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2903A - 조수석 에어백 장치 - Google Patents

조수석 에어백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2903A
KR20220122903A KR1020210026998A KR20210026998A KR20220122903A KR 20220122903 A KR20220122903 A KR 20220122903A KR 1020210026998 A KR1020210026998 A KR 1020210026998A KR 20210026998 A KR20210026998 A KR 20210026998A KR 20220122903 A KR20220122903 A KR 202201229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irbag
door
crash pad
opening
opening par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99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오영기
Original Assignee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현대모비스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6998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22903A/ko
Publication of KR202201229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90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0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in dashboar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04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 B60R21/045Padded linings for the vehicle interior ; Energy absorbing structures associated with padded or non-padded linings associated with the instrument panel or dashboar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1/00Arrangements or fittings on vehicles for protecting or preventing injuries to occupants or pedestrians in case of accidents or other traffic risks
    • B60R21/02Occupant safety arrangements or fittings, e.g. crash pads
    • B60R21/16Inflatable occupant restraints or confinements designed to inflate upon impact or impending impact, e.g. air bags
    • B60R21/20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 B60R21/215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 B60R2021/21537Arrangements for storing inflatable members in their non-use or deflated condition; Arrangement or mounting of air bag modules or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covers for the inflatable member characterised by hing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Air Bag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일부 표면에 분할된 에어백 절개 라인을 가지며, 에어백 절개 라인 내측에 융착부가 위치하는 차량 조수석의 크래시 패드; 크래시 패드의 융착부에 융착되는 에어백 도어를 갖는 PAB 슈트; 및 PAB 슈트의 내측에 배치되는 에어백을 포함한다.
여기서, 에어백 도어는 에어백 절개 라인의 절개 범위와 대응하는 크기로 관통된 개방부; 개방부에 내접하며 에어백 절개 라인을 따라 융착부와 함께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 도어부; 및 도어부를 개방부의 내측 둘레면에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조수석 에어백 장치{PASSENGER AIR BAG APPARATUS}
본 발명은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차량에는 탑승자의 안전을 위해 에어백 장치가 설치되며, 그 중에서도 조수석 에어백(Passenger Air Bag; PAB)은 조수석에 앉은 승객을 보호하기 위한 장치이다.
이러한 조수석 에어백은 크래시 패드 내에 설치되는데, 유사시에 PAB 슈트의 에어백 도어를 통해 전개되는 구조를 갖는다. 그 전개 구조로서 에어백 도어는, 절개부와 힌지부로 구성되어 크래시 패드의 지정된 절개 라인(에어백 전개 경로)으로 개방되며 에어백이 전개될 수 있도록 한다.
하지만, 종래의 조수석 에어백은 스코링 가공된 크래시 패드의 절개 라인과 PAB 슈트의 융착 리브 사이에서 회전점 변화(온도별 전개 조건에 따른 차이)에 따라 크래시 패드의 해당 부위가 꺾이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었고, 그로 인해 생겨난 파편 등이 승객의 안전을 위협하는 문제도 있었다.
본 발명은 전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제안된 것으로서, PAB 슈트의 에어백 도어에 이중 교차 단면을 갖는 힌지 구조를 적용하여 에어백 팽창 시, 크래시 패드의 꺾임 현상을 방지함과 동시에 승객의 안전을 도모할 수 있는 조수석 에어백 장치를 제공하는 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여기서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일부 표면에 분할된 에어백 절개 라인을 가지며, 에어백 절개 라인 내측에 융착부가 위치하는 차량 조수석의 크래시 패드; 크래시 패드의 융착부에 융착되는 에어백 도어를 갖는 PAB 슈트; 및 PAB 슈트의 내측에 배치되는 에어백을 포함한다.
여기서, 에어백 도어는 에어백 절개 라인의 절개 범위와 대응하는 크기로 관통된 개방부; 개방부에 내접하며 에어백 절개 라인을 따라 융착부와 함께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 도어부; 및 도어부를 개방부의 내측 둘레면에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한다.
힌지부는 도어부와 개방부 사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분할 연결된다.
도어부는 TPO(Thermo Plastic Polyolefin)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힌지부는 'V'자 또는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어부와 개방부 사이에는 힌지부와 교차하며 연결되는 '-' 자 형상의 보강 플랜지가 구비될 수 있다.
