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3868A -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3868A
KR20220123868A KR1020210027336A KR20210027336A KR20220123868A KR 20220123868 A KR20220123868 A KR 20220123868A KR 1020210027336 A KR1020210027336 A KR 1020210027336A KR 20210027336 A KR20210027336 A KR 20210027336A KR 20220123868 A KR20220123868 A KR 2022012386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fixing
patient
fixing unit
hea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733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1398B1 (ko
Inventor
표성운
허현아
박수현
Original Assignee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2733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1398B1/ko
Publication of KR2022012386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3868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1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1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7Tube stabiliz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61Nasoendotracheal tub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06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secured by using devices worn by the patient, e.g. belts or harn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8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having a mainly rigid support structur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Hemat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 Solid-Sorbent Or Filter-Aiding Compositions (AREA)
  • Clamps And Clips (AREA)
  • External Artificial Organ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환자의 안면부와 비접촉하는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 구체적으로 환자의 머리둘레를 따라 머리에 고정되는 수평 고정부를 포함하는 머리 고정부; 상기 머리 고정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환자의 이마 전방에 위치하고, 접철 구조를 가지며 튜브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튜브 고정부; 및 상기 머리 고정부와 상기 튜브 고정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환자의 기관으로 삽관된 튜브를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시키고, 상기 튜브 고정부를 접어서 환자의 기관으로 삽관된 튜브를 고정할 수 있는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에 관한 것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는 환자의 안면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되게 위치하여 안면부와 잦은 접촉으로 발생 가능한 피부질환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구강 및 악안면 수술시 안정적인 삽관을 유지할 수 있고, 환자의 이마 전방에 위치되어 환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고, 삽관된 튜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튜브가 꺽이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튜브가 받을 수 있는 충격을 완충하면서 튜브의 고정력은 향상할 수 있다.

Description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Nasotracheal Intubation Fixing Device}
본 발명은 환자의 안면부와 이격되게 위치하는 삽관 튜브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전신 마취에 있어 안전한 기도 관리는 필수적이며 이를 위하여 여러 가지 기도 관리 방법이 개발되었다. 기관내 삽관은 해부학적으로 볼 때 경구 삽관, 경비 삽관, 경기관 삽관으로 나눌 수 있는데, 경비 기관내삽관술은 개구가 불량하거나 구강 및 턱, 안면 수술시 수술 시야를 확보하기 위해서 선택적으로 시행하게 되며 직접 후두경을 이용하기 어려운 경우에는 굴곡성 기관지경을 사용할 수 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972859호(2019.04.22.)
삽입된 기관내 삽관튜브(endotracheal tube)를 고정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반창고를 이용하여 튜브를 고정하였으나, 삽입된 깊이가 적당하지 않으면 다시 반창고를 떼었다가 적당한 깊이로 삽입한 후 다시 반창고로 고정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고, 반창고에 도포된 접착제로 인한 피부 질환발생 염려도 있었다. 또한, 반창고에 의한 고정은 고정력이 강하지 않아 환자의 타액 분비물에 의하여 반창고가 잘 떨어질 수 있었고, 자칫 소아나 영유아의 경우 심각한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반창고로 고정하더라도 튜브가 기관내에서 확실히 고정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삽관된 튜브가 의도된 위치에서 이탈됨에 따라 구강 및 기관 내에 상처가 생겨 상처에 세균 및 병원균이 침투함으로써 2차 감염의 위험이 있고, 환자가 의식적으로나 무의식적으로 반창고를 쉽게 떼내고, 튜브를 제거할 수 있어 심각한 응급상황이 발생될 수 있다는 문제가 있었다.
