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20521A - 퀼라야 추출물을 함유하는 소취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퀼라야 추출물을 함유하는 소취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20521A
KR20220120521A KR1020220033510A KR20220033510A KR20220120521A KR 20220120521 A KR20220120521 A KR 20220120521A KR 1020220033510 A KR1020220033510 A KR 1020220033510A KR 20220033510 A KR20220033510 A KR 20220033510A KR 20220120521 A KR20220120521 A KR 2022012052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quillaja
composition
weight
foo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3351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98905B1 (ko
Inventor
최미현
송영근
임은영
임은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임은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임은영 filed Critical 주식회사 더가든오브내추럴솔루션
Priority to KR102022003351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98905B1/ko
Publication of KR2022012052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2052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989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9890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01Deodorant compositions
    • A61L9/013Deodorant compositions containing animal or plant extracts, or vegetable material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02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special physical form
    • A61K8/04Dispersions; Emulsions
    • A61K8/046Aerosols; Foam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9/00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9/14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using sprayed or atomised substances including air-liquid contact proces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5/00Anti-perspirants or body deodorant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10Apparatus features
    • A61L2209/13Dispensing or storing means for active compounds
    • A61L2209/134Distributing means, e.g. baffles, valves, manifolds, nozzl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LMETHODS OR APPARATUS FOR STERILISING MATERIALS OR OBJECTS IN GENERAL;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CHEMICAL ASPECTS OF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MATERIALS FOR BANDAGES, DRESSINGS, ABSORBENT PADS OR SURGICAL ARTICLES
    • A61L2209/00Aspects relating to disinfection, sterilisation or deodorisation of air
    • A61L2209/20Method-related aspects
    • A61L2209/21Use of chemical compounds for treating air or the like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50/00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in human health protection, e.g. against extreme weather
    • Y02A50/30Against vector-borne diseases, e.g. mosquito-borne, fly-borne, tick-borne or waterborne diseases whose impact is exacerbated by climate change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otany (AREA)
  • Birds (AREA)
  • Zo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Dispersion Chemistr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iotechn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Mycology (AREA)
  • Medicines Containing Plant Substances (AREA)

Abstract

퀼라야 추출물을 함유하는 소취용 조성물에 관한 것으로, 일 양상에 따른 퀼라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소취 효과를 통해 소취제로 이용 될뿐만 아니라, 천연식물인 퀼라야 추출물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재활용성 및 안전성이 인정되어 일상생활 및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퀼라야 추출물을 함유하는 소취용 조성물{Deodorant composition comprising Quillaia saponaria}
퀼라야 추출물을 함유하는 소취용 조성물에 관한 것이다.
비누나무라고 불리는 퀼라야(Quillaia saponaria M.)는 남미의 칠레, 볼리비아, 페루 지역에 분포하는 장미과 상록교목이다. 남미 원주민이 나무의 껍질을 벗겨내 물에 담근 후, 비누처럼 세탁이나 머리 세정으로 사용하였다. 여러 나라에서 음료, 특히 무알코올 음료나 쉐이크 드링크의 기포제 등으로 사용되어 왔다. 퀼라야 추출물은 식품 용도 이외에도, 식품, 화장품, 의약품, 세제, 건축재료, 폐수처리 등 다양한 방면으로 폭넓게 사용되고 있다. 지금까지 알려진 퀼라야의 생리활성 효능은 대부분 유효 성분인 트리터페노이드계 사포닌(triterpenoid saponins)에 기인한 것이며, 이중 퀼라야 사포제닌(Quillaja sapogenin)과 킬라익산(Quillaic acid)이 주요 성분이다. 이러한 사포닌 성분들은 계면 활성 작용, 용혈 작용, 항균 작용, 동물 성장 촉진 작용, 콜레스테롤과 복합체 형성 작용 등의 여러 유익한 기능을 가지고 있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 이러한 기능으로 인해 사료, 의약, 환경, 화장품과 같은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기능성 첨가제로 이용되고 있다(Waller, G., Yamasaki, K., Saponins used in traditional and Modern medicine, 1996).
코로나바이러스(CoV)는 사람과 다양한 동물에 감염될 수 있는 바이러스로서 유전자 크기가 27~32kb의 RNA 바이러스이다. 코로나바이러스과에는 4개의 속(알파, 베타, 감마, 델타)으로 분류 할 수 있다. 알파와 베타는 사람과 동물에게 감염될 수 있으며, 감마와 델타는 동물에게만 감염된다. 형태는 코로나 바이러스의 명명과 같이 전자현미경 관찰시 구형을 나타내며, 외부 spike 단백질이 크라운 형태로 특징을 나타낸다. 사람감염 코로나바이러스는 현재까지 6종류가 알려져 있다. 감기를 일으키는 유형으로는 229E, OC43, NL63, HKU1이 있으며, 중증 폐렴을 일으킬 수 있는 유형인 SARS-CoV와 MERS-CoV가 있다. 그리고 2019년부터 발생한 신규 코로나바이러스는 SARS-CoV-2로 감염시 발열, 권태감, 기침, 호흡곤란, 및 폐렴 등 경증에서 중증까지 다양한 호흡기감염증이 나타난다. 그 외 가래, 인후통, 두통, 객혈과 오심, 설사 등도 나타난다. 우리나라의 제1급 감염병 신종 감영병 증후군으로 법정감염병으로 분류되며, 비말, 접촉을 통해 전파된다. 잠복기는 1일에서 14일이며, 전세계 치명률은 약 3.4%(WHO, 3.5 기준)로 아직까지 치료제가 없는 실정이다(질병관리본부, http://ncov.mohw.go.kr/).
