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190141900A - Mdm 제어 방법, mdm을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 Google Patents

Mdm 제어 방법, mdm을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190141900A
KR20190141900A KR1020180068684A KR20180068684A KR20190141900A KR 20190141900 A KR20190141900 A KR 20190141900A KR 1020180068684 A KR1020180068684 A KR 1020180068684A KR 20180068684 A KR20180068684 A KR 20180068684A KR 20190141900 A KR20190141900 A KR 201901419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management
management function
mobile terminal
access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6868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097868B1 (ko
Inventor
심정환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에스원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에스원
Priority to KR102018006868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97868B1/ko
Publication of KR201901419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1901419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978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978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07C9/00031
    • G07C9/00103
    • G07C9/00119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1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where the code of the lock can be programmed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896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 G07C9/0090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uses for hotels, motels, office buildings or the lik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MTELEPHONIC COMMUNICATION
    • H04M1/00Substation equipment, e.g. for use by subscribers
    • H04M1/72Mobile telephones; Cordless telephones, i.e. devices for establishing wireless links to base stations without route selection
    • H04M1/724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 H04M1/72403User interfaces specially adapted for cordless or mobile telephones with means for local support of applications that increase the functionality
    • H04M1/72522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07C2009/0034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limited data transmission ranges
    • G07C2009/00357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keyless data carrier having more than one limited data transmission ranges and the lock having more than one limited data transmission range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2009/00753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 G07C2009/0076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active electrical keys with data transmission performed by wireless mean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MDM 제어 방법, MDM을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이 개시된다. 단말 관리 기능(MDM: mobile device management)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에서의 단말 관리 기능 제어 방법은, 사용자로부터 상기 단말 관리 기능의 구동 중단 또는 삭제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구동 중단 또는 삭제 명령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보안 구역 내에 위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보안 구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구동 중단 또는 삭제 명령이 실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MDM 제어 방법, MDM을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Mobile device management control method, access control method using MDM and the system thereof}
본 발명은 MDM 제어 방법, MDM을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종래에는 모바일 단말의 단말 관리 기능(즉, MDM: mobile device management)의 구동 여부를 확인하기 위해 육안으로 출입자의 휴대 전화의 MDM APP을 직접 확인해야만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종래의 경우, 육안으로 사용자의 MDM APP 실행 여부를 확인함에 따라 출입 데이털ㄹ 통해 최종 출입문을 퇴실한 상태에서 사용자의 모바일 단말에 설치된 MDM 을 자동으로 해제하는 경우 모바일 데이터 통신의 오류로 인해 정상적으로 제어되지 않는 문제점이 있었다.
(01)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10-2017-0129068호(2017.11.24)
본 발명은 MDM 제어 방법, MDM을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 시스템과 연동하여 MDM을 제어/관리하여 보안 구역 내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MDM 기능을 중단하거나 삭제하지 못하도록 하여 보안 구역내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는 MDM 제어 방법, MDM을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 시스템과의 연동을 통해 사용자가 보안 구역 내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지를 쉽게 확인할 수 있는 MDM 제어 방법, MDM을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MDM 제어 방법 및 이를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단말 관리 기능(MDM: mobile device management)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에서의 단말 관리 기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단말 관리 기능의 구동 중단 또는 삭제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구동 중단 또는 삭제 명령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보안 구역 내에 위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보안 구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구동 중단 또는 삭제 명령이 실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관리 기능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사용자가 보안 구역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구동 중단 또는 삭제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 관리 기능을 구동 중단 