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93596B1 - 위치기반 이동 단말 및 관리서버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 Google Patents

위치기반 이동 단말 및 관리서버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93596B1
KR101593596B1 KR1020140126843A KR20140126843A KR101593596B1 KR 101593596 B1 KR101593596 B1 KR 101593596B1 KR 1020140126843 A KR1020140126843 A KR 1020140126843A KR 20140126843 A KR20140126843 A KR 20140126843A KR 101593596 B1 KR101593596 B1 KR 101593596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mobile terminal
information
current position
function
beac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268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두환
이종욱
임길수
이상준
최종선
Original Assignee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14012684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93596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9359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9359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1Services related to particular areas, e.g. point of interest [POI] services, venue services or geofen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SRADIO DIRECTION-FINDING; RADIO NAVIGATION; DETERMINING DISTANCE OR VELOCITY BY USE OF RADIO WAVES; LOCATING OR PRESENCE-DETECTING BY USE OF THE REFLECTION OR RERADIATION OF RADIO WAVES; ANALOGOUS ARRANGEMENTS USING OTHER WAVES
    • G01S1/00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 G01S1/02Beacons or beacon systems transmitting signals having a characteristic or characteristics capable of being detected by non-directional receivers and defining directions, positions, or position lines fixed relatively to the beacon transmitters; Receivers co-operating therewith using radio waves
    • G01S1/022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 G01S1/026Means for monitoring or calibrating of associated receiv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4/00Locating users or terminals or network equipment for network management purposes, e.g. mobility management

Abstract

위치기반 이동 단말 및 관리서버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가 개시된다.
위치기반 이동 단말의 제어방법은 위치에 따른 권한정보를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이동 단말의 제어방법으로서, 비콘 장치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하여 이동 단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 관리 서버로부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를 수신하여 이동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고,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에 따라 동작이 제한된 기능에 대해 실행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동작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위치기반 이동 단말 및 관리서버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CONTROL METHOD OF MOBILE APPARATUS AND SEVER BASED ON LOCATION, RECORDING MEDIUM FOR PERFORMING THE METHOD}
본 발명은 위치기반 이동 단말 및 관리서버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이동 단말의 위치에 따라 이동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위치기반 이동 단말 및 관리서버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비콘(Beacon)은 블루투스(Bluetooth)나 인간이 들을 수 없는 비가청영역의 주파수를 활용하여 단말과 정보를 주고받는 단말로서, 비콘(Beacon)이 설치되어 있는 특정 장소(예를 들어, 백화점 또는 사업장) 내에 이동 단말을 소지한 사람이 진입하는 경우 해당 단말을 감지하여 위치를 파악하거나 해당 단말에 이벤트 또는 할인 혜택 정보 등과 같은 정보를 제공한다.
최근 들어, 보안이 필요한 구역 내에 이동 단말을 소지한 사람이 진입하는 경우 이동 단말의 위치를 검출하여 검출한 위치에 따라 이동 단말의 특정 기능을 제어함으로써 보안 구역 출입에 따른 이동 단말의 동작제어에 관한 연구가 활발히 진행되고 있다.
그러나, 기존의 이동 단말 동작제어 방식은 위치에 따른 특정 기능의 사용을 제한할 뿐, 사용자가 제한된 특정 기능을 실행하고 싶을 경우 사용자가 제한된 특정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사용자에게 제한된 특정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없다는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사용자로부터 이동 단말 위치에 따라 동작이 제한된 기능에 대한 실행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이동 단말 위치에 따라 동작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이동 단말의 동작제어 방식이 필요한 상황이다.
KR 10-1143301 B KR 10-2005-0030835 A
본 발명의 일측면은 비콘(Beacon)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 이동 단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이동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고, 이동 단말의 현재 위치에 따라 동작이 제한된 기능에 대한 실행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위치기반 이동 단말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이동 단말로부터 이동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이동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한 권한정보 및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있는 구역에 대한 권한정보를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관리서버의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일측면은 위치에 따른 권한정보를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이동 단말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동 단말에 인접한 비콘장치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권한정보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권한정보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는 중 상기 권한정보에 따라 동작이 제한된 기능에 대한 실행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실행 요청 신호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동작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
상기 비콘장치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것은, 복수 개의 비콘 장치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하여 각 비콘신호의 신호세기를 검출하고, 상기 각 비콘신호의 신호세기 및 상기 각 비콘신호에 포함된 신호세기에 따른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각 비콘장치로부터의 상대 거리를 검출하고, 상기 상대 거리 및 상기 각 비콘신호에 포함된 기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복수 개의 비콘장치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하여 각 비콘신호의 신호세기를 검출하는 것은, 적어도 3개 이상의 비콘장치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비콘장치가 4개 이상일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비콘장치 중 신호세기가 큰 3개의 비콘장치를 선별할 수 있다.
상기 권한정보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권한정보에 포함된 사용 가능한 기능 및 사용 불가능 기능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동작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와 상기 현재 위치간의 거리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거나 상기 현재 위치 및 상기 동작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가 표시된 지도가 포함된 화면을 출력할 수 있다.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범위 내의 권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에 따라 동작이 허용된 기능을 제한하는 구역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상기 동작이 허용된 기능을 제한하는 구역이 있을 경우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동작이 허용된 기능을 제한하는 구역까지의 거리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거리 정보를 포함하는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은 위치에 따른 권한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권한정보를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관리서버의 제어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에 따라 동작이 제한된 기능에 대한 실행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에 따라 동작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검출한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한다.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를 검색하는 것은, 상기 현재 위치가 포함되는 구역을 검출하고, 상기 관리서버 내부에 구역별로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는 권한정보 데이터와 상기 검출한 구역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한 구역에 대응하는 상기 권한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검색된 권한정보에 따라 동작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를 검출하는 것은, 상기 동작이 제한된 기능이 사용 가능한 기능으로 분류되어 저장된 권한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동작이 제한된 기능이 사용 가능한 기능으로 분류되어 저장된 권한정보가 속하는 구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구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상기 동작이 제한된 기능이 사용 가능한 기능으로 분류되어 저장된 권한정보가 속하는 구역을 검출하는 것은, 상기 동작이 제한된 기능이 사용 가능한 기능으로 분류되어 저장된 권한정보가 속하는 구역이 복수 개일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의 현재 위치와의 거리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현재 위치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구역을 검출할 수 있다.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것은,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있는 구역의 권한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에 따라 동작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 및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있는 구역의 권한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측면은 이동 단말의 동작 제어 및 동작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일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일측면에 따르면, 보안이 필요한 구역 내에 이동 단말이 진입하는 경우 이동 단말의 위치에 따라 이동 단말의 동작을 제어함으로써 이동 단말이 속한 구역에 설정된 보안 정보에 따라 자동으로 이동 단말의 특정 기능에 대한 사용을 허용하거나 차단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의 위치에 따라 이동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중 이동 단말의 위치에 따라 동작이 제한된 기능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실행 요청 신호가 입력되는 경우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실행하고자 하는 기능을 사용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에게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있는 구역에 대한 권한정보를 제공함으로써 사용자가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범위 내에 있는 구역에 진입했을 경우 특정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관리 서버 및 비콘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 동작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이동 단말 동작제어 시스템이 실제로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3 은 도 1 에 도시된 이동 단말 동작제어 시스템의 플로우 차트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4a, 4b 는 도 1 에 도시된 비콘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제어 블록도이다.