퀼라야추출물은 Reovirus(위장염), Vaccinia Virus(두창), VZV(대상포진), HSV-1(허피스), HIV-1 과 HIV-2(자가면역질환), Rotavirus(설사유발)에 대한 바이러스 감염에 저항하는 것으로 알려져 있다(Michael R Roner et al, Antiviral acivity ovtained from aqueous extracts of the Chilean soapbark tree, 2007, Michael R Roner et al, Prevention of rotavirus infections in vitro with aqueous extracts of Quillaja saponaria Molina). 하지만 코로나바이러스 종류에 대한 감염 저항에 대해 보고된 바가 없다.
Waller, G.R. & Yamasaki, K. (1996) Saponins used in traditional and modern medicine, Plenum Press, New York, NY. Michael R. Roner et al., Journal of General Virology (2007), 88, 275-285 Michael R. Roner et al., Future Med Chem. (2010), 2(7),1083-1097
일 양상은 퀼라야(Quillaia saponaria MOLIM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성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다른 양상은 퀼라야(Quillaia saponaria MOLIM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피부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퀼라야(Quillaia saponaria MOLIM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퀼라야(Quillaia saponaria MOLIM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바이러스 부착 방지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퀼라야(Quillaia saponaria MOLIM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퀼라야(Quillaia saponaria MOLIM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또 다른 양상은 퀼라야(Quillaia saponaria MOLIMA)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일 양상은 퀼라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성 약학적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퀼라야"란, 남미의 칠레, 볼리비아, 페루 지역에 분포하는 키라야과(Quillajaceae) 상록교목을 의미할 수 있다. 학명은 Quillaia saponaria MOLINA로 칠레가 원산지이며, 주로 해발 2000m에서 서식한다. 15-20m정도 자라고 두껍고 어두운 나무 껍질과 3-5㎝ 길이의 매끄럽고 타원형의 잎을 가진다. 비누나무라고도 부르며 안쪽 나무껍질에는 일종의 천연 비누인 사포닌을 함유하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추출물"은 목적하는 물질을 다양한 용매에 침지한 다음, 상온 또는 가온상태에서 일정시간 동안 추출하여 수득한 액상성분 또는 상기 액상성분으로부터 용매를 제거하여 수득한 고형분 등의 결과물을 의미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상기 결과물에 더하여, 상기 결과물의 희석액, 이들의 농축액, 이들의 조정제물 및 정제물 등을 모두 포함하는 것으로 포괄적으로 해석될 수 있다.
상기 추출물은 퀼라야 추출물일 수 있다. 추출용매로는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코올,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글리콜, 액상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코올,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세결정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하이드록사이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가칸트, 지방족 알코올 설페이트, 지방족 알코올 에테르 설페이트, 설포숙신산 모노에스테르, 이세티오네이트, 이미다졸리늄 유도체, 메틸타우레이트, 사르코시네이트, 지방산 아미드 에테르 설페이트, 알킬아미도베타인, 지방족 알코올, 지방산 글리세라이드, 지방산 디에탄올아미드, 식물성 오일, 리놀린 유도체, 또는 에톡실화 글리세롤 지방산 에스테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기 추출용매는 극성용매, 비극성용매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상기 극성용매로는 물, 탄소수 1 내지 6의 무수 또는 함수 알코올(메탄올, 에탄올, 프로판올, 부탄올, 노말-프로판올, 이소-프로판올, 노말-부탄올, 1-펜탄올 또는 2-부톡시에탄올 등) 또는 알코올성 화합물(에틸렌글리콜, 프로필렌글리콜 또는 부틸렌글리콜 등), 아세트산, DMFO(dimethyl-formamide), DMSO(dimethyl sulfoxide)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고, 비극성 용매로는 헥산, 오로알칸, 펜탄, 헥산, 에틸아세테이트, 메틸아세테이트, 부틸아세테이트, 2,2,4-트리메틸펜탄, 데칸, 사이클로헥산, 사이클로펜탄, 디이소부틸렌, 1-펜텐, 1-클로로부탄, 아세톤, 1-클로로펜탄, o-자일렌, 디이소프로필 에테르, 2-클로로프로판, 톨루엔, 1-클로로프로판, 디에틸에테르, 클로로벤젠, 벤젠, 디에틸 에테르, 디에틸설파이드, 클로로포름, 디클로로메탄, 1,2-디클로로에탄, 어닐린, 디에틸아민, 에테르, 사염화탄소, THF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추출물은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으며, 상기 용매뿐만 아니라 다른 용매를 이용하여 제조한 실질적으로 동일한 효과를 나타내는 추출물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용매를 이용하여 추출하는 방법은 당업계에서 공지된 방법에 따라 수행할 수 있다. 