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5789A - 유체 분사 밸브와 분사 니들의 통합 및 이의 방법 - Google Patents

유체 분사 밸브와 분사 니들의 통합 및 이의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5789A
KR20220115789A KR1020220017966A KR20220017966A KR20220115789A KR 20220115789 A KR20220115789 A KR 20220115789A KR 1020220017966 A KR1020220017966 A KR 1020220017966A KR 20220017966 A KR20220017966 A KR 20220017966A KR 20220115789 A KR20220115789 A KR 2022011578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luid
needle
fluid body
dispensing needle
valve sea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1796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크레이그 블리스
Original Assignee
노드슨 코포레이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노드슨 코포레이션 filed Critical 노드슨 코포레이션
Publication of KR2022011578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78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3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 B05B1/3033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 B05B1/304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 B05B1/3046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control volume of flow, e.g. with adjustable passages the control being effected by relative coaxial longitudinal movement of the controlling element and the spray head the controlling element being a lift valve the valve element, e.g. a needle, co-operating with a valve seat located downstream of the valve element and its actuating means, generally in the proximity of the outlet orific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08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for applying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separate articl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00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 B05B1/02Nozzles, spray heads or other outlets, with or without auxiliary devices such as valves, heating means designed to produce a jet, spray, or other discharge of particular shape or nature, e.g. in single drops, or having an outlet of particular shap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3/00Machines or plants for apply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of objects or other work by spraying, not covered by groups B05B1/00 - B05B11/00
    • B05B13/02Means for supporting work; 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Adaptation or arrangement of means for feeding work
    • B05B13/0278Arrangement or mounting of spray head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5/00Details of spraying plant or spraying apparatus not otherwise provided for; Accessories
    • B05B15/60Arrangements for mounting, supporting or holding spraying apparatus
    • B05B15/65Mounting arrangements for fluid connection of the spraying apparatus or its outlets to flow conduit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BSPRAYING APPARATUS; ATOMISING APPARATUS; NOZZLES
    • B05B17/00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 B05B17/04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 B05B17/06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 B05B17/0607Apparatus for spraying or atomising liquids or other fluent materials, not covered by the preceding groups operating with special methods using ultrasonic or other kinds of vibrations generated by electrical means, e.g. piezoelectric transduce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11/00Component parts, details or accessories not specifically provided for in groups B05C1/00 - B05C9/00
    • B05C11/10Storage, supply or control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Recovery of excess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05C11/1002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 B05C11/1034Means for controlling supply, i.e. flow or pressure, of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to the applying apparatus, e.g. valves specially designed for conducting intermittent application of small quantities, e.g. drops, of coating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01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incorporating means for heating or cooling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5SPRAYING OR ATOMISING IN GENERAL;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APPARATUS FOR APPLYING FLUENT MATERIALS TO SURFACES, IN GENERAL
    • B05C5/00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 B05C5/02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 B05C5/0225Apparatus in which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is projected, poured or allowed to flow on to the surface of the work the liquid or other fluent material being discharged through an outlet orifice by pressure, e.g. from an outlet device in contact or almost in contact, with the work characterised by flow controlling means, e.g. valves, located proximate the outlet

Landscapes

  • Nozzles (AREA)
  • Coating Apparatus (AREA)

Abstract

분사 분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유체 몸체는, 공급원으로부터 유체를 수용하기 위한 유체 유입구; 유체 몸체로부터 유체를 방출하기 위한 유체 유출구; 유체 유입구와 유출구 사이에 정의되고 유체를 안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챔버; 챔버 내의 밸브 시트로서, 유체 유출구가 이를 통해 연장되는, 밸브 시트;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챔버 내 왕복 이동하기 위한 밸브 요소로서, 제1 위치에서 밸브 시트와 접촉하고 제2 위치에서 밸브 시트로부터 이격되는, 밸브 요소; 유체 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유체 유출구로부터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분배 니들; 및 분배 니들이 유체 유출구에 인접한 유체 몸체와 접촉하도록 분배 니들을 유체 몸체에 탈착식으로 고정하기 위해 구성된 고정 너트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유체 분사 밸브와 분사 니들의 통합 및 이의 방법{jetting needle integration with fluid jetting valve and methods thereof}
본 개시는 일반적으로 재료를 기판 상에 분배하는 장치 및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구체적으로는 니들 및 쉽게 접근 가능한 구성 요소를 갖는 분사 분배기에 관한 것이다.
비접촉식 점성 재료 분배기는 종종 극소량의 점성 재료를 기판 상에 도포하는 데 사용된다. 예를 들어, 비접촉식 점성 재료 분배기는, 인쇄 회로 기판과 같은 전자 기판 상에 다양한 점성 재료를 도포하는 데 사용된다. 전자 기판에 도포되는 재료는, 예시로서, 비제한적으로, 범용 접착제, 자외선 경화성 접착제, 솔더 페이스트, 솔더 플럭스, 솔더 마스크, 써멀 그리스, 뚜껑 실란트, 오일, 밀봉제, 포팅 화합물, 에폭시, 다이 부착 유체, 실리콘, RTV(실온 경화 실리콘), 시아노아크릴레이트 등을 포함한다.
분사 분배기는, 분배기의 유출구 오리피스로부터 점성 재료의 액적을 분사하는 동안에, 일반적으로 샤프트 또는 태핏을 시트쪽으로 반복 이동시키기 위한 공압식 또는 전기식 액추에이터를 가질 수 있다. 전기 작동식 분사 분배기는, 보다 구체적으로, 압전 액추에이터를 사용할 수 있다.
기존의 분사 분배기 설계는, 종종 구성 요소의 모든 필수 표면을 적절하게 세정하기 위해 적절하고/적절하거나 용이한 접근을 위한 배열을 갖지 않는다. 이 때문에, 사용자는, 세정해야 하는 구성 요소에 접근하기 위해 분사 시스템의 다수의 부품을 자주 분해해야 한다. 이는 시간과 추가 툴을 필요로 하며, 이는 비용 증가, 다운타임 증가, 효율 감소 등을 초래한다.
또한, 기존의 분사 분배기 시스템은 소형 또는 조밀한 구성 요소에 맞지 않는 분배 노즐을 종종 이용하는데, 이는 그의 응용을 제한한다. 또한, 종래의 시스템은 공기가 그 안에 포획될 수 있게 하며, 이는 분배된 재료의 정확성 및 정밀도를 감소시키고, 분배된 재료의 구조적 특성 및/또는 유사한 성능 문제를 저하시킬 수 있다. 또한, 일부 분배 구성 요소는 그 위에 코팅을 수용하여 재료의 분배 또는 분사를 용이하게 할 수 있지만, 이러한 코팅은 종종 바람직하지 않은 액적을 형성시켜 재료 적용의 정확성 및 정밀도를 더욱 감소시킨다.
적어도 이러한 이유들로, 이들 및 다른 문제를 해결하는 분사 시스템 및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 바람직할 것이다.
전술한 요구는 분사 시스템, 분배 니들, 코팅 툴, 및 개시된 방법의 다양한 양태에 의해 충족된다.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라, 분사 분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유체 몸체가 개시된다. 유체 몸체는 유체를 내부에 수용하고 유체를 이로부터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유체 몸체는,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유체 유입구; 유체를 유체 몸체로부터 방출하도록 구성된 유체 유출구; 유체 유입구와 유체 유출구 사이에 정의되고 유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챔버; 챔버에 배치되는 밸브 시트로서, 유체 유출구는 이를 통해 연장되는, 밸브 시트;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챔버 내 왕복 이동하기 위한 밸브 요소로서, 제1 위치에서 밸브 시트와 접촉하고 제2 위치에서 밸브 시트로부터 이격되는, 밸브 요소; 유체 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유체 유출구로부터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분배 니들; 및 분배 니들이 유체 유출구에 인접한 유체 몸체와 접촉하도록 분배 니들을 유체 몸체에 탈착식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된 고정 너트를 포함한다.
다른 양태에 따라, 유체 몸체 및 분사 분배기를 포함한 분사 시스템이 개시된다. 유체 몸체는,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유체 유입구; 유체를 유체 몸체로부터 방출하도록 구성된 유체 유출구; 유체 유입구와 유체 유출구 사이에 정의되고 유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챔버; 챔버에 배치되는 밸브 시트로서, 유체 유출구는 이를 통해 연장되는, 밸브 시트;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챔버 내 왕복 이동하기 위한 밸브 요소로서, 제1 위치에서 밸브 시트와 접촉하고 제2 위치에서 밸브 시트로부터 이격되는, 밸브 요소; 유체 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유체 유출구로부터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분배 니들; 및 분배 니들이 유체 유출구에 인접한 유체 몸체와 접촉하도록 분배 니들을 유체 몸체에 탈착식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된 고정 너트를 포함할 수 있다. 분사 분배기는, 밸브 스템으로 하여금 밸브 시트를 향해 그리고 밸브 시트로부터 멀어지게 왕복 이동시켜 유체 챔버 내의 유체 재료가 유체 유출구로부터 분배 니들 내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를 갖는다.
다른 양태에 따라, 분사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분배 니들에 코팅을 적용하기 위한 니들 코팅 홀더가 개시된다. 니들 코팅 홀더는, 코팅을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챔버를 그 안에 정의하는 몸체; 챔버에 인접하는 니들 유지 플레이트(상기 니들 유지 플레이트는 이를 통해 연장된 애퍼처를 정의하고, 상기 애퍼처는 그 안에 분배 니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됨); 및 니들 유지 플레이트 내에 배치된 분배 니들과 접촉하여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커버를 포함한다. 커버가 분배 니들과 접촉하여 배치되는 경우에, 커버와 분배 니들의 니들 유입구 사이에 기밀 밀봉부가 형성된다.
다른 양태에 따라, 분사 분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유체 몸체는,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유체 유입구; 유체를 유체 몸체로부터 방출하도록 구성된 유체 유출구; 유체 유입구와 유체 유출구 사이에 정의되고 유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챔버; 챔버에 배치되는 밸브 시트로서, 유체 유출구는 이를 통해 연장되는, 밸브 시트;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챔버 내 왕복 이동하기 위한 밸브 요소로서, 제1 위치에서 밸브 시트와 접촉하고 제2 위치에서 밸브 시트로부터 이격되는, 밸브 요소; 유체 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유체 유출구로부터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분배 니들; 및 분배 니들이 유체 유출구에 인접한 유체 몸체와 접촉하도록 분배 니들을 유체 몸체에 탈착식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된 고정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 따라, 분사 분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유체 몸체는,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유체 유입구; 유체를 유체 몸체로부터 방출하도록 구성된 유체 유출구; 유체 유입구와 유체 유출구 사이에 정의되고 유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챔버; 챔버에 배치되는 밸브 시트로서, 유체 유출구는 이를 통해 연장되는, 밸브 시트;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챔버 내 왕복 이동하기 위한 밸브 요소로서, 제1 위치에서 밸브 시트와 접촉하고 제2 위치에서 밸브 시트로부터 이격되는, 밸브 요소; 및 유체 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유체 유출구로부터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분배 니들을 포함할 수 있다. 분배 니들은 그 위에 코팅을 포함할 수 있으며, 코팅은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된다.
본 출원은 첨부된 도면과 함께 판독될 때 더 이해된다. 주제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주제의 예시적인 양태가 도면에 나타나 있지만, 현재 개시된 주제는 개시된 특정 방법, 장치 및 시스템에 제한되지 않는다. 도면 중,
도 1은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른 분사 시스템의 사시도를 도시한다.
도 2는, 도 1의 분사 시스템의 다른 사시도로서,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라 개방 위치에 있는 유체 몸체 하우징을 나타낸다.
도 3은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른 유체 몸체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4는, 도 3의 유체 몸체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5는, 도 3의 유체 몸체 일부의 각진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6은,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라 분배 니들을 갖는 유체 몸체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7은, 도 6의 유체 몸체를 부분적으로 분해한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8은, 도 7의 유체 몸체의 일부분의 분해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9는,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라 분배 니들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10은 도 9의 분배 니들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1은,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라 분배 니들을 갖는 유체 몸체의 일부분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2는,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라 유체 몸체를 조립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13은 액적이 위에 형성된 분배 니들의 일부분을 나타낸다.
도 14는,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라 분배 니들의 일부분의 각진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5는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른 니들 코팅 장치를 나타낸다.
도 16은, 도 15의 니들 코팅 장치의 일부분의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7은, 도 15의 니들 코팅 장치의 일부분의 다른 단면도를 나타낸다.
도 18은, 도 15의 니들 코팅 장치의 일부분의 측면도를 나타낸다.
도 19는,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라 분배 니들을 코팅하는 공정을 도시하는 흐름도를 나타낸다.
도 20은,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른 다른 분배 니들의 사시도를 나타낸다.
도 21은, 도 20의 분배 니들의 측단면도를 나타낸다.
이제, 본 개시의 양태가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될 것이며, 여기서 유사한 참조 번호는 달리 명시되지 않는 한, 전체에 걸쳐 유사한 요소를 지칭한다.
특정 용어는 단지 편의를 위해서만 설명에 사용되며, 제한적이지 않다. "근위" 및 "원위"라는 단어는 일반적으로 혼합 시스템을 사용하는 개인을 향하고 이로부터 멀어지는 위치 또는 방향을 각각 지칭한다. 용어 "축 방향", "수직 방향", "가로 방향", "좌측", "우측", "위" 및 "아래"는 참조가 이루어지는 도면에서의 방향을 나타낸다. 용어 "실질적으로"는 그 정도가 상당하거나, 대부분이지만 반드시 완전히 그렇지는 않음을 의미하도록 의도된다. 상기 용어는 위에 열거된 단어, 이의 파생어 및 유사한 가져오기의 단어를 포함한다.
값이 선행어 "약"의 사용에 의해 근사값으로서 표현되는 경우에, 특정 값은 또 다른 구현예를 형성하는 것으로 이해될 것이다. 일반적으로, 용어 "약"의 사용은 개시된 주제에 의해 얻고자 하는 원하는 특성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그 기능에 기초하여 사용된 특정 맥락에서 해석되어야 하는 근사치를 나타내며, 당업자는 이를 그렇게 해석할 수 있을 것이다. 일부 경우에, 특정 값에 사용된 유효 숫자의 수는 단어 "약"의 범위를 결정하는 하나의 비제한적인 방법일 수 있다. 다른 경우에, 일련의 값에서 사용된 눈금은 각각의 값에 대해 용어 "약"에 이용 가능한 의도된 범위를 결정하는 데 사용될 수 있다. 존재하는 경우, 모든 범위는 포괄적이고 조합 가능하다. 즉, 범위로 명시된 값에 대한 참조는 그 범위 내의 각각의 모든 값을 포함한다.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당업자가 이해할 수 있는 바와 같이 단어는 정상적인 의미가 부여되어야 한다. 그러나, 오해를 피하기 위해, 특정 용어의 의미는 구체적으로 정의되거나 명확해질 것이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본 개시의 일 양태에 따른 분사 시스템(10)은 일반적으로 주 전자 제어부(14)와 결합된 분사 분배기(12)를 포함한다. 분사 분배기(12)는 액추에이터 하우징(18)에 결합된 유체 몸체(16)를 포함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유체 몸체(16)는 유체 몸체 하우징(19) 내에 유지되며, 이는 응용의 필요성에 따라 하나 이상의 히터(미도시)를 포함할 수 있다. 유체 몸체(16)는 적절한 유체 공급부(20), 예컨대 시린지 배럴(미도시)로부터 압력 하에 유체를 수용한다. 태핏 또는 밸브 어셈블리(22)는 액추에이터 하우징(18)에 결합되고 유체 몸체(16) 내로 연장된다. 본 출원의 목적을 위해, 분배 축(1)은, 분사 시스템(10)으로부터 유체가 분배되거나 분사되는 방향에 평행하게 연장되는 것으로 정의된다. 분사 방향은 분사 시스템(10)의 배향에 따라 달라질 수 있고, 분배 축(1)은 참조를 위해 활용되고 본원에 개시된 구현예 중 어느 하나의 분배 방향을 제한하도록 의도되지 않는다는 것을 이해할 것이다. 분배 축(1)은 중력 방향에 평행할 수 있다. 제1 축 방향(1a)(분배 방향(1a)으로도 지칭됨)은 분배 축(1)에 평행하게 정의될 수 있고, 제1 방향으로(예, 중력 방향으로) 분배 축(1)을 따라 연장될 수 있다. 제1 축 방향(1a)은, 분배 또는 분사 유체가 분사 시스템(10)으로부터 멀리 이동하도록 구성된 방향을 지칭하기 위해 사용될 수 있다. 제2 축 방향(1b)은 제1 축 방향(1a)의 반대 방향으로 분배 축(1)에 평행하게 정의될 수 있다.