이에, 본 발명은 삽관된 튜브가 이탈되지 않도록 고정력을 강화하고, 안면부와의 접촉을 최소화하여 잦은 접촉으로 인한 피부질환 가능성을 감소시키며, 구강 및 악안면 수술시 안정적인 삽관을 유지할 수 있고, 환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는 위치에 위치하는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은 환자의 머리둘레를 따라 머리에 고정되는 수평 고정부를 포함하는 머리 고정부; 상기 머리 고정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환자의 이마 전방에 위치하고, 접철 구조를 가지며 튜브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튜브 고정부; 및 상기 머리 고정부와 상기 튜브 고정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환자의 기관으로 삽관된 튜브를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시키고, 상기 튜브 고정부를 접어서 환자의 기관으로 삽관된 튜브를 고정하는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머리 고정부에는 상기 수평 고정부와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 고정부가 포함되고, 상기 수직 고정부는 환자의 측두부 및 정수리에 고정되는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상기 튜브 고정부는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재는 튜브의 일부 면을 고정하는 제1 오목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는 다른 면을 고정하는 제2 오목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고정부재는 힌지로 결합되어 상기 접철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힌지결합을 중심으로 접어서 튜브를 고정하는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재 외면에는 곡면의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의 조절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 내면에는 1개 이상의 조절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 돌기는 상기 조절 홈에 삽입되며 상기 튜브 고정부의 접힘 정도를 고정할 수 있는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고정부재의 내면에는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튜브 고정부는 제1 교차부재 및 제2 교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교차부재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의 제1 핑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교차부재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의 제2 핑거가 형성되며, 상기 튜브 고정부를 접으면 상기 제1 핑거와 상기 제2 핑거가 깍지를 끼어 상기 삽관된 튜브를 고정할 수 있는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교차부재 및 상기 제2 교차부재는 내면에는 곡면이 형성된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제1 교차부재 및 상기 제2 교차부재는 내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된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또한, 상기 연결부재는 구(sphere)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재와 구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함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함몰부재에 삽입되어 구면(球面)을 따라 회전 가능한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를 제공한다.
본 발명에 따른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는 환자의 안면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게 위치되게 위치하여 안면부와 잦은 접촉으로 발생 가능한 피부질환 가능성을 감소시키고, 구강 및 악안면 수술시 안정적인 삽관을 유지할 수 있으며, 환자의 이마 전방에 위치되어 환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삽관된 튜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되어 튜브가 꺽이지 않도록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으며, 튜브가 받을 수 있는 충격을 완충하면서 튜브의 고정력은 향상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의 개략적인 구성을 도시한 것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튜브 고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 고정부의 구성을 사시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 고정부의 구성을 평면도로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 고정부가 개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 고정부가 개방된 상태를 평면도로 나타낸 것이다.
