의해서 피지선 세포가 활성화되어 피지가 과분비되는 것이다. 즉, 탈모에 있어서는 세포내에서 테스토스테론(testosterone: T)이 5-알파-리덕타아제 타입 2(5-α-reductase type 2)에 의해서 남성 호르몬 중에 하나인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전환됨과 동시에 세포질 내에 있는 수용체 단백질(receptor)과 결합하여 액내로 들어가 탈모를 유발하지만 피부나 피지선에서는 테스토스테론이 5-알파-리덕타아제 타입 1(5-α-reductase type 1)에 의해서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전환되어 피지선 세포를 활성화하여 분화가 촉진됨으로써 피지선내의 피지(sebum)를 과분비하여 여드름을 유발하게 된다(J. Invest Dermatol 105:209-214 Diane etc.).
단순한 피지의 과분비외에 발생되는 피부 트러블인 여드름, 탈모 등은 피부의 미세한 염증 반응에 의해서 더욱 악화된다. 여드름의 발생 과정을 살펴보면 과도한 피지가 모낭에 축적되어서 여드름균이 활성화되고 염증이 유발된다.
그러나, 이와 같이 피부에 안전한 천연 소재로서 피지 분비를 근본적인 원인을 통해서 감소시키고, 동시에 염증작용을 완화해 주는 원료는 많지 않은 실정이다.
아토피성 피부염의 증상은 피부 발적, 피부 부종, 물집, 궤양과 심한 가려움을 동반한다. 치료하지 않으면 피부는 피부 반응을 촉진시키는 물질에 계속 노출되어 접촉 피부염이 오랫동안(만성) 지속되는 상태가 될 수 있다. 만성 접촉 피부염은 피부가 두꺼워지고 잘 벗겨지며 건조해지면서 색이 변하고 모발의 소실까지 생긴다.
아토피성 피부염은 상당히 많은 사람들이 앓고 있는데 전 인구의 0.5~1%, 어린이의 경우 5~10%가 고통을 받고 있다. 증상이 나타나는 시기는 대체로 생후 2~6개월이며, 특히 1세 미만에서 가장 많이 나타나고 85%가 만 다섯 살 안에 나타난다. 보통 어릴 때 잠시 앓는 병이라고 알려져 있으나 환자의 50%는 두 돌 이내에 없어지나 25%는 청소년기까지 가며, 나머지 25%는 성인이 되어도 없어지지 않고 계속된다.
이에, 최근 아토피성 피부에 자극 없이 안심하고 사용할 수 있는 인체 세정제, 헤어 샴푸, 헤어 컨디셔너 등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의 수요가 증가하고 있으며, 이와 더불어 아토피성 피부의 상태를 개선하는 항소양 또는 항염 효과를 가진 제품의 다양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사람의 모발은 약 10~15만개로, 각각의 모발은 서로 다른 주기를 거쳐 성장, 퇴화를 반복한다. 모발은 성장하는 성장기(Anagen), 성장기가 끝나고 모발의 형태를 유지하면서 대사 과정이 느려지는 퇴행기(Catagen) 및 모유두가 위축되고 모낭이 차츰 위축되어 모근이 위쪽으로 밀려 올라가 모낭이 작아지는 휴지기(Telogen)의 3단계의 주기를 반복하는데, 이와 같은 모발의 주기 및 수명은 영양 상태, 병력, 유전, 체질, 호르몬 분비 또는 노화 등 다양한 조건에 따라 변화할 수 있다.
탈모는 자연적 과정들을 통해 발생하거나, 암과 같은 증상들을 경감시키기 위해 고안된 특정 치료 약물의 사용에 의해 화학적으로 촉진되는 문제이다. 이러한 탈모는 부분적 또는 완전한 대머리를 유발하는 모발 재성장의 결여를 수반한다. 이에, 환경 오염, 스트레스, 다이어트, 피로, 올바르지 않은 식습관 등으로 인해 탈모증을 가진 현대인이 많아짐에 따라 심각한 정신적 고통을 겪고 있는 남성 또는 여성이 증가하고 있는 상황이다.
최근에는 물리적, 화학적 및 환경적인 다양한 요인에 의하여 비듬, 두피 가려움증 등의 두피 트러블을 가진 사람이 차츰 증가하고 있으며, 이에 따라 이를 해결하기 위한 다양한 시도가 있으며, 구체적으로는 모발 및 두피 제품에 비듬방지, 항균, 두피자극완화, 가려움 방지 등의 부가적 성분을 첨가하거나, 샴푸 제품의 사용 전 또는 후에 사용하는 제품들이 연구되고 있다.
녹차는 차나무(Camellia sinensis)의 잎을 사용하는 것으로, 의학적 음료 및 건강 음료로서 소비되고 있으며, 녹차의 의학적인 효과는 주로 녹차의 플라보노이드계 성분에 기인한 것이다.
종래 녹차씨의 추출물에 관하여 항염 또는 항암 효능, 항산화 활성 등에 대하여 사용된 바 있으나, 통상의 녹차씨가 아닌 발아 상태의 녹차씨 추출물의 전반적 피부 효능에 대하여는 보고된 바 없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10-2010-0112915호
이에 본 발명자들은 발아 녹차씨 추출물 또는 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경우 피부 전반적 상태 개선에 대한 높은 효과를 가지는 점을 발견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은 발아 녹차(Camellia sinensis)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여 피부 보호, 항노화, 항주름, 피부 탄력 개선, 미백, 피부 보습, 아토피 등의 피부 건조 질환의 예방 및 개선, 피지 조절, 항염증, 여드름 등의 피부 트러블 예방 또는 개선, 피부 혈색 개선, 각질 제거, 탈모 예방, 항비듬 용도에 있어서 뛰어난 효과를 갖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함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호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주름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탄력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각질 제거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피지 조절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염증 예방 또는 개선, 또는 자극 완화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여드름을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 예방 또는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혈색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탈모 예방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비듬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은 녹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지 감소, 모공 축소 및 여드름 개선용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발아 녹차씨의 아임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이하, 본 발명을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녹차씨는 발아 상태의 녹차씨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발아 녹차씨를 사용함으로써 생명 현상 유지에 필요한 성분의 함량이 높아지기 때문에 피부 전반 상태 개선에 있어서 매우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상기 녹차씨의 발아에 있어서는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며, 예를 들면 15~20℃, 바람직하게는 18℃가 유지된 상태에서 수분을 함유한 솜 위에서 수분을 유지시키며 15~20일 유지시킨 후, 명조건과 암조건을 반복처리 하여 발아시킬 수 있다. 이 때, 명조건은 12~13시간이며 암조건은 11~12시간으로, 바람직하게는 명조건 12시간이며 암조건 12시간으로 15~20일간 배양하여 발아시킨다.
