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6023A - 복합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 Google Patents

복합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6023A
KR20220116023A KR1020227024637A KR20227024637A KR20220116023A KR 20220116023 A KR20220116023 A KR 20220116023A KR 1020227024637 A KR1020227024637 A KR 1020227024637A KR 20227024637 A KR20227024637 A KR 20227024637A KR 20220116023 A KR20220116023 A KR 2022011602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olarizing plate
meth
layer
resin
fil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46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리미츠 에바타
Original Assignee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filed Critical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Publication of KR2022011602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6023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02B5/3025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 G02B5/3033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 G02B5/3041Polarisers, i.e. arrangements capable of producing a definite output polarisation state from an unpolarised input state in the form of a thin sheet or foil, e.g. Polaroid comprising multiple thin layers, e.g. multilayer stack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7/00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 B32B27/06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 B32B27/08Layered products comprising a layer of synthetic resin as the main or only constituent of a layer, which is next to another layer of the same or of a different material of synthetic resin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7/00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on between layer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relative orientation of features between layers, or by the relative values of a measurable parameter between layers, i.e. products comprising layers having different 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Layered products characterised by the interconnection of layers
    • B32B7/02Physical, chemical or physicochemical properties
    • B32B7/023Optical properties
    • GPHYSICS
    • G02OPTICS
    • G02BOPTICAL ELEMENTS, SYSTEMS OR APPARATUS
    • G02B5/00Optical elements other than lenses
    • G02B5/30Polarising element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PHYSICS
    • G02OPTICS
    • G02FOPTICAL 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LIGHT BY MODIFICATION OF THE OPTICAL PROPERTIES OF THE MEDIA OF THE ELEMENTS INVOLVED THEREIN; NON-LINEAR OPTICS; FREQUENCY-CHANGING OF LIGHT; OPTICAL LOGIC ELEMENTS; OPTICAL ANALOGUE/DIGITAL CONVERTERS
    • G02F1/00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 G02F1/01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 G02F1/13Devices or arrangement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colour, phase, polarisation or direction of light arriving from an independent light source, e.g. switching, gating or modulating; Non-linear optics for the control of the intensity, phase, polarisation or colour  based on liquid crystals, e.g. single liquid crystal display cells
    • G02F1/1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Operation of liquid crystal cells; Circuit arrangements
    • G02F1/1333Constructional arrangements; Manufacturing methods
    • G02F1/1335Structural association of cells with optical devices, e.g. polarisers or reflectors
    • G02F1/133528Polaris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32LAYERED PRODUCTS
    • B32BLAYERED PRODUCTS, i.e. PRODUCTS BUILT-UP OF STRATA OF FLAT OR NON-FLAT, e.g. CELLULAR OR HONEYCOMB, FORM
    • B32B2307/0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 B32B2307/40Properties of the layers or laminate having particular optical properties
    • B32B2307/42Polarizing, birefringent, filtering

Landscapes

  • Physics & Mathematics (AREA)
  • Nonlinear Science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Optics & Photonics (AREA)
  • Mathematical Physics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rystallography & Structural Chemistry (AREA)
  • Polarising Elements (AREA)
  • Liquid Crystal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고온 내구 시험에 있어서도 외관 불량을 억제할 수 있는 복합 편광판 및 이것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은, 직선 편광층의 적어도 편면에 보호층을 갖는 편광판과, 휘도 향상 필름을 갖고, 편광판의 보호층측에 제1 점착제층, 완충층, 및 휘도 향상 필름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완충층의 온도 23℃, 상대 습도 55%에 있어서의 인장 탄성률은 1.5 GPa 이상이다.

Description

복합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본 발명은 복합 편광판 및 이것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에 관한 것이다.
종래, 편광판과 휘도 향상 필름을 적층한 복합 편광판을 이용하여, 액정 표시 장치의 휘도를 향상시키는 것이 알려져 있다(특허문헌 1∼5). 또한, 최근, 스마트 폰 등의 모바일 단말의 대형화에 따라, 한정된 배터리 용량으로 장시간의 구동을 실현하기 위해, 휘도 향상 필름을 이용하여 광의 이용 효율을 올리는 것이 행해지고 있다.
특허문헌 1: 일본 특허 공개 평성11-248941호 공보 특허문헌 2: 일본 특허 공개 평성11-248942호 공보 특허문헌 3: 일본 특허 공개 평성11-64840호 공보 특허문헌 4: 일본 특허 공개 평성11-64841호 공보 특허문헌 5: 일본 특허 제4880719호 공보
상기와 같은 복합 편광판은, 고온 내구 시험을 행하면 휘도 향상 필름에 주름이 발생하여, 복합 편광판에 외관 불량이 발생하는 것이 발견되었다. 이러한 외관 불량은, 복합 편광판을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한 경우에, 시인성이 저하하는 원인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고온 내구 시험에 있어서도 외관 불량을 억제할 수 있는 복합 편광판 및 이것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제공을 목적으로 한다.
본 발명은 이하의 복합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제공한다.
〔1〕직선 편광층의 적어도 편면에 보호층을 갖는 편광판과, 휘도 향상 필름을 갖는 복합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판의 상기 보호층측에 제1 점착제층, 완충층, 및 상기 휘도 향상 필름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완충층의 온도 23℃, 상대 습도 55%에 있어서의 인장 탄성률은, 1.5 GPa 이상인, 복합 편광판.
〔2〕상기 완충층과 상기휘도 향상 필름은, 제2 점착제층을 개재시켜 접합되어 있는 것인, 〔1〕에 기재된 복합 편광판.
〔3〕상기 완충층은 수지 필름인, 〔1〕 또는 〔2〕에 기재된 복합 편광판.
〔4〕상기 수지 필름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계 수지, (메트)아크릴산계 수지, 및 환형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을 포함하는 것인, 〔3〕에 기재된 복합 편광판.
〔5〕상기 완충층은 상기 휘도 향상 필름에 직접 접하고 있는 것인, 〔1〕에 기재된 복합 편광판.
〔6〕상기 완충층은 경화성 성분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층인, 〔1〕 또는 〔5〕에 기재된 복합 편광판.
〔7〕상기 경화성 성분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6〕에 기재된 복합 편광판.
〔8〕상기 완충층의 파장 590 ㎚에서의 면내 리타데이션 Re(590)은 20 ㎚ 이하인, 〔1〕∼〔7〕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복합 편광판.
〔9〕상기 제1 점착제층은, 상기 편광판의 상기 보호층과 상기 완충층을 접합하고 있는 것인, 〔1〕∼〔8〕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복합 편광판.
〔10〕상기 편광판은 상기 직선 편광층의 양면에 상기 보호층을 갖는 것인, 〔1〕∼〔9〕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복합 편광판.
〔11〕상기 편광판의 상기 휘도 향상 필름측과는 반대측에 제3 점착제층을 갖는, 〔1〕∼〔10〕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복합 편광판.
〔12〕상기 제3 점착제층의 상기 편광판측과는 반대측에 박리 필름을 갖는, 〔11〕에 기재된 복합 편광판.
〔13〕〔1〕∼〔12〕 중 어느 하나에 기재된 복합 편광판과 액정 셀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14〕백라이트를 더 갖고,
상기 복합 편광판은, 상기 액정 셀과 상기 백라이트 사이에, 상기 휘도 향상 필름측이 상기 백라이트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인, 〔13〕에 기재된 액정 표시 장치.
본 발명에 따르면, 고온 내구 시험에 있어서 외관 불량이 억제된 복합 편광판 및 이것을 이용한 표시 장치를 제공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의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의 또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의 또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액정 표시 장치의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이하,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 및 이것을 이용한 액정 표시 장치의 바람직한 실시형태에 대해서 설명한다.
<복합 편광판>
본 발명의 복합 편광판은, 직선 편광층의 적어도 편면에 보호층을 갖는 편광판과, 휘도 향상 필름을 갖는 복합 편광판으로서,
편광판의 보호층측에 제1 점착제층, 완충층, 및 휘도 향상 필름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완충층의 온도 23℃, 상대 습도 55%에 있어서의 인장 탄성률은, 1.5 GPa 이상이다.
휘도 향상 필름은, 입사한 자연광 등의 광 중, 소정의 편광축의 직선 편광 또는 소정의 방향의 원편광을 반사하고, 다른 광은 투과할 수 있다. 그 때문에, 휘도 향상 필름과 직선 편광층을 포함하는 편광판을 적층한 복합 편광판에서는, 액정 표시 장치 등의 백라이트 등의 광원으로부터의 광을 입사시켜 소정의 편광 상태의 투과광을 얻으며, 상기 소정의 편광 상태 이외의 광은 투과하지 않고 반사시킬 수 있다. 휘도 향상 필름 및 직선 편광층을 갖는 복합 편광판을 액정 표시 장치에 이용한 경우에는, 휘도 향상 필름면에서 반사된 광을, 또한 그 뒤쪽에 마련된 반사층 등을 통해 반전시켜 휘도 향상 필름에 재입사시키고, 그 일부 또는 전부를 소정의 편광 상태의 광으로서 투과시킴으로써, 휘도 향상 필름을 투과하는 광량의 증가를 도모할 수 있다. 또한, 직선 편광층에 흡수되기 어려운 편광을 편광판에 공급함으로써, 화상 표시 등에 이용할 수 있는 광량을 증가시킬 수 있어,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의 휘도를 향상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이, 휘도 향상 필름은, 직선 편광층에 흡수되는 것 같은 편광 방향을 갖는 광을 직선 편광층에 입사시키지 않고 휘도 향상 필름으로 일단 반사시키고, 또한 그 뒤쪽에 마련된 반사층 등을 통해 반전시켜 휘도 향상 필름에 재입사시키는 것을 반복하고 있다. 이에 의해, 직선 편광층과 휘도 향상 필름 사이에서 반사 및 반전된 광 중, 직선 편광층을 통과할 수 있는 것 같은 편광 방향이 된 편광만이 휘도 향상 필름을 투과하고, 이 투과광이 직선 편광층에 공급될 수 있다. 그 때문에, 상기한 바와 같이 휘도 향상 필름과 편광판을 포함하는 복합 편광판을 이용함으로써, 액정 표시 장치 등에 있어서 백라이트 등의 광을 효율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의 화상 표시에 사용할 수 있어, 화면을 밝게 할 수 있다.
복합 편광판에 포함되는 완충층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수지 필름이어도 좋고, 경화성 성분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층이어도 좋다. 완충층의 상기 인장 탄성률은, 3 GPa 이상이어도 좋고, 5 GPa 이상이어도 좋고, 통상 10 GPa 이하이고, 8 GPa 이하여도 좋다. 인장 탄성률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완충층이 경화물층인 경우의 인장 탄성률은, 다음 순서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이형 처리된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이하, 「PET 필름」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의 이형 처리면에, 건조 후의 두께가 100 ㎛가 되도록 어플리케이터를 이용하여 수지 조성물을 도포한다. 그 후, 실온 분위기 하에 30분간 배치하여 예비 건조하고, 또한 온도 100℃의 조건 하에 5분간 배치하여 본건조함으로써, PET 필름에 도포된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용제를 충분히 휘발시킨다. 마지막으로, 소정의 경화 처리(가열 처리나 자외선 조사 처리 등)를 행하여, PET 필름 상에 경화물층을 제작하고, PET 필름을 박리하여 얻어진 경화물층을 측정용의 샘플로 하여,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인장 탄성률을 측정하면 좋다.
고온 내구 시험 후의 휘도 향상 필름에 생기는 주름은, 고온 환경에 있어서 편광판이 수축함으로써 생기는 것이 밝혀졌다. 본 실시형태의 복합 편광판은, 편광판과 휘도 향상 필름 사이에 완충층이 개재되어 있다. 완충층은, 상기 범위의 인장 탄성률을 갖기 때문에, 변형되기 어렵다. 그 때문에, 복합 편광판의 고온 내구 시험을 행한 경우에 편광판이 수축하여도, 편광판과 휘도 향상 필름 사이에 변형되기 어려운 완충층이 존재하고 있음으로써, 편광판의 수축에 따라 휘도 향상 필름이 수축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이에 의해, 휘도 향상 필름의 단부에 주름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고온 내구 시험을 행한 복합 편광판에 외관 불량이 발생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또한, 이 복합 편광판을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한 경우에는, 액정 표시 장치의 화면에 표시되는 화상의 시인성이 저하하는 것을 억제할 수 있다.
완충층의 파장 590 ㎚에서의 면내 리타데이션 Re(590)은, 2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이하여도 좋고, 5 ㎚ 이하여도 좋고, 0 ㎚여도 좋다. 완충층의 Re(590)가 상기 범위 내임으로써, 복합 편광판을 액정 표시 장치에 적용한 경우의 시야각 특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면내 리타데이션 Re(590)은,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할 수 있다. 완충층이 경화물층인 경우의 면내 리타데이션 Re(590)은, 건조 후의 두께를 복합 편광판에 포함되는 완충층의 실제의 두께로 하는 것 이외에는, 완충층이 경화물층인 경우의 인장 탄성률을 측정하기 위해 이용한 측정용의 샘플의 제작의 순서에 따라, 측정용의 샘플을 제작하고, 후술하는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따라 측정하면 좋다.
