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9126A - 사용자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방법, 사용자 디바이스 및 규칙 관리 엔티티 - Google Patents

사용자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방법, 사용자 디바이스 및 규칙 관리 엔티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9126A
KR20220119126A KR1020227025276A KR20227025276A KR20220119126A KR 20220119126 A KR20220119126 A KR 20220119126A KR 1020227025276 A KR1020227025276 A KR 1020227025276A KR 20227025276 A KR20227025276 A KR 20227025276A KR 20220119126 A KR20220119126 A KR 20220119126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ser
user equipment
rule
network
communication network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527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피에르-알렉산드레 마송
샤오바오 첸
앙투안 무케
케빈 데르발
Original Assignee
오렌지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렌지 filed Critical 오렌지
Publication of KR20220119126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9126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14Routing performance; Theoretical aspect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94Policy-based network configuration management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1/00Arrangements for maintenance, administration or management of data switching networks, e.g. of packet switching networks
    • H04L41/08Configuration management of networks or network elements
    • H04L41/085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 H04L41/0853Retrieval of network configuration; Tracking network configuration history by actively collecting configuration information or by backing up configuration informatio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LTRANSMISSION OF DIGITAL INFORMATION, e.g. TELEGRAPHIC COMMUNICATION
    • H04L45/00Routing or path finding of packets in data switching networks
    • H04L45/38Flow based routing
    • H04W28/0804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28/00Network traffic management; Network resource management
    • H04W28/02Traffic management, e.g. flow control or congestion control
    • H04W28/08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 H04W28/086Load balancing or load distribution among access entiti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48/00Access restriction; Network selection; Access point selection
    • H04W48/18Selecting a network or a communication service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60/00Affiliation to network, e.g. registration; Terminating affiliation with the network, e.g. de-registration
    • H04W60/005Multiple registrations, e.g. multihoming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18Processing of user or subscriber data, e.g. subscribed services, user preferences or user profiles; Transfer of user or subscriber data
    • H04W8/183Processing at user equipment or user record carrier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8/00Devices specially adapted for 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e.g. terminals, base stations or access point devices
    • H04W88/02Terminal devices
    • H04W88/06Terminal devices adapted for operation in multiple networks or having at least two operational modes, e.g. multi-mode termina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WWIRELESS COMMUNICATION NETWORKS
    • H04W8/00Network data management
    • H04W8/02Processing of mobility data, e.g. registration information at HLR [Home Location Register] or VLR [Visitor Location Register]; Transfer of mobility data, e.g. between HLR, VLR or external networks
    • H04W8/06Registration at serving network Location Register, VLR or user mobility server
    • H04W8/065Registration at serving network Location Register, VLR or user mobility server involving selection of the user mobility server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Computer Security & Cryptograph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obile Radio Communication Systems (AREA)
  • Telephonic Communication Services (AREA)
  • Data Exchanges In Wide-Area Network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에서 사용자를 각각 고유하게 식별하는 복수의 식별자가 할당되는 사용자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Appj)에 대해: - 애플리케이션의 적어도 하나의 흐름과, 적어도 하나의 흐름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라우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스를 연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규칙, 및 상기 슬라이스를 사용자의 복수의 식별자 중 한 식별자에 연결시키는 정보를 얻는 단계(F30); -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할 때(F50), 사용자 디바이스가 적어도 하나의 규칙을 실행시키도록(F60) 적어도 하나의 규칙(RUL(U)/Appj)으로 사용자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단계(F40)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사용자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방법, 사용자 디바이스 및 규칙 관리 엔티티
본 발명은 텔레커뮤니케이션 분야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은 네트워크를 슬라이싱하는 기법(보다 통상적으로 “네트워크 슬라이싱”이라 일컬어짐)을 구현하는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 아키텍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상세하게는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에 적용된다.
현재 전개되거나 전개되고 있는 모바일 텔레커뮤니케이션 네트워크의 아키텍처는 3GPP(제3 세대 파트너십 프로젝트)로 알려져 있는 표준화 그룹에 의해 한정된다. 이는 특히 제2 세대(“2G 또는 GSM”), 제3 세대(“3G”) 및 제4 세대(“4G”) 모바일 네트워크라 일컬어지는 모바일 네트워크에 대한 경우이다.
제4 세대까지, 3GPP 그룹에 의해 한정되는 네트워크 아키텍처는, 특히 모바일 단말기와의 패킷 송신에 대하여 액세스 네트워크의 면에서든 아니면 네트워크 코어의 면에서든 정확한 기능에 전용인 특정 장비에 가장 흔히 기반한다.
이러한 타입의 아키텍처에 내재하는 융통성 및 업그레이드 가능성의 결여됨으로써, 5G 네트워크에 의해 고려되는 서비스의 트래픽 및/또는 품질의 면에서 극도로 다양한 요구 사항에 빠르게 대응할 수 있기 위해, 3GPP 그룹에서는 차세대 모바일 네트워크, 즉 “5G” 네트워크에 대해 보다 융통성 있는 아키텍처를 채택하는 것을 고려하게 되었다. 5G 네트워크가 모바일 네트워크 및 고정형 네트워크와 동등하게 관련되는 것으로 의도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고려되는 해결책들 중에서도, 가장 촉망되는 해결책들 중 하나는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법에 기반한다. 이러한 기법은 특히 기술 규격서 '3GPP TS 23.501 v15.7.0, September 2019'에 설명되어 있다. 이는 동일한 물리적 네트워크 인프라 구조체로부터, 서비스의 기능, 수행 능력 및 품질의 면에서 다양한 제약에 상응하는 다양한 시나리오에 대한 최적화된 해결책을 제공할 수 있는, 네트워크 사업자의 클라이언트에 대한 맞춤형의 독립적인 엔드 투 엔드 논리 네트워크를 네트워크 사업자가 생성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개념은 또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이라 일컬어지는 수 개의 네트워크 인스턴스가 생성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이러한 슬라이스에 귀속되는 서비스, 클라이언트 및/또는 단말기의 필요 조건을 충족시키기 위한 네트워크 기능, 하드웨어 리소스(예를 들어, 저장 및 계산) 및 구성으로 구성된다.
예시로서, 도 1은 네트워크 슬라이스들(SL1, SL2 및 SL3)이, 예를 들어 라우팅, 어드레싱, 데이터 흐름 제어, 명명 기능 등과 같은 데이터 센터에서 구현되는 기능을 공유하는, 모바일 네트워크를 각각 나타내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들(SL1, SL2 및 SL3)을 포함하는 통신 인프라 구조체(INF)의 단순화된 도면을 도시한다. 도 1의 예에서, 네트워크 슬라이스(SL1, SL2 및 SL3)는 3개의 별개의 데이터 네트워크(DN1, DN2 및 DN3)에 대한 액세스를 승인한다. 그러나,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동일한 데이터 네트워크에 대한 액세스를 승인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별개의 모바일 네트워크와 관련될 수 있고, 이러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통과하는 데이터 흐름들의 특징들에 의해 결정되며, 상기 특징들은, 예를 들어 수신지, 라우팅 및 보안 제약의 면에서 공통점을 가져, 동일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내의 공통 관리를 정당화한다. 따라서, 슬라이스들 각각은 서비스의 타입, 및/또는 클라이언트 및/또는 단말기의 타입의 필요 조건에 대해 최적화된다. 도 1에 도시된 예에서, 단말기(T1)는 네트워크 슬라이스(SL1 및 SL2)에 연결되고, 단말기(T2)는 슬라이스(SL2)에 연결되고, 단말기(T3)는 슬라이스(SL3)에 연결된다.
모바일 네트워크의 사용자의 단말기는 또한 현재 텔레커뮤니케이션의 세계에서의 다양한 이해 관계자(네트워크 사업자, 서비스 제공자, 단말기 제조자 등)에 의해 제안되는 항상 증가하는 수의 애플리케이션을 지원한다.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은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에 귀속되는(즉, 이러한 애플리케이션들 각각이 송신하거나 수신하는) 데이터의 라우팅에 대한 특정 필요 조건을 가질 수 있다. 이러한 데이터는 네트워크의 슬라이스를 통해 전달되며, 단말기는, 예를 들어 단말기에 내장되는 USIM(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을 통하여 네트워크의 슬라이스에 등록되거나 연관된다.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USIM은 또한 통상적으로 SIM 카드라 일컬어지는 UICC(범용 집적 회로 카드)에 저장되는 애플리케이션을 지정하여, 네트워크, 특히 셀룰러 네트워크 상에서 단말기가 안전하게 등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송신되고 수신되는 데이터를 전달하기 위해, 필요 조건에 맞는 네트워크의 슬라이스가 선택되는 것이 권장된다. 기술 규격서 '3GPP TS 23.501 v15.7.0, September 2019'는 사용하기를 원하는 서비스들에 따라 네트워크의 슬라이스를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규칙을 네트워크가 단말기에 제공할 수 있는 것을 나타낸다. 그러나, 이러한 기술 규격서는 단일 네트워크에 등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단일 USIM 카드가 구비되는 단말기를 고려한다. 따라서, 단말기에 공급되는 규칙은 단말기가 USIM 카드를 통하여 등록할 수 있는 단일 네트워크의 슬라이스와 암암리에 관련된다.
그러나, 일부 단말기는 2개의 USIM 카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이는 “2중 SIM” 단말기로 지칭됨). 이러한 2개의 USIM 카드는, 예를 들어 상이한 사업자들에 의해 관리되는 2개의 별개의 네트워크 인프라 구조체에 의해, 또는 동일한 네트워크 인프라 구조체에 의해 그러나 각각의 제안이 네트워크 인프라 구조체의 사업자에 의해 제안되는 특정 서비스와 연관될 수 있는, 2가지의 상이한 제안, 예를 들어 “전문가 제안” 및 “개인 제안”에 따라 제안되는 연결로부터 이러한 2개의 USIM 카드가 동시에 이익을 얻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 있거나 가능하게 하지 않을 수 있다. 현재의 기술 상황에서, “2중 SIM” 단말기의 사용자는, 자신의 단말기에서 가능한 경우,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고 수신되는 트래픽의 타입(음성, 데이터 또는 SMS(단문 메시지 서비스) 메시지)에 따라 어느 USIM 카드를 사용하기를 원하는지를 자신의 단말기에서 수작업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거나 수신되는 모든 음성 타입 트래픽은 음성 타입 트래픽에 대한 사용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구성되는 USIM 카드를 이용하고,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거나 수신되는 모든 데이터 타입 트래픽은 데이터 타입 트래픽에 대한 사용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구성되는 USIM 카드를 이용하고, 단말기에 의해 송신되거나 수신되는 모든 SMS 타입 트래픽은 SMS 타입 트래픽에 대한 사용자에 의해 수작업으로 구성되는 USIM 카드를 이용하고, 이는 단말기 상에 설치되는 모든 다양한 애플리케이션에 해당된다.