도 6 은 도 5 에 도시된 현재위치 산출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7 은 도 5 에 도시된 동작 제어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8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9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도 10 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블록도이다.
도 11a, 11b 는 도 10 에 도시된 권한정보 검색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2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제어방법을 도시한 순서도이다.
후술하는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특정 실시예를 예시로서 도시하는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할 수 있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와 관련하여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정신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이하,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들을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관리 서버 및 비콘을 포함하는 이동 단말 동작제어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며, 도 2 는 도 1 에 도시된 이동 단말 동작제어 시스템이 실제로 적용된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동작제어 시스템(1)은 비콘 장치(100), 이동 단말(200) 및 관리 서버(300)를 포함할 수 있다.
비콘 장치(100)는 보안이 필요한 구역(예를 들면, 사업장 또는 국가기관; 이하, 보안구역)의 벽 또는 벽 내부 등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며, 보안구역에 진입한 이동 단말(200)의 위치를 측정할 수 있도록 비콘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비콘 장치(100)는 보안구역에 적어도 3개 이상 설치되며, 주기적으로 비콘신호를 송신하거나 이동 단말(200)의 접근이 감지되면 비콘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비콘신호는 RF신호, 지그비(Zigbee) 신호, 블루투스(Bluetooth) 신호 등 다양한 무선 신호로 송신될 수 있다.
비콘 장치(100)는 내부에 마련된 메모리(미도시)에 기준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신호세기에 따른 거리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비콘신호를 송신할 때 기준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신호세기에 따른 거리 정보를 함께 송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비콘 장치(100)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하여 이동 단말(200)의 위치를 검출할 수 있으며, 이동 단말(200)의 위치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하여 이동 단말(200)의 위치에 따른 권한정보를 수신하고, 수신한 권한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이동 단말(200)은 도 2 와 같이, 사업장 또는 국가 기관 등과 같은 보안이 필요한 구역에 설치된 비콘 장치(100)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즉, 이동 단말(200)을 소지한 사람(예를 들면, 방문객 또는 직원)이 보안구역에 진입하면, 이동 단말(200)은 보안구역에 설치된 적어도 3개 이상의 비콘 장치(100)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하는 것이다.
이동 단말(200)은 비콘 장치(100)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하면, 비콘신호에 포함된 기준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신호세기에 따른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검출한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관리 서버(300)로부터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따라 사용 가능한 기능 및 사용 불가능한 기능에 대한 정보가 포함된 권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수신한 권한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현재 위치에 따른 권한정보에 따라 동작이 제한된 기능에 대한 실행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실행 요청 신호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관리 서버(300)로부터 동작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동작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는 한 지점이거나 소정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200)로부터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에 대한 권한정보를 이동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200)로부터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면,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가 속하는 구역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구역은 관리자에 의해 보안구역이 복수 개로 나눠진 구역 중 하나의 구역을 의미할 수 있으며, 복수 개로 나눠진 구역은 구역마다 보안레벨(권한)이 다르게 설정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가 속하는 구역과 관리 서버(300)의 내부에 저장되어 있는 권한정보 데이터와 비교하여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가 속하는 구역에 대응하는 권한정보를 탐색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탐색한 권한정보를 이동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권한정보 데이터는 구역 별로 권한정보가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는 데이터를 의미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200)로부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에 따라 동작이 제한된 기능에 대한 실행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동작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관리 서버(300)는 동작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 가능한 기능으로 분류하여 저장하고 있는 권한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검출한 권한정보를 갖는 구역을 검출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는 검출한 구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이동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이때, 검출한 구역에 대한 위치 정보는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현재 위치로부터의 거리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거나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 및 검출한 구역이 표시된 지도 또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관리 서버(300)는 검출한 동작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구역이 복수 개일 경우, 복수 개의 구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모두 이동 단말(200)로 전송하거나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와의 거리를 비교하여 상대적으로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와 가장 가까운 곳에 있는 구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이동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구체적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동작제어 시스템의 이동 단말 동작 제어 방식은 도 3 과 같다.
보안구역에 이동 단말(200)이 진입하는 경우 이동 단말(200)에 미리 설치된 동작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다. 이때, 동작제어 애플리케이션은 자동으로 실행되거나 사용자의 실행 명령에 의해 실행될 수 있다.
한편, 보안구역에 이동 단말(200)이 진입할 때 게이트(Gate)를 통과하는 경우, 이동 단말(200)에 동작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되어 있지 않거나 동작제어 애플리케이션이 실행되지 않는 채로 게이트(Gate)를 통과하면 관리자가 해당 사실을 인식할 수 있도록 게이트(Gate)에서 경고음이 출력될 수 있다.
동작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한 이동 단말(200)이 보안구역 내에 진입하면, 보안구역 내에 설치된 비콘 장치(100)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한다.
비콘신호를 수신한 이동 단말(200)은 수신한 비콘신호의 신호세기를 측정한다. 또한, 이동 단말(200)은 측정한 신호세기와 비콘신호에 포함된 기준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신호세기에 따른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한다. 이때, 이동 단말(200)은 적어도 3개 이상의 비콘 장치(100)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하여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은 검출한 현재 위치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한다.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를 수신한 관리 서버(300)는 기저장된 권한제어 데이터로부터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를 검색하여 이동 단말(200)로 전송한다.