제1 점착제층은, 편광판의 보호층과 완충층을 접합하기 위한 점착제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제1 점착제층은, 편광판의 보호층 및 완충층의 양방에 직접 접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이하, 상기한 복합 편광판의 실시형태에 대해서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실시형태 1〕
도 1 및 도 2는 본 실시형태의 복합 편광판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복합 편광판(1)은, 편광판(10), 제1 점착제층(31), 완충층(15a), 제2 점착제층(32), 및 휘도 향상 필름(18)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제2 점착제층(32)은, 완충층(15a)와 휘도 향상 필름(18)을 접합하기 위한 점착제층이며, 제2 점착제층(32)은, 완충층(15a) 및 휘도 향상 필름(18)의 양방에 접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도 1 및 도 2에 나타내는 편광판(10)은, 직선 편광층(11)의 휘도 향상 필름(18)측에 배치되는 제1 보호층(12)과, 직선 편광층(11)의 휘도 향상 필름(18)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 보호층(13)을 갖고 있다. 편광판(10)은, 제1 보호층(12)을 갖고, 제2 보호층(13)을 갖지 않는 것이어도 좋다.
복합 편광판(1)은, 도 2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편광판(10)의 휘도 향상 필름(18)측과는 반대측에, 제3 점착제층(33)을 갖고 있어도 좋다. 제3 점착제층(33)은, 후술하는 액정 표시 장치에 있어서, 복합 편광판(1)을 액정 셀에 접합하기 위해 이용할 수 있다. 복합 편광판(1)은, 또한, 제3 점착제층(33)의 편광판(10)측과는 반대측에, 제3 점착제층(33)의 표면을 피복 보호하기 위한 박리 필름(35)을 갖고 있어도 좋다(도 2).
복합 편광판(1)에 마련되는 완충층(15a)은, 수지 필름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은,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 차폐성, 및 위상차값의 안정성 등이 우수한 수지 재료에 의해 형성되어 있는 것이 바람직하고, 수지 재료는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필름은 단층 구조여도 좋고, 다층 구조여도 좋다. 수지 필름은, 연신 필름이어도 좋다. 예컨대,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의 종류를 선택하는 것, 수지 필름에 연신 가공을 행하는 것 등에 의해, 인장 탄성률을 조정할 수 있다. 완충층(15a)을 구성하는 수지 필름을 형성하기 위한 수지(수지 재료)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셀룰로오스 에스테르계 수지, (메트)아크릴산계 수지, 및 환형 올레핀계 수지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편광판(1)은, 편광판(10)의 제1 보호층(12)측과 완충층(15a) 사이를 제1 점착제층(31)에 의해 접합하고, 완충층(15a)과 휘도 향상 필름(18) 사이를 제2 점착제층(32)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복합 편광판(1)이 제3 점착제층(33)을 갖는 경우는, 예컨대, 박리 필름(35) 상에 제3 점착제층(33)을 형성한 점착제 시트를, 편광판(10)에 적층하면 좋다.
〔실시형태 2〕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형태의 복합 편광판의 다른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복합 편광판(2)은, 편광판(10), 제1 점착제층(31), 완충층(15b), 및 휘도 향상 필름(18)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다. 도 3 및 도 4에 나타내는 편광판(10)은, 직선 편광층(11)의 휘도 향상 필름(18)측에 배치되는 제1 보호층(12)과, 직선 편광층(11)의 휘도 향상 필름(18)측과는 반대측에 배치되는 제2 보호층(13)을 갖고 있다. 편광판(10)은, 제1 보호층(12)을 갖고, 제2 보호층(13)을 갖지 않는 것이어도 좋다.
복합 편광판(2)은, 편광판(10)의 휘도 향상 필름(18)측과는 반대측에, 도 2에 나타내는 복합 편광판(1)에 있어서 설명한 바와 같이, 제3 점착제층(33) 및 박리 필름(35)을 이 순서로 갖고 있어도 좋다(도 4).
복합 편광판(2)에 마련되는 완충층(15b)은, 점착제층 등의 다른 층을 개재시키는 일없이, 휘도 향상 필름(18)에 직접 접하도록 마련되어 있다. 완충층(15b)은, 경화성 성분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층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물층인 완충층(15b)은, 예컨대, 휘도 향상 필름(18)의 편면에, 상기 수지 조성물을 도포하여 경화성 성분을 경화시킴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경화물층인 완충층(15b)은, 예컨대, 경화성 성분의 종류를 선택함으로써, 인장 탄성률을 상기한 범위로 조정할 수 있다. 완충층(15b)을 구성하는 경화성 성분의 상세에 대해서는 후술하지만, 경화성 성분으로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층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복합 편광판(2)은, 휘도 향상 필름(18) 상에 완충층(15b)을 형성한 적층체의 완충층(15b)측과, 편광판(10)의 제1 보호층(12)측을, 제1 점착제층(31)에 의해 접합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복합 편광판(2)이 제3 점착제층(33)을 갖는 경우는, 예컨대, 복합 편광판(1)에 제3 점착제층(33)을 마련하는 경우에 설명한 방법에 따라 제3 점착제층(33)을 마련할 수 있다.
<액정 표시 장치>
도 5 및 도 6은 본 실시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의 일례를 모식적으로 나타내는 개략 단면도이다. 본 실시형태의 액정 표시 장치(5, 6)는, 상기한 복합 편광판(1) 또는 복합 편광판(2)과, 액정 셀(41)을 갖고, 통상 백라이트(42)도 갖는다. 복합 편광판(1, 2)은, 액정 셀(41)의 백라이트(42)측(시인측과는 반대측)에 마련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경우, 복합 편광판(1, 2)은, 도 5 및 도 6에 나타내는 바와 같이, 휘도 향상 필름(18)측이 백라이트(42)측에 배치되도록, 편광판(10)측에 마련된 제3 점착제층(33)을 개재시켜 액정 셀(41)에 적층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복합 편광판(1) 또는 복합 편광판(2)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5, 6)에서는, 상기한 바와 같이, 복합 편광판(1, 2)이 휘도 향상 필름(18)을 포함하기 때문에, 백라이트(42)의 광을 효율적으로 액정 표시 장치(5, 6)의 화상 표시에 사용할 수 있어, 화면을 밝게 할 수 있다.
복합 편광판(1, 2)은, 상기한 인장 탄성률의 완충층(15a, 15b)을 각각 갖고 있기 때문에, 고온 내구 시험을 행한 경우에 외관 불량이 발생하기 어렵다. 이에 의해, 복합 편광판(1), 또는 복합 편광판(2)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5, 6)는, 고온 조건 하에 노출된 경우에도, 시인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이하, 상기한 복합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를 이루는 각 부재의 상세에 대해서 설명한다.
〔완충층〕
완충층은, 상기한 범위의 인장 탄성률을 갖는 것이다. 완충층은, 상기한 범위의 면내 리타데이션 Re(590)을 갖는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층은, 수지 필름이어도 좋고, 경화성 성분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층이어도 좋다.
완충층의 두께는, 20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25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30 ㎛ 이상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고, 통상, 80 ㎛ 이하이며, 70 ㎛ 이하여도 좋고, 60 ㎛ 이하여도 좋다.
〔완충층을 구성하는 수지 필름〕
완충층이 수지 필름인 경우,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수지)는,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 차폐성, 및 위상차값의 안정성 등이 우수한 것이 바람직하다. 수지 재료는, 열가소성 수지인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수지 재료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계 수지; (메트)아크릴산계 수지; 쇄형 지방족 올레핀계 수지, 환형 올레핀계 수지 등의 올레핀계 수지; 폴리염화비닐계 수지; 스티렌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부타디엔·스티렌계 수지; 아크릴로니트릴·스티렌계 수지;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 폴리염화비닐리덴계 수지; 폴리아미드계 수지; 폴리아세탈계 수지; 폴리카보네이트계 수지; 변성 폴리페닐렌에테르계 수지; 폴리부틸렌테프탈레이트계 수지, 폴리에틸렌테프탈레이트계 수지 등의 폴리에스테르계 수지; 폴리술폰계 수지; 폴리에테르술폰계 수지; 폴리아릴레이트계 수지; 폴리아미드이미드계 수지; 폴리이미드계 수지 등을 들 수 있고, 이들 중 1종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그 중에서도, 셀룰로오스 에스테르계 수지, (메트)아크릴산계 수지, 및 환형 올레핀계 수지에서 선택되는 수지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메트)아크릴」이란, 아크릴 또는 메타크릴 중 어느 것이어도 좋은 것을 의미한다. (메트)아크릴로일 등의 「(메트)」도 동일한 의미이다.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는, 임의의 적절한 폴리머 변성을 행하고 나서 이용할 수도 있고, 이 폴리머 변성으로서는, 예컨대, 공중합, 가교, 분자 말단, 입체 규칙성 제어, 및 이종 폴리머끼리의 반응을 수반하는 경우를 포함하는 혼합 등의 변성을 들 수 있다.
셀룰로오스 에스테르계 수지는, 목화 린터나 목재 펄프(활엽수 펄프, 침엽수 펄프) 등의 원료 셀룰로오스로부터 얻어지는 셀룰로오스의 수산기에 있어서의 수소 원자의 일부 또는 전부가 아세틸기, 프로피오닐기 및/또는 부티릴기로 치환된, 셀룰로오스 유기산에스테르 또는 셀룰로오스 혼합 유기산에스테르이다. 예컨대, 셀룰로오스의 아세트산에스테르, 프로피온산에스테르, 부티르산에스테르, 및 이들의 혼합 에스테르 등을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그 중에서도,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디아세틸셀룰로오스,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프로피오네이트, 및 셀룰로오스아세테이트부틸레이트 등이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산계 수지는,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을 주된 구성 모노머로 하는 수지이다. (메트)아크릴계 수지의 구체예는, 예컨대, 폴리메타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아크릴산에스테르-(메트)아크릴산 공중합체; (메트)아크릴산메틸-스티렌 공중합체(MS 수지 등); 메타크릴산메틸-메타크릴산시클로헥실 공중합체, 메타크릴산메틸-(메트)아크릴산노르보르닐 공중합체 등의 메타크릴산메틸과 지환족 탄화수소기를 갖는 화합물의 공중합체 등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폴리(메트)아크릴산메틸 등의 폴리(메트)아크릴산 C1-6알킬에스테르를 주성분으로 하는 중합체가 이용되고, 보다 바람직하게는 메타크릴산메틸을 주성분(50∼100 중량%, 바람직하게는 70∼100 중량%)으로 하는 메타크릴산메틸계 수지가 이용된다.
(메트)아크릴산계 수지는, 정의 복굴절을 발현하는 구조 단위를 갖고 있어도 좋다. 정의 복굴절을 발현하는 구조 단위와 부의 복굴절을 발현하는 구조 단위를 갖고 있으면, 그 존재비를 조정함으로써, (메트)아크릴산계 수지로 형성된 필름의 위상차를 제어할 수 있어, 저위상차의 (메트)아크릴산계 수지 필름을 얻을 수 있다. 정의 복굴절을 발현하는 구조 단위로서는, 예컨대, 락톤 고리, 폴리카보네이트, 폴리비닐알코올, 아세트산셀룰로오스, 폴리에스테르, 폴리아릴레이트, 폴리이미드, 폴리올레핀 등을 구성하는 구조 단위, 후술하는 일반식 (1)로 나타내는 구조 단위를 들 수 있다. 부의 복굴절을 발현하는 구조 단위로서는, 예컨대, 스티렌계 모노머, 말레이미드계 모노머 등을 유래로 하는 구조 단위,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의 구조 단위, 후술하는 일반식 (3)으로 나타내는 구조 단위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계 수지로서, 락톤 고리 구조 또는 글루타르이미드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락톤 고리 구조 또는 글루타르이미드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계 수지는 내열성이 우수하다. 보다 바람직하게는 글루타르이미드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계 수지이다. 글루타르이미드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계 수지를 이용하면, 저투습, 또한, 위상차 및 자외선 투과율이 작은 (메트)아크릴산계 수지 필름을 얻을 수 있다. 글루타르이미드 구조를 갖는 (메트)아크릴산계 수지(이하, 「글루타르이미드 수지」라고도 칭함)는, 예컨대,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0903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17560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2832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28334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37491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3749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37493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6-337569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7-9182호 공보, 일본 특허 공개 제2009-161744호 공보에 기재되어 있다. 이들 기재는, 본 명세서에 참고로서 원용된다.
글루타르이미드 수지는, 바람직하게는, 하기 일반식 (1)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이하, 「글루타르이미드 단위」라고도 칭함)와, 하기 일반식 (2)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이하,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라고도 칭함)를 포함한다.
Figure pct00001
[일반식 (1)에 있어서,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8의 알킬기이며, R3은, 수소, 탄소수 1∼18의 알킬기, 탄소수 3∼12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탄소수 5∼15의 방향 고리를 포함하는 치환기이다.
일반식 (2)에 있어서,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탄소수 1∼8의 알킬기이며, R6은, 수소, 탄소수 1∼18의 알킬기, 탄소수 3∼12의 시클로알킬기, 또는 탄소수 5∼15의 방향 고리를 포함하는 치환기이다.]
