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3869A - 타우린 클로라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 Google Patents

타우린 클로라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3869A
KR20220123869A KR1020210027338A KR20210027338A KR20220123869A KR 20220123869 A KR20220123869 A KR 20220123869A KR 1020210027338 A KR1020210027338 A KR 1020210027338A KR 20210027338 A KR20210027338 A KR 20210027338A KR 20220123869 A KR20220123869 A KR 2022012386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aurine
taurine chloramine
disease
ischemic brain
chloramin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33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김채균
이자경
강인순
설송이
Original Assignee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인하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2733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3869A/ko
Publication of KR2022012386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386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31/00Medicinal preparations containing organic active ingredients
    • A61K31/185Acids; Anhydrides, halides or salts thereof, e.g. sulfur acids, imidic, hydrazonic or hydroximic acids
    • A61K31/19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 A61K31/195Carboxylic acids, e.g. valproic acid having an amino group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L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NOT COVERED BY SUBCLASSES A21D OR A23B-A23J; THEIR PREPARATION OR TREATMENT, e.g. COOKING, MODIFICATION OF NUTRITIVE QUALITIES, PHYSICAL TREATMENT; PRESERVATION OF FOODS OR FOODSTUFFS, IN GENERAL
    • A23L33/0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 A23L33/10Modifying nutritive qualities of foods; Dietetic products; Preparation or treatment thereof using additiv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14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abnormal movements, e.g. chorea, dyskinesia
    • A61P25/16Anti-Parkinson drug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25/00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 A61P25/28Drugs for disorders of the nervous system for treating neurodegenerative disorders of the central nervous system, e.g. nootropic agents, cognition enhancers, drugs for treating Alzheimer's disease or other forms of dementia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PSPECIFIC THERAPEUTIC ACTIVITY OF CHEMICAL COMPOUNDS OR MEDICINAL PREPARATIONS
    • A61P9/0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 A61P9/10Drugs for disorders of the cardiovascular system for treating ischaemic or atherosclerotic diseases, e.g. antianginal drugs, coronary vasodilators, drugs for myocardial infarction, retinopathy, cerebrovascula insufficiency, renal arteriosclerosi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002/00Food compositions, function of food ingredients or processes for food or foodstuffs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2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an effect on the health of the nervous system or on mental function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00/00Function of food ingredients
    • A23V2200/30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 A23V2200/326Foods, ingredients or supplements having a functional effect on health having effect on cardiovascular health
    • AHUMAN NECESSITIES
    • A23FOODS OR FOODSTUFFS; TREATMENT THEREOF, NOT COVERED BY OTHER CLASSES
    • A23VINDEXING SCHEME RELATING TO FOODS, FOODSTUFFS OR NON-ALCOHOLIC BEVERAGES AND LACTIC OR PROPIONIC ACID BACTERIA USED IN FOODSTUFFS OR FOOD PREPARATION
    • A23V2250/00Food ingredients
    • A23V2250/02Acid
    • A23V2250/06Amino acid
    • A23V2250/0644Taurin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Bioinformatics & Cheminformat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Neur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Medicinal Chemistry (AREA)
  • Pharmacology & Pharmacy (AREA)
  • Neuro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General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Organic Chemistry (AREA)
  • Nuclear Medicine, Radiotherapy & Molecular Imaging (AREA)
  • Nutrition Science (AREA)
  • Epidemiology (AREA)
  • Psychiatry (AREA)
  • Mycology (AREA)
  • F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Polymers & Plastics (AREA)
  • Urology & Nephrology (AREA)
  • Vascular Medicine (AREA)
  • Cardi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sychology (AREA)
  • Acyclic And Carbocyclic Compounds In Medicinal Compositio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타우린 클로라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의 타우린 클로라민은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경색 부피를 감소시키며, 신경학적 결함 및 운동 장애를 개선시키므로 허혈성 뇌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Description

타우린 클로라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schemic brain diseases containing taurine chloramine as an active ingredient}
본 발명은 타우린 클로라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타우린(2-aminoethansulfolic acid)은 시스테인(cysteine)의 탈카복실화 생성물로, 동물계에서 가장 풍부한 유리 아미노산(free amino acids) 중 하나이다. 타우린은 삼투조절(osmoregulation), 막 안정화(membrane stabilization), 칼슘이동(calcium mobilization), 신경전달(neurotransmission), 생식(reproduction), 염증(inflammation), 해독(detoxification) 등 다양한 생리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타우린은 포유류 조직에 어디에나 분포되어 있으나, 심장, 뇌 및 백혈구에서 가장 높은 수준으로 발현되는 특징이 있다. 타우린 수치는 뇌의 부위에 따라 다르다. 타우린은 쥐, 래트, 인간의 성인 뇌에서 각각 8.6, 4.4 및 1.4 μmol/g (습윤 중량; wet weight)이 검출되며, 신생아 뇌에서는 성인에 비해 2 내지 4배 더 높게 검출된다. 이는 타우린 농도가 발달 중인 뇌에서 가장 높고, 발달이 진행됨에 따라 감소함을 나타낸다.
타우린은 허혈성 뇌졸중과 염증을 포함한 다양한 뇌 손상 모델에서 신경 보호작용을 한다. 타우린은 허혈성 손상에서 세포사멸 단백질 발현을 감소시키고, 세포 내 Ca+2 항상성을 유지함으로써 신경 세포사멸을 감소시킨다. 또한, 타우린은 소포체 스트레스(endoplasmic reticulum stress; ER stress) 경로를 억제하고, 과도한 활성산소(ROS) 생성을 억제함으로써 ER 스트레스로부터 세포를 보호하는 역할을 한다. 더욱이 타우린은 염증유발성(proinflammatory) 사이토카인(cytokine) 생성과 호중구 침윤을 억제하고, 피브린(fibrin)/피브리노겐(fibrinogen) 및 혈소판의 혈관 내 침착을 줄여 출혈을 예방하기도 한다.
