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29342B1 - 사물인터넷 기반의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 - Google Patents

사물인터넷 기반의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29342B1
KR102029342B1 KR1020180032144A KR20180032144A KR102029342B1 KR 102029342 B1 KR102029342 B1 KR 102029342B1 KR 1020180032144 A KR1020180032144 A KR 1020180032144A KR 20180032144 A KR20180032144 A KR 20180032144A KR 102029342 B1 KR102029342 B1 KR 102029342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home care
physical health
score
health
care subjec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0321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손영욱
Original Assignee
손영욱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손영욱 filed Critical 손영욱
Priority to KR10201800321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29342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29342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29342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0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10/60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patient-related medical or healthcare data for patient-specific data, e.g. for electronic patient record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0002Remote monitoring of patients using telemetry, e.g. transmission of vital signals via a communication network
    • A61B5/0476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24Detecting, measuring or recording bioelectric or biomagnetic signals of the body or parts thereof
    • A61B5/316Modalities, i.e. specific diagnostic methods
    • A61B5/369Electroencephalography [EEG]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BDIAGNOSIS; SURGERY; IDENTIFICATION
    • A61B5/00Measuring for diagnostic purposes; Identification of persons
    • A61B5/48Other medical applications
    • A61B5/4884Other medical applications inducing physiological or psychological stress, e.g. applications for stress testing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50/0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 G16H50/30ICT specially adapted for medical diagnosis, medical simulation or medical data mining; ICT specially adapted for detecting, monitoring or modelling epidemics or pandemics for calculating health indices; for individual health risk assessment
    • GPHYSICS
    • G16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SPECIFIC APPLICATION FIELDS
    • G16HHEALTHCARE INFORMATICS, i.e. INFORMATION AND COMMUNICATION TECHNOLOGY [ICT] SPECIALLY ADAPTED FOR THE HANDLING OR PROCESSING OF MEDICAL OR HEALTHCARE DATA
    • G16H80/00ICT specially adapted for facilitating communication between medical practitioners or patients, e.g. for collaborative diagnosis, therapy or health monitoring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Medical Informatics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Biomedical Technology (AREA)
  • Pa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Primary Health Care (AREA)
  • Surgery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Molecular Biology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Heart & Thoracic Surgery (AREA)
  • Biophysics (AREA)
  • Psychology (AREA)
  • Psychiatry (AREA)
  • Hospice & Palliative Care (AREA)
  • Developmental Disabilities (AREA)
  • Physiology (AREA)
  • Social Psychology (AREA)
  • Child & Adolescent Psychology (AREA)
  • Computer Networks & Wireless Communication (AREA)
  • Data Mining & Analysis (AREA)
  • Databases & Information Systems (AREA)
  • Medical Treatment And Welfare Office Work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각 홈케어 대상자를 대상으로 신체건강 상태를 측정하여 신체건강 측정값을 생성하는 신체건강 측정기; 측정된 신체건강 측정값을 홈케어 서버로 전송하는 IoT 셋탑박스; 및 수집되는 각 홈케어 대상자의 신체건강 측정값을 기반으로 홈케어 대상자 유행 질환을 파악하여 의료기관 서버에 제공하는 홈케어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Description

사물인터넷 기반의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Home care monitoring system based IoT}
본 발명은 홈케어 대상자를 모니터링하는 시스템으로서, 사물 인터넷 기반으로 홈케어 대상자를 모니터링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에 관한 것이다.
오늘날 핵가족화와 고령화로 인한 독거 세대의 급격한 증가로 독거노인을 위한 사회적 안전망 구축의 필요성 증대와 함께 일상 생활에 있어서 독거노인에 대한 안부를 확인하고, 긴급 상황 발생시 안전에 신속하게 대처할 수있는 효과적인 시스템 구축이 요구되고 있다.
이러한 일환으로 독거노인 가정에 움직임 감지센서, 모니터링 카메라, 무선 응급버튼 등을 설치하여 그 정보를 통합 관리센터에서 실시간 조회 및 관리할 수 있는 시스템이 개발되고 있다. 예컨대, 독거노인이 응급버튼을 누르거나 응급상황 감지 시에는 통합 관리센터에서 병원, 119, 인근거주 주민을 연계한 긴급 조치를 취할 수 있고, 독거노인 상담, 방문 등의 기록이 상시 입력되어 체계적인 관리가 가능하게 된다.
이러한 시스템이 도입되면, 독거노인에게 심리적 안정감을 부여함은 물론, 독거노인의 관리자에 의한 상담 및 방문 기록의 공유를 통하여 관련기관 간 중복상담 및 방문을 방지할 수 있으며, 가족들에게도 독거노인의 생활 모습을 실시간으로 확인시킬 수 있어 안정적인 생업종사가 가능하도록 할 것으로 기대하고 있다.
그러나 이러한 기존의 독거 노인 모니터링 시스템은 움직임 감지센서, 모니터링 카메라, 무선 응급버튼 등에 의해 감지된 신호를 별도의 전용 회선을 통해 통합 관리센터에 통보해야 하기 때문에, 막대한 인적 관리 비용의 발생으로 보급에 큰 부담으로 작용한다.