기술 규격서 '3GPP TS 23.501'은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법과의 조합으로 이러한 타입의 “2중 SIM” 단말기, 또는 보다 전반적으로, “다중 SIM” 네트워크의 사용을 관리하는 방법을 언급하지 않는다.
본 발명은 특히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를 각각 고유하게 식별하는 복수의 식별자가 할당되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도록 의도되는 사용자 장비를 구성하는 방법을 제안함으로써 이러한 단점을 다루며, 이러한 방법은 사용자 장비에 의해 구현되고,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적어도 하나의 흐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흐름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라우팅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스를 연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규칙, 및 상기 슬라이스를 사용자의 상기 복수의 식별자 중 한 식별자에 연결시키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 및
-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할 때, 사용자 장비가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규칙을 실행시키도록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규칙으로 사용자 장비를 구성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응하여,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를 각각 고유하게 식별하는 복수의 식별자가 할당되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도록 의도되는 사용자 장비이며, 이러한 사용자 장비는:
- 애플리케이션의 적어도 하나의 흐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흐름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라우팅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스를 연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규칙, 및 상기 슬라이스를 사용자의 상기 복수의 식별자 중 한 식별자에 연결시키는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 모듈; 및
-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규칙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되는 실행 모듈을 포함한다.
애플리케이션은 운영 체제 및 장비의 하드웨어 리소스들을 이용하여 실행되는 작업, 또는 기본적인 작업들의 세트를 수행하기 위해 장비 상에 설치되도록 의도되는 임의의 타입의 프로그램 또는 소프트웨어를 의미하는 것으로 본원에서 이해된다.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전자 게임, 웹 브라우저,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온라인 상업 애플리케이션, 건강 데이터 송신 등일 수 있다. 본 발명이, 사용자 장비 또는 사용자 장비에 의해 액세스될 수 있는 다른 장비 상에(예를 들어, 원격 서버 상에, 등) 애플리케이션이 설치될 때 동일하게 적용 가능하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본 발명이 적용되는 사용자 장비(또는 UE)의 본질에 대한 어떤 제한도 없다. 사용자 장비는 스마트폰과 같은 단말기, 랩탑 컴퓨터, 디지털 태블릿, 연결된 대상뿐만 아니라 라우터 등일 수도 있다. 더욱이, 사용자 장비의 다양한 모듈이 상이한 물리적 엔티티들에 의해 호스팅될 수 있다.
앞서 언급한 기술적 문제를 고려하여, “2중 SIM” 또는 “다중 SIM” 사용자 장비를 참조하여 본 발명이 설명되지만; 본 발명이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를 각각 고유하게 식별하는 복수의 별개의 식별자가 할당되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도록 의도되는 임의의 사용자 장비에 보다 전반적으로 적용 가능하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그러한 식별자들은, 예를 들어 특히 4G 네트워크들에서 사용되는 IMSI(국제 모바일 가입자 식별자) 타입 식별자들 또는 특히 5G 네트워크들에서 사용되는 SU-PI(가입 영속 식별자) 타입 식별자들이거나, WLAN(무선 액세스 네트워크) 타입의 비3GPP 네트워크들에 대한 MAC(매체 액세스 제어) 어드레스 타입이기도 하다. 이들은 서로와 관계 없이 영속적으로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식별자들이며: 즉, 사용자가 네트워크에의 가입으로부터 이익을 얻는 한은 이들은 변함 없다. 이러한 식별자들은 특정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에서의 복수의 내장 USIM 모듈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에 각각 저장될 수 있다.
따라서 특정 실시예에서, 본 발명은 또한 복수의 USIM 모듈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사용자 장비에 관한 것으로, 각각의 카드 및/또는 각각의 모듈은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복수의 식별자로부터의 별개의 식별자와 연관된다.
이러한 복수의 식별자는 사용자를 식별하고 사용자의 사용자 장비를 통하여, 복수의 별개의 네트워크(예를 들어, 상이한 공중 육상 이동망들 또는 PLMN들), 또는 사용자의 상이한 식별자와 각각 연관되는 독립된 제안들 또는 가입들(예를 들어, 동일한 네트워크 사업자에 의해 제안되고 동일한 네트워크 인프라 구조체에 기반하는 “전문가 가입” 및 “개인적 가입”)로부터만 이익을 얻는 동일한 네트워크에 사용자가 등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네트워크들의 관점에서, 이러한 식별자들은, 많은 상이한 사용자에게 각각 할당되는 것처럼 관리된다.
본 발명은 애플리케이션의 적어도 하나의 흐름에 이러한 네트워크(들)의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를 할당하는 하나 이상의 규칙으로, 사용자 장비가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식별자를 갖는 사용자의 장비를 (예를 들어, 자동적으로) 구성하는 것을 제안한다. 각각의 규칙은 바람직하게는 각각의 규칙이 참조하는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의 모든 흐름과, 사용자 장비가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복수의 식별자를 통하여 액세스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들의 동일한 슬라이스들을 규칙들이 연관시킬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또한, 필요하다면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는 다양한 타입의 흐름들에 따라, 또는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송신되거나 수신될 수 있는 각각의 흐름에 따라 개별적으로도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이 구별되게 사용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부가 입도를 제안한다. 다양한 타입의 흐름 또는 다양한 흐름은, 예를 들어 상이한 타입들의 데이터(오디오, 영상, 텍스트 등)를 전달하는 흐름들, 상이한 수신지 어드레스들, 상이한 원격 IP 어드레스, 상이한 원격 포트 등을 갖는 흐름들에 상응할 수 있다. 예를 들어, “5G 시스템(5GS)에 대한 사용자 장비(UE) 정책들; 단계 3(User Equipment (UE) policies for 5G System (5GS); Stage 3)”, v16.1.0(September 2019)라는 명칭의 3GPP TS 24.526 규격서의 표 5.2.1에 목록으로 나열된 흐름들을 구별하기 위한 기준들이 고려될 수 있다.
즉, 사용자 장비의 구성을 위해 사용자 장비로 송신되는 규칙들은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다수의 식별자에 의한 다중 연결로부터 사용자 장비가 이익을 얻는다는 사실을 고려한다. 상기 규칙들은 유리하게는 사용자 장비가 등록할 수 있는 다양한 네트워크와 연관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의 특징들, 그리고 고려된 애플리케이션들의 특정 특징들이 주어지는 이러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과 연관된 서비스들을 고려함으로써 확립된다. 사용자 장비에 공급되는 규칙들이 사용자 장비 상에 설치되지 않았거나 이에 따라 실행되지 않을 애플리케이션들과 관련될 수 있으며; 이러한 경우에, 상기 규칙들이 이에 따라 고려되지 않고, 적용 가능하다면, 사용자 장비의 구성에서 제거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획득되는 규칙들은 사용자 장비 상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들과 관련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가 식별자들을 갖는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에 사용자 장비가 등록할 때, 또는 임의의 다른 때에(예를 들어,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을 설치할 때) 사용자 장비가 호스팅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의 식별자들을, 규칙들을 확립하는 역할을 하는 엔티티에 공급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각각의 규칙에서 명확히 연관되는 정보는 유리하게는,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식별자들이 다양한 네트워크에 상응하면, 슬라이스가 귀속되는 네트워크, 또는 슬라이스들이 동일한 네트워크에 귀속되면, 사용자 장비가 이러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액세스하기 위해 이용해야 하는 식별자의 확실한 지정을 가능하게 한다.
특정 실시예에서, 이러한 정보는 통신 네트워크의 슬라이스에 대해:
- 사용자의 상기 복수의 식별자 중의 상기 식별자;
-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단말기의 모듈의 식별자; 또는
- 상기 식별자가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통신 네트워크의 식별자를 포함한다.
즉, 애플리케이션 흐름과 연관된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연관된 정보는 이러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상에서 통신하는 데 사용될 사용자의 식별자에 대한 직접적인 참조, 또는 예를 들어, 이러한 식별자를 포함하는 모듈 또는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식별자들이 전형적으로 다양한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를 식별하면) 심지어 이러한 식별자가 귀속되는 네트워크에 의한 이러한 식별자에 대한 간접적인 참조를 포함한다. 다중 SIM 사용자 장비의 예에서, 이러한 정보는 따라서 해당 슬라이스가 상응하고 이러한 슬라이스와 연관되는 애플리케이션의 흐름에 대해 사용자 장비가 사용해야 할 SIM의 지정을 가능하게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결과, 다중 SIM 사용자 장비는 이의 내장 USIM 모듈들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들 각각에 대해 애플리케이션들(또는 심지어 애플리케이션 흐름들)과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사이의 연관 규칙들을 수신할 수 있다. 따라서, 본 발명은 사용자 장비의 애플리케이션 또는 심지어 사용자 장비의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의 다양한 흐름, USIM 모듈, 및 상응하는 네트워크의 슬라이스가 연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그러므로,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의 흐름들이 이러한 흐름들 각각의 특정 특징에 따라 다양한 네트워크의 다양한 슬라이스를 통해 분산될 수 있으며: 이는 사용자 장비와 교환되는 트래픽의 타입(음성, 데이터, SMS)에 따라 정적 분산에 제한되는 것을 없앤다. 본 발명에 의해 제안되는 입도의 결과로서, 단말기 상에 설치되는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의 특정 특징들에 대해 네트워크의 특징들의 더 잘 맞게 되고, 이로 인해 사용자에게 제안되는 애플리케이션들 및 서비스들의 이용 가능성이 더 양호하므로, 종래 기술에 비해 사용자 경험이 개선된다.
특정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에 의해 획득되는 규칙들은 규칙 관리 엔티티에 의해 결정된다. 이러한 규칙 관리 엔티티는, 사용자가 가입된 다양한 네트워크 사이의 중개 게이트웨이에 위치될 수 있거나, 사용자가 상이한 가입들을 통하여 단일 네트워크에 가입된 경우, 이러한 네트워크에 위치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이러한 규칙 관리 엔티티는 네트워크들과 반드시 연관되지는 않고 네트워크들에서 독립된 엔티티일 수 있다.
따라서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규칙 관리 엔티티에 의해 구현되는 규칙들을 관리하는 방법이며, 이러한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를 각각 고유하게 식별하는 복수의 식별자가 할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에 대해:
- 애플리케이션의 적어도 하나의 흐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흐름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라우팅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스를 연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규칙, 및 상기 슬라이스를 상기 사용자의 상기 복수의 식별자 중 한 식별자에 연결시키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 및
- 사용자의 사용자 장비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규칙을 송신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응하여,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 애플리케이션의 적어도 하나의 흐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흐름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라우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스를 연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규칙, 및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사용자를 각각 고유하게 식별하는 복수의 식별자 중 한 식별자에 상기 슬라이스를 연결시키는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모듈; 및
- 사용자의 사용자 장비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규칙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을 포함하는 규칙 관리 엔티티이다.
