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8177A - F-타입 증기발생기용 중앙통로부 자동검사장치 - Google Patents

F-타입 증기발생기용 중앙통로부 자동검사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8177A
KR20220118177A KR1020210021988A KR20210021988A KR20220118177A KR 20220118177 A KR20220118177 A KR 20220118177A KR 1020210021988 A KR1020210021988 A KR 1020210021988A KR 20210021988 A KR20210021988 A KR 20210021988A KR 20220118177 A KR20220118177 A KR 202201181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supply
groove
steam generator
ra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988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8945B1 (ko
Inventor
박찬종
이영진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그린앤텍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그린앤텍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그린앤텍
Priority to KR1020210021988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8945B1/ko
Publication of KR202201181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1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894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894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applicable to more than one kind or type of steam boiler
    • F22B37/42Applications, arrangements, or dispositions of alarm or automatic safety devices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22STEAM GENERATION
    • F22BMETHODS OF STEAM GENERATION; STEAM BOILERS
    • F22B37/00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 F22B37/002Component parts or details of steam boilers specially adapted for nuclear steam generators, e.g. maintenance, repairing or inspecting equipment not otherwise provided for
    • GPHYSICS
    • G21NUCLEAR PHYSICS; NUCLEAR ENGINEERING
    • G21CNUCLEAR REACTORS
    • G21C17/00Monitoring; Testing ; Maintaining
    • G21C17/017Inspection or maintenance of pipe-lines or tubes in nuclear installatio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30/00Energy generation of nuclear origin
    • Y02E30/30Nuclear fission reacto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rmal Sciences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High Energy & Nuclear Physics (AREA)
  • Plasma & Fusion (AREA)
  • Instruments For Viewing The Inside Of Hollow Bodies (AREA)
  • Endoscop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F-타입 증기발생기용 중앙통로부 자동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이드부가 레일부를 따라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틸팅부에 의해 내시경 공급부가 회전되고, 이 상태에서 내시경이 전열관의 사이로 인입되면서 자동으로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에 따라 관판상부에 적층된 슬러지 및 이물질을 안정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F-타입 증기발생기용 중앙통로부 자동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Description

F-타입 증기발생기용 중앙통로부 자동검사장치{Central passageway automatic inspection device for F-type steam generator}
본 발명은 F-타입 증기발생기용 중앙통로부 자동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이드부가 레일부를 따라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틸팅부에 의해 내시경 공급부가 회전되고, 이 상태에서 내시경이 전열관의 사이로 인입되면서 자동으로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에 따라 관판상부에 적층된 슬러지 및 이물질을 안정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F-타입 증기발생기용 중앙통로부 자동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원자력발전소에서의 증기발생기는 증기터빈과 발생기로부터 전력을 생산하는 데 필요한 증기를 발생시키는 가장 중요한 핵심기기 중의 하나이다.
구체적으로, 상기 증기발생기 내부에는 다발로 이루어진 다수의 전열관이 마련되어 있으며, 이 전열관은 방사능을 포함하는 1차 계통수와 터빈을 돌리는 2차 계통수 사이에 열 교환 기능을 제공하며, 1차 계통수와 2차 계통수를 분리시켜 주는 역할을 하고 있다.
증기의 발생과정을 살펴보면, 원자로를 통과하면서 가열된 1차 계통수가 관로를 따라 증기발생기 전열관 내부를 흐르고 이 전열관 외부로 공급되는 2차 계통수가 전열관의 외부로 교차하면서 전열관의 관벽을 사이에 두고 1차 계통수와 2차 계통수가 열교환을 통해 1차 계통수는 폐회로의 관로를 따라 다시 원자로로 순환되고 2차 계통수는 증기로 변환된다.
즉, 전열관을 사이로 전열관 내부에는 고온 고압의 방사성 물(1차 계통수)이 흐르고, 외부로는 비방사성 물(2차 계통수)이 흐르기 때문에 전열관 손상이 있을 경우 전열과 내부를 관통하는 방사성 물(1차 계통수)이 외부로 누설되면서 비방사성 물(2차 계통수)과 혼합되면서 오염이 되고, 이로 인해 비방사성 물(2차 계통수)이 증기로 변환되어 공급되는 영역 전체가 방사능 오염이 될 수 있기 때문에 전열관의 건전성을 확보하는 것은 원자력 발전소에 있어 최우선적으로 중요한 과제이다.
도 1은 증기발생기를 나타낸 단면 사시도이고, 이를 참조하여 설명하면, 증기발생기(10)는 1차 계통의 원자로냉각로가 들어오는 입구노즐(1)과, 열교환이 이루어지도록 하는 전열관(2)과, 상기 입구노즐(1)을 통해 들어오는 원자로냉각재를 바깥쪽에 있는 2차 계통 냉각수에 열을 전달하는 출구노즐(3) 등으로 구성된다.
상기 전열관(2)은 관판(16)의 상부에 안치되고, 안치된 상기 전연관(2)은 일정 수직 높이 간격마다 관지지판(4)으로 지지되록 하며, 하단의 관지지판(4)과 관판(16) 사이에는 도너츠판상의 유량분패판을 안치시켜 상기 전열관(2)을 지지하도록 하는 한편, 다수의 일정 수직 간격의 관지지판(4) 및 전열관(2)은 하부가 개방되고 상단에 증기배출구를 가지는 래퍼를 결합하고, 상기 래퍼는 물을 외부하우징(5) 내벽을 따라 아래로 공급받으며, 공급받은 물은 전열관(2)에 의하여 증기가 발생되어 상부로 배출하는 기능을 한다.
상기와 같이 구성된 증기발생기(10)는 1차 계통의 원자로냉각재가 입구노즐(1)로 들어와서 다수의 전열관(2) 안쪽으로 흐르면서 출구노즐(3)을 통과하여 바깥쪽에 있는 2차 계통 냉각수에 열을 전달하고 이때 증기가 생성되게 한다.
