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142376A - 코코넛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항주름, 또는 보습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코코넛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항주름, 또는 보습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142376A
KR20200142376A KR1020190069558A KR20190069558A KR20200142376A KR 20200142376 A KR20200142376 A KR 20200142376A KR 1020190069558 A KR1020190069558 A KR 1020190069558A KR 20190069558 A KR20190069558 A KR 20190069558A KR 20200142376 A KR20200142376 A KR 2020014237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conut
skin
composition
wrinkl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900695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249430B1 (ko
Inventor
강웅철
조수현
박찬현
이미혜
이창민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바디프랜드
Priority to KR10201900695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249430B1/ko
Publication of KR2020014237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142376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24943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249430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07Preparations for dry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2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for chemically bleaching or whitening the ski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9/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skin
    • A61Q19/08Anti-ageing prepar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74Biologic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78Enzyme modulators, e.g. Enzyme agonists
    • A61K2800/782Enzyme inhibitors; Enzyme antagonis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80Process related aspects concerning the preparation of the cosmetic composition or the storage or application thereof
    • A61K2800/85Products or compounds obtained by fermentation, e.g. yoghurt, beer, w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Dermatolog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otan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Birds (AREA)
  • Epidemiology (AREA)
  • Gerontology & Geriatric Medicine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코코넛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항주름, 또는 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일 양상에 따른 코코넛 하우스토리움(Coconut haustorium) 추출물 또는 발아 전 코코넛(Cocos nucifera) 배아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 및/또는 엘라스티아제의 저해 활성을 나타낸 뿐만 아니라, 피부 보습 효과도 가져 피부 미백, 항주름 및/또는 피부 보습을 위한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코코넛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항주름, 또는 보습용 조성물{Composition for whitening, anti-wrinkle or moisturizing comprising Cocos nucifera extract}
코코넛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항주름, 또는 보습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멜라닌은 자외선으로부터 피부를 보호하는 역할을 하지만 과도하게 생성될 경우 피부에 색소가 침착되어 기미와 주근깨를 형성하며, 심할 경우 피부암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따라서, 피부의 색소 침착 현상을 방지하기 위해서는 멜라닌 생성과정의 일부분을 저해하여 멜라닌 생성을 감소시켜야 한다. 멜라닌은 동, 식물과 미생물계에 널리 존재하는 페놀류의 고분자 천연색소로 표피 기저층에 존재하는 멜라닌 세포(melanocyte) 내의 멜라닌소체(melanosome)에서 합성이 된다. 멜라닌은 L-티로신(L-tyrosine)의 연속적인 산화반응으로 합성되는데, L-티로신은 티로시나아제(tyrosinase)에 의해 L-DOPA(3,4-dihydrozyphenylalanine)으로 전환되고, L-DOPA는 페닐아닌-3,4-퀴논으로 산화되며, 중간 대사산물을 거쳐 최종적으로 멜라닌이 된다. 따라서 피부 미백과 관련된 기능성 화장품의 소재를 개발하기 위해서는 그 물질이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지의 여부가 중요하다.
또한, 피부는 다양한 외부자극과 접하는 기회가 많기 때문에 다른 기관들에 비해 주름이 발생하기 쉽다. 그 중에서도 얼굴 피부는 태양광선, 건조 외기 및 공해 물질 등에 직접적으로 노출되어 있어 그렇지 않은 피부보다 주름 등의 노화현상이 조기에 발생한다. 피부조직의 노화에 따른 가장 특징적인 변화는 피부기질(matrix)의 변화로서, 진피층에 있는 섬유아세포(human skin fibroblast)가 노화되어 섬유질과 기질의 생성능력이 줄어들게 된다. 기질의 양이 전반적으로 감소하여 피부의 두께가 얇아지며 피부의 탄력을 저하시켜 주름이 형성된다. 즉, 노화가 진행됨에 따라 피부는 탄력성의 저하, 혈액순환의 장애, 피부 장벽의 약화 등이 심해지게 된다.