고려되는 맥락에 따라, 사용자 장비가 가입되는 네트워크들의 하나 이상의 엔티티를 통하여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사용자 장비로 규칙이 송신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특정 실시예에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규칙은, 사용자 장비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에 연관시킬(또는 기록하거나 귀속시킬) 때 획득된다.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 장비는, 사용자 장비가 호스팅하거나 액세스할 것 같은 애플리케이션들에 액세스하기 위해 적용될 규칙들을 자동적으로 임의의 지연 없이 갖는다. 이는 사용자 장비의 사용자가 감지할 수 없는 방식으로 일어난다.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규칙들은 이러한 목적으로 제공되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의 사용자에 의해 사용자 장비에서 수작업으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한 인터페이스는,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 상에서 이용 가능한 구성 메뉴이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규칙들은 사용자 장비의 소프트웨어로 정적으로 구성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규칙들은 다양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그리고 적용 가능하다면, 다양한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를 고려함으로써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결정된다. 바람직하게는, 규칙들이 각각의 사용자의 특징들 및 가입들을 고려함으로써 결정되지만; 특정 실시예에서, 규칙들이 애플리케이션들의 특정 특징들에 따라서만 정의되고 동일한 규칙들이 모든 사용자에게로 송신되며, 애플리케이션들이 그 때 적용 가능하지 않은 규칙들을 고려하지 않는 것에 책임이 있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또한 가능하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규칙들은,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의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특징들과 같은 다른 파라미터들을 고려할 수도 있다.
다양한 구성이 각각의 규칙에 대해 고려될 수 있다.
따라서 예를 들어, 동일한 규칙이 복수의 별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흐름과 연관시킬 수 있다. 이러한 복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동일한 네트워크 또는 별개의 통신 네트워크들에 상응할 수 있다.
이러한 실시예에서, 애플리케이션은 예를 들어 다양한 네트워크 슬라이스 사이에서 부하를 분산시키기 위해, 규칙에 의해 식별되는 다양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동시에 액세스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사용 우선 순위가 상기 복수의 별개의 슬라이스 각각에 할당될 수 있다.
이러한 슬라이스들이 별개의 네트워크들에 귀속되면, 이는, 사용자 장비가 어느 네트워크(예를 들어, 어느 USIM 모듈 또는 네트워크 카드)를 맨 먼저 사용해야 하는지, 그리고 (예를 들어, USIM 모듈 또는 상응하는 네트워크 카드가 사용자 장비 내에서 활성화되지 않아서) 사용자 장비가 액세스 가능하지 않는 경우, 폴백 해결책을 사용자 장비가 결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규칙에 포함되는 다양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할당되는 사용 우선 순위들이 특정 실시예에서, 규칙 관리 엔티티에 의해 할당되어, 예를 들어 다양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걸쳐 부하를 분산시킬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사이에서 우선 순위들을 확립하는 것에 대해 다른 기준들이 고려될 수 있다. 이러한 기준들은 보다 상세하게는, 예를 들어 하나 이상의 관련 있는 네트워크, 또는 사용자가 갖는 네트워크 커버리지 등에의 사용자의 가입에 따라 사용자에게 연계될 수 있다.
규칙들은, 예를 들어 복수의 별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포함하는 규칙에서와 같이 규칙들에 포함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을 사용하기 위한 명령어들, 이러한 별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사이에서 부하를 분산시키거나, 명의상으로 특정 슬라이스 그리고 백업으로서 다른 특정 슬라이스를 사용하라는 명령어 등을 포함할 수도 있다.
더욱이 특정 실시예에서, 관리 엔티티는 각각의 규칙을 상기 규칙에 대한 실행 우선 순위와 연관시킬 수 있다.
그러한 우선 순위는, 동시에 실행될 2개의 상이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결정되는 2개의 규칙이 상충하는 경우에(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가 정해진 시간에만 네트워크로 트래픽을 전달할 수 있고, 진행 중인 2개의 애플리케이션이 별개의 네트워크들에 속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들과 연관됨), 사용자 장비가 맨 먼저 적용될 규칙을 선택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이러한 우선 순위는 지시로서 제공될 수 있고 사용자 장비는 상충이 있는 경우에 달리 작동할 것을 결정할 수 있다.
본 발명의 특정 실시예에서, 구성 방법 및/또는 규칙 관리 방법은 컴퓨터에 의해 구현된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기록 매체 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이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구성 방법을 구현하는 데 적절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장비에서 구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기록 매체 상의 컴퓨터 프로그램이며, 이러한 프로그램은 컴퓨터에서, 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상술한 바와 같은 규칙 관리 방법을 구현하는 데 적절한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규칙 관리 엔티티에서 구현될 수 있다.
각각의 프로그램은 임의의 프로그래밍 언어를 사용할 수 있고, 부분적으로 컴파일된 형태로와 같이 소스 코드, 목적 코드, 또는 소스 코드와 목적 코드 사이의 중간 코드의 형태, 또는 임의의 다른 바람직한 형태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목적은 정보 매체 또는 컴퓨터 판독 가능 기록 매체이고 앞서 언급한 컴퓨터 프로그램의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정보 또는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들을 저장할 수 있는 임의의 엔티티 또는 디바이스일 수 있다. 예를 들어, 매체는 ROM, 예를 들어, CD-ROM 또는 마이크로 전자 회로 ROM과 같은 저장 수단, 또는 심지어 자기 기록 수단, 예를 들어 하드 디스크, 또는 플래시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더욱이, 정보 또는 기록 매체는 무선 링크, 무선 광 링크 또는 다른 수단에 의해 전기 또는 광 케이블을 통하여 라우팅될 수 있는 전기 또는 광 신호와 같은 송신 가능 매체일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프로그램은, 특히 인터넷 타입 네트워크를 통해 다운로드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정보 또는 기록 매체는 프로그램이 포함되는 집적 회로일 수 있으며, 회로는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방법 또는 본 발명에 따른 규칙 관리 방법을 실행시키거나 실행시키는 데 사용되도록 구성된다.
다른 양태에 따르면, 본 발명의 목적은:
-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복수의 식별자가 할당되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도록 의도되는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
- 본 발명에 따른 규칙 관리 엔티티를 포함하는 시스템이다.
특정 실시예에서: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를 포함하고;
- 상기 관리 엔티티의 송신 모듈은 각각의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사용자를 관리하는 엔티티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규칙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 각각의 통신 네트워크의 상기 사용자를 관리하는 각각의 엔티티는, 상기 사용자 디바이스를 이러한 통신 네트워크와 연관시킬 때 상기 사용자 장비로 (직접 또는 간접적으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규칙을 송신하도록 구성된다.
다른 실시예에서, 상기 복수의 식별자는 단일 통신 네트워크에 의해 사용자에게 할당되고 규칙 관리 엔티티는 이러한 단일 통신 네트워크의 엔티티이다.
또 다른 실시예에서, 규칙 관리 엔티티는 상기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와 관계없는 엔티티이다.
시스템은 앞서 인용된 본 발명에 따른 규칙 구성 및 관리 방법들(뿐만 아니라 사용자 장비 및 규칙 관리 엔티티)와 동일한 이점들로부터 이익을 얻는다.
다른 실시예들에서,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방법, 규칙 관리 방법, 사용자 장비, 규칙 관리 엔티티 및 시스템이 앞서 언급한 특징들의 모두 또는 일부를 조합하여 갖는 것 또한 고려할 수 있다.
임의의 제한적인 특징이 없는 일 실시예를 예시하는 첨부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추가적인 특징들 및 이점들이 이하의 설명으로부터 명백해질 것이다.
이미 설명한 도 1은 슬라이싱 기법이 구현되는 종래 기술의 네트워크 인프라 구조체를 나타낸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도 3은 특정 실시예에서의 도 2의 시스템에 속하는 본 발명에 따른 규칙 관리 엔티티의 하드웨어 아키텍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4는 특정 실시예에서의 도 2의 시스템에 속하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장비의 기능적 하드웨어 아키텍처의 일 예를 도시한다.
도 5는 제1 실시예에서의 도 2의 시스템의 규칙 관리 엔티티에 의해 구현되는 바와 같은 규칙 관리 방법의 주요 단계들을 예시한다.
도 6은 제1 실시예에서의 도 2의 시스템의 사용자 장비에 의해 구현되는 바와 같은 구성 방법의 주요 단계들을 예시한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네트워크 슬라이싱 기법들을 이용하는 통신 네트워크들의 맥락에 포함된다.
이러한 맥락으로, 본 발명은 각각의 규칙이 주어진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흐름을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와 연관시키며, 이러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은 선택적으로 별개의 네트워크들(예를 들어, PLMN들)에 귀속되는, 규칙들로 사용자 장비를 구성하기 위한 메커니즘을 제안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자 장비에는, 예를 들어 이러한 다양한 네트워크와, 또는 다양한 가입을 통하여 단일 네트워크와, 사용자 장비가 연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복수의 USIM 모듈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가 구비된다.
본 발명이, 본래에 사용자 장비 상에 설치되어 있거나,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다운로드될 수 있는 실시간이거나 비실시간의 임의의 타입의 애플리케이션(오디오, 영상, 텍스트 전송용, 멀티미디어 플레이어 등)에 적용되며, 애플리케이션 서버는 공적이거나, 서비스 제공자에 의해, 또는 심지의 네트워크들 중 하나의 사업자 등에 의해 관리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도 2는 그러한 메커니즘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시스템(1)의 제1 실시예를 도시한다.
이러한 제1 실시예에서, 사용자(U)가 복수의 UICC 카드(예를 들어, K개의 UICC 카드(여기서, K는 2 이상의 정수를 나타냄))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본 발명에 따른 사용자 장비(UE2)를 가지며, 각각의 UICC 카드가 USIM 모듈을 저장한다고 가정한다. 각각의 모듈(USIMk(여기서, k는 1 내지 K의 정수를 나타냄))은 사용자가 가입을 신청하였던 별개의 통신 네트워크(NWk)에 사용자(U)가 등록하고 안전하게 액세스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애플리케이션을 포함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각각의 모듈(USIMk)은 네트워크(NWk)의 사업자에 의해 사용자(U)에게 할당되는 식별자(IDk(U))를 저장한다. 이러한 식별자는 네트워크(NWk) 상에서 사용자를 고유하게 그리고 영속적으로 그리고 변경할 수 없게 식별한다(즉, 사용자가 네트워크에 가입해 있는 기간 전체에 걸친 것). 사용자(U)가, 예를 들어 개인 사용자 또는 커뮤니티와 같은 사용자들의 그룹을 동등하게 지정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도 2의 예에서, 통신 네트워크들(NW1, ..., NWK)은 3GPP 5GS(5G 시스템) 네트워크들이고, 식별자들(IDk(U))은 SUPI 타입 식별자들이다. 그러나, 통신 네트워크들(NW1, NW2, ..., NWK)의 본질에 대한 어떤 제한도 없고, 통신 네트워크들(NW1, NW2, ..., NWK)에 대한 액세스를 승인하는 액세스 네트워크들의 본질에 대한 어떤 제한도 없다. 이는 특히 3GPP 표준(2G, 3G, 4G, 5G 등)에 의해 정의되는 바와 같은 임의의 셀룰러 모바일 네트워크, 또는, 예를 들어 고정형 네트워크, WLAN(무선 로컬 영역 네트워크) 네트워크(예를 들어, 와이파이(무선 충실도) 네트워크)와 같은 비3GPP 네트워크 등과 같은 다른 타입들의 네트워크를 수반할 수 있다. 식별자들(IDk(U))은 고려되는 네트워크들의 본질에 따른다. 따라서, 이는, 예를 들어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2G, 3G, 4G 네트워크들에 대한 IMSI 타입 식별자, WLAN 네트워크에 대한 MAC 어드레스 등을 수반할 수 있다.