호중구(neutrophils)는 1차 면역 방어 세포로서, 혈액에서 가장 풍부한 백혈구(leukocytes)이다. 호중구는 염증 부위나 감염된 조직에 침투하여 침입한 미생물을 포획하여 산화제와 살균 단백질로 미생물을 제거한다. 호중구에는 총 유리아미노산(free amino acids)의 30 내지 75%를 차지하는 다량의 타우린이 포함되어 있다. 인간의 호중구는 10 내지 70 mM 타우린을 포함하고있는 반면, 혈장은 평균 50 μM 타우린을 포함하고 있다. 활성화된 호중구에서 타우린은 골수세포형 과산화효소(myeloperoxidase;MPO) 시스템에 의해 방출되는 차아염소산(hypochlorous acid; HOCl)과 반응하여 타우린 클로라민(Tau-Cl)을 생성한다. 따라서 타우린은 독성이 높은 HOCl을 제거하여 염증을 감소시킨다. 타우린 클로라민은 많은 염증 매개체의 생성을 억제하고, 항산화효소를 상향 조절하여 염증 부위의 세포를 염증세포 독성으로부터 보호한다. 타우린 클로라민은 핵인자 E2 관련인자 (nuclear factor E2-related factor; Nrf2)의 세포질 수준과 핵으로의 이동(nuclear translocation)및 Nrf2와 항산화 반응 요소의 결합을 증가시킨다. Nrf2는 헴산화효소(heme oxygenase; HO), NADPH:퀴논산화환원효소(NADPH:quinone oxidoreductase; NQO), 글루타티온과산화효소(glutathione peroxidase; GPx), 퍼옥시레독신(peroxiredoxin; Prx) 및 글루탐산염 시스타인 연결효소(glutamate-cysteine ligase; GCL)와 같은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조절한다. GCL은 글루탐산염과 시스테인 결합을 촉매하여 글루타티온(glutathione)을 합성하여 산화 환원 균형을 조절하고, ROS로인한 손상을 방지한다. HO(heme oxygenase)는 유리 헴(free heme)의 산화 분해를 촉매하고 철(iron), CO 및 빌리버딘(biliverdin)/빌리루빈(bilirubin)을 방출한다. 따라서 타우린 클로라민에 의해 유도된 HO-1의 상승은 빌리루빈(bilirubin)과 CO를 생성하여 독성 하이드록실 라디칼(hydroxyl radical)을 제거하고 ROS 생성을 각각 방지한다. NQO(NADPH:quinone oxidoreductase)는 플라빈 아데닌 디뉴클레오타이드(flavin adenine dinucleotide)를 보조인자(cofactor)로 사용하여 퀴논(quinone)을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으로 환원시키는 2전자 환원효소(two-electron reductase)이며, 일반적으로 항산화 및 해독 메커니즘에 관여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Prx(peroxiredoxin)는 과산화물을 감소시키고 그 활성은 H2O2, 유기과산화수소(hydroperoxides) 및 과산화질산염(peroxynitrite)의 제거와 관련이 있다. Prx는 산화적 손상으로부터 세포 성분을 보호하는 데 중요하다.
뇌졸중은 전 세계적으로 사망의 세번째 주요 원인이며, 장애의 주요 원인이다. 허혈성 뇌 손상은 뇌졸중 발생 중에 일련의 복잡한 병리학적 사건에 의해 유발되며, 이는 흥분 독성(excitotoxicity) 및 Zn2+ 독성(Zn2+-toxicity) 의존성 대규모 신경 세포 죽음에 의해 발발한다. 이 급성 신경 세포 손상은 인접 부위에서 이차적인 신경세포 손상으로 이어진다. 1차 허혈 후 몇 시간에서 며칠 사이에 발생하는 허혈 후 염증, 세포 사멸 및 산화 스트레스는 이러한 손상과 관련이 있다. 특히, 산화 스트레스는 허혈성 손상의 후기 단계에 기여하고, 악화된 신경학적 결과를 초래한다. ROS는 대뇌 허혈(cerebral ischemia) 중에 생성되어 산화촉진제(prooxidant)와 항산화제(antioxidant)의 균형을 교란시키고, 지질, 단백질 및 핵산과 같은 세포 거대 분자를 손상시킨다. 또한 산화 스트레스는 세포 사멸과 염증을 유도하여 간접적으로 세포 손상을 유발하기도 한다. 타우린의 신경 보호 효과는 중대뇌동맥 폐색(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모델과 같은 일시적인 뇌졸중 동물 모델에서 보고되었다.
뇌에는 다량의 타우린이 포함되어 있으며, 호중구는 허혈성 뇌에 침투한다. 풍부한 타우린은 활성화된 호중구에서 MPO 시스템에 의해 생성된 차아염소산과 반응하여 타우린 클로라민을 생성한다. 타우린 클로라민을 포함하는 조성물의 선행기술로는 비만의 예방 또는 치료 용도에 관한 대한민국 등록특허 KR20130104359 및 항바이러스 용도에 관한 국제특허 WO2002028384가 개시되어 있으나, 본원발명의 허혈성 뇌질환 예방 및 치료 용도는 개시된 바 없다.
이에, 본 발명자들은 래트 중대뇌동맥폐색(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모델과 BV2 microglial(소교)세포를 사용하여, 타우린 클로라민이 MCAO에 의해 유발된 경색 부피를 감소시켰고, 신경학적 결함 및 운동 장애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또한, 타우린 클로라민은 BV2 세포에서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중대뇌동맥폐색(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모델에서도 동일한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확인함으로써,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본 발명의 목적은 타우린 클로라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타우린 클로라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타우린 클로라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은 타우린 클로라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타우린 클로라민은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키고, 경색 부피를 감소시키며, 신경학적 결함 및 운동 장애를 개선시키므로 허혈성 뇌질환을 예방 또는 치료하는데 우수한 효과가 있다.
도 1a는 타우린 클로라민 (0.1, 0.5, 1 또는 2 mg/kg) 또는 타우린 (0.5 또는 1 mg/kg)을 MCAO 후 1 시간에 비강 내로 투여하고, MCAO 후 2일에 TTC 염색한 결과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도이다.
도 1b는 도 1a에 나타난 평균 경색부피를 나타낸 도이다.
도 1c는 타우린 클로라민 (0.5 mg/kg)을 MCAO 전 1 시간 또는 후 1 또는 4 시간에 비강 내로 투여하고, MCAO 후 2 일에 TTC 염색한 결과를 나타내는 대표적인 도이다.
도1d는 도 1c에 나타난 평균 경색부피를 나타낸 도이다.
도 2a는 타우린 클로라민(0.1, 0.5, 1 또는 2mg/kg) 또는 타우린 (0.5 mg/kg)을 MCAO 후 1에 비강으로 투여하고, MCAO 2 일에 수정된 신경학적 심각도 점수(modified neurological severity scores)를 사용하여 평가한 도이다.
도 2b는 Tau-Cl (0.5 mg/kg)을 MCAO 1 시간 전 또는 1 시간 또는 4 시간 후 비강 내 투여하고, MCAO 2 일에 수정된 신경학적 심각도 점수(modified neurological severity scores)를 사용하여 평가한 도이다.
도 2c는 타우린 클로라민(0.5 mg/kg) 또는 타우린(0.5 mg/kg)을 MCAO 후 1 시간에 비강으로 투여하고, MCAO 후 2일 후 5, 10 및 15 rpm에서 로타로드 테스트(rotarod test)를 수행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a는 뇌 절편은 MCAO 후 6, 12, 18 또는 24 시간에 준비하였고, 헤마톡실린-에오신으로 염색한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3b는 MCAO 후 12, 18 또는 24 시간에 Sham 대조군과 MCAO 그룹으로부터 뇌 절편(Coronal brain sections)을 준비하고 항MPO 항체 및 DAPI로 염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a는 BV2세포에서 GCLC의 mRNA의 발현을 나타낸 도이다.
도 4b는 BV2세포에서 HO-1의 mRNA의 발현을 나타낸 도이다.
도 4c는 BV2세포에서 NQO1의 mRNA의 발현을 나타낸 도이다.
도 4d는 BV2세포에서 Prx-1의 mRNA의 발현을 나타낸 도이다.
도 4e는 BV2세포에서 GCLC, HO-1, NQO1의 immunoblotting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4f는 BV2세포에서 GCLC의 단백질 발현을 나타낸 도이다.