한편, 지능형 센서를 이용한 사물인터넷이 활성화되고 있다. 사물인터넷(IoT)이란, 사물에 센서를 부착해 실시간으로 데이터를 인터넷으로 주고받는 기술이나 환경을 일컫는 것으로서, 인터넷을 기반으로 모든 사물을 연결하여 사람과 사물, 사물과 사물 간의 정보를 상호 소통하는 지능형 기술 및 서비스를 말한다.
따라서 이러한 4차 산업혁명의 주요 기술 중의 하나인 사물 인터넷을 이용하여, 사회적 약자라 할 수 있는 취약 계측, 예를 들어 거동이 불편한 독거 노인, 장애인 등의 건강 상태를 실시간 모니터링하여 건강 케어할 수 있는 새로운 수단의 필요성이 절실하다.
한국공개특허 10-2012-0045437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사물 인터넷 기반으로 홈케어 대상자를 모니터링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수단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는 각 홈케어 대상자를 대상으로 신체건강 상태를 측정하여 신체건강 측정값을 생성하는 신체건강 측정기; 측정된 신체건강 측정값을 홈케어 서버로 전송하는 IoT 셋탑박스; 및 수집되는 각 홈케어 대상자의 신체건강 측정값을 기반으로 홈케어 대상자 유행 질환을 파악하여 의료기관 서버에 제공하는 홈케어 서버;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케어 서버는, 미리 설정된 기간인 빅데이터 분석기간 동안 신체건강 측정값을 수집하고, 상기 빅데이터 분석기간 동안 수집된 각 홈케어 대상자의 신체건강 측정값의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복지설계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행정기관 서버에 제공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홈케어 서버는, 상기 신체건강 측정기로부터 수신되는 신체건강 측정값을 홈케어 대상자별로 저장하는 신체건강 측정값 저장부; 수집되는 각 홈케어 대상자의 신체건강 측정값을 기반으로 홈케어 대상자 유행 질환을 파악하는 홈케어 대상자 유행 질환 파악부; 상기 빅데이터 분석기간 동안 수집되는 각 홈케어 대상자의 신체건강 측정값의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복지설계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복지설계 우선순위 파악부; 및 상기 홈케어 대상자 유행 질환을 의료기관 서버에 제공하며, 상기 복지설계 우선순위를 행정기관 서버에 제공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홈케어 대상자가 거주하는 집 내부에 위치하여 온도, 습도를 포함하는 환경값을 변경시킬 수 있는 환경값 조절기; 및 각 홈케어 대상자를 대상으로 정신건강 상태를 측정하여 정신건강 측정값을 생성하는 정신건강 측정기;를 포함하며, 상기 IoT 셋탑박스는, 측정된 정신건강 측정값을 홈케어 서버로 전송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제어부는, 홈케어 대상자의 신체건강 측정값 및 정신건강 측정값에 따라서, 상기 홈케어 대상자가 거주하는 집 내부의 환경값 조절기를 원격 제어하는 친환경 제어 모드, 또는 상기 홈케어 대상자를 돌보는 도우미에게 홈케어 대상자의 집으로 방문하도록 요청하는 방문 요청 모드, 또는 홈케어 대상자를 임시 보호처로 거주 이동시키도록 관계기관 서버에 요청하는 거주지 이동 요청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상기 홈케어 서버는, 상기 정신건강 측정기로부터 수신되는 정신건강 측정값을 홈케어 대상자별로 저장하는 정신건강 측정값 저장부; 상기 신체건강 측정값 저장부에 저장된 신체건강 측정값을 신체건강 점수로 환산하는 신체건강 점수 산출부; 및 상기 정신건강 측정값 저장부에 저장된 정신건강 측정값을 정신건강 점수로 환산하는 정신건강 점수 산출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신체건강 점수와 정신건강 점수에 따라서 상기 친환경 제어 모드, 방문 요청 모드, 거주지 이동 요청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신체건강 점수가 미리 설정된 신체건강 기준 점수에 미달하고 상기 정신건강 점수가 미리 설정된 정신건강 기준 점수를 초과할 경우 상기 친환경 제어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신체건강 점수가 미리 설정된 신체건강 기준 점수를 초과하고 상기 정신건강 점수가 상기 정신건강 기준 점수에 미달할 경우 상기 방문 요청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신체건강 점수가 상기 신체건강 기준 점수에 미달하는 조건을 충족하면서 동시에 상기 정신건강 점수가 상기 정신건강 기준 점수에 미달하는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상기 거주지 이동 요청 모드로 동작함을 특징으로 할 수 있다.
