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1700A -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조정방법 - Google Patents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조정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1700A
KR20220121700A KR1020220016643A KR20220016643A KR20220121700A KR 20220121700 A KR20220121700 A KR 20220121700A KR 1020220016643 A KR1020220016643 A KR 1020220016643A KR 20220016643 A KR20220016643 A KR 20220016643A KR 20220121700 A KR20220121700 A KR 20220121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wedge
shaped member
pipe
spacer
rehabili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664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673457B1 (ko
Inventor
타카오 카미야마
지한상
Original Assignee
에스지케이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에스지케이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에스지케이 주식회사
Publication of KR20220121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1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67345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67345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5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 F16L55/1657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pipe or flexible liner being inserted in the damaged section lengths of rigid pipe being inserted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8Appliances for use in repairing pip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PIPES; JOINTS OR FITTINGS FOR PIPES; SUPPORTS FOR PIPES, CABLES OR PROTECTIVE TUBING; MEANS FOR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L55/00Devices or appurtenances for use in, or in connection with, pipes or pipe systems
    • F16L55/16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 F16L55/162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 F16L55/164Devices for covering leaks in pipes or hoses, e.g. hose-menders from inside the pipe a sealing fluid being introduced in the pip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Sewage (AREA)
  • Lining Or Joining Of Plastics Or The Like (AREA)
  • Pipe Accessori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기설관과 이 기설관을 수복 또는 갱생하는 갱생관의 틈에 삽입되어 갱생관의 위치조정을 수행하기 위한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기설관과 이 기설관을 갱생하는 갱생관과의 틈새에 삽입되어 기설관에 대한 갱생관의 위치를 조절하는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삽입방향의 안쪽이 높아지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고, 소정 피치로 이가 형성되어 경사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을 구비한 제1쐐기형부재와, 상기 제1쐐기형부재에 경사면을 맞춰 포개지고, 스페이서 전체의 높이가 높아지는 삽입방향으로는 제1쐐기형부재에 대한 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반대 방향으로는 이동이 저지되도록 상기 가이드홈의 이와 계합하는 이가 형성된 제2쐐기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쐐기형부재에는 기설관과 갱생관 사이 틈새에 주입되는 충전재를 통과시키는 충전재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쐐기형부재의 이가 형성된 부분은 상기 충전재 통과공 내로 탄성변형하는 것이 가능한 탄성변형편으로 구성되어 해당 탄성변형편을 충전재 통과공 내로 탄성변형시켰을 때에는 상기 제2쐐기형부재 이와 상기 가이드홈 이의 계합이 풀어져 상기 제2쐐기형부재가 삽입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조정방법{Adjustemet spacer for rehabilitation pipe position and Adjustment method using the same}
본 발명은 기설관과 이 기설관을 수복 또는 갱생하는 갱생관의 틈에 삽입되어 갱생관의 위치조정을 수행하기 위한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조정방법에 관한 것이다.
하수관 등의 기설관 내에서 외경이 기설관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갱생관을 설치하고, 갱생관의 외주면과 기설관의 내벽면 사이에 충전재를 충전하여 경화시켜 복합관을 구축함으로써 기설관을 수복 또는 갱생하는 기설관 갱생방법이 알려져 있다. 통상적으로 이러한 기설관 갱생공사 시에는 기설관 내 갱생관의 위치를 기설관과 동심원상의 위치로부터 약간 하방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갱생관 외주면의 하단이 기설관의 관 바닥에 접하는 위치로 조정하여 갱생관을 고정할 필요가 있다.