도 4g는 BV2세포에서 HO-1의 단백질 발현을 나타낸 도이다.
도 4h는 BV2세포에서 NQO1의 단백질 발현을 나타낸 도이다.
도 5a는 MCAO모델 래트 뇌조직에서 HO-1의 mRNA의 발현을 나타낸 도이다.
도 5b는 MCAO모델 래트 뇌조직에서 NQO1의 mRNA의 발현을 나타낸 도이다.
도 5c는 MCAO모델 래트 뇌조직에서 HO-1 및 Nrf2의 immunoblotting 결과를 나타낸 도이다.
도 5d는 MCAO모델 래트 뇌조직에서 HO-1의 단백질 발현을 나타낸 도이다.
도 5d는 MCAO모델 래트 뇌조직에서 Nrf2의 단백질 발현을 나타낸 도이다.
이하, 본 발명을 상세히 설명한다.
본 발명은 타우린 클로라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용어 "타우린 클로라민(taurine chloramine)"은 하기 [화학식 1]의 구조식을 가진다.
Figure pat00001
상기 타우린 클로라민은 경색 부피를 현저히 감소시켰고, 신경학적 결손 및 운동 기능을 개선시켰으며, 항산화 효소의 발현 수준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타우린 클로라민은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로 예방 또는 치료할 수 있는 허혈성 뇌질환으로는, 뇌졸중, 뇌경색, 뇌허혈, 혈전증(thrombosis), 색전증(embolism), 일과성 허혈 발작(transient ischemic attacks), 두부 손상(head trauma), 뇌순환대사장애, 뇌기능혼수, 외상성 뇌손상, 저산소성 뇌손상, 고혈압, 치매, 파킨슨병, 헌팅턴병, 및 루게릭병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 제제에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 희석제, 부형제 또는 이의 혼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는 조성물을 생체 내에 전달하는데 적합한 것이면 모두 사용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담체는 Merck Index, 13th ed. Merck & Co. Inc.에 기재된 화합물, 식염수, 멸균수, 링거액, 덱스트로스 용액, 말토덱스트린 용액, 글리세롤, 에탄올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필요에 따라 항산화제, 완충액, 정균제 등과 같은 통상의 첨가제를 첨가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을 제제화하는 경우, 보통 사용하는 충진제, 증량제, 결합제, 습윤제, 붕해제, 계면활성제 등의 희석제 또는 부형제를 첨가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경구용 제제 또는 비경구용 제제로 제형화될 수 있다. 경구용 제제로는 고형 제제 및 액상 제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고형 제제는 정제, 환제, 산제, 과립제, 캡슐제 또는 트로키제일 수 있고, 이러한 고형 제제는 상기 조성물에 적어도 하나 이상의 부형제를 첨가하여 조제할 수 있다. 상기 부형제는 전분, 탄산칼슘, 수크로스, 락토오스, 젤라틴 또는 이의 혼합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고형 제제는 윤활제를 포함할 수 있고, 그 예로는 마그네슘 스티레이트, 탈크 등이 있다. 한편, 상기 액상 제제는 현탁제, 내용액제, 유제 또는 시럽제일 수 있다. 이때, 상기 액상 제제에는 습윤제, 감미제, 방향제, 보존제 등 과 같은 부형제가 포함될 수 있다.
상기 비경구용 제제는 주사제, 좌제, 호흡기 흡입용 분말, 스프레이용 에어로졸제, 파우더 및 크림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주사제는 멸균된 수용액, 비수성용제, 현탁용제, 유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이때, 비수성용제 또는 현탁용제로서는 프로필렌글리콜, 폴리에틸렌글리콜, 올리브 오일과 같은 식물성 기름이나, 에틸올레이트와 같이 주사가능한 에스테르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목적하는 방법에 따라 경구 또는 비경구로 투여될 수 있다. 비경구 투여는 복강내, 직장내, 피하, 정맥, 근육내 또는 흉부내 주사 방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조성물은 약제학적으로 유효한 양으로 투여될 수 있다. 이는 질환의 종류, 중증도, 약물의 활성, 약물에 대한 환자의 민감도, 투여 시간, 투여경로, 치료기간, 동시에 사용되는 약물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나, 바람직한 효과를 위해서, 본 발명에 따른 약학 조성물에 포함되는 유효성분의 양은 0.0001 내지 1,000 ㎎/㎏, 구체적으로 0.001 내지 500 ㎎/㎏일 수 있다. 상기 투여는 하루에 1회 내지 수회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은 단독 또는 다른 치료제와 병용하여 투여될 수 있다. 병용 투여시, 투여는 순차적 또는 동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타우린 클로라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타우린 클로라민은 경색 부피를 현저히 감소시키고, 신경학적 결손 및 운동 기능을 개선시키며, 항산화 효소의 발현 수준을 증가시킨다.
따라서, 본 발명의 타우린 클로라민은 허헐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에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조성물로 예방 또는 개선할 수 있는 허혈성 뇌질환으로는, 뇌졸중, 뇌경색, 뇌허혈, 혈전증(thrombosis), 색전증(embolism), 일과성 허혈 발작(transient ischemic attacks), 두부 손상(head trauma), 뇌순환대사장애, 뇌기능혼수, 외상성 뇌손상, 저산소성 뇌손상, 고혈압, 치매, 파킨슨병, 헌팅턴병, 및 루게릭병 등을 포함하나,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건강기능식품의 형태 및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구체적으로, 상기 건강기능식품은 정제, 캅셀, 분말, 과립, 액상 및 환의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에서, 타우린 클로라민(Tau-Cl)은 타우린과 차아염소산나트륨 (sodium hypochlorite; NaOCl)의 반응에 의하여 합성하였다.
본 발명의 또다른 실시예에서, 타우린 클로라민(Tau-Cl)의 신경보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래트의 중대뇌동맥 폐색(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모델 또는 BV2 microglial(소교)세포를 이용하였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래트의 중대뇌동맥 폐색(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모델에서 타우린 클로라민(Tau-Cl)은 비강 내로 투여하였다.
본 발명의 실험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중대뇌동맥 폐색(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모델을 이용하여 경색 부피를 관찰한 결과, 타우린 클로라민(Tau-Cl)이 타우린에 비하여 허혈 후 뇌에서 경색 형성을 억제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1a 내지 d).
본 발명의 또 다른 실험예에서 본 발명자들은 중대뇌동맥 폐색(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모델을 이용하여 신경학적 결함 및 운동장애 개선 여부를 관찰하였다. 상기 신경학적 결함 정도는 수정된 신경학적 심각도 점수 (modified neurological severity scores; mNSS)를 사용하여 평가하였고, mNSS는 운동, 감각, 균형 및 반사 테스트로 구성되어 있다. 상기 운동 장애 정도는 로타로드 테스트(Rotarod test트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그 결과, 타우린 클로라민(Tau-Cl)이 타우린에 비하여 신경학적 결함 및 운동장애를 개선하는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도 2a 내지 c).
