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8689A -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 Google Patents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8689A
KR20220118689A KR1020210022419A KR20210022419A KR20220118689A KR 20220118689 A KR20220118689 A KR 20220118689A KR 1020210022419 A KR1020210022419 A KR 1020210022419A KR 20210022419 A KR20210022419 A KR 20210022419A KR 20220118689 A KR20220118689 A KR 202201186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eflector
pattern plate
calibration device
intraoral scanner
rotation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241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87402B1 (ko
Inventor
김은중
Original Assignee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오스템임플란트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21002241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87402B1/ko
Priority to US18/277,677 priority patent/US20240122462A1/en
Priority to EP21926938.8A priority patent/EP4295745A1/en
Priority to JP2023550021A priority patent/JP2024506968A/ja
Priority to PCT/KR2021/020211 priority patent/WO2022177140A1/ko
Publication of KR202201186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68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8740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8740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00002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 A61B1/00057Operational features of endoscopes provided with means for testing or calibration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1/00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 A61B1/24Instruments for performing medical examinations of the interior of cavities or tubes of the body by visual or photographical inspection, e.g. endoscopes; Illuminating arrangements therefor for the mouth, i.e. stomatoscopes, e.g. with tongue depressors; Instruments for opening or keeping open the mouth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CDENTISTRY; APPARATUS OR METHODS FOR ORAL OR DENTAL HYGIENE
    • A61C9/00Impression cups, i.e. impression trays; Impression methods
    • A61C9/004Means or methods for taking digitized impressions
    • A61C9/0046Data acquisition means or methods
    • A61C9/0053Optical means or methods, e.g. scanning the teeth by a laser or light beam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2560/00Constructional details of operational features of apparatus; Accessories for medical measuring apparatus
    • A61B2560/02Operational features
    • A61B2560/0223Operational features of calibration, e.g. protocols for calibrating sensors
    • A61B2560/0228Operational features of calibration, e.g. protocols for calibrating sensors using calibration standards

Abstract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개방된 상부에 구강 스캐너 본체가 결합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회전부; 상기 구강 스캐너 본체의 광학장치의 중심축상에 배치되는 반사경부; 및 상기 반사경부를 통해 상기 광학장치와 대면하는 패턴플레이트부;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패턴플레이트부는 제자리 회전하고 상기 반사경부는 구강 스캐너 본체에 대해 직선왕복이동하는,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를 제공한다.

Description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CALIBRATION DEVICE FOR ORAL SCANNER}
본 발명은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구강 스캐너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기 위하여 패턴플레이트 등을 활용하여 구강 스캐너를 캘리브레이션 하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치과 보철제작 과정에서 인상채득은 정확한 보철물을 제작함에 있어 중요한 과정으로서, 종래에는 인상재를 사용하여 인상을 채득하고, 그 후 제작된 석고 모형을 바탕으로 보철물을 제작해왔으나, 인상재의 변형 및 석고 사용에 따른 오차가 있다는 단점이 있었다.
이에, 광학 3차원 스캐너를 사용하여 광학 3차원 카메라를 이용해 치아나 잇몸과 같은 구강 구조를 측정하고, CAD/CAM 시스템을 이용해 치과용 보철물이 제작되고 있으며, 특히 최근에는 두 대 이상의 카메라에서 얻어진 이미지를 이용하는 스테레오 비전(Stereo vision) 방식이 구강 스캐너에 적용되고 있다.
스테레오 비전 방식에서는 구강의 일 지점을 동일한 초점으로 하는 2 개의 이미지 데이터에 근거하여 3차원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바, 정확한 3차원 모델 데이터 획득을 위해서는 구강 스캐너에 캘리브레이션이 수시로 요구된다. 이와 같은 이유로 3차원 구강 스캐너에는 별도의 액세서리(accessory)로 캘리브레이션 툴(tool)이 크래들 형태로 제공되는 것이 일반적이다.
