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5302A -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 - Google Patents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5302A
KR20220115302A KR1020210019142A KR20210019142A KR20220115302A KR 20220115302 A KR20220115302 A KR 20220115302A KR 1020210019142 A KR1020210019142 A KR 1020210019142A KR 20210019142 A KR20210019142 A KR 20210019142A KR 20220115302 A KR20220115302 A KR 202201153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unit
companion
companion animal
bath device
washing wate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914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8968B1 (ko
Inventor
정채영
Original Assignee
정채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정채영 filed Critical 정채영
Priority to KR102021001914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8968B1/ko
Publication of KR202201153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5302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896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896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00Housing animals; Equipment therefor
    • A01K1/06Devices for fastening animals, e.g. halters, toggles, neck-bars or chain fastenings
    • A01K1/0613Devices for immobilisation or restraint of animals, e.g. chute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5/00Devices for taming animals, e.g. nose-rings or hobbles; Devices for overturning animals in general; Training or exercising equipment; Covering boxes
    • A01K15/04Devices for impeding movement; Devices for impeding passage through fencing, e.g. hobbles or the like; Anti-kicking device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01PHYSICAL OR CHEMICAL PROCESSES OR APPARATUS IN GENERAL
    • B01DSEPARATION
    • B01D35/00Filtering devices having feature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or for applications not specifically covered by groups B01D24/00 - B01D33/00; Auxiliary devices for filtration; Filter housing constructions
    • B01D35/02Filters adapted for location in special places, e.g. pipe-lines, pumps, stop-cock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hemical Kinetics & Catalysis (AREA)
  • Housing For Livestock And Birds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목욕시키는 중에 반려동물의 스트레스가 최소화되도록 반려인이 반려동물과 충분히 교감하면서도 반려인이나 주변으로 물이나 비눗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 그 기술적 과제이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는, 반려인(주인)이 반려동물을 목욕시키기 위한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로, 내부 수용부와 둘레 개방부와 그리고 상부 개방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상부 개방부를 여닫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상부 덮개부; 상기 둘레 개방부에 구비되는 둘레 덮개부; 상기 둘레 덮개부에 구비되며 반려인의 손을 상기 내부 수용부로 삽입하기 위한 손 삽입부;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 수용부에 놓인 반려동물을 향해 세척수를 분출시키기 위한 분출부; 및 상기 몸체의 바닥에 구비되며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배수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Bath apparatus for pet animal}
본 발명은 반려 동물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반려동물은, 인간의 즐거움을 위한 소유물이 아니라, 반려자(친구)로서 대우하자는 의미에서 "애완 동물"로부터 순화된 말이다. 이러한 반려동물로는 반려견이나 반려고양이 등이 대표적이다.
우리나라에서도 반려동물을 키우며 함께 사는 인구(반려인)가 어느새 1,000만명이 넘어가고 있다. 1인 가족이 확산되고 노령인구가 늘어나면서 더욱 더 반려동물인구는 늘어날 것으로 기대된다.
이와 같이 반려인이 증대됨에 따라 반려동물의 청결이나 위생 등의 관리의 필요성이 대두되고 있다. 반려동물을 한 달에 두 세번 씻기는 횟수를 제외 하고라도 일상 생활 중에 음식물을 섭취하다 털에 이물질이 묻거나 산책을 하고 왔을 시 그 외 여러 상황으로 씻겨야 하는 일이 잦다.
반려동물을 목욕시키기 위한 기존의 기술로, 우선 개의 크기에 맞는 전용 욕조를 마련하고 그 안에 미지근한 물 담아 개를 내려놓고 미리 물로 깨끗이 씻은 후 개 전용의 샴푸를 온몸에 바르고 거품을 일으키면서 씻는 기술이 일반적으로 사용된다.
하지만, 개는 얼굴에 물이 묻으면 당장 부르르 털어버리는 습성이 있어서 샤워나 비누칠 중 털게 되면 물이나 비눗물이 튀어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문제가 있고, 목욕을 시키는 반려인(주인)도 비눗물을 뒤집어쓰게 되는 문제가 있다.
또한, 개의 특성상 개가 욕조에 가만히 있으려 하지 않고 목욕 중에 밖으로 뛰쳐나가려고 하므로 목줄이나 꼬리를 반려인(주인)이 손으로 붙잡고 목욕을 시켜야 하는 등 목욕시키기가 어려운 문제가 있다.
또한, 목욕 후 드라이기로 털을 말리는 동안 털날림으로 주변이 지저분해지는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목욕시키는 중에 반려동물의 스트레스가 최소화되도록 반려인이 반려동물과 충분히 교감하면서도 반려인이나 주변으로 물이나 비눗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반려동물이 밖으로 뛰쳐나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목욕 후에 털날림 없이 반려동물의 털을 말릴 수 있는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기술적 과제는, 반려동물을 씻길 때 반려인이 앉거나 서서 씻길 수 있도록 반려인의 눈높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는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는, 반려인(주인)이 반려동물을 목욕시키기 위한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로, 내부 수용부와 둘레 개방부와 그리고 상부 개방부를 포함하는 몸체; 상기 상부 개방부를 여닫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상부 덮개부; 상기 둘레 개방부에 구비되는 둘레 덮개부; 상기 둘레 덮개부에 구비되며 반려인의 손을 상기 내부 수용부로 삽입하기 위한 손 삽입부;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 수용부에 놓인 반려동물을 향해 세척수를 분출시키기 위한 분출부; 및 상기 몸체의 바닥에 구비되며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배수부;를 포함한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는,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로 인해 상기 상부 덮개에 서린 김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 공기를 급기시키는 급기부; 및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급기부와 함께 상기 내부 수용부의 공기가 환기되도록 상기 내부 수용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는, 상기 배수부와 상기 배기부를 연통시키는 연결 라인; 및 상기 배수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수부와 상기 배기부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을 거르는 이물질 거름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출부는, 상기 내부 수용부에 놓인 반려동물을 향해 세척수를 분출시킨 후 반려동물의 털을 말리기 위한 드라이용 바람을 선택적으로 분출시킬 수 있다.
