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4356A - 커버 설치가 용이한 콘센트 - Google Patents

커버 설치가 용이한 콘센트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4356A
KR20220124356A KR1020210027832A KR20210027832A KR20220124356A KR 20220124356 A KR20220124356 A KR 20220124356A KR 1020210027832 A KR1020210027832 A KR 1020210027832A KR 20210027832 A KR20210027832 A KR 20210027832A KR 20220124356 A KR20220124356 A KR 2022012435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over
outlet
coupled
outlet body
magne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83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찬용
Original Assignee
박찬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찬용 filed Critical 박찬용
Priority to KR102021002783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4356A/ko
Publication of KR2022012435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35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46Bases; Cas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RELECTRICALLY-CONDUCTIVE CONNECTIONS; STRUCTURAL ASSOCIATIONS OF A PLURALITY OF MUTUALLY-INSULATED ELECTRICAL CONNECTING ELEMENTS; COUPLING DEVICES; CURRENT COLLECTORS
    • H01R13/00Details of coupling devices of the kinds covered by groups H01R12/70 or H01R24/00 - H01R33/00
    • H01R13/62Means for facilitating engagement or disengagement of coupling parts or for holding them in engagement
    • H01R13/6205Two-part coupling devices held in engagement by a magnet

Abstract

본 발명은 콘센트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가 용이하게 콘센트 본체에 설치될 수 있는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 핀이 구비된 콘센트 본체에 마그넷이 구비된 콘센트 커버가 자성결합되어 볼트체결 등과 같은 별도의 결합과정 없이 간단하게 커버를 콘센트 본체에 결합할 수 있고, 외관이 깔끔하며, 커버를 대리석 재질로 제작하여 미관이 수려하고, 심미성을 향상시킨 커버 설치가 용이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커버 설치가 용이한 콘센트 {OUTLET FOR EASY COVER INSTALLATION}
본 발명은 콘센트를 보호하기 위한 커버가 용이하게 콘센트 본체에 설치될 수 있는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금속 핀이 구비된 콘센트 본체에 마그넷이 구비된 콘센트 커버가 자성결합되어 볼트체결 등과 같은 별도의 결합과정 없이 간단하게 커버를 콘센트 본체에 결합할 수 있고, 외관이 깔끔하며, 커버를 대리석 재질로 제작하여 미관이 수려하고, 심미성을 향상시킨 커버 설치가 용이한 콘센트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벽체에 내장되어 구비되는 콘센트 주변에 발생될 수 있는 감전사고를 예방하기 위하여 콘센트에 커버를 설치하게 된다.
이러한 콘센트 커버는 콘센트 본체에 착탈식으로 구비되거나 볼트와 같은 별도의 결합부재를 통해 결합되어 설치된다.
그러나 별도의 결합부재가 필요한 경우 설치과정이 번거로워지며, 결합부재가 콘센트 커버를 관통하여 콘센트 본체 정면에 결합되기 때문에 외측으로 결합부재가 노출됨으로써 콘센트 커버와 결합부재간의 상이한 재질로 인한 심미감을 저하할 수 있다.
한편, 상술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선행기술로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0777호에는 "콘센트 커버"가 개시되어 있다.
상기 선행기술은 콘센트 양측에 나란히 설치되는 막대와 상기 막대에 탈착가능하게 결합되는 커버로 구성된다. 따라서, 커버의 양측단이 막대와 슬라이드 결합되어 콘센트를 보호할 수 있다.