이동 단말(200)은 관리 서버(300)로부터 권한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권한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한다. 이때,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권한정보는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기능 및 사용 불가능한 기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이동 단말(200)을 사용하는 사용자는 현재 위치에 따라 사용이 제한된 기능을 실행하고 싶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300)는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의 실시간적인 상황을 반영하기 위해, 이동 단말(200)로부터 사용이 제한된 기능에 대한 실행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사용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를 검출한다. 또한, 관리 서버(300)는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사용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거리 및 방향 정보를 검출하여 이동 단말(200)로 전송한다.
도 4a, 4b 는 도 1 에 도시된 비콘(Beacon)의 동작 방법을 설명하기 위해 도시한 도면이다.
비콘 장치(100)는 관리자에 의해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며, 주기적으로 또는 이동 단말(200)이 감지되면 비콘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도 4a 를 참조하면, 비콘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비콘신호는 비콘 장치(100)와의 거리에 따라 신호세기의 크기가 달라질 수 있다. 비콘 장치(100)로부터 송신된 비콘신호는 비콘 장치(100)로부터 송신되는 거리에 따라 신호 감쇄가 발생하여 비콘 장치(100)로부터 멀어질수록 비콘신호의 신호세기가 줄어들 수 있다.
한편, 신호 감쇄는 비콘 장치(100)의 주변 환경에 따른 전파 환경에 의해 가장 영향을 많이 받을 수 있다. 즉, 특정 비콘 장치(100)의 주변에 건물이나 구조물 등의 산재해가 있거나 고전력선이 통과하는 등 신호 감쇄를 많이 일으키는 요인이 있는 경우에는 신호 감쇄가 심해서 비콘신호를 송신할 수 있는 거리가 짧을 수 있으며, 이러한 신호 감쇄의 요인이 적은 비콘 장치(100)는 보다 긴 거리로 비콘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장치(100)는 보안구역 내 고정된 위치에 설치되기 때문에 설치된 주변 환경이 정해져 있으므로 전파 환경에 따른 비콘신호의 신호 세기 대 거리를 측정하여 데이터베이스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콘 장치(100)는 보안구역 내에 적어도 3개 이상 설치되며, 적어도 3개 이상의 비콘 장치(100)에서 이동 단말(200)로 비콘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적어도 3개 이상의 비콘 장치(100)는 주변의 전파 환경이 다르고 그에 따른 신호 감쇄의 정도가 다르기 때문에 동일한 신호의 세기를 갖는 비콘신호가 다다를 수 있는 거리가 다를 수 있으므로, 신호세기에 따른 거리 정보는 각 비콘 장치(100)마다 다를 수 있다.
도 4b 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비콘 장치(100)는 3개로 구성될 수 있으며, 3개의 비콘 장치(100a, 100b, 100c)는 이동 단말(200)로 비콘신호를 송신할 수 있다. 이때, 3개의 비콘 장치(100a, 100b, 100c)는 이동 단말(200)과 각각 서로 다른 거리만큼 떨어져 있을 수 있으며, 이동 단말(200)과 같은 거리만큼 떨어져 있을 수 있다.
도 5 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제어 블록도이며, 도 6 은 도 5 에 도시된 현재위치 산출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7 은 도 5 에 도시된 동작 제어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200)은 이동 단말 통신부(210), 사용자 입력부(220), 센싱부(230), 출력부(240), 이동 단말 메모리부(250), 인터페이스부(260), 이동 단말 제어부(270) 및 전원 공급부(28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5 는 다양한 구성요소를 가지고 있는 이동 단말(200)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도시된 구성요소 모두가 필수구성요소인 것은 아니다. 도시된 구성요소보다 많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200)이 구현될 수 있고, 그보다 적은 구성요소에 의해 이동 단말(200)이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상술한 구성요소들에 대해 구체적으로 살펴본다.
이동 단말 통신부(210)는 이동 단말(200)과 관리 서버(300) 간의 무선 통신 또는 비콘 장치(100)와의 근거리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면, 이동 단말 통신부(210)는 이동 통신 모듈(211), 무선 인터넷 모듈(212), 무선 인터넷 모듈(213) 및 위치정보 모듈(214)을 포함할 수 있다.
이동 통신 모듈(211)은 이동 통신망 상에서 기지국, 외부의 단말, 서버 중 적어도 하나의 무선 신호를 송수신한다. 여기서, 무선 신호는 음성 호 신호, 화상 통화 호 신호 또는 문자/멀티미디어 메시지 송수신에 따른 다양한 형태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212)은 무선 인터넷 접속을 위한 모듈이다. 무선 인터넷 모듈(212)은 내장되거나 외장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인터넷 모듈(212)은 관리 서버(300)로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 및 실행 요청 신호를 전송하고, 이에 응답한 권한정보를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무선 인터넷 모듈(213)은 근거리 통신을 위한 모듈이다. 근거리 통신 기술은 블루투스(Bluetooth), RFID(Radio Frequency Identification), 적외선 통신(IrDA, Infrared Data Association), UWB(Ultra Wideband), Zigbee 통신을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무선 인터넷 모듈(213)은 이동 단말(200)과 근접한 위치의 비콘 장치(100)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위치정보 모듈(214)은 이동 단말(200)의 위치를 확인하거나 이를 얻기 위한 모듈이다. 일예로 GPS(Global Position System) 모듈이 있다. GPS 모듈은 복수 개의 인공위성으로부터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 위치 정보는 위도 및 경도로 표시되는 좌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GPS 모듈은 3 개 이상의 위성으로부터 정확한 시간과 거리를 측정하여 3개의 각각 다른 거리를 삼각 방법에 따라서 현 위치를 정확히 계산할 수 있다. 3개의 위성으로부터 거리와 시간 정보를 얻고 1개 위성으로 오차를 수정하는 방법이 사용될 수 있다. 특히, GPS 모듈은 위성으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로부터 위도, 경도, 고도뿐만 아니라 3차원의 속도 정보와 함께 정확한 시간까지 얻을 수 있다.
사용자 입력부(220)는 사용자가 단말기의 동작 제어를 위한 입력 데이터를 발생시킨다. 사용자 입력부(220)는 키 패드, 돔 스위치, 터치 패드, 조그 휠, 조그 스위치 등으로 구성될 수 있다. 특히, 터치 패드가 후술하는 디스플레이부(241)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룰 경우, 이를 터치 스크린이라 부를 수 있다.
이러한 사용자 입력부(220)는 사용자로부터 특정 기능에 대한 실행 요청 신호를 입력받을 수 있다.