상기 분출부는,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세척수를 상기 내부 수용부로 공급하는 세척수 공급부;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드라이용 공기를 상기 내부 수용부로 공급하는 드라이용 공기 공급부; 상기 세척수 공급부와 상기 드라이용 공기 공급부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키는 선택 구동 버튼부; 상기 세척수 공급부와 상기 드라이용 공기 공급부에 각각 연결되기 위해 선단부가 분지되고 상기 세척수와 상기 드라이용 바람 중 어느 하나를 말단부까지 안내하는 공급 호스; 및 상기 공급 호스의 말단에 구비되며 세척수와 드라이용 바람 중 어느 하나를 분출시키는 샤워 단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 호스는, 한 번 이상 벤딩된 벤딩부; 및 상기 벤딩부를 기준으로 휘어져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중첩 배치부;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분출부는, 상기 벤딩부를 상기 몸체에 탄성 지지하며 상기 샤워 단말부가 당겨질 경우 상기 공급 호스가 인출되면서 상기 벤딩부에 복원력을 제공하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샤워 단말부는, 반려인의 손에 착용하기 위한 장갑 형태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장갑 형태의 샤워 단말부는, 반려인의 손 바닥에 위치되는 손 바닥부; 상기 손 바닥부를 반려인의 손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시키는 손 착탈부; 및 상기 손 바닥부에 형성되며 상기 공급 호스와 연통되는 복수의 분출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출부는, 상기 공급 호스의 상기 분지된 부분에 구비되며 상기 세척수가 상기 드라이용 공기 공급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하는 역류 방지 밸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둘레 덮개부는, 상기 둘레 개방부를 따라 길게 구비되며 상기 둘레 개방부의 상부에 구비되는 상부 걸이봉; 상기 둘레 개방부를 따라 길게 구비되며 상기 둘레 개방부의 하부에 구비되는 하부 걸이봉; 및 상기 상부 걸이봉과 상기 하부 걸이봉에 상부와 하부가 각각 삽입되되 상기 상부 걸이봉과 상기 하부 걸이봉을 따라 전후 이동되면서 상기 둘레 개방부를 여닫는 방수 커튼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 커튼부는, 상기 둘레 개방부의 좌측 반부를 여닫는 좌측 방수 커튼; 및 상기 둘레 개방부의 우측 반부를 여닫는 우측 방수 커튼;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 커튼부는, 상기 좌측 방수 커튼과 상기 우측 방수 커튼이 닫힌 상태에서 서로 연결시키는 커튼 연결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상부 걸이봉과 상기 하부 걸이봉 각각은, 위에서 볼 때 영어 알파벳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상기 손 삽입부는, 상기 좌측 방수 커튼에 구비되는 좌측 손 삽입부; 및 상기 우측 방수 커튼에 구비되는 우측 손 삽입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손 삽입부는, 방수 커튼부에 관통되게 연결되는 커플링; 상기 커플링에 구비되며 반려인의 팔의 길이 정도로 신축되는 주름관; 및 상기 주름관의 말단에 연장되며 반려인의 손목에 밀착되기 위한 손목 밀착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는, 상기 몸체의 내부에 반려동물을 결박시키기 위한 결박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결박부는, 상기 몸체의 내면의 일부에 구비되는 제1 목줄 고리; 상기 몸체의 내면의 타부에 구비되는 제2 목줄 고리; 반려동물의 목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하기 위한 목띠; 상기 목띠의 일측과 상기 제1 목줄 고리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1 목줄; 및 상기 목띠의 타측과 상기 제2 목줄 고리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하는 제2 목줄;을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는,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제1 목줄과 상기 제2 목줄을 보관하거나 목용 용품을 보관하는 보관함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는, 상기 상부 덮개부의 상면에 구비되며 전원을 온/오프시키는 메인 전원 버튼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방수 커튼부는, 상기 상부 걸이봉과 상기 하부 걸이봉에 각각 끼워지고 상기 좌측 방수 커튼과 상기 우측 방수 커튼에 각각 고정되어 상기 좌측 방수 커튼과 상기 우측 방수 커튼의 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하는 복수의 링 부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공급 호스는, 상기 몸체의 내부 수용부의 좌측에 구비되는 좌측 공급 호스; 및 상기 몸체의 내부 수용부의 우측에 구비되며 상기 좌측 공급 호스와 연통되는 우측 공급 호스;를 포함할 수 있고, 상기 장갑 형태의 샤워 단말부는, 상기 좌측 공급 호스의 말단에 구비되며 반려인의 왼 손에 착용하기 위한 왼손용 샤워 단말부; 및 상기 우측 공급 호스의 말단에 구비되며 반려인의 오른 손에 착용하기 위한 오른손용 샤워 단말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술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는, 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의 높낮이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높낮이 조절부는, 상기 몸체를 받치며 상기 몸체의 상하 이동을 안내하는 상하 안내 받침부; 상기 몸체의 저면과 상기 상하 안내 받침부 사이에 구비되고 서로 교차되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되는 복수의 링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링크 부재는, 상기 몸체의 저면에 일단부가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고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상하 안내 받침부에 타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1 링크 부재; 및 상기 제1 링크 부재에 중심부가 교차되어 회동되고 상기 몸체의 저면에 일단부가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고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고 상기 상하 안내 받침부에 타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되는 제2 링크 부재;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는 다음과 같은 효과를 가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반려인이 반려동물을 목욕시키기 위한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로, 몸체와, 상부 덮개부와, 둘레 덮개부와, 손 삽입부와, 분출부와, 그리고 배수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반려인이 손 삽입부를 통해 몸체의 내부 수용부로 손을 집어넣어 내부 수용부에 있는 반려동물을 만질 수 있고 분출부를 통해 세척수를 분출시키면서 반려동물을 목욕시킬 수 있어, 목욕시키는 중에 반려동물의 스트레스가 최소화되도록 반려인이 반려동물과 충분히 교감할 수 있고, 특히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상부 덮개부를 통해 반려동물을 볼 수 있으면서도 반려인이나 주변으로 물이나 비눗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급기부와 배기부를 더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급기부와 배기부를 통해 외기가 몸체의 내부 수용부로 유입됨과 더불어 내부 수용부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어, 이러한 환기를 통해 내부 수용부에 놓인 반려동물에게 신선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고, 몸체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를 줄여 상부 덮개부에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연결 라인과 이물질 거름부를 더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배기부를 통해 배기되는 이물질(반려동물의 털 등)을 포함한 공기가 연결 라인을 통해 배수부로 안내될 수 있고,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반려동물의 털 등)이 배수부를 통해 배수되는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과 함께 이물질 거름부에서 걸러질 수 있어, 하나의 이물질 거름부로 공기의 이물질과 세척수의 이물질을 모두 거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분출부는 