따라서 최근에는 천연물을 활용한 화장품 소재의 개발을 위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으며 피부에 안전하면서 미백효과 및 주름 활성을 갖는 소재의 개발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다.
일 양상은 코코넛 하우스토리움(Coconut haustorium) 추출물 또는 발아 전 코코넛(Cocos nucifera) 배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항주름용 또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코코넛 하우스토리움(Coconut haustorium) 추출물 또는 발아 전 코코넛(Cocos nucifera) 배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항주름용 또는 피부 보습용 피부 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코코넛 하우스토리움(Coconut haustorium) 추출물 또는 발아 전 코코넛(Cocos nucifera) 배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항주름용 또는 피부 보습용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코코넛 하우스토리움(Coconut haustorium) 추출물 또는 발아 전 코코넛(Cocos nucifera) 배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항주름용 또는 피부 보습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명세서에서 "코코넛 하우스토리움(Coconut haustorium)"은 "발아 후 코코넛의 배아 또는 그의 일부분"과 상호 호환적으로 사용되고, 코코넛의 발아 동안 배아의 원위로부터 형성되는 스폰지 흡수성 조직(spongy absorbent tissue)를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유효성분" 또는 "유효량"은 질환, 장애 또는 병태, 또는 그의 하나 이상의 증상의 경감, 진행 억제 또는 예방에 충분한 본원에서 제공되는 발명을 실시하는 과정에서 이용되는 조성물의 임의의 양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용어, "투여하는," "도포하는", 및 "도입하는"은 상호교환적으로 사용되고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의 원하는 부위로의 적어도 부분적 국소화를 초래하는 방법 또는 경로에 의한 개체내로의 일 구체예에 따른 조성물의 배치를 의미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물, 알콜, 예를 들면, C1-C6 알콜, 예를 들면, C1-C4 알콜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일 수 있다. 상기 C1-C6 알콜은 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1,3-프로판디올, 부탄올, 펜탄올, 헥산올 등일 수 있다. 상기 용매는 예를 들면, 물과 알콜의 혼합물 즉 알콜 수용액일 수 있다. 알콜 수용액의 알콜 농도는 1 내지 99.5 (v/v)%, 예를 들면, 10 내지 99.5 (v/v)%, 1 내지 70(v/v)%, 1 내지 40(v/v)%, 5 내지 25(v/v)%, 7 내지 20(v/v)%, 5 내지 25(v/v)%, 또는 10 내지 20(v/v)%일 수 있다. 상기 알콜 수용액은 에탄올 수용액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상기 코코넛 하우스토리움 전체, 그 일부분,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 또는 발아 전 코코넛 배아에 대하여 상기 추출 용매를 3 내지 10 (부피/중량)배, 예를 들면, 3 내지 7 (부피/중량)배, 3 내지 5 (부피/중량)배, 5 내지 10 (부피/중량)배, 또는 4 내지 10배 첨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상기 인동 또는 지황의 전초, 그 일부분,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 1kg에 대하여 상기 추출 용매를 3 내지 10 L 첨가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가온된 액체 추출, 가압된 액체 추출 (pressurized liquid extraction: PLE), 초음파 도움을 받은 추출 (microwave assisted extraction: MAE), 아임계 추출 (subcritical extraction: SE), 또는 이들의 조합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상기 아임계 추출은 아임계 수추출 (subcritical water extraction: SWE)일 수 있다. 아임계 수추출은 초가열된 수추출 (superheated water extraction) 또는 가압된 열수 추출 (pressurized hot water extraction: PHWE)라고도 한다. 