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4964A - 게임테이블 - Google Patents

게임테이블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4964A
KR20220114964A KR1020210018630A KR20210018630A KR20220114964A KR 20220114964 A KR20220114964 A KR 20220114964A KR 1020210018630 A KR1020210018630 A KR 1020210018630A KR 20210018630 A KR20210018630 A KR 20210018630A KR 20220114964 A KR20220114964 A KR 20220114964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turn
turn indicator
indicator light
current
control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863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72847B1 (ko
Inventor
최진석
Original Assignee
최진석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진석 filed Critical 최진석
Priority to KR102021001863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572847B1/ko
Publication of KR20220114964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964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7284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7284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023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played on a table from all sides, e.g. marble gam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1/00Card games
    • A63F1/06Card games appurtenances
    • A63F1/067Tables or similar supporting structur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005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played on a table, the ball or other playing body being rolled or slid from one side of the table in more than one direction or having more than one entering position on this same side, e.g. shuffle board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7/00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 A63F7/0058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e.g. balls, discs or blocks electric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003Types of board games
    • A63F3/00157Casino or betting games
    • A63F2003/00164Casino tables
    • AHUMAN NECESSITIES
    • A63SPORTS; GAMES; AMUSEMENTS
    • A63FCARD, BOARD, OR ROULETTE GAMES; INDOOR GAMES USING SMALL MOVING PLAYING BODIES; VIDEO GAMES; GAME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A63F3/00Board games; Raffle games
    • A63F3/00895Accessories for board games
    • A63F2003/00974Accessories for board games mounted, drawn on or designed as a tabl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ultimedia (AREA)
  • Toy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여럿이 모여 즐길 수 있는 게임테이블이다. 이러한 게임테이블은 바닥에 놓이는 프레임부;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거나 유입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제어부;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제어부와 연결되고, 적외선이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부 및 프레임부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고, 제어부 그리고 감지부와 연결되어 제어부가 턴-온 되었을 때 유입되는 전류와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턴-온 및 턴-오프 되는 순번표시부를 포함한다.

Description

게임테이블{Game Table}
본 발명은 여럿이 모여 즐길 수 있는 술집 테이블에 관한 것이다.
최근 외식문화의 발달로 인하여 사람들 간 교재가 활발해지고 있다. 사람들은 함께 모여 게임을 한다. 일례로, 호프집과 같이 한자리에 여러 사람이 모여서 음주하는 경우, 앉은 자리에서 룰렛 판을 놓고 룰렛 회전판이 지시하는 자리에 앉은 사람이 벌칙을 수행하는 게임들이 진행된다.
호프집과 같이 여러 사람이 모이는 장소에서는 룰렛 게임기가 설치된 테이블 등이 설치되고 있다. 현재, 호프집에 설치된 테이블에는 원반을 손으로 돌리는 회전판 또는 화살표 등이 설치된 게임테이블이 주를 이루고 있다.
이러한 게임테이블은 회전판 및 화살표가 돌아가다 보니, 사람이 판단하기 애매한 곳을 지시하는 문제 그리고 사용자들이 게임을 진행하면서 술을 엎지를 경우 회전판 또는 화살표가 쉽게 오염될 수 있는 문제를 가진다.
대한민국 등록특허 제10-1467329호(공고일자: 2014. 12. 01.)
본 발명은 디지털 방식으로 순번표시기가 작동되도록 하여, 벌칙을 수행하는 사람이 명확히 판별되도록 하고, 사용자들이 게임을 진행하면서 술을 엎지르더라도 순번표시기가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테이블에 앉은 사람을 감지하여, 테이블에 앉은 사람의 수에 맞게 순번표시기가 작동되어 신속하게 게임이 진행되도록 한다.
본 발명의 기술적 과제는 이상에서 언급한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기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의 게임테이블은, 바닥에 놓이는 프레임부;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거나 유입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제어부; 프레임부에 설치되어 제어부와 연결되고, 적외선이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부 및 프레임부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고, 제어부 그리고 감지부와 연결되어 제어부가 턴-온 되었을 때 유입되는 전류와 감지부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턴-온 및 턴-오프 되는 순번표시부를 포함한다.
순번표시부는, 프레임부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되어 설치된, 제1순번표시등, 제2순번표시등 및 제3순번표시등을 포함하고,
감지부는 제1순번표시등에 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제1감지센서와, 제2순번표시등에 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제2감지센서와, 제3순번표시등에 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제3감지센서를 포함할 수 있다.