보강 플랜지는 개방부와 내접하는 도어부의 외측 둘레면에 부분적으로 연장 형성되며, 개방부와 접하는 단부에 도어부 개방 시 단절되는 브릿지를 구비할 수 있다.
브릿지는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V자 형상의 힌지부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보강 플랜지의 상단에는 도어부의 연장면 끝단 둘레를 보강하는 보강 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도어부와 크래시 패드의 융착부 사이에는 진동 융착되는 보강 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도어부와 개방부 사이에는 슬릿이 형성되어, 도어부의 유효한 개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일부 표면에 중심선을 따라 분할 전개가 가능한 에어백 절개 라인을 갖는 차량 조수석의 크래시 패드; 및 크래시 패드의 에어백 절개 라인과 에어백 사이에 배치되는 PAB 슈트를 포함한다.
여기서, PAB 슈트는 크래시 패드의 내측에 융착되며 일측이 부분적으로 힌지 연결되어 에어백 절개 라인을 따라 개방되는 에어백 도어를 갖는 커버부; 및 커버부의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며 에어백이 내측에 위치하는 몸체부를 포함한다.
에어백 도어는 에어백 절개 라인의 절개 범위와 대응하는 크기로 관통된 개방부; 개방부에 내접하며 에어백 절개 라인을 따라 크래시 패드의 융착 부위와 함께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 도어부; 및 도어부를 개방부의 내측 둘레면에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한다.
여기서, 힌지부는 도어부와 개방부 사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분할 연결되고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질 수 있다.
도어부와 개방부 사이에는 힌지부와 교차하며 연결되는 '-' 자 형상의 보강 플랜지가 구비될 수 있다.
보강 플랜지는 개방부와 접하는 단부에 도어부 개방 시 단절되는 브릿지를 구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일부 표면에 에어백 절개 라인을 갖는 차량 조수석의 크래시 패드; 및 크래시 패드의 내측에 융착되어 크래시 패드의 에어백 절개 라인을 따라 개방되는 에어백 도어를 갖는 커버부와, 커버부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어 내측에 에어백이 위치하는 몸체부를 구비하는 PAB 슈트를 포함한다.
에어백 도어는 에어백 절개 라인의 중심선을 따라 양단으로 분할되며 개방되는 구조를 가지며, 커버부의 일부 구간에 에어백 절개 라인과 대응하는 크기로 관통된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부; 도어부를 개방부의 내측 둘레면에 분할 연결하는 힌지부; 및 도어부와 개방부 사이에서 힌지부와 교차하며 도어부를 보강하는 보강 플랜지를 포함한다.
보강 플랜지는 개방부와 내접하는 도어부의 외측 둘레면에 부분적으로 연장 형성되며, 개방부와 접하는 단부에 도어부 개방 시 단절되는 브릿지를 구비할 수 있다.
보강 플랜지의 상단에는 도어부의 연장면 끝단 둘레를 보강하도록, 크래시 패드의 내측과 진동 융착되는 보강 리브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조수석 에어백 장치는 PAB 슈트의 에어백 도어에 이중 교차 단면을 갖는 힌지 구조를 적용하여 에어백 팽창 시, 크래시 패드의 꺾임 현상을 방지할 수 있다.
특히, 크래시 패드의 절개 라인 내측의 강성을 보강하여 에어백이 전개되는 과정에서 크래시 패드의 크랙이나 비산의 발생을 방지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구성 및 그 구성간 체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A' 단면도.
도 3은 도 2에 표시된 B의 부분 확대도.
도 4는 종래의 에어백 도어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에어백 도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비교한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PAB 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사시도.
도 6은 도 5에 표시된 C의 부분 확대도.
도 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PAB 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평면도.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PAB 슈트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부분 배면도.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기재에 의해 정의된다. 한편,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실시예들을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을 제한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본 명세서에서, 단수형은 문구에서 특별히 언급하지 않는 한 복수형도 포함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포함한다(comprises)" 또는 "포함하는(comprising)"은 언급된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 이외의 하나 이상의 다른 구성요소, 단계, 동작 및/또는 소자의 존재 또는 추가를 배제하지 않는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의 구성 및 그 구성간 체결관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고, 도 2는 도 1에 표시된 A-A' 단면도이고, 도 3은 도 2에 표시된 B의 부분 확대도이다.