상기 녹차씨 추출물의 추출은 당업계에 통상의 추출방법에 의해 제조될 수 있으며, 바람직하게는 용매 추출법, 초임계 추출법 또는 아임계 추출법에 의할 수 있고, 아임계 추출법에 의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아임계 추출법(subcritical extraction)은 용매의 액체와 기체 상태가 공존하는 임계점 이하의 온도 및 압력 범위의 조건에서 이를 추출용매로 사용하는 추출법으로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용매로 물을 사용한다. 초임계 추출법에서는 이산화탄소를 사용하기 때문에 극성물질의 추출을 위해서는 보조 용매로서 유기용매를 사용해야 하는 것에 비해, 아임계 추출에 있어서는 이러한 부가적인 보조 유기용매가 필요하지 않는 장점을 가지며, 물을 추출용매로 사용하기 때문에 가수분해 반응도 진행할 수 있는 특징을 갖는다. 이러한 아임계 추출법에 의함으로써 고순도의 추출물을 얻을 수 있기 때문에 발아 녹차씨의 아임계 추출물을 함유하는 경우에 피부 전반 개선에 있어 보다 우수한 효과를 얻을 수 있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아임계 추출법에 의한 녹차씨 추출물은 구체적으로 다음과 같이 제조할 수 있다. 녹차씨를 준비한 후 아임계 추출장치를 이용해서 50~200MPa, 바람직하게는 100MPa의 고압에서 녹차씨를 분해하여 유효 성분을 추출한다. 50MPa 미만의 압력에서는 유효 성분들이 충분히 추출되지 않고, 200MPa 초과 압력에서는 고압 대비 유효 성분 추출 증가량이 미미하기 대문에 상기 범위의 압력에서 추출한다. 추출 후 1.2㎛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0.45㎛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0.2㎛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필터링하여 이물질 및 미생물을 제거하여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녹차씨 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50 중량%, 바람직하게는 0.1~10 중량%로 함유할 수 있다. 0.001중량% 미만인 경우 그 효과가 미미하고, 50 중량%을 초과하는 경우 부작용과 제형 내 용해도 등의 문제점이 발생할 수 있기 때문이다.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피부 보호, 항노화, 항주름, 피부 탄력 개선, 미백, 피부 보습, 아토피 등의 피부 건조 질환의 예방 및 개선, 피지 조절, 항염증, 여드름 등의 피부 트러블 예방 또는 개선, 피부 혈색 개선, 각질 제거, 탈모 예방 및 항비듬 효능을 가진다.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활성산소의 생성을 억제하고 활성산소에 의해 유발된 산화적 손상을 억제하는 효능이 있는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함으로써 활성산소 또는 자외선 등에 의한 세포의 손상을 예방할 수 있고, 이를 통해 피부를 보호할 수 있다. 또한, 활성산소 또는 자외선에 의한 노화의 진행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발아 녹차씨 추출물은 COX-2의 생합성을 억제함으로써 염증을 예방 또는 개선시킬 수 있고, 이를 통해 피부 트러블을 완화시킬 수 있으며, 상기 피부는 두피를 포함한다. 즉, 본 명세서에 개시된 발아 녹차씨 추출물은, 두피 또는 모발에서 발생하는 활성산소 또는 자외선 등에 의한 세포의 손상을 예방하고, 두피의 염증을 예방 또는 개선시키며, 퍼머나 염색 등에 의한 두피의 자극을 완화시키는 용도로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손상을 억제하여 피부 보호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피부는 두피 또는 모발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피부 보호는 산화 또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을 억제함으로써 피부를 보호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부 노화 예방 또는 개선은 산화 또는 자외선에 의한 피부 손상 억제, 콜라겐 생성 촉진 또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 I(MMP-1)의 생합성 저해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콜라겐 생성 촉진 또는 매트릭스 메탈로프로테이나아제 I(MMP-1)의 생합성 저해를 통해 피부 주름을 예방 또는 개선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탄력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멜라닌의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피부 미백 효과를 나타낼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미백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보습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피부 보습은 본 발명의 발아 녹차씨 추출물이 각질형성세포의 분화를 촉진함으로써, 오래된 각질세포의 탈락과 새로운 각질세포의 생성 과정인 「표피 세포의 분화」 또는 「각화(keratinization)」과정을 돕고, 따라서 각질을 효과적으로 제거할 수 있는 효능을 가지며, 각질층의 생성-탈락속도(turn-over rate)를 정상 범위로 유지함으로써 각질층의 보습인자와 지질의 양을 정상적으로 유지할 수 있도록 하기 때문에,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 촉진 또는 트랜스 글루타미네이즈 발현 촉진을 통해 피부 수분을 유지하는 것을 통하여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아토피 또는 건선을 포함하는 피부 건조 질환 예방 또는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이를 통하여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각질 제거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의 피지 조절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보다 구체적으로는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지 분비를 억제함으로써, 피지의 과다 분비에 의한 여드름, 모공 확대, 지루성 피부염 등을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염증의 예방 또는 개선, 또는 자자 완화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피부는 두피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여드름을 포함하는 피부 트러블 예방 또는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피부는 두피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피부 혈색 개선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탈모 예방용인 것을 특징으로 하며, 상기 탈모 예방은 육모증진 효과를 통해 달성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항비듬용인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 될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또한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은 지방 물질, 유기용매, 용해제, 농축제, 겔화제, 연화제, 항산화제, 현탁화제, 안정화제, 발포제(foaming agent), 방향제, 계면활성제, 물, 이온형 또는 비이온형 유화제, 충전제, 금속이온봉쇄제, 킬레이트화제, 보존제, 비타민, 차단제, 습윤화제, 필수 오일, 염료, 안료, 친수성 또는 친유성 활성제, 지질 소낭 또는 화장품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임의의 다른 성분과 같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보조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보조제는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 분야에서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양으로 도입된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개선 효과를 증가시키기 위하여 피부 흡수 촉진 물질을 함유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상기 발아 녹차씨 추출물 외에 본 발명의 목적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 내에서 바람직하게는 상기 피부 보호 효과에 상승효과를 줄 수 있는 다른 성분들을 함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발아 녹차씨 추출물의 특성으로 인해 피부 보호, 항노화, 항주름, 피부 탄력 개선, 미백, 피부 보습, 아토피 등의 피부 건조 질환의 예방 및 개선, 피지 조절, 항염증, 여드름 등의 피부 트러블 예방 또는 개선, 피부 혈색 개선, 각질 제거, 탈모 예방, 항비듬에 있어서 우수한 효과를 가지며,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에 비하여 현저히 우수한 효과를 나타낸다. 또한 상기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아임계 추출법에 의해 얻음으로써 유효성분을 고순도로 얻을 수 있어 상기의 효과에 있어서 보다 더 우수한 효과를 나타내는 조성물을 제공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 및 시험예에 의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나, 이는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한 것일 뿐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조예 1] 발아 녹차씨 추출물의 제조
18℃가 유지된 상태에서 수분을 함유한 솜 위에서 수분을 유지시키며, 명조건 12시간, 암조건 12시간으로 15~20일간 배양하여 발아시킨다.
상기 발아 녹차씨를 열풍 건조후, 분쇄하여 100mesh 사이즈로 분쇄하고, 정제수 30%, 알코올 70% 용매에 넣고 25℃에서 6시간 환류 추출하여 활성 성분들을 추출하였다. 추출 후에 1.2㎛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0.45㎛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필터링을 하여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제조예 2] 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의 제조
상기 제조예 1와 동일한 방법으로 수득한 발아 녹차씨를 아임계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100MPa의 고압에서 유효 성분을 추출하였다. 추출 후 1.2㎛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0.45㎛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필터링하여 이물질 및 미생물을 제거하여 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을 얻었다.
[비교제조예 1]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의 제조
발아 상태가 아닌 녹차씨를 열풍 건조후, 분쇄하여 100mesh 사이즈로 분쇄하고, 정제수 30%, 알코올 70% 용매에 넣고 25℃에서 6시간 환류 추출하여 활성 성분들을 추출하였다. 추출 후에 1.2㎛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0.45㎛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필터링을 하여 이물질을 제거하였다.
[비교제조예 2] 미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의 제조
발아 상태가 아닌 녹차씨를 잘게 파쇄하여 아임계 추출장치를 이용하여 100MPa의 고압에서 유효 성분을 추출하였다. 추출 후 1.2㎛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0.45㎛ 공극을 갖는 필터에서 1번 필터링하여 이물질 및 미생물을 제거하여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을 수득하였다.
[시험예 1] 항산화 효과 시험 (DPPH 테스트)
발아 녹차씨 추출물의 항산화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유리 라디칼인 DPPH(1,1-디페닐-2-피크릴하이드라질; 1,1-diphenyl-2-picryl hydrazyl)의 환원에 의해(항산화제는 산화됨) 발생되는 흡광도의 변화를 통해 DPPH 산화 억제 효능을 비교 측정함으로써 항산화능을 평가하는 방법으로 수행하였다. 즉, 제조예 1~2 및 비교제조예 1~2에서 수득한 발아 녹차씨 및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에 대해 DPPH의 산화가 억제되어 흡광도가 대조군에 비해 감소되는 정도를 측정하여, 대조군의 흡광도에 비해서 50% 이하의 흡광도를 나타내는 농도를 유효 항산화 농도로 평가하였다.
100μM(in 에탄올) DPPH 용액 190㎕와 상기에서 수득한 제조예 1~2 및 비교제조예 1~2의 추출물 및 양성 대조군을 각각 10㎕씩 넣어 반응액을 만들고 37℃에서 30분간 반응시킨 후 540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상기 양성 대조군으로는 항산화 효과 비교에 널리 사용하고 있는 항산화제인 비타민 C를 사용하였다. 각 물질의 DPPH 분석 결과는 하기 표 1에 나타내었으며, IC50은 첨가한 시료에 의해 흡광도가 50% 감소했을 때의 시료 농도를 의미한다.
