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7549A -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기어 조립 구조 - Google Patents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기어 조립 구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7549A
KR20220117549A KR1020210021029A KR20210021029A KR20220117549A KR 20220117549 A KR20220117549 A KR 20220117549A KR 1020210021029 A KR1020210021029 A KR 1020210021029A KR 20210021029 A KR20210021029 A KR 20210021029A KR 20220117549 A KR20220117549 A KR 202201175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aft
worm wheel
worm
parking brake
stage wor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2102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01746B1 (ko
Inventor
최수길
공정현
배현화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인팩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인팩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인팩
Priority to KR102021002102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01746B1/ko
Publication of KR202201175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75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01746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01746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6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nd mechanical transmission of the braking actio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TVEHICLE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BRAKE CONTROL SYSTEMS OR PARTS THEREOF, IN GENERAL; ARRANGEMENT OF BRAKING ELEMENTS ON VEHICLES IN GENERAL; PORTABLE DEVICES FOR PREVENTING UNWANTED MOVEMENT OF VEHICLES; VEHICLE MODIFICATIONS TO FACILITATE COOLING OF BRAKES
    • B60T13/00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 B60T13/74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 B60T13/741Transmitting braking action from initiating means to ultimate brake actuator with power assistance or drive; Brake systems incorporating such transmitting means, e.g. air-pressure brake systems with electrical assistance or drive acting on an ultimate actuator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1/00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 F16H1/0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 F16H1/04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 F16H1/12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 F16H1/1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 F16H1/166Toothed gearings for conveying rotary motion without gears having orbital motion involving only two intermeshing members with non-parallel axes comprising worm and worm-wheel with members rotating around axes on the worm or worm-wheel
    • FMECHANICAL ENGINEERING; LIGHTING; HEATING; WEAPONS; BLASTING
    • F16ENGINEERING ELEMENTS AND UNITS; GENERAL MEASURES FOR PRODUCING AND MAINTAINING EFFECTIVE FUNCTIONING OF MACHINES OR INSTALLATIONS; THERMAL INSULATION IN GENERAL
    • F16HGEARING
    • F16H57/00General details of gearing
    • F16H57/02Gearboxes; Mounting gearing therein
    • F16H57/039Gearboxes for accommodating worm ge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306/00Other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306/09Reducing nois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ransportation (AREA)
  • General Details Of Gearings (AREA)
  • Connection Of Motors, Electrical Generators, Mechanical Devices, And The Like (AREA)
  • Gear Transmission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기어 조립 구조에 관한 것으로, 이너커버 조립체에 모터와 기어류 부품들이 모두 장착되고, 그 이너커버 조립체가 베이스하우징에 삽입되며, 베이스하우징에 하우징커버가 융착된다.
융착 개소의 수와 융착 면적이 감소하여 기밀성이 향상되고, 융착시 기어류 부품들의 설치 위치가 변동되지 않음으로써 작동 성능이 향상되며, 2단 웜휠의 축방향 유격이 방지되어 소음이 감소된다.

Description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기어 조립 구조{Gear assembly structure of electronic parking brake}
본 발명은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기어 조립 구조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주차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기밀성, 작동 성능, 소음 감소에 유리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기어 조립 구조에 관한 것이다.
전자제어유니트에 의한 작동 제어를 위해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의 액추에이터는 전기 모터를 이용하여 조작력을 발생시키고, 모터에서 발생된 회전 조작력을 기어열을 이용하여 감속 및 배력하여 주차 브레이크 기구에 전달하는 구조로 이루어져 있다.
모터에 연결되는 기어열로는 모터 off시에도 회전 정지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통상 2단의 웜 & 웜휠 기어 구조를 적용하고 있으며, 배력을 위해 유성기어를 부가 적용하기도 한다.