분사 분배기(12)는, 밸브 어셈블리(22)를 작동시키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예, 압전 액추에이터)를 포함한다. 액추에이터는, 밸브 어셈블리(22) 또는 유체 몸체(16) 내의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의 이동을 야기 또는 대안적으로 배제하여 유체 몸체(16) 내로 수용된 유체 재료를 분배 또는 분사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체 몸체(16)는 유체 공급부(20)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고, 도 4에 나타낸 바와 같이 유체 공급부(20)로부터 유체 유입구(92) 내로 유체 재료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체 재료는 유체 공급 채널(94)을 따라 유체 몸체(16)를 통해 이동 가능할 수 있고, 유체 유출구(104) 밖으로 유체 몸체(16)로부터 멀리 분배될 수 있다. 유체 챔버(88)는 유체 공급 채널(94)로부터 유체 재료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고, 유체 유출구(104)에 의해 부분적으로 정의될 수 있다. 유체 챔버(88)는 밸브 어셈블리(22)에 의해 추가로 정의될 수 있다. 밸브 시트(100)는 유체 유출구(104)에 인접한 유체 몸체(16) 상에 정의될 수 있고 유체 챔버(88) 내로 연장될 수 있다. 밸브 시트(100)는 밸브 어셈블리(22)의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촉되어 유체 유출구(104)를 통해 밖으로 유체 챔버(88) 내에서부터 유체 재료의 통과를 선택적으로 허용하거나 배제할 수 있다.
밸브 어셈블리(22)는 유체 챔버(88) 내에서 왕복 이동을 위해 구성된 밸브 요소(76)를 포함할 수 있다. 밸브 요소(76)는 밸브 시트(100)와 체결하거나 접촉하도록 선택적으로 배치되기 위해 구성된다. 밸브 요소(76)가 밸브 시트(100)와 체결되는 경우에, 유체 챔버(88) 내의 유체 재료는, 밸브 시트(100)를 지나 유체 유출구(104)를 통해 유체 몸체(16) 밖으로 이동하지 못하게 된다. 밸브 요소(76)가 밸브 시트(100)로부터 이격되는 경우에, 유체 재료는 유체 유출구(104) 밖으로 흐를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유체 챔버(88) 내의 밸브 요소(76)의 위치는, 유체 재료가 유체 챔버(88) 내로 도입되는 것을 허용하거나 배제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밸브 요소(76)가 제1 위치에 있을 경우(예를 들어, 밸브 시트(100)로부터 이격됨)에, 유체 재료는, 유체 공급부(20)로부터 유체 재료를 수용하는 유체 공급 채널(94)로부터 유체 챔버(88)로 진입하도록 허용된다. 즉, 유체 공급 채널(94)은 유체 챔버(88)와 유체 연통한다. 밸브 요소(76)가 제1 위치로부터 이격된 제2 위치에 있을 경우(예를 들어, 밸브 요소(76)가 밸브 시트(100)와 접촉함)에, 밸브 요소(76)는 유체 공급 채널(94)을 차단하여 유체 재료가 유체 챔버(88)로 진입하는 것을 배제할 수 있다.
분사 분배기(12) 내의 액추에이터는, 밸브 요소(76)가 유체 챔버(88) 내의 분배 축(1)을 따라 이동하도록 구성된다. 분사 분배기(12)의 액추에이터(미도시)는, 액추에이터가 제1 축 방향(1a), 제2 축 방향(1b) 또는 제1 축 방향(1a)과 제2 축 방향(1b) 둘 다로 밸브 요소(76)를 이동시키도록 구성되게 배열될 수 있다. 밸브 요소(76)가 제1 축 방향(1a)으로 이동하는 경우에, 밸브 요소(76)는 유체 몸체(16) 상에 정의된 밸브 시트(100)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밸브 요소(76)가 밸브 시트(100)와 접촉하는 경우에, 밸브 요소(76)와 밸브 시트(100) 사이의 유체 몸체(16) 내의 유체 재료가 유체 몸체(16) 밖으로 이동하는 것이 배제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밸브 시트(100)를 향하는 밸브 요소(76)의 이동은, 유체 재료의 일부를 유체 몸체(16) 밖으로 강제로 방출시키거나 분사시킬 수 있다. 분사는, 밸브 요소(76)가 밸브 시트(100)를 향해 이동함에 따라, 밸브 요소(76)가 유체 몸체(16) 내의 유체 재료의 일부와 접촉하고 밀어냄으로써 야기될 수 있다.
도 1 및 도 2를 참조하면, 유체 몸체(16)는 유체 몸체 하우징(19) 내에 고정된다. 유체 몸체 하우징(19)은 그의 일 말단에서 힌지(122)에 의해 액추에이터 하우징(18)에 결합될 수 있다. 유체 몸체 하우징(19)은 액추에이터 하우징(18)에 대해 적어도 두 개의 위치 사이에서 힌지(122) 주위로 피봇 회전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제1 위치에서, 유체 몸체 하우징(19)은 액추에이터 하우징(18)에 대해 단단히 고정되고, 유체 몸체(16)는 전술한 바와 같이 액추에이터 하우징(18) 내의 구성 요소와 체결된다. 이러한 위치에서, 유체 몸체(16)는, 분배될 유체를 수용하고 유체를 분배시키기 위해 작동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체 몸체 하우징(19)은 제1 위치로부터 제2 위치로 힌지(122)를 중심으로 회전할 수 있으며, 유체 몸체 하우징(19)은 액추에이터 하우징(18)으로부터 분리되고, 유체 몸체(16)는 액추에이터 하우징(18)으로부터 이격될 수 있다. 제2 위치에서, 유체 몸체(16)는 접근될 수 있고 유체 몸체 하우징(19)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다. 유체 몸체(16)의 제거는, 유체 몸체(16)가 유체 몸체 하우징(19) 내에 재삽입되기 전에 (또는 다른 유체 몸체(16)가 삽입되기 전에) 구성 요소의 보다 용이한 세정 및/또는 다른 유지보수 또는 교체를 가능하게 한다. 이와 관련하여, 밸브 어셈블리(22)는, 유체 몸체(16)가 유체 몸체 하우징(19)으로부터 제거된 후에 유체 몸체(16)로부터 쉽게 제거될 수도 있다. 밸브 어셈블리(22)는 하나 이상의 새로운 부품으로 교체되고/교체되거나 재사용을 위해 세정될 수 있다.
유체 몸체 하우징(19)이 제1 위치에 있을 경우에, 유체 몸체 하우징(19)은, 도 2에 나타낸 바와 같이 제1 말단에 대향하는 유체 몸체 하우징(19)의 제2 말단에 근접한 커넥터(124)에 의해, 액추에이터 하우징(18)에 탈착식으로 고정될 수 있다. 커넥터(124)는 나사형 패스너, 후크-앤-루프 패스너, 편향된 푸시-핀 패스너, 클래스프, 회전식 캠, 또는 다른 적절한 고정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임의의 특정 고정 메커니즘에 제한되지 않는다. 커넥터(124)가 잠금 구성으로 있을 경우에, 유체 몸체 하우징(19)은 액추에이터 하우징(18)에 단단히 고정되어 유체 몸체 하우징(19)이 힌지(122)를 중심으로 회전하는 것이 배제될 수 있다. 커넥터(124)가 잠금 해제 구성에 있을 경우에, 유체 몸체 하우징(19)은 힌지(122)를 중심으로 회전하도록 허용될 수 있다.
유체 몸체(16)는 기판(미도시)을 향해 유체를 분배하거나 분사하도록 구성된다. 도 2 내지 도 4를 참조하면, 유체는 유체 유입구(92)에서, 유체 공급부(20)로부터 유체 몸체(16)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유체는 유체 유입구(92)로부터 유체 공급 채널(94)을 따라 유체 챔버(88) 내로 이동하거나 이동시킬 수 있다. 유체 유출구(104)는 유체 몸체(16) 상에 정의될 수 있고, 유체 챔버(88)와 유체 연통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체 유출구(104)는 밸브 시트(100) 상에 정의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유체 유출구(104)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유체 몸체(16)의 나머지로부터 분리될 수 있는 유체 몸체(16)의 구성 요소 상에 정의될 수 있다. 유체는 유체 유출구(104)에서 유체 몸체(16)로부터 분배되거나 분사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하나 이상의 추가 구성 요소는, 유체가 분사 시스템(10)으로부터 분리되기 전에 유체 유출구(104)로부터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체 유출구(104)는 밸브 시트(100)로부터 연장되거나 밸브 시트에 인접하여 배치될 수 있어서, 밸브 요소(76)가 밸브 시트(100)를 향해 이동하는 경우에 유체 챔버(88) 내의 유체의 일부가 유체 유출구(104)를 향해 그리고 이를 통해 이동할 수 있다. 밸브 시트(100)는 밸브 시트 홀더(1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밸브 시트(100)는, 밸브 시트(100)에 탈착식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밸브 시트 홀더(150)와 분리된 구성 요소일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밸브 시트(100)는 밸브 시트 홀더(150) 내에서 제거식 및/또는 교체식으로 설계화, 구조화 및/또는 구성될 수 있다. 이는, 밸브 시트(100)를 상이한 파라미터(예, 상이한 곡률 또는 상이한 크기의 유체 유출구(104))를 갖는 상이한 밸브 시트(100)로 교체하기 위해, 손상된 밸브 시트(100)를 수리하기 위해, 마모된 밸브 시트(100)를 교체하기 위해, 막힌 밸브 시트(100)와 유체 유출구(104)를 세정하기 위해, 밸브 시트(100)에 대한 보다 용이한 접근을 허용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밸브 시트(100)는 밸브 시트 홀더(150)와 일체식으로 연결될 수 있고/있거나, 밸브 시트 홀더(150)로부터 별도로 제거되지 않도록 설계화, 구조화 및/또는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밸브 시트(100)는 단일 밸브 시트 홀더(150)의 일부일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밸브 시트 홀더(150)에 단단히 그리고 영구적으로 부착될 수 있는 밸브 시트 홀더(150)와 별도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밸브 시트 홀더(150) 내에 배치될 경우에, 밸브 시트(100)는 임의의 수의 적절한 고정 메커니즘을 통해 밸브 시트 홀더(150)에 부착될 수 있으며, 이는 밸브 시트(100)의 의도된 용도에 기초하여 그리고 밸브 시트(100)가 밸브 시트 홀더(150)에 탈착식으로 고정되거나 영구적으로 고정되도록 설계화, 구조화 및/또는 구성되는지 여부에 기초하여 선택될 수 있다. 적절한 고정 메커니즘은 접착제, 용접, 스레딩, 스냅 끼워맞춤, 마찰 끼워맞춤 등을 포함할 수 있으나,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밸브 시트 홀더(150)는 유체 몸체(16)에 부착될 수 있고, 단일 유체 몸체(16)의 일부일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유체 몸체(16)에 탈착식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별도의 구성 요소일 수 있다. 도 4 내지 도 7을 참조하면, 밸브 시트 홀더(150)는 근위 말단(154), 및 (예를 들어, 분배 방향(1a) 또는 유체 유출구(104)의 방향으로) 분배 축(1)을 따라 근위 말단(154)으로부터 이격된 원위 말단(158)을 가질 수 있다. 유체 챔버(88)는, 근위 말단(154)과 원위 말단(158) 사이의 밸브 시트 홀더(150)의 내부 표면(152)에 의해 정의될 수 있다. 밸브 요소(76)는, 밸브 시트 홀더(150)의 근위 말단(154)에 정의된 근위 개구(156)(도 7에 도시됨)를 통해 밸브 시트 홀더(150) 내로 (그리고 유체 챔버(88) 내로) 수용될 수 있다. 밸브 시트(100) 및/또는 유체 유출구(104)는 원위 말단(158)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고, 유체는 원위 말단(158)에서 유체 유출구(104)를 통해 밸브 시트 홀더(150) 밖으로 유체 챔버(88) 내부로부터 방출되거나 분사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밸브 시트 홀더(150)는, 밸브 시트 홀더(150)가 유체 몸체(16)로부터 분리되고 제거될 수 있도록, 유체 몸체(16)에 탈착식으로 고정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밸브 시트 홀더(150)는 적절한 고정 메커니즘, 예컨대 나사 결합, 스냅 끼워맞춤 및/또는 다른 메커니즘을 통해 유체 몸체(16)의 나머지 부분에 고정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4 및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밸브 시트 홀더(150)는 외부 표면(151) 상에 정의된 나사산(162)을 포함할 수 있다. 나사산(162)은, 밸브 시트 홀더(150)를 수용하는 유체 몸체(16)의 일부분 상에 정의된 상보적 나사산(170)과 탈착식으로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밸브 시트 홀더(150)는 유체 몸체(16)의 나머지 부분으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제거 가능하도록 설계화, 구조화 및/또는 구성될 수 있다. 이는, 전체 분사 시스템(10)을 분해할 필요 없이 밸브 시트 홀더(150)를 세정하거나 수리할 수 있게 한다. 제거 가능한 밸브 시트 홀더(150)는, 또한 전술한 바와 같이 세정, 수리 및/또는 교체를 위해 밸브 시트(100)에 대한 용이한 접근을 제공할 수 있다. 밸브 시트(100)가 교체가 필요한 것으로 간주되는 일부 양태에서, 밸브 시트(100)는 밸브 시트 홀더(150)로부터 제거되고 밸브 시트 홀더 내에서 교체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전체 밸브 시트 홀더(150)는 그 안에 밸브 시트(100)와 함께 유체 몸체(16)로부터 제거되고 그 안에 상이한 밸브 시트(100)를 갖는 상이한 밸브 시트 홀더(150)로 교체될 수 있다. 전체 분사 시스템(10)을 분해할 필요 없이 분사 시스템(10)의 다양한 구성 요소가 제거, 세정 및/또는 교체될 수 있게 함으로써, 효율을 증가시키고, 유지보수에 소비되는 시간을 단축시키며, 종종 일부 구성 요소만 교체할 필요가 있는 분리 불가능한 구성 요소 그룹의 교체를 수반하는 낭비를 감소시킨다.
전술한 바와 같이, 유체 몸체(16)로부터 방출되는 유체는 기판으로 이동하기 전에 다른 구성 요소 내로 또는 그 위로 방출되거나 분사될 수 있다. 추가 구성 요소는, 유체가 기판으로 이동하기 전에 분배된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깔때기, 니들, 분무기, 다른 도관, 분배기, 애플리케이터, 리셉터클 등을 포함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참조하면, 니들(200)은 유체 챔버(88)로부터 방출된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니들(200)은 유체 유출구(104)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어서, 니들(200)은 유체 유출구(104)로부터 방출되는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6 및 도 7을 계속 참조하고 도 9 내지 도 11을 더 참조하면, 니들(200)은 근위 말단(204), 및 예를 들어 제1 축 방향(또는 분배 방향)(1a)로 분배 축(1)을 따라 축 방향을 따라 근위 말단(204)으로부터 이격된 원위 말단(208)을 포함할 수 있다. 니들 샤프트(212)는 근위 말단(204)과 원위 말단(208)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다. 니들 샤프트(212)는, 이를 통해 연장되는 루멘(216)을 정의할 수 있다. 니들 유입구(220)는 니들 샤프트(212)의 근위 말단(204)에 정의될 수 있고, 니들 유출구(224)는 원위 말단(208)에 정의될 수 있다. 루멘(216)은 니들 유입구(220)와 니들 유출구(224) 둘 모두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니들(200)은, 니들 유입구(220)를 통해 루멘(216) 내로 유체 유출구(104) 밖으로 분배된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체는 루멘(216)을 통해 원위 말단(208)을 향해 이동할 수 있고, 니들 유출구(224)를 통해 루멘(216)으로부터 니들(200) 밖으로 방출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니들 샤프트(212)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지만, 니들 샤프트(212)(및 루멘(216))는 직사각형, 삼각형, 장방형, 사다리꼴 및/또는 다른 적절한 형상과 같은 상이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설계화, 구조화 및/또는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니들(200)은, 니들 샤프트(212)를 내부에 수용하고 고정하도록 구성된 외부 하우징 또는 니들 하우징(23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니들 하우징(230)은, 분사 시스템(10)의 다른 구성 요소, 예를 들어 유체 몸체(16) 또는 밸브 시트 홀더(150)와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니들 샤프트(212)는 분사 시스템(10)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대신에 니들 하우징(230)을 통해 분사 시스템(10)에 대해 고정된다. 니들 하우징(230)은, 니들(200)이 분사 시스템(10)과 체결될 경우에 니들 샤프트(212)와 루멘(216)이 원하는 방식으로 배향되고 정렬될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질 수 있어서, 유체 챔버(88)로부터 분배된 유체는 루멘(216) 내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니들(200)은 니들 하우징(230)을 통해 유체 몸체(16) 또는 유체 몸체(16)의 관련 구성 요소(예, 밸브 시트 홀더(150))에 고정될 수 있다.
