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977A - 트리플루오로메틸화된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균제 - Google Patents

트리플루오로메틸화된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균제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7977A
KR20220117977A KR1020210021513A KR20210021513A KR20220117977A KR 20220117977 A KR20220117977 A KR 20220117977A KR 1020210021513 A KR1020210021513 A KR 1020210021513A KR 20210021513 A KR20210021513 A KR 20210021513A KR 20220117977 A KR20220117977 A KR 20220117977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ormula
trifluoromethylated
carbon atoms
hydroquinone
presen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51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8908B1 (ko
Inventor
조은진
박태정
이다슬
쿠마르 소니 비닛
Original Assignee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filed Critical 중앙대학교 산학협력단
Priority to KR102021002151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8908B1/ko
Priority to PCT/KR2021/010236 priority patent/WO2022177078A1/ko
Publication of KR2022011797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97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890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890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NPRESERVATION OF BODIES OF HUMANS OR ANIMALS OR PLANTS OR PARTS THEREOF; BIOCIDES, e.g. AS DISINFECTANTS, AS PESTICIDES OR AS HERBI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PLANT GROWTH REGULATORS
    • A01N35/00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 A01N35/06Biocides, pest repellants or attractants, or plant growth regulators containing organic compounds containing a carbon atom having two bonds to hetero atoms with at the most one bond to halogen, e.g. aldehyde radical containing keto or thioketo groups as part of a ring, e.g. cyclohexanone, quinone; Derivatives thereof, e.g. ketal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Agronomy & Crop Science (AREA)
  • Plant Pathology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Dentistr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Wood Science & Technology (AREA)
  • Zoology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Organic Low-Molecular-Weight Compounds And Preparation Thereof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트리플루오로메틸화된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균제에 관한 것으로,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플루오로메틸화된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69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 할로겐, 및 -CF3 에서 선택되고, 단, R1, R2, R3, 및 R4 중 임의 하나는 -CF3 이다.

