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8305A - 디스플레이 장치 - Google Patents

디스플레이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8305A
KR20220118305A KR1020220007802A KR20220007802A KR20220118305A KR 20220118305 A KR20220118305 A KR 20220118305A KR 1020220007802 A KR1020220007802 A KR 1020220007802A KR 20220007802 A KR20220007802 A KR 20220007802A KR 20220118305 A KR20220118305 A KR 20220118305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rollable
display
present disclosure
layer
display pan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0780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안-린 유
청-한 챠이
쿠앙-팽 리
Original Assignee
이노럭스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이노럭스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이노럭스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20118305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305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5/00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 H05K5/0017Casings, cabinets or drawers for electric apparatus with operator interface units
    • H01L51/524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LSEMICONDUCTOR DEVICES NOT COVERED BY CLASS H10
    • H01L25/00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 H01L25/16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 H01L25/167Assemblies consisting of a plurality of individual semiconductor or other solid state devices ; Multistep manufacturing processes thereof the devices being of types provided for in two or more different main groups of groups H01L27/00 - H01L33/00, or in a single subclass of H10K, H10N, e.g. forming hybrid circuits comprising optoelectronic devices, e.g. LED, photodiode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FDISPLAYING; ADVERTISING; SIGNS; LABELS OR NAME-PLATES; SEALS
    • G09F9/0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 G09F9/30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 G09F9/301Indicating arrangements for variable information in which the information is built-up on a support by selection or combination of individual elements in which the desired character or characters are formed by combining individual elements flexible foldable or roll-able electronic displays, e.g. thin LCD,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01L27/3244
    • H01L51/0097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31Interconnections, e.g. wiring lines or terminals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77/00Constructional details of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and not covered by groups H10K10/80, H10K30/80, H10K50/80 or H10K59/80
    • H10K77/10Substrates, e.g. flexible substrates
    • H10K77/111Flexible substrates
    • H01L2251/5338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1/00Printed circuits
    • H05K1/18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 H05K1/189Printed circuits structurally associated with non-printed electric components characterised by the use of a flexible or folded printed circuit
    • HELECTRICITY
    • H05ELECTRIC TECHNIQU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05KPRINTED CIRCUITS; CASINGS OR CONSTRUCTIONAL DETAILS OF ELECTRIC APPARATUS; MANUFACTURE OF ASSEMBLAGES OF ELECTRICAL COMPONENTS
    • H05K2201/00Indexing scheme relating to printed circuits covered by H05K1/00
    • H05K2201/10Details of components or other objects attached to or integrated in a printed circuit board
    • H05K2201/10007Types of components
    • H05K2201/10128Display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2102/00Constructional details relating to the organic devices covered by this subclass
    • H10K2102/301Details of OLEDs
    • H10K2102/311Flexible OLED
    • HELECTRICITY
    • H10SEMICONDUCTOR DEVICES; ELECTRIC SOLID-STATE DEVIC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H10KORGANIC ELECTRIC SOLID-STATE DEVICES
    • H10K59/00Integrated devices, or assemblies of multiple devices, comprising at least one organic light-emitting element covered by group H10K50/00
    • H10K59/10OLED displays
    • H10K59/12Active-matrix OLED [AMOLED] displays
    • H10K59/122Pixel-defining structures or layers, e.g. banks

Abstract

디스플레이는 롤러블부와 비롤러블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한다. 비롤러블부는 두 개의 단부를 구비한다. 두 개의 단부 중 일 단부는 롤러블부와 연결되고, 두 개의 단부 중 다른 일 단부는 회로 보드와 연결된다.

Description

디스플레이 장치{DISPLAY DEVICE}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개시는 롤러블부(rollable portion) 및 비롤러블부(non-rollable portion)을 포함하는 전자 장치에 관한 것이다.
최근 몇 년 동안, 전자 장치 또는 변형가능 전자 장치(deformable electronic device)는 새로운 세대의 전자 장치의 초점 중 하나가 되었다. 이에 따라, 롤러블 표시 장치와 같은 전자 장치에 포함될 수 있는 플렉서블 표시 장치(flexible display devices)에 대한 수요도 증가하고 있다. 롤러블 표시 장치는 스트레처블(stretchable) 디스플레이 패널의 확장형 화면(extendable screen)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가 작동할 때, 확장형 화면(extendable screen)은 종종 반복적으로 언롤(unroll)되고 롤링(roll)될 필요가 있다. 이에 따라, 반복되는 확장(extension) 및 롤링(rolling) 과정에서 상기 확장형 화면의 신호 입력이 정상(normal)인지 확인하는 것이 필요하다. 상기 확장형 화면의 롤러블 부분에 상기 신호 입력 단자(signal input terminal)를 위치(arrange)시키면, 상기 신호 입력 단자는, 상기 확장형 화면을 확장(extend)하거나 롤링할 때, 비정상적(abnormal) 신호 입력을 초래하는 경향이 있다. 또한, 상기 확장형 스크린의 벤딩 영역(bending region)에 상기 신호 입력 단자를 배치(dispose)하면, 상기 벤딩 영역의 스트레스가 과도하게 커지고, 상기 신호 입력이 비정상적으로 되는 경향이 있다. 또한, 확장된 후(언롤된 상태(in unrolled state)에서) 상기 롤러블부 안에 벤딩부(bending part)가 없으면, 상기 확장형 화면이 롤링될 때, 스트레스에 의해 단부(end)가 압착(squeez)되어 비정상(abnormality)을 초래하는 경향이 있다.
상기 확장형 화면의 반복되는 확장(extension)과 롤링 과정(process)에서 신호 입력이 비정상이 되는 경우, 디스플레이가 비정상이 될 확률(probability)이 증가하고,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reliability)이 감소(reduce)될 수 있다.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대한 소비자의 요구 사항이 점점 더 높아짐에 따라, 제조업체가 더 높은 신뢰성을 갖는 디스플레이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중요한 문제 중 하나가 되었다.
본 개시의 몇몇 실시예들에 따르면, 디스플레이 패널(display panel)을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장치가 제공된다.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롤러블부 및 비롤러블부를 포함한다. 상기 비롤러블부는 2개의 단부(ends)를 구비한다. 상기 2개의 단부 중 하나는 상기 롤러블부에 연결된다. 상기 2개의 단부 중 다른 하나는 회로 보드(circuit board)에 연결된다.
본 개시의 이러한 목적들 및 다른 목적들은, 다양한 도면들에서 도시된 실시예의 아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면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해질 것이다.
도 1a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언롤(unroll)되었을 때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적인 평면도(top view)이다.