세척수와 드라이용 바람을 선택적으로 분출시키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세척수를 통해 반려동물의 목욕을 진행한 후에 몸체의 내부 수용부에서 그대로 드라이용 바람을 통해 반려동물의 털을 말릴 수 있어, 상부 덮개부 등에 의해 외부로의 털날림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분출부는 세척수 공급부, 드라이용 공기 공급부, 선택 구동 버튼부, 공급 호스, 그리고 샤워 단말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선택 구동 버튼부를 통해 세척수 공급부와 드라이용 공기 공급부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세척수와 드라이용 공기 중 어느 하나를 제공받을 수 있고, 이 제공된 것이 공급 호스를 통해 샤워 단말부까지 안내되어 샤워 단말부로부터 분출될 수 있어, 세척수와 드라이용 공기 중 어느 하나를 반려동물의 구석구석 원하는 위치로 충분히 분출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공급 호스는 벤딩부와 중첩 배치부를 포함하고, 분출부는 탄성 부재를 더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반려인에 의해 샤워 단말부가 원하는 위치까지 당겨질 경우 공급 호스의 중첩 배치부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대신 공급 호스가 인출될 수 있고, 이렇게 당겨지는 동안 탄성 부재를 통해 벤딩부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어 반려인이 샤워 단말부를 가만히 둘 경우 당겨진 공급 호스의 벤딩부가 복원력에 의해 원 위치되면서 공급 호스가 다시 인입될 수 있어, 이렇게 원 위치되면서 공급 호스가 몸체의 내부 수용부에 지저분하게 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샤워 단말부는 장갑 형태를 가지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반려인이 샤워 단말부를 손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어, 목욕을 진행하는 동안 반려동물을 계속해서 만질 수 있는 등 반려동물과 교감을 더욱 높일 수 있고 반려동물의 스트레스를 더욱 줄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분출부는 역류 방지 밸브를 더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역류 방지 밸브를 통해 공급 호스를 통해 안내되는 세척수가 드라이용 공기 공급부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드라이용 공기 공급부가 세척수로 인해 누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둘레 덮개부는 상부 걸이봉, 하부 걸이봉, 그리고 방수 커튼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방수 커튼부를 상부 걸이봉과 하부 걸이봉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으로 둘레 개방부를 여닫을 수 있어, 목욕 중에는 둘레 개방부를 닫아 세척수가 외부로 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목욕을 하지 않는 일상 생활 중에는 둘레 개방부를 열어 반려동물의 충분히 드나들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를 반려동물의 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손 삽입부는 커플링, 주름관, 그리고 손목 밀착부를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반려인의 손목이 손목 밀착부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손을 깊숙이 몸체의 내부 수용부로 집어 널을 경우 주름관이 충분한 길이로 신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름관의 특성상 자유자재로 벤딩(bending)되면서 반려인의 팔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어, 보다 원활하게 반려동물의 구석구석을 세척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결박부를 더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몸체의 내부 수용부에 반려동물을 결박시킬 수 있어, 목욕 중에 반려동물이 뛰쳐나가는 등의 이상 행동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결박부는 제1 목줄 고리, 제2 목줄 고리, 목띠, 제1 목줄, 그리고 제2 목줄을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반려동물의 목을 제1 목줄을 통해 몸체의 제1 목줄 고리에 고정시키고 제2 목줄을 통해 몸체의 제2 목줄 고리에 고정시킬 수 있는 등 대략 180도 간격을 두고 2 군데에서 고정할 수 있어, 반려동물을 보다 완벽하게 결박시킬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예에 의하면, 높낮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 기술구성을 제공하므로, 반려동물을 씻길 때 반려인이 앉거나 서서 씻길 수 있도록 반려인의 눈높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다. 도 2는 도 1의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를 뒤에서 바라본 배면 사시도이다. 도 3은 도 1의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를 옆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4의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에서 상부 덮개부가 열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 중 둘레 덮개부와 손 삽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 사시도이다. 도 6은 도 5의 손 삽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 중 방수 커튼부를 이루는 좌측 방수 커튼과 우측 방수 커튼이 커튼 연결부에 의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도 7의 커튼 연결부에 의해 좌측 방수 커튼과 우측 방수 커튼이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둘레 덮개부를 이루는 방수 커튼부가 복수의 링 부재를 통해 상부 걸이봉과 하부 걸이봉에 이동 가능하게 걸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분출부를 이루는 공급 호스가 탄성 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1은 사용자의 양 손에 샤워 단말부가 착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2는 도 11의 샤워 단말부가 당겨지면서 공급 호스가 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샤워 단말부에서 손 바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4는 도 11의 샤워 단말부에서 손 착탈부를 중심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급기부를 통해 외기가 몸체이 내부 수용부로 유입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6은 배기구와 배수구를 연결하는 연결 라인과 이물질 거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 중 결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8은 도 17의 결박부를 통해 반려동물이 몸체의 내부 수용부에 결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은 목욕 용품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함이 몸체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0은 반려인이 상부 덮개부를 통해 몸체의 내부 수용부를 보면서 반려동물을 목욕시키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이하,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은 여러 가지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여기에서 설명하는 실시예에 한정되지 않는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정면 사시도이고, 도 2는 도 1의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를 뒤에서 바라본 배면 사시도이며, 그리고 도 3은 도 1의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를 옆에서 바라본 측면도이다. 도 4는 도 4의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에서 상부 덮개부가 열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5는 도 1의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 중 둘레 덮개부와 손 삽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 사시도이고, 도 6은 도 5의 손 삽입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 사시도이다.