도 8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튜브 고정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9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의 구성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0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연결부가 머리 고정부와 튜브 고정부와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이하 설명하는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이하 설명하는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이하 설명하는 기술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10에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른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의 구성이 도시되어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을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하기의 구현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구현예에 의해 본 발명의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 및 도 2는 본 발명의 하나의 구현예에 따른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도 1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삽관 튜브 고정장치는 머리 고정부(100), 튜브 고정부(200) 및 연결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머리 고정부(100)는 수평 고정부(110)와 수직 고정부(120)를 포함할 수 있다. 수평 고정부(110)는 환자의 이마에서 후두부를 지나 다시 이마까지 머리의 둘레 부분을 고정하는 곳일 수 있다. 수평 고정부(110)는 환자의 머리 둘레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환자의 머리 둘레에 상응하는 길이가 되도록 수평 고정부(11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1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조절 부재는 수평 고정부(110)의 한쪽 측두부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수직 고정부(120)는 환자의 측두부 및 정수리에 고정되는 부재로써, 수평 고정부와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수직 고정부(120)는 수평 고정부(110)의 일측에서 측두부 및 정수리를 지나 타측으로 연결되고, 수평 고정부(110)가 고정됨에 따라 수직 고정부(120)도 측두부 및 정수리의 길이에 맞게 고정될 수 있다. 수직 고정부(120)는 환자의 머리의 크기가 일정하지 않으므로 환자의 머리 크기에 상응하도록 수직 고정부(120)의 길이를 조절할 수 있는 제2 조절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2 조절 부재는 수직 고정부(120)의 정수리 방향에 위치될 수 있다.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튜브 고정부(200)는 환자의 기도 확보를 위해 삽관된 튜브의 일부를 수용하고, 고정하기 위한 부재로써, 환자의 안면부에 부착하는 방식의 종래 기술은 환자의 피부에 자극이 가며, 안면부에 고정되는 힘이 약하여 삽관된 튜브가 이탈하고 꺽일 수 있어 산소 공급이 필요한 환자에게 치명적인 결과를 초래할 수 있다. 따라서 튜브 고정부(200)는 환자의 시야를 방해하지 않도록 환자의 이마에서 전방을 향해 일정 거리 이격되도록 위치되고, 환자의 안면부에 불편감, 이물감을 초래하지 않도록 환자의 안면부와 비접촉 방식으로 위치될 수 있다. 또한, 튜브 고정부(200)는 삽관된 튜브의 길이 방향을 따라 길게 형성될 수 있어 튜브를 안정적으로 지지할 수 있다.
튜브 고정부(200)는 접철 구조를 가지며 삽관된 튜브의 일부를 수용하는 공간이 형성되어, 튜브 고정부(200)를 접으면 삽관된 튜브를 고정하고, 펼치면 삽관된 튜브를 고정하지 않을 수 있다.
하나의 실시 예로, 도 3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튜브 고정부(200)는 제1 고정부재(210) 및 제2 고정부재(2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210)와 제2 고정부재(220)는 단부가 힌지로 결합되어 튜브 고정부(200)의 접철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210)의 내면에는 제1 오목 곡면이 형성되어 삽관된 튜브의 일부 면을 고정하고, 제2 고정부재(220)의 내면에는 제2 오목 곡면이 형성되어 삽관된 튜브의 다른 면을 고정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210)의 제1 오목 곡면과 제2 고정부재(220)의 제2 오목 곡면의 사이에는 삽관된 튜브의 일부를 수용할 수 있는 수용공간이 형성될 수 있다. 수용공간에 수용된 튜브는 제1 고정부재(210)와 제2 고정부재(220)를 힌지를 중심으로 접어 고정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210)의 외면에는 곡면의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의 조절 홈(211)이 형성되고, 제2 고정부재(220) 내면에는 1개 이상의 조절 돌기(221)가 형성될 수 있다. 조절 돌기(221)는 조절 홈(211)에 상응하는 형상으로 형성되고, 조절 홈(211)에 삽입될 수 있다. 조절 돌기(221)은 삽관된 튜브의 직경 크기에 따라 조절 홈(211)을 달리하여 삽입될 수 있다. 조절 돌기(221)는 삽관된 튜브의 직경 크기가 증가할수록 제1 고정부재(210)의 말단부와 가까운 곳에 위치한 조절 홈(211)에 삽입될 수 있다.