그러나 상기 선행기술은 콘센트 양측에 별도의 막대를 구비하기 때문에 정면측으로 돌출되기 때문에 레일을 포함한 콘센트 커버가 정면측으로 돌출되어 설치면적이 커지고, 벽면 외측으로 콘센트 커버가 돌출되기 때문에 실내 공간의 미관을 해치게 되며, 실내 이동시 콘센트 커버가 걸리적거린다는 문제가 존재한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제10-1710777호 "콘센트 커버"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콘센트 본체를 보호하기 위해 벽 외측에 구비되며, 자성결합을 통해 콘센트 커버와 콘센트 본체가 별도의 결합과정 없이 간단하게 결합될 수 있는 커버 설치가 용이한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대리석으로 이루어진 콘센트 커버를 통해 외관이 깔끔하고, 미관이 수려하며,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콘센트 커버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설치면적을 최소화하며, 실내 이동시 콘센트 커버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커버 설치가 용이한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또한, 자성결합과 동시에 콘센트 커버와 콘센트 본체가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서로 체결될 수 있고, 마그넷과 금속핀이 구비된 위치에 맞춰 콘센트 커버가 콘센트 본체에 올바르게 부착 및 결합될 수 있는 커버 설치가 용이한 콘센트를 제공하는 것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커버가 콘센트 본체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콘센트에 있어서,
커버는 대리석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콘센트 본체는 정면 양측에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금속핀;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의 후면에 구비되되, 상기 금속핀이 구비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금속핀과 자성결합되는 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핀과 상기 마그넷이 자성결합되어 상기 콘센트 본체 정면에 상기 커버 후면이 밀착되어 고정결합된다.
또한, 콘센트 본체의 정면에는 상기 금속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된 핀 인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후면에는 상기 마그넷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된 마그넷 인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콘센트 본체와 상기 커버 결합시 상기 핀 인입홈에 내삽된 상기 금속핀과 상기 마그넷 인입홈에 내삽된 상기 마그넷이 밀착되어 자성결합된다.
또한, 콘센트 본체는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갈수록 함몰형성된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며, 외측으로 갈수록 돌출된 외곽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각부는 상기 경사부의 함몰형성된 외측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커버가 상기 콘센트 본체 정면으로 밀착시 상기 외곽부의 후면이 상기 경사부의 정면과 밀착되어 합형된다.
이때, 경사부의 후면에는 다수개의 단차를 가지며 정면측으로 함몰형성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곽부의 돌출된 말단에는 상기 걸림홈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커버의 중앙측으로 돌출된 걸림구;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를 상기 콘센트 본체에 결합시 상기 걸림홈 내측으로 상기 걸림구가 삽입되어 상기 커버와 상기 콘센트 본체가 결합된다.
또한, 콘센트 본체는 상기 금속핀이 구비된 위치의 상하측에 각각 체결홈;이 함몰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후면에는 상기 마그넷이 구비된 위치의 상하측에 각각 체결돌기;가 후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콘센트 본체의 정면으로 상기 커버가 결합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체결홈으로 내삽되어 결합고정된다.
이와 같이 본 발명은 콘센트 본체를 보호하기 위해 벽 외측에 구비되며, 자성결합을 통해 콘센트 커버와 콘센트 본체가 별도의 결합과정 없이 간단하게 결합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대리석으로 이루어진 콘센트 커버를 통해 외관이 깔끔하고, 미관이 수려하며, 심미성을 향상시킬 수 있고, 콘센트 커버가 외측으로 돌출되지 않아 설치면적을 최소화하며, 실내 이동시 콘센트 커버가 걸리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또한, 자성결합과 동시에 콘센트 커버와 콘센트 본체가 기계적으로 결합되어 서로 체결될 수 있고, 마그넷과 금속핀이 구비된 위치에 맞춰 콘센트 커버가 콘센트 본체에 올바르게 부착 및 결합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설치가 용이한 콘센트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설치가 용이한 콘센트가 적용된 실시예를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본체를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2는 도 2의 A-A를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를 후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설치가 용이한 콘센트를 분해사시도를 측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설치가 용이한 콘센트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를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설치가 용이한 콘센트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예를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설치가 용이한 콘센트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를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각 도면을 설명하면서 유사한 참조부호를 유사한 구성요소에 대해 사용하였다.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되어" 있다거나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거나 또는 접속되어 있을 수도 있지만,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반면에, 어떤 구성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 연결되어" 있다거나 "직접 접속되어" 있다고 언급된 때에는, 중간에 다른 구성요소가 존재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본 출원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기로 한다. 각 도면에 제시된 동일한 부호는 동일한 부재를 나타낸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능 혹은 구성에 관한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모호하지 않게 하기 위하여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설치가 용이한 콘센트를 분해사시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1a 및 1b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설치가 용이한 콘센트가 적용된 실시예를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콘센트 본체를 정면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2는 도 2의 A-A를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를 후면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설치가 용이한 콘센트를 분해사시도를 측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5는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설치가 용이한 콘센트의 다른 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를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며, 도 6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설치가 용이한 콘센트의 다른 실시예의 결합예를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고, 도 7은 본 발명에 따른 커버 설치가 용이한 콘센트의 또 다른 실시예에 대한 분해사시도를 측단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본 발명은 벽면에 설치되어 외부로부터 콘센트를 보호할 수 있도록 커버가 구비된 콘센트에 관한 것으로, 이러한 콘센트(1)는 케이블과 결합되어 전력을 공급하는 콘센트 본체(100)와, 상기 콘센트 본체(100) 정면에 구비되어 외부로부터 콘센트 본체(100)를 보호하는 커버(200)로 구성된다.