Description

트리플루오로메틸화된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균제{Antifungal agents containing trifluoromethylated hydroquinone derivatives}
본 발명은 트리플루오로메틸화된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균제에 관한 것이다.
공업용 방부제 및 코팅제는 종이, 도료, 벽지, 페인트 등에 도포되어 곰팡이의 생성을 막는 역할을 하며, 이러한 공업용 방부제로는 일반적으로, 1,2-헥산디올 2% 용액이 사용되어 왔다.
1,2-헥산디올은 비점 220 내지 230℃인 액상 화합물로 인체에 무해하나, 항균력이 낮아 방부제의 기능을 하려면 많은 양이 요구되는 문제점이 있다.
한편, 하이드로퀴논(hydroquinone)은 페놀 계열의 방향족 유기 화합물로서, 물에 잘 용해되고 환원력이 강하기 때문에 이러한 성질을 이용하여 식품, 고무 등에 산화방지제로서 사용되거나 중합 억제제로 사용되어 왔으나, 공업용 방부제 및 코팅제에 적용하는 경우 1,2-헥산디올과 유사하게 많은 양이 필요하기 때문에 기술의 적용이 제한적인 문제점이 존재한다.
본 발명의 일 목적은 소량으로도 항균 효과가 뛰어난 트리플루오로메틸화된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균제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플루오로메틸화된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를 포함한다:
[화학식 1]
Figure pat0000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 할로겐, 및 -CF3 에서 선택되고, 단, R1, R2, R3, 및 R4 중 임의 하나는 -CF3 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R1, R2, R3, 및 R4 중 임의 하나는 -CF3 이고, 나머지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R1, R2, R3, 및 R4 중 임의 하나는 -CF3 이고, 나머지는 수소 또는 할로겐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R1, R2, R3, 및 R4 중 임의 하나는 -CF3 이고, 나머지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항균제는 하기 화학식 1-1 내지 1-14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표시되는 트리플루오로메틸화된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1] [화학식 1-2]
Figure pat00002
Figure pat00003
[화학식 1-3] [화학식 1-4]
Figure pat00004
Figure pat00005
[화학식 1-5] [화학식 1-6]
Figure pat00006
Figure pat00007
[화학식 1-7] [화학식 1-8]
Figure pat00008
Figure pat00009
[화학식 1-9] [화학식 1-10]
Figure pat00010
Figure pat00011
[화학식 1-11] [화학식 1-12]
Figure pat00012
Figure pat00013
[화학식 1-13] [화학식 1-14]
Figure pat00014
Figure pat00015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균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트리플루오로메틸화된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를 포함한다:
[화학식 2]
Figure pat00016
상기 화학식 2에서,
R11, R12, R13, 및 R1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할로겐에서 선택되고, 단, R11, R12, R13, 및 R1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할로겐이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항균제는 하기 화학식 2-1 또는 2-2로 표시되는 트리플루오로메틸화된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1] [화학식 2-2]
Figure pat00017
Figure pat00018
본 발명의 트리플루오로메틸화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는 하이드로퀴논에 트라이플루오로기(-CF3)가 도입되어 하이드로퀴논의 항균 효과를 현저히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트리플루오로메틸화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항균제는 소량으로도 항균 효과가 뛰어나며, 이로 인해 공업용 방부제 및 코팅제에 적용하는 경우 적은 양으로도 높은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도 1은 효모 Saccharomyces cerevisiae의 배양액에 추가된 화합물들의 농도별 살균효과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2는 곰팡이 Cryptococcus neoformans의 배양액에 추가된 화합물들의 농도별 살균효과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3은 효모 Candida albicans의 배양액에 추가된 화합물들의 농도별 살균효과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4는 곰팡이 Aspergillus niger의 배양액에 추가된 화합물들의 농도별 살균효과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5는 4종의 균체에 대해 각 화합물의 농도별 살균효과를 비교한 결과이다.
이하, 본 발명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본 출원에서 사용한 용어는 단지 특정한 구현예를 설명하기 위해 사용된 것으로서 본 발명을 한정하려는 의도가 아니다.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기술적이거나 과학적인 용어를 포함해서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지고 있다.
본 명세서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 "함유”한다, “가지다”라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달리 정의되지 않는 한, 다른 구성 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다는 것을 의미한다.
본 명세서에서, "치환 또는 비치환"이란 표현에서 "치환"은 어떤 작용기에서 수소 원자가 다른 원자 또는 다른 작용기 (즉, 치환체)로 대체되는 것을 뜻한다.