이는 갱생관의 관 바닥을 가능한 한 기설관의 관 바닥에 접근시켜 낮게 하여 기설관 내 유체의 흐름을 확보하고, 기설관 손상의 대부분이 그 상측부분에 발생하기 때문에 상측에서 충전재를 두껍게 하여 강도를 강하게 하기 위한 것이다. 또한 갱생관은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지는 점에서 비중이 충전재보다 작아 충전재에 뜨기 때문에 이것을 하방으로 누르기 위해서 위와 같이 위치를 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와 같은 갱생관의 위치조정을 위해서 삽입방향의 안쪽이 높아지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진 제1쐐기형부재와, 제1쐐기형부재의 경사각도와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고 제1쐐기형부재에 경사각도면을 맞춰 포개지는 제2쐐기형부재와, 제2쐐기형부재를 제1쐐기형부재에 대하여 삽입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하고 역방향으로는 이동할 수 없도록 계지(繫止, Locking)하는 록킹수단을 설치하여 스페이서 전체의 높이를 소정의 높이로 조정하는 구성이 공지되어 있다(하기 특허문헌 1).
또한 제2쐐기형부재에 제1쐐기형부재와의 록킹상태를 해제할 수 있는 탄성변형편을 설치하고, 이 탄성변형편을 탄성변형시켜 양쐐기형부재의 록킹을 해제하여 제2쐐기형부재를 삽입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구성이 공지되어 있다(하기 특허문헌 2).
1. 일본 특개 2005-265070호 공보 2. 일본 특개 2016-176571호 공보
특허문헌 2에 기재된 구성에서는 스페이서 전체의 높이를 소정의 높이로 조정하여 적당하지 않을 때에는 탄성변형편을 탄성변형시켜 제2쐐기형부재를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스페이서 전체의 높이를 재조정할 수 있다. 그러나 탄성변형편을 탄성변형시킬 때 탄성변형편이 제2쐐기형부재의 하면에 닿아 탄성변형편의 변위량이 적어 제1쐐기형부재와의 록킹을 해제시키기 어렵다는 문제가 있었다.
또한 갱생관의 외주면과 기설관의 내벽면의 틈에 충전되는 충전재를 유통시키기 위해서 스페이서에는 충전재를 유통시키는 장공이 형성된다. 그러나 종래의 구성에서는 충전재가 충분히 스페이서에 흘러들지 않아 스페이서내에 공동이 발생한다는 문제가 있었다.
본 발명은 이러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서 이루어진 것으로 탄성변형편의 변위량을 크게 하여 제1 및 제2쐐기형부재의 록킹을 용이하게 해제할 수 있도록 하면서, 스페이서 내에 다량의 충전재를 흘려 넣을 수 있도록 구성된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조정방법을 제공하는 것을 과제로 한다.
본 발명은 기설관과 이 기설관을 갱생하는 갱생관과의 틈새에 삽입되어, 기설관에 대한 갱생관의 위치를 조절하는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에 관한 것으로,
삽입방향의 안쪽이 높아지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고, 소정 피치로 이가 형성되어 경사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을 구비한 제1쐐기형부재와,
상기 제1쐐기형부재에 경사면을 맞춰 포개지고, 스페이서 전체의 높이가 높아지는 삽입방향으로는 제1쐐기형부재에 대한 이동이 가능함과 동시에 반대 방향으로는 이동이 저지되도록 상기 가이드홈의 이와 계합하는 이가 형성된 제2쐐기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쐐기형부재에는 기설관과 갱생관 사이 틈새에 주입되는 충전재를 통과시키는 충전재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쐐기형부재의 이가 형성된 부분은 상기 충전재 통과공 내로 탄성변형하는 것이 가능한 탄성변형편으로 구성되어 해당 탄성변형편을 충전재 통과공 내로 탄성변형시켰을 때에는 상기 제2쐐기형부재 이와 상기 가이드홈 이의 계합이 풀어져 상기 제2쐐기형부재가 삽입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이와 같은 스페이서를 이용하여, 이가 계합하도록 상기 제1,2쐐기형부재를 포갠 상태에서 기설관과 갱생관의 틈에 삽입한 후, 해당 삽입방향 또는 상기 삽입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페이서 전체의 높이를 조정하여 기설관에 대한 갱생관의 위치조정을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탄성변형편을 충전재 통과공 내로 탄성변형시킬 수 있으므로 탄성변형량을 크게 할 수 있고, 제1 및 제2쐐기형부재의 이의 계합을 간단히 해제하여 제2쐐기형부재를 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다. 또한 탄성변형편이 변형하여 들어가는 충전재 통과공이 제2쐐기형부재의 폭방향에 전역에 걸쳐 연장되어 있으므로 스페이서내에 다량의 충전재가 흘러들어 스페이서내에 형성되는 공동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도 1은 갱생관의 조립에 사용되는 세그먼트의 구조를 나타낸 사시도이다.