상기 신체건강 점수 산출부는, 상기 신체건강 측정기로부터 측정되는 신체건강 측정값을 미리 설정된 신체건강 변환 수식에 대입하여 신체건강 예비 점수로 산출한 후, 홈케어 대상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할당된 가중치를 상기 신체건강 예비 점수에 합산하여 최종적으로 신체건강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기 신체건강 점수 산출부는, 상기 신체건강 측정기로부터 측정되는 신체건강 측정값을 미리 설정된 신체건강 변환 수식에 대입하여 신체건강 예비 점수로 산출한 후, 홈케어 대상자의 성별 및 연령에 할당된 가중치를 상기 신체건강 예비 점수에 합산하여 최종적으로 신체건강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형태에 따르면 독거노인, 장애인 등의 홈케어 대상자를 친환경으로 홈케어함으로써, 홈케어 대상자들의 복지를 증대시킬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케어 서버의 구성 블록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건강예방 대책에 사용되는 홈케어 대상자 유행 질환의 정보를 각 의료기관 서버에 제공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지설계 대책에 사용되는 복지설계 우선순위를 행정기관 서버에 제공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신건강 측정기가 구비된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케어 서버의 동작 모드의 예시 설명.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신체건강 점수 및 정신건강 점수를 산출하는 홈케어 서버의 구성 블록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예시 그림.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문 요청 모드로 동작하는 예시 그림.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주지 이동 요청 모드로 동작하는 예시 그림.
이하, 본 발명의 장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것이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으로,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또한,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 관련된 공지 기술 등이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게 할 수 있다고 판단되는 경우 그에 관한 자세한 설명은 생략하기로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사물인터넷 기반의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도이며,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케어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건강예방 대책에 사용되는 홈케어 대상자 유행 질환의 정보를 각 의료기관 서버에 제공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며,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복지설계 대책에 사용되는 복지설계 우선순위를 행정기관 서버에 제공하는 모습을 도시한 그림이다.
본 발명은 생산현장 핵심 설비에 부착한 센서를 통하여 생산현장의 장비들을 실시간 모니터링과 고장예측이 가능한 것처럼, 지능형 센서와 같은 측정기를 독거노인 분들이 휴대하도록 함으로써, 이분들의 건강상태도 실시간 모니터링 및 질병예방이 이루어질 수 있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본 발명의 사물인터넷 기반의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도 1에 도시한 바와 같이 IoT 통신망(100), 신체건강 측정기(210), IoT 셋탑박스(미도시), 및 홈케어 서버(300)를 포함한다.
IoT 통신망(100)은, 신체건강 측정기(210), IoT 셋탑 박스(미도시), 및 홈케어 서버(300)간에 사물 인터넷 통신을 제공하는 통신망이다. IoT 통신망(100)이, 무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기지국(BTS;Base Transceiver Station), 이동교환국(MSC;Mobile Switching Center), 및 홈 위치 등록기(HLR;Home Location Register)로 이루어진 무선 이동통신망을 이용하여 데이터 통신을 할 수 있다. 또한 유무선 통신망(300)이 유선 통신망으로 구현되는 경우, 네트워크 통신망으로 구현될 수 있는데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신체건강 측정기(210)는, 각 홈케어 대상자를 대상으로 신체건강 상태를 측정하여 신체건강 측정값을 생성하는 지능형 센서이다. 신체건강 측정기(210)는, 신체 착용품에 마련되는 측정 센서로서, 예를 들어, 장갑, 안경, 의류 등에 마련되어, 홈케어 대상자의 혈압, 피부 노화도, 안구 상태, 체온 등을 측정할 수 있다.
여기서 홈케어 대상자는, 독거노인, 장애인 등과 같이 거동이 불편한 사회적 약자를 말하는 것으로서, 독거노인, 장애인 이외에도 다른 사회적 약자들도 모두 포함하는 개념이다.
IoT 셋탑박스(미도시)는, 복수개의 신체건강 측정기와 유선 또는 무선으로 연결되어 있어, 측정된 신체건강 측정값을 홈케어 서버(300)로 전송하는 셋탑박스이다. 따라서 IoT 셋탑박스(미도시)는, IoT 통신망(100)을 통하여 실시간으로 홈케어 서버(300)와 데이터를 주고 받을 수 있다.
홈케어 서버(300)는, 하드웨어적으로는 통상적인 웹 서버와 동일한 구성을 가지며, 소프트웨어적으로는 C, C++, Java, Visual Basic, Visual C 등과 같은 다양한 형태의 언어를 통해 구현되어 여러 가지 기능을 하는 프로그램 모듈을 포함한다. 또한, 일반적인 서버용 하드웨어에 도스(dos), 윈도우(window), 리눅스(linux), 유닉스(unix), 매킨토시(macintosh) 등의 운영 체제에 따라 다양하게 제공되고 있는 웹 서버 프로그램을 이용하여 구현될 수 있다.
또한 홈케어 서버(300)는, 클라우드 서버(Cloud Server)의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분석, 컴퓨팅, 데이터베이스, 모바일, 네트워킹, 저장소 및 웹이 통합된 클라우스 플랫폼을 제공할 수 있다. 이를 위해 IaaS, PasS, SaaS 형태의 모든 클라우드 서비스를 제공하며, 공개형 클라우드(Public)와 폐쇄형 클라우드(Private)를 연계하는 하이브리드 클라우드(Hybrid) 서비스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사용자의 사용 목적과 필요에 따라서 DB, AI+cognitive, Data+Analytics, IoT 서비스 등을 PaaS 또는 SasS로 선택해서 사용할 수 있는 유연한 클라우드 환경을 제공할 수 있다.
