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4037A - 외관 검사 어셈블리 - Google Patents

외관 검사 어셈블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4037A
KR20220124037A KR1020210027727A KR20210027727A KR20220124037A KR 20220124037 A KR20220124037 A KR 20220124037A KR 1020210027727 A KR1020210027727 A KR 1020210027727A KR 20210027727 A KR20210027727 A KR 20210027727A KR 20220124037 A KR20220124037 A KR 2022012403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opening
inspection
main body
subject
wal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72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35869B1 (ko
Inventor
이유형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디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디쌤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디쌤
Priority to KR102021002772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35869B1/ko
Publication of KR2022012403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403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3586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3586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8806Specially adapted optical and illumination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VFUNCTIONAL FEATURES OR DETAIL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THEREOF; STRUCTURAL COMBINATIONS OF LIGHTING DEVICES WITH OTHER ARTICL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1V3/00Globes; Bowls; Cover glass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24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contours or curvatur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BMEASURING LENGTH, THICKNESS OR SIMILAR LINEAR DIMENSIONS; MEASURING ANGLES; MEASURING AREAS; MEASURING IRREGULARITIES OF SURFACES OR CONTOURS
    • G01B11/0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 G01B11/30Measuring arrangem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optical techniques for measuring roughness or irregularity of surfac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4Investigating contamination, e.g. dust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1/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i.e. using sub-millimetre waves, infrared, visible or ultraviolet light
    • G01N21/84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 G01N21/88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 G01N21/95Investigating the presence of flaws or contamination characterised by the material or shape of the object to be examined
    • G01N21/9515Objects of complex shape, e.g. examined with use of a surface follower device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02Diffusing elements; Afocal element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01N2201/061Sources
    • G01N2201/06146Multisources for homogeneisation, as well sequential as simultaneous operation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201/00Features of devices classified in G01N21/00
    • G01N2201/06Illumination; Optics
    • G01N2201/063Illuminating optical part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PCLIMATE CHANGE MITIGATION TECHNOLOGIES IN THE PRODUCTION OR PROCESSING OF GOODS
    • Y02P90/00Enabling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contribution to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P90/30Computing systems specially adapted for manufactu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Biochemistr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Investigating Materials By The Use Of Optical Means Adapted For Particular Applications (AREA)
  • Eye Examination Apparatu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외관 검사 어셈블리에 관한 것으로, 피검사체에 광을 조사하는 조명 어셈블리; 상기 피검사체를 촬영하며, 다수 개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 영역으로 상기 피검사체를 이송시키는 이송모듈; 및 상기 피검사체의 외관 검사 및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 어셈블리는, 내부에 상기 검사 영역을 포함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내부 공간에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면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조명 모듈; 상기 내부 공간의 촬영을 위해 상기 본체에 다수 개 형성되고, 외측에 각각 상기 카메라가 배치되는 검사 홀;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피검사체가 이송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 모듈은, 상기 본체의 둘레벽의 내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둘레 조명; 상기 본체의 상면벽의 내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상면 조명; 및 상기 본체의 하면벽의 내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하면 조명을 포함하고, 상기 검사 영역은, 상기 내부 공간의 중앙부에 형성될 수 있다.

Description

외관 검사 어셈블리{VISUAL INSPECTION ASSEMBLY}
본 발명은 외관 검사 어셈블리에 관한 것이다.
제작된 사출물이 양품인지 여부를 판단할 때에는, 상기 사출물의 외관을 검사하여 판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외관 검사에는, 표면 마무리 검사, 물리적 결함 추적, 이물질 존재 여부, 색상 검사 등이 수행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외관 검사를 수행함에 있어서, 작업자가 육안으로 검사하는 경우 실시간 검사 및 전수검사가 어려우며, 검사속도가 낮고, 작업자의 숙련도와 피로도에 따라 검사결과의 신뢰성이 저하될 가능성이 높으며, 생산 공정에 반영하기 데이터의 확보가 어려운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외관 검사에는, 상기 사출물의 외관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여 검사하는 방식이 주로 이용되고 있다. 상세히, 사출물에 광을 조사하는 조명 모듈, 사출물을 촬영하는 카메라, 상기 카메라를 통해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는 제어부 등을 포함하여 외관 검사를 수행될 수 있다. 이 경우, 검사과정의 자동화로 신뢰도와 검사 효율성이 향상되고, 효과적인 품질관리가 가능하며, 외부 요인과 상관없는 균일한 검사가 가능하고, 신속하고 정확한 전수검사가 가능하다.
한편, 사출물의 외관 검사를 수행할 때에는, 사출물에 빛이 균일하게 조사되는 것이 중요하다. 빛이 균일하게 조사되지 않아 음영이 발생하는 경우, 사출물의 외관을 검사하여 양품 여부를 판단하기에 어려움이 생기는 문제점이 있다.
특히, 사출물이 연속적으로 굴곡진 형상을 포함하는 경우, 균일하게 빛이 조사되지 않으면, 굴곡 사이에 부분적으로 음영이 발생하여 양품 여부를 판단하는 데 더욱 어려움이 있다.