글루타르이미드 수지는, 필요에 따라, 하기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구조 단위(이하, 「방향족 비닐 단위」라고도 칭함)를 더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Figure pct00002
[일반식 (3)에 있어서, R7은, 수소 또는 탄소수 1∼8의 알킬기이며, R8은, 탄소수 6∼10의 아릴기이다].
상기 일반식 (1)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R1 및 R2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R3은 수소, 메틸기, 부틸기, 또는 시클로헥실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R1은 메틸기이며, R2는 수소이며, R3은 메틸기이다.
상기 글루타르이미드 수지는, 글루타르이미드 단위로서, 단일 종류만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상기 일반식 (1)에 있어서의 R1, R2, 및 R3이 다른 복수의 종류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글루타르이미드 단위는, 상기 일반식 (2)으로 표시되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를 이미드화함으로써, 형성할 수 있다. 또한, 글루타르이미드 단위는, 무수 말레산 등의 산무수물, 또는, 이러한 산무수물과 탄소수 1∼20의 직쇄 또는 분기의 알코올의 하프 에스테르; 아크릴산, 메타크릴산, 말레산, 무수 말레산, 이타콘산, 무수 이타콘산, 크로톤산, 푸마르산, 시트라콘산 등의 α,β-에틸렌성 불포화 카르복실산 등을 이미드화함으로써도, 형성할 수 있다.
상기 일반식 (2)에 있어서, 바람직하게는, R4 및 R5는, 각각 독립적으로,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R6은 수소 또는 메틸기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R4는 수소이며, R5는 메틸기이며, R6은 메틸기이다.
글루타르이미드 수지는,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로서, 단일 종류만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상기 일반식 (2)에 있어서의 R4, R5, 및 R6이 다른 복수의 종류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글루타르이미드 수지는, 상기 일반식 (3)으로 표시되는 방향족 비닐 단위로서, 바람직하게는 스티렌, α-메틸스티렌 등을 포함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스티렌을 포함한다. 이러한 방향족 비닐 단위를 갖는 글루타르이미드 수지를 이용함으로써, 글루타르이미드 구조의 정의 복굴절성을 저감하여, 보다 저위상차의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을 얻을 수 있다.
글루타르이미드 수지는, 방향족 비닐 단위로서, 단일 종류만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고, 상기 일반식 (3)에 있어서의 R7 및 R8이 다른 복수의 종류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글루타르이미드 수지에 있어서의 글루타르이미드 단위의 함유량은, 예컨대 R3의 구조 등에 따라 변화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글루타르이미드 단위의 함유량은, 글루타르이미드 수지의 총구조 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1 중량%∼80 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1 중량%∼70 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1 중량%∼60 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1 중량%∼50 중량%이다. 글루타르이미드 단위의 함유량이 이러한 범위이면, 내열성이 우수한 저위상차의 (메트)아크릴계 수지 필름이 얻어질 수 있다.
글루타르이미드 수지에 있어서의 방향족 비닐 단위의 함유량은, 목적이나 요구되는 특성에 따라 적절하게 설정될 수 있다. 용도에 따라서는, 방향족 비닐 단위의 함유량은 0이어도 좋다. 방향족 비닐 단위가 포함되는 경우, 그 함유량은, 글루타르이미드 수지의 글루타르이미드 단위를 기준으로 하여, 바람직하게는 10 중량%∼80 중량%이며, 보다 바람직하게는 20 중량%∼80 중량%이며, 더욱 바람직하게는 20 중량%∼60 중량%이며, 특히 바람직하게는 20 중량%∼50 중량%이다. 방향족 비닐 단위의 함유량이 이러한 범위이면, 저위상차, 또한, 내열성 및 기계적 강도가 우수한 (메트)아크릴산계 수지 필름이 얻어질 수 있다.
글루타르이미드 수지에는, 필요에 따라, 글루타르이미드 단위,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 단위, 및 방향족 비닐 단위 이외의 그 외의 구조 단위가 더 공중합되어 있어도 좋다. 그 외의 구조 단위로서는, 예컨대, 아크릴로니트릴이나 메타크릴로니트릴 등의 니트릴계 단량체; 말레이미드, N-메틸말레이미드, N-페닐말레이미드, N-시클로헥실말레이미드 등의 말레이미드계 단량체로 구성되는 구조 단위를 들 수 있다. 이들 그 외의 구조 단위는, 글루타르이미드 수지 중에, 직접 공중합하고 있어도 좋고, 그라프트 공중합하고 있어도 좋다.
올레핀계 수지는, 에틸렌 및 프로필렌 등의 쇄형 지방족 올레핀, 또는 노르보르넨이나 그 치환체(이하, 이들을 총칭하여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라고도 칭함) 등의 지환식 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를 포함하는 수지이다. 올레핀계 수지는, 2종 이상의 모노머를 이용한 공중합체여도 좋다.
올레핀계 수지로서는, 지환식 올레핀으로부터 유도되는 구성 단위를 주로 포함하는 수지인 환형 올레핀계 수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환형 올레핀계 수지를 구성하는 지환식 올레핀의 전형적인 예로서는, 노르보르넨계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노르보르넨이란, 노르보르난의 하나의 탄소-탄소 결합이 이중 결합이 된 화합물로서, IUPAC 명명법에 따르면, 비시클로[2,2,1]헵토-2-엔으로 명명되는 것이다. 노르보르넨의 치환체의 예로서는, 노르보르넨의 이중 결합 위치를 1,2-위로 하여, 3-치환체, 4-치환체, 및 4,5-디치환체 등을 들 수 있고, 또한 디시클로펜타디엔이나 디메타노옥타히드로나프탈렌도 들 수 있다.
환형 올레핀계 수지는, 그 구성 단위에 노르보르난 고리를 갖고 있어도 좋고, 갖지 않아도 좋다. 구성 단위에 노르보르난 고리를 갖지 않는 환형 올레핀계 수지를 형성하는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개환에 의해 5원 고리가 되는 것, 대표적으로는, 노르보르넨, 디시클로펜타디엔, 1- 또는 4-메틸노르보르넨, 및 4-페닐노르보르넨 등을 들 수 있다. 환형 올레핀계 수지가 공중합체인 경우, 그 분자의 배열 상태는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랜덤 공중합체여도 좋고, 블록 공중합체여도 좋고, 그라프트 공중합체여도 좋다.
환형 올레핀계 수지의 보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예컨대,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개환 중합체,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와 다른 모노머의 개환 공중합체, 이들에 말레산 부가나 시클로펜타디엔 부가 등이 이루어진 폴리머 변성물, 및 이들을 수소 첨가한 중합체 또는 공중합체;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의 부가 중합체, 및 노르보르넨계 모노머와 다른 모노머의 부가 공중합체 등을 들 수 있다. 공중합체로 하는 경우에 있어서의 다른 모노머로서는, α-올레핀류, 시클로알켄류, 및 비공역 디엔류 등을 들 수 있다. 또한, 환형 올레핀계 수지는, 노르보르넨계 모노머 및 다른 지환식 올레핀의 1종 또는 2종 이상을 이용한 공중합체여도 좋다.
환형 올레핀계 수지로서는, 노르보르넨계 모노머를 이용한 개환 중합체 또는 개환 공중합체에 수소 첨가한 수지가 바람직하게 이용된다.
상기한 수지 필름을 구성하는 수지 재료는, 투명성을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한 첨가물이 배합되어 있어도 좋다. 첨가물로서 예컨대, 산화 방지제, 자외선 흡수제, 대전 방지제, 활제, 조핵제(造核劑), 방담제(防曇劑), 안티 블로킹제, 위상차 저감제, 안정제, 가공 조제, 가소제, 내충격 조제, 무광택제, 항균제, 곰팡이 방지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첨가물은, 복수종이 병용되어도 좋다.
상기한 수지 재료를 이용하여 수지 필름을 막 제조하는 방법으로서는, 임의의 알맞은 방법을 적절하게 선택하면 좋다. 예컨대, 용제에 용해시킨 수지를, 금속제의 밴드 또는 드럼에 유연하고, 용제를 건조 제거하여 필름을 얻는 용제 캐스트법, 수지를 그 용융 온도 이상으로 가열하고, 혼련하여 다이로부터 압출, 냉각함으로써 필름을 얻는 용융 압출법 등을 들 수 있다. 용융 압출법에서는, 단층 필름을 압출할 수도 있고, 다층 필름을 동시 압출할 수도 있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지 필름은, 연신 가공이 실시된 연신 필름이어도 좋다.
연신 가공을 실시함으로써, 인장 탄성률을 원하는 범위로 조정하여도 좋다. 연신 처리로서는, 일축 연신이나 이축 연신 등을 들 수 있다.
〔완충층을 구성하는 경화성 성분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층〕
완충층이 경화성 성분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층인 경우,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화성 성분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 또는, 가열에 의해 경화하는 열경화성 경화물인 것이 바람직하다. 경화성 성분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로서는, 전자선 경화성 화합물,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 또는 가시광선 경화성 화합물을 들 수 있다. 이 중,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 또는 가시광선 경화성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고,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이 보다 바람직하다.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 또는 가시광선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은, 라디칼 중합형 수지 조성물이어도 좋고, 양이온 중합형 수지 조성물이어도 좋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자외선이란, 파장 10 ㎚ 이상 380 ㎚ 미만의 범위의 활성 에너지선을 말하며, 가시 광선이란, 파장 380 ㎚ 이상 800 ㎚ 이하의 활성 에너지선을 말한다.
〔A1〕라디칼 중합형 수지 조성물
라디칼 중합형 수지 조성물은, 경화성 성분으로서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은, (메트)아크릴로일기, 비닐기 등의 탄소-탄소 이중 결합의 라디칼 중합성의 작용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은, 단작용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또는 2작용 이상의 다작용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중 어느 것이나 이용할 수 있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은, 1종을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로일기를 갖는 화합물이 적합하다.
(단작용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단작용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아미드기를 갖는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를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는, 휘도 향상 필름과 경화물층의 접착성을 확보하는 데 있어서, 또한, 중합 속도가 빠르며 생산성이 우수한 점에서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N-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N,N-디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아미드, N-부틸(메트)아크릴아미드, N-헥실(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N-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 N-메틸올(메트)아크릴아미드, N-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N-메틸올-N-프로판(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N-히드록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 아미노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N-아미노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 N-메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N-에톡시메틸아크릴아미드 등의 N-알콕시기 함유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 메르캅토메틸(메트)아크릴아미드, 메르캅토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 등의 N-메르캅토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아미드기의 질소 원자가 복소 고리를 형성하고 있는 복소 고리 함유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로서는, 예컨대, N-아크릴로일모르폴린, N-아크릴로일피페리딘, N-메타크릴로일피페리딘, N-아크릴로일피롤리딘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 중에서도, 휘도 향상 필름에 직접 접하도록 경화물층을 마련하는 경우에는, 접착성의 점에서, N-히드록시알킬기 함유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가 바람직하고, 특히, N-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아미드가 바람직하다.
단작용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로일옥시기를 갖는 각종 (메트)아크릴산 유도체를 들 수 있다. 예컨대,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틸-2-니트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s-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t-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3-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2,2-디메틸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세틸(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4-메틸-2-프로필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타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탄소수 1∼20)알킬에스테르류를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 유도체로서는, 예컨대,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시클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랄킬(메트)아크릴레이트; 2-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2-노르보르닐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5-노르보르넨-2-일-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틸-2-노르보르닐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테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디시클로펜타닐(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다환식 (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톡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카르비톨(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알킬페녹시폴리에틸렌글리콜(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콕시기 또는 페녹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산 유도체로서는, 2-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3-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6-히드록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8-히드록시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10-히드록시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12-히드록시라우릴(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히드록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메틸)시클로헥실]메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헥산디메탄올모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3-페녹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수산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4-히드록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글리시딜에테르 등의 에폭시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2,2,2-트리플루오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2,2-트리플루오로에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사플루오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플루오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3-클로로-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할로겐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알킬아미노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3-옥세타닐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틸-옥세타닐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3-에틸-옥세타닐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3-부틸-옥세타닐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3-헥실-옥세타닐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옥세탄기 함유 (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히드로푸르푸릴(메트)아크릴레이트, 부티로락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복소 고리를 갖는 (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메트)아크릴산 부가물; p-페닐페놀(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단작용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메트)아크릴산, 카르복시에틸아크릴레이트, 카르복시펜틸아크릴레이트, 이타콘산, 말레산, 푸마르산, 크로톤산, 이소크로톤산 등의 카르복실기 함유 모노머를 들 수 있다.
단작용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N-비닐피롤리돈, N-비닐-ε-카프로락탐, 메틸비닐피롤리돈 등의 락탐계 비닐 모노머; 비닐피리딘, 비닐피페리돈, 비닐피리미딘, 비닐피페라진, 비닐피라진, 비닐피롤, 비닐이미다졸, 비닐옥사졸, 비닐모르폴린 등의 질소 함유 복소 고리를 갖는 비닐계 모노머 등을 들 수 있다.
