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00037040A - 반려동물 목욕기 - Google Patents

반려동물 목욕기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00037040A
KR20200037040A KR1020180116664A KR20180116664A KR20200037040A KR 20200037040 A KR20200037040 A KR 20200037040A KR 1020180116664 A KR1020180116664 A KR 1020180116664A KR 20180116664 A KR20180116664 A KR 20180116664A KR 20200037040 A KR20200037040 A KR 2020003704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athroom
washing
water
air
dispos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1666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최성봉
우상우
김경래
김민철
Original Assignee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엘지전자 주식회사 filed Critical 엘지전자 주식회사
Priority to KR1020180116664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00037040A/ko
Priority to US16/586,459 priority patent/US11375694B2/en
Priority to EP19866295.9A priority patent/EP3855907B1/en
Priority to PCT/KR2019/012622 priority patent/WO2020067789A1/en
Publication of KR2020003704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00037040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01AGRICULTURE; FORESTRY; ANIMAL HUSBANDRY; HUNTING; TRAPPING; FISHING
    • A01KANIMAL HUSBANDRY; AVICULTURE; APICULTURE; PISCICULTURE; FISHING; REARING OR BREEDING ANIM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NEW BREEDS OF ANIMALS
    • A01K13/00Devices for grooming or caring of animals, e.g. curry-combs; Fetlock rings; Tail-holders; Devices for preventing crib-biting; Washing devices; Protection against weather conditions or insects
    • A01K13/001Washing, cleaning, or drying devices

Landscapes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Environment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Zoology (AREA)
  • Animal Husbandry (AREA)
  • Biodiversity & Conservation Biology (AREA)
  • Devices For Medical Bathing And Washing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반려동물 목욕기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는 외형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된 외측 캐비닛; 상기 외측 캐비닛 내측에서 욕실을 형성하며, 전방이 개방된 내측 캐비닛; 상기 외측 캐비닛과 상기 내측 캐비닛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내측 캐비닛의 하측에 배치되고, 세척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집수조; 상기 집수조에 저장되는 세척수를 펌핑하는 순환펌프; 상기 욕실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모터에서 펌핑된 세척수를 상기 욕실로 분사하는 하부노즐; 상기 하부노즐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순환펌프에서 펌핑된 세척수를 상기 욕실로 분사하는 상부노즐; 상기 하부노즐과 상기 상부노즐 사이에 배치되어, 반려동물을 지지하고, 세척수가 배수되도록 마련된 스탠드; 상기 욕실에서 상기 집수조로 유입되는 세척수를 필터링하는 순환수필터; 상기 내측 캐비닛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욕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기; 및 상기 내측 캐비닛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기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욕실로 토출하는 에어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캐비닛의 상면에는 상기 욕실을 유동하는 공기가 배기되는 내부 배기홀이 형성된다.

Description

반려동물 목욕기{PET BATHING APPARATUS}
본 발명은 반려동물 목용장치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사람의 주거공간에서 함께 생활하는 반려동물의 워싱, 헹굼 및 건조를 할 수 있는 장치에 관한 것이다.
반려동물에 대한 관심과 수요가 늘어남에 따라, 사람들과 같은 공간에서 생활하는 반려동물의 청결에 대한 관심도가 높아지고 있다.
가정에서 생활하는 반려동물에 대한 목욕은 주로 욕실에서 욕실에 배치된 샤워기와 별도의 드라이기 등을 통해 이루어진다. 욕실에서 반려동물에 대한 목욕이 진행되는 경우, 반려동물의 움직이거나, 본능적으로 몸에 뭍은 물을 털기 위한 동작을 하는 경우, 목욕시간이 길어지는 문제, 주변환경의 오염되는 문제 및 물의 과다사용 문제 등이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최근에는 반려동물을 목욕할 수 있는 일정한 공간을 마련하고, 해당공간에서 세척수를 분사하거나, 공기를 유동시켜 반려동물의 목욕을 수행할 수 있는 장치들이 개발되고 있다.
공개 특허 KR20030020892A와, 공개 실용신안 KR20130004113U에서는 목욕과정에서 반려동물의 움직임을 제한할 수 있는 장치를 개시하고 있다.
다만, 이경우에도, 목욕에 사용되는 물이 과다하게 사용될 수 있는 문제는 여전히 존재하게 된다.
또한, 워싱과 건조를 함께 진행하는 경우, 구조의 복잡성과, 건조 유로 상의 전기장치로 물이 유입되어 전기장치가 고장우려의 문제가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첫째, 반려동물의 워싱과 헹굼 그리고, 건조를 동시에 진행할 수 있는 반려동물 목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둘째, 소량의 물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을 워싱 또는 헹굼을 수행하는 반려동물 목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셋째, 목욕기에서 반려동물을 안정하게 목욕시킬 수 있는 반려동물 목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넷째, 반려동물 목욕기 내부를 청결하게 유지할 수 있는 반려동물 목욕기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과제를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는, 외형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된 외측 캐비닛; 상기 외측 캐비닛 내측에서 욕실을 형성하며, 전방이 개방된 내측 캐비닛; 상기 외측 캐비닛과 상기 내측 캐비닛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내측 캐비닛의 하측에 배치되고, 세척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집수조; 상기 집수조에 저장되는 세척수를 펌핑하는 순환펌프; 상기 욕실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모터에서 펌핑된 세척수를 상기 욕실로 분사하는 하부노즐; 상기 하부노즐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순환펌프에서 펌핑된 세척수를 상기 욕실로 분사하는 상부노즐; 상기 하부노즐과 상기 상부노즐 사이에 배치되어, 반려동물을 지지하고, 세척수가 배수되도록 마련된 스탠드; 상기 욕실에서 상기 집수조로 유입되는 세척수를 필터링하는 순환수필터; 상기 내측 캐비닛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욕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기; 및 상기 내측 캐비닛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기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욕실로 토출하는 에어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캐비닛의 상면에는 상기 욕실을 유동하는 공기가 배기되는 내부 배기홀이 형성되어, 하나의 반려동물 목욕기에서 반려동물을 워싱 및 건조할 수 있다.
상기 하부노즐은 상기 내측 캐비닛의 바닥면과 상기 스탠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순환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를 상기 스탠드 상측방향으로 분사하여, 반려동물의 하측부분을 워싱할 수 있다.
상기 상부노즐은 상기 욕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순환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를 하측방향으로 분사하여, 반려동물의 상측을 워싱할 수 있다.
상기 에어노즐은, 상기 내측 캐비닛의 일 측면에서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에어노즐과, 상기 내측 캐비닛의 타 측면에서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에어노즐을 포함하여, 복수의 에어노즐로 반려동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송풍기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복수의 제1에어노즐 각각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제1유입유로; 상기 송풍기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복수의 제2에어노즐 각각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제2유입유로; 상기 송풍기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복수의 제1유입유로 중 적어도 하나의 유로로 유동시키는 제1공기분배기; 및 상기 송풍기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복수의 제2유입유로 중 적어도 하나의 유로로 유동시키는 제2공기분배기를 포함하여, 복수의 분사노즐에서 다양한 패턴으로 공기가 분사될 수 있다.
상기 외측 캐비닛 또는 상기 내측 캐비닛과 상기 외측 캐비닛 사이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외부 유입홀과 상기 내부 배기홀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외부 배기홀이 형성되어, 외부의 건조한 공기를 유입하여 반려동물을 건조시키고, 습한 공기를 외부로 배출할 수 있다.
