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6531A -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시스템 - Google Patents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6531A
KR20220126531A KR1020210030917A KR20210030917A KR20220126531A KR 20220126531 A KR20220126531 A KR 20220126531A KR 1020210030917 A KR1020210030917 A KR 1020210030917A KR 20210030917 A KR20210030917 A KR 20210030917A KR 20220126531 A KR20220126531 A KR 2022012653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location information
identification
user terminal
loc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3091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52307B1 (ko
Inventor
박재현
박정휘
박정은
Original Assignee
박재현
박정휘
박정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재현, 박정휘, 박정은 filed Critical 박재현
Priority to KR102021003091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52307B1/ko
Publication of KR2022012653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653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5230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5230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3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using mutual or relative location information between multiple location based services [LBS] targets or of distance threshold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4Guidance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3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 H04W4/33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environments, situations or purposes for indoor environments, e.g. building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18Service support devices; Network management devic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Radar Systems Or Details Thereof (AREA)

Abstract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식별 및 위치탐색 시스템이 개시되며,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1위치 정보 및 탐색하려는 대상 설비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건물 내의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하여 마련된 무선 모듈로부터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대상 설비의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 중 상기 대상 설비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위치 정보와 상기 식별된 대상 설비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인 제2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시스템{SYSTEM FOR IDENTIFICATION AND LOCATION SEARCHING OF IN-BUILDING FACILITY BASED ON WIRELESS COMMUNICATION}
본원은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대형 전시장, 대형 마트, 멀티플렉스 몰 등의 대규모 건물 내의 실내 공간에는 실내 공기 제어, 소방 등의 목적으로 다양한 설비가 천장 상부, 벽체 내부, 바닥 하측 등에 설치될 수 있다. 특히, 대규모 건물의 천장의 경우 다수의 덕트, 전원 배선 등이 복잡하게 배치되며, 이러한 다양한 구조물과 근접하여 환기 또는 소방 목적의 댐퍼가 다수 설치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따라서, 댐퍼 등의 건물 내 설비의 점검이나 수리가 필요한 상황에서 작업자가 해당 설비에 근접하기 위해서는 건물의 도면 등을 통해 설비의 대략적인 위치를 파악한 후 해당 위치에 도달하여 탐색하려는 설비의 정확한 위치를 육안에 의존하여 직접 탐색해야 하는 어려움이 있다.
본원의 배경이 되는 기술은 한국등록특허공보 제10-2090312호에 개시되어 있다.
본원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서, 건물 내에 존재하는 각종 설비의 위치 정보와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가 탐색하려는 설비의 위치 정보 및 해당 설비에 도달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시스템을 제공하려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다만, 본원의 실시예가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는 상기된 바와 같은 기술적 과제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이 존재할 수 있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1위치 정보 및 탐색하려는 대상 설비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건물 내의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하여 마련된 무선 모듈로부터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대상 설비의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 중 상기 대상 설비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위치 정보와 상기 식별된 대상 설비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인 제2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방법은, 상기 제1위치 정보 및 상기 제2위치 정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식별 범위 내이면, 상기 대상 설비의 무선 모듈로 유도 정보의 출력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위치 정보 및 상기 제2위치 정보 간의 3차원 변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방법은, 상기 제1위치 정보 및 상기 제2위치 정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식별 범위 내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대상 설비에 대한 근접 안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대상 설비 및 상기 복수의 설비는 댐퍼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방법은, 상기 식별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대상 설비의 점검 이력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상기 대상 설비의 무선 모듈로부터 수신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설비의 상기 점검 이력 정보 및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제2위치 정보와 중첩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방법은, 상기 제1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설비를 포함하는 상기 건물 내의 대상 영역에 도달하기 위한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경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방법은,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1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변 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하여 마련된 무선 모듈로부터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위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설비 중에서 사용자가 탐색하려는 대상 설비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위치 정보 및 상기 선택된 대상 설비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인 제2위치 정보 간의 3차원 변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탐색하려는 대상 설비의 정보를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1위치 정보 및 상기 건물 내의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하여 마련된 무선 모듈로부터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 획득부, 상기 대상 설비의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 중 상기 대상 설비를 식별하는 식별부 및 상기 제1위치 정보와 상기 식별된 대상 설비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인 제2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하는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부는, 상기 제1위치 정보 및 상기 제2위치 정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식별 범위 내이면, 상기 대상 설비의 무선 모듈로 유도 정보의 출력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부는, 상기 제1위치 정보 및 상기 제2위치 정보 간의 3차원 변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부는, 상기 제1위치 정보 및 상기 제2위치 정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식별 범위 내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대상 설비에 대한 근접 안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서비스 제공 장치는, 상기 대상 설비의 점검 이력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상기 대상 설비의 무선 모듈로부터 수신하는 상태정보 획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유도부는, 상기 대상 설비의 상기 점검 이력 정보 및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제2위치 정보와 중첩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서비스 제공 장치는,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1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변 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하여 마련된 무선 모듈로부터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 획득부, 상기 제1위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설비 중에서 사용자가 탐색하려는 대상 설비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 및 상기 제1위치 정보 및 상기 선택된 대상 설비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인 제2위치 정보 간의 3차원 변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하는 유도부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시스템은, 상기 건물 내의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하여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복수의 무선 모듈, 탐색하려는 대상 설비의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 중에서 상기 대상 설비를 식별하고, 사용자 단말의 제1위치 정보 및 상기 대상 설비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인 제2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서버 및 상기 제1위치 정보 및 상기 제2위치 정보 간의 3차원 변위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과제 해결 수단은 단지 예시적인 것으로서, 본원을 제한하려는 의도로 해석되지 않아야 한다. 상술한 예시적인 실시예 외에도, 도면 및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 추가적인 실시예가 존재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과제 해결 수단에 의하면, 건물 내에 존재하는 각종 설비의 위치 정보와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사용자가 탐색하려는 설비의 위치 정보 및 해당 설비에 도달하기 위한 가이드 정보를 제공하는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시스템을 제공할 수 있다.