또한 홈케어 서버(300)는, 수집되는 각 홈케어 대상자의 신체건강 측정값을 기반으로 예상되는 홈케어 대상자 유행 질환을 파악하여 의료기관 서버(400)에 제공한다. 또한 홈케어 서버(300)는, 미리 설정된 기간인 빅데이터 분석기간 동안 신체건강 측정값을 수집하고, 빅데이터 분석기간 동안 수집된 각 홈케어 대상자의 신체건강 측정값의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복지설계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행정기관 서버(500)에 제공한다.
이를 위하여 홈케어 서버(300)는, 도 2에 도시한 바와 같이 서버 통신부(310), 신체건강 측정값 저장부(320), 홈케어 대상자 유행 질환 파악부(330), 복지설계 우선순위 파악부(340), 서버 제어부(350)를 포함할 수 있다.
서버 통신부(310)는, IoT 셋탑박스(미도시)로부터 데이터를 송수신하도록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의 프로토콜을 지원한다. 서버 통신부(310)는, 예컨대, TCP/IP(Transmission Control Protocol/Internet Protocol) 등의 인터넷 프로토콜에 따라서 데이터 통신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신체건강 측정값 저장부(320)는, 신체건강 측정기(210)로부터 수신되는 신체건강 측정값을 홈케어 대상자별로 저장하는 저장체이다. 이러한 저장체는, 하드디스크 드라이브(Hard Disk Drive), SSD 드라이브(Solid State Drive), 플래시메모리(Flash Memory), CF카드(Compact Flash Card), SD카드(Secure Digital Card), SM카드(Smart Media Card), MMC 카드(Multi-Media Card) 또는 메모리 스틱(Memory Stick) 등 정보의 입출력이 가능한 모듈로서 장치의 내부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고, 별도의 장치에 구비되어 있을 수도 있다.
홈케어 대상자 유행 질환 파악부(330)는, 수집되는 각 홈케어 대상자의 신체건강 측정값을 기반으로 홈케어 대상자 유행 질환을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3에 도시한 바와 같이, 수집되는 각 홈케어 대상자의 신체건강 측정값을 기반으로 예상되는 홈케어 대상자 유행 질환을 파악하여 의료기관 서버(400)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측정되는 홈케어 대상자 중에서 50% 이상이 체온을 초과하는 고열이 있는 경우 독거노인을 포함한 홈케어 대상자를 대상으로 독감이 유행하고 있음을 의료기관 서버(400)에 제공한다. 또한 측정되는 홈케어 대상자 중에서 50% 이상이 피부 노화도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 독거노인을 포함한 홈케어 대상자를 대상으로 대상포진이 유행하고 있음을 의료기관 서버(400)에 제공한다. 따라서 의료기관 서버(400)는, 홈케어 서버(300)로부터 제공되는 홈케어 대상자 유행 질환을 기반으로 효율적인 건강예방 대책을 수립하여 대응할 수 있게 된다.
복지설계 우선순위 파악부(340)는, 빅데이터 분석기간 동안 수집되는 각 홈케어 대상자의 신체건강 측정값의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복지설계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기능을 수행한다. 즉, 도 4에 도시한 바와 같이, 미리 설정된 기간인 빅데이터 분석기간 동안 신체건강 측정값을 수집하고, 빅데이터 분석기간 동안 수집된 각 홈케어 대상자의 신체건강 측정값의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복지설계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행정기관 서버(500)에 제공한다. 예를 들어, 빅데이터 분석되는 신체건강 측정값이 피부 노화도라 할 때, 피부 노화도가 기준치 미만인 경우, 독거노인 등의 홈케어 대상자들을 대상으로 피부건조함을 우선적으로 예방해야 함을 알리는 복지설계 우선순위를 행정기관 서버(500)에 제공한다. 따라서 행정기관은 독거노인 각각의 집에 방문하여 무료로 마스크팩을 제공하는 등의 복지설계 대책을 수립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50)는, 홈케어 대상자 유행 질환을 의료기관 서버(400)에 제공하며, 상기 복지설계 우선순위를 행정기관 서버(500)에 제공한다.
한편,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사물인터넷 기반의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을 통하여, 홈케어 대상자 유행질환을 제공(도 3)함으로써 의료기관에서 건강예방 대책 수립시에 도움을 주며, 아울러, 각 홈케어 대상자의 신체건강 측정값의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복지설계 우선순위를 제공(도 4)함으로써 행정기관에서 우선적으로 수립해야 하는 복지설계 대책을 결정하는데 도움을 줄 수 있다.
나아가 본 발명은 상기에서 설명한 간접적인 홈케어 뿐만 아니라 직접적인 홈케어가 이루어질수 있도록 구현한다. 이하 도 5 내지 도 9와 함께 상술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정신건강 측정기가 구비된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케어 서버의 동작 모드의 예시 설명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라 신체건강 점수 및 정신건강 점수를 산출하는 홈케어 서버의 구성 블록도이며,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친환경 제어 모드로 동작하는 예시 그림이며, 도 9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방문 요청 모드로 동작하는 예시 그림이며, 도 10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거주지 이동 요청 모드로 동작하는 예시 그림이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상술한 IoT 통신망(100), 신체건강 측정기(210), 및 홈케어 서버(300) 이외에도, 도 5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환경값 조절기(230), 정신건강 측정기(22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환경값 조절기(230)는, 홈케어 대상자가 거주하는 집 내부에 위치하여 온도, 습도를 포함하는 환경값을 변경시킬 수 있는 조절기이다. 여기서 환경값은, 온도, 습도 이외에도 미세먼지량, 밝기 조도 등이 해당될 수 있다. 따라서 환경값 조절기(230)는 온도, 습도, 미세먼지량, 밝기 조도 등을 조절할 수 있는 전자기기이다. 예를 들어, 집안 온도를 가열하는 난방기, 집안 온도를 낮추는 냉방기, 집안 습도를 조절하는 가습기, 집안 미세 먼지를 제거하는 공기 청정기, 집안 조명 밝기를 조절하는 조명 제어기 등이 해당될 수 있다.