이와 같이 사출물의 양품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운 경우, 양품이 불량품으로 판단되는 과검출이나, 불량품이 양품으로 판단되는 미검출이 발생되는 문제점이 있다.
이러한 미검출, 과검출의 증가는 사출물의 생산성 저하 및 원가 상승 요인이 되므로, 검사 시스템에 효과적인 조명 모듈의 도입이 절실히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의 목적은, 피검사체에 광을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어 작업 신뢰도를 향상할 수 있는 조명 어셈블리를 구비하는 외관 검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조명 어셈블리에는, 내부에 검사 영역을 포함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상면, 둘레면 및 하면에 조명 모듈이 구비되어 피검사체에 광을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어 작업 신뢰도를 향상할 수 있는 외관 검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특히, 상기 검사 영역으로부터 상기 둘레면에 구비된 조명 모듈까지의 거리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광을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는 조명 어셈블리를 구비하여 작업 신뢰도를 향상할 수 있는 외관 검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상기 하면에 구비되는 조명 모듈은, 상기 피검사체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피검사체를 향해 상방으로 빛을 조사하여 상기 피검사체에 발생될 수 있는 부분 음영을 최소화시켜 작업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외관 검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한, 피검사체가 검사 영역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위치 확인부를 구비하여 작업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외관 검사 어셈블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관 검사 어셈블리는, 피검사체에 광을 조사하는 조명 어셈블리; 상기 피검사체를 촬영하며, 다수 개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 영역으로 상기 피검사체를 이송시키는 이송모듈; 및 상기 피검사체의 외관 검사 및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 어셈블리는, 내부에 상기 검사 영역을 포함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내부 공간에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면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조명 모듈; 상기 내부 공간의 촬영을 위해 상기 본체에 다수 개 형성되고, 외측에 각각 상기 카메라가 배치되는 검사 홀;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피검사체가 이송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 모듈은, 상기 본체의 둘레벽의 내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둘레 조명; 상기 본체의 상면벽의 내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상면 조명; 및 상기 본체의 하면벽의 내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하면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검사 영역은, 상기 내부 공간의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둘레벽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피검사체가 상기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는 입구를 형성하는 제 1 개구부; 상기 둘레벽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피검사체가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되는 출구를 형성하는 제 2 개구부; 및 상기 하면벽이 개구되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 1 개구부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개구부와 연통되어 상기 피검사체가 이송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 3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개구부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상기 검사 영역이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다수 개의 둘레 조명 중, 상기 제 1 개구부 및 상기 제 2 개구부와 가까이 위치하는 둘레 조명의 이격 간격은, 나머지 둘레 조명들의 이격 간격보다 좁게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하면벽은, 사이에 상기 제 3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동일한 구성을 가지는 제 1 하면부 및 제 2 하면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 3 개구부를 통해 상기 이송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이송모듈의 상면은, 상기 하면 조명 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면 조명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밝기가, 상기 상면 조명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밝기 보다 어둡게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 어셈블리는, 상기 조명 모듈을 통해 조사된 광이 확산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확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산 플레이트는, 사이에 상기 둘레 조명이 위치하도록 상기 둘레벽의 내측에 구비되는 제 1 확산 플레이트; 사이에 상기 상면 조명이 위치하도록 상기 상면벽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확산 플레이트; 및 사이에 상기 하면 조명이 위치하도록 상기 하면벽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3 확산 플레이트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 어셈블리는, 상기 피검사체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 1 확산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위치 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확인부는, 상기 피검사체의 높이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어셈블리는, 내부에 피검사체의 검사 영역을 포함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내부 공간에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면에 배치되는 조명 모듈; 카메라가 상기 내부 공간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검사 홀; 및 상기 본체의 둘레벽에 형성되며, 상기 피검사체가 이송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개구부를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 모듈은, 상기 본체의 둘레벽의 내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둘레 조명; 상기 본체의 상면벽의 내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상면 조명; 및 상기 본체의 하면벽의 내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하면 조명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본체는 원기둥 또는 8각 이상의 다각형 기둥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피검사체에 광을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어 작업 