상기 내측 캐비닛과 상기 외측 캐비닛의 사이에는, 상기 송풍기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에어노즐로 안내하는 유입유로; 상기 욕실에서 상기 내부 배기홀로 배기된 공기가 유동하는 배기유로; 및 상기 배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를 송풍기가 배치된 공간으로 유동시키는 순환유로가 배치되어, 외측 캐비닛 내부의 공기 순환으로 반려동물을 건조시킬 수 있다.
상기 공기히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기 및 팽창된 냉매를 증발하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히트펌프이고, 상기 순환유로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와 응축기를 차례로 거쳐 순환유로로 공급되어, 순환되는 공기를 건조하여 욕실로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스탠드와 상기 내측 캐비닛의 바닥면 사이에 배치되어, 유동하는 세척수에 거품을 발생시키는 거품발생기를 더 포함하여, 순환되는 세척수에 거품을 공급할 수 있다.
상기 순환수필터는 상하로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둘레면에 필터망이 배치되어, 순환되는 세척수에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상기 집수조의 내측에는 상기 순환수필터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순환수필터가 장착되는 필터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장착부는 상기 순환수필터를 유동하는 세척수가 상기 집수조 내부로 유입되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어, 순환되는 세척수에 이물질을 여과할 수 있다.
상기 상부노즐은, 상기 내측 캐비닛의 일 측면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상부노즐과, 내측 캐비닛의 타 측면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상부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상부노즐과 상기 복수의 제2상부노즐에는 상기 복수의 제1상부노즐과 상기 복수의 제2상부노즐 각각으로 세척수의 공급을 조절하는 복수의 노즐밸브를 포함하여, 복수의 상부노즐을 이용하여, 반려동물을 워싱할 수 있다.
상기 복수의 노즐밸브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반려동물을 세척하는 워싱단계 또는 반려동물의 몸에 남은 세제나 거품을 제거하는 헹굼단계에서, 복수의 노즐밸브를 각각의 개폐를 조절하여, 다양한 패턴으로 복수의 상부노즐로 세척수가 분사될 수 있다.
상기의 과제를 해결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의 제어방법은 세제를 이용하여 욕실 내부에 위치하는 반려동물을 세척하는 워싱단계; 상기 워싱단계 이후, 반려동물의 몸에 남은 세제나 거품을 제거하는 헹굼단계; 상기 헹굼단계 이후, 반려동물의 몸에 남은 물기를 제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 이후, 욕실을 세척하는 욕실세척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욕실세척단계는 상기 욕실 내부를 확인한 상태에서 진행하여, 반려동물을 목욕하고, 반려동물 목욕기를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욕실세척단계는, 상기 욕실 내부를 확인하는 단계; 순환펌프로 펌핑되는 세척수를 상부노즐 또는 하부노즐로 공급하는 수류분배기를 상기 상부노즐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순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배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여, 반려동물이 없는 상태에서 욕실을 세척할 수 있다.
상기 욕실 내부 확인단계는 상기 욕실 내부에 배치되는 높이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욕실 내부를 감지할 수 있다.
상기 워싱단계는, 급수밸브를 오픈하여 집수조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순환펌프를 작동하여 상기 집수조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욕실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단계; 거품발생기를 작동하여, 유동하는 세척수에 거품을 발생시키는 단계; 순환펌프로 펌핑되는 세척수를 상부노즐 또는 하부노즐로 공급하는 수류분배기로 상부노즐 또는 하부노즐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단계; 및 배수펌프를 작동하여 집수조의 세척수를 배수하는 단계를 포함하여, 순환수를 이용하여 반려동물을 세척할 수 있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반려동물 목욕기에 따르면 다음과 같은 효과가 하나 혹은 그 이상 있다.
첫째, 하나의 반려동물 목욕기 내부에 반려동물을 워싱하기 위한 집수조, 하부노즐 및 상부노즐이 배치되고, 건조를 위한 송풍기 및 에어노즐이 배치되어, 하나의 공간에서 반려동물을 토탈케어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둘째, 세척에 사용되는 세척수는 집수조에 저장되고, 순환펌프에 의해 욕실로 공급되며, 순환수필터를 거쳐 다시 집수조로 공급되어, 일정량의 세척수를 순환하므로, 반려동물 워싱에 사용되는 물의 사용량을 절약할 수 있는 장점도 있다.
셋째, 복수의 분사노즐의 분사패턴의 조절 또는 복수의 에어노즐의 분사패턴을 조절하여, 가열된 세척수나 가열된 공기가 욕실 내부의 일정부분으로 분사되는 것을 방지하여, 안전하게 반려동물을 목욕시킬 수 있는 장점이 있다.
넷째, 반려동물을 워싱, 헹굼 및 건조한 이후, 반려동물 목욕기 내부를 세척하는 단계를 두어, 반려동물 목욕기 내부를 청결을 유지하여 반려동물 목욕기를 장기간 사용가능하게 하는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청구범위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의 도어가 개방되고, 스탠드가 인출된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7a와 도 7b는 도 6의 상부노즐의 분사패턴에 따른 실시예이다.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의 개략적인 정단면도로, 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의 반려동물 목욕기의 건조장치의 상부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상부 측단면도이다.
도 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의 개략적인 정단면도로, 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b는 도 9a의 반려동물 목욕기의 건조장치의 상부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상부 측단면도이다.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의 제어부와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워싱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도 13는 도 11의 헹굼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욕실세척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이하에서 언급되는 “전(F)/후(R)/좌(Le)/우(Ri)/상(U)/하(D)” 등의 방향을 지칭하는 표현은 각 도면에 표시된 바에 따라 정의하나, 이는 어디까지나 본 발명이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도록 설명하기 위한 것이며, 기준을 어디에 두느냐에 따라 각 방향들을 다르게 정의할 수도 있음은 물론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들에 의하여 반려동물 목욕기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들을 참고하여 본 발명에 대해 설명하도록 한다.
<전체구성>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의 도어가 개방된 사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의 도어가 개방되고, 스탠드가 인출된 사시도이다.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 내지 도 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의 전체적인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1)는 외형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된 케이싱(10), 케이싱(10)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16), 반려동물을 지지하고, 세척수가 배수되도록 마련된 스탠드(20), 욕실(14a)로 세척수를 공급하여 반려동물을 워싱 및 헹굼하는 세척장치, 욕실(14a)로 공기를 공급하여 반려동물을 건조하는 건조장치를 포함한다.
케이싱(10)은 욕실(14a)을 한정하는 내측 캐비닛(14)과, 내측 캐비닛(14)을 둘러싸며 반려동물 목욕기(1)의 외관을 이루는 외측 캐비닛(12)을 포함할 수 있다. 외측 캐비닛(12)의 내측면은 내측 캐비닛(14)의 외측면과 이격되어 있어, 상부노즐(34)로 물을 공급하는 순환관(38b)이 상기 내측면과 상기 외측면 사이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외측 캐비닛(12)은 전면이 개방된 육면체의 박스형태를 가진다. 외측 캐비닛(12) 내측에는 내측 캐비닛(14)이 배치되는 공간과, 세척장치와 건조장치가 배치되는 공간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세척장치와 건조장치의 일부구성은 욕실(14a)의 하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내측 캐비닛(14)은 외측 캐비닛(12) 내측에 배치되어, 반려동물이 워싱, 헹굼 또는 건조되는 욕실(14a)을 형성한다. 내측 캐비닛(14)는 반려동물이 출입되도록 전방이 개방되도록 형성된다.