도 1 내지 도 3을 병행 참조하면, 조수석 에어백 장치(100)는 크래시 패드(110), PAB 슈트(Passenger Air Bag chute; 120) 및 에어백(130)을 포함한다.
크래시 패드(110)는 차량 조수석에 위치한 에어백 절개 라인(111)을 갖는다. 여기서, 에어백 절개 라인(111)은 외부 충격에 따라 에어백(130)이 팽창할 시, 에어백(130)이 전개되는 통로 역할을 한다. 에어백 절개 라인(111)의 내측은 융착부(에어백 절개 라인 내측 구간)가 위치한다.
PAB 슈트(120)는 크래시 패드(110)의 내측에 위치한 융착부에 융착된다.
PAB 슈트(120)는 크게, 커버부(121)와 몸체부(122)로 구성된다.
커버부(121)는 크래시 패드(110)의 내측 융착부에 융착되며, 일측이 부분적으로 힌지 연결되어 에어백 절개 라인(111)을 따라 개방되는 에어백 도어(123)를 포함한다.
에어백 도어(123)는 개방부(123a), 도어부(123b) 및 힌지부(123c)를 포함한다.
개방부(123a)는 에어백 절개 라인(111)의 절개 범위와 대응하는 크기로 관통된다.
도어부(123b)는 개방부(123a)를 분할된 구조로 개폐한다. 즉, 에어백 절개 라인(111)의 중심선을 다라 양단으로 분할되며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다.
힌지부(123c)는 도어부(123b)를 개방부(123a)의 내측 둘레면에 연결한다. 이러한 힌지부(123b)는 V자 또는 U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다.
힌지부(123c)는 도어부(123b)와 개방부(123a) 사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분할 연결된다. 이러한 힌지부(123c)는 에어백(130)이 팽창될 시, 개방부(123a)로부터 도어부(123b)의 일측이 안정적으로 절개되도록 도어부(123b)의 연결 부위를 보강하는 역할도 할 수 있다.
도어부(123b)와 개방부(123a) 사이에는 힌지부(123c)와 교차하며 연결되는 '-'자 형상의 보강 플랜지(124)가 구비될 수 있다.
보강 플랜지(124)는 개방부(123a)와 내접하는 도어부(123b)의 외측 둘레면에 부분적으로 연장 형성된다. 이러한 보강 플랜지(124)는 개방부(123a)와 접하는 단부에 도어부(123b) 개방 시 단절되는 브릿지(124a)를 구비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브릿지(124a)는 에어백(130) 전개 과정에서 원활하게 끊어질 수 있도록 얇은 두께(t)로 이루어지는 것이 좋다. 이때, 브릿지(124a)의 두께(t)는 1.0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브릿지(124a)는 에어백(130)이 전개되기 전에는 제품의 형상을 유지하는 역할을 하고, 에어백(130)이 전개될 때에는 도어부(123b)의 개방과 회전에 방해 없이 단절되며 도어부(123b)와 일체가 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브릿지(124a)는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V자 또는 U자 형상의 힌지부(123c)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보강 플랜지(124)의 상단에는 도어부(123b)의 연장면 끝단 둘레를 보강하는 보강 리브(125)가 구비된다. 이때, 보강 리브(125)는 도어부(123b)와 크래시 패드(110)의 융착부 사이에서 진동 융착될 수 있다.
한편, 힌지부(123c)는 종래와 다르게 V자 또는 U자 단면의 빈 공간 간격을 축소하여, 크래시 패드(110)의 하중을 지지하는 역할을 하며, 이는 본 발명의 주된 특징 중에 하나다.
도 3에 도시된 L1은 스코링 라인인 에어백 절개 라인(111)과 보강 리브(125)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고, 4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L2는 도어부(123b)의 연장 구간상에서 복수의 보강 리브(125)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고, 6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즉, L1과 L2를 합친 간격은 힌지부(123c)의 벌어진 상단 초기 거리와 동일하다. L3은 힌지부(123c)의 중심선상에서 개방부(123a) 내측 둘레면 사이의 거리를 의미하고, 10mm로 이루어질 수 있다.
다른 한편, 몸체부(122)는 커버부(121)의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어 에어백(130)이 내측에 위치한다. 여기서, 몸체부(122)는 에어백(130)을 내장하는 수용 공간을 가지되, 별도의 고정 브래킷(미도시)과 맞물리는 체결 홀(미도시)을 가질 수 있다. 고정 브래킷의 끝단은 체결 홀에 억지 끼움되는 형태이거나, 스냅 핏(snap-fit) 체결이 가능한 구조로 이루어질 수 있다.
