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8093A - 비대면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비대면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8093A
KR20220118093A KR1020210021792A KR20210021792A KR20220118093A KR 20220118093 A KR20220118093 A KR 20220118093A KR 1020210021792 A KR1020210021792 A KR 1020210021792A KR 20210021792 A KR20210021792 A KR 20210021792A KR 20220118093 A KR20220118093 A KR 2022011809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information
person
monitoring system
managed
fa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79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명호
Original Assignee
유명호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유명호 filed Critical 유명호
Priority to KR102021002179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8093A/ko
Publication of KR2022011809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809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8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e.g. flu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004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characterised by the type of physiological signal transmitted
    • A61B5/0008Temperature signal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1Measuring temperature of body parts ; Diagnostic temperature sensing, e.g. for malignant or inflamed tissue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4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 G16H40/67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administration of healthcare resources or facilities;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management or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the operation of medical equipment or devices for remote operation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2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omputer-aided diagnosis, e.g. based on medical expert system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ublic Health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Biophysic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Surger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Physiology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General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Measuring And Recording Apparatus For Diagnosi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비대면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대상자의 자가격리 준수여부를 실시간으로 통합관제서버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이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취할 수 있도록 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 대상자에게 자신의 생체신호에 대한 건강 모니터링을 통해 지속적인 관리를 유도하고, 통합관제서버를 통해 관리 대상자에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여, 관리 대상자와 통합관제서버간 정보공유를 유지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특히, 본 발명의 모니터링 시스템은 비대면 방식으로 진행됨을 특징으로 하고, 통합관제서버가 관리 대상자의 위치정보, 특히 위치 이탈 정보에 대하여 신속하게 대응할 수 있도록 하여, 감염자 또는 관리 대상자가 수용공간 또는 자가격리 공간을 이탈하여 발생하는 다양한 사회적 문제점을 해소하고자 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이다.

Description

비대면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Non-face-to-face home care target monitoring system}
본 발명은 비대면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으로, 상세하게는 대상자의 자가격리 준수여부를 실시간으로 통합관제서버로 인지할 수 있도록 하여, 이에 대한 신속한 대응을 취할 수 있도록 한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관리 대상자에게 자신의 생체신호에 대한 건강 모니터링을 통해 지속적인 관리를 유도하고, 통합관제서버를 통해 관리 대상자에 실시간 정보를 제공하여, 관리 대상자와 통합관제서버간 정보공유를 유지하는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현대사회는 다양한 정보통신기기를 이용한 비대면 서비스 플렛폼이 존재한다.
상기의 비대면 서비스 플렛품에서 보건에 비중을 갖는, 관리 대상자의 비대면 출입공간 모니터링, 비대면 선별진료 시스템, 비대면 홈케어 시스템이 대표적이라 할 수 있다.
상기의 서비스에서 홈케어 시스템은, 현장에 의료진, 관리자 등이 존재하지 않고도, 현장의 정보를 수집하여 대상자에게 필요한 서비를 제공하는 비대면 홈케어 서비스가 활용되고 있다.
공개된 등록특허 제10-2029342호 '사물인터넷 기반의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이하 인용발명1)과, 등록특허 제10-2183621호 '영상기반 홈 케어 모니터링 장치 및 방법'(이하 인용발명2)은, 그 대표적인 기술이다.
상기의 인용발명1은 독거노인을 대상한 홈케어 모니터링으로 대상자의 신체정보를 외부에서 케어할 수 있도록 필요한 정보를 사물인터넷(IoT)을 활용한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인용발명2는, 홈케어 대상에 대한 정보를 영상을 통해 정보를 수집하여, 이를 활용하여 필요한 서비스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상기의 인용발명1의 경우, 서비스를 제공하는 방법에서 관리 대상자가 사물인터넷으로 정보를 수집할 수 있는 공간에 존재하여야 하고, 인용발명2의 경우 관리 대상자가 영상촬영 범위에 존재하여만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또한, 상기의 홈케어 시스템의 경우, 감염자와 의심자 및 일반인을 구분하여, 각각의 상황에 맞는 서비스를 제공하는 홈케어 시스템으로 활용하는데는 부족함이 발생할 수 있다.