예컨데, 퀼라야를 상기 용매에 침지하고, 10 내지 25℃의 상온에서 추출하는 냉침추출법, 40 내지 100℃로 가열하여 추출하는 가 열추출법, 환류냉각기를 이용한 환류추출법, 초음파기기를 이용한 초음파 추출법 및 고주파 기기를 이용한 고주파 추출법 등의 방법을 통하여 수행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있어서, 상기 바이러스는 코로나 바이러스일 수 있다. 상기 코로나 바이러스는 알파코로나바이러스, 베타코로나바이러스, 감마코로나바이러스, 델타코로나바이러스,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229E(HCoV-229E),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OC43(HCoV-OC43),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SARS-CoV),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NL63 (HCoV-NL63, 뉴헤븐 코로나바이러스), 인간 코로나바이러스 HKU1, 중동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MERS-CoV) 또는 중증급성호흡기증후군 코로나바이러스 2(SARS-Cov-2 또는 2019 novel coronavirus 또는 2019-nCoV)일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항바이러스"란, 코로나바이러스 입자 생성을 억제하는 능력, 즉 숙주세포, 특히 인간을 포함하는 포유동물에서 코로나바이러스의 형성 및/또는 복제를 효과적으로 억제하는 능력을 의미할 수 있다. 상기 퀼라야 추출물을 유효 성분으로 하는 조성물들은 바이러스 감염, 복제 또는 증식 등에 필요한 기작을 방해하여 항바이러스적 효과를 가질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상기 또는 하기 조성물 내 퀼라야 추출물의 함량은 0.0001 내지 100 중량%, 0.001 내지 100 중량%, 0.01 내지 100 중량%, 0.1 내지 100 중량%, 1 내지 100 중량%, 10 내지 100 중량%, 0.0001 내지 80 중량%, 0.001 내지 80 중량%, 0.01 내지 80 중량%, 0.1 내지 80 중량%, 1 내지 80 중량%, 10 내지 80 중량%, 0.0001 내지 70 중량%, 0.001 내지 70 중량%, 0.01 내지 70 중량%, 0.1 내지 70 중량%, 1 내지 70 중량%, 10 내지 70 중량%, 0.0001 내지 60 중량%, 0.001 내지 60 중량%, 0.01 내지 60 중량%, 0.1 내지 60 중량%, 1 내지 60 중량%, 10 내지 60 중량%, 0.0001 내지 50 중량%, 0.001 내지 50 중량%, 0.01 내지 50 중량%, 0.1 내지 50 중량%, 1 내지 50 중량%, 10 내지 50 중량%, 0.0001 내지 40 중량%, 0.001 내지 40 중량%, 0.01 내지 40 중량%, 0.1 내지 40 중량%, 1 내지 40 중량%, 10 내지 40 중량%, 0.0001 내지 30 중량%, 0.001 내지 30 중량%, 0.01 내지 30 중량%, 0.1 내지 30 중량%, 1 내지 30 중량%, 10 내지 30 중량%, 0.0001 내지 20 중량%, 0.001 내지 20 중량%, 0.01 내지 20 중량%, 0.1 내지 20 중량%, 1 내지 20 중량%, 10 내지 20 중량%, 0.0001 내지 10 중량%, 0.001 내지 10 중량%, 0.1 내지 10 중량% 또는 1 내지 10 중량%일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상기 조성물의 투여 횟수는 1일 1내지 3회 또는 필요에 따라 초과하여 투여할 수 있다. 다만, 투여량은 제제화 방법, 투여 방식, 환자의 연령, 체중, 성별, 병적 상태, 음식, 투여 시간, 투여 경로, 배설 속도 및 반 응 감응성과 같은 요인들에 의해 다양하게 처방될 수 있고, 당업자라면 이러한 요인들을 고려하여 투여량을 적절히 조절할 수 있다. 투여 횟수는 1회 또는 임상적으로 용인가능한 부작용의 범위 내에서 2회 이상이 가능하고, 투여 부위에 대해서도 1개소 또는 2개소 이상에 투여할 수 있다. 인간 이외의 동물에 대해서도, ㎏당 인간과 동일한 투여량으로 하거나, 또는 예를 들면 목적의 동물과 인간과의 기관(심장 등)의 용적비(예를 들면, 평균값) 등으로 상기의 투여량을 환산한 양을 투여할 수 있다. 가능한 투여 경로에는 경구, 설하, 비경구 (예를 들어, 피하, 근육내, 동맥내, 복강내, 경막내, 또는 정맥내), 직장, 국소 (경피 포함), 흡입, 및 주사, 또는 이 식성 장치 또는 물질의 삽입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치료의 대상동물로서는, 인간 및 그 밖의 목적으로 하는 포유동물을 예로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인간, 원숭이, 마우스, 랫트, 토끼, 양, 소, 개, 말, 돼지 등이 포함된다. 다만, 상기 투여량, 횟수 및 대상은 본 명세서에서 범위를 한정하는 것은 아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약학적으로 허용가능한 담체 및/또는 첨가물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멸균수, 생리식염수, 관용의 완충제(인산, 구연산, 그 밖의 유기산 등), 안정제, 염, 산화방지제(아스코르브산 등), 계면활성제, 현탁제, 등장화제, 또는 보존제 등을 포함할 수 있다. 국소 투여를 위해, 생체고분자(biopolymer) 등의 유기물, 하이드록시아파타이트 등의 무기물, 구체적으로는 콜라겐 매트릭스, 폴리락트산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폴리에틸렌글리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및 그의 화학적 유도체 등과 조합시키는 것도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상기 약학적 조성물은 그 투여방법이나 제형에 따라 필요한 경우, 현탁제, 용해보조제, 안정화제, 등장화제, 보존제, 흡착방지제, 계면활성화제, 희석제, 부형제, pH 조정제, 무통화제, 완충제, 환원제, 산화방 지제 등을 적절히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약학적 조성물은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는 방법에 따라, 약학적으로 허용되는 담체 및/또는 부형제를 이용하여 제제화함으로써 단위 용량 형태로 제조되거나 또는 다용량 용기 내에 내입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이때 제형은 오일 또는 수성 매질 중의 용액, 현탁액 또는 유화액 형태이거나 분말, 과립, 정제 또는 캡슐 형태일 수 있다.