도 1b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롤링되었을 때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적인 측면도(side view)이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적인 단면도(cross-sectional view)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적인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개시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롤링, 언롤링, 또는 확장되었을 때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적인 측면도이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롤링, 언롤링, 또는 확장되었을 때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적인 측면도이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롤링된 때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대응하는 비롤러블부의 벤딩 영역(bending region)에 대한 확대된 단면도이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롤링된 때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적인 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개시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변형예의 개념도이다.
도 9b는 본 개시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변형예의 개념도이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적인 측면도이다.
본 개시 내용은, 아래에서 설명되는 바와 같이, 도면과 함께 이하의 상세한 설명을 참조하여 이해될 수 있다. 독자가 설명을 명확하고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하는 목적에서, 본 개시의 다양한 도면은 터치 디스플레이 도면의 일부를 나타내고 다양한 도면의 어떤 요소(element)는 축척(scale)에 맞게 그려지지 않을 수 있다는 것에 유념해야 한다. 또한, 도면에 도시된 각 장치의 개수 및 치수는 예시에 불과하며 본 발명의 범위(scope)를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특정 구성요소(component)를 언급하기 위해 설명 및 다음의 청구범위 전체에 걸쳐 어떤 용어들이 사용된다.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전자장비 제조업체는 구성요소를 다른 이름으로 지칭할 수 있다. 이 문서는, 기능(function)이 아닌 이름만 다른 구성요소들을 구분(distinguish)하려는 것은 아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르면, 광학현미경(OM: optical microscopy), 주사 전자 현미경(SEM: scanning electron microscope), 막두께 프로파일 측정기(film thickness profile measuring instrument)(α-step), 엘립소미터(ellipsometer) 또는 기타 적절한 방법들이, 각 구성 요소의 두께, 너비 또는 구성 요소들 간의 거리를 측정하는 데 사용된다. 구체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액정층(liquid crystal layer)을 제거한 후, 주사 전자 현미경(SEM)을 사용하여 주어진 구조(structure)의 어떤 단면 이미지를 얻을 수 있고, 이미지 내의 요소들 사이의 거리, 두께 또는 너비를 측정할 수 있다.
다음 설명 및 청구범위에서 용어 "포함하다(include)", "포함하다(comprise)" 및 "구비하다(have)"는 개방형 방식(open-ended fashion)으로 사용되며, 따라서 "포함하지만 이에 제한되지 않는(include, but not limited to)"을 의미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한다.
구성 요소 또는 필름층(film layer)이 "다른 구성 요소 또는 다른 필름층에 배치(dispose)됨" 또는 "다른 구성 요소 또는 다른 필름층에 전기적으로 연결됨(electrically connected)"으로 언급(refer)되는 경우, 이는 구성요소 또는 필름층이 다른 구성요소 또는 필름층 상에 직접(directly) 배치되거나, 다른 구성요소 또는 필름층에 직접 연결(connect)됨을 의미할 수 있거나, 또는 그 사이에 다른 구성요소 또는 필름층이 있을 수 있음을 의미할 수 있다. 대조적으로, 구성 요소가 "다른 구성 요소 또는 필름에 직접 배치됨(directly disposed)" 또는 "다른 구성 요소 또는 필름에 직접 연결됨(directly connected)"이라고 하면 둘 사이에 삽입(insert)되는 구성 요소 또는 필름이 없다.
용어 "일반적으로(generally)", "약(about)" 또는 "실질적으로(substantially)"는 일반적으로 주어진 값(value) 또는 범위(range)의 20% 이내, 또는 주어진 값 또는 범위의10%, 5%, 3%, 2%, 1% 또는 0.5% 이내를 의미한다. 즉, "일반적으로", "약" 또는 "실질적으로"의 의미는 "일반적으로", "약" 또는 "실질적으로"에 대한 구체적인(specific) 설명 없이 여전히 암시(imply)될 수 있다. 또한, "제1값에서 제2값까지의 범위"라는 용어는 제1 값, 제2 값 및 그 사이의 다른 값을 포함하는 범위를 의미한다.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는 여러 구성 요소들을 설명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지만, 이러한 구성 요소들이 이 용어에 의해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용어들은, 본 명세서에서, 하나의 구성 요소를 다른 구성 요소와 구별하기 위해서만 사용된다. 청구범위는 동일한 용어들을 사용하지 않을 수 있으며, 그 대신 요소가 청구된 순서에 따라 제1, 제2, 제3 등의 용어를 사용할 수 있다. 따라서, 이하의 설명에서의 제1 구성요소는 청구항에서의 제2 구성요소일 수 있다.
이하에서 설명하는 상이한 실시예들의 기술적 특징들은 본 개시의 사상을 벗어나지 않고 다른 실시예를 구성하기 위해 서로 대체(replace), 재조합(recombine) 또는 혼합(mix)될 수 있다.
도 1a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가 언롤링(unroll)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패널(100D)의 개략적인 평면도이고, 도 1b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롤링(rolled)되었을 때,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개략적인 측면도이다. 도 1a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디스플레이 패널(100D), 예를 들어(그러나, 이에 한정되지는 않음) 롤러블 디스플레이 패널(rollable display panel) 또는 확장형 디스플레이 패널(expandable display panel)을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확장형 디스플레이 패널 또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패널은, 롤러(roller)에 대하여 확장되거나 롤링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D)은 단일 패널일 수도 있고, 하나 이상의 패널로 구성된 접합 화면(splicing screen)일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도 1a는, 디스플레이 패널(100D)의 상면, 하면, 좌면, 및 우면을 모두 펼친(reveal), 디스플레이 패널(100D)이 완전히 언롤된 상태(state)를 도시한다디스플레이 패널(100D). 디스플레이 패널(100D)이 디스플레이 장치에 적용(apply)되는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100D)의 적어도 하나의 면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후면(back side)(100N)을 항해 구부러질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D)은 상기 후면을 향해 구부러지고 회로 보드(circuit board)와 연결되는 한 면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D)은 롤러블부(100R)와 비롤러블부(100U)를 포함할 수 있다. 본 개시의 일부 실시예에서, 롤러블부(100R)는 롤러(109)를 사용하여 롤링되거나 언롤될 수 있는 부분이다(도 1b에 도시됨). 대안적으로, 전체 디스플레이 패널(100D)을 최소 크기(예를 들어, 길이(length), 너비(width)또는 면적(area) 중 하나)로 롤링하여 비롤러블부(100U) 와 롤러블부(100R)의 범위(range)를 각각(respectively) 정의(define)하는 것도 가능하다. 예를 들어, 디스플레이 패널(100D)이 수축(withdraw)되어 크기 면에서 가장 작아지는 경우의 비수축부(non-withdrawn part)를 비롤러블부(100U)로 정의하고, 수축부(withdrawn part)를 롤러블부(100R)로 정의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D)이 최소 크기로 수축된 경우 비롤러블부와 롤러블부를 구분하기 위해서 테두리(border)(100B)는 마크(mark)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펜(pen)이나 레이저(laser)를 사용하여 테두리를 마크할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1a와 도 1b를 모두 참조한다. 