다만, 본원에서 얻을 수 있는 효과는 상기된 바와 같은 효과들로 한정되지 않으며, 또 다른 효과들이 존재할 수 있다.
도 1은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2는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1위치 정보와 대상 설비에 대응하는 제2위치 정보의 변위 정보를 2차원 평면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1위치 정보와 대상 설비에 대응하는 제2위치 정보의 변위 정보를 3차원 공간에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5는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은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원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본원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원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원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소자를 사이에 두고 "전기적으로 연결" 또는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상부에", "상단에", "하에", "하부에", "하단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본원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 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본원은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도 1은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시스템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시스템(10)은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서비스 제공 장치(100)(이하, '서비스 제공 장치(100)'라 한다.), 사용자 단말(200) 및 무선 모듈(300)을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본원에서 개시하는 무선 통신 기반의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버(100)로 달리 지칭될 수 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 사용자 단말(200) 및 무선 모듈(300) 상호간은 네트워크(20)를 통해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0)는 단말들 및 서버들과 같은 각각의 노드 상호간에 정보 교환이 가능한 연결 구조를 의미하는 것으로, 이러한 네트워크(20)의 일 예에는, 3GPP(3rd Generation Partnership Project) 네트워크, LTE(Long Term Evolution) 네트워크, 5G 네트워크, WIMAX(World Interoperability for Microwave Access) 네트워크, 인터넷(Internet), LAN(Local Area Network), Wireless LAN(Wireless Local Area Network), WAN(Wide Area Network), PAN(Personal Area Network), wifi 네트워크, 블루투스(Bluetooth) 네트워크, 위성 방송 네트워크, 아날로그 방송 네트워크, DMB(Digital Multimedia Broadcasting) 네트워크, Zigbee 통신 네트워크, XBEE 통신 네트워크, RFID 통신 네트워크, UWB(Ultra Wide Band, 초광대역 통신) 네트워크 등이 포함되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특히, 본원에서 개시하는 무선 모듈(300)과 서비스 제공 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200)의 통신은 무선 통신(Wireless Communication) 방식에 의한 것일 수 있다.
사용자 단말(200)은 예를 들면, 스마트폰(Smartphone), 스마트패드(SmartPad), 태블릿 PC등과 PCS(Personal Communication System), GSM(Global System for Mobile communication), PDC(Personal Digital Cellular), PHS(Personal Handyphone System),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 IMT(International Mobile Telecommunication)-2000, CDMA(Code Division Multiple Access)-2000, W-CDMA(W-Code Division Multiple Access), Wibro(Wireless Broadband Internet) 단말기 같은 모든 종류의 무선 통신 장치일 수 있다.
특히, 본원의 실시예에 관한 설명에서 사용자 단말(200)은 대상 설비(1)의 점검 등을 목적으로 대상 설비(1)의 위치를 탐색하고자 하는 사용자(작업자, 시설관리자 등)가 보유한 단말로서 사용자는 대상 설비(1)의 위치 정보를 포함한 대상 설비(1) 관련 각종 정보를 획득하기 위하여 사용자 단말(200)을 소지한 상태로 대상 설비(1)가 마련되는 공간(특정 건물 내부의 실내 공간 등)을 이동하는 주체를 의미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 설비(1)는 소방 설비, 공조 설비, 조명 설비, 전기 설비, 기계 설비, 위생기구 설비, 급배수 설비, 위생기구 설비, 오수정화 설비, 환기 설비, 주방 설비, 방재 설비, 수송 설비, 가스 설비 등 건물 내외부 또는 특정 시설물 등에 구비되는 각종 설비 내지 객체(오브젝트)를 폭넓게 포함하는 개념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대상 설비(1)가 소방 또는 환기 목적으로 대상 영역의 천장 등에 마련되는 댐퍼인 것으로 본원의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 또는 서버(100)는 탐색하려는 대상 설비(1)의 정보 및 무선 모듈(300)로부터 수신된 대상 설비(1)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건물 내의 복수의 설비 중에서 대상 설비(1)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 또는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제1위치 정보 및 대상 설비(1)의 무선 모듈(3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인 제2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할 수 있다.
