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195280B1 - 삽관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삽관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195280B1
KR102195280B1 KR1020180162758A KR20180162758A KR102195280B1 KR 102195280 B1 KR102195280 B1 KR 102195280B1 KR 1020180162758 A KR1020180162758 A KR 1020180162758A KR 20180162758 A KR20180162758 A KR 20180162758A KR 102195280 B1 KR102195280 B1 KR 102195280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be
intubation
base portion
fixing device
grip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6275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200074410A (ko
Inventor
이창윤
Original Assignee
메디웰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메디웰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메디웰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6275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195280B1/ko
Publication of KR2020007441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7441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19528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19528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16/00Devices for influencing the respiratory system of patients by gas treatment, e.g. mouth-to-mouth respiration; Tracheal tubes
    • A61M16/04Tracheal tubes
    • A61M16/0488Mouthpieces; Means for guiding, securing or introducing the tubes
    • A61M16/0497Tube stabilizer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1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means specifically adapted to a part of the human body
    • A61M2025/02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means specifically adapted to a part of the human body specifically adapted for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MDEVICES FOR INTRODUCING MEDIA INTO, OR ONTO, THE BODY; DEVICES FOR TRANSDUCING BODY MEDIA OR FOR TAKING MEDIA FROM THE BODY; DEVICES FOR PRODUCING OR ENDING SLEEP OR STUPOR
    • A61M25/00Catheters; Hollow probes
    • A61M25/01Introducing, guiding, advancing, emplacing or holding catheters
    • A61M25/02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 A61M2025/0253Holding devices, e.g. on the body where the catheter is attached by straps, bands or the like secured by adhesives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ulmonology (AREA)
  • Hemat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nesthesiology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Public Health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Otolaryngology (AREA)
  • Biophysics (AREA)
  • Media Introduction/Drainage Providing Devic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삽관 고정장치는 신체에 접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관을 고정하는 그립부 및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그립부를 연결하는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적어도 2회 절곡되고, 일부가 관통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제1부재, 적어도 2회 절곡되고, 일부가 상기 홈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부재 및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삽관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intubation}
본 발명은 삽관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의료진이 환자의 기관 내 관을 삽입할 시 안정적으로 관을 고정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전신마취 수술을 하는 동안이나 중환자실에서 산소호흡기를 이용한 인공호흡을 위해 삽관하는 경우, 기도 확보를 위하여 그 튜브의 끝이 기관지의 분기부에 위치하는 것이 가장 적당하다.
삽입된 기관내 삽관 튜브(endotracheal tube)를 고정하기 위하여 기존에는 반창고를 이용하여 튜브를 고정하였으나, 삽입된 깊이가 적당하지 않으면 다시 반창고를 떼었다가 적당한 깊이로 삽입한 후 다시 반창고로 고정하여야 하는 불편함이 있었다.
또한, 반창고로 고정하더라도 튜브가 입 안에 확실히 고정이 되지 않는 경우가 많고, 환자의 타액 분비물에 의하여 반창고가 잘 떨어져 자칫 소아나 영유아의 경우 심각한 문제점을 유발할 수 있다.
또한, 삽입된 튜브가 흔들림으로 인해 구강 및 기관 내에 상처가 생겨 상처에 세균 및 병원균이 침투함으로써 2차 감염의 위험이 있고, 환자가 의식적으로나 무의식적으로 튜브를 쉽게 손으로 빼낼 수 있어 심각한 응급상황이 발생될 수 있으며, 튜브를 환자가 치아로 누르는 경우도 있어 기도 확보에 어려움을 초래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공개특허공보 제 10-2013-0102370호
본 발명은 상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안출된 발명으로서, 관을 신속하고 안정적으로 고정 또는 분리될 수 있도록 하고, 관의 형태가 변형되지 않도록 하는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또한, 관을 고정한 상태에서 각도를 조절할 수 있어 안정적으로 환자에게 관을 통해 산소 등을 공급할 수 있는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함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삽관 고정장치는 신체에 접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관을 고정하는 그립부 및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그립부를 연결하는 링크부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적어도 2회 절곡되고, 일부가 관통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제1부재, 적어도 2회 절곡되고, 일부가 상기 홈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부재 및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신체에 접착되게 구비되는 접착영역 및 상기 신체로부터 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비접착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신체에 접착될 수 있는 연장영역을 포함할 수 있다.