또는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이 보안 구역 진입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 관리 기능을 자동으로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의 출입 인증기 인식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의 단말 관리 기능이 정상적으로 구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상기 단말 관리 기능이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않은 경우, 출입을 거부하며 출입문을 개방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MDM과 연동된 출입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의 단말 관리 기능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경우,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모바일 단말의 단말 관리 기능이 정상적으로 구동됨에 따라 단말 관리 서버로부터 구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의 단말 관리 기능이 정상 구동 상태이면, 상기 사용자에 상응하는 출입 권한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문의 개방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보안 구역 내"로 설정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단말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 이후에, 퇴실을 위해 상기 사용자의 출입 인증기 인식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출입 권한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권한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퇴실을 위해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퇴실을 위해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출입문의 개방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보안 구역 외부"로 설정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단말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출입 권한이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모바일 단말의 단말 관리 기능 구동 중단 또는 삭제 조작시,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보안 구역 내"이면, 상기 모바일 단말의 단말 관리 기능이 구동 중단 또는 삭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관리 기능 제어 방법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모바일 단말의 단말 관리 기능 구동에 따른 구동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출입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출입 시스템은 상기 구동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출입 권한 활성화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측면에 따르면, 출입 시스템과 연동된 MDM 제어 및/또는 MDM과 연동된 출입 제어를 위한 장치들이 제공된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로부터 상기 단말 관리 기능의 구동 중단 또는 삭제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구동 중단 또는 삭제 명령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보안 구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 관리 기능의 구동 중단 또는 삭제 명령이 실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이 제공될 수 있다.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보안 구역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구동 중단 또는 삭제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 관리 기능을 구동 중단 또는 삭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 제어 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명령어들은, 사용자의 출입 인증기 인식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의 단말 관리 기능이 정상적으로 구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상기 단말 관리 기능이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않은 경우, 출입을 거부하며 출입문을 개방하지 않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제어 장치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 시스템과 연동된 서버에 있어서, 상기 출입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모바일 단말의 단말 관리 기능 구동 중단 또는 삭제 조작시,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보안 구역 내"이면, 상기 모바일 단말의 단말 관리 기능이 구동 중단 또는 삭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서버가 제공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DM 제어 방법, MDM을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을 제공함으로써, 출입 시스템과 연동하여 MDM을 제어/관리하여 보안 구역 내에서 사용자가 임의로 MDM 기능을 중단하거나 삭제하지 못하도록 하여 보안 구역내의 보안을 강화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출입 시스템과 MDM 연동을 통해 사용자가 보안 구역 내 또는 외부에 위치하는지를 쉽게 파악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DM과 연동된 출입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기능의 구동 중단에 따른 단말 관리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기능의 삭제 요청에 따른 단말 관리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구성된다" 또는 "포함한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여러 구성 요소들, 또는 여러 단계들을 반드시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해석되지 않아야 하며, 그 중 일부 구성 요소들 또는 일부 단계들은 포함되지 않을 수도 있고, 또는 추가적인 구성 요소 또는 단계들을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시스템(100()은 모바일 단말(110), 단말 관리 서버(120), 리더(130) 및 출입 제어 장치(1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모바일 단말(110)은 사용자가 소지한 휴대 장치이다. 여기서, 모바일 단말(110)은 단말 관리 기능(MDM: mobile device management)이 구비된 장치일 수 있다. 즉, 모바일 단말(110)은 단말 관리 서버(120)로부터 단말 관리 앱(MDM 앱) 설치 파일을 다운로드 받아 설치할 수 있다.
단말 관리 기능(MDM)은 당업자에게는 자명한 사항이므로 이에 대한 별도의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모바일 단말(110)은 단말 관리 기능이 구동되는 경우, 이에 대한 구동 정보를 단말 관리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110)은 구동된 단말 관리 기능에 따라 모바일 단말(110)의 기능 중 적어도 일부(예를 들어, 카메라 등)를 비활성화할 수 있다.
또한, 모바일 단말(110)은 사용자의 단말 관리 기능의 구동 중단 또는 삭제 조작(명령)시, 해당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해당 단말 관리 기능의 구동 중단 또는 삭제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10)은 사용자의 위치 정보가 "보안 구역 내부"이면, 사용자의 단말 관리 기능의 구동 중단 또는 삭제 조작(명령)되더라도 해당 단말 관리 기능이 구동 중단 또는 삭제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단말 관리 서버(120)는 모바일 단말(110)에 설치된 단말 관리 기능을 관리/제어하는 장치이다.
