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410578B1 - 공동 현관 출입 관리 방법 및 그 정보 처리 시스템 - Google Patents

공동 현관 출입 관리 방법 및 그 정보 처리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410578B1
KR102410578B1 KR1020210139208A KR20210139208A KR102410578B1 KR 102410578 B1 KR102410578 B1 KR 102410578B1 KR 1020210139208 A KR1020210139208 A KR 1020210139208A KR 20210139208 A KR20210139208 A KR 20210139208A KR 102410578 B1 KR102410578 B1 KR 10241057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terminal
user
doorway
information
access manag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13920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태호
곽한섭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실리콘브릿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실리콘브릿지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실리콘브릿지
Priority to KR102021013920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1057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1057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1057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2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 G07C9/22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involving the use of a pass in combination with an identity check of the pass holder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KGRAPHICAL DATA READING; PRESENTATION OF DATA; RECORD CARRIERS; HANDLING RECORD CARRIERS
    • G06K19/00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 G06K19/06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 G06K19/06009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 G06K19/06037Record carriers for use with machines and with at least a part designed to carry digital markings characterised by the kind of the digital marking, e.g. shape, nature, code with optically detectable marking multi-dimensional coding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1/00Registering, indicating or recording the time of events or elapsed time, e.g. time-recorders for work people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309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with bidirectional data transmission between data carrier and locks
    • GPHYSICS
    • G07CHECKING-DEVICES
    • G07CTIME OR ATTENDANCE REGISTERS; REGISTERING OR INDICATING THE WORKING OF MACHINES; GENERATING RANDOM NUMBERS; VOTING OR LOTTERY APPARATUS; ARRANGEMENTS, SYSTEMS OR APPARATUS FOR CHECKING NOT PROVIDED FOR ELSEWHERE
    • G07C9/00Individual registration on entry or exit
    • G07C9/00174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 G07C9/00571Electronically operated locks; Circuits therefor; Nonmechanical keys therefor, e.g. passive or active electrical keys or other data carriers without mechanical keys operated by interacting with a central unit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21/00Alarms responsive to a single specified undesired or abnormal condition and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8B21/18Status alarms
    • GPHYSICS
    • G08SIGNALLING
    • G08BSIGNALLING OR CALLING SYSTEMS; ORDER TELEGRAPHS; ALARM SYSTEMS
    • G08B3/0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 G08B3/10Audible signalling systems; Audible personal calling systems using electric transmission; using electromagnetic transmiss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02Services making use of location information
    • H04W4/029Location-based management or tracking servic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00Ser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Facilities therefor
    • H04W4/80Services using short range communication, e.g. near-field communication [NFC], radio-frequency identification [RFID] or low energy communication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Emergency Management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Abstract

본 개시는 공동 현관 출입 관리 방법 및 그 정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공동 현관 출입 관리 방법은, 제1 사용자와 연관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입구에 대한 정보 및 제2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출입구의 근방에 설치된 출입 관리기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와 연관된 제2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화를 허용하는 단계, 및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출입구 개방 요청 수신에 응답하여, 출입구 개방 요청을 출입 관리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사용자는 출입구의 개방 권한을 가진 사용자이다.

Description

공동 현관 출입 관리 방법 및 그 정보 처리 시스템{METHOD FOR MANAGING ENTRANCE AND EXIT OF COMMON ENTRANCE DOOR, INFORMATION PROCESSING SYSTEM THERE OF}
본 개시는 공동 현관 출입 관리 방법 및 그 정보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입주민이 소지한 단말의 BLE를 이용한 공동 현관의 자동 출입 방법과, 입주민의 부재 시에도 입주민이 소지한 단말을 이용하여 공동 현관을 출입하고자 하는 방문객의 신원을 확인하고 공동 현관을 제어할 수 있는 공동 현관 출입 관리 방법 및 그 정보 처리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아파트나 오피스텔 등과 같은 공동 주택의 공동 현관을 출입하기 위하여, 입주민은 공동 현관 비밀번호 입력이나, 입주민 인증 카드키를 사용하고 있으며, 입주민을 제외한 외부인은 인터폰을 통해 방문하고자 하는 세대를 호출하여 신원 확인 후 입주민이 해당 세대에서 공동 현관을 개방시켜 주고 있다.
그러나, 공동 현관 비밀번호 입력을 통한 입주민의 공동 현관의 출입은, 비밀번호 입력의 번거로움과 비밀번호 유출 우려가 있으며, 입주민 인증 카드키를 통한 입주민의 공동 현관의 출입은, 카드를 꺼내어 태깅하여야 한다는 불편이 따른다.
또한, 택배, 우편, 배달 등을 수행하는 외부인은, 입주민 부재시 공동 현관을 출입하기 위하여, 관리 사무소에 공동 현관의 개방을 요청하고 있으나, 제대로 신분 확인을 거치지 않고 출입시키고 있어 보안상 문제가 여전히 발생되고 있다.
더불어, 관리 사무소에서 근무하고 있는 경비원은 주야간을 가리지 않고 출입을 요청하는 외부인의 공동 현관 개방 요청에 인해 어려움을 겪고 있으며, 외부인이 출입한 시점에 외부인의 확인이 가능하나, 과거 어떤 외부인이 출입하였는지 외부인에 대한 정보가 없어, 보안 문제 발생시 경비원이 그 책임을 지고 있다.
본 개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입주민의 부재 시에도 입주민이 소지한 단말을 이용하여 공동 현관을 출입하고자 하는 방문객의 신원을 확인하고 공동 현관을 제어할 수 있어, 입주민, 방문객, 경비원의 편의가 증대되며 공동 현관의 출입 보안이 강화될 수 있는 공동 현관 출입 관리 방법 및 그 정보 처리 시스템을 제공한다.
본 개시는 방법, 시스템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을 포함한 다양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현관 출입 관리 방법은, 제1 사용자와 연관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입구에 대한 정보 및 제2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출입구의 근방에 설치된 출입 관리기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와 연관된 제2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화를 허용하는 단계, 및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출입구 개방 요청 수신에 응답하여, 출입구 개방 요청을 출입 관리기로 전송하는 단계를 포함하고, 제2 사용자는 출입구의 개방 권한을 가진 사용자이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구에 대한 정보는, 출입구에 비치된 QR 코드를 기초로 제1 사용자 단말이 인식한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확인은, 출입 관리기의 동작 감지 센서의 출입 관리기 근방의 객체 인식 및 출입 관리기의 BLE(Bluetooth Low Energy) 스캐너의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비콘(Beacon) 정보 수신에 기초하여 확인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와 연관된 제2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화는, 출입 관리기의 BLE 스캐너에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비콘 정보가 수신되는 동안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와 연관된 제2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화는, 제1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또는 출입 관리기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또는 사진이 제2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으로 송신되는 영상 통화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 관리기의 출입구 개방 요청 수신에 응답하여, 출입 관리기가 출입구를 개방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 도중 제1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또는 사진, 출입 관리기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또는 사진, 제1 사용자의 방문 시간 또는 출입구 개방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사용자 단말의 정보 열람 요청에 응답하여,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동 현관 출입 관리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이 제공된다.