정신건강 측정기(220)는, 각 홈케어 대상자를 대상으로 정신건강 상태를 측정하여 정신건강 측정값을 생성한다. 정신건강 측정기(220)는 뇌파 측정기로서 구현될 수 있다. 따라서 정신건강 측정기(220)는 홈케어 대상자의 뇌파를 측정하여 스트레스 지수 등을 측정할 수 있다. 또한 정신건강 측정기(220)는, 스마트폰 등과 같이 정신 감정 설문 응답을 입력받을 수 있는 단말기 구현될 수 있다. 입력되는 홈케어 대상자의 설문 응답에 대한 정신건강 측정값을 측정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스트레스 지수 설문 응답을 정신 정신건강 측정기(220)에 표시하여, 홈케어 대상자로부터 해당 설문 응답 입력을 받은 후, 입력되는 스트레스 지수 설문 응답에 대한 정신건강 측정값을 산출할 수 있다. 이러한 정신건강 측정기(220)는 홈케어 대상자가 사용하는 스마트폰 등이 해당될 수 있으며, 이럴 경우, 홈케어 대상자는 주기적으로 스트레스 지수 설문에 응하여 설문 답변해야 한다.
나아가, 정신건강 측정기(220)는 스트레스 지수 설문을 조사할 수 있는 스트레스 지수 측정 어플리케이션(APP;application)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이럴 경우 스트레스 지수 측정 어플리케이션은 주기적으로 구동되어 홈케어 대상자로부터 설문 응답을 입력받아 정신건강 측정값을 산출할 수 있다.
IoT 셋탑박스(미도시)는, 측정된 신체건강 측정값 이외에도 정신건강 측정값을 홈케어 서버(300)로 전송한다.
따라서 서버 제어부(350)는, 도 6에 도시한 바와 같이 홈케어 대상자의 신체건강 측정값 및 정신건강 측정값에 따라서, 홈케어 대상자가 거주하는 집 내부의 환경값 조절기(230)를 원격 제어하는 친환경 제어 모드, 또는 홈케어 대상자를 돌보는 도우미에게 홈케어 대상자의 집으로 방문하도록 요청하는 방문 요청 모드, 또는 홈케어 대상자를 임시 보호처로 거주 이동시키도록 관계기관 서버에 요청하는 거주지 이동 요청 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
이를 위하여 홈케어 서버(300)는, 서버 통신부(310), 신체건강 측정값 저장부(320), 홈케어 대상자 유행 질환 파악부(330), 복지설계 우선순위 파악부(340), 서버 제어부(350) 이외에도 도 7에 도시한 바와 같이 정신건강 측정값 저장부(360), 신체건강 점수 산출부(370), 및 정신건강 점수 산출부(3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정신건강 측정값 저장부(360)는, 정신건강 측정기(220)로부터 수신되는 정신건강 측정값을 홈케어 대상자별로 저장한다.
신체건강 점수 산출부(370)는, 신체건강 측정값 저장부(320)에 저장된 신체건강 측정값을 신체건강 점수로 환산한다. 예를 들어, 홈케어 대상자의 체온이 기준체온 범위 이내인 경우 정상 점수 '10'점을 부여하며, 체온이 기준체온±1 이내인 경우 '10'점보다 낮은 '8'점을 부여하며, 체온이 기준체온±2 이내인 경우 '6'점을 부여하며, 체온이 기준체온±3 이내인 경우 '4'점을 부여하며, 체온이 기준체온±4을 벗어난 경우 '0'점을 부여한다. 마찬가지로 홈케어 대상자의 혈압이 기준치 범위 이내인 경우 정상 점수 '10'점을 부여하며, 혈압이 기준치±10 이내인 경우 '10'점보다 낮은 '8'점을 부여하며, 혈압이 기준치±20 이내인 경우 '6'점을 부여하며, 혈압이 기준치±30 이내인 경우 '4'점을 부여하며, 혈압이 기준치±40을 벗어난 경우 '0'점을 부여한다.
정신건강 점수 산출부(380)는, 정신건강 측정값 저장부(360)에 저장된 정신건강 측정값을 정신건강 점수로 환산한다. 예를 들어, 정신건강 측정값이 스트레스 많음을 나타내는 3단계인 경우 정신건강 측정값을 '10'점으로 환산하며, 정신건강 측정값이 스트레스 보통을 나타내는 2단계인 경우 정신건강 측정값을 '5'점으로 환산하며, 정신건강 측정값이 스트레스 적음을 나타내는 1단계인 경우 정신건강 측정값을 '1'점으로 환산할 수 있다.
