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2129A - 초음파탐상검사용 원통형 시험편 운반 거치대 - Google Patents

초음파탐상검사용 원통형 시험편 운반 거치대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2129A
KR20220122129A KR1020210026348A KR20210026348A KR20220122129A KR 20220122129 A KR20220122129 A KR 20220122129A KR 1020210026348 A KR1020210026348 A KR 1020210026348A KR 20210026348 A KR20210026348 A KR 20210026348A KR 20220122129 A KR20220122129 A KR 2022012212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ylindrical
upper body
ultrasonic inspection
test piece
cylindrical specime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634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2858B1 (ko
Inventor
김덕진
Original Assignee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filed Critical 한국수력원자력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634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2858B1/ko
Publication of KR2022012212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212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285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285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G01N29/26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 G01N29/27Arrangements for orientation or scanning by relative movement of the head and the sensor by moving the material relative to a stationary sensor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1/00Sampling; 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 G01N1/28Preparing specimens for investigation including physical details of (bio-)chemical methods covered elsewhere, e.g. G01N33/50, C12Q
    • G01N1/36Embedding or analogous mounting of samples
    • GPHYSICS
    • G01MEASURING; TESTING
    • G01N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DETERMINING THEIR CHEMICAL OR PHYSICAL PROPERTIES
    • G01N29/00Investigating or analys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sonic or infrasonic waves; Visualisation of the interior of objects by transmitting ultrasonic or sonic waves through the object
    • G01N29/22Details, e.g. general constructional or apparatus detail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Analytical Chemistry (AREA)
  • Biochem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mmunology (AREA)
  • Pathology (AREA)
  • Investigating Or Analyzing Materials By The Use Of Ultrasonic Wa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초음파탐상검사용 원통형 시험편 운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초음파탐상검사 기량 검증을 위한 원통형 시험편 운반이 안전하고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고, 원통형 시험편이 회전될 수 있게 구성하여 원통형 시험편 세정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초음파탐상검사용 원통형 시험편 운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이를 위해,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다양한 크기의 곡률을 갖는 복수의 거치홈이 형성된 상부 몸체; 상기 거치홈의 내주면에 설치된 롤러; 및 상기 하부 몸체에 상기 상부 몸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 탈착수단을 포함하는 초음파탐상검사용 원통형 시험편 운반 거치대를 제공한다.

Description

초음파탐상검사용 원통형 시험편 운반 거치대{A cylindrical specimen carrier holder for ultrasonic inspection}
본 발명은 초음파탐상검사용 원통형 시험편 운반 거치대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원통형 시험편을 안전하게 운반하고, 원통형 시험편이 회전되도록 구성하여 원통형 시험편 세정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초음파탐상검사용 원통형 시험편 운반 거치대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접물, 주조물, 압연재 등과 같은 공업제품의 품질관리 및 보수검사를 통한 제품의 균일화와 수요자로부터의 신뢰성 확보를 위해 비파괴검사(Non-destructive Testing, NDT)가 행해진다. 비파괴 검사란, 공업제품 내부의 기공(氣孔)이나 균열 등의 결함, 용접부의 내부 결함 등을 제품의 형상이나 기능을 변화시킴이 없이 외부에서 검사하는 방법으로 그 종류에는 방사선 투과검사(Radiograpic Testing, RT), 초음파 탐상검사(Ultrasonic Testing, UT), 자분 탐상검사(Magnetic particle Test, MT), 침투 탐상검사(Liquid Penetrant Testing, PT), 와전류 탐상검사(Eddy Current Testing, ECT), 누설검사(Leak Testing, LT), 음향 탐상검사(Acoustic Emisson Testing, AET) 등이 있다. 이중 초음파 탐상 검사는 원자력 발전소 등과 같은 산업설비 상의 장애 즉, 고온과 방사선으로 인한 위험부담이 높은 곳의 배관 및 튜브의 결함을 파악하기 위한 일환으로 널리 개발, 이용되고 있다. 초음파 탐상 검사는 초음파를 피검사체에 보내 그 음향적 성질 즉, 초음파가 피검사체 속에 전달되었을 때 손상이나 결함 등 불균일한 곳이 있으면 반사하는 성질을 이용하여 결함의 유무를 조사하며, 최근 위상배열 초음파 탐상 기술이 발전하면서 초음파 탐촉자가 장착된 스캐너를 이용하여 용접부의 결함 여부를 살피는 초음파 탐상 검사로 보편화 되어가고 있는 실정이다.