상기 2단 웜 & 웜휠 기어 구조는, 1단 웜은 모터의 출력축에 장착되고, 1단 웜과 치합되는 1단 웜휠은 2단 웜이 장착된 웜샤프트의 일단부에 장착되며, 2단 웜에 2단 웜휠이 치합되는 구조로 이루어지며, 이러한 기어열은 통상 상, 하 방향에서 상호 결합(융착)되는 베이스하우징과 하우징커버의 내부에 설치된다. 또한 베이스하우징은 상기 모터도 수용하는데 모터의 절반 부분만 감싸게 되며 나머지 절반 부분은 베이스하우징에 결합(융착)되는 모터커버에 의해 보호된다.
따라서 종래의 액추에이터는 상호 융착되는 2개 부분의 기밀 관리가 필요하므로 액추에이터의 기밀성 확보 및 유지에 취약한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상기 웜샤프트는 베이스하우징과 하우징커버에 의해 조립 위치가 유지되는데, 하측의 베이스하우징에 기어류 부품이 놓인 상태에서 상측에서 하우징커버가 융착될 때 기어류 부품의 정렬 상태가 틀어짐으로써 액추에이터의 작동 성능이 저하되고,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또한 2단 웜휠에 상하 방향 유격이 존재하여 액추에이터 작동시 2단 웜휠이 상방으로 이동하면서 하우징커버에 충돌함으로써 소음이 발생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공개특허공보 제2020-0012256호(2020.02.05. 공개)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문제점들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융착 개소가 감소되고, 하우징커버 융착시 기어류 부품들의 정렬 상태가 흐트러지지 않으며, 작동시 2단 웜휠의 상하 방향 유동이 억제됨으로써 기밀성과 작동성이 향상되고 소음이 감소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기어 조립 구조를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모터와 기어류 부품들이 모두 조립된 이너커버 조립체와; 상기 이너커버 조립체가 수용되는 베이스하우징과; 상기 베이스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베이스하우징을 밀폐하는 하우징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이너커버 조립체는 통 형상의 웜샤프트 조립부와, 웜샤프트 조립부의 양측에 각각 모터조립부와 웜휠조립부가 형성된 이너커버를 포함한다.
상기 웜샤프트 조립부에 외주 일부에 2단 웜이 장착되고 일단부에 1단 웜휠이 장착된 웜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다.
상기 웜샤프트에서 1단 웜휠과 2단 웜의 사이에 웜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그 지지부재가 상기 웜샤프트 조립부의 입구부에 삽입되며, 웜샤프트 조립부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스냅링이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이탈이 방지된다.
상기 모터조립부의 저면에 모터가 고정되고, 모터의 회전축이 모터조립부의 상방으로 돌출되며, 모터의 회전축에 1단 웜이 장착된다.
상기 웜휠 조립부에 원통형의 샤프트삽입부가 형성되고, 그 샤프트삽입부에 2단 웜휠의 중공샤프트가 삽입되어, 2단 웜휠이 웜휠 조립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상기 중공샤프트가 2단 웜휠과 별물로 형성되어 중공샤프트가 2단 웜휠의 관통홀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중공샤프트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플랜지가 샤프트삽입부의 하단에 밀착되고, 중공샤프트의 상단이 코킹되어 상부플랜지가 형성되며, 그 상부플랜지와 상기 하부플랜지 사이가 상기 샤프트삽입부와 2단 웜휠로 완전히 채워져 축방향으로 유격이 존재하지 않게 된다.
상기 중공샤프트가 2단 웜휠과 일체로 형성되고, 그 중공샤프트의 하단에 스냅링이 설치되며, 그 스냅링과 샤프트삽입부의 하단 사이에 와셔가 설치되어 2단 웜휠의 축방향 거동이 억제된다.
상기 모터조립부와 웜휠조립부는 복수의 후크를 매개로 베이스하우징에 장착될 수 있다.
이상 설명한 바와 같은 본 발명에 따르면, 모터 및 기어류 부품들이 모두 이너커버에 장착되어 하나의 이너커버 조립체를 이루고, 그 이너커버 조립체가 베이스하우징과 하우징커버의 사이에 내장된다.
따라서 베이스하우징과 하우징커버 사이의 1개소만 융착이 이루어지므로 융착 개소가 감소되어 기밀성 확보와 유지가 용이한 효과가 있다.