시험물질 IC50 (ppm)
비타민 C 16.3
발아 녹차씨 추출물(제조예 1) 24.7
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제조예 2) 18.2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비교제조예 1) 60.5
미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비교제조예 2) 44.1
상기 표 1에서 확인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제조예 1~2의 발아 녹차씨 추출물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한 비타민 C와 비교하여 우수한 효능 효과를 나타내었으며, 비교제조예 1~2의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과 비교하였을 때 2배 이상의 항산화 효능을 나타내었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발아 녹차씨 추출물은 항산화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 시험예 2] 단 세포 겔 전기영동(Single cell gel electrophoresis ; SCGE , Comet assay)에 의한 DNA 산화적 손상에 대한 억제 활성
사람의 정상 섬유아세포(자체 일차 배양)를 24시간 배양한 후 제조예 1~2, 비교제조예 1~2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과 비타민 E를 각각 농도별로 처리하고, 12시간 후에 양성대조군인 H2O2(최종농도 10-3M)를 처리한 다음 전기영동법으로 염색한 결과를 형광현미경으로 관찰하였다. 이때 이미지 아날라이저(image analyzer)인 KOMET 3.1(Kinetic Imaging, England)를 사용하여 25개의 각 세포에서 DNA 절단의 결과로 나타난 테일(tail)의 길이(um)를 분석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테일 길이(㎛) 저해율(%)
대조군 323.4 0.0
제조예 1(10 ppm) 257.2 20.5
제조예 1(100 ppm) 214.1 33.8
제조예 2(10 ppm) 227.8 29.6
제조예 2(100 ppm) 190.7 41.0
비교제조예 1(10 ppm) 321.1 0.7
비교제조예 1(100 ppm) 312.7 3.3
비교제조예 2(10 ppm) 318.9 1.4
비교제조예 2(100 ppm) 311.2 3.8
비타민 E (100 ppm) 189.6 41.4
상기 표 2의 세포 겔 전기영동에 의한 결과에서, 제조예 1~2에 따라 제조된 발아 녹차씨 추출물과 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은 비교제조예 1~2에 따라 제조된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과 미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에 비하여 뛰어난 산화적 DNA 손상 억제 활성을 나타내었으며, 이로 인해 본 발명에 의한 발아 녹차씨 추출물이 히드록실 라디칼(.OH)에 의한 DNA 싱글 스트랜드 브레이크(single strand break)를 억제하는 DNA 산화적 손상억제제로서 작용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두피 또는 모발을 포함하는 피부의 세포의 유전자를 보호하는 중요한 방어 효과이다.
[시험예 3] I형 프로콜라겐 생성 분석(Type I Procollagen assay)
인체 섬유아세포(자체 일차 배양)를 105 CFU 개의 농도로 12공 평판배양기에서 배양한 다음 제조예 1~2 및 비교제조예 1~2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을 하기 표3과 같이 포함한 배지로 교체하였다. 배양 3일째 세포를 수확해서(harvest) ELISA 방법으로 생성된 I형 프로콜라겐(type I procollagen)의 양을 정량하였다. 그 결과는 추출물들을 포함하지 않은 음성대조군을 0, 양성대조군을 100으로 하여 측정한 값과 제조예 1~2, 비교제조예 1~2와의 비교치로 산출하였고, 양성 대조군으로 TGF-b(Human Transforming Growth Factor-β1, Roche Co.)를 사용하였다.
타입 Ⅰ 프로콜라겐 생합성(%)
음성 대조군 0
제조예 1(1 ppm) 22.8
제조예 1(10 ppm) 54.6
제조예 2(1 ppm) 35.6
제조예 2(10 ppm) 70.9
비교제조예 1(1 ppm) 3.1
비교제조예 1(10 ppm) 7.8
비교제조예 2(1 ppm) 6.3
비교제조예 2(10 ppm) 12.5
TGF-b 10ng/ml 100
인간 정상 섬유아세포 단층 배양 시스템(Normal human fibroblast monolayer culture system)에서 제조예 1~2의 발아 녹차씨 추출물은 비교제조예 1~2의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 및 대조군에 비하여 I형 프로콜라겐 생성을 뚜렷하게 촉진시키는 효과를 나타내었다. 즉, 본 발명에 따른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콜라겐 생성을 촉진하여 인체 피부의 노화에 의해 발생하는 콜라겐 감소 현상을 완화할 수 있다.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
하기 표 4의 조성에 따라 통상적인 방법으로 영양크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실시예 1~2는 제조예 1~2의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이고, 비교예 1~2는 비교제조예 1~2의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한 제형이며, 비교예 3은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제형이다.
배합성분 실시예1 실시예2 비교예1 비교예2 비교예3
정제수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발아 녹차씨 추출물(제조예 1) 1.00 - - - -
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제조예 2) - 1.00 - - -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비교제조예 1) - - 1.00 - -
미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비교제조예 2) - - - 1.00 -
식물성 경화유 1.50 1.50 1.50 1.50 1.50
스테아린산 0.60 0.60 0.60 0.60 0.60
글리세롤 스테아레이트 1.00 1.00 1.00 1.00 1.00
스테아릴 알코올 2.00 2.00 2.00 2.00 2.00
폴리글리세릴-10 펜타스테아레이트 & 베헤닐 알코올 & 소디움 스테아로일 락틸에이트 1.00 1.00 1.00 1.00 1.00
아라키딜 베헤닐 알코올 &아라키딜글루코사이드 1.00 1.00 1.00 1.00 1.00
세틸아릴 알코올 & 세테아릴글루코사이드 2.00 2.00 2.00 2.00 2.00
PEG-100 스테아레이트 & 글리세롤올레이트 & 프로필렌글리콜 1.50 1.50 1.50 1.50 1.50
카프릴릭/카르릭 트리 글리세라이드 11.00 11.00 11.00 11.00 11.00
사이클로메디콘 6.00 6.00 6.00 6.00 6.00
방부제, 향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트리에탄올 아민 0.1 0.1 0.1 0.1 0.1
[ 시험예 4] 피부 주름 개선 효능 확인
본 발명의 조성물에 의한 사람에서의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을 이용하였다.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의 주름 개선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40대의 건강한 여성 50명을 각각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의 5개 군에 대해 10명씩 5조로 나누어 영양크림을 매일 1회씩 12주간 안면에 도포하게 한 후, 실리콘을 이용하여 레플리카를 떠서 주름의 상태를 피부측정기(visiometer, SV600, Courage+Khazaka electronic GmbH, Germany)로 측정하여 화상분석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5에 나타내었다. 하기 표 5의 값은, 도포 12주 후의 각각의 변수(parameter)값에서 도포 전 변수값을 뺀 것의 평균을 나타낸 것이다.
사용 8주 후
임상 결과
R1 R2 R3 R4 R5
실시예 1 -0.30 -0.21 -0.14 -0.10 -0.09
실시예 2 -0.32 -0.29 -0.17 -0.12 -0.13
비교예 1 0.03 0.01 0.01 0.02 0.05
비교예 2 0.04 0.03 0.01 -0.01 0.00
비교예 3 0.01 0.02 0.00 0.04 0.08
R1 : 주름 등고선의 최고치와 최저치의 차이값
R2 : 주름 등고선을 임의로 5칸씩 나눈 후 그 중 R1값 들의 평균
R3 : 5개씩 나눈 R1값 중 최고 값
R4 : 주름 등고선의 베이스라인(baseline)에서 각 각의 꼭대기와 계곡의 값을 뺀 평균값
R5 : 주름 등고선의 베이스라인(baseline)에서 각 각의 주름 윤곽을 뺀 값의 차이 값
상기 표 5에서 나타낸 바와 같이, 실시예 1~2의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비교예 1~3에 비해 피부 주름 개선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5] 엘라스타아제 활성 억제 효능 측정
본 발명의 발아 녹차씨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능을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 및 양성대조군 포스포라미돈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사용된 엘라스타아제와 기질은 미국 시그마알드리치 사로부터 상업적으로 구매하였고(Cat.No. E0127), 발아 녹차씨 추출물은 상기 제조예 1~2에 따라 제조한 것을, 녹차씨 추출물은 상기 비교제조예 1~2에 따라 제조한 것을 사용하였다.
하기의 시험방법으로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작용을 시험하였다.
96 웰 플레이트에서 10mg/L Tris-HCL 완충액(pH 8.0)으로 조제한 것에 하기 표 6에 나타낸 시험물질 50μL 및 20㎍/mL 엘라스타아제·타입 III 용액 50μL를 혼합하였다. 포스포라미돈 10ug/ml 은 양성 대조군으로 사용하였으며 음성 대조군인 비처리군은 증류수를 사용하였다. 그 후, 상기 완충액으로 조제한 0.4514㎎/mL N-SUCCINYL-ALA-ALA-ALA-p-NITROANILIDE 100μL를 첨가하고, 25℃에서 15분 반응시켰다. 반응종료 후, 파장 415㎚에 있어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동일한 방법으로 공시험을 행하여 보정하였다.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작용의 계산방법은 하기 수학식 1과 같으며, 결과는 하기 표 6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1
A: 실험시료 무첨가, 효소 첨가에서의 파장 415 ㎚에 있어서의 흡광도
B: 실험시료 무첨가, 효소 무첨가에서의 파장 415 ㎚에 있어서의 흡광도
C: 실험시료 첨가, 효소 첨가에서의 파장 415 ㎚에 있어서의 흡광도
D: 실험시료 첨가, 효소 무첨가에서의 파장 415 ㎚에 있어서의 흡광도
화합물 억제정도(%)
비처리군 0
포스포라미돈 35
발아 녹차씨 추출물(제조예 1) 32
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제조예 2) 39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비교제조예 1) 15.5
미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비교제조예 2) 18.6
상기 표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아 녹차씨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활성 억제 정도가 엘라스타아제 활성 억제제로 알려져 있는 포스포라미돈과 비교하여서도 거의 유사한 것으로 나타나 본 발명의 발아 녹차씨 추출물의 엘라스타아제 활성 억제 효과가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으며, 비교제조예 1~2의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과 비교하여도 엘라스타아제 활성 억제 효과가 월등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6] 콜라게나제(MMP-1) 발현 억제 효능
본 발명의 항노화 효능을 확인하기 위하여 콜라게나제 생성 억제능을 레티노익산과 비교하여 측정하였다. 레티노익산은 항산화물질로서 피부의 표피 세포를 재생시켜 피부의 노화를 방지하는 기능이 있는 것으로 알려진 물질이다.