각각의 네트워크(NWk)가 앞서 언급한 3GPP TS 23.501 규격서에 언급된 바와 같이 각각의 네트워크(NWk)의 가입자들에 대한 슬라이싱 기법을 구현한다고 가정한다. SL1(k), ..., SLNk(k)는 네트워크(NWk)의 이용 가능한 슬라이스들을 나타내며, 여기서 Nk는 네트워크(NWk)에 의해 제공되는 슬라이스의 수들에 상응하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내며, Nk는 하나의 네트워크(NWk)에서 다음 네트워크(NWk)로 달라질 수 있고,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전될 수 있다. 그러한 슬라이싱 기법은 그 자체로 알려져 있고 본원에 추가로 상세히 설명되지 않는다.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는 “기술 규격서 그룹 코어 네트워크 및 단말기들; 번호, 어드레싱 및 식별(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Core Network and Terminals; Number, Addressing and Identification)”(v16.0.0, September 2019)라는 명칭의 규격서들 TS 23.501 및 TS 23.003에서의 3GPP 표준에 의해 정의되는 S-NSSAI(“단일 네트워크 슬라이스 선택 보조 정보”의 의미) 식별자를 이용하여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속하는 네트워크 상에서 고유하게 식별된다.
본원에 설명하는 제1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UE2)를 구성하는 데 이용되는 전반적으로 RUL로 나타내어지는 규칙들은 다양한 네트워크(NW1, ..., NWK)와 연관되고, 이러한 다양한 네트워크와 인터페이싱하는 중개 게이트웨이(4)에서 호스팅되는 본 발명에 따른 규칙 관리 엔티티(3)에 의해 결정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경우에, 5G 네트워크들의 경우에, 중개 게이트웨이(4)는 각각 PCF1, ..., PCFK로 참조되는 네트워크들(NW1, ..., NWK) 각각의 흐름 정책의 PCF(정책 제어 기능) 관리 엔티티들과 인터페이싱한다. 그 자체로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PCF 엔티티들은, 특히 사용자 장비를 네트워크들(NW1, ..., NWK)에 기록하고/귀속시키고(또는 보다 일반적으로 연관시키고) 사용자 장비를 위치 추적하는 것을 담당하는 네트워크들(NW1, ..., NWK)의 AMF(액세스 및 이동성 관리 기능) 엔티티들(각각 AMF1, ..., AMFK로 참조됨) 상에서 5GS 네트워크들에서의 정책들이 제어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도 2에 고려되는 예에서 단순화를 위해, 규칙 관리 엔티티(3)가 사용자 장비(UE2)의 K개의 USIM 모듈에 상응하는 K개의 네트워크(NW1, ..., NWK)와 연관되며, 즉 규칙 관리 엔티티(3)가 가입을 신청하였던 사용자들에 대한 이러한 네트워크들과의 규칙들(RUL)을 한정하고, 이 때문에 이러한 다양한 네트워크에 상응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의 특징들을 알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그러나, 이러한 가설은 그 자체로 제한적이지는 않다. 규칙 관리 엔티티(3)는 네트워크들(NW1, ..., NWK)에 더하여 다른 네트워크들과 연관될 수 있다. 규칙 관리 엔티티(3)는 네트워크들(NW1, ..., NWK)과 관계 없는 엔티티일 수도 있다(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UE2)와 통신하고 네트워크들 중 하나의 연결이 사용자 장비(UE2)에 송신하는 정보로부터, 사용자 장비(UE2)가 네트워크들 각각에 의해 제안되는 슬라이스들을 알아내기 위해 네트워크들 중 하나의 연결을 활용할 수 있다).
본원에 설명하는 실시예에서, 중개 게이트웨이(4)는, 도 3에 개략적으로 도시된 바와 같은 규칙 관리 엔티티(3)가 기반하는 컴퓨터의 하드웨어 아키텍처를 갖는다. 하드웨어 아키텍처는 특히 프로세서(5), 랜덤 액세스 메모리(6), 읽기 전용 메모리(7), 비휘발성 플래시 메모리(8)뿐만 아니라, 특히 네트워크들(NW1, ..., NWK)의 PCF 엔티티들과 통신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하나 이상의 통신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통신 수단(9)을 포함한다.
본원에 설명하는 실시예에서, 중개 게이트웨이(4)의 읽기 전용 메모리(7)는 프로세서(5)에 의해 판독 가능하고 본 발명에 따른 컴퓨터 프로그램(PROG4)이 기록되는 본 발명에 따른 기록 매체이며, 프로그램은 본 발명에 따른 규칙 관리 방법의 주요 단계들을 한정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한다. 프로그램(PROG4)은 앞서 언급한 하드웨어 요소들(5 내지 9)에 기반하거나 이것들을 제어하는 규칙 관리 엔티티(3)의(그리고 상응하여 중개 게이트웨이(4)의) 기능적 모듈들을 동등하게 한정한다. 이러한 기능적 모듈들은 특히(도 2 참조):
-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에 대해,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의 하나 이상의 슬라이스를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흐름과 연관시키는, 추가로 상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규칙(RUL)을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모듈(3A); 및
- 관련 있는 사용자 장비(들)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규칙(RUL)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3B)을 포함한다. 이러한 송신이 직접적으로 또는 하나 이상의 중간 노드를 통하여 간접적으로 일어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원에 설명하는 제1 실시예에서, 규칙들(RUL)은 추가로 상세히 후술하는 바와 같이 규칙들(RUL)이 연관된 네트워크들의 PCF 및 AMF 엔티티들에 의해 관련 있는 사용자 장비들로 송신된다.
도 2에 고려되는 예에서, 사용자 장비(UE2)는, 예를 들어 스마트폰, 컴퓨터 또는 심지어 디지털 태블릿과 같은 단말기이다.
도 4는 사용자 장비(UE2)의 기능적 하드웨어 아키텍처의 일 예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도 4의 예에서, 사용자 장비(UE2)는 2중 SIM 디바이스이다. 즉, 사용자 장비(UE2)를 2개의 네트워크(NW1 및 NW2)와 각각 연관시키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2개의 별개의 USIM 모듈, 즉 모듈(USIM1) 및 모듈(USIM2)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통상적으로, 사용자 장비(UE2)는 또한 TE(단말기 장비) 모듈 및 2개의 ME(모바일 장비) 모듈을 포함한다. 각각의 ME 모듈 그 자체는 TA(단말기 어댑터) 모듈, NT(네트워크 종단) 모듈 및 RT(무선 종단) 모듈을 포함한다. 이러한 다양한 모듈은 도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다양한 인터페이스(Cu, R, Tu, Uu)를 통하여 함께 통신한다. 그러한 모듈들 및 인터페이스들은 그 자체로 알려져 있고, 특히 “기술 규격서 그룹 서비스들 및 시스템 양태들; 3GPP 규격서들에 대한 어휘 목록(Technical Specification Group Services and System Aspects; Vocabulary for 3GPP Specifications)”(v15.1.0, December 2018)이라는 명칭의 규격서 문서 3GPP TS 21.905, 및 “모바일 네트워크 공학 기술 입문: GSM, 3G-WCDMA, LTE 및 5G로의 길(Introduction to Mobile Network Engineering: GSM, 3G-WCDMA, LTE and the Road to 5G)”, John Wiley and Sons, 2018이라는 명칭의 A. Kukushkin의 책의 9장(123 페이지 상의 도면 9.3 참조)에 설명된다. 인터페이스(Tu)는 특정 부분들을 액세스 네트워크 및 사용자 장비에서의 네트워크 코어에 연결시키며; 인터페이스(Tu)는 일반적으로 상표가 등록되어 있다.
사용자 장비(UE2)의 TE 모듈은 이러한 경우에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방법을 구현하도록 구성되는 다양한 모듈, 그리고 보다 상세하게는, 본원에 설명하는 제1 실시예에서:
-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UE2) 상에(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UE2)의 비휘발성 메모리(10)에) 설치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Appj, j = 1, ..., J(여기서, J는 1 이상의 정수를 나타냄))에 이러한 목적으로 제공되는 애플리케이션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액세스하도록 구성되는 액세스 모듈(2A).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3개의 애플리케이션(App1, App2 및 App3)이 사용자 장비(UE2) 상에 설치됨);
- 사용자 장비(UE2) 상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들에 대해 규칙 관리 엔티티(3)에 의해 결정되는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규칙(RUL)을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 모듈(2B); 및
- 사용자 장비(UE2) 상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들에 액세스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규칙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되는 실행 모듈(2C)을 통합시킨다는 점에서 통상적 TE 모듈과 상이하다.
본원에 설명하는 제1 실시예에서, 모듈들(2A, 2B 및 2C)은, 예를 들어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방법의 주요 단계들에 상응하는 명령어들을 포함하는 컴퓨터 프로그램(PROG2)의 명령어들에 의해 정의되는 소프트웨어 모듈들이다.
애플리케이션들(Appj, j = 1, ..., J)이 반드시 사용자 장비(UE2) 상에 본래에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인 것은 아니며; 애플리케이션들(Appj, j = 1, ..., J), 또는 애플리케이션들(Appj, j = 1, ..., J) 중 적어도 일부가 공공 또는 사설 애플리케이션 서버로부터 사용자 장비(UE2) 상에 이후에 다운로드되었을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더욱이, 사용자 장비(UE2) 상에 존재하는 애플리케이션들 및 애플리케이션의 수는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전될 공산이 있다(애플리케이션들이 삭제될 수 있으며, 다른 애플리케이션들이 추가될 수 있어, 사용자 장비(UE2) 상에서 구성되는 규칙들(RUL)이 시간이 지남에 따라 또한 진전될 공산이 있음). 사용자 장비(UE2) 상에 설치되든 아니든, 전반적으로 App(예를 들어, 도 4에 고려되는 예에서 App = App1, App2 또는 App3)로 나타내어지는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이 IDApp로 나타내어지는 애플리케이션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는 것으로 본원에 가정된다. 이러한 식별자가 관리 엔티티(3) 및 사용자 장비(UE2)에 의해 이해되고 인지될 수 있는 한은, 이러한 식별자의 형태와 연관된 어떤 제한도 없다.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애플리케이션들(APPj, j = 1, ..., J)의 모두 또는 일부는 사용자 장비(UE2)와 별도의 물리적 엔티티, 예를 들어 그러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액세스 가능한 서버 상에 설치될 수 있다.