본 개시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르면, 공동 현관 출입 관리의 정보 처리 시스템은, 메모리, 및 메모리와 연결되고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를 포함하고,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제1 사용자와 연관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입구에 대한 정보 및 제2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출입구의 근방에 설치된 출입 관리기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확인을 수신하고,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와 연관된 제2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화를 허용하고,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출입구 개방 요청 수신에 응답하여, 출입구 개방 요청을 출입 관리기로 전송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제2 사용자는 출입구의 개방 권한을 가진 사용자이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입주민과 방문객이 소지한 단말을 통해 공동 현관 출입을 위한 정보를 주고받거나 통화를 하고 원격으로 공동 현관을 개방시킬 수 있는 바, 입주민은 해당 세대에 있지 않더라도 공동 현관을 제어할 수 있고, 방문객은 입주민의 부재시에도 관리 사무소에 호출하지 않아도 되어, 입주민, 방문객, 경비원의 편의가 증대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 따르면, 방문객에 대한 영상 또는 사진 등과 같은 방문객에 대한 정보가 저장되므로, 과거 방문하였던 방문객에 대한 관리가 가능하여, 공동 현관의 출입 보안이 강화될 수 있다.
본 개시의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본 개시에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이하, '통상의 기술자'라 함)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개시의 실시예들은, 이하 설명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유사한 요소들을 나타내지만,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현관 출입 관리 서비스를 방문객과 입주민이 이용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현관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 및 정보 처리 시스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프로세서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기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주민이 공동 현관을 출입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문객이 입주민과 통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문객과 입주민 간의 통화가 중단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주민이 방문객의 요청에 따라 공동 현관을 개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현관 출입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이하, 본 개시의 실시를 위한 구체적인 내용을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다만, 이하의 설명에서는 본 개시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우려가 있는 경우, 널리 알려진 기능이나 구성에 관한 구체적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첨부된 도면에서, 동일하거나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부호가 부여되어 있다. 또한, 이하의 실시예들의 설명에 있어서, 동일하거나 대응되는 구성요소를 중복하여 기술하는 것이 생략될 수 있다. 그러나 구성요소에 관한 기술이 생략되어도, 그러한 구성요소가 어떤 실시예에 포함되지 않는 것으로 의도되지는 않는다.
개시된 실시예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개시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개시가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에 대해 간략히 설명하고, 개시된 실시예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하기로 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개시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관련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개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본 명세서에서의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단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복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복수인 것으로 특정하지 않는 한, 단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모듈' 또는 '부'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하며, '모듈' 또는 '부'는 어떤 역할들을 수행한다. 그렇지만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에 한정되는 의미는 아니다. '모듈' 또는 '부'는 어드레싱할 수 있는 저장 매체에 있도록 구성될 수도 있고 하나 또는 그 이상의 프로세서들을 재생시키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따라서, 일 예로서 '모듈' 또는 '부'는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객체지향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 클래스 구성요소들 및 태스크 구성요소들과 같은 구성요소들과, 프로세스들, 함수들, 속성들, 프로시저들, 서브루틴들, 프로그램 코드의 세그먼트들, 드라이버들, 펌웨어, 마이크로 코드, 회로, 데이터, 데이터베이스, 데이터 구조들, 테이블들, 어레이들 또는 변수들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 구성요소들과 '모듈' 또는 '부'들은 안에서 제공되는 기능은 더 작은 수의 구성요소들 및 '모듈' 또는 '부'들로 결합되거나 추가적인 구성요소들과 '모듈' 또는 '부'들로 더 분리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모듈' 또는 '부'는 프로세서 및 메모리로 구현될 수 있다. '프로세서'는 범용 프로세서, 중앙 처리 장치(CPU), 마이크로프로세서, 디지털 신호 프로세서(DSP),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상태 머신 등을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몇몇 환경에서는, '프로세서'는 주문형 반도체(ASIC), 프로그램가능 로직 디바이스(PLD),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FPGA) 등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예를 들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의 조합,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DSP 코어와 결합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의 조합, 또는 임의의 다른 그러한 구성들의 조합과 같은 처리 디바이스들의 조합을 지칭할 수도 있다. 또한, '메모리'는 전자 정보를 저장 가능한 임의의 전자 컴포넌트를 포함하도록 넓게 해석되어야 한다. '메모리'는 임의 액세스 메모리(RAM), 판독-전용 메모리(ROM), 비-휘발성 임의 액세스 메모리(NVRAM), 프로그램가능 판독-전용 메모리(PROM), 소거-프로그램가능 판독 전용 메모리(EPROM), 전기적으로 소거가능 PROM(EEPROM), 플래쉬 메모리,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저장장치, 레지스터들 등과 같은 프로세서-판독가능 매체의 다양한 유형들을 지칭할 수도 있다. 프로세서가 메모리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고/하거나 메모리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다면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고 불린다. 프로세서에 집적된 메모리는 프로세서와 전자 통신 상태에 있다.
도 1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현관 출입 관리 서비스를 방문객(110)과 입주민(140)이 이용하는 것을 보여주는 예시도이다. 공동 현관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는 정보 처리 시스템은, 제1 사용자 단말(120), 출입 관리기(130) 및 제2 사용자 단말(150)과 연결될 수 있다.
제1 사용자 단말(120)은, 공동 현관의 출입구(100)를 통해 세대에 방문하고자 하는 방문객인 제1 사용자(110)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일 수 있고, 제2 사용자 단말(150)은 제1 사용자(110)가 방문하고자 하는 세대에 거주하고 있는 입주민인 제2 사용자(140)가 소지하고 있는 단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110)는 공동 현관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받기 위해, 제1 사용자 단말(120)에 공동 현관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110)는 출입구(100)에 비치된 QR 코드를 촬영할 수 있고, 제1 사용자 단말(120)은 촬영된 QR 코드에 포함된 공동 현관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 설치 링크를 인식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110)의 추가적인 입력(예: 설치 버튼 터치)에 따라, 공동 현관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110)는 제1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 출입구(100)에 대한 정보 및 제2 사용자(140)에 대한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이때, 출입구(100)에 대한 정보는, 제1 사용자(110)가 방문하고자 하는 출입구(100)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아파트 ○○○동'과 같은 정보일 수 있다. 제2 사용자(140)에 대한 정보는, 제1 사용자(110)가 방문하고자 하는 세대에 대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호'와 같은 정보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구(100)에 대한 정보는 출입구(100)에 비치된 QR 코드에 포함되어 제1 사용자 단말(120)에 의해 인식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사용자(110)는 제1 사용자 단말(120)로 출입구(100)에 비치된 QR 코드를 촬영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120)은 촬영된 QR 코드에 포함된 출입구(100)에 대한 정보를 인식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제1 사용자(110)가 제1 사용자 단말(120)을 통해 출입구(100)에 대한 정보를 직접 입력할 수 있다.