도 2는 세그먼트를 둘레방향으로 연결하여 관유닛을 조립한 상태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3은 관유닛의 세그먼트를 연결볼트를 이용하여 관길이방향으로 연결하는 상태를 나타낸 설명도이다.
도 4는 관유닛을 조립하여 갱생관을 기설관내에 부설하는 상태를 설명한 설명도이다.
도 5는 부설된 갱생관의 외주면과 기설관의 내벽면 사이에 충전재를 주입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6은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를 구성하는 제1쐐기형부재의 구조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7은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를 구성하는 제2쐐기형부재의 하면측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8은 제2쐐기형부재를 제1쐐기형부재에 포개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9는 제2쐐기형부재의 제1쐐기형부재에 대한 이동을 양쐐기형부재의 폭방향 중앙에서 단면하여 설명하는 단면도이다.
도 10은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에 의해 갱생관의 위치조정을 수행하는 상태를 나타내는 설명도이다.
도 11은 제1 및 제2쐐기형부재의 이의 계합을 해제시키는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도 12는 제2쐐기형부재를 삽입방향과 역방향으로 이동시키는 상태를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 본 발명을 첨부도면에 나타난 실시예에 기초하여 설명한다.
본 발명은 하수관, 상수관, 터널, 농업용수로 등의 대구경 기설관을 갱생 또는 수복하는 공정에 적용할 수 있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에서 갱생관은 관 길이방향에 직교하는 단면형상이 원형으로 나타나 있지만, 직사각형 등 원형 이외의 단면형상을 갖는 갱생관에도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또한 단면형상이 닫힌 형상이 아니라 편자형이나 반원형, 오목형 등 한쪽이 열린 형상인 경우에도 관으로 간주하여 본 발명을 적용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관 길이방향이란 도 2에서 관유닛(10)의 관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화살표 X로 나타낸 방향을, 둘레방향이란 관유닛(10)의 원 둘레방향을 말한다.
도 1에는 갱생관용 세그먼트(1, 이하 '세그먼트'라 약칭함)의 구조가 도시되어 있다. 상기 세그먼트(1)는 갱생관의 내주면을 구성하는 내면판(101)과, 해당 내면판(101)의 둘레방향으로 연장되는 양측에 수직으로 입설된 동일한 판두께의 측판(102, 103)과, 상기 내면판(101)의 관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양단에 수직으로 입설된 단부판(104, 105)으로 이루어지는, 플라스틱으로 일체(一體) 성형된 블록형 부재이다.
상기 내면판(101)의 상면에는 세그먼트(1)의 기계적 강도를 보강하기 위해서 측판(102, 103)의 내측에 측판(102, 103)과 판두께가 동일한 복수의 내부판(106, 107)이 측판(102, 103)과 평행하게 등간격으로 입설된다.
상기 세그먼트(1)는 원주를 복수 등분하는 소정 각도, 예를 들어 6등분하는 60도의 원호형상으로 만곡한 형상으로 되어 있지만, 기설관의 단면형상 또는 그 크기 또는 기설관 보수부위에 따라 직방체 또는 직각을 둥글게 하여 구부린 모양 등으로 제작할 수 있다.
상기 측판(102, 103)에는 세그먼트(1)를 관 길이방향으로 연결하기 위해서 연결볼트(11) 및 너트(12)를 통과시키기 위한 원형의 삽입공(102a, 103a)이 둘레방향에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된다(도 3 참조).
상기 내부판(106)에는 연결볼트(11)를 통과시키기 위한 원형의 삽입공(106a)을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시키고, 다른 내부판(107)에는 연결볼트(11)를 삽입할 수 있어 삽입공으로서 기능하는 노치(107a)를 등간격으로 복수 형성시킬 수 있다.