도 7은 도 1의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 중 방수 커튼부를 이루는 좌측 방수 커튼과 우측 방수 커튼이 커튼 연결부에 의해 분리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8은 도 7의 커튼 연결부에 의해 좌측 방수 커튼과 우측 방수 커튼이 연결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9는 도 5의 둘레 덮개부를 이루는 방수 커튼부가 복수의 링 부재를 통해 상부 걸이봉과 하부 걸이봉에 이동 가능하게 걸린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은 분출부를 이루는 공급 호스가 탄성 부재에 의해 탄성 지지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1은 사용자의 양 손에 샤워 단말부가 착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며, 그리고 도 12는 도 11의 샤워 단말부가 당겨지면서 공급 호스가 인출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3은 도 11의 샤워 단말부에서 손 바닥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4는 도 11의 샤워 단말부에서 손 착탈부를 중심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5는 급기부를 통해 외기가 몸체이 내부 수용부로 유입되는 과정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6은 배기구와 배수구를 연결하는 연결 라인과 이물질 거름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7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 중 결박부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18은 도 17의 결박부를 통해 반려동물이 몸체의 내부 수용부에 결박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도 19은 목욕 용품을 보관하기 위한 보관함이 몸체에 장착된 상태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고, 도 20은 반려인이 상부 덮개부를 통해 몸체의 내부 수용부를 보면서 반려동물을 목욕시키는 모습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도면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100)는, 도 1 내지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인이 반려동물을 목욕시키기 위한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로, 몸체(110)와, 상부 덮개부(120)와, 둘레 덮개부(130)와, 손 삽입부(140)와, 분출부(150)와, 그리고 배수부(160)를 포함한다. 이하, 도 1 내지 도 20을 계속 참조하여, 각 구성요소에 대해 상세히 설명한다.
몸체(110)는,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의 바디를 이루는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몸체(110)는, 도 1 내지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내부 수용부(111)와 둘레 개방부(112)와 그리고 상부 개방부(113)를 포함할 수 있다. 내부 수용부(111)는 둘레 개방부(112)에도 연통되고 상부 개방부(113)에도 연통될 수 있다. 나아가, 둘레 개방부(112)에는 반려인의 손을 집어넣을 수 있도록 둘레 덮개부(130)와 손 삽입부(140)가 구성될 수 있고, 상부 개방부(113)에는 반려동물이 놓인 내부 수용부(111)를 반려인이 볼 수 있도록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상부 덮개부(120)가 구성될 수 있다.
상부 덮개부(120)는, 몸체(110)의 상부 개방부(113)를 여닫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상부 덮개부(120)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로 이루어질 수 있다. 나아가, 상부 덮개부(120)는,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힌지를 기준으로 상하 회전되는 여닫이 도어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둘레 덮개부(130)는, 몸체(110)의 둘레 개방부(112)를 여닫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둘레 덮개부(130)는,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둘레 개방부(112)에 구비될 수 있다. 둘레 덮개부(13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손 삽입부(140)는, 반려인의 손을 몸체(110)의 내부 수용부(111)로 삽입하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손 삽입부(14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둘레 덮개부(130)에 구비될 수 있다. 나아가 손 삽입부(140)는, 둘레 덮개부(130)가 닫힌 상태에서 손 삽입부(140)를 통해 반려인의 손을 삽입할 수 있도록 구성될 수 있다.
분출부(150)는, 내부 수용부(111)에 놓인 반려동물을 향해 세척수 등을 분출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분출부(150)는,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 또는 상부 덮개부(120)에 구비될 수 있다. 분출부(150)에 대한 보다 구체적인 설명은 후술하기로 한다.
배수부(160)는, 세척하고 난 세척수를 외부로 배출시키기 위한 구성요소이다. 이러한 배수부(16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바닥에 형성된 배수구와 이에 연결되는 배수관을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이와 같은 구성요소들이 제공되므로, 반려인이 손 삽입부(140)를 통해 몸체(110)의 내부 수용부(111)로 손을 집어넣어 내부 수용부(111)에 있는 반려동물을 만질 수 있고 분출부(150)를 통해 세척수를 분출시키면서 반려동물을 목욕시킬 수 있어, 목욕시키는 중에 반려동물의 스트레스가 최소화되도록 이러하 스킨십을 통해 반려인이 반려동물과 충분히 교감할 수 있고, 특히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상부 덮개부(120)를 통해 반려동물을 볼 수 있으면서도 반려인이나 주변으로 물이나 비눗물이 튀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1, 도 2, 도 10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상술한 분출부(15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분출부(150)는, 내부 수용부(111)에 놓인 반려동물을 향해 세척수를 분출시킨 후 반려동물의 털을 말리기 위한 드라이용 바람을 선택적으로 분출시키는 메커니즘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따라서, 세척수를 통해 반려동물의 목욕을 진행한 후에 몸체(110)의 내부 수용부(111)에서 그대로 드라이용 바람을 통해 반려동물의 털을 말릴 수 있어, 상부 덮개부(120) 등에 의해 외부로의 털날림을 방지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분출부(150)는, 도 1, 도 2,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세척수 공급부(151), 드라이용 공기 공급부(152), 선택 구동 버튼부(153), 공급 호스(154), 그리고 샤워 단말부(155)를 포함할 수 있다. 세척수 공급부(151)는 몸체(110) 또는 상부 덮개부(1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세척수를 몸체(110)의 내부 수용부(111)로 공급할 수 있고, 드라이용 공기 공급부(152)는 몸체(110) 또는 상부 덮개부(120)에 구비될 수 있으며 드라이용 공기를 몸체(110)의 내부 수용부(111)로 공급할 수 있다. 선택 구동 버튼부(153)는 세척수 공급부(151)와 드라이용 공기 공급부(152)를 선택적으로 구동시킬 수 있으며 세척수 버튼(153a)과 드라이용 공기 버튼(153b)으로 구분될 수 있다. 공급 호스(154)는 세척수 공급부(151)와 드라이용 공기 공급부(152)에 각각 연결되기 위해 그 선단부가 분지될 수 있고 세척수와 드라이용 바람 중 어느 하나를 그 말단부까지 안내할 수 있고, 샤워 단말부(155)는 공급 호스(154)의 말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세척수와 드라이용 바람 중 어느 하나를 분출시킬 수 있다.
