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4303A -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 - Google Patents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4303A
KR20220114303A KR1020210017623A KR20210017623A KR20220114303A KR 20220114303 A KR20220114303 A KR 20220114303A KR 1020210017623 A KR1020210017623 A KR 1020210017623A KR 20210017623 A KR20210017623 A KR 20210017623A KR 20220114303 A KR20220114303 A KR 20220114303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knitted fabric
fabric
housing
falling
hair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7623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42475B1 (ko
Inventor
이경열
Original Assignee
(주)투투삭스
이경열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투투삭스, 이경열 filed Critical (주)투투삭스
Priority to KR1020210017623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42475B1/ko
Publication of KR20220114303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303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4247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42475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DTEXTILES; PAPER
    • D06TREATMENT OF TEXTILES OR THE LIKE; LAUNDERING; FLEXIBLE MATERIAL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D06CFINISHING, DRESSING, TENTERING OR STRETCHING TEXTILE FABRICS
    • D06C11/00Teasing, napping or otherwise roughening or raising pile of textile fabric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extile Engineering (AREA)
  • Yarns And Mechanical Finishing Of Yarns Or Ropes (AREA)
  • Knitting Of Fabric (AREA)
  • Treatment Of Fiber Materials (AREA)

Abstract

본 발명의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는, 편직물에 기모를 형성하되 낙모를 집진하고 기모면에 부착된 낙모를 제거하여 낙모 없는 우수한 품질의 기모 직물을 제작할 수 있는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를 제공한다.
이에 따라,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는, 상면이 개방된 기모하우징; 기모하우징 내측 상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롤러로써 밀접 배치되어 회전하고, 마주하는 틈새에 직물이송부가 형성되며, 직물이송부에 삽입된 편직물을 맞물며 하부로 이동시키는 이송롤러; 이송롤러의 하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로써 직물이송부가 연장 형성되며 편직물을 맞물어 회전하고, 외주면에는 브러쉬가 구비되어 편직물에 기모를 형성하는 브러쉬롤러; 브러쉬롤러 하부의 내부공간으로써 낙모가 수용되고, 낙모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낙모배출구가 기모하우징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낙모흡입부;를 포함하되, 한 쌍의 이송롤러는 복수의 제1구동모터에 각각 기어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구동되고, 한 쌍의 브러쉬롤러는 복수의 제2구동모터에 각각 기어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구동되며, 낙모배출구에는 흡입팬 및 기모하우징 외부로 연결되는 배출관이 결합되어 낙모흡입부 내부 공기 및 낙모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Description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Fluff Yarn Processing Equipment on Knitted Goods}
본 발명은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에 관한 것으로서, 편직물에 기모를 가공하되 낙모를 집진하고 기모면에 부착된 낙모를 제거하여 낙모 없는 우수한 품질의 기모 직물을 제작할 수 있는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보다 상세하게는 본 발명의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는, 외주면에 브러쉬가 형성된 한 쌍의 브러쉬롤러에 편직물이 맞물리며 회전하여 기모가 가공되되, 기모 가공 중 발생하여 비산하는 낙모는 낙모흡입부에 의해 공기흡입으로 외부 배출되고, 기모 직물에 부착된 상태로 남아있는 낙모는 점착성 재질로 제작되고 미세돌기가 형성된 점착패드가 수분에 적셔진 상태에서 회전하며 낙모에 점착하여 기모직물로부터 제거되고, 물기를 머금은 기모직물은 배출 전 온풍기에 의해 건조과정을 거쳐 배출됨으로써, 낙모 없이 깨끗하고 우수한 품질의 기모 직물을 제작할 수 있는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에 관한 것이다.
기모 가공은 편물 혹은 직물의 표면을 긁어서 잔털을 세우는 가공법으로서, 보통은 의류에 있어 피부에 닿는 내피 방향으로 기모를 형성하게 되는데, 편직물의 표면에 기모가 형성되면 피부에 닿는 부분에 더 많은 공기층을 만들어 보온 효과를 제공하게 되고 더불어 부드러운 착용감을 제공하게 되어, 겨울에 방한용도로써 의류, 장갑, 양말 등에 있어 많이 적용되고 있다.
그런데 종래 발명의 기모 가공은 사람이 일일이 수작업으로 진행하여 많은 인력이 필요하고 따라서 생산 시간, 인건비의 상승으로 경제성이 저하되는 것은 물론 균일한 품질의 제품이 생산되기 어려운 문제점이 있었다.
그래서 기모를 가공하는 자동 장치로써 기모 가공장치가 개발되어 사용되고 있으나, 기모 가공과정 중에 낙모가 과다 발생하여 낙모를 일일이 제거하면서 기모를 가공해야 하는 문제점이 있고, 기모 가공된 편직물에 그대로 붙어있는 낙모는 기모 가공이 완료된 제품에 물리적 타격을 가하여 낙모를 제거해야 해서 시간 및 노동력의 과다 소요는 물론 제품의 품질 저하 및 낙모의 완전한 제거가 어려운 문제점이 있다.
즉 기모 가공 중에 발생하는 낙모는 편직물로부터 분리되어 비산되는 경우가 있어 상기 비산 낙모에 대한 집진이 필요하고, 비산되지 않고 기모 가공된 편직물에 그대로 부착된 상태로 남아있는 낙모는 편직물로부터 잘 분리되지 않아 품질 검수 과정 중에 걸러지기 어렵고 그대로 출시되면 품질이 낮아지게 되어 소비자로부터 외면받는 문제점이 있어서, 기모 가공과 동시에 낙모를 완전하게 제거할 수 있어서 우수한 품질의 기모 제품을 만들어 내는 것이 필요한 상황이라 하겠다.