또한 기어류 부품들이 모두 상기 이너커버에 장착되고 그 정렬 상태가 타 부품에 영향받지 않게 됨으로써, 특히 1단 웜휠과 2단 웜이 장착되는 웜샤프트가 상기 이너커버에 형성된 웜샤프트 조립부에 삽입 설치되어 베이스하우징과 하우징커버의 융착 공정 진행시 조립 위치가 변동되지 않음으로써, 기어류 부품들의 정렬 상태가 조립 공정 중 어긋나지 않게 되어 액추에이터의 작동성 및 작동 소음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코킹과 스냅링 적용에 의해 2단 웜휠에 축방향 유격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액추에이터 작동시 2단 웜휠이 하우징커버에 부딪혀 발생하는 충돌 소음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도 1은 본 발명이 적용된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분해 사시도.
도 2는 상기 액추에이터의 일 구성인 이너커버 조립체의 분해 사시도.
도 3은 이너커버 조립체가 조립된 상태의 베이스하우징의 평면도.
도 4는 도 3의 저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일 구성인 2단 웜의 축방향 유동 방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도 6은 도 5의 실시예와는 다른 2단 웜의 축방향 유동 방지 구조를 도시한 단면도.
본 발명은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실시예를 가질 수 있는 바, 특정 실시예들을 도면에 예시하고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을 특정한 실시 형태에 대해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모든 변경,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첨부된 도면에 도시된 선들의 두께나 구성요소의 크기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를 위해 과장되게 도시되어 있을 수 있다.
또한, 후술되는 용어들은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여 정의된 용어들로서 이는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판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그러므로,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하여 내려져야 할 것이다.
이하,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도 1,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기어 조립 구조는 이너커버 조립체(100)와, 이너커버 조립체(100)가 내장되는 베이스하우징(200)과, 베이스하우징(200)을 밀폐하는 하우징커버(300)를 포함한다.
이너커버 조립체(100)는 이너커버(110)에 모터(120)와 기어류 부품들이 모두 조립되어 있는 것을 지칭한다. 기어류 부품들의 샤프트는 베이스하우징(200)이나 하우징커버(300)에 접촉되지 않고 이너커버(110)에만 설치되어 그 위치의 정렬 및 유지가 이루어진다.
이너커버(110)는 중간 부분에 일단이 개구된 통형의 웜샤프트 조립부(111)가 형성되고, 그 웜샤프트 조립부(111)의 양측으로 각각 모터 조립부(112)와 웜휠 조립부(113)가 형성된다.
모터 조립부(112)의 하면에는 모터(120)가 고정 설치되고, 모터(120)의 회전축이 모터 조립부(112)에 형성된 관통홀을 통해 상면 위로 돌출되며, 그 회전축에 1단 웜(130)이 장착된다.
웜휠 조립부(113)의 상면에는 2단 웜휠(160)이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다.
2단 웜휠(160)은 도 5와 같이 중앙에 중공샤프트(162)가 구비되고, 그 중공샤프트(162)가 웜휠조립부(113)의 중앙에 형성된 원통형의 샤프트삽입부(113)에 삽입됨으로써 회전이 가능한 구조로 설치된다.
상기 웜샤프트조립부(111)에는 1단 웜휠(140)과 2단 웜(151)이 구비된 웜샤프트(150)가 삽입 설치된다.
웜샤프트(150)의 외주 일부에는 소정 길이의 2단 웜(151)이 설치되고, 2단 웜(151)이 설치된 부분의 반대쪽 단부에는 1단 웜휠(140)이 설치된다. 또한 1단 웜휠(140)과 소정 간격을 두고 2단 웜(151)의 일측 단부에는 원형의 지지부재(152)가 구비된다. 웜샤프트(150)는 지지부재(152)를 관통하고 있으며, 그 관통홀의 내부에서 웜샤프트(150)는 자유로이 회전 가능하다.