출입 관리기(130)는, 출입구(100)의 근방, 예를 들어, 출입구(100)의 상측에 설치될 수 있으며, 제1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를 확인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기(130)는, 동작 감지 센서(예를 들어, 마이크로웨이브 센서)를 통해 출입 관리기(130) 근방에 위치한 제1 사용자(110)에 대한 객체를 인식함으로써 제1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기(130)는, BLE(Bluetooth Low Energy) 스캐너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수신되는 일정 강도 이상의 비콘(Beacon)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12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110)와 제2 사용자(140)는, 각자가 소지하고 있는 제1 사용자 단말(120)과 제2 사용자 단말(150)을 사용하여 통화를 하도록 연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방문객인 제1 사용자(110)에 대한 얼굴 식별 등을 위하여, 제1 사용자 단말(120)의 카메라, 출입 관리기(130)의 카메라 또는 출입구(100) 근방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또는 사진이 제2 사용자 단말(150)로 실시간으로 송신되어, 제1 사용자(110)와 제2 사용자(140) 간의 영상 통화가 수행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1 사용자 단말(120)과 제2 사용자 단말(150) 사이의 통화는, 방문객인 제1 사용자(110)가 출입구(100) 근처에 위치하는 동안에만 유지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 관리기(130)의 BLE 스캐너에 제1 사용자 단말(120)로부터 일정 강도 이상의 비콘 정보가 수신되는 동안에만 통화가 유지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2 사용자(140)는 제1 사용자(110)와의 통화를 통해 방문객의 정보를 확인할 수 있으며, 방문객의 정보 확인 후 방문을 허여하고자 할 시, 출입구(100)의 개방 권한을 가진 사용자인 제2 사용자(140)는 제2 사용자 단말(150)을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 출입구(100)의 개방을 요청할 수 있다. 출입 관리기(130)는, 정보 처리 시스템을 통해 출입구(100)의 개방 요청을 전송받아, 출입구(100)를 개방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제1 사용자(110)의 제1 사용자 단말(120)을 통한 방문 요청이 있었던 경우, 정보 처리 시스템에는 제1 사용자(110)에 대한 정보 또는 출입 정보 등이 저장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에는 제1 사용자 단말(120)이 방문 요청한 시간 또는 출입구 개방 시간, 출입 관리기(130)의 카메라 또는 출입구(100) 근방에 설치된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 제2 사용자(140)와의 통화 도중 제1 사용자 단말(120)의 카메라에 의해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 출입구 개방 여부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정보 처리 시스템은 해당 정보에 대한 열람 권한을 가진 제2 사용자(140)와 연관된 제2 사용자 단말(150)로 해당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현관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하여,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과 통신 가능하도록 연결된 구성을 나타내는 개요도이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공동 현관 출입 관리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는 시스템(들)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공동 현관 출입 관리 서비스와 관련된 컴퓨터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예를 들어, 다운로드 가능한 애플리케이션) 및 데이터를 저장, 제공 및 실행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서버 장치 및/또는 데이터베이스, 또는 클라우드 컴퓨팅 서비스 기반의 하나 이상의 분산 컴퓨팅 장치 및/또는 분산 데이터베이스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공동 현관 출입 관리 서비스를 위한 별도의 시스템(예를 들어, 서버)들을 포함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의해 제공되는 공동 현관 출입 관리 서비스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의 각각에 설치된 공동 현관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 등을 통해 사용자에게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공동 현관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을 통해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로부터 수신되는 출입구 개방 요청에 대응하는 정보를 제공하거나 대응하는 처리를 수행할 수 있다.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은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통신할 수 있다. 네트워크(220)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과 정보 처리 시스템(230) 사이의 통신이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네트워크(220)는 설치 환경에 따라, 예를 들어, 이더넷(Ethernet), 유선 홈 네트워크(Power Line Communication), 전화선 통신 장치 및 RS-serial 통신 등의 유선 네트워크, 이동통신망, WLAN(Wireless LAN), Wi-Fi, Bluetooth 및 ZigBee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 또는 그 조합으로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방식은 제한되지 않으며, 네트워크(220)가 포함할 수 있는 통신망(일례로, 이동통신망, 유선 인터넷, 무선 인터넷, 방송망, 위성망 등)을 활용하는 통신 방식뿐 아니라 사용자 단말(110_1, 110_2, 110_3) 사이의 근거리 무선 통신 역시 포함될 수 있다.
도 2에서 휴대폰 단말(210_1), 태블릿 단말(210_2) 및 PC 단말(210_3)이 사용자 단말의 예로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은 유선 및/또는 무선 통신이 가능하고 공동 현관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 등이 설치되어 실행될 수 있는 임의의 컴퓨팅 장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은, 스마트폰, 휴대폰, 내비게이션, 컴퓨터, 노트북, 디지털방송용 단말, PDA(Personal Digital Assistants), PMP(Portable Multimedia Player), 태블릿 PC, 게임 콘솔(game console), 웨어러블 디바이스(wearable device), IoT(internet of things) 디바이스, VR(virtual reality) 디바이스, AR(augmented reality) 디바이스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도 2에는 3개의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이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통신하는 것으로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이한 수의 사용자 단말이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통신하도록 구성될 수도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로부터 출입구에 대한 정보 및 제2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출입구의 근방에 설치된 출입 관리기(130)로부터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의 위치 확인을 수신할 수 있다. 그리고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로부터의 출입구 개방 요청 수신에 응답하여, 출입구 개방 요청을 출입 관리기(130)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 간의 통화 도중,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또는 사진, 출입 관리기(130)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또는 사진,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을 소지한 사용자의 방문 시간 또는 출입구 개방 여부 등에 대한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의 정보 열람 요청에 응답하여, 저장된 정보 중 하나에 대한 정보를 사용자 단말(210_1, 210_2, 210_3)로 제공할 수 있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사용자 단말(210)은 공동 현관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 등이 실행 가능하고 유/무선 통신이 가능한 임의의 컴퓨팅 장치를 지칭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도 2의 휴대폰 단말(210_1), 태블릿 단말(210_2), PC 단말(210_3)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10)은 메모리(312), 프로세서(314), 통신 모듈(316)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포함할 수 있다. 이와 유사하게,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메모리(332), 프로세서(334), 통신 모듈(336) 및 입출력 인터페이스(338)를 포함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각각의 통신 모듈(316, 336)을 이용하여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통신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입출력 장치(320)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통해 사용자 단말(210)에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입력하거나 사용자 단말(210)로부터 생성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출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메모리(312, 332)는 비-일시적인 임의의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메모리(312, 332)는 RAM(random access memory), ROM(read only memory), 디스크 드라이브, SSD(solid state drive),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permanent mass storage device)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ROM, SSD, 플래시 메모리, 디스크 드라이브 등과 같은 비소멸성 대용량 저장 장치는 메모리와는 구분되는 별도의 영구 저장 장치로서 사용자 단말(210) 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포함될 수 있다. 또한, 메모리(312, 332)에는 운영체제와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 코드(예를 들어, 공동 현관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 등을 위한 코드)가 저장될 수 있다.
이러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메모리(312, 332)와는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로부터 로딩될 수 있다. 이러한 별도의 컴퓨터에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는 이러한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직접 연결가능한 기록 매체를 포함할 수 있는데, 예를 들어, 플로피 드라이브, 디스크, 테이프, DVD/CD-ROM 드라이브, 메모리 카드 등의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서, 소프트웨어 구성요소들은 컴퓨터에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가 아닌 통신 모듈(316, 336)을 통해 메모리(312, 332)에 로딩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개발자들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파일을 배포하는 파일 배포 시스템이 네트워크(220)를 통해 제공하는 파일들에 의해 설치되는 컴퓨터 프로그램(예를 들어, 공동 현관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 등)에 기반하여 메모리(312, 332)에 로딩될 수 있다.