도 1b는 도 1a에 도시된 디스플레이 패널(100D)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적용되고 롤러블부(100R)가 완전히 롤링된 상태를 도시한 것이다. 디스플레이 패널(100D)은 전면부(front side)(100P)와 후면부(back side)(100N)를 구비하고, 상기 두면은 서로 반대되어 맞은편(opposite each other)에 있다. 일 실시예에서, 적어도 일부의 전면부(100P)는 디스플레이 기능(function)을 가질 수 있는 반면, 후면부(100N)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갖지 않을 수 있다. 비롤러블부(100U)는 두 개의 단부(end)를 구비하고, 상기 두 개의 단부 중 하나의 단부(200B)는 롤러블부(100R)와 연결되어 있고, 상기 두 개의 단부 중 다른 하나의 단부(200A)는 롤러블부(100R)에서 떨어져(far away) 배치될 수 있고 회로 보드에 연결될 수 있다. 비롤러블부(100U)는 제2 영역(second region)(200F), 벤딩 영역 (bending region)(200R), 제1 영역(first region)(200N)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역(200N)은 두 개의 단부 중 다른 단부(200A)에 인접(adjacent)한다. 벤딩 영역(200R)은 제2 영역(200F)과 제1 영역(200N)의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비롤러블부(100U)의 제2 영역(200F)은 디스플레이 기능의 영역이다. 일부 실시예에서, 벤딩 영역(200R)의 적어도 일부는 디스플레이 기능을 가질 수 있다. 한편, 롤러블부(100R)는 두 개의 단부를 가질 수 있다. 일 단부(300B)는 비롤러블부(100U)에 연결될 수 있고, 다른 일 단부(300A)는 비롤러블부(100U)와 떨어져 배치되는 단부가 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비롤러블부(100U)와 롤러블부(100R) 사이에 배치된 테두리(border)(100B)는, 비롤러블부(100U) 및/또는 롤러블부(100R)의 일 단부(예를 들어, 200B 또는 300B)로 간주(regard)될 수 있다는 점에 유의(note)해야 하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다른 실시예에서, 두 개의 패널을 접합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D)을 형성(form)하는 경우, 어느 하나의 패널은 비롤러블부(100U)를 포함하고, 다른 하나는 롤러블부(100R)를 포함할 수 있으며, 두 패널 사이에 형성되는 접합선(splicing line)은 비롤러블부(100U)와 롤러블부(100R)의 테두리(100B)로 간주될 수 있다. 즉, 상기 두 패널 사이의 상기 접합선은 비롤러블부(100U) 및/또는 롤러블부(100R의 일 단부)(예를 들어 200B 또는 300B)로 간주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안테나(antenna) 장치, 센싱(sensing) 장치 또는 접합(splicing) 장치를 더 포함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안테나 장치는 액정(liquid) 안테나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접합 장치는 디스플레이 접합 장치 또는 안테나 접합 장치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기의 조합(combination)일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라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일 실시예에서, 비롤러블부(100U)는 디스플레이 패널(100D) 상의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main display area)을 포함하고, 롤러블부(100R)는 디스플레이 패널(100D) 상의 확장 디스플레이 영역(extending display area)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롤러블부(100R)는 롤링된 상태의 영상 표현(image presentation)이 구비되지 않을 수 있고, 언롤링된 상태의 영상 표현이 구비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따라서, 사용자는 사용 요구 사항(usage requirement)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기능을 보조(assist)하기 위해 필요(need)할 때 롤러블부(100R)를 확대(expand)할 수 있다.
비롤러블부(100U)는 제2 영역(200F), 벤딩 영역(200R) 및 제1 영역(200N)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영역(200R)은 제2 영역(200F)과 비롤러부(100U)의 제1 영역 (200N)사이에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2 영역(200F)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상기 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은 제2 영역(200F) 및 벤딩 영역(200R) 중 적어도 일부에 더 배치될 수 있다. 즉, 디스플레이 장치가 가장 작은 크기로 롤링된 경우의 디스플레이 영역(메인 디스플레이 영역)은 비롤러블부(100U)의 제2 영역(200F)에 배치되거나, 또는 제2 영역(200F) 및 벤딩 영역(200R)의 일부에 의해서도 제공될 수 있고, 또는 제2 영역(200F) 및 벤딩 영역(200R)에도 제공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벤딩 영역(200R)은 측면(side view)에서 볼 때 제2 영역(200F)의 윗면(upper surface)(201F)상의 수평선(horizontal line)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상기 수평선과 벤딩 영역(200R) 사이의 최단 거리는 0이 아니고, 제1 영역(200N)의 윗면(201N)에 또 다른 수평선이 형성된다. 수평선과 벤딩 영역(200R) 사이의 최단 거리는 0이 아니며, 벤딩 영역(200R)은 상기 두 개의 수평선 사이에 배치되는 영역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제2 영역(200F)은 일반적으로 평평(flat)할 수 있다는 점에 유의해야 한다. 다른 실시예에서, 제2 영역(200F)은 요철(uneven)이 있을 수 있으며, 요철면(uneven surface) 또는 곡면(curved surface)을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벤딩 영역(200R)과 비교(compare)하여 제2 영역(200F)은 더 평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2 영역(200F)의 곡률 정도(curvature degree)는 벤딩 영역(200R)의 곡률보다 작을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실시예에서, 제1 영역(200N)은 일반적으로 평평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영역(200N)은 요철이 있을 수 있으며, 제1 영역(200N)은 요철 또는 곡면을 포함할 수 있다. 벤딩 영역(200R)과 비교하여, 제1 영역(200N)은 더 평평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역(200N)의 곡률 정도는 벤딩 영역(200R)의 곡률보다 작을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 제1 영역(200N)은 회로 보드(140)와 연결되는 영역일 수 있고, 제1 영역(200N)은 디스플레이 기능을 구비하지 않을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롤러블부(100U)의 단부(200B)는 롤러블부(100R)와 연결되고, 다른 단부(200A)는 회로 보드(140)와 연결될 수 있다. 롤러블부(100R)는 두 개의 단부, 즉, 일 단부(300A)와 다른 단부(300B)를 구비한다. 일 실시예에서, 회로 보드(140)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패널(100D)이 미리 정해진(predetermine) 이미지를 생성하도록 구동(drive)하기 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D)의 신호 입력 단자 역할을 하도록, 비롤러블부(100U)와 연결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디스플레이 패널(100D)은 반복적인 롤링과 언롤링이 필요하기 때문에, 정상 신호 입력을 유지(maintain)하기 위해 신호 입력 단부(signal input end)가 비롤러블부(100U)에 연결되어 있는 경우, 반복적인 확장(extension) 및 신축(contracting) 과정(process)에서, 비롤러블부(100U)는, 디스플레이 패널(100D)이 회로 보드(140)를 더 적게 이동가능(movable)하도록 만드는 것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회로 보드(140)는 비롤러블부(100U)의 제1 영역(200N)에 결합(join)되는 제1 영역(144)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회로 보드(140)는 본딩 패드(bonding pad)(141)를 포함할 수 있고, 회로 보드(140)의 본딩 패드(141)는 비롤러블부(100U)에서 제1 영역(200N)의 표면(surface)(201N)에 배치될 수 있다. 추가적으로 일부 실시예에서, 회로 보드(14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D)의 후면(100N)에 선택적(optionally)으로 연결될 수 있는 제2 영역(142)을 가질 수 있다.