센싱부(230)는 이동 단말(200)의 개폐 상태, 이동 단말(200)의 위치, 사용자 접촉 유무, 이동 단말(200)의 방위, 이동 단말(200)의 가속/감속 등과 같이 이동 단말(200)의 현 상태를 감지하여 이동 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생성 신호를 발생시킨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200)이 슬라이드 폰 형태인 경우에는 슬라이드 폰의 개폐 여부를 센싱할 수 있다. 또한, 전원 공급부(280)의 전원 공급 여부, 인터페이스부(260)의 외부 기기 결합 여부 등과 관련된 센싱 기능을 담당한다.
인터페이스부(260)는 이동 단말(200)에 연결되는 모든 외부기기와의 인터페이스 역할을 한다. 예를 들어, 유/무선 헤드셋 포트, 외부 충전지 포트, 유/무선 데이터 포트, 메모리 카드 포트,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를 연결하는 포트, 오디오 I/O(Input/Output)포트, 비디오 I/O(Input/Output)포트, 이어폰 포트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여기서, 식별 모듈은 이동 단말(200)의 사용 권한을 인증하기 위한 각종 정보를 저장하기 위한 칩으로서 사용자 인증 모듈, 가입자 인증 모듈, 범용 사용자 인증 모듈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식별 모듈이 구비된 장치는 스마트 카드 형식으로 제작될 수 있다.
출력부(240)는 오디오 신호 또는 비디오 신호 또는 알람 신호의 출력을 위한 것으로, 이에는 디스플레이부(241), 음향 출력 모듈(242), 알람부(243) 등이 포함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1)는 이동 단말(200)에서 처리되는 정보를 표시 출력할 수 있으며, 상술한 바와 같이, 디스플레이부(241)와 터치패드가 상호 레이어 구조를 이루어 터치 스크린으로 구성되는 경우, 디스플레이부(241)는 출력 장치 이외에 입력 장치로도 사용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241)는 액정 디스플레이, 박막 트랜지스터 액정 디스플레이, 유기 발광 다이오드, 플렉시블 디스플레이, 3차원 디스플레이 중에서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이동 단말(200)의 구현 형태에 따라 디스플레이부(241)가 2 개 이상 존재할 수 있다.
이러한 디스플레이부(241)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위치 정보를 이동 단말(200) 화면에 출력할 수 있다.
음향 출력 모듈(242)은 호신호 수신, 통화모드 또는 녹음 모드, 음성인식 모드, 콘텐츠 수신 모드 등에서 이동 단말 메모리부(250)에 저장된 오디오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또한, 음향 출력 모듈(242)은 이동 단말(200)에서 수행되는 기능과 관련된 음향 신호를 출력할 수 있으며, 음향 출력 모듈(242)은 스피커, 비저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알람부(243)는 이동 단말(200)에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 있다. 이동 단말(200)에서 발생되는 이벤트의 예로는, 신호 수신, 메시지 수신, 키 신호 입력 등이 있다. 알람부(243)는 오디오 신호나 비디오 신호 이외에 다른 형태로 이벤트 발생을 알리기 위한 신호를 출력할 수도 있다. 예를 들면, 진동 형태로 출력할 수 있다.
이러한 알람부(243)는 이동 단말(200)이 특정 기능이 제한된 구역에 진입했음을 알리는 알림 메시지를 사용자에게 다양한 형태의 알람으로 출력할 수 있다.
이동 단말 메모리부(250)는 이동 단말 제어부(27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될 수 있고,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이러한 이동 단말 메모리부(250)는 이동 단말 동작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하기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하고, 이동 단말 통신부(210)를 통해 수신된 권한정보 및 위치 정보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동 단말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2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동 단말 제어부(270)는 비콘 장치(100)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하여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 있으며, 관리 서버(300)로부터 권한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권한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이동 단말 제어부(270)는 현재위치 산출부(271) 및 동작 제어부(272)를 포함할 수 있다.
현재위치 산출부(271)는 복수 개의 비콘 장치(100)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비콘신호의 신호세기를 측정할 수 있다. 이때,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르면 3개의 비콘 장치(100)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하며, 4개 이상의 비콘 장치(100)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비콘신호의 신호세기가 큰 3개의 비콘신호를 이용할 수 있다.
현재위치 산출부(271)는 측정한 3개의 비콘신호의 신호세기와 비콘신호에 포함된 신호세기에 따른 거리 정보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신호세기에 따른 거리 정보는 신호 세기별로 분류되어 있는 비콘 장치(100)의 기준 위치로부터의 상대적인 거리(즉, 방향성이 없는 직선 거리)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도 6 을 참조하면, 현재위치 산출부(271)는 측정한 3개의 비콘신호의 신호세기와 비콘신호에 포함된 신호세기에 따른 거리 정보를 비교하여 각 비콘신호의 신호세기에 대응하는 상대적인 거리(즉, 방향성이 없는 직선 거리)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비콘신호에 포함된 신호세기에 따른 거리 정보는 각 비콘 장치(100)로부터의 거리를 의미하므로 검출한 상대적인 거리는 각 비콘 장치(100)로부터의 이동 단말(200)까지의 거리를 의미할 수 있다. 현재위치 산출부(271)는 검출한 각 비콘 장치(100)로부터의 상대적인 거리 정보 및 비콘신호에 포함된 각 비콘 장치(100)의 기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삼각측량법으로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를 산출할 수 있다. 이때, 제1 비콘 장치(100a)의 기준 위치를 (x1, y1, z1), 제1 비콘 장치(100a)로부터 이동 단말(200)까지의 상대적인 거리가 d1이고, 제2 비콘 장치(100b)의 기준 위치를 (x2, y2, z2), 제2 비콘 장치(100b)로부터 이동 단말(200)까지의 상대적인 거리가 d2이고, 제3 비콘 장치(100c)의 기준 위치를 (x3, y3, z3), 제3 비콘 장치(100c)로부터 이동 단말(200)까지의 상대적인 거리가 d3이고,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의 3차원 좌표가 (x, y, z)이면, 삼각측량법을 이용하여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방정식을 아래의 [수학식 1]과 같이 도출할 수 있다.
