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6119A - 촬영공간과 편집공간이 분리된 부스형 셀프 사진관 시스템 - Google Patents
촬영공간과 편집공간이 분리된 부스형 셀프 사진관 시스템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26119A KR20220126119A KR1020210030343A KR20210030343A KR20220126119A KR 20220126119 A KR20220126119 A KR 20220126119A KR 1020210030343 A KR1020210030343 A KR 1020210030343A KR 20210030343 A KR20210030343 A KR 20210030343A KR 20220126119 A KR20220126119 A KR 20220126119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editing
- booth
- photo
- photographing
- identification code
- Prior art date
Links
- 238000004891 communica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6
- 238000000034 method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15
- 238000012217 deletion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0000037430 deletion Effects 0.000 claims description 5
- 238000012545 processing Methods 0.000 claims description 2
- 238000010586 diagram Methods 0.000 description 6
- 238000010295 mobile commun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4
- 238000012937 correc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8000012986 modification Methods 0.000 description 2
- 230000004048 modification Effects 0.000 description 2
- 235000013361 beverage Nutrition 0.000 description 1
- 230000005540 biological transmission Effects 0.000 description 1
- 230000001939 inductive effect Effects 0.000 description 1
Images
Classifications
-
- G—PHYSICS
- G03—PHOTOGRAPHY; CINEMATOGRAPHY;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ELECTROGRAPHY; HOLOGRAPHY
- G03B—APPARATUS OR ARRANGEMENTS FOR TAKING PHOTOGRAPHS OR FOR PROJECTING OR VIEWING THEM; APPARATUS OR ARRANGEMENTS EMPLOYING ANALOGOUS TECHNIQUES USING WAVES OTHER THAN OPTICAL WAV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0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 G03B17/48—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 G03B17/50—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with both developing and finishing apparatus
- G03B17/53—Details of cameras or camera bodies; Accessories therefor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 with both developing and finishing apparatus for automatically delivering a finished picture after a signal causing exposure has been given, e.g. by pushing a button, by inserting a coin
-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Q—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SYSTEMS OR METHODS SPECIALLY ADAPTED FOR ADMINISTRATIVE, COMMERCIAL, FINANCIAL, MANAGERIAL OR SUPERVISORY PURPOS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06Q50/00—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implementation of business processes of specific business sectors, e.g. utilities or tourism
- G06Q50/10—Services
Landscapes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Tourism & Hospitalit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Strategic Management (AREA)
- Human Resources & Organizations (AREA)
- Marketing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conomics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Cameras Adapted For Combination With Other Photographic Or Optical Apparatuses (AREA)
- Management, Administration, Business Operations System, And Electronic Commerce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예는 촬영이 이루어지는 촬영부스와 사진 편집 및 인화가 이루어지는 편집키오스크를 분리 설치하여 편집 시간을 충분히 제공하면서도 촬영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는 촬영공간과 편집공간이 분리된 부스형 셀프 사진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본 실시예는, 사용자에게 촬영공간을 제공하는 부스 안에 촬영본체가 설치되어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고, 사진촬영이 완료되면 촬영된 사진들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코드를 해당 사용자에게 발급하는 적어도 1대 이상의 촬영부스와, 상기 촬영공간과 분리된 별도의 편집공간에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상기 식별코드를 입력하면, 상기 촬영부스에서 촬영된 사진들을 편집 및 인화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편집키오스크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촬영부스 및 상기 편집키오스크와 연결되어 상기 촬영 부스에서 촬영이 완료되면 해당 사진 데이터를 전송받아 로컬DB에 저장함과 아울러 해당 사진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식별코드를 발급하도록 해당 촬영부스에 이를 제공하고, 임의의 편집키오스크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가 수신되면 해당 식별코드의 사진 데이터를 해당 편집키오스크로 전송하여 사진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며, 편집 및 인화 서비스가 완료되면 해당 사용자의 사진 데이터를 상기 로컬DB에서 삭제하는 로컬서버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부스형 셀프 사진관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촬영이 이루어지는 촬영부스와 사진 편집 및 인화가 이루어지는 편집키오스크를 분리 설치하여 편집 시간을 충분히 제공하면서도 촬영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는 촬영공간과 편집공간이 분리된 부스형 셀프 사진관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즉석 사진이나 스티커 사진 등을 촬영하고 바로 인화하기 위해서 부스 형태로 이루어진 셀프 사진관을 주로 이용하고 있다. 이러한 부스형 셀프 사진관은 다양한 문화시설이 밀집한 곳이나 유동인구가 많은 장소에 설치되어 즉석에서 간편하게 사진을 촬영하여 인화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종래의 부스형 셀프 사진관은 내부에 사용자가 위치할 공간이 형성되고 일측에 출입구가 형성된 부스 내에 결제유닛과 촬영유닛, 편집유닛, 인화유닛, 및 전체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컨트롤 유닛이 함께 설치되어 부스 내 동일한 공간에서 결제, 촬영, 편집, 인화가 모두 이루어지도록 되어 있다.