먼저, 콘센트 본체(100)는 벽면에 매설되어 구비되되, 콘센트 본체(100)의 정면은 벽면 외측에 구비된다.
이러한 콘센트 본체(100) 중앙에는 플러그 인입을 위한 콘센트구(101)가 구비되며, 도 2에는 상하방향으로 한 쌍의 콘센트구(101)가 구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된 것은 아니다.
이러한 콘센트 본체(100) 정면에는 커버(200)에 구비된 마그넷(210)과의 결합을 위한 금속핀(110)이 구비된다.
금속핀(110)은 금속 재질로 이루어져 마그넷(210)과 자성결합될 수 있어 상기 마그넷(210)을 구비한 커버(200)가 콘센트 본체(100) 정면에 자성결합되어 고정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금속핀(110)은 콘센트 본체(100) 정면에 부착될 수 있으나 추후 커버(200)와 결합시 콘센트 본체(100) 정면측으로 돌출된 금속핀(110)에 의해 설치면적이 증가될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금속핀(1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콘센트 본체(100) 정면에서 후면측으로 함몰형성된 핀 인입홈(120)이 형성된다.
핀 인입홈(120)은 한 쌍으로 이루어져 도 1과 같이 콘센트 본체(100) 정면을 중심으로 양측에 각각 구비되되, 각 핀 인입홈(120)은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지 않고, 각각 콘센트 본체(100)의 정면 상단과 하단에 각각 함몰형성된다.
이러한 핀 인입홈(120)은 콘센트구(101)의 측면에 위치하며, 이를 통해 사용자가 플러그를 콘센트구(101)에 연결 또는 분리하면서 발생되는 외력으로 인해 커버(200)가 콘센트 본체(10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도록 외력이 자주 발생되는 측에 구비되어 커버(200)의 고정력을 향상시키기 위함이다.
핀 인입홈(120) 내측으로 금속핀(110)이 인입되는데 이때 금속핀(110)의 정면은 콘센트 본체(100)의 정면과 동일하게 형성함으로써 커버(200) 결합시 마그넷(210)의 후면이 금속핀(110) 정면과 밀착되어 강한 자성결합이 이루어지도록 하되, 핀 인입홈(120) 외측, 즉 콘센트 본체(100) 정면측으로 금속핀(110)이 돌출되는 것을 방지하여 설치면적이 증가하거나 커버(200)가 벽면 외측으로 과도하게 돌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핀 인입홈(120)의 내측 중앙에는 정면측으로 돌출된 고정돌기(121)가 형성되고, 상기 고정돌기(121)의 돌출정도와 동일하게 금속핀(110)의 후면 중앙에 함몰형성된 결합홈(111)이 형성된다.