도 2는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개념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적인 단면도이다.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D)을 포함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D)은 기판(substrate)(120), 디스플레이층 (display layer)(110) 및 선택적 지지 구조(optional supporting structure)(130)를 포함할 수 있다. 기판(120)은 단층 구조(single-layer structure) 또는 다층 구조(multi-layer structure)일 수 있다. 기판(120)의 재질(material)은 예를 들어, 유리(glass), 폴리이미드(PI: polyimide), 폴리카보네이트(PC: polycarbonate), 폴리에틸렌 테레프탈레이트(PET: polyethylene terephthalate), 임의의 적절한(suitable) 재질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와 도 3은 디스플레이층(110)이 버퍼층 (buffer layer)(111), 발광층 (light-emitting layer) (112), 캡슐화층 (encapsulation layer) (113), 터치층 (touch layer) (114), 광학 접착층 (optical adhesive layer) (115), 광학층 (optical layer) (116), 컬러 필터층 (color filter layer) (117) 및 커버판 (cover plate) (118) 중 적어도 하나를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보여준다. 다른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층(110)은 일부 요소 또는 스택킹층(stacking layer)을 선택적으로 생략(omit) 또는 추가(add) 할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단순화(simplification)로 인해, 도면에 표시된 단일 층(single layer)은 실제로(actually) 다중 층(multilayer layer) 구조일 수 있다. 디스플레이층(110)은 예를 들어, 액정(liquid crystal), 형광(fluorescence), 형광체 (phosphor), 발광 다이오드(light-emitting diodes), 기타 적절한 디스플레이 매체(media),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지만, 본 개시는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버퍼층(111)은, 발광층(112)과 기판(120) 사이에 배치된 버퍼 구조(buffer structure)의 역할을 하기 위하여 기판(120)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이는 산화규소(silicon oxide), 질화규소(silicon nitride) 또는 이들의 조합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발광층(112)은 버퍼층(111) 상에 배치되며, 활성 유닛(active unit)(112A) 및 발광 유닛(light-emitting unit)(112B)을 포함할 수 있다. 활성 유닛(112A)은 예를 들어, 박막 트랜지스터(thin film transistor)와 같은 트랜지스터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활성 셀(active cell)(112A)은 소스/드레인(source/drain)(112C), 게이트(gate)(112G) 및 반도체(semiconductor)(112E)를 포함할 수 있고, 게이트(112G)는 반도체(112E)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발광 유닛(112B)은, 예를 들면, 유기발광다이오드(OLED: organic light-emitting diode), 마이크로발광다이오드(micro-LED: micro light-emitting diode), 서브밀리미터 발광다이오드(mini-LED: sub-millimeter light-emitting diode), 양자점발광다이오드(QDLED: quantum dot LED)를 포함할 수 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발광 유닛(112B)은 제1 전극(electrode)(112H), 디스플레이 매체층(display medium layer)(112J) 및 제2 전극(112K)의 적어도 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전극(112H)은 발광유닛(112B)의 캐소드(cathode) 및 애노드(anode) 중 하나이고, 제2 전극(112K)은 다른 하나일 수 있다. 활성 유닛(112A)은 발광 유닛(112B)에 대응(correspond)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관련 기능을 제어하기 위해 제1전극(112H)을 통해 발광층(112B)과 연결되어 있다. 설명을 단순화하기 위해, 하나의 활성 유닛(112A)만이 도면에 도시되어 있지만, 활성 유닛(112A)의 수는 구현(implementation)을 위해 선택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미도시)에서, 유기 발광 소자(OLED)는 정공 주입층(HIL: hole injection layer), 정공 수송층(HTL: hole transport layer) 및 발광층(EL: light emitting layer), 전자 수송층(ETL: electron transporting layer), 전자 주입층(EIL: electron injection layer) 및/또는 전하 생성층(CGL: charge generation layer)을 포함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2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층(114)은 활성 유닛(112A) 및/또는 발광 유닛(112B)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도 3의 실시예에 따르면, 터치층(114)은 활성 유닛(112A)과 발광 유닛(112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캡슐화층(113)은 발광층(112) 상에 배치되고, 발광층(112)을 보호(protect)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터치층(114)은 캡슐화층(113) 상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터치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광학 접착층(115)은 캡슐화층(113) 및 터치층(114) 상에 배치될 수 있다(도 2 참조). 일부 실시예에서, 광학 접착층(115)은 광학층(116) 및 컬러 필터층(117)(도 3 참조)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예를 들어, 광학층(116) 및/또는 컬러 필터층(117)은 광학 접착층(115)에 의해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부착(attach)될 수 있다. 또한, 광학 접착층(115)은 절연층(insulating layer)을 포함할 수도 있다. 광학층(116)은 광학 접착층(115) 상에 배치될 수 있다. 광학층(116)은 편광 물질층(polarizing material layer), 반사 방지 물질층(anti-reflective material layer) 또는 이들의 조합일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예를 들어, 광학층(116)은 편광판(polarizing plate) 또는 편광층(polarizing layer)일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컬러 필터층(117)은 광학 접착층(115) 상에 배치될 수 있으며, 발광 소자(light-emitting element)가 실질적으로 단색광(monochromatic light)을 방출(emit)하는 데 유리(beneficial)하도록 발광 소자에 대응하여 배치될 수 있다. 커버판(118)은 발광층, 캡슐화층 및 터치층 상에 배치되어 디스플레이 패널(100D)을 보호하는 기능을 구비할 수 있다.
