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6640A - 극세사 원단, 직물, 합성피혁 및 이를 이용한 휴대폰 또는 태블릿, 백색가전의 커버 - Google Patents

극세사 원단, 직물, 합성피혁 및 이를 이용한 휴대폰 또는 태블릿, 백색가전의 커버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6640A
KR20220116640A KR1020210019716A KR20210019716A KR20220116640A KR 20220116640 A KR20220116640 A KR 20220116640A KR 1020210019716 A KR1020210019716 A KR 1020210019716A KR 20210019716 A KR20210019716 A KR 20210019716A KR 20220116640 A KR20220116640 A KR 202201166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yurethane
layer
polyurethane resin
microfiber fabric
resin lay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971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51229B1 (ko
Inventor
김지영
Original Assignee
(주)커버뷰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커버뷰 filed Critical (주)커버뷰
Priority to KR1020210019716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51229B1/ko
Publication of KR202201166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664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5122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5122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7/00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 B32B37/14Methods or apparatus for laminating, e.g. by curing or by ultrasonic bonding characterised by the properties of the lay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12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next to a fibrous or filamentary layer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4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comprising polyurethan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38/00Ancillary operations in connection with laminating processes
    • B32B38/08Impregnating

Landscapes

  • Laminated Bodies (AREA)
  • Telephone Set Structure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폴리우레탄 극세사 원단 제작 방법은, 폴리우레탄(PU) 스킨층을 준비하는 단계, 폴리우레탄 스킨층 아래에, 폴리우레탄 스킨층에 비해 내열성이 낮은 폴리우레탄(PU) 레진층을 배치시켜 부착하는 단계, 폴리우레탄 레진층 아래에, 극세사 원단층을 배치시켜 부착하는 단계 및 폴리우레탄 스킨층, 폴리우레탄 레진층 및 극세사 원단층을 가열시켜, 폴리우레탄 레진층에 있는 폴리우레탄 레진의 일부가 극세사 원단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함침되도록 하는 가열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은 마이크로 파이버 원단 멜란지 고유의 디자인을 살릴 수 있는 커버 및 케이스 제작용 원단을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멜란지 고유의 디자인을 살리고, 환경 친화성, 무독성, 발오성, 발수성, 뛰어난 내열성 및 작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휴대폰이나 태블릿 또는 백색가전의 케이스 또는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Description

극세사 원단, 직물, 합성피혁 및 이를 이용한 휴대폰 또는 태블릿, 백색가전의 커버{Microfiber fabric, general textile, synthetic leather and cover of mobile phone, tablet PC and home appliance using them}
본 발명은 휴대폰이나 태블릿 또는 백색가전의 케이스나 소프트 커버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극세사 원단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휴대폰이나 태블릿은 이용자가 휴대하면서 사용하거나 작은 가방속에 휴대할 수 있는 단말기로 현대인은 거의 필수품으로 휴대하고 다니는 것이 현실이다.
이와 같은 휴대폰 및 태블릿은 휴대성으로 사람이 손으로 가지고 다니거나 가방속에 넣은 채로 이동하는 경우가 많은데, 이러한 경우 휴대폰 화면이나 표면에 손상이 갈 수 있고, 떨어뜨리는 경우 휴대폰 및 태블릿이 망가지는 경우가 존재한다.
특히 대다수의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은 화면이 보이는 전면이 터치스크린으로 형성되고 이러한 터치스크린은 강화유리로 처리되고 있다. 강화유리는 긁힘, 전면으로부터의 충격에는 강한 이점이 있으나, 측면으로부터 충격에 매우 취약하여 디스플레이 패널이 강화유리로 제작된 스마트폰이나 태블릿의 경우 사용자의 사용 중 부주의에 의해 지면으로 낙하된 경우, 디스플레이 패널을 보호하고 있는 전면 패널, 또는 디스플레이 패널 자체가 깨져 버리는 등의 문제가 발생될 수 있다.
이러한 문제점을 방지하기 위해, 사용자는 별도의 케이스나 케이스와 함께 부착되는 소프트 커버를 구매하여 휴대폰 및 태블릿을 보호하고 있다.
한편, 이러한 케이스나 소프트 커버의 디자인 및 휴대감 및 손과의 접촉감을 향상시키기 위해 케이스 및 소프트 커버의 플라스틱 재질 위에 극세사 원단을 덧붙여 사용하는 방법을 제시하고 있다.