본 명세서에서, "알킬"은 직쇄 또는 분지쇄일 수 있으며, 치환 또는 비치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알킬의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더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일 수 있다. 상기 알킬의 구체적 예로는 메틸, 에틸, n-프로필, 이소프로필, n-부틸, 이소부틸 및 tert-부틸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상기 "알콕시"는 직쇄, 분지쇄, 또는 고리쇄일 수 있으며, 치환 또는 비치환된 것일 수 있다. 상기 알콕시의 탄소수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으나,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 더 구체적으로는 탄소수 1 내지 4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일 수 있다. 상기 알콕시의 구체적 예로는, 메톡시, 에톡시, n-프로폭시, 이소프로폭시, n-부톡시, sec-부톡시, tert-부톡시 등을 들 수 있다.
본 명세서에서, "할로겐"은 F, Cl, Br, 및 I 원자를 포함하며, 구체적으로는 F, Cl 또는 Br 원자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항균제는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플루오로메틸화된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1]
Figure pat00019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 할로겐, 및 -CF3 에서 선택되고, 단, R1, R2, R3, 및 R4 중 임의 하나는 -CF3 이다.
구체적으로는, 상기 R1, R2, R3, 및 R4 중 임의 하나는 -CF3 이고, 나머지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이거나,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이거나, 또는 수소 또는 할로겐일 수 있다.
상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플루오로메틸화된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균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화학식 1-1 내지 1-14를 들 수 있다:
[화학식 1-1] [화학식 1-2]
Figure pat00020
Figure pat00021
[화학식 1-3] [화학식 1-4]
Figure pat00022
Figure pat00023
[화학식 1-5] [화학식 1-6]
Figure pat00024
Figure pat00025
[화학식 1-7] [화학식 1-8]
Figure pat00026
Figure pat00027
[화학식 1-9] [화학식 1-10] [화학식 1-11]
Figure pat00028
Figure pat00029
Figure pat00030
[화학식 1-12] [화학식 1-13] [화학식 1-14]
Figure pat00031
Figure pat00032
Figure pat00033
한편,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항균제는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트리플루오로메틸화된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를 포함할 수 있다:
[화학식 2]
Figure pat00034
상기 화학식 2에서, R11, R12, R13, 및 R1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할로겐에서 선택되고, 단, R11, R12, R13, 및 R1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할로겐이다.
상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트리플루오로메틸화된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균제의 구체적인 예로는 하기 화학식 2-1 또는 화학식 2-2를 들 수 있다:
[화학식 2-1] [화학식 2-2]
Figure pat00035
Figure pat00036
상기 화학식 1 또는 2로 표시되는 트리플루오로메틸화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는 하이드로퀴논에 트라이플루오로기(-CF3)가 도입되어 하이드로퀴논의 항균 효과를 현저히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다.
따라서, 상기 트리플루오로메틸화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를 포함하는 본 발명의 항균제는 소량으로도 항균 효과가 뛰어나며, 이로 인해 공업용 방부제 및 코팅제에 적용하는 경우 적은 양으로도 높은 항균 효과를 나타낼 수 있어 경제적인 이점이 있다.
한편, 일 실시예에서, 상기 화학식 1 또는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트리플루오로메틸화된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는 용매 중에서 트리플루오로메틸화 시약의 존재 하에 벤조퀴논 유도체에 380 nm 내지 500 nm 파장의 광을 조사하여 반응시켜 제조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벤조퀴논 유도체는 1,4-벤조퀴논 유도체일 수 있다. 상기 벤조퀴논 유도체는 구체적으로는 알킬, 알콕시, 및 할로겐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 또는 비치환된 1,4-벤조퀴논일 수 있고, 더 구체적으로는 비치환된 1,4-벤조퀴논,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 및 할로겐에서 선택되는 1종 또는 2종의 치환기에 의해 치환된 1,4-벤조퀴논일 수 있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트리플루오로메틸화 시약은 트리플루오로메틸기의 공급원으로서 유기 합성 반응에서 통상적으로 사용되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는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트리플루오로메틸화 시약은 Togni 시약, Umemoto 시약, Langlois 시약 등을 들 수 있다. Togni 시약과 Umemoto 시약은 상온에 오래 두어도 안정하고 다루기 쉽다는 장점이 있으나 값이 비싸다는 단점이 있다. Langlois 시약 (CF3SO2Na)은 값이 저렴하며, 본 발명의 화합물의 제조에 사용하였을 때 출발물질과 연계하여 반응을 원활히 잘 진행시킬 수 있으므로, 트리플루오로메틸화 시약으로서 Langlois 시약을 사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용매는 물, 유기 용매 또는 물과 유기용매를 혼합한 혼합 용매일 수 있다. 상기 유기 용매로는 반응 물질들과 반응하지 않는 것이라면 특별히 제한되지 않으며, 이의 예로는 메탄올, 에탄올, 디메틸포름아미드(DMF), 디메틸설폭시드(DMSO), 아세토니트릴(MeCN), 2,2,2-트리플루오로에탄올(TFE)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을 단독으로 또는 둘 이상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반응물의 용해성, 제거의 용해성, 반응 효율, 수율 등을 고려하였을 때, 상기 용매로서 물, 메탄올, 에탄올, 디메틸 설폭시드, 아세토니트릴, 및 2,2,2-트리플루오로에탄올에서 선택되는 1종 이상을 사용할 수 있다. 제조 수율의 측면에서 상기 용매로서 물과 유기 용매를 혼합한 혼합 용매, 구체적으로는 물과, 아세토니트릴 또는 2,2,2-트리플루오로에탄올을 혼합한 혼합 용매가 바람직하다. 물과 유기 용매를 혼합할 경우, 이들의 혼합 비율은 1:2 내지 2:1 (부피 기준)의 비율, 구체적으로는 1:1.5 내지 1.5:1 (부피 기준)의 비율, 더 구체적으로는 1:1 (부피 기준)의 비율일 수 있다.