내측 캐비닛(14)의 바닥면(14d)은 집수조(50)로 세척수가 유동하도록, 집수조(50) 방향으로 경사지게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내측 캐비닛(14)의 내부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하부노즐(32), 상부노즐(34), 및 스탠드(20)이 배치될 수 있다. 또한, 내측 캐비닛(14)의 내부에는 이하에서 설명할 조명(40)와 거품발생기(42)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16)는 케이싱(10)와 내측 캐비닛(14)의 전방을 개폐한다. 도어(16)는 하단부가 케이싱(10)에 회전가능하게 고정되어, 하단부를 회전축으로 하여 회동하여 케이싱(10)의 전방을 개방하거나 폐쇄할 수 있다. 도어(16)가 개방될 때, 도어(16)는 인출되는 스탠드(20)을 지지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도어(16)에는 일부가 투명패널(16a)로 이루어질 수 있다. 따라서, 반려동물을 내측 캐비닛(14) 내부에서 워싱, 헹굼 및 건조할 때, 사용자가 반려동물의 상태를 확인하거나, 반려동물이 케이싱(10) 외부를 보아 안정적으로 반려동물의 목욕을 수행할 수 있다.
도어(16)의 내측면에는 샴푸 등의 반려동물 관리제를 일시적으로 수용하고, 욕실(14a)로 배출하는 디스펜서(18)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디스펜서(18)는 투명한 소재로 이루어진 투명패널(16a)의 상측에 배치될 수 있다. 디스펜서(18)는 반려동물 관리제를 수용하고, 워싱단계에서 개방되어 욕실(14a)의 공간으로 반려동물 관리제를 배출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스탠드(20)은 내측 캐비닛(14)의 하부에 배치된다. 스탠드(20)은 내측 캐비닛(14)에 착탈가능하게 배치된다. 스탠드(20)은 하측에 장착된 롤러(22)에 의해 내측 캐비닛(14)의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내측 캐비닛(14)의 양 측면(14b)에는 스탠드(20)에 장착된 롤러(22)를 가이드하는 가이드부(15)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가이드부(15)는 롤러(22)의 하단과 스탠드의 상부면에 대향하는 면을 형성하도록 내측 캐비닛(14)의 측면에서 욕실(14a) 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스탠드(20)은 도어(16)가 완전히 개방될 때, 케이싱(10) 전방으로 인출될 수 있다. 스탠드(20)은 개방된 도어(16)의 상측으로 인출될 수 있다.
<세척장치관련>
도 4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5은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의 개략적인 측단면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또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의 개략적인 정단면도이다. 도 7a와 도 7b는 도 6의 상부노즐의 분사패턴에 따른 실시예이다.
이하에서는 도 4 내지 도 7b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의 세척장치와 관련된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는 욕실(14a)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저장하는 집수조(50), 집수조(50)에 저장된 세척수를 펌핑하는 순환펌프(58), 순환펌프(58)에서 펌핑된 세척수를 욕실(14a)로 공급하는 분사노즐, 욕실(14a)에서 집수조(50)로 유입되는 세척수에 이물질을 여과하는 순환수필터(56)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집수조(50)는 내측 캐비닛(14)의 하측에 배치된다. 따라서, 욕실(14a)로 공급된 세척수는 집수조(50)로 유입될 수 있다. 집수조(50)는 보올형태로 형성되어, 외부수원 또는 욕실(14a)로부터 유입된 세척수를 일정량의 세척수를 일시적으로 저장할 수 있다.
집수조(50)의 내측에는 순환수필터(56)를 장착하는 필터장착부(54)가 배치될 수 있다. 필터장착부(54)는 순환수필터(56)의 외측을 둘러싸는 형태를 가질 수 있다. 따라서, 순환수필터(56)는 필터장착부(54)의 내측으로 장착될 수 있다. 필터장착부(54)는 순환수필터(56)를 유동하는 세척수가 집수조(50)로 유입될 수 있도록 복수의 통공(54a)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순환펌프(58)는 집수조(50)와 연결되어, 집수조(50)에 저장된 물을 욕실(14a)로 펌핑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순환펌프(58)는 집수조(50)의 일측에 배치되어 외형을 형성하는 순환펌프 하우징(60), 순환펌프 하우징(60) 내부에 배치되어, 회전으로 세척수를 펌핑하는 임펠러(62), 임펠러(62)를 회전시키는 순환모터(64)를 포함한다. 순환펌프(58)와 집수조(50)는 집수조연결관(52)으로 연결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순환펌프(58)에는 순환펌프 하우징(60) 내부로 유입된 세척수를 히팅하는 순환수히터(6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순환수히터(66)는 순환펌프 하우징(60) 내부로 유입된 물을 가열할 수 있다. 순환수히터(66)에 의해 가열된 세척수는 순환모터(64)의 작동으로 욕실(14a)로 공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분사노즐은 욕실(14a) 하부에 배치되어, 상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하부노즐(32)과, 하부노즐(32) 상측에 배치되어, 욕실(14a)의 공간으로 세척수를 분사하는 상부노즐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는 순환펌프(58)에서 펌핑된 세척수를 상부노즐(34) 또는 하부노즐(32)로 분배하는 수류분배기(36)를 포함한다. 수류분배기(36)의 작동으로 순환펌프(58)에서 펌핑된 세척수가 상부노즐(34) 및/또는 하부노즐(32)로 공급될 수 있다.
하부노즐(32)은 스탠드(20)의 하측에 배치된다. 스탠드(20)은 하부노즐(32)에서 분사되는 세척수의 유동의 방해를 최소화하도록 복수의 연통홀을 형성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하부노즐(32)은 욕실(14a)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측으로 세척수를 분사한다. 하부노즐(32)은 중심으로부터 반경방향으로 2방향 또는 4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분사암을 포함할 수 있다. 하부노즐(32)로 물이 공급되면, 하부노즐(32)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수압에 의해 하부노즐(32)이 회전하는 구조를 가질 수 있다.
상부노즐(34)은 하부노즐(32)의 상측에 배치되어, 욕실(14a)로 세척수를 분사한다. 상부노즐(34)은 스탠드(20)의 상측에 배치된다. 상부노즐(34)은 반려동물의 이동을 제한하지 않고, 반려동물에 위해를 가하지 않는 범위에서 다양한 형태를 가지거나, 다양한 위치로 배치될 수 있다.
도 4를 참조하면,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노즐(34)은 욕실(14a)의 상부에 배치된다. 제 1 실시예에 따른 상부노즐(34)은 중심으로부터 2방향 또는 4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분사부를 포함하는 구조일 수 있다. 따라서,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노즐(34)은 중심을 기준으로 회전하며, 하측방향으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도 5를 참조하면, 제 2 실시예에 따른 상부노즐(34’)은 욕실(14a)의 상부에 배치되고, 샤워노즐의 형태를 가지는 구조일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상부노즐(34’)은 별도의 회전없이, 욕실의 상부 중심에서 하측으로 넓게 세척수를 분무할 수 있다.