니들 하우징(230)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지만, 다른 형상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10의 예시적인 도면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니들 하우징(230)은 근위 말단(232), 및 근위 말단(232)로부터 분배 방향(1a)을 따라 이격된 원위 말단(234)을 포함할 수 있다. 니들 하우징(230)의 근위 말단(232)은 니들(200)의 근위 말단(204)과 축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니들 하우징(230)의 원위 말단(234)이 니들(200)의 근위 말단(204)과 원위 말단(208)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원위 말단(234)은 니들(200)의 원위 말단(208)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하우징의 근위 말단(232)이 니들의 근위 말단(204)과 원위 말단(208)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근위 말단(232)은 니들(200)의 근위 말단(204)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9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니들 하우징(230)은 분배 축(1)을 따라 연장되는 외부 표면(238)을 정의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니들 하우징(230)은, 니들 하우징(230)이 그의 전체를 따라 동일한 직경을 정의하도록,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전체에 걸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10에 나타낸 예시적인 양태를 참조하면, 일부 양태에서, 니들 하우징(230)은 근위부(230a), 및 근위부(230a)로부터 분배 방향(1a)을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된 원위부(230b)를 포함할 수 있다. 근위부(230a)는 니들 하우징(230)의 근위 말단(232)에 인접할 수 있는 반면, 원위부(230b)는 니들 하우징(230)의 원위 말단(234)에 인접할 수 있다. 근위부(230a)와 원위부(230b)는 상이한 물리적 치수, 예컨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근위부(230a)는, 원위부(230b)의 제2 직경(242b)보다 큰 제1 직경(242a)을 가질 수 있다. 근위부(230a)와 원위부(230b) 각각은, 근위 말단(232)과 원위 말단(234) 사이에서 연장되는 외부 표면을 정의한다. 일부 양태에서, 근위부(230a)는 외부 표면(238a)을 정의하고, 원위부(230b)는 외부 표면(238b)을 정의한다. 근위부(230a)의 외부 표면(238a)은 분배 축(1)을 따라 원위부(230b)의 외부 표면(238b)에 축 방향으로 인접할 수 있다.
도 9 내지 도 11을 계속 참조하면, 니들 하우징(230)은, 유체 몸체(16)의 구성 요소, 예를 들어 밸브 시트 홀더(150)와 접촉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상단 접촉 표면(250)을 포함한다. 상단 접촉 표면(250)은 니들 하우징(230)의 근위 말단(232)에서 근위부(230a) 상에 정의될 수 있다. 하단 접촉 표면(262)은 상단 접촉 표면(250)에 대향하여 정의될 수 있고, 상단 접촉 표면(250)으로부터 제1 축 방향(1a)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하단 접촉 표면(262)은, 근위부(230a)가 상단 접촉 표면(250)과 하단 접촉 표면(262) 사이에 배열되도록, 니들 하우징(230)의 근위부(230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 접촉 표면(262)은 분배 축(1)에 수직인 반경 방향(2)을 따라 근위부(230a)의 외부 표면(238a)과 원위부(230b)의 외부 표면(238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비록 다른 상대적인 배향이 고려되지만, 상단 접촉 표면(250) 및 하단 접촉 표면(262)은 일부 양태에서 평면이고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단 접촉 표면(250)은 니들(200)의 근위 말단(204)과 니들 유입구(220)에 인접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도 9 및 도 10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 접촉 표면(250)은, 하나 이상의 밀봉 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노치, 슬롯, 홈 등을 추가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치(254)는, 밀봉부(27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단 접촉 표면(250) 상에 정의될 수 있다(예를 들어, 도 6 내지 도 8 참조). 밀봉부(270)는 탄성중합체일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밀봉부(270)는 O-링일 수 있다. 니들(200)이 유체 몸체(16)와 체결되는 경우에, 밀봉부(270)는 액체 밀봉부를 제공하도록 구성될 수 있어서 액체가 밀봉부(270)를 지나 이동할 수 없도록 한다. 일부 양태에서, 니들(200)은 반경 방향(2)으로 서로 이격된 복수의 밀봉부(270)를 포함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들(200)은 상단 접촉 표면(250)을 따라 서로에 대해 동심으로 이격된 두 개의 밀봉부(270)(예컨대, O-링)를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밀봉부(270)는, 밀봉부(270) 중 하나가 손상되는 경우에 다른 밀봉부(270)가 누출을 방지할 수 있음을 보장하기 위해 중복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밀봉부(270)는 분배되는 유체 중 임의의 것이 밸브 시트 홀더(150), (후술하는) 고정 너트(300) 및/또는 유체 몸체(16) 상의 다른 곳에 배치된 다양한 나사산으로 진입하는 것을 방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밀봉부(270)는 이하에서 더 설명되는 바와 같이, 분배된 재료가 수용될 수 있는, 밸브 시트(100)와 니들(200) 사이의 공간(340)을 정의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20 및 도 21을 참조하면, 다른 니들(2200)은 니들(200)에 대해 본원에 설명된 것과 동일한 임의의 방식 또는 모든 방식으로 유체 챔버(88)로부터 방출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즉, 니들(2200)은 니들(200)의 특징부 중 임의의 것 또는 전부를 포함할 수 있지만, 본원에 설명된 바와 같이 일부 측면에서 상이할 수 있다(예, 더 넓을 수 있음). 니들(2200)은, 니들(200)에 대해 본원에 설명된 임의의 방식 또는 모든 방식으로 분사 시스템(10)과 체결하고/하거나 함께 기능할 수 있다.
니들(2200)은 근위 말단(2204), 및 예를 들어 제1 축 방향(또는 분배 방향)(1a)로, 분배 축(1)을 따라 축 방향을 따라 근위 말단(2204)으로부터 이격된 원위 말단(2208)을 포함할 수 있다. 니들(2200)은, 근위 말단(2204)과 원위 말단(2208) 사이에서 연장될 수 있는, 니들 샤프트(2212)를 포함할 수 있다. 니들 샤프트(2212)는, 이를 통해 연장되는 루멘(2216)을 정의할 수 있다. 니들 유입구(2220)는 니들 샤프트(2212)의 근위 말단(2204)에 정의될 수 있고, 니들 유출구(2224)는 원위 말단(2208)에 정의될 수 있다. 루멘(2216)은 니들 유입구(2220)와 니들 유출구(2224) 둘 모두와 유체 연통할 수 있다. 니들(2200)은 니들 유입구(2220)를 통해 루멘(2216) 내로 (도 5, 도 6, 도 7 및 도 11에 나타낸) 유체 유출구(104) 밖으로 분배된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유체는 루멘(2216)을 통해 원위 말단(2208)을 향해 이동할 수 있고, 니들 유출구(2224)를 통해 루멘(2216)으로부터 니들(2200) 밖으로 방출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니들 샤프트(2212)(및 루멘(2216))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다. 니들(2200)은, 니들 샤프트(2212)(및 루멘(2216))가 더 넓을 수 있고 니들 유출구(2224)를 향해 원위 말단(2208)에서 테이퍼(2217)(예를 들어, 주형에 맞추어 형을 만들고 연삭될 수 있음)를 포함할 수 있다는 점에서, 니들(200)과 상이할 수 있다. 그러나, 니들 샤프트(2212)(및 루멘(2216))는 직사각형, 삼각형, 장방형, 사다리꼴 및/또는 다른 적절한 형상과 같은 상이한 단면 형상을 갖도록 설계화, 구조화 및/또는 구성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니들(2200)은, 니들 샤프트(2212)를 내부에 수용하고 고정하도록 구성된 외부 하우징 또는 니들 하우징(2230)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니들 하우징(2230)은 분사 시스템(10)의 다른 구성 요소, 예를 들어 니들(200)에 대해 본원에 설명된 것과 동일한 임의의 방식으로 유체 몸체(16) 또는 밸브 시트 홀더(150)와 체결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니들 샤프트(2212)는 분사 시스템(10)에 직접 연결되지 않고, 대신에 니들 하우징(2230)을 통해 분사 시스템(10)에 대해 고정된다. 니들 하우징(2230)은, 니들(2200)이 분사 시스템(10)과 체결될 경우에 니들 샤프트(2212)와 루멘(2216)이 원하는 방식으로 배향되고 정렬될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질 수 있어서, (도 4, 도 5, 도 6 및 도 7에 나타낸) 유체 챔버(88)로부터 분배된 유체는 루멘(2216) 내로 수용될 수 있도록 한다. 니들(2200)은 니들 하우징(2230)을 통해 유체 몸체(16) 또는 유체 몸체(16)의 관련 구성 요소(예, 밸브 시트 홀더(150))에 고정될 수 있다.
니들 하우징(2230)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지만, 다른 형상이 사용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니들 하우징(2230)은 근위 말단(2232), 및 근위 말단(2232)으로부터 분배 방향(1)을 따라 이격된 원위 말단(2234)을 포함할 수 있다. 니들 하우징(2230)의 근위 말단(2232)은 니들(2200)의 근위 말단(2204)과 축 방향으로 중첩할 수 있다. 니들 하우징(2230)의 원위 말단(2234)이 니들(2200)의 근위 말단(2204)과 원위 말단(2208)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될 수 있도록, 원위 말단(2234)은 니들(2200)의 원위 말단(2208)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하우징의 근위 말단(2232)이 니들의 근위 말단(2204)과 원위 말단(2208) 사이에 축 방향으로 배치되도록, 근위 말단(2232)은 니들(2200)의 근위 말단(2204)으로부터 축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다.
도 20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니들 하우징(2230)은 분배 축(1)을 따라 연장되는 외부 표면(2238)을 정의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니들 하우징(2230)은 니들 하우징(2230)이 그의 전체를 따라 동일한 직경을 정의하도록, 실질적으로 균일하게 전체에 걸쳐 크기를 가질 수 있다. 도 21을 참조하면, 일부 양태에서, 니들 하우징(2230)은 근위부(2230a), 및 근위부(2230a)로부터 분배 방향(1)을 따라 축 방향으로 연장된 원위부(2230b)를 포함할 수 있다. 근위부(2230a)는 니들 하우징(2230)의 근위 말단(2232)에 인접할 수 있는 반면, 원위부(2230b)는 니들 하우징(2230)의 원위 말단(2234)에 인접할 수 있다. 근위부(2230a)와 원위부(2230b)은 상이한 물리적 치수, 예컨대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근위부(2230a)는, 원위부(230b)의 제2 직경(2242b)보다 큰 제1 직경(2242a)을 가질 수 있다. 근위부(2230a) 및 원위부(2230b) 각각은, 근위 말단(2232)과 원위 말단(2234) 사이에서 연장되는 외부 표면을 정의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근위부(2230a)는 외부 표면(2238a)을 정의하고, 원위부(2230b)는 외부 표면(2238b)을 정의한다. 근위부(2230a)의 외부 표면(2238a)은 분배 축(1)을 따라 원위부(2230b)의 외부 표면(2238b)에 축 방향으로 인접할 수 있다.
니들 하우징(2230)은, 유체 몸체(16)의 구성 요소, 예를 들어 밸브 시트 홀더(150)와 접촉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된, 상단 접촉 표면(2250)을 포함할 수 있다. 상단 접촉 표면(2250)은 니들 하우징(2230)의 근위 말단(2232)에서 근위부(2230a) 상에 정의될 수 있다. 하단 접촉 표면(2262)은 상단 접촉 표면(2250)에 대향하여 정의될 수 있고, 상단 접촉 표면(2250)으로부터 제1 축 방향(1)을 따라 이격될 수 있다. 하단 접촉 표면(2262)은, 근위부(2230a)가 상단 접촉 표면(2250)과 하단 접촉 표면(2262) 사이에 배열되도록, 니들 하우징(2230)의 근위부(2230a)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하단 접촉 표면(2262)은 분배 축(1)에 수직인 반경 방향(2)을 따라 근위부(2230a)의 외부 표면(2238a)과 원위부(2230b)의 외부 표면(2238b)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비록 다른 상대적인 배향이 고려되지만, 상단 접촉 표면(2250) 및 하단 접촉 표면(2262)은 일부 양태에서 평면이고 서로 평행할 수 있다. 상단 접촉 표면(2250)은 니들(2200)의 근위 말단(2204)과 니들 유입구(2220)에 인접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도 20 및 도 21에 나타낸 바와 같이, 상단 접촉 표면(2250)은, 하나 이상의 밀봉 요소를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는, 하나 이상의 노치, 슬롯, 홈 등을 추가로 정의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노치(2254)는, 전술한 니들(200)과 유사한 방식으로 밀봉부(270)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상단 접촉 표면(2250) 상에 정의될 수 있다. 노치(2254)는, 니들 유입구(2220)와 루멘(2216)을 포함한 니들 하우징(2230)의 영역(2231)을 부분적으로 또는 완전히 둘러쌀 수 있다. 니들 유입구(2220)와 루멘(2216)은 넓거나 더 넓을 수 있고, 루멘은 니들 유입구(2220)와 테이퍼(2217) 사이에서 넓거나 더 넓게 남을 수 있다. 예를 들어, 니들 유입구(2220)와 루멘(2216)은 영역(2231)의 상당 부분 및/또는 대부분을 차지할 수 있다. 구현예에서, 니들 유입구(2220)와 루멘(2216)은 영역(2231)의 50~60%, 60~70%, 70~80%, 또는 80~90%를 차지할 수 있다. 니들 유입구(2220)의 넓거나 더 넓은 구현예와 최대 테이퍼(2217)까지 루멘(2216)의 넓거나 더 넓은 구현예를 제공하는 것은, 유리하게는 두꺼운 유체의 정확하고 정밀한 분배를 허용할 수 있다. 또한, 니들(200)과 분사 시스템(10)의 임의의 다른 양태 사이의 관계에 대한 임의의 후속 설명이, 니들(2200)에 동일한 방식으로 적용될 수도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니들(200)은 유체 몸체(16)와 탈착식으로 체결될 수 있고 유체 몸체(16)로부터 분리될 수 있다. 유체 몸체(16)로부터 니들(200)을 제거하면, 유체 몸체(16)의 구성 요소의 세정 및/또는 니들(200)의 세정이 가능하다. 니들(200)의 제거 가능성은, 또한 니들(200)이 다른 니들(200)로 교체될 수 있게 한다. 이와 같이, 유체 몸체(16)는, 예를 들어 루멘(216)의 상이한 치수를 갖는 다양한 니들(200)로 작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니들(200)이 막히거나 손상되는 경우, 니들(200)은 유체 몸체(16)로부터 분리되고 분사 시스템(10)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어서, 다른 니들(200)이 그 자리에 도입되어 유체 몸체(16)와 체결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니들(200)은, 예를 들어, 밸브 시트 홀더(150)와 체결되거나 그에 인접한 유체 몸체(16)의 나머지 부분과 체결 상태로, 이동 가능한 고정 구성 요소에 의해 유지될 수 있다. 고정 구성 요소는 유체 몸체(16)의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에 대해 압축 상태로 니들(200)을 유지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고정 구성 요소는 고정 너트(300)일 수 있다. 일반적으로 도 4 내지 도 8을 참조하면, 고정 너트(300)는 근위 말단(304), 및 근위 말단(304)로부터 축 방향으로, 예를 들어 분배 방향(1a)으로 분배 축(1)을 따라 이격된 원위 말단(308)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너트(300)는, 고정 너트(300)를 통해 연장된 리셉터클(312)을 정의하는, 내부 표면(324)을 포함할 수 있다. 리셉터클(312)은 그 안에 니들(200)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근위 개구(316)는 근위 말단(304)에 정의되고, 리셉터클(312)과 유체 연통한다. 원위 개구(320)는 원위 말단(308)에 정의되고, 리셉터클(312)과 유체 연통한다. 니들(200)의 적어도 일부는 리셉터클(312) 내에서 분배 방향(1a)을 따라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고정 너트(300)는 유체 몸체(16)에 탈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고정 너트(300)는 밸브 시트 홀더(150)에 부착될 수 있다. 고정 너트(300)는 나사, 스냅 끼워맞춤, 마찰 끼워맞춤, 조인트 끼워맞춤, 및/또는 다른 적절한 연결 방법을 통해 밸브 시트 홀더(150)에 부착될 수 있다. 도 7에 나타낸 예시적인 구현예는, 고정 너트(300)의 내부 표면(324)이 밸브 시트 홀더(150)의 외부 표면(151) 상에 정의된 상보적 나사산(166)과 탈착식으로 체결되도록 구성되는 나사산(328)을 그 위에 정의할 수 있다. 도면은 내부 표면(324) 상의 나사산(328)과 외부 표면(151) 상의 상보적 나사산(166)을 나타내지만, 이러한 배열이 반대로 되어, 고정 너트(300)의 나사산(328)이 그의 외부 표면 상에 정의될 수 있으면서 상보적 나사산(166)은 밸브 시트 홀더(150)의 내부 표면(152) 상에 정의되거나 유체 몸체(16)의 다른 구성 요소 상에 정의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고정 너트(300)는, 니들(200)을 위한 캐리어로서, 그리고 니들(200)과 유체 몸체(16) 사이의 부착 인터페이스로서 작용할 수 있다. 즉, 니들(200)과 유체 몸체(16) 사이의 체결(예, 밸브 시트 홀더(150)와의 체결)은 유체 몸체(16)에 대한 정렬, 배향, 상대적인 위치, 및 상대적인 체결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고정 너트(300)는, 이하에서 상세히 설명되는 바와 같이, 니들(200)을 그 내부에 고정시키고 니들(200)을 유체 몸체(16)에 운반하고 체결하도록 구성된 특정 치수 및 그 안의 구성 요소 또는 그 위의 구성 요소를 포함할 수 있다.