특히, 전염병의 경우 확진자 및 의심자에 대한 격리가 요구되고 있으며, 특히 감염이 의심되는 대상자의 경우 일정기간 자가격리를 통해 사회와 분리하고, 대상자를 모니터링 하는 것으로 전염병 확산을 방지하는 형태를 취한다.
그러므로 상기와 같은 인용발명1, 2에 의한 홈케어 시스템의 경우 아래와 같은 문제점이 발생한다.
관리 대상자가 정해진 구역을 벗어나는 경우 이를 식별하는 인지기능이 매우 부족할 수 있다.
또한, 이를 확인하기 위해 관계자 직접 관리 대상자가 거주하는 구역으로 들어가는 경우 바이러스에 감염될 위험성이 높아진다.
이러한 환경속에서도 관리자는 관리 대상자의 정확한 건강상태를 확인하기 위하여 관리 대상자의 체온, 혈압 등과 같은 생체신호를 수집하여야 하지만 정확한 정보의 수집이 어렵고, 관리 대상자의 자가격리 의무준수를 대상자의 준법정신이나 도덕성에 의존하거나, 외부 모니터링이 가능한 휴대 단말기 또는 위치 추적기의 신호를 이용하여 대상자의 위치를 파악하고자 하나, 기지국이 휴대 단말기와 위치 추적기를 인지하는 범위가 실제 대상자가 거주하는 공간보다 넓은 범위를 포함하고 있어, 관리자는 단순히 휴대 단말기 또는 위치 추적기만을 이용하여 관리 대상자가 거주구역을 이탈 여부를 판단하지 못하는 것이다.
일례의 관리 대상자가 일반 가정집의 방1의 크기인 가로세로 3m 공간에서 격리되는 경우, 상기의 공간에서 이탈하여 다른 방이나 거실, 주방 등으로 이동하여도 실제 관제서버에서는 인지하지 못게 된다.
심지어, 거주공간을 벗으나 반경 50m 범위에서 활동하여도 이를 감지하게는 많은 기술적 어려움이 있다.
상기와 같은 관리 대상자의 거주구역 이탈에 대한 정보의 오류는 전염병 확산이라는 심각한 사회적 문제가 될 수 있으므로, 이로 인한 많은 행정력 낭비 및 경제적 손실이 발생하므로, 이를 해결할 수 있는 개선한 비대면 모니터링 시스템이 요구되고 있다.
본 발명은 관리 대상자의 위치 및 위치 이탈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므로, 관리 대상자의 이탈로 발생하는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관리 대상자의 주기적 체온 변화를 비대면으로 확인하므로, 대면진료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는데 목적이 있다.
또한, 관리 대상자가 자신의 체온 변화를 모니터링 하고, 체온 변화에 따른 건강상태를 제공 받는데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는 수단으로, 개선된 비대면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을 제공한다.
상기의 모니터링 시스템의 특징은 다음과 같다.
본 발명에 따른 모니터렁 시스템은 대상자의 주거공간에 설치되어, 고정위치 정보를 제공하는 제1장치를 갖는다.
상기의 제1장치는 위치 센서와 위치정보를 송출하는 통신부 및 장치의 동작을 위한 전원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모리터링 시스템은 제1장치의 고정위치 신호를 수신하고, 제1장치의 위치신호에 대한 ON-OFF로 반응하는 제2장치를 갖는다.
상기의 제2장치는 관리 대상자의 신체 정보를 수집하는 생체신호 센서와,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기록하는 메모리를 갖는다.
상기의 제2장치는 메모리의 저장된 데이터와 제1장치의 위치신호에 반응하는 센서 인식부와, 메모리 정보 및 센서 인식부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부를 갖는다.