본 발명의 또 다른 실험예에서 중대뇌동맥 폐색(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모델을 이용하여 허혈 후 뇌에서 호중구의 침윤 상태를 관찰하였다. 타우린의 타우린 클로라민(Tau-Cl)으로의 전환은 주로 호중구에 의해 제공되는 MPO (myeloperoxidase)에 의해서 이루어지므로, MCAO 후에 대뇌 피질에서 호중구 및 MPO-양성세포 수가 증가함(도 3a 및 b)은 허혈 후 대뇌 피질에 호중구의 침윤이 일어났음을 의미한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험예에서 BV2 세포를 이용하여 타우린 클로라민(Tau-Cl)이 항산화효소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mRNA 및 단백질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그 결과, 타우린 클로라민은 타우린에 비하여 항산화 효소인 HO-1, Prx-1, GCLC 및 NQO1의 mRNA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고, 또한 HO-1, GCLC 및 NQO1의 단백질 발현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도 4a 내지 h).
본 발명의 또 다른 실험예에서 중대뇌동맥 폐색(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모델을 이용하여 타우린 클로라민(Tau-Cl)이 항산화효소의 발현에 미치는 영향을 mRNA 및 단백질 수준에서 확인하였다. 그 결과, 타우린 클로라민은 항산화 효소인 HO-1 및 NQO1의 mRNA 발현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고, 또한 HO-1, Nrf2의 단백질 발현도 증가시킴을 확인하였다(도 5a 내지 e).
이하, 본 발명을 하기 실시예 및 실험예에 의해 상세히 설명한다.
단, 하기의 실시예 및 실험예는 본 발명을 예시하는 것일 뿐, 본 발명의 내용이 하기 실시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타우린 클로라민(taurine chloramine; Tau-Cl)의 합성
타우린 클로라민은 타우린에 같은 몰량(equimolar amount)의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NaOCl)을 첨가하여 사용 당일 새롭게 합성하였다. 합성된 Tau-Cl의 농도는 200 내지 400nm에서 UV 흡광도를 측정하여 모니터링하였다.
<실시예 2> 중대뇌동맥폐색(middle cerebral artery occlusion; MCAO) 모델
수컷 래트(Sprague-Dawley)는 낮시간에는 조명 하에 사육하였으며, 음식과 수돗물을 자유로이 섭취하도록 하였다. 모든 동물 연구는 국립 보건원(National Institute of Health) 및 ARRIVE 지침(http://www.nc3rs.org/ARRIVE)에서 발행한 실험실 동물의 관리 및 사용을 위한 가이드에 따라 엄격하게 수행하였다. 이 연구에 사용된 동물 실험은 기관동물관리 및 사용위원회(Institutional Animal Care and Use Committee; INHA-IACUC)에 의해 검토되고, 승인되었다(승인 번호 INHA-180105-531-2).
MCAO는 다음과 같이 수행되었다. 구체적으로, 래트(체중 250 내지 300g)를 30%의 산소(oxygen)와 70% 아산화질소(nitrous oxide)가 혼합된 5%이소플루란(isoflurane)을 이용하여 마취하였고, 수술 중에는 동일한 가스 혼합물에 0.5% 이소플루란(isoflurane)으로 마취상태를 계속 유지하였다. 오른중경동맥(right middle carotid artery)을 폐색하기 위하여 4-0 나일론 봉합사(대한민국, 부산, AILEE)의 열을 가한 끝 부분(약 0.3 mm 직경)을 외경동맥(external carotid artery) 분기점에서 20 내지 22 mm의 내경동맥(internal carotid artery)에 도달하도록 하고 1시간 동안 뇌혈류를 차단하였다. MCAO는 최장 2일 동안 재관류시켰다.
광파이버형 레이저 도플러 혈류속계(laser Doppler flow meter; Periflux System 5000; Perimed, Jarfalla, Sweden)를 사용하여 국소뇌혈류량(Regional cerebral blood flowr; CBF)를 모니터링하였다. 폐색은 봉합사 삽입 후 피질(cortical) CBF가 70%이상 감소하면 성공한 것으로 간주되었다. MCAO 동안 CBF가 기준의 30% 미만으로 감소되지 않았거나 재관류 동안 혈류가 회복되지 않은 동물은 제외하였다. 수술 중 직장온도(rectal temperature)를 37.0 ± 0.5℃로 유지하기 위해 온도 조절식 가열 패드(heating pad)와 가열 램프를 사용하였다. Sham 그룹의 동물들도 비슷한 방식으로 수술을 받았지만 중뇌동맥(middle cerebral artery)은 페색되지 않았다. 동물은 무작위로 MCAO(PBS 처리된 MCAO)그룹, MCAO+타우린(타우린을 투여한 MCAO그룹, CAO+Tau-Cl(타우린 클로라민을 투여한 MCAO)그룹, Sham(MCAO 없는 가짜 수술 대조군)그룹으로 나누어졌다.
<실시예 3> 약물의 투여 방법
약물은 비강으로 투여하였다. 구체적으로, 래트를 3.75 mg/100 g 농도의 케타민(ketamine)과 0.5 mg/100 g 농도의 자일라진 하이드로클로라이드(xylazine hydrochloride)으로 근육 내 주사하여 마취시켰다. 오토클레이브된 피펫 팁(T-200-Y, Axygen, CA, USA)을 사용하여 각각 0.1, 0.5, 1 또는 2 mg/kg의 타우린 클로라민, 0.5 또는 1 mg/kg의 타우린, 또는 PBS(10 μL)를 포함하는 코 방울(nose drop)을 마취된 래트(척추 90°각도)의 각 콧구멍에 조심스럽게 넣었다. 2분 간격으로 전체 투여량(총 10 μL)이 투여될 때까지 상기 과정을 반복하였다.
<실시예 4> BV2세포의 배양
BV2 세포(murine microglial cells)는 ATCC(Manassas, VA, USA)에서 분양받았다. 세포는 10% FBS, 100 U/mL 페니실린(penicillin) 및 100 μg/mL 스트렙토마이신(streptomycin)이 보충된 DMEM 배지(Logan, UT, USA)를 사용하여, 37℃로 유지된 5% CO2 인큐베이터(incubator)에서 배양되었다.
<실시예 5> 통계학적 분석
두 시료간 비교는 Student-Newman-Keuls 테스트를 사용하였고, 다중 비교(multiple comparison)는 일원 분산 분석(one-way analysis of variance; ANOVA)을 사용하였으며, Two-tailed Student t-test는 Prism 5.0 소프트웨어 (GraphPad, San Diego, CA)로 수행하였다. , 미국). 결과는 평균±평균 표준 오차(SEM) 또는 평균±표준 편차(SD)로 표시되며, p<0.05는 통계적으로 유의한 것으로 간주하였다.