대한민국 등록특허공보 10-1743899
본 발명은 상기 종래 기술상의 제반 문제점을 감안하여 이를 해결하고자 창출된 것으로, 외주면에 브러쉬가 형성된 한 쌍의 브러쉬롤러에 편직물이 맞물리며 회전하여 기모가 가공되되, 기모 가공 중 발생하여 비산하는 낙모는 낙모흡입부에 의해 공기흡입으로 외부 배출되고, 기모 직물에 부착된 상태로 남아있는 낙모는 점착성 재질로 제작되고 미세돌기가 형성된 점착패드가 수분에 적셔진 상태에서 회전하며 낙모에 점착하여 기모직물로부터 제거되고, 물기를 머금은 기모직물은 배출 전 온풍기에 의해 건조과정을 거쳐 배출됨으로써, 낙모 없이 깨끗하고 우수한 품질의 기모 직물을 형성할 수 있는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를 제공하는 데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상기 목적과 여러 가지 장점은 이 기술분야에 숙련된 사람들에 의해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로부터 더욱 명확하게 될 것이다.
본 발명은 상기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것으로,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는, 상면이 개방된 기모하우징; 기모하우징 내측 상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롤러로써 밀접 배치되어 회전하고, 마주하는 틈새에 직물이송부가 형성되며, 직물이송부에 삽입된 편직물을 맞물며 하부로 이동시키는 이송롤러; 이송롤러의 하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로써 직물이송부가 연장 형성되며 편직물을 맞물어 회전하고, 외주면에는 브러쉬가 구비되어 편직물에 기모를 형성하는 브러쉬롤러; 브러쉬롤러 하부의 내부공간으로써 낙모가 수용되고, 낙모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낙모배출구가 기모하우징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낙모흡입부;를 포함하되, 한 쌍의 이송롤러는 복수의 제1구동모터와 기어체인으로 각각 연결되어 회전구동되고, 한 쌍의 브러쉬롤러는 복수의 제2구동모터와 기어체인으로 각각 연결되어 회전구동되며, 낙모배출구에는 흡입팬 및 기모하우징 외부로 연결되는 배출관이 결합되어 낙모흡입부 내부 공기 및 낙모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기모하우징 하단에 연결되고, 중심부에는 직물이송부가 상하로 관통하며 연결 형성되는 세정하우징; 세정하우징 내부에서 직물이송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분리된 공간으로써 직물이송부를 향하며 연통되는 개구부가 내측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낙모세정부; 낙모세정부 내측 하부 공간으로써 형성되는 수조부; 개구부 외측 직물이송부와 개구부 내측 및 수조부 내측에 걸쳐 다수 설치되고 상호 기어체인으로 연결되는 패드롤러; 및 패드롤러가 형성하는 다각형의 외주면을 따라 장착되는 점착패드;를 더 포함하고, 점착패드는 패드롤러의 회전에 따라 폐곡선을 형성하며 회전하면서 개구부를 통해 직물이송부을 이동하는 편직물 기모면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수조부 일측면 하단에서 세정하우징 외측으로 연결되는 배수관; 배수관의 선단에 연결되는 급수펌프; 급수펌프에 연결되어 세정하우징 상단으로 인입되고 낙모세정부 천장에 연결되는 급수관; 및 수조부 상단 일측에 세정하우징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수위조절배수구;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낙모세정부 하단 내측 모서리를 따라 열선코일이 설치되며 수조부에 벽체로 차단되고 직물이송부에 개구 형성되어 연통되는 열선부; 및 세정하우징 외측에서 열선부에 연결되어 열선부를 통해 직물이송부에 고온 송풍하는 온풍기;를 더 포함한다.
일 실시예에 따르면, 점착패드는 외주면에 다수의 미세 돌기가 분포되는 것을 더 포함한다.
기타 실시예들의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본 발명의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에 의하면 다음과 같은 효과를 얻을 수 있다.
첫째, 편직물에 자동화 방식에 의해 연속적으로 기모를 가공 형성할 수 있다.
둘째, 기모 가공 중 발생하여 비산하는 낙모를 쉽게 집진하여 별도의 공간으로 분리 배출할 수 있다.
셋째, 기모 가공 중 발생하여 편직물 기모면에 부착된 상태로 남아있는 낙모에 대해서 물기를 수반한 점착패드가 편직물을 맞물며 회전함으로써 편직물에 남아있는 낙모의 제거가 연속적인 과정으로 이뤄질 수 있다.
넷째, 점착패드의 표면 전체에 걸쳐 미세 돌기가 형성되어 있어 편직물의 기모면에 대해 최대 면적으로 점착이 이뤄짐으로써 낙모 점착 및 제거 효과가 극대화될 수 있다.
다섯째, 물기를 수반한 점착 과정 이후에는 온풍기에 의해 건조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어 낙모는 제거되면서 편직물은 뽀송한 상태로 기모 제품이 완성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의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의 측면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의 단면도이다.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세정하우징의 외관 및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을 충분히 이해하기 위해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 설명에 앞서, 이하의 특정한 구조 내지 기능적 설명들은 단지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목적으로 예시된 것으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형태로 변형되어 실시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아래에서 상세히 설명하는 실시예로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또한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는 다양한 변경을 가할 수 있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으므로, 특정 실시예들은 도면에 예시하고 본 명세서에 상세하게 설명하고자 한다.
그러나, 이는 본 발명의 개념에 따른 실시예들을 특정한 개시 형태에 한정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사상 및 기술 범위에 포함되는 변경물, 균등물 내지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실시예는 당 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서 제공 되어지는 것이다. 따라서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강조하기 위해서 과장되어 표현될 수 있다.