Figure 112014090255651-pat00001
이때, err은 거리에 대한 오차로서, 현재 위치에 대한 허용 오차율에 따라 결정할 수 있는 상수이다. 또한, x1, y1, z1, d1은 제1 비콘 장치(100a)의 기준 위치 정보 및 제1 비콘 장치(100a)와 이동 단말(200)간의 상대적인 거리이므로 제1 비콘 장치(100a)의 비콘신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상수이며, x2, y2, z2, d2은 제2 비콘 장치(100b)의 기준 위치 정보 및 제2 비콘 장치(100b)와 이동 단말(200)간의 상대적인 거리이므로 제2 비콘 장치(100b)의 비콘신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상수이며, x3, y3, z3, d3은 제3 비콘 장치(100c)의 기준 위치 정보 및 제3 비콘 장치(100c)와 이동 단말(200)간의 상대적인 거리이므로 제3 비콘 장치(100c)의 비콘신호를 통해 확인할 수 있는 상수이다.
따라서, [수학식 1]에서 도출된 3개의 방정식에서 x, y, z만이 알고자 하는 변수이므로, 3개의 방정식을 연립하여 풀면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3차원 좌표(x, y, z)를 산출할 수 있다.
현재위치 산출부(271)는 이동 단말 통신부(210)를 통해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제어부(272)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를 수신하여 수신한 권한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동작 제어부(272)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권한정보를 수신하여 권한정보에 포함된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에서 사용 가능한 기능 및 사용 불가능한 기능에 따라 특정 기능의 사용을 허용하거나 제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권한정보에 포함된 정보가 “카메라 기능 사용 불가, 그 외 기능 사용 가능”이면, 동작 제어부(272)는 이동 단말(200)의 카메라 기능을 제한시키고, 그 외 기능은 정상적으로 동작하게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동작 제어부(272)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권한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200)을 제어하는 중 권한정보에 따라 동작이 제한된 기능에 대해 사용자로부터 실행 요청 신호가 감지되면 실행 요청 신호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할 수 있다. 동작 제어부(272)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동작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동작 제어부(272)는 수신한 동작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출력부(240)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때, 동작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는 특정한 한 지점(예를 들어, 3차원 좌표 (a, b, c))일 수 있으며, 소정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또한, 동작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는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현재 위치로부터의 거리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거나 도 7 과 같이,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 및 동작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가 표시된 지도 또는 네비게이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한편, 사용자는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대응되는 권한정보에 따라 사용이 허용된 기능을 사용하고 있을 수 있으며, 현재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했을 때에도 현재 사용하고 있는 기능을 계속 사용하고 싶어할 수 있다. 이때, 사용자가 현재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하면 현재 사용하고 있는 기능이 제한될 수 있으므로, 사용자는 현재 위치에서 다른 위치로 이동했을 때 이동한 다른 위치에서 현재 사용하고 있는 기능에 대한 제한 여부를 제공받고 싶어할 수 있다.
이에,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 제어부(270)는 이동 단말의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있는 구역의 정보를 탐색하는 주변 정보 탐색부(273)를 포함할 수 있다.
주변 정보 탐색부(273)는 관리 서버(300)로부터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권한정보를 수신 시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있는 구역에 대한 권한정보를 함께 수신하여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범위 내의 권한정보를 출력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주변 정보 탐색부(273)는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있는 구역에 대한 권한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이동 단말(200)의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에 따라 사용이 가능한 기능을 제한하는 구역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일정 거리 범위는 이동 단말(200)의 사용자에 의해 설정될 수 있으며, 관리 서버(300)에서 정해져 있는 일정한 범위일 수 있다. 주변 정보 탐색부(273)는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에 따라 사용이 가능한 기능을 제한하는 구역이 존재하면,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에 따라 사용이 가능한 기능을 제한하는 구역과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 간의 거리 및 방향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에 따라 사용이 가능한 기능을 제한하는 구역과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 간의 거리 및 방향은 현재 위치의 3차원 좌표 및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에 따라 사용이 가능한 기능을 제한하는 구역의 3차원 좌표를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주변 정보 탐색부(273)는 사용자가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있는 구역에 진입하면 현재 사용할 수 있는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검출한 거리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고 신호 또는 경고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에 따라 정해진 사용이 가능한 기능은 전화 기능이고 현재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10m 떨어진 위치에 전화 기능을 사용 불가능한 기능으로 분류하여 저장된 권한정보를 갖는 구역이 존재하는 것으로 검출되면, 이동 단말(200)은 “현재 위치로부터 전방으로 10m 떨어진 위치에 전화 기능을 사용할 수 없습니다.” 라는 문구를 포함하는 경고 메시지를 이동 단말(200)의 디스플레이부(241)에 출력하거나 이동 단말(200)의 음향 출력 모듈(242)을 통하여 출력할 수 있다.
전원 공급부(280)는 이동 단말 제어부(270)의 제어에 의해 외부의 전원, 내부의 전원을 인가받아 각 구성요소들의 동작에 필요한 전원을 공급한다.
이하에서는, 도 8 을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이동 단말(200)은 보안구역에 진입하면 자동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실행 명령에 의해 동작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410)하고, 보안구역 내에 설치된 비콘 장치(100)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한다(420).
이때, 이동 단말(200)은 적어도 3개 이상의 비콘 장치(100)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4개 이상의 비콘 장치(100)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하는 경우 비콘신호의 신호세기가 큰 3개의 비콘신호를 선별할 수 있다.
비콘 장치(100)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420)하면, 비콘신호의 신호세기 및 비콘신호에 포함된 신호세기에 따른 거리 정보와 기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이동 단말(200) 현재 위치를 검출한다(430).
또한, 검출한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440)하고, 관리 서버(300)로부터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를 수신한다(450).
이때,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는 현재 위치에서 사용할 수 있는 기능 및 사용할 수 없는 기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관리 서버(300)로부터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를 수신(450)하면, 수신한 권한정보에 따라 이동 단말(200)의 동작을 제어한다(460).
한편, 사용자는 수신한 권한정보에 따라 동작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하고 싶어할 수 도 있다. 이에 따라, 이동 단말(200)은 사용자로부터 동작이 제한된 기능에 대한 실행 요청 신호를 입력(470)받을 수 있다.
이때, 동작이 제한된 기능에 대한 실행 요청 신호가 감지(470)되면, 실행 요청 신호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480)하고, 관리 서버(300)로부터 동작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한다(490).
이때, 동작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는 특정한 한 지점(예를 들어, 3차원 좌표 (a, b, c))일 수 있으며, 소정의 영역을 의미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9 를 통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이동 단말의 제어방법에 대해 설명한다.