서버 제어부(350)는, 신체건강 점수와 정신건강 점수에 따라서 친환경 제어 모드, 방문 요청 모드, 거주지 이동 요청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한다.
상술하면, 서버 제어부(350)는, 도 8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체건강 점수가 미리 설정된 신체건강 기준 점수에 미달하고 정신건강 점수가 미리 설정된 정신건강 기준 점수를 초과할 경우 친환경 제어 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 이는 홈케어 대상자의 정신건강은 괜찮은 편이나, 신체건강이 나쁜 상태이므로 물리적인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홈케어 대상자가 고열이 발생한 경우, 홈케어 대상자의 집에 설치된 에어컨을 원격 제어 가동시켜 적정 온도로 집안 온도가 내려가도록 조절하며, 홈케어 대상자의 혈압이 높은 경우, 홈케어 대상자의 집에 설치된 창문을 개방하여 집안을 환기시켜 홈케어 대상자를 안정화시킨다. 따라서 신체건강 점수가 미리 설정된 신체건강 기준 점수에 미달하는 홈케어 대상자가 거주하는 집안 환경을 친환경 수준으로 조절할 수 있어, 홈케어 대상자가 쾌적함을 느끼도록 할 수 있다.
또한 서버 제어부(350)는, 도 9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체건강 점수가 미리 설정된 신체건강 기준 점수를 초과하고 정신건강 점수가 정신건강 기준 점수에 미달할 경우 방문 요청 모드로 동작하도록 한다. 이는, 홈케어 대상자의 신체건강은 괜찮은 편이나, 정신건강이 나쁜 상태이므로 정신적인 상담 조치가 이루어지도록 하기 위함이다.
예를 들어, 산출된 정신건강 점수가 스트레스가 아주 많은 상태에는, 홈케어 도우미가 사용하는 스마트폰으로 홈케어 대상자의 집을 방문하도록 요청하는 방문 요청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따라서 스트레스 많은 홈케어 대상자인 노인들의 경우, 홈케어 도우미가 방문하여 말벗, 고민 상담 등을 해주어, 홈케어해줄 수 있게 된다.
또한 서버 제어부(350)는, 도 10에 도시한 바와 같이, 신체건강 점수가 신체건강 기준 점수에 미달하는 조건을 충족하면서 동시에 정신건강 점수가 정신건강 기준 점수에 미달하는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거주지 이동 요청 모드로 동작할 수 있다. 이는, 홈케어 대상자의 신체건강과 정신건강이 모두 나쁜 상태이므로 복지기관으로 이송시켜 치료가 필요하기 때문이다.
예를 들어, 신체건강 점수와 정신건강 점수 둘 다 기준치에 미달하는 경우, 홈케어 대상자를 임시 보호처로 거주 이동시키도록 행정기관 서버(500)에 요청하는 것이다. 따라서 이러한 거주지 이동 요청을 수신한 보건복지부 등의 행정기관은, 홈케어 대상자를 중요 환자로 보아 국가 보호 시설로 긴급히 이동시켜 보호해줄 수 있다.
한편, 신체건강 점수를 산출함에 있어서 별도의 가중치를 추가로 적용하여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상술하면, 신체건강 점수 산출부(370)는, 신체건강 측정기(210)로부터 수신되는 신체건강 측정값을 미리 설정된 신체건강 변환 수식에 대입하여 신체건강 예비 점수로 산출한 후, 홈케어 대상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할당된 가중치를 신체건강 예비 점수에 합산하여 최종적으로 신체건강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농촌 지역의 신체건강 점수 가중치는 5점으로 할당되며, 도시 지역은의 신체건강 점수 가중치는 1점으로 할당될 수 있는데, 이는 도시 지역의 경우 운동을 안 하기 때문에 건강이 더 나쁠 확률이 크기 때문에 신체건강 점수 가중치를 더 낮게 할당하는 것이다. 따라서 홈케어 대상자인 도시 지역의 홈케어 대상자와 농촌 지역의 홈케어 대상자가 신체건강 예비 점수로서 동일한 10점을 받았다 하더라도, 농촌 지역의 홈케어 대상자는 신체건강 점수 10점에 농촌 지역 가중치 5점이 합산되어 15점이 최종적인 신체건강 점수로서 산출되며, 도시 지역의 홈케어 대상자는 신체건강 예비점수 10점에 도시 지역 가중치 1점이 합산되어 11점이 최종적인 신체건강 점수로서 산출된다.
마찬가지로, 신체건강 점수 산출부(370)는, 신체건강 측정기(210)로부터 수신되는 신체건강 측정값을 미리 설정된 신체건강 변환 수식에 대입하여 신체건강 예비 점수로 산출한 후, 홈케어 대상자의 성별 및 연령에 할당된 가중치를 신체건강 예비 점수에 합산하여 최종적으로 신체건강 점수를 산출할 수 있다.