각 도면에서 동일한 부재는 동일한 참조부호로 도시한 경우가 있음을 유의하여야 한다.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기술은 생략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의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의 측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의 단면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 따른 세정하우징의 외관 및 내부구성을 도시한 사시도이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10)는 기모하우징(100), 이송롤러(200), 브러쉬롤러(300) 및 낙모흡입부(400)를 포함한다.
기모하우징(100)은 상면이 개방되고 사방 측면 및 하면이 폐쇄된 형태이며, 다만 상면 타측은 일부 구간 폐쇄되어 상면 위에 모터, 체인 등이 장착되는 공간이 될 수 있으며, 전면 하부는 개구부(610)의 형태로써 기모배출구(111)가 구비되어 기모 가공 및 낙모 집진 과정이 완성되고 난 기모 편직물 제품이 배출되는 출구로써 사용될 수 있다.
이송롤러(200)는 기모하우징(100) 내측 상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롤러로서, 전면에서 목측 시 좌우 측면에 연결된 형태로 내측 상부를 가로지르며 구성되고, 이송롤러(200)의 양 선단은 기모하우징(100) 외측으로 연결되며, 기모하우징(100) 외측면에 노출되는 이송롤러(200)의 중심축은 이송체인(211)의 일단이 연결되고 이송체인(211)의 타단은 제1구동모터(210)에 연결될 수 있다.
따라서 제1구동모터(210)가 구동되면 이송체인(211)의 회전 구동이 이뤄지고 이송체인(211)에 연결된 이송롤러(200)의 중심축이 회전하게 되면서 기모하우징(100) 내측에서 이송롤러(200)가 제자리 회전하게 된다.
한 쌍의 이송롤러(200)는 각기 별개의 이송체인(211) 및 제1구동모터(210)에 연결되며, 따라서 이송체인(211) 및 제1구동모터(210)는 복수로 구비되는데, 한 쌍의 이송롤러(200)는 서로 마주하는 방향으로 각기 회전하면서 한 쌍의 이송롤러(200) 사이에 삽입된 편직물을 압착하며 하부로 이동시키는 기능을 하게 된다.
이송체인(211)은 안전사고 예방을 위해 케이스로 보호될 수 있다.
한 쌍의 이송롤러(200)는 상호 밀접하게 배치되는데 마주하는 틈새에 직물이송부(110)가 형성되고 직물이송부(110)에 상부로부터 삽입되는 편물 혹은 직물은 한 쌍의 이송롤러(200) 사이에 맞물리며 압착되고 펼쳐진 상태로 하부로 전달되어진다.
직물이송부(110)는 한 쌍의 이송롤러(200)가 마주하며 형성하는 틈새 공간으로써 직물이송부(110)를 따라 편직물이 이동되면서 기모의 가공 및 낙모의 제거가 이뤄지게 되며, 직물이송부(110)를 기준으로 하여 본 발명의 이송롤러(200) 및 브러쉬롤러(300)가 마주하며 한 쌍으로서 형성되어진다.
한편 이송롤러(200)의 하부에는 한 쌍의 롤러로써 브러쉬롤러(300)가 구비된다.
브러쉬롤러(300)는 이송롤러(200)보다 큰 직경을 가지며 철, 플라스틱, 합성수지 등의 경성 재질로 형성된 무수히 많은 브러쉬가 외주면을 따라 빼곡하게 분포된 형상을 가진다.
한 쌍의 브러쉬롤러(300)는 각기 별개의 브러쉬체인(311) 및 제2구동모터(310)에 연결되며, 따라서 브러쉬체인(311) 및 제2구동모터(310) 또한 복수로 구비되고, 브러쉬체인(311)도 케이스로 보호될 수 있다.
한 쌍의 브러쉬롤러(300)는 이송롤러(200)에서 형성된 직물이송부(110)를 그대로 유지하면서 밀접 배치되고, 편직물이 이송롤러(200)를 통과하여 곧게 펴진 상태로 내려와 브러쉬롤러(300) 사이로 들어오게 되면 한 쌍의 브러쉬롤러(300)는 편직물의 진행방향과 동일하게 각각 회전이 이뤄지면서 편직물의 표면에 무수히 많은 브러쉬가 무수히 많은 접촉이 이뤄지게 되면서 편직물 표면을 긁게 되어 잔털을 세워 기모를 형성하게 된다.
이송롤러(200)와 브러쉬롤러(300)에 접하며 직물이송부(110)를 통과하는 편직물은 표면에 기모가 형성이 되면서 기모하우징(100) 하부 낙모흡입부(400)로 낙하되고 기모하우징(100) 전면에 위치한 기모배출구(111)는 전면을 향해 하향 경사된 상태로 구비되어 기모 가공된 편직물이 기모하우징(100) 전방으로 쉽게 배출이 이뤄질 수 있다.
낙모흡입부(400)는 브러쉬롤러(300) 하부에 형성되는 내부공간으로써 기모 가공 중에 발생된 기모 먼지인 낙모가 수용되고, 기모하우징(100) 외측으로 연통되는 낙모배출구(410)가 기모하우징(100) 하부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된다.
낙모흡입부(400)에 수용되는 낙모는 기모하우징(100) 전면 방향으로 위치한 브러쉬롤러(300)에 의한 것과 기모하우징(100) 후면 방향으로 위치한 브러쉬롤러(300)에 의한 것이 있는데, 따라서 낙모배출구(410)는 기모하우징(100) 전면 일측과 기모하우징(100) 후면 일측에 각각 배치되고 한 쌍의 브러쉬롤러(300)에 의해 각각 발생되어 낙모흡입부(400) 전방과 후방에 수용된 낙모는 상기 복수의 낙모배출구(410)를 통해 기모하우징(100)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낙모배출구(410)에는 외부 별도의 집진 공간에 연결되는 배출관(430)이 결합되고, 낙모배출구(410) 또는 배출관(430)의 선단에 흡입팬(420)이 구비되어 흡입팬(420)이 구동함으로써 낙모흡입부(400) 내에 흡인력이 작용하여 낙모를 빨아들인 후 배출관(430)을 통해 외부로 배출한다.