상기 가온된 액체 추출은 환류 추출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4℃ 내지 70℃, 예를 들면, 4℃ 내지 50℃, 4℃ 내지 40℃, 4℃ 내지 30℃, 10℃ 내지 70, 15℃ 내지 70, 20℃ 내지 70℃, 4℃ 내지 50℃, 10℃ 내지 50℃, 4℃ 내지 40℃, 4℃ 내지 30℃, 10℃ 내지 40℃, 10℃ 내지 35℃, 또는 10℃ 내지 30℃에서 수행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추출 시간은 선택된 온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는데 1 시간 내지 2개월, 예를 들면, 1 시간 내지 1개월, 1 시간 내지 15일, 1 시간 내지 10일, 1 시간 내지 5일, 1 시간 내지 3일, 1 시간 내지 2일, 1 시간 내지 1일, 5 시간 내지 1개월, 5 시간 내지 15일, 5 시간 내지 10일, 5 시간 내지 5일, 5 시간 내지 3일, 5 시간 내지 2일, 5 시간 내지 1일, 10 시간 내지 1개월, 10 시간 내지 15일, 10 시간 내지 10일, 10 시간 내지 5일, 10 시간 내지 3일, 또는 10 시간 내지 2일일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상기 용매 중에 코코넛 하우스토리움 전체, 그 일부분, 또는 이들로부터 유래된 재료, 또는 발아 전 코코넛 배아를 혼합하고 일정 시간 동안 방치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치는 적당한 교반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1회 이상, 예를 들면, 1 내지 5회 반복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식물체 잔사 및 추출액을 여과 등의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분리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또한 얻어진 추출액으로부터 감압 농축과 같은 알려진 방법에 의하여 용매를 제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추출은 또한 얻어진 추출물을 동결건조와 같은 건조에 의하여 건조 추출물을 제조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조성물 총 중량에 대하여 0.001 중량% 내지 80 중량%, 예를 들면, 0.01 중량% 내지 60 중량%, 0.01 중량% 내지 40 중량%, 0.01 중량% 내지 30 중량%, 0.01 중량% 내지 20 중량%, 0.01 중량% 내지 10 중량%, 0.01 중량% 내지 5 중량%, 0.05 중량% 내지 60 중량%, 0.05 중량% 내지 40 중량%, 0.05 중량% 내지 30 중량%, 0.05 중량% 내지 20 중량%, 0.05 중량% 내지 10 중량%, 0.05 중량% 내지 5 중량%, 0.1 중량% 내지 60 중량%, 0.1 중량% 내지 40 중량%, 0.1 중량% 내지 30 중량%, 0.1 중량% 내지 20 중량%, 0.1 중량% 내지 10 중량%, 또는 0.1 중량% 내지 5 중량%의 추출물을 함유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발효 추출물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탄소원을 함유하는 배지에서 30 내지 60℃에서 pH 6 내지 7에서 1일 내지 7일간 이루어지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발효는 바실러스(Bacillus) 속, 스트렙토코커스(Streptococcus) 속, 락토코커스(Lactococcus) 속, 엔테로코커스(Enterococcus) 속, 락토바실러스(Lactobacillus) 속, 페디오코커스(Pediococcus) 속, 류코노스톡(Leuconostoc) 속, 바이셀라(Weissella) 속, 비피도박테리움(Bifidobacterium) 속, 사카로마이세스(Saccharomyce) 속 및 갈락토마이세스(Galactomyces) 속으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된 하나 이상의 균주로 발효된 것일 수 있다. 더욱 구체적으로, 상기 균주는, 균주는 락토바실러스 플란타룸(Lactobacillus plantarum), 락토바실러스 카제이(Lactobacillus casei), 락토바실러스 아시도필루스(Lactobacillus acidophilus), 락토바실러스 퍼멘텀(Lactobacillus fermentum), 락토바실러스 커바투스(Lactobacillus curvatus), 락토바실러스 콘푸수스(Lactobacillus confusus), 락토바실러스 가세리(Lactobacillus gasseri), 비피도박테리움 브레브(Bifidobacterium breve), 비피도박테리움 써모필럼(Bifidobacterium thermophilum), 스트렙토코크스 써모필루스(Streptococcus thermophilus), 류코노스톡 메센테로이데스(Leuconostoc mesenteroides), 사카로마이세스 세레비지애(S. cerevisiae), 사카로마이세스 바야누스(S. bayanus), 사카로마이세스 파라독서스 (S. paradoxus), 사카로마이세스 미카테(S. mikatae), 사카로마이세스 쿠드리아브제비(S. kudriavzevii), 또는 갈락토마이세스 칸디둠(Galactomyces candidum)일 수 있다.