또한, 무선 모듈(300)은 건물 내의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하여 마련되며, 복수의 설비 각각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서비스 제공 장치(100) 또는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도록 설비마다 개별적으로 마련되어 건물 내에 복수 개 설치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00)은 서비스 제공 장치(100) 또는 서버(100)로부터 수신한 제1위치 정보 및 제2위치 정보 간의 변위 정보를 출력하여 사용자가 현재 위치로부터 대상 설비(1)가 위치하는 영역까지 도달할 수 있도록 보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은 제1위치 정보 및 제2위치 정보 간의 3차원 변위 정보를 시각적으로 표출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 제1위치 정보와 제2위치 정보 간의 변위 정보는 청각적 출력 방식(BEEP 음, 음성 안내, 음향, 음악, 경보음, 지시음 등), 촉각적 출력 방식(진동 방식 등), 시각적 표시 방식(사용자 단말(200)에 마련된 디스플레이(LCD, OLED, LED 등)을 이용한 화면 출력) 등을 폭넓게 포함하는 정보 출력 방식으로 사용자에게 제공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제1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제1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마련된 관성 센서(지자기 센서, 가속도 센서, 자이로스코프 등), 위치 센서 등의 센싱 결과, GPS 정보 등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는 방식으로 제1위치 정보를 파악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마련된 카메라 모듈 또는 해당 건물 내에 마련된 촬영 디바이스(예를 들면, CCTV 등)로부터 획득되는 영상에 대한 영상 분석을 통해 제1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것일 수 있다.
또 다른 예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에 구비된 음향 센서(마이크 등)로 수집되는 사용자 단말(200) 주변 공간의 음향 정보에 기초하여 제1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것일 수 있다.
종합하면, 사용자 단말(200)의 위치 정보인 제1위치 정보를 파악하는 프로세스는 지구 자기장을 이용한 측위, 카메라, 소리, 조명 등을 이용한 위치인식 방식 등이 폭넓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탐색하려는 대상 설비(1)의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대상 영역(예를 들어, 특정 건물 내부 등)에 설치된 복수의 설비의 목록을 사용자 단말(200)로 제공하고,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인가된 목록에 대한 대상 설비(1) 선택 입력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는 방식으로 대상 설비(1)의 정보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서비스 제공 장치(100)에 의해 제공되는 선택 가능한 복수의 설비의 목록과 관련하여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대상 설비(1)를 포함하는 복수의 설비가 화재 발생 상황에서 제연 또는 급기를 위해 개폐되는 댐퍼이고, 건물 내부에 화재가 발생한 것으로 판단된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화재 발생 위치 또는 화재 발생 층과 연계된 복수의 설비의 목록을 사용자 단말(200)로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대상 설비(1)를 포함하는 복수의 설비가 환기/공조 목적의 설비인 경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건물 내부의 영역별, 층별 공기질 정보 등에 기초하여 특정 영역 또는 특정 층의 설비를 우선 탐색할 수 있도록 공기질 정보에 기초하여 공기질이 소정 수준 이상 악화된 영역에 배치된 복수의 설비의 목록을 사용자 단말(200)로 우선적으로 제공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 인가된 설비 탐색 조건 입력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고, 건물 내의 복수의 설비 중 수신된 설비 탐색 조건 입력에 부합하는 설비를 대상 설비(1)로서 특정하는 방식으로 대상 설비(1)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설비 탐색 조건 입력은 대상 영역에 마련된 복수의 유형을 가지는 설비 중 특정 유형의 설비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 마지막 점검이 수행된 후 오랜 시간이 경과한 설비를 선택적으로 대상 설비(1)로 결정할 수 있도록 점검 경과 시간에 대한 임계값을 설정하는 사용자 입력 등에 대응하는 것일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 설비(1)는 복수의 설비로 결정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획득된 제1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대상 설비(1)를 포함하는 건물 내의 대상 영역에 도달하기 위한 경로 정보를 생성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생성된 경로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여 사용자가 경로 정보를 기초로 대상 영역에 도달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대상 영역은 사용자가 탐색하고자 하는 대상 설비(1)가 위치하는 것으로 미리 파악된 층, 호실 등 건물 내부의 구획된 영역(공간)으로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탐색하려는 대상 설비(1)가 위치하는 대상 영역에 대한 대략적인 경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1차적으로 대상 설비(1)를 탐색할 수 있는 영역에 도달할 수 있도록 유도하고,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바와 같이 대상 영역 내에서 무선 통신 방식으로 획득된 대상 설비(1)의 위치 정보(제2위치 정보)를 활용하여 대상 설비(1)의 위치를 보다 정밀하게 안내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건물 내의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하여 마련된 무선 모듈(300)로부터 복수의 설비 각각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무선 모듈(300)은 단방향 또는 양방향으로 해당 무선 모듈(300)이 탑재된 설비의 위치 정보와 식별 정보를 소정의 주기에 따라 지속적으로 전송(발산)할 수 있다. 여기서, 무선 모듈(300)이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전송(발산)하는 주기는 해당 무선 모듈(300)이 탑재된 설비의 점검 이력 등에 연동하여 가변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마지막 점검 시점이 현재 시점으로부터 근접한 설비일수록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전송(발산)하는 주기가 길어지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설비의 식별 정보란 예를 들면, 해당 설비에 대하여 기 부여된 ID, 식별자, 일련번호, 식별 태그, RFID 태그, 비콘 신호 등 무선 통신을 통해 송수신 가능한 타입의 데이터로서 해당 데이터를 전송한 설비를 수신 측에서 파악할 수 있도록 하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으며,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한 식별 정보를 저장하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를 보유함으로써 각 설비의 무선 모듈(300)로부터 수신한 식별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미도시) 내에서 탐색하는 방식으로 해당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전송(발산)한 설비를 파악할 수 있다.