먼저, 이동 단말(200)은 보안구역에 진입하면 자동적으로 또는 사용자의 실행 명령에 의해 동작제어 애플리케이션을 실행(510)하고, 보안구역 내에 설치된 비콘 장치(100)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하여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한다(520).
이때,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것은, 비콘 장치(100)로부터 수신한 비콘신호를 신호세기를 측정하고, 측정한 신호세기 및 비콘신호에 포함된 신호세기에 따른 거리 정보와 기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삼각측량법으로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를 검출할 수 있다.
또한, 검출한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관리 서버(300)로 전송(530)하고, 관리 서버(300)로부터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 및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있는 구역에 대한 권한정보와 위치 정보를 수신한다(540).
또한, 관리 서버(300)로부터 수신한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에 따라 동작이 허용된 기능을 검출(550)하고, 일정 거리 범위 내에 동작이 허용된 기능을 제한하는 구역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한다(560).
이때, 일정 거리 범위 내에 동작이 허용된 기능을 제한하는 구역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는 것은, 일정 거리 범위 내에 동작이 허용된 기능이 사용 가능한 정보로 분류된 권한정보가 설정된 구역을 검출함으로써 일정 거리 범위 내에 동작이 허용된 기능을 제한하는 구역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할 수 있다.
일정 거리 범위 내에 동작이 허용된 기능을 제한하는 구역이 존재(560)하면, 현재 위치로부터 동작이 허용된 기능을 제한하는 구역까지의 거리 및 방향을 검출한다(570)
이때, 현재 위치로부터 동작이 허용된 기능을 제한하는 구역까지의 거리 및 방향을 검출하는 것은, 현재 위치의 3차원 좌표 정보와 동작이 허용된 기능을 제한하는 구역의 3차원 좌표 정보를 이용하여 검출할 수 있다.
또한, 사용자가 현재 위치로부터 검출한 방향으로 검출한 거리만큼 이동할 시 현재 사용 가능한 기능을 사용할 수 없다는 것을 인식할 수 있도록 검출한 현재 위치로부터 동작이 허용된 기능을 제한하는 구역까지의 거리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포함하는 경고 신호를 출력한다(580).
도 10 는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블록도이며, 도 11a, 11b 는 도 10 에 도시된 권한정보 검색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며, 도 12a, 12b 는 도 10 에 도시된 위치 정보 검출부의 일 예를 도시한 도면이다.
도 10 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300)는 서버 통신부(310), 서버 제어부(320) 및 서버 메모리부(33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310)는 이동 단말(200)과 외부 장치와의 무선 통신을 수행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예컨대, 서버 통신부(310)는 무선 인터넷 모듈, 근거리 통신 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서버 통신부(310)는 이동 단말(200)로부터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한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 및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있는 구역의 권한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 통신부(310)는 이동 단말(200)로부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에 따라 사용이 제한된 기능에 대한 실행 요청 신호를 수신하고, 이에 응답하여 사용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이동 단말(20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서버 통신부(310)는 소정의 외부 장치와 통신하여 보안구역에 대한 권한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20)는 관리 서버(300)의 전반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 제어부(320)는 권한정보 검색부(321) 및 위치정보 검출부(322)를 포함할 수 있다.
권한정보 검색부(321)는 서버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한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권한정보 검색부(321)는 도 10a 와 같이, 서버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한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가 속하는 구역을 검출할 수 있다. 이때, 보안구역은 복수 개의 소정의 구역으로 나눠져 있을 수 있으며, 권한정보 검색부(321)는 복수 개의 구역 중 현재 위치가 속하는 구역을 검출할 수 있다. 권한정보 검색부(321)는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가 속하는 구역에 설정된 권한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가 속하는 구역에 설정된 권한정보를 검출하는 것은 서버 메모리부(330)에 저장되어 있는 권한정보 데이터와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가 속하는 구역을 매칭하여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가 속하는 구역에 설정된 권한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권한정보 데이터는 구역 별로 권한정보가 분류되어 있는 정보를 의미할 수 있다.
한편, 보안구역을 복수 개의 소정의 구역으로 나누는 것은 관리자에 의해 나눠질 수 있으며, 도 10a 와 같이 사각형 모양으로 구역이 나눠질 수 있으며, 도 10b 와 같이, 원 모양으로 구역이 나눠질 수 있다. 또한, 보안구역을 복수 개의 소정의 구역으로 나누는 것은, 보안구역을 복수 개의 구역으로 나눌 수 있는 모양이라면 상술한 모양 이외에 다른 모양으로 나눌 수 있음은 물론이다.
위치정보 검출부(322)는 서버 통신부(310)를 통해 수신한 실행 요청 신호에 대응하는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위치정보 검출부(322)는 실행 요청 신호에 포함된 기능이 사용 가능한 기능으로 분류되어 저장된 권한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위치정보 검출부(322)는 보안구역 내에 있는 복수 개의 구역 및 보안구역 밖에 있는 구역에 설정된 권한정보와 실행 요청 신호에 포함된 기능을 매칭하여 실행 요청 신호에 포함된 기능이 사용 가능한 기능으로 분류되어 있는 권한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위치정보 검출부(322)는 실행 요청 신호에 포함된 기능이 사용 가능한 기능으로 분류되어 저장된 권한정보가 설정된 구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위치정보 검출부(322)는 도 11a 와 같이,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하여 실행 요청 신호에 포함된 기능이 사용 가능한 기능으로 분류되어 저장된 권한정보가 설정된 구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위치 정보는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로부터의 거리 및 방향을 포함할 수 있다.
위치정보 검출부(322)는 실행 요청 신호에 포함된 기능이 사용 가능한 기능으로 분류되어 저장된 권한정보가 복수 개일 경우, 각 권한정보가 설정된 구역으로부터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까지의 거리를 비교할 수 있다. 이때, 위치정보 검출부(322)는 도 11b 와 같이,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로부터 각 권한정보가 설정된 구역까지의 거리를 검출하고, 검출한 거리가 상대적으로 짧은 구역의 위치 정보를 검출할 수 있다. 이때,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로부터 각 권한정보가 설정된 구역까지의 거리는 상대적인 거리(즉, 방향성이 없는 직선 거리)일 수 있으며,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로부터 각 권한정보가 설정된 구역까지 2차원 또는 3차원 지도 상에서 사람이 이동할 수 있는 통로를 통해 이동하는 거리일 수 있다.