신뢰도를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조명 어셈블리에는, 내부에 검사 영역을 포함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를 포함하고, 상기 본체의 상면, 둘레면 및 하면에 조명 모듈이 구비되어 피검사체에 광을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어 작업 신뢰도를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특히, 상기 검사 영역으로부터 상기 둘레면에 구비된 조명 모듈까지의 거리가 동일하게 설정되어 광을 균일하게 조사할 수 있는 조명 어셈블리를 구비하여 작업 신뢰도를 향상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상기 하면에 구비되는 조명 모듈은, 상기 피검사체의 하부에 위치하여 상기 피검사체를 향해 상방으로 빛을 조사하여 상기 피검사체에 발생될 수 있는 부분 음영을 최소화시켜 작업 신뢰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피검사체가 검사 영역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위치 확인부를 구비하여 작업의 정확도를 향상시킬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관 검사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어셈블리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2와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어셈블리의 둘레벽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어셈블리의 상면벽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어셈블리의 하면벽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8은 도 1의 8-8을 기준으로 절개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일부 실시 예들을 예시적인 도면을 통해 상세하게 설명한다. 각 도면의 구성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요소들에 대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구성 또는 기능에 대한 구체적인 설명이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한 이해를 방해한다고 판단되는 경우에는 그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의 구성 요소를 설명하는 데 있어서, 제 1, 제 2, A, B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용어는 그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한 것일 뿐, 그 용어에 의해 해당 구성 요소의 본질이나 차례 또는 순서 등이 한정되지 않는다. 어떤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요소에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된다고 기재된 경우, 그 구성 요소는 그 다른 구성요소에 직접적으로 연결되거나 접속될 수 있지만, 각 구성 요소 사이에 또 다른 구성 요소가 "연결", "결합" 또는 "접속"될 수도 있다고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사상이 제시되는 실시예에 제한된다고 할 수 없으며, 또 다른 구성요소의 추가, 변경, 삭제 등에 의해서, 본 발명 사상의 범위 내에 포함되는 다른 실시예를 용이하게 제안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관 검사 어셈블리(10)에 대하여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외관 검사 어셈블리의 구성을 도시한 도면이다.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사상에 따른 외관 검사 어셈블리(10)는, 피검사체(2)에 광을 조사하는 조명 어셈블리(100), 상기 피검사체(2)를 촬영하는 카메라 모듈(200), 상기 피검사체(2)를 이송시키는 이송모듈(300) 및 상기 외관 검사 어셈블리(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400)를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조명 어셈블리(100)는 피검사체(2)의 외관 촬영을 위해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조명 어셈블리(100)의 내부에는 검사 영역(115A)을 포함하는 내부 공간(115)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조명 어셈블리(100)는, 상기 내부 공간(115)에 광을 조사한다.
카메라 모듈(200)은 상기 조명 어셈블리(100)에 의해 광이 조사된 피검사체(2)를 촬영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카메라 모듈(200)은, 상기 피검사체(2)가 검사 영역(115A)에 도달한 경우, 상기 피검사체(2)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카메라 모듈(200)은 복수 개의 카메라(210)를 포함하여, 상기 피검사체(2)를 다각도에서 촬영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카메라 모듈(200)은, 네 개의 카메라(210)를 포함할 수도 있다.
이송모듈(300)은 상기 피검사체(2)를 상기 검사 영역(115A)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상기 이송모듈(300)은 상기 피검사체(2)를 상기 내부 공간(115)으로 이송시킬 수 있으며, 검사가 완료된 상기 피검사체(2)를 상기 내부 공간(115) 외측으로 이송시킬 수 있다.
예를 들어,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이송모듈(300)은 상기 피검사체(2)가 일측에서 타측으로 직선 이동을 하도록 이송시키는 컨베이어 형태로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 어셈블리(100)는, 상기 이송모듈(300)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이송모듈(300)에 의해 일측에서 타측 방향으로 이송되는 상기 피검사체(2)가 상기 내부 공간(115) 내측으로 이송된 후 외측으로 이송될 수 있다.
제어부(400)는 상기 외관 검사 어셈블리(10)의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조명 어셈블리(100), 상기 카메라 모듈(200) 및 상기 이송모듈(300)과 연결되어 이들의 동작과 기능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피검사체(2)가 상기 검사 영역(115A)에 도달하였다고 판단되면, 상기 카메라 모듈(200)이 상기 피검사체(2)를 촬영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어부(400)는, 상기 카메라 모듈(200)에 의해 촬영된 상기 피검사체(2)에 대한 이미지를 획득하고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그 상태를 검사할 수도 있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외관 검사 어셈블리(10)의 동작을 간략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상기 제어부(400)에 의해 상기 피검사체(2)가 내부 공간(115)으로 이송된다. 상기 내부 공간(115)은, 상기 조명 어셈블리(100)에 의해 광이 균일하게 조사된 상태이며, 상기 피검사체(2)가 상기 검사 영역(115A)에 도달하면, 상기 카메라 모듈(200)은 상기 피검사체(2)의 외관을 촬영하여 제어부(400)로 전송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어부(400)는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피검사체(2)가 양품인지 여부를 판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어부(400)는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피검사체(2)의 외관을 검사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제어부(400)는, 획득된 이미지를 분석하여, 상기 피검사체(2)의 표면 마무리 검사, 물리적 결함 추적, 이물질 존재 여부, 색상 검사 등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이와 같이 피검사체(2)의 외관을 검사할 때, 상기 피검사체(2)에 광이 균일하게 조사되는 것이 중요하다. 광이 균일하게 조사되지 않아 음영이 발생하는 경우, 상기 피검사체(2)의 외관을 검사하여 양품 여부를 판단하기에 어려움이 따르기 때문이다. 특히, 상기 피검사체(2)가 연속적으로 굴곡진 형상을 포함하는 경우, 다수 개의 돌출부를 포함하는 경우 등에서는, 굴곡 또는 돌출부 사이 사이에 부분적으로 음영이 발생하여, 외관 검사가 용이하지 않은 문제점이 있다.