더욱이, 사용자 장비(UE2)의 본질과 연관된 어떤 제한도 없다. 실제로, 본 발명은 또한 단말기 이외의 타입의 사용자 장비, 그리고, 특히 수개의 별개의 물리적 엔티티를 통해(예를 들어, 단말기를 통해 부분적으로 그리고 기업 등급 라우터를 통해 부분적으로, 등) 분산될 수 있는 TE 및 ME 모듈들을 갖는 라우터, 또는 사용자 장비에 적용된다.
본 발명에 따른 규칙 관리 방법의 다양한 단계가 제1 실시예에서의 규칙 관리 엔티티(3)에 의해 구현될 때, 이들 다양한 단계를 도 5를 참조하여 이제 설명할 것이다.
이러한 제1 실시예에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App)에 대해 공급 단계라 일컬어지는 단계 동안 규칙 관리 엔티티(3)의 결정 모듈(3A)을 통하여 네트워크들(NW1, ..., NWK)과 연관된 규칙 관리 엔티티(3)에 의해 규칙들(RUL)이 결정된다(단계(E10)). 이러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은, 특히 이러한 경우에 사용자(U)의 사용자 장비(UE2) 상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들(Appj, j = 1, ..., J)의 모두 또는 일부를 포함한다.
더욱이 본원에 설명하는 제1 실시예에서, 규칙 관리 엔티티(3)는 규칙들을 한정하는 데 원인이 되는 각각의 사용자에 대해(즉 이러한 경우에, 규칙 관리 엔티티(3)가 연관되는 네트워크들(NW1, ..., NWK)에 가입하였던 각각의 사용자에 대해) 개별적으로 규칙들(RUL)을 결정한다. 이 때문에, 규칙 관리 엔티티(3)는 네트워크들(NW1, ..., NWK)의 사업자들에의 사용자의 가입들의 특징들을 고려한다. 이 때문에, 규칙 관리 엔티티(3)가, 예를 들어 규칙들을 한정해야 하는 사용자들 각각에게 이용 가능한 가입들과 관련되는 정보를 갖도록 구성된다고 가정한다. 특히, 규칙 관리 엔티티(3)는 이러한 경우에 이러한 사용자들이 각각의 사용자 장비를 통하여 액세스하는 네트워크들(예를 들어, PLMN)의 목록, 이러한 사용자들의 가입들에 의해 승인되는 권리들, 서비스 속성들의 연관된 품질, 사용자들의 사용자 장비의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특징들 등을 갖도록 구성된다. 물론, 이러한 목록은 철저하지도 않고 본 발명을 제한하지도 않는다. 이들은 단지 규칙 관리 엔티티(3)가 구성될 수 있고 규칙들(RUL)을 한정하는 데 사용할 수 있는 정보의 예시적인 예들이다. 더욱이, 이러한 정보가 시간이 지남에 따라 진전될 공산이 있으므로, (예를 들어, 연속적으로, 또는 (미리) 정해진 시간 간격으로, 또는 심지어 변화의 검출 시에, 등) 규칙 관리 엔티티(3) 상에서 동적으로 업데이트된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규칙 관리 엔티티(3)는 사용자들이 가입하였던 네트워크들의 사업자들과 직접 상의함으로써, 또는 데이터베이스가 이러한 사업자들에의 사용자들에 의해 신청되는 가입들의 현재의 상태를 반영하도록 이러한 사업자들에 의해 채워지고 업데이트되는 데이터베이스에 액세스함으로써 이러한 정보에 액세스할 수 있다.
또 다른 대안적인 실시예에 따르면, 규칙 관리 엔티티(3)에 의해 관리되는 사용자들의 사용자 장비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이 규칙 관리 엔티티(3)에 등록하고 규칙 관리 엔티티(3)에 이러한 정보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다른 실시예에서, 규칙 관리 엔티티(3)가 더 이상 각각의 사용자에 대해 개별적으로가 아니고, 애플리케이션마다, 조합되는 모든 사용자에 대해 규칙들(RUL)을 결정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본원에 설명하는 제1 실시예에서, 각각의 사용자에 대한 규칙들(RUL)의 세트를 규칙 관리 엔티티(3)가 결정하는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은 미리 정해져 있다. 설명의 나머지 전체에 걸쳐, 이해의 용이함을 위해, 사용자(U)에 대해 확립되는 규칙들이 참조되지만, 그럼에도 불구하고 제공되는 고려 사항들이 규칙 관리 엔티티(3)에 의해 관리되는 모든 사용자에게 동등하게 적용된다.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은, 특히 애플리케이션들의 공급자들과 규칙 관리 엔티티(3)와 연관된 네트워크들(NW1, ..., NWK)의 사업자들, 또는 고려되는 사용자(U)가 가입을 신청하였던 네트워크들의 사업자들 사이에 동의들이 확립되었던 애플리케이션들을 수반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은 규칙 관리 엔티티(3)와 연관된 네트워크들(NW1, ..., NWK) 상에서 사용자(U)가 가입하였던 서비스들에 따라 확립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은 사용자(U)의 사용자 장비(UE2) 상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고려할 수도 있다. 따라서 도 3에 고려되는 예에서, 규칙 관리 엔티티(3)는 사용자 장비(UE2) 상에 설치되는 3개의 애플리케이션(App1, App2 및 App3)에 대한 규칙들을 결정할 수 있다. 이 때문에, 사용자 장비(UE2)가 사용자 장비(UE2)의 USIM 모듈들 중 하나에 의해 연관되는 네트워크를 통하여 호스팅하는 애플리케이션들을 규칙 관리 엔티티(3)에 통지하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다. 대안적으로, 그러한 네트워크가 (사용자 장비(UE2)와 관련되는 트래픽을 분석함으로써)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장비(UE2) 상에 설치되는 것을 검출하고 규칙 관리 엔티티(3)에 통지할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결정 모듈(3A)을 통하여 규칙 관리 엔티티(3)에 의해 결정되는 각각의 규칙은 주어진 애플리케이션(App)의 적어도 하나의 흐름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라우팅하기 위해, 사용자(U)가 가입을 신청하였던 네트워크들(NW1, ..., NWK) 중 한 통신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스를 이러한 흐름과 연관시킨다. 원하는 입도에 따라, 애플리케이션의 각각의 별개의 흐름에 대해, (예를 들어, 흐름 타입마다) 흐름들의 일부에 대해, 또는 애플리케이션의 모든 흐름에 대해 상이한 규칙이 결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동일한 애플리케이션으로부터의 흐름들의 본질(즉, 타입)(예를 들어, 오디오, 영상, 텍스트)에 따라 별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걸쳐 이러한 흐름들을 분산시키는 것은 이러한 흐름들의 송신 조건들의 더 양호한 적응을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이는 다양한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통해 부하가 분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할 수도 있다.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을 규칙 관리 엔티티(3)에 의해 고려되는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의 흐름들과 연관시키는 데 사용되는 기준들에 대한 어떤 제한도 없다. 규칙 관리 엔티티(3)는 유리하게는 네트워크들(NW1, ..., NWK)의 세트에 의해 제안되는 모든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알 수 있어, 규칙 관리 엔티티(3)는 다양한 네트워크에 속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애플리케이션의 흐름을 연관시킬 수 있다.
이러한 연관은 다양한 네트워크(NW1, ..., NWK)에 상응하는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의 상태에 관한 인지에 따라 동적으로 수행될 수 있다. 이러한 연관은 이러한 흐름들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라우팅하는 데 적절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을 애플리케이션 식별자 및/또는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흐름 식별자와 연관시키는, 규칙 관리 엔티티(3) 내의 또는 외부 서버 상에서 이에 따라 액세스될 수 있는 데이터베이스를 참고하는 것에 기반할 수도 있다. 그러한 데이터베이스는 이용 가능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상응하는 네트워크들(NW1, ..., NWK)의 사업자들과 함께 확립될 수 있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에 따르면, 사용자(U)에 대한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흐름에 대해 결정되는 각각의 규칙은 적어도 하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SLi(k))(i는 1, ..., Nk와 동등할 수 있음), 그리고 이러한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속하는 네트워크(NWk)(k는 1, ..., K와 동등할 수 있음) 상에서 사용자(U)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자(IDk(U))에 이러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연계시키는 (명확한) 정보를 이러한 흐름(들)과 연관시킨다.
제1 실시예에서, 각각의 식별자(IDk(U))는 상이한 네트워크(NWk) 상에서 사용자(U)를 식별하며, 이러한 정보는 또한 통상적으로 PLMNId로 나타내어지고 네트워크(NWk)의 MCC(모바일 국가 코드) 및 MNC(모바일 네트워크 코드) 코드들에 상응하는 네트워크(NWk)의 식별자로 구성될 수 있다. 실제로, 이러한 네트워크 식별자는 제1 실시예에서 식별자(IDk(U)), 그리고 이에 따른 이러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액세스하기 위해 사용자(U)가 사용해야 하는 모듈(USIMk)을 확실하게 지정한다.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이러한 정보는 식별자(IDk(U)) 그 자체, 또는 ICCid(UICC 카드의 일련 번호) 또는 elD 식별자와 같은 상기 식별자(IDk(U))를 포함하는 사용자(U)의 사용자 장비(UE2)의 모듈(예를 들어, USIM 모듈 또는 네트워크 카드)의 식별자일 수 있다.
앞서 언급된 바와 같이, 규칙 관리 엔티티(3)는 네트워크들(NW1, ..., NWK)에 의해 제안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들 중으로부터 규칙 관리 엔티티(3)에 의해 선택되는 하나 이상의 별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애플리케이션의 각각의 흐름 또는 흐름들의 세트와 연관시킬 수 있다. 규칙에 의해 영향을 받는 각각의 흐름 및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은 이들이 네트워크들 및 사용자 장비(UE2)로부터 확실하게 식별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식별자에 의한 규칙으로 식별된다. 수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가 동일한 흐름 또는 동일한 세트의 흐름들과 연관될 때, 이러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은 동일한 네트워크 또는 다양한 네트워크에 속할 수 있다. 더욱이, 이러한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은 규칙 관리 엔티티(3)에 의해 할당되는 사용 우선 순위와 연관될 수 있거나, 규칙은, 예를 들어 다양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걸쳐 부하를 분산시키는 명령어와 같은 이러한 다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사용하기 위한 하나 이상의 명령어를 포함할 수 있다.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사용 우선 순위를 할당하기 위해 상이한 기준들이 규칙 관리 엔티티(3)에 의해 고려될 수 있다. 규칙 관리 엔티티(3)에 의해 설정되는 우선 순위들은, 예를 들어 사용자(U)의 가입의 특징들, 그리고/또는 사용자(U)의 사용자 장비(UE2)의 특정 하드웨어 및/또는 소프트웨어 특징들을 고려할 수 있거나, 다양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걸쳐 부하를 분산시키는 것을 목적으로 할 수 있다.
예시로서, 규칙들의 예들이 이하의 표 1에 제공된다.