프로세서(314, 334)는 기본적인 산술, 로직 및 입출력 연산을 수행함으로써,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을 처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명령은 메모리(312, 332) 또는 통신 모듈(316, 336)에 의해 프로세서(314, 334)로 제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프로세서(314, 334)는 메모리(312, 332)와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수신되는 명령을 실행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통신 모듈(316, 336)은 네트워크(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210)과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서로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으며, 사용자 단말(210) 및/또는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다른 사용자 단말 또는 다른 시스템(일례로 별도의 클라우드 시스템 등)과 통신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을 제공할 수 있다. 일례로, 사용자 단말(210)의 프로세서(314)가 메모리(312) 등과 같은 기록 장치에 저장된 프로그램 코드에 따라 생성한 요청 또는 데이터(예를 들어, 출입 정보 열람 요청 등)는 통신 모듈(316)의 제어에 따라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으로 전달될 수 있다. 역으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프로세서(334)의 제어에 따라 제공되는 제어 신호나 명령이 통신 모듈(336)과 네트워크(220)를 거쳐 사용자 단말(210)의 통신 모듈(316)을 통해 사용자 단말(210)에 수신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10)은 정보 처리 시스템(230)으로부터 통신 모듈(316)을 통해 출입 정보 등을 수신할 수 있다.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는 입출력 장치(320)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일 예로서, 입력 장치는 오디오 센서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 키보드, 마이크로폰, 마우스 등의 장치를, 그리고 출력 장치는 디스플레이, 스피커, 햅틱 피드백 디바이스(haptic feedback device) 등과 같은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예로,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는 터치스크린 등과 같이 입력과 출력을 수행하기 위한 구성 또는 기능이 하나로 통합된 장치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입출력 장치(320)가 사용자 단말(210)에 포함되지 않도록 도시되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사용자 단말(210)과 하나의 장치로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입출력 인터페이스(338)는 정보 처리 시스템(230)과 연결되거나 정보 처리 시스템(230)이 포함할 수 있는 입력 또는 출력을 위한 장치(미도시)와의 인터페이스를 위한 수단일 수 있다. 도 3에서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8, 338)가 프로세서(314, 334)와 별도로 구성된 요소로서 도시되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입출력 인터페이스(318, 338)가 프로세서(314, 334)에 포함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0) 및 정보 처리 시스템(230)은 도 3의 구성요소들보다 더 많은 구성요소들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대부분의 종래기술적 구성요소들을 명확하게 도시할 필요성은 없다. 일 실시예에서, 사용자 단말(210)은 상술된 입출력 장치(320) 중 적어도 일부를 포함하도록 구현될 수 있다. 또한, 사용자 단말(210)은 트랜시버(transceiver), GPS(Global Positioning system) 모듈, 카메라, 각종 센서, 데이터베이스 등과 같은 다른 구성요소들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10)이 스마트폰인 경우, 일반적으로 스마트폰이 포함하고 있는 구성요소를 포함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가속도 센서, 자이로 센서, 마이크 모듈, 카메라 모듈, 각종 물리적인 버튼, 터치패널을 이용한 버튼, 입출력 포트, 진동을 위한 진동기 등의 다양한 구성요소들이 사용자 단말(210)에 더 포함되도록 구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사용자 단말(210)의 프로세서(314)는 공동 현관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 등이 동작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 때, 해당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프로그램 코드가 사용자 단말(210)의 메모리(312)에 로딩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이 동작되는 동안에, 사용자 단말(210)의 프로세서(314)는 입출력 장치(320)로부터 제공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통해 수신하거나 통신 모듈(316)을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으로부터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처리하여 메모리(312)에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이러한 정보 및/또는 데이터는 통신 모듈(316)을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제공될 수 있다.
공동 현관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 등이 동작되는 동안에, 프로세서(314)는 입출력 인터페이스(318)와 연결된 터치 스크린, 키보드, 오디오 센서 및/또는 이미지 센서를 포함한 카메라, 마이크로폰 등의 입력 장치를 통해 입력되거나 선택된 음성 데이터, 텍스트, 이미지, 영상 등을 수신할 수 있으며, 수신된 음성 데이터, 텍스트, 이미지 및/또는 영상 등을 메모리(312)에 저장하거나 통신 모듈(316) 및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14)는 터치 스크린, 마우스 등의 입력 장치(320)를 통하여 대상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열람 요청 등을 수신할 수 있고, 대상 미디어 콘텐츠에 대한 열람 요청 등을 통신 모듈(316) 및 네트워크(220)를 통해 정보 처리 시스템(230)에 제공할 수 있다.
사용자 단말(210)의 프로세서(314)는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입출력 인터페이스(318)를 통해 입출력 장치(320)로 전송하여,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 단말(210)의 프로세서(314)는 디스플레이 출력 가능 장치(예: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 등), 음성 출력 가능 장치(예: 스피커) 등의 출력 장치(320)를 통해 처리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프로세서(314)는 출입 정보를 비롯하여, 카메라로 촬영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 또는 사진을 사용자 단말(210)의 디스플레이 상에 표시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프로세서(314)는 카메라로 촬영된 사용자에 대한 영상에 포함된 음성을 사용자 단말(210)의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프로세서(334)는 복수의 사용자 단말(210) 및/또는 복수의 외부 시스템으로부터 수신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를 관리, 처리 및/또는 저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프로세서(334)에 의해 처리된 정보 및/또는 데이터는 통신 모듈(336) 및 네트워크(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210)에 제공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프로세서(334)는 출입 정보 열람 요청을 수신하고, 출입 정보 열람 요청에 응답하여, 사용자 단말(210)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또는 사진, 출입 관리기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또는 사진, 사용자 단말(210)을 소지한 사용자의 방문 시간 또는 출입구 개방 여부 등과 같은 출입 정보를 통신 모듈(336) 및 네트워크(220)를 통해 사용자 단말(210)에 제공할 수 있다.
도 4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의 프로세서(334)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230)의 프로세서(334)는, 도시된 바와 같이 통화 관리부(410) 및 출입 정보 관리부(42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통화 관리부(410)는 방문객인 제1 사용자가 소지한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통화 관리부(410)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입구에 대한 정보 및 제2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할 수 있으며, 출입 관리기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확인을 받은 후,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화를 연결할 수 있다. 또한, 통화 관리부(410)는 출입 관리기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비콘 정보 수신 중단의 알림을 수신하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화를 중단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 정보 관리부(420)는 입주민인 제2 사용자가 소지한 제2 사용자 단말의 정보 및 제2 사용자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호' 등) 등을 저장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출입 정보 관리부(420)는 입주민인 제2 사용자가 제2 사용자 단말을 소지한 상태로 출입구에 접근하면 자동으로 출입구를 개방시킬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수신한 비콘 정보, 제2 사용자가 출입한 시간, 제2 사용자가 출입한 시간 근방에서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 등을 저장할 수 있다. 또한, 출입 정보 관리부(420)는,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 간의 통화 도중 제1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또는 사진, 제1 사용자의 방문 당시 출입 관리기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또는 사진, 제1 사용자의 방문 시간, 출입구 개방 여부 등과 같은 출입 정보를 저장할 수 있으며, 제2 사용자 단말의 정보 열람 요청에 따라, 상기 출입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할 수 있다.
