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8842A -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 Google Patents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8842A
KR20220118842A KR1020210022804A KR20210022804A KR20220118842A KR 20220118842 A KR20220118842 A KR 20220118842A KR 1020210022804 A KR1020210022804 A KR 1020210022804A KR 20210022804 A KR20210022804 A KR 20210022804A KR 20220118842 A KR20220118842 A KR 2022011884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ight emitting
refrigerator
light
operation mode
emitt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80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박기태
박대웅
윤희정
정기륜
Original Assignee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삼성전자주식회사 filed Critical 삼성전자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280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8842A/ko
Priority to PCT/KR2021/019693 priority patent/WO2022177126A1/ko
Publication of KR2022011884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84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F25D27/005Lighting arrangements combined with control mea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7/00Lighting arrangement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10Controlling the intensity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20Controlling the colour of the ligh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BELECTRIC HEATING; ELECTRIC LIGHT SOUR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CIRCUIT ARRANGEMENTS FOR ELECTRIC LIGHT SOURCES, IN GENERAL
    • H05B45/00Circuit arrangements for operating light-emitting diodes [LED]
    • H05B45/30Driver circuits
    • H05B45/32Pulse-control circuits
    • H05B45/325Pulse-width modulation [PWM]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1LIGHTING
    • F21WINDEXING SCHEME ASSOCIATED WITH SUBCLASSES F21K, F21L, F21S and F21V, RELATING TO USES OR APPLICATIONS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 F21W2131/00Use or application of lighting devices or systems not provided for in codes F21W2102/00-F21W2121/00
    • F21W2131/30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 F21W2131/305Lighting for domestic or personal use for refrigerator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18Aesthetic featur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5REFRIGERATION OR COOLING; COMBINED HEATING AND REFRIGERATION SYSTEMS; HEAT PUMP SYSTEMS; MANUFACTURE OR STORAGE OF ICE; LIQUEFACTION SOLIDIFICATION OF GASES
    • F25D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F25D2400/00General features of, or devices for refrigerators, cold rooms, ice-boxes, or for cooling or freezing apparatus not covered by any other subclass
    • F25D2400/36Visual display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ld Air Circulating Systems And Constructional Details In Refrigerator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냉장고의 모드 각각에 대응되는 빛을 조사함으로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냉장고의 동작 상태를 인지할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다른 냉장고는 서로 다른 색의 빛을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냉장고의 내부에 상기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냉장고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모드 변경 명령을 입력 받도록 마련되는 입력부; 및
상기 모드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의 온오프 및 온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REFRIGERATOR AND CONTROLLING METHOD OF THE SAME}
본 발명은 고내등을 조사하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에 관련된 기술이다.
일반적으로 냉장고에서 고내등의 역할은 냉장실 혹은 냉동실의 도어가 열렸음을 사용자에게 알려주거나, 주변이 어두운 장소 혹은 야간에 냉장고 안으로 물건을 넣거나 꺼낼 때 냉장고 안이 잘 보일 수 있도록 밝혀주는 장치이다.
이 때의 고내등 색상은 주광색 혹은 전구색으로 마련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이렇게 제한적인 색으로 고내등이 마련되는 경우 단지 냉장고 내부를 밝혀주는 조명으로써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으나 냉장고의 새로운 기능과 식품의 보관 모드에 맞춰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시각적인 안내를 해 주는 것을 불가능하다.
한편 사용자는 별도의 인터페이스의 접근을 통하여 현재 냉장고의 냉장 온도 또는 냉장 모드를 파악할 수 있을 뿐 직관적으로 냉장고의 동작 상태를 파악하는데 어려움이 있다. 따라서 고내등을 통하여 냉장고의 모드 변경 동작을 사용자에게 알리려는 경우에도 새로운 기능을 구현하기 위한 별도의 제어 장치가 추가되어야 하지만 현재의 냉장고에는 별도의 제어 장치를 추가할 수 있는 공간이 부족하다.
따라서 기존의 제어 장치를 유지하고 고내등의 점등을 제어하여 사용자에게 직관적인 모드 변경을 알리는 동작에 대한 연구가 이루어지고 있는 실정이다.
본 발명은 냉장고의 모드 각각에 대응되는 빛을 조사함으로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냉장고의 동작 상태를 인지할 수 있는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을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다른 냉장고는 서로 다른 색의 빛을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냉장고의 내부에 상기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냉장고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모드 변경 명령을 입력 받도록 마련되는 입력부; 및
상기 모드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의 온오프 및 온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한다.
상기 발광부는,
백색 발광소자 및 RGB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백색 발광소자의 점등 동작을 결정하고, 상기 백색 발광소자의 점등에 따라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의 밝기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RGB 발광 소자의 점등 동작을 결정하고,
상기 RGB 발광 소자의 점등 동작에 따라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의 색채 및 채도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에 데이터 신호 및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매트릭스(matrix) 회로로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변경 명령에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구동 신호를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에 전달하여 상기 발광부가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백색 발광소자에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구동 신호를 결정하여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의 밝기를 변경하고,
상기 RGB 발광소자에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구동 신호를 결정하여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의 색채 및 채도를 변경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RGB 발광 소자 상호간의 점등 시간 차이를 결정하여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의 색채 및 채도를 변경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는 상기 냉장고에 포함된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발광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냉장고의 내부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에 PWM 신호를 전달하는 회로로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변경 명령에 대응되는 상기 PWM신호를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에 전달하여 상기 발광부가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상기 제어부는, 식품의 종류 및 상기 식품에 대응되는 냉장 온도에 따라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을 결정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제어방법은,
냉장고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모드 변경 명령을 입력 받고,
상기 모드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의 온오프 및 온시간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의 온오프 및 온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모드 변경에 대응되는 빛을 상기 냉장고 내부에 조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빛을 상기 냉장고 내부에 조사하는 것은,
상기 모드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백색 발광소자의 점등 동작을 결정하고,
상기 백색 발광소자의 점등에 따라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의 밝기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빛을 상기 냉장고 내부에 조사하는 것은, 상기 모드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RGB 발광 소자의 점등 동작을 결정하고, 상기 RGB 발광 소자의 점등 동작에 따라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의 색채 및 채도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에 데이터 신호 및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매트릭스(matrix) 회로로 마련되고,
상기 빛을 상기 냉장고 내부에 조사하는 것은, 상기 모드 변경 명령에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구동 신호를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에 전달하여 상기 발광부가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빛을 상기 냉장고 내부에 조사하는 것은, 상기 백색 발광소자에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구동 신호를 결정하여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의 밝기를 변경하고, 상기 RGB 발광소자에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구동 신호를 결정하여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의 색채 및 채도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빛을 상기 냉장고 내부에 조사하는 것은, 상기 모드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RGB 발광 소자 상호간의 점등 시간 차이를 결정하여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의 색채 및 채도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빛을 상기 냉장고 내부에 조사하는 것은,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발광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냉장고의 내부에 빛을 조사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에 PWM 신호를 전달하는 회로로 마련되고,
상기 빛을 상기 냉장고 내부에 조사하는 것은,상기 모드 변경 명령에 대응되는 상기 PWM신호를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에 전달하여 상기 발광부가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빛을 상기 냉장고 내부에 조사하는 것은, 식품의 종류 및 상기 식품에 대응되는 냉장 온도에 따라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은, 냉장고의 모드 각각에 대응되는 빛을 조사함으로서 사용자가 직관적으로 냉장고의 동작 상태를 인지할 수 있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는 나타낸 도면이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고내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동작 모드를 입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a 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내등의 휘도를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6b는 색채 및 채도를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7a 및 도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회로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8a 및 도8b는 구동회로가 매트릭스 회로로 마련된 경우 발광부의 동작을 구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9 내지 도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요소를 지칭한다.본 명세서가 실시예들의 모든 요소들을 설명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일반적인 내용 또는 실시예들 간에 중복되는 내용은 생략한다.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부, 모듈, 부재, 블록'이라는 용어는 소프트웨어 또는 하드웨어로 구현될 수 있으며, 실시예들에 따라 복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하나의 구성요소로 구현되거나, 하나의 '부, 모듈, 부재, 블록'이 복수의 구성요소들을 포함하는 것도 가능하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를 포함하고, 간접적인 연결은 무선 통신망을 통해 연결되는 것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을 의미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 "상에" 위치하고 있다고 할 때, 이는 어떤 부재가 다른 부재에 접해 있는 경우뿐 아니라 두 부재 사이에 또 다른 부재가 존재하는 경우도 포함한다.