하지만, 친환경, 무독성, 발수성, 내열성이 뛰어난 제품에 대한 요구가 증가하고 있어 이러한 특성을 갖는 케이스나 소프트 커버 및 이를 제작하기 위한 극세사 원단의 개발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1. 대한민국 특허공개 제10-2016-0112171(고강도 내열섬유를 이용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2. 대한민국 공개특허 제10-2017-0048700(휴대폰 케이스)
본 발명은 상술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하여 창출된 것으로, 마이크로 파이버 원단 멜란지 고유의 디자인을 살릴 수 있는 케이스 또는 커버 제작용 원단을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은 환경 친화성, 무독성, 발오성, 발수성, 뛰어난 내열성 및 작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휴대폰이나 태블릿 또는 백색가전의 케이스 또는 커버를 제공하는 것을 그 목적으로 한다.
상기의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르면, 휴대폰 또는 태블릿 또는 백색가전의 케이스나 커버에 적용하기 위한 폴리우레탄 극세사 원단을 제작하는 방법은, (a) 폴리우레탄(PU) 스킨층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 아래에,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에 비해 내열성이 낮은 폴리우레탄(PU) 레진층을 배치시켜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 아래에, 극세사 원단, 직물 및 합성 피혁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극세사 원단층을 배치시켜 부착하는 단계; 및 (d)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 폴리우레탄 레진층 및 극세사 원단층을 가열시켜,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에 있는 폴리우레탄 레진의 일부가 상기 극세사 원단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함침되도록 하는 가열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d) 단계는 엠보 가공을 통해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의 일부가 상기 극세사 원단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함침되도록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d) 단계에서, 가열 온도는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의 내열 온도보다는 낮고,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의 내열 온도보다는 높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은 투명 제1 액형 폴리우레탄 스킨층이며,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은 수성 또는 유성의 제1 액형 폴리우레탄 레진층이다.
본 발명이 다른 특징에 따르면, 휴대폰 또는 태블릿또는 백색가전의 케이스나 커버에 적용하기 위한 폴리우레탄 극세사 원단은, 폴리우레탄(PU) 스킨층;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에 비해 내열성이 낮은 폴리우레탄(PU) 레진층; 및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과 인접한 면으로부터 적어도 소정의 깊이로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의 폴리우레탄 레진이 함침된, 극세사 원단, 직물 및 합성 피혁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극세사 원단층; 을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극세사 원단층에 함침된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은, 상기 폴리우레탄 극세사 원단을 가열시켜,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의 폴리우레탄 레진 일부가 상기 극세사 원단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함침됨으로써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에서 극세사 원단층으로 함친된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극세사 원단층에 함침된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은, 상기 폴리우레탄 극세사 원단의 엠보 가공 시, 상기 극세사 원단을 가열시켜,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의 폴리우레탄 레진 일부가 상기 극세사 원단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함침됨으로써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에서 극세사 원단층으로 함친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가열 온도는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의 내열 온도보다는 낮고,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의 내열 온도보다는 높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은 투명 제1 액형 폴리우레탄 스킨층이며,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은 수성 또는 유성의 제1 액형 폴리우레탄 레진층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특징에 따르면, 휴대폰 또는 태블릿 또는 백색가전의 커버 제작 방법은, (a) 폴리우레탄(PU) 스킨층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 