시험은 2.5%의 우태아 혈청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가 들어 있는 96공 평판배양기(96-well microtiter plate)에 인간의 섬유아세포를 5,000 세포/공(well)이 되도록 넣고, 90% 정도 자랄 때까지 배양하였다. 그 후 무혈청 DMEM 배지에서 24시간 배양한 다음, 무혈청 DMEM 배지에 녹여진 상기 제조예 1~2, 비교제조예 1~2에 따라 제조된 추출물 50ppm 농도, 레티노익산을 동일 농도로 처리한 후, 세포배양액을 채취하였다.
채취한 세포배양액을 상업적으로 이용 가능한 콜라게나제 측정기구(미국 아머샴파마샤 사, Catalog #: RPN 2610)를 이용하여 콜라게나제(기질 메탈로 프로테아제; MMP-1) 생성 정도를 측정하였다. 먼저 1차 콜라게나제 항체가 균일하게 도포된 96-공 평판(96-well plate)에 채취된 세포 배양액을 넣고 3시간 동안 항원-항체 반응을 항온조에서 실시하였다.
3시간 후 발색단이 결합된 2차 콜라겐 항체를 96-공 평판(96-well plate)에 넣고 다시 15분간 반응시켰다. 15분 후 발색유발물질을 넣어 실온에서 15분간 발색을 유발시키고, 다시 1M 황산을 넣어 반응(발색)을 중지시키면 반응액의 색깔은 노란색을 띄며 반응 진행의 정도에 따라 노란색의 정도가 다르게 나타났다.
노란색을 띠는 96-공 평판(96-well plate)의 흡광도를 흡광계를 이용하여 405nm에서 측정하였고, 하기 수학식 2에 의해 콜라게나제의 합성 정도를 계산하였다. 이때 조성물을 처리하지 않은 군의 채취된 세포배양액의 반응 흡광도를 대조군으로 하였다. 즉, 비 처리군에서의 콜라게나제의 발현 정도를 100으로 하고, 이에 대비하여 시험물질을 처리한 군에서의 콜라게나제의 발현 정도를 구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7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2
시험물질 콜라게나제 발현 정도(%)
비 처리군 100
레티노익산 75
발아 녹차씨 추출물(제조예 1) 63
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제조예 2) 72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비교제조예 1) 26
미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비교제조예 2) 32
콜라게나제의 발현 정도가 낮을수록 콜라게나제의 발현 억제능이 높고 피부내의 콜라겐의 분해가 적게 일어나 피부 탄력 감소가 저해되며, 생성되는 주름의 양은 적어진다. 상기 표 7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아 녹차씨 추출물은 시험관내(in vitro)에서 콜라게나제의 발현을 효과적으로 억제하였으며, 양성 대조군인 레티노익산과 유사한 수준으로 콜라게나제의 발현 억제능이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발아 녹차씨 추출물은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에 비하여 콜라게나제의 발현을 더욱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피부 내의 콜라겐 분해를 감소시켜 피부 탄력 증진 및 주름 감소와 같은 항노화 효과가 뛰어남을 알 수 있었다.
[시험예 7] 피부 탄력 향상 효능 확인
사람에서의 피부 탄력 향상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상기 표 4의 조성에 따른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을 사용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30~40대의 건강한 여성 50명을 각각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의 5개 군에 대해 10명씩 5조로 나누어 영양크림을 매일 1회씩 12주간 안면 왼쪽에 도포하게 한 후, 피부탄력 측정기(Cutometer SEM 575, C+K Electronic Co., Germany)를 이용하여 피부탄력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8에 나타내었다. 표 8의 결과값은 Cutometer SEM 575의 ΔR8(R8(왼쪽)-R8(오른쪽)) 값으로 기재하였는데, R8 값은 피부 점탄성(viscoelasticity)의 성질을 나타낸다.
실험제품 피부탄력효과
실시예 1 0.42
실시예 2 0.59
비교예 1 0.22
비교예 2 0.28
비교예 3 0.04
상기 표 8에 나타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발아 녹차씨 추출물이 함유된 실시예 1~2는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이 함유된 비교예 1~2를 도포한 군에 비하여 피부 탄력성이 더 증가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피부 탄력 향상에 매우 효과적임을 확인할 수 있다.
[ 시험예 8] 미백 효과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
티로시나제 효소는 버섯류(Mushroom)로부터 추출된 것으로 시그마(SIGMA)사의 것을 사용하였다. 먼저 기질인 티로신을 증류수에 용해시켜 0.3mg/ml의 용액으로 만들고 그 용액을 1.0ml씩 시험관에 넣은 다음, 여기에 포타슘-포스페이트 완충용액(0.1mol 농도, pH 6.8) 1.0ml 및 증류수 0.7ml를 첨가하였다.
제조예 1~2 및 비교제조예 1~2의 추출물을 에탄올 용액에 적당농도로 혼합하여 준비한 각 시료액 0.2ml를 반응액에 넣은 다음 37℃ 항온조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때 대조군은 각 시료액 대신 용매만을 0.2ml 넣은 것으로 준비하였고, 양성대조군으로는 아스코르브산을 사용하였다. 이 반응액에 2500유닛/ml의 티로시나제 용액 0.1ml씩을 넣고 다시 37℃ 항온조에서 10분 동안 반응시켰다. 이 반응액이 든 시험관을 얼음물속에 넣어서 급냉시켜 반응을 중지시키고 광전분광분석계로 파장 475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9에 나타내었다. 각각의 티로시나제 저해 효과는 하기 수학식 3으로 산출하였다.
Figure pat00003
시험물질 티로시나제 저해율(%)
대조군(무첨가) 0
아스코르브산 52
발아 녹차씨 추출물(제조예 1) 57
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제조예 2) 64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비교제조예 1) 21
미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비교제조예 2) 28
상기 표 9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발아 녹차씨 추출물인 제조예 1~2의 경우 티로시나제 억제율이 공지된 티로시나제 저해제인 아스코르브산보다 높아 미백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다. 또한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인 비교제조예 1~2에 비하여도 미백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B16/F10 멜라노마 세포를 이용한 멜라닌 생성 억제 효과>
실시예 1~2, 비교예 1~3 및 코지산을 각각 0.001 중량%로 함유한 시료를 시험물질로 하여 일정 농도로 B16/F10 멜라노마 세포(한국세포주은행)의 배양액에 첨가하여 3일간 배양한 후 배양액을 제거하고 PBS로 세척하고 1N NaOH로 세포를 녹여 405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시험물질을 첨가하지 않은 세포를 대조군으로 하여 대조군에서의 멜라닌 함량과 비교하여 각 시험물질의 멜라닌 생성 저해 정도를 측정하였다. 수학식 4에 따라 멜라닌 생성 억제율을 계산하여 그 결과를 표 10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4
시험물질 멜라닌생성 억제율(%)
대조군(무첨가) 0
코지산 53
발아 녹차씨 추출물(제조예 1) 51
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제조예 2) 58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비교제조예 1) 14
미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비교제조예 2) 39
상기 표 10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제조예 1~2의 멜라닌 생성 억제율이 공지된 멜라닌 생성 저해제인 코지산보다 유사하여 미백 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알 수 있었다. 또한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교제조예 1~2에 비하여도 미백효과가 매우 우수함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9] 피부 보습력 증가 효과 측정
본 발명의 피부 보습력 증가에 미치는 효과를 측정하기 위하여, 상기 표 4의조성에 따른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을 이용하였고, 하기와 같이 평가하였다.