도 6을 참조하면, 제 3 실시예에 따른 상부노즐(34a’’, 34b’’)은 욕실(14a)의 측면에 복수개가 배치되는 구조이다. 제 3 실시예에 따른 상부노즐(34a’’, 34b’’)은 내측 캐비닛(14)의 좌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상부노즐(34a’’)과, 내측 캐비닛(14)의 우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상부노즐(34b’’)을 포함할 수 있다. 복수의 제1상부노즐(34a’’)과 복수의 제2상부노즐(34b’’)은 상측으로 배치될수록 하측을 향해 경사지게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1상부노즐(34a1'', 34a2'', 34a3'', 34a4'') 각각에는 복수의 제1상부노즐(34a1'', 34a2'', 34a3'', 34a4'') 각각으로 세척수의 공급을 조절하는 복수의 노즐밸브(35a1, 35a2, 35a3, 35a4)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복수의 제2상부노즐(34b1'', 34b2'', 34b3'', 34b4'') 각각에는 복수의 제2상부노즐(34b1'', 34b2'', 34b3'', 34b4'') 각각으로 세척수의 공급을 조절하는 복수의 노즐밸브(35b1, 35b2, 35b3, 35b4)가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는 복수의 노즐밸브(35a1, 35a2, 35a3, 35a4, 35b1, 35b2, 35b3, 35b4) 각각을 조절하여, 복수의 제1상부노즐(34a1'', 34a2'', 34a3'', 34a4'')과 복수의 제2상부노즐(34b1'', 34b2'', 34b3'', 34b4'') 각각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조절할 수 있다. 즉, 도 7a와 같이, 최상단에서 하측으로 2n-1번째(n=1, 2) 배치된 제1상부노즐(34a1'', 34a3'')과 제2상부노즐(34b1'', 34b3'')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마찬가지고, 도 7b와 같이, 최상단에서 하측으로 2n번째(n=1, 2) 배치된 제1상부노즐(34a2'', 34a4'')과 제2상부노즐(34b2'', 34b4'')로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이 밖에도 높이센서(106)로 감지된 반려동물의 크기를 바탕으로 복수의 노즐밸브 각각을 조절하는 등의 다양한 패턴으로 복수의 상부노즐 각각에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복수의 노즐밸브를 개폐를 선택적으로 조절하여 욕실(14a)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순환수필터(56)는 욕실(14a)에서 집수조(50)로 유동하는 세척수를 필터링한다. 반려동물을 워싱 또는 헹굼할 때, 세척수와 함께 유동하는 반려동물의 털을 필터링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순환수필터(56)는 상하로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될 수 있다. 순환수필터(56)의 둘레면에는 반려동물의 털이나 오물을 필터링할 수 있는 필터망이 배치될 수 있다. 따라서, 무게가 있는 오물의 경우, 순환수필터(56)의 개방된 하측으로 유동하여, 배수펌프(76)에 의해 배수될 수 있다. 또한, 무게가 가벼운 털은 순환수필터(56)의 둘레면에 형성되는 필터망에 필터링될 수 있다. 즉, 순환펌프(58)에 의해 집수조(50)에 저장된 물이 순환될 때, 무게가 무거운 이물질은 순환수필터(56)의 하측으로 이동하고, 무게가 가벼운 이물질은 필터망에 여과될 수 있다.
순환수필터(56)에 의해 반려동물의 털이나 오물이 제거된 세척수가 집수조(50)로 유입되어 일정량의 세척수를 순환하여 반려동물을 워싱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는 욕실(14a) 내부를 유동하는 세척수에 거품을 발생시키는 거품발생기(4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거품발생기(42)는 거품용 비누가 충전된 용기와, 상기 용기 내로 급수를 하는 유로와, 상기 용기 내에 채워진 비누와 물의 혼합액을 휘젓는 교반기(agitator)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거품발생기(42)는 디스펜서(18)에 의해 세제가 공급된 세척수에 거품을 발생시키는 것도 가능하다. 거품발생기(42)는 내측 캐비닛(14)의 바닥면에 배치되어, 유동하는 세척수에 거품을 발생시킨다. 거품발생기(42)에 의해 발생된 거품은 집수조(50)으로 유입되고, 순환펌프(58)에 의해 펌핑되어 다시 분사노즐로 욕실(14a)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세척장치는 집수조(50)와 순환펌프(58)를 연결하는 집수조연결관(52)과, 수류분배기(36)와 하부노즐(32) 또는 상부노즐(34)을 연결하는 순환수연결관(38a, 38b)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1)는 외부수원으로부터 집수조(50)로 물을 공급하는 급수어셈블리와, 집수조(50)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출하는 배수어셈블리를 포함한다.
급수어셈블리는 외부수원과 집수조(50)를 연결하는 급수관(70)과, 급수관(70)을 개폐하는 급수밸브(72)를 포함하고, 배수어셈블리는 집수조(50)에 저장된 물을 외부로 배수하는 배수관(74)과 집수조(50)에 저장된 물을 배수관(74)을 통해 외부로 펌핑하는 배수펌프(76)를 포함한다.
<건조장치관련-1실시예>
도 8a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의 개략적인 정단면도로, 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8b는 도 8a의 반려동물 목욕기의 건조장치의 상부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상부 측단면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8a와 도 8b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1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와 관련된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는 욕실(14a)의 공간으로 공기를 유동시키는 송풍기(86), 송풍기(86)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욕실(14a) 내부로 분사하는 에어노즐(80, 82) 및 송풍기(86)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가열하는 공기히터(88)을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는 외부에서 유입되는 공기를 공기히터(88)로 가열하여 욕실(14a)로 분사하고, 욕실(14a)을 유동하는 공기를 케이싱(10) 외부로 토출하는 배기식 건조장치이다.
따라서, 케이싱(10)의 일측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외부 유입홀(94)이 형성될 수 있고, 케이싱(10)의 타측에는 욕실(14a)의 내부공기가 케이싱(10) 외부로 토출되는 외부 배기홀(92)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내측 캐비닛(14)의 측면에는 욕실(14a)로 공기를 분사하는 에어노즐(80, 82)이 배치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노즐(80, 82)은 내측 캐비닛(14)의 측면에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송풍기(86)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는 다양한 위치에 형성되는 복수의 에어노즐에 의해 욕실(14a) 내부로 분사될 수 있다. 이는 욕실(14a) 내의 공간에 위치하는 반려동물에 다양한 위치에서 공기를 분사하여, 효과적으로 반려동물을 건조할 수 있다.
공기히터(88)에 의해 가열된 공기의 경우 동물 피부의 일정 부분에만 계속하여 가해지는 경우 피부 건조화나 화상의 위험이 있다. 따라서, 제어부(100)는 정해진 순서에 따라 복수의 에어 노즐을 통한 분사 시간 및/또는 분사 순서를 제어함으로써 열풍이 한 곳에 일정 시간 이상 가해지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내측 캐비닛(14)의 상면(14b)에는 욕실(14a)을 유동하는 공기가 배출되는 내부 배기홀(90)이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는 내부 배기홀(90)에 배치되어, 유동하는 공기 중에 포함된 이물질을 필터링하는 공기필터(90a)를 포함한다. 공기필터(90a)는 유동하는 공기 중에 포함된 반려동물의 털을 필터링할 수 있다.