이때, 증기발생기(10)에서 원자로냉각재가 흐르는 부분을 1차측, 급수 및 증기가 흐르는 부분을 2차측 이라하고, 2차 계통은 주증기계통, 터빈계통, 복수 및 급수계통 등으로 구성되며, 증기발생기(10) 2차측에서 생성된 수증기는 주증기관을 따라 이동하여 터빈을 회전시키게 된다.
그러나 종래의 증기발생기(10)는 증기를 만들기 위해 2차 측에 공급되는 2차수가 여과와 화학처리를 통해 공급되지만 관로 내부를 순환하면서 여러 가지 경로를 통해 발생한 이물질과 슬러지를 동반하여 증기발생기 내부로 유입되어, 관판(tube sheet)(16)과 관지지판(tube support plate)(4) 및 유량분배판(Flow Distribution Baffle) 등에 침전되거나 전열관(2) 외벽에 들러붙게 되어 전열효과를 저하시키거나 손상을 초래한다.
즉, 상기 증기발생기(10)는 수천 개의 U자형 전열관(2)이 다발형태를 이루면서 전열관 다발 최하부의 관판(Tube Sheet)(16)에 전열관(2) 양단이 고정되고 약 1m 간격으로 전열관 상부까지 다단으로 구성된 관지지판(Tube Support Plate)(4)에 의해 지지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운전 연수가 지나면서 다양한 경로를 통해 유입 또는 생성되는 불순물이 전열관(2) 외부표면에 스케일이 되어 열교환력을 저하시키고 전열관(2)과 관지지판(4) 사이에서 슬러지로 침적되어 점차 고형화되면 관지지판(4)과 전열관(2) 사이에 덴팅을 유발하여 전열관(2) 손상을 야기할 수 있다.
이러한 이유로 전열관(2) 표면의 스케일 제거와 관지지판(4)의 슬러지 제거는 증기발생기(10) 효율과 전열관(2) 건전성 확보를 위한 필수적인 수단이 되고 있다.
이를 위하여 유량분배판과 전열관(2) 및 관판(16)의 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소형 내시경 카메라를 이용하여 확인하는 실정이다. 그러나 소형 내시경 카메라와 같은 장비는 작업자가 수작업으로 가이드 관을 통해 내시경카메라를 약 2.9㎜의 전열관(2) 틈새로 밀어 넣는 방식으로 사용되고 있으며, 자체적으로 지지하는 수단이 없어 원하는 위치를 찾아 확인할 수 없는 문제점이 있으며, 증기발생기(10) 주변은 고방사선 구역으로서 작업자가 방사선 쪼임에 노출되어 효율적인 육안검사 또는 이물질 제거작업을 수행하기 곤란한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공보 제10-1501843호 2015.03.05.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이 갖는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서, 본 발명에서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가이드부가 레일부를 따라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틸팅부에 의해 내시경 공급부가 회전되고, 이 상태에서 내시경이 전열관의 사이로 인입되면서 자동으로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에 따라 관판상부에 적층된 슬러지 및 이물질을 안정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F-타입 증기발생기용 중앙통로부 자동검사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증기발생기의 중앙통로측의 핸드홀에 형성된 플랜지(14)에 설치되어 증기발생기의 내부를 검사하기 위한 F-타입 증기발생기용 중앙통로부 자동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4)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부(100);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핸드홀을 관통하여 증기 발생기의 내부로 인입 설치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부(100)에 의해 고정되는 레일부(200); 가이드부(400)를 상기 레일부(20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레일부(200)의 후방에 구비되는 메인 구동부(300); 상기 메인 구동부(300)에 의해 상기 레일부(20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가이드부(400); 및 전단이 일방향으로 휘어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부에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며, 휘어진 전단이 한 쌍의 전열관을 향하는 상태로 회전된 상태에서 내시경부(600)가 인출입되도록 하는 내시경 공급부(500);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때, 상기 레일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도록 이루어지되, 하부면에 안내레일(220)이 슬라이딩 체결되는 레일홈(211)이 형성된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일 안내부(210); 및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레일홈(211)에 슬라이딩 체결되는 안내레일(220);를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레일홈(211)에는, 내측 상부면에서 상방으로 패인 홈으로 이루어져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동홈(213)이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메인 구동부(300)는, 전후 및 상부면 일측이 개방된 함체의 형태로 이루어져 전단측이 상기 레일부(200)의 안내레일(220)과 체결되는 구동몸체(310);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되, 면상에 복수 개의 체인홈이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동몸체(310) 및 구동홈(213)을 관통하여 상기 레일부(200)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전단이 상기 가이드부(400)와 체결되는 구동체인(320); 및 상기 구동체인(32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모터부(330);을 포함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가이드부(400)는, 상기 구동체인(320)의 전단과 체결되되, 상기 레일부(200)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구동체인(320)의 이동에 의해 전후진이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몸체(410); 및 상부면에 지지홈이 형성된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지지홈의 마주보는 내측면에 보조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몸체(410)의 후방측에서 상기 안내레일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지지몸체(420);을 포함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내시경 공급부(500)는, 중심부에 공급몸체(520)가 체결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몸체(52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틸팅부(510); 중심부에 공급홈(524)이 형성된 상태로 연장 형성되되, 연장된 전단이 일방향으로 휘어진 형태로 이루어져, 후단이 상기 틸팅부(510)와 연동되도록 체결되는 공급몸체(520); 상기 공급몸체(5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내시경부(600)가 상기 공급홈(524)을 따라 이동되면서 한 쌍의 전열관의 사이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 구동부(530);을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틸팅부(510)는, 중심부에 체결홈에 형성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부(400)의 하부에 구비되는 틸팅몸체(514); 중심부에 기어홈이 형성되어 상기 기어홈이 상기 체결홈과 동축을 갖는 상태가 되도록 상기 틸팅몸체(514)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 1틸팅기어부(511); 상기 제 1틸팅기어부(511)와 맞물리도록 이루어져 상기 틸팅몸체(514)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2틸팅기어부(512); 및 구동축의 돌출된 