제1순번표시등은 제1감지센서에서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에서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턴-온 되고, 제1감지센서에서 감지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제어부에서 전류가 인가되더라도 턴-오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제2순번표시등은 제2감지센서에서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에서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턴-온 되고, 제2감지센서에서 감지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제어부에서 전류가 인가되더라도 턴-오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제3순번표시등은 제3감지센서에서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에서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턴-온 되고, 제3감지센서에서 감지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제어부에서 전류가 인가되더라도 턴-온 되지 않을 수 있다.
제어부는 전류가 인가되면 작동되어, 기 설정된 프로그램을 통해 제1순번표시등 내지 제3순번표시등이 일정한 간격에 맞춰 턴-온 및 턴-오프 되도록 제1순번표시등 내지 제3순번표시등에 전류를 인가하는 연산모듈과, 외력이 가해지면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연산모듈에 전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플레이버튼과, 외력이 가해지면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연산모듈에 유입되는 전류를 차단시키는 게임변경버튼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의 프레임부에 설치된 제어부는, 제1순번표시등 내지 제3순번표시등을 동기화 시켜, 제1순번표시등 내지 제3순번표시등을 동시에 턴-온 및 턴-오프 시키고, 다른 하나의 프레임부에 설치된 제어부에 연결되어, 다른 하나의 프레임부에 설치된 제1순번표시등 내지 제3순번표시등에 전류 인가 여부를 제어할 수 있다. 프레임부는, 상측 면이 다각형 또는 원형으로 형성된 테이블이 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디지털 방식으로 순번표시기가 작동되도록 하여, 벌칙을 수행하는 사람이 명확히 판별되도록 하고, 사용자들이 게임을 진행하면서 술을 엎지르더라도 순번표시기가 오염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또한, 테이블에 앉은 사람을 감지하여 테이블에 앉은 사람의 수에 맞게 순번표시기가 작동되어 신속하게 게임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본 발명은 게임의 최대 정원 중 일부만 참여하더라도 참여한 일부 인원만을 감지해 게임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테이블의 블록도이다.
도 2는 도 1의 게임테이블의 다양한 프레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 내지 도 7은 게임테이블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은 제1게임테이블 내지 제n게임테이블의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9 내지 도 11은 도 8의 복수 개의 게임테이블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어부 및 순번표시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들을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당해 기술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더욱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이며 하기 실시 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다.
이러한 본 발명의 청구 범위는 하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하기의 실시 예는 본 발명의 일례를 충실 및 완전하게 하여, 당업자에게 본 발명의 사상을 완전하게 전달하기 위하여 제공되는 것일 뿐이다.
이에, 도면에서 각 층의 두께나 크기는 설명의 편의 및 명확성을 위하여 과장된 부분이 있을 수도 있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바와 같이, 용어 ‘및/또는’은 해당 열거된 항목 중 어느 하나 및 하나 이상의 모든 조합을 포함한다. 아울러, 본 명세서에서 사용된 용어는 특정 실시 예를 설명하기 위하여 사용되며, 본 발명을 제한하기 위한 것이 아니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이상적인 실시 예들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들을 참조하여 설명된다. 다만, 본 발명의 게임테이블에 대한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해질 수 있도록 도 1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테이블에 대해 개략적으로 설명한다. 이후, 도 2를 참조하여 본 발명의 구성요소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게임테이블의 블록도이고, 도 2는 도 1의 게임테이블의 다양한 프레임부를 나타낸 도면이다.
게임테이블(1)은 순번표시부(40)가 디지털 방식으로 작동되어, 벌칙을 수행하는 사람이 명확히 판별되도록 한다. 그리고 다수의 사용자들이 게임을 진행하면서, 실수로 술을 엎지르더라도 순번표시부(40)가 오염되지 않도록 한다. 또한, 프레임부(10)에 앉은 사람을 감지하여 프레임부(10)에 앉은 사람의 수에 맞게 순번표시부(10)가 작동되어 신속하게 게임이 진행되도록 할 수 있다.
아울러, 게임테이블(1)은 게임의 최대 정원 중 일부만 참여하더라도 참여한 일부 인원만을 감지해 게임이 원활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은, 게임테이블(1)은 바닥에 놓이는 프레임부(10), 프레임부(10)에 설치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거나 유입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제어부(20), 프레임부(10)에 설치되어 제어부(20)와 연결되고 적외선이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부(30) 및 프레임부(10)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고 제어부(20) 그리고 감지부(30)와 연결되어 제어부(20)가 턴-온 되었을 때, 유입되는 전류와 감지부(30)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턴-온 및 턴-오프 되는 순번표시부(40)를 포함한다.
