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4402A - 건축용 석재패널의 고정장치 - Google Patents

건축용 석재패널의 고정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4402A
KR20220114402A KR1020210017856A KR20210017856A KR20220114402A KR 20220114402 A KR20220114402 A KR 20220114402A KR 1020210017856 A KR1020210017856 A KR 1020210017856A KR 20210017856 A KR20210017856 A KR 20210017856A KR 20220114402 A KR20220114402 A KR 20220114402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bracket
fixing
vertical
stone panel
fixing devic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856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임만혁
Original Assignee
임만혁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임만혁 filed Critical 임만혁
Priority to KR1020210017856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4402A/ko
Publication of KR20220114402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402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0801Separate fastening elements
    • E04F13/0803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 E04F13/081Separate fastening elements with load-supporting elongated furring elements between wall and covering elements with additional fastening elements between furring elements and covering elements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13/00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 E04F13/0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 E04F13/08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 E04F13/14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 E04F13/147Coverings or linings, e.g. for walls or ceilings composed of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ub-structures therefor; Fastening means therefor composed of a plurality of similar covering or lining elements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e.g. ceramics concrete; of glass or with an outer layer of stone or stone-like materials or glass with an outer layer imitating natural stone, brick work or the like
    • EFIXED CONSTRUCTIONS
    • E04BUILDING
    • E04FFINISHING WORK ON BUILDINGS, e.g. STAIRS, FLOORS
    • E04F2201/00Joining sheets or plates or panels
    • E04F2201/05Separate connectors or inserts, e.g. pegs, pins, keys or strips
    • E04F2201/0505Pegs or pin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ATECHNOLOGIES FOR ADAPTATION TO CLIMATE CHANGE
    • Y02A30/00Adapting or protecting infrastructure or their operation
    • Y02A30/2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 Y02A30/244Structural elements or technologies for improving thermal insulation using natural or recycled building materials, e.g. straw, wool, clay or used tire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Architecture (AREA)
  • Civil Engineering (AREA)
  • Structur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eramic Engineering (AREA)
  • Finishing Walls (AREA)

Abstract

본 발명에서는 석재패널의 시공이 용이하고, 설치 위치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석재패널의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벽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어지되,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한 쌍 단위로 설치되는 가로브라켓과, 하나의 상기 가로브라켓의 상단과 다른 하나의 상기 가로브라켓의 하단에 같이 거치되고, 좌, 우 이동되어 폭 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수직브라켓 및 석재패널의 배면에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어 상기 수직브라켓에 수직 방향에서 삽입되고 측방향에서 고정핀을 통해 상기 수직브라켓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는 것이다.