이러한 종래의 부스형 셀프 사진관을 이용하기 위해서는 사용자가 부스 외부에서 분장을 한 후 촬영 부스로 입장하고, 요금을 결제한 후 촬영을 하고, 보정 및 편집을 거쳐 인화하고, 인화된 사진을 확인한 후, 시스템에서 자신의 사진이 삭제되는 것을 확인하고 촬영 부스를 퇴장하였다.
이와 같이 종래의 부스형 셀프 사진관은 부스 내 동일한 공간에서 결제, 촬영, 편집, 인화 등 일련 과정을 모두 처리하도록 되어 있는데, 일련의 과정 중에서 시간이 가장 많이 걸리는 부분이 보정과 편집과정이다. 예컨대, 종래의 부스형 셀프 사진관의 경우에 촬영에 대략 1~3분 정도, 편집에 2~5분 정도의 시간이 주어지는데, 이는 미숙한 사용자는 물론이고 대부분의 사용자들이 부족하게 느끼는 시간이어서 보정과 편집이 제대로 이루어지지 못한 체 인화하게 되어 사진 품질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다.
더욱이 종래의 부스형 셀프 사진관에서 편집할 경우, 부스 내부 공간이 좁아 자세가 불편하고, 제한된 조명과 모니터 반사 등으로 화면에 보이는 사진의 시인성이 떨어지며, 인화과정에서도 서서 기다리는 동안 불편하고, 인화 후 사진을 확인하기도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그리고 앞서 이용중인 사람이 제한시간을 초과해 이용할 경우에는 뒤에서 대기 중인 손님이 지루하게 되므로 양질의 서비스와 효율적인 영업을 할 수가 없고, 비좁은 공간에 사용자가 오래 머무를 경우 공중위생 및 방역 측면에서도 문제가 될 소지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상기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촬영까지의 과정과, 촬영 이후 편집 및 인화 과정을 분리한 후 서로 다른 공간에서 촬영과 편집 및 인화가 이루어지게 하는 촬영공간과 편집공간이 분리된 부스형 셀프 사진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사진을 촬영하기 위한 다수개의 촬영부스와 편집 및 인화를 위한 다수개의 편집키오스크를 서로 분리하여 설치한 후 네트워크로 서버와 연결하여 임의의 촬영부스에서 촬영한 후 편집키오스크가 설치된 데스크로 이동해 좋은 환경에서 충분한 시간을 갖고 자유롭고 편리하게 편집할 수 있는 촬영공간과 편집공간이 분리된 부스형 셀프 사진관 시스템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과제는 사용자가 음료 등을 섭취하면서 촬영한 사진을 편집 및 인화할 수 있도록 하여 카페 서비스 등과 연계하여 편리하게 여러 서비스를 이용할 수 있도록 하는 부스형 셀프 사진관을 이용한 새로운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와 같은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실시예는, 사용자에게 촬영공간을 제공하는 부스 안에 촬영본체가 설치되어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고, 사진촬영이 완료되면 촬영된 사진들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코드를 해당 사용자에게 발급하는 적어도 1대 이상의 촬영부스와, 상기 촬영공간과 분리된 별도의 편집공간에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상기 식별코드를 입력하면, 상기 촬영부스에서 촬영된 사진들을 편집 및 인화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편집키오스크와,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촬영부스 및 상기 편집키오스크와 연결되어 상기 촬영 부스에서 촬영이 완료되면 해당 사진 데이터를 전송받아 로컬DB에 저장함과 아울러 해당 사진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식별코드를 발급하도록 해당 촬영부스에 이를 제공하고, 임의의 편집키오스크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가 수신되면 해당 식별코드의 사진 데이터를 해당 편집키오스크로 전송하여 사진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며, 편집 및 인화 서비스가 완료되면 해당 사용자의 사진 데이터를 상기 로컬DB에서 삭제하는 로컬서버를 포함한다.