상기 삽입공(102a, 103a, 106a) 및 노치(107a)는 각각 둘레방향의 위치가 일치한다.
상기 단부판(104, 105)에는 세그먼트(1)를 둘레방향으로 연결하는 연결볼트를 통과시키기 위한 원형의 삽입공(104a, 105a)이 복수 형성된다. 세그먼트(1)를 둘레방향으로 연결할 때에는 세그먼트(1)의 단부판(105)이 다른 세그먼트의 단부판(104)과 맞대어진 상태로 볼트(6)와 너트(7)를 나사결합시킴으로써 둘레방향으로 연결시킬 수 있다(도 3 참조).
상기 세그먼트를 순차적으로 연결하여 둘레방향으로 한 바퀴 연결시키면 도 2에 나타난 바와 같은 관 길이방향(X)에 수직으로 소정 폭(D)을 갖는 링형상의 관유닛(10)이 조립된다. 상기 관유닛(10)은 그 외경이 갱생할 기설관의 내경보다 약간 작은 값으로 되어 있다. 또한 도 2에서는 세그먼트(1)의 주요한 구조부재인 내면판(101), 측판(102, 103), 단부판(104, 105)이 도시되어 있어서 내부판(106, 107) 등의 보강구조는 번잡함을 피하기 위해 도시가 생략되어 있다.
이와 같은 관유닛(10)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 길이방향으로 순차 연결된다. 도 3에서 관유닛의 세그먼트(1a, 1b, 1c)의 내부판(106)에는 복수의 금속제 너트(12)가 연결볼트(13)를 이용하여 고정된다. 상기 너트(12)의 관 길이방향 길이는 측판(102)과 내부판(106)의 간격보다 길고, 측판(102)으로부터 돌출하여 세그먼트의 다른 쪽 측판(103)의 두께와 동등 이상으로 형성되어 있다. 상기 연결볼트(11)는 일단에 상기 너트(12)와 나사결합하는 나사부(11a)가 형성되고, 타단에 테두리(14a)를 갖는 머리부(14)가 고정된 원기둥형상의 길고 가느다란 볼트이다.
관유닛의 세그먼트(1a) 하나를 인접하는 다른 관유닛의 세그먼트(1b)에 연결하는 경우, 세그먼트(1b)의 측판(102)으로부터 돌출하고 있는 너트(12)를 세그먼트(1a)의 측판(103)의 삽입공(103a)에 통과시키고, 양 세그먼트(1a, 1b)의 측판(103, 102)을 맞댄다.
계속해서 연결볼트(11)를 세그먼트(1a)의 측판(102)의 삽입공(102a), 내부판(106)의 삽입공(106a), 내부판(107)의 노치(107a)에 통과시키고, 나사부(11a)를 세그먼트(1b)에 고정되어 있는 너트(12)에 조인다. 이에 의해 연결볼트(11)와 너트(12)가 연결된다. 그 후 머리부(14)의 테두리(14a)가 세그먼트(1a)의 최좌단의 내부판(106)에 압접할 때까지 연결볼트(11)를 너트(12)에 조여 양세그먼트(1a, 1b)를 볼팅하여 관길이방향으로 연결한다.
세그먼트(1)는 도 4에 나타난 바와 같이 맨홀(20)을 통해 기설관(21) 내에 반입되고, 세그먼트(1)를 둘레방향으로 순차 연결하여 관유닛(10)이 조립된다. 계속해서 관유닛(10)의 세그먼트가 도 3에 나타낸 바와 같이 관 길이방향으로 순차 연결되어 기설관(21)내에 갱생관(40)이 부설되고, 갱생관(40)과 기설관(21) 사이에 충전재가 충전된다.
부설한 갱생관(40)은 플라스틱재로 이루어져 비중이 작아 충전재에 뜨므로 이것을 하방으로 눌러 기설관(21)과 동심의 위치로부터 약간 하방으로 어긋난 위치에서 그 외주의 하단이 기설관(21)의 관 바닥에 접하는 위치로 위치조정할 필요가 있다. 이 때문에 본 발명에서는 관유닛(10)을 복수개 연결하여 갱생관(40)을 소정 길이(예를 들어 1m 정도) 조립할 때마다 도 5에 도시된 스페이서(50)를 갱생관(40)의 상측 외주의 복수 개소에서 상기 갱생관(40)의 외주면과 기설관(21)의 내벽면의 사이에 삽입하여 위치조정을 수행한다.