지지구조(supporting structure)(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D)의 후면(100N)에 배치되며(도 1b에 도시됨), 디스플레이층(110)을 지지(support)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지지구조(130)는 단일층 구조 또는 설계(design) 요구 사항에 따라 다층 구조 일 수 있다. 지지구조(13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D)의 다른 부분들(롤러블부(100R) 및 비롤러블부(100U)를 포함함)에 대한 강성(rigidity) 요구사항을 제공할 수 있어, 디스플레이 패널(100D)의 롤러블부(100R)는 다중 롤링, 언롤링 및 스트레치(stretch)를 견딜(withstand) 수 있으며, 이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0D)의 영구적인(permanent) 변형(deformation)의 가능성(chance)을 감소시킨다. 예를 들어, 지지구조(130)는 지지판(131), 지지구조 글루(glue)(132), 지지 필름(133) 및 지지 필름 글루(134)를 포함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지지구조(130)는 필요에 따라 일부 요소 또는 스택킹층을 생략할 수 있다. 지지판(131)은 지지판 재질(material)을 포함할 수 있고, 예를 들어, 지지판(131)의 재질은, 구리판(copper plate)이나 스테인리스강판(stainless steel plate)과 같은 금속(metal) 또는 합금(alloy)일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 지지판(131)은 히트 싱크 판(heat sink plate)일 수 있다. 지지구조 글루(132)는 지지 필름(133)에 부착된 지지판(131)을 도울 수 있다. 지지구조 글루(132)의 두께는 80㎛, 100μm, 130μm, 150μm, 180μm와 같이50㎛ 내지 200㎛(50㎛ ≤ 두께 ≤200㎛)의 범위를 구비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 필름(133)은 지지판의 재질을 포함할 수 있고, 지지판의 재질은 폴리이미드(polyimide) 또는 폴리에틸렌(polyethylene) 테레프탈레이트(terephthalate)와 같은 고분자(polymer)일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지지 필름 글루(134)는 기판(120)에 부착된 지지 필름(133)이 롤러블 디스플레이 패널(100D)의 전체적인(overall) 강성(rigidity)을 향상(improve)시키는 데 도움이 될 수 있다. 지지 필름(134)의 두께는 80 ㎛, 100 ㎛, 130 ㎛, 150 ㎛, 180 ㎛와 같은 50 ㎛ 내지 200 ㎛(50 ㎛ ≤ 두께 ≤ 200 ㎛)의 범위를 가질 수 있지만,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3은 본 개시의 제1 실시예의 변형예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적인 단면도이다. 도 3의 디스플레이 장치(101)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패널(100D)을 포함할 수 있다. 도 3의 롤러블 디스플레이 패널(100D)과 도 2의 롤러블 디스플레이 패널(100D)의 차이는 주로 발광층(112)의 차이, 터치층의 위치(114), 광학 접착층(115)의 위치, 광학층(116)의 차이, 지지구조(130)의 차이에 있다. 단순화로 인해, 도면에 도시된 단일층은 실제로 다층 구조일 수 있다. 도 3의 발광층(112)은 미니 발광 다이오드를 보여주고, 광학 접착층(115)은 광학층(116)과 커버판(118) 사이에 위치할 수 있어 커버판(118)이 광학층(116)에 부탁될 수 있다. 도 3의 지지구조(130)는 홈(groove)(131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홈(131R)은 지지구조 글루(132)를 선택적으로 노출시키거나 노출시키지 않을 수도 있다. 즉, 홈의 깊이(depth)는 지지판의 두께 보다 작을 수 있거나, 지지판(131)의 두께와 실질적으로 동등(equal)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디스플레이 장치는 상술한 실시예들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는 다음과 같이 개시된다. 설명을 단순화하고 실시예 간의 차이점을 강조하기 위해, 이하에서 동일한 요소를 라벨(label)하는데 동일한 참조 번호(numerals)를 사용하고, 유사한 설명을 다시 자세히 설명(elaborate) 하지 않는다. 또한, 이후의 실시예에서 각 필름층 또는 요소(element)의 재료에 대해서는 전술(foregoing)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도 4는 본 발명의 제2 실시예에 따라 디스플레이 장치(100)를 롤링하거나 확장하거나 언롤링 되었을 때의 개념적인 측면도이다. 도 4의 윗 파트(upper part)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최소로 롤링된 상태의 개념적인 다이어그램으로, 벤딩 영역(300R)의 롤러블부(100R)가 비 디스플레이 면(non-display side)(100N)으로 롤링된 상태를 나타낸다. 자세한 구조와 요소들의 상대적인 관계(relative relationship)에 대해서는 도 1b를 참조하고, 다시 설명하지 않는다. 다른 한편으로, 예를 들어, 사용자가 더 큰 윈도우(window) 탐색(browse)을 필요로 하거나, 사용자가 더 큰 이미지 탐색을 필요로 하거나, 사용자가 윈도우의 원래(original) 크기(size)를 변경(change)하지 않으면서 다른 윈도우 탐색을 필요로 할 때, 사용자는 더 큰 디스플레이 영역의 탐색을 필요로 한다. 롤러블부(100R)는, 빈 화살표(hollow arrow)로 도시된 바와 같이, 도 4의 아래 파트(lower part)의 디스플레이 상태를 얻기(obtain) 위해 언롤링 될 수 있고, 디스플레이 장치(100)는 더 큰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질 수 있다. 도 4의 아래 파트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최대로 언롤링된 상태를 개념적으로 도시한 것이다. 롤러블부(100R)가 언롤링될 때, 롤러블부(100R)의 디스플레이 영역 영역은 비롤러블부(100U)의 디스플레이 영역과 조합(combine)되어 더 큰 표시 영역을 구비할 수 있으며, 함께 더 큰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하여 디스플레이 패널(100D)의 디스플레이 면(100P) 상의 더 큰 디스플레이 영역에 대한 사용자의 요구를 충족(meet)시키는 것을 도와줄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회로 보드(140)는 제2 영역(142)에 배치된 접착층(adhesive layer)(160)에 의해 디스플레이 패널(100D)의 비 디스플레이 면(100N)에 고정(fix)될 수 있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본 실시예에서, 회로 보드(140)의 구성요소(도시되지 않음)는 제2 영역(142)으로부터 떨어져서(away from) 구성요소면(component side)(143)에 위치(arrange)할 수 있으므로, 이 위치는 회로 보드(140)에서 구성요소의 열 방출(dissipation)을 용이(facilitate)하게 하고 디스플레이 패널(100D)의 이상(abnormality) 확률을 감소시키는 데 도움(help)이 되도록 하여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신뢰성(reliability)이 높아질 수 있다. 접착층(160)의 두께는 100 μm, 200 μm, 300 μm, 400 μm 와 같은 50μm에서 500 μm (50μm≤두께≤500 μm)의 두께를 구비할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지 않는다. 일 실시예에서, 본딩패드(141)는 비롤러블부(100U)의 제1 영역(200N)에 배치될 수 있다. 비롤러블부(100U)의 제1 영역(200N)이 벤딩 영역(200R)에 더 가깝(close)기 때문에, 비롤러블부(100U)의 제1 영역(200N)에서의 스트레스는 상대적으로 높다. 더 큰 스트레스를 가지는 비롤러블부(100U)의 제1 영역(200N) 또는 더 큰 스트레스를 가지는 비롤러블부(100U)의 근처의 제1 영역(200N)에 위치된 본딩패드(141)는, 본딩패드(141)가 크랙(crack)이나 탈락(fall off)을 더욱 하기 쉽게 만들 수 있다. 