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5590A - 화재 방지용 복합소재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 Google Patents

화재 방지용 복합소재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5590A
KR20220125590A KR1020210029625A KR20210029625A KR20220125590A KR 20220125590 A KR20220125590 A KR 20220125590A KR 1020210029625 A KR1020210029625 A KR 1020210029625A KR 20210029625 A KR20210029625 A KR 20210029625A KR 20220125590 A KR20220125590 A KR 2022012559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sulating material
panel
bent part
upper plate
fi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9625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3821B1 (ko
Inventor
홍영돈
Original Assignee
에스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와이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9625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3821B1/ko
Publication of KR2022012559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559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3821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3821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CSTRUCTURAL ELEMENTS; BUILDING MATERIALS
    • E04C2/00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 E04C2/02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 E04C2/2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 E04C2/284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 E04C2/296Building elements of relatively thin form for the construction of parts of buildings, e.g. sheet materials, slabs, or panels characterised by specified materials composed of materials covered by two or more of groups E04C2/04, E04C2/08, E04C2/10 or of materials covered by one of these groups with a material not specified in one of the groups at least one of the materials being insulating composed of insulating material and non-metallic or unspecified sheet-material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BGENERAL BUILDING CONSTRUCTIONS; WALLS, e.g. PARTITIONS; ROOFS; FLOORS; CEILINGS; 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OF BUILDINGS
    • E04B1/00Constructions in general; Structures which are not restricted either to walls, e.g. partitions, or floors or ceilings or roofs
    • E04B1/62Insulation or other protection; Elements or use of specified material therefor
    • E04B1/92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 E04B1/94Protection against other undesired influences or dangers against fire
    • E04B1/941Building elements specially adapted therefo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lectromagnetism (AREA)
  • Building Environments (AREA)
  • Laminated Bod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화재 방지용 복합소재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로 다른 소재의 제1단열재 및 제2단열재가 형성되어, 화재 발생 시 하나 이상의 패널 사이에 형성된 이음새에 난연이 수행되어 대피 시간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고, 최종 제조되는 패널의 난연 및 기밀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Description

화재 방지용 복합소재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SANDWICH PANEL FOR FIRE PREVENTION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본 발명은 패널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화재 방지용 복합소재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샌드위치 패널은 사용용도에 알맞게 다양한 방법을 이용하여 제작되었다.
현재 건축 및 소방 관련법규에서는 건축물에 사용되는 마감 및 내장 재료는 불연, 준불연, 난연 재료를 사용하도록 규제하고 있으며, 화재 확산방지와 인명보호를 위해 일정규모 이상의 건물은 방화구획을 하도록 하고, 이를 통과하는 문은 방화문을 설치하도록 하여 화재에 30분 또는 1시간을 견딜 수 있는 자재를 사용하도록 규제하고 있다.
종래의 샌드위치 패널의 내부에 구비되는 단열재는 제작비 절감을 위해 스티로폼이 적용되고 있으나, 단열재로서 스티로폼은 단열과 방습 등에 상당한 효과를 가지고 경량이라는 장점이 있으나, 화재에 상당히 취약한 단점이 있다.
특히, 화재 발생 시 표면과 이면에만 마감판이 있고 상, 하, 좌, 우측면 연결부에는 마감판이 없거나 있는 경우에도 기밀성이 확보되지 않기 때문에 쉽게 화염이 전도되어 화재를 부추기는 원인이 되는 것은 물론, 화재 시 상당히 많은 연기와 더불어 유독가스가 발생함으로써 질식사의 원인을 제공하는 등의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보완하기 위한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4131호(이하 ‘문헌 1’)의 “화재확산 방지용 조립식 패널”에서, 패널의 연결부를 결합홈부와 연결요부를 이용하여 겹침 이음으로 하면서 결합부의 견고한 연결을 위해 결합홈부와 결합요부에 요입부를 두었으며, 최종적으로 요입부에 나사못을 채결하여 연결을 보강하고 요입부의 나사못 체결에 따른 미관성 확보를 위하여 마감재를 부착한 조립식 패널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1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기존 조립식 패널의 연결부에 대해 기밀성 향상 및 내화성이 향상되어 화재확산 방지 및 화재로 인한 인명 및 재산 피해를 최소화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금속판이 연장 형성된 돌출부 내측에 오목부가 인입되어 둘 이상의 조립식 패널의 조립 시 돌출부의 변형이 발생되어 화재확산방지가 용이하게 수행되지 못하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2379호(이하 ‘문헌 2’)의 “건축용 복합패널”에서, 상하판 사이에 사각봉 형태의 미네랄울을 종방향 교차배열방식으로 형성되게 하고, 패널의 양측단부에는 결합수단인 결합돌부와 결합요부가 구성되게 하되, 결합돌부와 결합요부에는 우레탄수지를 주입 경화되도록 형성된 복합패널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2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패널에 끼워지는 미네랄울이 길이방향, 즉 종방향 교차배열방식으로 구성되어 길이방향에 대한 휨강도가 증가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둘 이상의 복합패널이 시공될 경우, 화재 발생 시 복합패널 사이에서 난연효과가 저하되어 대피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3994호(이하 ‘문헌 3’)의 “샌드위치 복합패널”에서, 충전재는 샌드위치 패널의 양 끝단에 배치된 한 쌍의 불연재와 이 불연재 사이에 배치된 스티로폼보드가 형성된 샌드위치 복합패널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3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스티로폼보드와 불연재가 교호적으로 배치되고, 양 끝단에 불연재가 배치된 형태로 형성되어 충전재가 스티로폼으로 이루어진 것에 비하여 화재 시 급속도로 불이 붙지 않고 다량의 유독가스가 급속도로 발생되지 않는 장점이 있지만, 스티로폼과 불연재에 의해 기밀효과가 저하되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복합패널의 변형이 수행되어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다.