상기 스페이서(50)는 도 6에 상면측이 나타난 플라스틱제 제1쐐기형부재(51)와 도 7에 하면측이 나타난 플라스틱제 제2쐐기형부재(52)를 도 8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상하로 포개서 구성된다.
상기 제1쐐기형부재(51)는 전체적인 외형이 쐐기형상이고, 상면이 삽입방향의 안쪽이 높아지도록 소정 각도(예를 들어 약 10도)로 경사지고 하면이 수평하게 되어 있어서 폭방향의 중앙부에는 소정 폭의 가이드홈(51a)이 경사선방향을 따라 직선형상으로 형성된다. 가이드홈(51a)의 저면에는 다수의 이(51b)가 예를 들어 수 mm 정도로 짧은 소정의 피치로 이가 형성된다.
상기 가이드홈(51a)의 폭방향 양측에는 충전재를 통과시키기 위한 다수(도 6에 도시된 예에서는 16개)의 장공(51c)이 형성되고, 상기 제1쐐기형부재(51)의 한쪽 단부에는 제1쐐기형부재(51)를 세그먼트(1)에 록킹하기 위한 다리(51d)가 형성된다.
도 7에 나타난 제2쐐기형부재(52)는 전체의 외형이 쐐기형상이며 길이와 폭이 제1쐐기형부재(51)와 동일하고, 도 7에서 위로 노출된 면이 제1쐐기형부재(51)의 상면과 동일한 각도로 경사지고, 도 7에서의 하면이 수평하게 되어 있다.
상기 제2쐐기형부재(52)의 폭방향의 중앙부에는 상기 제1쐐기형부재(51)의 가이드홈(51a)에 감합하는 볼록부(52a)가 형성된다. 볼록부(52a)의 일단측은 상하방향으로 두께가 얇아져 있어서 도 7에서 보아 하방으로 탄성변형하도록 구성되어 있다. 이하에서 얇아진 볼록부(52a)의 부분을 탄성변형편(52c)이라고 한다.
상기 탄성변형편(52c)에는 복수(도 7의 예에서는 2개)의 이(52b)가 제1쐐기형부재(51) 이(51b) 피치의 정수배의 큰 피치(예를 들어 10 내지 20mm 정도)로 형성된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쐐기형부재(52)의 볼록부(52a)를 제1쐐기형부재(51)의 가이드홈(51a)에 감합하여 양쐐기형부재(51, 52)의 경사면을 맞추면 탄성변형편(52c)의 이(52b)가 가이드홈(51a)의 이(51b)와 계합하게 된다.
상기 제2쐐기형부재(52)에는 볼록부(52a)의 양측에 충전재를 통과시키기 위한 다수(도시 예에서는 6개)의 장공(52d)이 형성되고, 탄성변형편(52c)이 위치한 부분에도 충전재 통과공(52e)이 형성된다. 충전재 통과공(52e)은 장공(52d)보다 크고, 제2쐐기형부재(52)의 폭방향 전체 길이에 걸쳐 연장되어 있어 다량의 충전재가 유통하는 크기로 되어 있다. 또한 상기 탄성변형편(52c)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지장없이 충전재 통과공(52e) 내부로 탄성변형할 수 있는 길이로 되어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및 제2쐐기형부재(51, 52)의 경사면을 맞춰 제2쐐기형부재(52)의 볼록부(52a)를 제1쐐기형부재(51)의 가이드홈(51a)에 감합하면 제2쐐기형부재(52)의 이(52b)는 제1쐐기형부재(51) 이(51b)의 어느 하나와 계합하고, 제1 및 제2쐐기형부재(51, 52)의 경사면과 반대측의 면은 서로 평행해진다.