이하에서는 실시예에 기초하여 본 발명에 대해 더욱 상세하게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이 이러한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1. 실시예
[실시예 1] 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4-디올의 제조
상온에서 아르곤(Ar) 분위기 하에 1 mmol의 Langlois 시약 및 3 mmol의 1,4-벤조퀴논을 TFE/H2O (1/1, 0.2 M)에 용해시키고 청색 LED (18 W)로 광 조사하면서 6 시간 동안 반응시켰다. 이로써 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4-디올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37
[실시예 2] 3,5-디메톡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4-디올의 제조
출발물질로서 1,4-벤조퀴논을 대신하여 2,6-디메톡시벤조퀴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켰다. 이로써 3,5-디메톡시-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4-디올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38
[실시예 3]
출발물질로서 1,4-벤조퀴논을 대신하여 2-클로로벤조퀴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켰다. 이로써 하기 화학식 1-3으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4와 혼합물로 존재)
[화학식 1-3]
Figure pat00039
[실시예 4]
출발물질로서 1,4-벤조퀴논을 대신하여 2-클로로벤조퀴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켰다. 이로써 하기 화학식 1-4로 표시되는 화합물을 합성하였다. (실시예 3과 혼합물로 존재)
[화학식 1-4]
Figure pat00040
[실시예 5]
출발물질로서 1,4-벤조퀴논을 대신하여 2,6-디클로로벤조퀴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켰다. 이로써 2,6-디메틸-4-(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4-디올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41
[실시예 6] 2-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4-디올의 제조
출발물질로서 1,4-벤조퀴논을 대신하여 2-클로로벤조퀴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켰다. 이로써 2-클로로-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4-디올이 백색 고체로서 수득되었다.
Figure pat00042
[실시예 7] 3,5-디메틸-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4-디올의 제조
출발물질로서 1,4-벤조퀴논을 대신하여 2,6-디메틸벤조퀴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켰다. 이로써 3,5-디메틸-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4-디올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43
[실시예 8] 2,5-디메틸-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4-디올의 제조
출발물질로서 1,4-벤조퀴논을 대신하여 2,5-디메틸벤조퀴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켰다. 이로써 2,5-디메틸-2-(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4-디올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44
[실시예 9] 2-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4-디올의 제조
출발물질로서 1,4-벤조퀴논을 대신하여 2-메틸벤조퀴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켰다. 이로써 2-메틸-3-(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4-디올(2-메틸하이드로퀴논과 혼합된 형태)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45
[실시예 10] 2-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4-디올의 제조
출발물질로서 1,4-벤조퀴논을 대신하여 2-메틸벤조퀴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켰다. 이로써 2-메틸-5-(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4-디올과 2-메틸-6-(트리플루오로메틸)벤젠-1,4-디올의 혼합물을 백색 고체로서 수득하였다.
Figure pat00046
[실시예 11] 3,5-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놀의 제조
출발물질로서 1,4-벤조퀴논을 대신하여 2,5-디클로로벤조퀴논을 사용한 것을 제외하고는 실시예 1과 동일한 방법으로 반응시켰다. 이로써 3,5-디클로로-4-(트리플루오로메톡시)페놀이 백색 고체로서 수득되었다.
Figure pat00047
[비교예 1]
비교예 1로 하기 화학식 3으로 표시되는 하이드로퀴논 화합물을 준비하였다.
[화학식 3]
Figure pat00048
[비교예 2]
비교예 2로 하기 화학식 4로 표시되는 1,2-헥산디올을 준비하였다.
[화학식 4]
Figure pat00049