한편,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무선 모듈(300)로부터 직접 해당 설비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수신하는 것일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무선 모듈(300)과 근접한 사용자 단말(200)로 무선 모듈(300)로부터 전송된 해당 설비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을 매개로 하여 수신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설비 각각의 무선 모듈(300)로부터 획득한 복수의 설비 별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설비 중 사용자가 탐색하려는 대상 설비(1)를 식별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위치 정보와 식별된 대상 설비(1)의 무선 모듈(3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 또는 식별된 대상 설비(1)에 대하여 미리 파악된 위치 정보인 제2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제1위치 정보와 제2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제공한다는 것은 예를 들어, 제1위치 정보 및 제2위치 정보 간의 변위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미도시)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출하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도 2는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1위치 정보와 대상 설비에 대응하는 제2위치 정보의 변위 정보를 2차원 평면에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사용자에 대응하는 제1위치 정보와 대상 설비에 대응하는 제2위치 정보의 변위 정보를 3차원 공간에 입체적으로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예시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기 확보된 대상 영역의 평면도(도면), 실내 지도 데이터 등에 식별된 대상 설비(1)의 위치 정보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대상 설비(1)의 위치 정보는 미리 설정된 표기 방식(예를 들면, 도 2 및 도 3의
Figure pat00001
아이콘 등)으로 표출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대상 영역을 3차원적(입체적)으로 나타내는 이미지 상에 식별된 대상 설비(1)의 위치 정보를 중첩하여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상 영역을 3차원적으로 나타내는 이미지란 제1위치 정보와 연계하여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된 대상 영역을 나타내는 기 확보된 이미지일 수 있다.
다른 예로, 대상 영역을 3차원적으로 나타내는 이미지는 사용자 단말(200)의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실시간 이미지일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데이터베이스(미도시)에 저장된 대상 영역에 대한 기 확보된 이미지와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획득된 실시간 이미지에 대한 비교를 통해 실시간 이미지에 대상 설비(1)의 위치 정보(제2위치 정보)를 반영하는 아이콘을 표시할 위치, 현재 위치로부터의 대상 설비(1)의 근접도를 반영하는 아이콘의 규격(크기) 등을 결정하는 것일 수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도 2에 도시된 2차원 평면 상에 변위 정보를 표시하는 인터페이스를 1차적으로 표출하되, 변위 정보(제1위치 정보 및 제2위치 정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식별 범위 내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대상 영역을 3차원적으로 나타내는 이미지가 표시되도록 인터페이스를 전환하여 사용자가 입체적으로 제2위치 정보를 파악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변위 정보(제1위치 정보 및 제2위치 정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식별 범위 내로 진입한 것으로 판단되면 실시간 이미지의 촬영 및 전송을 요청하는 신호를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하고, 사용자 단말(200)이 요청 신호에 대응하여 실시간 이미지를 제공하면 해당 실시간 이미지를 활용하여 변위 정보를 3차원적(입체적)으로 제공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도 2를 참조하면, 제1위치 정보와 제2위치 정보 간의 변위 정보(d')가 평면도(도면) 상에 표시될 수 있다. 또한, 도 3을 참조하면, 복수의 설비에 대한 제1위치 정보와 제2위치 정보 간의 변위 정보(d1, d2)가 각각 구분되어 이미지 상에 중첩될 수 있다. 달리 말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위치 정보 및 제2위치 정보 간의 3차원 변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는 도 2 및 도 3을 통해 이해될 수 있는 시각적 표시 방식 등을 포함하여 다양하게 제공되는 제1위치 정보와 제2위치 정보 간의 변위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확인하면서 대상 설비(1)에 근접하도록 대상 영역(예를 들면, 해당 건물 내부 등)를 이동(탐색)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위치 정보 및 제2위치 정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식별 범위 내이면, 대상 설비(1)의 무선 모듈(300)로 유도 정보의 출력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대상 설비(1)에는 무선 모듈(300)로 전송된 유도 정보의 출력 요청에 대응하여 유도 정보를 출력할 수 있는 정보 출력 수단(미도시)이 구비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정보 출력 수단(미도시)은 청각적 출력 방식(BEEP 음, 음성 안내, 음향, 음악, 경보음, 지시음 등), 촉각적 출력 방식(진동 방식 등), 시각적 표시 방식(대상 설비(1)에 탑재된 디스플레이를 통한 유도 정보 표시, LED 등의 점멸 방식 등) 등의 다양한 방식으로 유도 정보를 출력하여 대상 설비(1)에 근접한 사용자가 보다 정확하게 대상 설비(1)의 위치를 식별하도록 보조할 수 있다.