상기의 제2장치의 통신부는 근거리 무선통신(bluetooth)을 갖는다.
상기의 제2장치는 내부정보인 체온측정 결과 및 통신 ON-OFF 상태를 외부로 표시하는 표시수단을 갖는다.
상기의 제2장치는 장치 운영을 위한 내부 운용 프로그램과 장치의 동작을 위한 전원부를 갖는다.
본 발명에 따른 모리터링 시스템은 제2장치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에 대하여 통합 관제서버에 제공하는 사용자 프로그램이 내장된 제3장치를 갖는다.
상기의 제3장치는 무선통신을 기반으로하는 휴대 전화이다.
상기 제3장치의 내부 프로그램은 휴대 전화에 인스톨(install) 되는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APP) 형태이다.
본 발명은 관리 대상자의 위치 및 위치 이탈을 실시간으로 모니터링 하므로, 관리 대상자의 이탈로 발생하는 전염병의 확산과 이를 해소하기 위한 사회적 비용을 절감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관리 대상자의 주기적 체온 변화를 비대면으로 확인하므로, 대면진료로 인한 문제점을 해결하여, 대상자의 관리를 안전하게 하는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은 관리 대상자가 자신의 생체신호 정보에 대한 솔루션을 제공받고 모니터링 할 수 있어, 자신의 건강상태를 확인하여 치료 및 보건에 더욱 신중을 기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개념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모니텅 시스템의 사용 예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참고로, 본 발명을 설명하는 데 참조하는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 선의 두께 등은 이해의 편의상 다소 과장되게 표현되어 있을 수 있다. 또, 본 발명의 설명에 사용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한 것이므로 사용자, 운용자 의도, 관례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따라서, 이 용어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리는 것이 마땅하겠다.
본 발명의 구성을 첨부한 도면에 의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첨부한 도 1에서 알 수 있듯이, 본 발명에 따른 비대면 홈케어 모니터링 시스템(100)은, 제1장치(10)와, 제2장치(20) 및 제3 장치(30)로 구성됨을 알 수 있다.
상기의 제1장치(10)를 상세하게 설명하면, 대상자의 거주 공간에 설치되어 위치 신호의 기준을 제공 할 수 있도로 위치 센서(11)를 갖는다.
상기의 제2장치(20)는 제1장치(10)의 위치 센서(11)을 인지하는 센서 인식부(23)를 갖는다.
또한, 센서 인식부(23)의 신호에 대한 거리 값 입력과 제1장치(10)에 대한 신호 값 이탈에 대한 정보를 제공하는 운용 프로그램(26)을 갖는다.
또한, 제2장치(20)는 상기의 대상자의 체온의 변화를 감지하는 생체신호 센서(23)를 갖는다.
또한, 제2장치(20)은 대상자로부터 생성된 생체신호 정보 데이터를 저장하는 메모리(24)를 갖는다.
또한, 제2장치(20)는 제1장치(10)에 대한 제2장치(20)의 반응과, 제2장치(20)를 통해 수집된 대상자의 위치 및 생체신호 정보를 제3장치(30)로 송출하는 통신부(24)를 갖는다.
상기의 제3장치(30)는 제2장치(20)에서 송출된 데이터의 연람 및 데이터 값에 대한 건강상태를 제공하는 사용자 프로그램 인 모바일 애플리케이션(31)을 갖는다.
또한, 상기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31)은, 제2장치(20)가 제1장치(10)에 대한 정해진 거리 값을 이탈하여 발생하는 OFF-LINE 상태에 대하여, 통합 관제서버(50)로 실시간으로 정보를 제공한다.
이와 같은 본 발명의 작용을 실시 예에 따라 좀 더 상세하게 설명한다.
공공기관에서 관리감독이 필요한 대상자가 거주하는 곳에 제1장치(10)을 설치하고 전원이 인가되도록 하여, 위치 센서(11)가 동작하도록 한다.