제1, 제 2 등의 용어는 하나의 구성요소를 다른 구성요소로부터 구별하기 위해 사용되는 것으로, 구성요소가 전술된 용어들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단수의 표현은 문맥상 명백하게 예외가 있지 않는 한, 복수의 표현을 포함한다.
각 단계들에 있어 식별부호는 설명의 편의를 위하여 사용되는 것으로 식별부호는 각 단계들의 순서를 설명하는 것이 아니며, 각 단계들은 문맥상 명백하게 특정 순서를 기재하지 않는 이상 명기된 순서와 다르게 실시될 수 있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작용 원리 및 실시예들에 대해 설명한다.
도1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외관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2는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제어 블록도는 나타낸 도면이다.
도1 및 도2를 참고하면, 냉장고(100)는 전면(前面)이 개방된 본체(101)와, 본체(101) 내부에 형성되며 식품이 냉장 및/또는 냉동 보관되는 저장실(110)과, 본체(101)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120)를 포함할 수 있다.
본체(101)는 냉장고(100)의 외관을 형성할 수 있다.
본체(101)는 저장실(110)을 형성하는 내상(102)과, 내상(102)의 외측에 결합되어 외관을 형성하는 외상(103)을 포함할 수 있다.본체(101)의 내상(미도시)과 외상(103) 사이에는 저장실(110)의 냉기 유출을 방지할 수 있는 단열재(미도시)가 충진될 수 있다.
저장실(110)은 수평 격벽(110a)과 수직 격벽(110b)에 의해 복수 개로 구획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저장실(110)은 상부 저장실(111)과, 하부 제1 저장실(112)과, 하부 제2 저장실(113)로 구획될 수 있다.
저장실(110)에는 식품을 올려 놓을 수 있는 선반(110c)이 마련될 수 있다.저장실(110) 내부의 저장 공간은 선반(110c)에 의하여 구획될 수 있다.예를 들어, 상부 저장실(111)은 제1 저장 공간(111a)과 제2 저장 공간(111b)과 제3 저장 공간(111c)으로 구획될 수 있다.
저장실(110)은 도어(120)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부 저장실(111)은 상부 제1 도어(121a)와 상부 제2 도어(121b)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고, 하부 제1 저장실(112)은 하부 제1 도어(122)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으며, 하부 제2 저장실(113)은 하부 제2 도어(123)에 의하여 개폐될 수 있다.
도어(120)를 용이하게 개폐할 수 있도록 도어(120)에는 핸들(120a)이 마련될 수 있다.핸들(121)은 상부 제1 도어(121a)와 상부 제2 도어(121b)의 사이와 하부 제1 도어(122)와 하부 제2 도어(123)의 사이를 따라 상하방향으로 길게 형성될 수 있다.그로 인하여, 도어(120)가 폐쇄된 경우, 핸들(120a)은 일체로 마련될 것과 같이 보여질 수 있다.
또한, 냉장고(1)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입력부(130), 온도 감지부(temperature sensor) (140), 카메라(camera) (150), 냉각부(cooler) (160), 통신부(communicator) (170), 저장부(storage) (180) 및 제어부(controller) (190)를 포함할 수 있다.
입력부(130)는 영상을 표시하는 디스플레이 패널(131)과, 터치 입력을 수신하는 터치 패널(132)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입력부(130)는 냉장고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모드 변경 명령을 입력 받도록 마련될 수 있다.
냉장고의 동작 모드는 식품에 따라 냉장고의 냉장 온도를 달리하는 냉장고의 냉장 운전 형태를 의미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냉장고에 와인이 포함되어 있는 경우 냉장고는 5℃로 온도를 유지하는 동작 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냉장고의 동작 모드에 관련된 자세한 설명은 후술한다.
디스플레이 패널(131)은 액정 디스플레이(Liquid Crystal Display, LCD) 패널, 발광 다이오드(Light Emitting Diode, LED) 패널, 유기 발광 다이오드(Organic Light Emitting Diode, OLED) 패널, 마이크로 발광 다이오드(micro Light Emitting Diode, uLED) 패널, 플라즈마 디스플레이 패널(Plasma Display Panel, PDP) 등을 채용할 수 있다.다만, 디스플레이 패널(131)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디스플레이 패널(131)은 영상 데이터에 대응하는 광학적 영상을 시각적으로 표시할 수 있는 다양한 디스플레이를 채용할 수 있다.
터치 패널(132)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사용자의 터치 입력을 수신하고, 수신된 터치 입력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90)로 출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터치 패널(132)은 전기적 저항값의 변화 또는 정전용량의 변화로부터 터치 패널(132)에 대한 사용자의 터치를 감지하고, 사용자의 터치 지점의 좌표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90)로 출력할 수 있다. 제어부(190)는 터치 패널(132)로부터 수신된 전기적 신호에 기초하여 사용자의 터치 지점의 좌표를 식별할 수 있다.또한, 제어부(190)는 사용자의 터치 지점의 좌표에 기초하여 사용자 입력을 식별할 수 있다.
터치 패널(132)은 디스플레이 패널(131)의 전면에 위치할 수 있다.다시 말해, 터치 패널(132)은 영상이 표시되는 면 위에 마련될 수 있다.그로 인하여, 터치 패널(132)은 디스플레이 패널(131)에 표시되는 영상이 왜곡되지 않도록 투명한 재질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터치 패널(132)은 저항막 방식 터치 패널 또는 정전용량 방식 터치 패널을 채용할 수 있다. 다만, 터치 패널(132)은 이에 한정되지 않으며, 터치 패널(132)은 사용자의 터치 또는 접근을 감지하고, 감지된 터치 지점의 좌표 또는 접근 지점의 좌표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출력할 수 있는 다양한 터치 패널을 채용할 수 있다.