따라서, 선택 구동 버튼부(153)를 통해 세척수 공급부(151)와 드라이용 공기 공급부(152) 중 어느 하나를 구동시키는 것으로 세척수와 드라이용 공기 중 어느 하나를 제공받을 수 있고, 이 제공된 것이 공급 호스(154)를 통해 샤워 단말부(155)까지 안내되어 샤워 단말부(155)로부터 분출될 수 있어, 세척수와 드라이용 공기 중 어느 하나를 반려동물의 구석구석 원하는 위치로 충분히 분출시킬 수 있다.
나아가, 공급 호스(154)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벤딩부(154a)와 중첩 배치부(154b)를 포함할 수 있다. 벤딩부(154a)는 공급 호스(154)의 일부에 대략 180도로 한 번 이상 벤딩된 부분일 수 있고, 중첩 배치부(154b)는 벤딩부를 기준으로 휘어져 공급 호스(154)의 타부가 서로 중첩되게 배치되는 부분일 수 있다. 이와 함께, 분출부(150)는,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탄성 부재(15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탄성 부재(156)는 공급 호스(154)의 벤딩부(154a)를 몸체(110)에 탄성 지지할 수 있으며 샤워 단말부(155)가 당겨질 경우 공급 호스(154)가 인출되면서 벤딩부(154a)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다. 예를 들어, 탄성 부재(156)로는 고무 밴드 등이 사용될 수 있다.
따라서, 반려인에 의해 샤워 단말부(155)가 원하는 위치까지 당겨질 경우 공급 호스(154)의 중첩 배치부(154b)의 길이가 상대적으로 줄어드는 대신 공급 호스(154)가 인출될 수 있고, 이렇게 당겨지는 동안 탄성 부재(156)를 통해 벤딩부(154a)에 복원력을 제공할 수 있어 반려인이 샤워 단말부(155)를 가만히 둘 경우 당겨진 공급 호스(154)의 벤딩부(154a)가 복원력에 의해 원 위치되면서 공급 호스(154)가 다시 인입될 수 있어, 이렇게 원 위치되면서 공급 호스(154)가 몸체(110)의 내부 수용부(111)에 지저분하게 놓이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또한, 샤워 단말부(155)는, 도 11 내지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반려인의 손에 착용하기 위한 장갑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반려인이 샤워 단말부(155)를 손에 착용하여 사용할 수 있어, 목욕을 진행하는 동안 반려동물을 계속해서 만질 수 있는 등 반려동물과 교감을 더욱 높일 수 있고 반려동물의 스트레스를 더욱 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장갑 형태의 샤워 단말부(155)는, 도 13 및 도 1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손 바닥부(155a), 손 착탈부(155b), 그리고 복수의 분출구(155c)를 포함할 수 있다. 손 바닥부(155a)는 반려인의 손 바닥에 위치될 수 있고, 손 착탈부(155b)는 손 바닥부(155a)를 반려인의 손에 착탈 가능하게 구비시킬 수 있으며, 그리고 복수의 분출구(155c)는 손 바닥부(155a)에 형성될 수 있으며 공급 호스(154)와 연통될 수 있다.
나아가, 분출부(150)는,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역류 방지 밸브(157)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역류 방지 밸브(157)는 공급 호스(154)의 분지된 부분에 구비될 수 있으며 세척수가 드라이용 공기 공급부(152)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따라서, 역류 방지 밸브(157)를 통해 공급 호스(154)를 통해 안내되는 세척수가 드라이용 공기 공급부(152)로 역류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어, 드라이용 공기 공급부(152)가 세척수로 인해 누전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참고로, 역류 방지 밸브(157)는 선택 구동 버튼부(153)를 통해 세척수 공급부(151)가 구동될 경우 동작되어 드라이용 공기 공급부(152)로 역류되는 것을 막을 수 있다.
또한, 공급 호스(154)는, 도 10 내지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공급 호스(H11)와 우측 공급 호스(H12)로 구분될 수 있다. 좌측 공급 호스(H11)는 몸체(110)의 내부 수용부(111)의 좌측에 구비될 수 있고, 우측 공급 호스(H12)는 몸체(110)의 내부 수용부(111)의 우측에 구비될 수 있으며 좌측 공급 호스(H11)와 연통될 수 있다. 나아가, 장갑 형태의 샤워 단말부(155)는, 도 11 및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왼손용 샤워 단말부(155)와 오른손용 샤워 단말부(155)로 구분될 수 있다. 왼손용 샤워 단말부(155)는 좌측 공급 호스(H11)의 말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반려인의 왼 손에 착용할 수 있고, 오른손용 샤워 단말부(155)는 우측 공급 호스(H12)의 말단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반려인의 오른 손에 착용할 수 있다.