단작용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활성 메틸렌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이용할 수 있다. 활성 메틸렌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은, 말단 또는 분자 중에 (메트)아크릴기 등의 활성 이중 결합기를 갖고, 또한 활성 메틸렌기를 갖는 화합물이다. 활성 메틸렌기로서는, 예컨대 아세토아세틸기, 알콕시말로닐기, 또는 시아노아세틸기 등을 들 수 있고, 활성 메틸렌기는 아세토아세틸기인 것이 바람직하다. 활성 메틸렌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구체예 로서는, 예컨대 2-아세토아세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아세토아세톡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아세토아세톡시-1-메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아세토아세톡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말로닐옥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시아노아세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2-시아노아세톡시에틸)아크릴아미드, N-(2-프로피오닐아세톡시부틸)아크릴아미드, N-(4-아세토아세톡시메틸벤질)아크릴아미드, N-(2-아세토아세틸아미노에틸)아크릴아미드 등을 들 수 있다. 활성 메틸렌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은, 아세토아세톡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인 것이 바람직하다.
(다작용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2작용 이상의 다작용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다작용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인 N,N'-메틸렌비스(메트)아크릴아미드, 트리프로필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에틸렌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1,6-헥산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1,10-데칸디올디아크릴레이트, 2-에틸-2-부틸프로판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에틸렌옥사이드 부가물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프로필렌옥사이드 부가물 디(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글리시딜에테르디(메트)아크릴레이트, 네오펜틸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 환형 트리메틸올프로판포르말(메트)아크릴레이트, 디옥산글리콜디(메트)아크릴레이트, 트리메틸올프로판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트리(메트)아크릴레이트, 펜타에리트리톨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펜타(메트)아크릴레이트, 디펜타에리스리톨헥사(메트)아크릴레이트, EO 변성 디글리세린테트라(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과 다가 알코올의 에스테르화물; 9,9-비스[4-(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 등을 들 수 있다. 구체예로서는, 아로닉스 M-220(도아고세이사 제조), 라이트아크릴레이트 1,9ND-A(교에이샤가가쿠사 제조), 라이트아크릴레이트 DGE-4A(교에이샤가가쿠사 제조), 라이트아크릴레이트 DCP-A(교에이샤가가쿠사 제조), SR-531(Sartomer사 제조), CD-536(Sartomer사 제조) 등이 바람직하다. 이들 다작용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를 이용하는 경우, 라디칼 중합형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각종 에폭시(메트)아크릴레이트, 우레탄(메트)아크릴레이트, 폴리에스테르(메트)아크릴레이트나, 각종(메트)아크릴레이트계 모노머 등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다작용 (메트)아크릴아미드 유도체는, 중합 속도가 빠르며 생산성이 우수한 데다가, 수지 조성물을 경화물로 한 경우의 가교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라디칼 중합형 수지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은, 다작용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의 흡수율을 제어하는 데 있어서 바람직하다. 다작용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중에서도, 후술하는 logPow값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완충층을 구성하기 위한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은, 옥탄올/물 분배 계수(이하, 「logPow값」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가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logPow값이란 물질의 친유성을 나타내는 지표이며, 옥탄올/물의 분배 계수의 대수값을 의미한다. logPow가 높다는 것은 친유성인 것을 의미하며, 즉, 흡수율이 낮은 것을 의미한다. logPow값은 측정하는 것도 가능(JIS-Z-7260 기재의 플라스크 침투법)하지만, 계산에 의해 산출할 수도 있다. 본 명세서에서는, 캠브릿지소프트사 제조 ChemDraw Ultra로 계산된 logPow값을 이용한다. 수지 조성물의 logPow값은, 하기 식에 의해 계산할 수 있다.
수지 조성물의 logPow=Σ(logPowi×Wi)
logPowi: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각 성분의 logPow값
Wi: (i 성분의 몰수)/(수지 조성물의 총 몰수)
수지 조성물의 logPow값은, 바람직하게는 1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2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3 이상이다.
logPow값이 높은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트리시클로데칸디메탄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logPow=3.05), 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logPow=3.27) 등의 지환 (메트)아크릴레이트; 1,9-노난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logPow=3.68), 1,10-데칸디올디아크릴레이트(logPow=4.10) 등의 장쇄 지방족(메트)아크릴레이트; 히드록시피발산네오펜틸글리콜(메트)아크릴산 부가물(logPow=3.35), 2-에틸-2-부틸프로판디올디(메트)아크릴레이트(logPow=3.92) 등의 다분기 (메트)아크릴레이트; 비스페놀 A 디(메트)아크릴레이트(logPow=5.46), 비스페놀 A 에틸렌옥사이드 4 몰 부가물 디(메트)아크릴레이트(logPow=5.15), 비스페놀 A 프로필렌옥사이드 2 몰 부가물 디(메트)아크릴레이트(logPow=6.10), 비스페놀 A 프로필렌옥사이드 4 몰 부가물 디(메트)아크릴레이트(logPow=6.43), 9,9-비스[4-(2-(메트)아크릴로일옥시에톡시)페닐]플루오렌(logPow=7.48), p-페닐페놀(메트)아크릴레이트(logPow=3.98) 등의 방향 고리를 함유하는 (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을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은, 휘도 향상 필름과 경화물층의 접착성이나, 가혹한 환경 하에 있어서의 광학 내구성을 양립시키는 관점에서, 단작용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과 다작용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통상은,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100 중량%에 대하여, 단작용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3∼80 중량%와 다작용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20∼97 중량%의 비율로 병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
라디칼 중합형 수지 조성물은, 경화성 성분으로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성분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조성물로서 이용할 수 있다. 이 경우, 라디칼 중합형 수지 조성물은, 광중합 개시제를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형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자외선 또는 가시광선에 의해 개열하는 광중합 개시제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컨대, 벤질, 벤조페논, 벤조일 안식향산, 3,3'-디메틸-4-메톡시벤조페논 등의 벤조페논계 화합물; 4-(2-히드록시에톡시)페닐(2-히드록시-2-프로필)케톤, α-히드록시-α,α'-디메틸아세토페논, 2-메틸-2-히드록시프로피오페논, α-히드록시시클로헥실페닐케톤 등의 방향족 케톤 화합물; 메톡시아세토페논, 2,2-디메톡시-2-페닐아세토페논, 2,2-디에톡시아세토페논,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 등의 아세토페논계 화합물; 벤조인메틸에테르, 벤조인에틸에테르, 벤조인이소프로필에테르, 벤조인부틸에테르, 아니소인메틸에테르 등의 벤조인에테르계 화합물; 벤질디메틸케탈 등의 방향족 케탈계 화합물; 2-나프탈렌술포닐클로라이드 등의 방향족 술포닐클로라이드계 화합물; 1-페논-1,1-프로판디온-2-(o-에톡시카르보닐)옥심 등의 광활성 옥심계 화합물; 티옥산톤, 2-클로로티옥산톤, 2-메틸티옥산톤, 2,4-디메틸티옥산톤, 이소프로필티옥산톤, 2,4-디클로로티옥산톤, 2,4-디에틸티옥산톤, 2,4-디이소프로필티옥산톤, 도데실티옥산톤 등의 티옥산톤계 화합물; 캄파퀴논; 할로겐화케톤; 아실포스피녹시드; 아실포스포네이트 등을 들 수 있다. 광중합 개시제 중에서도, logPow값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의 logPow값은, 바람직하게는 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4 이상이다.
라디칼 중합형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광중합 개시제의 함유량은, 경화성 성분(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전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20 중량부 이하이다. 광중합 개시제의 배합량은, 0.01∼2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10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5 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형 수지 조성물이 가시광선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 특히 380 ㎚ 이상의 광에 대하여 고감도인 광중합 개시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하기 일반식 (4)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화합물 (4)」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을 들 수 있다.
Figure pct00003
[식 중, R11 및 R12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H2CH3, -iPr(이소프로필기) 또는 -Cl이며, R11 및 R12는, 서로 동일하여도 좋고 달라도 좋다.]
라디칼 중합형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화합물 (4)는, 단독으로 이용하여도 좋고, 후술하는 380 ㎚ 이상의 광에 대하여 고감도인 광중합 개시제와 병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화합물 (4)를 이용함으로써, 380 ㎚ 이상의 광에 대하여 고감도인 광중합 개시제를 단독으로 사용한 경우에 비해서, 휘도 향상 필름과 경화물층의 접착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화합물 (4) 중에서도, R11 및 R12가 -CH2CH3인 디에틸티옥산톤이 특히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형 수지 조성물중의 화합물 (4)의 함유량은, 경화성 성분(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전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5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5∼4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9∼3 중량부인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380 ㎚ 이상의 광에 대하여 고감도인 광중합 개시제로서는, 예컨대,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타논-1,2-(디메틸아미노)-2-[(4-메틸페닐)메틸]-1-[4-(4-모르폴리닐)페닐]-1-부타논, 2,4,6-트리메틸벤조일-디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2,4,6-트리메틸벤조일)-페닐포스핀옥사이드, 비스(η5-2,4-시클로펜타디엔-1-일)-비스(2,6-디플루오로-3-(1H-피롤-1-일)-페닐)티타늄 등을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형 수지 조성물은, 화합물 (4)에 더하여, 하기 일반식 (5)로 표시되는 화합물(이하, 「화합물 (5)」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Figure pct00004
[식 중, R13, R14 및 R15는, 각각 독립적으로, -H, -CH3, -CH2CH3, -iPr 또는 -Cl이며, R13, R14 및 R15는, 서로 동일하여도 좋고 달라도 좋다.]
화합물 (5)로서는, 예컨대, 시판품이기도 한 2-메틸-1-(4-메틸티오페닐)-2-모르폴리노프로판-1-온(상품명: IRGACURE907, BASF사 제조)을 적합하게 사용 가능하다. 그 외에, 2-벤질-2-디메틸아미노-1-(4-모르폴리노페닐)-부타논-1(상품명: IRGACURE369, BASF사 제조), 2-(디메틸아미노)-2-[(4-메틸페닐)메틸]-1-[4-(4-모르폴리닐)페닐]-1-부타논(상품명: IRGACURE379, BASF사 제조)도 감도가 높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형 수지 조성물은, 필요에 따라 중합 개시 조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중합 개시 조제로서는, 트리에틸아민, 디에틸아민, N-메틸디에탄올아민, 에탄올아민, 4-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 4-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메틸, 4-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에틸, 4-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이소아밀 등을 들 수 있고, 4-디메틸아미노안식향산에틸이 특히 바람직하다. 중합 개시 조제를 사용하는 경우, 라디칼 중합형 수지 조성물 중의 중합 개시 조제의 함유량은, 경화성 성분(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전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5 중량부, 바람직하게는 0∼4 중량부, 가장 바람직하게는 0∼3 중량부이다.
(활성메틸렌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1)과, 수소 방출 작용이 있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 (a2))
라디칼 중합형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로서, 활성 메틸렌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1)을 이용하는 경우에는, 수소 방출 작용이 있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 (a2)와 조합하여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러한 라디칼 중합형 수지 조성물에 의하면, 특히 고습도 환경에 있어서, 휘도 향상 필름에 직접 접하도록 경화층을 마련한 경우에도 양호한 접착성을 확보할 수 있다. 이 이유는 분명하지 않지만, 다음과 같이 추측된다. 활성 메틸렌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1)은, 경화물층을 구성하는 다른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과 함께 중합하면서, 경화물층 중의 베이스 폴리머의 주쇄 및/또는 측쇄에 취입되어, 경화물층을 형성한다. 이 중합 과정에 있어서, 수소 방출 작용이 있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 (a2)가 존재하면, 경화물층을 구성하는 베이스 폴리머가 형성되면서, 활성 메틸렌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2)로부터 수소가 방출되어, 메틸렌기에 라디칼이 발생한다. 그리고, 라디칼이 발생한 메틸렌기와 휘도 향상 필름의 수산기가 반응하여, 경화물층과 휘도 향상 필름 사이에 공유 결합이 형성된다. 그 결과, 특히 고습도 환경이라도, 휘도 향상 필름과 경화물층의 접착성이 향상된다고 생각된다.
수소 방출 작용이 있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 (a2)로서, 예컨대 티옥산톤계 라디칼 중합 개시제, 벤조페논계 라디칼 중합 개시제 등을 들 수 있다. 라디칼 중합 개시제 (a2)는, 티옥산톤계 라디칼 중합 개시제인 것이 바람직하다. 티옥산톤계 라디칼 중합 개시제로서는, 예컨대, 상기한 화합물 (4)를 들 수 있다. 화합물 (4)의 구체예로서는, 예컨대, 티옥산톤, 디메틸티옥산톤, 디에틸티옥산톤, 이소프로필티옥산톤, 클로로티옥산톤 등을 들 수 있다. 화합물 (4) 중에서도, R11 및 R12가 -CH2CH3인 디에틸티옥산톤이 특히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형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 활성 메틸렌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1)과, 수소 방출 작용이 있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 (a2)를 함유하는 경우에는, 경화성 성분(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전량을 100 중량%로 하였을 때, 활성 메틸렌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1)을 1∼50 중량%, 및 라디칼 중합 개시제 (a2)를, 경화성 성분의 전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10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바와 같이, 수소 방출 작용이 있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 (a2)의 존재 하에서, 활성 메틸렌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1)의 메틸렌기에 라디칼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메틸렌기와 휘도 향상 필름의 수산기가 반응하여, 공유 결합을 형성한다고 생각된다. 따라서, 활성 메틸렌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1)의 메틸렌기에 라디칼을 발생시키고, 이러한 공유 결합을 충분히 형성하기 위해, 경화성 성분(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의 전량을 100 중량%로 하였을 때, 활성 메틸렌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1)을 1∼5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3∼30 중량%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내수성을 충분히 향상시켜 고습도 환경에서의 휘도 향상 필름과 경화물층의 접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서는 활성 메틸렌기를 갖는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a1)은 1 중량% 이상으로 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50 중량%를 넘으면, 경화물층의 경화 불량이 발생하는 경우가 있다. 또한, 수소 방출 작용이 있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 (a2)는, 경화성 성분의 전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10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또한 0.3∼9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수소 방출 반응을 충분히 진행시키기 위해서는, 라디칼 중합 개시제 (a2)를 0.1 중량부 이상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한편, 10 중량부를 넘으면, 라디칼 중합형 수지 조성물 중에서 완전히 용해되지 않는 경우가 있다.