내측 캐비닛(14)의 상면(14b)과 외측 캐비닛(12)의 상면(12a) 사이에는 내부 배기홀(90)과 외부 배기홀(92)을 연결하는 배기유로(98)가 형성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외부 배기홀(92)은 케이싱(10)의 전방 상단부에 형성될 수 있으며, 욕실(14a)에서 배기되는 공기는 외부 배기홀(92)을 통해 전방으로 배기될 수 있다.
내측 캐비닛(14)의 측면(14c)과 외측 캐비닛(12)의 측면(12b) 사이에는 송풍기(86)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에어노즐(80, 82)로 안내하는 유입유로(96, 97)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노즐(80, 82)은 욕실(14a)의 측면에 복수개가 배치되는 구조이며, 유입유로(96, 97)는 복수의 에어노즐(80, 82) 각각에 연결되도록 복수개가 형성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에어노즐(80, 82)은 내측 캐비닛(14)의 좌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1에어노즐(80a, 80b, 80c, 80d)과, 내측 캐비닛(14)의 우측면에 배치되는 복수의 제2에어노즐(82a, 82b, 82c, 82d)을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유입유로(96, 97)는 송풍기(86)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복수의 제1에어노즐(80a, 80b, 80c, 80d)로 안내하는 복수의 제1유입유로(96a, 96b, 96c, 96d)와, 송풍기(86)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복수의 제2에어노즐(82a, 82b, 82c, 82d)로 안내하는 복수의 제2유입유로(97a, 97b, 97c, 97d)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는 송풍기(86)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복수의 제1유입유로(96a, 96b, 96c, 96d) 중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유동시키는 제1공기분배기(84a)와, 송풍기(86)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복수의 제2유입유로(97a, 97b, 97c, 97d) 중 적어도 한 개 이상으로 유동시키는 제2공기분배기(84b)를 포함할 수 있다.
제1공기분배기(84a)는 복수의 제1에어노즐(80a, 80b, 80c, 80d) 중에서 공기가 분사되는 부분 또는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제2공기분배기(84b)는 복수의 제2에어노즐(82a, 82b, 82c, 82d) 중에서 공기가 분사되는 부분 또는 분사량을 조절할 수 있다.
복수의 제1에어노즐(80a, 80b, 80c, 80d)은 내측 캐비닛(14)의 좌측면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제1공기분배기(84a)에 의해 내측 캐비닛(14)의 좌측면에서 욕실(14a) 내부로 분사되는 공기가 상하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복수의 제2에어노즐(82a, 82b, 82c, 82d)은 내측 캐비닛(14)의 우측면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된다. 따라서, 제2공기분배기(84b)에 의해 내측 캐비닛(14)의 우측면에서 욕실(14a) 내부로 분사되는 공기가 상하방향으로 조절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분배기(84a, 84b)는 송풍기(86)를 거쳐 유동하는 공기를 복수의 유입유로(96a, 96b, 96c, 96d, 97a, 97b, 97c, 97d)의 모두 또는 일부에 공기가 유동하도록 조절할 수 있다.
<건조장치-2실시예>
도 9a는 본 발명의 다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의 개략적인 정단면도로, 건조장치를 설명하기 위한 도면이다. 도 9b는 도 9a의 반려동물 목욕기의 건조장치의 상부유로를 설명하기 위한 상부 측단면도이다.
제 2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는 제 1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와 일부 구성과 구성의 배치에 있어 차이점을 가지는 바, 이하에서는 도 9a와 도 9b를 참조하여, 제 1 실시예에서와 차이점을 위주로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는 송풍기(86)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공기히터(88)로 가열하여 욕실(14a)로 분사하고, 욕실(14a)을 유동하는 공기를 다시 송풍기(86)으로 유동시키는 순환식 건조장치이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장치는 순환식 건조장치로 건조유로와 연결되는 별도의 외부배기홀과 외부유입홀이 형성되지 않는다. 다만, 욕실(14a) 내부에 위치하는 반려동물의 안전을 위해 외부와 연통하는 공기통로가 별도로 형성될 수 있음은 당연하다.
내측 캐비닛(14)의 상면(14b)과 외측 캐비닛(12)의 상면(12a) 사이에는 욕실(14a)에서 배기된 공기가 유동하는 배기유로(98)가 형성되고, 내측 캐비닛(14)의 후면과 외측 캐비닛(12)의 후면 사이에는 배기유로(98)를 유동하는 공기를 송풍기(86)이 배치된 공간으로 유동시키는 순환유로(99)가 형성된다.
내측 캐비닛(14)의 측면(14c)과 외측 캐비닛(12)의 측면(12b) 사이에는 송풍기(86)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에어노즐(80, 82)로 안내하는 유입유로(96, 97)가 형성된다. 따라서, 공기히터(88)를 거쳐, 송풍기(86)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는 에어노즐(80, 82)에 의해 욕실(14a) 내부로 유동하고, 공기필터(90a)를 거쳐 상측의 배기유로(98) 및 순환유로(99)를 거쳐 다시 공기히터(88) 및 송풍기(86)로 유동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공기히터(88)는 냉매를 압축 및 상변화하여 공기와 열교환하는 히트펌프를 사용할 수 있다. 이 경우, 욕실(14a)에서 배기된 공기를 증발기(미도시)와 열교환하여 공기 중의 수분을 응축시키고, 이후, 응축기(미도시)와 열교환하여 가열한 고온 건조한 공기를 욕실(14a)로 공급할 수 있다.
<제어부 관련 구성>
도 10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의 제어부와 관련된 구성을 도시한 블록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0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제어부 및 그와 관련된 구성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1)는 세척장치 또는 건조장치의 작동을 제어하는 제어부(100)를 더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1)는 욕실(14a) 내부에 빛을 조사하는 조명(40)을 포함할 수 있다. 조명(40)은 욕실(14a)의 상부 모서리 측에 배치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40)은 욕실(14a) 내부를 조사하여, 욕실(14a) 내부에 위치하는 반려동물에 안정감을 제공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조명(40)은 욕실(14a) 내부에 은은한 빛을 방출하는 엘이디 램프나, 원적외선을 방출함으로써 애완동물의 피부 상태를 좋게하는 원적외선램프를 사용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1)는 욕실(14a) 내부에 위치하는 반려동물의 높이를 파악하는 높이센서(106), 반려동물으로부터 발생하는 소음을 감지하는 음성인식 마이크(104)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높이센서(106)는 욕실(14a)의 바닥면(14d)에 레이저를 수직하게 조사하여 욕실에 위치하는 반려동물의 크기를 측정하거나, 내측 캐비닛(14)의 일측면에 복수의 근접센서를 배치하여 반려동물의 크기를 측정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높이센서(106)는 반려동물의 크기 이외에도 욕실(14a) 내부에 반려동물의 존재유무도 확인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1)는 반려동물 목욕기(1)의 사용상태 또는 비상상태를 사용자에게 알리는 알림부(10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1)는 반려동물의 목욕에 필요한 조건을 입력하는 입력부(108)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사용자는 입력부(108)를 통해 반려동물의 크기나 무게, 목욕에 필요한 시간 등을 직접 입력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00)는 세척장치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욕실(14a) 내부에 위치하는 반려동물의 크기 또는 오염정도에 따라 순환펌프(58)의 작동을 조절하거나, 수류분배기(36)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00)는 건조장치의 작동을 조절할 수 있다. 즉, 제어부(100)는 욕실(14a) 내부에 위치하는 반려동물의 크기 또는 털의 량에 따라 송풍기(86)의 회전속도를 조절하거나, 공기히터(88)를 조절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00)는 급수밸브(72)를 개폐하거나, 배수펌프(76)를 작동시킨다. 본 발명에 따른 제어부(100)는 욕실(14a) 내부에 위치하는 반려동물에 안정감을 제공하도록 조명(40)을 제어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1)는 순환펌프(58) 작동시 순환모터(64)에 인가되는 전류를 감지하는 순환펌프 전류감지부(110)와, 송풍기(86) 작동시 송풍기(86)에 인가되는 전류량을 감지하는 송풍기 전류감지부(112)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순환펌프 전류감지부(110)와 송풍기 전류감지부(112)에서 감지되는 전류량을 바탕으로 순환수필터(56)의 막힘여부 또는 공기필터(90a)의 막힘여부를 감지할 수 있다.