<실험예 1> MCAO 모델에서 타우린 클로라민(Tau-Cl)이 경색 형성에 미치는 영향
허혈 후 뇌에서 타우린과 타우린 클로라민의 신경 보호 효과를 확인하기 위하여, 경색 부피를 확인하는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래트는 MCAO를 실시한 후 2일 후에 희생되었으며, 뇌 조직은 금속 뇌 매트릭스(metallic brain matrix; RBM-40000, ASI, Springville, UT, USA)를 이용하여 2 mm 조각으로 절편하였다. 절편한 뇌 조직은 즉시 37℃에서 15분 동안 2% 2,3,5-트리페닐 테트라졸륨 클로라이드(2,3,5-triphenyl tetrazolium chloride; TTC)로 염색한 후, 4%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de)에 고정하였다. 경색된 조직 영역은 Scion Image(Frederick, MD, USA)를 사용하여 측정하였다. 부종과 수축을 평가하기 위하여 허혈성 병변(ischemic lesions) 영역을 (대측 반구 부피-(동측 반구 부피- 측정된 손상 부피))로 계산하였다. 경색 부피(mm3)는 합산된 단면 경색 영역에 단면 두께를 곱하여 계산하였다.
그 결과, 도 1a 및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MCAO 후 1 시간에 비강 내 투여 후 48 시간에 TTC 염색을 수행한 결과, 타우린 클로라민은 0.1 mg/kg 투여에서 효과가 없었지만, 0.5 mg/kg 투여로 경색 부피가 현저히 감소했으며 PBS를 투여한 MCAO 대조군의 61.2±5.4% (n=8, p<0.01)였다. 1 mg/kg의 Tau-Cl투여에서도 유사한 수준(69.5±6.1%, n=8, p<0.01)의 감소가 나타났다. 대조적으로, MCAO+Taurine 그룹에서는 경색 부피의 유의적 감소가 나타나지 않았는데, 이는 0.5 또는 1 mg/mL 타우린 투여가 PBS를 투여한 MCAO 대조군과 비교하여 평균 경색 부피를 각각 81.3±8.1% (n=5) 및 78.2± 8.8% (n=4)로 감소시키지 못하였기 때문이다.
또한, 도 1c 및 d에 나타난 바와 같이, MCAO 1시간 전에 타우린 클로라민(0.5 mg/kg)을 비강으로 투여했을 때, MCAO 후 2일에 평균 경색 부피가 현저하게 감소(69.7±9.3%, n=4, p<0.05)하였고, MCAO 후 4시간에 타우린 클로라민을 투여하였을 때도 경색 부피가 감소(84.5±5.4%, n=7, p<0.05)하였다. 이러한 결과는 Tau-Cl이 넓은 치료 창으로 허혈 후 뇌에서 신경 보호 효과를 발휘함을 나타냅니다.
상기의 결과는 허혈 후 뇌에서 타우린과 비교하여 타우린 클로라민의 강력한 신경 보호 효과를 시사한다.
<실험예 2> MCAO 모델에서 타우린 클로라민(Tau-Cl)이 신경학적 결손 및 운동 장애에 미치는 영향
<2-1> MCAO 모델에서 타우린 클로라민(Tau-Cl)이 신경학적 결손에 미치는 영향
타우린 클로라민이 신경학적 결손을 개선 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신경학적 심각도 점수(neurological severity scores;NSS)를 평가하였다.
구체적으로, 신경학적 결손은 MCAO 2일 후 수정된 신경학적 심각도 점수 (modified neurological severity scores; mNSS)를 사용하여 평가하였다. mNSS는 운동, 감각, 균형 및 반사 테스트로 구성되며, 모두 0 내지 18 등급으로 등급이 매겨지며 점수가 높을수록 심각한 손상을 나타낸다. 운동 점수는 2가지 상황에서 점수를 부여하여 결정되었다. 1) 꼬리로 매달린 래트의 경우, 앞다리 굴곡, 뒷다리 굴곡 또는 머리 움직임이 30초 이내에 10도 이상인지 관찰하여 0 또는 1의 점수(총 점수 0 내지 3)가 매겨졌다. 2) 바닥에 놓인 래트의 경우, 0부터 3까지의 점수가 매개졌다; 정상적인 보행의 경우 0, 똑바로 걸을 수 없는 경우 1, 마비(paretic) 쪽을 향해 빙글빙글 돌고있는 경우 2, 마비(paretic) 쪽에서 떨어지는 경우 3. 감각 테스트에는 배치검사(placement test; 0 내지 1의 점수)와 고유수용 테스트(proprioceptive test; 0 내지 1의 점수)가 포함되었다. 빔균형 테스트(beam balance test)는 균형을 테스트하기 위하여 사용되었으며, 0부터 6까지의 점수가 매겨졌다; 안정된 자세로 균형을 유지하는 경우 0, 빔의 측면을 잡는 경우 1, 빔에서 한쪽 팔다리로 빔을 포옹하는 경우 2, 빔과 두 팔다리를 빔에서 껴안거나 60초 동안 빔 주위를 회전하는 경우 3, 빔에서 균형을 잡으려고 하지만 20 내지 40 초 이내에 떨지는 경우 4, 빔에서 균형을 잡으려고 하지만 20 초 이내에 떨어지는 경우 5, 균형을 맞추거나 빔에 매달리지 않는 경우 6. 반사 테스트 점수는 다음 4개 항목(총 점수 0 내지 4)으로 점수가 매겨졌다; 귓바퀴 반사 0 내지 1, 각막 반사 0 내지 1, 놀라움 반사 0 내지 1; 발작, 간대성근경련(myoclonus) 또는 근장력장애(myodystony) 0 내지 1.
그 결과, 도 2a에 나와있는 바와 같이, MCAO 2일 후 평균 mNSS는 MCAO-PBS 대조군의 경우 13.6±0.5 (n=5)로 나타났다(도 2A). MCAO+Taurine 그룹의 평균 mNSS는 MCAO-PBS 대조군과 크게 다르지 않았다. 그러나 타우린 클로라민을 투여한 그룹에서는, 0.5 mg/kg인 경우 8.8±1.1 (n= 5, p <0.01)이고, 1 mg/kg의 경우 8.8±0.7 (n=5, p<0.01)로 MCAO-PBS 대조군에 비하여 유의하게 점수가 낮았다.
또한, 도 2b에 나타난 바와 같이, MCAO 1시간 전 또는 4시간 후에 타우린 클로라민을 투여한 두 MCAO+TauCl 그룹의 평균 mNSS는 MCAO+PBS 대조군의 평균 mNSS보다 상당히 낮았다.
상기의 결과는 타우린 클로라민 투여로 인하여 신경학적 결손이 현저하게 개선됨을 나타낸다.
<2-2> MCAO 모델에서 타우린 클로라민(Tau-Cl)이 운동 장애에 미치는 영향
타우린 클로라민이 운동 장애를 개선 할 수 있는지 여부를 확인하기 위하여, 로타로드 테스트(Rotarod test)를 하였다.
구체적으로, MCAO 24 시간 전에, 래트를 회전하는 스핀들에 머물 수 있을 때까지 180초 동안 일정한 속도(3 rpm)로 로타로드 장치에서 적응시켰다. 각 래트는 MCAO 2일 후 5, 10 또는 15 rpm에서 로타로드 테스트를 받았고, 로타로드의 체류 시간이 측정되었다.