서버 메모리부(330)는 서버 제어부(320)의 처리 및 제어를 위한 프로그램을 저장할 수 있으며, 입/출력되는 데이터들의 임시 저장을 위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특히, 본 실시예에 따른 서버 메모리부(330)는 구역 별로 권한정보가 분류되어 있는 권한정보 데이터, 보안구역 이외(보안구역을 제외한 건물 내부)에 대한 권한정보, 보안구역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보안구역 이외(보안구역을 제외한 건물 내부)에 대한 위치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때, 복수 개의 소정의 구역에 대한 위치 정보, 보안구역에 대한 위치 정보 및 보안구역 이외(보안구역을 제외한 건물 내부)에 대한 위치 정보는 방향 및 거리 정보일 수 있으며, 2차원 또는 3차원으로 구성된 지도(map) 정보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도 12 를 통하여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관리 서버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먼저, 이동 단말(200)로부터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다(610).
이동 단말(200)로부터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610)하면, 수신한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를 검색하여 이동 단말(200)로 전송한다(620).
이때, 수신한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를 검색하는 것은, 수신한 현재 위치가 속하는 구역을 검출하고, 검출한 구역에 설정된 권한정보를 검색함으로써 수신한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를 검색할 수 있다.
한편, 보안구역을 포함하는 건물 내부의 모든 영역을 복수 개의 구역으로 나눌 수 있으며, 복수 개의 구역은 서로 다른 권한정보가 설정될 수 있으며, 이동 단말(200)의 현재 위치는 복수 개의 구역 중 어느 하나의 영역에 속할 수 있다.
또한, 이동 단말(200)로부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에 따라 동작이 제한된 기능에 대한 실행 요청 신호가 수신(630)되면, 동작이 제한된 기능이 사용 가능한 기능으로 분류하여 저장된 권한정보를 검색한다(640).
또한, 검색한 권한정보가 설정된 구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검출하여 검출한 위치 정보를 이동 단말(200)로 전송한다(650).
이와 같은, 이동 단말의 현재 위치에 따라 이동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고 현재 위치에 따라 동작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기술은 애플리케이션으로 구현되거나 다양한 컴퓨터 구성요소를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어의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어,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어는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니와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의 당업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DVD 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어를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어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 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도 포함된다. 상기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에 따른 처리를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상에서는 실시예들을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100: 비콘
200: 이동 단말
300: 관리 서버

Claims (12)

  1. 위치에 따른 권한정보를 관리서버로부터 수신하는 이동 단말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에 인접한 비콘장치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권한정보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고,
    상기 권한정보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는 중 상기 권한정보에 따라 동작이 제한된 기능에 대한 실행 요청 신호가 입력되면 상기 실행 요청 신호를 상기 관리서버로 전송하고,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동작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까지의 거리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위치기반 이동 단말의 제어방법.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비콘장치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하여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것은,
    복수 개의 비콘 장치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하여 각 비콘신호의 신호세기를 검출하고, 상기 각 비콘신호의 신호세기 및 상기 각 비콘신호에 포함된 신호세기에 따른 거리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각 비콘장치로부터의 상대 거리를 검출하고, 상기 상대 거리 및 상기 각 비콘신호에 포함된 기준 위치 정보를 이용하여 상기 현재 위치를 검출하는 위치기반 이동 단말의 제어방법.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 개의 비콘장치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하여 각 비콘신호의 신호세기를 검출하는 것은,
    적어도 3개 이상의 비콘장치로부터 비콘신호를 수신하고,
    상기 비콘장치가 4개 이상일 경우 상기 복수 개의 비콘장치 중 신호세기가 큰 3개의 비콘장치를 선별하는 위치기반 이동 단말의 제어방법.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권한정보에 따라 동작을 제어하는 것은,
    상기 권한정보에 포함된 사용 가능한 기능 및 사용 불가능 기능에 대한 정보에 따라 상기 이동 단말의 동작을 제어하는 위치기반 이동 단말의 제어방법.
  5.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까지의 거리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출력하는 것은,
    상기 현재 위치 및 상기 동작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가 표시된 지도 또는 네비게이션정보를 수신하여 출력하는 것을 포함하는 위치기반 이동 단말의 제어방법.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관리서버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범위 내의 권한정보를 수신하여 상기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에 따라 동작이 허용된 기능을 제한하는 구역이 있는지 여부를 검출하고,
    상기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상기 동작이 허용된 기능을 제한하는 구역이 있을 경우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상기 동작이 허용된 기능을 제한하는 구역까지의 거리및 방향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거리 및 방향 정보를 포함하는 경고 신호를 출력하는 것을 더 포함하는 위치기반 이동 단말의 제어방법.
  7. 위치에 따른 권한정보를 저장하고 상기 권한정보를 이동 단말에 제공하는 관리서버의 제어방법에 있어서,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이동 단말의 현재 위치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 및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범위 내에 있는 구역에 대응하는 권한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고,
    상기 이동 단말로부터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에 따라 동작이 제한된 기능에 대한 실행 요청 신호를 수신하면,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에 따라 동작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를 검출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현재 위치를 기준으로 상기 동작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까지의 거리 및 방향에 대한 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위치기반 관리서버의 제어방법.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가 속하는 구역에 대응하는 권한정보 및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범위 내에 있는 구역에 대응하는 권한정보를 검색하는 것은,
    상기 현재 위치가 포함되는 구역 및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범위 내에 있는 구역을 검출하고, 상기 관리서버 내부에 구역별로 분류되어 저장되어 있는 권한정보 데이터와 상기 검출한 구역을 비교하여 상기 검출한 구역에 대응하는 상기 권한정보를 검출하는 위치기반 관리서버의 제어방법.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검색된 권한정보에 따라 동작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를 검출하는 것은,
    상기 동작이 제한된 기능이 사용 가능한 기능으로 분류되어 저장된 권한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동작이 제한된 기능이 사용 가능한 기능으로 분류되어 저장된 권한정보가 속하는 구역을 검출하고, 상기 검출한 구역에 대한 위치 정보를 검출하는 위치기반 관리서버의 제어방법.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동작이 제한된 기능이 사용 가능한 기능으로 분류되어 저장된 권한정보가 속하는 구역을 검출하는 것은,
    상기 동작이 제한된 기능이 사용 가능한 기능으로 분류되어 저장된 권한정보가 속하는 구역이 복수 개일 경우, 상기 이동 단말의 현재 위치와의 거리를 비교하여 상기 이동 단말의 현재 위치와 가장 가까운 위치에 있는 구역을 검출하는 위치기반 관리서버의 제어방법.