특정 이론에 제한됨이 없이, 상기 코코넛 하우스토리움, 또는 발아전 코코넛 배아의 추출물(또는 발효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 및/또는 엘라스티아제의 활성을 저해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코코넛 하우스토리움, 또는 발아전 코코넛 배아의 추출물(또는 발효 추출물)은 피부 보습 활성을 갖는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상기 조성물은 피부 미백, 항주름, 및/또는 보습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화장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예를 들면, 유연화장수, 영양화장수, 마사지크림, 영양크림, 에센스, 팩, 젤, 앰플 또는 피부 점착 타입의 화장료 제형을 갖는 것일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성분은 유효성분으로서 상기 조성물 이외에 화장료 조성물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성분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면, 안정화제, 용해화제, 비타민, 안료 및 향료와 같은 통상적인 보조제 및 담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을 피부 외용제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크림, 겔, 연고, 피부 유화제, 피부 현탁액, 경피전달성 패치, 약물 함유 붕대, 로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통상 화장품이나 의약품 등의 피부외용제에 사용되는 성분, 예를 들면 수성성분, 유성성분, 분말성분, 알코올류, 보습제, 증점제, 자외선흡수제, 미백제, 방부제, 산화방지제, 계면활성제, 향료, 색제, 각종 피부 영양제, 또는 이들의 조합과 필요에 따라서 적절하게 배합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는, 에데트산이나트륨, 에데트산삼나트륨, 시트르산나트륨, 폴리인산나트륨, 메타인산나트륨, 글루콘산 등의 금속봉쇄제, 카페인, 탄닌, 벨라파밀, 감초추출물, 글라블리딘, 칼린의 과실의 열수추출물, 각종생약, 아세트산토코페롤, 글리틸리틴산, 트라넥삼산 및 그 유도체 또는 그 염등의 약제, 비타민 C, 아스코르브산인산마그네슘, 아스코르브산글루코시드, 알부틴, 코지산, 글루코스, 프룩토스, 트레할로스 등의 당류등도 적절하게 배합할 수 있다.
다른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약학적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허용가능한 희석제 또는 담체를 추가적으로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희석제는 유당, 옥수수 전분, 대두유, 미정질 셀룰로오스, 또는 만니톨, 활택제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탈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담체는 부형제, 붕해제, 결합제, 활택제,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미결정 셀룰로오즈, 유당, 저치환도 히드록시셀룰로오즈,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붕해제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칼슘, 전분글리콜산 나트륨, 무수인산일수소 칼슘,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결합제는 폴리비닐피롤리돈, 저치환도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즈,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활택제는 스테아린산 마그네슘, 이산화규소, 탈크,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경구 또는 비경구 투여 제형으로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 투여 제형은 과립제, 산제, 액제, 정제, 캅셀제, 건조시럽제, 또는 그 조합일 수 있다. 비경구 투여 제형은 주사제일 수 있다.
일 양상에 따른 코코넛 하우스토리움(Coconut haustorium) 추출물 또는 발아 전 코코넛(Cocos nucifera) 배아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 및/또는 엘라스티아제의 저해 활성을 나타낸 뿐만 아니라, 피부 보습 효과도 가져 피부 미백, 항주름 및/또는 피부 보습을 위한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을 실시예를 통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이들 실시예는 본 발명을 예시적으로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범위가 이들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발아 후 코코넛 배아(코코넛 하우스토리움) 추출물의 제조
발아 후 코코넛 배아(코코넛 하우스토리움) 추출물은 다음과 같이 제조하였다.