예를 들어, 단말 관리 서버(120)는 모바일 단말(110)에서 단말 관리 기능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경우, 해당 구동 정보를 모바일 단말(110)로부터 획득한 후 이를 출입 시스템(출입 제어 장치)로 전송할 수 있다.
또한, 단말 관리 서버(120)는 출입 시스템(출입 제어 장치)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저장/관리하며, 모바일 단말(110)의 단말 관리 기능의 구동 중단 또는 삭제 조작(명령)시, 사용자의 위치 정보에 따라 구동 중단 또는 삭제 여부를 결정하여 이를 제어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히 이해될 것이다.
리더(130)는 사용자가 소지한 출입 인증기 근접에 따라 출입 인증기를 인식하기 위한 수단이다.
여기서 출입 인증기에는 예를 들어, 출입 카드 등과 같은 물리적인 인증 수단 및 얼굴, 지문 등의 생체 인식이 모두 포함될 수 있다.
출입 제어 장치(140)는 리더(130)와 연동되어 출입 인증기 인식에 따라 출입문 개폐를 제어하기 위한 장치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제어 장치(140)는 리더(130)에 의해 출입 인증기가 정상적으로 인식될지라도 사용자에 상응하는 출입 권한이 비활성화된 경우 출입문이 개방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즉, 출입 제어 장치(140)는 사용자에 상응하는 출입 권한의 활성화 여부에 따라 출입문 개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해당 출입 권한의 활성화 여부는 모바일 단말(110)에 설치(구비)된 단말 관리 기능의 정상 구동 여부에 따라 결정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하기의 설명에 의해 보다 명확하게 이해될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MDM과 연동된 출입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이하에서는 출입 시스템과 MDM 기능이 연동되며, MDM 정상 구동 여부에 따라 출입문 개방 여부를 결정할 수 있는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210에서 모바일 단말(110)은 단말 관리 기능을 구동한다.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는 보안 구역에 진입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110)에 설치된 단말 관리 기능을 구동한다. 다른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10)이 특정 위치(보안 구역 진입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 관리 기능이 자동으로 구동될 수도 있다.
단계 215에서 모바일 단말(110)은 단말 관리 기능 구동에 따른 구동 정보를 단말 관리 서버(120)로 전송한다.
단계 220에서 단말 관리 서버(120)는 구동 정보를 확인하여 단말 관리 기능이 정상적으로 구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단말 관리 기능이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않은 경우, 단계 225에서 단말 관리 서버(120)는 비정상 구동에 따른 메시지를 모바일 단말(110)로 전송한 후 단말 관리 기능을 재구동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단말 관리 기능이 정상적으로 구동된 경우, 단계 230에서 단말 관리 서버(120)는 모바일 단말의 단말 관리 기능의 정상 구동 알림 메시지를 출입 제어 장치(140)로 전송한다. 여기서, 정상 구동 알림 메시지는 해당 모바일 단말의 식별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이해와 설명의 편의를 도모하기 위해 모바일 단말의 식별정보를 정상 구동 알림 메시지에 포함하여 전송하는 것을 가정하고 있으나, 식별정보는 사용자 정보(예를 들어, 사원번호, 회원번호, 학번 등)일 수도 있다.
단계 235에서 출입 제어 장치(140)는 정상 구동 알림 메시지의 수신에 따라 모바일 단말(110)에 상응하는 출입 권한을 활성화한다. 각 사용자에 상응하는 출입 권한은 디폴트 상태가 비활성화 상태일 수 있다. 출입을 원하는 사용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110)의 단말 관리 기능이 정상적으로 구동되고 있음이 확인되는 경우, 해당 사용자에 상응하는 출입 권한이 활성화 상태로 변경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출입 권한이 활성화 상태로 변경된 이후 사용자가 소지한 출입 인증기를 인식하는 경우 출입문 개폐 제어가 수행될 수 있다. 이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240에서 출입 제어 장치(140)는 리더를 통해 사용자의 출입 인증기를 인식한다.