Description

건축용 석재패널의 고정장치{Fixing device for building stone panels}
본 발명은 건축용 석재패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석재패널의 시공이 간편하여 시공 기간의 단축이 가능하고, 석재패널의 설치 위치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석재패널의 고정장치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건축물의 외벽에는 다양한 재질의 마감패널이 시공되는 바, 마감패널에는 대리석 등과 같은 석재패널은 물론, 다양한 재질의 목재로 제작된 목재패널 등을 단열패널 등과 같은 단열재와 함께 외벽을 마감하게 된다.
이러한 외벽 마감은 건축물의 외벽과 마감패널 사이에 일정 공간이 마련됨에 따라 건축물의 외벽이 강우나 외부 습기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는 장점으로 인해 각광받고 있는 실정이다.
이러한 마감패널로는 주로 박판형태의 석재패널이 시공되고 있다.
이와 같은 석재패널은, 뒷면에 통상 보강재와 단열재가 일체 구조화되어 다양한 결속장치 및 부착방법을 통해 건물 벽면에 결합 고정되는데, 종래의 가장 보편적인 부착방법으로는 석재패널의 상, 하측에 고정핀을 끼움 결합시키고 고정핀을 건축물의 벽면에 설치시킨 고정부재에 조정판을 결합시켜 석재패널을 시공하였다.
그런데 이와 같은 고정핀을 이용한 원시적인 부착방법의 결합구조는 석재패널의 상, 하측에 고정핀을 끼움 결합시킴에 따라, 벽면의 장식벽재가 되는 석재패널을 반드시 20-25㎜ 정도의 두께 이상으로 절단된 것을 이용해야 하고, 아울러 석재패널의 상, 하면에 고정핀이 삽입되는 구멍을 별도로 형성해야 하는 관계로 인해 중량의 석재패널을 운반 및 시공하는 데에 상당한 어려움이 있다.
또한, 건물의 장식벽재인 석재를 시공함에 있어, 고정부재를 용접하여 결합 고정함에 따라 고정부재의 위치를 가변시킬 수 없어 고정부재의 위치를 정확히 고정하여야 하나, 고정부재를 고정하는 벽체의 환경이 다르므로 이를 일치시키는 것이 구조적으로 매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특허공개번호 제10-2020-0122635호(2020.10.28. 공개일)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서, 벽면에 설치되는 가로브라켓과, 가로브라켓을 따라 좌, 우 이동 가능하도록 수직하게 설치되는 수직브라켓 그리고 석재패널의 배면에 설치되어 수직브라켓에 높이 조절되면서 설치되는 고정브라켓을 마련함으로써, 석재패널의 시공이 용이하고, 설치 위치 조절이 가능한 건축용 석재패널의 고정장치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상기한 기술적 과제를 달성하기 위한 기술적 수단으로서, 벽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어지되,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한 쌍 단위로 설치되는 가로브라켓과, 하나의 상기 가로브라켓의 상단과 다른 하나의 상기 가로브라켓의 하단에 같이 거치되고, 좌, 우 이동되어 폭 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수직브라켓 및 석재패널의 배면에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어 상기 수직브라켓에 수직 방향에서 삽입되고 측방향에서 고정핀을 통해 상기 수직브라켓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을 포함하여 상기 벽면에 상기 석재패널이 고정 설치되는 것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가로브라켓은, 상기 벽면에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상, 하단으로부터 경사지게 일체로 이어지는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의 양단에 수직하게 일체로 이어져서 상기 수직브라켓의 상단과 하단이 위치되어 좌, 우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상단레일면과 하단레일면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수직브라켓은, 중앙에 상기 고정브라켓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연통되고 전방측으로 개구된 수용홈부가 마련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과 하단부측에 "ㄱ"자 형상으로 상기 가로브라켓의 상단과 하단 각각에 거치되는 거치단 및 상기 몸체의 측방향으로부터 상기 수용홈부를 연통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몸체의 수직 방향을 따라 다수개 이격 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이 상기 몸체를 따라 높이 조절되면서 상기 고정핀이 설치되는 관통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브라켓은, 수직 방향으로 연통되는 중공부를 포함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측방으로 연통되는 고정관통공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르면, 고정핀은, 