이하 이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어셈블리(100)를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도록 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어셈블리의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3은 도 2와 다른 방향에서 바라본 모습을 보여주는 사시도이다.
도 2 및 도 3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어셈블리(100)는, 내부에 검사 영역(115A)을 포함하는 내부 공간(115)을 형성하는 본체(110), 상기 내부 공간(115)에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본체(110)의 내면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조명 모듈(120), 상기 내부 공간(115)의 촬영을 위해 상기 본체(110)에 다수 개 형성되는 검사 홀(130) 및 상기 본체(110)에 형성되며 상기 피검사체(2)가 이송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개구부(140)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본체(110)는, 내부에 상기 피검사체(2)의 검사 영역(115A)을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본체(110)는 내부에 상기 내부 공간(115)을 형성하며, 상기 내부 공간(115) 중 적어도 일부분은 상기 검사 영역(115A)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조명 모듈(120)은, 상기 본체(110)의 내면에 다수 개가 배치될 수 있다. 상기 조명 모듈(120)으로는, 예를 들어 LED(Light-Emitting Diod)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조명 모듈(120)은 다수 개가 배치되어, 상기 내부 공간(115)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보다 자세하게는, 다수 개의 상기 조명 모듈(120)은, 상기 검사 영역(115A)에 위치하는 상기 피검사체(2)에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검사 영역(115A)은 상기 내부 공간(115)의 중앙부에 위치될 수 있다. 상세히,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본체(110)는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내부 공간(115)의 횡단면은 원형으로 형성되며, 상기 검사 영역(115A)은, 원의 중심에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상기 검사 영역(115A)이 원의 중심에 형성되는 경우, 상기 검사 영역(115A)으로부터 상기 내면까지의 길이는 원의 반지름에 해당하여 항상 동일하다. 따라서, 상기 본체(110)의 둘레벽(111) 내면에 배치되는 다수 개의 상기 조명 모듈(120)로부터 상기 검사 영역(115A)까지의 거리가 항상 동일하게 되어, 상기 검사 영역(115A)에 균일한 광이 조사될 수 있다.
다만, 본 발명의 실시예는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상기 본체(110)가 다각 기둥으로 형성되는 것도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본체(110)가 적은 수의 각을 갖는 다각 기둥으로 형성되는 경우, 조명이 둘레면에 배치된 위치에 따라 상기 검사 영역(115A)까지의 거리가 상이하여 균일한 광을 조사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또한, 둘레면의 모서리에 조명을 배치하기 어려워 일정한 간격으로 조명을 배치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 본체(110)가 다각 기둥으로 형성되는 경우, 적어도 8각 이상의 다각 기둥으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검사 영역(115A)의 위치는, 상기 검사 영역(115A)에서부터 상기 본체(110)의 둘레면까지의 수직 거리가 동일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검사 홀(130)은, 상기 내부 공간(115)의 촬영을 위해 상기 본체(110)에 다수 개 형성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상기 검사 홀(130)의 외측에는 각각 카메라(210)가 설치되며, 상기 카메라(210)는, 상기 검사 홀(130)을 통해 상기 본체(110)의 내부 공간(115)을 촬영할 수 있다. 자세하게는, 상기 카메라(210)는 상기 검사 홀(130)을 통해 상기 검사 영역(115A)에 위치한 상기 피검사체(2)를 촬영할 수 있다.
상기 검사 홀(130)은 다수 개 형성되며, 각각의 검사 홀(130) 마다 상기 카메라(210)가 배치되므로, 상기 피검사체(2)를 다각도로 촬영하여 상기 피검사체(2)의 외관을 검사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검사 홀(130)은, 상기 본체(110)의 상면 보다 하면에 가까이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개구부(140)는, 상기 본체(110)에 형성되어 상기 피검사체(2)가 이송되는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개구부(140)는, 상기 본체(110)의 둘레벽(111)의 일측에 형성되는 제 1 개구부(140a), 상기 본체(110)의 둘레벽(111)의 티측에 형성되는 제 2 개구부(140b) 및 상기 본체(110)의 하면에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 1 개구부(140a)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개구부(140b)와 연통되는 제 3 개구부(140c)를 포함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1 개구부(140a)는, 상기 본체(110)의 둘레벽(111)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피검사체(2)가 상기 내부 공간(115)으로 인입되도록 개구된 입구부일 수 있다.
상기 제 2 개구부(140b)는, 상기 본체(110)의 둘레벽(111)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피검사체(2)가 상기 내부 공간(115)으로부터 인출되도록 개구된 출구부일 수 있다.