다른 배경기술을 살펴보면,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1614호(이하 ‘문헌 4’)의 “내화성의 조립식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에서, 목재로 형성된 방화재가 난연성 심재 양 끝단에 형성되어 화재 발생 시 연소열을 차단하고, 패널 전체의 굽힘강도가 증가된 조립식 패널에 대해 개시하고 있다.
문헌 4의 발명을 이용할 경우, 패널 내부 전체에 방화재가 구비되어 내화성능에 취약한 연결부의 문제점을 소재차원에서 근본적으로 해소하여, 화재 발생 시 연소열을 효과적으로 차단할 수 있는 장점이 있지만, 난연성 심재의 특성에 의해 기밀효과가 저하되어 상판 또는 하판의 시간이 지남에 따라 탈락이 수행됨으로써, 수명이 짧은 단점이 있다.
<배경기술문헌>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74131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282379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373994호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0701614호
본 발명은 상기 종래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서로 다른 소재의 제1단열재 및 제2단열재가 형성되어, 화재 발생 시 하나 이상의 패널 사이에 형성된 이음새에 난연이 수행되어 대피 시간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화재 방지용 복합소재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나아가, 서로 다른 소재의 제1단열재 및 제2단열재가 적용되어 최종 제조되는 패널의 난연 및 기밀효과가 우수한 화재 방지용 복합소재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또한, 상판 또는 하판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모서리부가 드로잉에 의해 형성되어, 상판 또는 하판에 별도의 틈이 발생되지 않아 강성 및 난연 성능을 높게 유지시킬 수 있는 화재 방지용 복합소재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상측에 형성된 상판(100); 상판(100)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부에 일정 길이만큼 인입되며, 난연성 소재로 형성된 제1단열재(210); 제1단열재(210) 사이에 형성되며, 접착력 또는 기밀성 소재로 형성된 제2단열재(220); 및 제1단열재(210) 또는 제2단열재(220)의 상판(100)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하판(3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상판(100) 또는 하판(3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하나 이상의 상판(100) 또는 하판(3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사이에 형성되는 가스켓(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방지용 복합소재 패널의 제조방법은 상판(100), 제1단열재(210), 제2단열재(220) 또는 하판(300)을 포함하는 재료를 준비하는 제1단계(S110); 제1단계(S110)를 거친 상판 내측에 제1단열재(210)를 형성시키는 제2단계(S120); 제2단계(S120)를 거친 제1단열재(210) 사이에 제2단계(220)를 형성시키는 제3단계(S130); 제3단계(S130)를 거친 상판(100) 상측에 하판(300)을 결합시키는 제4단계(S140); 및 제4단계(S140)를 거친 상판(100) 및 하판(300)의 제품화를 수행하는 제5단계(S150);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1단열재(210) 및 제2단열재(220)는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더욱이, 제1단열재(210)는 난연성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제2단열재(220)는 접착력 또는 기밀성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나아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방지용 복합소재 패널은 상기와 같은 방법에 의해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은 서로 다른 소재의 제1단열재 및 제2단열재가 형성되어, 화재 발생 시 하나 이상의 패널 사이에 형성된 이음새에 난연이 수행되어 대피 시간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서로 다른 소재의 제1단열재 및 제2단열재가 적용되어 최종 제조되는 패널의 난연 및 기밀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판 또는 하판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모서리부가 드로잉에 의해 형성되어, 상판 또는 하판에 별도의 틈이 발생되지 않아 강성 및 난연 성능을 높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방지용 복합소재 패널의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판의 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재 방지용 복합소재 패널의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방지용 복합소재 패널 제조방법의 공정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단면도이다.