도 9에 화살표로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쐐기형부재(52)를 삽입방향으로 압압하면 이(51b, 52b)의 일방측 계합단이 경사면으로 되어 있기 때문에 제2쐐기형부재(52)를 삽입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고, 스페이서(50)의 전체 높이(H)를 증대시켜 원하는 높이로 조정할 수 있다. 한편 제2쐐기형부재(52)를 역방향으로 당기는 경우에는 이(51b, 52b)의 타방측 계합단이 거의 수직으로 되어 있으므로 제2쐐기형부재(52)의 역방향 이동이 저지된다.
제1 및 제2쐐기형부재(51, 52)의 이(51b, 52b)가 서로 계합하고 있는 도 11의 상단에 나타낸 상태에서 화살표로 나타내는 방향으로 공구를 삽입한다. 계속해서 공구로 탄성변형편(52c)을 들어올려 도 11의 하단에 나타낸 바와 같이 탄성변형편(52c)을 충전재 통과공(52e)내로 탄성변형시키면 이(51b, 52b)의 계합이 해제된다. 계합이 해제되면 도 1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제2쐐기형부재(52)를 도면중 화살표방향으로 이동시키는 것이 가능해져서 스페이서 전체의 높이를 낮아지도록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또한 탄성변형편(52c)의 선단은 공구의 삽입이 용이해지도록 경사면으로 되어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으로 스페이서(50)를 이용하여 갱생관(40)의 위치조정을 수행하는 경우, 제1 및 제2쐐기형부재(51, 52)를 포갠 상태에서 기설관(21)과 갱생관(40)의 틈에 삽입하고,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쐐기형부재(51)의 다리(51d)를 세그먼트(1)의 내부판(106)에 계합시켜 제1쐐기형부재(51)를 고정한다. 계속해서 제2쐐기형부재(52)를 화살표 A로 나타내는 삽입방향으로 압압하여 이동시킴으로써 스페이서 전체의 높이를 순차 단계적으로 증대시켜 원하는 틈의 치수에 대응한 높이로 조정할 수 있다.
스페이서 전체의 높이가 너무 높은 경우에는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공구 등으로 탄성변형편(52c)을 들어올려 탄성변형편(52c)을 충전재 통과공(52e)내로 탄성변형시키면 이(51b, 52b)의 계합이 해제된다. 이에 의해 도 1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2쐐기형부재(52)를 역방향으로 이동시킬 수 있어 스페이서 전체의 높이가 낮아지도록 조정하는 것이 가능해진다.
본 실시예에서는 제1쐐기형부재(51)의 이(51b)와 계합하는 제2쐐기형부재(52)의 이(52b)가 형성된 부분이 탄성변형편(52c)으로 되어 있어 탄성변형편(52c)을 충전재 통과공(52e)내로 탄성변형시킬 수 있다. 이에 의해 탄성변형편(52c)의 탄성변형량이 커져 상기 제1,2쐐기형부재 이(51b, 52b)들의 계합을 간단히 해제할 수 있고, 상기 제2쐐기형부재(52)의 역방향 이동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이와 같이 이가 계합하도록 상기 제1,2쐐기형부재(51, 52)를 포갠 상태에서 기설관과 갱생관의 틈에 삽입한 후, 상기 제2쐐기형부재(52)를 제1쐐기형부재(51)에 대하여 삽입방향 또는 상기 삽입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시켜 갱생관(40)의 위치를 조정한 후, 도 5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충전재(30)를 기설관(21)의 내벽면과 갱생관(40)의 외주의 틈새 즉, 상기 세그먼트(1)의 내면판(101) 외측 공간에 충전재(30)를 충전한다. 충전재(30)는 세그먼트(1)의 적당한 위치에 홀(41a)을 형성하여 이것에 충전용 호스(41)를 접속시키고, 이 호스(41)를 통해 주입된다.