먼저, 발아된 코코넛(바누아트산 직접 수입)으로부터 배아(코코넛 하우스토리움)를 분리하였다. 약 100 g의 코코넛 하우스토리움을 분리한 이후에, 이들을 분쇄한 후, 물 200 ㎖을 각각 첨가하여 상온에서 48 시간 교반한 후 추출하였다. 추출 후 여과지(filter paper;Whatman NO. 2, Maidstone, UK)로 여과하여 40 ℃ 이하의 중탕에서 감압 환류 냉각장치(N-1110S, EYELA, Tokyo, JAPAN)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였다. 모든 시료는 실험 전까지 80 ℃ 냉동 보관하였으며,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에 용해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회수율은 17.89% 이었다.
실시예 2. 발아 전 코코넛 배아 추출물의 제조
먼저, 발아되기 전의 코코넛(바누아트산 직접 수입)으로부터 배아를 분리하였다. 약 100 g의 코코넛 배아를 분리한 이후에, 이들을 분쇄한 후, 물 200 ㎖을 각각 첨가하여 상온에서 48 시간 교반한 후 추출하였다. 추출 후 여과지(filter paper;Whatman NO. 2, Maidstone, UK)로 여과하여 40 ℃ 이하의 중탕에서 감압 환류 냉각장치(N-1110S, EYELA, Tokyo, JAPAN)로 농축한 후 동결건조하였다. 모든 시료는 실험 전까지 80 ℃ 냉동 보관하였으며, 디메틸설폭사이드(dimethyl sulfoxide, DMSO)에 용해하여 실험에 사용하였다. 회수율은 19.21% 이었다.
실시예 3. 발아 후 코코넛 배아(코코넛 하우스토리움) 발효 추출물의 제조
먼저, 발아된 코코넛(바누아트산 직접 수입)으로부터 배아(코코넛 하우스토리움)를 분리하였다. Lactobacillus casei을 배양 배지에서 37℃에서 1일간 배양한 후, 형성된 콜로니를 선별하였다. 이후에, 형성된 콜로니를 멸균된 배양 배지에 접종한 후 다시 37℃ 온도 배양기에서 24시간 진탕배양시켰다. 이후에, 상기 분쇄된 코코넛 하우스토리움을 10 g/L가 되도록 균주 배양액에 첨가한 후, 37 ℃에서 1 내지 3일간 배양하였다. 이후에, 발효를 종료하기 위해 100℃에서 40분간 열을 가하여 균의 기능상실을 유도하였다.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채취하거나, 여과된 상등액을 사용하였다. 제조된 발효액은 동물세포 배양용 배지인 MEM과 동량으로 섞은 후에 0.22 ㎛ 필터에 여과하여 균을 제거한 액을 사용하였다.
실험예 1. 코코넛 배아 추출물의 미백 활성 분석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코코넛 하우스토리움 추출물과 발아 전 코코넛 배아 추출물의 미백 활성을 분석하기 위해 티로시나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0.1M 인산 완충용액(Phosphate buffer pH 6.8) 150㎕에 1.5mM L-티로신 50㎕를 첨가하였다. 이후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코코넛 하우스토리움 추출물과 발아전 코코넛 배아 추출물을 각각 50 ug/ml, 100 ug/ml 및 200 ug/ml의 농도로 첨가하였다. 양성 대조군으로는 코코넛 오일 및 코코넛 열매 추출물을 사용하였다. 코코넛 열매 추출물은 코코넛의 Kernel 부위를 분리한 후, 상기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제조하였다. 다음으로, 티로시나아제 (100 U/㎖)를 30㎕ 첨가하여 37℃에서 15분간 반응시켰다. 대조군으로는 DMSO를 사용하였고, 공시료액으로는 티로시나아제 효소 대신 0.1M 인산 완충용액을 첨가하여 상기와 동일하게 반응시켰다. 이후에, 490 nm에서 흡광도를 측정하고 하기 수학식 1에 따라 코코넛 배아 추출물의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을 분석하였고, 그 결과를 표 1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1]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 = (1 - (시험군 흡광도 - 시료의 흡광도)/(대조군 흡광도 - 공시료액 흡광도)) * 100