도 4는 에어백 도어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종래의 에어백 도어 예시를 함께 도시한 도면으로서, 도 4의 (a)는 종래의 에어백 도어 예시를 나타낸 도면이고, 도 4의 (b)는 본 발명의 구성인 에어백 도어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나타낸 도면이다.
먼저, 도 4의 (a)를 살펴보면, 크래시 패드(10) 내에는 안전 장치로서 조수석 에어백(PAB)이 구성되어 있으며, 그 에어백은 유사시 에어백 도어(21)를 통하여 전개되어 나오게 된다.
종래의 에어백 도어(21)는 주 절개부(도어; 21)와 도어(21)의 본체와 연결이 되는 힌지부(22)로 구성이 되며, 지정된 절개 라인으로 절개되도록 크래시 패드(10)에 스코링 가공하여 에어백 도어(21)와 동시에 회전하며 절개 및 개방된다.
에어백 도어(21)와 크래시 패드(10)는 융착(일반적으로 진동 융착)으로 어셈블리되어 있으며 전/후 양방향의 도어(21)의 힌지부(22)와 융착 리브는 일정한 거리를 두어 형성이 되는데, 도어(21)가 회전이 되어 완전한 개방이 된 상태에서도 끊어짐이 없도록 유효 힌지의 길이를 확보하기 위해 'V'자 형태로 도어(21)의 폭 구간 내에서 단일 단면으로 흔들림 없이 단단하게 구성되어 있다.
하지만, 'V'단면 내에 스코링 라인과 융착 리브가 인접한 거리를 두고 있으며 그 사이의 거리 구간에는 크래시 패드(10)로만 구성되며 도어(21)의 개방/회전 과정에서 크래시 패드(10)의 크랙이나 비산(파편)이 생길 수 있다.
크래시 패드(10) 단독 구성된 거리에서 전개 시 힌지부(22)의 스코링 라인 회전점 변화(온도별 전개 조건에 따른 차이)에 따라 크래시 패드(10) 단독의 꺽임 등 응력이 발생되어 도어(21)의 힌지'V' 영역 내에서 크랙이 발생될 잠재적 리스크가 있다. 그로 인한 파편의 비산이 있을 시, 승객의 추가 상해를 가할 수 있는 문제점도 상존한다. 특히, 크래시 패드(10)는 저온(-85℃) 환경에서의 PPF(Paint Protection Film) 소재로 이루어지기 때문에, 단일층의 취성이 취약함으로 그 위험성까지 내포하는 문제가 있다.
이를 해결하기 위한 일환으로 본 발명이 구성되며, (b)에 도시된 본 발명을 통해 종래의 문제를 해결할 수 있다.
즉, 도 4의 (b)를 살펴보면, 크래시 패드(110)는 PPF(Paint Protection film) 재질의 초 탄성 우레탄의 투명한 필름으로 이루어져, 생활 스크래치를 예방할 수 있다. 하지만, 유사시(에어백 팽창 시) 저온(-85 ℃) 환경에서 PPF 재질로 이루어진 크래시 패드(110)가 단일층으로 이루어지면 취성이 취약하기 때문에, 도어부(123b)의 연장 단부에는 보강 플랜지(124)가 구비된다.
PPF 재질인 크래시 패드(110)는 TPO(Thermo Plastic Polyolefin) 재질로 이루어진 도어부(123b)와의 근거리까지 레이어 간의 합지된 구조로 이루어져, 저온의 크랙 저항 강성을 증대시킬 수 있다.
또한, 보강 플랜지(124)의 단부에는 도어부(123b) 개방 시, 회전에 방해되지 않도록 일부 외력이 가해지면 단절될 수 있도록 브릿지(124a) 얇은 두께(t; 1.0 mm)와 폭(10mm)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도 5 내지 도 8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조수석 에어백 장치에 있어서, PAB 슈트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 내지 도 8의 설명은, 이미 전술된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다만, 구성 설명 중에 필요한 부분만 따로 언급하기로 한다.
개방부(123a)에서 분할 구조를 갖는 도어부(123b)는 분할되어 접하는 부분과 개방부(123a)와의 인접하는 면 사이에 연결부(123d)가 구비된다.