도 5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기(130)의 내부 구성을 나타내는 블록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출입 관리기(1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동작 감지부(510), 위치 정보 확인부(520), 출입 정보 관리부(530), 출입구 개폐부(540)를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동작 감지부(510)는 마이크로웨이브 센서 등과 같은 동작 감지 센서를 통해 출입 관리기(130) 근방에 위치한 제1 사용자 또는/및 제2 사용자를 인식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위치 정보 확인부(520)는, BLE 스캐너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 또는/및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작 감지부(510)에 의해 출입구 근방의 객체의 움직임이 인식된 경우, 위치 정보 확인부(520)는 BLE 스캐너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 및/또는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 비콘 정보를 수신함에 따라, 제1 사용자 단말 및/또는 제2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위치 정보 확인부(520)는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비콘 정보 수신이 중단되는 경우,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 위치 정보 수신 중단에 대한 알림을 제공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 정보 관리부(530)는 출입 관리기와 연관된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또는 사진, 비콘 정보 수신 이력, 제1 사용자의 방문 시간, 제2 사용자의 출입 시간, 출입구 개방 여부 등과 같은 출입 정보를 출입 관리기에 저장하거나,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구 개폐부(540)는, 비콘 정보를 전송한 사용자 단말이 출입구 개방 권한이 있는 단말인 것이 확인된 경우, 출입구를 개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출입구 개폐부(540)는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부터 출입구 개방 요청을 수신함에 따라 출입구를 개방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출입구 개폐부(540)는 화재 상황, 지진 상황, 기타 재난 상황을 포함하는 긴급 상황 알림을 수신하는 것에 기초하여, 출입구를 개방시킬 수 있다. 긴급 상황 알림은 정보 처리 시스템, 출입 관리기와 연관된 긴급 상황 감지기(화재 감지기) 등으로부터 수신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 관리기(130)는 음성 출력부(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음성 출력부는 출입 관리기 근방에 위치한 사용자(또는 사용자와 연관된 사용자 단말)의 출입구 개방 권한의 종류(예를 들어, 입주민, 관리자, 방문객 등)를 확인하고, 출입구 개방 권한의 종류에 기초한 안내 음성을 스피커(출입 관리기(130)에 탑재되거나, 출입 관리기(130) 근방에 설치됨)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건물의 공동 현관에 설치된 출입 관리기(130) 근방의 제2 사용자(또는 제2 사용자와 연관된 제2 사용자 단말)가 입주민으로 등록된 것이 확인된 경우, 출입구 개폐부(540)는 출입구를 개방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음성 출력부는 '입주민이므로 문이 열립니다.'라는 안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또는 대안적으로, 음성 출력부는 긴급 상황 알림에 기초한 안내 음성을 스피커를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 관리기(130)가 화재 상황 알림을 수신한 경우, 출입구 개폐부(540)는 출입구를 개방할 수 있으며, 이와 동시에 음성 출력부는 '화재 상황이므로 문이 자동으로 열립니다.'라는 안내 음성을 출력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출입구 개방 권한의 종류, 긴급 상황의 종류 등에 따른 안내 음성은 서비스 운영자 또는 관리자의 사용자 단말을 통해 다양하게 설정될 수 있다.
도 5에서 출입 관리기(130)의 내부 구성을 기능별로 구분하여 설명하였으나, 이는 반드시 물리적으로 구분되는 것을 의미하지 않는다. 또한, 도 5에서 도시한 출입 관리기(130)의 내부 구성은 예시일 뿐이며, 일부 실시예에서는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출입 관리기(130)는 도시한 내부 구성 외 다른 구성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일부 구성이 생략될 수도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주민이 공동 현관을 출입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주민이 공동 현관을 출입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출입 관리기(610)가 출입구 근방의 객체를 인식하고, BLE 스캐너를 통해 제2 사용자(입주민)가 소지한 제2 사용자 단말(630)로부터의 비콘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출입 관리기(610)는 제2 사용자 단말(630)로부터 수신한 비콘 정보에 기초하여, 제2 사용자 단말(630)의 위치를 확인하고, 제2 사용자 단말(630)이 출입구의 개방 권한을 가진 사용자 단말(예를 들어, 등록된 입주민의 사용자 단말)임을 확인한 후, 출입구를 개방할 수 있다.
다음으로, 출입 관리기(610)는 정보 처리 시스템(620)으로 제2 사용자의 출입 정보(예를 들어, 수신된 비콘 정보, 출입 시간 근방에서 촬영된 사진 또는 영상, 출입 시간 등)을 전송할 수 있으며, 정보 처리 시스템(620)은 제2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2 사용자 단말(630)이 정보 처리 시스템(620)으로 출입 정보 열람을 요청하는 경우, 정보 처리 시스템(620)은 저장된 출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7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문객이 입주민과 통화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문객이 출입구 개방을 요청하면서 입주민과 통화하는 과정을 살펴보면, 먼저 방문객인 제1 사용자가 소지한 제1 사용자 단말(730)은, 출입구에 부착된 QR 코드를 인식할 수 있다. QR 코드에는 해당 건물의 특정 ID, 해당 건물의 동 번호, 공동 현관 출입 관리 애플리케이션의 설치 링크 등에 대한 정보가 포함될 수 있다.
QR 코드를 인식한 제1 사용자 단말(730)은, 출입구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방문객이 찍은 QR 코드에 포함된 정보, 즉 해당 건물의 특정 ID 및 해당 건물의 동 번호)와, 제2 사용자에 대한 정보(예를 들어, 방문하고자 하는 세대의 호 번호)를 정보 처리 시스템(620)으로 전송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제1 사용자 단말(730)은, 출입 관리기(610)로 비콘 정보를 전송할 수 있다.