또는, 상기 베이스부는, 신축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관이 휘어질 수 있도록 일부가 상기 링크부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그립부는, 상기 관이 휘어질 수 있도록 상기 관의 일부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와이어로 연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는, 일부가 신축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그립부는, 일부가 투명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그립부는,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이 돌출되어 상기 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홈은,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제1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교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매립되는 매립부재 및 상기 매립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그립부와 연결되고, 상기 그립부가 상기 신체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브릿지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삽관 고정장치는 적어도 2회 절곡되고, 일부가 관통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제1부재, 적어도 2회 절곡되고, 일부가 상기 홈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부재 및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를 포함하고,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마찰에 의해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관을 고정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홈은,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제1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교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단이 돌출되어 상기 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또는,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부가 신축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는, 일부가 투명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삽관 고정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가 있다.
첫째, 간편한 조작으로 신속하게 관을 고정 또는 분리할 수 있으며, 임의로 가해지는 움직임에도 관이 안정적으로 고정되어 움직이지 않을 수 있다.
둘째, 관이 분리되지 않고 고정된 상태에서 의료진이 신속하고 편리하게 환자의 상황에 맞도록 관의 각도를 조절할 수 있다.
셋째, 관을 고정하는 부위가 신축성 재질의 라운드 모양으로 형성되어 관의 형상의 변형을 방지함으로써 안정적으로 산소, 의약품 등의 물질이 안정적으로 공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삽관 고정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그립부의 제1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그립부의 제2부재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삽관 고정장치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그립부와 링크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목적이 구체적으로 실현될 수 있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설명한다. 본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 부호가 사용되며 이에 따른 부가적인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동일 기능을 갖는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동일 명칭 및 동일부호를 사용할 뿐 실질적으론 종래와 완전히 동일하지 않음을 미리 밝힌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다르게 뜻하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에서, "포함하다" 또는 "가지다" 등의 용어는 명세서상에 기재된 특징,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이 존재함을 지정하려는 것이지, 하나 또는 그 이상의 다른 특징들이나 숫자, 단계, 동작, 구성요소, 부품 또는 이들을 조합한 것들의 존재 또는 부가 가능성을 미리 배제하지 않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 내지 도 5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삽관 고정장치에 대하여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삽관 고정장치의 사용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그립부의 제1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그립부의 제2부재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삽관 고정장치의 측면도이다. 그리고 도 5 및 도 6은 본 발명의 그립부와 링크부의 결합관계를 나타낸 측면도이다.
도 1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삽관 고정장치는 베이스부(100), 그립부(200) 및 링크부(300)를 포함할 수 있다.
베이스부(100)는 신체에 접착되어 상기 그립부(200)가 신체로부터 일정한 위치에 이격되어 고정되게 할 수 있다. 일반적으로, 신체에 삽입되는 관(50)은 환자의 코 또는 입을 통하여 산소 등의 물질을 환자에게 공급하므로 얼굴에 접착되도록 크기나 모양을 갖추는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베이스부(100)는, 신축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환자의 피부에 대한 보호 역할을 하기 위함이며, 베이스부(100)의 형상 재질 등은 상술한 기능을 수행할 수 있는 것이라면 반드시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 때, 상기 베이스부(100)는, 접착영역(120)과 비접착영역(140)으로 나뉘어 구비될 수 있다. 상기 접착영역(120)은 상기 신체에 접착될 수 있고, 상기 비접착영역(140)은 상기 신체로부터 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될 수 있다.
비접착영역(140)은 그립부(200)와 인접하게 형성되고, 접착영역(120)은 비접착영역(140)으로부터 연장되어 신체에 접촉되도록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환자마다 신체의 형상이 상이하므로 비접착영역(140)을 통해 환자에 맞게 접착되는 부분을 조절할 수 있다. 또한 비접착영(140)역은 접착영역(120)에 구비되는 접착제에 의한 환자의 2차 감염을 근본적으로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베이스부(100)는 상기 베이스부(100)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신체에 접착될 수 있는 연장영역(160)을 포함할 수 있다.
연장영역(160)은 그립부(200)가 베이스부(100)의 중앙부에 위치되게 하여 그립부(200)의 고정을 보조할 수 있다.
상기 연장영역(160)은 관(50)이 신체와 연결되는 지점을 회피하여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관(50)이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것을 방해하지 않기 위함이며 이에 한정되지는 않는다.