아래에,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에 비해 내열성이 낮은 폴리우레탄(PU) 레진층을 배치시켜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 아래에, 극세사 원단, 직물 및 합성 피혁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극세사 원단층을 배치시켜 부착하는 단계; (d)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 폴리우레탄 레진층 및 극세사 원단층을 가열시켜,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에 있는 폴리우레탄 레진의 일부가 상기 극세사 원단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함침되도록 하는 가열하여, 폴리우레탄 극세사 원단을 제작하는 단계; 및 (e) 상기 폴리우레탄 극세사 원단의 극세사 원단층 일면에 핫멜트 접착제를 통해 플라스틱 커버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서,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은 제1 색상의 칼라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은 상기 제1 색상과는 다른 제2 색상의 칼라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제작 방법은, (f) 상기 폴리우레탄(PU) 스킨층의 일부 영역을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까지 깎아 제거하여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또는 태블릿 또는 백색가전의 케이스, 커버를 제작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원단 제작 장법에 따르면, 마이크로 파이버 원단을 PU 제1 액형 핫멜트에 함침시키고 원단 표면에 투명 PU 코팅 및 엠보싱 처리함으로써 마이크로 파이버 원단 멜란지 고유의 디자인을 살릴 수 있는 커버 및 케이스 제작용 원단을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멜란지 고유의 디자인을 살릴 수 있는 휴대폰, 태블릿 또는 백색가전의 커버 및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또는 태블릿 또는 백색가전의 케이스, 커버를 제작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원단 제작 장법에 따르면, 환경 친화성, 무독성, 발오성, 발수성, 뛰어난 내열성 및 작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휴대폰이나 태블릿 또는 백색가전의 케이스 또는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또는 태블릿 또는 백색가전의 원단 커버를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U 레진 함침을 통한 원단 제작 방법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태블릿 커버를 제작한 예를 나타낸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PU 스킨층을 레이저 가공하여 커버와 다른 색상의 글자를 커버에 표시한 휴대폰 케이스를 제작한 예를 나타낸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또는 태블릿 또는 백색가전의 원단 커버를 제작하는 과정을 나타낸 흐름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PU 레진 함침을 통한 원단 제작 방법을 나타낸다.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또는 태블릿 또는 백색가전 원단 커버를 제작하는 과정을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우선, 휴대폰 또는 태블릿 또는 백색가전의 케이스나 커버에 적용하기 위한 폴리우레탄 극세사 원단(110)을 제작한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폴리우레탄(PU) 스킨층(101)을 준비한다(S10). 이러한 폴리우레탄(PU) 스킨층은 일반적으로 도 2에 도시된 폴리우레탄 레진층(102)의 색상이 보일 수 있도록 투명한 재질인 것이 바람직하다.
그런 다음 폴리우레탄(PU) 스킨층 아래에 폴리우레탄(PU) 레진층(102)을 배치시켜 부착한다(S20). 이때 폴리우레탄(PU) 레진층(102)은 PU 스킨층(101)에 비해 내열성이 낮은 특성을 갖는 재질을 선택한다.
그런 다음, PU 레진층(102) 아래에 극세사 원단층(103)를 배치시켜 부착한다(S30). 이때 극세사 원단층은 극세사 원단 이외에도, 직물, 합성피혁 중 어느 하나를 이용할 수 있다.
그리고 나서 PU 스킨층(101), PU 레진층(102) 및 극세사 원단층(103)을 가열시켜, 폴리우레탄 레진층(102)에 있는 폴리우레탄 레진의 일부가 극세사 원단층(103)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함침되도록 가열한다(S40).
이러한 과정을 통해서 극세사 원단(110)이 완성된다. 이때, 가열 단계(S40)에서 상기 가열 방법은 엠보 가열 또는 엠보 가공 방법을 이용할 수 있다. 엠보 가공을 통해 극세사 원단(110)을 엠보싱 처리하여 극세사 원단의 패턴 디자인을 그대로 살릴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할 수 있다. 즉, 상기 S40 단계는 엠보 가공을 통해 폴리우레탄 레진층(102)의 일부가 극세사 원단층(103)의 소정 깊이로 함침되어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폴리우레탄 레진이 함침된 원단층(103a)가 형성되게 된다.
한편, 엠보 가공 시의 가열 온도는 폴리우레탄 스킨층(101)의 내열 온도보다는 낮고, 폴리우레탄 레진층(102)의 내열 온도보다는 높은 온도로 설정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를 통해 엠보 가공시 폴리우레탄 스킨층(101)은 변함없이 폴리우레탄 레진층(102)의 레진만 녹아 원단층(103) 속으로 함침될 수 있게 한다.
엠보 가공은 엠보 롤러를 통해 수행될 수 있고 엠보 롤러의 온도를 폴리우레탄 레진의 내열 온도보다 높은 온도로 유지하면, 폴리우레탄 레진이 녹아 원단층 속으로 함침될 수 있다.