예를 들어, 30대 이하의 젊은이들의 신체건강 점수 가중치는 가중치 8점으로 할당되며, 60대 이상의 노인들의 신체건강 점수 가중치는 가중치 5점으로 할당될 수 있는데, 이는 노인들보다 젊은이들이 신체적 능력과 회복 능력이 더 좋기 때문이다. 따라서 홈케어 대상자인 젊은이와 노인이 신체건강 예비 점수로서 동일한 10점을 받았다 하더라도, 젊은이의 홈케어 대상자는 신체건강 예비 점수 10점에 30대 이하 젊은이들의 가중치 8점이 합산되어 18점이 최종적인 신체건강 점수로서 산출되며, 노인의 홈케어 대상자는 신체건강 예비 점수 10점에 노인들의 가중치 5점이 합산되어 15점이 최종적인 신체건강 점수로서 산출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설명에서의 실시예는 여러가지 실시가능한 예중에서 당업자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가장 바람직한 예를 선정하여 제시한 것으로, 이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 반드시 이 실시예만 의해서 한정되거나 제한되는 것은 아니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내에서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한 타의 실시예가 가능한 것이다.
210:신체건강 측정기
220:정신건강 측정기
230;환경 조절기
300:홈케어 서버
400:의료기관 서버
500:행정기관 서버

Claims (9)

  1. 각 홈케어 대상자를 대상으로 신체건강 상태를 측정하여 신체건강 측정값을 생성하는 신체건강 측정기;
    각 홈케어 대상자를 대상으로 정신건강 상태를 측정하여 정신건강 측정값을 생성하는 정신건강 측정기;
    상기 신체건강 측정값을 신체건강 점수로 환산하는 신체건강 점수 산출부;
    상기 정신건강 측정값을 정신건강 점수로 환산하는 정신건강 점수 산출부;
    측정된 신체건강 측정값 및 정신건강 측정값을 홈케어 서버로 전송하는 IoT 셋탑박스; 및
    수집되는 각 홈케어 대상자의 신체건강 측정값 및 정신건강 측정값을 기반으로 홈케어 대상자 유행 질환을 파악하여 의료기관 서버에 제공하는 홈케어 서버를 포함하고,
    상기 홈케어 서버는,
    수집되는 각 홈케어 대상자의 신체건강 측정값을 기반으로 홈케어 대상자 유행 질환을 파악하는 홈케어 대상자 유행 질환 파악부;
    빅데이터 분석기간 동안 수집되는 각 홈케어 대상자의 신체건강 측정값의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복지설계 우선순위를 파악하는 복지설계 우선순위 파악부; 및
    상기 홈케어 대상자 유행 질환을 의료기관 서버에 제공하며, 상기 복지설계 우선순위를 행정기관 서버에 제공하는 서버 제어부를 포함하고,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신체건강 점수가 미리 설정된 신체건강 기준 점수에 미달하고 상기 정신건강 점수가 미리 설정된 정신건강 기준 점수를 초과할 경우 친환경 제어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신체건강 점수가 미리 설정된 신체건강 기준 점수를 초과하고 상기 정신건강 점수가 상기 정신건강 기준 점수에 미달할 경우 방문 요청 모드로 동작하며,
    상기 신체건강 점수가 상기 신체건강 기준 점수에 미달하는 조건을 충족하면서 동시에 상기 정신건강 점수가 상기 정신건강 기준 점수에 미달하는 조건을 충족하는 경우 거주지 이동 요청 모드로 동작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홈케어 서버는,
    미리 설정된 기간인 빅데이터 분석기간 동안 신체건강 측정값을 수집하고, 상기 빅데이터 분석기간 동안 수집된 각 홈케어 대상자의 신체건강 측정값의 빅데이터를 분석하여 복지설계 우선순위를 파악하여 행정기관 서버에 제공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
  3. 삭제
  4.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은,
    홈케어 대상자가 거주하는 집 내부에 위치하여 온도, 습도를 포함하는 환경값을 변경시킬 수 있는 환경값 조절기
    를 포함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
  5. 청구항 4에 있어서, 상기 서버 제어부는,
    홈케어 대상자의 신체건강 측정값 및 정신건강 측정값에 따라서, 상기 홈케어 대상자가 거주하는 집 내부의 환경값 조절기를 원격 제어하는 친환경 제어 모드, 또는 상기 홈케어 대상자를 돌보는 도우미에게 홈케어 대상자의 집으로 방문하도록 요청하는 방문 요청 모드, 또는 홈케어 대상자를 임시 보호처로 거주 이동시키도록 관계기관 서버에 요청하는 거주지 이동 요청 모드로 동작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
  6. 청구항 5에 있어서, 상기 홈케어 서버는,
    상기 정신건강 측정기로부터 수신되는 정신건강 측정값을 홈케어 대상자별로 저장하는 정신건강 측정값 저장부를 포함하며,
    상기 서버 제어부는, 상기 신체건강 점수와 정신건강 점수에 따라서 상기 친환경 제어 모드, 방문 요청 모드, 거주지 이동 요청 모드 중 어느 하나의 모드로 동작함을 특징으로 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
  7. 삭제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신체건강 점수 산출부는,
    상기 신체건강 측정기로부터 측정되는 신체건강 측정값을 미리 설정된 신체건강 변환 수식에 대입하여 신체건강 예비 점수로 산출한 후, 홈케어 대상자가 거주하는 지역에 할당된 가중치를 상기 신체건강 예비 점수에 합산하여 최종적으로 신체건강 점수를 산출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
  9.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신체건강 점수 산출부는,