따라서, 금속핀(110)이 핀 인입홈(120)으로 내삽시 금속핀(110) 후면에 구비된 결합홈(111) 내측으로 핀 인입홈(120)의 고정돌기(121)가 내삽되어 고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콘센트 본체(100)와 재질이 다른 금속핀(110)이 별도의 접착제 등이 없이 핀 인입홈(120) 내측에 고정되어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또한, 콘센트 본체(100)의 가장자리에는 측단으로 갈수록 굴곡된 경사를 갖는 경사부(130)가 형성된다. 이러한 경사부(130)는 도 4와 같이 콘센트 본체(100) 정면에서 가장자리측으로 갈수록 점자 두께가 좁아지며, 이러한 경사부(130)를 포함한 콘센트 본체(100)의 정면은 커버(200) 결합시 커버(200) 가장자리에서 후면측으로 돌출된 외곽부(230)의 내측으로 콘센트 본체(100)의 정면이 결합되어 용이하게 끼움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커버(200)는 콘센트 본체(100)의 정면에 구비되어 콘센트 본체(100)의 정면을 포함한 콘센트 본체(100)를 보호하고, 콘센트구(101)만이 외부에 노출될 수 있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 외부 사용자가 콘센트 본체(100)를 만져 감전사고 등이 일어날 수 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커버(200)의 정면에는 콘센트구(101)와 대응되는 형상으로 콘센트홀(201)이 수평방향으로 관통형성되어 커버(200)가 콘센트 본체(100) 정면에 결합시 콘센트구(101)의 내측과 콘센트홀(201)의 내측이 연통되어 외부에서 플러그를 콘센트홀(201)을 거쳐 콘센트구(101)에 연결할 수 있도록 한다.
이러한 커버(200)는 대리석 재질로 이루어져 종래의 플라스틱 등으로 이루어진 콘센트 커버보다 심미성을 향상시키고, 외관을 수려하게 만들 수 있다.
이러한 커버(200)는 콘센트 본체(100) 정면보다 크게 형성되어 상기 콘센트 본체(100) 정면에 결합시 외부로 노출되지 않도록 콘센트 본체(100)의 외부를 감싸는 형태로 결합된다.
이러한 커버(200) 후면에는 금속핀(110)과 대응되는 위치에 마그넷(210)이 구비된다. 마그넷(210)은 커버(200) 후면에 고정되되, 커버(200) 후면측에 부착되는 경우 커버(200)의 두께가 두꺼워져 외측으로 커버(200)가 돌출될 우려가 존재하기 때문에 커버(200)의 후면에는 마그넷(210)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형성된 마그넷 인입홈(220)이 구비된다.
마그넷 인입홈(220)은 커버(200)와 콘센트 본체(100)가 합형시 핀 인입홈(120)과 동일한 수평선상에 위치하며, 마그넷 인입홈(220)과 동일하게 한 쌍으로 이루어지도록 한다.
이러한 마그넷 인입홈(220)은 원통형상으로 함몰되며, 상기 마그넷(210) 또한 원통 형상으로 이루어져 마그넷 인입홈(220) 내측으로 마그넷(210)이 끼움결합된다.
이때, 마그넷(210)은 마그넷 인입홈(220)에 억지끼움되어 별도의 결합부재없이 커버(200)에 결합고정될 수 있다.
또한, 커버(200)의 후면에는 상기 커버(200)의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 및 후면측으로 돌출형성된 외곽부(230)가 구비된다.
이러한 외곽부(230)는 도 4와 같이 커버(200)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구비되어 외곽부(230)를 통해 커버(200) 정면이 외측으로 확장되고, 후면측으로도 돌출되어 경사부(130)가 형성된 두께와 대응되게 후측으로 돌출된다.
이때, 외곽부(230)의 내측은 경사부(130)의 굴곡된 경사와 대응되게 가장자리가 함몰된다.