〔A2〕양이온 중합형 수지 조성물
양이온 중합형 수지 조성물은, 경화성 성분으로서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을 포함한다.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은, 분자 내에 양이온 중합성 작용기를 1개 갖는 단작용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과, 분자 내에 양이온 중합성 작용기를 2개 이상 갖는 다작용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로 분류된다. 단작용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은 비교적 액점도가 낮기 때문에, 양이온 중합형 수지 조성물에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수지 조성물의 액점도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단작용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은 각종 기능을 발현시키는 작용기를 갖고 있는 경우가 많아, 양이온 중합형 수지 조성물에 함유시킴으로써 상기 수지 조성물 및/또는 상기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층에 각종 기능을 발현시킬 수 있다.
다작용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은, 경화물층을 3차원 가교시킬 수 있기 때문에, 수지 조성물에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이온 중합형 수지 조성물에 있어서의 단작용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과 다작용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의 배합비는, 단작용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 100 중량부에 대하여, 다작용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을 10 중량부 이상 1000 중량부 이하의 범위로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양이온 중합성 작용기로서는, 에폭시기나 옥세타닐기, 비닐에테르기를 들 수 있다.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지방족 에폭시 화합물,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 방향족 에폭시 화합물을 들 수 있고, 양이온 중합형 수지 조성물로서는, 경화성이나 접착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을 함유하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지환식 에폭시 화합물로서는,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 3,4-에폭시시클로헥실메틸-3,4-에폭시시클로헥산카르복실레이트의 카프로락톤 변성물이나 트리메틸카프로락톤 변성물이나 발레로락톤 변성물 등을 들 수 있고, 구체적으로는, 셀록사이드 2021, 셀록사이드 2021A, 셀록사이드 2021P, 셀록사이드 2081, 셀록사이드 2083, 셀록사이드 2085(이상, 다이셀가가쿠고교(주) 제조), 사이라큐어 UVR-6105, 사이라큐어 UVR-6107, 사이라큐어 30, R-6110(이상, 다우·케미컬니혼(주) 제조) 등을 들 수 있다.
옥세타닐기를 갖는 화합물은, 양이온 중합형 수지 조성물의 경화성을 개선하거나, 상기 조성물의 액점도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옥세타닐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3-에틸-3-히드록시메틸옥세탄, 1,4-비스[(3-에틸-3-옥세타닐)메톡시메틸]벤젠, 3-에틸-3-(페녹시메틸)옥세탄, 디[(3-에틸-3-옥세타닐)메틸]에테르, 3-에틸-3-(2-에틸헥실옥시메틸)옥세탄, 페놀노볼락옥세탄 등을 들 수 있고, 아론옥세탄 OXT-101, 아론옥세탄 OXT-121, 아론옥세탄 OXT-211, 아론옥세탄 OXT-221, 아론옥세탄 OXT-212(이상, 도아고세이사 제조) 등이 시판되어 있다.
비닐에테르기를 갖는 화합물은, 양이온 중합형 수지 조성물의 경화성을 개선하거나, 상기 조성물의 액점도를 저하시키는 효과가 있기 때문에, 함유시키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닐에테르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2-히드록시에틸비닐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비닐에테르, 4-히드록시부틸비닐에테르, 디에틸렌글리콜모노비닐에테르, 트리에틸렌글리콜디비닐에테르, 시클로헥산디메탄올디비닐에테르, 시클로헥산디메탄올모노비닐에테르, 트리시클로데칸비닐에테르, 시클로헥실비닐에테르, 메톡시에틸비닐에테르, 에톡시에틸비닐에테르, 펜타에리트리톨형 테트라비닐에테르 등을 들 수 있다.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
양이온 중합형 수지 조성물은, 상기한 경화성 성분인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 옥세타닐기를 갖는 화합물, 비닐에테르기를 갖는 화합물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하나의 화합물을 함유한다. 이들 화합물은, 모두 양이온 중합에 의해 경화하기 때문에, 양이온 중합형 수지 조성물은,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더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이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는, 가시광선, 자외선, X선, 전자선 등의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양이온종 또는 루이스산을 발생하며, 에폭시기나 옥세타닐기의 중합 반응을 개시한다.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로서는, 후술하는 광산 발생제가 적합하게 사용된다.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이 가시광선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경우에는, 특히 380 ㎚ 이상의 광에 대하여 고감도인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를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지만,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는 일반적으로, 300 ㎚ 부근 또는 그보다 짧은 파장 영역에 극대 흡수를 나타내는 화합물이기 때문에, 그보다 긴 파장 영역, 구체적으로는 380 ㎚보다 긴 파장의 광에 극대 흡수를 나타내는 광증감제를 배합함으로써, 이 부근의 파장의 광에 감응하여, 광양이온 중합 개시제로부터의 양이온종 또는 산의 발생을 촉진시킬 수 있다. 광증감제로서는, 예컨대, 안트라센 화합물, 피렌 화합물, 카르보닐 화합물, 유기 유황 화합물, 과황화물, 레독스계 화합물, 아조 및 디아조 화합물, 할로겐 화합물, 광환원성 색소 등을 들 수 있고, 이들은, 2종류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하여도 좋다. 특히 안트라센 화합물은, 광증감 효과가 우수하기 때문에 바람직하고, 구체적으로는 안트라큐어 UVS-1331, 안트라큐어 UVS-1221(가와사키가세이사 제조)을 들 수 있다. 광증감제의 함유량은, 0.1 중량%∼5 중량%인 것이 바람직하고, 0.5 중량%∼3 중량%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A3〕그 외의 성분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은,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 광산 발생제, 에폭시기 또는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실란 커플링제, 비닐에테르기를 갖는 화합물, 이들 이외의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하, 이들의 성분에 대해서 설명한다.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
라디칼 중합형 수지 조성물 또는 양이온 중합형 수지 조성물은,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 또는 양이온 중합성 화합물(경화성 성분)에 더하여, (메트)아크릴 모노머를 중합하여 이루어지는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 중에,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를 함유함으로써, 상기 수지 조성물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킬 때의 경화 수축을 저감하여, 경화물층과 휘도 향상 필름의 계면 응력을 저감할 수 있다. 그 결과, 상기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층과 휘도 향상 필름의 접착성의 저하를 억제할 수 있다. 경화물층의 경화 수축을 충분히 억제하기 위해서는, 경화성 성분의 전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를 3 중량부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중량부 이상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 수지 조성물 중의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상기 수지 조성물에 활성 에너지선을 조사하였을 때의 반응 속도의 저하가 격심하여, 경화 불량이 되는 경우가 있다. 반응 속도의 저하를 충분히 억제하기 위해서는, 경화성 성분의 전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를, 20 중량부 이하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15 중량부 이하 함유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라디칼 중합형 수지 조성물 또는 양이온 중합형 수지 조성물은, 코팅 시의 작업성이나 균일성을 고려한 경우, 저점도인 것이 바람직하기 때문에,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도 저점도인 것이 바람직하다. 저점도이며, 또한 경화물층의 경화 수축을 방지할 수 있는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로서는,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15000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0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5000 이하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한편, 경화물층의 경화수축을 충분히 억제하기 위해서는,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의 중량 평균 분자량(Mw)이 500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00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00 이상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를 구성하는 (메트)아크릴 모노머로서는, 예컨대, 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틸-2-니트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n-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이소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sec-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t-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t-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3-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2,2-디메틸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n-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세틸(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틸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4-메틸-2-프로필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N-옥타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의 (메트)아크릴산(탄소수 1∼20)알킬에스테르류; 시클로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예컨대, 시클로헥실(메트)아크릴레이트, 시클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 아랄킬(메트)아크릴레이트(예컨대, 벤질(메트)아크릴레이트 등); 다환식 (메트)아크릴레이트(예컨대, 2-이소보르닐(메트)아크릴레이트, 2-노르보르닐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5-노르보르넨-2-일-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틸-2-노르보르닐메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 히드록실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류(예컨대, 히드록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히드록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2,3-디히드록시프로필메틸-부틸(메트)메타크릴레이트 등); 알콕시기 또는 페녹시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류(2-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에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메톡시메톡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3-메톡시부틸(메트)아크릴레이트, 에틸카르비톨(메트)아크릴레이트, 페녹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 에폭시기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류(예컨대, 글리시딜(메트)아크릴레이트 등); 할로겐 함유 (메트)아크릴산에스테르류(예컨대, 2,2,2-트리플루오로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2,2,2-트리플루오로에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테트라플루오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헥사플루오로프로필(메트)아크릴레이트, 옥타플루오로펜틸(메트)아크릴레이트, 헵타데카플루오로데실(메트)아크릴레이트 등); 알킬아미노알킬(메트)아크릴레이트(예컨대, 디메틸아미노에틸(메트)아크릴레이트 등)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메트)아크릴레이트는, 단독으로 또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 이용할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의 구체예로서는, 도아고세이사 제조 「ARUFON」, 소켄가가쿠사 제조 「액트플로우」, BASF 재팬사 제조 「JONCRYL」 등을 들 수 있다.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 중에서도, logPow값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의 logPow값은, 바람직하게는 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4 이상이다.
(광산 발생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은, 광산 발생제를 함유할 수 있다. 상기 수지 조성물에, 광산 발생제를 함유하는 경우, 광산 발생제를 함유하지 않는 경우에 비교하여, 경화물층의 내수성 및 내구성을 비약적으로 향상시킬 수 있다. 광산 발생제는, 하기 일반식 (6)으로 나타낼 수 있다.
Figure pct00005
[식 중, L+는, 임의의 오늄 양이온을 나타낸다. 또한, X-는, PF6 -, SbF6 -, AsF6 -, SbCl6 -, BiCl5 -, SnCl6 -, ClO4 -, 디티오카르바메이트 아니온, SCN-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카운터 음이온을 나타낸다.]
X-는, PF6 -, SbF6 -, 또는 AsF6 -가 바람직하고, PF6 -, 또는 SbF6 -가 보다 바람직하다.
광산 발생제를 구성하는 바람직한 오늄염으로서는, 예컨대, 「사이라큐어 UVI-6992」, 「사이라큐어 UVI-6974」(이상, 다우·케미컬니혼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아데카옵토머 SP150」, 「아데카옵토머 SP152」, 「아데카옵토머 SP170」, 「아데카옵토머 SP172」(이상, 가부시키가이샤 ADEKA 제조), 「IRGACURE250」(치바스페셜티-케미컬즈사 제조), 「CI-5102」, 「CI-2855」(이상, 니혼소다사 제조), 「산에이도 SI-60L」, 「산에이도 SI-80L」, 「산에이도 SI-100L」, 「산에이도 SI-110L」, 「산에이도 SI-180L」(이상, 산신가가쿠사 제조), 「CPI-100 P」, 「CPI-100 A」(이상, 산아프로 가부시키가이샤 제조), 「WPI-069」, 「WPI-113」, 「WPI-116」, 「WPI-041」, 「WPI-044」, 「WPI-054」, 「WPI-055」, 「WPAG-281」, 「WPAG-567」, 「WPAG-596」(이상, 와코쥰야쿠사 제조)을 들 수 있다.
광산 발생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화성 성분의 전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10 중량부 이하이며, 0.01∼10 중량부인 것이 바람직하고, 0.05∼5 중량부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3 중량부인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에폭시기 또는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은, 광산 발생제와 함께, 에폭시기 또는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에폭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로서는, 분자 내에 1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 또는 분자 내에 2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을 들 수 있고, 고분자 화합물(에폭시 수지)이어도 좋다. 이들 화합물을 이용하는 경우는, 에폭시기와의 반응성을 갖는 작용기를 분자 내에 2개 이상 갖는 화합물을 병용하여도 좋다. 에폭시기와의 반응성을 갖는 작용기란, 예컨대, 카르복실기, 페놀성 수산기, 메르캅토기, 1급 또는 2급의 방향족 아미노기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작용기는, 3차원 경화성을 고려하여, 1분자 중에 2개 이상 갖는 것이 특히 바람직하다.