출입 관리기(610)는 동작 감지 센서를 통해 출입 관리기 근방에 위치한 제1 사용자를 감지하고, BLE 스캐너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730)로부터 수신한 비콘 정보에 기초하여 제1 사용자 단말(730)의 위치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출입 관리기(610)가 제1 사용자 단말(730)이 출입구 인근에 위치하였음을 확인한 데이터를 정보 처리 시스템(620)으로 전송하는 경우, 정보 처리 시스템(620)은 제1 사용자 단말(730)과, 제2 사용자와 연관된 제2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화를 허용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방문객과 입주민 간의 통화가 중단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방문객과 입주민 간의 통화가 중단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정보 처리 시스템(620)에 의해 제1 사용자 단말(730)과 제2 사용자 단말(630) 사이의 통화가 허용되면, 제1 사용자 단말(730)은 계속적으로 비콘 정보를 출입 관리기(610)로 전송하면서, 제1 사용자 단말(730)과 제2 사용자 단말(630) 간의 통화가 이루어진다. 이때, 통화는 제1 사용자 단말(730)은 제2 사용자 단말(630)로 음성 및 영상 데이터를 전송하여, 입주민인 제2 사용자가 방문객인 제1 사용자의 얼굴 등을 인식할 수 있도록 하고, 제2 사용자 단말(630)은 제1 사용자 단말(730)로 음성 데이터만을 전송하여, 제2 사용자의 얼굴을 볼 수 없도록 함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이후, 제1 사용자 단말(730)로부터의 비콘 정보 수신이 중단되는 경우, 출입 관리기(610)는 정보 처리 시스템(620)으로 제1 사용자 단말(730)로부터의 위치 정보 수신 중단을 알릴 수 있으며, 정보 처리 시스템(620)은 방문객인 제1 사용자가 출입구 근방으로부터 벗어난 것으로 판단하여, 제1 사용자 단말(730)과 제2 사용자 단말(630) 간의 통화를 중단시킬 수 있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입주민이 방문객의 요청에 따라 공동 현관을 개방하는 과정을 보여주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입주민이 방문객의 요청에 따라 공동 현관을 개방하는 과정에 대하여 살펴보면, 제1 사용자와의 통화를 통해 제1 사용자의 방문을 허락하고자 할 시, 제2 사용자 단말(630)은, 정보 처리 시스템(620)으로 출입구 개방 요청을 전송할 수 있다. 정보 처리 시스템(620)은 제2 사용자 단말(630)로부터의 출입구 개방 요청 수신에 응답하여 출입구 개방 요청을 출입 관리기(61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출입 관리기(610)는 출입구를 개방하여 제1 사용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출입 관리기(610)는 정보 처리 시스템(620)으로 제1 사용자의 출입 정보(예를 들어, 통화 도중 제1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또는 사진, 출입 관리기(610)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또는 사진, 제1 사용자의 방문 시간, 출입구 개방 여부 등)를 전송할 수 있으며, 정보 처리 시스템(620)은 제1 사용자의 출입 정보를 저장할 수 있다. 이후, 제2 사용자 단말(630)이 정보 처리 시스템(620)으로 방문객인 제1 사용자의 출입 정보 열람을 요청하는 경우, 정보 처리 시스템(620)은 제2 사용자 단말(630)로 저장된 출입 정보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일 실시예에 따른 공동 현관 출입 관리 방법을 나타내는 흐름도이다. 일 실시예에 따른 정보 처리 시스템에 의해 이루어지는 공동 현관 출입 관리 방법(1000)은, 제1 사용자와 연관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입구에 대한 정보 및 제2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S1010)로 개시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단계(S1020)에서, 출입 관리기의 동작 감지 센서와 BLE 스캐너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를 확인하고, 출입 관리기로부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확인을 수신할 수 있다. 이때, 출입구 근방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입구에 대한 정보 및 제2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시간과, 출입구가 개방되지 않았음을 제1 사용자의 방문 기록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출입구 근방에서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확인되는 경우, 단계(S1030)에서, 제1 사용자 단말 및 제2 사용자와 연관된 제2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화를 허용할 수 있다. 통화가 이루어지는 동안, 출입 관리기의 BLE 스캐너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확인이 이루어질 수 있으며(S1040), BLE 스캐너를 통해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확인되지 않는 경우, 제1 사용자 단말과 제2 사용자 단말 간의 통화를 중단시키고,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입구에 대한 정보 및 제2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한 시간, 통화 도중 제1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및/또는 출입 관리기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또는 사진, 출입구가 개방되지 않았음을 제1 사용자의 방문 기록으로 저장할 수 있다.
이와 달리, 통화가 이루어지는 동안 BLE 스캐너를 통한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가 지속적으로 확인되고 방문객의 신원이 확인되는 경우, 단계(S1150)에서,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출입구 개방 요청 수신에 응답하여, 출입구 개방 요청을 출입 관리기로 전송할 수 있다. 출입구 개방 요청에 따라 출입구가 개방되는 경우, 단계(S1160)에서, 통화 도중 제1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또는/및 출입 관리기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또는 사진, 제1 사용자의 방문 시간, 출입구가 개방되었음을 제1 사용자의 방문 기록으로 저장할 수 있다.
도 6 내지 도 10에서 도시한 흐름도 및 상술한 설명은 하나의 예시일 뿐이며, 다른 실시예에서는 다르게 구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단계의 순서가 변경되거나, 일부 단계가 생략되거나, 다른 구성이 추가될 수 있으며, 순차적으로 수행되는 것으로 기술된 일부 단계들이 동시에 수행될 수 있다.
상술된 공동 현관 출입 관리 방법은,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에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코드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실행 가능한 프로그램을 계속 저장하거나, 실행 또는 다운로드를 위해 임시 저장하는 것일 수도 있다. 또한, 매체는 단일 또는 수개 하드웨어가 결합된 형태의 다양한 기록수단 또는 저장수단일 수 있는데, 어떤 컴퓨터 시스템에 직접 접속되는 매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 상에 분산 존재하는 것일 수도 있다. 매체의 예시로는, 하드 디스크, 플로피 디스크 및 자기 테이프와 같은 자기 매체, CD-ROM 및 DVD와 같은 광기록 매체, 플롭티컬 디스크(floptical disk)와 같은 자기-광 매체(magneto-optical medium), 및 ROM, RAM, 플래시 메모리 등을 포함하여 프로그램 명령어가 저장되도록 구성된 것이 있을 수 있다. 또한, 다른 매체의 예시로, 애플리케이션을 유통하는 앱 스토어나 기타 다양한 소프트웨어를 공급 내지 유통하는 사이트, 서버 등에서 관리하는 기록 매체 내지 저장매체도 들 수 있다.
본 개시의 방법, 동작 또는 기법들은 다양한 수단에 의해 구현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이러한 기법들은 하드웨어, 펌웨어, 소프트웨어, 또는 이들의 조합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본원의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적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알고리즘 단계들은 전자 하드웨어, 컴퓨터 소프트웨어, 또는 양자의 조합들로 구현될 수도 있음을 통상의 기술자들은 이해할 것이다.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이러한 상호 대체를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 다양한 예시적인 구성요소들, 블록들, 모듈들, 회로들, 및 단계들이 그들의 기능적 관점에서 일반적으로 위에서 설명되었다. 그러한 기능이 하드웨어로서 구현되는지 또는 소프트웨어로서 구현되는 지의 여부는, 특정 어플리케이션 및 전체 시스템에 부과되는 설계 요구사항들에 따라 달라진다. 통상의 기술자들은 각각의 특정 어플리케이션을 위해 다양한 방식들로 설명된 기능을 구현할 수도 있으나, 그러한 구현들은 본 개시의 범위로부터 벗어나게 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된다.
하드웨어 구현에서, 기법들을 수행하는 데 이용되는 프로세싱 유닛들은, 하나 이상의 ASIC들, DSP들, 디지털 신호 프로세싱 디바이스들(digital signal processing devices; DSPD들), 프로그램가능 논리 디바이스들(programmable logic devices; PLD들), 필드 프로그램가능 게이트 어레이들(field programmable gate arrays; FPGA들), 프로세서들, 제어기들, 마이크로제어기들, 마이크로프로세서들, 전자 디바이스들, 본 개시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다른 전자 유닛들, 컴퓨터, 또는 이들의 조합 내에서 구현될 수도 있다.