<부호의 설명>
100: 상판, 110: 제1절곡부, 120: 제2절곡부, 121: 관통부, 130: 제3절곡부, 140: 제4절곡부, 150: 제5절곡부, 160: 제6절곡부, 170: 모서리부, 180: 돌출부, 190: 제9절곡부, 191: 제9-1절곡부, 192: 제9-2절곡부, 193: 제9-3절곡부
210: 제1단열재, 220: 제2단열재
300: 하판
400: 가스켓, 410: 가스켓돌출부
S110: 제1단계, S120: 제2단계, S130: 제3단계, S140: 제4단계, S150: 제5단계
이하, 실시예들을 통하여 본 발명을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의 목적, 특징, 장점은 이하의 실시예들을 통해 쉽게 이해될 것이다.
본 발명은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고, 다른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 여기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에게 본 발명의 사상이 충분히 전달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 균등물 또는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이하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본 발명이 제한되어서는 안 되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 및 기술적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환이 포함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즉,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사람이라면 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구성 요소의 부가, 변경, 삭제 또는 추가 등에 의해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또는 변경시킬 수 있을 것이며, 이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 내에 포함된다고 할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환이 가해질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면들에서 요소의 크기 또는 요소들 사이의 상대적인 크기는 본 발명에 대한 명확한 이해를 위해서 다소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도면들에 도시된 요소의 형상이 제조 공정상의 변이 등에 의해서 다소 변경될 수 있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서 개시된 실시예들은 특별한 언급이 없는 한 도면에 도시된 형상으로 한정되어서는 안 되며, 어느 정도의 변형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한편, 본 발명의 여러 가지 실시예들은 명확한 반대의 지적이 없는 한 그 외의 어떤 다른 실시예들과 결합될 수 있다. 특히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하는 어떤 특징도 바람직하거나 유리하다고 지시한 그 외의 어떤 특징 및 특징들과 결합될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다양한 양상들, 특징들, 실시예들 또는 구현예들은 단독으로 또는 다양한 조합들로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 사용된 용어는 특정의 실시예를 기술하기 위한 것일 뿐 청구범위에 의해서 한정하려는 것은 아님을 이해하여야 하고, 본 명세서에 사용되는 모든 기술용어 및 과학용어는 다른 언급이 없는 한 통상의 기술을 가진 사람에게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관련된 공지 기술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 상세한 설명을 생략한다.
<실시예 1>
본 발명에 따른 화재 방지용 복합소재 패널(이하, 설명의 편의를 위해 ‘패널’이라함) 및 이의 제조방법은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수행될 수 있다.
1) 제1단계(S110)
제1단계(S110)는 상판(100), 제1단열재(210), 제2단열재(220) 또는 하판(300)을 포함하는 재료를 준비하는 것이 수행될 수 있다.
제1단계(S110)가 수행됨으로써, 후술될 제2단계(S120) 내지 제5단계(S150)가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상판(100)은 최종 제조되는 패널의 상측에 형성될 수 있다.
상판(100)이 형성됨으로써, 최종 제조되는 패널의 미관이 미려하게 유지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외부 자극으로부터 패널의 변형이 최소화 되며, 화재가 발생되는 것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상판(100)은 고강도 알루미늄, 알루미늄, 스테인리스 스틸(stainless steel), 아연도금강판(galvanized sheet iron)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적용될 수 있으나, 건축용 외장재로서 사용될 수 있는 소재라면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스테인리스스틸보다 가볍고, 내구성이 뛰어난 고강도 알루미늄이 적용될 수 있다.
이는 알루미늄과 마그네슘이 혼합된 것으로써, 인장강도, 경도, 내구성이 뛰어나 외부 충격에 의해 변형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이때,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0)은 제1절곡부(110), 제2절곡부(120), 제4절곡부(140) 및 제5절곡부(15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다.
먼저, 제1절곡부(110)는 상판(100) 상측에 상측방향으로 돌출 형성될 수 있다.