이하, 도 1, 도 3 내지 도 9를 참조하여, 둘레 덮개부(13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둘레 덮개부(130)는, 상부 걸이봉(131), 하부 걸이봉(132), 그리고 방수 커튼부(133)를 포함할 수 있다. 상부 걸이봉(131)은 둘레 개방부(112)를 따라 길게 구비될 수 있으며 둘레 개방부(112)의 상부에 구비될 수 있고, 하부 걸이봉(132)은 둘레 개방부(112)를 따라 길게 구비될 수 있으며 둘레 개방부(112)의 하부에 구비될 수 있다. 방수 커튼부(133)는 상부 걸이봉(131)과 하부 걸이봉(132)에 그 상부와 하부가 각각 삽입되되 상부 걸이봉(131)과 하부 걸이봉(132)을 따라 전후 이동되면서 둘레 개방부(112)를 여닫을 수 있다.
따라서, 방수 커튼부(133)를 상부 걸이봉(131)과 하부 걸이봉(132)을 따라 이동시키는 것으로 둘레 개방부(112)를 여닫을 수 있어, 목욕 중에는 둘레 개방부(112)를 닫아 세척수가 외부로 튀는 것을 막을 수 있고, 목욕을 하지 않는 일상 생활 중에는 둘레 개방부(112)를 열어 반려동물의 충분히 드나들 수 있도록 하여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100)를 반려동물의 집으로 사용할 수 있다.
나아가, 방수 커튼부(133)는, 도 1 및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방수 커튼(133a)과 우측 방수 커튼(133b)을 포함할 수 있다. 좌측 방수 커튼(133a)은 몸체(110)의 둘레 개방부(112)의 좌측 반부[둘레 개방부(112)의 좌측에 있는 반쪽 부분]를 여닫을 수 있고, 우측 방수 커튼(133b)은 몸체(110)의 둘레 개방부(112)의 우측 반부[둘레 개방부(112)의 우측에 있는 반쪽 부분]를 여닫을 수 있다.
또한, 방수 커튼부(133)는, 도 1,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튼 연결부(133c)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커튼 연결부(133c)는 좌측 방수 커튼(133a)과 우측 방수 커튼(133b)의 닫힌 상태를 유지할 수 있도록 좌측 방수 커튼(133a)과 우측 방수 커튼(133b)을 서로 연결시킬 수 있다.
또한, 상부 걸이봉(131)과 하부 걸이봉(132) 각각은, 위에서 볼 때 영어 알파벳 "U"자 형상을 가질 수 있다. 따라서, 각진 형상을 가진 것에 비해 방수 커튼부(133)의 움직임을 원활하게 할 수 있다.
나아가, 방수 커튼부(133)는,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복수의 링 부재(133d)를 포함할 수 있다. 이러한 링 부재(133d)는 상부 걸이봉(131)과 하부 걸이봉(132)에 각각 끼워질 수 있고 좌측 방수 커튼(133a)과 우측 방수 커튼(133b)에 각각 고정되어 좌측 방수 커튼(133a)과 우측 방수 커튼(133b)의 이동을 원활하게 안내할 수 있다. 특히, 이러한 링 부재(133d)가 상부 걸이봉(131)에 끼워질 경우, 링 부재(133d)는 좌측 방수 커튼(133a) 또는 우측 방수 커튼(133b)의 상단부에 의해 감싸져 그 상단부의 내측에 고정될 수 있어, 즉 링 부재(133d)가 방수 커튼에 의해 밀봉될 수 있어, 몸체(110)의 외부로 물이 새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이하, 도 5 및 도 6을 참조하여, 손 삽입부(140)에 대해 보다 상세히 설명한다.
손 삽입부(140)는,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커플링(141), 주름관(142), 그리고 손목 밀착부(143)를 포함할 수 있다. 커플링(141)은 방수 커튼부(133)에 관통되게 연결될 수 있고, 주름관(142)은 커플링(141)에 구비되며 반려인의 팔의 길이 정도로 신축될 수 있으며, 그리고 손목 밀착부(143)는 주름관(142)의 말단에 연장될 수 있으며 반려인의 손목에 밀착될 수 있다.
따라서, 반려인의 손목이 손목 밀착부(143)에 밀착된 상태를 유지하면서 손을 깊숙이 몸체(110)의 내부 수용부(111)로 집어 널을 경우 주름관(142)이 충분한 길이로 신장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주름관(142)의 특성상 누수 없이 자유자재로 벤딩(bending)되면서 반려인의 팔의 자유도를 높일 수 있어, 보다 원활하게 반려동물의 구석구석을 세척시킬 수 있다.
나아가, 이러한 손 삽입부(140)는,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좌측 손 삽입부(140)와 우측 손 삽입부(140)로 구분될 수 있다. 좌측 손 삽입부(140)는 좌측 방수 커튼(133a)에 구비될 수 있고, 우측 손 삽입부(140)는 우측 방수 커튼(133b)에 구비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100)는, 도 1, 도 2, 도 15 및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부(171)와 배기부(17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급기부(171)는 몸체(1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몸체(110)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로 인해 상부 덮개부(120)에 서린 김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 공기를 급기시킬 수 있다, 배기부(172)는 몸체(110)에 구비될 수 있으며 급기부(171)와 함께 내부 수용부(111)의 공기가 환기되도록 내부 수용부(111)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급기부(171)와 배기부(172)를 통해 외기가 몸체(110)의 내부 수용부(111)로 유입됨과 더불어 내부 수용부(111)의 공기가 외부로 유출될 수 있어, 이러한 환기를 통해 내부 수용부(111)에 놓인 반려동물에게 신선한 공기를 제공할 수 있고, 몸체(110)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를 줄여 상부 덮개부(120)에 김서림을 방지할 수 있다.