한편, 캘리브레이션시 패턴 플레이트의 이미지를 다양한 각도에서 획득하는 것이 캘리브레이션의 정확도를 향상시키는 것에 도움이 되나,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29383호에서 개시된 캘리브레이션 크래들에서는 패턴 플레이트가 원주방향으로 90도씩 8단계에 걸쳐 회전되며, 이에 연동하여 직선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하고 있어, 정해진 각도 및 깊이 이외에서는 패턴 플레이트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없다는 단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2129383호(2020년07월02일 공고)
본 발명은 전술한 종래 기술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구조가 간단하며, 다양한 각도 및 깊이에서 패턴플레이트의 이미지를 획득할 수 있는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측면은 개방된 상부에 구강 스캐너 본체가 결합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회전부; 상기 구강 스캐너 본체의 광학장치의 중심축상에 배치되는 반사경부; 및 상기 반사경부를 통해 상기 광학장치와 대면하는 패턴플레이트부;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패턴플레이트부는 제자리 회전하고 상기 반사경부는 구강 스캐너 본체에 대해 직선왕복이동하는,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를 제공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샤프트; 상기 회전샤프트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패턴플레이트부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회전샤프트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반사경부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 일단에는 손잡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패턴플레이트부는, 패턴플레이트; 및 상기 패턴플레이트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결합부와 맞물리는 제 1 회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동부는 상기 제 1 결합부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부는, 반사경; 상기 반사경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 2 결합부와 맞물리는 제 2 회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부가 회전될 때, 상기 제 2 회동부는 회전되고, 상기 반사경은 직선왕복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부는 상기 제 2 회동부에 대한 상기 반사경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반사경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광학장치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패턴플레이트부의 중심을 향하도록 상기 반사경은 직선왕복이동시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경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광학장치에 근접할수록 그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일단 및 타단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반사경의 이동을 제한하는 단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본 발명의 일 측면에 따르면, 회전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패턴플레이트가 회전되고, 반사경이 구강 스캐너 본체에 대하여 직선왕복이동되는 바, 패턴플레이트의 이미지를 다양한 각도 및 깊이에서 획득할 수 있고, 이에 캘리브레이션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본 발명의 효과는 상기한 효과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 또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발명의 구성으로부터 추론 가능한 모든 효과를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내부공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을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따라서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그리고 도면에서 본 발명을 명확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설명과 관계없는 부분은 생략하였으며, 명세서 전체를 통하여 유사한 부분에 대해서는 유사한 도면 부호를 붙였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다른 부분과 "연결"되어 있다고 할 때, 이는 "직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뿐 아니라, 그 중간에 다른 부재를 사이에 두고 "간접적으로 연결"되어 있는 경우도 포함한다. 또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구비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사용되는 '제 1' 또는 '제 2' 와 같은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다양한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으나, 해당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은 서수에 의해 한정되지 않아야 한다. 서수를 포함하는 용어는 하나의 구성 요소 또는 단계를 다른 구성 요소들 또는 단계들로부터 구별하기 위한 용도로만 해석되어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 는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내부공간의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분해 사시도이다. 도 4 및 5 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의 동작 과정을 나타내는 단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고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도 1 및 도 2에 참조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1000)는 구강 스캐너의 광학장치를 캘리브레이션 하는 장치로서, 케이싱(100), 회전부(200), 패턴플레이트부(300), 반사경부(400)를 포함한다.
케이싱(100)은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1000)의 외주표면을 형성하는 것으로서, 내부공간을 형성하는 몸체(110), 몸체(110)의 상부 일측에 형성되며 구강 스캐너 본체(1)가 삽입되어 지지되는 삽입부(120) 및 몸체(110)의 일측을 덮도록 이루어진 커버(130)를 포함한다. 일반적으로 구강 스캐너는, 광학장치 및 이미징 보드가 배치되는 구강 스캐너 본체(1)와 내부에 반사거울이 배치된 프로브 팁으로 이루어지며, 광학장치는 구강 스캐너 본체(1)의 개구부를 향해 광을 조사하는 광원과 개구부를 통해 유입되는 광을 이미징 보드에 집광시키는 한 쌍의 촬상장치로 이루어진다.