실험예 1: 균체 서스펜션 준비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6, 비교예 1 내지 2 화합물들의 항균 실험에서는 Saccharomyces cerevisiae B4742, Cryptococcus neoformans H99 (ATCC 208821), Candida albicans (한국미생물자원센터, KCTC 7729), Aspergillus niger (한국미생물보존센터, KCCM 11239)를 시험균체로 사용하였다. S. cerevisiae, C. neoformans, C. albicans 균주는 48시간 동안 Yeast extract-Peptone-Dextrose (YPD) 고체배지(효모 추출물 1%, bacto-peptone 2%, 포도당 2% 및 한천 2%)에서 배양하였고, A. niger는 테스트 전 4-5일 동안 Potato Dextrose Agar (PDA, 감자 덱스트로스 한천) 고체배지에서 배양하였다. 효모 세포의 수는 3.0 Х 107 의 세포와 동등한 OD600=1.0 을 고려하여 조정되었다.
곰팡이 균체는 0.01%(v/v) Triton X-100을 함유한 멸균 식염수로 부양시키고 멸균된 스프레더를 사용하여 균사체에서 포자를 제거함으로써 A. niger 평판 배양액에서 수확했다. 포자가 있는 용액은 세포 여과기를 통해 여과되어 존재하는 균사체와 분리되었다. 포자 수는 OD530=0.5일 때 4.3 Х 106 포자/mL(Petrikkou E. 등, J. Clin. Microbiol. 2001, 39(4):1345-1347)와 동등한 것으로 간주하여 조정되었다. 이렇게 준비된 균체들은 이후 사용 시까지 4°C로 유지되었다.
실험예 2: 액상 살균 효과 분석
Figure pat00050
육수 미세 희석 방법(broth microdilution method)에 의한 항균 민감성 테스트는 유럽 항균 민감성 테스트 위원회(EUCAST)의 규정에 따라 테스트하기 위해 실험예 1에서 준비한 모든 균종들이 사용되었다.
본 발명에서 합성한 실시예 1 내지 6 항균물질과, 비교예 1 내지 2의 표준 용액은 배양액에 혼합하여 조제하였고, 그 후 배양액에 연속적으로 희석하여 최종 농도 범위를 4 - 0.0625 mg/mL로 조정하였다. 사용된 배양 배지는 효모 종에 대한 YPD 액상배지(1% 효모 추출물, 2% bacto-peptone, 2% 포도당)였고, A. niger의 경우 감자 덱스트로스 액상배지(Potato Dextrose Broth; PDB)였다.
구체적으로, 각 샘플당 세 번 중복되도록 멸균된 시험관을 이용하여 배양하였다. 혼합 용액은 각 시험관당 원하는 수의 균수를 접종한 후 24-48시간 동안 30°C에서 배양했다. ml 당 1.0 Х 105 cells의 효모 균체는 연속적으로 희석하여 0.1mL 씩 접종되었다. 한편,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화합물들을 1.0 Х 104 개/ml의 곰팡이포자를 연속 희석하여 0.1mL 씩 접종하였다. 이후, 본 발명의 화합물에 의한 최소 억제 농도를 평가하기 위하여 OD600에서 세포농도를 관찰하였다.
도 1은 효모 S. cerevisiae의 배양액에 실시예 1 내지 6에 따라 합성된 화합물 및 비교예 1 내지 2를 다양한 농도(0, 4, 2, 1, 0.5, 0.25, 0.125, 0.0625 mg/mL)로 추가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살균 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600 nm에서 흡광도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1을 보면, 비교예 1인 하이드로퀴논과 비교예 2인 1,2-헥산디올보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살균력이 월등히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2는 곰팡이 C. neoformans의 배양액에 실시예 1 내지 6에 따라 합성된 화합물 및 비교예 1 내지 2를 다양한 농도(0, 4, 2, 1, 0.5, 0.25, 0.25, 0.125, 0.0625 mg/mL)로 추가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살균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600 nm에서 흡광도를 관찰한 결과를 나타낸다.
도 2에 나타나듯이, 비교예 1인 하이드로퀴논과 비교예 2인 1,2-헥산디올보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살균력이 다소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3은 효모 C. albicans의 배양액에 실시예 1 내지 6에 따라 합성된 화합물 및 비교예 1 내지 2를 다양한 농도(0, 4, 2, 1, 0.5, 0.25, 0.25, 0.125, 0.0625 mg/mL)로 추가하고, 48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살균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600 nm에서 흡광도를 관찰한 결과이다.
도 3을 보면, 하이드로퀴논과 1,2-헥산디올보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의 살균력이 월등히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4는 곰팡이 A. niger의 배양액에 실시예 1 내지 6에 따라 합성된 화합물 및 비교예 1 내지 2를 다양한 농도(0, 4, 2, 1, 0.5, 0.25, 0.25, 0.125, 0.0625 mg/mL)로 추가하여 48시간 동안 배양하면서 살균효과를 관찰하기 위해 600 nm에서 흡광도를 관찰한 결과이며, 이를 통해 하이드로퀴논과 1,2-헥산디올보다 본 발명의 화합물들에 의한 살균력이 월등히 뛰어남을 확인할 수 있었다.
도 5는 4종의 균체에 대해 각 화합물의 농도별 살균효과를 비교한 그래프이다.
도 5를 보면, 모든 효모균 및 곰팡이균에 대해 비교예 1 및 2에 비해, 본 발명의 실시예 1 내지 실시예 6의 살균력이 높은 결과를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실시예 5(DS5105) 및 실시예 6(DS5148)은 저농도에서도 비교예 1 및 2에 비해 우수한 살균력을 나타냈으며, 이로부터 하이드로퀴논에 트라이플루오로기(-CF3)가 도입되는 경우 하이드로퀴논의 항균 효과를 현저히 증진시키는 효과가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본 실험예에서는 효모균 2종(S. cerevisiae, C. albicans)과 곰팡이균 2종(C. neoformans, A. niger)에 대한 살균력을 살펴보았으나, 본 발명의 요지상 이외의 효모균 및 곰팡이균에 대해 사용하여도 동일한 결과를 얻을 수 있음은 이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사항이다.
상기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참조하여 설명하였지만, 해당 기술 분야의 숙련된 당업자는 하기의 특허 청구 범위에 기재된 본 발명의 사상 및 영역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본 발명을 다양하게 수정 및 변경시킬 수 있음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Claims (7)