제1절곡부(110)가 형성됨으로써, 최종 제조되는 패널에 형성된 제1단열재(210) 또는 제2단열재(220)가 내측에 걸림으로써, 외측으로 이탈되지 않는 장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제1절곡부(110) 형상에 의해 최종 제조되는 패널이 걸림으로써 결합이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제2절곡부(120)는 제1절곡부(110) 하측단부로부터 지면과 수평이 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제2절곡부(120)가 형성됨으로써, 둘 이상의 최종 제조되는 패널의 결합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2절곡부(120)는 패널의 하측에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둘 이상의 패널이 결합될 경우, 패널의 이음새에 의한 화재확산이 최소화 되어 화재 발생 시 대피시간이 충분히 확보되어 인명 또는 재산의 피해가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제2절곡부(120)는 최종 제조되는 패널의 하측에 충분히 인입되어 하나 이상의 패널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길이만큼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선택적으로, 제2절곡부(120)는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지면을 기준으로 일정 각도를 형성하며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제2절곡부(120)가 일정 각도를 형성하여 절곡됨으로써, 제2절곡부(120)가 패널 하측과 결합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다음으로, 제4절곡부(140)는 제2절곡부(120)의 단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절곡되며, 지면과 수평이 되는 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즉, 제2절곡부(120)와 제4절곡부(140)는 계단형상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4절곡부(140) 내측에 제1단열재(210) 또는 제2단열재(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안정적으로 안착 고정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제4절곡부(140)가 제2절곡부(120)와 계단형상으로 형성되어 제2절곡부(120)가 최종 제조되는 패널의 하측 내측에 인입되어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제4절곡부(140)는 전체적으로 물결 또는 요철모양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만약, 제4절곡부(140)가 물결 또는 요철모양으로 형성될 경우, 제4절곡부(140) 내측에 형성된 제1단열재(210) 또는 제2단열재(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는 장점이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 제2절곡부(120)와 제4절곡부(140) 사이에 절곡된 높이는 제5절곡부(150)와 같거나 크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제2절곡부(120)와 제4절곡부(140) 사이에 절곡된 높이는 제5절곡부(150)보다 작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제4절곡부(140)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부는 상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1단열재(210) 또는 제2단열재(220)의 측면을 외부 자극으로부터 용이하게 보호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제4절곡부(140) 상측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제3절곡부(130)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제3절곡부(130)가 형성됨으로써, 최종 제조되는 패널의 제1단열재(210) 또는 제2단열재(220)의 측면을 안전하게 보호하고, 외부 자극으로부터 패널의 변형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제3절곡부(130)는 제2절곡부(120)와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방향으로 이격되어 상판(100) 일측면을 기준으로 좌측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3절곡부(130)가 제2절곡부(120)로부터 이격 형성됨으로써, 제4절곡부(140) 일측 또는 타측 단부의 절곡이 수행될 경우, 제3절곡부(130)의 절곡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제3절곡부(130)는 제6절곡부(160)의 절곡이 방해되지 않는 길이만큼 상판(100) 일측면을 기준으로 우측방향으로 이격되어 제4절곡부(140)의 일측 또는 타측 단부로부터 길이방향으로 연장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제5절곡부(150)는 제4절곡부(140) 단부로부터 상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다.
제5절곡부(150)가 형성됨으로써, 제1단열재(210)가 인입될 수 있는 충분한 공간을 제공할 뿐만 아니라, 최종 제조되는 패널의 하측면이 보호되어, 외부 자극으로부터 패널의 변형이 최소화 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때, 제5절곡부(150)는 제4절곡부(140)가 제2절곡부(120) 단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높이와 같거나 작게 절곡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제5절곡부(150)는 제4절곡부(140)가 제2절곡부(120) 단부로부터 하측방향으로 절곡된 높이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제4절곡부(140) 단부와 제5절곡부(150) 사이에 모서리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모서리부(170)는 제4절곡부(140) 일측 또는 타측 단부와 제5절곡부(150)를 각각 상측 방향으로 절곡시킨 후 발생되는 접힘부를 드로잉시킴으로써,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모서리부(170)에 별도의 틈이 형성되지 않아 외부 자극으로부터 최종 제조되는 패널의 미려함을 유지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제1단열재(210) 또는 제2단열재(220)의 모서리를 충분히 보호하여 화재 발생 시 제1단열재(210) 또는 제2단열재(220)에 의한 화재 확산을 효과적으로 예방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제4절곡부(140)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을 상측으로 절곡시킴으로써 발생되는 제2절곡부(120)와 제4절곡부(140) 사이에 발생되는 접힘부도 드로잉시킴으로써 의해 모서리부(170)를 형성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를 위해, 드로잉은 별도의 가압장치에 의해 모서리부(170)가 형성되는 지점에 위치를 일정한 각도로 당김으로써 수행될 수 있다.