도 7 및 도 8을 참조하면, 고정 너트(300)의 리셉터클(312)과 내부 표면(324)은, 니들(200), 예를 들어 니들 하우징(230)의 적어도 일부의 형상을 보상하도록 치수화될 수 있다. 니들(200)이 고정 너트(300)와 접촉할 경우에 니들(200)이 분배 방향(1a)에 수직(예, 반경 방향(2))인 평면에서 고정 너트(300)에 대한 병진 이동으로부터 배제될 수 있도록, 고정 너트(300)가 그 안에 니들(200)을 수용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니들 하우징(230)이 전술한 바와 같이 근위부(230a)와 상이하게 치수화된 원위부(230b)를 포함하는 양태에서, 고정 너트(300)는, 원치 않는 이동을 배제하기 위해 니들 하우징(230)과 각각의 근위부(230a) 및 원위부(230b)를 수용하기 위한 상보적으로 치수화된 표면을 포함할 수 있다. 도 8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너트(300)의 내부 표면(324)은 제1 부분(324a), 및 제1 부분(324a)에 인접한 제2 부분(324b)을 포함할 수 있다. 니들(200)은, 니들(200)이 적어도 분배 방향(1a)(도 6 참조)으로 너트에 대해 고정식으로 고정되도록, 고정 너트(300) 내의 안착 구성 내로 이동할 수 있다. 니들(200)이 리셉터클(312) 내로 그리고 안착된 구성으로 이동하는 경우, 니들(200)의 니들 하우징(230)의 근위부(230a)는, 고정 너트(300)의 내부 표면(324)의 제1 부분(324a)에 인접하게 또는 이와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원위부(230b)는 제2 부분(324b)에 인접하게 또는 이와 접촉하게 배치될 수 있다. 근위부(230a)의 외부 표면(238a)은, 제1 부분(324a)에 인접하거나 이와 접촉할 수 있는 반면, 원위부(230b)의 외부 표면(238b)은, 제2 부분(324b)에 인접하거나 이와 접촉할 수 있다. 니들(200)이 안착 구성에 있을 경우에, 니들(200)의 니들 하우징(230)의 외부 표면(238)과 고정 너트(300)의 내부 표면(324) 사이의 접촉은, 분배 축에 수직인 평면에서 반경 방향(2)을 따라 고정 너트(300)에 대한 니들(200)의 병진을 배제한다. 니들(200)은 고정 너트(300)에 대한 각도 이동으로부터 유사하게 배제될 수 있으며, 여기서 니들(200)의 근위 말단(204)과 원위 말단(208) 사이에서 연장되는 선은 분배 축(1)으로부터 각도 오프셋된다.
도 8을 계속 참조하면, 고정 너트(300)는, 고정 너트(300)의 내부 표면(324)으로부터 분배 축(1)을 향해 반경 방향으로 안쪽으로 연장되는, 렛지(332)를 포함할 수 있다. 렛지(332)는 고정 너트(300)의 원위 말단(308)에 인접할 수 있고 원위 개구(320)를 정의할 수 있다. 니들(200)의 적어도 일부는 렛지(332)에 대해 분배 축(1)을 따라 축 방향으로 이동 가능하도록 구성된다. 렛지(332)는, 그 위에 형성되고 리셉터클(312)과 대면하는, 렛지 표면(336)을 정의한다. 렛지 표면(336)은 내부 표면(324)에 인접할 수 있다. 렛지 표면(336)은, 니들(200)이 안착된 구성으로 있을 경우에 니들(200)의 적어도 일부에 의해 선택적으로 접촉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도 6에 나타낸 바와 같이, 예를 들어 니들(200)이 고정 너트(300)에 안착될 경우에, 니들 하우징(230)은 렛지(332)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구체적으로, 하단 접촉 표면(262)은 렛지 표면(336)에 인접하게 그리고 이와 접촉하게 배치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렛지 표면(336)과 하단 접촉 표면(262) 사이의 접촉은, 니들(200)이 고정 너트(300)의 리셉터클(312) 내에 있을 경우에 고정 너트(300)에 대한 제1 축 방향(1a)을 따라 니들(200)의 가장 먼 상대 위치를 정의하도록, 니들(200)과 고정 너트(300) 사이에 물리적 정지부를 생성한다. 하단 접촉 표면(262)은 렛지 표면(336)과 접촉할 수 있는 반면, 니들 하우징(230)의 각각의 근위부(230a)와 원위부(230b)의 외부 표면(238a 및 238b)은, 고정 너트(300)의 내부 표면(324)의 제1 부분(324a)과 제2 부분(324b)과 각각 접촉한다. 니들(200)이 고정 너트(300) 내의 안착 구성에 있을 경우에, 그의 외부 표면(238)을 따라 니들 하우징(230)과 그의 하단 접촉 표면(262) 사이의 이러한 접촉은, 고정 너트(300)에 대한 니들(200)의 원하지 않는 이동을 배제한다.
안착된 니들(200)은, 유체 몸체(16)로부터 분배된 재료가 니들(200) 내로 그리고 이를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유체 몸체(16)에 고정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니들(200)을 내부에 유지하도록 구성된 고정 너트(300)는, 유체 몸체(16)에 탈착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도 4 내지 도 7을 다시 참조함), 고정 너트(300)는 전술한 메커니즘을 통해 밸브 시트 홀더(150)에 나사식으로 부착될 수 있다. 고정 너트(300)는, 밸브 시트 홀더(150)에 대해, 예를 들어 제2 축 방향(1b)을 따라 분배 축(1)을 따라 나사산(328 및 166)의 체결에 의해 정의된 나선형 패턴으로 이동할 수 있다. 고정 너트(300)는, 고정 너트(300)가 밸브 시트 홀더(150)에 고정될 때까지 및/또는 고정 너트(300)가 제2 축 방향(1b)을 따라 더 이상 이동하도록 허용되지 않을 때까지, 밸브 시트 홀더(150)에 대해 이동할 수 있다. 고정 너트(300)가 밸브 시트 홀더(150)에 충분히 부착될 경우에, 고정 너트(300) 내에 유지된 니들(200)의 니들 하우징(230)은 밸브 시트 홀더(150)와 접촉할 수 있다. 도5 및 도 11을 참조하면, 밸브 시트 홀더(150)는, 밸브 시트 홀더(150)의 원위 말단(158)에서 외부 표면(151)에 정의된, 원위 접촉 표면(174)을 정의할 수 있다. 원위 접촉 표면(174)은, 니들 하우징(230)의 상단 접촉 표면(250)의 형상 및 치수를 보상하도록, 치수화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상단 접촉 표면(250)과 원위 접촉 표면(174) 모두는 실질적으로 평면일 수 있고 서로 평행한 평면에 배치될 수 있다. 도 11에 나타낸 바와 같이, 고정 너트(300)가 밸브 시트 홀더(150)에 완전히 그리고 충분히 부착될 경우에, 니들 하우징(230)의 상단 접촉 표면(250)의 적어도 일부는 밸브 시트 홀더(150)의 원위 접촉 표면(174)의 적어도 일부와 접촉하도록 구성된다. 이러한 배열에서, 니들 하우징(230)(및 이에 따라, 부착된 니들 샤프트(212))은, 렛지 표면(336)과 하단 접촉 표면(262) 사이 및 밸브 시트 홀더(150)의 원위 접촉 표면(174)과 니들 하우징(230)의 상단 접촉 표면(250) 사이의 물리적 접촉으로 인해, 고정 너트(300)와 유체 몸체(16)에 대해 축 방향으로 고정된다. 이는, 사용 중에 니들(200)의 축 방향 이동을 방지하며, 이는 분배 및 분사 작업의 정확성 및 정밀도를 증가시킬 뿐만 아니라 구성 요소에 대한 손상을 감소시킨다.
도 11에서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니들(200)이 고정 너트(300)와 밸브 시트 홀더(150)와 접촉하고 그 사이에 축 방향으로 고정될 경우에, 공간(340)은, 니들 하우징(230)의 상단 접촉 표면(250)과 밸브 시트(100) 사이에 정의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간(340)은, 유체 유출구(104)와 니들 유입구(220) 사이에서 분배 축(1)을 따라 정의될 수 있다. 공간(340)은, 원위 접촉 표면(174)과 상단 접촉 표면(250)의 원주 방향 체결에 의해 반경 방향(2)을 따라 정의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밀봉부(270)는, 분배 축(1)으로부터 멀어지는 반경 방향(2)을 따라 반경 방향으로 이격될 수 있는, 니들(200) 및/또는 밸브 시트 홀더(150)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공간(340)은 밀봉부(270)에 의해 반경 방향(2)으로 정의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공간(340)에서 유체 유출구(104)와 니들 유입구(220) 사이에서 분배 축(1)을 따르는 거리는, 약 0.01 mm 내지 약 2 mm, 약 0.05 mm 내지 약 1 mm, 또는 다른 적절한 범위일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이 거리는 대략 0.1 mm일 수 있다. 공간(340)은, 약 0.25 mm 내지 약 2.5 mm, 약 0.5 mm 내지 약 2 mm, 또는 다른 적절한 범위의 반경 방향(2)을 따라 측정된 직경을 가질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직경은 대략 1.27 mm일 수 있다.
전술한 밸브 시트(100)에 대한 니들(200)의 특정 배열은, 그 사이에 정의된 공간(340)이 기존의 분배기에 비해 상대적으로 더 작은 부피를 가질 수 있게 한다. 본원에 개시된 더 작은 공간(340)은, 기존 기술에서보다 니들 유입구(220)와 유체 유출구(104) 사이에 더 적은 공기가 포획되게 한다. 덜 포획된 공기는 분배되는 재료 내에 형성되는 기포를 더 적게 생성하며, 이는 분배 및/또는 분사의 정확성 및 정밀도를 증가시킨다. 또한, 분배된 재료의 일부가 공기와 혼합될 수 있으며, 이는 증착된 재료 내에 미세 기포를 형성한다. 이는, 분배된 재료 내에서 바람직하지 않고/않거나 무작위인 공기 포켓을 야기할 수 있으며, 이는 분배된 재료의 무결성을 감소시킬 수 있다. 증착된 재료 내의 포획된 공기는, 없었다면 재료로 충진될 부피를 차지하여, 분배되는 재료의 총 원하는 양을 감소시킨다. 이는, 분배된 재료에 의한 기판의 불충분한 커버리지를 초래할 수 있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니들(200)을 구성 및/또는 배열함으로써, 공간(340)은, 공기가 내부에 포획되는 더 작은 부피를 정의하며, 따라서 전술한 단점뿐만 아니라 다른 단점을 감소시킨다. 일부 구현예에서, 공간(340)은 약 0.05 세제곱 mm 내지 약 1 세제곱 mm, 약 0.1 세제곱 mm 내지 약 0.5 세제곱 mm, 또는 다른 적절한 범위의 부피를 정의할 수 있다. 일부 특정 구현예에서, 공간(340)은 대략 0.24 세제곱 mm의 부피를 정의할 수 있다. 기존 시스템은 상당히 큰 부피, 예를 들어 일부 장치에서는 최대 9 세제곱 mm, 다른 장치에서는 최대 52 세제곱 mm의 부피를 자주 갖는다.
본 출원 전반에 걸쳐 설명된 구성 요소는, 금속 또는 플라스틱과 같은 다양한 적합한 재료를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니들(200), 고정 너트(300), 및 밸브 시트 홀더(150)는 스테인리스 강, 예를 들어 300 스테인리스 강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하나 이상의 구성 요소는 폴리에테르 에테르 케톤(PEEK)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출원 전반에 걸쳐 설명된 구성 요소는, 기계 가공, 주조, 성형, 삼차원 프린팅 등에 의할 수 있다.
전술한 구현예는, 세정, 수리, 교체 등을 위해 시스템의 하나 또는 다수의 구성 요소를 분해하는 능력으로 인해, 기존 시스템에 비해 다양한 이점을 제공한다. 도 12를 참조하면, 예시적인 조립 공정(400)이 도시되어 있다. 예시적인 조립 공정(400)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양태에 따라 변형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특히, 예시적인 조립 공정(400)은 본원에 설명된 본 개시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양태를 포함할 수 있다. 예시적인 조립 공정(400)의 단계는 전술한 양태와 일치하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또한, 예시적인 조립 공정(400)은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양태와 일치하는 더 많거나 더 적은 공정 단계를 갖도록 변형될 수 있다.
단계(404)에서, 니들(200)은 고정 너트(300) 내로 도입될 수 있다. 니들(200)은, 고정 너트(300)의 근위 개구(316)를 통해 리셉터클(312) 내로 이동될 수 있다. 니들(200)의 적어도 일부분(예, 니들 샤프트(212)의 일부분)은 리셉터클(312)를 통해 그리고 고정 너트(300)의 원위 개구(320)를 통해 수용부(312) 밖으로 이동할 수 있다. 니들(200)의 적어도 일부분(예, 니들 하우징(230))은 리셉터클(312) 내에 고정될 수 있다. 본 출원 전반에 걸쳐 설명된 바와 같이, 니들(200)이 고정 너트(300) 내의 안착 구성에 있는 경우, 고정 너트(300)는 단계(408)에서 유체 몸체(16)에 부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고정 너트(300)는, 예를 들어 나사산을 통해 밸브 시트 홀더(150)와 탈착식으로 체결될 수 있다. 바람직하게는, 고정 너트(300)는, 니들(200)이 고정 너트(300)의 렛지(332)와 밸브 시트 홀더(150)의 원위 접촉 표면(174) 사이에서 리셉터클(312) 내에 축 방향으로 고정될 때까지, 밸브 시트 홀더(150)와 체결하도록 이동할 수 있다. 이 단계에서, 니들(200)은 밸브 시트 홀더(150)에 대해 고정되고, 니들(200)은 유체 몸체(16)로부터 그 안에 재료를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니들(200)을 갖는 고정 너트(300)는, 분사 시스템(10)의 나머지 부분과 이미 완전히 조립된 유체 몸체(16)에 부착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고정 너트(300)와 니들(200)은, 밸브 시트 홀더(150)가 유체 몸체(16)의 나머지와 체결되고 충분히 연결될 경우에, 밸브 시트 홀더(150)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밸브 시트 홀더(150)는, 유체 몸체(16)로부터 분리되는 동안(또는 유체 몸체와 완전히 체결되지 않는 동안)에 고정 너트(300)와 니들(200)을 수용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공정(400)은 선택적으로 단계(412)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본 명세서 전반에 걸쳐 설명된 바와 같이 밸브 시트 홀더(150)는 유체 몸체(16)에 (예를 들어, 나사산을 통해) 작동 가능하게 고정된다. 단계(412)는 단계(404 및 408) 이전에 또는 단계(404 또는 408) 이후에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고정 너트(300)와 니들(200)은, 유체 몸체(16)가 분사 시스템(10)의 나머지 부분과 체결되고 작동 준비가 되었을 경우에, (예를 들어, 밸브 시트 홀더(150)를 통해) 유체 몸체(16)에 연결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고정 너트(300)와 니들(200)은, 유체 몸체(16)가 분사 시스템(10)과 체결되기 전에, 유체 몸체(16)와 작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공정(400)은, 유체 몸체(16)가 유체 몸체 하우징(19) 내로 도입되고 유체 몸체 하우징(19)이 분사 분배기(12)에 고정되는 단계(416)를 선택적으로 포함할 수 있어서, 밸브 어셈블리(22)가 분사 분배기(12)에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어 원하는 분사 또는 분배 동작을 수행하도록 유체 몸체(16)가 배열된다. 단계(416)는 단계(404-412) 이전, 이후, 또는 그 사이에 수행될 수 있음을 이해해야 한다. 분사 시스템(10)을 분해하기 위해, 전술한 단계 중 하나 이상이 반전될 수 있다.