다른 양상은 퀼라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피부외용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퀼라야, 추출물, 바이러스 및 항바이러스의 의미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명세서에서 "외용제"는 외용으로 제공되는 제제일 수 있고, 피부 외용제 조성물은 화장품학 또는 피부과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매질 또는 기제를 함유하여 제형화된 것일 수 있다. 이는 국소적용에 적합한 모든 제형으로서, 예를 들면, 용액, 겔, 고체, 반죽 무수 생성물, 수상에 유상을 분산시켜 얻은 에멀젼, 현탁액, 마이크로에멀젼, 마이크로캡슐, 미세과립구 또는, 이온형(리포좀) 및 비이온형의 소낭 분산제의 형태로, 또는 크림, 스킨, 로션, 파우더, 연고, 스프레이, 팩 또는 콘실 스틱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포말(foam)의 형태로 또는 압축된 추진제를 더 함유한 에어로졸 조성물의 형태로도 사용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들 조성물은 당해 분야의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상기 피부외용제 조성물은 항바이러스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퀼라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건강기능식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퀼라야, 추출물, 바이러스 및 항바이러스의 의미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명세서에서 "식품"이란, 육류, 소시지, 빵, 초콜릿, 캔디류, 스낵류, 과자류, 피자, 라면, 기타 면류, 껌류, 아이스크림류를 포함한 낙농제품, 각종 스프, 음료수, 차, 드링크제, 알코올 음료, 비타민 복합제, 건강기능식품 및 건강식품 등일 수 있으며, 통상적인 의미에서의 식품을 모두 포함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상기 식품 조성물은 일상적으로 섭취하는 것이 가능하고, 우수한 항바이러스 효과를 기대할 수 있으므로, 건강 증진 목적으로 매우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건강 기능(성) 식품(functional food)"이란, 특정보건용 식품(food for special health use, FoSHU)과 동일한 용어로, 영양 공급 외에도 생체조절기능이 효율적으로 나타나도록 가공된 의학, 의료효과가 높은 식품을 의미할 수 있다. 여기서 '기능(성)'이라 함은 인체의 구조 및 기능에 대하여 영양소를 조절하거나 생리학적 작용 등과 같은 보건용도에 유용한 효과를 얻는 것을 의미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식품은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방법에 의하여 제조 가능하며, 상기 제조시에는 당 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첨가하는 원료 및 성분을 첨가하여 제조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의 제형 또한 식품으로 인정되는 제형이면 제한 없이 제조될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식품용 조성물은 다양한 형태의 제형으로 제조될 수 있으며,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 등이 없는 장점이 있고, 휴대성이 뛰어나므로, 일 구체예에 따른 상기 식품은 항바이러스 효과를 증진시키기 위한 보조제로 섭취가 가능하다.
상기 건강 식품(health food)은 일반식품에 비해 적극적인 건강유지나 증진 효과를 가지는 식품을 의미할 수 있고, 건강보조식품(health supplement food)은 건강보조 목적의 식품을 의미할 수 있다. 경우에 따라, 건강 기능 식품, 건강식품 또는 건강보조식품의 용어는 혼용될 수 있다.
상기 건강 기능 식품은 상기 조성물을 음료, 차류, 향신료, 껌 또는 과자류 등의 식품 소재에 첨가하거나, 캡슐화, 분말화 또는 현탁액 등으로 제조한 식품으로, 이를 섭취할 경우 건강상 특정한 효과를 가져오는 것을 의미할 수 있으나, 일반 약품과는 달리 식품을 원료로 하여 약품의 장기 복용 시 발생할 수 있는 부작용이 없는 장점이 있을 수 있다.
상기 건강 기능 식품 조성물은 생리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추가로 포함할 수 있는데, 담체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담체라면 어느 것이든 사용할 수 있다.
또한, 상기 건강 기능 식품 조성물은 식품 조성물에 통상 사용되어 냄새, 맛, 시각 등을 향상시킬 수 있는 추가 성분을 포함할 수 있다. 예들 들어, 비타민 A, C, D, E, B1, B2, B6, B12, 니아신(niacin), 비오틴(biotin), 폴레이트(folate) 및 판토텐산(panthotenic aci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아연(Zn), 철(Fe), 칼슘(Ca), 크롬(Cr), 마그네슘(Mg), 망간(Mn), 구리(Cu) 및 크륨(Cr) 등의 미네랄; 및 라이신, 트립토판, 시스테인 및 발린 등의 아미노산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식품 조성물은 방부제(소르빈산 칼륨, 벤조산나트륨, 살리실산 및 데히드로초산나트륨 등), 살균제(표백분과 고도 표백분 및 차아염소산나트륨 등), 산화방지제(부틸히드록시아니졸(BHA) 및 부틸히드록시톨류엔(BHT) 등), 착색제(타르색소 등), 발색제(아질산 나트륨 및 아초산 나트륨 등), 표백제(아황산나트륨), 조미료(MSG 및 글루타민산나트륨 등), 감미료(둘신, 사이클레메이트, 사카린 및 나트륨 등), 향료(바닐린 및 락톤류 등), 팽창제(명반 및 D-주석산수소칼륨 등), 강화제, 유화제, 증점제(호료), 피막제, 검기초제, 거품억제제, 용제 또는 개량제 등의 식품첨가물(food additives)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첨가물은 식품의 종류에 따라 선별되고 적절한 양으로 사용될 수 있다.
일 구체예에 따른 상기 식품 조성물은 건강음료 조성물일 수 있다. 상기 건강음료 조성물은 통상의 음료와 같이 여러 가지 향미제 또는 천연 탄수화물 등을 추가 성분으로 함유할 수 있다. 상술한 천연 탄수화물은 포도당, 과당과 같은 모노사카라이드; 말토스, 슈크로스와 같은 디사카라이드; 덱스트린, 사이클로덱스트린과 같은 폴리사카라이드; 자일리톨, 소르비톨, 에리트리톨 등의 당알콜일 수 있다. 감미제는 타우마틴, 스테비아 추출물과 같은 천연 감미제; 사카린, 아스파르탐과 같은 합성 감미제 등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천연 탄수화물의 비율은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100㎖ 당 0.01 내지 0.04g, 구체적으로 약 0.02 내지 0.03g이 될 수 있으며 이에 한정되지 않은다.