이 때, 프로브 팁은 피검자의 구강 내에 삽입되어 환자의 구강 스캐닝이 진행되는 바, 반사부재에 환자의 구강 습기가 찰 수 있고, 이에 프로브 팁을 장착한 채로 캘리브레이션 수행하는 경우 캘리브레이션의 정확도가 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반사부재의 부정적 영향을 최소화하기 위해서는 케이싱(100)에는 프로브 팁이 제거된 구강 스캐너 본체(1)만이 삽입됨이 바람직하다.
바람직하게는, 구강 스캐너 본체(1)가 삽입부(120)에 고정될 수 있도록, 삽입부(120)는 구강 스캐너 본체(1)의 단부 형상에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구강 스캐너 본체(1)의 단부에는 그 둘레방향을 따라 형성된 홈이 형성되며, 삽입부(120) 내주면 둘레에는 상기 홈에 대응되는 돌기가 형성될 수 있다. 이 경우, 구강 스캐너 본체(1)가 삽입부(120)에 삽입될 때, 상기 홈과 상기 돌기가 결합하여 구강 스캐너 본체(1)가 삽입부(120)에 단단히 고정될 수 있다.
몸체(110)는 도 2 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에 공간이 형성되는 사다리꼴형상을 가질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구강 스캐너 본체(1)의 광원에서 발광된 광은 후술할 몸체(110) 내부에 배치되는 반사경부(400)로 조사된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패턴플레이트부(300)는 그 길이방향축이 구강 스캐너 본체(1)의 중심축과 직교하는 축상에 위치되도록 몸체(110)의 내주면 측면에 마련된다. 이에 따라, 패턴플레이트부(300)는 후술할 반사경부(400)를 통해 구강 스캐너 본체(1) 내부의 광학장치와 대면하고, 이는 패턴플레이트(310), 안착부(320)를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패턴플레이트(310)는 정사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다양한 패턴이 형성될 수 있다. 예를 들면, 패턴은 격자 무늬에서 상하 및 좌우로 인접한 격자와 격자 사이의 명암이 선명하게 구분되도록 형성된 것일 수 있다.
패턴플레이트(310)는 안착부(320) 상에 안착된다. 이 때, 패턴플레이트(310)의 경사 각도는 반사경(410)을 통해 반사되어 입사되는 광을 기준으로 40도 이상 50도 미만이 되도록 설정됨이 바람직하다. 패턴플레이트(310)가 입사광을 기준으로 직교가 되도록 배치되는 경우 패턴플레이트(310)에 형성된 각 패턴들이 동일한 면에 대한 동일한 깊이 정보(또는 높이 정보)를 가지는 단점이 있는 바, 패턴플레이트(310)를 입사광에 대하여 소정 각도로 경사 배치함으로써 캘리브레이션 효과를 증대시키도록 설계된 것이다. 이를 위해, 패턴플레이트(310)가 안착되는 안착부(320)의 상면을 그 길이 방향에 대해 40도 이상 50도 미만의 경사각도를 이루는 경사면으로 형성함이 바람직하다.
안착부(320)는, 전술한 경사면과 함께,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도록 형성된 연장부(321)를 포함하고, 상기 연장부(321)는 후술할 회전부(200)의 거치부(240)에 회전가능하도록 지지된다.
패턴플레이트부(300)는 후술할 회전부(200)의 회전에 연동하여 회전되도록, 안착부(320) 하단에 형성된 연장부(32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제 1 회동부(330)를 더 포함한다. 제 1 회동부(330)는, 도시된 바와 같이 평기어의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기어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경부(400)는 구강 스캐너 본체(1)의 광학장치에서 조사된 빛을 전술한 패턴플레이트(310) 측으로 반사시키는 반사경(410)과 상기 반사경(410)을 구강 스캐너 본체(1)에 대해 경사지도록 지지하는 지지부(420)로 이루어진다. 상세하게는, 반사경(410)은 직사각형 형상의 거울로 형성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형상의 거울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지지부(420)는 직육면체의 형상의 본체와 본체의 양측에서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자유단(421)을 포함하고 있으며, 자유단(421)에는 상기 반사경(410)이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된다. 이를 위해, 반사경(410)의 회전중심 양측에는 돌출부가 형성되고, 상기 돌출부는 상기 자유단(421)에 형성되는 개구에 결합된다.