그래서, 본딩패드(141)는 벤딩 영역(200R)과 적정한(proper) 거리를 유지하여, 본딩패드(141)가 더 큰 스트레스를 받는 벤딩 영역(200R)보다 멀리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도 4에도시된 바와 같이, 본딩패드(141)와 벤딩 영역(200R) 사이의 거리를 d로 나타낼 수 있다. 거리(d)의 정의는 단면도 또는 측면도, 즉 본딩 패드(141)의 중심점에서 벤딩 영역(200R)과 비롤러블부(100U)의 제1 영역(200N)의 테두리까지의 최단 거리일 수 있다. 예를 들어, 거리(d)는 1000μm보다 작지 않을 수(1000μm≤d)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5는 본 개시의 제3 실시예에 따라 롤링 또는 언롤링된 때의 디스플레이 장치의 개념적인 측면도이다. 도 5의 윗 파트(upper part)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최소로 롤링되고, 롤러블부(100R)가 비 디스플레이 면(100N)으로 롤링되는 개념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본 실시예에서, 롤러블부(100R)가 롤링된 경우 롤러블부(100R)의 일 단부(300A)가 회로 보드(140)와 접촉(contact)될 수 있고 및 롤러블부(100R)가 언롤링된 경우, 빈 화살표(hollow arrow)로 보여주듯이, 롤러블부(100R)의 일 단부(300A)는 회로 보드(140)에서 떨어져 배치될 수 있다. 도 5의 아래 파트(lower part)는 디스플레이 장치(100)가 최대로 언롤링된 것의 개념적인 다이어그램이다. 롤러블부(100R)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롤러블부(100R)가 언롤링된 경우, 더 큰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하도록 비롤러블부(100U)의 디스플레이 영역과 조합될 수 있다. 또한, 회로 보드(140)를 향하여(toward) 확장하는 설계는 롤러블부(100R)의 일 단부(300A)가 구부러진 후 언롤링과 롤링을 반복하는 동안 롤러블부(100R)의 주름(wrinkle)의 감소 및 롤러블부(100R)의 손상(damage)을 감소시킬 수 있다. 본 실시예에서 롤러블부(100R)가 디스플레이 영역이 가장 큰 디스플레이 영역을 구비하도록 언롤링된 경우, 일부 롤러블부(100R)는 롤러(roller)(109)의 벤딩 영역(300R)을 둘러(surround)싼다. 곡률 반경(radius)이 큰 벤딩 영역(300R)은 롤러블부(100R)의 언롤링과 롤링의 반복을 용이하게 하거나, 일 단부(300A)의 압축(compression) 스트레스를 감소시키고,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신뢰성을 더 증가시킨다.
일부 실시예에서, 비롤러블부(100U)의 벤딩 영역(200R)의 곡률 반경 및 롤러블부(100R)의 벤딩 영역(300R)의 곡률 반경은 실질적으로 유사(similar)하거나 상이(different)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비롤러블부(100U)에 인접한 롤러의 곡률 반경은 비롤러블부(100U)의 곡률 반경으로 간주될 수 있고, 롤러블부(100R)에 인접한 롤러의 곡률 반경은 롤러블부(100R)의 곡률 반경으로 간주될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 비롤러블부(100U)의 벤딩 영역(200R)의 곡률 반경은 롤러블부(100R)의 벤딩 영역(300R)의 곡률 반경 보다 작을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비롤러블부(100U)의 벤딩 영역(200R)의 곡률 반경은 상기 롤러블부(100R)의 벤딩 영역(300R)의 곡률 반경에 가깝거나 또는 동등(equal)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블부(100R)의 벤딩 영역(300R)의 곡률 반경(R2)에 대한 비롤러블부(100U)의 벤딩 영역(200R)의 곡률 반경(R1)의 비율(ratio)(R2/R1)은 1내지 50이하(1≤ 비율 ≤50)와 같은 범위에 있을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비롤러블부(100U)의 곡률 반경(R1)보다 큰 롤러블부(100R)의 곡률 반경(R2)은 반복되는 언롤링과 롤링 과정 동안 롤러블부(100R)의 신뢰성을 향상시키는 데 유리하다.
일부 실시예에서, 비롤러블부(100U)의 디스플레이 영역 및 롤러블부(100R)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예를 들어, 너비 또는 면적)는 유사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비롤러블부(100U)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는 롤러블부(100R)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 보다 클 수 잇지만,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다른 실시예에서, 비롤러블부(100U)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는 롤러블부(100R)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와 실질적으로 동등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블부(100R)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A2)에 대한 비롤러블부(100U)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A1)의 비율(A2/A1)은 0.4 내지 1이하(0.4≤ A2/A1 ≤1)와 같은 범위에 있을 수 있으나,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디스플레이 장치(100D)가 최대로 넓어졌을 경우, 만약 롤러블부(100R)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A2) 및 비롤러블부(100U)의 디스플레이 영역의 크기(A1)가 1보다 크면(1≤A2/A1), 롤러블부(100R)는 아래로(downward) 벤딩되거나 기울어지는(incline) 경향이 있다. 사용자가 이것을 사용할 때, 롤러블부(100R)의 디스플레이 영역 및 비롤러블부(100U)의 디스플레이 영역은 각각 상이한 평면(plane)에 놓일 수 있고, 디스플레이 효과(display effect)의 성능(performance)에 도움이 되지 않을 수 있다.
도 6은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에 따라 롤링된 때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개념적인 측면도이다. 도 7은 도 6에 대응하는 비롤러블부(100U)의 벤딩 영역(200R)에 대한 확대된(enlarge)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과 함께 도 2를 참조한다. 본 개시의 제4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0)에 따르면 비롤러블부(100U)의 벤딩 영역(200R)의 지지구조(130) 및 롤러블부(100R)의 벤딩 영역(300R)의 지지구조(130)는 유사하거나 상이할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벤딩 영역(200R 또는 300R)안의 지지구조(130)는 생략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비롤러블부(100U)의 벤딩 영역(200R)의 지지구조(130)는 비롤러블부(100U)의 제2 영역(200F)보다 상대적으로 더 얇을(thin) 수 있거나, 지지판(131) 및/또는 지지 필름(133)은 생략될 수 있거나, 도 7에서 도시된 바와 같이 지지구조(130)는 더 생략될 수 있어 벤딩 영역(200R)은 곡률 반경(R1)에 비해서 작게 유지될 수 있다. 벤딩 영역(200R)은 비롤러블부(100U)에 배치되기 때문에, 벤딩 영역(200R)의 형태(shape)는 변경을 필요로 하지 않고, 벤딩 영역(200R)은 더 얇게 할 수 있거나 디스플레이층(110)을 강화(strength)하는 지지구조(130)가 생략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벤딩 영역(200R)의 강성은 벤딩 영역(300R)의 강성보다 더 클 수 있다.