상기 외에 건강음료 조성물은 여러 가지 영양제, 비타민, 전해질, 풍미제, 착색제, 펙트산, 펙트산의 염, 알긴산, 알긴산의 염, 유기산, 보호성 콜로이드 증점제, pH 조절제, 안정화제, 방부제, 글리세린, 알코올 또는 탄산화제 등을 함유할 수 있다. 그 밖에 천연 과일주스, 과일주스 음료, 또는 야채 음료의 제조를 위한 과육을 함유 할 수 있다. 이러한 성분은 독립적으로 또는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제의 비율은 크게 중요하진 않지만 본 발명의 건강음료 조성물 100 중량부당 0.01 내지 1.0 중량부의 범위에서 선택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퀼라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바이러스 부착 방지 의약외품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퀼라야, 추출물 및 바이러스의 의미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본 명세서에서 "의약외품"은 사람이나 동물의 질병을 진단, 치료, 개선, 경감, 처치 또는 예방할 목적으로 사용되는 물품들 중 의약품보다 작용이 경미한 물품들을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대한민국 약사법에 따르면 의약외품이란 의약품의 용도로 사용되는 물품을 제외한 것으로, 사람ㆍ동물의 질병 치료나 예방에 쓰이는 제품 및 인체에 대한 작용이 경미하거나 직접 작용하지 않는 제품 등이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바디 클렌저, 폼, 비누, 마스크, 연고제, 크림, 로션, 에센스 및 스프레이로 이루어진 군에서 선택되는 형태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의약외품 조성물은 상기 퀼라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조성물을 그대로 첨가하거나 다른 의약외품 또는 의약외품 성분과 함께 사용할 수 있고, 통상적인 방법에 따라 적절하게 사용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퀼라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성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퀼라야, 추출물, 바이러스 및 항바이러스의 정의는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용액, 외용 연고, 크림, 폼, 영양 화장수, 유연 화장수, 스킨소프너, 스킨토너, 아스트린젠트, 향수, 팩, 유연수, 유액, 메이크업 베이스, 에센스, 비누, 액체 세정료, 입욕제, 선 스크린 크림, 선 오일, 현탁액, 유탁액, 페이스트, 겔, 로션, 밀크로션, 모이스쳐 로션, 영양 로션, 마사지크림, 영양 크림, 모이스쳐 크림, 핸드크림, 파운데이션, 에센스, 영양 에센스, 팩, 파우더, 비누, 계면 활성제-함유 클렌징, 클렌징폼, 클렌징로션, 클렌징크림, 바디로션, 바디클렌저, 오일, 분말 파운데이션, 유탁액 파운데이션, 왁스 파운데이션, 패치, 마스크팩, 에어로졸, 스프레이 및 캡슐로 구성된 군으로부터 선택되는 제형으로 제조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일반 피부 화장료에 배합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를 1종 이상 추가로 포함할 수 있으며, 통상의 성분으로 예를 들면 유분, 물, 계면활성제, 보습제, 저급 알콜, 증점제, 킬레이트제, 색소, 방부제, 향료 등을 적절히 배합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에 포함되는 화장품학적으로 허용 가능한 담체는 제형에 따라 다양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연고, 페이스트, 크림 또는 젤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동물성 유, 식물성 유, 왁스, 파라핀, 전분, 트라칸트, 셀룰로오스 유도체, 폴리에틸렌 글리콜, 실리콘, 벤토나이트, 실리카, 탈크, 산화아연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파우더 또는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락토스, 탈크, 실리카, 알루미늄 히드록사이드, 칼슘 실케이트, 폴리아미드 파우더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이용될 수 있고, 특히 스프레이인 경우에는 추가적으로 클로로플루오로히드로카본, 프로판/부탄 또는 디메틸 에테르와 같은 추진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용액 또는 유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용매, 용해화제 또는 유탁화제가 이용될 수 있다. 예컨대 물, 에탄올, 이소프로판올, 에틸 카보네이트, 에틸 아세테이트, 벤질 알콜, 벤질 벤조에이트, 프로필렌글리콜, 1,3-부틸글리콜 오일이 이용될 수 있으며, 특히, 목화씨 오일, 땅콩 오일, 옥수수 배종 오일, 올리브오일, 피마자 오일 및 참깨 오일, 글리세롤 지방족 에스테르, 폴리에틸렌 글리콜 또는 소르비탄의 지방산 에스테르가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현탁액인 경우에는, 담체 성분으로서 물, 에탄올 또는 프로필렌 글리콜과 같은 액상의 희석제, 에톡실화 이소스테아릴 알콜,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톨 에스테르 및 폴리옥시에틸렌 소르비탄 에스테르와 같은 현탁제, 미소결정성 셀룰로오스, 알루미늄 메타히드록시드, 벤토나이트, 아가 또는 트라칸트 등이 이용될 수 있다.
상기 화장료 조성물의 제형이 캡슐인 경우에는, 알지네이트(alginate) 캡슐, 아가(agar) 캡슐, 젤라틴(gelatin) 캡슐, 왁스(wax)류 캡슐, 또는 이중 캡슐의 형태로 제형화될 수 있으며, 특별히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또한, 상기 화장료 조성물은 퀼라야 추출물 이외에 통상적으로 이용되는 보조제, 예컨대 친수성 또는 친지성 겔화제, 친수성 또는 친지성 활성제, 보존제, 항산화제, 용매, 방향제, 충전제, 차단제, 안료, 흡취제 및 염료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또 다른 양상은 퀼라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취용 조성물을 제공하는 것이다.