상기 부스형 셀프 사진관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시스템과 연결되어 상기 편집키오스크가 요구하는 대형 사진을 인화하기 위한 전문 인화 프린터가 더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촬영본체는 조작부와, 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에 의해 촬영공간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유닛과, 제어신호에 따라 식별코드를 발행하는 식별코드 발행기와, 카드나 현금, 페이 등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유닛과, 상기 로컬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서버통신부와, 상기 조작부를 통해 촬영조건이 선택되고 상기 결제유닛에 의해 결제가 처리된 후 상기 조작부를 통해 촬영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촬영유닛을 제어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 피사체의 사진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서버통신부를 통해 상기 로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로컬서버로부터 해당 사진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식별코드를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상기 식별코드를 발행하도록 상기 식별코드 발행기를 제어하는 컨트롤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편집키오스크는, 식별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식별코드 리더기와, 상기 로컬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서버통신부와, 제어신호에 따라 사진을 프린트하여 출력하기 위한 로컬 사진 인화기와, 편집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조작부와, 상기 식별코드 리더기를 통해 식별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로컬서버에 해당 사진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로컬서버로부터 사진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해당 사진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화면을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조작부의 입력에 따라 사진 편집을 처리하고, 사진 편집이 완료되면 상기 로컬 사진 인화기나 상기 전문 인화 프린터를 통해 해당 사진을 프린트하도록 제어하며, 편집 및 인화서비스가 완료되면 상기 서버통신부를 통해 상기 로컬서버에 해당 사진 데이터 삭제를 요청하는 편집 컨트롤러를 포함한다.
상기 편집키오스크는 카드나 현금, 페이 등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편집 콘트롤러는 상기 편집 및 인화 서비스가 완료된 후 사진 데이터를 삭제하기 전에 상기 조작부를 통해 추가 컷에 대한 편집 및 인화가 요청되면, 추가 결제를 처리한 후 추가 컷의 편집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조작부의 입력에 따라 추가 컷의 사진 편집을 처리하며, 편집이 완료되면 상기 로컬 사진 인화기나 상기 전문 인화 프린터를 통해 해당 사진을 프린트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편집 및 인화가 완료되면 개인정보 보호를 위한 자료삭제 과정으로 상기 서버통신부를 통해 상기 로컬서버에 해당 사진 데이터 삭제를 요청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이 이루어지는 촬영부스와 편집 및 인화가 이루어지는 편집키오스크를 서로 분리한 후 촬영보다 시간이 많이 소요되는 사진편집을 위한 편집키오스크를 촬영부스 보다 많이 설치하여 사용자의 대기시간을 줄일 수 있다.
또한 촬영부스는 촬영을 위해 밀폐된 공간을 필요로 하나 편집키오스크는 개방된 공간에 설치할 수 있으므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밝고 쾌적한 공간에 다수의 편집키오스크를 설치하여 시간과 공간적인 여유를 갖고 좋은 환경에서 사진을 편집하게 하여 양호한 품질의 사진을 취득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부스에서 촬영시 복수의 컷을 촬영한 후 1회용 QR코드를 제공하여 매장 내 아무 테이블에나 앉아 QR코드를 인식시키면 자신이 찍은 사진이 로딩되어 편안한 테이블에서 여유롭게 편집할 수 있고, 복수의 촬영 컷 제공에 따른 추가 편집을 유도하여 추가 결제토록함으로써 매출 증가에도 기여할 수 있다.
또한 기존 촬영 부스에서는 부스 내에 설치해야 하므로 대형 프린터를 설치하는 것이 곤란하였으나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촬영공간과 편집공간이 분리되어 큰 사진을 인화할 수 있는 대형 프린터를 설치할 수 있고, 전문적인 편집을 지원하는 다양한 툴을 제공할 수도 있다.
그리고 넓은 편집공간에 셀프 마운트 데스크를 설치하여 소장가치를 더해주는 다양한 종류의 액자나 마운트에 사진을 장착하여 사용할 수 있고, 촬영, 편집, 인화 등 전과정에 반응형 튜토리얼과 쉽게 이용할 수 있도록 안내 팁을 제공할 수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진 촬영 서비스와 카페 서비스가 결합된 형태의 매장을 구축할 수 있게 하고, 매장 내 네트워크에 보안 프로토콜과 개인정보 보호 프로세스를 적용하여 서비스 중에 사진 데이터를 철저히 보호함과 아울러 서비스 완료 후에는 해당 사진 데이터를 완전히 삭제하여 개인 프라이버시를 보장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스형 셀프 사진관 시스템의 배치 예,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스형 셀프 사진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스형 셀프 사진관의 이용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도 2의 주요부인 촬영부스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촬영부스의 동작 순서도,
도 6은 도 2의 주요부인 편집키오스크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편집키오스크의 동작 순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스형 셀프 사진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스형 셀프 사진관의 이용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
도 4는 도 2의 주요부인 촬영부스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촬영부스의 동작 순서도,
도 6은 도 2의 주요부인 편집키오스크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편집키오스크의 동작 순서도이다.
본 발명과 본 발명의 실시에 의해 달성되는 기술적 과제는 다음에서 설명하는 바람직한 실시예들에 의해 명확해질 것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살펴보기로 한다.