상기 웜샤프트(150)는 웜샤프트조립부(111)로 삽입되어 그 삽입 단부가 웜샤프트조립부(111)의 단부 벽면에 형성된 지지홀(111a)에 삽입되어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된다.
상기 지지부재(152)는 웜샤프트 조립부(111)의 입구 부분에 삽입되어 웜샤프트 조립부(111)의 개구부를 막으며, 전술한 바와 같이 웜샤프트(150)를 회전 가능한 상태로 지지한다.
지지부재(152)의 설치 위치에 대응되는 웜샤프트 조립부(111)의 외주부에는 스냅링(170)이 삽입될 수 있는 슬릿(111b)이 관통 형성되고, 그 슬릿(111b)으로 삽입된 스냅링(170)이 지지부재(152)의 일측 단부에 걸려짐으로써 지지부재(152)의 이탈을 방지하여, 웜샤프트(150)와 그에 구비된 1단 웜휠(140) 및 2단 웜(151)의 설치 위치를 일정하게 유지한다.
상기와 같은 조립 상태에서 1단웜(130)과 1단 웜휠(140), 그리고 2단 웜(151)과 2단 웜휠(160)은 서로 치합된다.
상기와 같이 모든 기어류 부품들은 이너커버(110)에만 장착되어 그 설치 상태를 유지하고, 베이스하우징(200)이나 하우징커버(300)에는 접촉되지 않는다.
상기 베이스하우징(200)은 이너커버 조립체(100)의 상면부를 제외한 전체를 감쌀 수 있는 형상으로 형성된다. 이너커버(110)와 상기 기어류 부품들의 측면 및 저면을 감싸주는 함체부(210)와, 함체부(210)의 저면 일측에 하방으로 돌출 형성되어 모터(120)가 삽입 수용되는 모터수용부(220)를 포함하며, 상기 함체부(210)의 내부 일측에는 상방으로 완만한 곡면 형상으로 돌출된 웜휠조립부 장착부(230)가 형성된다.
함체부(210)의 외측부에는 액추에이터에 전원 공급을 위한 커넥터연결부(240)와, 차량에 액추에이터를 볼트로 고정하기 위해 볼트홀이 형성된 마운팅부(250)가 형성된다.
상기 이너커버(110)와 베이스하우징(200)은 후크 걸림 구조로 상호 결합될 수 있다. 도 1, 도 3과 같이 모터조립부(112)의 둘레면에는 복수의 후크(112a)가 형성되고, 베이스하우징(200)의 함체부(210)에는 상기 후크(112a)들에 각각 대응되는 위치에 후크걸림부(211)가 구비된다. 이 후크걸림부(211)는 베이스하우징(200)과 일체로 사출 형성될 수 있고, 또한 독립된 부재로 제작되어 베이스하우징(200) 사출시 인서트되거나, 또는 성형 완료후 장착될 수도 있다.
따라서 모터(120)가 모터수용부(220)에 완전히 삽입되면서 이너커버(110)가 함체부(210)에 안착되면 상기 후크(112a)들이 후크걸림부(211)에 삽입되어 걸려짐으로써 모터조립부(112)가 베이스하우징(200)에 고정된다.
그와 마찬가지로 웜휠조립부(113)의 저면에는 도 4, 도 5와 같이 복수의 후크(112b)가 형성되고, 그 후크(112b)에 대응하여 상기 웜휠조립부장착부(230)에는 결합홀(231)이 형성되며, 결합홀(231)의 둘레 일측에 걸림턱(231a)이 형성된다. 따라서 상기 후크(112b)들이 결합홀(231)로 삽입되어 걸림턱(231a)에 걸려짐으로써 웜휠조립부(113)가 웜휠조립부장착부(230)에 장착된다.
상기와 같이 모터조립부(112)와 웜휠조립부(113)가 함체부(210)의 일측부 및 웜휠조립부장착부(230)에 고정됨으로써 이너커버 조립체(100)가 베이스하우징(200)에 견고하게 장착된다.