이때, 일정한 각도는 지면을 기준으로 45° 내외의 각도로 사선방향으로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제5절곡부(150) 단부에 내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6절곡부(16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6절곡부(160)에 의해 최종 제조되는 패널 상판(100)은 제1단열재(210) 또는 제2단열재(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부를 감싸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따라, 화재 발생 시 둘 이상의 패널의 이음새에서 화재확산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6절곡부(160) 단부는 상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만약, 제6절곡부(160) 단부가 상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경우, 제6절곡부(160)의 형상에 의해 제1단열재(210)가 제5단계(S150) 수행 시 외부로 이탈되지 않고 견고하게 지지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다음으로, 제1단열재(210) 및 제2단열재(220)는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1단열재(210)는 도 1,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0) 일측면을 기준으로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부에 일정 길이만큼 인입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1단열재(210)가 형성됨으로써, 둘 이상의 패널이 결합된 구조물에 화재가 발생될 경우, 패널 사이에 형성된 이음새 부분의 제1단열재(210)로 인한 난연이 수행되어 화재 발생 시 대피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제1단열재(210)는 난연성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 제1단열재(210)는 글라스울 또는 미네랄울로 형성되어, 화재안정성을 도모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제1단열재(210)는 상판(100)의 양 단부로부터 내측방향으로 충분한 길이만큼 형성되어 둘 이상의 패널이 결합될 경우, 화재 발생 시 패널 이음새에서의 화재 확산 지연이 용이하게 수행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제1단열재(210)는 상판(100) 또는 하판(300)의 내측 단부에 끼움결합에 의해 용이하게 인입될 수 있도록 절단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음으로, 제2단열재(220)는 접착력 또는 기밀성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제2단열재(220)가 형성됨으로써, 제1단열재(210) 소재의 단점을 보완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난연성 소재로 형성된 단열재의 경우, 난연효과는 뛰어나지만, 기밀효과가 상대적으로 적은 단점이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 단점을 보완하기 위해, 제2단열재(220)는 접착력 또는 기밀성이 우수한 소재가 적용됨으로써, 최종 제조되는 패널의 기밀성을 도모함과 동시에 둘 이상의 패널에 형성되는 이음새에 의한 화재확산을 용이하게 최소화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제2단열재(220)는 폴리우레탄으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제2단열재(220)는 상판(100) 내측에 제1단열재(210)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최종 제조되는 패널의 기밀성을 용이하게 확보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다음으로, 하판(300)은 상판(100)과 동일한 소재로 형성될 수 있으며, 하판(300)은 상판(100)과 마찬가지로 상기한 바와 같은 제1절곡부(110) 내지 제6절곡부(160) 및 모서리부(170)를 포함하여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판(300)에 형성된 제2절곡부(120), 제2절곡부(120)와 제4절곡부(140) 사이 또는 제5절곡부(15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은 도 1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0)과 같거나 작게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2) 제2단계(S120)
다음으로, 제1단계(S110)를 거친 상판(100) 내측에 제1단열재(210)를 형성시키는 제2단계(S120)가 수행될 수 있다.
제2단계(S120)가 수행됨으로써, 둘 이상의 패널 사이에 발생되는 이음새에 의한 화재 확산을 충분히 예방하여, 대피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제1단열재(210)는 상판(100) 내측 양 단부에 끼움결합에 의해 고정 형성될 수 있다.
이때,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단열재(210)는 제4절곡부(140) 내측 단부로부터 50cm이하의 길이만큼 인입되어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만약, 제1단열재(210)가 제4절곡부(140) 내측 단부로부터 50cm 이상의 길이만큼 인입될 경우, 제1단열재(210)의 소재에 의한 제조단가가 높아지는 단점이 있다.
선택적으로, 제2단계(S120)는 상판(100) 내측 또는 제1단열재(210) 외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접착제를 도포시킨 다음 수행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이로 인해, 상판(100) 내측으로부터 제1단열재(210)가 이탈되는 것을 예방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만약, 접착제에 의해 제1단열재(210)가 상판(100)으로부터 고정될 경우, 접착제는 난연 또는 불연성분을 포함하는 접착제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 제1단열재(210)는 상판(100) 또는 하판(300) 내측에 끼움결합으로 형성되며, 제5단계(S150) 수행 시 제2단열재(220)의 발포 등에 의해 제1단열재(210)가 상판(100) 또는 하판(300)으로부터 견고하게 결합되도록 형성됨으로써, 별도의 접착제를 도포하는 공정을 수행하지 않고 최종 제조되는 패널의 기밀성을 확보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와 같이, 제2단계(S120)가 수행됨으로써,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패널이 결합될 경우, 도 1을 기준으로 패널의 상측단부는 하측단부에 인입되어, 제1단열재(210)가 둘 이상의 패널 이음새에 충분한 두께로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딸, 둘 이상의 패널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화재확산을 용이하게 예방하여 대피시간을 충분히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3) 제3단계(S130)
다음으로, 제2단계(S120)를 거친 제1단열재(210) 사이에 제2단계(220)를 형성시키는 제3단계(S130)가 수행될 수 있다.