<반려동물 목욕기의 작동>
도 1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의 제어방법에 관한 순서도이다. 도 12는 도 11의 워싱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도 13는 도 11의 헹굼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도 14는 도 11의 욕실세척단계를 구체화한 순서도이다.
이하에서는 도 11 내지 도 14를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장치의 제어방법을 설명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1)는 샴푸 등의 세제를 이용하여, 욕실(14a) 내부에 위치하는 반려동물을 세척하는 워싱단계(S100), 워싱단계(S100) 이후, 반려동물의 몸에 남은 세제나 거품을 제거하는 헹굼단계(S200) 및 헹굼단계(S200) 이후, 반려동물의 몸에 남은 물기를 제거하는 건조단계(S300)를 포함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1)는 건조단계(S300) 이후, 반려동물이 욕실에서 꺼내진 상태에서 내측 캐비닛(14) 내부인 욕실(14a)을 세척하는 욕실세척단계(S4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워싱단계(S100)는 급수밸브(72)를 오픈하는 단계(S110)를 통해 집수조(50)에 세척수를 공급할 수 있다. 또한, 순환펌프(58)를 작동하는 단계(S120)를 통해 욕실(14a) 내부로 세척수를 분사하고, 집수조(50)에 저장된 세척수를 순환시킬 수 있다.
또한, 순환수히터(66)를 작동하는 단계(S130)를 거쳐, 욕실(14a)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가열할 수 있다. 여기서, 욕실(14a)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온도는 반려동물이 놀라지 않을 수 있는 온도로 가열될 수 있다. 따라서, 순환수히터(66)를 작동하는 단계(S130)는 순환펌프(58)를 작동하는 단계(S120) 이전에 수행될 수 있다.
이후, 거품발생기(42)를 작동하는 단계(S140)를 통해 욕실로 분사되는 세척수에 거품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거품발생기(42)를 작동하는 단계(S140) 이전에 디스펜서(18)가 개방되어 반려동물 관리제가 욕실(14a)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반려동물 목욕기(1)는 순환펌프(58)에 의해 집수조(50)의 세척수가 순환되는 구조인바, 반려동물 관리제가 욕실로 투입되거나, 거품발생기(42)가 욕실 내부에 존재하더라도, 순환되는 세척수에 의해 반려동물 관리제가 혼합되고, 거품이 발생한 세척수가 분사노즐에 의해 욕실(14a) 내부로 공급될 수 있다.
제어부(100)는 수류분배기(36)를 조절하여, 순환펌프(58)에 의해 압송되는 세척수를 하부노즐(32) 또는 상부노즐(34)로 공급할 수 있다(S150). 또한, 도 6와 같이, 상부노즐(34)이 복수개 인경우, 복수의 노즐밸브(35a1, 35a2, 35a3, 35a4, 35b1, 35b2, 35b3, 35b4)를 조절하여 복수의 상부노즐(34a1'', 34a2'', 34a3'', 34a4'', 34b1'', 34b2'', 34b3'', 34b4'') 각각으로 공급되는 세척수를 조절할 수 있다.
이후, 배수펌프(76)를 작동키는 단계(S160)를 거쳐, 집수조(50)의 물을 배수할 수 있다.
상기의 워싱단계의 각과정은 전체로써, 반복수행되는 것도 가능하며, 이는 반려동물의 목욕방법에 따라 달리 설정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헹굼단계(S200)도 급수밸브(72)를 오픈하는 단계(S210)를 통해 집수조(50)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과정을 수행한다. 이후, 순환펌프(58)를 작동하는 단계(S220)와, 순환수히터(66)를 작동하는 단계(S230)를 거쳐, 가열된 세척수를 욕실(14a)로 공급한다.
제어부(100)는 수류분배기(36)를 조절하여, 순환펌프(58)에 의해 압송되는 세척수를 하부노즐(32) 또는 상부노즐(34)로 공급할 수 있다(S240). 헹굼단계(S200)는 반려동물의 몸에 존재하는 거품등을 제거하는 단계로, 상부노즐(34)로 공급되는 세척수의 비율(시간 또는 량)을 워싱단계에 비해 늘릴 수 있다.
이후, 배수펌프(76)를 작동키는 단계(S250)를 거쳐, 집수조(50)의 물을 배수할 수 있다.
건조단계(S300)는 배수펌프(76)의 작동으로 집수조(50)에 저장된 물을 배수한 이후 진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건조단계(S300)는 송풍기(86) 및 공기히터(88)를 작동하여, 욕실(14a) 내부로 따뜻한 공기를 분사하여 진행할 수 있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욕실세척단계(S400)는 욕실(14a) 내부를 확인하는 단계(S410)를 진행한다. 본 실시예에 따른 욕실세척단계(S400)는 반려동물이 욕실(14a)에 존재하지 않는 상태에서 진행하는 것으로, 욕실(14a) 내부를 확인하는 단계(S410)를 먼저 거친다.
욕실(14a) 내부를 확인하는 단계(S410)에서는 욕실(14a) 내부에 반려동물의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제어부(100)는 높이센서(106)를 이용하여 욕실(14a)에 반려동물의 존재여부를 확인할 수 있다.
이후, 수류분배기(36)를 상부노즐(34)로 연결하는 단계(S420)를 거친다. 욕실세척단계(S400)는 욕실(14a)의 측면 등에 존재하는 이물질 등을 제거하기 위한 단계로, 상부노즐(34)에 의해 하측으로 분사되는 물에 의해 이물질이 집수조(50)의 순환수필터(56)로 모일 수 있다.
이우, 급수밸브(72)를 오픈하여(S430), 집수조에 세척수를 저장하고, 순환펌프(58)를 작동하여(S440), 욕실(14a) 내부를 세척할 수 있다. 욕실세척단계(S400)에서는 순환펌프(58)의 순환모터(64)를 워싱단계(S100)나, 헹굼단계(S200)에 비해 높은 RPM으로 회전시킬 수 있다. 또한, 순환수히터(66)를 함께 작동시킬 수 있으며, 이 역시 워싱단계(S100)나, 헹굼단계(S200)에 비해 높은 온도로 세척수를 가열할 수 있다.
이후, 배수펌프(76)를 작동키는 단계(S450)를 거쳐, 집수조(50)의 물을 배수할 수 있다.