끝단이 전방을 향하는 상태로 상기 제 2틸팅기어부(512)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제 2틸팅기어부(512)의 일측에 구비되는 틸팅모터(513);을 포함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공급몸체(520)는, 중심부에 상기 제 1공급홈(524a)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틸팅부의 상기 기어홈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제 1틸팅기어부(511)와 연동되도록 하되, 상기 공급홈(524)의 최후단이 상기 틸팅몸체(514)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틸팅몸체(514)의 체결홈과 힌지 체결되는 연동몸체(521); 전단이 일방향으로 휘어진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일면에 상기 제 1공급홈(524a)과 형통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 2공급홈(524b)이 연장 형성되며, 후단이 상기 연동몸체(521)의 전단측과 체결되는 고정 플레이트(522); 및 전단이 일방향으로 휘어진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일면에 상기 제 2공급홈(524b)과 마주보는 제 3공급홈(524c)이 형성되어, 일면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522)의 일면과 면접촉된 상태로 구비되되, 전단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522)의 끝단과 힌지 체결된 상태로 후단이 상기 연동몸체(521)의 전단측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회동 플레이트(523);를 포함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 플레이트(522)의 일면에는, 복수 개의 제 1베어링(522a)이 연장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회동 플레이트(523)의 일면에는, 복수 개의 제 2베어링(524a)이 연장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제 2베어링(524a)은 상기 제 1베어링(522a)과 어긋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내시경부(600)는,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져,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태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체인홈이 면상에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면서 관통 형성되어 상기 공급 구동부(530)의 동작에 따라 상기 공급몸체(520)을 관통하여 이동되는 공급체인(610);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져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되 최전방에 카메라가 구비되어 전방의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공급체인(610)의 폭방향 일측에 체결되는 내시경 카메라부(620); 및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져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되 최전방에 램프가 구비되어,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공급체인(610)의 폭방향 타측에 체결되는 내시경 램프부(630);를 포함하도록 한다.
본 발명에 따르면, 내시경 공급부의 전진 및 회전이 자동으로 이루어질 수 있어 관리자가 더욱 쉽게 증기발생기의 내부 상태를 점검 및 확인할 수 있게 하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르면, 내시경 공급부의 작동 상태를 화면표시장치를 통해 관리자가 바로 인지할 수 있으며, 이를 이용하여 내시경 공급부의 동작을 조작할 수 있도록 구성되어 문제가 발생되는 경우 관리자가 바로 수습을 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도 1a는 일반적인 증기발생기를 나타낸 사시 단면도.
도 1b는 증기발생기의 내부를 도시한 1/4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F-타입 증기발생기용 중앙통로부 자동검사장치의 설치 예를 타나내는 사시도.
도 3a 및 도 3b는 본 발명에 따른 자동검사장치의 실시 예의 사시도.
도 4는 도 3a의 A구역 확대도로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베이스부의 사시도.
도 5a는 도 3a의 B구역 확대도로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메인 구동부의 일측 사시도.
도 5b는 도 3b의 C구역 확대도로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메인 구동부의 타측 사시도.
도 6a는 도 3a의 D구역 확대도로서,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평유지부의 사시도.
도 6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수평유지부의 설치 실시예의 도면.
도 7a 및 도 7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내시경 공급구의 일측 및 타측 사시도.
도 8a 및 도 8b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공급몸체의 일측 및 타측 사시도.
도 8c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공급몸체의 부분 파단 도면.
도 9는 본 발명에 적용되는 내시경부의 사시도.
도 10은 본 발명에 따른 자동검사장치의 사용 실시예를 나타내는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본 발명은 F-타입 증기발생기용 중앙통로부 자동검사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더욱 상세하게는 가이드부가 레일부를 따라 증기발생기의 내부로 인입된 상태에서 틸팅부에 의해 내시경 공급부가 회전되고, 이 상태에서 내시경이 전열관의 사이로 인입되면서 자동으로 검사가 이루어지도록 구성됨에 따라 관판상부에 적층된 슬러지 및 이물질을 안정적으로 검사할 수 있는 F-타입 증기발생기용 중앙통로부 자동검사장치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도 1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증기발생기의 중앙통로측의 핸드홀에 형성된 플랜지(14)에 설치되어 증기발생기의 내부를 검사하기 위한 F-타입 증기발생기용 중앙통로부 자동검사장치에 있어서, 베이스부(100), 레일부(200), 메인 구동부(300), 가이드부(400) 및 내시경 공급부(5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베이스부(100)는 레일부(200)의 설치를 보조하고, 설치된 레일부(200)가 일정한 위치에 고정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플랜지(14)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도록 한다.
상술하면, 상기 베이스부(100)는 전면이 상기 플랜지(14)의 외측면과 밀착된 상태로 체결되고, 후단이 후방으로 돌출된 형태로 이루어진다.
예를 들면, 상기 베이스부(100)는 하부에 상기 핸드홀과 대응되는 홈이 형성되는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상기 플랜지(14)의 외측면에 부착 구비되는 베이스 플레이트(110) 및 'ㄴ'자로 절곡된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10)의 후면에 부착 구비되는 베이스 몸체(1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베이스 몸체(120)에는 절곡된 부분의 내구성을 향상하기 위한 강화부재가 더 구비될 수 있다.
한편, 상기 레일부(200)는 내시경을 증기방생기의 내부로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핸드홀을 관통하여 증기 발생기의 내부로 인입 설치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부(100)에 의해 고정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레일부(200)는 레일 안내부(210) 및 안내레일(220)을 포함한다.