    상기 신체건강 측정기로부터 측정되는 신체건강 측정값을 미리 설정된 신체건강 변환 수식에 대입하여 신체건강 예비 점수로 산출한 후, 홈케어 대상자의 성별 및 연령에 할당된 가중치를 상기 신체건강 예비 점수에 합산하여 최종적으로 신체건강 점수를 산출하는 사물인터넷 기반의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180032144A 2018-03-20 2018-03-20 사물인터넷 기반의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 KR102029342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144A KR102029342B1 (ko) 2018-03-20 2018-03-20 사물인터넷 기반의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032144A KR102029342B1 (ko) 2018-03-20 2018-03-20 사물인터넷 기반의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29342B1 true KR102029342B1 (ko) 2019-11-08

Family

ID=6854228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032144A KR102029342B1 (ko) 2018-03-20 2018-03-20 사물인터넷 기반의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29342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8885A (ko) 2021-08-23 2023-03-03 신제원 3d 프린터 적용 돌봄용 주문자 맞춤형 스마트 펜던트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20045437A (ko) 2010-10-29 2012-05-09 (주)나노인사이드 데일리 홈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120076615A (ko) * 2010-12-07 2012-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건강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JP2016127966A (ja) * 2005-04-14 2016-07-14 イダルゴ リミテッドHidalgo Limited 監視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20160103571A (ko) * 2015-02-24 2016-09-02 주식회사 포키비언 신체정보 측정 단말기와 홈 네트워크를 결합한 통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66110A (ko) * 2015-12-04 2017-06-14 성기배 실내 환경 자동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6127966A (ja) * 2005-04-14 2016-07-14 イダルゴ リミテッドHidalgo Limited 監視のための装置および方法
KR20120045437A (ko) 2010-10-29 2012-05-09 (주)나노인사이드 데일리 홈케어 서비스 시스템 및 서비스 방법
KR20120076615A (ko) * 2010-12-07 2012-07-09 삼성전자주식회사 건강관리시스템 및 이를 이용한 건강관리방법
KR20160103571A (ko) * 2015-02-24 2016-09-02 주식회사 포키비언 신체정보 측정 단말기와 홈 네트워크를 결합한 통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방법
KR20170066110A (ko) * 2015-12-04 2017-06-14 성기배 실내 환경 자동제어 시스템 및 제어방법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30028885A (ko) 2021-08-23 2023-03-03 신제원 3d 프린터 적용 돌봄용 주문자 맞춤형 스마트 펜던트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0607469B2 (en) Methods for detecting and handling fall and perimeter breach events for residents of an assisted living facility
EP1898778B1 (en) Trend monitoring system with multiple access levels
JP2013078567A (ja) 遠隔健康監視データを提供するための方法および関連するシステム
KR20130042771A (ko) 원격 가축 모니터링 시스템 및 방법
CN107872776A (zh) 用于室内监控的方法、装置、电子设备及存储介质
KR102029342B1 (ko) 사물인터넷 기반의 홈케어 대상자 모니터링 시스템
KR102231183B1 (ko) IoT 망을 이용한 독거인 생활 패턴 학습 및 모니터링 시스템
EP3807890B1 (en) Monitoring a subject
KR102223628B1 (ko) 스마트 케어 밴드 기반의 근무자 헬스케어 시스템
AU2019221774B2 (en) Methods and systems for image collection and dimensional analysis for medical diagnoses
KR20160015431A (ko) 사용자 안전도 및 위치 기반의 응급환자 관리 방법 및 시스템
KR102233725B1 (ko) 5g 기반의 멀티 헬스케어 서비스 스마트홈 플랫폼 시스템 및 그 구동 방법
KR102083122B1 (ko) 퇴행성 뇌질환자의 이동경로 추적 시스템
KR20130062464A (ko) 생체신호수집을 위한 usn 기반의 통합의료관리 시스템 및 방법
EP3357420A1 (en) Monitoring activity of a person
KR101879749B1 (ko) 환자 및 의료진을 위한 모바일 기반 천식 관리 시스템 및 방법
KR20010097151A (ko) 원격 건강관리 서비스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2510180B1 (ko) 사용자 맞춤형 건강 관리 장치 및 방법
KR20110054382A (ko) 유비쿼터스 네트워크를 이용한 환자관리 시스템 및 방법
JP2021192024A (ja) 排泄物分析装置、分析システム、サーバ装置、及びプログラム
US20150157279A1 (en) Method, computer-readable storage device and apparatus for providing ambient augmented remote monitoring
KR20110006070A (ko) 응급상황 발생시 근접 카메라로부터 얻은 사용자 영상 정보를 보호자에게 전송하는 방법
KR101148424B1 (ko) 유비쿼터스 환경에서 유무선 네트워크를 통한 헬스 케어 시스템
WO2021246256A1 (ja) 排泄物分析装置、分析システム、サーバ装置、分析方法、及び非一時的なコンピュータ可読媒体
KR101412610B1 (ko) 건강 관리 스마트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