상기 제 1 개구부(140a) 및 상기 제 2 개구부(140b)는, 상기 피검사체(2)가 인출입될 수 있도록 상기 피검사체(2)의 크기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제 2 개구부(140b)는, 상기 본체(110)의 하면에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 1 개구부(140a)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개구부(140b)와 연통된다.
상기 제 3 개구부(140c)는, 상기 피검사체(2)가 이송되는 이송통로이다. 상세히, 상기 제 3 개구부(140c)는, 상기 제 1 개구부(140a) 및 상기 제 2 개구부(140b)를 연결하여 상기 피검사체(2)가 이송되는 이송 통로를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제 3 개구부(140c)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는, 상기 검사 영역(115A)이 위치할 수 있다.
즉, 상기 이송모듈(300)에 의해 이송되는 상기 피검사체(2)는, 상기 제 1 개구부(140a)를 통과하여, 상기 내부 공간(115)에 인입되며, 상기 제 3 개구부(140c)의 중앙부에 위치하는 상기 검사 영역(115A)에서 상기 카메라 모듈(200)에 의해 촬영된 후, 상기 개구부(140)를 통과하여 상기 내부 공간(115) 외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상기 조명 모듈의 구성 및 상기 본체의 구성에 대해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히 설명하도록 한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어셈블리의 분해사시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어셈블리의 둘레벽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어셈블리의 상면벽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조명 어셈블리의 하면벽의 구성을 보여주는 사시도이고, 도 8은 도 1의 8-8을 기준으로 절개한 모습을 보여주는 단면도이다.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상기 본체(110)는, 둘레벽(111), 상기 둘레벽(111)에 결합되며 상면을 형성하는 상면벽(112) 및 상기 둘레벽(111)에 결합되며 하면을 형성하는 하면벽(113)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조명 모듈(120)은, 상기 둘레벽(111)의 내면에 배치되는 둘레 조명(121), 상기 상면벽(112)의 내면에 배치되는 상면 조명(122) 및 상기 하면벽(113)의 내면에 배치되는 하면 조명(123)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둘레벽(111)에는, 다수 개의 상기 둘레 조명(121)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상기 둘레 조명(121)은, 상기 검사 영역(115A)을 향해 균일하게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본체(110)가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고, 상기 검사 영역(115A)이 원의 중심부에 형성되는 경우, 동일한 높이에 위치하는 상기 둘레 조명(121)으로부터 상기 검사 영역(115A)까지의 거리는 항상 동일하게 되어, 상기 검사 영역(115A)에 균일한 광이 조사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한편, 상기 둘레벽(111)에는, 상기 제 1 개구부(140a) 및 상기 제 2 개구부(140b)가 형성된다. 개구된 상기 제 1 개구부(140a) 및 상기 제 2 개구부(140b)에는, 상기 둘레 조명(121)이 배치될 수 없는 바, 상기 검사 영역(115A)으로의 균일한 광 조사를 위해 상기 둘레벽(111)의 내면 중 상기 제 1 개구부(140a) 및 상기 제 2 개구부(140b)와 가까이 위치하는 부분에는 상기 둘레 조명(121)이 보다 좁은 간격으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상기 검사 영역(115A)에 균일하게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제 1 개구부(140a) 및 상기 제 2 개구부(140b)의 근처에는 보다 많은 둘레 조명(121)이 배치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둘레벽(111)의 높이는, 상기 개구부(140)로부터 상기 검사 영역(115A)의 중앙부까지의 거리와 상기 피검사체(2)의 상단으로부터 상기 둘레벽(111)의 상단까지의 거리가 유사하도록 설정될 수 있다.