그 결과, 도 2c에 나타난 바와 같이, MCAO 2일 후 5 rpm에서 로타로드 테스트를 하였을 때, MCAO+Tau-Cl (0.5 mg/kg, MCAO 후 1 시간)그룹이 로타로드에 체류한 평균 시간은 Sham 대조군과 거의 동일하였다. 10 rpm에서 MCAO+Tau-Cl 그룹이 로타로드에 체류한 평균 시간은 PBS+MCAO 대조군 및 MCAO+Taurine 그룹보다 상당히 길었다. 흥미롭게도 15 rpm에서 MCAO+Tau-Cl 그룹의 로타로드에 소요된 평균 시간은 5 또는 10 rpm에서보다 현저히 짧았지만 PBS+MCAO 대조군보다 훨씬 더 높았다.
상기의 결과는 타우린 클로라민의 신경 보호 효과가 운동 장애 및 신경학적 결손의 개선을 동반함을 시사한다.
<2-3> 타우린 클로라민이 생리학적 매개 변수에 미치는 영향
타우린 클로라민이 생리학적 매개 변수에 미치는 영향을 확인하기 위하여 왼쪽 대퇴 동맥에 캐뉼러를 삽입하여 pH, PaO2, PaCO2 및 혈당 농도를 분석하였다 (I-STAT; Sensor Devices, Waukesha, WI, USA).
그 결과, 하기 표 1에 나타난 바와 같이, pH, PaO2, PaCO2 및 혈당은 MCAO+ Tau-Cl, MCAO+Taurine 및 MCAO+PBS 그룹에서 유사하였다(means±SD, n=3).
Vehicle-treated group (n=3)
TauCl-treated group(n=3)
Base During ischemia Base During ischemia
직장온도(℃) 36.1±0.3* 36.5±0.5 36.0±0.6 36.1±0.2
pH 7.5±0.1 7.4±0.1 7.5±0.1 7.4±0.1
PaO 2 (mmHg) 82.3±4.6 89.0±12.2 91.0±10.6 74.7±0.6
PaCO 2 (mmHg) 34.3±7.4 43.8±3.0 36.9±6.1 36.2±4.7
혈당 (mg/dL) 111.3±12.1 115.7±7.1 106.7±3.1 107.3±3.1
<실험예 3> 허혈 손상(ischemic insult) 후 뇌 실질(brain parenchyma)에 호중구(Neutrophils)의 침윤 확인
<3-1>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Hematoxylin and eosin;H&E) 염색을 이용한 호중구(Neutrophils)의 침윤 확인
호중구(Neutrophils)는 허혈성 뇌의 손상된 부위 주변에 축적되는 최초의 혈액 유래 세포이다. 따라서, 허혈 후 뇌에서 호중구 침윤을 조사하기 위하여, 헤마톡실린 및 에오신(Hematoxylin and eosin;H&E) 염색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동물을 마취하고 식염수로 심장 관류를 한 다음, 4% 파라포름 알데히드(paraformaldehyde)로 씻어 내었다. 뇌를 4℃에서 48시간 동안 동일한 고정액에 담근 후 브레그마(bregma) -1 에서 3 mm까지로 자르고, 삽입 카세트(embedding cassettes)에 넣었다. 조직을 70%, 80%, 90%, 100% 알코올에 각각 1 시간 동안 담구어 탈수시킨 후, 20 내지 22℃에서 밤새 100% 알코올에 담가두었다. 조직 간극(Tissue clearance)은 자일렌(xylene)에 각각 30분 동안 2회 침지시킨 후, 파라핀(paraffin)에 각각 1 시간 동안 3회 침지하여 수행하였다. 조직을 파라핀 블록에 매립하고 마이크로톰(microtome)으로 8 μm 절편을 만들었다. 절편된 조직을 자일렌(xylene)에서 3분 동안 2회 탈파라핀화(deparaffinized)하고 100%, 90%, 80% 및 70% 알코올에 3분 동안 담가 재수화(rehydrated)하였다. H&E 염색을 위해 슬라이드를 Mayer의 헤마톡실린(Hematoxylin) 용액에 1분 동안 담근 다음 0.1% 산성 알코올로 옮겨 배경을 줄이고, 에오신(eosin) 용액에서 30초 동안 처리하였다.
그 결과, 도 3a에 나타난 바와 같이, Sham 그룹(c)에서 호중구는 도 3a에서 블랙 박스로 표시된 대뇌 피질(cerebral cortex)을 포함하여 뇌 전체에서 거의 보이지 않았다. 그러나 MCAO+PBS 그룹에서 호중구는 MCAO 후 6시간에 검출되었으며 호중구의 수는 MCAO 후 18시간까지 증가하였다.
<3-2> 면역조직화학(immunohistochemistry)을 이용한 호중구(Neutrophils)의 침윤 확인
호중구에 포함된 골수세포형 과산화효소(myeloperoxidase; MPO)에 의해 타우린이 타우린 클로라민으로 전환되는 것으로 알려져있다. 따라서, 호중구 침윤을 관찰하기 위하여, MPO의 면역학적 염색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MCAO 후 지정된 시간에 동물을 희생시키고, 뇌를 경심 관류(transcardiac perfusion)에 의해 4% 파라포름알데히드(paraformaldehyde)에 고정시킨 다음, 4℃의 동일한 용액에 밤새 두었다. 뇌 절편(20 μm)은 비브라톰(vibratome)을 사용하여 자르고 면역학적 염색은 하기와 같이 수행하였다. 항 MPO 1차 항체는 1:200으로 희석하여 사용하였다. 0.1% Triton X-100을 포함하는 PBS로 세척한 후, 절편을 항토끼 IgG (Vector Laboratories, Burlingame, CA)가 포함된 PBS로 20 내지 22℃에서 1시간 동안 배양하였고, HRP/3,3-diaminobenzidine시스템(Vector Laboratories, Burlingame, CA, USA)을 사용하여 시각화하였다. 이중 형광 염색을 위해, 고정된 뇌 조직을 4℃에서 밤새 항MPO (1:200)항체 용액에 담갔다. PBS로 3회 세척한 후, 절편을 20℃에서 1시간 동안 로다민이 결합된 항토끼 IgG (rhodamine-conjugated anti-rabbit IgG; Jackson ImmunoRes Lab, West Grove, PA, USA)가 포함된 PBS(1:200)에서 배양하였다. 핵을 시각화하기 위하여 뇌 절편을 4',6-diamidino-2-phenylindole(DAPI)로 염색하였고, 형광 현미경(Axioplan 2, Zeiss, Oberkochen, Germany)으로 관찰하였다.
그 결과, 도 3b에 나타난 바와 같이, 항MPO 항체 및 DAPI로 형광 염색한 MCAO 후 12, 18 또는 24 시간에 얻은 뇌 샘플은 호중구가 뇌 실질(brain parenchyma), 혈관 내 (intravascular) 및 혈관 주변(perivascular) 영역에 존재함을 보여주었다.
또한, MPO 양성 세포의 수가 MCAO 후 18 시간에 증가하는 것을 확인하였다. 상기의 결과는 호중구가 허혈성 대뇌 피질(cerebral cortex)로 침투하는 것을 더욱 지원한다는 것을 시사한다.