후술되는, 본 실시예의 차이는 상호 배타적이지 않은 사항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의 기술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예에 관련하여 다른 실시예로 구현될 수 있으며, 각각의 개시된 실시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변경될 수 있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하며, 길이, 면적 및 두께 등과 그 형태는 편의를 위하여 과장되어 표현될 수도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스형 셀프 사진관 시스템의 배치 예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스형 셀프 사진관 시스템의 전체 구성을 도시한 개략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스형 셀프 사진관 시스템(10)은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밀폐된 공간에서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촬영부스(100-1~100-N)와, 촬영부스에서 촬영 후 촬영된 사진을 편집, 결제 및 인화할 수 있는 다수의 편집키오스크(200-1~200-K)와, 네트워크(30)를 통해 다수의 촬영부스 및 다수의 편집키오스크와 연결되어 촬영부스에서 촬영이 완료되면 소정의 식별코드를 발급하고 해당 사진을 로컬DB에 저장함과 아울러 임의의 편집키오스크를 통해 식별코드가 수신되면 해당 사진 데이터를 해당 편집키오스크로 전송하여 사진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는 로컬서버(20)로 구성된다.
또한 대형 사진을 인화하기 위한 전문 인화 프린터(40)가 네트워크(30)를 통해 연결되어 각 편집키오스크에서 요청한 대형사진을 출력할 수도 있고, 사용자의 스마트폰(50)에는 본 발명의 서비스를 위한 앱이 탑재되어 로컬서버(10)가 이동통신망(60) 혹은 무선 네트워크를 통해 사용자 스마트폰(50)의 앱과 연결되어 식별코드 전송이나 결제서비스를 제공할 수도 있다.
여기서, 네트워크(30)는 이더넷 스위칭 허브(32)와 같은 유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도 있고, WiFi나 블루투스 등과 같은 무선 네트워크로 구현될 수도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부스(100-1~100-N)는 촬영공간을 제공하기 위한 부스(B)와, 부스(B) 내에 설치되어 촬영을 수행하기 위한 촬영본체(100)로 구현될 수 있다.
편집키오스크(200-1~200-K)는 편집 테이블(202)의 일측에 설치되어 사용자가 편집 테이블(202)에서 촬영부스(100-1~100-N)에서 촬영한 사진을 편집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하나의 편집 테이블(202)에 2대의 편집키오스크(200-1,200-2)를 설치한 것을 예로 들었으나 하나의 편집 테이블(202)에 1대 혹은 3대의 편집키오스크를 설치하는 등 다양한 형태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편집시간에 비해 촬영시간이 훨씬 짧으므로 촬영부스(10-1~100-5)는 소수만 설치하고, 편집 키오스크(220-1~200-10)는 보다 많이 설치하여 공간을 보다 효율적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로컬서버(20)는 매장을 관리하기 위한 관리 프로그램이 탑재되어 있고, 이동통신망(60)을 통해 사용자 단말기(50)에 설치된 서비스 앱과 통신하여 식별코드(QR코드)를 발급하거나 사진 데이터를 전송할 수 있으며, 매장 내에 설치된 촬영부스(100-1~100-N) 및 편집키오스크(200-1~20-N)와 네트워크(30)로 연결되어 촬영부스 및 편집키오스크를 관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또한 로컬서버(20)는 이동통신망을 통해 관리자 단말과 연결되어 매장의 관리 현황을 문자 메시지 등으로 전달할 수도 있다.
그리고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는 식별코드로서 QR코드를 사용하는 것을 예로 들었으나 바코드, RFID 등 다른 다양한 식별수단을 사용할 수도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스형 셀프 사진관의 이용 절차를 도시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부스형 셀프 사진관을 이용하는 절차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크게 촬영부스(100-1~100-N)에 입장하여 촬영하는 과정과, 편집 테이블(202)로 이동하여 편집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면, 사진촬영을 원하는 사용자가 촬영부스(100-1~100-N) 외부에서 분장한 후 비어 있는 촬영부스로 입장하여 촬영요금을 결제한다(S101,S102). 촬영요금은 사진의 종류와 컷수에 따라 차등을 두고 책정할 수도 있고, 기본요금을 내면 한컷 혹은 소정수의 정해진 컷을 촬영하게 할 수도 있다.
촬영부스의 촬영본체(200)는 결제가 이루어진 후 촬영을 하고, 촬영이 완료되면 사용자가 촬영한 사진을 편집할 수 있도록 식별코드를 발급한다(S103~S105).
촬영이 끝난 후 사용자는 촬영부스(100-1~100-N)를 나와 원하는 편집 테이블(202)로 이동한다(S106).