  11.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 및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미리 정해진 거리 범위 내에 있는 구역에 대응하는 권한정보를 검색하여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것은,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있는 구역의 권한정보를 검출하고,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에 따라 동작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할 수 있도록 상기 현재 위치에 대응하는 권한정보 및 상기 현재 위치로부터 일정 거리 범위 내에 있는 구역의 권한정보를 상기 이동 단말로 전송하는 위치기반 관리서버의 제어방법.
  12. 제 1 항 내지 제 11 항 중 어느 하나의 항에 따라 이동 단말의 동작 제어 및 동작이 제한된 기능을 사용할 수 있는 위치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기 위한, 컴퓨터 프로그램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
KR1020140126843A 2014-09-23 2014-09-23 위치기반 이동 단말 및 관리서버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10159359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843A KR101593596B1 (ko) 2014-09-23 2014-09-23 위치기반 이동 단말 및 관리서버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26843A KR101593596B1 (ko) 2014-09-23 2014-09-23 위치기반 이동 단말 및 관리서버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93596B1 true KR101593596B1 (ko) 2016-02-12

Family

ID=553552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26843A KR101593596B1 (ko) 2014-09-23 2014-09-23 위치기반 이동 단말 및 관리서버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93596B1 (ko)

Cited By (6)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511B1 (ko) * 2016-05-30 2017-07-25 정진욱 비콘 메시지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출입 관리 시스템
KR101901373B1 (ko) * 2017-09-13 2018-12-05 주식회사 예몬 스마트기기 보안 시스템
KR20190141900A (ko) * 2018-06-15 2019-12-26 주식회사 에스원 Mdm 제어 방법, mdm을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83125B1 (ko) * 2019-07-24 2020-02-28 주식회사 한국유전자정보연구원 퇴행성 뇌질환자의 측위 분석 방법
KR102131596B1 (ko) * 2019-04-04 2020-07-08 주식회사 수산아이앤티 위치 기반 사용자 단말기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428524B1 (ko) * 2021-08-09 2022-08-03 주식회사 지미션 모바일 기기의 위치에 기반한 앱 실행 제어 방법 및 서버에서의, 모바일 기기의 위치 확인에 기반한 앱 실행 제어 방법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0835A (ko) 2003-09-26 2005-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폰의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07851A (ko) * 2009-07-17 2011-01-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접근허용영역에 기반한 정보 유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143301B1 (ko) 2011-10-24 2012-05-08 장길훈 위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방법
KR20130047082A (ko) * 2011-10-31 2013-05-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 기능 제한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50030835A (ko) 2003-09-26 2005-03-31 삼성전자주식회사 카메라폰의 카메라 기능을 제한하기 위한 시스템 및 방법
KR20110007851A (ko) * 2009-07-17 2011-01-25 한국전자통신연구원 접근허용영역에 기반한 정보 유출 제어장치 및 그 방법
KR101143301B1 (ko) 2011-10-24 2012-05-08 장길훈 위치기반 사용자 인터페이스 설정방법
KR20130047082A (ko) * 2011-10-31 2013-05-08 한국전자통신연구원 무선랜 시스템에서의 휴대 단말 기능 제한 방법

Cited By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61511B1 (ko) * 2016-05-30 2017-07-25 정진욱 비콘 메시지를 이용한 휴대 단말기 출입 관리 시스템
KR101901373B1 (ko) * 2017-09-13 2018-12-05 주식회사 예몬 스마트기기 보안 시스템
KR20190141900A (ko) * 2018-06-15 2019-12-26 주식회사 에스원 Mdm 제어 방법, mdm을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97868B1 (ko) * 2018-06-15 2020-04-06 주식회사 에스원 Mdm 제어 방법, mdm을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131596B1 (ko) * 2019-04-04 2020-07-08 주식회사 수산아이앤티 위치 기반 사용자 단말기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83125B1 (ko) * 2019-07-24 2020-02-28 주식회사 한국유전자정보연구원 퇴행성 뇌질환자의 측위 분석 방법
KR102428524B1 (ko) * 2021-08-09 2022-08-03 주식회사 지미션 모바일 기기의 위치에 기반한 앱 실행 제어 방법 및 서버에서의, 모바일 기기의 위치 확인에 기반한 앱 실행 제어 방법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593596B1 (ko) 위치기반 이동 단말 및 관리서버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US11943696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and controlling contraband devices
KR102004023B1 (ko) 다양한 신뢰 레벨들을 이용하는 지오펜스 이벤트들의 검출 기법
CA2946667C (en) Adaptive position determination
KR102103170B1 (ko) 모바일 디바이스의 위치정보 제공 방법 및 장치
US9462568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indoor location services
US20120264446A1 (en) Identifying Status Based on Heterogeneous Sensors
US20130103309A1 (en) Emergency guiding system and server
MX2013010578A (es) Deteccion de ubicacion de dispositivo mejorada.
CN103858497A (zh) 用于提供基于位置的信息的方法和设备
KR101648827B1 (ko) 실시간 위치 기반 이벤트 발생 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단말 제어 방법
US11622227B2 (en) Location tracking with loitering logic
JP6024257B2 (ja) エリア検知プログラム,エリア検知装置およびエリア検知方法
US20150177359A1 (en) Method for using and generating a map
KR20150044572A (ko) 지오펜스 구축 시스템 및 방법
US11341741B2 (en) Arial based parolee tracking and pursuit
KR101061360B1 (ko) 지자기 기반의 방향 정보를 이용하여 타겟 단말기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서버, 단말기 및 방법
KR101704570B1 (ko) 지오펜스 서비스 방법과 그를 수행하는 네비게이션 단말기 및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170000362A (ko) 단말의 측위를 이용한 고객 안내 방법 및 시스템
KR20180119877A (ko) 전파 맵 생성 장치 및 방법
KR101785363B1 (ko) 이동 단말 및 관리서버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Vasuki et al. Speech Based Object Tracking System
WO2014172832A1 (en) A system and method for tracking an object
Harkin et al. Voice enabled indoor localisation
FR2981775A1 (fr) Systeme de guidage d'un individu en environnement inconnu et procede de mise en oeuvre d'un tel system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90207

Year of fee payment: 4