Figure pct00001
본 표에서:
- “ID흐름” 영역은 규칙에 의해 영향을 받는 하나 이상의 흐름의 식별자들을 나타내며; 반드시 식별자를 사용할 필요 없이, 규칙들에 의해 영향을 받는 흐름들이 흐름들의 특징들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예를 들어, 흐름이 흐름의 수신지 어드레스, 흐름이 이용하는 포트 등에 의해 지정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하고;
- “콘텍스트” 영역은 (사용자 장비가 즉, 단일 USIM 모듈을 통한 고유 연결로부터 사용자 장비가 이익을 얻는 구성에 있는지, 아니면 동시 다중 연결로부터 사용자 장비가 이익을 얻는 구성에 있는지에 따라) 규칙이 적용되는 사용자 장비의 연결 콘텍스트를 나타내며; 이러한 콘텍스트가 규칙으로 전해질 수 있거나 사용자 장비의 전제 조건일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하고;
- “S-NSSAI/PLMNId” 영역은 흐름과 연관된 슬라이스들을 나타내며, 각각의 슬라이스는 S-NSSAI 식별자에 의해 식별되고, 슬라이스가 속하는 네트워크 상에서 이러한 슬라이스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사용자(U)의 식별자에 이러한 슬라이스가 연결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정보와 연관된다. 표 1에서, 이러한 정보는 관련 있는 네트워크(NWk)의 식별자(PLMNId)이다. 각각의 슬라이스는 사용 우선 순위와 연관될 수도 있고/있거나, 수개의 슬라이스가 지정될 때, 이러한 슬라이스들을 사용하기 위한 규칙이 상기 규칙에 추가될 수 있다.
더욱이, 규칙들이 복수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결정될 때, 애플리케이션들에 의한 네트워크들(NW1, ..., NWK)의 슬라이스들에 대한 액세스를 일정 정도까지 우선 순위화하기 위해, 관리 엔티티(3)는 각각의 규칙에서 규칙에 대한 사용 우선 순위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사용 우선 순위들은 동시에 수개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병발하는 액세스 동안 사용자 장비(UE2) 상에 존재할 수 있는 규칙들 사이에서 임의의 상충이 관리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예를 들어, 그러한 상충은, 수개의 애플리케이션이 동시에 실행될 때 일어나고, 각각의 애플리케이션과 연관된 각각의 규칙은 별개의 네트워크의 사용으로 복귀하는 반면에, 사용자 장비(UE2)는 주어진 순간에서 단일 네트워크에만 액세스할 수 있다(사용자 장비(UE2)는 그 때 “단일 활성” 사용자 장비라 일컬어짐). 이러한 사용 우선 순위들이 사용자 장비(UE2)에 대해 구속성의 값을 가질 수 있거나(사용자 장비(UE2)는 그 때 애플리케이션들 사이의 상충들을 관리하기 위해 이러한 사용 우선 순위들을 적용시켜야 함), 그와는 반대로, 사용자 장비(UE2)가 고려하지 않아도 되는 참고 값을 가질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따라서 규칙(RUL1)에 따라, 사용자 장비(UE2)가 USIM 모듈들 중 하나를 통한 단순한 연결로부터 이익을 얻을 때(즉,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UE2)가 “단일 활성” 모드로 구성되므로, 주어진 때에 이러한 모듈들 중 하나만을 사용할 수 있을 때), 애플리케이션(App1)의 식별자(Flow1)를 갖는 흐름들은 우선 순위(“PRIO1”에 상응함)로서 식별자(S-NSSAI1)를 갖는 네트워크(NW1 (PLMNId = PLMN1))의 슬라이스, 그리고 그 다음 더 낮은 우선 순위(“PRIO2”에 상응함)에 따라 식별자(S-NSSAI1)를 갖는 네트워크(PLMN2)의 슬라이스와 연관된다. 즉 이러한 규칙(RUL1)에 따라, 사용자 장비(UE2)는 애플리케이션(App1)의 식별자(Flow1)에 상응하는 흐름들에 대해, 우선 순위로서 네트워크(NW1)의 네트워크 슬라이스(S-NSSAI1)(식별자(PLMN1)에 상응함)를 사용해야 한다.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UE2)의 모듈(USIM1)이 비활성화되므로) 사용자 장비(UE2)가 네트워크(NW1)를 통한 연결을 갖지 않으면, 사용자 장비(UE2)는 이러한 흐름들에 대해 네트워크(NW2)의 네트워크 슬라이스(S-NSSAI1)를 사용할 수 있다.
규칙(RUL2)에 따라, 사용자 장비(UE2)가 2개의 USIM 모듈을 통한 다중 연결로부터 이익을 얻을 때(즉, 사용자 장비(UE2)가 모듈들(USIM1 및 USIM2)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을 때), 애플리케이션(App1)의 식별자(Flow1)를 갖는 흐름들은 식별자(S-NSSAI1)를 갖는 네트워크(NW1 (PLMNId = PLMN1))의 슬라이스를 통해, 또는 식별자(S-NSSAI1)를 갖는 네트워크(PLMN2)의 슬라이스를 통해 동동하게 송신될 수 있다.
규칙(RUL3)에 따라, 사용자 장비(UE2)가 2개의 USIM 모듈을 통한 다중 연결로부터 이익을 얻을 때(즉, 사용자 장비(UE2)가 모듈들(USIM1 및 USIM2)을 동시에 사용할 수 있을 때), 애플리케이션(App1)의 식별자(Flow1)를 갖는 흐름들은 식별자(S-NSSAI1)를 갖는 네트워크(NW1 (PLM-NId = PLMN1))의 슬라이스를 통해, 그리고 식별자(S-NSSAI1)를 갖는 네트워크(PLMN2)의 슬라이스를 통해 분산되어 2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사이의 부하의 균형을 유지한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자 장비(UE2)는 하나 이상의 데이터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부하 분산을 관리하도록 미리 구성되었을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수개의 별개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하나의 애플리케이션의 하나 이상의 흐름과 연관시키는 규칙을 수신할 시에, 이러한 다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의 사용을 위한 규칙 관리 엔티티(3)에 의해 제공되는 부가 명령어가 없을 때에, 사용자 장비(UE2)가 이러한 다수의 네트워크 슬라이스 사이에 부하를 분산시킬 가능성에 대하여 규칙 관리 엔티티(3)를 폴링할 수 있고, 규칙 관리 엔티티(3)로부터의 긍정적 응답의 수신 시에 그러한 부하 분산을 구현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물론, 이러한 예들이 예시로서만 제공되고 규칙들의 다른 예들이 고려될 수 있다.
규칙들(RUL)이 규칙 관리 엔티티(3)에 의해 각각의 사용자 및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에 대해 결정되면, 규칙들(RUL)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의해 규칙 관리 엔티티(3)의 송신 모듈(3B)을 통하여 관련 있는 사용자들에게로 송신된다(단계(E20)). 본원에 설명하는 제1 실시예에서, 이러한 송신은 사용자들이 가입하였던 네트워크들(NW1, ..., NWK)을 통하여, 그리고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네트워크들의 PCF 및 AMF 엔티티들을 통하여 간접적으로 수행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원에 설명하는 제1 실시예에서, 공급 단계 동안, 규칙 관리 엔티티(3)는 각각의 네트워크(NWk, k = 1, ..., K)의 각각의 엔티티(PCFk, k = 1, ..., K)에, 이러한 네트워크에 가입하였던 사용자들의 규칙들(RUL)을 송신한다. 따라서, 네트워크들(NW1, ..., NWK)에 가입을 신청하였던 사용자(U)의 예에서, 규칙 관리 엔티티(3)는 사용자(U)에 대해 결정되는 규칙들(RUL(U))을 네트워크들(NW1, NW2, ..., NWK)의 엔티티들(PCF1, PCF2, ..., PCFK)에 송신한다. 이러한 송신은 공급 단계를 완료한다.
네트워크들(NW1, ..., NWK)을 통하여 사용자 장비(U)에 도달하는 규칙들(RUL(U))의 무결성 및 최신성을 보장하기 위해, 규칙 관리 엔티티(3)가 이러한 규칙들에 서명하고/하거나(그 자체로 알려져 있는 방식으로 그리고 본원에 설명하지 않음) 이러한 규칙들을 타임스탬프와 연관시킬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방법의 다양한 단계가 제1 실시예에서의 사용자(U)의 사용자 장비(UE2)에 의해(그리고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장비(UE2)의 TE 모듈에 의해) 구현될 때, 본 발명에 따른 구성 방법의 다양한 단계를 도 6을 참조하여 이제 설명할 것이다.
이러한 제1 실시예에서, 규칙 관리 엔티티(3)에 의해 사용자(U)에 대해 결정되는 규칙들(RUL(U))은, 규칙들(RUL(U))이 다양한 네트워크(NW1, ..., NWK)와 연관될 때 사용자 장비(UE2)로 송신된다.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U)에 의해 수작업으로 또는,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UE2)에 전원을 넣을 때 자동적으로) 네트워크(NWk)에 액세스하기 위해, 모듈(USIMk (여기서, k는 1,..., K로부터 선택됨))이 사용자 장비(UE2) 상에서 활성화될 때(단계(F10)), 사용자 장비(UE2)는 사용자 장비(UE2)의 모듈(USIMk)에 의해, 네트워크(NWk) 상에서 사용자(U)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식별자(IDk(U))에 의해 상응하는 네트워크(NWk)와 연관된다(단계(F20)). 이러한 연관은 관련 있는 네트워크에 따라, 사용자 장비(UE2)를 네트워크(NWk)에, 그리고 보다 상세하게는, 이러한 경우에 네트워크(NWk)의 엔티티(AMFk)에 등록하는(또는 귀속시키는) 것을 수반할 수 있고, 특히 식별자(IDk(U))에 의한 사용자 장비의 인증을 포함한다. 그러한 절차는 그 자체로 알려져 있고 본원에 추가로 설명되지 않는다.
이러한 연관은 규칙 관리 엔티티(3)에 의해 복수의 애플리케이션(App)에 대한 사용자(U)에 대해 결정되는 규칙들(RUL(U))을 사용자 장비(UE2)가 획득하는 것을 트리거한다(단계(F30)).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장비(UE2)가 연관되는 엔티티(AMFk)가 PCFk 엔티티에 규칙 관리 엔티티(3)에 의해 결정되는 규칙들(RUL(U))을 획득할 것을 요청한다. 이러한 규칙들(RUL(U))의 수신 시에, 엔티티(AMFk)는, 예를 들어 3GPP 표준에 의해 정의되고 특히 앞서 언급한 3GPP TS 24.526 문서에 설명하는 URSP(UE 라우트 선택 정책) 규칙들에서, 이러한 규칙들(RUL(U))을 사용자 장비(UE2)로, 그리고 보다 상세하게는, 사용자 장비(UE2)의 TE 모듈의 모듈(2B)로 송신한다.