도 5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레일 안내부(210)는 상기 베이스 몸체(12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도록 이루어지되, 하부면에 안내레일(220)이 슬라이딩 체결되는 레일홈(211)이 형성된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레일홈(211)은 개방된 하부 끝단에서 폭방향 내측으로 돌출되되, 상기 레일홈(211)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돌기(212) 및 상기 레일홈(211)의 상부면에서 상방으로 패인 홈으로 이루어져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동홈(21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한편, 상기 안내레일(22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레일홈(211)에 슬라이딩 체결되도록 한다.
상술하면, 상기 안내레일(220)의 양측면에는 내측으로 패인 홈으로 이루어지되,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걸림홈(221)이 형성되어 상기 레일홈(211)의 걸림돌기(212)가 상기 걸림홈(221)의 상부 단턱에 걸림되도록 함에 따라 상기 레일홈(211)에 안내레일(220)이 슬라이딩 체결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안내레일(220)은 하나의 프레임이 연장된 형태로 이루어지거나, 복수 개의 프레임이 연결된 형태로 이루어질 수 있는데, 설치 및 운반의 편의성을 위해 복수 개의 안내레일(220)이 현장에서 설치 체결되면서 연장된 형태가 되도록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안내레일(220)은 상기 레일 안내부(210)의 후단측에서 레일홈(211)에 슬라이딩되면서 상기 증기 발생기의 내부로 인입되도록 하며, 상기 안내레일(220)이 완전히 최전방으로 이동하게 되면, 상기 레일 안내부(210)의 측면에 형성된 볼팅홈에 볼트를 체결함으로써 상기 안내레일(220)이 고정 설치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레일홈(211)에 상기 안내레일(220)이 체결된 상태일 때, 상기 안내레일(220)의 상부면은 상기 레일홈(211)의 내측면과는 밀착된 상태가 되고, 상기 구동홈(213)과의 사이에는 소정의 공간이 형성된 상태가 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안내레일(220)의 전방에는 상이 안내레일(220)이 상기 증기발생기의 중앙통로측 내부로 인입된 이후, 상기 안내레일(220)이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하기 위한 수평유지부(230)이 더 구비되도록 한다.
도 6a 및 도 6b를 참조하여 상술하면, 상기 수평유지부(230)은 탄성력을 갖는 소재로 이루어져, 상하 및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안내레일(220)의 최전방에 구비되며, 상기 증기발생기의 중앙 통로의 중심부에 구비된 지지관에 억지 체결되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증기발생기의 중앙 통로측 바닥에는 각종 배관과 장비들이 구비되어 있기 때문에 바퀴 등의 지지부재를 이용하여 안내레일(220)을 중앙통로의 내부로 진입시키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상기 안내레일(220)의 최전방에 상기 수평유지부(230)를 구비하여 상기 안내레일(220)이 중앙통로의 내측으로 완전히 인입된 상태가 되면, 상기 수평유지부(230)의 개방된 전단으로 상기 지지관이 억지 끼움됨에 따라 상기 안내레일(220)의 수평한 상태를 유지할 수 있게 한다.
도 5a 및 도 5b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편, 상기 메인 구동부(300)은 가이드부(400)를 운반하기 위한 것으로서, 가이드부(400)를 상기 레일부(20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레일부(200)의 후방에 구비되는데, 이를 위해 상기 메인 구동부(300)은 구동몸체(310), 구동체인(320) 및 구동모터부(330)를 포함한다.
상기 구동몸체(310)은 전후 및 상부면 일측이 개방된 함체의 형태로 이루어져 전단측이 상기 레일부(200)의 안내레일(220)과 체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구동몸체(310)의 내부에는 복수 개의 구동 베어링부(311)가 전후방향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한다.
상술하면, 상기 구동 베어링부(311)는 좌우방향으로 연장되어 양단이 상기 구동몸체(310)의 폭방향 내부면에 각각 체결되는 베어링 고정부(311a) 및 일면에 플랜지(14)가 구성되어, 플랜지(14)가 상기 베어링의 폭방향 내부면을 향하는 상태로 한 쌍이 상기 베어링 고정부(311a)에 회전 가능하게 체결되는 플랜지 베어링(311b)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한 쌍의 플랜지 베어링(311b)은 상호 구성 간의 사이에 소정의 거리가 유지되는 상태로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구동체인(320)은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되, 면상에 복수 개의 체인홈이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동몸체(310)을 관통하여 상기 레일부(200)의 상부에 안착되도록 한다.
상술하면, 상기 구동체인(320)은 상기 플랜지 베어링(311b)의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플랜지 베어링(311b)의 플랜지(14)에 의해 좌우이동이 제한된 상태로 상기 구동몸체(310)의 내부에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비되며, 상기 구동체인(320)의 전단은 상기 구동홈(213)을 관통하여 상기 안내레일(220)의 상부면에 안착된 상태로 안내되면서 전후 이동이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상기 구동모터부(330)는 상기 구동체인(32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술하면, 상기 구동체인(320)의 체인홈과 맞물리도록 이루어져, 상기 구동몸체(310)의 개방된 상부면에 구비되는 구동 스프라켓(331) 및 상기 구동 스프라켓(331)이 정방향 및 역방향으로 회전하도록 구동력을 전달하는 구동모터(332)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상기 구동모터부(330)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구동체인(320)이 전진하게 되고, 역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구동체인(320)이 후진하도록 이루어진다.
도 7a 및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가이드부(400)는 내시경의 전후진을 안내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메인 구동부(300)에 의해 상기 레일부(20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데, 상술하면, 상기 가이드부(400)는 가이드 몸체(410) 및 지지몸체(42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가이드 몸체(410)는 상기 구동체인(320)의 전단과 체결되되, 상기 레일부(20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구동체인(320)의 이동에 의해 전후진이 가능하게 한다.