상기 과정을 거쳐 기모 가공 편직물이 기모배출구(111)로 배출되면 기모 가공 편직물에는 비산되지 않고 부착되어 있는 낙모가 존재할 수 있으며, 기모 가공 편직물을 잡고 기모하우징(100) 상부 외측에 구비된 낙모털이봉(130)에 타격을 하여 낙모를 제거하는 수작업 공정을 거칠 수 있다.
기모 가공 편직물이 낙모털이봉(130)에 충격되면서 분리되는 낙모는 낙모털이봉(130) 하부에 설치되는 낙모받침판(131)에 쌓이게 되고 사용자는 낙모받침판(131)을 청소하여 낙모를 제거함으로써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따른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10)에 의한 기모 가공 편직물 제작을 완료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이송롤러(200)와 브러쉬롤러(300)의 회전 구동으로 인해 편직물에 기모를 가공하게 되며 동시에 기모 가공 중 발생하는 낙모를 제거할 수 있는데, 다만 비산되는 낙모는 흡입팬(420)의 구동과 낙모배출구(410)를 통해 외부로 배출되어지지만, 기모 가공 편직물에 묻어 있는 낙모는 수작업으로 분리해야 되어 불편할 수 있으며 효과 또한 제한적일 수 있다.
이의 개선을 위해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가 구비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기모 과정을 거치고 난 후에 기모 가공 편직물에 묻어 있는 낙모를 자동으로 제거하는 과정으로 적용될 수 있는데, 따라서 본 발명의 일 실시예의 구성은 거의 유사하게 유지 적용되고 다만 추가 실시예의 구성이 일 실시예의 기모하우징(100) 하부에 이어지는 형태로 구성될 수 있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는 본 발명의 일 실시예를 거치고 난 후 실시되는 후속 공정이 포함되는 것으로서 구성될 수 있으며, 이에 전술한 일 실시예와 동일한 기능을 하는 동일 구성에 대해서는 중복설명은 생략하기로 하며, 추가 구성되는 요소 및 일부 실시예의 일부 변경 사항에 대해서만 설명하기로 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는 세정하우징(500), 낙모세정부(600), 점착패드(700), 열선부(800)가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 부가되어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일 실시예에서 형성된 직물이송부(110)는 추가 실시예에서도 그대로 연장되고, 일 실시예와 동일하게 편직물이 이동되는 공간으로써 낙모의 제거가 이뤄지게 되면서, 추가 실시예가 적용된 본 발명은 직물이송부(110)를 기준으로 하여 낙모세정부(600), 점착패드(700), 열선부(800)가 마주하며 한 쌍으로서 형성되어진다.
세정하우징(500)은 낙모세정부(600), 점착패드(700), 열선부(800)를 수용하는 케이스의 형상으로써 상면은 기모하우징(100)의 하면에 접하고, 중심부에는 상부로부터 하부로 관통되는 통공으로써 직물이송부(110)가 형성되어 기모하우징(100)의 직물이송부(110)가 세정하우징(500)까지 연장되며 이어지는 형상을 갖는다.
낙모세정부(600)는 세정하우징(500) 내부에서 직물이송부(110)를 기준으로 양측으로 분리 형성된 공간으로써 상호 맞닿는 형상으로 구비된다.
복수의 낙모세정부(600)는 상부에 직물이송부(110)를 향하도록 개구부(610)가 각각 형성되어 직물이송부(110)와 낙모세정부(600)가 연통될 수 있으며, 개구부(610)는 직물이송부(110)의 너비에 대응되는 너비로 낙모세정부(600) 내측면을 따라 형성될 수 있다.
낙모세정부(600)에는 다수의 패드롤러(710)가 직물이송부(110)의 너비 방향에 대응되도록 구비될 수 있는데, 패드롤러(710) 중 적어도 2개 이상의 패드롤러(710)는 개구부(610)의 외측 직물 이송부 측면으로 노출되도록 구비되고 나머지 패드롤러(710)는 낙모세정부(600) 내측 공간에서 상부, 측부, 하부에 걸쳐 분포되어 설치될 수 있으며, 상기 패드롤러(710)의 중심축은 기어 체인으로써 패드체인(720)으로 연결되고, 패드롤러(710) 중 일 패드롤러(710)는 전기적 구동모터에 연결되어 일 패드롤러(710)가 구동모터에 의해 회전 구동되면 나머지 다수의 패드롤러(710)는 패드체인(720)에 의해 동일하게 회전 구동될 수 있다.
그리고 다수의 패드롤러(710)의 외주면을 따라 점착패드(700)가 설치된다.
점착패드(700)는 다수의 패드롤러(710) 외주면에 밀착되면서 다각형의 폐곡선 단면을 형성하게 되며, 패드롤러(710)가 구동되어 다수 패드롤러(710)가 제자리 회전하게 되면 점착패드(700)는 다각형 폐곡선을 유지하며 일 방향으로 회전할 수 있다.
점착패드(700)는 폭이 넓은 패드로써 회전 중 개구부(610)를 통해 직물이송부(110)에 노출이 되면서 회전을 하게 되는데, 따라서 직물이송부(110)를 따라 기모 가공된 편직물이 하부로 이동할 때 회전하는 점착패드(700)가 기모 가공된 편직물에 접촉하게 되고, 직물이송부(110)에는 복수의 패드롤러(710)가 설치된 상태이므로 기모 가공된 편직물과 점착패드(700)는 넓은 면적으로 접하면서 기모 가공된 편직물을 중심으로 양 측에서 점착패드(700)가 층을 이루며 겹치는 형태를 이루게 된다.