건조 피부로 분류된 40~50대 성인 남녀 50명을 각각 상기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의 5개 군에 대해 10명씩 5조로 나누어 영양크림을 매일 2회씩 4주간 안면에 도포하게 하였다. 도포 개시 전과, 도포 후 1주, 2주, 4주 경과한 시점, 그리고 도포를 중지한 2주 경과(총 6주 경과) 후에 항온, 항습 조건(24℃, 상대습도 40%)에서 피부수분량측정기(Corneometer CM825, C+K Electronic Co., 독일)로 피부수분량을 측정하였다. 그 결과는 하기 표 11에 나타내었다. 표 11의 결과는 시험개시 직전에 측정한 피부 수분량 측정기 값을 기준으로 하여 일정기간 처치한 후의 측정값의 증가분을 백분율로 표시한 것이다.
시험군 수분 증가율 (%)
1주 경과 2주 경과 4주 경과 6주 경과
실시예 1 32 34 36 23
실시예 2 35 37 39 28
비교예 1 28 30 33 15
비교예 2 29 31 34 18
비교예 3 25 26 26 11
상기 표 11의 결과를 보면,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교예 1~2를 도포한 경우에는 도포가 이루어진 4주까지는 약 33~34% 정도의 수분 증가율을 보이지만, 도포를 중지한 후에는 피부수분량이 감소하는 반면,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한 실시예 1~2를 도포한 경우에는 도포를 중지한 후에도 대부분 23% 이상의 피부수분 증가율을 보임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한 본 발명의 조성물은 피부 보습력 효과과 우수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10] 각질형성세포 분화 촉진 효과 측정
본 발명의 조성물의 각질형성세포의 분화 촉진 효과를 알아보기 위해, 하기와 같이 각질형성세포의 분화시 생성되는 CE(Cornified Envelop)양을 흡광도를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신생아의 표피로부터 분리해 일차 배양한 사람의 각질형성세포를 배양용 플라스크에 넣어 바닥에 부착시킨 뒤 하기 표 12의 시험물질을 배양액에 5 ppm 농도로 처리한 후 세포가 바닥 면적의 70~80% 정도 자랄 때까지 5일간 배양하였다. 이때, 저칼슘(0.03mM) 처리군과 고칼슘(1.2mM) 처리군을 각각 음성 대조군, 양성 대조군으로 하였다. 그 다음 상기 배양한 세포를 수확하여 PBS(Phophate buffered saline)로 세척한 뒤 2% SDS(sodium dodecyl sulfate)와 20mM 농도의 DTT(Dithiothreitol)를 함유한 10mM 농도의 트리스-염산 완충액(Tris-HCl, pH 7.4) 1ml를 가하여 소니케이션(sonication), 보일링(boiling), 원심분리를 하고, 침전물을 다시 PBS 1ml에 현탁시켜 340nm에서의 흡광도를 측정하였다. 이와 별도로 상기 소니케이션 후의 용액을 일부 취하여 단백질 함량을 측정하고, 세포 분화정도 평가시 기준으로 삼았다. 그 결과를 하기 표 12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각질형성세포에서의 분화능(%)
저칼슘(0.03mM) 용액(음성 대조군) 100
고칼슘(1.2mM) 용액(양성 대조군) 210
발아 녹차씨 추출물(제조예 1) 164
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제조예 2) 186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비교제조예 1) 129
미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비교제조예 2) 137
상기 표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 각질 형성 세포의 분화 촉진 효과가 우수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는 오래된 각질세포의 탈락과 새로운 각질세포의 생성 주기인 턴오버 주기를 정상화시켜서 피부 보습을 강화할 수 있음을 나타내는 것이며, 또한 발아 녹차씨 추출물이 피부 각질 제거를 촉진할 수 있음을 확인한 것이다.
[시험예 11] 피부 장벽기능 회복 효과 측정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이 피부 손상으로 인해 손상된 피부 장벽기능의 회복에 미치는 효과 측정하기 위하여, 하기와 같은 실험을 수행하였다. 성인 남녀 10명의 상박을 테이프 스트립핑(Tape Stripping) 방법을 이용하여 피부 장벽에 손상을 주고 각각 하기 표 13의 조성으로 제조한 실시예 3~4 및 비교예 4~6의 5개 군을 도포하면서 7일 동안 하루에 한번씩 경피수분손실량(TWEL)의 회복 정도를 Vapometer(Delfin, 핀란드)로 측정 비교하였다. 여기에서 비교예 6은 음성대조군으로서 비히클(vehicle)이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14에 나타내었다. 표 14의 결과는 장벽 손상 전과 장벽 손상 후의 처리전 차이를 100% 기준으로 하여 비교하였다.
배합성분 실시예3 실시예4 비교예4 비교예5 비교예6
정제수 69 69 69 69 70
프로필렌글리콜 30 30 30 30 30
발아 녹차씨 추출물(제조예 1) 1 - - - -
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제조예 2) - 1 - - -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비교제조예 1) - - 1 - -
미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비교제조예 2) - - - 1 -
시험군 TWEL 변화 (%)
처리전 1일 2일 3일 4일 5일 6일
실시예 3 100 89 76 67 61 39 29
실시예 4 100 86 74 63 50 35 14
비교예 4 100 98 91 84 82 77 68
비교예 5 100 96 87 83 79 75 65
비교예 6 100 99 89 86 83 81 79
상기 표 14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처리할 경우 빠른 속도로 경피 수분 손실량이 정상으로 돌아오며 장벽 손상이 회복됨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장벽 손상 회복에 있어서 비교예 4~5의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 함유 제형에 비하여 실시예 3~4의 발아 녹차씨 추출물의 효과가 현저히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시험예 12] 피지 분비 억제 효과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를 통한 피부 과분비 억제 효과>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효과를 확인하기 위해서 HEK293-5αR2 세포에서 [14C]테스토스테론이 [14C]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DHT: dihydrotestosterone)으로 변환되는 비율을 측정하였다. HEK293 세포에 p3 x FLAG-CMV-5αR2를 형질감염시켜서 24 웰 플레이트에 웰당 2.5 x 105 세포로 넣고 배양하였다(Park et al., 2003, JDS. Vol. 31, pp. 191-98). 다음날 효소 기질과 저해제가 첨가된 새로운 배지로 바꿔주었다. 배지의 기질로는 0.05μCi [14C]테스토스테론(Amersham Pharmacia biotech, UK)을 사용하였다.
5α-리덕타아제 활성 억제 정도를 확인하기 위해서 하기 표 15에 나타낸 추출물을 각각 넣고 37℃, 5% CO2 배양기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이 때 추출물을 넣지 않은 것은 음성대조군으로 사용하고, 피나스테라이드(finasteride)를 넣은 것을 양성대조군으로 사용하였다. 이 후 배양 배지를 수거하여 스테로이드를 800 ㎕ 에틸아세테이트로 추출한 다음 상부의 유기용매층을 분리하여 말린 후 남은 잔유물을 다시 50 ㎕ 에틸아세테이트로 녹여서 실리카 플라스틱시트 카이젤겔 60 F254(Silica plastic sheet kieselgel 60 F254) 상에서 에틸아세테이트-헥산(1:1)을 용매로 하여 전개하였다.
플라스틱 시료를 공기 중에서 건조한 후, 동위원소의 양을 측정하기 위하여 바스 시스템을 사용하였는데, 건조된 플라스틱 시트와 엑스레이 필름을 함께 바스 카셋트에 넣어 1주일 후에 필름에 남아있는 테스토스테론과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의 동위원소 양을 측정한 다음 하기 수학식 5 및 6에 따라 전환율 및 저해율을 각각 산출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5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5
Figure pat00006
시험물질 전환율(%) 저해율(%)
음성대조군 48.0 -
양성대조군(피나스테라이드) 27.6 42.5
발아 녹차씨 추출물(제조예 1) 30.1 37.3
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제조예 2) 28.4 40.8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비교제조예 1) 41.5 13.5
미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비교제조예 2) 39.2 18.3
상기 표 15의 결과에서, 테스토스테론을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 전환시켜 세포질 내에 있는 수용체 단백질과 결합해 핵 내로 들어가 피지선 세포를 활성화하고 분화를 촉진시켜 피지선 내에서 피지를 과분비시키는 역할을 하는 5α-리덕타아제의 활성을 본 발명에 의한 발아 녹차씨 추출물이 효과적으로 억제함으로써 테스토스테론의 디하이드로테스토스테론으로의 전환을 차단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으며, 비교제조예 1~2의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에 비해 차단 효과가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한 발아 녹차씨 추출물이 5α-리덕타아제의 활성을 효과적으로 억제시킴으로써 피지의 과분비를 억제시킬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피지 분비 억제 효과>
상기 표 4의 조성에 따른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의 피지 분비 억제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다음과 같이 평가하였다. 피지분비가 많다고 느끼는 피험자 남녀 30명을 선정하여 지정된 부위에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의 영양크림을 4주간 매일 바르게 하였다. 피지감소의 효과에 대한 판정은 피지량 측정기(Sebumeter SM810, C+K Electronic Co., 독일)를 사용하여 2주 및 4주 경과 후 평균 피지 감소율(%)을 각각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16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피지 감소율(%)
2주 경과 후 4주 경과 후
실시예1 3 4
실시예2 5 5
비교예1 0 1
비교예2 1 2
비교예3 0 0
상기 표 16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1~2는 이를 함유하지 않은 비교예 3 보다 과잉으로 분비되는 피지를 효과적으로 억제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특히 실시예 1~2는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교예 1~2에 비해 피지 억제 효과가 매우 뛰어남을 알 수 있다.