이하, 전술 한 구성요소 즉, 프레임부(10), 제어부(20), 감지부(30) 및 순번표시부(40)에 대해 보다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프레임부(10)는 제어부(20), 감지부(30) 및 순번표시부(40)가 설치된 테이블이 된다. 이러한 프레임부(10)는 도 2의 (a)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측 면이 다각형(10) 형상의 테이블 또는 도 2의 (b)에 도시된 바와 같이 원형 형상의 테이블이 된다. 이러한 프레임부(10)에는 설치된 순번표시부(40)를 통해 여러 명은 룰렛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여기서, 순번표시부(40)는 프레임부(10)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되어 설치된 제1순번표시등(401), 제2순번표시등(402), 제3순번표시등(403) 및 제4순번표시등(404)을 포함한다. 이때, 제1순번표시등(401) 내지 제4순번표시등(404)은 프레임부(10)에 매립된 LED가 될 수 있다.
아울러,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프레임부(10)에는 복수 개의 LED가 가로 및 세로에 설치되어, 여러 명은 사다리 게임을 즐길 수 있다. 이때, 사다리게임은 게임변경버튼(230)이 눌려지게 되었을 때, 룰렛 게임에서 전환되어 진행될 수 있다.
프레임부(10)의 일단에는 전류의 흐름을 제어하는 제어부(20)가 설치된다.
제어부(20)는 외력이 가해지면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거나 유입되는 전류를 차단한다. 이와 같은 제어부(20)는 연산모듈(210), 플레이버튼(220) 및 게임변경버튼(230)을 구성요소로 포함한다.
여기서, 연산모듈(210)은 외부에서 전류가 인가되면 작동되어, 기 설정된 프로그램을 통해 제1순번표시등(401) 내지 제4순번표시등(404)이 일정한 간격에 맞춰 턴-온 및 턴-오프 되도록 제1순번표시등(401) 내지 제3순번표시등(404)에 전류를 인가할 수 있다. 이와 같은 연산모듈(210)은 마이크로 컨트롤러 유닛(Micro Controller Unit)이 될 수 있다.
플레이버튼(220)은 연산모듈(210)과 외력이 가해지면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연산모듈(210)에 전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게임변경버튼(230)은 외력이 가해지면 기 설정된 게임 내에서 게임을 전환할 수 있다. 일례로, 룰렛게임에서 사다리게임으로 전환시키거나, 사다리게임에서 룰렛게임으로 전환시킬 수 있다.
이와 같은 플레이버튼(220)과 게임변경버튼(230)은 사용자가 눌러 외부의 전원 즉, 상용전원에서 제어부(20)로 전원이 공급 또는 공급되는 전원을 차단시킬 수 있도록 하는 버튼이 된다.
감지부(30)는 프레임부(10)에 설치되어 제어부(20)와 연결되고, 적외선이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발생시켜 순번표시부(40)에 인가한다.
여기서, 감지부(30)는 제1순번표시등(401)에 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제1감지센서(310)와 제2순번표시등(402)에 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제2감지센서(320)와 제3순번표시등(403)에 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제3감지센서(330)를 포함한다.
여기서, 제1순번표시등(401)은 제1감지센서(310)에서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20)에서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턴-온 되고, 제1감지센서(310)에서 감지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제어부(20)에서 전류가 인가되더라도 턴-온 되지 않을 수 있다.
제2순번표시등(402)은 제2감지센서(320)에서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20)에서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턴-온 되고, 제2감지센서(320)에서 감지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제어부(20)에서 전류가 인가되더라도 턴-온 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3순번표시등(403)은 제3감지센서(330)에서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20)에서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턴-온 되고, 제3감지센서(330)에서 감지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제어부(20)에서 전류가 인가되더라도 턴-온 되지 않을 수 있다. 또한, 제4순번표시등(404)은 제4감지센서(304)에서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20)에서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턴-온 되고, 제4감지센서(304)에서 감지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제어부(20)에서 전류가 인가되더라도 턴-온 되지 않을 수 있다.