이때 상기 모터조립부(112)는 후크 걸림 구조가 적용되지 않고 도 2와 같이 복수의 볼트홀(112a')이 형성되고, 그 볼트홀(112a')을 통해 삽입되는 볼트를 매개로 베이스하우징(200)에 고정될 수도 있다.
이후 베이스하우징(200)의 상단부에 함체부(210)와 동일한 평단면 형상을 가지는 하우징커버(300)가 결합된다. 하우징커버(300)는 베이스하우징(200)의 함체부(210) 상단에 융착됨으로써 이너커버 조립체(100)가 내장된 내부 공간과 외부의 사이를 완전히 차단하여 외부로부터 내부 공간으로 수분과 먼지 등의 이물질이 침투되는 것을 방지한다.
한편, 상기 2단 웜휠(160)의 축방향(도면상 상하 방향) 유동을 방지하기 위하여 도 5, 도 6과 같이 유동 억제 구조가 적용된다.
도 5는 2단 웜휠(160)과 중공샤프트(162)가 별물로 제작되어 상호 조립된 경우로서, 중공샤프트(162)는 2단 웜휠(160)의 중앙 관통홀(161)에 삽입 고정되어 2단 웜휠(160)과 함께 일체로 회전된다.
상기 중공샤프트(162)의 하단에는 하부플랜지(162b)가 형성되어 웜휠조립부(113)에 형성된 샤프트삽입부(113a)의 하단에 걸려진다. 그 상태에서 중공샤프트(162)의 타단(상단)에 2단 웜휠(160)이 장착된 후 중공샤프트(162)의 타단이 외측으로 코킹되어 상부플랜지(162a)가 형성된다.
상기 상부플랜지(162a)의 코킹에 의해 중공샤프트(162)의 상부플랜지(162a)와 하부플랜지(162b) 사이에는 상기 샤프트삽입부(113a)와 2단 웜휠(160)이 간극 없이 상태로 설치되며, 이에 중공샤프트(162)와 2단 웜휠(160)은 축방향(상하 방향)으로 유동이 불가한 상태가 된다.
또한 상기 중공샤프트(162)는 도 6과 같이 2단 웜휠(160)에 일체로 형성될 수 있으며, 이 경우 2단 웜휠(160)은 웜휠조립부(113)의 샤프트삽입부(113a)에 상방에서 하방으로 삽입된다. 그리고 중공샤프트(162)의 하단에 형성된 스냅링홈(162c)에 스냅링(170)을 설치하여, 스냅링(170)이 샤프트삽입부(113a)의 하단에 걸려지도록 함으로써 2단 웜휠(160)의 상방 이탈을 방지한다. 이때 스냅링(170)과 샤프트삽입부(113a)의 하단 사이에 간극이 존재하지 않으면 2단 웜휠(160)의 축 방향 유동이 방지된다.
또한 간극이 존재하는 경우에는 스냅링(170)과 샤프트삽입부(113a)의 사이에 와셔(180)와 같은 부품을 설치하여 간극을 제거함으로써 2단 웜휠(160)의 축 방향 유동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와 같은 구성으로 이루어진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액추에이터의 작동은 다음과 같이 이루어진다.
모터(120)가 작동되면, 그 회전축에 장착된 1단 웜(130)이 회전된다. 이에 1단 웜(130)에 치합된 1단 웜휠(140)이 회전되고, 1단 웜휠(140)이 장착된 웜샤프트(150)가 회전됨으로써 2단 웜(151)이 회전된다. 따라서 2단 웜(151)에 치합된 2단 웜휠(160)이 회전되고, 2단 웜휠(160)에 연결된 출력축(미도시)을 통해 주차 브레이크 조작력이 출력된다. 2단 웜휠(160)의 상기 중공샤프트(162)는 내주면에는 톡스(Torx)나 스플라인 치형이 형성되어 있어 출력축 결합시 슬립 없이 회전력을 출력축에 연결된 기구로 전달할 수 있도록 되어 있다.