[시험예 13] 염증 개선 효과
항염증 효과는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 억제 효과로 평가하였다. 상기 제조예 1~2 및 비교제조예 1~2에 따라 제조한 추출물을 이용하여 대식세포를 대상으로 효과를 측정하였다. 우선, 마우스의 복강에서 채취한 대식세포에 최종농도가 500M이 되도록 아스피린을 첨가해 세포에 잔존하는 시클로옥시제나제(cyclooxygenase, COX) 활성을 비가역적으로 억제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현탁액을 96 웰의 세포배양관의 각 웰에 100μl를 넣어 5% CO2와 37℃ 조건의 배양기에서 2시간 동안 배양하여 대식 세포를 용기 표면에 부착시켰다. 이어, 부착된 대식 세포를 PBS로 3회 세척한 후 이를 염증 개선 효과 시험에 사용하였다. 상기 배양된 대식세포 5x104 세포/ml에 LPS를 1%(w/v)로 함유하는 RPMI 배지를 첨가하여 12시간 동안 배양한 후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을 유발하고 제조예 1~2 및 비교제조예 1~2에 따른 추출물을 각각 100μl 처리하여 유리된 프로스타글란딘을 효소면역 분석법(ELISA)을 이용하여 정량하였다.
이때,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억제 활성은 LPS를 처리한 군과 처리하지 않은 군에서 각각 생성된 프로스타글란딘의 차이를 100%로 설정하고, LPS와 시료를 함께 처리하여 감소된 프로스타글란딘의 백분율을 통하여 대조군과 비교, 판정하였으며, 그 결과(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억제 효과)를 하기 표 17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프로스타글란딘 생성억제 효과(%)
블랭크(Blank) 100
양성대조군(아스피린 처리군) 25.0
발아 녹차씨 추출물(제조예 1) 46.2
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제조예 2) 33.1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비교제조예 1) 68.9
미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비교제조예 2) 59.8
상기 표 17의 결과에서, 실험결과 아스피린으로 처리한 양성대조군과 같이 제조예 1~2에 따른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처리한 경우에도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억제효과가 매우 높음을 알 수 있다. 또한 비교제조예 1~2의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 처리군에 비하여도 프로스타글란딘의 생성 억제 효과가 매우 높음을 확인할 수 있다.
이를 통해 본 발명의 발아 녹차씨 추출물은 우수한 염증 개선 효과를 제공할 수 있음을 알 수 있으며, 또한 발아 녹차씨 추출물은 피부 염증 인자인 프로스타글란딘의 발현을 억제하여 피부 트러블을 방지하고 개선시킬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실시예 5~6 및 비교예 7~10]
하기 표 18에 나타낸 성분 및 함량(중량%)에 따라 실시예 5~6 및 비교예 7~9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설명하면, 실시예 5~6 은 각각 발아 녹차씨 추출물 및 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을 배합시킨 것이고, 비교예 7~8은 각각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 및 미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이며, 비교예 9는 여드름 피부 개선의 유효성분을 전혀 포함시키지 않은 것이고, 비교예 10은 항균력에 대한 기준으로 삼을 표준물질로서, 여드름 치료제로 많이 사용하는 에리스롬마이신(erythromycin)을 함유시킨 것이다.
실시예 5~6 및 비교예 7~10의 제조 방법은 다음과 같다. 하기 표 18의 A상의 성분들을 완전 용해시키고 별도의 용해조에서 B상의 성분들을 완전 용해시킨 다음, B상을 A상에 첨가하여 혼합가용화 시켰다. 여기에 C상의 성분들을 표 18에 기재된 배합비율에 따라 첨가하여 혼합 균일화시킨 다음 여과시켜 본 조성물들을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5 실시예 6 비교예 7 비교예 8 비교예 9 비교예 10
A 탈이온수(Deionized Water)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EDTA-2Na 0.02 0.02 0.02 0.02 0.02 0.02
글리세린 5.0 5.0 5.0 5.0 5.0 5.0
B 에탄올 2.0 2.0 2.0 2.0 2.0 2.0
PEG-60 경화 피마자유(hydrogenated castor oil) 0.4 0.4 0.4 0.4 0.4 0.4
향료(perfume) 0.04 0.04 0.04 0.04 0.04 0.04
C 발아 녹차씨 추출물(제조예 1) 5.0 - - - - -
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제조예 2) - 5.0 - - - -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비교제조예 1) - - 5.0 - - -
미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비교제조예 2) - - - 5.0 - -
에리스롬마이신 - - - - - 5.0
[ 시험예 14] 여드름 개선과 피지분비 감소 및 자극 유무의 시험
여드름을 보유하고 있는 60명을 10명씩 6개 군으로 나누고 각각의 군에 해당하는 피험자에게 상기 실시예 5~6 및 비교예 7~10으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을 한 달간 사용하게 하였다. 여드름 개선 척도는 1점에서 5점까지로 하고, 1점은 ‘아니다’, 3점은 ‘보통이다’, 5점은 ‘매우 그렇다’로 표기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의 표 19에 10명의 평균점수로 표기하였다.
여드름 소멸 시기는 소멸이 판독된 일수를 기준으로 하였으며, 여드름 재발은 유무로 1개월 뒤의 결과를 기준으로 하였다. 피지 분비감소는 1점에서 5점까지로 하고, 1점은 ‘아니다’, 3점은 ‘보통이다’, 5점은 ‘매우 그렇다’로 표기하도록 하였다. 실험 결과는 하기 표 19에 10명의 평균점수로 표기하였다. 피부자극의 유무는 (자극반응을 보인 명수)/(총 시험자수)로 보았다.
염증성 여드름 개선 면포성 여드름 소멸시기 여드름 재발 피지분비 감소 자극 유무
실시예 5 3.9 3.6 2.7 3.5 0.2
실시예 6 4.2 3.7 2.4 3.6 0.3
비교예 7 3.2 3.3 2.4 2.1 0.3
비교예 8 3.8 3.5 2.8 2.5 0.4
비교예 9 2.1 2.3 4.3 1.6 0.3
비교예 10 4.3 4.2 2.1 3.5 0.3
상기 표 19에 나타내 바와 같이, 실시예 5~6은 비교예 7~9에 비해 여드름이 재발되지 않았고, 전반적으로 여드름 개선에 대해 우수한 효과가 있음을 알 수 있다. 한편, 항균력 표준물질을 함유한 비교예 10의 경우, 여드름 개선 효과를 보이고 있으나, 사용함에 있어 자극이 강하여 장기적으로 사용하기에 피부자극의 우려가 있으나, 본원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자극이 없는 것으로 나타났다.
[시험예 15]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력 시험
상기 표 18에 따른 실시예 5~6 및 비교예 7~10의 조성으로 제조된 각각의 화장료 조성물을 가지고 여드름 원인 균주인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ATCC 6919: 배지-BHI 브로쓰(broth)>에 대하여 항균력을 시험하였다.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력 시험 방법은 다음과 같았다.
(1) 시험 균액 준비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는 BHI 브로쓰에 접종하여 혐기 배양한 배양액을 사용하였다.
(2) 희석 용액 준비
BHI 브로쓰(pH 6.8) 또는 LB 브로쓰(pH 4.5) 15ml에 상기 시험 균액을 0.15ml 첨가하여 잘 혼합한 것을 희석용액으로 사용하였다.
(3) 시료 준비
실시예 5~6 및 비교예 7~10로부터 제조된 화장료 조성물 원액 그대로를 시료로 사용하였다.
(4) 항균력 시험
1) 96웰의 세포배양관(96 well plate) 1번 행에 출발 농도에 맞도록 시료를 넣고 희석용액으로 총량을 200μl씩을 넣는다.
2) 1번 행의 혼합액을 잘 섞어준 다음 100μl를 취하여 2번 행에 넣고 잘 섞어준 다음, 다시 100μl를 취하여 3번 행에 넣는 방식으로 이중 희석(double dilution)을 행한다.