이하, 도 3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게임테이블의 작동 상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3 내지 도 7은 게임테이블의 작동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사용자(A1), 제2사용자(A2), 제3사용자(A3), 제4사용자(A4)는 프레임부(10)의 전면에 앉아 게임에 참여할 수 있다. 이때, 제1사용자(A1)는 프레임부(10)의 제1면의 앞에 앉고, 제2사용자(A2)는 프레임부(10)의 제2면의 앞에 앉고, 제3사용자(A3)는 프레임부(10)의 제3면의 앞에 앉고, 제4사용자(A4)는 프레임부(10)의 제4면의 앞에 앉을 수 있다. 여기서, 제1면의 상측에는 제1순번표시등(401)이 매립되고, 제2면의 상측에는 제2순번표시등(402)이 설치되고, 제3면의 상측에는 제3순번표시등(403)이 설치되고, 제4면의 상측에는 제4순번표시등(404)이 설치된다.
본 발명의 게임테이블(1)은 프레임부(10)에 설치된 복수 개의 순번표시등(401~404)이 제어부(20)의 연산모듈에 설치된 프로그램을 통해 순서대로 턴-온 그리고 턴-오프 되면서 일정 시간 이후, 특정한 순번표시등 만 켜지도록 하며 여러 사람이 룰렛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프레임부(10)의 제1면의 앞에는 제1사용자(A1)가 앉을 수 있고, 제2면의 앞에는 제2사용자(A2)가 앉을 수 있고, 제3면의 앞에는 제3사용자(A3)가 앉을 수 있고, 제4면의 앞에는 제4사용자(A4)가 앉은 경우를 하나의 예로 하여, 본 발명의 게임테이블(1)의 작동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제1면에 설치된 제1감지센서(310)는 제1사용자(A1)의 적외선을 감지하고, 제2면에 설치된 제2감지센서(320)는 제2사용자(A2)의 적외선을 감지하고, 제3면에 설치된 제3감지센서(330)는 제3사용자(A3)의 적외선을 감지하고, 제4면에 설치된 제4감지센서(340)는 제4사용자(A4)의 적외선을 감지할 수 있다. 여기서, 제1감지센서(310) 내지 제4감지센서(340)는 설정 거리 이내에서 적외선을 감지하는 적외선 감지센서가 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순번표시등(401)은 제1감지센서(310)에서 적외선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20)에서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턴-온 될 수 있다. 이때, 제1순번표시등(401)은 제1감지센서(310)에서 적외선을 감지하지 않게 되면, 제어부(20)에서 전류가 인가되더라도 턴-오프 상태가 유지된다.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순번표시등(402)은 제2감지센서(320)에서 적외선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20)에서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턴-온 될 수 있다. 이때, 제2순번표시등(402)은 제2감지센서(320)에서 적외선을 감지하지 않게 되면, 제어부(20)에서 전류가 인가되더라도 턴-오프 상태가 유지된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3순번표시등(403)은 제3감지센서(330)에서 적외선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20)에서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턴-온 될 수 있다. 이때, 제3순번표시등(403)은 제3감지센서(330)에서 적외선을 감지하지 않게 되면, 제어부(20)에서 전류가 인가되더라도 턴-오프 상태가 유지된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4순번표시등(404)은 제3감지센서(330)에서 적외선을 감지하여 감지신호를 수신하고, 제어부(20)에서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턴-온 될 수 있다. 이때, 제4순번표시등(404)은 제4감지센서(330)에서 적외선을 감지하지 않게 되면, 제어부(20)에서 전류가 인가되더라도 턴-오프 상태가 유지된다.
즉, 제어부(20) 및 복수 개의 감지센서는 제1순번표시등(401), 제2순번표시등(402), 제3순번표시등(403) 및 제4순번표시등(404)등이 시계방향 또는 반 시계방향으로 켜고 꺼질 수 있도록 하며, 최종적으로 설정된 개수의 순번 표시등 만이 켜지도록 한다. 이때, 제어부(20)는 도시되어 있지는 않지만 게임설정버튼(미도시)와 연결되어, 게임설정버튼의 조작에 따라 1개의 순번표시등 또는 2개의 순번표시등이 최종적으로 켜질 수 있도록 할 수 있다.