상기 겹치는 형태를 통해 기모 가공된 편직물의 표면에 남아있는 낙모는 점착패드(700)에 묻으면서 떨어져 나가 제거가 이뤄지게 된다.
점착패드(700)는 기모 가공된 편직물에 접하는 외주면이 점착성 재질로써 형성되어 낙모가 잘 달라붙을 수 있으며, 바람직한 실시예로 점착성이 높은 실리콘 재질로 제작되어 낙모 제거는 원활하면서 부드러운 성질로써 기모 가공된 편직물에 훼손을 가하지 않도록 할 수 있다.
점착패드(700)는 기모 가공된 편직물의 너비에 맞춰 넓은 면적으로 맞물리면서 소정 구간 겹치는 형상을 이루면서 기모 가공된 편직물은 하부로 이동되고 점착패드(700)는 회전이 이뤄지는데, 상기 겹치는 구간 동안 낙모의 제거 효과를 극대화하기 위해 점착패드(700)의 외주면 표면에는 무수히 많은 미세돌기가 분포될 수 있다.
점착패드(700)는 실리콘과 같은 연성재질로 구비될 수 있으므로 점착패드(700) 표면에 미세돌기가 형성이 되면 점착패드(700)와 기모 가공된 편직물이 맞물릴 때 상호 접촉 면적이 극대화될 수 있으며 따라서 낙모의 제거효과 또한 극대화 될 수 있다.
한편 낙모세정부(600) 상부에 형성된 개구부(610)로 인해 낙모세정부(600)의 내측 하부에는 소정 높이의 벽체가 형성되어, 낙모세정부(600) 내측 하부 공간으로써 상기 벽체 내부와 외측면 및 하면으로 이뤄지는 수조부(620)가 형성될 수 있으며, 수조부(620)에는 물이 채워진 상태가 유지된다.
점착패드(700)는 낙모세정부(600)의 내측 상부, 하부, 측부를 두루 돌면서 회전하는 형상을 가지고 특히 일부 구간은 개구부(610)를 통해 직물이송부(110)에 노출이 되면서 직물이송부(110)에 통과 이송되는 기모 가공된 편직물과 접촉하여 낙모가 묻게 되는데, 점착패드(700)는 낙모가 묻은 상태에서 계속 일 방향으로 회전을 하다가 수조부(620)에 담가지게 되고 이때 점착패드(700)에 묻은 낙모가 제거된다.
그리고 제거가 완료되지 않은 나머지 낙모는 점착패드(700)에 묻은 채 회전하면서 수조부(620) 수면 위로 상승하게 되는데 이때 후술하게 될 급수관(623)의 낙수에 의해 상기 나머지 낙모 또한 제거될 수 있다.
그리고 낙모가 제거된 점착패드(700)는 계속 회전하면서 직물이송부(110) 구간으로 이동되고 다시 기모 가공된 편직물에 접하면서 낙모가 점착된 후 수조부(620)를 거치면서 낙모를 분리하는 과정이 되풀이 되어 기모 가공된 편직물에 남아있는 낙모를 제거할 수 있다.
수조부(620)에는 상기 개구부(610)에 의해 형성된 벽체를 넘지 않는 수위를 유지하면서 물이 채워질 수 있는데, 이를 위해 배수관(621), 급수펌프(622), 급수관(623), 수위조절배수구(624)가 연결 형성될 수 있다.
배수관(621)은 수조부(620) 일측 하단에서 세정하우징(500) 외측으로 연결되는 관체이며, 배수관(621)의 외측 선단에는 급수펌프(622)가 연결되며, 급수펌프(622)는 일측에 배수관(621)이 연결되고 타측에 급수관(623)이 연결되어 배수관(621)에서 나온 물이 급수관(623)으로 공급되도록 펌핑 기능을 할 수 있다.
급수관(623)은 급수펌프(622)에서 세정하우징(500) 외측 상단으로 이어진 뒤 세정하우징(500) 상단 내부로 인입되어 내장되고 세정하우징(500) 상단 내측의 분사구에 연결되면서 낙모세정부(600) 천장에서 수조부(620)를 향하여 낙수시키며 물을 공급하게 된다.
요약하면 수조부(620)에에 채워진 물은 급수펌프(622)가 배수관(621)을 통해 세정하우징(500) 외부로 배출된 뒤 급수관(623)을 통해 세정하우징(500) 외부에서 상승이동 후 세정하우징(500) 상단에서 내부로 인입되고 나면 낙모세정부(600) 천장에서 다시 수조부(620)로 물이 공급되는 순환 구조를 이루게 된다.
급수펌프(622)는 별도의 외부 수전과 연결되어 외부로부터 급수관(623)을 통해 수조부(620)에 물을 채울 수 있으며, 일단 물이 채워진 후에는 외부 공급 없이 수조부(620)의 물을 순환시킬 수 있는데, 물의 교환이 필요할 경우 급수펌프(622)에서 급수관(623)을 제거한 뒤 급수펌프(622)를 가동하여 배수관(621)의 물을 세정하우징(500) 외부로 빼낼 수 있다.
그리고 수조부(620)의 물이 과다하게 공급되어 개구부(610)를 통해 직물이송부(110)로 넘치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수조부(620) 일측에는 외부와 연통되도록 수위조절배수구(624)가 구비되어 소정 높이 수위가 이르게 되면 세정하우징(500) 외부로 물이 배출될 수 있다.
한편 열선부(800)는 기모 가공된 편직물에 젖은 물기를 제거하도록 구비될 수 있다.