제3단계(S130)가 수행됨으로써, 서로 다른 소재의 제1단열재(210) 및 제2단열재(220)가 상판(100) 내측에 형성되어 최종 제조되는 패널의 난연성 및 기밀성을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제1단열재(210)는 상판(100) 내측 양 단부에 형성된 제2단열재(220) 사이에 형성됨으로써, 상판(100) 및 하판(300)의 기밀성이 확보됨과 동시에 외부 환경변화에 의해 변형이 최소화 되는 장점이 있다.
4) 제4단계(S140)
다음으로, 제3단계(S130)를 거친 상판(100) 상측에 하판(300)을 결합시키는 제4단계(S140)가 수행될 수 있다.
제4단계(S140)가 수행됨으로써, 최종 제조 되는 패널은 외부 자극 또는 환경변화에 의해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하판(300)은 제1단열재(210) 또는 제2단열재(220)를 기준으로 상판(100)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1단열재(210) 또는 제2단열재(220)의 두께에 의해 하판(300)은 상판(100)과 이격되어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5) 제5단계(S150)
다음으로, 제4단계(S140)를 거친 상판(100) 및 하판(300)의 제품화를 수행하는 제5단계(S150)가 수행될 수 있다.
제5단계(S150)가 수행됨으로써, 본 발명에 따른 패널이 최종적으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5단계(S150)는 제2단열재(220)의 소재에 따라, 발포 공정이 더 수행될 수 있다.
더욱 자세히 설명하면, 제2단열재(220)의 소재가 발포 등의 별도의 공정이 필요할 경우, 제5단계(S150)가 수행됨으로써, 발포 등의 별도 공정이 수행되어 제2단열재(220)가 제1단열재(210) 사이에 안정적으로 고정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는 것이다.
이때, 제2단열재(220)의 발포 공정 중 발생되는 가스는 제1단열재(210) 내측에 형성된 미세공간에 의해 외부로 배출됨과 동시에 제1단열재(210)가 상판(100) 또는 하판(300) 사이에 견고하게 고정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더욱이, 제2단열재(220)는 제1단열재(210)와 상판(100) 또는 하판(300)의 결합력에 의해 상판(100) 또는 하판(300) 내측에 형성된 제1단열재(210) 사이의 공간에 충분히 충전됨으로써, 별도의 단열재 절단 공정에 의한 성형 등이 수행되지 않아 제조 시간이 짧게 유지 되는 장점이 있다.
만약, 제2단열재(220)가 발포 등의 별도의 공정이 수행되지 않는 소재라면, 제3단계(S130) 수행 시 상판(100), 하판(300) 또는 제2단열재(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접착제를 도포하여 고정시킬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때, 적용되는 접착제는 제2단계(S120)와 마찬가지로 난연 또는 불연성 접착제가 적용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선택적으로,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5단계(S150)가 수행됨으로써, 관통부(121)가 더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관통부(121)는 고정부재가 관통부(121)를 관통함과 동시에 패널을 외벽 등에 고정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를 위해, 관통부(121)는 제2절곡부(120)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관통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최종 제조되는 패널은 서로 다른 소재의 제1단열재(210) 및 제2단열재(220)가 형성되어, 화재 발생 시 하나 이상의 패널 사이에 형성된 이음새에 난연이 수행되어 대피 시간을 효과적으로 확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나아가, 서로 다른 소재의 제1단열재(210) 및 제2단열재(220)가 적용되어 최종 제조되는 패널의 난연 및 기밀효과가 우수한 장점이 있다.
또한, 상판(100) 또는 하판(3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모서리부(170)가 드로잉에 의해 형성되어, 상판(100) 또는 하판(300)에 별도의 틈이 발생되지 않아 강성 및 난연 성능을 높게 유지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실시예 2>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0) 또는 하판(3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돌출부(18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돌출부(180)가 형성됨으로써, 최종 제조되는 패널의 외관이 미려해질 뿐만 아니라, 상판(100) 또는 하판(300)의 제4절곡부(140) 형성과정에 발생되는 응력(應力)에 의한 변형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돌출부(180)는 제4절곡부(140) 상측말단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실시예 3>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패널 사이에 가스켓(400)이 형성될 수 있다.