개시된 구현예의 한 가지 장점은 구성 요소가 세정 또는 교체를 위해 접근될 수 있는 다기능성이다. 예를 들어, 유체 몸체(16)가 분사 분배기(12)에 고정되고 작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동안에, 또는 대안적으로, 유체 몸체(16)가 제거되거나 그렇지 않으면 분사 분배기(12)로부터 분리되는 동안에, 유체 몸체(16)로부터 고정 너트(300)를 제거함으로써, 니들(200)을 분사 시스템(10)으로부터 제거할 수 있다. 유사하게, 밸브 시트 홀더(150)는 세정 또는 교체를 위해 유체 몸체(16)로부터 제거될 수 있고, 밸브 시트 홀더(150)는, 고정 너트(300)와 니들(200)이 그에 부착될 경우에, 또는 대안적으로 고정 너트(300)와 니들(200)이 밸브 시트 홀더(150)로부터 분리될 경우에, 제거될 수 있다. 분사 시스템(10)의 다양한 구성에서 분사 시스템(10)의 다양한 구성 요소의 연결 및 분리를 허용함으로써, 사용자는, 분사 시스템(10)의 큰 부분을 분해)하지 않고 실질적인 조립 중단 시간 없이 원하는 구성 요소에 효율적으로 접근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니들(200)은 막히거나 손상될 수 있고 효율적인 방식으로 교체될 필요가 있을 수 있다. 이와 같이, 사용자는 밸브 시트 홀더(150)로부터 고정 너트(300)를 분리할 수 있고, 고정 너트(300)로부터 니들(200)을 제거할 수 있다. 신규 또는 세정된 니들(200)이 고정 너트(300) 내로 재도입될 수 있고, 고정 너트(300)는 밸브 시트 홀더(150)와 다시 체결될 수 있다. 이 공정은 분사 시스템(10)의 다른 구성 요소를 분해하지 않고도 달성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하나의 니들(200)을 상이한 크기를 갖는 다른 니들(200)로 신속하게 교체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니들(200)은 길이, 형상 및 직경이 다양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밸브 시트 홀더(150) 내의 밸브 시트(100)를 세정하거나 교체하는 것이 바람직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밸브 시트(100)는 밸브 시트 홀더(150)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제거, 세정 및/또는 교체될 수 있다. 상이한 밸브 시트(예, 상이한 크기의 유체 유출구(104)를 갖는 것)가 밸브 시트 홀더(150)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이러한 교체를 달성하기 위해, 밸브 시트 홀더(150)는 유체 몸체(16)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밸브 시트(100)는 밸브 시트 홀더(150) 내로 제거, 세정, 교체 및/또는 재삽입될 수 있다. 대안적으로, 밸브 시트(100)가 밸브 시트 홀더(150)의 나머지와 일체인 양태에서, 전체 밸브 시트 홀더(150)는 고정 너트(300)와 유체 몸체(16)로부터 분리될 수 있고, 세정/교체될 수 있고, 내부에 니들(200)을 포함한 유체 몸체(16)와 고정 너트(300)와 체결하도록 재도입될 수 있다.
본원에 개시된 시스템의 구성 요소의 치수와 형상은, 구성 요소에 세정, 수리 또는 교체를 위해 더 쉽게 접근하도록 함으로써, 기존 기술을 개선한다. 고정 너트(300)와 니들(200)은, 일부 기존 기술에서 공통된 바와 같이, 유체 몸체 하우징(19)에 부착되지 않고 유체 몸체(16)에 부착될 수 있다. 이는, 유체 몸체 하우징(19)과 분사 분배기(12)에 대해 유체 몸체(16)를 갖는 니들(200)과의 고정 너트(300)의 보다 용이한 이동을 허용한다. 이러한 방식으로, 유체 몸체(16)는 고정 너트(300)와 니들(200)이 유체 몸체(16)에 여전히 부착된 상태로 유체 몸체 하우징(19)으로부터 제거될 수 있으며, 이는 유체 몸체 하우징(19)의 세정를 단순화하고, 고정 너트(300)와 니들(200)이 분사 분배기(12)에 직접 부착되는 경우보다 상대적으로 더 작은 유체 몸체(16) 상에서의 고정 너트(300)와 니들(200)에 대해 보다 용이한 접근을 제공한다. 이는, 유체 몸체 하우징(19), 및 히터와 같은 임의의 관련 구성 요소의 용이한 세정를 가능하게 하는 더 적은 (또는 전혀) 체결 특징부를, 예컨대 나사산을 그 위에 필요로 하는 유체 몸체 하우징(19)의 추가적인 이점을 갖는다.
개시된 구현예의 다른 장점은, 상이하게 원하는 용도에 대한 교환 가능한 니들(200)의 가용성이다. 전술한 바와 같이, 니들(200)은, 분배되는 재료의 적용에 영향을 미칠, 상이한 길이, 단면 직경, 테이퍼, 또는 다른 파라미터를 갖도록 제조될 수 있다. 니들(200)은, 일반적으로 기존 기술에 사용되는 더 큰 분배 노즐이 적합하지 않은 영역에 끼워맞춤 되도록 충분히 얇을 수 있다. 기존 시스템에서, (본원에 개시된 니들(200) 대신에 사용되는) 다양한 분배 노즐이 분사 분배기(12)에 흔히 부착된다. 각각의 분배 노즐은, 분사 분배기(12) 상의 각각의 수용 수단과 상호 작용할 수 있는, 충분한 부착 수단을 가져야 한다. 일부 경우에, 하나 이상의 어댑터가 분배 노즐과 분사 분배기(12) 사이의 적절한 부착 및 체결을 보장하기 위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분배 노즐과 분사 분배기(12) 사이의 이러한 연결은, 본원에 개시된 구현예의 니들 유입구(220)와 유체 유출구(104) 사이의 상당히 작은 공간(340)과 비교하면, 분배 노즐의 유입구와 유체 유출구(104) 사이의 더 큰 공간(340)을 초래할 것이다.
일부 양태에서, 니들(200)은, 재료의 분배 또는 분사를 개선하기 위해 그 위에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코팅은 분배되는 유체 또는 재료를 반발하도록 구성된 포빅 코팅일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코팅은 불소를 포함할 수 있다. 코팅은 니들(200)의 일부분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코팅은 니들 샤프트(212)에 도포될 수 있다. 특정 구현예에서, 니들(200)의 적어도 원위 말단(208)은 그 위에 포빅 코팅을 포함할 수 있다. 포빅 코팅의 존재는, 분배되는 재료가 포빅 코팅의 부재 시보다 더 쉽게 니들(200)로부터 분리될 수 있게 한다. 포빅 코팅은, 니들 유출구(224)에서의 니들 샤프트(212)와 분배 또는분사 재료 사이의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므로, 니들(200)로부터 분리되고 기판을 향해 이동하기보다는 표면 장력으로 인해 니들(200)에 부착된 채로 남아 있는 재료의 양을 감소시킨다. 이는, 원하는 양의 재료를 기판 상으로 분배하거나 분사하는 데 있어서 더 나은 정확성과 정밀도를 가능하게 하며; 재료가 니들(200) 상에 남는 경우, 기판은 분배 또는 분사 공정 중에 원하는 것보다 더 적은 재료를 수용하는 반면; 니들(200) 상에 남긴 재료는 축적되어 결국 표면 장력을 극복하고 기판 상에 나중에 증착될 수 있고, 결과적으로 원하는 것보다 많은 재료가 기판에 도포된다.
기존 시스템에서, 포빅 코팅은, 일반적으로 니들 샤프트(212)의 외부 표면과 루멘(216)을 정의한 내부 표면 상에서, 니들 샤프트(212)에 도포된다. 그러나, 루멘(216) 내의 포빅 코팅의 존재는, 루멘(216) 내부로부터 니들 유출구(224)를 통해 루멘의 외부로 재료가 바람직하지 않게 배출되게 한다. 이러한 배출은 개별적인 분배 또는 분사 작동 사이에서 발생할 수 있다. 배출 재료는, 기존 시스템에서 애플리케이터의 원위 말단에 인접한 액적을 형성할 수 있다. 예시적인 액적(55)은, 본 출원 전체에 걸쳐 도시된 구현예 중 하나의 니들(200)과 같은 예시적인 니들(200)에 대하여, 도 13에 도시되어 있다. 이러한 액적(55)은, 액적(55)이 액적(55)을 함께 유지시키고 니들(200)에 부착되는 표면 장력을 극복할 정도로 충분히 크고 무거워질 때까지, 분사 시스템의 하나 이상의 작동에 걸쳐 축적될 수 있다. 액적(55)이 니들(200)로부터 분리될 경우에, 이는 기판 상에 증착될 수 있다. 이는 원하지 않는, 그리고 측정이 어려운, 기판 상으로의 재료의 도포를 초래한다.
이러한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본 출원 전반에 걸쳐 개시된 니들(200)의 구현예는, 분사 분배기(12)가 실질적으로 액적(55) 또는 니들(200) 상에 정체된 재료의 다른 발현을 형성하지 않으면서 작동될 경우에, 재료의 분리를 촉진하기 위해 포빅 코팅이 니들(200)의 부분 상에 배치되도록, 포빅 코팅을 그 위에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4를 참조하면, 일 구현예에 따라 니들(200)의 니들 샤프트(212)의 일부가 도시되어 있다. 샤프트는 외부 표면(213), 및 분배 축(1)을 향해 반경 방향(2)을 따라 외부 표면(213)으로부터 이격되는 내부 표면(214)을 포함한다. 루멘(216)은 내부 표면(214)에 의해 정의된다. 니들 샤프트(212)는, 니들(200)의 원위 말단(208)에 배치된 원위 표면(215)을 정의한다. 원위 표면(215)은 반경 방향(2)을 따라 외부 표면(213)과 내부 표면(214) 사이에서 연장된다. 원위 표면은 실질적으로 평면일 수 있고 분배 축(1)에 수직인 평면에 배치될 수 있지만, 원위 표면(215)의 다른 형상, 치수 및 배향이 고려된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다.
포빅 코팅(544)은 외부 표면(213) 상에 배치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전체 니들 샤프트(212)는, 예를 들어 니들(200)의 근위 말단(204)과 원위 말단(208) 사이에서 포빅 코팅(544)을 수용할 수 있다. 다른 양태에서, 니들 샤프트(212)의 전부는 아니지만 일부는 포빅 코팅(544)을 수용할 수 있다. 일부 특정 예시에서, 포빅 코팅(544)은 니들 샤프트(212)의 최대 약 1/4, 니들 샤프트(212)의 최대 약 1/3, 니들 샤프트(212)의 최대 약 1/2, 니들 샤프트(212)의 최대 약 2/3, 니들 샤프트(212)의 최대 약 3/4, 또는 니들 샤프트(212)의 또 다른 비율로 도포될 수 있다. 포빅 코팅(544)은, 니들(200)의 원위 말단(208)으로부터 제2 축 방향(1b)을 따라 니들(200)의 근위 말단(204)을 향해 도포될 수 있다. 도포된 포빅 코팅(544)의 전체가 니들 샤프트(212)의 외부 표면(213)을 따라 중단되지 않도록, 포빅 코팅(544)이 도포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포빅 코팅(544)은 니들(200)의 원위 말단(208)에 도포되거나, 그에 바로 인접하게 도포된다. 일부 양태에서, 니들(200)은 원위 표면(215) 상에 포빅 코팅(544)을 수용하도록 구성된다. 원위 표면(215) 상의 포빅 코팅(544)은 외부 표면(213) 상에 배치된 포빅 코팅(544)에 인접할 수 있다.
일부 구현예에서, 포빅 코팅(544)은 니들 샤프트(212)의 내부 표면(214)에 도포되지 않는다. 포빅 코팅(544)이 내부 표면(214)에 도포되는 것을 배제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분배기로 코팅을 기존처럼 적용하는 경우, 코팅은 능동적으로 제거되거나 분배기의 내부로 진입하는 것을 배제하지 않는다. 기존 시스템에 코팅이 도포될 시, 도포된 코팅의 일부는 분배기의 내부로 진입할 수 있고, 분배기의 루멘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이는, 도 13과 관련하여 전술한 바와 같이 바람직하지 않은 기능 및 작동을 초래한다. 도 15 내지 도 18을 참조하면, 포빅 코팅(544)을 니들(200)에 도포시키면서 포빅 코팅(544)이 루멘(216)에 진입하고 니들 샤프트(212)의 내부 표면(214) 상에 증착되는 것을 배제하도록 구성되는, 코팅 장치(500)가 도시되어 있다. 특히, 코팅 장치(500)는, 포빅 코팅(544)이 외부 표면(213)에 실질적으로 도포되고 포빅 코팅(544)이 내부 표면(214)에 도포되는 것이 실질적으로 방지되는 것을, 보장할 수 있다. 코팅 장치(500)는, 그 안에 니들(200)을 탈착식으로 수용하도록 설계화, 구조화 및/또는 구성될 수 있다. 코팅 장치(500)는, 하부 표면(512) 및 수직 방향(4)을 따라 하부 표면(512)으로부터 이격된 상부 표면(536)을 갖는, 몸체(504)를 포함한다. 하나 이상의 벽(508)은 하부 표면(512)과 상부 표면(536) 사이에서 연장된다. 몸체(504)는 상부 표면(536), 하부 표면(512), 및 하나 이상의 벽(508) 사이에 챔버(520)를 내부에 정의한다. 일부 양태에서, 단일 벽(508)이 상부 표면(536)과 하부 표면(512) 사이에서 그리고 챔버(520) 주위에서 원주 방향으로 연장되도록, 몸체(504)는 실질적으로 원통형일 수 있다.