이처럼, 터치 스크린 입력부(130)는 사용자로부터 터치 입력을 수신하여 제어부(190)로 전달하고, 사용자의 터치 입력에 응답한 제어부(190)의 영상을 표시할 수 있다.다시 말해, 터치 스크린 입력부(130)는 사용자와 상호 작용할 수 있다.
온도 감지부(140)는 저장실(110)의 내부에 마련되어, 저장실(110) 내부의 온도를 감지하는 내부 온도 센서들(inner temperature sensors) (141)을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온도 센서들(141)은 복수의 저장실들(111, 112, 112) 각각에 설치되어 수의 저장실(111, 112, 113) 각각의 온도를 감지하고, 감지된 온도에 대응하는 전기적 신호를 제어부(190)로 출력할 수 있다.내부 온도 센서들(141) 각각은 온도에 따라 전기적 저항이 변화하는 서미스터(thermistor)를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150)는 저장실(110) 내부에 설치되어 저장실(110)의 내부 영상을 획득할 수 있다.
카메라(150)는 영상을 촬영하여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이미저(imager) (151)를 포함할 수 있다.이미저(151)는 광학 신호를 전기적 신호로 변환하는 복수의 광 다이오드들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복수의 광 다이오드들은 2차원으로 배치될 수 있다.이미저(151)는 예를 들어 CCD (Charge-Coupled Device) 영상 센서 또는 CMOS (Complementary metal??oxide??semiconductor) 영상 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부(160)는 저장실(110)에 냉기를 공급할 수 있다.구체적으로, 냉각부(160)는 냉매의 증발을 이용하여 저장실(110)의 온도를 사용자에 의하여 지정된 범위 이내로 유지시킬 수 있다.
냉각부(160)는 기체 상태의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161)와, 압축된 기체 상태의 냉매를 액체 상태로 상태 변환시키는 응축기(162)와, 액체 상태의 냉매를 감압하는 팽창기(163)와, 감압된 액체 상태의 냉매를 기체 상태로 상태 변환시키는 증발기(164)를 포함할 수 있다.
냉각부(160)는 액체 상태의 냉매가 기체 상태로 상태 변환하면서 주위 공기의 열 에너지를 흡수하는 현상을 이용하여 저장실(110)의 공기를 냉각시킬 수 있다.
다만, 냉각부(160)가 압축기(161), 응축기(162), 팽창기(163) 및 증발기(164)를 포함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예로, 냉각부(160)는 자기 열효과(magneto-caloric effect)를 이용한 자기 냉각 장치를 포함할 수 있다.자기 열효과란 특정한 물질(자기 열량 물질)이 자화되면 열을 방출하고, 특정한 물질(자기 열량 물질)이 탈자화되면 열을 흡수하는 것을 의미한다.냉각부(160)는 자기 냉각 장치를 이용하여 저장실(110)의 공기를 냉각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컴퓨팅 장치(200) 및/또는 사용자 장치(300)와 데이터를 주고받을 수 있다.예를 들어, 통신부(170)는 카메라(150)에 의하여 촬영된 저장실 내부 또는 외부 영상을 컴퓨팅 장치(200)로 전송할 수 있으며, 저장실 내부 영상에 포함된 식품과 관련된 정보를 컴퓨팅 장치(200)로부터 수신할 수 있다. 또한 컴퓨팅 장치(200)는 데이터를 수신하여 카메라가 촬영한 영상이 냉장고의 내부의 영상인지 외부의 영상인지 판단하여 식별 정보를 도출할 수 있으며, 식별 정보를 냉장고에 송신할 수 있다. 통신부는 컴퓨팅 장치가 송신한 식별 정보를 수신할 수 있다. 식별 정보는 냉장고가 획득한 이미지에 포함된 오브젝트의 종류를 특정하는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통신부(170)는 컴퓨팅 장치(200) 및/또는 사용자 장치(300)과 유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유선 통신 모듈(172)과, 컴퓨팅 장치(200) 및/또는 사용자 장치(300)과 무선으로 데이터를 주고받는 무선 통신 모듈(171)을 포함할 수 있다.
유선 통신 모듈(172)은 유선 통신망에 접속하고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컴퓨팅 장치(200) 및/또는 사용자 장치(300)와 통신할 수 있다.예를 들어, 유선 통신 모듈(172)은 이더넷(Ethernet, IEEE 802.3 기술 표준)을 통하여 유선 통신망에 접속하고, 유선 통신망을 통하여 컴퓨팅 장치(200) 및/또는 사용자 장치(3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무선 통신 모듈(171)은 기지국(base station) 또는 액세스 포인트(AP)와 무선으로 통신할 수 있으며,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를 통하여 유선 통신망에 접속할 수 있다.무선 통신 모듈(171)은 또한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유선 통신망에 접속된 컴퓨팅 장치(200) 및/또는 사용자 장치(300)과 통신할 수 있다.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71)은 와이파이(WiFi™, IEEE 802.11 기술 표준)을 이용하여 액세스 포인트(AP)와 무선으로 통신하거나, CDMA, WCDMA, GSM, LET(Long Term Evolution), 와이브로 등을 이용하여 기지국과 통신할 수 있다.무선 통신 모듈(171)은 또한 기지국 또는 액세스 포인트를 거쳐 컴퓨팅 장치(200) 및/또는 사용자 장치(300)로부터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뿐만 아니라, 무선 통신 모듈(171)은 컴퓨팅 장치(200) 및/또는 사용자 장치(300)과 직접 통신할 수 있다.예를 들어, 무선 통신 모듈(171)은 와이파이, 블루투스 (Bluetooth™, IEEE 802.15.1 기술 표준), 지그비(ZigBee™, IEEE 802.15.4 기술 표준) 등을 이용하여 컴퓨팅 장치(200) 및/또는 사용자 장치(300)으로부터 무선으로 데이터를 수신할 수 있다.
이처럼, 통신부(170)는 컴퓨팅 장치(200) 및/또는 사용자 장치(300)과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으며, 컴퓨팅 장치(200) 및/또는 사용자 장치(300)로부터 수신된 데이터를 제어부(190)로 출력할 수 있다.
또한 통신부(170)는 사용자가 터치 패널을 통하여 입력한 암호 명령을 사용자 장치 및 컴퓨팅 장치 중 적어도 하나에 송신할 수 있다. 해당 냉장고와 매칭된 컴퓨팅 장치 및 사용자 장치는 냉장고를 통하여 입력된 암호 명령으로 동기화 될 수 있다.
저장부(180)는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저장 매체(181)와,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가 저장된 외부 저장 매체와 접속될 수 있는 접속 단자(182)를 포함할 수 있다.프로그램은 특정한 기능을 수행하기 위하여 조합된 복수의 명령어들을 포함하며, 데이터는 프로그램에 포함된 복수의 명령어들에 의하여 처리 및/또는 가공될 수 있다.또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는 냉장고(100)의 동작과 직접적으로 관련된 시스템 프로그램 및/또는 시스템 데이터와, 사용자에게 편의 및 재미를 제공하는 어플리케이션 프로그램 및/또는 어플리케이션 데이터를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181)는 파일의 형태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저장 매체(181)는 컨텐츠 데이터를 전기적으로 또는 자기적으로 또는 광학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저장 매체(181)는 대용량 저장장치(Flash Memory) 또는 반도체 소자 드라이브(solid stat driver, SSD) 또는 하드 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c drive, HDD) 또는 광 디스크 드라이브(optical disc drive, ODD) 등을 포함할 수 있다.