한편, 초음파탐상검사 기량검증에 사용되는 시험편은 통상 배관 형상에 대응되는 원통형, 반원통형 등 다양한 형상과 크기로 제공되고 있다. 상대적으로 외경이 작은 시험편은 반원통형 보다는 원통형으로 제공되고 있는 실정이다. 하지만 원통형 시험편은 초음파탐상검사장으로 운반되는 과정에서 시험편 구름으로 인한 시험편 낙하, 파손 및 작업자 안전사고 위험이 상존하는 문제가 있다. 즉, 원통형 시험편은 평평한 플랫면을 갖는 운반카트를 통해 운반되는데, 운반카트에서 원통형 시험편이 굴러 낙하될 수 있는 문제가 있는 것이다. 또한, 검사장에서는 운반카트로부터 검사자가 원통형 시험편을 검사 작업대로 이동시켜야하는 등, 번거로운 문제를 발생시킬 수 있다. 또한, 원통형 시험편은 검사가 완료된 후 초음파탐상검사시 도포된 매질을 작업자가 세정해야하는데, 작업자가 원통형 시험편을 파지하고 돌려가면서 원통형 시험편의 외주면 전체를 세정해야하므로 시험편 세정이 번거로운 문제가 있다.
대한민국 등록번호 제10-1287182호
본 발명은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의 목적은 원통형 시험편의 형상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는 거치홈을 마련하여, 원통형 시험편 적재 및 운반 뿐만아니라, 초음파탐상검사를 위한 작업대로써도 겸하여 사용될 수 있도록 한 초음파탐상검사용 원통형 시험편 운반 거치대를 제공하고자 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한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다양한 크기의 곡률을 갖는 복수의 거치홈이 형성된 상부 몸체; 상기 거치홈의 내주면에 설치된 롤러; 및 상기 하부 몸체에 상기 상부 몸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 탈착수단을 포함하는 초음파탐상검사용 원통형 시험편 운반 거치대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거치홈의 길이는 원통형 시험편의 길이에 비해 짧게 형성된 것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기 상부 몸체의 내부는 중공(中空)의 형태이며, 상부 몸체의 내부는 개방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이 바람직하다.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탐상검사용 원통형 시험편 운반 거치대는 원통형 시험편의 곡률에 대응되는 다양한 내경의 거치홈을 마련함으로써, 원통형 시험편 운반시 원통형 시험편이 굴러 낙하되는 일을 방지할 수 있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은 원통형 시험편 운반 중 낙하로 인한 시험편 파손 및 안전사고를 방지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대에 원통형 시험편이 거치된 상태로 초음파탐상검사를 실시할 수 있는 검사 작업대를 겸하여 제공할 수 있으므로, 원통형 시험편을 별도의 검사 작업대로 옮겨야하는 번거로운 일을 방지할 수 있어 초음파검사 전반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거치홈에 롤러가 설치됨으로써, 초음파탐상검사 편의성은 물론, 매질 세정 작업의 편의성을 높일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탐상검사용 원통형 시험편 운반 거치대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탐상검사용 원통형 시험편 운반 거치대를 측면에서 나타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탐상검사용 원통형 시험편 운반 거치대를 측면에서 나타낸 정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탐상검사용 원통형 시험편 운반 거치대의 상부 몸체를 나타낸 단면도이다.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 해석되지 아니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이하, 첨부된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초음파탐상검사용 원통형 시험편 운반 거치대(이하, '운반 거치대'라 함)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운반 거치대는 초음파탐상검사 기량 검증을 위한 원통형 시험편을 안전하게 운반하고, 별도의 검사 작업대에 원통형 시험편을 옮길 필요없이 운반 거치대에서 초음파탐상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운반 거치대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하부 몸체(100)와, 상부 몸체(200)와, 롤러(300)와, 탈착수단(400)을 포함한다.
하부 몸체(100)는 운반 거치대의 하부를 구성하며, 운반카트에 적재되는 부위이다. 하부 몸체(100)는 사각 형태의 직육면체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며, 플랫면을 갖는 운반카트에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다. 하부 몸체(100)의 재질은 특정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아크릴, 강화플라스틱 등 수지물은 물론, 금속으로 제공될 수 있다.