아울러, 반사경부(400)는 후술할 회전부(200)의 회전에 연동하여 직선왕복이동하도록, 제 2 회동부(430)를 더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제 2 회동부(430)는 길이방향으로 길게 연장되도록 형성된 샤프트의 형상으로 형성되고, 그 단부에는 후술할 회전부(200)의 제 2 결합부(230)와 맞물리도록 형성된 회동기어(431)가 마련된다. 회동기어(431)는, 도시된 바와 같이 헬리컬기어의 형상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양한 기어가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 2 회동부(430)의 양측을 회전 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거치부(440, 441)가 몸체(110) 내주면에 마련될 수 있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거치부(440, 441)의 내주면에는 제 2 회동부(430)의 회전을 원활히 하는 베어링이 마련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제 2 회동부(430)는 지지부(420)를 관통하도록 형성되며, 제 2 회동부(430)의 외주면에는 제 1 나사산(432)이 형성되고 지지부(420)의 관통구 내주면에는 상기 제 1 나사산(432)에 대응되는 제 2 나사산(422)이 형성된다.
이 때, 반사경(410) 및 지지부(420)가 제 2 회동부(4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왕복이동할 수 있도록,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사경부(400)는 회전방지부재(450)를 더 포함한다.
상세하게는, 도 3 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방지부재(450)는 거치부(440)의 상부면에 형성되는 판상의 형상으로서, 그 상면에는 반사경(410)의 단부가 안착된다. 이에 따라, 제 2 회동부(430)가 후술할 회전부(200)에 연동되어 회전될 때, 반사경(410) 및 지지부(420)는 상기 회전방지부재(450)에 의해 회전이 방지되어 제 1 나사산(432)과 제 2 나사산(422) 사이에서 회전이 이루어지고, 이에 반사경(410) 및 지지부(420)가 직선이동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지지부(420)에 대한 반사경(410)의 회전중심에는 토션스프링이 배치될 수 있을 것이고, 이 경우 반사경(410)은 회전방지부재(450)의 상면에 밀착하여 이동할 수 있다.
이 때, 회전방지부재(450)는 반사경(410) 및 지지부(420)의 틀어짐을 방지하기만 하면 충분하기 때문에, 다양한 형상이 적용될 수 있음은 물론이다.
한편, 전술한 바와 같이 스테레오 비전 방식의 구강 스캐너에서는 구강의 일 지점을 동일한 초점으로 하는 2 개의 이미지 데이터에 근거하여 3차원 거리 정보를 획득하는 바, 정확한 3차원 모델 데이터 획득을 위해서는 구강 스캐너에 캘리브레이션이 수시로 요구된다. 이 때, 패턴플레이트(310)의 이미지를 다양한 각도 및 깊이에서 획득하면 캘리브레이션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1000)는 상술한 패턴플레이트부(300) 및 반사경부(400)와 연동되어 회전하는 회전부(200)를 더 포함한다.
회전부(200)는 삽입부(120) 반대측의 몸체(110) 내주면에 마련되며, 회전샤프트(210), 제 1 결합부(220) 및 제 2 결합부(230)로 이루어진다. 회전샤프트(210)는 구강 스캐너 본체(1)의 길이방향에 대해 수직하도록 길게 연장되며, 그 일측 및 타측에는 패턴플레이트부(300) 및 반사경부(400)와 맞물리는 결합부가 마련된다.
상세하게는, 회전샤프트(210) 일측에는 평기어 형상의 제 1 결합부(220)가 배치되며, 이는 전술한 패턴플레이트부(300)의 제 1 회동부(330)와 맞물린다. 이에, 회전샤프트(210)가 회전되면 제 1 결합부(220)에 맞물리는 제 1 회동부(330)가 회전되어, 패턴플레이트부(300)는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샤프트(210)의 360도 회전시 패턴플레이트부(300)가 90도 회전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바람직하게는, 회전샤프트(210)의 일측은 몸체(110)를 관통하여 몸체(110) 외측으로 연장될 수 있으며, 그 단부에는 사용자가 회전샤프트(210)를 용이하게 회전시킬 수 있도록 하는 손잡이(211)가 형성될 수 있다. 다만, 이와 같이 사용자에 의해 수동으로 회전되는 것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모터 등에 의하여 자동으로 회전될 수 있을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전샤프트(210)의 양측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거치부(240, 241)가 몸체(110) 내주면에 마련될 수 있고, 이 때, 패턴플레이트부(300) 측 거치부(240)는, 회전샤프트(210) 뿐만 아니라 패턴플레이트부(300)의 안착부(320)의 연장부(321)를 함께 지지함이 바람직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거치부(240, 241)의 내주면에는 회전샤프트(210) 및 패턴플레이트부(300)의 회전을 원활히 하는 베어링이 마련될 수 있다.