시료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
50 ug/ml 100 ug/ml 200 ug/ml
CH 추출물 12.33 20.54 35.67
CB 추출물 6.18 11.59 21.75
CH 발효 추출물 14.19 22.45 36.78
CO 4.52 7.54 15.33
CN 추출물 5.01 8.12 14.49
CH 추출물: 코코넛 하우스토리움 추출물; CB 추출물: 발아전 코코넛 배아 추출물; CO: 코코넛 오일; CN 추출물: 코코넛 열매 추출물
상기 표 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구체예에 따른 코코넛 하우스토리움 추출물과 발아전 코코넛 배아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티로시나아제 저해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양성 대조군인 코코넛 오일 또는 코코넛 열매 추출물과 비교하여, 코코넛 하우스토리움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를 약 2배 더 많이 저해함을 알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는 코코넛 하우스토리움 추출물 및 발아 전 코코넛 배아 추출물이 높은 효소 저해 활성을 나타내, 피부 미백용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2. 코코넛 배아 추출물의 항주름 활성 분석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코코넛 하우스토리움 추출물과 발아 전 코코넛 배아 추출물의 항주름 활성을 분석하기 위해 엘라스타아제 활성 저해 효과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엘라스타아제에 펩티드(Sigma-Aldrich, USA) 기질인 N-숙시닐-(Ala)3-p-니트로아닐린의 가수분해를 통해 단위 시간당 생성되는 4-니트로아닐린의 방출량의 증가를 엘라스타아제의 활성치로 측정하였다. 먼저, 0.276 M Trizma-HCl (pH 8.0)(Sigma-Aldrich, USA) 160㎕에 8.8 mM N-숙시닐-(Ala)3-p-니트로아닐린을 30㎕ 첨가하였다. 이후에, 이후에, 상기 실시예 1 내지 3에서 제조한 코코넛 하우스토리움 추출물과 발아전 코코넛 배아 추출물을 각각 50 ug/ml, 100 ug/ml 및 200 ug/ml의 농도로 첨가하였다. 다음으로 엘라스타아제(3.5 U/㎖)를 30㎕ 첨가하여 37℃에서 20분간 반응시켰다. 대조군에는 시료액 대신 DMSO를 넣었으며, 공시료액에는 시료액 대신 DMSO 및 효소대신 BSA용액을 첨가하였다. 반응 후 410㎚에서 흡광도를 측정하였으며, 결과를 하기 수학식 2에 따라 계산하여 시료의 효소저해활성 정도를 구하였다. 그 결과는 표 2에 나타내었다.
[수학식 2]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 (1 - (시험군 흡광도 - 시료의 흡광도)/(대조군 흡광도 - 공시료액 흡광도)) * 100
시료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
50 ug/ml 100 ug/ml 200 ug/ml
CH 추출물 9.14 18.29 37.12
CB 추출물 6.15 12.15 24.55
CH 발효 추출물 11.21 20.08 35.28
CO 3.61 5.15 11.25
CN 추출물 4.05 7.12 14.33
CH 추출물: 코코넛 하우스토리움 추출물; CB 추출물: 발아전 코코넛 배아 추출물; CO: 코코넛 오일; CN 추출물: 코코넛 열매 추출물
상기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구체예에 따른 코코넛 하우스토리움 추출물과 발아전 코코넛 배아 추출물은 농도 의존적으로 엘라스타아제 저해 활성이 있음을 알 수 있었다. 또한, 양성 대조군인 코코넛 오일 또는 코코넛 열매 추출물과 비교하여, 코코넛 하우스토리움 추출물은 티로시나아제를 약 2~3배 더 많이 저해함을 알 수 있었다. 상기의 결과는 코코넛 하우스토리움 추출물 및 발아 전 코코넛 배아 추출물이 높은 효소 저해 활성을 나타내, 항주름용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음을 의미한다.