상기 제1,2쐐기형부재(51, 52) 각각에 장공(51c, 52d) 등이 형성되어 있고, 스페이서(50)에 충전재(30)가 흘러들어 유통하므로 스페이서 내에 공동이 생기는 일은 없다. 또한 상기 탄성변형편(52c)이 변형하여 들어가는 충전재 통과공(52e)은 제2쐐기형부재(52)의 폭방향에 전역에 걸쳐 연장되어 있으므로 스페이서(50)내에 다량의 충전재(30)가 흘러들어 스페이서 내에 형성되는 공동을 최소한으로 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1쐐기형부재(51) 이(51b)의 피치는 제2쐐기형부재(52) 이(52b)의 피치와 다르게 할 수 있지만, 동일한 피치로도 구성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은 기설관 갱생공사에 있어서의 갱생관의 위치조정뿐만 아니라 고정물과 위치조정되는 물체의 틈에 스페이서를 삽입하여 수행하는 위치조정에도 널리 이용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1: 세그먼트 10: 관유닛
21: 기설관 40: 갱생관
50: 스페이서
51: 제1쐐기형부재
51a: 가이드홈 51b: 이
51c : 장공
52: 제2쐐기형부재 52a: 볼록부
52b: 이 52c: 탄성변형편
52d : 장공 52e: 충전재 통과공

Claims (4)

  1. 기설관과 이 기설관을 갱생하는 갱생관과의 틈새에 삽입되어, 기설관에 대한 갱생관의 위치를 조절하는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로서,
    삽입방향의 안쪽이 높아지도록 소정 각도로 경사지고, 소정 피치로 이가 형성되어 경사방향으로 연장되는 가이드홈을 구비한 제1쐐기형부재와,
    상기 제1쐐기형부재에 경사면을 맞춰 포개지고, 스페이서 전체의 높이가 높아지는 삽입방향으로는 상기 제1쐐기형부재에 대한 이동을 할 수 있음과 함께 역방향으로는 이동이 저지되도록 상기 가이드홈의 이와 계합하는 이가 형성된 제2쐐기형부재를 구비하고,
    상기 제2쐐기형부재에는 기설관과 갱생관의 틈새에 주입되는 충전재를 통과시키는 충전재 통과공이 형성되어 있고,
    상기 제2쐐기형부재의 이가 형성된 부분은 상기 충전재 통과공 내로 탄성변형 가능한 탄성변형편으로 이루어지고, 상기 탄성변형편을 상기 충전재 통과공 내로 탄성변형시켰을 때에는 상기 제2쐐기형부재의 이와 가이드홈의 이의 계합이 풀어져 상기 제2쐐기형부재가 삽입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2. 제1항에서,
    상기 충전재 통과공은 제2쐐기형부재의 폭방향 전역에 걸쳐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3. 제1항에서,
    상기 제2쐐기형부재의 이 피치는 상기 가이드홈의 이 피치의 정수배로 형성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의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를 기설관과 갱생관의 틈새에 삽입하여 갱생관의 위치조정을 수행하는 위치 조정방법으로서,
    이가 계합하도록 상기 제1,2쐐기형부재를 포갠 상태에서 기설관과 갱생관의 틈에 삽입한 후, 상기 제2쐐기형부재를 삽입방향 또는 삽입방향의 역방향으로 이동시킴으로써 스페이서 전체의 높이를 조정하여 기설관에 대한 갱생관의 위치조정을 수행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위치 조정방법.