사용자가 편집 테이블(202)의 편집키오스크(200-1~200-K)를 이용하여 촬영부스에서 발급된 식별코드를 입력하면, 해당 사용자의 사진 데이터가 로딩되어 편집화면을 제공하고, 편집이 완료되면 사진을 인화한다(S107~S110). 사진 인화는 편집 테이블(202)에 장착된 로컬 사진 인화기나 대형 사진을 위한 전문 인화 프린터(40)를 이용할 수도 있다.
이후 추가 컷에 대한 편집여부를 확인하여 사용자가 추가 컷의 편집을 선택하면 해당 컷을 편집화면에 로딩하여 추가 컷에 대한 편집을 가능하게 하고, 편집이 완료되면 추가 컷 사진을 인화한다(S111~S113).
편집 및 인화가 모두 완료되면, 저장된 사진 데이터를 모두 삭제하여 사용자 사진 데이터가 셀프 사진관 시스템에 남아 있지 않도록 한다(S114).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사진 편집에 충분한 시간을 사용할 수 있어 여유를 갖고 사진을 편집할 수 있다.
도 4는 도 2의 촬영부스에 있는 촬영본체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5는 도 4에 도시된 촬영본체의 동작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본체(100)는 컨트롤유닛(110), 촬영유닛(120), 식별코드 발행기(130), 결제유닛(140), 촬영이나 결제 등을 안내하는 화면을 제공하고 사용자의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터치스크린(150), 로컬서버(20)와 통신하기 위한 서버통신부(160), 센서들(170), 부스조명(180) 등으로 구성된다. 부스조명(180)의 일부는 부스 외부로 노출되어 해당 촬영부스가 사용중인지 아니면 비어 있는지를 표시하는 역할을 할 수도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촬영유닛(120)은 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에 의해 촬영공간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하고, 식별코드 발행기(130)는 제어신호에 따라 식별코드를 발행한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서 식별코드 발행기(130)는 QR코드를 인쇄하는 프린터일 수 있다.
결제유닛(140)은 카드나 현금, 페이, 가상화폐 등을 결제하기 위한 것이고, 서버통신부(160)는 로컬서버(20)와 통신하기 위한 것이다.
터치스크린(150)은 촬영을 안내하는 화면이나 결제화면, 촬영된 사진 컷 등을 표시하기 위한 디스플레이와 사용자의 터치 조작을 입력받기 위한 입출력수단으로서, 키 버튼이나 LCD 등으로 대체될 수도 있다.
센서들(170)은 촬영부스에 사용자가 입장하는 것을 감지하거나 부스(B) 내에 사용자가 존재하는 것을 감지하기 위한 적외선 센서 등이고, 부스조명(180)은 부스(B) 내로 사용자가 입장하면 제어신호에 따라 점등되어 부스(B) 내에 조명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컨트롤유닛(110)은 터치스크린(150)을 통해 촬영조건이 선택되고 결제유닛(140)에 의해 결제가 처리된 후 터치스크린(150)이나 별도의 셔터 버튼 등을 통해 촬영명령이 입력되면 촬영유닛(120)을 제어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 피사체의 사진 데이터를 입력받아 서버통신부(160)를 통해 로컬서버(20)로 전송하며, 촬영이 완료되면 로컬서버(20)로부터 해당 사진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식별코드를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식별코드를 발행하도록 식별코드 발행기(130)를 제어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촬영본체(10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가 입장하면 센서(170)를 통해 이를 감지하여 부스조명(180)을 턴온시킨다. 이에 따라 해당 촬영부스(100-1~100-N)는 사용중임을 외부로 표시하게 된다(S201,S202).
사용자 입장이 감지되면, 촬영본체(100)는 로컬서버(20)로 사용자 입장을 통지하고, 이에 따라 로컬서버(20)는 시스템 관리화면에서 해당 촬영부스(100-1~100-N)가 사용중인 것을 인식할 수 있다(S203).
이어 촬영본체(100)가 터치 스크린(150)에 촬영 안내 화면을 표시한다(S204). 촬영 안내 화면에서 사진의 종류와 컷수 등을 선택하면 결제요금을 안내하고, 사용자가 결제하면 로컬서버(20)와 통신하여 결제를 처리한다(S205).
결제가 완료되면, 촬영본체(100)는 촬영을 준비하고, 촬영버튼이 입력되면 소정 시간 후 촬영조명을 작동시킴과 동시에 카메라로 촬영한다(SS206~S208). 버튼조작 후 사용자는 자세를 잡아 촬영을 준비한다.
촬영이 완료되면 촬영된 사진을 터치스크린에 표시하여 사용자에게 보여줄 수도 있고, 사용자는 추가 컷을 촬영할 수도 있다.
모든 컷의 촬영이 완료되면, 촬영본체(100)는 로컬서버(20)로 사진 데이터를 전송하고 해당 사진 데이터에 사용자가 접근할 수 있도록 하는 식별코드를 전달받아 식별코드 발행기(130)로 식별코드를 출력(발행)한다(S209~S211).