이상에서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대하여 도시하고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술한 특정의 실시예에 한정되지 아니하며, 특허청구범위에서 청구하는 본 발명의 요지를 벗어남이 없이 당해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다양한 변형실시가 가능한 것은 물론이고, 이러한 변형실시들은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이나 전망으로부터 개별적으로 이해되어서는 안될 것이다.
1 : 반려동물 목욕기 12 : 외측 캐비닛
14: 내측 캐비닛 16 : 도어
20 : 스탠드 32 : 하부노즐
34, 34’, 34’’ : 상부노즐 36 : 수류분배기
34a’’ : 제1상부노즐 34b’’ : 제2상부노즐
40 : 조명 50 : 집수조
54 : 필터장착부 56 : 순환수필터
58 : 순환펌프 66 : 순환수히터
80 : 제1에어노즐 82 : 제2에어노즐
84 : 공기분배기 90 : 내부배기홀
90a : 공기필터 92 : 외부배기홀
94 : 외부유입홀

Claims (17)

  1. 외형을 형성하며, 전면이 개방된 외측 캐비닛;
    상기 외측 캐비닛 내측에서 욕실을 형성하며, 전방이 개방된 내측 캐비닛;
    상기 외측 캐비닛과 상기 내측 캐비닛의 개방된 전면을 개폐하는 도어;
    상기 내측 캐비닛의 하측에 배치되고, 세척수가 저장되는 공간을 형성하는 집수조;
    상기 집수조에 저장되는 세척수를 펌핑하는 순환펌프;
    상기 욕실의 하부에 배치되어, 상기 세척모터에서 펌핑된 세척수를 상기 욕실로 분사하는 하부노즐;
    상기 하부노즐의 상측에 배치되어, 상기 순환펌프에서 펌핑된 세척수를 상기 욕실로 분사하는 상부노즐;
    상기 하부노즐과 상기 상부노즐 사이에 배치되어, 반려동물을 지지하고, 세척수가 배수되도록 마련된 스탠드;
    상기 욕실에서 상기 집수조로 유입되는 세척수를 필터링하는 순환수필터;
    상기 내측 캐비닛의 하측에 배치되고, 상기 욕실 내부의 공기를 순환시키는 송풍기;
    상기 내측 캐비닛의 측면에 배치되고, 상기 송풍기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욕실로 토출하는 에어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내측 캐비닛의 상면에는 상기 욕실을 유동하는 공기가 배기되는 내부 배기홀이 형성되는 반려동물 목욕기.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하부노즐은 상기 내측 캐비닛의 바닥면과 상기 스탠드 사이에 배치되어, 상기 순환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를 상기 스탠드 상측방향으로 분사하는 반려동물 목욕기.
  3.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노즐은 상기 욕실의 상부에 배치되어, 상기 순환펌프에 의해 펌핑된 세척수를 하측방향으로 분사하는 반려동물 목욕기.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에어노즐은,
    상기 내측 캐비닛의 일 측면에서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에어노즐과, 상기 내측 캐비닛의 타 측면에서 상하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에어노즐을 포함하는 반려동물 목욕기.
  5. 제 4 항에 있어서,
    상기 송풍기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복수의 제1에어노즐 각각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제1유입유로;
    상기 송풍기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복수의 제2에어노즐 각각으로 안내하는 복수의 제2유입유로;
    상기 송풍기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복수의 제1유입유로 중 적어도 하나의 유로로 유동시키는 제1공기분배기; 및
    상기 송풍기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복수의 제2유입유로 중 적어도 하나의 유로로 유동시키는 제2공기분배기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목욕기.
  6.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외측 캐비닛 또는 상기 내측 캐비닛과 상기 외측 캐비닛 사이에는,
    외부의 공기가 유입되는 외부 유입홀과 상기 내부 배기홀을 통해 유동하는 공기를 외부로 토출하는 외부 배기홀이 형성되는 반려동물 목욕장치.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내측 캐비닛과 상기 외측 캐비닛의 사이에는,
    상기 송풍기에 의해 유동하는 공기를 상기 에어노즐로 안내하는 유입유로;
    상기 욕실에서 상기 내부 배기홀로 배기된 공기가 유동하는 배기유로; 및
    상기 배기유로를 유동하는 공기를 송풍기가 배치된 공간으로 유동시키는 순환유로가 배치되는 반려동물 목욕장치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공기히터는 냉매를 압축하는 압축기, 압축된 냉매를 응축하는 응축기, 응축된 냉매를 팽창하는 팽창기 및 팽창된 냉매를 증발하는 증발기를 포함하는 히트펌프이고,
    상기 순환유로로 유입된 공기는 증발기와 응축기를 차례로 거쳐 순환유로로 공급되는 반려동물 목욕기.
  9.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스탠드와 상기 내측 캐비닛의 바닥면 사이에 배치되어, 유동하는 세척수에 거품을 발생시키는 거품발생기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 목욕기.
  1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순환수필터는 상하로 개방된 원통형으로 형성되고, 둘레면에 필터망이 배치되는 반려동물 목욕기.
  11. 제 10 항에 있어서,
    상기 집수조의 내측에는 상기 순환수필터를 둘러싸는 형태로 형성되어, 상기 순환수필터가 장착되는 필터 장착부가 형성되고,
    상기 필터장착부는 상기 순환수필터를 유동하는 세척수가 상기 집수조 내부로 유입되는 복수의 통공이 형성되는 반려동물 목욕기.
  1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상부노즐은,
    상기 내측 캐비닛의 일 측면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1상부노즐과, 내측 캐비닛의 타 측면에서 상하방향으로 배치되는 복수의 제2상부노즐을 포함하고,
    상기 복수의 제1상부노즐과 상기 복수의 제2상부노즐에는 상기 복수의 제1상부노즐과 상기 복수의 제2상부노즐 각각으로 세척수의 공급을 조절하는 복수의 노즐밸브를 더 포함하는 반려동물 목욕기.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복수의 노즐밸브 각각을 제어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고,
    상기 제어부는, 반려동물을 세척하는 워싱단계 또는 반려동물의 몸에 남은 세제나 거품을 제거하는 헹굼단계에서, 복수의 노즐밸브를 각각의 개폐를 조절하는 반려동물 목욕기.
  14. 세제를 이용하여 욕실 내부에 위치하는 반려동물을 세척하는 워싱단계;
    상기 워싱단계 이후, 반려동물의 몸에 남은 세제나 거품을 제거하는 헹굼단계;
    상기 헹굼단계 이후, 반려동물의 몸에 남은 물기를 제거하는 건조단계;
    상기 건조단계 이후, 욕실을 세척하는 욕실세척단계를 포함하고,
    상기 욕실세척단계는 상기 욕실 내부를 확인한 상태에서 진행하는 반려동물 목욕기의 제어방법.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욕실세척단계는,
    상기 욕실 내부를 확인하는 단계;
    순환펌프로 펌핑되는 세척수를 상부노즐 또는 하부노즐로 공급하는 수류분배기를 상기 상부노즐로 연결하는 단계;
    상기 순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 및
    상기 배수펌프를 작동시키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목욕기의 제어방법.
  16. 제 15 항에 있어서,
    상기 욕실 내부 확인단계는 상기 욕실 내부에 배치되는 높이센서를 이용하여 상기 욕실 내부를 감지하는 반려동물 목욕기의 제어방법.