나아가,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급기 버튼(B11)과 배기 버튼(B1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급기 버튼(B11)은 급기부(171)가 구동되도록 전원을 인가시킬 수 있고, 배기 버튼(B12)은 배기부(172)가 구동되도록 전원을 인가시킬 수 있다. 참고로, 도시되지는 않았지만, 전원은 플러그를 통해 연결되는 외부 콘센트로부터 공급되거나 몸체에 구비된 배터리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100)는, 도 1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연결 라인(173)과 이물질 거름부(17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연결 라인(173)은 배수부(160)와 배기부(172)를 연통시킬 수 있고, 이물질 거름부(174)는 배수부(160)에 구비될 수 있으며 배수부(160)와 배기부(172)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을 거를 수 있다.
따라서, 배기부(172)를 통해 배기되는 이물질(반려동물의 털 등)을 포함한 공기가 연결 라인(173)을 통해 배수부(160)로 안내될 수 있고, 공기에 포함된 이물질(반려동물의 털 등)이 배수부(160)를 통해 배수되는 세척수에 포함된 이물질과 함께 이물질 거름부(174)에서 걸러질 수 있어, 하나의 이물질 거름부(174)로 공기의 이물질과 세척수의 이물질을 모두 거를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100)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결박부(18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결박부(180)는 몸체(110)의 내부에 반려동물을 결박시킬 수 있다. 따라서, 몸체(110)의 내부 수용부(111)에 반려동물을 결박시킬 수 있어, 목욕 중에 반려동물이 뛰쳐나가는 등의 이상 행동을 미연에 막을 수 있다.
예를 들어, 결박부(180)는, 도 17 및 도 1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목줄 고리(181), 제2 목줄 고리(182), 목띠(183), 제1 목줄(184), 그리고 제2 목줄(185)을 포함할 수 있다. 제1 목줄 고리(181)는 몸체(110)의 내면의 일부에 구비될 수 있고, 제2 목줄 고리(182)는 몸체(110)의 내면의 타부에 구비될 수 있다. 목띠(183)는 반려동물의 목을 감싸는 형태로 고정할 수 있고, 제1 목줄(184)은 목띠(183)의 일측과 제1 목줄 고리(181)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고, 제2 목줄(185)은 목띠(183)의 타측과 제2 목줄 고리(182)를 착탈 가능하게 연결할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의 목을 제1 목줄(184)을 통해 몸체(110)의 제1 목줄 고리(181)에 고정시키고 제2 목줄(185)을 통해 몸체(110)의 제2 목줄 고리(182)에 고정시킬 수 있는 등 대략 180도 간격을 두고 2 군데에서 고정할 수 있어, 반려동물을 보다 완벽하게 결박시킬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100)는, 도 1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보관함(19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보관함(191)은 몸체의 내부 수용부(111)에 구비될 수 있으며 제1 목줄(184)과 제2 목줄(185)을 보관하거나 목용 용품을 보관할 수 있다.
이와 더불어,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100)는, 도 2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메인 전원 버튼(192)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메인 전원 버튼(192)은 상부 덮개부(120)의 상면이나 몸체(110)의 외면에 구비될 수 있으며 누전 등의 안전 사고를 예방하기 위해 본 발명의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100)로 입력되는 메인 전원을 온/오프시킬 수 있다.
참고로, 도면부호 "A10"은 수건이다.
이하, 도 2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200)에 대해 설명한다.
도 21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를 개략적으로 나타낸 측면도이다.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20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높낮이 조절부(210)가 더 부가되는 것을 제외하고는 상술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와 동일하므로, 이하에서는 이를 위주로 설명한다.
높낮이 조절부(21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몸체(110)의 높낮이 조절하는 구성요소로, 몸체에 구비될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을 씻길 때 반려인이 앉거나 서서 씻길 수 있도록 높낮이 조절부(210)를 통해 반려인의 눈높이에 맞게 조절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높낮이 조절부(210)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하 안내 받침부(211)와 복수의 링크 부재(212)를 포함할 수 있다. 상하 안내 받침부(211)는 몸체(110)를 받치며 몸체(110)의 상하 이동을 안내할 수 있고, 복수의 링크 부재(212)는 몸체(110)의 저면과 상하 안내 받침부(211) 사이에 구비될 수 있고 서로 교차되어 회동 가능하게 연결될 수 있다.
나아가, 복수의 링크 부재(212)는, 도 2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및 제2 링크 부재(212a)(212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링크 부재(212a)는 몸체(110)의 저면에 그 일단부가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고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고 상하 안내 받침부(211)에 그 타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제2 링크 부재(212b)는 제1 링크 부재(212a)에 그 중심부가 교차되어 회동될 수 있고 몸체(110)의 저면에 그 일단부가 좌우 슬라이딩 가능하고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으며 그리고 상하 안내 받침부(211)에 그 타단부가 회동 가능하게 구비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다음의 청구범위에서 정의하고 있는 본 발명의 기본 개념을 이용한 당업자의 여러 변형 및 개량 형태 또한 본 발명의 권리범위에 속하는 것이다.