<실험예 4> BV2 세포에서 타우린 클로라민(Tau-Cl)이 항산화 효소 발현에 미치는 영향
항산화 효소는 신경병리 질환(neuropathological diseases) 환자의 뇌에서 활성산소(Reactive oxygen species; ROS)를 제거하고, 타우린 클로라민은 항산화 효소의 수준을 증가시킬 수 있음이 알려져 있다. 따라서, BV2 세포에서 항산화 효소의 발현에 대한 타우린 및 TauCl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qRT-PCR 및 웨스턴블롯(Western blotting)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TRI 시약(MRC, Cincinnati, OH, USA)을 사용하여 BV2 세포에서 Total RNA를 추출한 다음 제조업체의 프로토콜(Takara Bio, Tokyo, Japan)에 따라 역전사하고, Applied Biosystems StepOne 기기(Foster City, CA, USA)와 SYBR Green PCR Master Mix(Toyobo, Osaka, Japan) 및 하기 표2의 프라이머(Bioneer, Daejeon, Korea)를 사용하여 정량적 PCR을 수행하였다.
프라이머 서열(5'-3') 서열번호
GCLC 정방향 CCTTCTGGCACAGCACGTTG 1
역방향 TAAGACGGCATCTCGCTCCT 2
HO-1 정방향 AAGCCGAGAATGCTGAGTTCA 3
역방향 GCCGTGTAGATATGGTACAAGGA 4
NQO1 정방향 AGAGGCTCTGAAGAAGAGAGG 5
역방향 CACCCTGAAGAGAGTACATGG 6
Prx-1 정방향 CACTGACAAACATGGGGAAGT 7
역방향 TTTGCTCTTTTGGACATCAGG 8
MPO 정방향 ACCTACCCCAGTACCGATCC 9
역방향 AACTCTCCAGCTGGCAAAAA 10
GAPDH 정방향 CCTTCCGTGTTCCTACCCC 11
역방향 CCCAAGATGCCCTTCAGT 12
웨스턴블롯(Western blotting)을 수행하기 위하여, BV2 세포를 20 mM Tris-HCl(pH 8.0), 150 mM NaCl, 1mM EDTA, 1% Triton X-100, 20μg/mL 키모스타틴(chymostatin), 10 μM 류펩틴(leupeptin) 및 2 mM 페닐메틸설포닐 플루오라이드(phenylmethylsulfonyl fluoride; PMSF)을 이용하여 용해하였다. 총 단백질 (20 내지 30 μg)은 SDS-PAGE에 의해 분리되었다. 분해된 단백질을 폴리비닐리덴 플로라이드 막(polyvinylidene fluoride membranes; BioRad, Hercules, CA, USA)으로 옮기고 블롯을 HO-1(Enzo, East Farmingdale, NY, USA), glutamate-cysteine ligase modifier(GCLM) 및 MPO(Abcam, Cambridge, UK), NQO1 및 Ner2(Santa Cruz Biotech, Santa Cruz, CA, USA), Prx-1 (Frontiers, Seoul, Korea) 및 β-actin 항체와 반응시켰다. 그 후에, 화학발광키트(chemiluminescence kit; Amersham, Arlington Heights, IL, USA)를 사용하여 현상하였다. Image J 소프트웨어(NIH, Bethesda, MD, USA)를 사용하여 스캔된 필름의 강도를 측정하여 정량하였다.
HO-1의 mRNA 및 단백질 발현은 각각 6 내지 12 시간 및 12시간에 최대치에 도달한 결과(데이터는 표시되지 않음)를 바탕으로, BV2 세포를 6시간 동안 처리하여 mRNA 발현을 측정하였고,12 시간 동안 처리하여 단백질 발현을 측정하였다.
항산화 효소의 mRNA 발현을 살펴본 결과, 도 4a 내지 4d에 나타난 바와 같이, BV2 세포에 타우린 클로라민을 처리한 경우, 대조군에 비해 항산화 효소의 mRNA 발현이 증가되었으며, 0.2 내지 0.5 mM 사이의 농도에서 가장 높은 발현이 관찰되었다. 또한, 타우린 클로라민의 처리는 대조군에 비해 각각 0.2 및 0.5mM에서 HO-1(11.4 및 9.2배) 및 NQO1(25.8 및 28.2배)의 발현을 현저하게 증가시켰다. 또한, 대조군과 비교하여 각각 0.2 및 0.5 mM에서 GCLC(2.1 및 1.8배) 및 Prx-1 (2.3 및 2.3배)의 발현을 증가시켰다. 이와 대비하여, 타우린은 HO-1(0.2 및 0.5 mM에서 1.5 배) 및 Prx-1(0.5 mM에서 1.2 배)의 발현을 조금이지만 유의적으로 증가시켰으나, GCLC 및 NQO1 발현에는 유의적인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항산화 단백질의 발현을 살펴본 결과, 도 4e 내지 4h에 나타난 바와 같이, 타우린 클로라민은 대조군에 비해 GCLM, HO-1 및 NQO1의 발현도 증가시켰다. 그러나 타우린은 상기 단백질의 발현에 큰 영향을 미치지 않았다. 또한 mRNA 수준은 0.2 내지 0.5 mM의 타우린 클로라민이 가장 높았지만 단백질 발현 수준은 0.7 mM의 농도까지 상승된 상태로 유지되었다. 한편, Prx-1의 단백질 발현은 검출되지 않았는데, 이는 Prx-1이 미세아교세포(microglia cell)보다 희돌기교세포(oligodendrocytes)에서 많이 발현된다는 이전의 발견을 뒷받침한다.
<실험예 5> MCAO 모델에서 타우린 클로라민(Tau-Cl)이 항산화 효소 발현에 미치는 영향
MCAO 모델에서 항산화 효소의 발현에 대한 타우린 및 TauCl의 효과를 평가하기 위하여, qRT-PCR 및 웨스턴블롯(Western blotting) 실험을 수행하였다.
구체적으로, 대뇌 피질(cerebral cortex)의 뇌 절편에서 Total RNA를 추출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기 실험예 4에 나온 qRT-PCR과 동일하게 실험하였다. 또한, 대뇌 피질의 뇌 조각을 20 μg/mL 키모스타틴(chymostatin), 10 uM 류펩틴(leupeptin) 및 2 mM PMSF를 포함하는 방사성 면역 침전 분석 완충액 (radioimmunoprecipitation assay buffer; 50 mM Tris-HCl, pH 7.4, 1% NP-40, 0.25% sodium deoxycholate, 150 mM NaCl)으로 용해한 것을 제외하면, 상기 실험예 4에 나온 웨스턴블롯(Western blotting)과 동일하게 실험하였다.
항산화 효소의 mRNA 발현을 살펴본 결과, 도 5a 및 b에 나타난 바와 같이, MCAO 후 24시간의 뇌에서 HO-1 및 NQO1의 mRNA 발현이 증가하였으나, MCAO+Tau-Cl 그룹에서 더 크게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NQO1 발현의 증가는 MCAO+Taurine 그룹에서도 관찰되었으나, MCAO+Tau-Cl 그룹에서 더 크게 증가하였고, 이는 타우린 클로라민이 허혈 후 뇌에서 더 큰 항산화 효과를 발휘함을 나타낸다.