상부 몸체(200)는 원통형 시험편(T)이 거치되는 구성이며, 운반 거치대의 상부를 구성한다. 상부 몸체(200)는 하부 몸체(100)에 탈착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하부 몸체(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도록 상부 몸체(200)의 저면은 평평하게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상부 몸체(200)는 탈착수단(400)을 통해 하부 몸체(100)에 결합되는바, 상부 몸체(200)의 길이는 하부 몸체(100)의 길이와 동일하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상부 몸체(200)의 너비는 하부 몸체(100)의 너비에 비해 작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상부 몸체(200)의 너비는 하부 몸체(100)의 너비와 동일할 수도 있다. 상부 몸체(200)에는 복수의 거치홈(210)이 형성된다. 거치홈(210)은 원통형 시험편(T)을 수용하기 위한 요홈으로써, 호(arc) 형태로 제공된다. 거치홈(210)은 원통형 시험편(T)의 곡률에 대응되는 곡률을 갖도록 형성되며, 다양한 직경의 원통형 시험편(T)에 대응될 수 있도록, 서로 곡률이 다른 크기의 복수로 형성된다. 거치홈(210)의 내경은 원통형 시험편(T)의 외경에 비해 크게 형성되어 원통형 시험편(T) 회전시 거치홈(210)의 내주면과 마찰이 없어야 한다. 거치홈(210)의 깊이는 원통형 시험편(T)의 직경에 비해 50%이상으로 형성되어 거치홈(210)으로부터 원통형 시험편(T)이 굴러 떨어지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거치홈(210)의 길이는 원통형 시험편(T)의 길이에 비해 짧게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이는 원통형 시험편(T)의 양단부가 거치홈(210)의 양측으로부터 돌출되도록 함으로써, 원통형 시험편(T)을 검사자가 용이하게 파지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함이다. 이때, 거치홈(210)의 길이가 원통형 시험편(T)의 길이에 비해 과도하게 짧을 경우, 원통형 시험편(T) 거치가 불안정하게 이루어질 수 있으므로, 거치홈(210)의 길이는 원통형 시험편(T) 길이에 비해 짧게 형성되되, 원통형 시험편(T) 길이의 2/3임이 가장 바람직하다.
상부 몸체(200)는 중공(中空)의 형태로 이루어짐이 바람직하다. 즉, 상부 몸체(200)의 내부는 빈 공간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한데, 이는 상부 몸체(200) 세정 작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부 몸체(200)에는 후술하는 롤러(300)가 설치되는데, 초음파탐상검사 기량검증 후, 원통형 시험편(T)에 도포된 매질을 닦아내는 세정 작업 중, 매질이 롤러(300)의 롤링을 따라 상부 몸체(200) 내부로 유입되거나, 롤러(300) 사이에 흡착되는 등의 문제가 발생할 수 있는바, 상부 몸체(200)를 뒤집어 상부 몸체(200)의 내측에서 이물질 제거 작업을 편리하게 하기 위함이다. 상부 몸체(20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가 개방될 수 있도록 제공되며, 바람직하게는 상부 몸체(200)의 내부는 개폐될 수 있도록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이를 위해, 상부 몸체(200)의 개구부에는 개폐 덮개(220)가 설치되며, 개폐 덮개(220)는 상부 몸체(200)에 형성된 슬라이딩홈(230)을 따라 슬라이드될 수 있도록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개폐 덮개(220)는 평평하게 제공되며, 하부 몸체(100)에 안정적으로 결합될 수 있다. 상부 몸체(200)의 재질도 특정하게 한정되지 않으며, 아크릴, 강화플라스틱 등 수지물은 물론, 금속으로 제공될 수 있다.
롤러(300)는 거치홈(210)에서 원통형 시험편(T)을 안정적으로 받치거나, 롤링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다. 롤러(300)는 거치홈(210)의 내주면에서 롤링될 수 있도록 설치되며, 베어링으로 제공됨이 바람직하다. 롤러(300)는 거치홈(210)의 내주면으로부터 돌출되도록 설치되며, 거치홈(210)의 내주면 곡률을 따라 한 쌍으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또한, 롤러(300)는 거치홈(210)의 길이 방향으로 복수로 설치됨이 바람직하다.