이때, 가스켓(400)은 상판(100) 또는 하판(3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제4절곡부(140) 사이에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패널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틈을 메꿀 수 있도록 형성되어 외부 자극 또는 환경변화에 의한 패널의 변형을 최소화 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이를 위해, 가스켓(400)은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가스켓돌출부(41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가스켓돌출부(410)가 형성되어 하나 이상의 패널 사이에 걸림으로써, 하나 이상의 패널 사이가 견고하게 메꿔질 수 있는 것이다.
선택적으로, 상판(100) 또는 하판(3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돌출부(180)가 형성될 경우, 가스켓돌출부(410)는 돌출부(180) 사이에 걸림으로써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이와 같이 형성된 가스켓(400)은 작업자에 의한 외력에 의해 하나 이상의 패널 사이에 용이하게 안착될 수 있도록 연성의 합성수지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실시예 4>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판(100)의 제4절곡부(140)는 제2절곡부(120)와 하측 방향으로 이격 되며, 좌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9절곡부(190)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9절곡부(190)가 형성됨으로써, 둘 이상의 패널이 결합될 경우, 제9절곡부(190)에 의해 상판(100) 단부를 덮을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때, 제9절곡부(190)는 제4절곡부(140)의 제1단열재(210) 또는 제2단열재(22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이 수용될 수 있는 부분에 형성되어 제9절곡부(190) 내측은 빈 공간으로 형성되거나, 제1단열재(210) 또는 제2단열재(220)에 의해 채워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 제9절곡부(190)는 내측에 제1단열재(210) 또는 제2단열재(220)가 수용되는 부분에 형성되어, 내측이 빈 공간으로 형성되거나, 제1단열재(210) 또는 제2단열재(220)가 용이하게 채워질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제9절곡부(190)는 제4절곡부(140)의 단부에 제2절곡부(120)로부터 하측 방향으로 이격되도록 형성되며, 제2절곡부(120)와 연동 형성된 부분은 지면을 기준으로 수평 또는 일정한 각도로 기울도록 형성될 수 있다.
즉,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9절곡부(190)의 내측 단부는 수평을 유지하며, 제2절곡부(120)와 연동 형성된 부분은 일정 각도로 기울도록 절곡 형성되어, 패널 사이에 발생될 수 있는 틈을 최소화 시킬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이로 인해, 화재 발생 시 대피할 수 있는 충분한 시간을 확보하여 인명 또는 재산 피해가 최소화 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다.
더욱이, 최종 제조되는 패널이 둘 이상 결합될 경우, 제9절곡부(190)에 의해 미관을 해치지 않도록, 제4절곡부(140) 우측 단부 일측 또는 타측은 제9절곡부(190)의 폭 만큼 상측 방향으로 함몰 형성된 제9-1절곡부(191)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제9-1절곡부(191)가 형성됨으로써, 최종 제조되는 패널이 둘 이상 결합될 경우, 외관이 평면을 유지하여 미관이 미려하게 유지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더욱이, 제9-1절곡부(191) 단부에 상측방향으로 절곡 형성된 제9-2절곡부(192)가 선택적으로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9-2절곡부(192)는 제9-1절곡부(191) 단부로부터 제9절곡부(190)의 제2절곡부(120)와 연동 형성된 부분 사이에 형성된 폭만큼 상측 방향으로 절곡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선택적으로, 제9-1절곡부(191) 또는 제9-2절곡부(192)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부 일측 또는 타측에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된 제9-3절곡부(193)가 더 포함될 수 있다.
이때, 제9-3절곡부(193)는 돌기 또는 일정 각을 이루어 상판(100)의 내측 방향으로 돌출 형성되어, 상판(100) 단부 내측에 위치되는 제1단열재(210)가 견고하게 고정 될 수 있도록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지 않음은 물론이다.
본 발명은 화재 방지용 복합소재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된 단열재에 의해 난연성 및 기밀효과가 우수하여 외장용 패널 등의 산업상 이용가능한 발명이다.

Claims (8)

  1. 상측에 형성된 상판(100);
    상판(100) 좌측 또는 우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단부에 일정 길이만큼 인입되며, 난연성 소재로 형성된 제1단열재(210);
    제1단열재(210) 사이에 형성되며, 접착력 또는 기밀성 소재로 형성된 제2단열재(220); 및
    제1단열재(210) 또는 제2단열재(220)의 상판(100)과 마주보는 면에 형성된 하판(30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용 복합소재 패널.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판(100) 또는 하판(3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의 일측 또는 타측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에 돌출 형성된 돌출부(18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용 복합소재 패널.