이때, 상기 퀼라야 및 추출물의 의미, 상기 조성물 내 퀼라야 추출물 용량 및 조성물의 제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또 다른 양상은 퀼라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소취용 화장료 조성물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퀼라야, 추출물 및 화장료의 의미, 상기 조성물 내 퀼라야 추출물 용량 및 조성물의 제형은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다.
일 양상에 따른 퀼라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조성물은 우수한 소취 효과를 통해 소취제로 이용 될뿐만 아니라, 천연식물인 퀼라야 추출물을 이용하는 것이므로 재활용성 및 안전성이 인정되어 일상생활 및 다양한 산업 분야에서 유용하게 사용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퀼라야 일반 추출물과 퀼라야 고주파 추출물과의 총사포닌 함량 차이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실시예 1: 퀼라야 일반 추출물; 실시예 2: 퀼라야 고주파 추출물)
도 2는 Emodin의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3는 Emodin과 동일한 양의 퀼라야 고주파 추출물의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낸 그래프이다.
이하, 본 명세서에서 이해를 돕기 위하여 바람직한 실시예를 제시한다. 그러나 하기의 실시예는 본 발명을 보다 쉽게 이해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 하기 실시예에 의해 본 명세서에서 내용이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실시예 1: 퀼라야 일반 추출물의 제조
건조 및 세절된 퀼라야 원료에 10~20배의 정제수를 가하여 80 ~ 90 ℃에서 2 ~ 3 시간 추출하고 상온까지 자연 냉각시킨다.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채취하거나 여과지(Filter paper ADVANTEC, No.2, 110㎜)로 여과된 상등액을 추출물로 사용하였다.
실시예 2: 퀼라야 고주파 추출물의 제조
건조 및 세절된 퀼라야 원료에 10~20배의 정제수를 가한 후, 고주파기기(HS9760, ㈜올텍)를 이용하여 25℃ ~ 35℃ 온도에서 0.2 ~ 2㎒, 1분 ~ 10분 동안 80 ~ 90 kJ/㎏의 조건에서 추출하여 제조하였다. 원심분리기를 이용하여 침전물을 제거하고 상등액을 추출물로 사용하였다.
실험예 1: 퀼라야 일반 추출물과 퀼라야 고주파 추출물의 총 사포닌 함량 비교
상기 실시예 1의 퀼라야 일반 추출물과 상기 실시예 2의 퀼라야 고주파 추출물의 총 사포닌 함량을 비교 분석하기 위해 ㈜네이처앤바이오텍에 분석을 의뢰하였다.
상기 실시예 1에 따른 퀼라야 일반 추출물의 시험성적서 발급번호는 NNB-2020-N0978이며, 발행일은 2020년 9월 11일이다. 또한, 상기 실시예 2에 따른 퀼라야 고주파 추출물의 시험성적서 발급번호는 NNB-2020-N-0976이며, 발행일은 2020년 9월 11일이다.
도 1은 추출방식에 따른 퀼라야 추출물내의 총사포닌 함량을 나타낸다. 일반 추출물의 총 사포닌 함량은 2.67%인 반면, 고주파 추출물의 총 사포닌의 함량은 3.59%로, 추출물 내 총 사포닌 함량이 무려 36.46%나 증가하였다. 이러한 결과를 통해 고주파 추출방식의 효율성이 일반적인 추출방식의 효율성보다 더욱 우수함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2: 퀼라야 고주파 추출물의 피부 안전성 효과
상기 실시예 2의 퀼라야 고주파 추출물의 피부 안전성에 대해 확인하기 위해 피부 첩포를 통한 일차 피부자극 시험을 실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등 부위에 정제수, 퀼라야 일반 추출물 또는 퀼라야 고주파 추출물을 각각 약 0.5g 포함하는 패치들을 부착하여 24시간 후에 제거 후, 30분 및 24시간, 48시간 후의 피부 반응을 육안으로 판정하였다. 실험은 총 33명(여 27명, 남 6명)의 성인남녀를 대상으로 하였으며, 판정 기준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국제접촉피부염연구회(ICDRG)의 기준에 따라 정하였다.
Range of Mean Score Criteria
0.00 ≤ R <1.01 저자극
1.01 ≤ R <2.01 경자극
2.01 ≤ R <3.51 중자극
3.51 ≤ R 강자극
실험 결과는 하기 표 2에 나타내었다.
시험 물질 Mean Score 판정
정제수 1.01 경자극
퀼라야 일반 추출물 0.55 저자극
퀼라야 고주파 추출물 0.51 저자극
표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퀼라야 추출물은 일반 추출물뿐만 아니라 고주파 추출물 또한 모두 저자극으로 피부에 안전한 물질임을 확인하였다.
실험예 3: 퀼라야 고주파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분무제의 소취 효과
가스검지관법을 통해 퀼라야 고주파 추출물의 소취 효과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구체적으로, 한국의류시험연구원(KATRI)에 의뢰하여 확인하였다. 의뢰기관에서 제공한 시험 조건은 다음과 같다
1)시료 투입량: 50 ㎖
2)시험가스: 암모니아(NH3)
3)주입된 시험가스의 농도: 100 ㎍/㎖
4)시험가스 주입량: 1.5 L
5)시험 용기: 3 L 테틀러백
6)시험환경: 온도 (20 ± 2) ℃, 습도 (40 ± 5) % RH
7)탈취력(%) = [(Blank가스농도-Sample가스농도)/Blank가스농도] x 100
실험을 위한 분무제의 조성은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No. 성분 제형예 1 비교제형예 1
1 퀼라야 고주파 추출물 77.5 -
2 Butylene Glycol 15 15
3 1,2-Hexanediol 2.5 2.5
4 2,3-Butanediol 5 5
5 Water To 100 To 100
실험 결과는 하기 표 4에 나타내었다.