공공기관은 대상자의 신체에 제2장치(20)를 신체에 부착하도록 한다. 제2장치(20)는 사용의 편리성을 감안하여, 목고리, 시계, 팔찌 형태로 구성될 수 있으며, 제2장치(20)가 대상자의 생체신호를 감지할 수 있는 형태로 착용된다.
공공기관은 제2장치(20)의 운용 프로그램(26)을 통해, 제2장치(20)의 센서 인식부(23)가 제1장치(10)의 위치 센서(11)를 인지할 수 있는 거리 값을 입력한다.
상기의 과정에서 제2장치(20)가 거리 값 범위에 있으면, 제2장치(20)는 ON-LINE 상태가 유지되며, 거리 값을 벗어나는 경우 OFF-LINE 상태가 되고, 이러한 환경변화는 통신부(24)를 통해 연동되는 제3장치(30)에서 인지하게 되고, 제3장치(30)의 모바일 애플리케이션(31)를 통해 통합관제서버(50)에 정보가 공유된다.
상기의 일련의 동작을 위하여 제2장치(20)는 장치의 동작을 위한 전원부(27)를 구비하고 있다.
또한, 상기의 동작을 위하여 제2장치(20)와 연동하는 제3 장치(30)는 통상의 기지국 통신(BTS), 이동교환국(MSC), 홈 위치 등록기(HLR)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활용할 수 있는 아이폰, 스마트폰, PDA를 포함하는 통상의 휴대 전화형태이다.
상기와 같은 정보공유를 통해 관제자는 관리 대상자의 지정위치 이탈을 실시간으로 파악하므로, 관리감독 대상자의 신변을 확보할 수 있는 것이다.
상기의 동작을 위하여, 통합관제서버(50)는 기타 유관서버에 정보를 공유하는 것으로, 경찰, 보건, 방제 기관으로 정보를 공유하여 대상자의 지정위치 이탈에 대한 대처를 할 수 있다.
상기의 동작을 위하여, 제2장치(20)와 제3장치(30)의 통신은 근거리 무선 교신이 용이한 블루투스(bluetooth) 통신을 이용한다.
또한, 제2장치(20)의 생체신호 센서(21)가 수집하는 정보는, 체온를 비롯한 심박수, 혈압 등 다양하게 적용될 수 있다.
또한, 생체신호 센서(21)의 동작은, 운용 프로그램(26)을 통해, 시간, 횟수 등을 프로그램할 수 있으며, 작동 또는 수동으로 측정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의 운용 프로그램(26)을 통해 표출되는 정보는 표시부(25)를 통해 대상자가 인지할 수 있다.
또한, 제3장치(30)는 제2장치(20)에서 수집한 정보에 대한 열람과 하는 체온 측정 데이터의 열람과 데이터 분석을 통한 대상자의 건강상태를 알려주는 사용자 프로그램이 모바일 애플리케이션(application)(31) 형태로 탑재된다.
도 2는 본 발명의 구동을 보여주는 예시이다.
도면에서 알 수 있듯이, 제2장치(20)는 대상자의 생체신호를 통해 체온 상태, 제1장치(10)에 대한 위치정보 ON-OFF 상태, 제30장치(30)와 블르투스 통신상태와 전원상태를 확인할 수 있다.
또한, 제3장치(30)는 제2장치(20)에서 수신된 정보에 대한 분석 및 통합관제서버(50)으로 정보를 공유하고, 통합관제서버(50)에서 대상자에서 제공되는 정보를 제3장치(30)을 통해 확인할 수 있도록 하고 있다.
이상, 본 발명의 구체적인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이 명세서에 개시된 실시예 및 첨부된 도면에 의하여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 이내에서 당업자에 의하여 다양하게 변형될 수 있다.