저장 매체(181)는 제어부(190)의 로딩 명령에 응답하여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제어부(190)로 출력할 수 있다.
접속 단자(182)는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는 외부 저장 매체와 연결될 수 있다.예를 들어, 접속 단자(182)는 범용 직렬 버스(Universal Serial Bus, USB) 단자를 포함할 수 있으며, 외부 USB 저장 매체와 연결될 수 있다.
외부 저장 매체는 냉장고(100)의 저장 매체(181)와 마찬가지로 파일의 형태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으며,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전기적으로 또는 자기적으로 또는 광학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또한, 외부 저장 매체는 제어부(190)의 로딩 명령에 응답하여 접속 단자(182)를 통하여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제어부(190)로 출력할 수 있다.
이처럼, 저장부(180)는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하고, 저장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제어부(190)로 출력할 수 있다.다시 말해, 저장부(180)는 제어부(190)가 아래에서 설명되는 동작을 수행하기 위하여 실행되는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를 저장할 수 있다.
발광부(300)는 복수의 발광 소자(310, 320)를 포함하고 냉장고의 내부에 빛을 조사하는 구성으로 마련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발광부(300)는 백색 빛을 조사하는 백색 발광 다이오드(310)와 적색, 녹색 및 푸른색 빛을 조사하는 RGB발광 다이오드(320)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또한 발광부(300)는 제어부로부터 수신하는 신호에 따라서 달리 동작할 수 있다. 또한 발광부는 구동 회로와 연결되어 구동 회로가 전달하는 신호를 기초로 달리 동작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가 발광부를 제어하는 자세한 동작은 후술한다.
구동 회로(200)는 발광부(300)를 구동하는 신호를 제어부를 통하여 전달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후술하는 바와 같이 구동 회로(200)는 PWM신호를 전달하는 회로로 마련될 수도 있고 매트릭스 형태의 회로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발광부(300)의 동작을 제어하는 신호를 전달하는 형태라면 구동 회로의 형태에는 그 제한이 없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설명하는 동작은 디스플레이의 종류와 관계 없이 디스플레이로 설정한 모드에 따라 고내등의 색상이 바뀔 수 있는 동작을 의미할 수 있다.
사용자가 설정한 모드에 따라 고내등의 색상이 바뀔 수 있는 동작이 구현되면 본 발명의 동작이 실시되는 냉장고의 제한은 없다.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입력한 모드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복수의 발광 소자 중 점등되는 점등 발광 소자 및 점등 발광 소자의 점등 시기 및 점등 시간을 결정할 수 있다.
즉 제어부(130)는 사용자가 입력한 명령에 대응되는 동작 모드에 부합하도록 발광부가 빛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여기에서 발광부(300)의 빛의 조사는 어떤 발광 소자가 점등되는지, 점등 되는 시점과 시간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모드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발광부에 포함된 백색 발광소자의 점등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제어부(130)가 백색 발광 소자의 점등 동작을 달리 제어함에 따라서 발광부가 조사하는 빛의 밝기 즉 휘도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130)는 발광부(300)에 포함된 백색 발광 소자 중 발광하는 소자를 증가시켜 고내등의 빛이 밝기를 증가시킬 수 있고, 발광하는 시간을 증가 시켜 고내등의 빛이 밝기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사용자가 입력한 모드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RGB 발광 소자, 즉 적색, 녹색 및 푸른색 빛을 조사하는 발광 다이오드의 점등 동작을 결정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130)는RGB 발광 소자(320)의 점등 동작에 따라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의 색채 및 채도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RGB 발광 소자(320)는 빛의 3원색으로 마련되는 바 빛의 3원색의 조합을 통하여 고내에 점등되는 색 자체의 색조를 변경할 수 있고 결정된 색상의 채도도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 구동 회로(200)가 매트릭스 회로로 마련되는 경우에 모드 변경 명령에 대응되는 데이터 신호 및 구동 신호를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에 전달하여 발광부가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매트릭스 회로는 각 소자를 구동하는 구동 신호와 제어와 관련된 제어신호를 독립적으로 공급할 수 있는 회로를 의미할 수 있다.
즉 구동 회로(200)가 매트릭스 회로로 마련되는 경우에는 제어부(130)는 각 발광 소자에 구동 신호와 제어 신호 각각을 전달할 수 있으며 전달되는 신호에 기초하여 발광부를 구동하여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을 고내에 조사할 수 있다. 매트릭스 회로가 동작하는 동작은 아래에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한편 제어부(130)는 구동 회로가 매트릭스 회로로 마련되는 경우에 백색 발광소자에 대응되는 데이터 신호 및 구동 신호를 결정하여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의 밝기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130)는RGB 발광소자에 대응되는 데이터 신호 및 상기 구동 신호를 결정하여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의 색채 및 채도를 변경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모드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RGB 발광 소자 상호간의 점등 시간 차이를 결정하여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의 색채 및 채도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빛을 인식하는 사람의 눈은 빛의 잔상을 인식할 수 있고 제어부(130)는 발광 소자 점등하는데 있어서 사람이 잔상으로 빛을 인식하여 빛의 혼합효과가 발생할 수 있도록 RGB 발광 소자 상호간의 점등 시간 차이를 결정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130)는, 전력을 절약하기 위하여 냉장고의 도어가 개방되는 경우에만 발광부에 전력을 공급할 수 있다.
구동 회로가 PWM회로로 마련되는 경우, 제어부는 모드 변경 명령에 대응되는 PWM신호를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에 전달하여 발광부가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PWM회로는 발광부에 마련된 발광 소자에 PWM신호를 전달할 수 있도록 마련된 회로를 의미할 수 있으며 발광 소자에 PWM신호를 전달 할 수 있도록 마련되면 회로 형태에 그 제한은 없다.
한편 제어부(130)는 프로세서와 메모리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메모리(192)는 데이터를 장기간 저장하기 위한 롬(Read Only Memory), 플래시 메모리(flash memory) 등의 비휘발성 메모리와, 데이터를 일시적으로 기억하기 위한 S-램(Static Random Access Memory, S-RAM), D-램(Dynamic Random Access Memory) 등의 휘발성 메모리를 포함할 수 있다.
프로세서(131)는 메모리(132)에 기억/저장된 프로그램 및/또는 데이터에 따라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31 )의 터치 입력 및/또는 통신부(170)의 통신 데이터를 처리하고, 카메라(150), 터치 스크린 디스플레이(130)의 동작 및/또는 통신부(170)의 동작을 제어하기 위한 제어 신호를 생성할 수 있다.
도2에 도시된 냉장고의 구성 요소들의 성능에 대응하여 적어도 하나의 구성요소가 추가되거나 삭제될 수 있다. 또한, 구성 요소들의 상호 위치는 시스템의 성능 또는 구조에 대응하여 변경될 수 있다는 것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용이하게 이해될 것이다.
한편, 도 2에서 도시된 각각의 구성요소는 소프트웨어 및/또는 Field Programmable Gate Array(FPGA) 및 주문형 반도체(ASIC, Application Specific Integrated Circuit)와 같은 하드웨어 구성요소를 의미한다.