시험시간, 분 탈취력 (%), 가스검지관법
퀼라야 고주파 추출물 제형예 1 비교제형예 1
30 > 99 > 99 89.7
60 > 99 > 99 91.5
90 > 99 > 99 94.4
120 > 99 > 99 97.2
표 4에서와 같이 퀼라야 고주파 추출물과 이를 포함하는 조성물(제형예1)은 120분까지 99% 이상의 냄새를 제거하는 효과를 가졌다.
실험예 4: 퀼라야 고주파 추출물의 항바이러스 시험
퀼라야 고주파 추출물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알아보고자 ACE2에 결합하는 SARS-CoV-2 spike의 억제제 스크리닝을 실시 하였다.
구체적으로, Coronavirus 2 (SARS-CoV-2)에 대한 항바이러스 실험은 Spike RBD(SARS-CoV-2): ACE2 Inhibitor Screening Assay Kit(Catalog # 79931)를 통해 확인하였다. 상기 Spike RBD(SARS-CoV-2) kit는 하기 표 5와 같은 구성으로 되어 있다.
Catalog # Component Amount
100684 SARS-CoV-2 Spike Protein(RBD), mFc Tag 5 ㎍
11003 ACE2, His-Tag 5 ㎍
79311 3x Immuno Buffer 1 50 ㎖
79728 Blocking Buffer 2 50 ㎖
Anti-His-HRP 10 ㎕
79670 ELISA ECL substrate A (Transpaarent bottle) 6 ㎖
ELISA ECL substrate B (Brown bottle) 6 ㎖
79699 96-well white microplate 1
시험 방법은 키트 제조사에서 제공하는 매뉴얼(Assay Protocol)에 따라 진행하였으며, 모든 샘플들에 대해서는 2반복 실험하였다. Plate에 SARS-CoV-2 Spike를 코팅하기 위하여, 얼음 위에서 SARS-CoV-2 spike를 해동하였다. 해동된 시약 내용물은 적절히 분배하여 -80℃에 즉시 보관하였다. 이후에, PBS 용액으로 SARS-CoV-2 Spike를 1㎍/㎖농도로 희석하였다. Plate well에 상기 SARS-CoV-2 Spike 희석 용액을 50㎕씩 넣고, 4℃에서 하루동안 방치하였다. 그 후, 상기 well plate 용액을 버리고, 1x Immno buffer 1 용액 100㎕를 넣어 세척하였다. 이때 1x Immno buffer 1는 3x Immuno buffer 1을 멸균 증류수를 이용하여 희석한 것이다. 3차례 세척을 실시한 후, 깨끗한 종이 위에 plate를 탭하여 물기를 제거하였다. 이후에 plate well에 100㎕의 Blocking Buffer 2를 넣고, 실온에서 1시간 동안 느리게 흔들어 주었다. 이 후에, 상등액을 버리고, 상기 세척과정을 다시 실행하여 Plate에 SARS-CoV-2 Spike를 코팅하는 작업을 마무리 하였다.
SARS-CoV-2 Spike가 코팅된 각 well에 20㎕의 상기 1x Immuno Buffer를 넣고, 시험하고자하는 바이러스 저해 샘플 용액(Emodin)을 10㎕씩 넣었다. 동시에 양성 대조군(Emodin, Sigma Cat. #324694)과 Blank도 각각 10㎕씩 넣고, 모두 상온에서 1시간동안 방치하였다. 이후에, 각 well들은 하기 표 6의 조성대로 용액을 첨가하였다.
Blank Positive Control(Emodin) Test Inhibitor
1x Immno Buffer 1 40㎕ 20㎕ 20㎕
Test Inhibitor - - 10㎕
5% DMSO in water(Inhibitor buffer) 10㎕ 10㎕ -
ACE2-His (2.5 ng/㎕) - 20㎕ 20㎕
Total 50㎕ 50㎕ 50㎕
ACE2-His 용액은 얼음 위에서 해동한 뒤, 1x Immuno buffer 1로 2.5 ng/㎕가 되도록 희석하였다. 희석된 ACE2-His 용액 20㎕를 각 well들에 넣고, 1시간동안 상온에서 느리게 흔들어 반응시켰다. 그 후, 상등액을 버리고, 1x Immno buffer 1로 100㎕/well씩 3회 세척한 뒤, 깨끗한 종이 위에 plate를 탭하여 물기를 제거하였다. 이후, 각 well들에 Blacking Buffer 2를 100㎕씩 넣고 상온에 10분간 방치한 후, 상기 세척과정과 같은 방식대로 상등액을 버리고 well들을 세척하였다. 이후에, 상기 과정에서 희석된 ACE2-His 용액 20㎕을 Blocking Buffer 2로 Anti-His-HRP를 1000배 희석한 용액 100㎕으로 대체한 후 동일한 과정을 다시 수행하였다. 이후에 세척된 well들에 ELISA ECL Substrate A 50㎕와 ELISA ECL Substrate B 50㎕를 넣은 후, 즉시 reader기에 넣고 면역 반응시의 형광값을 측정하였다. 샘플내의 물질이 항바이러스 효과가 있을수록 형광값은 감소하며, 이를 Blank 대비 저해율을 계산하여 도2와 도3에 표기하였다. 도 2는 실험의 양성대조군인 Emodin에 대한 결과를 나타낸 것이며, 도 3은 다른 농도의 퀼라야 고주파 추출물의 항바이러스 효과를 나타낸 것이다.