따라서, 본 개시와 연계하여 설명된 다양한 예시적인 논리 블록들, 모듈들, 및 회로들은 범용 프로세서, DSP, ASIC, FPGA나 다른 프로그램 가능 논리 디바이스, 이산 게이트나 트랜지스터 로직, 이산 하드웨어 컴포넌트들, 또는 본원에 설명된 기능들을 수행하도록 설계된 것들의 임의의 조합으로 구현되거나 수행될 수도 있다. 범용 프로세서는 마이크로프로세서일 수도 있지만, 대안으로, 프로세서는 임의의 종래의 프로세서, 제어기, 마이크로제어기, 또는 상태 머신일 수도 있다. 프로세서는 또한, 컴퓨팅 디바이스들의 조합, 예를 들면, DSP와 마이크로프로세서, 복수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DSP 코어와 연계한 하나 이상의 마이크로프로세서들, 또는 임의의 다른 구성의 조합으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펌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구현에 있어서, 기법들은 랜덤 액세스 메모리(random access memory; RAM), 판독 전용 메모리(read-only memory; ROM), 비휘발성 RAM(non-volatile random access memory; NVRAM), PROM(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PROM(erasable programmable read-only memory), EEPROM(electrically erasable PROM), 플래시 메모리, 컴팩트 디스크(compact disc; CD), 자기 또는 광학 데이터 스토리지 디바이스 등과 같은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 상에 저장된 명령들로서 구현될 수도 있다. 명령들은 하나 이상의 프로세서들에 의해 실행 가능할 수도 있고, 프로세서(들)로 하여금 본 개시에 설명된 기능의 특정 양태들을 수행하게 할 수도 있다.
소프트웨어로 구현되는 경우, 상기 기법들은 하나 이상의 명령들 또는 코드로서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 상에 저장되거나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한 매체를 통해 전송될 수도 있다.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은 한 장소에서 다른 장소로 컴퓨터 프로그램의 전송을 용이하게 하는 임의의 매체를 포함하여 컴퓨터 저장 매체들 및 통신 매체들 양자를 포함한다. 저장 매체들은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이용 가능한 매체들일 수도 있다. 비제한적인 예로서, 이러한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는 RAM, ROM, EEPROM, CD-ROM 또는 다른 광학 디스크 스토리지, 자기 디스크 스토리지 또는 다른 자기 스토리지 디바이스들, 또는 소망의 프로그램 코드를 명령들 또는 데이터 구조들의 형태로 이송 또는 저장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며 컴퓨터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임의의 다른 매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임의의 접속이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로 적절히 칭해진다.
예를 들어, 소프트웨어가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 (DSL),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을 사용하여 웹사이트, 서버, 또는 다른 원격 소스로부터 전송되면, 동축 케이블, 광섬유 케이블, 연선, 디지털 가입자 회선, 또는 적외선, 무선, 및 마이크로파와 같은 무선 기술들은 매체의 정의 내에 포함된다. 본원에서 사용된 디스크(disk)와 디스크(disc)는, CD, 레이저 디스크, 광 디스크, DVD(digital versatile disc), 플로피디스크, 및 블루레이 디스크를 포함하며, 여기서 디스크들(disks)은 보통 자기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하고, 반면 디스크들(discs)은 레이저를 이용하여 광학적으로 데이터를 재생한다. 위의 조합들도 컴퓨터 판독가능 매체들의 범위 내에 포함되어야 한다.
소프트웨어 모듈은, RAM 메모리, 플래시 메모리, ROM 메모리, EPROM 메모리, EEPROM 메모리, 레지스터들, 하드 디스크, 이동식 디스크, CD-ROM, 또는 공지된 임의의 다른 형태의 저장 매체 내에 상주할 수도 있다. 예시적인 저장 매체는, 프로세가 저장 매체로부터 정보를 판독하거나 저장 매체에 정보를 기록할 수 있도록, 프로세서에 연결될 수 있다. 대안으로, 저장 매체는 프로세서에 통합될 수도 있다.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ASIC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ASIC은 유저 단말 내에 존재할 수도 있다. 대안으로, 프로세서와 저장 매체는 유저 단말에서 개별 구성요소들로서 존재할 수도 있다.
이상 설명된 실시예들이 하나 이상의 독립형 컴퓨터 시스템에서 현재 개시된 주제의 양태들을 활용하는 것으로 기술되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고, 네트워크나 분산 컴퓨팅 환경과 같은 임의의 컴퓨팅 환경과 연계하여 구현될 수도 있다. 또 나아가, 본 개시에서 주제의 양상들은 복수의 프로세싱 칩들이나 장치들에서 구현될 수도 있고, 스토리지는 복수의 장치들에 걸쳐 유사하게 영향을 받게 될 수도 있다. 이러한 장치들은 PC들, 네트워크 서버들, 및 휴대용 장치들을 포함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본 개시가 일부 실시예들과 관련하여 설명되었지만, 본 개시의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가 이해할 수 있는 본 개시의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변형 및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그러한 변형 및 변경은 본 명세서에 첨부된 특허청구의 범위 내에 속하는 것으로 생각되어야 한다.
100: 출입구 110: 제1 사용자
120: 제1 사용자 단말 130: 출입 관리기
140: 제2 사용자 150: 제2 사용자 단말

Claims (16)

  1. 정보 처리 시스템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공동 현관 출입 관리 방법에 있어서,
    제1 사용자와 연관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입구에 대한 정보 및 제2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출입구의 근방에 설치된 출입 관리기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확인을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와 연관된 제2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화를 허용하는 단계; 및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출입구 개방 요청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출입구 개방 요청을 상기 출입 관리기로 전송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는 상기 출입구의 개방 권한을 가진 사용자이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확인은,
    상기 출입 관리기의 동작 감지 센서의 상기 출입 관리기 근방의 객체 인식 및 상기 출입 관리기의 BLE(Bluetooth Low Energy) 스캐너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비콘(Beacon) 정보 수신에 기초하여 확인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와 연관된 제2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화는,
    상기 출입 관리기의 BLE 스캐너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비콘 정보가 수신되는 동안 유지되는, 공동 현관 출입 관리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에 대한 정보는, 상기 출입구에 비치된 QR 코드를 기초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이 인식한 정보인, 공동 현관 출입 관리 방법.
  3. 삭제
  4. 삭제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와 연관된 제2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화는,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 또는 상기 출입 관리기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또는 사진이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실시간으로 송신되는 영상 통화를 포함하는, 공동 현관 출입 관리 방법.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구 개방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출입구는 상기 출입 관리기에 의해 개방되는, 공동 현관 출입 관리 방법.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통화 도중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또는 사진, 상기 출입 관리기의 카메라로 촬영된 영상 또는 사진, 상기 제1 사용자의 방문 시간 또는 상기 출입구의 개방 여부 중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저장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동 현관 출입 관리 방법.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제2 사용자 단말의 정보 열람 요청에 응답하여, 상기 적어도 하나에 대한 정보를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 전송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공동 현관 출입 관리 방법.
  9. 출입 관리기의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는, 공동 현관 출입 관리 방법에 있어서,
    상기 출입 관리기의 동작 감지 센서가 상기 출입 관리기 근방의 객체를 인식하는 단계;
    상기 출입 관리기의 BLE 스캐너가 제3 사용자 단말로부터 비콘 정보를 수신하는 단계;
    상기 제3 사용자 단말이 출입구 개방 권한이 있는 단말임을 확인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구를 개방하는 단계; 및
    상기 비콘 정보 수신 이력을 상기 출입 관리기 또는 상기 출입 관리기와 연관된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를 포함하고,
    상기 출입구 개방 권한이 있는 단말은, 상기 출입 관리기 또는 상기 출입 관리기와 연관된 시스템에 출입구 개방 권한이 있는 단말로 등록된 단말이거나, 등록된 단말에 의해 개방 허용을 받은 단말이고,
    상기 제3 사용자 단말이 출입구 개방 권한이 있는 단말임을 확인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구를 개방하는 단계는,
    상기 제3 사용자 단말의 출입구 개방 권한의 유무 및 종류를 확인하는 단계;
    상기 출입구 개방 권한이 있음을 확인하는 것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구를 개방하는 단계; 및
    상기 출입구 개방 권한의 종류에 따라 상이한 안내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
    를 포함하는, 공동 현관 출입 관리 방법.