기모 가공된 편직물은 낙모세정부(600)의 개구부(610)를 지나면서 점착패드(700)에 접촉되어 낙모가 제거되는데 점착패드(700)는 수조부(620)를 지나온 후에 기모 가공된 편직물에 접촉되므로 낙모가 제거됨과 동시에 소정의 물기가 묻어 약간 젖은 상태가 될 수 있다.
따라서 기모 가공된 편직물이 세정하우징(500)을 통과하여 배출되기 전에 기모 가공된 편직물에 젖은 물기를 제거하여 뽀송한 상태를 만들어 주기 위해 열선부(800)가 구비될 수 있다.
열선부(800)는 열선코일(801)이 낙모세정부(600) 하단 내측 모서리를 따라 설치되며, 직물이송부(110)에는 개구 형성되어 연통되되 직물이송부(110)를 가로막지는 않으며, 수조부(620)에는 벽체로 차단된 분리된 공간으로써 구비될 수 있다.
세정하우징(500) 외측에는 온풍기(810)가 열선부(800)에 연결되고, 열선부(800)에 설치된 열선코일(801)은 별도의 전원장치에 연결된 열통(802)에 연결되어, 열선코일(801)이 가열되고 온풍기(810)가 열선부(800)에 고온의 바람이 송풍하면, 직물이송부(110) 하단을 통과하는 기모 가공된 편직물의 물기는 고온 건조한 강한 바람을 맞게 되면서 마르게 된다.
게다가 상기 강한 송풍에 의해 다시 한 번 낙모 털이 과정을 거칠 수 있게 되어 낙모 제거 효과 또한 더욱 상승될 수 있다.
세정하우징(500)의 직물이송부(110)를 통과하면서 점착패드(700)의 낙모 제거와 열선부(800)의 건조과정을 거친 기모 가공된 편직물은 세정하우징(500) 하단, 즉 직물이송부(110)의 하단을 통해 외부로 배출되면서 기모 형성 및 낙모 제거과정이 모두 완료된다.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에서는 세정하우징(500)이 연결되기 위해서 기모하우징(100) 전면 하부에는 기모배출구(111)가 형성되지 않게 되며, 세정하우징(500)의 전면 하부에 기모배출구(미도시)가 대체 형성되어 열선부(800)까지 통과한 기모 가공된 편직물이 상기 기모배출구를 통해 외부로 배출될 수 있다.
필요에 의해서 혹은 마지막 검수 차원에서 사용자는 기모 가공된 편직물을 낙모털이봉(130)에 수차례 타격함으로써 최종적으로 낙모를 제거하는 확인 절차를 거칠 수 있다.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에 따른 편직물 기공 가공장치의 사용예는 다음과 같다.
우선 일 실시예로써 편직물 기공 가공장치는 기모하우징(100)만 구비된 상태로 구성될 수 있다.
일 실시예에 있어서 기모하우징(100)은 추가 실시예와 달리 전면 하부에 기모배출구(111)가 구비된 상태이고, 추가 실시예까지 적용되면 기모배출구(111)는 기모하우징(100)에 구비되지 않고 세정하우징(500) 전면 하부에 배출될 수 있으며, 그 외 기모하우징(100)의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일 실시예와 추가 실시예가 상호 동일하다.
사용자는 기모를 형성하고자 하는 편직물을 기모하우징(100) 상단에서부터 직물이송부(110)에 삽입 시키면서 기모 가공절차를 시작할 수 있다.
기모가 형성되어야 할 면이 외측을 향하도록 편직물을 준비한 뒤 직물이송부(110)에 삽입하는데, 이때 편직물을 그대로 삽입할 수도 있고 또는 편직물을 평평하게 펼친 상태로 유지하는 형상유지판(미도시)을 편직물 내에 삽입한 뒤 형상유지판에 끼워진 상태로 편직물을 직물이송부(110)에 삽입할 수도 있다.
사용자가 제1구동모터(210)를 구동시키면 이송체인(211)에 연결된 이송롤러(200)가 구동되고, 복수의 이송롤러(200)는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써 회전이 이뤄지되 직물이송부(110)의 하부를 향해 편직물이 이동되도록 회전될 수 있다.
동시에 제2구동모터(310)를 구동시키면 마찬가지 절차에 의해 브러쉬롤러(300)에 연결된 복수의 브러쉬롤러(300)가 상호 마주하는 방향으로 회전이 이뤄진다.
이에 따라 직물이송부(110)에 삽입된 편직물은 이송롤러(200)에 맞물리면서 직물이송부(110) 하부 방향으로 이동되고, 연속적으로 배치된 브러쉬롤러(300)에 접하게 되면서 편직물의 표면에는 브러쉬가 편직물의 표면을 긁어서 잔털을 세우게 되면서 기모를 형성하게 된다.
외표면에 기모가 형성된 기모 가공 편직물은 하부로 이동된 후 기모하우징(100) 전면에 구비된 기모배출구(111)를 통해 기모하우징(100) 외측으로 배출이 이뤄진다.
사용자는 상기 기모 가공절차를 시작하기에 앞서 흡입팬(420)을 가동할 수 있으며, 흡입팬(420)은 낙모흡입부(400)의 일측과 타측, 바람직하게는 기모하우징(100) 내부공간의 전면부와 후면부에 각각 배치된 낙모배출구(410)를 통해 외측으로 빨아내는 흡입력을 발생시킬 수 있다.
따라서 기모 형성과 동시에 발생되는 낙모가 기모하우징(100)의 전면부와 후면부를 향하며 배치되는 복수의 브러쉬롤러(300)에 의해 기모하우징(100) 내부 앞, 뒤 공간의 낙모흡입부(400)에 걸쳐 분산이 되면, 흡입팬(420)의 흡인력에 의해 복수의 낙모배출구(410)를 통해 빨아들여진 후 배출관(430)을 통해 기모하우징(100) 외부 별도의 공간으로 옮겨지게 된다.