따라서, 커버(200)가 콘센트 본체(100) 정면에 결합되면 경사부(130)의 가장자리를 따라 외곽부(230)가 구비되어 콘센트 본체(100) 정면을 감싸듯이 결합될 수 있으며, 이를 통해 콘센트 본체(100)가 외부로 노출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때, 커버(200)의 후면에는 외곽부(230)를 통해 형성된 내측공간으로 콘센트 본체(100)의 정면이 끼워져 결합되며, 커버(200)가 콘센트 본체(100) 정면에 합형되어 결합됨과 동시에 동일 수평선상에 위치한 한 쌍의 금속핀(110)과 한 쌍의 마그넷(210)은 서로 자성결합되어 커버(200)가 콘센트 본체(100) 정면에 부착된 상태로 고정결합된다.
따라서, 볼트 등과 같은 별도의 결합부재 없이 간단하게 콘센트 본체(100)에 커버(200)를 간단하게 결합고정할 수 있다.
상술된 커버(200) 중앙에 형성되는 콘센트홀(201)은 결합될 콘센트 본체(100)의 콘센트구(101)와 대응되게 형성되며, 도 1a와 같이 스위치(1')와 같은 경우 중앙 스위치의 정면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콘센트홀(201)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커버(200)를 콘센트 본체(100) 정면에 결합할 때 커버(200) 후면에 함몰된 내측으로 콘센트 본체(100) 정면을 결합하게 되는데 외곽부(230)의 후면 내측이 경사부(130)의 굴곡을 따라 결합된다 하더라도 반대로 정면측으로 커버(200)가 미끄러져 이탈할 우려가 존재한다.
또한, 커버(200)는 콘센트 본체(100) 가장자리를 따라 끼워질 뿐 실질적으로 커버(200)와 콘센트 본체(100)를 결합시키는 것은 마그넷(210)과 금속핀(110)을 통한 자성결합이기 때문에 강한 외력이 커버(200)측으로 가해지는 경우, 특히 측면측으로 가해지는 경우 커버(200)가 콘센트 본체(100) 정면으로부터 미끄러져 분리될 우려가 존재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로 도 5 및 6과 같이 경사부(130)의 후면측에는 단차를 가져 함몰형성된 걸림홈(131)이 구비되고, 외곽부(230)의 후면에는 내측으로 돌출되어 상기 걸림홈(131)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단차를 가지며 돌출된 걸림구(231)가 형성된다.
먼저, 걸림홈(131)은 경사부(130)의 내측에 구비되며, 후면에서부터 계단형상으로 다수개의 단차를 가지며 함몰형성된다.
이러한 걸림홈(131)의 함몰된 측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외곽부(230) 후면측에 걸림구(231)가 형성되어 도 6과 같이 커버(200)가 콘센트 본체(100)에 결합시 경사부(130)가 외곽부(230)의 함몰된 내측으로 인입됨과 동시에 걸림구(231)가 걸림홈(131) 내측으로 내삽되어 외곽부(230)가 경사부(130)에 걸려진 형태로 결합될 수 있다.
따라서, 마그넷(210)과 금속핀(110)을 통한 자성결합 외에도 외곽부(230)의 걸림구(231)가 걸림홈(131) 내측으로 인입되어 상기 걸림구(231) 및 걸림홈(131)에 각각 형성된 단차가 서로 맞물리는 형상으로 결합됨으로써 커버(200)의 가장자리가 콘센트 본체(100)의 가장자리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이러한 걸림홈(131) 및 걸림구(231)를 통해 커버(200)가 보다 콘센트 본체(100)에 견고하게 결합될 수 있도록 하고, 다양한 방향에서 가해지는 외력에도 커버(200)가 쉽게 콘센트 본체(100)를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한편, 도 1과 같은 커버(200)의 경우 180도로 회전시켜도 동일한 형상을 갖기 때문에 설치자가 커버(200) 후면에 구비된 마그넷(210)의 위치를 확인하지 못하고 단순히 콘센트 본체(100) 정면에 결합시킬 우려가 존재한다.