KR1020220016643A 2021-02-25 2022-02-09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조정방법 KR102673457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JP-P-2021-029128 2021-02-25
JP2021029128A JP2022130134A (ja) 2021-02-25 2021-02-25 更生管の位置調整用スペーサー及びこれを用いた位置調整方法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1700A true KR20220121700A (ko) 2022-09-01
KR102673457B1 KR102673457B1 (ko) 2024-06-07

Family

ID=8290166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6643A KR102673457B1 (ko) 2021-02-25 2022-02-09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조정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68388A1 (ko)
JP (1) JP2022130134A (ko)
KR (1) KR102673457B1 (ko)
CN (1) CN114962850A (ko)
AU (1) AU2022200279A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0265A (en) * 1995-12-13 1999-04-06 Tyton Hellermann Corporation Parallel entry tie
JP2005265070A (ja) 2004-03-19 2005-09-29 Shonan Plastic Mfg Co Ltd 更生管の位置調整用スペーサ及びこれを用いた位置調整方法
JP2006015781A (ja) * 2004-06-30 2006-01-19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窓ガラスと車体の間にモールを取付けるモール取付具
KR20160113008A (ko) * 2015-03-20 2016-09-28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위치 조정 스페이서 및 그를 사용한 갱생관의 위치 조정 방법

Family Cites Families (10)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452777A (en) * 1922-03-14 1923-04-24 William Hackett Locking bolt
US3836118A (en) * 1973-09-20 1974-09-17 Usm Corp Adjustable work support assembly
US4557455A (en) * 1981-08-04 1985-12-10 Schmelzer Corporation Releasable and adjustable securing device
CA2027720A1 (en) * 1990-10-16 1992-04-17 Claude Mauffette Belt
US5644819A (en) * 1996-08-30 1997-07-08 Duro Dyne Corporation Reusable metallic banding assembly
US6823566B2 (en) * 2002-04-11 2004-11-30 Logan D. Coffey Releasable retaining clip apparatus and method
US7100248B2 (en) * 2003-01-27 2006-09-05 Crook Dale J Flexible tie strap
GB2423328B (en) * 2005-04-09 2007-02-28 Louver Lite Ltd Window blind system
USD604154S1 (en) * 2006-01-30 2009-11-17 Louver-Lite Limited Clip guide for window blind frame
CN103863699A (zh) * 2012-12-14 2014-06-18 纬创资通股份有限公司 可重复使用的束带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5890265A (en) * 1995-12-13 1999-04-06 Tyton Hellermann Corporation Parallel entry tie
JP2005265070A (ja) 2004-03-19 2005-09-29 Shonan Plastic Mfg Co Ltd 更生管の位置調整用スペーサ及びこれを用いた位置調整方法
JP2006015781A (ja) * 2004-06-30 2006-01-19 Nippon Pop Rivets & Fasteners Ltd 窓ガラスと車体の間にモールを取付けるモール取付具
KR20160113008A (ko) * 2015-03-20 2016-09-28 가부시키가이샤 쇼난 고세이쥬시 세이사쿠쇼 위치 조정 스페이서 및 그를 사용한 갱생관의 위치 조정 방법
JP2016176571A (ja) 2015-03-20 2016-10-06 株式会社湘南合成樹脂製作所 更生管の位置調整用スペーサ及びこれを用いた位置調整方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962850A (zh) 2022-08-30
US20220268388A1 (en) 2022-08-25
KR102673457B1 (ko) 2024-06-07
AU2022200279A1 (en) 2022-09-08
JP2022130134A (ja) 2022-09-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6555957B2 (ja) 管更生工法
JP5457130B2 (ja) 既設管の更生工法
RU2699892C2 (ru) Распорка для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оложения и способ регулирования положения реабилитационного трубопровода с ее использованием
JP2005308100A (ja) 更生管の敷設方法
US9797539B1 (en) Pipe rehabilitation method
JP4482373B2 (ja) 既設管更生用セグメント部材及びそのセグメント部材を用いた更生管
TW200535363A (en) Position adjusting spacer and method for adjusting the position of a rehabilitating pipe using such
US9746121B2 (en) Spacer for positioning a rehabilitating pipe
US20210041050A1 (en) Pipe rehabilitation method
JP2019027594A (ja) 管更生工法
JPWO2006046477A1 (ja) 更生管及び該更生管を用いた管路施設修復工法
KR20220121700A (ko) 갱생관 위치 조정용 스페이서 및 이를 이용한 위치 조정방법
US9194528B2 (en) Pipe rehabilitation method
JP2018109433A (ja) 管更生工法
US9068686B2 (en) Rehabilitation pipe and pipe rehabilitation method
EP4137730A1 (en) Pipe rehabilitation construction method
WO2022107457A1 (ja) 管更生工法
WO2019171801A1 (ja) 更生管の位置調整用スペーサー及びこれを用いた管更生工法
JP2006064176A (ja) 補修用被覆体
JP2021110372A (ja) 更生管及び管更生工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