상기 절차로써 편직물에 기모 형성이 완료되며, 이때 기모 형성과정 중 발생된 낙모 중 일부는 기모 가공 편직물에 묻어 있고 나머지 일부는 낙모흡입부(400)에 비산되어 남아있는데, 흡입팬(420)의 흡인력에 의해 기모 가공 편직물 및 낙모흡입부(400)에 있는 낙모가 빨아들여진 후 배출되면서 기모 가공과 동시에 낙모가 제거되는 효과를 거둘 수 있다.
사용자는 기모배출구(111)로 배출된 기모 가공 편직물을 수거한 후 형상유지판을 제거한 뒤 낙모털이봉(130)에 수차례 타격을 가함으로써 기모 가공 편직물에 남아있는 낙모를 제거하는 2차 낙모 제거 절차를 거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추가 실시예로서 기모하우징(100) 하부에 세정하우징(500)이 추가 구비된 경우에는 상기 2차 낙모 제거절차로써 낙모털이봉(130) 타격절차가 생략되고, 기모 가공 편직물은 세정하우징(500)에 연결 형성되는 직물이송부(110)에 이동 삽입될 수 있다.
세정하우징(500)이 기모하우징(100) 하부에 설치가 되면 기모하우징(100)의 하면은 직물이송부(110)가 연장되도록 통공 형성되고, 상기 기모하우징(100) 하면의 통공은 세정하우징(500)의 직물이송부(110)에 연결이 되어 기모 가공 편직물이 세정하우징(500) 직물이송부(110)로 삽입되어 진다.
세정하우징(500)에서는 기모 가공 편직물에 묻은 채 남아있는 낙모를 제거하는 절차를 거치게 된다.
사용자는 기모하우징(100)의 가동과 동시에 세정하우징(500)의 설치된 패드롤러(710) 중 일 패드롤러(710)를 구동시키고, 동시에 급수펌프(622) 및 열선부(800)를 가동시킬 수 있다.
이에 따라 패드체인(720)에 의해 연결된 다수의 패드롤러(710)는 각기 제자리 회전을 하면서 다수 패드롤러(710)의 외주면에 걸쳐 감겨 있는 점착패드(700)를 회전시키게 된다.
복수의 점착패드(700)는 낙모세정부(600) 내부에서 다각형의 폐곡선을 이루며 회전을 하되, 개구부(610)를 통해 직물이송부(110)에 접하도록 배치된 상태로 기모 가공 편직물의 진행방향과 동일한 방향으로 회전을 하면서 직물이송부(110)를 통과하는 기모 가공 편직물에 소정 구간 맞물리게 되는데, 점착패드(700)는 점착성 재질인데다 표면에 무수히 많은 미세돌기가 분포된 형태이므로 기모 가공 편직물에 남아있는 낙모가 점착패드(700)에 쉽게 묻어 떨어지면서 제거될 수 있다.
상기 절차로써 기모 가공 편직물은 2차로 낙모가 제거되는 과정을 거치게 되며, 2차 낙모 제거절차는 점착성 재질의 점착패드(700)가 수조부(620)를 거치면서 기존 낙모는 제거되고 동시에 물기가 젖어 있는 상태에서 점착이 이뤄져 점착의 효과가 더욱 향상되어 뛰어난 낙모 제거효과를 획득할 수 있다.
이때 수조부(620)에는 급수펌프(622)에 의해 물이 채워진 후 급수관(623)과 배수관(621)에 물이 순환되면서 수조부(620)에 물이 채워지고, 동시에 급수관(623)에서 물이 수조부(620)로 떨어지면서 점착패드(700)에 묻은 낙모를 제거하게 되고, 낙모가 제거된 점착패드(700)는 계속 회전하면서 개구부(610)를 통해 기모 가공된 편직물에 접촉하게 된다.
점착패드(700)를 거친 기모 가공 편직물은 낙모가 제거되면서 동시에 소량의 물기에 젖게 되는데, 열선부(800)를 지나면서 고온 건조한 바람이 직물이송부(110) 양측에서 직물이송부(110) 방향으로 송풍되면서 기모 가공 편직물의 습기를 제거할 수 있다.
이때 상기 고온 건조한 바람은 강한 바람으로써 습기 제거에 효과가 있을 뿐 아니라 기모 가공 편직물에 바람으로서 타격하는 효과를 내어 기모 가공 편직물에 남아있을 수도 있는 낙모를 마저 제거하는 효과를 가지게 되어 낙모 제거 3차 절차를 구성할 수 있다.
열선부(800)는 세정하우징(500)의 전원 연결 및 구동에 따라 열선코일(801)이 가열되고 온풍기(810)가 구동되면서 기능할 수 있다.
상술한 절차로써 기모 가공 편직물은 기모하우징(100)으로부터 세정하우징(500)에 걸쳐 직물이송부(110)를 따라 이동되면서 기모 형성과 낙모 제거 과정을 거치게 되는데, 직물이송부(110)는 이송롤러(200) 구간, 브러쉬롤러(300) 기모 형성구간, 낙모흡입부(400) 1차 낙모 제거구간, 점착패드(700) 2차 낙모 제거구간, 열선부(800) 3차 낙모 제거구간을 거치고 난 후 기모배출구(111)를 통해 세정하우징(500) 전면으로 배출되면서 완료될 수 있다.
사용자는 마지막 검수 차원에서 기모 가공된 편직물을 낙모털이봉(130)에 수차례 타격하여 낙모 잔존 여부를 시각적으로 확인할 수 있으며, 이는 4차 낙모 제거 절차로 포함될 수 있다.
이상 상술한 절차로써 본 발명의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10)는 편직물의 기모 형성과 낙모의 제거가 단일 공정으로 이뤄지면서 낙모 없는 깨끗한 기모 편직물을 생산할 수 있다.