연결부(123d)는 기본적으로 도어부(123b)가 개방부(123a)에 고정된 상태로 유지하는 틀 역할을 한다. 이러한 연결부(123d)는 도어부(123b) 개방 시, 방해를 최소화하기 위하여 도어부(123b)의 단부에 소정의 얇은 두께로 연결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바꾸어 말하면, 연결부(123d)는 도어부(123b)가 개방될 시에 단절되는 구조적 특징을 갖는다.
도어부(123b)와 개방부(123a) 사이에는 슬릿(126)이 형성된다. 이때, 슬릿(126)은 도어부(123b)와 개방부(123a) 사이에 연결되는 힌지부(123c), 연결부(123d), 보강 플랜지(124)의 브릿지(124a) 를 제외한 나머지 구간을 의미하기도 한다. 이에 따라, 슬릿(126)은 도어부(123b)의 유효한 개방성을 확보할 수 있도록 한다.
본 발명은 전술한 실시예에 국한하지 않고, 본 발명의 기술사상이 허용되는 범위 내에서 다양하게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다.
10: 종래의 크래시 패드 20: 종래의 PAB 슈트
21: 종래의 에어백 도어 22: 종래의 힌지부
100: 조수석 에어백 장치 110: 크래시 패드
111: 에어백 절개 라인(스코링 라인) 120: PAB 슈트
121: 커버부 122: 몸체부
123: 에어백 도어 123a: 개방부
123b: 도어부 123c: 힌지부
123d: 연결부 124: 보강 플랜지
124a: 브릿지 125: 보강 리브
126: 슬릿 130: 에어백

Claims (14)

  1. 일부 표면에 분할된 에어백 절개 라인을 가지며, 상기 에어백 절개 라인 내측에 융착부가 위치하는 차량 조수석의 크래시 패드;
    상기 크래시 패드의 융착부에 융착되는 에어백 도어를 갖는 PAB 슈트; 및
    상기 PAB 슈트의 내측에 배치되는 에어백을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 도어는
    상기 에어백 절개 라인의 절개 범위와 대응하는 크기로 관통된 개방부;
    상기 개방부에 내접하며 상기 에어백 절개 라인을 따라 상기 융착부와 함께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 도어부; 및
    상기 도어부를 상기 개방부의 내측 둘레면에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고,
    상기 도어부와 개방부 사이에는 상기 힌지부와 교차하며 연결되는 보강 플랜지가 구비되는 것인 조수석 에어백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도어부와 개방부 사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분할 연결되며 'V'자 형상의 단면을 갖는 것인 조수석 에어백 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랜지는
    상기 개방부와 내접하는 상기 도어부의 외측 둘레면에 부분적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와 접하는 단부에 상기 도어부 개방 시 단절되는 브릿지를 구비하는 것인 조수석 에어백 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브릿지는
    수직선상을 기준으로 상기 V자 형상의 힌지부 사이에 위치하는 것인 조수석 에어백 장치.
  5.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랜지의 상단에는
    상기 도어부의 연장면 끝단 둘레를 보강하는 보강 리브가 구비되는 것인 조수석 에어백 장치.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와 상기 크래시 패드의 융착부 사이에는 진동 융착되는 보강 리브가 구비되는 것인 조수석 에어백 장치.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도어부와 개방부 사이에는 슬릿이 형성되는 것인 조수석 에어백 장치.
  8. 일부 표면에 중심선을 따라 분할 전개가 가능한 에어백 절개 라인을 갖는 차량 조수석의 크래시 패드; 및
    상기 크래시 패드의 에어백 절개 라인과 에어백 사이에 배치되는 PAB 슈트를 포함하고,
    상기 PAB 슈트는
    상기 크래시 패드의 내측에 융착되며 일측이 부분적으로 힌지 연결되어 상기 에어백 절개 라인을 따라 개방되는 에어백 도어를 갖는 커버부; 및
    상기 커버부의 하단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에어백이 내측에 위치하는 몸체부를 포함하는 것인 조수석 에어백 장치.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백 도어는
    상기 에어백 절개 라인의 절개 범위와 대응하는 크기로 관통된 개방부;
    상기 개방부에 내접하며 상기 에어백 절개 라인을 따라 상기 크래시 패드의 융착 부위와 함께 개방되는 구조를 갖는 도어부; 및
    상기 도어부를 상기 개방부의 내측 둘레면에 연결하는 힌지부를 포함하는 것인 조수석 에어백 장치.