상술하면, 상기 가이드 몸체(410)는 일측에 상기 안내레일(220)이 관통되어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체결되는 슬라이딩홈(412)이 형성되고, 상기 구동체인(320)의 단부가 상부 일측에 체결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지지몸체(420)는 상기 가이드 몸체(410)의 전후 이동을 보조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부면에 지지홈이 형성된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지지홈의 마주보는 내측면에 보조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몸체의 후방측에서 상기 안내레일(22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비된다.
이때, 상기 보조롤러가 상기 걸림홈(221)의 하측 단차에 걸린 상태가 됨에 따라 상기 지지몸체(420)가 안내레일(22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 가능하게 한다.
한편, 상기 내시경 공급부(500)은 전단이 일방향으로 휘어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부에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며, 휘어진 전단이 한 쌍의 전열관을 향하는 상태로 회전된 상태에서 내시경부(600)가 인출입되도록 한다.
상술하면, 상기 내시경 공급부(500)은 틸팅부(510), 공급몸체(520) 및 공급 구동부(5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도 7b를 참조하면, 상기 틸팅부(510)는 중심부에 공급몸체(520)가 체결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몸체(52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는데, 이를 위해 틸팅몸체(514), 제 1틸팅기어부(511), 제 2틸팅기어부(512) 및 틸팅모터(513)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틸팅몸체(514)는 중심부에 체결홈에 형성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 몸체의 하부에 구비되도록 한다.
상기 제 1틸팅기어부(511)는 중심부에 기어홈이 형성되어 상기 기어홈이 상기 체결홈과 동축을 갖는 상태가 되도록 상기 틸팅몸체(514)의 전방에 구비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제 2틸팅기어부(512)는 상기 제 1틸팅기어부(511)와 맞물리도록 이루어져 상기 틸팅몸체(514)의 일측에 구비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1틸팅기어부(511) 및 제 2틸팅기어부(512)는 소정의 부피를 갖는 케이스의 내부에 구비된 상태로 구비되도록 하여 각 기어가 외부로부터 보호되는 상태로 동작이 이루어질 수 있게 한다.
한편, 상기 틸팅모터(513)는 구동축의 돌출된 끝단이 전방을 향하는 상태로 상기 제 2틸팅기어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제 2틸팅기어의 일측에 구비된다.
도 8a 및 도 8b를 참조하면, 상기 공급몸체(520)는 중심부에 공급홈(524)이 형성된 상태로 연장 형성되되, 연장된 전단이 일방향으로 휘어진 형태로 이루어져, 후단이 상기 제 1틸팅기어부와 연동되도록 체결되도록 한다.
더욱 상세하게는 상기 공급몸체(520)는 연동몸체(521), 고정 플레이트(522) 및 회동 플레이트(523)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기 연동몸체(521)는 중심부에 상기 제 1공급홈(524a)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기어홈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제 1틸팅기어부와 연동되도록 하되, 상기 공급홈(524)의 최후단이 상기 틸팅몸체(514)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틸팅몸체(514)의 체결홈과 힌지 체결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고정 플레이트(522)는 전단이 일방향으로 휘어진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일면에 상기 제 1공급홈(524a)과 형통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 2공급홈(524b)이 연장 형성되며, 후단이 상기 연동몸체(521)의 전단측과 체결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고정 플레이트(522)의 일면에는 복수 개의 제 1베어링(522a)이 연장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회동 플레이트(523)은 전단이 일방향으로 휘어진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일면에 상기 제 2공급홈(524b)과 마주보는 제 3공급홈(524c)이 형성되어, 일면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522)의 일면과 면접촉된 상태로 구비되되, 전단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522)의 끝단과 힌지 체결된 상태로 후단이 상기 연동몸체(521)의 전단측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도록 한다.
이때, 상기 제 2공급홈(524b)과 제 3공급홈(524c)은 동일한 폭을 갖도록 이루어져, 상기 고정 플레이트(522)와 회동 플레이트(523)이 체결된 상태일 때 하나의 홈을 이루도록 하며, 이는 상기 제 1공급홈(524a)과 연통되어 하나의 연장된 홈을 구성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상기 회동 플레이트(523)의 일면에는 복수 개의 제 2베어링(524a)이 연장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도록 하는데, 이때, 상기 제 2베어링(524a)은 상기 제 1베어링(522a)과 어긋하게 배치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공급 구동부(530)는 상기 공급몸체(5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이후 후술할 내시경부(600)가 상기 공급홈(524)을 따라 이동되어 한 쌍의 전열관의 사이로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상술하면, 상기 공급 구동부(530)는 공급모터(531) 및 상기 공급모터(531)로부터 구동력을 전달받아 내시경부(600)로 전달하는 공급기어부를 포함하며, 상기 공급기어부를 구성하는 복수 개의 기어는 사용자가 원하는 내시경부(600)의 공급속도에 따라 적절하게 설계하여 구성할 수 있게 한다.
도 9에 따르면, 상기 내시경부(600)는 최전방에 내시경 카메라부(620)가 구비된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공급 구동부(530)의 동작에 따라 상기 공급경로를 따라 한 쌍의 전열관의 사이로 공급되도록 한다.
이를 위해 상기 내시경부(600)는 공급체인(610), 내시경 카메라부(620) 및 내시경 램프부(63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하면, 상기 공급체인(610)은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져,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태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체인홈이 면상에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면서 관통 형성되어 상기 공급경로를 따라 이동되도록 배치된다.
상술하면, 상기 공급체인(610)은 일정한 텐션을 갖는 상태로 공급되도록 하기 위해, 상기 공급체인(610)을 기준으로 2개 이상의 공급 베어링(513) 중 하나 이상의 공급 베어링(513)은 상기 공급체인(610)의 일면측과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하고, 나머지 베어링 중 하나 이상의 공급 베어링(513)은 상기 공급체인(610)의 타면측과 접촉된 상태가 되도록 함으로써, 상기 공급체인(610)이 일정한 텐션을 갖는 상태로 공급될 수 있게 한다.