일부 실시예에서, 회로의 반복적인 롤링 및 언롤링 동안 주름(wrinkles) 또는 불량한 접촉을(poor contact)를 감소시키거나, 신호 입력 또는 출력(output)의 정확도를 향상시키거나, 확장형 디스플레이 영역을 가진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수명(service life)를 향상시키거나,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을 증가시키기 위하여, 벤딩 영역(300R)은 롤러블부(100U)를 지지하는 지지구조(130)를 유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롤러블부(100R)의 지지구조(13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홈(131R)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지지구조(130)의 홈(131R)의 설계는 지지구조(130)의 유연성(flexibility)을 증가시켜 롤러블부(100R)의 반복되는 언롤링 및 롤링을 용이하게 할 수 있다. 또한, 일부 실시예에서, 롤러블부(100R)의 지지구조(130)는 비롤러블부의 제2 영역(200F)보다 얇은 두께를 구비할 수 있다.
도 8은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라 롤링된 때의 디스플레이 장치(102)의 개념적인 단면도이다. 도 8과 함께 도 4를 참조한다. 본 개시의 제5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2)는 하우징(housing)(150)을 더 포함할 수 있다. 하우징(15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D) 및 회로 보드(140)의 보호(protection), 보관(storage) 또는 운반(carry)을 용이하게 하기 위해, 디스플레이 패널(100D) 및 회로 보드의(14)의 수용(accommodation)을 위한 수용공간(accommodating space)을 형성하기 위해 하단(bottom)(150F) 및 측벽(side wall)(152)을 구비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장치(102)가 언롤링된 경우, 하우징(150)에 디스플레이 패널(100D)이 수용된 상태를 유지하기 위해 하우징(150)은 스트레치 될 수 있다. 만약 디스플레이 장치가 회로 보드(140)에 고정(fix)되지 않는다면, 디스플레이 패널(100D)을 스트레치 하거나 롤링하는 과정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D)이 흔들리거나(shake) 마모(wear) 될 수 있다. 만약 회로 보드(140)가 비 디스플레이 면(100N)과 같은 디스플레이 패널(100D)의 후면에 고정되거나(도 4의 도시됨), 또는 하우징(150)에 고정되면(도 8에 도시됨), 비정상적인 신호 입력의 가능성(chance)을 감소시킬 수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일부 실시예에서, 도 8에 도시된 것과 같이 회로 보드(140)의 본딩 패드(141)는 비롤러블부(100U)의 단부(200A)와 가까울 수 있고 하우징(150)의 제2 영역(142)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회로 보드(140)는 제2 영역(142)에 배치된 접착층(160)에 의해 하우징(150)에 고정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고정된 회로 보드(140)는 디스플레이 패널(100D)의 스트레치 또는 롤링 과정 동안에 디스플레이 패널(100D)을 긁는(scratch) 경향이 적다. 일부 실시예에서, 디스플레이 패널(100D)의 신호 입력 단부의 포지션(position)은 비롤러블부(100U)의 비 디스플레이 면(100N) 상에 고정될 수 있다(도 1b에 도시됨). 예를 들어, 회로 보드(140)는 접착층(160)에 의해 비롤러블부(100U)의 비 디스플레이 면(100N)에 고정되어 있으나, 본 개시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접착층(160)의 두께는 100 μm, 200 μm, 300 μm, 400 μm와 같이 50 μm에서 500 μm(50μm≤두께≤500 μm)까지의 범위를 구비할 수 있으나, 본 개시가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도 9a 및 도 9b는 본 개시의 제6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0)의 변형예의 개념적인 다이어그램이다. 예를 들어 일부 실시예에서 도 9a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플레이 패널(100D)의 크기는 작아질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0D)이 롤링 될 경우 하우징(15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D)의 비롤러블부(100U)를 수용하기 위해 이에 대응(correspondingly)하여 크기가 감소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유사하게, 도면 9b에 도시된 것처럼 디스플레이 패널(100D)의 크기가 커질 수 있고, 디스플레이 패널(100D)이 언롤링될 경우 하우징(150)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비롤러블부(100U) 및 롤러블부(100R)를 수용하기 위해 이에 대응하여 크기가 커질 수 있다. 즉, 하우징(150)은 디스플레이 패널(100D)의 크기에 대응하여 변형(deform)될 수 있는 수용 구조일 수 있다.
도 10은 본 개시의 제7 실시예에 따른 디스플레이 장치(103)의 개념적인 단면도이다. 도 10의 오른쪽 아래(lower right side)는 롤러블부(100R)의 언롤링된 상태를 도시한다. 본 개시의 제7 실시예의 디스플레이 장치(103)에 따라서, 디스플레이 장치(103)는 배터리(17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배터리(170)는 제1면(171) 및 제2면(172)을 포함할 수 있다. 제1면(171)은 비롤러블부(100U)의 일 단부(200A)와 가깝고, 상기 제2면(172)은 롤러블부(100R)의 일 단부(300A)와 가깝다. 배터리(170)는 와이어(173)를 통해 회로 보드(140)와 연결되어 롤러블 디스플레이 패널(100D)을 구동하는데 필요한 전력(power)을 제공할 수 있다. 디스플레이 패널(100D)은 사용중에 반복적인 롤링 및 언롤링이 필요한 경우가 많다. 일부 실시예에서, 빈 화살표에의해 도시된 바와 같이 롤러블부(100R)와 배터리(170)의 제2면(172) 사이의 거리는 롤러블부(100R)가 언롤링됐을 때 커질 수 있다. 한편, 롤러블부(100R)의 일 단부(300A)와 배터리(170)의 제2면(172) 사이의 거리는 롤러블부(100R)가 롤링됐을 때 작아질 수 있다. 즉, 롤러블부(100R)의 일 단부(300A)와 배터리(170)의 제2면(172) 사이의 거리는 변할 수 있으며(variable), 롤러블 디스플레이 패널(100D)이 사용 중에 롤링 또는 언롤링됨에 따라 크기가 변경될 수 있다(changable). 일부 실시예에서, 비압착부(non-crimping portion)(100U)의 일 단부(200A)와 배터리(170)의 상대적 포지션은 변경될 수 없을 수 있다(unchangble). 예를 들어, 비롤러블부(100U)의 일 단부(200A)와 배터리(170)의 제1면(171) 사이의 거리는 롤러블부(100R)가 언롤링된 경우에 계속(remain) 변경되지 않을 수 있다. 한편, 비롤러블부(100U)의 일 단부(200A)와 배터리(170)의 제1면(171) 사이의 거리는 롤러블부(100R)가 롤링된 때에도 여전히(still) 계속 변경되지 않는다. 즉, 비롤러블부(100U)의 일 단부(200A)와 배터리(170)의 제1면(171) 사이의 거리는 디스플레이 패널(100D)의 사용중에 언롤링된 상태 또는 롤링된 상태와 함께 사용중에 변경되지 않는다.