도3은 일 실시예에 따른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의 모습을 나타낸 도면이고 도4는 일 실시예에 따른 사용자가 동작 모드를 입력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3을 참고하면 냉장고의 내부 즉 저장실에는 여러 식품이 보관될 수 있다.
도3을 참고하면 냉장고 내에 과일이 보관된 것이 나타나 있으며 발광부(300)는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이 경우 냉장고는 과일을 냉장하는 동작 모드로 운전될 수 있다. 이 때 사용자는 도4에 나타난 것과 같이 해당 동작 모드의 운전을 수행하는 명령(M31)을 입력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냉장고는 야채 및 과일을 보관하는 동작 모드, 고기를 보관하는 동작 모드, 와인을 보관하는 동작모드, 아이스크림을 보관하는 동작 모드 및 약 냉동을 위한 동작 모드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각 동작 모드는 다른 냉장 또는 냉각 온도로 동작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채 및 과일을 보관하는 동작 모드는 2℃로 냉장을 수행하고 약 냉동을 위한 동작 모드는 -5℃로 냉동을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상술한 사용자가 입력한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명령을 기초로 냉장고의 저장실 내부에 조사되는 발광부(300)의 빛을 변경할 수 있다. 이와 관련된 설명은 아래에서 서술한다.
도5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내등을 변경하는데 있어서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5를 참고하면 발광부는 빛의 3원색인 적색, 녹색 및 푸른색의 빛을 조사하는 발광 소자로 마련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발광 소자가 조사하는 빛의 제어하여 빛의 합성을 통해 냉장고의 저장실이 조사되는 빛을 결정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빨강과 초록의 빛을 겹치면 노랑색 빛(C51)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빨강과 파랑의 빛을 겹치면 마젠타, 즉 자홍 빛(C53)이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초록과 파랑을 겹치면 청록, 즉 시안(cyan) 빛(C55)이 나타난다. 한편 모든 색이 겹쳐지면 흰색 빛이 형성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이러한 빛의 혼합의 성질을 이용하여 발광 소자를 제어하여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을 저장실에 조사할 수 있다.
도5를 참고하면 냉장고는 야채 및 과일을 보관하는 동작 모드(M61), 고기를 보관하는 동작 모드(M52), 와인을 보관하는 동작모드(M53), 아이스크림을 보관하는 동작 모드(M54) 및 약 냉동을 위한 동작 모드(M55) 중 하나로 동작할 수 있다.
제어부는 야채 및 과일을 보관하는 동작 모드에서는 저장실이 2℃로 냉장되도록 냉장고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이 경우 발광부에서 적색 빛을 조사하는 발광 소자와 녹색 빛을 조사하는 발광 소자를 제어하여 노란색 빛(C51)을 저장실 내부에 조사할 수 있다.
제어부는 고기를 보관하는 동작 모드(M52)에서는 저장실이 -1℃로 냉장되도록 냉장고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이 경우 발광부에서 푸른 빛(C52)을 조사하는 발광 소자를 제어하여 푸른 빛을 저장실 내부에 조사할 수 있다.
제어부는 와인을 보관하는 동작모드(M53)에서는 저장실이 -1℃로 냉장되도록 냉장고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이 경우 발광부에서 적색 빛을 조사하는 발광 소자와 푸른 빛을 조사하는 발광 소자를 제어하여 마젠타(magenta, C53) 빛을 저장실 내부에 조사할 수 있다.
제어부는 아이스크림을 보관하는 동작 모드(M54)에서는 -23℃~-15℃로 보관되도록 냉장고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이 경우 발광부에서 적색, 녹색 및 푸른 빛을 조사하는 발광 소자를 제어하여 백색 빛을 저장실 내부에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어부는 백색 빛을 조사하는 발광 소자의 밝기, 및 조사 시간을 제어하여 고내에 조사되는 빛의 밝기를 제어할 수 있다.
제어부는 약 냉동을 위한 동작 모드(M55)에서는 고내 온도가 -5℃로 냉장되도록 냉장고를 제어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제어부는 이 경우 발광부에서 녹색 및 푸른 빛을 조사하는 발광 소자를 제어하여 시안(cyan,C55) 색상의 빛을 저장실 내부에 조사할 수 있다.
한편 상술한 색에 대응되는 냉장고의 동작 모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이며 냉장고의 생산 및 사용자의 설정에 따라 냉장고 고내에 조사되는 빛과 냉장고의 동작모드는 달라질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제어부가 발광부에 발광 소자를 제어하여 저장실에 조사되는 빛의 성질을 변경하는 동작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6a 는 일 실시예에 따른 고내등의 휘도를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고 도6b는 색채 및 채도를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6a및 도6b를 참고하면 발광부에 포함되어 있는 발광 소자를 도식적으로 제시하였다.
구체적으로 발광부는 백색 빛을 조사하는 발광 다이오드와 적색, 녹색 및 푸른색 빛을 조사하는 발광 다이오드를 포함하도록 마련될 수 있다.
도6a를 참고하면 저장실에 조사되는 빛의 휘도를 변경하는 동작을 설명하고 있다.
빛의 휘도는 어떤 표면에서 방사되거나 반사된 빛이 우리의 눈에 얼마나 들어오는가와 관련된 양을 의미할 수 있다.
한편 휘도는 백색광을 기초로 달라질 수 있다. 한편 발광부에는 백색 광을 조사하는 백색 발광 소자(W61)가 별도로 마련되는 바 제어부는 저장실 내에 조사되는 빛의 휘도를 변경하기 위해 발광되는 백색 발광 소자(W61)의 개수와 발광 시간을 증가시킬 수 있다.
제어부는RGB 발광 소자(R61, G61, B61)의 색조합과 백색 발광 소자(W61)의 밝기를 조절하기 위해서는 발광 소자에 인가되는 전류 값과 점등 시간의 변경을 수행할 수 있다.
이 때, 제어부가 백색 발광 소자(W62)의 밝기를 제어함으로써 RGB 발광 소자의 조합에 명도가 변화되어 보다 다양하게 시각적인 효과를 구현할 수 있다.
한편 도6b를 참고하면 제어부는 RGB발광 소자(R62, G62, B62)를 제어하여 냉장고 고내에 조사되는 빛의 색조 및 채도를 변경 시킬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제어부는 와인을 보관하는 동작모드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적색 발광 소자(R62) 및 푸른색 발광 소자(B62)에서 빛을 조사하여 마젠타 색의 빛을 냉장고 고내에 조사할 수 있다.
한편 이 때 제어부가 적색 발광 소자(R62)의 동작 시간을 증가 시킨다면 적색에 가까운 마젠타 빛의 색을 냉장고 고내에 조사할 수 있다.
반면 제어부가 푸른색 발광 소자(B62)의 동작 시간을 증가 시킨다면 푸른색에 가까운 빛을 냉장고의 고내에 조사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발광부를 구성하는 소자의 개별적인 제어를 통하여 냉장고에 조사되는 빛의 색 자체를 변경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적색과 푸른색의 발광 소자(R62, B62)의 동작 시간을 증가시켜 마젠타 색의 빛의 채도 자체를 증가 시킬 수도 있다.