  1. 하기 화학식 1로 표시되는 트리플루오로메틸화된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균제:
    [화학식 1]
    Figure pat00051

    상기 화학식 1에서,
    R1, R2, R3, 및 R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탄소수 1 내지 10의 알킬, 탄소수 1 내지 10의 알콕시, 할로겐, 및 -CF3 에서 선택되고, 단, R1, R2, R3, 및 R4 중 임의 하나는 -CF3 이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 R2, R3, 및 R4 중 임의 하나는 -CF3 이고, 나머지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콕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 R2, R3, 및 R4 중 임의 하나는 -CF3 이고, 나머지는 수소 또는 할로겐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R1, R2, R3, 및 R4 중 임의 하나는 -CF3 이고, 나머지는 수소 또는 탄소수 1 내지 10의 직쇄 또는 분지쇄 알킬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5. 제1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1-1 내지 1-14 중 어느 하나에 의해 표시되는 트리플루오로메틸화된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화학식 1-1] [화학식 1-2]
    Figure pat00052
    Figure pat00053

    [화학식 1-3] [화학식 1-4]
    Figure pat00054
    Figure pat00055

    [화학식 1-5] [화학식 1-6]
    Figure pat00056
    Figure pat00057

    [화학식 1-7] [화학식 1-8]
    Figure pat00058
    Figure pat00059

    [화학식 1-9] [화학식 1-10]
    Figure pat00060
    Figure pat00061

    [화학식 1-11] [화학식 1-12]
    Figure pat00062
    Figure pat00063

    [화학식 1-13] [화학식 1-14]
    Figure pat00064
    Figure pat00065

  6. 하기 화학식 2로 표시되는 트리플루오로메틸화된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균제:
    [화학식 2]
    Figure pat00066

    상기 화학식 2에서,
    R11, R12, R13, 및 R14 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할로겐에서 선택되고, 단, R11, R12, R13, 및 R14 중 적어도 하나 이상은 할로겐이다.
  7. 제6항에 있어서, 하기 화학식 2-1 또는 2-2로 표시되는 트리플루오로메틸화된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항균제:
    [화학식 2-1] [화학식 2-2]
    Figure pat00067
    Figure pat00068
KR1020210021513A 2021-02-18 2021-02-18 트리플루오로메틸화된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균제 KR102578908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513A KR102578908B1 (ko) 2021-02-18 2021-02-18 트리플루오로메틸화된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균제
PCT/KR2021/010236 WO2022177078A1 (ko) 2021-02-18 2021-08-04 트리플루오로메틸화된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균제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513A KR102578908B1 (ko) 2021-02-18 2021-02-18 트리플루오로메틸화된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균제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977A true KR20220117977A (ko) 2022-08-25
KR102578908B1 KR102578908B1 (ko) 2023-09-13

Family

ID=8293203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513A KR102578908B1 (ko) 2021-02-18 2021-02-18 트리플루오로메틸화된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균제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578908B1 (ko)
WO (1) WO2022177078A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6878A (ko) 2022-09-14 2024-03-21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68008A1 (de) * 1988-10-24 1990-05-16 Bayer Ag Fluor enthaltende Phenole
JPH03271244A (ja) * 1990-03-19 1991-12-03 Central Glass Co Ltd トリフルオロメトキシフェノール誘導体の製造方法
JP2005220039A (ja) * 2004-02-03 2005-08-18 Ajinomoto Co Inc 新規抗真菌物質fa200a
KR20070104545A (ko) * 2005-01-05 2007-10-26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종이 및 판지에서 살진균제의 효능을 향상시키는 방법
JP2019210250A (ja) * 2018-06-05 2019-12-12 株式会社クラレ イソペンチルジオールを含有する防腐剤組成物