튜브 고정부(200)에는 완충부재(24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1 고정부재(210)의 제1 오목곡면과 제2 고정부재(220)의 제2 오목곡면에는 완충부재가 위치하여 수용되는 튜브에 가해지는 충격을 완화할 수 있고, 완충부재(240)가 튜브와 밀착하여 튜브 고정부(200)가 튜브의 고정력을 향상시킬 수 있다. 또한, 완충부재(240)는 튜브와의 마찰력으로 튜브가 미끄러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완충부재(240)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연질 폴리우레탄 폼, 경질 폴리우레탄 폼, 폴리스티렌 폼, 폴리에틸렌 폼, 폴리프로필렌 폼, 실리콘 폼 등의 발포플라스틱, 실리콘, 고무 등의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튜브 고정부(200)는 제1 교차부재(250) 및 제2 교차부재(270)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교차부재(250)의 측단부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의 제1 핑거(260)가 형성될 수 잇고, 제2 교차부재(270)의 측단부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의 제2 핑거(280)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핑거(260)와 제2 핑거(280)는 서로 엇갈리게 위치되어 튜브 고정부(200)를 접으면 제1 핑거(260)과 제2 핑거(280)은 서로 맞물리며 깍지를 낄 수 있다. 제1 핑거(260)와 제2 핑거(280)는 삽관된 튜브 직경의 크기에 따라 깍지를 끼는 정도를 달리하여 튜브를 고정할 수 있다. 제1 핑거(260) 및 제2 핑거(280)의 내면에는 튜브를 수용하기 위한 오목한 곡면이 형성되어 제1 핑거(260)의 오목한 곡면은 튜브의 일부면를 고정하고, 제2 핑거(280)의 오목한 곡면은 튜브의 다른 일부면을 고정할 수 있다.
도 8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제1 교차부재(250)과 제2 교차부재(270)는 힌지 결합하여 접철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교차부재(25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제1 결합부(251)가 형성되고, 제2 교차부재(270)에는 길이 방향을 따라 일정한 간격으로 이격된 복수개의 제2 결합부(271)가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부(251)는 복수개의 제2 결합부(271)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고, 제1 결합부(251)가 제2 결합부(271)와 접촉되는 면은 튜브 고정부(200)가 접히거나 펼쳐지는 경우 마찰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튜브 고정부(200)는 마찰면에서 발생되는 마찰력으로 튜브를 고정할 수 있다. 제1 교차부재(250)와 제2 교차부재(270)에는 제1 결합부(251)의 원형 단면과 제2 결합부(271)의 원형 단면를 동시에 수직으로 관통하는 힌지결합을 형성하여 접철구조를 형성할 수 있다.
제1 교차부재(250) 및 제2 교차부재(270)의 각각의 단부에는 조작부(252)가 형성되어 튜브 고정부(200)를 펼칠 때 제1 교차부재(250) 및 제2 교차부재(270)의 조작부(252)를 서로 가까워지는 방향으로 눌러 펼칠 수 있고, 튜브 고정부(200)를 접을 때 제1 교차부재(250) 및 제2 교차부재(270)의 조작부(252)를 서로 멀어지는 방향으로 당겨 접을 수 있다.
제1 핑거(260)와 제2 핑거(280)의 내면에는 고정돌기(261)가 형성될 수 있다. 고정돌기(261)는 삽관된 튜브가 튜브 고정부(200)의 수용공간에서 마찰력에 의해 튜브가 유동되는 것을 방지하며 튜브의 고정력을 향상할 수 있다. 고정돌기(261)는 폴리 우레탄, 폴리 에틸렌 또는 실리콘 소재의 튜브와의 마찰력을 향상할 수 있도록 고무 소재로 형성될 수 있다. 고무 소재는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나, 예를 들어, 천연고무(Natural Rubber, NR), 부타디엔 고무(Butadiene Rubber, BR), 스티렌부타디엔 고무(Stylrene Butadiene Rubber, SBR), 클로로프렌 고무(Chloroprene Rubber, CR), 에틸렌프로필렌 고무(Ethylene Propylene Rubber, EPDM), 부틸고무(Isobutylene Isoprene Rubber, IIR), 아크릴 고무(Acrylic Rubber, ACM) 또는 실리콘 고무(Silicone Rubber) 등 일 수 있다.
도 9 및 도 10 을 참조하여 설명하면, 연결부재(300)는 머리 고정부(100)과 튜브 고정부(200)를 연결하는 부재일 수 있다. 연결부재(300)는 머리 고정부(100)에서 환자 이마의 방향에 위치한 전면부와 결합될 수 있다.
하나의 실시 예로, 연결부재(300)는 단순한 직선의 형상인 부재로써 머리 고정부(100)와 튜브 고정부(200)를 연결할 수 있다.