유지 플레이트(524)는, 하부 표면(512)과 상부 표면(536) 사이의 챔버(520) 내에 배치될 수 있다. 유지 플레이트(524)는, 그 위에 포빅 코팅(544)을 수용하는 하나 이상의 니들(200)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애퍼처(528)는 유지 플레이트(524)를 통해 연장될 수 있다. 유지 플레이트(524)는 복수의 애퍼처(528)를 가질 수 있다. 각각의 애퍼처(528)는, 이를 통해 니들(200)을 제거식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애퍼처(528)는, 니들(200)의 일부가 애퍼처(528)를 통해 이동할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질 수 있는 반면, 니들(200)의 다른 부분은 애퍼처(528)를 통해 이동하는 것이 배제된다. 일부 양태에서, 애퍼처(528)는 니들 샤프트(212)가 이를 통해 이동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클 수 있지만, 니들 하우징(230)의 적어도 일부가 이를 통해 이동할 수 있을 만큼 충분히 크지 않을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도 17에 나타낸 바와 같이, 애퍼처(528)는, 니들 하우징(230)의 원위부(230b)가 애퍼처(528) 내에 수용되도록 구성될 수 있는 반면에 근위부(230a)는 애퍼처(528) 내에 수용되는 것이 배제될 수 있도록, 치수가 정해질 수 있다. 애퍼처(528)는 니들 하우징(230)과 동일한 단면 형상, 예를 들어 원형 단면을 가질 수 있다. 애퍼처(528)는 직경(530)을 정의할 수 있다. 전술한 일부 양태에서, 직경(530)은 니들 하우징(230)의 원위부(230b)의 제2 직경(242b)보다 적어도 약간 더 클 수 있어서, 니들 하우징(230)의 적어도 원위부(230b)가 애퍼처(528) 내에 끼워맞춤 되도록 허용된다. 일부 양태에서, 니들(200)이 애퍼처(528) 내에 있을 경우에 니들(200)이 수직 방향(4)에 수직인 방향으로 이동하는 것이 배제될 수 있도록, 니들(200)을 실질적으로 고정된 애퍼처(528) 내에 고정하는 것이 유리할 수 있다. 이러한 양태에서, 애퍼처(528)의 직경(530)은 니들 하우징(230)의 원위부(230b)의 제2 직경(242b)보다 약간 더 클 수 있어서, 니들 하우징(230)이 애퍼처(528) 내에 있을 경우에 수직 방향(4)에 수직인 방향을 따라 이동을 실질적으로 배제하면서 수직 방향(4)을 따라 니들 하우징(230)을 애퍼처(528) 내외로 삽입 및 제거를 가능하게 하는 충분한 공차가 존재하도록 한다.
챔버(520)는, 내부에 포빅 코팅(544)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챔버(520) 내의 포빅 코팅(544)의 양은 코팅 장치(500) 내로 수용되는 니들(200)의 수, (근위 말단(204)과 원위 말단(208) 사이에서 측정된) 각 니들(200)의 길이, 및 코팅되도록 의도된 니들(200)의 원하는 부분에 따라 달라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작동 시, 니들(200)(또는 니들들(200))이 애퍼처(528) 내에 수용될 경우에, 니들(200)의 니들 샤프트(212)의 적어도 일부는, 하부 표면(512)과 유지 플레이트(524) 사이에서 챔버(520) 내로 연장될 수 있다. 니들 샤프트(212)의 적어도 일부는, 챔버(520) 내에 배치된 포빅 코팅(544)에 침지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밀봉부(532)는, 니들(200)이 애퍼처(528) 내에 배열될 경우에 니들 유입구(220)에 인접하게 배치될 수 있다. 밀봉부(532)는, 니들 유입구(220)가 덮이도록 니들(200)의 근위 말단(204)과 접촉한다. 밀봉부(532)는, 그 자체와 니들(200) 사이에 기밀 밀봉부를 형성할 수 있어서, 공기 또는 다른 가스가 니들 유입구(220)를 통해 루멘(216)으로 들어가거나 빠져나갈 수 없다. 니들 유입구(220)를 폐쇄함으로써, 밀봉부(532)는, 루멘(216) 내에 배치된 공기가 포빅 코팅(544)에 의해 니들 유입구(220)를 통해 변위되는 것을 배제하고, 원위 말단(208)과 니들 유출구(224)는 챔버(520) 내의 포빅 코팅(544)과 유체 연통하여 배치된다. 밀봉부(532)가 존재하지 않는 경우, 포빅 코팅(544)은 니들 유출구(224)를 통해 루멘(216)으로 진입할 수 있고, 이에 따라 니들 샤프트(212)의 내부 표면(214)과 접촉할 수 있다. 포빅 코팅(544)은, 모세관 작용에 의해 니들(200)의 근위 말단(204)을 향해 루멘(216)을 따라 더 이동할 수 있다. 밀봉부(532)는, 루멘(216) 내의 공기가 니들 유입구(220) 밖으로 빠져나오는 것을 방지하므로, 포빅 코팅(544)에 의해 충진될 수 있는 루멘(216) 내부에 진공이 생성되지 않게 한다. 이는, 내부 표면(214)이 포빅 코팅(544)을 수용하는 것을 실질적으로 배제하면서, (원위 표면(215) 및 외부 표면(213)의 적어도 일부분과 같은) 니들(200)의 원하는 부분과 포빅 코팅(544)이 접촉하고 이에 도포될 수 있게 한다. 그러나, 포빅 코팅(544)의 별개 및/또는 제한된 도포는 다수의 상이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방법은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된다.
상부 표면(536)은, 니들(200) 및 포빅 코팅(544)이 그 안에 있는 챔버(520) 위에 배치되도록 구성되는, 폐쇄부, 커버 또는 덮개일 수 있다. 덮개는, 덮개를 몸체(504)에 탈착식으로 부착하도록 구성된, 고정 수단(540)을 포함할 수 있다. 고정 수단(540)은 나사형 부착부, 스냅 끼워맞춤, 레버, 클램프, 또는 다른 적절한 고정 메커니즘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밀봉부(532)는, 유지 플레이트(524) 상에 배치된 각 니들(200)의 근위 말단(204)에 대해 강제로 유지되어, 기밀 밀봉부를 형성할 수 있다. 밀봉부(532)는, 고정 수단(540)의 작동에 의해 각각의 니들(200)과 덮개 사이에 압축되어 위치해서, 유지 플레이트(524)를 향해서 덮개를 이동시킬 수 있다. 기밀 밀봉부를 해제하기 위해, 고정 수단(540)은 반대 방향으로 작동될 수 있고, 덮개는 유지 플레이트(524)로부터 멀리 이동될 수 있다.
도 19에 나타낸 코팅 공정(600)을 참조하면, 코팅 공정(600)은 단지 예시적인 것이며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양태에 따라 변형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특히, 코팅 공정(600)은 본원에 설명된 본 개시의 임의의 하나 이상의 양태를 포함할 수 있다. 코팅 공정(600)의 단계는 전술한 양태와 일치하는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음을 주목해야 한다. 또한, 코팅 공정(600)은 본원에 개시된 다양한 양태와 일치하는 더 많거나 더 적은 공정 단계를 갖도록 변형될 수 있다.
단계(604)에서, 니들(200)은 전술한 바와 같이 코팅 장치(500) 내로 도입될 수 있다. 코팅 장치(500)는 하나 또는 복수의 니들(200)을 수용하도록 구성될 수 있다. 코팅 장치(500)의 전체 크기뿐만 아니라 애퍼처(528)의 수가, 코팅 장치(500)에 한 번에 수용되도록 의도된 니들(200)의 수에 따라 달라질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단계(608)에서, 전술한 바와 같이 밀봉부(532)와 니들(200) 사이에 기밀 밀봉부가 형성될 수 있다. 코팅 장치(500)는 복수의 밀봉부(532)를 포함할 수 있고, 개별 밀봉부(532)는 각각의 니들(200)과 접촉하여 배치될 수 있거나, 대안적으로, 코팅 장치(500)는 코팅 장치(500) 내의 모든 니들(200)과 동시에 접촉하도록 구성된 단일 밀봉부(532)를 포함할 수 있다. 그러나, 포빅 코팅(544)의 별개 및/또는 제한된 도포는 다수의 상이한 방식으로 구현될 수 있고, 이러한 방법은 본 발명에 의해 고려된다.
단계(612)에서, 포빅 코팅(544)이 챔버(520) 내로 도입될 수 있다. 포빅 코팅은 임의의 적절한 코팅 재료일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포빅 코팅(544)은 불소를 포함한다. 니들(200)은 소정 시간 동안 포빅 코팅(544) 내에 적어도 부분적으로 침지되어 고정된다. 이러한 지속 시간은, 사용되는 특정 코팅 및 코팅 공정의 다른 사양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포빅 코팅(544)은, 니들(200)이 내부에 도입되기 전에, 또는 대안적으로 니들(200)이 유지 플레이트(524)에 고정된 후에, 챔버(520) 내에 도입될 수 있다.
단계(616)에서, 도포된 포빅 코팅(544)은, 코팅이 원하는 파라미터를 갖고 니들(200)에 영구적으로 부착되는 것을 보장하도록, 경화될 수 있다. 경화 단계는, 니들(200)이 건조되어 포빅 코팅(544)의 임의의 과량 부분을 증발시키는 것을 포함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코팅된 니들(200)은 경화 오븐(미도시) 내에 배치되어 소정의 온도로 니들(200)을 가열할 수 있고, 이는 포빅 코팅(544)이 경화되고/경화되거나 니들(200)에 고정되고 원하는 포빅 특성을 나타내는 것을 보장한다. 단계, 온도, 지속 시간 등과 같이, 코팅을 경화하는 특정 파라미터는, 사용되는 코팅, 및 니들(200)을 포함한 재료에 따라 달라질 것임을 이해할 것이다. 일부 양태에서, 니들(200)은, 코팅 공정(600)의 전체 지속 기간에 걸쳐 코팅 장치(500) 내에 고정되도록 구성된다.
일부 양태에서, 선택적인 추가 단계가 코팅 공정(600) 중에 사용될 수 있다. 예를 들어, 니들(200)은 코팅 장치(500)에 고정되기 전에 먼저 적절하게 세정될 수 있다. 일부 양태에서, 니들(200)은, 코팅될 니들 샤프트(212)의 표면에 존재하는 원치 않는 재료(예컨대 오일)를 제거하기 위해, 플라즈마로 처리될 수 있다. 유사한 코팅 절차에서 흔한 다른 단계가 이용될 수 있으며, 본 개시는 전술한 특정 예시적인 단계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할 것이다. 달리 언급되지 않는 한, 코팅 공정(600)에 도시된 하나 이상의 단계는, 코팅 공정(600)의 다른 단계에 대해 상이한 순서로 수행될 수 있고, 원하는 코팅 효과를 달성하기 위해 단계를 복수의 횟수로 반복할 수 있다.
다음은 본 개시의 양태의 다수의 비제한적인 예시이다. 하나의 예시는 다음을 포함한다: 실시예 1. 분사 분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유체 몸체로서, 상기 유체 몸체는 유체를 내부에 수용하고 유체를 그로부터 분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체 몸체는,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유체 유입구; 유체를 상기 유체 몸체로부터 방출하도록 구성된 유체 유출구; 상기 유체 유입구와 상기 유체 유출구 사이에 정의되고 유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챔버; 상기 챔버에 배치되는 밸브 시트로서, 상기 유체 유출구는 상기 밸브 시트를 통해 연장되는, 밸브 시트;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챔버 내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된 밸브 요소로서, 제1 위치에서 상기 밸브 시트와 접촉하고 제2 위치에서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이격되는, 밸브 요소; 상기 유체 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상기 유체 유출구로부터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분배 니들; 및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유체 유출구에 인접한 상기 유체 몸체와 접촉하도록 상기 분배 니들을 상기 유체 몸체에 탈착식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된 고정 너트를 포함하는, 유체 몸체.
전술한 실시예는 다음의 실시예 중 임의의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2.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배 니들은, 근위 말단 및 상기 근위 말단에 대향하는 원위 말단을 갖는 샤프트; 상기 근위 말단과 상기 원위 말단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를 통해 정의되는 루멘; 상기 근위 말단에 배치되고 상기 루멘과 유체 연통하는 니들 유입구로서, 상기 니들 유입구는 상기 유체 유출구로부터 상기 루멘 내로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니들 유입구; 상기 원위 말단에 배치되고 상기 루멘과 유체 연통하는 니들 유출구; 및 상기 근위 말단과 상기 원위 말단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분배 니들은 상기 유체 몸체와 접촉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된 상부 접촉 표면을 정의하고,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유체 몸체와 접촉할 경우에 상기 분배 니들과 상기 유체 몸체 사이에 공간이 정의되고, 상기 공간은 상기 유체 유출구 및 상기 니들 유입구에 인접하고 이들과 유체 연통하는, 유체 몸체. 3.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니들의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유체 몸체. 4.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니들의 하우징은 근위부 및 상기 근위부에 인접한 원위부를 포함하되, 상기 근위부는 제1 직경을 갖고, 상기 원위부는 제2 직경을 갖고, 상기 제1 직경이 상기 제2 직경보다 큰, 유체 몸체. 5.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접촉 표면이 그 위에 밀봉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유체 몸체와 접촉할 경우에 상기 밀봉부는 상기 분배 니들과 상기 유체 몸체 사이에 압축되어 유지되는, 유체 몸체. 6.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약 0.05 세제곱 mm 내지 약 1 세제곱 mm의 부피를 정의하는, 유체 몸체. 7.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너트는 상기 분배 니들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 너트는 상기 고정 너트 내의 상기 분배 니들과 상기 유체 몸체에 탈착식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유체 몸체. 8.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너트는 상기 고정 너트의 근위 말단에서의 근위 개구와, 상기 근위 말단에 대향하는 상기 고정 너트의 원위 말단에서의 원위 개구 사이에 리셉터클을 내부에 정의하고,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리셉터클 내로 수용 가능하고, 상기 고정 너트는 상기 원위 말단에 인접하고 상기 원위 개구를 정의하는 상기 리셉터클 내로 반경 방향 연장되는 렛지를 포함하고, 상기 근위 개구는 제1 직경을 갖고 상기 원위 개구는 제2 직경을 갖고, 상기 근위 개구의 제1 직경은 상기 원위 개구의 제2 직경보다 크고, 상기 고정 너트는 상기 근위 개구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 내로 상기 분배 니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 너트는, 상기 분배 니들의 전체가 아닌 일부분을 상기 원위 개구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 밖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유체 몸체. 9.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너트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인접한 제2 부분을 갖는 내부 표면을 정의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의 제2 직경보다 큰 제1 직경을 갖고,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고정 너트 내에 수용되는 경우에, 상기 하우징의 근위부는 상기 고정 너트의 제1 부분 내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의 원위부는 상기 고정 너트의 제2 부분 내에 수용되는, 유체 몸체. 10.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고정 너트를 통해 상기 유체 몸체와 접촉하여 고정될 경우에, 상기 분배 니들은 상기 유체 몸체에 대한 이동으로부터 배제되는, 유체 몸체. 11.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유체 몸체에 탈착식으로 연결 가능한 밸브 시트 홀더 상에 배치되는, 유체 몸체. 12.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너트는 상기 밸브 시트 홀더에 탈착식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유체 몸체. 13.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너트는 상기 유체 몸체 상의 대응하는 나사산과 탈착식으로 체결하도록 구성된 나사산을 포함하는, 유체 몸체. 14.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배 니들은 그 위에 코팅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은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유체 몸체. 15.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불소를 포함하는, 유체 몸체. 16.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배 니들은 그의 외부 표면 상에 상기 코팅을 포함하고, 루멘을 정의한 내부 표면 상에 상기 코팅이 없는, 유체 몸체. 17. 분사 시스템으로서,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몸체; 상기 밸브 시트를 향해 그리고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멀리 상기 밸브 요소를 왕복 이동시켜 상기 유체 챔버 내의 유체가 상기 유체 유출구 밖으로 그리고 상기 분배 니들 내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를 갖는 분사 분배기를 포함하는, 분사 시스템. 18.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사 시스템은 상기 유체 몸체를 내부에 제거식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유체 몸체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몸체 하우징은, 제1 위치(상기 유체 몸체가 상기 분사 분배기에 고정되어 상기 밸브 요소가 상기 분사 분배기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작동 가능한 위치)와 제2 위치(상기 유체 몸체가 상기 분사 분배기로부터 이격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되, 상기 유체 몸체 하우징이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유체 몸체는 상기 유체 몸체 하우징으로부터 제거 가능하고 상기 분사 시스템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분사 시스템.
하나의 예시는 다음을 포함한다: 실시예 19. 분사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분배 니들에 코팅을 도포하기 위한 니들 코팅 홀더로서, 상기 니들 코팅 홀더는, 상기 코팅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챔버를 내부에 정의하는 몸체; 상기 챔버에 인접한 니들 유지 플레이트로서, 상기 니들 유지 플레이트는 관통 연장되는 애퍼처를 정의하고 상기 애퍼처는 상기 분배 니들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니들 유지 플레이트; 및 상기 니들 유지 플레이트 내에 배치된 상기 분배 니들과 접촉하여 선택적으로 배치될 수 있는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가 상기 분배 니들과 접촉하여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커버와 상기 분배 니들의 니들 유입구 사이에 기밀 밀봉부가 형성되는, 니들 코팅 홀더.