분자 내에 1개 이상의 에폭시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예컨대, 에폭시 수지를 들 수 있고, 비스페놀 A와 에피크롤히드린으로부터 유도되는 비스페놀 A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와 에피크롤히드린으로부터 유도되는 비스페놀 F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S형 에폭시 수지, 페놀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크레졸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A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비스페놀 F 노볼락형 에폭시 수지, 지환식 에폭시 수지, 디페닐에테르형 에폭시 수지, 히드로퀴논형 에폭시 수지, 나프탈렌형 에폭시 수지, 비페닐형 에폭시 수지, 플루오렌형 에폭시 수지, 3작용형 에폭시 수지나 4작용형 에폭시 수지 등의 다작용형 에폭시 수지; 글리시딜에스테르형 에폭시 수지; 글리시딜아민형 에폭시 수지; 히단토인형 에폭시 수지; 이소시아누레이트형 에폭시 수지; 지방족 쇄형 에폭시 수지등이 있고, 이들 에폭시 수지는 할로겐화되어 있어도 좋고, 수소 첨가되어 있어도 좋다.
시판되어 있는 에폭시 수지 제품으로서는 특별히 한정되지 않지만, 예컨대, 재팬에폭시레진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JER 코트 828, 1001, 801N, 806, 807, 152, 604, 630, 871, YX8000, YX8034, YX4000, DIC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에피클론 830, EXA835LV, HP4032D, HP820, 가부시키가이샤 ADEKA 제조의 EP4100 시리즈, EP4000 시리즈, EPU 시리즈, 다이셀가가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셀록사이드 시리즈(2021, 2021P, 2083, 2085, 3000 등), 에포리드 시리즈, EHPE 시리즈, 신닛테츠가가쿠사 제조의 YD 시리즈, YDF 시리즈, YDCN 시리즈, YDB 시리즈, 페녹시 수지(비스페놀류와 에피크롤히드린으로부터 합성되는 폴리히드록시폴리에테르로 양말단에 에폭시기를 가짐; YP 시리즈 등), 나가세켐텍스사 제조의 데나콜 시리즈, 교에이샤가가쿠사 제조의 에포라이트 시리즈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에폭시 수지는, 2종 이상을 병용하여도 좋다.
분자 내에 알콕시기를 갖는 화합물로서는, 분자 내에 1개 이상의 알콕실기를 갖는 것이면 특별히 제한없이, 공지의 것을 사용할 수 있다. 이러한 화합물로서는, 멜라민 화합물, 아미노 수지, 실란 커플링제 등을 들 수 있다.
에폭시기 또는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화성 성분의 전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30 중량부 이하 포함되며, 20 중량부 이하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에폭시기 또는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휘도 향상 필름에 대한 경화물층의 접착성이 저하하여, 낙하 시험에 대한 내충격성이 악화하는 경우가 있다. 에폭시기 또는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은, 내수성의 점에서, 상기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화성 성분의 전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2 중량부 이상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5 중량부 이상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실란 커플링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은, 실란 커플링제를 포함할 수 있다. 이 경우, 실란 커플링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화합물인 것이 바람직하지만,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화합물이 아니어도, 경화물층에 내수성을 부여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의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예컨대, 비닐트리클로로실란, 비닐트리메톡시실란, 비닐트리에톡시실란, 2-(3,4에폭시시클로헥실)에틸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글리시독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p-스티릴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이 중, 3-메타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아크릴옥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이 바람직하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이 아닌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아미노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가 바람직하다. 아미노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예컨대,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γ-(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이소프로폭시실란, γ-(2-(2-아미노에틸)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6-아미노헥실)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N-에틸아미노)-2-메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우레이도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우레이도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페닐-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벤질-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N-비닐벤질-γ-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N-시클로헥실아미노메틸트리에톡시실란, N-시클로헥실아미노메틸디에톡시메틸실란, N-페닐아미노메틸트리메톡시실란, (2-아미노에틸)아미노메틸트리메톡시실란, N,N'-비스[3-(트리메톡시실릴)프로필]에틸렌디아민 등의 아미노기 함유 실란류; N-(1,3-디메틸부틸리덴)-3-(트리에톡시실릴)-1-프로판아민 등의 케티민형 실란류를 들 수 있다.
상기 이외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이 아닌 실란 커플링제로서는, 3-우레이도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3-클로로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3-메르캅토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비스(트리에톡시실릴프로필)테트라술피드, 3-이소시아네이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이미다졸실란 등을 들 수 있다.
이들 중, 양호한 접착성을 확보하기 위해서는, γ-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메톡시실란, γ-(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메틸디메톡시실란, γ-(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트리에톡시실란, γ-(2-아미노에틸)아미노프로필메틸디에톡시실란, N-(1,3-디메틸부틸리덴)-3-(트리에톡시실릴)-1-프로판아민이 바람직하다. 아미노기를 갖는 실란 커플링제는, 1종만을 이용하여도 좋고, 2종 이상을 조합하여 이용하여도 좋다.
실란 커플링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화성 성분의 전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01∼2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05∼15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0.1∼10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더욱 바람직하다. 실란 커플링제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많으면, 상기 수지 조성물의 보존 안정성이 악화하고, 또한 실란 커플링제의 함유량이 지나치게 적으면, 접착 내수성의 효과가 발휘되기 어렵다.
(비닐에테르기를 갖는 화합물)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은, 비닐에테르기를 갖는 화합물을 포함할 수 있다. 비닐에테르기를 갖는 화합물을 함유함으로써, 휘도 향상 필름과 경화물층의 접착 내수성을 향상시킬 수 있다. 이것은, 비닐에테르기가 휘도 향상 필름과 상호 작용하여, 접착력이 높아지기 때문이라고 추측된다. 휘도 향상 필름과 경화물층의 접착 내수성을 더욱 높이기 위해, 비닐에테르기를 갖는 화합물로서, 라디칼 중합성 화합물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비닐에테르기를 갖는 화합물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화성 성분의 전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0.1∼19 중량부 함유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첨가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은, 상기한 (메트)아크릴계 올리고머, 광산 발생제, 에폭시기 또는 알콕시기를 포함하는 화합물, 실란 커플링제, 및 비닐에테르기를 갖는 화합물 이외에, 본 발명의 목적 및 효과를 손상시키지 않는 범위에서, 각종 첨가제를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이러한 첨가제로서는, 에폭시 수지, 폴리아미드, 폴리아미드이미드, 폴리우레탄, 폴리부타디엔, 폴리클로로프렌, 폴리에테르, 폴리에스테르, 스티렌-부타디엔 블록 공중합체, 석유 수지, 크실렌 수지, 케톤 수지, 셀룰로오스 수지, 불소계 올리고머, 실리콘계 올리고머, 폴리술피드계 올리고머 등의 폴리머 또는 올리고머; 페노티아진, 2,6-디-t-부틸-4-메틸페놀 등의 중합 금지제; 중합 개시 조제; 레벨링제; 젖음성 개량제; 계면 활성제; 가소제; 자외선 흡수제; 무기 충전제; 안료; 염료 등을 들 수 있다. 상기한 첨가제 중에서도, logPow값이 높은 것이 바람직하다. 상기한 첨가제의 logPow값은, 바람직하게는 2 이상, 보다 바람직하게는 3 이상, 가장 바람직하게는 4 이상이다. 상기 첨가제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에 포함되는 경화성 성분의 전량 100 중량부에 대하여, 통상 0∼10 중량부 포함하며, 0∼5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고, 0∼3 중량부 포함하는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B〕열경화성 화합물
열경화성 화합물로서는, 휘도 향상 필름과 경화물층의 접착성의 관점에서, 열경화형 접착제, 핫멜트 접착제 등을 이용할 수 있다. 구체적인 예로서는, 천연 고무 접착제, α-올레핀계 접착제, 우레탄 수지계 접착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수지 에멀션 접착제, 에틸렌-아세트산비닐수지계 핫멜트 접착제, 에폭시 수지계 접착제, 염화비닐 수지 용제계 접착제, 클로로프렌 고무계 접착제, 시아노아크릴레이트계 접착제, 실리콘계 접착제, 스티렌-부타디엔 고무 용제계 접착제, 니트릴 고무계 접착제, 니트로셀룰로오스계 접착제, 반응성 핫멜트 접착제, 페놀 수지계 접착제, 변성 실리콘계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핫멜트 접착제, 폴리아미드 수지 핫멜트 접착제, 폴리이미드계 접착제, 폴리우레탄 수지 핫멜트 접착제, 폴리올레핀 수지 핫멜트 접착제, 폴리아세트산비닐 수지 용제계 접착제, 폴리스티렌 수지 용제계 접착제, 폴리비닐알코올계 접착제, 폴리비닐피롤리돈 수지계 접착제, 폴리비닐부티랄계 접착제, 폴리벤즈이미다졸 접착제, 폴리메타크릴레이트 수지 용제계 접착제, 멜라민 수지계 접착제, 우레아 수지계 접착제, 레조르시놀계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이러한 접착제는, 1종 단독 또는 2종 이상을 혼합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접착제의 종류에 따른 베이스 폴리머가 이용된다.
열경화형 접착제는, 가열에 의해 열경화하여 고화함으로써 접착력을 발현한다. 열경화형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에폭시계 열경화형 접착제, 우레탄계 열경화형 접착제, 아크릴계 열경화형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열경화형 접착제의 경화 온도는, 예컨대, 100∼200℃이다.
핫멜트 접착제는, 가열에 의해 용융 또는 연화되어, 휘도 향상 필름에 열융착하고, 그 후의 냉각에 의해, 고화함으로써, 휘도 향상 필름에 접착한다. 핫멜트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고무계 핫멜트 접착제, 폴리에스테르계 핫멜트 접착제, 폴리올레핀계 핫멜트 접착제, 에틸렌-아세트산비닐 수지계 핫멜트 접착제, 폴리아미드 수지 핫멜트 접착제, 폴리우레탄 수지 핫멜트 접착제 등을 들 수 있다. 핫멜트 접착제의 연화 온도(환구법)는, 예컨대, 100∼200℃이다. 또한, 핫멜트 접착제의 용융 점도는, 180℃에서, 예컨대, 100∼30000 m㎩·s이다.
〔직선 편광층〕
직선 편광층은, 무편광의 광을 입사시켰을 때, 흡수축에 직교하는 진동면을 갖는 직선 편광을 투과시키는 성질을 갖는다. 직선 편광층은, 폴리비닐알코올(이하, 「PVA」로 약기하는 경우도 있음)계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PVA계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직선 편광층으로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이하, 「PVA」로 약기하는 경우도 있음)계 필름, 부분 포르말화 PVA계 필름, 에틸렌·아세트산비닐 공중합체계 부분 비누화 필름 등의 친수성 고분자 필름에, 요오드나 2색성 염료 등의 2색성 물질에 의한 염색 처리, 및 연신 처리가 실시된 것 등을 들 수 있다. 광학 특성이 우수하기 때문에, PVA계 수지 필름을 요오드로 염색하고 일축 연신하여 얻어진 직선 편광층을 이용하는 것이 바람직하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를 비누화함으로써 제조할 수 있다. 폴리아세트산비닐계 수지는, 아세트산비닐의 단독 중합체인 폴리아세트산비닐 외에, 아세트산비닐과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의 공중합체일 수도 있다. 아세트산비닐에 공중합 가능한 다른 단량체로서는, 예컨대, 불포화 카르복실산류, 올레핀류, 비닐에테르류, 불포화 술폰산류, 암모늄기를 갖는 아크릴아미드류 등을 들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비누화도는, 통상 85∼100몰% 정도이고, 바람직하게는 98몰% 이상이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는 변성되어 있어도 좋고, 예컨대, 알데히드류로 변성된 폴리비닐포르말나 폴리비닐아세탈 등도 사용 가능하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의 중합도는, 통상 1,000∼10,000 정도이며, 바람직하게는 1,500∼5,000 정도이다.
이러한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막 제조한 것이, 직선 편광층의 원단 필름으로서 이용된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제조막하는 방법은, 특별히 한정되는 것이 아니며, 공지의 방법으로 막 제조할 수 있다.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원단 필름의 막 두께는, 예컨대 10∼100 ㎛ 정도, 바람직하게는 10∼60 ㎛ 정도, 보다 바람직하게는 15∼30 ㎛ 정도이다.
그 외의 PVA계 수지 필름을 포함하는 직선 편광층의 제조 방법으로서는, 먼저 기재 필름을 준비하고, 기재 필름 상에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 등의 수지의 용액을 도포하고, 용매를 제거하는 건조 등을 행하여 기재 필름 상에 수지층을 형성하는 공정을 포함하는 것을 들 수 있다. 또한, 기재 필름의 수지층이 형성되는 면에는, 미리 프라이머층을 형성할 수 있다. 기재 필름으로서는, PET 등의 수지 필름을 사용할 수 있다. 프라이머층의 재료로서는, 직선 편광층에 이용되는 친수성 수지를 가교한 수지 등을 들 수 있다.