상기와 같은 과정을 통해 모터의 회전력이 주차 브레이크 기구로 전달되어 차량의 주차 제동이 이루어진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기어 조립 구조는 모터(120)와 그에 연동되는 기어류 부품들 즉, 상기 1단 웜(130), 1단 웜휠(140), 2단 웜(151), 2단 웜휠(160)이 모두 이너커버(110)에만 장착되며, 그와 같이 조립된 이너커버 조립체(100)가 베이스하우징(200)에 내장된 후 베이스하우징(200)에 하우징커버(300)가 융착된다.
따라서 별도의 모터커버가 존재하지 않고, 모터커버의 융착 공정도 없으므로 융착 개소의 수와 면적이 감소됨으로써 액추에이터의 기밀성이 향상된다. 이와 같은 기밀성 향상은 액추에이터의 작동 성능을 원활히 유지하고 장기적으로는 내구성을 향상시키며, 이물질 침투에 의한 소음 발생도 방지해 준다.
또한 본 발명은, 상기 기어류 부품들이 모두 이너커버(110)에만 장착되어 정렬 상태를 유지하고 베이스하우징(200)이나 하우징커버(300)와 같은 다른 부품과는 기구적 접촉 관계가 없다.
특히 1단 웜휠(140)과 2단 웜(151)이 장착되는 웜샤프트(150)가 상기 이너커버(110)에 형성된 웜샤프트 조립부(111)에 삽입 설치되어 베이스하우징(200)과 하우징커버(300)의 융착 공정 진행시 위치가 변동되지 않음으로써 액추에이터의 작동성 및 작동 소음이 감소되는 효과가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이 별물형 중공샤프트(162)의 경우 상단 코킹(상부플랜지(162a)이 적용되고, 일체형 중공샤프트(162)의 경우 스냅링(170)과 와셔(180)가 적용되어, 2단 웜휠(160)에 축방향 유격이 발생하지 않음으로써 액추에이터 작동시 2단 웜휠(160)이 하우징커버(300)에 부딪혀 발생하는 충돌 소음이 방지되는 효과가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도면에 도시된 실시예를 참고로 하여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기술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범위는 아래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하여져야 할 것이다.
100 : 이너커버 조립체 110 : 이너커버
111 : 웜샤프트조립부 112 : 모터조립부
113 : 웜휠조립부 120 : 모터
130 : 1단 웜 140 : 1단 웜휠
150 : 웜샤프트 151 : 2단 웜
160 : 2단 웜 170,171 : 스냅링
180 : 와셔 200 : 베이스하우징
210 : 함체부 220 : 모터수용부
230 : 웜휠조립부장착부 300 : 하우징커버

Claims (9)

  1. 모터와 기어류 부품들이 모두 조립된 이너커버 조립체와;
    상기 이너커버 조립체가 수용되는 베이스하우징과;
    상기 베이스하우징의 상부에 결합되어 베이스하우징을 밀폐하는 하우징커버;
    를 포함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기어 조립 구조.
  2. 청구항 1에 있어서,
    상기 이너커버 조립체는 통 형상의 웜샤프트 조립부와, 웜샤프트 조립부의 양측에 각각 모터조립부와 웜휠조립부가 형성된 이너커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기어 조립 구조.
  3.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웜샤프트 조립부에 외주 일부에 2단 웜이 장착되고 일단부에 1단 웜휠이 장착된 웜샤프트가 회전 가능하게 삽입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기어 조립 구조.
  4. 청구항 3에 있어서,
    상기 웜샤프트에서 1단 웜휠과 2단 웜의 사이에 웜샤프트를 회전 가능하게 지지하는 지지부재가 구비되고, 그 지지부재가 상기 웜샤프트 조립부의 입구부에 삽입되며, 웜샤프트 조립부에 형성된 슬릿을 통해 스냅링이 삽입되어 상기 지지부재의 이탈이 방지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기어 조립 구조.
  5.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터조립부의 저면에 모터가 고정되고, 모터의 회전축이 모터조립부의 상방으로 돌출되며, 모터의 회전축에 1단 웜이 장착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기어 조립 구조.