이때, 상기 공급 베어링(513) 중 상기 공급체인(610)의 배출구와 가장 인접하게 배치된 공급 베어링(513)은 상기 공급체인(610)보다 후방측에 위치된 상태에서 상기 공급체인(610)의 공급을 안내함에 따라 상기 공급체인(610)이 상기 공급몸체(520)에 의해 보호되는 상태로 공급되게 하되, 정확한 위치로 공급이 이루어지게 한다.
한편, 상기 공급체인(610)은 증기 발생기의 내부 직경에 대응하여 충분한 길이를 갖도록 이루어진다.
한편, 상기 내시경 카메라부(620)는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져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되 최전방에 카메라가 구비되어 전방의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공급체인(610)의 폭방향 일측에 체결되도록 한다.
한편, 상기 내시경 램프부(630)는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져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되 최전방에 램프가 구비되어,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공급체인(610)의 폭방향 타측에 체결되도록 한다.
한편, 본 발명에서 각 모터들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된 제어부에 의해 이루어지는데, 상기 제어부는 화면표시장치와 연결되고, 상기 화면표시장치에는 각 모터를 조작할 수 있는 각종 버튼 등이 출력되도록 하여 관리자가 이를 쉽게 조작할 수 있게 한다.
이때, 본원발명에서는 관리자가 장치의 동작상태를 쉽게 인지하여 제어할 수 있도록 하기 위해 내시경 공급 확인부(7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상술하면, 상기 내시경 공급 확인부(700)는 상기 내시경부(600)의 공급을 확인하기 위한 것으로서,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1)에서 하부방향을 촬영하도록 구비되는 공급 확인용 카메라 및 상기 공급 확인용 카메라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플레이트(411)의 하부방향으로 빛을 조사하는 공급 확인용 램프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이때, 상기 공급 확인용 카메라는 상기 제어부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도록 하고, 이에 의해 촬영되는 영상은 상기 화면표시장치로 송출되어 관리자가 이를 확인하면서 자동검사로봇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본원발명에서는 가이드부(300)의 전후진 상황을 확인하면서 상기 메인 구동부(300)의 동작을 제어할 수 있으며, 상기 가이드부(300)가 일정한 위치에 정지한 상태에서 상기 공급몸체(520)의 회전상태를 확인하여 원하는 각도로 회전한 것이 화면상에서 확인되면, 상기 공급 구동부(530)을 동작하여 공급체인(530)이 인입 또는 인출되도록 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공급 확인용 카메라는 상기 공급체몸체(510)의 구동구측을 촬영하게 되는바, 상기 공급체인(530)의 인출 및 인입 상황을 실시간으로 확인하면서 제어할 수 있게 한다.
상기한 구성에 따라 본 발명에서는 자동으로 내시경부(600)을 조작하여 증기발생기의 내부 상황을 검사할 수 있게 한다.
상술하면, 상기 베이스부(100)를 중앙통로용 플랜지(14)에 설치하고, 이에 상기 가이드부(400)가 최후방에 배치된 상태가 되도록 레일부(200)을 설치한 뒤, 상기 메일 구동부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동작하게 되면, 상기 구동체인(320)이 구동 스프라켓(331)에 의해 전진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가이드부(400)가 전하면서 증기 발생기의 내측으로 인입하게 된다.
이후, 상기 가이드부(400)가 검사가 필요한 적절한 위치에 도달하게 되면, 상기 메인 구동부(300)이 정지하게 되고, 이후, 상기 틸팅모터(513)가 정방향으로 회전하도록 동작하고, 이로 인해 상기 공급몸체(520)는 정방향으로 회동하면서 휘어진 전단측이 전열관을 향하는 상태로 회전하게 된다.
상태에서 상기 공급모터(531)가 정방향으로 회전하게 되면, 상기 공급체인(610)이 점차 전진하게 되고, 내시경부(600)이 이에 연동되어 전진하게 되면서 점검이 이루어지며, 상기 공급체인(610)의 완전히 인입된 후에는 상기 공급모터(531)가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공급체인(610)이 다시 인출되면서 내시경부(600) 또한 인출되게 한다.
이후, 상기 내시경부(600)이 완전히 인출된 뒤, 상기 틸팅모터(513)는 역방향으로 회전하여 상기 내시경부(600)이 수직하방을 향하는 상태로 원위치되며, 이 상태에서 상기 메인 구동부(300)이 정방향 또는 역방향으로 회전하면서 상기 가이드부(400)가 전진 또는 후진하여 다른 인접한 전열관의 사이 공간에 대응되는 위치로 이동하게 하며, 이후, 다시 공급몸체(520)를 회전하고 내시경부(600)을 인입 및 인출하는 과정이 반복적으로 이루어지면서 검사가 완료될 수 있게 한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본 발명의 실시 예와 실질적으로 균등한 범위에 있는 것까지 본 발명의 권리범위가 미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하며, 본 발명의 정신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 실시가 가능하다.