Family Cites Familie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WO2011062259A1 (ja) * 2009-11-20 2013-04-11 出光テクノファイン株式会社 組成物、抗菌性処理剤及び抗菌性成形品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EP0368008A1 (de) * 1988-10-24 1990-05-16 Bayer Ag Fluor enthaltende Phenole
JPH03271244A (ja) * 1990-03-19 1991-12-03 Central Glass Co Ltd トリフルオロメトキシフェノール誘導体の製造方法
JP2005220039A (ja) * 2004-02-03 2005-08-18 Ajinomoto Co Inc 新規抗真菌物質fa200a
KR20070104545A (ko) * 2005-01-05 2007-10-26 다우 글로벌 테크놀로지스 인크. 종이 및 판지에서 살진균제의 효능을 향상시키는 방법
JP2019210250A (ja) * 2018-06-05 2019-12-12 株式会社クラレ イソペンチルジオールを含有する防腐剤組成物

Non-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ACS Sustainable Chem. Eng., 2017, 5, pp.334-341* *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40036878A (ko) 2022-09-14 2024-03-21 영남대학교 산학협력단 테트라메틸부틸하이드로퀴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황색포도상구균 바이오필름 형성 억제용 조성물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8908B1 (ko) 2023-09-13
WO2022177078A1 (ko) 2022-08-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Yahaya et al. Evaluation of Trametes lactinea extracts on the inhibition of hyaluronidase, lipoxygenase and xanthine oxidase activities in vitro
Zulpa et al. Bioactivity of intra and extracellular substances from cyanobacteria and lactic acid bacteria on “wood blue stain” fungi
Schmeda-Hirschmann et al. Secondary metabolites from endophytic fungi isolated from the Chilean gymnosperm Prumnopitys andina (Lleuque)
SASSE et al. Melithiazols, New β-Methoxyacrylate Inhibitors of the Respiratory Chain Isolated from Myxobacteria Production, Isolation, Physico-chemical and Biological Properties
Sajid et al. Identification, isolation and optimization of antifungal metabolites from the Streptomyces Malachitofuscus ctf9
CN103610212A (zh) 板栗鞣花酸鞣质在制备抗氧化剂中的应用
KR102578908B1 (ko) 트리플루오로메틸화된 하이드로퀴논 유도체를 포함하는 항균제
JP4165714B2 (ja) 作物抗真菌剤として使用されるソルダリンおよびその誘導体
Gabriela et al. Antioxidant and antimicrobial properties of Laetiporus sulphurous (Bull.) Murrill
Enyi et al. Secondary metabolites from endophytic fungi of Moringa oleifera: Antimicrobial and antioxidant properties
Poongodi et al. Antioxidant activity of Nocardiopsis sp., a marine actinobacterium, isolated from the Gulf of Mannar Biosphere Reserve, India
CN114369051B (zh) 吡咯烷醇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Richards et al. GHLORFLAVONIN, A NEW ANTIFUNGAL ANTIBIOTIC
JP5390384B2 (ja) イソチアゾロン化合物の亜鉛塩、イソチアゾロン化合物の低刺激化方法、イソチアゾロン化合物の亜鉛塩を用いる抗菌・防カビ方法、および抗菌・防カビ組成物
KR101876939B1 (ko) 페니실린산을 생산하는 아스퍼질러스 펄시 균주를 유효성분으로 함유하는 식물병 방제용 조성물 및 이의 용도
Mendoza et al. Oxidative foliar photo-necrosis produced by the bacteria Pseudomonas cedrina
DE2915106A1 (de) Verfahren zur enzymatischen umwandlung organischer substrate in ketone
CN101669927B (zh) 蒽醌zsu-h85在制备抗耻垢分枝杆菌药物中的应用
CN110563683A (zh) 一种苯骈吡喃酮类化合物及其制备方法和应用
CN112851610B (zh) 一种倍半萜衍生物及其制备方法与应用
CN114680114B (zh) 褪黑素衍生物在防治植物真菌病害中的用途
Kara et al. Determination of the chemical composition and antifungal activity of wood vinegar (pyroligneous acid) against the onion bulb rot disease caused by Fusarium proliferatum
CA2144628A1 (en) A fungicidal compound
Sangeetha et al. Production of volatile organic compounds of Fusarium oxysporum f. sp. lycopersici on coinoculation with the metabolites of Chaetomium globosum.
Zhang et al. Anti-phytopathogens activity of antibiotic compound F125 (phenazine-1-carboxamide) from a Pseudomonas aeruginosa strain SU8.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