단계 245에서 출입 제어 장치(140)는 출입 인증기 인식된 사용자의 출입 권한에 따라 출입문 개폐 여부를 결정한다.
보다 상세하게, 사용자가 소지한 출입 인증기를 리더(130)에 근접하는 경우, 리더(130)는 출입 인증기에 기록된 출입 인증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여기서, 출입 인증 정보는 사원번호, 회원번호, 카드 번호 또는 학번과 같은 고유한 식별정보일 수 있다. 리더(130)는 출입 인증 정보를 이용하여 출입 인증 승인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출입 인증이 성공한 경우, 리더(130)는 출입 제어 장치(140)로 출입 인증 성공에 따른 메시지를 전송할 수 있다. 이로 인해, 출입 제어 장치(140)는 리더(130)에 의해 출입 인증기가 정상적으로 인식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출입 인증기가 정상적으로 인식되면, 출입 제어 장치(140)는 출입 인증 정보에 상응하는 출입 권한이 활성화된 경우, 출입문을 개방할 수 있다. 반면, 출입 인증 정보에 상응하는 출입 권한이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출입 제어 장치(140)는 출입문을 개방하지 않을 수 있다.
단계 250에서 출입 제어 장치(140)는 출입문 개방에 따른 사용자의 위치를 단말 관리 서버(120)로 전송한다. 즉, 출입 제어 장치(140)는 출입문을 개방하여 사용자가 보안 구역 내로 입실한 경우, 사용자가 보안 구역 내에 위치하는 것으로 위치 정보를 단말 관리 서버(120)로 전송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기능의 구동 중단에 따른 단말 관리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310에서 모바일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단말 관리 기능(MDM)의 구동 중단 명령을 입력받는다.
단계 315에서 모바일 단말(110)은 단말 관리 서버(120)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MDM 구동 중단 명령이 입력되면, 단말 관리 서버(120)로부터 사용자(즉, 출입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320에서 모바일 단말(110)은 획득된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보안 구역 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보안 구역 내부가 아니면, 단계 325에서 모바일 단말(110)은 단말 관기 기능의 구동 중단 명령에 따라 해당 단말 관리 기능을 구동 중단시킨다.
반면, 사용자 위치 정보가 보안 구역 내부이면, 단계 330에서 모바일 단말(110)은 단말 관리 기능의 구동 중단 명령을 거부한다. 즉, 모바일 단말(110)은 구동 중단 명령의 입력에도 불구하고 단말 관리 기능이 구동 중단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구동 중단 명령을 거부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110)은 사용자에게 실패에 따른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실패에 따른 안내 메시지에는 구동 중단 명령의 미실행 이유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기능의 삭제 요청에 따른 단말 관리 기능을 제어하는 방법을 나타낸 순서도이다.
단계 410에서 모바일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단말 관리 기능(MDM)의 삭제 명령을 입력받는다.
단계 415에서 모바일 단말(110)은 단말 관리 서버(120)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한다. 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10)은 사용자로부터 MDM 삭제 명령이 입력되면, 단말 관리 서버(120)로부터 사용자(즉, 출입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단계 420에서 모바일 단말(110)은 획득된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보안 구역 내인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보안 구역 내부가 아니면, 단계 425에서 모바일 단말(110)은 단말 관기 기능의 삭제 명령에 따라 해당 단말 관리 기능을 삭제시킨다.
반면, 사용자 위치 정보가 보안 구역 내부이면, 단계 330에서 모바일 단말(110)은 단말 관리 기능의 삭제 명령을 거부한다. 즉, 모바일 단말(110)은 삭제명령의 입력에도 불구하고 단말 관리 기능이 삭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삭제 명령을 거부하는 경우, 모바일 단말(110)은 사용자에게 실패에 따른 안내 메시지를 출력할 수 있다. 여기서, 실패에 따른 안내 메시지에는 삭제 명령의 미실행 이유를 포함할 수도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출입 제어 방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5에서는 퇴실하는 경우 출입 제어 방법에 대해 설명하기로 한다.