사용자가 식별코드를 가지고 촬영부스에서 퇴장하면 센서(170)를 통해 이를 감지하여 부스조명(180)을 오프하고, 로컬서버(20)에도 퇴장을 통지한다(S212,S213). 이에 따라 로컬서버(20)는 해당 촬영부스가 비어 있음을 인식하여 관리화면에 이를 표시하고, 해당 촬영부스는 비어있음을 표시한다.
도 6은 도 2의 주요부인 편집키오스크의 주요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고, 도 7은 도 6에 도시된 편집키오스크의 동작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집키오스크(20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코드 리더기(210), 편집 콘트롤러(220), 디스플레이(230), 조작부(240), 로컬 사진 인화기(250), 결제유닛(260), 서버통신부(270) 등으로 구성된다. 하나의 편집 테이블(202)에 2대의 편집키오스크가 설치된 경우, 사진 편집부분은 각각 사용할 수 있도록 설치하고, 사용빈도가 낮은 결제유닛(260)과 로컬 사진 인화기(250)는 공동으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나씩만 설치할 수도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식별코드 리더기(210)는 식별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것으로, QR코드 리더기, RFID 리더기, 바코드 리더기 혹은 이미지 스캐너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로컬 사진 인화기(250)는 제어신호에 따라 사진을 프린트하여 출력하기 위한 것이고, 결제유닛(260)은 카드나 현금, 페이, 가상화폐 등을 결제하기 위한 것이며, 서버통신부(270)는 로컬서버(20)와 통신하기 위한 것이다.
디스플레이(230)는 편집화면을 표시하기 위한 LCD 등으로 구현될 수 있고, 조작부(240)는 디스플레이(230)에 표시된 사진을 편집하기 위한 것으로 키보드나 버튼들 혹은 마우스 등으로 구현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230)와 조작부(240)는 하나의 터치스크린으로 구현될 수도 있다.
편집 컨트롤러(220)는 식별코드 리더기(210)를 통해 식별코드가 입력되면, 로컬서버(20)에 해당 사진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고, 로컬서버(20)로부터 사진 데이터가 수신되면 디스플레이(230)에 해당 사진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화면을 표시함과 아울러 조작부(240)의 입력에 따라 사진 편집을 처리한다. 편집이 완료되면 로컬 사진 인화기(250)나 전문 인화 프린터(40)를 통해 해당 사진을 출력하도록 제어하고, 편집 및 인화서비스가 완료되면 서버통신부(270)를 통해 로컬서버(20)에 해당 사진 데이터 삭제를 요청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집키오스크(200-1~200-K)는 사용자가 편집 테이블(202)에서 식별코드를 제시하면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식별코드 리더기(210)로 식별코드를 리딩한 후 로컬서버(20)로 이를 전송하여 해당 사진 데이터를 로딩받는다(S301,S302).
이어 사용자는 편집화면을 보면서 사진을 편집하고, 편집이 완료되면 인화를 요청하여 로컬 사진 인화기(250)나 전문 인화 프린터(40)로 사진을 인화 출력한다(S303~S305).
이어 추가 컷에 대한 편집여부를 확인한 후, 사용자가 추가 컷의 편집을 선택하면 추가 결제를 요청하고, 추가 결제가 이루어지면 추가 컷 데이터를 편집화면에 로딩하여 사용자가 추가 컷을 편집할 수 있게 한다(S306~S308).
이어 추가 컷에 대한 편집이 완료되면 인화하고, 더이상 추가 컷에 대한 편집이 없으면 해당 사용자의 사진 데이터를 모두 삭제하도록 로컬서버(20)에 요구하여 시스템에 저장되어 있는 해당 사용자의 사진 데이터를 모두 삭제한다(S309).
이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촬영부스가 아닌 개방된 편집 테이블에서 여유를 갖고 쾌적한 환경에서 사진을 편집할 수 있어 양호한 품질의 사진을 얻을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예시적인 실시예가 도시되어 설명되었지만, 다양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가 본 분야의 숙련된 기술자들에 의해 행해질 수 있을 것이다. 이러한 변형과 다른 실시예들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모두 고려되고 포함되어 본 발명의 진정한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는다 할 것이다.