계속해서, 필요에 따라 수지층의 수분 등의 용매량을 조정하고, 그 후, 기재 필름 및 수지층을 일축 연신하고, 계속해서, 수지층을 요오드 등의 2색성 색소로 염색하여 2색성 색소를 수지층에 흡착 배향시킨다. 계속해서, 필요에 따라 2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한 수지층을 붕산 수용액으로 처리하고, 붕산 수용액을 씻어내는 세정 공정을 행한다. 이에 의해, 2색성 색소가 흡착 배향된 수지층, 즉, 직선 편광층의 필름이 제조된다. 각 공정에는 공지의 방법을 채용할 수 있다.
기재 필름 및 수지층의 일축 연신은, 염색 전에 행하여도 좋고, 염색 중에 행하여도 좋고, 염색 후의 붕산 처리 중에 행하여도 좋고, 이들 복수의 단계에 있어서 각각 일축 연신을 행하여도 좋다. 기재 필름 및 수지층은, MD 방향(필름 반송 방향)으로 일축 연신하여도 좋고, 이 경우, 주속이 상이한 롤 사이에서 일축으로 연신하여도 좋고, 열롤을 이용하여 일축으로 연신하여도 좋다. 또한, 기재 필름 및 수지층은, TD 방향(필름 반송 방향에 수직인 방향)으로 일축 연신하여도 좋고, 이 경우, 소위 텐터법을 사용할 수 있다. 또한, 기재 필름 및 수지층의 연신은, 대기 중에서 연신을 행하는 건식 연신이어도 좋고, 용제로 수지층을 팽윤시킨 상태에서 연신을 행하는 습식 연신이어도 좋다. 직선 편광층의 성능을 발현하기 위해서는 연신 배율은 4배 이상이며, 5배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특히 5.5배 이상이 바람직하다. 연신 배율의 상한은 특별히 없지만, 파단 등을 억제하는 관점에서 8배 이하가 바람직하다.
상기 방법으로 제작한 직선 편광층은, 후술하는 보호층을 적층한 후에 기재 필름을 박리함으로써 얻을 수 있다.
직선 편광층의 두께는, 5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10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고, 15 ㎛ 이상이어도 좋고, 20 ㎛ 이상이어도 좋다. 또한, 직선 편광층의 두께는, 50 ㎛ 이하이며, 4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이하여도 좋다.
〔편광판〕
직선 편광층은 그 편면 또는 양면에, 공지의 점착제층 또는 접착층을 개재시켜, 제1 보호층, 또는, 제1 보호층 및 제2 보호층(이하, 제1 보호층 및 제2 보호층을 합하여 「보호층」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을 적층하여 편광판으로 할 수 있다. 이 편광판은 소위 직선 편광판이다. 직선 편광층의 편면 또는 양면에 적층할 수 있는 보호층으로서는, 예컨대, 투명성, 기계적 강도, 열안정성, 수분 차단성, 등방성, 연신성 등이 우수한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필름이 이용된다. 이러한 열가소성 수지의 구체예로서는,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등의 셀룰로오스 수지;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등의 폴리에스테르 수지; 폴리에테르술폰 수지; 폴리술폰 수지; 폴리카보네이트 수지; 나일론이나 방향족 폴리아미드 등의 폴리아미드 수지; 폴리이미드 수지; 폴리에틸렌, 폴리프로필렌, 에틸렌·프로필렌 공중합체 등의 폴리올레핀 수지; 시클로계 및 노르보르넨 구조를 갖는 환형 폴리올레핀 수지(노르보르넨계 수지라고도 함); (메트)아크릴 수지; 폴리아릴레이트 수지; 폴리스티렌 수지; 폴리비닐알코올 수지와, 이들의 혼합물을 들 수 있다. 직선 편광층의 양면에 보호층이 적층되어 있는 경우, 2개의 보호층의 수지 조성은 동일하여도 좋고, 달라도 좋다.
열가소성 수지로 형성된 필름은, 직선 편광층과의 밀착성을 향상시키기 위해, 표면 처리(예컨대, 코로나 처리 등)가 실시되어 있어도 좋고, 프라이머층(초벌층이라고도 함) 등의 박층이 형성되어 있어도 좋다.
보호층은, 예컨대 상기 열가소성 수지를 연신한 것이어도 좋고, 연신되어 있지 않은 것이어도 좋다(이하, 「미연신 수지」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 연신 처리로서는, 일축 연신이나 이축 연신 등을 들 수 있다.
직선 편광층에 보호층을 적층하기 위해 이용하는 점착제층으로서는, 후술하는 제1 점착제층 등에 있어서 설명하는 점착제를 들 수 있다. 직선 편광층에 보호층을 적층하기 위해 이용하는 접착제층으로서는, 공지의 접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접착제로서는, 감압형 접착제(점착제) 이외의 접착제로서, 예컨대, 수계 접착제,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들 수 있다. 수계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폴리비닐알코올계 수지를 물에 용해, 또는 분산시킨 접착제를 들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로서는, 예컨대, 자외선, 가시광, 전자선, X선과 같은 활성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는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무용제형의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접착제를 들 수 있다.
〔휘도 향상 필름〕
휘도 향상 필름은, 백라이트 등의 광원으로부터의 출사광을 투과 편광과 반사 편광 또는 산란 편광으로 분리하는 것 같은 기능을 갖는 편광 변환 소자가 이용된다. 휘도 향상 필름은, 반사 편광 또는 산란 편광의 광원으로부터의 재귀광을 이용하여, 직선 편광의 출사 효율을 향상시킬 수 있다.
휘도 향상 필름으로서, 이방성 반사 편광자를 이용할 수 있다. 이방성 반사 편광자는, 예컨대, 유전체의 다층막이나 굴절률 이방성이 서로 상위하는 층의 다층 적층체와 같이, 소정 편광축의 직선 편광을 투과하며 다른 광은 반사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 콜레스테릭 액정 폴리머의 배향 필름이나 그 배향 액정층을 필름 기재 상에 지지한 것과 같이, 반시계 방향 또는 시계 방향 중 어느 한쪽의 원편광을 반사하고 다른 광은 투과하는 특성을 나타내는 것 등을 들 수 있다. 이방성 반사 편광자를 구성하는 층의 종류는, 2종 또는 그 이상으로 할 수 있다.
휘도 향상 필름으로서는, 예컨대, 폴리에틸렌나프탈레이트,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폴리카보네이트로 대표되는 연신에 의해 위상차를 발생하는 재료와, 폴리메틸메타크릴레이트로 대표되는 아크릴계 수지, JSR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아톤"(등록상표)으로 대표되는 노르보르넨계 수지 등의 위상차 발현량이 적은 수지를 교대로 적층한 것을 일축 연신하여 얻어지는 적층체를 이용할 수 있다. 이러한 구조체의 구체예로서는, 3M사 제조의 "DBEF"(등록상표), "APF-V4"(제품명), "APF-V3"(제품명) 및 "APF-V2"(제품명) 등을 들 수 있다.
휘도 향상 필름은, 예컨대, 콜레스테릭 액정층과 λ/4판의 적층체여도 좋다. 이러한 적층체의 구체예로서는, 밋토덴코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상품명 "PCF"를 들 수 있다.
휘도 향상 필름은, 반사 그리드 편광자여도 좋다. 반사 그리드 편광자로서는, 금속에 미세 가공을 실시하여 가시광 영역에서도 반사 편광을 내보내는 것 같은 금속 격자 반사 편광자를 들 수 있다.
휘도 향상 필름의 두께는, 통상 5 ㎛ 이상이며, 10 ㎛ 이상이어도 좋고, 또한, 통상 100 ㎛ 이하이며, 5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5 ㎛ 이하여도 좋다.
〔제1 점착제층, 제2 점착제층, 제3 점착제층〕
제1 점착제층, 제2 점착제층, 및 제3 점착제층(이하, 이들을 통합하여 「점착제층」이라고 하는 경우가 있음)은, 점착제로 구성된 층이다. 본 명세서에 있어서 「점착제」란, 그 자체를 편광판이나 액정층 등의 피착체에 붙임으로써 접착성을 발현하는 것이며, 소위 감압형 접착제라고 칭해지는 것이다. 또한, 후술하는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는, 에너지선을 조사함으로써, 가교도나 접착력을 조정할 수 있다.
점착제로서는, 종래 공지의 광학적인 투명성이 우수한 점착제를 특별히 제한없이 이용할 수 있고, 예컨대, 아크릴계, 우레탄계, 실리콘계, 폴리비닐에테르계 등의 베이스 폴리머를 갖는 점착제를 이용할 수 있다. 또한,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 열경화형 점착제 등이어도 좋다. 이들 중에서도, 투명성, 점착력, 재박리성(이하, 리워크성이라고도 함), 내후성, 내열성등이 우수한 아크릴계 수지를 베이스 폴리머로 한 점착제가 적합하다. 점착제층은, (메트)아크릴계 수지, 가교제, 실란 화합물을 포함하는 점착제 조성물의 반응 생성물로 구성되는 것이 바람직하고, 그 외의 성분을 포함하고 있어도 좋다.
점착제층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를 이용하여 형성하여도 좋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는, 점착제 조성물에, 다작용성 아크릴레이트 등의 자외선 경화성 화합물을 배합하여, 점착제층을 형성한 후에 자외선을 조사하여 경화시킴으로써, 보다 딱딱한 점착제층을 형성할 수 있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는, 자외선이나 전자선 등의 에너지선의 조사를 받아 경화하는 성질을 갖고 있다. 활성화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는, 에너지선 조사 전에 있어서도 점착성을 갖고 있기 때문에, 광학 필름이나 액정층 등의 피착체에 밀착하여, 에너지선의 조사에 의해 경화하여 밀착력을 조정할 수 있는 성질을 갖는 점착제이다.
활성 에너지선 경화형 점착제는, 일반적으로는 아크릴계 점착제와, 에너지선 중합성 화합물을 주성분으로서 포함한다. 통상은 가교제가 더 배합되어 있고, 또한 필요에 따라, 광중합 개시제나 광증감제 등을 배합할 수도 있다.
점착제층은, 그 저장 탄성률이 23℃에 있어서 0.10∼10.0 ㎫인 것이 바람직하고, 0.15∼5.0 ㎫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23℃에 있어서의 저장 탄성률이 0.10 ㎫ 이상이면, 온도 변화가 생겼을 때에 벗겨짐 등의 문제점을 억제할 수 있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10.0 ㎫ 이하이면 점착력의 저하에 의한 내구성의 저하가 발생하기 어렵기 때문에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층의 저장 탄성률은, 실시예에 기재된 방법에 의해 측정할 수 있다.
점착제층의 두께는, 3 ㎛ 이상인 것이 바람직하고, 5 ㎛ 이상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또한, 점착제층의 두께는, 40 ㎛ 이하인 것이 바람직하고, 30 ㎛ 이하인 것이 보다 바람직하다.
〔박리 필름〕
박리 필름은, 점착제층을 피복 보호하거나, 또는, 점착제층을 지지하는 것으로서, 점착제층에 대하여 박리 가능한 세퍼레이터로서의 기능을 갖는다. 박리 필름으로서는, 기재 필름의 점착제층측의 표면에 실리콘 처리 등의 이형 처리가 실시된 필름을 들 수 있다. 기재 필름을 이루는 수지 재료로서는, 상기한 보호층을 이루는 수지 재료와 동일한 것을 들 수 있다. 수지 필름은 1층 구조여도 좋고, 2층 이상의 다층 구조의 다층 수지 필름이어도 좋다.
실시예
이하, 실시예 및 비교예를 나타내어 본 발명을 더욱 구체적으로 설명하지만, 본 발명은 이들 예에 의해 한정되는 것이 아니다.
[두께의 측정]
각 층의 두께는, 가부시키가이샤 니콘 제조의 디지털 마이크로미터인 MH-15M을 이용하여 측정하였다.
[면내 리타데이션의 측정]
AxoScan(Axometrics, Inc.사 제조)을 이용하여, 완충층의 파장 590 ㎚에 있어서의 면내 리타데이션 Re(590)을 측정하였다.
[인장 탄성률의 측정]
완충층으로서 이용하는 필름으로부터, MD 길이 100 ㎜, TD 길이 20 ㎜의 직사각형의 측정용 샘플을 절취하였다. MD 길이는, 복합 편광판이 갖는 직선 편광층의 흡수축 방향에 상당하는 방향의 길이로 하였다. 인장 시험기〔(주)시마즈세이사쿠쇼 제조 오토그래프 AG-Xplus 시험기〕의 상하 그립퍼로, 그립퍼의 간격이 5 ㎝가 되도록 측정용 샘플의 MD 길이 방향의 양단을 사이에 끼우고, 온도 23℃, 상대 습도 55%의 환경 하, 인장 속도 1 ㎜/분으로 측정용 샘플을 MD 길이 방향으로 인장하여, 얻어진 응력-변형 곡선에 있어서의 초기의 직선의 기울기로부터, 온도 23℃, 상대 습도 55%에서의 MD 길이 방향에 있어서의 인장 탄성률〔GPa〕을 산출하였다.