실험예 3. 코코넛 배아 추출물의 보습 활성 분석
상기 실시예 1 및 2에서 제조한 코코넛 하우스토리움 추출물과 발아 전 코코넛 배아 추출물의 보습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시료 도포 후의 시간 경과에 따른 피부 수분도 변화를 측정하였다.
구체적으로, 20~40대 성인 여성 5명을 대상으로 200 ug/ml의 시료(코코넛 하우스토리움 추출물과 발아 전 코코넛 배아 추출물, 및 코코넛 오일)를 도포 전, 도포 직후, 및 시간 경과에 따른 피부 수분도를 Corneometer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먼저, 시험 30분 전 시험 부위를 미온수로 세정한 후 항온 항습실 (20 ± 2℃, 40 내지 60% 습도)에서 10분간 대기 후 시험 부위의 무도포 시의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였다. 또한, 시험 제품을 시험 부위에 적용시킨 후, 제품 도포 직후, 2시간 후의 피부 수분도를 측정하였다. 단위는 단위상수인 A.U.이며 측정값은 3회의 평균을 나타내었고, 그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시료 도포 전 도포 직후 도포 2시간 후
무처리 22.21 ± 4.35 22.52 ± 3.18 21.63 ± 4.42
CH 추출물 21.35 ± 3.64 58.45 ± 2.24 37.99 ± 3.54
CB 추출물 21.66 ± 3.38 45.89 ± 2.21 26.16 ± 3.32
CH 발효 추출물 20.59 ± 5.21 52.56 ± 3.18 35.22 ± 3.47
CO 58.45 ± 2.24 28.78 ± 4.21 23.59 ± 5.08
CN 추출물 58.45 ± 2.24 30.59 ± 5.18 24.13 ± 5.22
CH 추출물: 코코넛 하우스토리움 추출물; CB 추출물: 발아전 코코넛 배아 추출물; CO: 코코넛 오일; CN 추출물: 코코넛 열매 추출물
상기 표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일 구체예에 따른 코코넛 하우스토리움 추출물 및 발아 전 코코넛 배아 추출물은 도포 직후와 도포 2시간 후 모두 보습 효과를 나타냈으나, 코코넛 오일 및 코코넛 열매 추출물의 경우에는 도포 직후에는 보습 효과가 나타나나, 피부 수분도가 높게 유지되지는 않음을 알 수 있었다. 이상의 결과로 일 구체예에 따른 코코넛 하우스토리움 추출물 및 발아 전 코코넛 배아 추출물은 보습 효과가 우수하며, 피부 수분도 유지에 큰 역할을 할 수 있음을 알 수 있다.

Claims (12)

  1. 코코넛 하우스토리움(Coconut haustorium) 추출물 또는 발아 전 코코넛(Cocos nucifera) 배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4 알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3.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티로시나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4.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발효 추출물인 것인 피부 미백용 화장료 조성물.
  5. 코코넛 하우스토리움(Coconut haustorium) 추출물 또는 발아 전 코코넛(Cocos nucifera) 배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주름용 화장료 조성물.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4 알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인 항주름용 화장료 조성물.
  7.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조성물은 엘라스타아제의 활성을 억제하는 것인 항주름용 화장료 조성물.
  8.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발효 추출물인 것인 항주름용 화장료 조성물.
  9. 코코넛 하우스토리움(Coconut haustorium) 추출물 또는 발아 전 코코넛(Cocos nucifera) 배아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10. 청구항 9에 있어서, 상기 추출물은 물, C1-C4 알콜, 또는 이들의 조합을 용매로 하여 추출된 것인 피부 보습용 화장료 조성물.
  11. 코코넛 하우스토리움(Coconut haustorium) 추출물 또는 발아 전 코코넛(Cocos nucifera) 배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미백용 피부 외용제.
  12. 코코넛 하우스토리움(Coconut haustorium) 추출물 또는 발아 전 코코넛(Cocos nucifera) 배아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주름용 피부 외용제.