그립부(200)는 상기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관(50)을 고정하는 구성으로서, 제1부재(210), 제2부재(230) 및 탄성부재(26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부재(210)는 적어도 2회 절곡되고, 일부가 관통되도록 홈(220)이 형성될 수 있다. 제2부재(230)는 적어도 2회 절곡되고, 일부가 상기 홈(220)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탄성부재(260)는 상기 제1부재(210) 및 상기 제2부재(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제1부재(210) 및 제2부재(230)는 직육면체로 형성되는 것이 바람직하나, 이는 단지 후술할 외력을 가할 때 상기 제2부재(230)가 상기 제1부재(210)와 슬라이딩 되는 것이 용이하게 하기 위함일 뿐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에서 알 수 있듯이, 제1부재(210)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각각 직각으로 절곡되는 경우, 제1상단부분(212), 제1중단부분(214) 및 제1하단부분(216)이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도 3에서와 같이, 제2부재(230)의 일단부 및 타단부가 각각 직각으로 절곡되는 경우, 제2상단부분(232), 제2중단부분(234) 및 제2하단부분(236)이 형성될 수 있다.
이 때, 상기 제1중단부분(214)에 홈(220)이 형성되고 상기 제2중단부분(234)은 상기 홈(220)에 대응되게 형성되어 상기 제1부재(210) 및 상기 제2부재(230)가 상호 슬라이딩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홈(220)은, 상기 제2부재(230)가 상기 제1부재(210)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교차되어 형성될 수 있다.
제1부재(210) 및 제2부재(230)는 절곡되어 형성되는 특이성에 의해, 그립부(200)에 외력이 가해지거나 탄성력에 의한 복원력이 가해지는 경우 예상하지 못한 방향으로 튕기거나 하여 삽관 고정장치로서의 기능을 수행하기 어려울 수 있다.
그러나 본 발명의 상기 제1부재(210)에 형성되는 홈(220)이 교차되어 형성되고 이에 대응되도록 제2부재(230)가 형성될 수 있으므로, 위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하지 않고 상기 제1부재(210)를 기준으로 상기 제2부재(230)가 양방향으로만 슬라이딩할 수 있다.
탄성부재(260)는 상기 제1부재(210)와 상기 제2부재(230)를 연결하며 가해지는 외력에 반대방향으로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탄성부재(260)가 제1하단부분(216)과 제2하단부분(236)을 연결하는 경우 관(50)은 제1상단부분(212)과 제2상단부분(232) 사이에 구비되거나, 상기 탄성부재(260)가 제1상단부분(212)과 제2상단부분(232)을 연결하는 경우 관(50)은 제1하단부분(216)과 제2하단부분(236) 사이에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즉, 관(50)이 구비되는 공간과 탄성부재(260)가 구비되는 공간은 대향되게 형성될 수 있으며 이는 작동의 편의성을 위함일 뿐이며 상기 구성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제1부재(210) 및 상기 제2부재(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외력을 가하여 상기 제2부재(230)의 일부가 상기 제1부재(210)에서 슬라이딩함에 따라, 외력을 전달받은 상기 제1부재(210)의 일단부와 상기 제2부재(230)의 일단부는 가까워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제1부재(210)의 타단부와 상기 제2부재(230)의 타단부는 멀어질 수 있다. 이는 상기 제1부재(210) 및 상기 제2부재(230)가 적어도 2회 절곡되어 형성되기 때문이다.
상기 제1부재(210)의 타단부와 상기 제2부재(230)의 타단부가 멀어져 형성되는 공간으로 관(50)을 끼울 수 있다. 그리고 외력을 제거하는 순간 상기 제1부재(210)의 일단부와 상기 제2부재(230)의 일단부에 탄성부재(260)에 의한 복원력이 가해져 멀어지게 된다.
이 때, 상기 제1부재(210)의 타단부와 상기 제2부재(230)의 타단부는 가까워지면서 상기 제1부재(210) 및 상기 제2부재(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마찰에 의해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관(50)을 고정할 수 있게 된다.
상기 제1부재(210) 및 상기 제2부재(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는 슬라이딩 가능한 잠금부재(238)가 형성되어 관(50)이 상기 제1부재(210)와 상기 제2부재(230)에 의해 형성되는 공간으로부터 이탈되지 않도록 이중적으로 상기 관(50)을 고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에서와 같이 잠금부재(238)는 상기 관(50)을 고정한 후 상기 제1부재(210) 및 상기 제2부재(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슬라이딩되어 관을 다중 고정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부(200)는, 상기 관(50)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도록 상기 제1부재(210) 및 상기 제2부재(230)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이 돌출(240)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상기 관(50)이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것으로 돌출(240)되는 정도나 부위는 문제되지 않는다.
예컨대, 상기 관(50)의 규격에 맞추어 돌출(240)되는 정도가 정해질 수 있다. 또는, 돌출(240)되는 부위에 대응되는 부분에 동공이 형성되어 슬라이딩 시 간섭이 이루어지지 않도록 형성될 수도 있다.