10. 제1장치
11. 위치 센서
12. 전원부
20. 제2장치
21. 생체신호 센서
22. 메로리
23. 센서 인식부
24. 통신부
25. 표시부
26. 운용 프로그램
27. 전원부
30. 제3장치
31. 모바일 애플리케이션
50. 통합관제서버
100. 모니터링 시스템

Claims (1)

  1. 대상자의 주거공간에 설치되어, 위치 센서(11)를 통해 위치를 전달하고, 센서(11)의 동작을 위한 전원부(12)를 갖는 제1장치;
    상기 제1장치(10)의 고정위치 신호를 수신하고, 제1장치(10)의 위치신호에 대한 ON-OFF로 하고, 관리 대상자의 신체 정보를 수집하는 생체신호 센서(21)와, 측정된 생체신호 데이터를 기록하는 메모리(22)와,
    상기 메모리(22)에 저장된 데이터와 제1장치(10)의 위치신호에 반응하는 센서 인식부(23)와,
    상기 메모리(22) 정보 및 센서 인식부(23)에 대한 정보를 전달하는 통신부(24)와,
    상기 메모리(22) 정보와 센서 인식부(23)의 상태를 표시하는 표시부(25)와,
    상기 생체신호 센서(21), 메모리(22), 센서 인식부(23), 통신부(24)의 운용을 위한 운용 프로그램(26)과 동작을 위한 전원부(27)를 갖는 제2창치(20);
    상기 제2장치(20)의 정보를 수신하고, 수신된 정보를 분석하고, 분석된 정보에 대하여 통합 관제서버(50)에 제공하는 모바일 애플리케이션(31)이 내장된 제3장치(30);
    로 구성됨을 특징으로 하는 비대면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10021792A 2021-02-18 2021-02-18 비대면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 KR20220118093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792A KR20220118093A (ko) 2021-02-18 2021-02-18 비대면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792A KR20220118093A (ko) 2021-02-18 2021-02-18 비대면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8093A true KR20220118093A (ko) 2022-08-25

Family

ID=8311147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792A KR20220118093A (ko) 2021-02-18 2021-02-18 비대면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8093A (ko)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433788B2 (en) Earpiece life monitor with capability of automatic notification system and method
US8089354B2 (en) Wireless tracking system and method for backhaul of information
US7616110B2 (en) Mobile wireless customizable health and condition monitor
US20160117912A1 (en) System and method for monitoring hospital workflow compliance with a hand hygiene network
US20060293571A1 (en) Distributed architecture for remote patient monitoring and caring
US11503434B2 (en) Method and system for connectivity between a personal area network and an internet protocol network via low power wide area network wearable electronic device
KR101897236B1 (ko) 스마트밴드를 이용한 실시간 사고예방 모니터링 시스템 및 이를 위한 스마트밴드
KR20150116206A (ko) 블루투스 기반의 웨어러블 생체 측정기기를 이용한 응급상황 알림 방법 및 이를 위한 컴퓨터로 판독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3235B1 (ko) 독거노인 모니터링 시스템
Velrani et al. Sensor based healthcare information system
KR102223628B1 (ko)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
KR20160101508A (ko) 독거노인 위급상황 관리시스템
Abubeker et al. A hand hygiene tracking system with LoRaWAN network for the abolition of hospital-acquired infections
EP3087912A1 (en) Security access system using a body area network
KR102187389B1 (ko) 격리대상자 관리를 위한 단말기,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200059628A (ko) 스켈레톤 영상 학습 기반의 독거노인 행동 패턴 모니터링 방법
EP3357420A1 (en) Monitoring activity of a person
KR20220118093A (ko) 비대면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
KR102638693B1 (ko) 위치 기반 생체정보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KR20200076240A (ko) 고독사 관리 시스템
KR20120044454A (ko) 무선센서 네트워크를 이용한 농장에서의 인력관리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029342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
KR20110006070A (ko) 응급상황 발생시 근접 카메라로부터 얻은 사용자 영상 정보를 보호자에게 전송하는 방법
KR20220050622A (ko) 댁내 독거노인을 위한 원격 안전 관리 시스템
KR102540146B1 (ko) 격리대상자 관리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