제어부는 적색 및 푸른 발광 소자(R62, B62)의 동작시간을 감소시켜 채도가 낮은 마젠타 빛을 냉장고 내에 조사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따라 고기를 보관하는 동작모드를 수행하는 경우에는, 푸른색 발광 소자(B62)에서 빛을 조사하여 푸른색의 빛을 냉장고 고내에 조사할 수 있다.
한편 이 때 제어부가 푸른색 발광 소자의 동작 시간을 증가 시킨다면 채도가 높은 푸른색 빛을 냉장고의 고내에 조사할 수 있다.
즉 제어부는 발광부를 구성하는 소자의 개별적인 제어를 통하여 냉장고에 조사되는 빛의 색 자체를 변경시킬 수 있다.
반변 제어부는 푸른 발광 소자(B62)의 동작시간을 감소시켜 채도가 낮은 푸른 빛을 냉장고 내에 조사할 수 있다.
한편 도6a 및 도6b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동작은 제어부가 빛의 합성을 이용하여 다양한 색의 빛을 고내에 조사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동작이며 조사되는 빛의 색상, 채도 및 밝기를 변경하는 제어부의 동작에는 그 제한이 없다.
도7a 및 도7b는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 회로의 실시 형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7a를 참고하면 제어부가 PWM회로로 마련된 구동 회로(200)를 통하여 발광 소자를 제어하는 동작을 나타내고 있다.
이 경우 구동 회로(200)는 각각의 발광 소자(R711, G711, B711, R712, G712, B712)와 연결된 라인을 형성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는 각 발광 소자에 신호를 직접 전달하여 발광 소자 각각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적색 빛을 고내에 조사하는 경우에는 적색 발광 소자(R711. R712)에 대응되는 PWM신호를 전달하여 발광부가 고내에 적색 빛을 조사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저장실에 조사되는 빛의 휘도를 증가 시키는 경우에도 구동 되는 백색 발광 소자(W711, W712)의 개수를 증가시킬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PWM신호의 듀티를 변경하여 조사되는 빛을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어부가 저장실에 조사되는 빛의 휘도를 증가시키기 위해서는 듀티가 큰 PWM신호를 백색 발광 소자(W711, W712)에 전달하여 백색 발광 소자가 오랜 시간 동안 동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야채 및 과일을 보관하는 동작 모드를 수행하는 경우 제어부는 적색 및 녹색의 발광 소자(R711,R712,G12,G12)에 PWM신호를 전달하여 발광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이때 발광부는 적색 빛과 녹색 빛이 혼합되어 노랑 빛을 저장실에 조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는 적색 및 녹색 발광 소자(R711,R712,G12,G12)에 듀티가 큰 PWM신호를 전달하여 채도가 높은 노란 빛이 저장실에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백색 발광 소자(W11,W12)에 듀티가 큰 PWM신호를 전달하여 휘도가 높은 노란 빛이 저장실에 조사되도록 제어할 수 있다.
즉 일 실시예에 따른 구동회로(200)는 PWM회로로 마련될 수 있고 제어부는 개별 발광 소자의 전압 및 전류를 PWM 방식으로 제어하는 것으로, 개별 발광 소자의 인가 전압과 전류를 직접 제어함으로써 원하는 색상이나 밝기를 만들어 낼 수 있다.
한편 도7b를 참고하면 구동회로(200)가 매트릭스 회로로 구현된 것을 나타내고 있다.
즉 발광부에 포함된 발광 소자(R721, G721, B721, R722, G722, B722, W21, W22)를 매트릭스방식으로 구성을 하고, 저항을 병렬로 연결하여 발광 소자에 인가되는 전류를 선택적으로 변경할 수 있다.
이러한 구성으로 제어부는 RGB 발광 소자 및 백색 발광 소자 의 밝기를 여러가지 단계로 변화시킬 수 있다.
또한 일 실시예의 경우 발광 소자의 밝기를 제어하는 제어부를 발광부에 포함시킴으로써, PBA와 발광부를 연결하는 전선의 가닥수를 최소한으로 마련 할 수 있다.
또한 이 경우 제어부는 모드 변경 명령에 대응되는 데이터 신호 및 상기 구동 신호를 독립적으로 발광부에 포함된 발광 조사에 전달할 수 있다.
데이터 신호는 제어부에서 전달하는 제어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구동 신호는 구동 드라이버 등에서 발광 소자로 전달되어 발광 소자의 온 또는 오프를 구현하는 신호를 의미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구동 회로의 일면에는 데이터 전극(D1 내지 D8) 및 구동 전극 (S1 내지 S5)이 마련될 수 있다.
또한 이런 데이터 전극 및 구동 전극은 발광 소자와 대응되는 전극 패턴으로서 마련될 수 있다.
발광 소자(R721, G721, B721, R722, G722, B722, W21,W22)는 데이터 전극(D1 내지 D8)과 스캔 전극(S1 내지 S5)에 연결되어 마련될 수 있다.
데이터 전극(D1 내지 D8)은 영상 신호를 나타내는 데이터 신호를 발광 소자로 전달하며, 구동 전극(S1 내지 S5)은 구동 신호를 발광 소자로 전달할 수 있다.
구동 전극(S1 내지 S5) 각각은 제어부에 스캔 신호가 순차적으로 인가되고, 복수의 데이터 전극(D1 내지D8) 각각은 제어부에 의해 제어 신호에 대응되는 데이터 전압(VDATA)이 인가될 수 있다. 이러한 동작을 기초로 제어부는 각 발광 소자를 제어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제어부가 매트릭스 회로를 통하여 빛을 조사하는 동작에 대해서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8a 및 도8b는 구동회로가 매트릭스 회로로 마련된 경우 발광부의 동작을 구현하는 동작을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8a를 참고하면 제어부는 매트릭스 회로를 통하여 발광부가 조사하는 빛의 휘도를 증가시킬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8a를 참고하면 백색 발광 소자는 D7, D8의 데이터 전극과 대응될 수 있고, S1내지 S5의 구동 전극과 대응될 수 있다.
한편 제어부가 D7및 D8의 전극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고 S1내지 S5 전극을 통하여 구동 신호를 전달하면 제1,2백색 발광 소자(W811, W812)가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제어부가 D7에만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 보다 D7및 D8 에 신호를 전달하는 경우에 제1,2백색 발광 소자(W811, W812)가 더 밝은 빛을 조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여 빛을 조사하는 발광 소자의 개수도 조절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가 D7과 D8에 데이터 신호를 인가하는 경우에는 제1백색 발광 소자(W811)와 제2백색 발광 소자(W812) 모두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구동 신호의 전달에 따라서 제1,2백색 발광 소자(W811, W812)가 조사하는 빛의 양을 조절할 수 있다.
한편 도8a의 경우에는 제1백색 발광 소자(W811) 및 제2 백색 발광 소자(W812)에는S1내지 S5의 구동 전극이 대응될 수 있다.