단계 510에서 리더(130)는 사용자가 퇴실을 위해 출입 인증기를 인식함에 따라 출입 인증 정보를 획득한다.
단계 515에서 출입 제어 장치(140)는 리더(130)로부터 출입 인증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출입 인증 정보에 상응하는 출입 권한이 활성화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한다.
만일 출입 권한이 활성화된 경우, 단계 520에서 출입 제어 장치(140)는 사용자가 퇴실할 수 있도록 출입문을 개방한다.
이어, 단계 525에서 출입 제어 장치(140)는 보안 구역 퇴실에 상응하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단말 관리 서버(120)로 전송한다. 즉, 출입 제어 장치(140)는 사용자 위치 정보를 보안 구역 외부로 설정한 후 이를 단말 관리 서버(12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출입 권한이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단계 530에서 출입 제어 장치(140)는 출입문을 개방하지 않는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110)의 단말 관리 기능이 정상적으로 구동된 상태에서 출입 시스템을 통해 정상적으로 출입한 경우, 사용자에 상응하는 출입 권한이 활성화된 상태를 유지할 수 있다.
그러나 만일 출입 권한이 활성화지 않은 경우, 해당 모바일 단말(110)을 소지한 사용자는 출입 시스템을 통해 정상적인 방법으로 출입하지 않은 경우이므로, 퇴실을 위해 사용자가 출입 인증기를 인식하더라도 출입문을 개방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6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110)은 입력부(610), 통신부(615), 디스플레이부(620), 메모리(625) 및 프로세서(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입력부(610)는 모바일 단말(110)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입력부(610)는 단말 관리 기능의 설치, 구동, 구동 중단, 삭제 등을 위한 다양한 제어 명령을 입력받을 수 있다.
입력부(610)는 적어도 하나의 키 버튼으로 구현될 수 있으며, 터치 패드로 구현될 수도 있다.
통신부(615)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들(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1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통신부(615)는 프로세서(630)의 제어에 따라 단말 관리 서버(120)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부(620)는 모바일 단말(110)을 통해 입력되거나 저장된 정보를 시각 정보의 형태로 출력하기 위한 수단이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부(620)는 액정 화면(LCD)일 수 있다. 또한, 디스플레이부(620)와 입력부(610)는 터치 스크린과 같이 하나의 구성으로 모바일 단말(110)에 구비될 수도 있다.
메모리(62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110)의 단말 관리 기능 제어 및 이를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을 수행하기 위해 필요한 다양한 명령어들을 저장한다.
프로세서(6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모바일 단말(11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입력부(610), 통신부(615), 디스플레이부(620), 메모리(625) 등)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프로세서(630)는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보안 구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단말 관리 기능의 구동 중단 또는 삭제 명령이 실행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제어 장치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7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제어 장치(140)는 통신부(710), 메모리(715) 및 프로세서(7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710)은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들(예를 들어, 모바일 단말(110), 단말 관리 서버(120))과 데이터를 송수신하기 위한 수단이다.
메모리(715)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들을 저장한다.
프로세서(720)는 메모리(715)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할 수 있다. 프로세서(720)에 의해 실행된 명령어들은 사용자의 출입 인증기 인식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의 단말 관리 기능의 정상 구동 여부에 따라 출입문 개폐 여부를 결정할 수 있다. 이에 대해서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서버의 내부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서버(120)는 통신부(810), 메모리(820) 및 프로세서(83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통신부(810)는 통신망을 통해 다른 장치들(예를 들어, 출입 제어 장치(140), 모바일 단말(110))과 데이터를 송수신한다. 예를 들어, 통신부(810)는 출입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메모리(820)는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들을 저장한다.