100, 200: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 110: 몸체 111: 내부 수용부 112: 둘레 개방부 113: 상부 개방부 120: 상부 덮개부 130: 둘레 덮개부 131: 상부 걸이봉 132: 하부 걸이봉 133: 방수 커튼부 140: 손 삽입부 140a: 좌측 손 삽입부 140b: 우측 손 삽입부 141: 커플링 142: 주름관 143: 손목 밀착부 150: 분출부 151: 세척수 공급부 152: 드라이용 공기 공급부 153: 선택 구동 버튼부 154: 공급 호스 155: 샤워 단말부 160: 배수부 171: 급기부 172: 배기부 173: 연결 라인 174: 이물질 거름부 180: 결박부 181: 제1 목줄 고리 182: 제2 목줄 고리 183: 목띠 184: 제1 목줄 185: 제2 목줄 191: 보관함 192: 메인 전원 버튼 210: 높낮이 조절부 211: 상하 안내 받침부 212: 복수의 링크 부재 212a: 제1 링크 부재 212b: 제2 링크 부재

Claims (5)

  1. 반려인이 반려동물을 목욕시키기 위한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로,내부 수용부와 둘레 개방부와 그리고 상부 개방부를 포함하는 몸체;상기 상부 개방부를 여닫는 투명 또는 반투명 재질의 상부 덮개부;상기 둘레 개방부에 구비되는 둘레 덮개부;상기 둘레 덮개부에 구비되며 반려인의 손을 상기 내부 수용부로 삽입하기 위한 손 삽입부;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내부 수용부에 놓인 반려동물을 향해 세척수를 분출시키기 위한 분출부; 및상기 몸체의 바닥에 구비되며 세척수를 배출시키는 배수부;를 포함하는반려동물용 목욕 장치.
  2. 제1항에서,상기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는,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의 내부와 외부의 온도차로 인해 상기 상부 덮개에 서린 김을 방지하기 위해 외부 공기를 급기시키는 급기부; 및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급기부와 함께 상기 내부 수용부의 공기가 환기되도록 상기 내부 수용부의 공기를 외부로 배기시키는 배기부;를 더 포함하는반려동물용 목욕 장치.
  3. 제2항에서,상기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는,상기 배수부와 상기 배기부를 연통시키는 연결 라인; 및상기 배수부에 구비되며 상기 배수부와 상기 배기부로부터 배출되는 이물질을 거르는 이물질 거름부;를 더 포함하는반려동물용 목욕 장치.
  4. 제1항에서,상기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는,상기 몸체의 내부에 반려동물을 결박시키기 위한 결박부를 더 포함하는반려동물용 목욕 장치.
  5. 제1항에서,상기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는,상기 몸체에 구비되며 상기 몸체의 높낮이 조절하는 높낮이 조절부를 더 포함하는반려동물용 목욕 장치.
KR1020210019142A 2021-02-10 2021-02-10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 KR10243896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142A KR102438968B1 (ko) 2021-02-10 2021-02-10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9142A KR102438968B1 (ko) 2021-02-10 2021-02-10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5302A true KR20220115302A (ko) 2022-08-17
KR102438968B1 KR102438968B1 (ko) 2022-09-01

Family

ID=83110601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9142A KR102438968B1 (ko) 2021-02-10 2021-02-10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38968B1 (ko)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478Y1 (ko) * 2003-03-20 2003-06-02 하진태 애완동물 목욕기
US7040254B1 (en) * 2004-11-15 2006-05-09 Rucker Charlotte D Transportable animal washing apparatus
JP2006223231A (ja) * 2005-02-18 2006-08-31 Shinichi Kajiwara 美容台および美容台セット
KR100720736B1 (ko) 2005-07-12 2007-05-22 김택석 애완견 전용 목욕기 및 이를 이용한 애완견 목욕 방법
US7921812B1 (en) * 2008-06-02 2011-04-12 Carrillo Lorraine M Portable animal bathing apparatus
KR20160006926A (ko) * 2014-07-10 2016-01-20 박희근 애완동물 샤워룸
KR20200037040A (ko) * 2018-09-29 2020-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 목욕기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315478Y1 (ko) * 2003-03-20 2003-06-02 하진태 애완동물 목욕기
US7040254B1 (en) * 2004-11-15 2006-05-09 Rucker Charlotte D Transportable animal washing apparatus
JP2006223231A (ja) * 2005-02-18 2006-08-31 Shinichi Kajiwara 美容台および美容台セット
KR100720736B1 (ko) 2005-07-12 2007-05-22 김택석 애완견 전용 목욕기 및 이를 이용한 애완견 목욕 방법
US7921812B1 (en) * 2008-06-02 2011-04-12 Carrillo Lorraine M Portable animal bathing apparatus
KR20160006926A (ko) * 2014-07-10 2016-01-20 박희근 애완동물 샤워룸
KR20200037040A (ko) * 2018-09-29 2020-04-08 엘지전자 주식회사 반려동물 목욕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38968B1 (ko) 2022-09-01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20110297103A1 (en) Pet bathtub
US8186307B2 (en) Portable device and process to automatically cleanse and dry pets
US5448966A (en) Automatic animal washing system
KR100720736B1 (ko) 애완견 전용 목욕기 및 이를 이용한 애완견 목욕 방법
US7421978B2 (en) Portable washing apparatus for animals
US20210274751A1 (en) Portable pet washing station
US6988467B1 (en) Small animal bathing apparatus
WO2017150805A1 (ko) 브러시가 구비된 애완동물용 드라이어
KR20190007279A (ko) 애완동물의 목욕 및 건조장치
KR101395421B1 (ko) 다목적 펫 하우스
KR20110110519A (ko) 애완동물 목욕거치대
KR102438968B1 (ko)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
KR102035705B1 (ko) 반려동물용 욕조
US7040254B1 (en) Transportable animal washing apparatus
KR200314068Y1 (ko) 애완동물용 목욕장치
KR200291042Y1 (ko) 애완동물 목욕 및 건조장치
KR102098692B1 (ko) 휴대용 애완동물 세정장치
CN212678064U (zh) 一种宠物洗澡防溅罩
KR102036371B1 (ko) 애완동물 목욕장치
JP3161371U (ja) ペット用バスタブ
KR20040067817A (ko) 애완동물 세척장치 및 방법
KR101995534B1 (ko) 애완동물의 목욕 및 건조장치
KR101377310B1 (ko) 애완동물의 샤워장치
KR200473780Y1 (ko) 샤워 부스 장치
JPH0718548U (ja) ペット洗浄機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