  10. 삭제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출입 관리기의 카메라로 상기 출입구 근방의 영상 또는 사진을 촬영하는 단계; 및
    상기 영상 또는 사진, 상기 출입구의 개방 여부 또는 상기 출입구의 개방 시간에 대한 정보 중 적어도 하나를 상기 출입 관리기 또는 상기 출입 관리기와 연관된 시스템에 저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공동 현관 출입 관리 방법.
  12. 삭제
  13. 제9항에 있어서,
    긴급 상황 알림을 수신하는 단계; 및
    상기 긴급 상황 알림의 수신에 기초하여, 상기 출입구를 개방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공동 현관 출입 관리 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긴급 상황 알림에 기초한 안내 음성을 출력하는 단계
    를 더 포함하는, 공동 현관 출입 관리 방법.
  15. 제1항, 제2항, 제5항 내지 제9항, 제11항, 제13항 및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방법을 컴퓨터에서 실행하기 위해 컴퓨터 판독 가능한 기록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 프로그램.
  16. 정보 처리 시스템으로서,
    메모리; 및
    상기 메모리와 연결되고, 상기 메모리에 포함된 컴퓨터 판독 가능한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을 실행하도록 구성된 적어도 하나의 프로세서
    를 포함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프로그램은,
    제1 사용자와 연관된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 출입구에 대한 정보 및 제2 사용자에 대한 정보를 수신하고,
    상기 출입구의 근방에 설치된 출입 관리기로부터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확인을 수신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와 연관된 제2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화를 허용하고,
    상기 제2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출입구 개방 요청 수신에 응답하여, 상기 출입구 개방 요청을 상기 출입 관리기로 전송하기 위한 명령어들을 포함하고,
    상기 제2 사용자는 상기 출입구의 개방 권한을 가진 사용자이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의 위치 확인은,
    상기 출입 관리기의 동작 감지 센서의 상기 출입 관리기 근방의 객체 인식 및 상기 출입 관리기의 BLE(Bluetooth Low Energy) 스캐너의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비콘(Beacon) 정보 수신에 기초하여 확인되고,
    상기 제1 사용자 단말 및 상기 제2 사용자와 연관된 제2 사용자 단말 사이의 통화는,
    상기 출입 관리기의 BLE 스캐너에 상기 제1 사용자 단말로부터의 비콘 정보가 수신되는 동안 유지되는, 정보 처리 시스템.
KR1020210139208A 2021-10-19 2021-10-19 공동 현관 출입 관리 방법 및 그 정보 처리 시스템 KR10241057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208A KR102410578B1 (ko) 2021-10-19 2021-10-19 공동 현관 출입 관리 방법 및 그 정보 처리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139208A KR102410578B1 (ko) 2021-10-19 2021-10-19 공동 현관 출입 관리 방법 및 그 정보 처리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0578B1 true KR102410578B1 (ko) 2022-06-22

Family

ID=8221719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139208A KR102410578B1 (ko) 2021-10-19 2021-10-19 공동 현관 출입 관리 방법 및 그 정보 처리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10578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255B1 (ko) * 2023-09-04 2023-11-29 주식회사 실리콘브릿지 차량 출입 관리 방법 및 시스템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353A (ko) * 2013-06-24 2015-01-02 주식회사 브랜덤 식별 수단을 이용한 안전 출입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669223B1 (ko) * 2015-05-07 2016-10-25 주식회사 리틀핑거컴퍼니 방문자 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KR102005954B1 (ko) * 2018-11-02 2019-08-05 주식회사 블루앤 공동 현관문의 원격 개방 시스템
KR20210027827A (ko) * 2019-09-03 2021-03-1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공동 현관문 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출입 관리 방법
KR102298796B1 (ko) * 2021-03-22 2021-09-08 진종신 공동주택의 화재장소 추적 시스템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50000353A (ko) * 2013-06-24 2015-01-02 주식회사 브랜덤 식별 수단을 이용한 안전 출입 시스템 및 그 동작방법
KR101669223B1 (ko) * 2015-05-07 2016-10-25 주식회사 리틀핑거컴퍼니 방문자 정보 전달 시스템 및 방법
KR102005954B1 (ko) * 2018-11-02 2019-08-05 주식회사 블루앤 공동 현관문의 원격 개방 시스템
KR20210027827A (ko) * 2019-09-03 2021-03-11 주식회사 엘지유플러스 공동 현관문 출입 관리 시스템 및 그의 출입 관리 방법
KR102298796B1 (ko) * 2021-03-22 2021-09-08 진종신 공동주택의 화재장소 추적 시스템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07255B1 (ko) * 2023-09-04 2023-11-29 주식회사 실리콘브릿지 차량 출입 관리 방법 및 시스템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354955B2 (en) Universal access control device
CN107018124B (zh) 用于控制访问的远程应用
AU2017203166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secure location-based document viewing
GB2516686A (en) Communication method and system
CN106534080B (zh) 物体访问权限管理方法及相应后台系统、装置、用户终端
US20150278501A1 (en) Controlling user access to electronic resources without password
CN104166602B (zh) 数据备份方法及装置、电子设备
US11568032B2 (en) Natural language user interface
KR102353322B1 (ko) 비콘 기반의 출입 제어 시스템 및 그 방법
US20220254212A1 (en) Systems and techniques to provide smart access capabilities in a smart system environment
CN104462172B (zh) 由分布式系统中的装置执行的方法及在分布式系统中的装置
KR102410578B1 (ko) 공동 현관 출입 관리 방법 및 그 정보 처리 시스템
CN111123388A (zh) 房间摄像装置的检测方法、装置及检测设备
KR20190141900A (ko) Mdm 제어 방법, mdm을 이용한 출입 제어 방법 및 그 시스템
KR20190115377A (ko) 외부 전자 장치의 키를 공유하는 전자 장치 및 전자 장치의 동작 방법
JP6147234B2 (ja) 分散データベースの結合
KR20140148020A (ko) 휴대기기를 이용한 무인 기계경비시스템 및 그 제공방법
KR102459049B1 (ko) 출입문 출입 관리 방법 및 그 정보 처리 시스템
KR102475738B1 (ko) 서버 및 이의 보안 환경에서 사용자 단말 장치의 접속을 지원하는 방법
CN104021076B (zh) 应用测试方法及路由器
US20160080555A1 (en) Space management system for micropositioning mobile device and management method thereof
EP3236377B1 (en) Method, device and system for preventing account from being broken into
KR101523485B1 (ko) 모바일 기기를 이용한 무인 경비 시스템 관리 방법
KR102607255B1 (ko) 차량 출입 관리 방법 및 시스템
TW201800652A (zh) 具有自動解鎖功能的門禁系統及其解鎖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