전술한 실시예는 다음의 실시예 중 임의의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20.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분배 니들 사이에 탄성중합체 밀봉부를 포함하는, 니들 코팅 홀더.
하나의 예시는 다음을 포함한다: 실시예 21. 분사 분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유체 몸체로서, 상기 유체 몸체는 유체를 내부에 수용하고 유체를 그로부터 분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체 몸체는,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유체 유입구; 유체를 상기 유체 몸체로부터 방출하도록 구성된 유체 유출구; 상기 유체 유입구와 상기 유체 유출구 사이에 정의되고 유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챔버; 상기 챔버에 배치되는 밸브 시트로서, 유체 유출구는 이를 통해 연장되는, 밸브 시트;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챔버 내 왕복 이동하기 위한 밸브 요소로서, 제1 위치에서 상기 밸브 시트와 접촉하고 제2 위치에서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이격되는, 밸브 요소; 상기 유체 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상기 유체 유출구로부터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분배 니들; 및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유체 유출구에 인접한 상기 유체 몸체와 접촉하도록 상기 분배 니들을 상기 유체 몸체에 탈착식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된 고정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유체 몸체.
전술한 실시예는 다음의 실시예 중 임의의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22.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배 니들은, 근위 말단 및 상기 근위 말단에 대향하는 원위 말단을 갖는 샤프트; 상기 근위 말단과 상기 원위 말단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를 통해 정의되는 루멘; 상기 근위 말단에 배치되고 상기 루멘과 유체 연통하는 니들 유입구로서, 상기 니들 유입구는 상기 유체 유출구로부터 상기 루멘 내로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니들 유입구; 상기 원위 말단에 배치되고 상기 루멘과 유체 연통하는 니들 유출구; 및 상기 근위 말단과 상기 원위 말단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분배 니들은 상기 유체 몸체와 접촉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된 상부 접촉 표면을 정의하고,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유체 몸체와 접촉할 경우에 상기 분배 니들과 상기 유체 몸체 사이에 공간이 정의되고, 상기 공간은 상기 유체 유출구 및 상기 니들 유입구에 인접하고 이들과 유체 연통하는, 유체 몸체. 23.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니들의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유체 몸체. 24.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니들의 하우징은 근위부 및 상기 근위부에 인접한 원위부를 포함하되, 상기 근위부는 제1 직경을 갖고, 상기 원위부는 제2 직경을 갖고, 상기 제1 직경이 상기 제2 직경보다 큰, 유체 몸체. 25.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접촉 표면이 그 위에 밀봉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유체 몸체와 접촉할 경우에 상기 밀봉부는 상기 분배 니들과 상기 유체 몸체 사이에 압축되어 유지되는, 유체 몸체. 26.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약 0.05 세제곱 mm 내지 약 1 세제곱 mm의 부피를 정의하는, 유체 몸체. 27.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분배 니들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고정 구성 요소 내의 상기 분배 니들과 상기 유체 몸체에 탈착식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유체 몸체. 28.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고정 구성 요소의 근위 말단에서의 근위 개구와, 상기 근위 말단에 대향하는 상기 고정 구성 요소의 원위 말단에서의 원위 개구 사이에 리셉터클을 내부에 정의하고,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리셉터클 내로 수용 가능하고,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원위 말단에 인접하고 상기 원위 개구를 정의하는 상기 리셉터클 내로 반경 방향 연장되는 렛지를 포함하고, 상기 근위 개구는 제1 직경을 갖고 상기 원위 개구는 제2 직경을 갖고, 상기 근위 개구의 제1 직경은 상기 원위 개구의 제2 직경보다 크고,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근위 개구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 내로 상기 분배 니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분배 니들의 전체가 아닌 일부분을 상기 원위 개구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 밖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유체 몸체. 29.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인접한 제2 부분을 갖는 내부 표면을 정의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의 제2 직경보다 큰 제1 직경을 갖고,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고정 구성 요소 내에 수용되는 경우에, 상기 하우징의 근위부는 상기 고정 구성 요소의 제1 부분 내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의 원위부는 상기 고정 구성 요소의 제2 부분 내에 수용되는, 유체 몸체. 30.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고정 구성 요소를 통해 상기 유체 몸체와 접촉하여 고정될 경우에, 상기 분배 니들은 상기 유체 몸체에 대한 이동으로부터 배제되는, 유체 몸체. 31.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유체 몸체에 탈착식으로 연결 가능한 밸브 시트 홀더 상에 배치되는, 유체 몸체. 32.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밸브 시트 홀더에 탈착식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유체 몸체. 33.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유체 몸체 상의 대응하는 나사산과 탈착식으로 체결하도록 구성된 나사산을 포함하는, 유체 몸체. 34.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배 니들은 그 위에 코팅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은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유체 몸체. 35.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불소를 포함하는, 유체 몸체. 36.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배 니들은 그의 외부 표면 상에 상기 코팅을 포함하고, 루멘을 정의한 내부 표면 상에 상기 코팅이 없는, 유체 몸체. 37. 분사 시스템으로서, 본원의 실시예에 따른 유체 몸체; 상기 밸브 시트를 향해 그리고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멀리 밸브 스템을 왕복 이동시켜 상기 유체 챔버 내의 유체가 상기 유체 유출구 밖으로 그리고 상기 분배 니들 내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를 갖는 분사 분배기를 포함하는, 분사 시스템. 38.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사 시스템은 상기 유체 몸체를 내부에 제거식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유체 몸체 하우징을 포함하고, 상기 유체 몸체 하우징은, 제1 위치(상기 유체 몸체가 상기 분사 분배기에 고정되어 상기 밸브 스템이 상기 분사 분배기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작동 가능한 위치)와 제2 위치(상기 유체 몸체가 상기 분사 분배기로부터 이격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되, 상기 유체 몸체 하우징이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유체 몸체는 상기 유체 몸체 하우징으로부터 제거 가능하고 상기 분사 시스템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분사 시스템.
하나의 예시는 다음을 포함한다: 실시예 39. 분사 분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유체 몸체로서, 상기 유체 몸체는 유체를 내부에 수용하고 유체를 그로부터 분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체 몸체는,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유체 유입구; 유체를 상기 유체 몸체로부터 방출하도록 구성된 유체 유출구; 상기 유체 유입구와 상기 유체 유출구 사이에 정의되고 유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챔버; 상기 챔버에 배치되는 밸브 시트로서, 유체 유출구는 이를 통해 연장되는, 밸브 시트;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챔버 내 왕복 이동하기 위한 밸브 요소로서, 제1 위치에서 상기 밸브 시트와 접촉하고 제2 위치에서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이격되는, 밸브 요소; 및 상기 유체 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상기 유체 유출구로부터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분배 니들을 포함하며, 상기 분배 니들은 그 위에 코팅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은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유체 몸체.
전술한 실시예는 다음의 실시예 중 임의의 하나 또는 하나 이상의 조합을 추가로 포함할 수 있다: 40.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불소를 포함하는, 유체 몸체. 41.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배 니들은 그의 외부 표면 상에 상기 코팅을 포함하고, 루멘을 정의한 내부 표면 상에 상기 코팅이 없는, 유체 몸체. 42.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배 니들은, 근위 말단 및 상기 근위 말단에 대향하는 원위 말단을 갖는 샤프트; 상기 근위 말단과 상기 원위 말단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를 통해 정의되는 루멘; 상기 근위 말단에 배치되고 상기 루멘과 유체 연통하는 니들 유입구로서, 상기 니들 유입구는 상기 유체 유출구로부터 상기 루멘 내로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니들 유입구; 상기 원위 말단에 배치되고 상기 루멘과 유체 연통하는 니들 유출구; 및 상기 근위 말단과 상기 원위 말단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분배 니들은 상기 유체 몸체와 접촉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된 상부 접촉 표면을 정의하고,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유체 몸체와 접촉할 경우에 상기 분배 니들과 상기 유체 몸체 사이에 공간이 정의되고, 상기 공간은 상기 유체 유출구 및 상기 니들 유입구에 인접하고 이들과 유체 연통하는, 유체 몸체. 43.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니들의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유체 몸체. 44.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니들의 하우징은 근위부 및 상기 근위부에 인접한 원위부를 포함하되, 상기 근위부는 제1 직경을 갖고, 상기 원위부는 제2 직경을 갖고, 상기 제1 직경이 상기 제2 직경보다 큰, 유체 몸체. 45.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접촉 표면이 그 위에 밀봉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유체 몸체와 접촉할 경우에 상기 밀봉부는 상기 분배 니들과 상기 유체 몸체 사이에 압축되어 유지되는, 유체 몸체. 46.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약 0.05 세제곱 mm 내지 약 1 세제곱 mm의 부피를 정의하는, 유체 몸체. 47.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분배 니들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고정 구성 요소 내의 상기 분배 니들과 상기 유체 몸체에 탈착식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유체 몸체. 48.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고정 구성 요소의 근위 말단에서의 근위 개구와, 상기 근위 말단에 대향하는 상기 고정 구성 요소의 원위 말단에서의 원위 개구 사이에 리셉터클을 내부에 정의하고,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리셉터클 내로 수용 가능하고,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원위 말단에 인접하고 상기 원위 개구를 정의하는 상기 리셉터클 내로 반경 방향 연장되는 렛지를 포함하고, 상기 근위 개구는 제1 직경을 갖고 상기 원위 개구는 제2 직경을 갖고, 상기 근위 개구의 제1 직경은 상기 원위 개구의 제2 직경보다 크고,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근위 개구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 내로 상기 분배 니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분배 니들의 전체가 아닌 일부분을 상기 원위 개구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 밖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유체 몸체. 49.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인접한 제2 부분을 갖는 내부 표면을 정의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의 제2 직경보다 큰 제1 직경을 갖고,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고정 구성 요소 내에 수용되는 경우에, 상기 하우징의 근위부는 상기 고정 구성 요소의 제1 부분 내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의 원위부는 상기 고정 구성 요소의 제2 부분 내에 수용되는, 유체 몸체. 50.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고정 구성 요소를 통해 상기 유체 몸체와 접촉하여 고정될 경우에, 상기 분배 니들은 상기 유체 몸체에 대한 이동으로부터 배제되는, 유체 몸체. 51.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유체 몸체에 탈착식으로 연결 가능한 밸브 시트 홀더 상에 배치되는, 유체 몸체. 52.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밸브 시트 홀더에 탈착식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유체 몸체. 53. 본원의 실시예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유체 몸체 상의 대응하는 나사산과 탈착식으로 체결하도록 구성된 나사산을 포함하는, 유체 몸체.
다양한 도면의 다양한 구현예와 관련하여, 시스템과 방법이 설명되었지만, 당업자는 본 발명의 넓은 개념으로부터 벗어나지 않는다면 구현예에 변경이 이루어질 수 있음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개시는 개시된 특정 구현예에 제한되지 않으며,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된 바와 같이 본 개시의 사상 및 범주 내에서 변형을 포함하도록 의도됨을 이해할 것이다.

Claims (53)

  1. 분사 분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유체 몸체로서, 상기 유체 몸체는 유체를 내부에 수용하고 유체를 그로부터 분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체 몸체는,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유체 유입구;
    유체를 상기 유체 몸체로부터 방출하도록 구성된 유체 유출구;
    상기 유체 유입구와 상기 유체 유출구 사이에 정의되고 유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챔버;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되는 밸브 시트로서, 상기 유체 유출구는 상기 밸브 시트를 통해 연장되는, 밸브 시트;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챔버 내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된 밸브 요소로서, 제1 위치에서 상기 밸브 시트와 접촉하고 제2 위치에서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이격되는, 밸브 요소;
    상기 유체 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상기 유체 유출구로부터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분배 니들; 및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유체 유출구에 인접한 상기 유체 몸체와 접촉하도록 상기 분배 니들을 상기 유체 몸체에 탈착식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된 고정 너트를 포함하는, 유체 몸체.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니들은,
    근위 말단, 및 상기 근위 말단에 대향하는 원위 말단을 갖는 샤프트;
    상기 근위 말단과 상기 원위 말단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를 통해 정의되는 루멘;
    상기 근위 말단에 배치되고 상기 루멘과 유체 연통하는 니들 유입구로서, 상기 니들 유입구는 상기 유체 유출구로부터 상기 루멘 내로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니들 유입구;
    상기 원위 말단에 배치되고 상기 루멘과 유체 연통하는 니들 유출구; 및
    상기 근위 말단과 상기 원위 말단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분배 니들은 상기 유체 몸체와 접촉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된 상부 접촉 표면을 정의하고,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유체 몸체와 접촉할 경우에, 상기 분배 니들과 상기 유체 몸체 사이에 공간이 정의되고, 상기 공간은 상기 유체 유출구 및 상기 니들 유입구에 인접하고 이들과 유체 연통하는, 유체 몸체.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니들의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유체 몸체.
  4. 제2항 또는 제3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니들의 하우징은 근위부, 및 상기 근위부에 인접한 원위부를 포함하되,
    상기 근위부는 제1 직경을 갖고, 상기 원위부는 제2 직경을 갖고, 상기 제1 직경이 상기 제2 직경보다 큰, 유체 몸체.
  5. 제2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접촉 표면이 그 위에 밀봉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유체 몸체와 접촉할 경우에 상기 밀봉부는 상기 분배 니들과 상기 유체 몸체 사이에 압축되어 유지되는, 유체 몸체.
  6. 제2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약 0.05 세제곱 mm 내지 약 1 세제곱 mm의 부피를 정의하는, 유체 몸체.
  7. 제1항 내지 제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너트는 상기 분배 니들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 너트는 상기 고정 너트 내의 상기 분배 니들과 상기 유체 몸체에 탈착식으로 연결되도록 구성되는, 유체 몸체.
  8. 제1항 내지 제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너트는 상기 고정 너트의 근위 말단에서의 근위 개구와, 상기 근위 말단에 대향하는 상기 고정 너트의 원위 말단에서의 원위 개구 사이에 리셉터클을 내부에 정의하고,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리셉터클 내로 수용 가능하고,
    상기 고정 너트는 상기 원위 말단에 인접하고 상기 원위 개구를 정의하는 상기 리셉터클 내로 반경 방향 연장되는 렛지를 포함하고,
    상기 근위 개구는 제1 직경을 갖고, 상기 원위 개구는 제2 직경을 갖고, 상기 근위 개구의 제1 직경은 상기 원위 개구의 제2 직경보다 크고,
    상기 고정 너트는 상기 근위 개구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 내로 상기 분배 니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 너트는, 상기 분배 니들의 전체가 아닌 일부분을 상기 원위 개구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 밖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유체 몸체.
  9. 제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너트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인접한 제2 부분을 갖는 내부 표면을 정의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의 제2 직경보다 큰 제1 직경을 갖고,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고정 너트 내에 수용되는 경우에, 상기 하우징의 근위부는 상기 고정 너트의 제1 부분 내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의 원위부는 상기 고정 너트의 제2 부분 내에 수용되는, 유체 몸체.
  10. 제1항 내지 제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고정 너트를 통해 상기 유체 몸체와 접촉하여 고정될 경우에, 상기 분배 니들은 상기 유체 몸체에 대한 이동으로부터 배제되는, 유체 몸체.
  11. 제1항 내지 제1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유체 몸체에 탈착식으로 연결 가능한 밸브 시트 홀더 상에 배치되는, 유체 몸체.
  12. 제1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너트는 상기 밸브 시트 홀더에 탈착식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유체 몸체.
  13. 제1항 내지 제1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너트는 상기 유체 몸체 상의 대응하는 나사산과 탈착식으로 체결하도록 구성된 나사산을 포함하는, 유체 몸체.
  14. 제1항 내지 제1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니들은 그 위에 코팅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은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유체 몸체.
  15. 제14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불소를 포함하는, 유체 몸체.
  16. 제14항 또는 제15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니들은 그의 외부 표면 상에 상기 코팅을 포함하고, 루멘을 정의한 내부 표면 상에 상기 코팅이 없는, 유체 몸체.
  17. 분사 시스템으로서,
    제1항 내지 제1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체 몸체;
    상기 밸브 시트를 향해 그리고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멀리 상기 밸브 요소를 왕복 이동시켜 상기 유체 챔버 내의 유체가 상기 유체 유출구 밖으로 그리고 상기 분배 니들 내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를 갖는 분사 분배기를 포함하는, 분사 시스템.