상기 상면벽(112)은, 상기 둘레벽(111)과 결합하여 상기 본체(110)의 상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상면벽(112)은, 상기 둘레벽(111)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상면 결합부(112a)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상면 결합부(112a)은, 상기 상면벽(112)의 하면으로부터 상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상면 결합부(112a)에 상기 둘레벽(111)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상면 결합부(112a)는, 상기 둘레벽(111)의 상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둘레벽(11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 결합부(112a)는, 상기 상면벽(112) 하면의 외경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는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상면벽(112)의 외경은, 상기 둘레벽(11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상면벽(112)에는, 다수 개의 상기 상면 조명(122)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상기 상면 조명(122)은, 상기 검사 영역(115A)을 향해 균일하게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하면벽(113)은, 상기 둘레벽(111)과 결합하여 상기 본체(110)의 하면을 형성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면벽(113)은, 상기 둘레벽(111)이 결합되도록 형성되는 하면 결합부(113c)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면 결합부(113c)은, 상기 하면벽(113)의 상면으로부터 하방으로 함몰 형성되어, 상기 하면 결합부(113c)에 상기 둘레벽(111)이 삽입되어 결합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하면 결합부(113c)는, 상기 둘레벽(111)의 하부와 결합되도록 상기 둘레벽(111)의 형상과 대응되는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면 결합부(113c)는, 상기 하면벽(113) 상면의 외경으로부터 소정 거리 이격되는 내측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면벽(113)의 외경은, 상기 둘레벽(111)의 외경보다 크게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하면벽(113)에는, 다수 개의 상기 하면 조명(123)이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될 수 있다. 다수 개의 상기 하면 조명(123)은, 상기 검사 영역(115A)을 향해 균일하게 광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하면 조명(123)을 통해 상기 피검사체(2)의 하부에서 상방을 향해 광이 조사되므로, 상기 피검사체(2)의 형상으로 인해 형성될 수 있는 부분 음영이 최소화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상기 하면벽(113)에는, 상기 제 3 개구부(140c)가 형성될 수 있다. 상세히, 상기 제 3 개구부(140c)는, 상기 하면벽(113)이 개구되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하면벽(113)은, 상기 제 3 개구부(140c)를 형성하도록 동일한 형상으로 형성되는 제 1 하면부(113a) 및 제 2 하면부(113b)로 구성될 수 있다. 상기 제 1 하면부(113a) 및 상기 제 2 하면부(113b)는 서로 대칭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 3 개구부(140c)를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될 수 있다. 상기 제 3 개구부(140c)는, 상기 제 1 하면부(113a) 및 상기 제 2 하면부(113b)의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제 3 개구부(140c)를 통해 상기 이송모듈(300)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 공간(115)에 위치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내부 공간(115)에 위치하는 상기 이송모듈(300)의 상면은, 상기 하면벽(113)의 상면 보다 상부에 위치할 수 있다. 이 경우, 상기 하면 조명(123)이 상기 내부 공간(115) 내부에 위치하는 상기 이송모듈(300)의 상면 보다 하부에 위치하게 된다. 이를 통해, 상기 하면 조명(123)이 상기 피검사체(2) 보다 하측에 위치하게 되어, 상기 피검사체(2)의 굴곡진 부분 음영을 최소화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하면 조명(123)이 이격 배치되는 간격은 상기 상면 조명(122)이 이격 배치되는 간격보다 넓게 형성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하면벽(113)으로부터 상기 피검사체(2)의 거리가, 상기 상면벽(112)으로부터 상기 피검사체(2)의 거리보다 가까운 것을 고려하여, 상기 피검사체(2)에 균일하게 광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하면 조명(123)이 이격 배치되는 간격과 상기 상면 조명(122)이 이격 배치되는 간격은 동일하게 형성되되, 상기 제어부(400)를 통해 상기 하면 조명(123)의 밝기가 상기 상면 조명(122)의 밝기 보다 어둡게 조사되도록 제어될 수 있다. 이는, 상기 피검사체(2)가 상기 검사 영역(115A)에 위치할 때, 상기 하면벽(113)으로부터 상기 피검사체(2)의 거리가, 상기 상면벽(112)으로부터 상기 피검사체(2)의 거리보다 가까운 것을 고려하여, 상기 피검사체(2)에 균일하게 광을 조사하기 위함이다.
한편, 상기 조명 어셈블리(100)는, 상기 조명 모듈(120)을 통해 조사된 광이 확산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110) 내부에 확산 플레이트(15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확산 플레이트(150)는, 빛이 투과되어 확산될 수 있는 소재로 구비될 수 있다.
상기 확산 플레이트(150)는, 상기 둘레 조명(121)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둘레벽(111)의 내부에 구비되는 제 1 확산 플레이트(151), 상기 상면 조명(122)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상면벽(112)의 하부에 구비되는 제 2 확산 플레이트(152) 및 상기 하면 조명(123)의 외측에 배치되며, 상기 하면벽(113)의 상부에 구비되는 제 3 확산 플레이트(153)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 1 확산 플레이트(151)는, 사이에 상기 둘레 조명(121)이 위치하도록 상기 둘레벽(111)의 내측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2 확산 플레이트(152)는, 사이에 상기 상면 조명(122)이 위치하도록 상기 상면벽(112)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 3 확산 플레이트(153)는, 사이에 상기 하면 조명(123)이 위치하도록 상기 하면벽(113)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명 어셈블리(100)는, 상기 확산 플레이트(150)를 지지하는 확산 플레이트 지지부(16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조명 어셈블리(100)는, 상기 피검사체(2)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 1 확산 플레이트(151)에 형성되는 위치 확인부(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검사체(2)의 색상이 상기 조명 어셈블리(100) 내부 공간의 색상과 동일한 색상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경우,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피검사체(2)가 상기 검사 영역(115A)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어려울 수 있다. 예를 들어, 상기 피검사체(2)가 백색의 플라스틱 사출물인 경우, 백색광의 조명 모듈(120)로 인하여 상기 제어부(400)가 상기 피검사체(2)의 위치를 판별하기 어려울 수 있다.
따라서, 상기 피검사체(2)가 상기 검사 영역(115A)에 도달하였는지 여부를 판단하기 위해, 상기 둘레벽(111)의 내면에 상기 위치 확인부(170)가 형성될 수 있다.