회전샤프트(210) 타측에는 스크류기어 형상의 제 2 결합부(230)가 배치되며, 이는 전술한 반사경부(400)의 회동기어(431)와 맞물린다. 회전샤프트(210)가 그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되면, 제 2 결합부(230)에 맞물리는 회동기어(431)가 회전샤프트(210)의 길이방향 축에 직교하는 제 2 회동부(430)의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제 2 회동부(430)의 제 1 나사산(432)에 결합되는 지지부(420)가 제 2 회동부(430)의 길이방향을 따라 직선왕복이동하게되어, 상기 지지부(420) 및 상기 지지부(420)에 결합된 반사경(410)이 구강 스캐너 본체(1)의 중심축을 기준으로 왕복이동하게 된다.
바람직하게는, 회전샤프트(210)의 360도 회전시 반사경(410)이 1mm 만큼 직선왕복이동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한편, 패턴플레이트(310)는 제자리에서 회전되므로, 구강 스캐너 본체(1)에 대한 반사경(410)의 위치가 변경될 때 반사경(410)의 경사각도가 변경되지 않으면 광학장치에서 조사된 광이 패턴플레이트(310)의 중심에서 이격된 곳을 향하여 반사될 수 있다.
상세하게는, 도 4 와 같이, 반사경(410)의 중심과 패턴플레이트(310)의 중심이 일치하는 경우, 반사경(410)이 45도의 각도를 유지하면, 광학장치에서 조사된 광은 패턴플레이트(310)의 중심에 도달된다.
그러나, 반사경(410)이 도 5 와 같이 광학장치에 근접하면, 반사경(410)의 중심과 패턴플레이트(310)의 중심이 불일치되기 때문에, 광학장치에서 조사되는 광의 입사각 및 반사각은 증가해야 한다. 반대로, 반사경(410)이 광학장치에서 멀어지는 경우, 광학장치에서 조사되는 광의 입사각 및 반사각은 감소해야 한다.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1000)는 반사경(410)의 직선왕복이동시 회전방지부재(450)를 통해 반사경(410)의 경사각도를 조절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세하게는, 도 3 내지 도 5 에 도시된 바와 회전방지부재(450)는 그 두께가 구강 스캐너 본체(1)에 근접할수록 두꺼워지는 경사면(451)으로 형성됨이 바람직하다.
예를 들면, 반사경(410)이 구강 스캐너 본체(1)에 근접할 때는, 경사면(451)의 상측을 따라 이동하여 구강 스캐너 본체(1)에 대한 경사각이 작아지고, 광의 입사각 및 반사각은 증가한다. 아울러, 반사경(410)이 구강 스캐너 본체(1)에서 멀어질 때는 경사면(451)의 하측을 따라 이동하여 구강 스캐너 본체(1)에 대한 경사각이 커지고, 광의 입사각 및 반사각은 감소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경사면(451)의 경사 각도는, 반사경(410)에서 반사되는 광이 패턴 플레이트의 중심으로 향하도록 설계될 수 있을 것이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경사면(451)의 일단 및 타단 중 하나 이상에는 반사경(410)의 직선이동을 제한하는 단턱부(452)가 형성될 수 있다.
이와 같이, 회전부(200)의 회전에 연동하여, 패턴플레이트(310)가 회전하고, 아울러 반사경(410)의 구강 스캐너 본체(1)에 대한 위치가 변경되는 바, 캘리브레이션시 패턴플레이트(310)의 이미지를 다양한 각도 및 깊이에서 획득할 수 있고, 이에 캘리브레이션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의한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1000)의 작동과정에 대해 상세히 서술한다.