한편,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대상 설비(1)로 유도 정보의 출력 요청을 전송하기 위한 기준인 제1위치 정보와 제2위치 정보 사이의 미리 설정된 식별 범위는 대상 설비(1)의 최근접 설비와 대상 설비(1) 간의 이격 거리, 대상 설비(1)가 설치된 영역 내의 적어도 하나의 설비의 설치 대수, 밀도 등에 기초하여 설정될 수 있다.
또한, 대상 설비(1)에서 출력되는 유도 정보의 출력 수준(예를 들면, 음향 볼륨 등)은 미리 설정된 식별 범위에 대응하여 결정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도 정보의 출력 요청을 대상 설비(1)의 무선 모듈(300)로 전송하기 위한 식별 범위가 큰 값으로 설정될수록 대상 설비(1)에서 출력되는 유도 정보는 상대적으로 사용자에게 용이하게 식별될 수 있는 고수준(예를 들면, 상대적으로 큰 볼륨을 가지는 음향 등)으로 출력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위치 정보 및 제2위치 정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식별 범위 내이면,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대상 설비(1)에 대한 근접 안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가 대상 설비(1)로 소정 수준 이상 근접하여 제1위치 정보 및 제2위치 정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식별 범위 내로 진입하면,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해당 사용자가 대상 설비(1)에 근접한 위치에 도달하였음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는 근접 안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예시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위치 정보 및 제2위치 정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식별 범위 내이면 대상 설비(1)의 무선 모듈(300)로 유도 정보의 출력 요청을 전송하여 대상 설비(1)로부터 유도 정보가 출력되도록 하는 것과 더불어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대상 설비(1)로부터 유도 정보가 출력됨을 안내하는 근접 안내 신호를 표출함으로써,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현재 위치 주변에서 대상 설비(1)를 보다 적극적으로 탐색하도록 유도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설비 각각의 점검 이력 정보 및 상태 정보를 복수의 설비 각각의 무선 모듈(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위치 정보 및 제2위치 정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식별 범위 내이면 대상 설비(1)의 점검 이력 정보 및 상태 정보를 대상 설비(1)의 무선 모듈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이와 관련하여, 예시적으로 대상 설비(1)의 점검 이력 정보는 대상 설비(1)에 대한 점검이 마지막으로 이루어진 시점에 대한 정보, 대상 설비(1)에 대하여 수행된 점검 내역의 목록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대상 설비(1)의 상태 정보는 대상 설비(1)의 기능과 연계하여 대상 설비(1)가 해당 기능을 정상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상태에 해당하는지 여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만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대상 설비(1) 및 복수의 설비가 댐퍼인 경우, 대상 설비(1)의 점검 이력 정보 및 상태 정보를 대상 설비(1)의 무선 모듈(300)로부터 수신하고, 대상 설비(1)의 점검 이력 정보 및 상태 정보를 대상 설비(1)의 제2위치 정보와 중첩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를 통해 시각적으로 표시된 제2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가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인가한 경우 해당 제2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대상 설비(1)에 대하여 수집된 점검 이력 정보 및 상태 정보가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되는 것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사용자의 위치와 인접한 적어도 하나의 설비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에게 1차적으로 제공한 후, 설비 정보가 제공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 중 사용자가 탐색하려는 대상 설비(1)를 선택하는 방식으로 제공되는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서비스와 관련한 본원의 다른 실시예를 설명하도록 한다.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의 제1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주변 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하여 마련된 무선 모듈(300)로부터 복수의 설비 각각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설비 각각의 무선 모듈(300)로부터 사용자 단말(200)로 전송된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하는 방식으로 복수의 설비 각각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것일 수 있다.