10: 부스형 셀프 사진관 시스템
20: 로컬서버
30: 네트워크 40: 전문 인화 프린터
50: 사용자 단말기 60: 이동통신망
100: 촬영본체 100-1~100-N: 촬영부스
200-1~200-K: 편집키오스크 202: 편집 테이블
30: 네트워크 40: 전문 인화 프린터
50: 사용자 단말기 60: 이동통신망
100: 촬영본체 100-1~100-N: 촬영부스
200-1~200-K: 편집키오스크 202: 편집 테이블
Claims (5)
- 사용자에게 촬영공간을 제공하는 부스 안에 촬영본체가 설치되어 사진을 촬영할 수 있도록 하고, 사진촬영이 완료되면 촬영된 사진들을 식별하기 위한 식별코드를 해당 사용자에게 발급하는 적어도 1대 이상의 촬영부스;
상기 촬영공간과 분리된 별도의 편집공간에 설치되어 있고, 사용자가 상기 식별코드를 입력하면, 상기 촬영부스에서 촬영된 사진들을 편집 및 인화할 수 있도록 하는 다수의 편집키오스크; 및
네트워크를 통해 상기 촬영부스 및 상기 편집키오스크와 연결되어 상기 촬영 부스에서 촬영이 완료되면 해당 사진 데이터를 전송받아 로컬DB에 저장함과 아울러 해당 사진 데이터를 식별하기 위한 식별코드를 생성하여 사용자에게 해당 식별코드를 발급하도록 해당 촬영부스에 이를 제공하고, 임의의 편집키오스크를 통해 상기 식별코드가 수신되면 해당 식별코드의 사진 데이터를 해당 편집키오스크로 전송하여 사진을 편집할 수 있도록 하며, 편집 및 인화 서비스가 완료되면 해당 사용자의 사진 데이터를 상기 로컬DB에서 삭제하는 로컬서버를 포함하는 촬영공간과 편집공간이 분리된 부스형 셀프 사진관 시스템.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부스형 셀프 사진관 시스템은
네트워크를 통해 시스템과 연결되어 상기 편집키오스크가 요구하는 대형 사진을 인화하기 위한 전문 인화 프린터가 더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공간과 편집공간이 분리된 부스형 셀프 사진관 시스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촬영본체는
조작부;
제어신호에 따라 카메라에 의해 촬영공간에 위치한 피사체를 촬영하는 촬영유닛;
제어신호에 따라 식별코드를 발행하는 식별코드 발행기;
카드나 현금, 페이 등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유닛;
상기 로컬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서버통신부; 및
상기 조작부를 통해 촬영조건이 선택되고 상기 결제유닛에 의해 결제가 처리된 후 상기 조작부를 통해 촬영명령이 입력되면 상기 촬영유닛을 제어하여 피사체를 촬영하고 피사체의 사진 데이터를 입력받아 상기 서버통신부를 통해 상기 로컬서버로 전송하며, 상기 로컬서버로부터 해당 사진 데이터에 접근하기 위한 식별코드를 수신하여 해당 사용자에게 상기 식별코드를 발행하도록 상기 식별코드 발행기를 제어하는 컨트롤유닛을 포함하는 촬영공간과 편집공간이 분리된 부스형 셀프 사진관 시스템. -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키오스크는,
식별코드를 입력하기 위한 식별코드 리더기;
상기 로컬서버와 통신하기 위한 서버통신부;
제어신호에 따라 사진을 프린트하여 출력하기 위한 로컬 사진 인화기;
편집화면을 제공하기 위한 디스플레이;
조작부; 및
상기 식별코드 리더기를 통해 식별코드가 입력되면, 상기 로컬서버에 해당 사진 데이터의 전송을 요청하고, 상기 로컬서버로부터 사진 데이터가 수신되면 상기 디스플레이에 해당 사진을 편집하기 위한 편집화면을 표시함과 아울러 상기 조작부의 입력에 따라 사진 편집을 처리하고, 사진 편집이 완료되면 상기 로컬 사진 인화기나 상기 전문 인화 프린터를 통해 해당 사진을 프린트하도록 제어하며, 편집 및 인화서비스가 완료되면 상기 서버통신부를 통해 상기 로컬서버에 해당 사진 데이터 삭제를 요청하는 편집 컨트롤러를 포함하는 촬영공간과 편집공간이 분리된 부스형 셀프 사진관 시스템.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편집키오스크는
카드나 현금, 페이 등을 결제하기 위한 결제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편집 콘트롤러는
상기 편집 및 인화 서비스가 완료된 후 사진 데이터를 삭제하기 전에 상기 조작부를 통해 추가 컷에 대한 편집 및 인화가 요청되면, 추가 결제를 처리한 후 추가 컷의 편집화면을 상기 디스플레이에 표시하고, 조작부의 입력에 따라 추가 컷의 사진 편집을 처리하며, 편집이 완료되면 상기 로컬 사진 인화기나 상기 전문 인화 프린터를 통해 해당 사진을 프린트하도록 제어함과 아울러 편집 및 인화서비스가 완료되면 상기 서버통신부를 통해 상기 로컬서버에 해당 사진 데이터 삭제를 요청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촬영공간과 편집공간이 분리된 부스형 셀프 사진관 시스템.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0343A KR20220126119A (ko) | 2021-03-08 | 2021-03-08 | 촬영공간과 편집공간이 분리된 부스형 셀프 사진관 시스템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30343A KR20220126119A (ko) | 2021-03-08 | 2021-03-08 | 촬영공간과 편집공간이 분리된 부스형 셀프 사진관 시스템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26119A true KR20220126119A (ko) | 2022-09-15 |