특히, 경사부(130) 및 외곽부(230)를 통해 결합된다 하더라도 커버(200)가 콘센트 본체(100)의 정면에 마그넷(210) 및 금속핀(110)에 의해 자성결합되어야 밀착된 상태로 고정되어 커버(200)와 콘센트 본체(100)간의 결합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따라서, 커버(200)를 콘센트 본체(100)에 결합시 마그넷(210)과 금속핀(110)이 동일한 위치에 구비될 수 있도록 커버(200)의 결합위치를 가이드할 수 있고, 보다 견고하게 콘센트 본체(100) 정면에 결합고정될 수 있도록 도 7과 같이 콘센트 본체(100) 정면에는 체결홈(140)이 형성되고, 커버(200) 후면에는 상기 체결홈(140)의 함몰된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후면 돌출된 체결돌기(240)가 형성된다.
체결홈(140)은 금속핀(110)이 구비되는 핀 인입홈(120)을 중심으로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며, 이러한 체결홈(140)은 정면이 원형을 갖는 금속핀(110)을 중심으로 상기 금속핀(110)의 외경과 대응되는 형상의 호를 이루며 콘센트 본체(100) 정면에 함몰형성된다.
또한, 체결돌기(240)는 마그넷(210)이 구비된 마그넷 인입홈(220)을 중심으로 상측과 하측에 각각 형성되고, 상술된 체결홈(140)의 함몰형상과 대응되게 커버(200) 후측으로 돌출형성된다.
따라서, 설치자가 커버(200)를 콘센트 본체(100)에 결합시 별도로 마그넷(210)의 위치를 확인할 필요없이 체결돌기(240)를 체결홈(140)에 내삽시켜 끼움결합됨과 동시에 마그넷(210)이 금속핀(110)에 밀착되도록 적합한 위치로 결합되도록 가이드할 수 있는 효과를 보유한다.
이때, 체결홈(140) 및 체결돌기(240)는 단순 기둥 형상이 아닌 호를 이루는 형상을 가져 추후 커버(200)를 콘센트 본체(100)로부터 분리시 커버(200)를 회전시켜 용이하게 분리할 수 있도록 한다.
따라서, 상술된 실시예들을 통해 커버(200)가 콘센트 본체(100)에 단순히 자성결합될 뿐만 아니라 쉽게 이탈되지 않도록 서로 체결되어 결합됨으로써 결합력 및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고, 외력에 의해 쉽게 커버(200)가 콘센트 본체(100)로부터 분리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도면과 명세서에서 최적의 실시예들이 개시되었다. 여기서, 특정한 용어들이 사용되었으나, 이는 단지 본 발명을 설명하기 위한 목적에서 사용된 것이지 의미한정이나 특허청구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범위를 제한하기 위하여 사용된 것은 아니다. 그러므로, 본 기술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1: 콘센트
100: 콘센트 본체 101: 콘센트구
110: 금속핀 111: 결합홈
120: 핀 인입홈 121: 고정돌기
130: 경사부 131: 걸림홈
140: 체결홈 200: 커버
201: 콘센트홀 210: 마그넷
220: 마그넷 인입홈 230: 외곽부
231: 걸림구 240: 체결돌기

Claims (5)

  1. 커버가 콘센트 본체에 용이하게 결합될 수 있는 콘센트에 있어서,
    상기 커버는 대리석 재질로 이루어지며,
    상기 콘센트 본체는 정면 양측에 금속 재질로 이루어진 금속핀;이 구비되고,
    상기 커버의 후면에 구비되되, 상기 금속핀이 구비된 위치와 대응되는 위치에 구비되어 상기 금속핀과 자성결합되는 마그넷;을 포함하며,
    상기 금속핀과 상기 마그넷이 자성결합되어 상기 콘센트 본체 정면에 상기 커버 후면이 밀착되어 고정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설치가 용이한 콘센트.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본체의 정면에는 상기 금속핀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된 핀 인입홈;이 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후면에는 상기 마그넷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함몰된 마그넷 인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콘센트 본체와 상기 커버 결합시 상기 핀 인입홈에 내삽된 상기 금속핀과 상기 마그넷 인입홈에 내삽된 상기 마그넷이 밀착되어 자성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설치가 용이한 콘센트.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본체는 가장자리를 따라 외측으로 갈수록 함몰형성된 경사부;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는 후면 가장자리를 따라 돌출되며, 외측으로 갈수록 돌출된 외곽부;가 형성되며,