프로세서(83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단말 관리 서버(120)의 내부 구성 요소들(예를 들어, 통신부(810), 메모리(820))을 제어하기 위한 수단이다. 또한, 프로세서(830)는 모바일 단말의 단말 관리 기능 구동 중단 또는 삭제 조작시,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보안 구역 내"이면, 상기 모바일 단말의 단말 관리 기능이 구동 중단 또는 삭제되지 않도록 제어할 수도 있다. 이는 도 1 내지 도 5에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므로 중복되는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장치 및 방법은 다양한 컴퓨터 수단을 통하여 수행될 수 있는 프로그램 명령 형태로 구현되어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는 프로그램 명령, 데이터 파일, 데이터 구조 등을 단독으로 또는 조합하여 포함할 수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매체에 기록되는 프로그램 명령은 본 발명을 위하여 특별히 설계되고 구성된 것들이거나 컴퓨터 소프트웨어 분야 통상의 기술자에게 공지되어 사용 가능한 것일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의 예에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매체(magnetic media), CD-ROM,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optical media),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a) 및 롬(ROM), 램(RAM), 플래시 메모리 등과 같은 프로그램 명령을 저장하고 수행하도록 특별히 구성된 하드웨어 장치가 포함된다. 프로그램 명령의 예에는 컴파일러에 의해 만들어지는 것과 같은 기계어 코드뿐만 아니라 인터프리터 등을 사용해서 컴퓨터에 의해서 실행될 수 있는 고급 언어 코드를 포함한다.
상술한 하드웨어 장치는 본 발명의 동작을 수행하기 위해 하나 이상의 소프트웨어 모듈로서 작동하도록 구성될 수 있으며, 그 역도 마찬가지이다.
이제까지 본 발명에 대하여 그 실시 예들을 중심으로 살펴보았다.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에서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변형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개시된 실시 예들은 한정적인 관점이 아니라 설명적인 관점에서 고려되어야 한다. 본 발명의 범위는 전술한 설명이 아니라 특허청구범위에 나타나 있으며, 그와 동등한 범위 내에 있는 모든 차이점은 본 발명에 포함된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시스템
110: 모바일 단말
120: 단말 관리 서버
130: 리더
140: 출입 제어 장치

Claims (16)

  1. 단말 관리 기능(MDM: mobile device management)이 설치된 모바일 단말에서의 단말 관리 기능 제어 방법에 있어서,
    사용자로부터 상기 단말 관리 기능의 구동 중단 또는 삭제 명령을 입력받는 단계;
    상기 구동 중단 또는 삭제 명령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여 보안 구역 내에 위치하는지 확인하는 단계; 및
    상기 사용자가 보안 구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구동 중단 또는 삭제 명령이 실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관리 기능 제어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가 보안 구역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구동 중단 또는 삭제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 관리 기능을 구동 중단 또는 삭제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 관리 기능 제어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이 보안 구역 진입 위치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 관리 기능을 자동으로 구동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단말 관리 기능 제어 방법.
  4. 사용자로부터 상기 단말 관리 기능의 구동 중단 또는 삭제 명령을 입력받는 입력부;
    상기 구동 중단 또는 삭제 명령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획득하는 통신부; 및
    상기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보안 구역 내에 위치하는 경우, 상기 단말 관리 기능의 구동 중단 또는 삭제 명령이 실행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사용자 단말.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프로세서는,
    상기 사용자가 보안 구역내에 위치하지 않은 경우, 상기 구동 중단 또는 삭제 명령에 따라 상기 단말 관리 기능을 구동 중단 또는 삭제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사용자 단말.
  6. 사용자의 출입 인증기 인식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의 단말 관리 기능이 정상적으로 구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상기 단말 관리 기능이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않은 경우, 출입을 거부하며 출입문을 개방하지 않는 단계를 포함하는 MDM과 연동된 출입 제어 방법.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의 단말 관리 기능이 정상적으로 구동되는 경우,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DM과 연동된 출입 제어 방법.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 이전에, 상기 모바일 단말의 단말 관리 기능이 정상적으로 구동됨에 따라 단말 관리 서버로부터 구동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구동 정보를 확인하여 상기 모바일 단말의 단말 관리 기능이 정상 구동 상태이면, 상기 사용자에 상응하는 출입 권한을 활성화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DM과 연동된 출입 제어 방법.