  17.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워싱단계는,
    급수밸브를 오픈하여 집수조에 세척수를 공급하는 단계;
    상기 순환펌프를 작동하여 상기 집수조에 저장된 세척수를 상기 욕실 내부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단계;
    거품발생기를 작동하여, 유동하는 세척수에 거품을 발생시키는 단계;
    순환펌프로 펌핑되는 세척수를 상부노즐 또는 하부노즐로 공급하는 수류분배기로 상부노즐 또는 하부노즐로 세척수를 공급하는 단계; 및
    배수펌프를 작동하여 집수조의 세척수를 배수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반려동물 목욕기의 제어방법.
KR1020180116664A 2018-09-29 2018-09-29 반려동물 목욕기 KR20200037040A (ko)

Priorit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664A KR20200037040A (ko) 2018-09-29 2018-09-29 반려동물 목욕기
US16/586,459 US11375694B2 (en) 2018-09-29 2019-09-27 Pet bath
EP19866295.9A EP3855907B1 (en) 2018-09-29 2019-09-27 Pet bath
PCT/KR2019/012622 WO2020067789A1 (en) 2018-09-29 2019-09-27 Pet bath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16664A KR20200037040A (ko) 2018-09-29 2018-09-29 반려동물 목욕기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00037040A true KR20200037040A (ko) 2020-04-08

Family

ID=699455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16664A KR20200037040A (ko) 2018-09-29 2018-09-29 반려동물 목욕기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US (1) US11375694B2 (ko)
EP (1) EP3855907B1 (ko)
KR (1) KR20200037040A (ko)
WO (1) WO2020067789A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302A (ko) * 2021-02-10 2022-08-17 정채영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
KR20230166694A (ko) 2022-05-31 2023-12-07 오성진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반려동물 에어 샤워 및 건조기

Families Citing this family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11229327B2 (en) * 2018-10-11 2022-01-25 Lg Electronics Inc. Bath with elliptical air flow and/or moveable bottom
KR101938694B1 (ko) * 2018-10-16 2019-04-10 박맹기 반려동물용 멀티하우스
USD936302S1 (en) * 2019-11-21 2021-11-16 Jian Gong Pet drying box
CN113229170B (zh) * 2021-05-21 2022-04-22 珠海艾宠洁智能设备科技有限公司 一种宠物智能洗浴一体机自动风路控制系统
CN113331080B (zh) * 2021-06-11 2022-12-23 深圳六一创新科技有限公司 一种全自动宠物清洁箱
US20230122984A1 (en) * 2021-10-15 2023-04-20 Puppywash, Inc. Animal washing system
CN114271209B (zh) * 2021-12-29 2022-09-20 吉安正邦食品有限公司 屠宰生猪多角度洗猪机
CN114600789B (zh) * 2022-02-23 2023-08-22 陕西鑫汉宝生物科技有限公司 一种具有除菌驱虫效果的烘干式动物保健护理装置
CN114946695B (zh) * 2022-06-06 2023-05-30 哈尔滨学院 一种宠物猫的热浴装置

Family Cites Families (1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3884191A (en) * 1974-02-21 1975-05-20 Pansy M Stout Animal bathing and drying apparatus
JPS5352872Y2 (ko) * 1974-10-15 1978-12-16
JPH035243Y2 (ko) * 1985-04-27 1991-02-12
US4987860A (en) * 1990-06-01 1991-01-29 Davis Brad S Small animal bath
ES1043452Y (es) * 1999-05-07 2000-05-01 Munoz Angel Maria Segura Maquina para la limpieza, desinfeccion y desparasitacion de animales.
US6443164B1 (en) * 2000-09-22 2002-09-03 Spectrum Products, Inc. Apparatus for automatic application of compositions to the skin
US6516752B2 (en) * 2001-07-02 2003-02-11 Richard Batterton Veterinary bathing station with rotating ingress/egress ramp
KR100521574B1 (ko) 2002-12-23 2005-10-13 미쓰비시덴키 가부시키가이샤 동기 전동기의 제어 장치
KR200372902Y1 (ko) 2004-10-21 2005-01-21 임재상 애완동물 목욕장치
JP2008094726A (ja) * 2006-10-06 2008-04-24 Towa Koso Kk マイクロバブル洗浄用組成物、マイクロバブル洗浄方法及びマイクロバブル洗浄装置
JP5312416B2 (ja) * 2009-09-11 2013-10-09 藤田エンジニアリング株式会社 エアーシャワー装置及び除菌・消臭方法
CA2707181C (en) * 2009-09-15 2012-06-26 Omayma E. Moharram Portable device and process to automatically cleanse and dry pets
WO2012030093A2 (en) * 2010-09-02 2012-03-08 Lg Electronics Inc. A dishwasher
US8485136B2 (en) * 2011-05-02 2013-07-16 Ccsi International, Inc. Pet wash vending station
KR20130004113U (ko) 2011-12-27 2013-07-05 현대중공업 주식회사 아이볼트를 이용한 스페이드 스페이서 구조
KR101720421B1 (ko) * 2015-07-22 2017-03-27 이신호 애완동물 세척 장치 및 방법
US20190357495A1 (en) * 2018-05-24 2019-11-28 Chun-Chien Liu Multifunctional pet house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115302A (ko) * 2021-02-10 2022-08-17 정채영 반려동물용 목욕 장치
KR20230166694A (ko) 2022-05-31 2023-12-07 오성진 인공지능 기술을 활용한 반려동물 에어 샤워 및 건조기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EP3855907A1 (en) 2021-08-04
EP3855907B1 (en) 2024-01-10
US11375694B2 (en) 2022-07-05
WO2020067789A1 (en) 2020-04-02
EP3855907A4 (en) 2022-06-15
US20200100466A1 (en) 2020-04-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200037040A (ko) 반려동물 목욕기
KR20200037041A (ko) 반려동물 목욕기
US7814770B2 (en) Multi-functional laundry device and controlling method for the same
US7584633B2 (en) Spray type drum washing machine
US7665227B2 (en) Fabric revitalizing method using low absorbency pads
US7921578B2 (en) Nebulizer system for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8844160B2 (en) Modular fabric revitalizing system
US7735345B2 (en) Automatic fabric treatment appliance with a manual fabric treatment station
US20100186176A1 (en) Fabric revitalizing method using mist
US20100018262A1 (en) Modular fabric revitalizing system
US20070163098A1 (en) Drum with low absorbency textured surface for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20070163097A1 (en) Low absorbency pad system for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US20070151041A1 (en) Control process for a revitalizing appliance
EP3034680B1 (en) Clothes treatment apparatus
US20070163096A1 (en) Fluid delivery system for a fabric treatment appliance
KR101455995B1 (ko) 보조 의류처리장치 및 이를 구비하는 복합 의류처리장치
AU2007277599A1 (en) Multiple laundry treating machine and control method thereof
MX2007003783A (es) Maquina automatica de hidromasaje para mascotas.
US6481248B2 (en) Washer and dryer apparatus
CA2385170C (en) Sanitizing cabinet for sports equipment
KR20180102951A (ko) 세면대 하부장
KR20040087039A (ko) 운동화 세탁장치
JP6840060B2 (ja) 洗濯機
KR950003678Y1 (ko) 세탁 건조기
JPH11206259A (ja) ペットの洗浄および乾燥方法ならびにそれに使用する装置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