탈착수단(400)은 하부 몸체(100)에 상부 몸체(200)를 탈착시키는 역할을 하며, 걸림편(410)과 체결부재(420)로 구성됨이 바람직하다. 걸림편(410)은 체결부재(420)가 걸려 결합될 수 있도록 한 구성으로써, 편의상 상부 몸체(200)에 마련된 것을 예로 한다. 걸림편(410)은 상방을 향해 절곡되어 체결부재(420)의 걸림을 위해 제공된다. 체결부재(420)는 하부 몸체(100)에 설치되며, 걸림편(410)을 향해 회동되면서 걸림편(410)에 체결되거나 걸림편(410)으로부터 체결이 해제될 수 있도록 제공된다. 이와 같은 구성의 탈착수단(400)은 상기한 구성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하부 몸체(100)와 상부 몸체(200)간 탈착을 위한 구성이면 무방하다 할 것이다. 탈착수단(400)은 토글 클램프로 제공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구성으로 이루어진 운반 거치대 사용에 대하여 살펴보도록 한다.
작업자는 하부 몸체(100)의 체결부재(420)를 상부 몸체(200)의 걸림편(410)에 걸어 결합시킴으로써, 상부 몸체(200)는 하부 몸체(100)에 결합이 되어 운반 거치대를 구성한다. 이후, 작업자는 원통형 시험편(T)을 상부 몸체(200)의 거치홈(210)에 안착시킨다. 이때, 작업자는 원통형 시험편(T)의 사이즈에 맞는 거치홈(210)에 원통형 시험편(T)을 안착시킬 수 있다. 이후, 작업자는 원통형 시험편(T)이 거치된 운반 거치대를 운반카트에 적재시킨다. 이때, 하부몸체(100)는 운반카트에 안정적으로 적재될 수 있으며, 원통형 시험편(T)은 거치홈(210)에 거치되어 있으므로, 운반카트 이동시 낙하되는 일은 발생하지 않는다.
작업자에 의해 이동된 운반 거치대는 검사장에서 초음파탐상검사 작업대로 활용된다. 즉, 작업자가 운반카트로부터 운반 거치대를 별도의 작업대로 운반하는 것이 아니라, 운반 거치대에 원통형 시험편(T)이 거치된 상태에서 기량 검사가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 것이다.
이후, 검사자는 다양한 사이즈의 원통형 시험편(T)을 대상으로 초음파탐상검사를 실시하며, 만약 원통형 시험편(T)에 매질이 도포되어 있는 경우, 검사전 원통형 시험편(T)을 회전시키면서 원통형 시험편(T)에 도포된 매질을 세정한다. 이후, 검사자의 초음파탐상검사가 완료되면, 후행 검사자는 상기한 일련의 과정을 수행하면서 초음파탐상검사를 실시한다.
한편, 모든 검사자의 검사가 완료되면, 관리자는 운반 거치대를 원위치시키기 전, 세정작업을 실시한다. 관리자는 걸림편(410)으로부터 체결부재(420)를 풀어 상부 몸체(200)를 하부 몸체(100)로부터 분리시키고, 상부 몸체(200)의 개폐 덮개(220)를 슬라이딩하여 상부 몸체(200)의 내부를 개방시킨다. 이후, 관리자는 롤러(300) 및 롤러 주변에 흡착된 매질 등의 이물질을 닦아낸 후, 개폐 덮개(220)를 원위치시킴으로써, 상부 몸체(200) 세정작업이 완료된다.
지금까지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초음파탐상검사용 원통형 시험편 운반 거치대는 원통형 시험편 운반을 안전하고 용이하게 운반할 수 있도록 함과 더불어, 초음파탐상검사 작업대로써의 역할도 겸하여 수행할 수 있도록 하였으며, 롤러를 통한 원통형 시험편 회전을 통해 원통형 시험편 세정 작업이 용이하게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하였다.
이상에서 본 발명은 기재된 구체예에 대하여 상세히 설명되었지만 본 발명의 기술사상 범위 내에서 다양한 변형 및 수정이 가능함은 당업자에게 있어서 명백한 것이며, 이러한 변형 및 수정은 첨부된 특허 청구범위에 속함은 당연한 것이다.