또한,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위치 정보와 획득한 복수의 설비 각각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 단말(200)의 사용자는 주변 영역에 배치된 적어도 하나의 설비에 대한 목록과 각 설비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본원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복수의 설비 중에서 사용자가 탐색하려는 대상 설비(1)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예시적으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위치 정보에 대응하여 사용자 단말(200)의 주변 영역을 도식화한 지도 상에 설비의 위치 정보에 대응하는 위치에 중첩하여 표시된 복수의 설비의 식별 정보 중 적어도 일부를 선택하는 입력을 대상 설비(1)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으로서 인가할 수 있다.
또한,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제1위치 정보 및 선택된 대상 설비(1)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인 제2위치 정보 간의 3차원 변위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서비스 제공 장치의 개략적인 구성도이다.
도 4를 참조하면, 서비스 제공 장치(100)는 요청 수신부(110), 위치정보 획득부(120), 식별부(130), 상태정보 획득부(140) 및 유도부(150)를 포함할 수 있다.
요청 수신부(11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탐색하려는 대상 설비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요청 수신부(110)는, 사용자 단말(200)의 제1위치 정보와 복수의 설비 각각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출력하고, 복수의 설비 중에서 사용자가 탐색하려는 대상 설비(1)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위치정보 획득부(120)는, 사용자 단말(200)의 제1위치 정보 및 건물 내의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하여 마련된 무선 모듈(300)로부터 복수의 설비 각각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위치정보 획득부(12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 단말(200)의 제1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사용자 단말(200)의 주변 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하여 마련된 무선 모듈(300)로부터 복수의 설비 각각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식별부(130)는, 복수의 설비 각각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설비 중 사용자가 탐색하려는 대상 설비(1)를 식별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식별부(130)는 요청 수신부(110)에서 수신한 대상 설비의 정보에 매칭되는 식별 정보를 전송한 무선 모듈(300)을 탑재하는 설비를 대상 설비(1)로 특정할 수 있다.
상태정보 획득부(140)는, 대상 설비(1)의 점검 이력 정보 및 상태 정보를 대상 설비(1)의 무선 모듈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유도부(150)는, 제1위치 정보와 식별된 대상 설비(1)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인 제2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도부(150)는 제1위치 정보 및 제2위치 정보 간의 3차원 변위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또한, 유도부(150)는 제1위치 정보 및 제2위치 정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식별 범위 내이면, 대상 설비(1)의 무선 모듈(300)로 유도 정보의 출력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유도부(150)는 제1위치 정보 및 제2위치 정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식별 범위 내이면,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대상 설비(1)에 대한 근접 안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유도부(150)는 대상 설비(1)의 점검 이력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제2위치 정보와 중첩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에 자세히 설명된 내용을 기반으로, 본원의 동작 흐름을 간단히 살펴보기로 한다.
도 5는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본원의 제1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방법은 앞서 설명된 서비스 제공 장치(100) 또는 서버(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서비스 제공 장치(100) 또는 서버(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5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단계 S11에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제1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2에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사용자가 탐색하려는 대상 설비(1)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3에서 서버(100)는 건물 내의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하여 마련된 무선 모듈(300)로부터 복수의 설비 각각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4에서 서버(100)는 수신된 복수의 설비 각각의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복수의 설비 중 대상 설비(1)를 식별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5에서 서버(100)는 식별된 대상 설비(1)의 점검 이력 정보 및 상태 정보를 대상 설비(1)의 무선 모듈(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6에서 서버(100)는 제1위치 정보와 식별된 대상 설비(1)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인 제2위치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7에서 서버(100)는 제1위치 정보 및 제2위치 정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식별 범위 내이면,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대상 설비(1)에 대한 근접 안내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18에서 서버(100)는 제1위치 정보 및 제2위치 정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식별 범위 내이면, 대상 설비(1)의 무선 모듈(300)로 유도 정보의 출력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11 내지 S18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방법에 대한 동작 흐름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본원의 제2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방법은 앞서 설명된 서비스 제공 장치(100) 또는 서버(100)에 의하여 수행될 수 있다. 따라서, 이하 생략된 내용이라고 하더라도 서비스 제공 장치(100) 또는 서버(100)에 대하여 설명된 내용은 도 6에 대한 설명에도 동일하게 적용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단계 S21에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제1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2에서 서버(100)는 사용자 단말(200)의 주변 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하여 마련된 무선 모듈(300)로부터 복수의 설비 각각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3에서 서버(100)는 제1위치 정보와 복수의 설비 각각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4에서 서버(100)는 복수의 설비 중에서 사용자가 탐색하려는 대상 설비(1)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사용자 단말(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다음으로, 단계 S25에서 서버(100)는 제1위치 정보 및 선택된 대상 설비(1)의 무선 모듈(300)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인 제2위치 정보 간의 3차원 변위 정보를 사용자 단말(200)을 통해 제공할 수 있다.