Family
ID=832815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30343A KR20220126119A (ko) | 2021-03-08 | 2021-03-08 | 촬영공간과 편집공간이 분리된 부스형 셀프 사진관 시스템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26119A (ko)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562886B1 (ko) * | 2023-04-05 | 2023-08-03 | 엠봇 주식회사 | 네일스티커 자동판매-셀프시술 시스템 |
KR102631154B1 (ko) * | 2023-09-08 | 2024-01-29 | 조윤호 | 빅데이터 기반 사진 이미지 촬영, 보정 및 인화를 수행하는 인공지능 시스템 |
KR102675169B1 (ko) | 2023-02-15 | 2024-06-17 | 배정환 | 무인 360도 회전 영상 촬영 부스 시스템 |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58185A (ko) | 2018-11-19 | 2020-05-27 | 조성준 | 타임슬라이스 포토 키오스크 |
KR102131085B1 (ko) | 2019-06-12 | 2020-08-05 | 유환 | 사진촬영부스 |
-
2021
- 2021-03-08 KR KR1020210030343A patent/KR20220126119A/ko not_active Application Discontinuation
Patent Citations (2)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200058185A (ko) | 2018-11-19 | 2020-05-27 | 조성준 | 타임슬라이스 포토 키오스크 |
KR102131085B1 (ko) | 2019-06-12 | 2020-08-05 | 유환 | 사진촬영부스 |
Cited By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102675169B1 (ko) | 2023-02-15 | 2024-06-17 | 배정환 | 무인 360도 회전 영상 촬영 부스 시스템 |
KR102562886B1 (ko) * | 2023-04-05 | 2023-08-03 | 엠봇 주식회사 | 네일스티커 자동판매-셀프시술 시스템 |
KR102631154B1 (ko) * | 2023-09-08 | 2024-01-29 | 조윤호 | 빅데이터 기반 사진 이미지 촬영, 보정 및 인화를 수행하는 인공지능 시스템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220126119A (ko) | 촬영공간과 편집공간이 분리된 부스형 셀프 사진관 시스템 | |
JP3913453B2 (ja) | 画像撮影出力システム | |
EP1852818A2 (en) | Image network system, network server, and language setting method | |
KR20040044668A (ko) | 디지털 카메라 대여 시스템을 위한 온라인 디지털 사진처리 시스템 | |
JP2007249658A (ja) | 製品生成端末装置、製品生成方法、プログラム | |
US20080252917A1 (en) | Apparatus for creating products, method of creating products, and program | |
JP2009238013A (ja) | 写真プリントシステム | |
US7580844B2 (en) | Image data storing service system | |
JP6969242B2 (ja) | 写真撮影装置、画像プリントシステム | |
JP2000270149A (ja) | 画像データ管理システム | |
JP2019149617A (ja) | 撮影システム、及び写真撮影装置 | |
JP2004171068A (ja) | 写真プリント装置、課金管理装置、これらを含む写真プリントシステム、写真プリント装置の課金方法、写真プリント装置制御プログラム、課金管理プログラム、及びこれらのプログラムを記録したコンピュータ読み取り可能な記録媒体 | |
JP2007013637A (ja) | 自動写真館 | |
KR102051100B1 (ko) | 공유 필름을 사용한 사진 인화 서비스 시스템 및 그 사진 인화 서비스 방법 | |
JP6939329B2 (ja) | 画像提供システム | |
JP6029381B2 (ja) | 写真シール作成システム及び写真シール作成方法 | |
JP3915491B2 (ja) | 印刷物自動販売システム | |
KR20240076179A (ko) | 부스형 사진 스튜디오 | |
JP2011151433A (ja) | 画像処理装置 | |
JP2000147676A (ja) | プリントシステム | |
CN101228502A (zh) | 更加智能的打印 | |
JP2006323452A (ja) | プリント注文受付機 | |
JP2019202089A (ja) | プレイ提供装置、プレイ提供システム、プレイ提供装置の制御方法、及びプレイ提供装置の制御プログラム | |
JP7056238B2 (ja) | 写真撮影装置、画像プリントシステム | |
JP2017094743A (ja) | 情報処理装置、プログラム及び印刷システム |
Legal Events
Date | Code | Title | Description |
---|---|---|---|
E601 |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