100 : 하부 몸체 200 : 상부 몸체
210 : 거치홈 220 : 개폐덮개
230 : 슬라이딩홈 300 : 롤러
400 : 탈착수단 410 : 걸림편
420 : 체결부재 T : 원통형 시험편

Claims (3)

  1. 하부 몸체;
    상기 하부 몸체의 상부에 배치되며, 다양한 크기의 곡률을 갖는 복수의 거치홈이 형성된 상부 몸체;
    상기 거치홈의 내주면에 설치된 롤러; 및
    상기 하부 몸체에 상기 상부 몸체를 고정시킬 수 있도록 제공된 탈착수단을 포함하는 초음파탐상검사용 원통형 시험편 운반 거치대.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거치홈의 길이는 원통형 시험편의 길이에 비해 짧게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탐상검사용 원통형 시험편 운반 거치대.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몸체의 내부는 중공(中空)의 형태이며, 상부 몸체의 내부는 개방될 수 있도록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초음파탐상검사용 원통형 시험편 운반 거치대.
KR1020210026348A 2021-02-26 2021-02-26 초음파탐상검사용 원통형 시험편 운반 거치대 KR10248285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348A KR102482858B1 (ko) 2021-02-26 2021-02-26 초음파탐상검사용 원통형 시험편 운반 거치대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6348A KR102482858B1 (ko) 2021-02-26 2021-02-26 초음파탐상검사용 원통형 시험편 운반 거치대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2129A true KR20220122129A (ko) 2022-09-02
KR102482858B1 KR102482858B1 (ko) 2022-12-30

Family

ID=8328101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6348A KR102482858B1 (ko) 2021-02-26 2021-02-26 초음파탐상검사용 원통형 시험편 운반 거치대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2858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287182B1 (ko) 2013-04-10 2013-07-17 나우 주식회사 자동 초음파 탐상검사장치
KR20140085961A (ko) * 2012-12-28 2014-07-08 현대제철 주식회사 전극봉 검사 장치
KR101438025B1 (ko) * 2013-08-19 2014-09-04 삼인싸이언스(주) 실험실용 가스 라인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85961A (ko) * 2012-12-28 2014-07-08 현대제철 주식회사 전극봉 검사 장치
KR101287182B1 (ko) 2013-04-10 2013-07-17 나우 주식회사 자동 초음파 탐상검사장치
KR101438025B1 (ko) * 2013-08-19 2014-09-04 삼인싸이언스(주) 실험실용 가스 라인 지지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2858B1 (ko) 2022-12-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562137B2 (en) Systems and methods for canister inspection, preparation, and maintenance
JP5841619B2 (ja) 浸漬超音波による、ワークピースの非破壊試験装置
JP2007285772A (ja) 配管検査方法及びこれに用いる配管検査装置
KR102482858B1 (ko) 초음파탐상검사용 원통형 시험편 운반 거치대
KR100961283B1 (ko) 배관 용접부 자동 비파괴 검사용 스캐너
KR20200137462A (ko) 휴대형 비파괴 검사장치
US3844164A (en) End area inspection tool for automated nondestructive inspection
JP5024936B2 (ja) 黒鉛含有セラミック容器の検査方法
KR101602903B1 (ko) 비파괴검사용 벨트 스캐너
KR101602905B1 (ko) 비파괴검사용 벨트 스캐너
JP2012173117A (ja) 欠陥検査方法及び欠陥検査装置
RU160809U1 (ru) Установка ультразвукового контроля кольцевых сварных швов и угловых сварных соединений
CN212275628U (zh) 管道检测装置
JPH0447199B2 (ko)
JP2004163125A (ja) 超音波探傷装置および超音波探傷方法
US3844165A (en) End area inspection tool for automated nondestructive inspection
CN111624212A (zh) 管道检测装置
CN106018121B (zh) 一种厚度大于30mm焊接钢板弯曲试验方法
KR100446351B1 (ko) 사용후 핵연료봉 피복관 세척장치
JP2009092576A (ja) 超音波探傷装置
JP2001074711A (ja) 筒体の検査装置及び検査方法
CN214895024U (zh) 不锈钢管涡流探伤试验设备
US20160282278A1 (en) Chemical cleanliness test method prior to surface treatment
CN215674797U (zh) 一种用于管道环焊缝缺陷的可拆装外检测装置
KR100473685B1 (ko) 주석도금강판을 표면검사하기 위한 시험재 인발장치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