KR1020190069558A 2019-06-12 2019-06-12 코코넛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항주름, 또는 보습용 조성물 KR10224943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558A KR102249430B1 (ko) 2019-06-12 2019-06-12 코코넛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항주름, 또는 보습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90069558A KR102249430B1 (ko) 2019-06-12 2019-06-12 코코넛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항주름, 또는 보습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142376A true KR20200142376A (ko) 2020-12-22
KR102249430B1 KR102249430B1 (ko) 2021-05-07

Family

ID=7408666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90069558A KR102249430B1 (ko) 2019-06-12 2019-06-12 코코넛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항주름, 또는 보습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249430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922A1 (ko) 2020-10-29 2022-05-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0813A (ko) * 2006-06-28 2008-01-03 주식회사 정식품 대두 배아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70011265A (ko) * 2015-07-22 2017-02-02 원경제약 주식회사 녹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에센스 화장료 조성물
KR20170011276A (ko) * 2015-07-22 2017-02-02 원경제약 주식회사 녹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170011269A (ko) * 2015-07-22 2017-02-02 원경제약 주식회사 녹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크림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8909A (ko) * 2018-06-07 2018-06-22 (주)아모레퍼시픽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00813A (ko) * 2006-06-28 2008-01-03 주식회사 정식품 대두 배아 추출물 및 이를 포함하는 피부 미백용 조성물
KR20170011265A (ko) * 2015-07-22 2017-02-02 원경제약 주식회사 녹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에센스 화장료 조성물
KR20170011276A (ko) * 2015-07-22 2017-02-02 원경제약 주식회사 녹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클렌징 화장료 조성물
KR20170011269A (ko) * 2015-07-22 2017-02-02 원경제약 주식회사 녹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하는 피부 트러블 개선용 크림 화장료 조성물
KR20180068909A (ko) * 2018-06-07 2018-06-22 (주)아모레퍼시픽 발아 녹차씨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외용제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네이버 블로그(https://blog.naver.com/flowlett/221436887756): [화장품 좋은성분] 코코넛야자열매추출물 (2019.01.08.)*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22092922A1 (ko) 2020-10-29 2022-05-05 주식회사 엘지에너지솔루션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그 제조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249430B1 (ko) 2021-05-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197174B1 (ko) 큐티박테리움 그래뉼로섬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249430B1 (ko) 코코넛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미백, 항주름, 또는 보습용 조성물
KR102484422B1 (ko) 사막 선인장 추출물 및 락토바실러스 배양액을 포함하는 화장료 조성물
KR102249432B1 (ko) 코코넛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염증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220096261A (ko) 마이크로코커스 루테우스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KR20220096031A (ko) 브레비바실러스 보스테렌시스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KR102249431B1 (ko) 코코넛 추출물을 함유하는 탈모 개선용 조성물
KR102368736B1 (ko) 마이크로박테리움 올레이보란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336747B1 (ko) 판토에아 아나나티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495404B1 (ko) 브레분디모나스 베지큘라리스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KR102495402B1 (ko) 버크홀데리아 비에트나미엔시스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KR102558085B1 (ko) 비피도박테리움 애니멀리스 서브스페시스 락티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316637B1 (ko) 병풀 유래 바실러스 서브틸리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102480527B1 (ko) 코쿠리아 팔루스트리스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KR20240016185A (ko) 스트렙토코커스 오랄리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240016184A (ko) 스트렙토코커스 룹네리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240002688A (ko) 스트렙토코커스 파라상귀니스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240016183A (ko) 스트렙토코커스 도우니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230130446A (ko) 엔히드로박테르 아에로사쿠스 v-5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230168063A (ko) 나이세리아 서브플라바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220096075A (ko) 노보스핑고비움 후미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KR20220096258A (ko) 스트렙토코커스 뉴모니아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KR20220096000A (ko) 골도니아 테레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KR20240010585A (ko) 후디시움 저그렌디스 버렌거 균주 및 그의 피부 상태 개선 용도
KR20220096260A (ko) 큐티박테리움 그래뉼로섬 균주 및 그의 모발 또는 두피 상태 개선 용도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