    상기 외각부는 상기 경사부의 함몰형성된 외측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고, 상기 커버가 상기 콘센트 본체 정면으로 밀착시 상기 외곽부의 후면이 상기 경사부의 정면과 밀착되어 합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설치가 용이한 콘센트.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부의 후면에는 다수개의 단차를 가지며 정면측으로 함몰형성되는 걸림홈;이 형성되고,
    상기 외곽부의 돌출된 말단에는 상기 걸림홈과 대응되는 형상을 가지며, 상기 커버의 중앙측으로 돌출된 걸림구;가 형성되고,
    상기 커버를 상기 콘센트 본체에 결합시 상기 걸림홈 내측으로 상기 걸림구가 삽입되어 상기 커버와 상기 콘센트 본체가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설치가 용이한 콘센트.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콘센트 본체는 상기 금속핀이 구비된 위치의 상하측에 각각 체결홈;이 함몰형성되고,
    상기 커버의 후면에는 상기 마그넷이 구비된 위치의 상하측에 각각 체결돌기;가 후측으로 돌출형성되며,
    상기 콘센트 본체의 정면으로 상기 커버가 결합시 상기 체결돌기는 상기 체결홈으로 내삽되어 결합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설치가 용이한 콘센트.
KR1020210027832A 2021-03-03 2021-03-03 커버 설치가 용이한 콘센트 KR20220124356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832A KR20220124356A (ko) 2021-03-03 2021-03-03 커버 설치가 용이한 콘센트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832A KR20220124356A (ko) 2021-03-03 2021-03-03 커버 설치가 용이한 콘센트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356A true KR20220124356A (ko) 2022-09-14

Family

ID=8327903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832A KR20220124356A (ko) 2021-03-03 2021-03-03 커버 설치가 용이한 콘센트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4356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777B1 (ko) 2015-02-26 2017-02-2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콘센트 커버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710777B1 (ko) 2015-02-26 2017-02-27 인제대학교 산학협력단 콘센트 커버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763059B2 (en) Switch panel assembly, switch assembly and associated manufacturing method
US9888904B2 (en) Housing and connector for door using the same
WO2020228814A1 (zh) 装饰板组件和端盖的装配结构及装饰板组件、空调器
JP2010112165A (ja) 被覆材の縁をカバーするためのベースボード及びベースボードのための接続部材
KR20220124356A (ko) 커버 설치가 용이한 콘센트
JP4853351B2 (ja) 埋込形配線器具の取付装置
US10840688B2 (en) Socket cover, socket assembly and associated manufacturing method
JP2017179941A (ja) 手摺り
JP2013110025A (ja) コネクタカバー
TWI664880B (zh) 顯示裝置
CN211431930U (zh) 一种床护栏拼接结构
JP2016084583A (ja) フレーム部材
JP3083044U (ja) ガス栓
KR20230039410A (ko) 와이어커버 및 이를 구비한 커넥터
JP6610956B2 (ja) リテーナ
JP5030660B2 (ja) プロテクタ付きコネクタ
KR200334706Y1 (ko) 안전커버를 구비하는 배선덕트
KR101144793B1 (ko) 세탁기 파워코드 조립구조
KR20200031827A (ko) 커넥터용 와이어 보호커버
KR100595252B1 (ko) 프로젝션 텔레비젼용 랙의 구조
KR940003929Y1 (ko) 인터폰 지지틀의 마감부재
TWI416807B (zh) 電連接器
KR20230007156A (ko) 도어 손잡이의 결합구조
KR20150104340A (ko) 욕실 캐비넷 도어의 조립구조
JP4699798B2 (ja) 配線ダク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