  6.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웜휠 조립부에 원통형의 샤프트삽입부가 형성되고, 그 샤프트삽입부에 2단 웜휠의 중공샤프트가 삽입되어, 2단 웜휠이 웜휠 조립부에 회전 가능하게 설치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기어 조립 구조.
  7.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중공샤프트가 2단 웜휠과 별물로 형성되어 중공샤프트가 2단 웜휠의 관통홀에 삽입 고정되며, 상기 중공샤프트의 하단에 형성된 하부플랜지가 샤프트삽입부의 하단에 밀착되고, 중공샤프트의 상단이 코킹되어 상부플랜지가 형성됨으로써 상기 상부플랜지와 하부플랜지의 사이에 축방향 유격이 존재하지 않도록 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기어 조립 구조.
  8. 청구항 6에 있어서,
    상기 중공샤프트가 2단 웜휠과 일체로 형성되고, 그 중공샤프트의 하단에 스냅링이 설치되며, 그 스냅링과 샤프트삽입부의 하단 사이에 와셔가 설치되어 2단 웜휠의 축방향 거동이 억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기어 조립 구조.
  9. 청구항 2에 있어서,
    상기 모터조립부와 웜휠조립부는 복수의 후크를 매개로 베이스하우징에 장착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기어 조립 구조.
KR1020210021029A 2021-02-17 2021-02-17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기어 조립 구조 KR102501746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029A KR102501746B1 (ko) 2021-02-17 2021-02-17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기어 조립 구조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21029A KR102501746B1 (ko) 2021-02-17 2021-02-17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기어 조립 구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7549A true KR20220117549A (ko) 2022-08-24
KR102501746B1 KR102501746B1 (ko) 2023-02-21

Family

ID=8311198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21029A KR102501746B1 (ko) 2021-02-17 2021-02-17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기어 조립 구조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01746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834A (ko) * 2018-05-24 2019-12-04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장치용 엑츄에이터
KR20200012256A (ko) 2018-07-26 2020-02-05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액추에이터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90133834A (ko) * 2018-05-24 2019-12-04 주식회사 만도 브레이크장치용 엑츄에이터
KR20200012256A (ko) 2018-07-26 2020-02-05 주식회사 만도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용 액추에이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01746B1 (ko) 2023-02-2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EP1473192B1 (en) Mirror device for vehicle
CN111213305B (zh) 驱动装置
JP3777968B2 (ja) ドアロック装置
JP4563119B2 (ja) ギアユニットおよびケーブル窓昇降システム用のモータ駆動ギアユニット
JPS58112436A (ja) 駆動装置
IE881516L (en) Electric motor with tachogenerator
JP4405428B2 (ja) モータ端子部構造
KR101502381B1 (ko) 변속형 액츄에이터
JP2019529742A (ja) ウィンドウレギュレータ用の駆動装置
US5566592A (en) Adjusting drive, in particular a window-lift drive for a motor vehicle
JP2002327832A (ja) 自動変速機の車速センサ取付構造
JP2019529741A (ja) ケーブルドラム用ストップリングを有するウィンドウリフタ用駆動アセンブリ
KR20220117549A (ko) 전자식 주차 브레이크 기어 조립 구조
CN110392650B (zh) 用于执行器的驱动单元以及具有驱动单元和传动单元的执行器
JP2006208109A (ja) 回転検出センサ
JPS6246744A (ja) ワイパ−モ−タ
JP6938503B2 (ja) ワイパモータおよびワイパモータを生産する方法
GB2335703A (en) Vehicles : sliding windows : manual winder
KR20190046570A (ko) 자동차 조향장치
US20190359136A1 (en) Door mirror apparatus for vehicle
JP5021276B2 (ja) ゴムブラケット及び流体ポンプ装置
JP2007006617A (ja) モータ
US5201673A (en) Wiring connection structure for a vehicle motor
MXPA06006672A (es) Operador de puerta giratorio.
US10926703B2 (en) Door mirror apparatus for vehicl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