100 : 베이스부 110 : 베이스 플레이트
120 : 베이스 몸체
200 : 레일부 210 : 레일 안내부
211 : 레일홈 212 : 걸림돌기
213 : 구동홈
220 : 안내레일 221 : 걸림홈
230 : 수평유지부
300 : 메인 구동부 310 : 구동몸체
311 : 구동 베어링부 311a : 베어링 고정부
311b : 플랜지 베어링
320 : 구동체인 330 : 구동모터부
331 : 구동 스프라켓 332 : 구동모터
400 : 가이드부 410 : 가이드 몸체
411 : 가이드 플레이트 412 : 슬라이딩홈
420 : 지지몸체 421 : 지지홈
500 : 내시경 공급부 510 : 틸팅부
511 : 제 1틸팅기어부 512 : 제 2틸팅기어부
513 : 틸팅모터 514 : 틸팅몸체
520 : 공급몸체 521 : 연동몸체
522 : 고정 플레이트 522a : 제 1베어링
523 : 회동 플레이트 523a : 제 2베어링
524 : 공급홈 524a : 제 1공급홈
524b : 제 2공급홈 524c : 제 3공급홈
530 : 공급 구동부 531 : 공급모터
532 : 공급 기어부
600 : 내시경부 610 : 공급체인
620 : 내시경 튜브 621 : 내시경 카메라
622 : 내시경 램프
700 : 내시경 공급 확인부

Claims (10)

  1. 증기발생기의 중앙통로측의 핸드홀에 형성된 플랜지(14)에 설치되어 증기발생기의 내부를 검사하기 위한 F-타입 증기발생기용 중앙통로부 자동검사장치에 있어서,
    상기 플랜지(14)의 외측에 고정 설치되는 베이스부(100);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어 상기 핸드홀을 관통하여 증기 발생기의 내부로 인입 설치된 상태로 상기 베이스부(100)에 의해 고정되는 레일부(200);
    가이드부(400)를 상기 레일부(20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어 상기 레일부(200)의 후방에 구비되는 메인 구동부(300);
    상기 메인 구동부(300)에 의해 상기 레일부(20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이동 가능하게 구성되는 가이드부(400); 및
    전단이 일방향으로 휘어진 형태로 이루어져, 상기 가이드부에 좌우방향으로 회동 가능하게 체결되며, 휘어진 전단이 한 쌍의 전열관을 향하는 상태로 회전된 상태에서 내시경부(600)가 인출입되도록 하는 내시경 공급부(50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타입 증기발생기용 중앙통로부 자동검사장치.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레일부(200)는,
    상기 베이스부(100)의 일측에 고정 설치되도록 이루어지되, 하부면에 안내레일(220)이 슬라이딩 체결되는 레일홈(211)이 형성된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레일 안내부(210); 및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프레임으로 이루어져, 상기 레일홈(211)에 슬라이딩 체결되는 안내레일(22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타입 증기발생기용 중앙통로부 자동검사장치.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레일홈(211)에는,
    내측 상부면에서 상방으로 패인 홈으로 이루어져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는 구동홈(213)이 구비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타입 증기발생기용 중앙통로부 자동검사장치.
  4. 청구항 2에 있어서,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메인 구동부(300)는,
    전후 및 상부면 일측이 개방된 함체의 형태로 이루어져 전단측이 상기 레일부(200)의 안내레일(220)과 체결되는 구동몸체(310);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태로 이루어지되, 면상에 복수 개의 체인홈이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도록 형성되어, 상기 구동몸체(310) 및 구동홈(213)을 관통하여 상기 레일부(200)의 상부에 안착된 상태로 전단이 상기 가이드부(400)와 체결되는 구동체인(320); 및
    상기 구동체인(320)이 전후방향으로 이동되도록 하는 구동모터부(3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타입 증기발생기용 중앙통로부 자동검사장치.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가이드부(400)는,
    상기 구동체인(320)의 전단과 체결되되, 상기 레일부(200)를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이 가능하게 구성되어 상기 구동체인(320)의 이동에 의해 전후진이 가능하게 하는 가이드 몸체(410); 및
    상부면에 지지홈이 형성된 상태로 전후방향으로 연장 형성되되, 상기 지지홈의 마주보는 내측면에 보조롤러가 구비되어 상기 가이드 몸체(410)의 후방측에서 상기 레일부(200)을 따라 전후방향으로 슬라이딩 이동되도록 구비되는 지지몸체(42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타입 증기발생기용 중앙통로부 자동검사장치.
  6.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 공급부(500)는,
    중심부에 공급몸체(520)가 체결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부의 하단측에 구비되어 상기 공급몸체(520)가 좌우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게 하는 틸팅부(510);
    중심부에 공급홈(524)이 형성된 상태로 연장 형성되되, 연장된 전단이 일방향으로 휘어진 형태로 이루어져, 후단이 상기 틸팅부(510)와 연동되도록 체결되는 공급몸체(520);
    상기 공급몸체(520)의 일측에 구비되어 상기 내시경부(600)가 상기 공급홈(524)을 따라 이동되면서 한 쌍의 전열관의 사이로 공급되도록 하는 공급 구동부(530);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타입 증기발생기용 중앙통로부 자동검사장치.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틸팅부(510)는,
    중심부에 체결홈에 형성된 상태로 상기 가이드부(400)의 하부에 구비되는 틸팅몸체(514);
    중심부에 기어홈이 형성되어 상기 기어홈이 상기 체결홈과 동축을 갖는 상태가 되도록 상기 틸팅몸체(514)의 전방에 구비되는 제 1틸팅기어부(511);
    상기 제 1틸팅기어부(511)와 맞물리도록 이루어져 상기 틸팅몸체(514)의 일측에 구비되는 제 2틸팅기어부(512); 및
    구동축의 돌출된 끝단이 전방을 향하는 상태로 상기 제 2틸팅기어부(512)와 연결되어 구동력을 전달하도록 이루어져, 상기 제 2틸팅기어부(512)의 일측에 구비되는 틸팅모터(513);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타입 증기발생기용 중앙통로부 자동검사장치.