항산화 단백질의 발현을 살펴본 결과, 도 5c 내지 5e에 나타난 바와 같이, HO-1 및 Nrf2의 단백질 발현은 상기의 mRNA 발현과 유사한 결과를 보였지만, RNA 수준만큼 두드러지지는 않았다.
상기의 결과는 MCAO 동물에서 관찰된 강력한 신경 보호 효과가 타우린 클로라민의 항산화 효과에 기인할 수 있음을 나타낸다.
<110> Inha University Research and Business Foundation <120> Pharmaceutical composition for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ischemic brain diseases containing taurine chloramine as an active ingredient <130> 2021P-02-008 <160> 12 <170> KoPatentIn 3.0 <210> 1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CLC forward primer <400> 1 ccttctggca cagcacgttg 20 <210> 2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CLC reverse primer <400> 2 taagacggca tctcgctcct 20 <210> 3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O-1 foward primer <400> 3 aagccgagaa tgctgagttc a 21 <210> 4 <211> 23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HO-1 reverse primer <400> 4 gccgtgtaga tatggtacaa gga 23 <210> 5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QO1 foward primer <400> 5 agaggctctg aagaagagag g 21 <210> 6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NQO1 reverse primer <400> 6 caccctgaag agagtacatg g 21 <210> 7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x-1 foward primer <400> 7 cactgacaaa catggggaag t 21 <210> 8 <211> 21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Prx-1 reverse primer <400> 8 tttgctcttt tggacatcag g 21 <210> 9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PO foward primer <400> 9 acctacccca gtaccgatcc 20 <210> 10 <211> 20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MPO reverse primer <400> 10 aactctccag ctggcaaaaa 20 <210> 11 <211> 19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foward primer <400> 11 ccttccgtgt tcctacccc 19 <210> 12 <211> 18 <212> DNA <213> Artificial Sequence <220> <223> GAPDH reverse primer <400> 12 cccaagatgc ccttcagt 18

Claims (13)

  1. 타우린 클로라민(Taurine Chlorami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우린 클로라민은 타우린과 차아염소산나트륨(sodium hypochlorite; NaOCl)의 반응에 의하여 합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혈성 뇌질환은 뇌졸중, 뇌경색, 뇌허혈, 혈전증(thrombosis), 색전증(embolism), 일과성 허혈 발작(transient ischemic attacks), 두부 손상(head trauma), 뇌순환대사장애, 뇌기능혼수, 외상성 뇌손상, 저산소성 뇌손상, 고혈압, 치매, 파킨슨병, 헌팅턴병, 및 루게릭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 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우린 클로라민(Taurine Chloramine)은 신경학적 결함을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우린 클로라민(Taurine Chloramine)은 운동 장애를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허혈성 뇌질환은 허혈 후 뇌 조직으로 호중구의 침윤이 일어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타우린 클로라민(Taurine Chloramine)은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8. 제7항에 있어서, 상기 항산화 효소는 헴산화효소(heme oxygenase; HO), NADPH:퀴논산화환원효소(NADPH:quinone oxidoreductase; NQO), 글루타티온과산화효소(glutathione peroxidase; GPx), 퍼옥시레독신(peroxiredoxin; Prx) 및 글루탐산염 시스타인 연결효소(glutamate-cysteine ligase; GCL)를 포함하는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종 이상의 효소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9. 타우린 클로라민(Taurine Chloramine)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허혈성 뇌질환은 뇌졸중, 뇌경색, 뇌허혈, 혈전증(thrombosis), 색전증(embolism), 일과성 허혈 발작(transient ischemic attacks), 두부 손상(head trauma), 뇌순환대사장애, 뇌기능혼수, 외상성 뇌손상, 저산소성 뇌손상, 고혈압, 치매, 파킨슨병, 헌팅턴병, 및 루게릭병으로 이루어진 군으로 부터 선택된 1종 이상의 질환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1.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우린 클로라민(Taurine Chloramine)은 신경학적 결함을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2.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우린 클로라민(Taurine Chloramine)은 운동 장애를 개선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13. 제9항에 있어서, 상기 타우린 클로라민(Taurine Chloramine)은 항산화 효소의 발현을 증가시키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개선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
KR1020210027338A 2021-03-02 2021-03-02 타우린 클로라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KR2022012386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338A KR20220123869A (ko) 2021-03-02 2021-03-02 타우린 클로라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338A KR20220123869A (ko) 2021-03-02 2021-03-02 타우린 클로라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3869A true KR20220123869A (ko) 2022-09-13

Family

ID=8328666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338A KR20220123869A (ko) 2021-03-02 2021-03-02 타우린 클로라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3869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7174102B2 (ja) ミトコンドリア機能向上と、神経変性疾患および認知障害治療とのための組成物および方法
Sifuentes-Franco et al. The role of oxidative stress, mitochondrial function, and autophagy in diabetic polyneuropathy
Zhu et al. Regulation of autophagy by extracellular signal-regulated protein kinases during 1-methyl-4-phenylpyridinium-induced cell death
US8216599B2 (en) Method for treatment of inflammation
WO2008016095A1 (fr) REMÈDE PRÉVENTIF OU CURATIF POUR LES KÉRATOCONJONCTIVITES CONTENANT UN ACTIVATEUR DE Nrf2 EN TANT QUE MATIÈRE ACTIVE
US20080166420A1 (en) Krill Oil Compositions
KR20090020285A (ko) 멜리사엽 추출물 분획 및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
Cai et al. Allicin alleviated learning and memory deficits caused by lead exposure at developmental stage
Halim et al. Effect of Ocimum sanctum (Tulsi) and vitamin E on biochemical parameters and retinopathy in streptozotocin induced diabetic rats
US20140011756A1 (en) Method for Treatment of Inflammation
Tsai et al. Suppression of Fas ligand expression on endothelial cells by arsenite through reactive oxygen species
US20110229449A1 (en) Prophylaxis and treatment of macular degeneration and retinopathy using a prdx protein
CN114728876A (zh) 姜黄素类组合物及其处理肺纤维化的治疗潜力
KR20220123869A (ko) 타우린 클로라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허혈성 뇌질환의 예방 또는 치료용 약학적 조성물
Li et al. New insights into vascular aging: emerging role of mitochondria function
Sultan Reviewing the protective role of antioxidants in oxidative stress caused by free radicals
EP2585057B1 (en) Methods of treatment using sterculic acid
EP1976496A1 (fr) Approche therapeutique globale dans le traitement des maladies neurodegeneratives
JP2010539079A (ja) スコパロンの新規な用途
Naik et al. Role of Natural plant extracts for potential Antileishmanial targets–In-depth review of the molecular mechanism
JPH07242547A (ja) 糖尿病性単純網膜症の進行阻止剤乃至治療剤
JP2021511328A (ja) 脱毛の予防または軽減のための、有効成分としてダンニオンを含む組成物
RU2804300C2 (ru) Деметилирование для лечения глазного заболевания
EP4338798A1 (en) Pharmaceutical preparation containing genistein for use in the prevention or treatment of glaucoma and/or ocular hypertension
KR102655961B1 (ko) 4-헥실레조르시놀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노화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