3) 32℃에서 24시간 및 48시간 정치 배양한 후 현탁된 정도로 균의 증식 유무를 판단하여 균의 증식이 없는 최소농도를 MIC(최소저지농도; Minimum Inhibitory Concentration) 값으로 결정한다. 만약 혼합액이 불투명하여 균의 증식 유무를 판단하기 어려우면 현미경 관찰을 통하여 확인한다.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력 시험 결과를 아래 표 20에 나타내었다. MIC는 제형에 함유된 유효성분의 농도로 환산하여 표기하였다.
항목 pH 프로피오니박테리움 아크네스 억제 농도(%)
실시예 5 6.0 >6.3
실시예 6 5.9 >0.8
비교예 7 6.1 >25
비교예 8 5.9 >12.5
비교예 9 5.7 최고 농도(항균력 없음)
비교예 10 5.7 > 0.8
MIC에서 % 농도가 작을수록 여드름균에 대한 항균력에 대하여 유효한 물질이라고 할 수 있는데, 실시예 5~6의 경우 공지의 여드름 치료제인 에리스롬마이신을 사용한 비교예 10보다 % 농도가 유사하여 본 발명의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조성물은 시험균에 대하여 훨씬 우수한 항균력을 가짐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5~6은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교예 7~8에 비하여도 우수한 항균력을 가짐을 알 수 있다.
[시험예 16] 혈색 개선 효과
본 발명에 의한 조성물의 피부 혈액 순환 촉진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LDPI(Laser Doppler Perfusion Imager)를 이용하여 피부에서의 혈액순환 정도를 측정하였다. LDPI는 피부에서의 혈액순환을 측정하는 기기로 널리 알려져 있고 현재 사용되고 있는 기기로서, 피부의 모세혈관에서 혈액의 속도 및 양 뿐만 아니라 소동맥과 소정맥에서의 흐름까지 측정해 낼 수 있는 매우 민감한 기기이다.
항온항습실에서 얼굴을 비누로 수세한 후 30분간 적응시키고, LDPI를 이용하여 초기값을 측정하였다. 먼저 평소 손발이 차가운 여성 30명의 이마 아래 부분의 초기 혈류량을 LDPI로 측정하였다. 그런 다음 상기 표 4의 조성에 따른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 각각을 1주일 동안 피시험자들에게 사용하도록 한 후에 측정한 혈류량과 상기 초기 측정값을 비교한 결과(피부 혈류량 변화)를 하기 표 21에 나타내었다.
화장료 사용 전후 LDPI 결과-피부 혈류량
시험물질 1주 사용 후 피부 혈류량 변화율(%)
실시예 1 1.2
실시예 2 3.2
비교예 1 0.6
비교예 2 0.7
비교예 3 0.1
상기 표 21의 결과에서, 본 발명의 발아 녹차씨 추출물이 함유된 실시예 1~2는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이 함유된 비교예 1~2 보다 피부 혈류량을 현저하게 증가시켰으며, 이러한 혈액 순환 촉진을 통해 혈색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이는 궁극적으로 본 발명에 의한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화장료 조성물이 피부의 영양분을 효과적으로 전달하고 피부 노화를 억제하며 지연시키는 데 기여할 수 있음을 시사한다.
[시험예 17] 피부톤 개선 효과
본 발명의 조성물의 피부톤 개선 효과를 알아보기 위하여 30명의 피험자에게 상기 표 4의 조성에 따른 실시예 1~2 및 비교예 1~3을 각각 사용(저녁 1회/일 도포, 총 1주간)하도록 한 후, Facial Stage DM-3(Moritex, Japan) 기기를 활용하여 피부톤 개선 정도를 평가하였다. 피부톤 개선율은 피부의 명도 및 색채 측정값으로 피부의 명도 및 색채 변화 값으로 판단하였으며, 그 결과는 하기 표 22에 나타내었다.
시험물질 피부톤 변화율(%)
명도(평균±표준편차) 색채(평균±표준편차)
실시예 1 1.98±0.11 1.80±0.015
실시예 2 2.21±0.02 1.74±0.03
비교예 1 0.39±0.05 0.11±0.07
비교예 2 0.78±0.0.8 0.23±0.02
비교예 3 2.21±0.02 1.74±0.03
표 22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교예 1~2 및 추출물을 함유하지 않는 비교예 3은 유의적인 피부톤 개선 효능을 보이지 않은 반면,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1~2는 사용전보다 사용후의 피부톤이 많이 개선되는 것을 확인하였다.
[실시예 7~8 및 비교예 11~13]
하기 표 23에 기재된 조성에 따라 각 성분을 혼합하여 실시예 7~8 및 비교예 11~13의 조성물을 제조하였다(단위: 중량%).
성분 실시예7 실시예8 비교예11 비교예12 비교예13
정제수 잔량 잔량 잔량 잔량 잔량
발아 녹차씨 추출물(제조예 1) 1.0 - - - -
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제조예 2) - 1.0 - - -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비교제조예 1) - - 1.0 - -
미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비교제조예 2) - - - 1.0 -
암모늄라우릴설페이트액 30 30 30 30 30
암모늄라우레스설페이트액 20 20 20 20 20
라우릴디메틸아민옥사이드액 5 5 5 5 5
메틸파라벤 0.1 0.1 0.1 0.1 0.1
코카마이드엠이에이 1.0 1.0 1.0 1.0 1.0
세틸알콜 0.5 0.5 0.5 0.5 0.5
폴리쿼터늄 10 0.5 0.5 0.5 0.5 0.5
향료 1.0 1.0 1.0 1.0 1.0
[ 시험예 18] 모발 성장 촉진 효과
<탈모 방지 효과 시험>
초기 탈모 현상이 있는 피검자 30명을 대상으로 탈모 방지 효과에 관한 실험을 16주 동안 진행하였다. 상기 실시예 7~8 및 비교예 11~13의 조성물을 1일 1회씩 16주 동안 사용한 후, 16주가 경과한 다음 머리를 감을 때 다시 탈락모를 수집하여 개수를 세었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4에 나타내었다.
처리군 탈락모개수평균(개)/표준편차
실시예 7 48/23
실시예 8 35/12
비교예 11 60/37
비교예 12 62/24
비교예 13 75/28
상기 표 24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의한 실시예 7~8의 조성물로 처리할 경우 비교예 11~13에 비해 탈락모의 개수가 현저히 감소하는 것을 알 수 있었다. 특히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교예 11~12에 비하여도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7~8을 사용한 경우에 탈락모의 개수가 현저히 감소함을 확인할 수 있다.
<모낭세포 중 모유두세포(dermal papillaecell)의 증식 촉진 효과 평가>
2%의 우태아혈청이 함유된 DMEM(Dulbecco's Modified Eagle's Media) 배지에서 배양한 사람 유래 모낭 모유두세포를 96공 평판배양기(96-wellmicrotiter plate)에 1,000세포/웰이 되도록 분주하였다. 상기 제조예 1~2에 따른 발아 녹차씨 추출물 및 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 비교제조예 1~2에 따른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 및 미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을 각각 10 μg/ml의 농도로 희석하여 첨가하고, 양성 대조군으로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알려져 있는 피롤리디닐디아미노피리미딘옥사이드를 10μg/ml의 농도로 희석하여 첨가하여, 37℃ 온도에서 48시간 동안 배양하였다. 무처리 음성 대조군도 함께 시험하였다. 배양 후, 0.2% MTT(3-[4,5-dimethylthiazol-2-yl]-2,5-diphenyltetrazolium bromide) 용액을 각 웰 당 50㎕씩을 첨가하고, 다시 37℃ 온도에서 4시간 동안 배양한 다음 생성된 물질을 DMSO(Dimethylsulfoxide)로 용해시켰다. 용해된 결과물의 흡광도를 평판배양측정기(microplate reader)를 이용하여 515nm에서 측정하였다. 이를 음성 대조군과 비교하여 시험 물질 흡광도의 상대적 차이를 측정하였으며, 그 결과를 하기 표 25에 나타내었다. 음성대조군을 0%, 양성대조군을 100%로 하여, 하기의 수학식 7로 상대적인 증식율을 계산하였다.
Figure pat00007
시험 물질 처리농도 모유두세포증식능(%)
음성대조군(무처리군) 0 μg/ml 0
양성대조군(피롤리디닐디아미노피리미딘옥사이드) 10 μg/ml 100
발아 녹차씨 추출물(제조예 1) 10 μg/ml 68
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제조예 2) 10 μg/ml 75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비교제조예 1) 10 μg/ml 21
미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비교제조예 2) 10 μg/ml 23
상기 표 25의 결과에서, 본 발명의 발아 녹차씨 추출물인 제조예 1~2는 음성 대조군보다 모유두 세포 증식 효과가 뛰어나므로 그 자체로 모발 성장 촉진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었고, 육모효과가 알려진 피롤리디닐디아미노피리미딘옥사이드와 비교할 때 70% 정도의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또한 특히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인 비교제조예 1~2에 비하여도 뛰어난 모발 성장 촉진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실시예 9~10 및 비교예 14~16]
하기 표 26의 조성으로 샴푸를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계면활성제와 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를 정제수에 첨가하여 80℃가 될 때까지 가열하여 균일하게 용해시킨 후, 교반하에 40℃까지 서서히 냉각시키고, 상기 혼합물에 본 발명에 따른 유효성분과 방부제, 점도조절제, 향료, 모발 컨디셔닝제를 투입하여 혼합한 후, 교반하에 실온까지 냉각시켜 제조하였다.