사용자가, 케이싱(100)의 몸체(110) 외측에 마련된 손잡이(211)를 잡고 회전시키는 경우, 상기 손잡이(211)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는 회전샤프트(210)가 회전된다. 상기 회전샤프트(210)의 회전에 의해 회전샤프트(210) 일측에 배치되는 제 1 결합부(220)에 맞물리는 제 1 회동부(330)가 회전되면, 패턴플레이트부(300)가 그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하게 된다. 동시에, 회전샤프트(210)의 타측에 배치되는 제 2 결합부(230)에 맞물리는 제 2 회동부(430)가 길이방향 축을 중심으로 회전된다. 이에 따라, 제 2 회동부(430)의 제 1 나사산(432)에 결합되는 지지부(420)가 제 2 회동부(430)의 길이방향축을 따라 좌우로 왕복이동하게되어, 상기 지지부(420)에 결합된 반사경(410)이 구강 스캐너 본체(1)에 대해 직선왕복이동하게 된다.
즉, 회전부(200)의 회전에 연동하여 패턴플레이트(310)가 회전되고, 반사경(410)이 구강 스캐너 본체(1)에 대해 직선왕복이동되는 바, 패턴플레이트(310)의 이미지를 다양한 각도 및 깊이에서 획득할 수 있고, 이에 캘리브레이션의 정확도가 향상될 수 있다.
전술한 본 발명의 설명은 예시를 위한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쉽게 변형이 가능하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만 한다. 예를 들어, 단일형으로 설명되어 있는 각 구성 요소는 분산되어 실시될 수도 있으며, 마찬가지로 분산된 것으로 설명되어 있는 구성 요소들도 결합된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
본 발명의 범위는 후술하는 청구범위에 의하여 나타내어지며, 청구범위의 의미 및 범위 그리고 그 균등 개념으로부터 도출되는 모든 변경 또는 변형된 형태가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1 구강 스캐너 본체
1000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100 케이싱
110 몸체
120 삽입부
130 커버
200 회전부
210 회전샤프트
211 손잡이
220 제 1 결합부
230 제 2 결합부
240, 241 거치부
300 패턴플레이트부
310 패턴플레이트
320 안착부
321 연장부
330 제 1 회동부
400 반사경부
410 반사경
420 지지부
421 자유단
422 제 2 나사산
430 제 2 회동부
431 회동기어
432 제 1 나사산
440, 441 거치부
450 회전방지부재
451 경사면
452 단턱부

Claims (11)

  1. 개방된 상부에 구강 스캐너 본체가 결합되는 케이싱;
    상기 케이싱에 대하여 회전가능하도록 마련되는 회전부;
    상기 구강 스캐너 본체의 광학장치의 중심축상에 배치되는 반사경부; 및
    상기 반사경부를 통해 상기 광학장치와 대면하는 패턴플레이트부; 를 포함하고,
    상기 회전부의 회전에 연동하여 상기 패턴플레이트부는 제자리 회전하고 상기 반사경부는 구강 스캐너 본체에 대해 직선왕복이동하는,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부는,
    길이방향으로 연장되는 회전샤프트;
    상기 회전샤프트 일측에 마련되며 상기 패턴플레이트부와 결합되는 제 1 결합부; 및
    상기 회전샤프트 타측에 마련되며 상기 반사경부와 결합되는 제 2 결합부;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샤프트 일단에는 손잡이가 마련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4.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패턴플레이트부는,
    패턴플레이트; 및
    상기 패턴플레이트와 일체적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 1 결합부와 맞물리는 제 1 회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1 회동부는 상기 제 1 결합부의 회전에 의해 회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5. 제 2 항 내지 제 4 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부는,
    반사경;
    상기 반사경을 지지하는 지지부; 및
    상기 지지부에 회전가능하도록 결합되며, 상기 제 2 결합부와 맞물리는 제 2 회동부; 를 포함하고,
    상기 제 2 결합부가 회전될 때, 상기 제 2 회동부는 회전되고, 상기 반사경은 직선왕복이동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6. 제 5 항에 있어서,
    상기 반사경부는 상기 제 2 회동부에 대한 상기 반사경의 회전을 방지하는 회전방지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지지부는 상기 반사경을 회전가능하도록 지지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광학장치에서 조사된 광이 상기 패턴플레이트부의 중심을 향하도록 상기 반사경은 직선왕복이동시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9. 제 8 항에 있어서,
    상기 회전방지부재는 경사면을 포함하고,
    상기 반사경은 상기 경사면을 따라 이동하여 경사각도가 조절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은 광학장치에 근접할수록 그 두께가 두꺼워지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경사면의 일단 및 타단 중 하나 이상에는 상기 반사경의 이동을 제한하는 단턱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KR1020210022419A 2021-02-19 2021-02-19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KR102487402B1 (ko)