  10. 제8항에 있어서,
    상기 힌지부는 상기 도어부와 개방부 사이에서 일정 간격을 두고 분할 연결되고 'U'자 형상의 단면을 가지며,
    상기 도어부와 개방부 사이에는 상기 힌지부와 교차하며 연결되는 '-' 자 형상의 보강 플랜지가 구비되는 것인 조수석 에어백 장치.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랜지는
    상기 개방부와 접하는 단부에 상기 도어부 개방 시 단절되는 브릿지를 구비하는 것인 조수석 에어백 장치.
  12. 일부 표면에 에어백 절개 라인을 갖는 차량 조수석의 크래시 패드; 및
    상기 크래시 패드의 내측에 융착되어 상기 크래시 패드의 에어백 절개 라인을 따라 개방되는 에어백 도어를 갖는 커버부와, 상기 커버부의 하단에 연장 형성되어 내측에 에어백이 위치하는 몸체부를 구비하는 PAB 슈트를 포함하고,
    상기 에어백 도어는
    상기 에어백 절개 라인의 중심선을 따라 양단으로 분할되며 개방되는 구조를 가지며, 상기 커버부의 일부 구간에 상기 에어백 절개 라인과 대응하는 크기로 관통된 개방부를 개폐하는 도어부;
    상기 도어부를 상기 개방부의 내측 둘레면에 분할 연결하는 힌지부; 및
    상기 도어부와 개방부 사이에서 상기 힌지부와 교차하며 상기 도어부를 보강하는 보강 플랜지를 포함하는 것인 조수석 에어백 장치.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랜지는
    상기 개방부와 내접하는 상기 도어부의 외측 둘레면에 부분적으로 연장 형성되며, 상기 개방부와 접하는 단부에 상기 도어부 개방 시 단절되는 브릿지를 구비하는 것인 조수석 에어백 장치.
  14.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보강 플랜지의 상단에는
    상기 도어부의 연장면 끝단 둘레를 보강하도록, 상기 크래시 패드의 내측과 진동 융착되는 보강 리브가 구비되는 것인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1020210026998A 2021-02-26 2021-02-26 조수석 에어백 장치 KR2022012290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998A KR20220122903A (ko) 2021-02-26 2021-02-26 조수석 에어백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998A KR20220122903A (ko) 2021-02-26 2021-02-26 조수석 에어백 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903A true KR20220122903A (ko) 2022-09-05

Family

ID=83279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998A KR20220122903A (ko) 2021-02-26 2021-02-26 조수석 에어백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2290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6076851A (en) Airbag surround for seamless instrument panel
KR100890774B1 (ko) 차량용 에어백 도어
US8870219B1 (en) Foam-in-place interior panels having integrated airbag doors including substrates with airbag chute-door assemblies for motor vehicles
EP3381751B1 (en) Automotive air bag chute door hinge with variable extension
US7887087B2 (en) Energy absorbent hinge for an air bag deployment door
CN101397002A (zh) 气囊的罩体以及气囊装置
US8662526B2 (en) Airbag device for passenger's seat
US20060017268A1 (en) Set for masking safety airbag with reinforcing members and corresponding methods for making same
US10843655B2 (en) Air bag arrangement for a vehicle-occupant-restraining system and method for producing an airbag arrangement
US11702027B2 (en) Tear inducing apparatus for PAB door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of
US11420585B2 (en) Cover device of airbag
KR20220122903A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CN212499906U (zh) 仪表板结构、仪表板总成及车辆
US20080042406A1 (en) Automotive psir door anti-walk feature
KR101607450B1 (ko) 승객용 에어백의 슈트
JP2009248610A (ja) エアバッグドア支持構造
KR20060092659A (ko) 자동차용 조수석 에어백 도어 구조
KR102443541B1 (ko) 에어백 장치
JP2003112595A (ja) エアバッグドアを備えた自動車用内装品
JP2000153745A (ja) 車両用エアバッグ装置
JP6361058B2 (ja) エアバッグリッド補強構造
EP2253517A2 (en) Airbag module
JP2007125905A (ja) エアバッグ装置のカバー
KR20240077815A (ko) 조수석 에어백 장치
CN118082741A (zh) 乘客安全气囊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