한편, 폴리우레탄 스킨층(101)은 제1 액형 폴리우레탄 스킨층이고, 아울러 투명한 재질로 제작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그러나 폴리우레탄 스킨층(101)은 불투명한 색상을 갖는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을 것이다. 그리고 폴리우레탄 레진층(102)도 수성 또는 유성의 제1 액형 폴리우레탄 레진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도 2를 참조하면, 엠보 가공 전의 극세사 원단층(103)이 폴리우레탄 레진층(102)의 레진이 함침된 부분(103a)와 함침되지 않은 부분(103)이 소정 깊이에서 구분되게 된다. 이러한 수성 또는 유성의 폴리우레탄 레진층의 함침을 통해 극세사 원단의 특성을 살리면서도, 환경 친화성, 무독성, 방오성, 발수성, 뛰어난 내열성 및 작업 안정성을 제공하는 효과를 얻을 수 있다.
한편, 상기 S10 단계에서 이형지 위에 일반적인 폴리우레탄 레진을 스킨층으로서 코팅하여 형성하고, S20 단계에 그 위에 내열성이 낮은 1액형 폴리우레탄 레진을 코팅하고, S30 단계에서 그 위에 극세사 원단을 접착하여 제작할 수 있다. 이러한 경우, S40 단계에서 엠보 가공을 통해 레진이 극세사 원단으로 함침된 후, 이형지를 박리하여 소정 시간 동안 숙성을 하게 할 수 있다. 여기서 숙성이란 극세사 원단을 소정 시간 뜨거운 온도에 두게 하여 굳히는 것을 말한다. 그리고 이형지는 제거된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라 태블릿 커버를 제작한 예를 나타낸다.
도 3을 참조하면, 위 단계 S40까지의 과정을 통해 얻은 극세사 원단(110)을 이용하여 플라스틱 커버를 접착하여 케이스 또는 커버를 제작할 수 있게 된다.
도 1을 참조하면, 극세사 원단(110) 아래에 이형 핫멜트를 코팅한 후 플라스틱 커버를 핫멜트에 부착한다(S50). 일 실시예에서, 사출 완료된 플라스틱에 이형 핫멜트가 부착된 극세사 원단(110)을 열로 접착한다. 그러면 핫멜트가 식으면서 극세사 원단(110)과 플라스틱 재질의 커버 또는 케이스가 접착되어 극세사 원단이 적용된 커버나 케이스가 제작되게 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라 PU 스킨층을 레이저 가공하여 커버와 다른 색상의 글자를 커버에 표시한 휴대폰 케이스를 제작한 예를 나타낸다.
도 1 및 도 4를 참조하면, PU 스킨층(101)의 재질을 투명한 재질이 아닌 제1 색상의 칼라를 포함하는 재질로 만들고, PU 레진층(102)은 제1 색상과는 다른 제2 색상의 칼라를 포함하는 재질로 만든 후, PU 스킨층(101)의 일부 영역을 PU 레진층(102)까지 레이저 가공 등을 통해 깎아 제거하여, PU 레진층(102)의 색상이 깎은 공간을 통해 PU 스킨층(101) 외부로 노출되게 한다(S60).
예를 들어, PU 스킨층(101)의 표면에 제작사나 소유자의 이름을 새길 수 있도록 레이저고 가공하면, PU 레진층(102)이 가공된 영역을 통해 드러나게 되어, 도 4의 예에서와 같이, 서로 다른 색상의 PU 스킨층(101)과 PU 레진층(102)를 통해 케이스 자체에서 다양한 색상의 무늬나 글자를 새길 수 있는 효과를 제공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또는 태블릿 또는 백색가전의 케이스, 커버를 제작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원단 제작 장법에 따르면, 마이크로 파이버 원단을 PU 제1 액형 핫멜트에 함침시키고 원단 표면에 투명 PU 코팅 및 엠보싱 처리함으로써 마이크로 파이버 원단 멜란지 고유의 디자인을 살릴 수 있는 커버 및 케이스 제작용 원단을 제공하고, 이를 바탕으로 멜란지 고유의 디자인을 살릴 수 있는 휴대폰 및 태블릿 또는 백색가전의 커버 및 케이스를 제공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휴대폰 또는 태블릿 또는 백색가전의 케이스, 커버를 제작하는 방법 및 이를 위한 원단 제작 장법에 따르면, 환경 친화성, 무독성, 발오성, 발수성, 뛰어난 내열성 및 작업 안정성을 확보할 수 있는 휴대폰이나 태블릿 또는 백색가전의 케이스 또는 커버를 제공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1 : PU 스킨층 102 : PU 레진층
103 : 극세사 원단층 103a : 레진이 함침된 극세사 원단층
110 : 폴리우레탄 극세사 원단

Claims (11)

  1. 휴대폰 또는 태블릿 또는 백색가전의 케이스나 커버에 적용하기 위한 폴리우레탄 극세사 원단을 제작하는 방법에 있어서,
    (a) 폴리우레탄(PU) 스킨층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 아래에,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에 비해 내열성이 낮은 폴리우레탄(PU) 레진층을 배치시켜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 아래에, 극세사 원단, 직물 및 합성 피혁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극세사 원단층을 배치시켜 부착하는 단계; 및
    (d)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 폴리우레탄 레진층 및 극세사 원단층을 가열시켜,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에 있는 폴리우레탄 레진의 일부가 상기 극세사 원단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함침되도록 하는 가열 단계;
    를 포함하는 원단 제작 방법.