  3. 청구항 1에 있어서,
    하나 이상의 상판(100) 또는 하판(300) 중 선택되는 어느 하나 이상 사이에 형성되는 가스켓(40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용 복합소재 패널.
  4. 상판(100), 제1단열재(210), 제2단열재(220) 또는 하판(300)을 포함하는 재료를 준비하는 제1단계(S110);
    제1단계(S110)를 거친 상판(100) 내측에 제1단열재(210)를 형성시키는 제2단계(S120);
    제2단계(S120)를 거친 제1단열재(210) 사이에 제2단계(220)를 형성시키는 제3단계(S130);
    제3단계(S130)를 거친 상판(100) 상측에 하판(300)을 결합시키는 제4단계(S140); 및
    제4단계(S140)를 거친 상판(100) 및 하판(300)의 제품화를 수행하는 제5단계(S150);
    를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용 복합소재 패널 제조방법.
  5. 청구항 4에 있어서,
    제1단열재(210) 및 제2단열재(220)는 서로 다른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용 복합소재 패널 제조방법.
  6. 청구항 4에 있어서,
    제1단열재(210)는 난연성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용 복합소재 패널 제조방법.
  7. 청구항 4에 있어서,
    제2단열재(220)는 접착력 또는 기밀성을 포함하는 소재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용 복합소재 패널 제조방법.
  8. 청구항 4 내지 7 중 어느 하나의 방법으로 제조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화재 방지용 복합소재 패널.
KR1020210029625A 2021-03-05 2021-03-05 화재 방지용 복합소재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2533821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625A KR102533821B1 (ko) 2021-03-05 2021-03-05 화재 방지용 복합소재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9625A KR102533821B1 (ko) 2021-03-05 2021-03-05 화재 방지용 복합소재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5590A true KR20220125590A (ko) 2022-09-14
KR102533821B1 KR102533821B1 (ko) 2023-05-18

Family

ID=832787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9625A KR102533821B1 (ko) 2021-03-05 2021-03-05 화재 방지용 복합소재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3821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646A (ko) * 2002-03-12 2003-09-19 주식회사기린산업 샌드위치 판넬 도어의 체결구조 및 제조방법
KR200373994Y1 (ko) * 2004-10-19 2005-01-21 에스와이패널 주식회사 샌드위치 복합패널
KR102097586B1 (ko) * 2019-09-20 2020-04-06 에스와이빌드 주식회사 샌드위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0073646A (ko) * 2002-03-12 2003-09-19 주식회사기린산업 샌드위치 판넬 도어의 체결구조 및 제조방법
KR200373994Y1 (ko) * 2004-10-19 2005-01-21 에스와이패널 주식회사 샌드위치 복합패널
KR102097586B1 (ko) * 2019-09-20 2020-04-06 에스와이빌드 주식회사 샌드위치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3821B1 (ko) 2023-05-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038613B2 (ja) パネル接続構造
KR101937938B1 (ko) 건축용 기능성 복합패널
KR200474131Y1 (ko) 화재확산 방지용 조립식 패널
JP4021156B2 (ja) 耐火間仕切壁の耐火目地構造
KR102331339B1 (ko) 연결부의 화염침투방지 기능이 향상된 샌드위치패널
JP5657899B2 (ja) 目地構造
JP6463321B2 (ja) パネルユニット、及びこれを備えたカーテンウォール
KR102175746B1 (ko) 화재확산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외벽용 단열패널
KR100701614B1 (ko) 내화성의 조립식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101611059B1 (ko) 복합 샌드위치패널
KR20220125590A (ko) 화재 방지용 복합소재 패널 및 이의 제조방법
KR200423862Y1 (ko) 방화용 도어
KR101569656B1 (ko) 건축용 패널의 내화 보강 방법
JP7319837B2 (ja) 耐火構造
KR102332580B1 (ko) 불연성 건축용 복합패널
CN214941888U (zh) 一种能降低噪音的防火建筑板
KR102175742B1 (ko) 화재확산 방지기능을 구비하는 내벽용 단열패널
JP2019027092A (ja) 天井パネル
JP3076751B2 (ja) 壁パネルの継合構造
JPH04261955A (ja) 建築用パネル
KR200377961Y1 (ko) 보강부재를 구비한 건축용 복합 판넬
JP2020165307A (ja) 鉄骨造の外壁耐火構造
KR100720999B1 (ko) 건축용 조립식 패널
KR102642852B1 (ko) 인발 보강부재가 구비된 grp 패널도어
WO2021038921A1 (ja) 内装パネル及び内装パネル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F Notification of reason for final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