따라서 획득되는 규칙들(RUL(U))은 해석 및 적용을 위해 사용자 장비(UE2)의 실행 모듈(2C)로 송신된다. 상기 규칙들(RUL(U))은 그러한 사용자 장비에 의해,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UE2)의 비휘발성 메모리에 저장된다(단계(F40)). 이러한 이유로, 사용자 장비(UE2)가 호스팅하는(또는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원격 서버 상에 있는) 애플리케이션들 중 하나에(도 3의 예에서, 애플리케이션들(App1, App2 및 App3) 중 어느 하나에) TE 모듈의 액세스 모듈(2A)을 통하여 사용자 장비(UE2)가 액세스할 때, TE 모듈은 TE 모듈의 실행 모듈(2C)을 통하여 규칙들(RUL(U))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작동은 네트워크(NWk)에 의해 사용자 장비(UE2)에 할당되는 고유 식별자(IDk(U))를 이용하여 사용자 장비(UE2)가 연관되는 각각의 네트워크(NWk)에 대해 반복된다. 사용자 장비(UE2)가 이러한 이유로 규칙들(RUL(U))을 수 회 수신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대안적인 실시예에서, 규칙 관리 엔티티(3)는, 특히 규칙들이 서로 상이하다면, 적용 가능하다면 다양한 네트워크(NWk)로부터 수신되는 규칙들 사이에서, 적용될 우선 순위 규칙들을 사용자 장비(UE2)로 송신할 수 있다.
애플리케이션(Appj)에 대한 액세스의, 사용자 장비(UE2)의 TE 모듈에 의한, 검출 시에(테스트 단계(F50)에서의 '예' 응답), 실행 모듈(2C)은 규칙들(RUL(U)) 중 적어도 하나의 규칙이 애플리케이션(Appj)과 관련되는지 여부를 식별하고, 적용 가능하다면 애플리케이션(Appj)에 액세스할 때, 이러한 애플리케이션과 관련되는 흐름들을 라우팅하기 위한, RUL(U)/Appj로 나타내어지는, 하나 이상의 식별된 규칙을 실행시킨다(단계(F60)). 즉, 사용자 장비(UE2)는 규칙들(RUL(U)/Appj)에서 나타내어지는 흐름들과 연관된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통해, 규칙들에서 나타내어지는 명령어들에 따른 애플리케이션의 흐름들, 그리고 적용 가능하다면, 다양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할당되는 우선 순위들을 송신하고 수신한다.
수개의 애플리케이션 및 상충하는 규칙의 동시 실행의 경우에, 상술한 바와 같이, 각각의 규칙에서 규칙 관리 엔티티(3)에 의해 제공되는 사용 우선 순위에 따라 사용자 장비(UE2)가 실행될 규칙을 선택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더욱이,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이 사용자 장비(UE2) 상에 설치되고 사용자 장비가 이러한 애플리케이션에 대한 규칙들을 갖지 않는다면, 사용자 장비가, 예를 들어 새로 설치된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나타내면서, 그러한 규칙을 제공할 것을 규칙 관리 엔티티(3)에 요청할 수 있다는 점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에 의해, 사용자 장비(UE2)는 “네트워크 슬라이싱”, 다중 연결, 및 각각의 애플리케이션과 관련하는 흐름들의 구별 이하의 애플리케이션들의 구별된 프로세싱의 결합된 이점들로부터 이익을 얻을 수 있다. 이는, 사용자의 개입을 필요로 하지 않고 사용자의 사용자 장비(UE2)의 구성이 자동적으로 이행될 수 있는, 종래 기술을 능가하는 그리고 사용자가 감지할 수 없는 방식으로 사용자 경험을 상당히 개선시킨다. 그러나 특정 실시예에서, 규칙들(RUL(U))을 이용하기 위해 사용자(U)에 의한 사용자 장비(UE2)의 수작업 구성이 고려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사용자는, 예를 들어 제안되는 규칙들 중에서 선택하거나, 사용자의 사용자 장비(UE2) 상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들과 관련되지 않는 규칙들을 삭제하는 등을 할 수 있다.
도 2 내지 도 6을 참조하여 바로 위에서 설명한 제1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UE2)에 내장되는 모듈들(USIMk, k = 1, ..., K)에 저장되는 식별자들(IDk(U))은 (예를 들어, 상이한 사업자들에 의해 관리되는) 별개의 네트워크들(NW1, ..., NWK) 상에서 사용자(U)를 식별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러한 맥락에 제한되지 않는다. 이는, 제2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UE2)에 내장되는 모듈들(USIMk, k = 1, ..., K)에 저장되는 식별자들(IDk(U))이 동일한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U)를 식별하지만(예를 들어, NW1 = NW2 =... = NWK는 동일한 사업자에 의해 관리되고 동일한 사업자 코드 MCC-MNC와 연관되는 동일한 네트워크 인프라 구조체에 상응함), 상이한 가입들(또는 가입 제안들)에 상응하는 경우에 적용될 수도 있다. 도 4에 도시된 예에서, 모듈(USIM1)은, 예를 들어 사용자(U)에 의해 네트워크(NW1)의 사업자에 신청되는 개인 가입에 상응하고(그리고 식별자(ID1(U))에 상응함, 모듈(USIM2)은 사용자(U)에 의해 동일한 네트워크(NW1)의 사업자에 신청되는 전문가 가입에 상응한다(그리고 식별자(ID2(U))에 상응함). 식별자들(ID1(U) 및 ID2(U))은, 예를 들어 사용자(U)의 2개의 가입의 맥락 내에서 네트워크(NW1) 상에서 사용자(U)를 고유하게 그리고 별도로 식별하는 IMSI 또는 SUPI 식별자들이다. 따라서, 사용자 장비(UE2)가 사용자(U)의 개인 가입을 통하여 네트워크(NW1)에 액세스할 때, 사용자 장비(UE2)는 네트워크(NW1)와 연관시키기 위한 모듈(USIM1), 및 모듈(USIM1)에 저장되는 상응하는 식별자(ID1(U))를 사용한다. 사용자 장비(UE2)가 사용자(U)의 전문가 가입을 통하여 네트워크(NW1)에 액세스할 때, 사용자 장비(UE2)는 네트워크(NW1)와 연관시키기 위한 모듈(USIM2), 및 모듈(USIM2)에 저장되는 상응하는 식별자(ID2(U))를 사용한다.
이러한 제2 실시예에서, 규칙들을 결정하는 단계(E10) 동안 규칙 관리 엔티티(3)에 의해 고려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은 그러므로 동일한 네트워크(NW1)에 속한다. 그러나, 상기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은 사용자(U)의 상이한 가입들 그리고 이에 따른 상이한 품질들의 서비스, 상이한 서비스들에 대한 액세스 등에 상응할 수 있다. 즉, 사용자는 가입, 그리고 보다 상세하게는 네트워크(NW1)에 액세스하는 데 사용자가 사용하는 USIM 모듈에 따라 다양한 네트워크 슬라이스에 액세스할 수 있다. 규칙에서 식별되는 각각의 슬라이스를 사용자(U)의 식별자(IDk(U))와 연결시키는 정보는, 사용자(U)의 각각의 식별자(IDk(U))에 대해 동일하므로, 그 때 네트워크(NW1)의 식별자에 제한될 수 없다. 그러므로 제2 실시예에서, 이러한 정보는 바람직하게는 고려된 네트워크에 상응하는 식별자(IDk(U)) 그 자체, 또는 식별자(IDk(U))를 포함하고 그러므로 고려된 네트워크에 액세스하는 데 이용되는 USIM 모듈의 식별자로 구성된다.
더욱이 제2 실시예에서, 규칙 관리 엔티티(3)가 네트워크(NW1)의 엔티티로 통합될 수 있다는 점이 주목되어야 한다. 이러한 경우에, (사용되는 USIM 모듈과 관계없이) 사용자 장비(UE2)가 네트워크(NW1)와 연관될 때 또는 상술한 제1 실시예에서와 같이, 네트워크(NW1)의 PCF 및 AMF 모듈들의 하나 이상에 의해, 규칙들(RUL(U))은 규칙 관리 엔티티(3)에 의해 사용자 장비(UE2)로 직접 송신될 수 있다(고려되는 아키텍처에 따라, 2개의 가입에 대해 동일한 PCF 및 동일한 AMF, 또는 각각의 가입에 대해 전용 PCF 및 AMF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함).
제1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한 다른 단계들 및 작동 모드들이 제2 실시예에 적용 가능하다.
설명한 2가지의 제1 실시예의 조합에 상응하는 제3 실시예가 고려될 수도 있으며, 여기에서는 사용자 장비(UE2)가 이를 별개의 네트워크들과 연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USIM 모듈들, 그리고 동일한 네트워크와 연관되는 것을 가능하게 하는 USIM 모듈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바람직하게는 이러한 제3 실시예에서, 규칙 관리 엔티티(3)는 고려되는 네트워크들의 외부에 있는 엔티티이고, 각각의 네트워크 슬라이스를 사용자(U)의 식별자(IDk(U))에 연결시키는 정보는 제2 실시예에서와 같이, 식별자(IDk(U)) 그 자체 또는 식별자(IDk(U))를 포함하는 모듈의 식별자이다.
상술한 3가지의 실시예에서, 사용자 장비(UE2)가 가입을 신청하였던 하나 이상의 네트워크와 사용자 장비(UE2)가 연관될 때, 규칙들(RUL(U))이 사용자 장비(UE2)에 공급된다.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다른 때에, 예를 들어 (예를 들어, 사용자 장비(UE2)가 규칙들을 갖지 않는 새로운 애플리케이션의 설치를 뒤따라) 사용자 장비(UE2)로부터의 요청 시, 등에 이러한 규칙들(RUL(U))이 공급되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다.
더욱이 이러한 3가지의 실시예에서, 규칙 관리 엔티티(3)에 의해 공급되는 규칙들로의 사용자 장비(UE2)의 자동적인 구성이 사용자(U)가 감지할 수 없는 방식으로 고려되었다. 제4 실시예에서, 예를 들어, 다중 SIM 사용자 장비(UE2) 상에서 이용 가능한 구성 메뉴와 같은 사용자 장비(UE2)의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U)에 의해 이러한 구성이 구현되는 것을 고려하는 것이 가능하다. 이러한 목적으로, 사용자 장비(UE2)는 사용자 장비(UE2)가 고유 식별자(IDk(U))를 갖는 각각의 네트워크(NWk)에 대해 액세스하는 네트워크 슬라이스들에 대한 식별자들을 갖는다. 사용자(U)는 앞서 언급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통하여 사용자 장비 상에 설치되는 각각의 애플리케이션의 흐름들의 모두 또는 일부에 대해 이러한 상이한 슬라이스들을 사용하기 위한 규칙들(RUL(U))을 한정할 수 있고, 이러한 방식으로, 사용자 장비가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할 때 이러한 규칙들을 이용하도록 사용자 장비를 구성할 수 있다.
대안적인 실시예로서, 사용자 장비는, 예를 들어 규칙 관리 엔티티(3)와 같은 외부 엔티티 또는 사용자(U)에 의해 공급되는 규칙들(RUL(U))에 따라 사용자 장비 소프트웨어에서의 “하드” 방식으로 구성될 수 있다.