상기 위치 확인부(170)는, 상기 피검사체(2)의 높이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며, 상기 피검사체(2)의 색상과 다른 색상으로 형성되어 상기 피검사체(2)를 상기 내부 공간(115)과 분리하여 판단 가능하도록 한다. 즉, 상기 위치 확인부(170)를 통해, 상기 피검사체(2)의 위치가 판단될 수 있다. 상기 위치 확인부(170)는, 예를 들어 상기 제 1 확산 플레이트(151)에 형성될 수 있다.
이상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외관 검사 어셈블리(10)를 구체적인 실시 형태로서 설명하였으나, 이는 예시에 불과한 것으로서 본 발명은 이에 한정되지 않는 것이며, 본 명세서에 개시된 기초 사상에 따르는 최광의 범위를 갖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당업자는 개시된 실시 형태들을 조합, 치환하여 적시되지 않은 실시 형태를 실시할 수 있으나, 이 역시 본 발명의 권리범위를 벗어나지 않는 것이다. 이외에도 당업자는 본 명세서에 기초하여 개시된 실시형태를 용이하게 변경 또는 변형할 수 있으며, 이러한 변경 또는 변형도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함은 명백하다.
10 : 외관 검사 어셈블리
100 : 조명 어셈블리
110 : 본체
120 : 조명 모듈
130 : 검사 홀
140 : 개구부
150 : 확산 플레이트
160 : 확산 플레이트 지지부
170 : 위치 확인부
200 : 카메라 모듈
300 : 이송모듈
400 : 제어부
2 : 피검사체

Claims (10)

  1. 피검사체에 광을 조사하는 조명 어셈블리;
    상기 피검사체를 촬영하는 다수 개의 카메라를 포함하는 카메라 모듈;
    검사 영역으로 상기 피검사체를 이송시키는 이송모듈; 및
    상기 피검사체의 외관 검사 및 전체적인 동작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 어셈블리는,
    내부에 상기 검사 영역을 포함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며, 원 기둥 형상으로 형성되는 본체;
    상기 내부 공간에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면에 배치되는 조명 모듈;
    상기 내부 공간의 촬영을 위해 상기 본체에 다수 개 형성되고, 외측에 각각 상기 카메라가 배치되는 검사 홀; 및
    상기 본체에 형성되며, 상기 피검사체가 이송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 모듈은,
    상기 본체의 둘레벽의 내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둘레 조명;
    상기 본체의 상면벽의 내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상면 조명; 및
    상기 본체의 하면벽의 내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하면 조명을 포함하고,
    상기 검사 영역은, 상기 내부 공간의 중앙부에 위치되는 외관 검사 어셈블리.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개구부는,
    상기 둘레벽의 일측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피검사체가 상기 내부 공간으로 인입되는 입구를 형성하는 제 1 개구부;
    상기 둘레벽의 타측 하부에 형성되며, 상기 피검사체가 상기 내부 공간으로부터 인출되는 출구를 형성하는 제 2 개구부; 및
    상기 하면벽이 개구되어 형성되며, 일단이 상기 제 1 개구부와 연통되고, 타단이 상기 제 2 개구부와 연통되어 상기 피검사체가 이송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제 3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제 3 개구부의 길이 방향 중앙부에 상기 검사 영역이 위치하는 외관 검사 어셈블리.
  3.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다수 개의 둘레 조명 중, 상기 제 1 개구부 및 상기 제 2 개구부와 가까이 위치하는 둘레 조명의 이격 간격은, 나머지 둘레 조명들의 이격 간격보다 좁게 형성되는 외관 검사 조명 어셈블리.
  4. 제2 항에 있어서,
    상기 하면벽은,
    서로 대칭되는 형태를 가지며 상기 제 3 개구부를 형성하도록 서로 이격되는 제 1 하면부 및 제 2 하면부를 포함하는 외관 검사 어셈블리.
  5. 제4 항에 있어서,
    상기 제 3 개구부를 통해 상기 이송모듈의 적어도 일부가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고,
    상기 내부 공간에 위치하는 상기 이송모듈의 상면은, 상기 하면 조명 보다 상부에 위치하는 외관 조명 어셈블리.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하면 조명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밝기가, 상기 상면 조명으로부터 조사되는 광의 밝기 보다 어둡도록 제어하는 외관 검사 어셈블리.
  7.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어셈블리는, 상기 조명 모듈을 통해 조사된 광이 확산될 수 있도록 상기 본체 내부에 배치되는 확산 플레이트를 더 포함하고,
    상기 확산 플레이트는,
    상기 둘레 조명에서 조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제 1 확산 플레이트;
    상기 상면 조명에서 조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제 2 확산 플레이트; 및
    상기 하면 조명에서 조사된 광을 확산시키는 제 3 확산 플레이트를 포함하는 외관 검사 어셈블리.
  8. 제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 어셈블리는, 상기 피검사체의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 상기 제 1 확산 플레이트에 형성되는 위치 확인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위치 확인부는, 상기 피검사체의 높이 보다 낮은 위치에 형성되는 외관 검사 어셈블리.