더욱이, 제어부(20)는 제1감지센서(310) 내지 제4감지센서(340)로부터 감지신호를 수신하면, 수신한 감지신호에 대응되는 제1순번표시등(401) 내지 제4순번표시등(404)이 켜질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제어부(20)는 제1감지센서(310)와 제2감지센서(320)에서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제1순번표시등(401)과 제2순번표시등(402)만 켜지도록 한다. 만약, 제3감지센서(320)에서 감지신호가 수신되면, 감지신호가 수신된 시점에 맞춰 제3순번표시등(403)이 켜질 수 있도록 한다.
여기서, 제1순번표시등(401) 내지 제4순번표시등(404)의 내부에는 논리곱 소자 즉, AND게이트 소자가 설치되어, 제1감지센서(310)내지 제4감지센서(340) 각각에서 인가되는 감지신호와 제어부(20)에서 인가되는 전류가 수신되어 턴-온 될 수 있다. 일례로, 제1순번표시등(401)은 AND 게이트 소자가 설치되어 제1감지센서(310)에서 인가되는 감지신호와 제어부에(20)에서 인가되는 전류가 수신되어 턴-온 될 수 있다.
제1순번표시등(401) 내지 제4순번표시등(404)에 설치된 AND게이트를 통해, 게임에 참여하지 않은 방향의 순번표시등(404)에 점등 되는 상황을 없애 게임이 신속하게 진행될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게임테이블(1)은 프레임부(10)의 앞에 앉은 사람을 감지하여, 프레임부(10)의 일면에 사람이 앉아 있지 않은 경우, 사람이 없는 쪽에 위치한 순번표시등 일례로 제3순번표시등(403)은 작동되지 않도록 한다. 즉, 게임테이블(1)은 룰렛 게임을 플레이하는 경우 해당 좌석의 LED는 점등하지 않고 패스할 수 있다.
이를 통해, 게임테이블(1)은 테이블에 앉은 사람의 수에 맞게 순번표시기가 작동되어 룰렛 게임이 신속하게 진행되도록 한다.
이하, 도 8 내지 도 13을 참조하여 도 2의 게임테이블이 복수 개 연결되어 작동되는 상태에 대해 구체적으로 설명한다.
도 8은 제1게임테이블 내지 제n게임테이블의 연결된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그리고 도 9 내지 도 13은 도 8의 복수 개의 게임테이블이 연결된 상태에서 제어부 및 순번표시부가 작동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내용은 많은 사람이 모이는 기념일, 생일, 매장측 이벤트시 카운터에서 테이블 전체를 대상으로 이벤트 진행 시, 본 발명의 게임테이블의 활용되는 상태를 나타낸 도면이다.
도 8 내지 도 13에 도시된 제1프레임부(10-1) 내지 제n프레임부(10-n)는 전술한 프레임부(10)와 동일하고, 각 프레임부에 설치되는 제어부, 감지부 및 순번표시부 또한 전술한 제어부, 감지부 및 순번표시부와 동일하다.
이에, 게임테이블(1-1)이 복수 개 연결되어 작동되는 상태에 대한 설명이 간결하고 명확해질 수 있도록, 중복되는 내용에 대해서는 생략한다.
제1프레임부(10-1) 내지 제n프레임부(10-n)는 카운터의 메인컴퓨터와 근거르 무선통신하는 근거리무선통신 장치를 포함한다. 여기서, 근거리무선통신장치는 와이파이 또는 블루투스 장치가 될 수 있다.
이와 같은 제1프레임부(10-1) 내지 제n프레임부(10-n)는 무선통신으로 연결되어, 2~4인용의 프레임부가 8인 이상의 커다란 프레임부로 형성될 수 있다. 이러한 커다란 프레임부는 많은 사람이 함께 룰렛 게임을 즐길 수 있도록 한다.
복수 개의 프레임부가 연결된 게임테이블은 카운터의 메인컴퓨터와 연결되어 메인컴퓨터의 제어를 통해 작동될 수 있다.
이때, 카운터의 메인컴퓨터는 각 프레임부(10-1~10-n)에 설치된 제어부의 작동을 제어하며 각 프레임부에 설치된 순번표시부의 턴-온 및 턴-오프를 제어할 수 있다.
이때, 제어부(20)는 도 9 내지 도 11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프레임부(10-1)에 설치된 제1순번표시등(401) 내지 제4순번표시등(404)을 동기화시켜 제1세트표시등으로 형성하고, 제2프레임부(10-2)에 설치된 제1순번표시등 내지 제4순번표시등을 동기화 시켜 제2세트표시등으로 형성하고, 제n프레임부(10-n)에 설치된 제1순번표시등 내지 제4순번표시등을 동기화 시켜 제n세트표시등으로 형성할 수 있다. 그리고, 형성된 제1세트표시등 내지 제n세트표시등을 반시계방향 또는 시계방향으로 돌아가며 켜고 꺼질 수 있도록 한다.