  18. 제17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몸체를 내부에 제거식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유체 몸체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유체 몸체 하우징은, 제1 위치(상기 유체 몸체가 상기 분사 분배기에 고정되어 상기 밸브 요소가 상기 분사 분배기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작동 가능한 위치)와 제2 위치(상기 유체 몸체가 상기 분사 분배기로부터 이격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되,
    상기 유체 몸체 하우징이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유체 몸체는 상기 유체 몸체 하우징으로부터 제거 가능하고 상기 분사 시스템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분사 시스템.
  19. 분사 시스템과 함께 사용하기 위해 분배 니들에 코팅을 도포하기 위한 니들 코팅 홀더로서, 상기 니들 코팅 홀더는,
    상기 코팅을 수용하도록 구성된 챔버를 내부에 정의하는 몸체;
    상기 챔버에 인접한 니들 유지 플레이트로서, 상기 니들 유지 플레이트는 관통 연장되는 애퍼처를 정의하고 상기 애퍼처는 상기 분배 니들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니들 유지 플레이트; 및
    상기 니들 유지 플레이트 내에 배치된 상기 분배 니들과 접촉하여 선택적으로 배치 가능한 커버를 포함하되,
    상기 커버가 상기 분배 니들과 접촉하여 위치하는 경우에, 상기 커버와 상기 분배 니들의 니들 유입구 사이에 기밀 밀봉부가 형성되는, 니들 코팅 홀더.
  20. 제19항에 있어서, 상기 커버와 상기 분배 니들 사이에 탄성중합체 밀봉부를 추가로 포함하는, 니들 코팅 홀더.
  21. 분사 분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유체 몸체로서, 상기 유체 몸체는 유체를 내부에 수용하고 유체를 그로부터 분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체 몸체는,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유체 유입구;
    유체를 상기 유체 몸체로부터 방출하도록 구성된 유체 유출구;
    상기 유체 유입구와 상기 유체 유출구 사이에 정의되고 유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챔버;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되는 밸브 시트로서, 상기 유체 유출구는 상기 밸브 시트를 통해 연장되는, 밸브 시트;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챔버 내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된 밸브 요소로서, 제1 위치에서 상기 밸브 시트와 접촉하고 제2 위치에서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이격되는, 밸브 요소;
    상기 유체 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상기 유체 유출구로부터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분배 니들; 및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유체 유출구에 인접한 상기 유체 몸체와 접촉하도록 상기 분배 니들을 상기 유체 몸체에 탈착식으로 고정하도록 구성된 고정 구성 요소를 포함하는, 유체 몸체.
  22. 제21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니들은,
    근위 말단, 및 상기 근위 말단에 대향하는 원위 말단을 갖는 샤프트;
    상기 근위 말단과 상기 원위 말단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를 통해 정의되는 루멘;
    상기 근위 말단에 배치되고 상기 루멘과 유체 연통하는 니들 유입구로서, 상기 니들 유입구는 상기 유체 유출구로부터 상기 루멘 내로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니들 유입구;
    상기 원위 말단에 배치되고 상기 루멘과 유체 연통하는 니들 유출구; 및
    상기 근위 말단과 상기 원위 말단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분배 니들은 상기 유체 몸체와 접촉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된 상부 접촉 표면을 정의하고,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유체 몸체와 접촉할 경우에, 상기 분배 니들과 상기 유체 몸체 사이에 공간이 정의되고, 상기 공간은 상기 유체 유출구 및 상기 니들 유입구에 인접하고 이들과 유체 연통하는, 유체 몸체.
  23. 제22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니들의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유체 몸체.
  24. 제22항 또는 제23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니들의 하우징은 근위부, 및 상기 근위부에 인접한 원위부를 포함하되,
    상기 근위부는 제1 직경을 갖고, 상기 원위부는 제2 직경을 갖고, 상기 제1 직경이 상기 제2 직경보다 큰, 유체 몸체.
  25. 제22항 내지 제2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접촉 표면이 그 위에 밀봉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유체 몸체와 접촉할 경우에 상기 밀봉부는 상기 분배 니들과 상기 유체 몸체 사이에 압축되어 유지되는, 유체 몸체.
  26. 제22항 내지 제2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약 0.05 세제곱 mm 내지 약 1 세제곱 mm의 부피를 정의하는, 유체 몸체.
  27. 제21항 내지 제2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분배 니들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고정 구성 요소 내의 상기 분배 니들과 상기 유체 몸체에 탈착식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유체 몸체.
  28. 제21항 내지 제2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고정 구성 요소의 근위 말단에서의 근위 개구와, 상기 근위 말단에 대향하는 상기 고정 구성 요소의 원위 말단에서의 원위 개구 사이에 리셉터클을 내부에 정의하고,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리셉터클 내로 수용 가능하고,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원위 말단에 인접하고 상기 원위 개구를 정의하는 상기 리셉터클 내로 반경 방향 연장되는 렛지를 포함하고,
    상기 근위 개구는 제1 직경을 갖고, 상기 원위 개구는 제2 직경을 갖고, 상기 근위 개구의 제1 직경은 상기 원위 개구의 제2 직경보다 크고,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근위 개구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 내로 상기 분배 니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분배 니들의 전체가 아닌 일부분을 상기 원위 개구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 밖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유체 몸체.
  29. 제24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인접한 제2 부분을 갖는 내부 표면을 정의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의 제2 직경보다 큰 제1 직경을 갖고,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고정 구성 요소 내에 수용되는 경우에, 상기 하우징의 근위부는 상기 고정 구성 요소의 제1 부분 내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의 원위부는 상기 고정 구성 요소의 제2 부분 내에 수용되는, 유체 몸체.
  30. 제21항 내지 제2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고정 구성 요소를 통해 상기 유체 몸체와 접촉하여 고정될 경우에, 상기 분배 니들은 상기 유체 몸체에 대한 이동으로부터 배제되는, 유체 몸체.
  31. 제21항 내지 제3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유체 몸체에 탈착식으로 연결 가능한 밸브 시트 홀더 상에 배치되는, 유체 몸체.
  32. 제3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밸브 시트 홀더에 탈착식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유체 몸체.
  33. 제21항 내지 제3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유체 몸체 상의 대응하는 나사산과 탈착식으로 체결하도록 구성된 나사산을 포함하는, 유체 몸체.
  34. 제21항 내지 제3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니들은 그 위에 코팅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은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유체 몸체.
  35. 제34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불소를 포함하는, 유체 몸체.
  36. 제34항 또는 제35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니들은 그의 외부 표면 상에 상기 코팅을 포함하고, 루멘을 정의한 내부 표면 상에 상기 코팅이 없는, 유체 몸체.
  37. 분사 시스템으로서,
    제21항 내지 제36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유체 몸체;
    상기 밸브 시트를 향해 그리고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멀리 밸브 요소를 왕복 이동시켜 상기 유체 챔버 내의 유체가 상기 유체 유출구 밖으로 그리고 상기 분배 니들 내로 이동하도록 구성된 액추에이터를 갖는 분사 분배기를 포함하는, 분사 시스템.
  38. 제37항에 있어서, 상기 유체 몸체를 내부에 제거식으로 수용하도록 구성된 유체 몸체 하우징을 추가로 포함하고, 상기 유체 몸체 하우징은, 제1 위치(상기 유체 몸체가 상기 분사 분배기에 고정되어 상기 밸브 스템이 상기 분사 분배기의 액추에이터에 의해 작동 가능한 위치)와 제2 위치(상기 유체 몸체가 상기 분사 분배기로부터 이격되는 위치) 사이에서 이동 가능하되,
    상기 유체 몸체 하우징이 상기 제2 위치에 있는 경우, 상기 유체 몸체는 상기 유체 몸체 하우징으로부터 제거 가능하고 상기 분사 시스템으로부터 분리 가능한, 분사 시스템.
  39. 분사 분배기와 함께 사용하기 위한 유체 몸체로서, 상기 유체 몸체는 유체를 내부에 수용하고 유체를 그로부터 분사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유체 몸체는,
    유체 공급원으로부터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유체 유입구;
    유체를 상기 유체 몸체로부터 방출하도록 구성된 유체 유출구;
    상기 유체 유입구와 상기 유체 유출구 사이에 정의되고 유체를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된 챔버;
    상기 챔버 내에 배치되는 밸브 시트로서, 상기 유체 유출구는 상기 밸브 시트를 통해 연장되는, 밸브 시트;
    제1 위치와 제2 위치 사이에서 상기 챔버 내 왕복 이동하도록 구성된 밸브 요소로서, 제1 위치에서 상기 밸브 시트와 접촉하고 제2 위치에서 상기 밸브 시트로부터 이격되는, 밸브 요소; 및
    상기 유체 몸체로부터 분리 가능하고 상기 유체 유출구로부터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된 분배 니들을 포함하며,
    상기 분배 니들은 그 위에 코팅을 포함하고, 상기 코팅은 표면 장력을 감소시키도록 구성되는, 유체 몸체.
  40.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코팅은 불소를 포함하는, 유체 몸체.
  41. 제40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니들은 그의 외부 표면 상에 상기 코팅을 포함하고, 루멘을 정의한 내부 표면 상에 상기 코팅이 없는, 유체 몸체.
  42. 제39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니들은,
    근위 말단, 및 상기 근위 말단에 대향하는 원위 말단을 갖는 샤프트;
    상기 근위 말단과 상기 원위 말단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를 통해 정의되는 루멘;
    상기 근위 말단에 배치되고 상기 루멘과 유체 연통하는 니들 유입구로서, 상기 니들 유입구는 상기 유체 유출구로부터 상기 루멘 내로 유체를 수용하도록 구성되는, 니들 유입구;
    상기 원위 말단에 배치되고 상기 루멘과 유체 연통하는 니들 유출구; 및
    상기 근위 말단과 상기 원위 말단 사이에서 상기 샤프트의 적어도 일부를 둘러싸는 하우징을 포함하되,
    상기 분배 니들은 상기 유체 몸체와 접촉하여 배치되도록 구성된 상부 접촉 표면을 정의하고,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유체 몸체와 접촉할 경우에, 상기 분배 니들과 상기 유체 몸체 사이에 공간이 정의되고, 상기 공간은 상기 유체 유출구 및 상기 니들 유입구에 인접하고 이들과 유체 연통하는, 유체 몸체.
  43. 제42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니들의 하우징은 실질적으로 원통형인, 유체 몸체.
  44. 제42항 또는 제43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니들의 하우징은 근위부, 및 상기 근위부에 인접한 원위부를 포함하되,
    상기 근위부는 제1 직경을 갖고, 상기 원위부는 제2 직경을 갖고, 상기 제1 직경이 상기 제2 직경보다 큰, 유체 몸체.
  45. 제42항 내지 제4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 접촉 표면이 그 위에 밀봉부를 수용하도록 구성되어,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유체 몸체와 접촉할 경우에 상기 밀봉부는 상기 분배 니들과 상기 유체 몸체 사이에 압축되어 유지되는, 유체 몸체.
  46. 제42항 내지 제45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공간은 약 0.05 세제곱 mm 내지 약 1 세제곱 mm의 부피를 정의하는, 유체 몸체.
  47. 제39항 내지 제46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고정 구성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분배 니들을 내부에 수용하도록 구성되며,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고정 구성 요소 내의 상기 분배 니들과 상기 유체 몸체에 탈착식으로 연결하도록 구성되는, 유체 몸체.
  48. 제39항 내지 제47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고정 구성 요소의 근위 말단에서의 근위 개구와, 상기 근위 말단에 대향하는 상기 고정 구성 요소의 원위 말단에서의 원위 개구 사이에 리셉터클을 내부에 정의하고,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리셉터클 내로 수용 가능하고,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원위 말단에 인접하고 상기 원위 개구를 정의하는 상기 리셉터클 내로 반경 방향 연장되는 렛지를 포함하고,
    상기 근위 개구는 제1 직경을 갖고, 상기 원위 개구는 제2 직경을 갖고, 상기 근위 개구의 제1 직경은 상기 원위 개구의 제2 직경보다 크고,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근위 개구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 내로 상기 분배 니들을 수용하도록 구성되고,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분배 니들의 전체가 아닌 일부분을 상기 원위 개구를 통해 상기 리셉터클 밖으로 이동시키도록 구성되는, 유체 몸체.
  49. 제44항에 있어서, 고정 구성 요소를 추가로 포함하되,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제1 부분과 상기 제1 부분에 인접한 제2 부분을 갖는 내부 표면을 정의하고, 상기 제1 부분은 상기 제2 부분의 제2 직경보다 큰 제1 직경을 갖고,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고정 구성 요소 내에 수용되는 경우에, 상기 하우징의 근위부는 상기 고정 구성 요소의 제1 부분 내에 수용되고, 상기 하우징의 원위부는 상기 고정 구성 요소의 제2 부분 내에 수용되는, 유체 몸체.
  50. 제39항 내지 제49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분배 니들이 상기 고정 구성 요소를 통해 상기 유체 몸체와 접촉하여 고정될 경우에, 상기 분배 니들은 상기 유체 몸체에 대한 이동으로부터 배제되는, 유체 몸체.
  51. 제39항 내지 제50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밸브 시트는 상기 유체 몸체에 탈착식으로 연결 가능한 밸브 시트 홀더 상에 배치되는, 유체 몸체.
  52. 제5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밸브 시트 홀더에 탈착식으로 부착되도록 구성되는, 유체 몸체.
  53. 제39항 내지 제52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 구성 요소는 상기 유체 몸체 상의 대응하는 나사산과 탈착식으로 체결하도록 구성된 나사산을 포함하는, 유체 몸체.
KR1020220017966A 2021-02-11 2022-02-11 유체 분사 밸브와 분사 니들의 통합 및 이의 방법 KR2022011578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US202163148339P 2021-02-11 2021-02-11
US63/148,339 2021-02-11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789A true KR20220115789A (ko) 2022-08-18

Family

ID=8249345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0017966A KR20220115789A (ko) 2021-02-11 2022-02-11 유체 분사 밸브와 분사 니들의 통합 및 이의 방법

Country Status (5)

Country Link
US (1) US20220250099A1 (ko)
JP (1) JP2022123882A (ko)
KR (1) KR20220115789A (ko)
CN (1) CN114918097A (ko)
DE (1) DE102022103257A1 (ko)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CN114918097A (zh) 2022-08-19
JP2022123882A (ja) 2022-08-24
US20220250099A1 (en) 2022-08-11
DE102022103257A1 (de) 2022-08-1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RU2601337C2 (ru) Пистолет-краскораспылитель с возможностью легкой очистки, принадлежности для пистолета-краскораспылителя и способ их монтажа и демонтажа
RU2380169C2 (ru) Легко очищающийся пистолет-распылитель
RU2571133C2 (ru) Насадки сопел и узлы распылительной головки для краскопультов
CN103084289B (zh) 容积式分配器和用于分配离散量的液体的方法
CN107635671B (zh) 喷枪、液体引导机构以及具有液体引导机构的系统
JP5329257B2 (ja) ペイント計量シリンダ
US20120104044A1 (en) Multiple component dispensing cartridge, mixing nozzle and method for reducing contact between fluids
US20080128454A1 (en) Dispensing Appliance and Cartridge Therefor
RU2635706C2 (ru) Выпускной узел и резервуары, содержащие его
EP4371671A2 (en) Spray applicator with a stationary mix chamber
EP3085458B1 (en) Device and method for coating elongate objects
KR20220115789A (ko) 유체 분사 밸브와 분사 니들의 통합 및 이의 방법
JP7071494B2 (ja) 封止膜を備えるアプリケータ
KR20180124102A (ko) 제1 유체 및 제2 유체를 위한 병렬식 카트리지 조립체
CN116889939A (zh) 喷嘴板和液体喷出装置
CN116528988A (zh) 固定式混合室
KR100301169B1 (ko) 이액형 폴리우레탄 용액 발포 건
KR20230029978A (ko) 유체 저장 캔을 유체 도포기에 연결하기 위한 어댑터
EP3599032A1 (en) Dispensing tube for dispensing liquid materials
RU2457041C2 (ru) Одноразовый картридж для пистолета-краскораспылителя
EP2274568B1 (en) Cleaning fluid cartridge
CN117320802A (zh) 用于多组分喷洒器的混合器、气帽和混合室组件
WO2023237752A1 (en) Cleaning tool for foam guns
RU117314U1 (ru) Смеситель универсальный аэрозольный