일단부측에 너링 처리된 파지부와, 타단부에는 절개단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한 후 상기 절개단을 통해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본 발명에 의한 건축용 석재패널의 고정장치에서는, 석재패널의 설치 시 높은 고정력은 물론, 작업이 용이하여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높이 조절가능한 설치를 통하여 정확한 위치로의 시공이 가능하고, 다양한 크기의 석재패널에 범용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본 발명의 특정한 바람직한 실시예들의 상기에서 설명한 바와 같은 또한 다른 측면들과, 특징들 및 이득들은 첨부 도면들과 함께 처리되는 하기의 설명으로부터 보다 명백하게 될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벽체에 건축용 석재패널가 설치되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석재패널의 고정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석재패널의 고정장치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석재패널의 고정장치의 일부 평단면도이다.
이하, 본 발명의 실시예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실시예를 설명함에 있어서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 분야에 익히 알려져 있고 본 발명과 직접적으로 관련이 없는 기술 내용에 대해서는 설명을 생략한다. 이는 불필요한 설명을 생략함으로써 본 발명의 요지를 흐리지 않고 더욱 명확히 전달하기 위함이다.
마찬가지 이유로 첨부 도면에 있어서 일부 구성요소는 과장되거나 생략되거나 개략적으로 도시되었다. 또한, 각 구성요소의 크기는 실제 크기를 전적으로 반영하는 것이 아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또는 대응하는 구성요소에는 동일한 참조 번호를 부여하였다.
본 발명의 이점 및 특징, 그리고 그것들을 달성하는 방법은 첨부되는 도면과 함께 상세하게 후술되어 있는 실시 예들을 참조하면 명확해질 것이다. 그러나 본 발명은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 예들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른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고,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며,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명세서 전체에 걸쳐 동일 참조 부호는 동일 구성 요소를 지칭한다.
여기서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라 벽체에 건축용 석재패널가 설치되는 상태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석재패널의 고정장치의 분리 사시도이고, 도 3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석재패널의 고정장치의 일부 확대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석재패널의 고정장치의 일부 평단면도이다.
도 1 내지 도 3에서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건축용 석재패널의 고정장치는, 건축물의 벽면(10)에 석재패널(20)을 설치하되, 벽면과 석재패널(20)의 사이에 일정 공간이 마련됨에 따라 건축물의 외벽이 강우나 외부 습기 등으로부터 보호될 수 있기에 이를 적용하여 근래에 많이 시공되고 있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는 벽면(10)과 석재패널(20) 사이의 일정 공간을 이용하여 석재패널(20)을 설치하기 위한 고정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크게는 벽면(10)에 설치되는 가로브라켓(100)과 가로브라켓(100)에 거치 설치되는 수직브라켓(110) 그리고 석재패널(20)에 설치되어 수직브라켓(110)에 설치되는 고정브라켓(120)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먼저, 벽면(10)은 건축물을 구성하는 외벽으로 콘크리트로 이루어져 있으며, 상기 벽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가로브라켓(100)이 설치될 수 있다.
가로브라켓(100)은, 금속재로 제작되며, 벽면(10)에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수직면(102)과, 수직면(102)으로부터 일체로 이어지되 전방측으로 일정 각도로 경사지게 형성되는 경사면(104)과, 각 경사면(104)의 양단으로부터 수직방향으로 절곡되어 상단레일면(106)과 하단레일면(108)으로 이루어질 수 있다.
여기서 콘크리트 벽면(10)에 가로브라켓(100)을 설치하기 위한 체결수단으로는 앙카볼트가 사용될 수 있으며, 수직면(102)을 따라 일정 거리 이격되어 다수개가 체결될 수 있다.
더욱이 가로브라켓(100)으로부터 수직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다른 하나의 가로브라켓(100)이 설치되어 한 쌍을 이루게 된다.