Priority Applications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419A KR102487402B1 (ko) 2021-02-19 2021-02-19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US18/277,677 US20240122462A1 (en) 2021-02-19 2021-12-29 Oral scanner system
EP21926938.8A EP4295745A1 (en) 2021-02-19 2021-12-29 Oral scanner system
JP2023550021A JP2024506968A (ja) 2021-02-19 2021-12-29 口腔スキャナーシステム
PCT/KR2021/020211 WO2022177140A1 (ko) 2021-02-19 2021-12-29 구강 스캐너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2419A KR102487402B1 (ko) 2021-02-19 2021-02-19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689A true KR20220118689A (ko) 2022-08-26
KR102487402B1 KR102487402B1 (ko) 2023-01-12

Family

ID=8311343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2419A KR102487402B1 (ko) 2021-02-19 2021-02-19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87402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6164A (ko) * 2017-05-17 2018-11-27 주식회사바텍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스캐너 시스템
KR20180126177A (ko) * 2017-05-17 2018-11-27 주식회사바텍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스캐너 시스템
KR102129383B1 (ko) 2019-06-24 2020-07-02 주식회사 메디트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크래들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80126164A (ko) * 2017-05-17 2018-11-27 주식회사바텍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크래들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스캐너 시스템
KR20180126177A (ko) * 2017-05-17 2018-11-27 주식회사바텍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스캐너 시스템
KR102129383B1 (ko) 2019-06-24 2020-07-02 주식회사 메디트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크래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87402B1 (ko) 2023-01-1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JP5269853B2 (ja) 対象歯をスキャンするスキャニング装置および対象歯をスキャンする方法
JP5433381B2 (ja) 口腔内測定装置及び口腔内測定方法
JP2784690B2 (ja) 口内空間の測定方法及びこの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装置
AU2004212587A1 (en) Panoramic scanner
KR20180126177A (ko)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구강 스캐너 시스템
KR101533341B1 (ko) 휴대형 스캐너
JP2022504815A (ja) 歯の色を決定するためのシステム及び方法、並びにシステムにおいて使用するためのアタッチメント
KR102431945B1 (ko)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KR20220118689A (ko)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KR102487403B1 (ko)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JPH08509559A (ja) 人体、特に口腔を撮像する方法および装置
US20240122462A1 (en) Oral scanner system
KR102551332B1 (ko)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TWI541555B (zh) The adjustment method of the optical system, the adjusting means of the optical system, and the adjustment method of the photographic element
KR102423274B1 (ko)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KR20160136558A (ko) 개별 자동 초점 조절이 가능한 액체 렌즈를 구비한 구강 스캐너
KR102423273B1 (ko)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KR102531179B1 (ko) 구강 스캐너용 캘리브레이션 장치
KR102620826B1 (ko) 구강 스캐너 시스템
KR102458837B1 (ko) 3차원 구강 스캐너
KR102465219B1 (ko) 3차원 구강 스캐너
KR102470760B1 (ko) 구강 스캐너의 누적공차를 보상하기 위한 팁 구조 및 그 방법
KR102644184B1 (ko) 3차원 스캐너
KR102195076B1 (ko) 자동 인트라 구강 스캐닝 트레이
KR20220012645A (ko) 3차원 구강 스캐너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