따라서 제어부가 제1백색 발광 소자(W811)와 제2백색 발광 소자(W812) 모두를 구동하기 위해서는 D7 또는 D8의 데이터 전극에 제어 신호를 인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어부가 D7또는 D8을 기초로 제1백색 발광 소자(W811)와 제2백색 발광 소자(W812)를 동작하는 것 보다 D7?? D8을 기초로 제1백색 발광 소자(W811)와 제2백색 발광 소자(W812)를 동작하는 경우에 더 밝은 백색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는 S1 내지 S5 중에서 적어도 하나의 구동 전극을 통하여 구동 신호를 전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이러한 동작을 통하여 구동하는 백색 발광 전극(W811, W812)의 구동 동작을 결정하여 백색광의 밝기를 변경할 수 있다.
S1 내지 S5은 같은 전위로 연결되어 많은 전극에 신호가 인가되면 각 저항이 병렬로 연결되어 낮은 저항이 형성되어 높은 많은 양이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따라서 많은 구동 전극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제1백색 발광 소자(W811)와 제2백색 발광 소자(W812)에 인가되는 신호가 증가하여 밝은 양의 백색광을 조사할 수 있다.
도8b를 참고하면 제어부는 매트릭스 회로를 통하여 발광부가 조사하는 빛의 색상 및 채도를 변경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8b를 참고하면 RGB발광 소자(R821, G821, B821, R822, G822, B822)는 D1 내지 D6의 데이터 전극과 대응될 수 있고, S1내지 S5의 구동 전극과 대응될 수 있다.
제어부가 D1또는 D2의 전극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고 S1내지 S5 전극을 통하여 구동 신호를 전달하면 제1적색 발광 소자(R821) 및 제2적색 발광 소자(R822) 가 빛을 조사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가 D1또는 D2을 기초로 제1적색 발광 소자(R821)와 제2적색 발광 소자(R822)를 동작하는 것 보다 D1?? D2을 기초로 제1적색 발광 소자(W821)와 제2적색 발광 소자(R822)를 동작하는 경우에 더 밝은 적색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S1 내지 S5은 같은 전위로 연결되어 많은 전극에 신호가 인가되면 각 저항이 병렬로 연결되어 낮은 저항이 형성되어 높은 많은 양이 전류가 흐를 수 있다.
따라서 많은 구동 전극에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제1적색 발광 소자(R821)와 제2적색 발광 소자(R822)에 인가되는 신호가 증가하여 밝은 양의 적색광을 조사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는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제어 신호 구동 신호의 전달에 따라서 발광부가 조사하는 빛의 색상 및 채도를 변경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사용자가 약 냉동을 수행하는 구동 모드를 입력한 경우, 제어부는 시안(cyan)색 빛을 냉장고 내부에 조사할 수 있다.
이 경우 제어부가 D3또는 D4의 전극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고 S1내지 S5 전극을 통하여 구동 신호를 전달하면 제1,2녹색 발광 소자(G821, G822)가 빛을 조사할 수 있다.
또한 제어부가 D5또는 D6의 전극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고 S1내지 S5 전극을 통하여 구동 신호를 전달하면 제1,2청색 발광 소자(B821,B822)가 빛을 조사할 수 있다.
한편 이 경우에는 제어부는 RGB 발광 소자 상호간의 점등 시간 차이를 결정하여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즉 도8b에서 구동 신호가 D1부터 D8까지 순차적으로 전달되어 각 발광 소자에 동시에 전달되지 않더라도 사람의 눈은 빛의 잔상을 인식하여 빛의 혼합되는 원리가 적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S1으로 전달되는 신호가 제1녹색 발광 소자(G821)에 전달된 후 사람의 눈에 해당 빛의 잔상이 사라지기 전 구동 신호가 제1청색 발광 소자(B821)에 전달되면 녹색과 청색 빛이 모두 발광된 것으로 인식하고 사람의 눈은 시안 빛의 색이 냉장고 내부에 조사된 것으로 판단할 수 있다.
한편 제어부는 각 발광 소자의 점등 시간 차이를 기초로 각 색에 대응되는 발광 소자의 동작을 제어하여 빛을 조사할 수 있다.
한편 위와 같은 경우 제어부는 제어 신호 및 구동 신호를 제어하여 조사되는 빛의 채도 및 색채를 변경할 수 있다.
제어부가 D3 또는 D4의 전극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고 S1내지 S5 을 통하여 구동 신호를 전달하면 제1, 2녹색 발광 소자(G821. G822)가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제어부가 D5또는 D6의 전극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고 S1내지 S5 전극을 통하여 구동 신호를 전달하면 제1,2청색 발광 소자(B821, B822)가 빛을 조사할 수 있다.
이렇게 많은 구동 신호가 인가되면 동작하는 청색 발광 소자가 증가하게 되고 기존 녹색 빛과 많은 수의 청색 발광 소자가 빛의 합성 동작을 수행하면 푸른 빛에 가까운 시안(cyan) 빛을 냉장고 내부에 조사할 수 있다.
제어부가 D3, D4, D5 및D6의 전극 모두에 데이터 신호를 전달하고 S1내지 S5을 통하여 구동 신호를 전달하면 제1,2청색 발광 소자(B821, B822) 및 제1, 2녹색 발광 소자(G821, G822) 모두 빛을 조사할 수 있으므로 채도가 높은 시안(cyan) 빛이 조사될 수 있다.
물론 이와 같은 실시예에서도 도8a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백색 발광 소자(W821, W822)의 동작을 제어하여 조사되는 빛의 휘도를 변경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도8a 및 도8b에서 설명한 본 발명의 동작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불과하며 구동 회로가 매트릭스 회로로 마련되는 경우에 각 발광 소자를 제어하는 동작에 제한은 없다.
도9내지 도12는 일 실시예에 따른 순서도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9를 참고하면 사용자가 냉장고의 동작 모드를 입력하면(1001), 제어부가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발광 소자를 결정(1002)하여 해당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을 출력할 수 있다(1003).
도10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냉장고의 동작 모드를 입력하면(1011), 제어부가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백샥 발광 소자를 결정(1012)하여 해당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의 휘도를 변경할 수 있다(1013).
도11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냉장고의 동작 모드를 입력하면(1021), 제어부가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RGB발광 소자를 결정(1022)하여 해당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의 색상 및 채도를 변경할 수 있다(1023).
도12을 참고하면 사용자가 냉장고의 동작 모드를 입력하면(1031), 제어부가 구동 회로에서 동작 모드에 대응하는 데이터 전극 및 구동 전극을 결정(1032)하여 해당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을 출력할 수 있다(1033).
한편, 개시된 실시예들은 컴퓨터에 의해 실행 가능한 명령어를 저장하는 기록매체의 형태로 구현될 수 있다. 명령어는 프로그램 코드의 형태로 저장될 수 있으며, 프로세서에 의해 실행되었을 때, 프로그램 모듈을 생성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의 동작을 수행할 수 있다. 기록매체는 컴퓨터로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 구현될 수 있다.