  9.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의 개방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보안 구역 내"로 설정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단말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DM과 연동된 출입 제어 방법.
  10.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 이후에,
    퇴실을 위해 상기 사용자의 출입 인증기 인식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출입 권한이 활성화되어 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 권한이 활성화된 경우, 상기 사용자의 퇴실을 위해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DM과 연동된 출입 제어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퇴실을 위해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는 단계 이후에,
    상기 출입문의 개방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보안 구역 외부"로 설정하고, 상기 위치 정보를 단말 관리 서버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DM과 연동된 출입 제어 방법.
  12.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권한이 활성화되지 않은 경우, 상기 출입문을 개방하지 않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MDM과 연동된 출입 제어 방법.
  13. 출입 제어 장치에 있어서,
    통신부;
    적어도 하나의 명령어들을 저장하는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에 저장된 명령어들을 실행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되,
    상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된 명령어들은,
    사용자의 출입 인증기 인식에 따라 상기 사용자가 소지한 모바일 단말의 단말 관리 기능이 정상적으로 구동되었는지 여부를 판단하는 단계; 및
    상기 모바일 단말의 상기 단말 관리 기능이 정상적으로 구동되지 않은 경우, 출입을 거부하며 출입문을 개방하지 않는 단계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출입 제어 장치.
  14. 출입 시스템과 연동된 서버에 있어서,
    상기 출입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통신부; 및
    모바일 단말의 단말 관리 기능 구동 중단 또는 삭제 조작시,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보안 구역 내"이면, 상기 모바일 단말의 단말 관리 기능이 구동 중단 또는 삭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프로세서를 포함하는 서버.
  15. 출입 시스템으로부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및
    모바일 단말의 단말 관리 기능 구동 중단 또는 삭제 조작시, 상기 사용자의 위치 정보를 확인하여 "보안 구역 내"이면, 상기 모바일 단말의 단말 관리 기능이 구동 중단 또는 삭제되지 않도록 제어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단말 관리 기능 제어 방법.
  16. 제15 항에 있어서,
    상기 모바일 단말의 단말 관리 기능 구동에 따른 구동 정보를 생성하여 상기 출입 시스템으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되,
    상기 출입 시스템은 상기 구동 정보에 따라 상기 사용자의 출입 권한 활성화 여부를 결정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단말 관리 기능 제어 방법.
KR1020180068684A 2018-06-15 2018-06-15 Mdm 제어 방법, mdm을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1020978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684A KR102097868B1 (ko) 2018-06-15 2018-06-15 Mdm 제어 방법, mdm을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68684A KR102097868B1 (ko) 2018-06-15 2018-06-15 Mdm 제어 방법, mdm을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190141900A true KR20190141900A (ko) 2019-12-26
KR102097868B1 KR102097868B1 (ko) 2020-04-06

Family

ID=691035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68684A KR102097868B1 (ko) 2018-06-15 2018-06-15 Mdm 제어 방법, mdm을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97868B1 (ko)

Cited By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082B1 (ko) * 2020-05-27 2020-10-22 주식회사 이지에버텍 사용자 정보를 인증하여 생성된 qr코드를 이용하여 보안구역의 출입을 원격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N114666194A (zh) * 2020-12-22 2022-06-24 福建天泉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设备管理的方法和终端