성분 실시예9 실시예10 비교예14 비교예15 비교예16
라우릴황산암모늄 10 10 10 10 10
폴리옥시에틸렌라우릴황산암모늄 5 5 5 5 5
코코아미도프로필베타인 2 2 2 2 2
에틸렌글리콜디스테아레이트 1.5 1.5 1.5 1.5 1.5
코코일 모노에탄올아미드 0.8 0.8 0.8 0.8 0.8
발아 녹차씨 추출물(제조예 1) 1.0 - - - -
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제조예 2) - 1.0 - - -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비교제조예 1) - - 1.0 - -
미발아 녹차씨 아임계 추출물(비교제조예 2) - - - 1.0 -
폴리쿼터늄-10 0.2 0.2 0.2 0.2 0.2
청색1호 0.0002 0.0002 0.0002 0.0002 0.0002
황색4호 0.0001 0.0001 0.0001 0.0001 0.0001
메틸파라벤 0.1 0.1 0.1 0.1 0.1
향료 0.8 0.8 0.8 0.8 0.8
구연산 0.1 0.1 0.1 0.1 0.1
디메치콘 1.0 1.0 1.0 1.0 1.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to 100
[ 시험예 19] 항비듬 효과
<항비듬력 평가>
상기 실시예 9~10 및 비교예 14~16의 항비듬력을 측정하여 비교하였다. 이때 시험 균주로는 비듬균인 피티로스포름 오발레(Pityrosporum Ovalae (ATCC 12078))를 사용하였다.
항균력 측정방법은 디스크 확산법을 이용하였다. 디스크 확산법을 통하여 MIC(Minimum Inhibitiory Concentration) Test로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는, 멸균 처리된 피부 디스크를 샴푸 희석용액에 3분 동안 담궈두었다가, 흐르는 물로 세정하였다. 그런 다음, 피부 디스크를 시험균이 접종된 고체배지 위에 올려놓은 후 시험균을 배양하였다. 디스크의 크기를 제외하고, 배양 후 균의 증식이 억제된 투명대(clear zone)의 크기를 측정하여 상대적인 항균력을 측정하였다. 실험 결과치는 3회 측정한 결과의 평균값으로 하여 하기 표 27에 나타내었다.
실시예9 실시예10 비교예14 비교예15 비교예16
비듬균 억제환 크기(mm) 14 25 8 9 0
상기 표 27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9~10의 경우 비교예 16과 비교하여 보다 우수한 항비듬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교예 14~15와 비교하여도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9~10의 경우 현저히 우수한 항비듬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비듬감소 효과 시험>
비듬이 비교적 많은 19~35세의 남성 60명을 선정하여 각 상기 실시예 9~10 및 비교예 14~16의 샴푸에 대하여 12명씩 5개 그룹으로 1개월간 다음과 같은 방식으로 사용하게 한 후 비듬 감소율을 측정하였다.
시험 개시 전에 보통 통상의 샴푸로 세발하고, 세발 후 2일간 누적된 비듬을 채집하여 채집된 비듬의 중량과 각 상기 실시예 9~10 및 비교예 14~16 샴푸로 2일에 한번씩 세발하여 시험종료 후 2일간 누적된 비듬의 중량을 비교 평가하였다. 이때 누적된 비듬은 진공 흡입 장치로써 두피로부터 직접 채집하여, 하기 수학식 8에 의거하여 비듬 감소율을 구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8에 나타내었다.
Figure pat00008
실시예9 실시예10 비교예14 비교예15 비교예16
평균값 21.3 34.8 12.3 15.6 3.4
SD 12.7 15.9 7.4) 11.2 2.1
상기 표 28의 결과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9~10의 경우 비교예 16와 비교하여 보다 우수한 항비듬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교예 14~15와 비교하여도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9~10의 경우 현저히 우수한 항비듬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두피 가려움증 방지 효과 시험>
비교적 두피 가려움을 심하게 느끼는 25세~45세의 남녀 60명을 선정하여 12명씩 5개 그룹으로 나누어 각 상기 실시예 9~10 및 비교예 14~16의 샴푸를 3일에 1회씩 2주간 사용하게 한 후 두피 가려움 방지 효과를 하기 평가기준을 통하여 평가하고 그 결과를 하기 표 29에 나타내었다.
[평가 기준]
매우 우수하다 - 5점
우수하다 - 4점
보통이다 - 3점
불량하다 - 2점
매우 불량하다 - 1점
구분 실시예9 실시예10 비교예14 비교예15 비교예16
두피의 가려움증 제거효과 3.6 4.2 2.9 3.2 2.3
상기 표 29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 9~10의 경우 비교예 16와 비교하여 보다 우수한 두피가려움증 방지 효과가 있음을 확인할 수 있다. 특히 미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비교예 14~15와 비교하여도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실시예 9~10의 경우 현저히 우수한 두피가려움증 방지 효과를 가짐을 알 수 있다.

Claims (6)

  1. 발아된 녹차나무 씨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아된 녹차나무 씨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001~5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발아된 녹차나무 씨 추출물의 함량은 조성물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0.1~10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아된 녹차나무 씨 추출물은 발아된 녹차나무 씨의 알코올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아된 녹차나무 씨 추출물은 발아된 녹차나무 씨의 아임계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6.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아임계 추출물은 발아된 녹차나무 씨를 아임계 추출장치에서 50~200MPa의 고압에서 추출하여 수득한 것임을 특징으로 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KR1020180065584A 2018-06-07 2018-06-07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4598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584A KR101945981B1 (ko) 2018-06-07 2018-06-07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5584A KR101945981B1 (ko) 2018-06-07 2018-06-07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037794A Division KR101934564B1 (ko) 2012-04-12 2012-04-12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80068909A true KR20180068909A (ko) 2018-06-22
KR101945981B1 KR101945981B1 (ko) 2019-02-08

Family

ID=62768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5584A KR101945981B1 (ko) 2018-06-07 2018-06-07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945981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377A (ko) * 2019-06-12 2020-12-22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코코넛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개선용 조성물
KR20200142376A (ko) * 2019-06-12 2020-12-22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코코넛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항주름, 또는 보습용 조성물
KR20200142633A (ko) * 2019-06-12 2020-12-23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코코넛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2915A (ko) 2009-04-10 2010-10-20 주성엔지니어링(주) 금속 산화물 박막 형성 방법 및 금속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755427B1 (ko) 2006-03-20 2007-09-04 주식회사 생그린 피부 탄력 증진 효과를 갖는 녹차씨 오일을 함유하는화장료 조성물.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112915A (ko) 2009-04-10 2010-10-20 주성엔지니어링(주) 금속 산화물 박막 형성 방법 및 금속 산화물 박막 트랜지스터 제조 방법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42377A (ko) * 2019-06-12 2020-12-22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코코넛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개선용 조성물
KR20200142376A (ko) * 2019-06-12 2020-12-22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코코넛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항주름, 또는 보습용 조성물
KR20200142633A (ko) * 2019-06-12 2020-12-23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코코넛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945981B1 (ko) 2019-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695002B1 (ko) 프로판노이드 유도체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8709511B2 (en) External preparation composition for skin comprising ginseng flower or ginseng seed extracts
KR101550917B1 (ko) 인삼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438367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707522B1 (ko) 인삼 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24897B1 (ko) 차나무 뿌리 유래 사포닌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28797B1 (ko) 컴파운드 k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US20130101689A1 (en) Composition containing paper mulberry extracts
KR101945981B1 (ko)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34564B1 (ko)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09578B1 (ko) 제주양지꽃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0887631B1 (ko) 인삼 열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39112B1 (ko)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09533B1 (ko) 진세노사이드 f1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39111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099610A (ko) 고사리삼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84434B1 (ko) 한라송이풀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40131027A (ko) 진세노사이드 Rh4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844980B1 (ko) 제주산버들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101939113B1 (ko) 진세노사이드 f2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062045A (ko) 파초일엽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30099609A (ko) 붓순나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40126890A (ko) 진세노사이드 Mc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40131026A (ko) 진세노사이드 y를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KR20140035234A (ko) 참바늘버섯 자실체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