Claims (21)

  1.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NW1, ..., NWK) 상에서 사용자를 각각 고유하게 식별하는 복수의 식별자(ID1(U), ID2(U), ..., IDK(U))가 할당되는 사용자(U)에 의해 사용되도록 의도되는 사용자 장비(UE2)를 구성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상기 사용자 장비에 의해 구현되고, 적어도 하나의 애플리케이션(Appj)에 대해:
    -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적어도 하나의 흐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흐름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라우팅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스를 연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규칙, 및 상기 슬라이스를 상기 사용자의 상기 복수의 식별자 중 한 식별자에 연결시키는 정보를 획득하는 단계(F30);
    -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할 때(F50),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규칙을 실행시키도록(F60)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규칙(RUL(U)/Appj)으로 상기 사용자 장비를 구성하는 단계(F40)를 포함하는, 방법.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규칙은, 상기 사용자 장비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와 연관시킬 때(F20) 획득되는, 구성 방법.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규칙은 복수의 별개의 슬라이스를 포함하는, 구성 방법.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규칙에서, 사용 우선 순위가 상기 복수의 별개의 슬라이스 각각에 할당되는, 구성 방법.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 장비를 획득하고 구성하는 단계들은 상기 사용자 장비 상에서 이용 가능한 사용자 인터페이스에 의해 수행되는, 구성 방법.
  6. 규칙 관리 엔티티(3)에 의해, 구현되는 규칙들을 관리하는 방법으로서, 상기 방법은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NW1, ..., NWK) 상에서 사용자를 각각 고유하게 식별하는 복수의 식별자(ID1(U), ID2(U), ..., IDK(U))가 할당되는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U)에 대해:
    - 애플리케이션의 적어도 하나의 흐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흐름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라우팅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스를 연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규칙, 및 상기 슬라이스를 상기 사용자의 상기 복수의 식별자 중 한 식별자에 연결시키는 정보를 결정하는 단계(E10); 및
    -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비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규칙을 송신하는 단계(E20)를 포함하는, 방법.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의 복수의 슬라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규칙에서, 사용 우선 순위를 각각의 슬라이스에 할당하는 단계를 더 포함하는, 규칙 관리 방법.
  8. 제6항 또는 제7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의 복수의 슬라이스를 포함하는 적어도 하나의 결정된 규칙은 상기 복수의 슬라이스에 걸쳐 부하를 분산시키기 위한 명령어를 포함하는, 규칙 관리 방법.
  9. 제5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다양한 애플리케이션 흐름과 연관된 규칙들이 상기 규칙들에 대한 사용 우선 순위들을 포함하는, 규칙 관리 방법.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최소 정보는 통신 네트워크의 슬라이스에 대해:
    - 상기 사용자의 상기 복수의 식별자 중의 상기 식별자;
    - 상기 식별자를 포함하는 상기 사용자 장비의 모듈의 식별자; 또는
    - 상기 식별자가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상기 통신 네트워크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법.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규칙은 상기 애플리케이션의 식별자를 포함하는, 방법.
  12. 제1항 내지 제11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애플리케이션은 상기 사용자 장비 상에 설치되는 애플리케이션인, 방법.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상기 식별자들 중 적어도 2개가 2개의 상이한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방법.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되는 상기 식별자들 중 적어도 2개가 동일한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사용자를 식별하는, 방법.
  15. 제1항 내지 제1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규칙이 별개의 통신 네트워크들에 상응하는 복수의 슬라이스를 애플리케이션의 적어도 하나의 흐름과 연관시키는, 방법.
  16.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를 각각 고유하게 식별하는 복수의 식별자가 할당되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도록 의도되는 사용자 장비(UE2)로서:
    - 애플리케이션의 적어도 하나의 흐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흐름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라우팅하기 위한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스를 연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규칙, 및 상기 슬라이스를 상기 사용자의 상기 복수의 식별자 중 한 식별자에 연결시키는 정보를 획득하도록 구성되는 획득 모듈(2B);
    - 상기 애플리케이션에 액세스할 때,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규칙을 실행시키도록 구성되는 실행 모듈(2C)을 포함하는, 사용자 장비(UE2).
  17. 제16항에 있어서,
    복수의 USIM(범용 가입자 식별 모듈) 및/또는 네트워크 카드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각각의 카드 및/또는 각각의 모듈(USIM1, ..., USIMK)은 상기 복수의 식별자 중 별개의 식별자(ID1(U), ..., IDK(U))와 연관되는, 사용자 장비(UE2).
  18. - 애플리케이션의 적어도 하나의 흐름과, 상기 적어도 하나의 흐름과 관련되는 데이터를 라우팅하기 위한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의 적어도 하나의 슬라이스를 연관시키는 적어도 하나의 규칙, 및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되고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상기 사용자를 각각 고유하게 식별하는 복수의 식별자 중 한 식별자에 상기 슬라이스를 연결시키는 정보를 결정하도록 구성되는 결정 모듈(3A); 및
    - 상기 사용자의 사용자 장비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규칙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송신 모듈(3B)을 포함하는, 규칙 관리 엔티티(3).
  19. -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 상에서 사용자를 고유하게 식별하는 복수의 식별자가 할당되는 사용자에 의해 사용되도록 의도되는 제16항 또는 제17항에 청구된 적어도 하나의 사용자 장비(UE2):
    - 제18항에 청구된 규칙 관리 엔티티(3)를 포함하는, 시스템(1).
  20. 제19항에 있어서,
    - 상기 적어도 하나의 통신 네트워크는 복수의 통신 네트워크(NW1, ..., NWK)를 포함하고;
    - 상기 관리 엔티티의 송신 모듈은 각각의 통신 네트워크에서 상기 사용자를 관리하는 엔티티(PCF1, ..., PCFK)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규칙을 송신하도록 구성되고;
    - 각각의 통신 네트워크의 상기 사용자를 관리하는 각각의 엔티티(PCF1, ..., PCFK)는, 상기 사용자 장비를 이러한 통신 네트워크와 연관시킬 때 상기 사용자 장비로 상기 적어도 하나의 규칙을 송신하도록 구성되는, 시스템(1).
  21.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식별자는 단일 통신 네트워크(NW1)에 의해 상기 사용자에게 할당되고 상기 규칙 관리 엔티티(3)는 이러한 단일 통신 네트워크의 엔티티인, 시스템(1).
KR1020227025276A 2019-12-23 2020-12-18 사용자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방법, 사용자 디바이스 및 규칙 관리 엔티티 KR20220119126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FR1915479 2019-12-23
FR1915479A FR3105694A1 (fr) 2019-12-23 2019-12-23 Procédé de configuration d’un équipement utilisateur, équipement utilisateur, et entité de gestion de règles
PCT/FR2020/052525 WO2021130440A1 (fr) 2019-12-23 2020-12-18 Procede de configuration d'un equipement utilisateur, equipement utilisateur, et entite de gestion de regles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9126A true KR20220119126A (ko) 2022-08-26

Family

ID=7000880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5276A KR20220119126A (ko) 2019-12-23 2020-12-18 사용자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방법, 사용자 디바이스 및 규칙 관리 엔티티

Country Status (8)

Country Link
US (1) US11962487B2 (ko)
EP (1) EP4082232A1 (ko)
JP (1) JP2023508371A (ko)
KR (1) KR20220119126A (ko)
CN (1) CN115053549A (ko)
BR (1) BR112022012370A2 (ko)
FR (1) FR3105694A1 (ko)
WO (1) WO2021130440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3840312B (zh) * 2021-10-25 2023-09-05 全球能源互联网研究院有限公司 一种5g网络切片业务的配置方法及装置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WO2018141081A1 (en) * 2017-02-02 2018-08-09 Qualcomm Incorporated Network assisted multi-subscription physical layer sharing
FR3067197A1 (fr) * 2017-06-01 2018-12-07 Orange Procede de selection d'une tranche de reseau relative a une application
WO2019141804A1 (en) * 2018-01-19 2019-07-25 Koninklijke Kpn N.V. Network slice usage
WO2020252281A1 (en) * 2019-06-14 2020-12-17 Convida Wireless, Llc Apparatus, system and method for enhancements to network slicing and the policy framework ofa 5g network
US11070422B2 (en) * 2019-09-16 2021-07-20 Cisco Technology, Inc. Enabling enterprise segmentation with 5G slices in a service provider network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30030528A1 (en) 2023-02-02
US11962487B2 (en) 2024-04-16
JP2023508371A (ja) 2023-03-02
CN115053549A (zh) 2022-09-13
FR3105694A1 (fr) 2021-06-25
EP4082232A1 (fr) 2022-11-02
BR112022012370A2 (pt) 2022-09-27
WO2021130440A1 (fr) 2021-07-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314917B (zh) 网络切片选择策略更新方法、及装置
AU2021273540B2 (en) Network slicing serving function
JP7421735B2 (ja) 非公開ネットワークのための課金制御
CN111480366B (zh) 共享pdu会话建立和绑定
US11419046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performing multi-domain network slice selection and approval
CN114205891B (zh) 将用户终端连接到网络切片的方法、终端、系统及介质
US8837306B2 (en) Determination of a list of preferred mobile access networks
CN110830543B (zh) 通信方法和通信设备
CN111200859A (zh) 一种网络切片的选择方法、网络设备及终端
KR20190088878A (ko) 네트워크 기능 프로파일 관리 방법 및 장치
US9843517B2 (en) Dynamically adjusting network services stratum parameters based on access and/or connectivity stratum utilization and/or congestion information
JP7171729B2 (ja) システム、移動体通信ネットワーク構成要素、ネットワーク機能を選択するための方法及びネットワーク機能を登録するための方法
WO2016005795A1 (en) Method and apparatus for managing multiple profiles of subscriber identity modules
CN114080054A (zh) 一种pdu会话建立方法、终端设备和芯片系统
US20240098556A1 (en) User Equipment Network Slice Information Storage and Packet Data Unit Session Establishment for New Radio
KR20220119126A (ko) 사용자 디바이스를 구성하는 방법, 사용자 디바이스 및 규칙 관리 엔티티
US11212663B2 (en) Establishing a roaming connection via a bootstrap server
JP2021508418A (ja) ネットワークコンポーネント、通信端末、通信端末を接続する方法及び通信ネットワークを使用する方法
JP2022174023A (ja) ネットワークスライスアドミッション制御(nsac)発見及びローミング強化
EP4221357A1 (en) Method for transmitting and/or using a user equipment route selection policy information when operating a user equipment, or when operating a user equipment connected to a telecommunications network, user equipment, system or telecommunications network, program and computer program product
JP7268203B2 (ja) 移動通信システムの利用を制御するためのアクセス管理コンポーネント及び方法
EP4156795A1 (en) Network slice rejection at tai and amf level
US20240137854A1 (en) Network slice selection
JP2023523117A (ja) 通信ネットワークのネットワーク機能を選択するための通信ネットワーク構成及び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