그리고 상단레일면(106)은 경사면(104)으로부터 수직하게 형성되어 하기에서 설명하는 수직브라켓(110)의 "ㄱ"자 형상의 상단측 거치단(114)이 위치되고,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가로브라켓(100) 중 하부측에 위치하는 하단레일면(108)에는 수직브라켓(110)의 하단측 거치단(114)이 위치되어 상단레일면(106)과 하단레일면(108)을 따라 수직브라켓(110)이 가로브라켓(100)을 따라 좌, 우로 이동될 수 있다.
수직브라켓(110)은, 가로브라켓(100)과 같은 금속재로 제작되며, 전체 길이는 한 쌍으로 이루어지는 상부측 가로브라켓(100)과 하부측 가로브라켓(100)의 이격 거리일 수 있다.
상기 수직브라켓(110)은 몸체(112)의 중앙에 고정브라켓(120)을 수용할 수 있도록 대략 직사각형상에 전방측으로 일정 폭 개구된 수용홈부(113)가 수직 방향을 따라 연통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몸체(112)에서 가로브라켓(100)을 향하는 배면측 상단과 하단 각각에 거치단(114)이 일체로 형성될 수 있다.
거치단(114)은 "ㄱ"자 형상으로 상기에서의 상단레일면(106)과 하단레일면(108)을 포함하도록 위치되는 것이다.
또한, 몸체(112)에는 측방향으로부터 수용홈부(113)를 연통하도록 관통공(115)이 형성되되, 몸체(112)의 수직 방향을 따라 다수개 이격 형성될 수 있다.
상기 관통공(115)를 통하여 석재패널(20)에 설치된 고정브라켓(120)의 설치 높이 조절이 가능할 수 있다.
한편, 수직브라켓(110)에 삽입 설치되는 고정브라켓(120)은 석재패널(20)의 배면에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되, 바람직하게는 상부측에 나란히 2개, 하부측에 나란히 2개가 설치되어 수직브라켓(110)에 2개씩 삽입 설치될 수 있다.
상기 고정브라켓(120)은 직육면체 형태의 고정몸체(122)를 구성하고, 고정몸체(122)는 수용홈부(113)와 동일 형상으로 수용홈부(113)보다는 다소 작게 형성되어 상방으로부터 삽입이 용이할 수 있다.
그리고 고정몸체(122)의 중앙에는 수직 방향으로 연통되는 직사각형상의 중공부를 형성하고, 측방으로는 중공부와 연통되는 고정관통공(124)을 형성할 수 있다.
여기서 수직브라켓(110)의 관통공(115)과 고정브라켓(120)의 고정관통공(124)을 관통하여 설치되는 고정핀(130)은, 막대 형상으로 일단부측에 너링 처리된 파지부(132)와, 타단부에는 절개단(134)이 형성되어 관통공(115)을 통과한 후 상기 절개단(134)을 통해 이탈이 방지되는 것이다.
상기 고정핀(130)의 전체길이는 수직브라켓(110)의 폭보다는 크고, 따라서 파지부(132)와 절개단(134)은 수직브라켓(110)의 관통공(115)으로부터 돌출될 수 있다.
이상과 같은 구성의 본 발명에 따른 건축용 석재패널의 고정장치의 작용은, 도 4를 참고하여 설명한다.
먼저, 벽면(10)에 가로브라켓(100)을 적정거리 이격시켜서 한 쌍으로 설치하게 된다.
수직면(102)에 앙카볼트 등을 이용하여 벽면(10)에 고정 설치한다.
그리고 가로브라켓(100)의 측방으로부터 수직브라켓(110)을 삽입 설치하게 되며, 수직브라켓(110)의 상단 거치단(114)이 가로브라켓(100)의 상단레일면(106)에 위치되고, 하단의 거치단(114)은 하단레일면(108)에 위치될 수 있다.
여기서 벽면(10)의 설치 면적 또는 석재패널(20)의 크기 정도에 따라 수직브라켓(110) 간의 폭 조절이 가능하며, 이는 상, 하단 거치단(114)이 상단레일면(106)과 하단레일면(108)을 따라 좌, 우 이동되면서 조절이 이루어지게 된다.
이어서 석재패널(20)의 배면에 적정 거리 이격되어 설치된 고정브라켓(120)을 이용하여 수직브라켓(110)에 고정 설치하게 된다.
일직선상의 고정브라켓(120)을 수직브라켓(110)의 수용홈부(113)에 삽입시키고, 삽입된 상태에서 적정 높이에 따라 관통공(115)과 고정브라켓(120)의 고정관통공(124)을 관통하여 고정핀(130)이 설치되어 수직브라켓(110)에 석재패널(20)을 고정시키게 된다.
고정핀(130)의 파지부(132)를 잡고, 절개단(134)이 오므려진 상태로 관통공(115)과 고정관통공(124)을 통과하게 되며, 관통공(115)을 통과한 절개단(134)이 펼펴지면서 이탈이 방지될 수 있다.
상기와 같이 기타 석재패널(20)이 벽면(10)의 전면 상에 차례로 설치될 수 있다.
상술한 바에 따르면, 석재패널의 설치 시 높은 고정력은 물론, 작업이 용이하여 시공 시간을 단축할 수 있으며, 높이 조절가능한 설치를 통하여 정확한 위치로의 시공이 가능하고, 다양한 크기의 석재패널에 범용이 가능하다.
본 명세서와 도면에 개시된 본 발명의 실시 예들은 본 발명의 기술 내용을 쉽게 설명하고,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해 특정 예를 제시한 것일 뿐이며,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고자 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앞서 설명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 : 벽면 20 : 석재패널
100 : 가로브라켓 102 : 수직면
104 : 경사면 106 : 상단레일면
108 : 하단레일면 110 : 수직브라켓
112 : 몸체 113 : 수용홈부
114 : 거치단 115 : 관통공
120 : 고정브라켓 122 : 고정몸체
124 : 고정관통공 130 : 고정핀
132 : 파지부 134 : 절개단