다른 실시 예로, 연결부재(300) 구(sphere)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재(310)와 구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함몰부재(320)를 포함할 수 있다. 함몰부재(320)의 함몰부는 돌출부재(310)의 구형상에 상응하는 형상일 수 있다. 돌출부재(310)의 구면(球面)은 함몰부재(320)의 함몰부와 구면결합할 수 있고, 돌출부재(310)는 구면(球面)이 회전함에 따라 회전할 수 있다. 함몰부재(320)는 일단부는 머리 고정부(100)와 결합되고, 타단부는 돌출부재(310)와 결합될 수 있다. 돌출부재(310)의 일단부는 함몰부재(320)와 결합되고, 타단부는 튜브 고정부(200)와 결합될 수 있다.
이상 실시예를 통해 본 기술을 설명하였으나, 본 기술은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실시예는 본 기술의 취지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고 수정되거나 변경될 수 있으며, 본 기술분야의 통상의 기술자는 이러한 수정과 변경도 본 기술에 속하는 것임을 알 수 있을 것이다.
100 : 머리 고정부 110 : 수평 고정부
120 : 수직 고정부 200 : 튜브 고정부
210 : 제1 고정부재 220 : 제2 고정부재
221 : 조절 홈 240 : 완충부재
250 : 제1 교차부재 260 : 제1 핑거
270 : 제2 교차부재 280 : 제2 핑거
300 : 연결부재 310 : 돌출부재
320 : 함몰부재

Claims (9)

  1. 환자의 머리둘레를 따라 머리에 고정되는 수평 고정부를 포함하는 머리 고정부;
    상기 머리 고정부와 일정 거리 이격되어 환자의 이마 전방에 위치하고, 접철 구조를 가지며 튜브의 수용공간이 형성된 튜브 고정부; 및
    상기 머리 고정부와 상기 튜브 고정부 사이를 연결하는 연결부;를 포함하고,
    환자의 비기관으로 삽관된 튜브를 상기 수용공간에 위치시키고, 상기 튜브 고정부를 접어서 환자의 기관으로 삽관된 튜브를 고정하는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머리 고정부에는 상기 수평 고정부와 수직인 방향으로 형성된 수직 고정부가 포함되고,
    상기 수직 고정부는 환자의 측두부 및 정수리에 고정되는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고정부는 제1 고정부재 및 제2 고정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고정부재는 튜브의 일부 면을 고정하는 제1 오목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는 다른 면을 고정하는 제2 오목곡면이 형성되고,
    상기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고정부재는 힌지로 결합되어 상기 접철구조를 형성하며, 상기 힌지결합을 중심으로 접어서 튜브를 고정하는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
  4.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 외면에는 곡면의 둘레를 따라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의 조절 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고정부재 내면에는 1개 이상의 조절 돌기가 형성되며,
    상기 조절 돌기는 상기 조절 홈에 삽입되며 상기 튜브 고정부의 접힘을 고정할 수 있는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
  5. 제 3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고정부재 및 상기 제2 고정부재의 내면에는 완충 부재를 더 포함하는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튜브 고정부는 제1 교차부재 및 제2 교차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 교차부재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의 제1 핑거가 형성되며,
    상기 제2 교차부재에는 미리 정해진 간격으로 복수개의 제2 핑거가 형성되며,
    상기 튜브 고정부를 접으면 상기 제1 핑거와 상기 제2 핑거가 깍지를 끼어 상기 삽관된 튜브를 고정할 수 있는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핑거 및 상기 제2 핑거는 내면에 곡면이 형성된 삽관 비기관 튜브 고정장치.