[고온 내구성 시험]
실시예 또는 비교예에서 얻어진 복합 편광판으로부터, MD 길이 160 ㎜, TD 길이 100 ㎜의 사이즈의 샘플을 얻고, 이 샘플로부터 박리 필름을 박리하고, 노출된 점착제층(제3 점착제층)을 유리판에 접합하여 시험편으로 하였다. 이 시험편을, 온도 50℃, 압력 0.5 ㎫로 15분간, 오토클레이브 처리를 하고, 계속해서, 온도 95℃의 오븐에 500시간 투입한 후, 시험편의 휘도 향상 필름측의 외관을 육안으로 보아 관찰하였다.
〔실시예 1〕
(직선 편광층의 제작)
평균 중합도 약 2,400, 비누화도 99.9 몰% 이상인 폴리비닐알코올을 포함하는 두께 75 ㎛의 폴리비닐알코올 필름을, 건식으로 약 5배로 일축 연신하고, 또한 긴장 상태를 유지한 채로, 60℃의 순수에 1분간 침지한 후, 요오드/요오드화칼륨/물의 중량비가 0.05/5/100인 수용액에 28℃에서 60초간 침지하였다. 그 후, 요오드화칼륨/붕산/물의 중량비가 8.5/8.5/100인 수용액에 72℃에서 300초간 침지하였다. 계속해서 26℃의 순수로 20초간 세정한 후, 65℃에서 건조하여, 폴리비닐알코올에 요오드가 흡착 배향된 두께 28 ㎛의 직선 편광층을 얻었다.
(접착제의 조제)
아세토아세틸기를 함유하는 변성 PVA계 수지(미츠비시케미컬(주) 제조: 고세넥스 Z-410) 50 g을 950 g의 순수에 용해하고, 90℃에서 2시간 가열 후 상온으로 냉각하여, PVA 용액을 얻었다. 계속해서, 각각의 화합물이 하기의 농도가 되도록, PVA 용액, 말레산, 글리옥살, 순수를 배합하여, PVA계 접착제를 조제하였다.
PVA 3.0 중량%
말레산 0.01 중량%
글리옥살 0.15 중량%
(편광판의 제작)
상기에서 얻은 직선 편광층의 한쪽의 면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1 보호층(두께 40 ㎛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코니카미놀타옵토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상품명 「KC4UYW」〕)을 접합하고, 다른쪽의 면에 상기 접착제를 도포하여, 제2 보호층(두께 40 ㎛의 아크릴계 수지 필름〔도요코한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상품명 「HX-40NE」〕)을 접합하고, 건조시켜 편광판을 제작하였다. 이들 재료의 접합 시에는, 각 재료의 접합면에 코로나 처리를 행하였다.
(복합 편광판의 제작)
상기에서 얻은 편광판의 제1 보호층측에, 시판의 두께 25 ㎛의 시트형 아크릴계 점착제를 접합하여 제1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제1 점착제층의 편광판측과는 반대측에, 완충층으로서의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후지필름 가부시키가이샤 제조의 상품명 「TJ40UL」〕을 접합하였다. 계속해서, 완충층의 제1 점착제층측과는 반대측에, 시판의 두께 25 ㎛의 시트형 아크릴계 점착제를 접합하여 제2 점착제층을 형성하고, 제2 점착제층의 완충층측과는 반대측에, 휘도 향상 필름(3M사 제조의 「AFP-V3 HCS」)을 접합하였다. 또한, 편광판의 제2 보호층측에, 박리 필름(두께 38 ㎛, 폴리에틸렌테레프탈레이트 필름) 상에 두께 25 ㎛의 아크릴계 점착제의 점착제층(제3 점착제층으로 함)이 형성된 점착제 시트의 점착제층측을 접합하였다. 이상에 의해, 박리 필름, 제3 점착제층, 편광판(제3 점착제층측으로부터, 제2 보호층, 직선 편광층, 제1 보호층을 이 순서로 적층한 것), 제1 점착제층, 완충층, 제2 점착제층, 및 휘도 향상 필름이 이 순서로 적층된 복합 편광판을 얻었다. 또한, 각 재료의 접합 시에는, 각 재료의 접합면에 코로나 처리를 행하였다.
완충층으로서 이용한 트리아세틸셀룰로오스 필름의 파장 590 ㎚에 있어서의 면내 리타데이션 Re(590)을 측정한 바, 0.5 ㎚였다. 온도 23℃, 상대 습도 55%에 있어서의 완충층의 인장 탄성률은, 5200 ㎫였다. 또한, 얻어진 복합 편광판에 대해, 고온 내구성 시험을 행한 바, 휘도 향상 필름에 주름의 발생이 보이지 않았고, 복합 편광판의 외관은 양호하였다.
〔비교예 1〕
완충층 및 제2 점착제층을 마련하지 않는 것 이외에는, 실시예 1과 동일하게 하여, 박리 필름, 제3 점착제층, 편광판(제3 점착제층측으로부터, 제2 보호층, 직선 편광층, 제1 보호층을 이 순서로 적층한 것), 제1 점착제층, 및 휘도 향상 필름이 이 순서로 적층된 복합 편광판을 얻었다. 얻어진 복합 편광판에 대해, 고온 내구성 시험을 행한 바, 휘도 향상 필름의 장변측의 단부에 미세한 주름이 다수 확인되었다.
1, 2 복합 편광판, 5, 6 액정 표시 장치, 10 편광판, 11 직선 편광층, 12 제1 보호층, 13 제2 보호층, 15a, 15b 완충층, 18 휘도 향상 필름, 31 제1 점착제층, 32 제2 점착제층, 33 제3 점착제층, 35 박리 필름, 41 액정 셀, 42 백라이트.

Claims (14)

  1. 직선 편광층의 적어도 편면에 보호층을 갖는 편광판과, 휘도 향상 필름을 갖는 복합 편광판으로서,
    상기 편광판의 상기 보호층측에 제1 점착제층, 완충층, 및 상기 휘도 향상 필름이 이 순서로 적층되어 있고,
    상기 완충층의 온도 23℃, 상대 습도 55%에 있어서의 인장 탄성률은 1.5 GPa 이상인 복합 편광판.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과 상기 휘도 향상 필름은, 제2 점착제층을 개재시켜 접합되어 있는 것인 복합 편광판.
  3. 제1항 또는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은 수지 필름인 복합 편광판.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수지 필름은 셀룰로오스 에스테르계 수지, (메트)아크릴산계 수지 및 환형 올레핀계 수지로 이루어지는 군에서 선택되는 적어도 1종의 수지로 이루어진 필름을 포함하는 것인 복합 편광판.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은 상기 휘도 향상 필름에 직접 접하고 있는 것인 복합 편광판.
  6. 제1항 또는 제5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은 경화성 성분을 포함하는 수지 조성물의 경화물층인 복합 편광판.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경화성 성분은 활성 에너지선 경화성 화합물을 포함하는 것인 복합 편광판.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완충층의 파장 590 ㎚에서의 면내 리타데이션 Re(590)은 20 ㎚ 이하인 복합 편광판.
  9. 제1항 내지 제8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점착제층은 상기 편광판의 상기 보호층과 상기 완충층을 접합하고 있는 것인 복합 편광판.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은 상기 직선 편광층의 양면에 상기 보호층을 갖는 것인 복합 편광판.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편광판의 상기 휘도 향상 필름측과는 반대측에 제3 점착제층을 갖는 복합 편광판.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제3 점착제층의 상기 편광판측과는 반대측에 박리 필름을 갖는 복합 편광판.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기재된 복합 편광판과 액정 셀을 갖는 액정 표시 장치.
  14. 제13항에 있어서, 백라이트를 더 갖고,
    상기 복합 편광판은, 상기 액정 셀과 상기 백라이트 사이에, 상기 휘도 향상 필름측이 상기 백라이트측이 되도록 배치되어 있는 것인 액정 표시 장치.
KR1020227024637A 2019-12-18 2020-12-03 복합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KR20220116023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5)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JP2019228178 2019-12-18
JPJP-P-2019-228178 2019-12-18
JP2020121344A JP7444721B2 (ja) 2019-12-18 2020-07-15 複合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JPJP-P-2020-121344 2020-07-15
PCT/JP2020/045007 WO2021124905A1 (ja) 2019-12-18 2020-12-03 複合偏光板及び液晶表示装置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6023A true KR20220116023A (ko) 2022-08-19

Family

ID=76431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637A KR20220116023A (ko) 2019-12-18 2020-12-03 복합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JP (1) JP7444721B2 (ko)
KR (1) KR20220116023A (ko)
CN (1) CN114829995A (ko)
TW (1) TW202130505A (ko)
WO (1) WO2021124905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430499A (zh) * 2022-01-13 2023-07-14 三星电子株式会社 用于3d hud的偏振膜和用于包括偏振膜的3d hud的显示装置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4841A (ja) 1997-08-19 1999-03-05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H1164840A (ja) 1997-08-19 1999-03-05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H11248941A (ja) 1998-03-05 1999-09-17 Nitto Denko Corp コレステリック液晶層、光学素子、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H11248942A (ja) 1998-03-05 1999-09-17 Nitto Denko Corp コレステリック液晶層、光学素子、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4880719B2 (ja) 2009-04-10 2012-02-22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4676678B2 (ja) 2003-03-07 2011-04-27 日東電工株式会社 高輝度偏光板
JP5596262B2 (ja) * 2007-08-22 2014-09-24 三菱樹脂株式会社 粘着シート
JP5540669B2 (ja) * 2009-11-27 2014-07-02 日本ゼオン株式会社 ロール状巻回体
JP2015152656A (ja) 2014-02-12 2015-08-24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およびそれを用いた液晶表示装置
KR102295624B1 (ko) * 2014-10-29 2021-08-31 삼성디스플레이 주식회사 편광자, 편광자의 제조 방법 및 표시 패널
JP2016118771A (ja) 2014-12-18 2016-06-30 住友化学株式会社 プロテクトフィルム付偏光板及びそれを含む積層体
CN105717571A (zh) * 2014-12-22 2016-06-29 住友化学株式会社 偏振片及其制造方法、以及偏振片组、液晶面板、液晶显示装置
JP2016118761A (ja) 2014-12-22 2016-06-30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及びその製造方法、並びに偏光板のセット、液晶パネル、液晶表示装置
JP2016170383A (ja) 2015-03-10 2016-09-23 住友化学株式会社 プロテクトフィルム付偏光板及び液晶パネル
KR20180063142A (ko) 2015-10-02 2018-06-11 스미또모 가가꾸 가부시키가이샤 프로텍트 필름 부착 편광판, 액정 패널 및 프로텍트 필름의 제조 방법
JP2018200413A (ja) 2017-05-29 2018-12-20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セットおよび液晶パネル
KR102184392B1 (ko) * 2017-11-28 2020-11-30 주식회사 엘지화학 광학 디바이스
JP6775551B2 (ja) 2018-07-02 2020-10-28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セットおよび液晶パネル
JP2019148826A (ja) 2019-05-16 2019-09-05 住友化学株式会社 偏光板のセットおよび液晶パネル

Patent Citations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1164841A (ja) 1997-08-19 1999-03-05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H1164840A (ja) 1997-08-19 1999-03-05 Hitachi Ltd 液晶表示装置
JPH11248941A (ja) 1998-03-05 1999-09-17 Nitto Denko Corp コレステリック液晶層、光学素子、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H11248942A (ja) 1998-03-05 1999-09-17 Nitto Denko Corp コレステリック液晶層、光学素子、照明装置及び液晶表示装置
JP4880719B2 (ja) 2009-04-10 2012-02-22 日東電工株式会社 液晶パネルおよび液晶表示装置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JP2021096456A (ja) 2021-06-24
JP7444721B2 (ja) 2024-03-06
TW202130505A (zh) 2021-08-16
WO2021124905A1 (ja) 2021-06-24
CN114829995A (zh) 2022-07-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102425608B1 (ko) 편광 필름 및 그 제조 방법, 광학 필름 그리고 화상 표시 장치
TWI708682B (zh) 積層光學薄膜之製造方法
JPWO2017199979A1 (ja) 積層樹脂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積層光学フィルム、画像表示装置ならびに易接着処理樹脂フィルム
WO2016143435A1 (ja) 架橋剤および硬化性樹脂組成物、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WO2016143885A1 (ja) 偏光フィルムおよびその製造方法、光学フィルム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CN112334799B (zh) 起偏镜、偏振膜、光学膜、以及图像显示装置
KR20220116023A (ko) 복합 편광판 및 액정 표시 장치
JP7265882B2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易接着層付偏光子、偏光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WO2020039895A1 (ja) 偏光子、偏光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KR102559367B1 (ko) 편광 필름용 접착제 조성물, 편광 필름, 광학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210046587A (ko) 편광자, 편광 필름, 광학 필름, 그리고 화상 표시 장치
KR102669735B1 (ko) 편광자, 편광 필름, 광학 필름, 그리고 화상 표시 장치
TWI844725B (zh) 偏光薄膜之製造方法
JP7336319B2 (ja) 偏光フィルムの製造方法
WO2024127733A1 (ja) 硬化性組成物、偏光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および画像表示装置
KR20240025499A (ko) 편광 필름 및 화상 표시 장치
KR20210028591A (ko) 편광 필름의 제조 방법
WO2020039899A1 (ja) 偏光子、偏光フィルム、光学フィルム、ならびに画像表示装置
JP2018165840A (ja) 積層光学フィルムの製造方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