상술한 설명에서, 단계 S21 내지 S25은 본원의 구현예에 따라서, 추가적인 단계들로 더 분할되거나, 더 적은 단계들로 조합될 수 있다. 또한, 일부 단계는 필요에 따라 생략될 수도 있고, 단계 간의 순서가 변경될 수도 있다.
본원의 일 실시예에 따른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기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또한, 전술한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방법은 기록 매체에 저장되는 컴퓨터에 의해 실행되는 컴퓨터 프로그램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형태로도 구현될 수 있다.
전술한 본원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원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원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원의 범위는 상기 상세한 설명보다는 후술하는 특허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특허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원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0: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시스템
100: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서비스 제공 장치
110: 요청 수신부
120: 위치정보 획득부
130: 식별부
140: 상태정보 획득부
150: 유도부
200: 사용자 단말
300: 무선 모듈
1: 대상 설비
20: 네트워크

Claims (14)

  1.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1위치 정보 및 탐색하려는 대상 설비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건물 내의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하여 마련된 무선 모듈로부터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대상 설비의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 중 상기 대상 설비를 식별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위치 정보와 상기 식별된 대상 설비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인 제2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식별 및 위치탐색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 정보 및 상기 제2위치 정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식별 범위 내이면, 상기 대상 설비의 무선 모듈로 유도 정보의 출력 요청을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식별 및 위치탐색 방법.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제1위치 정보 및 상기 제2위치 정보 간의 3차원 변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인, 식별 및 위치탐색 방법.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 정보 및 상기 제2위치 정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식별 범위 내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대상 설비에 대한 근접 안내 신호를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식별 및 위치탐색 방법.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설비 및 상기 복수의 설비는 댐퍼이고,
    상기 식별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대상 설비의 점검 이력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상기 대상 설비의 무선 모듈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공하는 단계는,
    상기 대상 설비의 상기 점검 이력 정보 및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제2위치 정보와 중첩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인, 식별 및 위치탐색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위치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대상 설비를 포함하는 상기 건물 내의 대상 영역에 도달하기 위한 경로 정보를 생성하고, 상기 경로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것인, 식별 및 위치탐색 방법.
  7.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1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변 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하여 마련된 무선 모듈로부터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상기 제1위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출력하는 단계;
    상기 복수의 설비 중에서 사용자가 탐색하려는 대상 설비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제1위치 정보 및 상기 선택된 대상 설비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인 제2위치 정보 간의 3차원 변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식별 및 위치탐색 방법.
  8.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탐색하려는 대상 설비의 정보를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1위치 정보 및 상기 건물 내의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하여 마련된 무선 모듈로부터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 획득부;
    상기 대상 설비의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 중 상기 대상 설비를 식별하는 식별부; 및
    상기 제1위치 정보와 상기 식별된 대상 설비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인 제2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하는 유도부,
    를 포함하는, 식별 및 위치탐색 서비스 제공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상기 제1위치 정보 및 상기 제2위치 정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식별 범위 내이면, 상기 대상 설비의 무선 모듈로 유도 정보의 출력 요청을 전송하는 것인, 식별 및 위치탐색 서비스 제공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상기 제1위치 정보 및 상기 제2위치 정보 간의 3차원 변위 정보를 제공하는 것인, 식별 및 위치탐색 서비스 제공 장치.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유도부는,
    상기 제1위치 정보 및 상기 제2위치 정보의 거리가 미리 설정된 식별 범위 내이면,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상기 대상 설비에 대한 근접 안내 신호를 출력하는 것인, 식별 및 위치탐색 서비스 제공 장치.
  12. 제8항에 있어서,
    상기 대상 설비 및 상기 복수의 설비는 댐퍼이고,
    상기 대상 설비의 점검 이력 정보 및 상태 정보를 상기 대상 설비의 무선 모듈로부터 수신하는 상태정보 획득부,
    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유도부는,
    상기 대상 설비의 상기 점검 이력 정보 및 상기 상태 정보를 상기 제2위치 정보와 중첩하여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것인, 식별 및 위치탐색 서비스 제공 장치.
  13.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서비스 제공 장치에 있어서,
    사용자 단말로부터 상기 사용자 단말의 제1위치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사용자 단말의 주변 영역에 설치된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하여 마련된 무선 모듈로부터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획득하는 위치정보 획득부;
    상기 제1위치 정보와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의 위치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출력하고, 상기 복수의 설비 중에서 사용자가 탐색하려는 대상 설비를 선택하는 사용자 입력을 상기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하는 요청 수신부; 및
    상기 제1위치 정보 및 상기 선택된 대상 설비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인 제2위치 정보 간의 3차원 변위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을 통해 제공하는 유도부,
    를 포함하는, 식별 및 위치탐색 서비스 제공 장치.