  2.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는 엠보 가공을 통해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의 일부가 상기 극세사 원단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함침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제작 방법.
  3.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d) 단계에서, 가열 온도는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의 내열 온도보다는 낮고,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의 내열 온도보다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제작 방법.
  4. 제1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은 투명 제1 액형 폴리우레탄 스킨층이며,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은 수성 또는 유성의 제1 액형 폴리우레탄 레진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원단 제작 방법.
  5. 휴대폰 또는 태블릿 또는 백색가전의 케이스나 커버에 적용하기 위한 폴리우레탄 극세사 원단에 있어서,
    폴리우레탄(PU) 스킨층;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에 비해 내열성이 낮은 폴리우레탄(PU) 레진층; 및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 아래에 배치되며,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과 인접한 면으로부터 적어도 소정의 깊이로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의 폴리우레탄 레진이 함침된, 극세사 원단, 직물 및 합성 피혁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극세사 원단층;
    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극세사 원단.
  6. 제5 항에 있어서,
    상기 극세사 원단층에 함침된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은,
    상기 폴리우레탄 극세사 원단을 가열시켜,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의 폴리우레탄 레진 일부가 상기 극세사 원단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함침됨으로써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에서 극세사 원단층으로 함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극세사 원단.
  7.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극세사 원단층에 함침된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은,
    상기 폴리우레탄 극세사 원단의 엠보 가공 시, 상기 극세사 원단을 가열시켜,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의 폴리우레탄 레진 일부가 상기 극세사 원단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함침됨으로써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에서 극세사 원단층으로 함친된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극세사 원단.
  8.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가열 온도는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의 내열 온도보다는 낮고,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의 내열 온도보다는 높은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극세사 원단.
  9. 제6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은 투명 제1 액형 폴리우레탄 스킨층이며,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은 수성 또는 유성의 제1 액형 폴리우레탄 레진층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폴리우레탄 극세사 원단.
  10. 휴대폰 또는 태블릿 또는 백색가전의 커버 제작 방법에 있어서,
    (a) 폴리우레탄(PU) 스킨층을 준비하는 단계;
    (b)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 아래에,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에 비해 내열성이 낮은 폴리우레탄(PU) 레진층을 배치시켜 부착하는 단계;
    (c)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 아래에, 극세사 원단, 직물 및 합성 피혁중 어느 하나를 포함하는 극세사 원단층을 배치시켜 부착하는 단계;
    (d)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 폴리우레탄 레진층 및 극세사 원단층을 가열시켜,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에 있는 폴리우레탄 레진의 일부가 상기 극세사 원단층의 적어도 일부 영역으로 함침되도록 하는 가열하여, 폴리우레탄 극세사 원단을 제작하는 단계; 및
    (e) 상기 폴리우레탄 극세사 원단의 극세사 원단층 일면에 핫멜트 접착제를 통해 플라스틱 커버를 부착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제작 방법.
  11. 제10 항에 있어서,
    상기 폴리우레탄 스킨층은 제1 색상의 칼라를 포함하고,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은 상기 제1 색상과는 다른 제2 색상의 칼라를 포함하고,
    상기 커버 제작 방법은,
    (f) 상기 폴리우레탄(PU) 스킨층의 일부 영역을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까지 깎아 제거하여 상기 폴리우레탄 레진층이 외부로 노출되도록 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커버 제작 방법.