이 때, 상기 그립부(200)는, 일부가 신축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구체적으로는, 관(50)과 접촉하는 상기 제1부재(210) 및 상기 제2부재(230) 부분이 신축성 재질로 구비되어 관(50)이 찌그러지는 등 변형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그립부(200)는, 일부가 투명 재질로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는, 관(50)의 고정이 제대로 이루어져 있는지 또는 관(50)에 의해 환자의 신체가 가려지는 것을 방지하여 환자의 상태를 올바로 판단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링크부(300)는 베이스부(100) 및 그립부(200)를 연결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링크부(300)는, 매립부재(320) 및 브릿지부재(340)를 포함할 수 있다.
도 4에서 알 수 있듯이, 매립부재(320)는 상기 베이스부(100)에 매립될 수 있고, 브릿지부재(340)는 상기 매립부재(320)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그립부(200)와 연결되고, 상기 그립부(200)가 상기 신체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매립부재(320)는 베이스부(100)에 매립되므로 후술할 그립부(200)의 신체로부터의 거리 조절을 가능하게 하는 브릿지부재(340)에 골격과 같은 역할을 할 수 있다.
브릿지부재(340)는 적어도 2회 절곡되어 절곡되는 지점 사이의 부분의 높낮이가 변경됨에 따라 그립부(200)가 신체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다만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하게 형성될 수 있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그립부(200)는, 상기 관(50)이 휘어질 수 있도록 일부가 상기 링크부(300)에 회전 가능하게 결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는 그립부(200)와 링크부(300)는 힌지(280) 결합되어, 힌지(280) 결합되는 부분의 각도 변화에 따라 관(50)이 휘어지는 정도가 결정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의료진은 환자에 상황에 따라 관(50)을 통해 신체 내부로 공급되는 정도를 조절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상기 그립부(200)는, 상기 관(50)이 휘어질 수 있도록 상기 관(50)의 일부와 길이 조절이 가능한 와이어(290)로 연결될 수 있다.
즉, 도 6에서 알 수 있듯이, 와이어(290)는 그립부(200)와 관(50)의 그립부(200)로부터 일정간격 이격되는 부분과 연결되도록 형성되어 와이어(290)의 길이 조절에 따라 관(50)의 휘어지는 정도가 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와이어(290)의 길이가 가장 길어지는 경우 관(50)은 그립부(200)와 수직한 관계를 유지할 수 있고, 와이어(290)의 길이가 짧아짐에 따라 와이어(290)가 연결되는 그립부(200)의 일부와 예각을 이루며 관(50)이 휘어질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링크부(300)는 일단부가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어, 상기 그립부(200)에 결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브릿지부재(340)가 길이 조절이 가능하게 형성되고 상기 그립부(200)에 결합되어, 환자에 관(50)에 대한 이물감을 덜 느끼도록 함과 동시에, 관(50)을 통한 물질의 공급이 원할하게 이루어질 수 있다.
또한, 상기 링크부(300)는 상기 베이스부(100)에 탈착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를 통해, 사용자인 의료진은 환자의 신체적 특성에 따라 본 발명의 삽관 고정장치를 더욱 효과적으로 부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살펴보았으며, 앞서 설명된 실시예 이외에도 본 발명이 그 취지나 범주에서 벗어남이 없이 다른 특정 형태로 구체화될 수 있다는 사실은 해당 기술에 통상의 지식을 가진 이들에게는 자명한 것이다. 그러므로, 상술된 실시예는 제한적인 것이 아니라 예시적인 것으로 여겨져야 하고,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상술한 설명에 한정되지 않고 첨부된 청구항의 범주 및 그 동등 범위 내에서 변경될 수도 있다.
50: 관
100: 베이스부
120: 접착영역
140: 비접착영역
160: 연장영역
200: 그립부
210: 제1부재
212: 제1상단부분
214: 제1중단부분
216: 제1하단부분
220: 홈
230: 제2부재
232: 제2상단부분
234: 제2중단부분
236: 제2하단부분
238: 잠금부재
240: 돌출부분
260: 탄성부재
280: 힌지
290: 와이어
300: 링크부
320: 매립부재
340: 브릿지부재

Claims (16)

  1. 신체에 접착되는 베이스부;
    상기 신체 내부로 삽입되는 관을 고정하는 그립부; 및
    상기 베이스부 및 상기 그립부를 연결하는 링크부;
    를 포함하고,
    상기 그립부는,
    적어도 2회 절곡되고, 일부가 관통되도록 홈이 형성되는 제1부재;
    적어도 2회 절곡되고, 일부가 상기 홈 내에서 슬라이딩 가능하게 형성되는 제2부재;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부재; 및
    상기 관이 휘어질 수 있도록 상기 관의 일부와 연결되고 길이 조절이 가능한 와이어를 포함하고,
    상기 관이 휘어질 수 있도록 일부가 상기 링크부에 회전가능하게 결합되는,
    삽관 고정장치.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신체에 접착되게 구비되는 접착영역; 및
    상기 신체로부터 떨어질 수 있도록 구비되는 비접착영역;
    을 포함하는 삽관 고정장치.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상기 베이스부로부터 연장되도록 형성되고, 상기 신체에 접착될 수 있는 연장영역;
    을 포함하는 삽관 고정장치.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부는, 신축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관 고정장치.