CN114721717A (zh) * 2020-12-22 2022-07-08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基于双系统的手机管理系统mdm指令调用方法和装置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3459A (ko) * 2011-07-28 2013-02-06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휴대용 단말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593596B1 (ko) * 2014-09-23 2016-02-1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위치기반 이동 단말 및 관리서버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20170129068A (ko) 2016-05-16 2017-11-24 주식회사 케이티 카드 정보 및 단말 정보를 기반으로 출입을 제어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48133A (ko) * 2016-11-02 2018-05-10 (주)씨앤에스링크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문 개폐관리장치 및 방법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013459A (ko) * 2011-07-28 2013-02-06 주식회사 포스코아이씨티 휴대용 단말의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1593596B1 (ko) * 2014-09-23 2016-02-12 숭실대학교산학협력단 위치기반 이동 단말 및 관리서버의 제어방법, 이를 수행하기 위한 기록매체
KR20170129068A (ko) 2016-05-16 2017-11-24 주식회사 케이티 카드 정보 및 단말 정보를 기반으로 출입을 제어하는 장치, 시스템 및 방법
KR20180048133A (ko) * 2016-11-02 2018-05-10 (주)씨앤에스링크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문 개폐관리장치 및 방법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169082B1 (ko) * 2020-05-27 2020-10-22 주식회사 이지에버텍 사용자 정보를 인증하여 생성된 qr코드를 이용하여 보안구역의 출입을 원격 제어하는 장치 및 방법
CN114666194A (zh) * 2020-12-22 2022-06-24 福建天泉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设备管理的方法和终端
CN114721717A (zh) * 2020-12-22 2022-07-08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基于双系统的手机管理系统mdm指令调用方法和装置
CN114721717B (zh) * 2020-12-22 2023-09-19 成都鼎桥通信技术有限公司 基于双系统的手机管理系统mdm指令调用方法和装置
CN114666194B (zh) * 2020-12-22 2023-10-20 福建天泉教育科技有限公司 一种设备管理的方法和终端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97868B1 (ko) 2020-04-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018124B (zh) 用于控制访问的远程应用
KR102097868B1 (ko) Mdm 제어 방법, mdm을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US11568032B2 (en) Natural language user interface
CN106327647A (zh) 一种远程控制门禁系统
KR102063569B1 (ko) 휴대형 단말기를 이용한 출입문 개폐관리장치 및 방법
KR20210023597A (ko) 무인 스터디 카페 입출입 관리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무인화 시스템
KR102143716B1 (ko) Rf-card 기반의 출입통제시스템
KR100643670B1 (ko) 네트워크상에 연결된 서버/클라이언트를 이용한 한시적출입인증 및 인증자 신원확인을 통한 보안문 출입통제시스템 및 보안문 출입통제 방법
KR20210044472A (ko) 블록체인을 이용한 불법출입자 검색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불법 출입자 검색 방법
JP2018173923A (ja) 端末装置、ゲート管理方法、ゲート管理プログラム及びゲート管理システム
KR20170136902A (ko) 이동 단말기를 이용한 도어락 장치의 제어 방법
KR102410578B1 (ko) 공동 현관 출입 관리 방법 및 그 정보 처리 시스템
WO2022208598A1 (ja) 認証システム及び認証方法
JP2016066196A (ja) 入退室管理システム及び入退室管理方法
KR101933769B1 (ko) 스마트 출입 인증시스템
KR102268117B1 (ko) 출입문 개폐 제어 장치 및 시스템
KR101523485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무인 경비 시스템 관리 방법
JP5082711B2 (ja) 引率入場管理システム、および、その方法
KR102289425B1 (ko) 차량차단기 원격자동리모컨 출입시스템 및 이의 동작방법
KR102459049B1 (ko) 출입문 출입 관리 방법 및 그 정보 처리 시스템
JP2008152408A (ja) 移動情報保持装置及び管理装置及び情報処理方法及びプログラム
KR102504284B1 (ko) 서버 사용자의 안면인식을 통해 서버 접속과 명령어 실행을 통제하는 보안시스템과 보안방법
KR101645125B1 (ko) 스마트폰의 근거리통신장치를 이용한 출입인증방법
KR20190140365A (ko) 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63146B1 (ko) 보안 강화 도어락 및 이를 포함하는 보안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