KR1020210019716A 2021-02-15 2021-02-15 극세사 원단, 직물, 합성피혁 및 이를 이용한 휴대폰 또는 태블릿, 백색가전의 커버 KR10245122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716A KR102451229B1 (ko) 2021-02-15 2021-02-15 극세사 원단, 직물, 합성피혁 및 이를 이용한 휴대폰 또는 태블릿, 백색가전의 커버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716A KR102451229B1 (ko) 2021-02-15 2021-02-15 극세사 원단, 직물, 합성피혁 및 이를 이용한 휴대폰 또는 태블릿, 백색가전의 커버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640A true KR20220116640A (ko) 2022-08-23
KR102451229B1 KR102451229B1 (ko) 2022-10-06

Family

ID=8309257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716A KR102451229B1 (ko) 2021-02-15 2021-02-15 극세사 원단, 직물, 합성피혁 및 이를 이용한 휴대폰 또는 태블릿, 백색가전의 커버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51229B1 (ko)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4889A (ko) * 2011-08-04 2014-04-15 정순기 내오염성과 내수성을 갖는 텍스타일 패브릭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45004A (ko) * 2012-10-05 2014-04-16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샌드위치 접합구조를 갖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KR20150009034A (ko) * 2013-07-09 2015-01-26 주식회사 우전앤한단 엘라스토머 스킨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12171A (ko) 2015-03-18 2016-09-28 (주)오로피노 고강도 내열섬유를 이용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48700A (ko) 2015-10-27 2017-05-10 주식회사 하나통신 휴대폰 케이스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40044889A (ko) * 2011-08-04 2014-04-15 정순기 내오염성과 내수성을 갖는 텍스타일 패브릭 시트 및 이의 제조방법
KR20140045004A (ko) * 2012-10-05 2014-04-16 엔엠텍코리아 주식회사 샌드위치 접합구조를 갖는 휴대기기용 보호케이스
KR20150009034A (ko) * 2013-07-09 2015-01-26 주식회사 우전앤한단 엘라스토머 스킨을 가지는 모바일 기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KR20160112171A (ko) 2015-03-18 2016-09-28 (주)오로피노 고강도 내열섬유를 이용한 원단 및 그 제조방법
KR20170048700A (ko) 2015-10-27 2017-05-10 주식회사 하나통신 휴대폰 케이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51229B1 (ko) 2022-10-0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1329049B1 (ko) 곡면처리된 액정보호필름 및 그의 제조방법
EP2691234B1 (en) Marking of fabric carrying case for a portable electronic device
CN208557082U (zh) 一种电子设备和用于电子设备的盖
KR101195106B1 (ko) 휴대용 단말기 보호케이스
KR101087655B1 (ko) 손톱 스티커의 구조와 그 제조 및 부착방법
RU2551757C2 (ru) Способ изготовления текстильного продукта
KR102451229B1 (ko) 극세사 원단, 직물, 합성피혁 및 이를 이용한 휴대폰 또는 태블릿, 백색가전의 커버
KR102449436B1 (ko) 극세사 원단, 직물, 합성피혁 원단을 이용한 휴대폰 , 태블릿 및 백색가전의 커버 제작 방법
KR100958836B1 (ko) 의류용 장식지 제조방법
US20210193411A1 (en) Waterproof film and keyboard thereof
KR20130097512A (ko) 휴대기기용 액정보호필름
KR101283863B1 (ko) 전사시트 및 이를 이용한 사출성형방법
KR200490956Y1 (ko) 로고 라벨 구조
KR200434504Y1 (ko) 인테리어용 장식시트지
KR102033322B1 (ko) 의류용 2중합지 점착시트 및 이를 이용한 접착방법
JP2003242853A (ja) 押釦スイッチ用部材及びその製造方法
KR100651675B1 (ko) 키패드 및 그 키패드 제조방법
KR200362808Y1 (ko) 휴대폰용 보조커버
JP3144786U (ja) 電子装置外殻
KR20060095219A (ko) 엠블렘 제조방법
KR102431033B1 (ko) 스마트키 모듈 일체형 휴대폰 케이스 및 그 제조방법
JP3197776U (ja) クリーナークロス
KR100651673B1 (ko) 키패드 및 그 키패드 제조방법
KR200372664Y1 (ko) 에폭시 스티커
KR100961877B1 (ko) 의류용 장식지 제조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MND Amendment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
AMND Amendment
X701 Decision to grant (after re-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