  8.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교차부재 및 상기 제2 교차부재는 내면에 고정돌기가 형성된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연결부재는 구(sphere) 형상으로 돌출 형성된 돌출부재와 구형상으로 함몰 형성된 함몰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돌출부재는 상기 함몰부재에 삽입되어 구면(球面)을 따라 회전 가능한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
KR1020210027336A 2021-03-02 2021-03-02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 KR102591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336A KR102591398B1 (ko) 2021-03-02 2021-03-02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7336A KR102591398B1 (ko) 2021-03-02 2021-03-02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3868A true KR20220123868A (ko) 2022-09-13
KR102591398B1 KR102591398B1 (ko) 2023-10-18

Family

ID=832865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7336A KR102591398B1 (ko) 2021-03-02 2021-03-02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139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8576B1 (en) * 2000-04-28 2003-06-17 Salvatore A. Taormina Medical tube holder
US20040025884A1 (en) * 2002-08-06 2004-02-12 Mckown Joseph R. Nasal cannula retainer
KR200354158Y1 (ko) * 2004-03-16 2004-06-23 이진명 기관튜브 고정구
JP2007508917A (ja) * 2003-10-23 2007-04-12 エキップモン メディコー エ モワイヤン アヴァンス−イー.2.エム.エー(エスエー) 呼吸マスク保定装置
KR101133877B1 (ko) * 2011-07-26 2012-04-06 김재홍 의료용 튜브 고정장치
KR101972859B1 (ko) 2017-04-19 2019-08-16 주식회사 코빌드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
KR20210015415A (ko) * 2019-08-02 2021-02-1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비기관 튜브 고정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6578576B1 (en) * 2000-04-28 2003-06-17 Salvatore A. Taormina Medical tube holder
US20040025884A1 (en) * 2002-08-06 2004-02-12 Mckown Joseph R. Nasal cannula retainer
JP2007508917A (ja) * 2003-10-23 2007-04-12 エキップモン メディコー エ モワイヤン アヴァンス−イー.2.エム.エー(エスエー) 呼吸マスク保定装置
KR200354158Y1 (ko) * 2004-03-16 2004-06-23 이진명 기관튜브 고정구
KR101133877B1 (ko) * 2011-07-26 2012-04-06 김재홍 의료용 튜브 고정장치
KR101972859B1 (ko) 2017-04-19 2019-08-16 주식회사 코빌드 비강삽관 튜브용 고정홀더
KR20210015415A (ko) * 2019-08-02 2021-02-10 가톨릭대학교 산학협력단 비기관 튜브 고정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1398B1 (ko) 2023-10-1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476247C2 (ru) Комплексная маска и канюли для интраназального положительного непрерывного давления в воздухоносных путях
RU2355433C2 (ru) Фиксирующее устройство для эндотрахеальной трубки
RU2424833C2 (ru) Детская носовая сопрягающая маска
JP5096444B2 (ja) 改良型エアウェイ装置
EP2756795A1 (en) Intubation device
KR101788566B1 (ko) 기관내 튜브 고정장치
JPH05212120A (ja) 医療−外科用装置
KR100777454B1 (ko) 기관튜브 고정장치
US5279281A (en) Single-handed fibre-optic flexible laryngoscope
US5967143A (en) Surgical instrument for emergency medicine
KR102226180B1 (ko) 기도유지 및 기관삽관튜브 고정장치
KR101931309B1 (ko)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KR100902666B1 (ko) 기관튜브 고정장치
KR20220123868A (ko)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
KR20180060045A (ko) 비강내 부목
US6764443B1 (en) Laryngoscope
KR20170034671A (ko)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US11684245B2 (en) Endotracheal tube with fulcrum
KR200354158Y1 (ko) 기관튜브 고정구
TW201320984A (zh) 氣管用管狀導管
KR101525171B1 (ko) 기관삽관 튜브 고정장치
KR102195280B1 (ko) 삽관 고정장치
WO2016114643A1 (es) Sujetador de tubo endotraqueal para pacientes pediátricos
TWI762393B (zh) 鼻骨手術導板
JP6278409B2 (ja) カニューレの人工鼻取り付け具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