본개시의 실시예의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에 따르면, 비롤러블부는 롤러블부와 연결될 수 있고 및 회로 보드와 연결될 수 있다. 이 설계는 본 개시의 실시예의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를 사용자의 습관과 함께 이동하게 하거나, 크기의 변화의 수를 감소시킬 수 있다. 이러한 방식으로, 디스플레이 패널의 반복적은 롤링 및 언롤링 동안 신호 입력의 정확성이 증가될 수 있으므로, 확장형 디스플레이 영역과 함께 디스플레이 장치의 수명이 증가하거나 또는 롤러블 디스플레이 장치의 신뢰성이 증가할 수 있다.
본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이상의 개시의 지침(teaching)을 유지하면서, 상기 장치와 방법에 대해 다수의 변형(modification) 및 변경(alteration)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쉽게 알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상기 개시는 첨부한 청구범위의 범위(metes) 및 한계(bound)에 의해서만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Claims (6)

  1. 디스플레이 장치에 있어서,
    롤러블부 및 비롤러블부를 포함하는 디스플레이 패널
    을 포함하고,
    상기 비롤러블부는 2개의 단부를 구비하고,
    상기 2개의 단부 중 하나는 상기 롤러블부에 연결되고,
    상기 2개의 단부 중 다른 하나는 회로 보드에 연결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비롤러블부는,
    상기 2개의 단부 중 상기 다른 하나에 인접한 제1 영역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비롤러블부는,
    제2 영역 및 벤딩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벤딩 영역은,
    상기 제1 영역과 상기 제2 영역 사이에 배치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회로 보드는,
    상기 비롤러블부의 상기 제1 영역에 결합되는 제1 영역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비 디스플레이 면을 구비하고,
    상기 회로 보드는,
    제2 영역을 구비하고,
    상기 제2 영역은 상기 비 디스플레이 면에 고정되는
    디스플레이 장치.
  6. 제4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 및 상기 회로 보드를 수용하는 하우징
    을 더 포함하고,
    상기 회로 보드는 상기 하우징에 고정된 제2 영역을 구비하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0220007802A 2021-02-18 2022-01-19 디스플레이 장치 KR20220118305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CN202110187692.5A CN114973933A (zh) 2021-02-18 2021-02-18 显示装置
CN202110187692.5 2021-02-18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305A true KR20220118305A (ko) 2022-08-25

Family

ID=82800706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07802A KR20220118305A (ko) 2021-02-18 2022-01-19 디스플레이 장치

Country Status (3)

Country Link
US (2) US11882666B2 (ko)
KR (1) KR20220118305A (ko)
CN (1) CN114973933A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4067673A (zh) * 2020-08-03 2022-02-18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CN114639305A (zh) * 2020-12-15 2022-06-17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显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60031363A (ko) * 2014-09-12 2016-03-22 삼성전자주식회사 유연성 디스플레이 소자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375469B1 (ko) 2015-01-13 2022-03-18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KR102631840B1 (ko) * 2016-10-06 2024-01-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장형 표시 장치
KR102595848B1 (ko) 2016-10-11 2023-11-0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확장형 표시 장치
US20180145124A1 (en) * 2016-11-21 2018-05-24 Samsung Display Co., Ltd. Flexible display device
KR102269604B1 (ko) * 2018-02-23 2021-06-28 삼성전자주식회사 이동 가능한 플렉서블 디스플레이를 포함하는 전자 장치
KR102568726B1 (ko) * 2018-09-18 2023-08-22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장치
KR102558846B1 (ko) * 2018-10-31 2023-07-21 엘지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플렉서블 표시장치
CN110209240B (zh) * 2019-04-30 2021-02-02 郭凯 一种便携式可变显示面积的3c电子设备
KR20210007082A (ko) * 2019-07-09 2021-01-20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표시 장치
WO2021117948A1 (ko) * 2019-12-13 2021-06-17 엘지전자 주식회사 플렉서블 디스플레이 장치
CN111968524B (zh) * 2020-09-17 2022-08-23 武汉天马微电子有限公司 一种显示装置
CN115513243A (zh) * 2021-06-23 2022-12-23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可卷曲显示装置
CN115705789A (zh) * 2021-08-16 2023-02-17 群创光电股份有限公司 可挠式显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US20240130052A1 (en) 2024-04-18
US20220264752A1 (en) 2022-08-18
CN114973933A (zh) 2022-08-30
US11882666B2 (en) 2024-01-23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1096274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US11444265B2 (en) Flexible display device having a multi-thickness function layer
KR102020659B1 (ko) 접이식 표시 장치
CN111161633B (zh) 显示装置
TWI735577B (zh) 顯示裝置
CN112349211B (zh) 显示装置及电子设备
US9747822B2 (en) Rollable display device
KR102654593B1 (ko) 표시 장치 및 이를 포함한 전자 장치
TWI547789B (zh) 顯示器模組及系統應用
JP6581353B2 (ja) 表示装置
CN110970465A (zh) 显示装置
CN109256479B (zh) 显示设备
KR20220118305A (ko) 디스플레이 장치
KR20140046839A (ko) 플렉서블 표시 장치
WO2016083928A1 (en) Image processing device, display system, and electronic device
US11171184B2 (en) Display devic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US9853237B2 (en) Curved display apparatus
KR102423407B1 (ko) 폴더블 표시장치용 커버 윈도우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KR20170064161A (ko) 폴더블 표시장치용 광학접착층 및 이를 포함하는 폴더블 표시장치
CN111629516A (zh) 具有声音生成器的电路板及包括该电路板的显示装置
US20230320155A1 (en) Display panel and display device
US20220416181A1 (en) Rollable display device
KR102136826B1 (ko) 접이식 표시 장치
TWI825083B (zh) 顯示裝置
US8421343B2 (en) Organic light emitting display device and manufacturing method therefo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