  14.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시스템에 있어서,
    상기 건물 내의 복수의 설비 각각에 대하여 마련되고, 상기 복수의 설비 각각의 위치 정보 및 식별 정보를 전송하는 복수의 무선 모듈;
    탐색하려는 대상 설비의 정보 및 상기 식별 정보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설비 중에서 상기 대상 설비를 식별하고, 사용자 단말의 제1위치 정보 및 상기 대상 설비로부터 수신된 위치 정보인 제2위치 정보를 상기 사용자 단말로 제공하는 서버; 및
    상기 제1위치 정보 및 상기 제2위치 정보 간의 3차원 변위 정보를 상기 서버로부터 수신하여 출력하는 사용자 단말,
    을 포함하는, 식별 및 위치탐색 시스템.
KR1020210030917A 2021-03-09 2021-03-09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시스템 KR10255230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917A KR102552307B1 (ko) 2021-03-09 2021-03-09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30917A KR102552307B1 (ko) 2021-03-09 2021-03-09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6531A true KR20220126531A (ko) 2022-09-16
KR102552307B1 KR102552307B1 (ko) 2023-07-06

Family

ID=8344531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30917A KR102552307B1 (ko) 2021-03-09 2021-03-09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52307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8395A (ko) * 2008-09-04 2010-03-12 정지완 전자 태그와 음향 장치를 이용한 물품 위치 추적 시스템 및방법
KR20130123092A (ko) * 2012-05-02 2013-11-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실내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12657A (ko) * 2017-04-04 2018-10-12 브이피코리아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11308B1 (ko) * 2018-03-15 2019-08-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 패널의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119894B1 (ko) * 2020-03-18 2020-06-05 양한규 사용자 이동단말을 이용한 화재 무선 제어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00028395A (ko) * 2008-09-04 2010-03-12 정지완 전자 태그와 음향 장치를 이용한 물품 위치 추적 시스템 및방법
KR20130123092A (ko) * 2012-05-02 2013-11-12 한국과학기술연구원 실내 네비게이션 시스템 및 방법
KR20180112657A (ko) * 2017-04-04 2018-10-12 브이피코리아 주식회사 근거리 무선 통신을 이용한 설비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102011308B1 (ko) * 2018-03-15 2019-08-16 엘에스산전 주식회사 배전반 패널의 위치 정보 제공 시스템
KR102119894B1 (ko) * 2020-03-18 2020-06-05 양한규 사용자 이동단말을 이용한 화재 무선 제어 시스템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52307B1 (ko) 2023-07-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214503B1 (ko) 비콘 노드를 이용한 실내 측위 서비스 시스템
KR101811546B1 (ko) 사물 인터넷을 위한 이동형 3차원 지오펜스 서비스 시스템
Xiao et al. An assistive navigation framework for the visually impaired
CN106537963A (zh) 基于无线节点的网络进行的定位
CN103328930A (zh) 非基于地图的移动接口
JP2014197036A (ja) ローカライズされた環境に関連したモバイルデバイス位置特定
US20230332896A1 (en) Navigating an indoor transit system using a mobile device
US11096008B1 (en) Indoor positioning techniques using beacons
US11125565B1 (en) Systems and methods for position-based building guidance
CN103245345A (zh) 一种基于图像传感技术的室内导航系统及导航、搜索方法
JP6464483B2 (ja) 緊急通報システム、緊急通報装置、緊急通報方法、プログラム
CN106170995A (zh) 定位系统中的反馈
KR20170030381A (ko) 위치 이탈에 따른 알림을 제공하는 시스템 및 방법
KR101593596B1 (ko) 위치기반 이동 단말 및 관리서버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JP2008245065A (ja) 探索システム、管理サーバ、移動体通信装置、探索方法およびプログラム
JP2017032428A (ja) 携帯端末、経路案内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20220126531A (ko) 무선 통신 기반의 건물 내 설비 식별 및 위치탐색 시스템
KR101901752B1 (ko) 주차위치 알림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101955559B1 (ko) Poi 정보 제공 시스템과 방법 및 이를 지원하는 장치와 단말기
KR102464954B1 (ko) 무선 통신 기반의 IoT 설비 시스템
KR101298071B1 (ko) 목적지 경로안내방법 및 시스템
KR102500017B1 (ko) 무선 통신 모듈을 구비한 매립형 설비 및 그의 구동 방법
KR20160103190A (ko) 위치 측위 기능 및 vts를 연동한 선박 안전 관리 시스템
KR20160085065A (ko) Ble 기술 기반 실내 공간에서의 경로 검색 장치 및 방법
GB2510548A (en) Personal navigation system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E801 Decision on dismissal of amendment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