  8. 청구항 7에 있어서,
    상기 공급몸체(520)는,
    중심부에 상기 제 1공급홈(524a)이 전후방향으로 연장된 상태로 상기 틸팅부의 상기 기어홈에 삽입 체결되어 상기 제 1틸팅기어부(511)와 연동되도록 하되, 상기 공급홈(524)의 최후단이 상기 틸팅몸체(514)의 외부로 노출된 상태가 되도록 상기 틸팅몸체(514)의 체결홈과 힌지 체결되는 연동몸체(521);
    전단이 일방향으로 휘어진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일면에 상기 제 1공급홈(524a)과 형통된 상태가 되도록 하는 제 2공급홈(524b)이 연장 형성되며, 후단이 상기 연동몸체(521)의 전단측과 체결되는 고정 플레이트(522); 및
    전단이 일방향으로 휘어진 플레이트로 이루어져, 일면에 상기 제 2공급홈(524b)과 마주보는 제 3공급홈(524c)이 형성되어, 일면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522)의 일면과 면접촉된 상태로 구비되되, 전단이 상기 고정 플레이트(522)의 끝단과 힌지 체결된 상태로 후단이 상기 연동몸체(521)의 전단측에 선택적으로 고정되는 회동 플레이트(523);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타입 증기발생기용 중앙통로부 자동검사장치.
  9. 청구항 8에 있어서,
    상기 고정 플레이트(522)의 일면에는,
    복수 개의 제 1베어링(522a)이 연장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도록 하고,
    상기 회동 플레이트(523)의 일면에는,
    복수 개의 제 2베어링(524a)이 연장방향으로 소정 거리 이격 배치되도록 하며,
    상기 제 2베어링(524a)은 상기 제 1베어링(522a)과 어긋하게 배치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타입 증기발생기용 중앙통로부 자동검사장치.
  10.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내시경부(600)는,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져,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는 띠 형태로 형성되며, 복수 개의 체인홈이 면상에 등간격으로 이격 배치되면서 관통 형성되어 상기 공급 구동부(530)의 동작에 따라 상기 공급몸체(520)을 관통하여 이동되는 공급체인(610);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져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되 최전방에 카메라가 구비되어 전방의 이미지를 촬영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공급체인(610)의 폭방향 일측에 체결되는 내시경 카메라부(620); 및
    유연한 소재로 이루어져 전후방향으로 연장되되 최전방에 램프가 구비되어, 전방으로 빛을 조사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공급체인(610)의 폭방향 타측에 체결되는 내시경 램프부(630);
    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F-타입 증기발생기용 중앙통로부 자동검사장치.
KR1020210021988A 2021-02-18 2021-02-18 F-타입 증기발생기용 중앙통로부 자동검사장치 KR10245894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988A KR102458945B1 (ko) 2021-02-18 2021-02-18 F-타입 증기발생기용 중앙통로부 자동검사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988A KR102458945B1 (ko) 2021-02-18 2021-02-18 F-타입 증기발생기용 중앙통로부 자동검사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177A true KR20220118177A (ko) 2022-08-25
KR102458945B1 KR102458945B1 (ko) 2022-10-25

Family

ID=8311149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988A KR102458945B1 (ko) 2021-02-18 2021-02-18 F-타입 증기발생기용 중앙통로부 자동검사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8945B1 (ko)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1980A (ko) * 2006-12-07 2008-06-1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용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표면 검사장치
KR101086344B1 (ko) * 2009-07-01 2011-11-2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증기발생기 2차측 관판 상부의 전열관 다발 틈새 육안 검사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1501843B1 (ko) 2013-10-22 2015-03-1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 증기발생기 내부 검사용 내시경 가이드 장치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80051980A (ko) * 2006-12-07 2008-06-11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원자력발전용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표면 검사장치
KR101086344B1 (ko) * 2009-07-01 2011-11-23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증기발생기 2차측 관판 상부의 전열관 다발 틈새 육안 검사 및 이물질 제거장치
KR101501843B1 (ko) 2013-10-22 2015-03-12 한전케이피에스 주식회사 원자력 발전소 증기발생기 내부 검사용 내시경 가이드 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8945B1 (ko) 2022-10-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85139B2 (en) Apparatus for visually inspecting and removing foreign object in gaps of bundle of heating tubes of upper portion of tube sheet of secondary side of steam generator
CN102421571B (zh) 利用磁检查车的检查系统和检查方法
US20150048059A1 (en) Laser Welding Apparatus, Preventive Maintenance Method for Reactor Internal of Nuclear Power Plant, and Laser Cutting Apparatus
CZ247294A3 (en) Device for checking a supporting plate
KR102297974B1 (ko) 증기발생기용 노튜브레인 자동검사로봇
KR102458945B1 (ko) F-타입 증기발생기용 중앙통로부 자동검사장치
KR102242530B1 (ko) 표준형 증기발생기의 노튜브레인 검사장치
KR101160660B1 (ko) 전열관 검사로봇의 입퇴실장치
KR100597533B1 (ko) 증기발생기의 2차측 전열관 검사장치
KR102212469B1 (ko)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US4615198A (en) Apparatus and method for reforming and rolling tube ends
KR100855117B1 (ko) 원자력발전용 증기발생기의 전열관 표면 검사장치
JP2001159696A (ja) ジェットポンプの検査補修方法および装置
KR102197774B1 (ko) 증기발생기 검사장치
KR20160150542A (ko) 증기 발생기의 용접부 검사 장치
KR102335650B1 (ko) 증기발생기의 내부 이물질 검사 및 제거장치
KR20130008889A (ko) 캠락형 증기발생기의 검사용 경량로봇
KR102487516B1 (ko) 증기발생기 처리 장치
US8978493B2 (en) Conduit length adjustment apparatus and method
KR20230065409A (ko)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
KR20230030057A (ko)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장치 및 이를 이용한 증기발생기의 이물질 제거 방법
KR20240006166A (ko) 증기발생기용 세정로봇
JP2010019699A (ja) 遮蔽用構造体及び蒸気発生器水室の管台保守方法
KR820001696B1 (ko) 원격 접근 장치에 달린 캠로크
JPH02228593A (ja) 原子炉炉内機器構造物の据付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