아울러, 게임테이블(1-1)은 도 12 및 도 13에 도시된 바와 같이, 감지부를 통해, 게임 참여자가 한 명도 없는 프레임부에 설치된 순번표시등이 동기화된 세트표시등에 대해서는 켜지지 않도록 하고, 게임 참여자가 있는 프레임부로 건너뛰어, 그 프레임부에 설치된 순번표시등이 켜질 수 있도록 한다. 일례로, 도 1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프레임부(10-2)에 게임참여자가 없는 경우, 제2프레임부(10-2)에 설치된 순번표시등은 켜지지 않고, 제1프레임부(10-1)의 순번표시등에서 제n프레임부(10-n)의 순번표시등으로 바로 넘어가 켜질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다시, 제n프레임부(10-n)의 순번표시등에서 제1프레임부(10-1)의 순번표시등으로 넘어가 켜질 수 있도록 한다.
이와 같이, 게임테이블은 게임을 참여하지 않는 프레임부에 대해서는 건너 뛰고, 게임이 진행되도록 하며 많은 프레임부가 이격 된 상황에서도 많은 사람들이 게임에 참여할 수 있도록 한다. 그리고 게임에 참여된 프레임부에 설치된 순번표시등 만을 켜지고 꺼지도록 하며 게임의 진행속도를 높일 수 있다.
이상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들을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이 그 기술적 사상이나 필수적인 특징을 변경하지 않고서 다른 구체적인 형태로 실시될 수 있다는 것을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이상에서 기술한 실시예들은 모든 면에서 예시적인 것이며 한정적이 아닌 것으로 이해해야 한다.
1: 게임테이블
10: 프레임부
10-1: 제1프레임부
10-2: 제2프레임부 10-3: 제3프레임부
20: 제어부
210: 연산모듈 220: 플레이버튼
230: 게임변경버튼
30: 감지부
310: 제1감지센서 320: 제2감지센서
330: 제3감지센서 340: 제4감지센서
40: 순번표시부
401: 제1순번표시등 402: 제2순번표시등
403: 제3순번표시등 404: 제4순번표시등
A1: 제1사용자 A2: 제2사용자
A3: 제3사용자 A4: 제4사용자

Claims (5)

  1. 바닥에 놓이는 프레임부(10);
    프레임부(10)에 설치되어 외력이 가해지면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전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거나 유입되는 전류를 차단하는 제어부(20);
    프레임부(10)에 설치되어 제어부(20)와 연결되고, 적외선이 감지되면 감지신호를 발생시키는 감지부(30) 및
    프레임부(10)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설치되고, 제어부(20) 그리고 감지부(30)와 연결되어 제어부(20)가 턴-온 되었을 때 유입되는 전류와 감지부(30)에서 출력되는 감지신호의 수신 여부에 따라 턴-온 및 턴-오프 되는 순번표시부(40)를 포함하는, 게임테이블.
  2. 제1항에 있어서,
    순번표시부(40)는,
    프레임부(10)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 되어 설치된, 제1순번표시등(401), 제2순번표시등(402) 및 제3순번표시등(403)을 포함하고,
    감지부(30)는,
    제1순번표시등(401)에 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제1감지센서(310)와,
    제2순번표시등(402)에 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제2감지센서(320)와,
    제3순번표시등(403)에 감지신호를 인가하는 제3감지센서(330)를 포함하는, 게임테이블.
  3. 제2항에 있어서,
    제1순번표시등(401)은,
    제1감지센서(310)에서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20)에서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턴-온 되고,
    제1감지센서(310)에서 감지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제어부(20)에서 전류가 인가되더라도 턴-오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제2순번표시등(402)은,
    제2감지센서(320)에서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20)에서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턴-온 되고,
    제2감지센서(320)에서 감지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제어부(20)에서 전류가 인가되더라도 턴-오프 상태가 유지되도록 하고,
    제3순번표시등(403)은,
    제3감지센서(330)에서 감지신호가 인가되면, 제어부(20)에서 전류가 인가되었을 때 턴-온 되고,
    제3감지센서(330)에서 감지신호가 인가되지 않으면, 제어부(20)에서 전류가 인가되더라도 턴-온 되지 않는, 게임테이블.