Claims (5)

  1. 벽면에 석재패널을 고정 설치하기 위한 건축용 석재패널의 고정장치에 있어서,
    벽면의 길이 방향을 따라 이어지되, 수직 방향으로 이격되어 한 쌍 단위로 설치되는 가로브라켓;
    하나의 상기 가로브라켓의 상단과 다른 하나의 상기 가로브라켓의 하단에 같이 거치되고, 좌, 우 이동되어 폭 조절이 가능한 한 쌍의 수직브라켓; 및
    석재패널의 배면에 적어도 2개 이상 설치되어 상기 수직브라켓에 수직 방향에서 삽입되고 측방향에서 고정핀을 통해 상기 수직브라켓에 고정 설치되는 고정브라켓;
    을 포함하는, 건축용 석재패널의 고정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가로브라켓은,
    상기 벽면에 체결수단을 통해 고정되는 수직면과,
    상기 수직면의 상, 하단으로부터 경사지게 일체로 이어지는 경사면 및
    상기 경사면의 양단에 수직하게 일체로 이어져서 상기 수직브라켓의 상단과 하단이 위치되어 좌, 우 이동이 가능하게 하는 상단레일면과 하단레일면,
    으로 구성되는, 건축용 석재패널의 고정장치.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직브라켓은,
    중앙에 상기 고정브라켓을 수용할 수 있도록 수직 방향으로 연통되고 전방측으로 개구된 수용홈부가 마련되는 몸체와,
    상기 몸체의 상단과 하단부측에 "ㄱ"자 형상으로 상기 가로브라켓의 상단과 하단 각각에 거치되는 거치단, 및
    상기 몸체의 측방향으로부터 상기 수용홈부를 연통하도록 형성되되, 상기 몸체의 수직 방향을 따라 다수개 이격 형성되어 상기 고정브라켓이 상기 몸체를 따라 높이 조절되면서 상기 고정핀이 설치되는 관통공,
    으로 구성되는, 건축용 석재패널의 고정장치.
  4. 제3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핀은,
    일단부측에 너링 처리된 파지부와,
    타단부에는 절개단이 형성되어 상기 관통공을 통과한 후 상기 절개단을 통해 이탈이 방지되는, 건축용 석재패널의 고정장치.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고정브라켓은,
    수직 방향으로 연통되는 중공부를 포함하는 고정몸체와,
    상기 고정몸체의 측방으로 연통되는 고정관통공으로 구성되는, 건축용 석재패널의 고정장치.
KR1020210017856A 2021-02-08 2021-02-08 건축용 석재패널의 고정장치 KR20220114402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856A KR20220114402A (ko) 2021-02-08 2021-02-08 건축용 석재패널의 고정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856A KR20220114402A (ko) 2021-02-08 2021-02-08 건축용 석재패널의 고정장치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402A true KR20220114402A (ko) 2022-08-17

Family

ID=83110775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856A KR20220114402A (ko) 2021-02-08 2021-02-08 건축용 석재패널의 고정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4402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635A (ko) 2019-04-18 2020-10-28 주식회사 대한볼트 건축용 석재패널 받침앵글의 지지장치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00122635A (ko) 2019-04-18 2020-10-28 주식회사 대한볼트 건축용 석재패널 받침앵글의 지지장치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KR200410714Y1 (ko) 건물의 외벽재 고정장치
KR20220114402A (ko) 건축용 석재패널의 고정장치
KR20100000854U (ko) 알루미늄 거푸집 패널 결속용 클립 클램프의 조작치구
KR200385716Y1 (ko) 건축물의 외장패널 코너고정장치
KR200378378Y1 (ko) 건축용 석재 고정장치
KR102306772B1 (ko) 상품 전시용 벽 구조체 및 그의 설치 방법
CA2934857A1 (en) Improved adjusting system for a masonry guide
CN108179893A (zh) 装配式厨房及其安装方法
KR200294360Y1 (ko)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
JP6666812B2 (ja) 建物ユニットの天井パネル取付け方法
KR102175399B1 (ko) 이중너트 구조를 이용한 수직방향 위치 조정형 경량 벽체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US20230374792A1 (en) Panel connection system
JP7206548B2 (ja) 窓部材の取付構造
KR102551781B1 (ko) 건축용 트러스 구조물 고정 브래킷
JP7321758B2 (ja) 垂直板材の取付金物及び垂直板材の取付構造
JPS608789Y2 (ja) フラワ−ボツクス取付構造
KR20040018083A (ko) 건축용 마감석재 고정장치
KR102114047B1 (ko) 수직방향 위치 조정이 용이한 경량 벽체 구조 및 이의 시공방법
KR200196181Y1 (ko) 건축용 내.외장 석재 패널의 결합구조
JPH0579151A (ja) 板状建材の施工法
KR200405574Y1 (ko) 천장패널 시공장치
KR200284046Y1 (ko) 천정 몰딩 막대
KR20230114053A (ko) 인테리어 타일용 지지장치
JP3062811B2 (ja) 枠定規および該枠定規を用いた開口枠取付け方法
JPH0210167Y2 (ko)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