컴퓨터가 읽을 수 있는 기록매체로는 컴퓨터에 의하여 해독될 수 있는 명령어가 저장된 모든 종류의 기록 매체를 포함한다. 예를 들어, ROM(Read Only Memory), RAM(Random Access Memory), 자기 테이프, 자기 디스크, 플래쉬 메모리, 광 데이터 저장장치 등이 있을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개시된 실시예들을 설명하였다.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도, 개시된 실시예들과 다른 형태로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개시된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1 : 냉장고
190 : 제어부
200 : 구동회로
300 : 발광부

Claims (18)

  1. 서로 다른 색의 빛을 발광하는 복수의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냉장고의 내부에 상기 빛을 조사하는 발광부;
    상기 냉장고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모드 변경 명령을 입력 받도록 마련되는 입력부; 및
    상기 모드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의 온오프 및 온시간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포함하는 냉장고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발광부는,
    백색 발광소자 및 RGB 발광 소자를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백색 발광소자의 점등 동작을 결정하고,
    상기 백색 발광소자의 점등에 따라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의 밝기를 변경하는 냉장고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RGB 발광 소자의 점등 동작을 결정하고,
    상기 RGB 발광 소자의 점등 동작에 따라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의 색채 및 채도를 변경하는 냉장고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에 데이터 신호 및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매트릭스(matrix) 회로로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변경 명령에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구동 신호를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에 전달하여 상기 발광부가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냉장고.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백색 발광소자에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구동 신호를 결정하여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의 밝기를 변경하고,
    상기 RGB 발광소자에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구동 신호를 결정하여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의 색채 및 채도를 변경하는 냉장고.
  6.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RGB 발광 소자 상호간의 점등 시간 차이를 결정하여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의 색채 및 채도를 변경하는 냉장고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냉장고에 포함된 저장실을 개폐하도록 마련되는 도어;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발광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냉장고의 내부에 빛을 조사하는 냉장고.
  8.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에 PWM 신호를 전달하는 회로로 마련되고,
    상기 제어부는,
    상기 모드 변경 명령에 대응되는 상기 PWM신호를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에 전달하여 상기 발광부가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냉장고.
  9.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어부는,
    식품의 종류 및 상기 식품에 대응되는 냉장 온도에 따라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을 결정하는 냉장고.
  10. 냉장고의 동작 모드를 변경하는 모드 변경 명령을 입력 받고,
    상기 모드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의 온오프 및 온시간을 제어하고,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의 온오프 및 온시간에 대응하여 상기 모드 변경에 대응되는 빛을 상기 냉장고 내부에 조사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제어방법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빛을 상기 냉장고 내부에 조사하는 것은,
    상기 모드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백색 발광소자의 점등 동작을 결정하고,
    상기 백색 발광소자의 점등에 따라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의 밝기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제어방법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빛을 상기 냉장고 내부에 조사하는 것은,상기 모드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RGB 발광 소자의 점등 동작을 결정하고,
    상기 RGB 발광 소자의 점등 동작에 따라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의 색채 및 채도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제어방법
  13.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에 데이터 신호 및 구동 신호를 전달하는 매트릭스(matrix) 회로로 마련되고,
    상기 빛을 상기 냉장고 내부에 조사하는 것은, 상기 모드 변경 명령에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구동 신호를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에 전달하여 상기 발광부가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제어방법.
  14. 제13항에 있어서,
    상기 빛을 상기 냉장고 내부에 조사하는 것은,상기 백색 발광소자에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구동 신호를 결정하여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의 밝기를 변경하고,
    상기 RGB 발광소자에 대응되는 상기 데이터 신호 및 상기 구동 신호를 결정하여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의 색채 및 채도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제어방법.
  15. 제12항에 있어서,
    상기 빛을 상기 냉장고 내부에 조사하는 것은,상기 모드 변경 명령에 기초하여,
    상기 RGB 발광 소자 상호간의 점등 시간 차이를 결정하여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의 색채 및 채도를 변경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제어방법
  16.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빛을 상기 냉장고 내부에 조사하는 것은,상기 도어가 개방되면 상기 발광부에 전력을 공급하여 상기 냉장고의 내부에 빛을 조사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제어방법.
  17.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구동 회로는,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에 PWM 신호를 전달하는 회로로 마련되고,
    상기 빛을 상기 냉장고 내부에 조사하는 것은,상기 모드 변경 명령에 대응되는 상기 PWM신호를 상기 복수의 발광 소자 각각에 전달하여 상기 발광부가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을 조사하도록 제어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제어방법.
  18.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빛을 상기 냉장고 내부에 조사하는 것은,식품의 종류 및 상기 식품에 대응되는 냉장 온도에 따라 상기 동작 모드에 대응되는 빛을 결정하는 것을 포함하는 냉장고 제어방법.
KR1020210022804A 2021-02-19 2021-02-19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KR20220118842A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804A KR20220118842A (ko) 2021-02-19 2021-02-19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PCT/KR2021/019693 WO2022177126A1 (ko) 2021-02-19 2021-12-23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804A KR20220118842A (ko) 2021-02-19 2021-02-19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842A true KR20220118842A (ko) 2022-08-26

Family

ID=82931412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804A KR20220118842A (ko) 2021-02-19 2021-02-19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20220118842A (ko)
WO (1) WO2022177126A1 (ko)

Family Cites Familie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42043B2 (ja) * 2007-04-24 2011-03-02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KR20120011454A (ko) * 2010-07-29 2012-02-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냉장고 및 이의 제어방법
JP6719263B2 (ja) * 2016-04-18 2020-07-08 東芝ライフスタイル株式会社 冷蔵庫
JP6762180B2 (ja) * 2016-09-07 2020-09-30 三菱電機株式会社 冷蔵庫
DE102017006756B4 (de) * 2017-07-17 2019-11-07 Emz-Hanauer Gmbh & Co. Kgaa Farbtemperaturvariable Leuchtvorrichtung sowie elektrisches Haushaltsgerät mit einer solchen Leuchtvorrichtung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77126A1 (ko)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866171B2 (en) Food keeping refrigerator
KR102196218B1 (ko) 디스플레이 장치
JP4722126B2 (ja) 照明制御のためのユーザインタフェースを備える照明装置
US7959313B2 (en) Refrigerator
KR20070058696A (ko) 조명 제어를 위한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갖는 조명 장치
US20160374176A1 (en) Lighting system, controller and lighting method
JP2004286333A (ja) 冷凍冷蔵庫
KR20090020454A (ko) 냉장고
WO2021139196A1 (zh) 冰箱及其控制方法
JP2018040539A (ja) 冷蔵庫
US11134222B2 (en) Refrigerator and method of controlling the same
KR20220118842A (ko) 냉장고 및 그 제어방법
CN112556267B (zh) 冰箱间室的照明控制方法及冰箱
JP6650015B2 (ja) 冷蔵庫および家電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TWI617780B (zh) 冰箱
CN110017655B (zh) 家用制冷装置及控制布置于其中的光源装置的方法
JP6440983B2 (ja) 冷蔵庫および家電ネットワークシステム
KR102467449B1 (ko) 업소용 간냉식 냉장고 에러감지 시스템
CN104180603A (zh) 制冷器具
KR20180049663A (ko) 냉장고 및 이를 포함하는 식품 관리 시스템
JP2009236448A (ja) 冷蔵庫
JP6850374B2 (ja) 冷蔵庫の制御プログラム、冷蔵庫の制御方法、情報端末の制御プログラム及び情報端末の制御方法
KR101992725B1 (ko) 멀티-룸 냉장고 및 멀티-룸 냉장고의 식별자 표시 방법
KR20160048746A (ko) 조명용 제어기
KR20080020723A (ko) 표시장치의 구동 회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