  4. 제2항에 있어서, 제어부(20)는,
    전류가 인가되면 작동되어, 기 설정된 프로그램을 통해 제1순번표시등(401) 내지 제3순번표시등(403)이 일정한 간격에 맞춰 턴-온 및 턴-오프 되도록 제1순번표시등(401) 내지 제3순번표시등(403)에 전류를 인가하는 연산모듈(210)과,
    외력이 가해지면 외부의 전원으로부터 연산모듈(210)에 전류가 유입될 수 있도록 하는 플레이버튼(220)을 포함하는, 게임테이블.
  5. 제2항에 있어서,
    하나의 프레임부에 설치된 제어부(20)는,
    제1순번표시등(401) 내지 제3순번표시등(403)을 동기화 시켜,
    제1순번표시등(401) 내지 제3순번표시등(403)을 동시에 턴-온 및 턴-오프 시키고,
    다른 하나의 프레임부에 설치된 제어부(20)에 연결되어, 다른 하나의 프레임부(10-2)에 설치된 제1순번표시등 내지 제3순번표시등에 전류 인가 여부를 제어하는, 게임테이블.
KR1020210018630A 2021-02-09 2021-02-09 게임테이블 KR10257284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630A KR102572847B1 (ko) 2021-02-09 2021-02-09 게임테이블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8630A KR102572847B1 (ko) 2021-02-09 2021-02-09 게임테이블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964A true KR20220114964A (ko) 2022-08-17
KR102572847B1 KR102572847B1 (ko) 2023-08-29

Family

ID=8311067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8630A KR102572847B1 (ko) 2021-02-09 2021-02-09 게임테이블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572847B1 (ko)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0588A (ja) * 2000-06-07 2001-12-21 Totoku Electric Co Ltd テーブル型表示装置
KR200438436Y1 (ko) * 2006-11-21 2008-02-15 양영신 게임 기능을 가지는 냉각테이블
JP2009056282A (ja) * 2007-08-07 2009-03-19 Bmb Corp 多機能型電子テーブル
KR101467329B1 (ko) 2012-07-04 2014-12-01 이경재 룰렛 게임기가 구비된 테이블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01350588A (ja) * 2000-06-07 2001-12-21 Totoku Electric Co Ltd テーブル型表示装置
KR200438436Y1 (ko) * 2006-11-21 2008-02-15 양영신 게임 기능을 가지는 냉각테이블
JP2009056282A (ja) * 2007-08-07 2009-03-19 Bmb Corp 多機能型電子テーブル
KR101467329B1 (ko) 2012-07-04 2014-12-01 이경재 룰렛 게임기가 구비된 테이블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572847B1 (ko) 2023-08-2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Y1110455T1 (el) Συστημα αλληλεπιδρασης χρηστη και μηχανης παιχνιδιου σε καζινο
JP5385440B1 (ja) 遊技機
JP2014039815A (ja) 遊技機
US10369481B2 (en) Inclusive play panels and playground structures comprising the panels
KR20220114964A (ko) 게임테이블
CN103259897A (zh) 彩色设备照明
US7937864B2 (en) Device for coordinating illumination of an image and sound associated with use of the image
US6171188B1 (en) Game device for an entertainment show
JP3174006U (ja) 遊技機設置島用照明幕板制御装置
JPH10156023A (ja) パチンコ情報端末装置、パチンコ遊技台情報表示方法およびパチンコ情報端末装置間送受信方法
JPH06105958A (ja) 遊技用椅子
JP3224816U (ja) 多言語音声案内装置
JP3836672B2 (ja) 空席情報表示システム
KR101782242B1 (ko) 게임의 입력부로 전환되는 테이블 벨을 이용한 게임 방법
US20160110942A1 (en) Gaming table
KR20200006931A (ko) 숫자 식별이 용이한 승강기 버튼
JP2007105220A (ja) ゲーム装置およびゲーム媒体擬似移動演出方法
JPH03210287A (ja) パチンコ遊技機の管理装置
JP4525181B2 (ja) パチンコ機
JPS6422781A (en) Calling register for elevator
JPH05145651A (ja) 電話機を利用した在席表示装置
JP2005131245A (ja) パチンコ機
JP2014039794A (ja) 遊技機
JP2003187337A (ja) ワイヤレスコールシステム
JPH01275387A (ja) エレベータの乗場表示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