  5. 삭제
  6. 삭제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일부가 신축성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관 고정장치.
  8.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일부가 투명 재질로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관 고정장치.
  9.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그립부는, 상기 제1부재 및 상기 제2부재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일단이 돌출되어 상기 관의 적어도 일부를 감싸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관 고정장치.
  10.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홈은, 상기 제2부재가 상기 제1부재로부터 이탈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교차되어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삽관 고정장치.
  11.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링크부는,
    상기 베이스부에 매립되는 매립부재; 및
    상기 매립부재로부터 연장되어 상기 그립부와 연결되고, 상기 그립부가 상기 신체로부터 이격되는 거리를 조절하도록 구비되는 브릿지부재;
    를 포함하는 삽관 고정장치.
  12. 삭제
  13. 삭제
  14. 삭제
  15. 삭제
  16. 삭제
KR1020180162758A 2018-12-17 2018-12-17 삽관 고정장치 KR102195280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758A KR102195280B1 (ko) 2018-12-17 2018-12-17 삽관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62758A KR102195280B1 (ko) 2018-12-17 2018-12-17 삽관 고정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410A KR20200074410A (ko) 2020-06-25
KR102195280B1 true KR102195280B1 (ko) 2020-12-24

Family

ID=7140028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62758A KR102195280B1 (ko) 2018-12-17 2018-12-17 삽관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195280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741B1 (ko) * 2015-12-22 2016-05-19 (주)지앤더블류 의료용 튜브부재 고정장치
JP2018047126A (ja) * 2016-09-23 2018-03-29 アトムメディカル株式会社 医療用チューブの固定クリップ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209395Y1 (ko) * 1998-12-26 2001-01-15 이희영 의료용 튜브 고정 부착기
KR101367962B1 (ko) 2012-03-07 2014-03-03 이나리 기관내 삽관 고정장치
KR101495307B1 (ko) * 2013-02-18 2015-02-24 김원철 의료용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622741B1 (ko) * 2015-12-22 2016-05-19 (주)지앤더블류 의료용 튜브부재 고정장치
JP2018047126A (ja) * 2016-09-23 2018-03-29 アトムメディカル株式会社 医療用チューブの固定クリップ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74410A (ko) 2020-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703505C2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выдвижения вперед нижней челюсти и способ и комплект для изготовления этого устройства
US3039469A (en) Direct suction tracheotomy tube
KR100777454B1 (ko) 기관튜브 고정장치
CN204582223U (zh) 一种应用于鼻腔气管插管的固定装置
CN204709584U (zh) 一体式气管插管固定器
WO2003015844A2 (en) Medical tubing securing device
KR101627486B1 (ko) 수술용 머리받침대
KR100902666B1 (ko) 기관튜브 고정장치
KR102195280B1 (ko) 삽관 고정장치
KR101780958B1 (ko)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KR101931309B1 (ko) 기관삽관튜브 고정 장치
JP2018501918A (ja) ガス送達装置
CN101780299B (zh) 一种气管插管固定器
KR102025911B1 (ko) 기도유지 페이스마스크
CN204181988U (zh) 一种医用牙垫结构
WO2005069954A3 (en) Iv compatible limb stabilization apparatus
CN106474610B (zh) 一种气管插管固定装置
KR200354158Y1 (ko) 기관튜브 고정구
CN204543189U (zh) 气管插管固定支架
TW201320984A (zh) 氣管用管狀導管
KR102591398B1 (ko) 비기관 삽관 튜브 고정장치
JP6278409B2 (ja) カニューレの人工鼻取り付け具
KR20160023259A (ko) 나잘 캐뉼라 홀더
JP5651488B2 (ja) 口腔内で負圧を生成する口部装置及びその方法
KR101525171B1 (ko) 기관삽관 튜브 고정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