코로나바이러스의 Spike RBD(SARS-CoV-2): ACE2 Inhibitor로 알려진 Emodin을 양성대조군으로 하여 퀼라야 고주파 추출물과의 항바이러스 활성을 비교한 결과, SARS-CoV spike 단백질과 ACE-2의 결합 저해율이 Emodin은 56%인 반면, 10% 농도의 퀼라야 고주파 추출물은 99%의 저해율을, 100% 농도의 퀼라야 고주파 추출물은 100%의 저해율을 보였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퀼라야 추출물은 기존의 항바이러스 물질인 Emodin보다 더욱 뛰어난 항바이러스 효능을 지님을 확인하였다.

Claims (3)

  1. 퀼라야(Quillaia saponaria, Molina) 고주파 물 추출물을 함유하는 소취용 조성물.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퀼라야 고주파 물 추출물의 함량이 0.0001 내지 100 중량%인 것인 소취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스프레이 제형인 것인 조성물.
KR1020220033510A 2021-02-22 2022-03-17 퀼라야 추출물을 함유하는 소취용 조성물 KR1025989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20033510A KR102598905B1 (ko) 2021-02-22 2022-03-17 퀼라야 추출물을 함유하는 소취용 조성물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3661 2021-02-22
KR1020220033510A KR102598905B1 (ko) 2021-02-22 2022-03-17 퀼라야 추출물을 함유하는 소취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3661 Division 2021-02-22 2021-02-22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20521A true KR20220120521A (ko) 2022-08-30
KR102598905B1 KR102598905B1 (ko) 2023-11-07

Family

ID=8311401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33510A KR102598905B1 (ko) 2021-02-22 2022-03-17 퀼라야 추출물을 함유하는 소취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98905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2555A (ja) * 1994-02-09 1995-08-22 Nippon Nousan Kogyo Kk 飼料添加剤
KR20030045488A (ko) * 2001-12-04 2003-06-11 동방미래화학주식회사 길경 유동 엑스 추출물의 제조 방법
JP2004123499A (ja) * 2002-09-30 2004-04-22 Eiichi Tashiro コンポストの脱臭方法
JP2012246419A (ja) * 2011-05-30 2012-12-13 Sumitomo Seika Chem Co Ltd 吸水性樹脂組成物、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7222555A (ja) * 1994-02-09 1995-08-22 Nippon Nousan Kogyo Kk 飼料添加剤
KR20030045488A (ko) * 2001-12-04 2003-06-11 동방미래화학주식회사 길경 유동 엑스 추출물의 제조 방법
JP2004123499A (ja) * 2002-09-30 2004-04-22 Eiichi Tashiro コンポストの脱臭方法
JP2012246419A (ja) * 2011-05-30 2012-12-13 Sumitomo Seika Chem Co Ltd 吸水性樹脂組成物、吸収体及び吸収性物品

Non-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Michael R. Roner et al., Future Med Chem. (2010), 2(7),1083-1097
Michael R. Roner et al., Journal of General Virology (2007), 88, 275-285
Waller, G.R. & Yamasaki, K. (1996) Saponins used in traditional and modern medicine, Plenum Press, New York, NY.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98905B1 (ko) 2023-11-07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4205188B2 (ja) メイラード反応阻害剤
US20060233738A1 (en) Composition for promoting production of type 1 collagen and/or elastin
JP2002241299A (ja) メイラード反応修復剤
JP2002138045A (ja) 前駆脂肪細胞分化誘導剤
KR101768806B1 (ko) 두릅나무과 식물의 발효물을 포함하는 항염증 또는 항암용 조성물
KR102113193B1 (ko) 청호, 병풀 및 녹차의 혼합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 성분으로 함유하는 피부 상태 개선용 조성물 및 이를 이용한 피부 상태 개선 방법
KR101800498B1 (ko) 미성숙 사과 추출물 또는 이로부터 분리된 화합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주름 개선용 조성물
KR100633380B1 (ko) 특정 생약추출 혼합물을 함유하는 아토피 피부용 한방화장료 조성물
KR102166279B1 (ko) 식물 복합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산화, 항균, 및 항염증용 조성물
JP6981664B2 (ja) 滋養強壮剤
KR20170121532A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KR20100121352A (ko) 피부노화 예방 및 미용 효과를 지니는 복합생약 조성물 그리고 피부노화 예방 및 개선용 건강 기능 식품
KR101820531B1 (ko) 니파야자 꽃대를 이용한 탈모방지 또는 발모촉진용 조성물
KR101919161B1 (ko) 두피 개선 및 탈모 방지용 조성물
KR20160040969A (ko) 알파인 웜우드 추출물을 포함하는 탈모 방지 또는 육모 촉진용 조성물
KR20140060106A (ko) 해조류 추출물 또는 이의 분획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신경보호용 조성물
KR102158134B1 (ko) 오미자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항균용 조성물
KR102347243B1 (ko) 퀼라야 추출물을 함유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102275268B1 (ko) 갱년기 증상 또는 골다공증 개선용 조성물
KR102598905B1 (ko) 퀼라야 추출물을 함유하는 소취용 조성물
KR101610894B1 (ko) 맛이 차폐된 비타민 c 과립
JP4169814B2 (ja) リュウゼツラン又はサイザル抽出物含有皮膚外用剤
KR101069906B1 (ko) 비짜루국화 추출물을 함유하는 피부 상태개선용 조성물
KR20230124508A (ko) 호장근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KR20230124384A (ko) 소리쟁이 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항바이러스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