  9. 내부에 피검사체의 검사 영역을 포함하는 내부 공간을 형성하는 본체;
    상기 내부 공간에 광을 조사하도록 상기 본체의 내면에 배치되는 조명 모듈;
    카메라가 상기 내부 공간을 촬영할 수 있도록, 상기 본체에 형성되는 검사 홀; 및
    상기 본체의 둘레벽에 형성되며, 상기 피검사체가 이송되는 통로를 형성하는 개구부를 포함하고,
    상기 조명 모듈은,
    상기 본체의 둘레벽의 내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둘레 조명;
    상기 본체의 상면벽의 내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상면 조명; 및
    상기 본체의 하면벽의 내면에 소정 간격 이격되어 배치되는 다수 개의 하면 조명을 포함하는 조명 어셈블리.
  10. 제9 항에 있어서,
    상기 본체는 원기둥 또는 8각 이상의 다각형 기둥인 조명 어셈블리.
KR1020210027727A 2021-03-02 2021-03-02 외관 검사 어셈블리 KR10253586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727A KR102535869B1 (ko) 2021-03-02 2021-03-02 외관 검사 어셈블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727A KR102535869B1 (ko) 2021-03-02 2021-03-02 외관 검사 어셈블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4037A true KR20220124037A (ko) 2022-09-13
KR102535869B1 KR102535869B1 (ko) 2023-05-26

Family

ID=8328686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727A KR102535869B1 (ko) 2021-03-02 2021-03-02 외관 검사 어셈블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35869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387B1 (ko) 2023-06-15 2024-01-23 주식회사 평화이엔지 다중표면 비전 검사장치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0729A (ja) * 2010-04-06 2011-11-04 Kobelco Kaken:Kk シリコンウェハ汚れ検査装置および該方法
JP2013164362A (ja) * 2012-02-13 2013-08-22 Dac Engineering Co Ltd 軟質製袋品の品質検査装置
JP2016517020A (ja) * 2013-05-03 2016-06-09 エムエスセ エ エスジェセセMsc & Sgcc ガラス容器における光学的特異点を観察および分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190082198A (ko) * 2016-11-09 2019-07-09 브이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광학 검사 장치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1220729A (ja) * 2010-04-06 2011-11-04 Kobelco Kaken:Kk シリコンウェハ汚れ検査装置および該方法
JP2013164362A (ja) * 2012-02-13 2013-08-22 Dac Engineering Co Ltd 軟質製袋品の品質検査装置
JP2016517020A (ja) * 2013-05-03 2016-06-09 エムエスセ エ エスジェセセMsc & Sgcc ガラス容器における光学的特異点を観察および分析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装置
KR20190082198A (ko) * 2016-11-09 2019-07-09 브이 테크놀로지 씨오. 엘티디 광학 검사 장치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628387B1 (ko) 2023-06-15 2024-01-23 주식회사 평화이엔지 다중표면 비전 검사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35869B1 (ko) 2023-05-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TWI658524B (zh) 檢測晶圓之系統及方法
US8670031B2 (en) High speed optical inspection system with camera array and compact, integrated illuminator
JP4713279B2 (ja) 照明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外観検査装置
KR101192331B1 (ko) 에어리어 카메라를 이용한 렌즈의 비전 검사장치 및 검사방법
US9897555B2 (en) Defect inspection method and apparatus therefor
US11016032B2 (en) System and method for detecting inclusions in a gemstone
WO2011037903A1 (en) High speed optical inspection system with camera array and compact, integrated illuminator
US11726045B2 (en) System and method for tracing a gemstones journey from the mine to the consumer by detecting inclusions in the gemstone
JP2012159457A (ja) 積分球装置及び光測定方法
KR102535869B1 (ko) 외관 검사 어셈블리
US11280744B2 (en) Appearance inspection apparatus and appearance inspection method
JP5726628B2 (ja) 透明体ボトルの外観検査装置及び外観検査方法
JP7307520B2 (ja) 環状製品の外観検査装置
KR20140087134A (ko) 반도체 패키지의 검사장비
KR101124567B1 (ko) 하이브리드 조명부를 포함하는 웨이퍼 검사 장치
KR101520636B1 (ko) 불규칙 표면의 영상 취득을 위한 광학적 조명 방법 및 장치
KR101012634B1 (ko) 듀얼 조명 비전검사 장치
KR100389967B1 (ko) 자동화 결함 검사 장치
KR20100042340A (ko) 반도체 웨이퍼 후면 검사 장치 및 검사 방법
JP2005300302A (ja) 照明装置および読み取り装置
KR20200090092A (ko) 검사 장치
JP7271329B2 (ja) 照明装置及びこれを備えた外観検査装置
JPH02161339A (ja) 球面検査装置
TWI730681B (zh) 確定晶片方位的設備
KR100377116B1 (ko) 발광 다이오드와 곡면 반사경을 이용한 조명 장치 및 이를포함하는 자동화 결함 검사 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