이상에서 설명된 본 발명의 실시예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본 발명이 속한 기술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타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잘 알 수 있을 것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은 상기의 상세한 설명에서 언급되는 형태로만 한정되는 것은 아님을 잘 이해할 수 있을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첨부된 특허청구범위의 기술적 사상에 의해 정해져야 할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은 첨부된 청구범위에 의해 정의되는 본 발명의 정신과 그 범위 내에 있는 모든 변형물과 균등물 및 대체물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10 :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
100 : 기모하우징
110 : 직물이송부
111 : 기모배출구
130 : 낙모털이봉
131 : 낙모받침판
200 : 이송롤러
210 : 제1구동모터
211 : 이송체인
300 : 브러쉬롤러
310 : 제2구동모터
311 : 브러쉬체인
400 : 낙모흡입부
410 : 낙모배출구
420 : 흡입팬
430 : 배출관
500 : 세정하우징
600 : 낙모세정부
610 : 개구부
620 : 수조부
621 : 배수관
622 : 급수펌프
623 : 급수관
624 : 수위조절배수구
700 : 점착패드
710 : 패드롤러
720 : 패드체인
800 : 열선부
801 : 열선코일
802 : 열통
810 : 온풍기

Claims (5)

  1. 상면이 개방된 기모하우징;
    기모하우징 내측 상부에 구비되는 한 쌍의 롤러로써 밀접 배치되어 회전하고, 마주하는 틈새에 직물이송부가 형성되며, 직물이송부에 삽입된 편직물을 맞물며 하부로 이동시키는 이송롤러;
    이송롤러의 하부에 배치되는 한 쌍의 롤러로써 직물이송부가 연장 형성되며 편직물을 맞물어 회전하고, 외주면에는 브러쉬가 구비되어 편직물에 기모를 형성하는 브러쉬롤러;
    브러쉬롤러 하부의 내부공간으로써 낙모가 수용되고, 낙모를 흡입하여 외부로 배출하는 낙모배출구가 기모하우징 일측과 타측에 각각 구비되는 낙모흡입부;를 포함하되,
    한 쌍의 이송롤러는 복수의 제1구동모터에 각각 기어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구동되고,
    한 쌍의 브러쉬롤러는 복수의 제2구동모터에 각각 기어체인으로 연결되어 회전구동되며,
    낙모배출구에는 흡입팬 및 기모하우징 외부로 연결되는 배출관이 결합되어 낙모흡입부 내부 공기 및 낙모가 외부로 배출될 수 있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
  2. 제1항에 있어서,
    기모하우징 하단에 연결되고, 중심부에는 직물이송부가 상하로 관통하며 연결 형성되는 세정하우징;
    세정하우징 내부에서 직물이송부를 기준으로 양측에 분리된 공간으로써 직물이송부를 향하며 연통되는 개구부가 내측 상부에 형성되는 복수의 낙모세정부;
    낙모세정부 내측 하부 공간으로써 형성되는 수조부;
    개구부 외측 직물이송부와 개구부 내측 및 수조부 내측에 걸쳐 다수 설치되고 상호 기어체인으로 연결되는 패드롤러; 및
    패드롤러가 형성하는 다각형의 외주면을 따라 장착되는 점착패드;를 더 포함하고,
    점착패드는 패드롤러의 회전에 따라 폐곡선을 형성하며 회전하면서 개구부를 통해 직물이송부를 통과하는 편직물에 접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
  3. 제2항에 있어서,
    수조부 일측면 하단에서 세정하우징 외측으로 연결되는 배수관;
    배수관의 선단에 연결되는 급수펌프;
    급수펌프에 연결되어 세정하우징 상단으로 인입되고 낙모세정부 천장에 연결되는 급수관; 및
    수조부 상단 일측에 세정하우징 외부와 연통되도록 구비되는 수위조절배수구;를 더 포함하는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
  4. 제2항에 있어서,
    낙모세정부 하단 내측 모서리를 따라 열선코일이 설치되며 수조부에 벽체로 차단되고 직물이송부에 개구 형성되어 연통되는 열선부; 및
    세정하우징 외측에서 열선부에 연결되어 열선부를 통해 직물이송부에 고온 송풍하는 온풍기;를 더 포함하는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
  5. 제2항에 있어서,
    점착패드는 외주면에 다수의 미세 돌기가 분포되는 것을 더 포함하는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
KR1020210017623A 2021-02-08 2021-02-08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 KR10244247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623A KR102442475B1 (ko) 2021-02-08 2021-02-08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7623A KR102442475B1 (ko) 2021-02-08 2021-02-08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303A true KR20220114303A (ko) 2022-08-17
KR102442475B1 KR102442475B1 (ko) 2022-09-14

Family

ID=8311022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7623A KR102442475B1 (ko) 2021-02-08 2021-02-08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42475B1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198B1 (ko) * 2014-01-13 2014-08-01 이두상 기모 가공장치
KR101743899B1 (ko) 2017-02-06 2017-06-07 김형주 기모형성용 편직물 가공장치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425198B1 (ko) * 2014-01-13 2014-08-01 이두상 기모 가공장치
KR101743899B1 (ko) 2017-02-06 2017-06-07 김형주 기모형성용 편직물 가공장치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42475B1 (ko) 2022-09-14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9230785B (zh) 一种用于羊毛布料的毛球去除装置
CN210368392U (zh) 一种纺织面料用除皱设备
US20160136697A1 (en) Helmet cleaner
CN211571148U (zh) 一种纺织面料清洗装置
CN110864534B (zh) 一种纱布烘干快速收卷设备
CN108179865A (zh) 一种具有自动清理缝隙功能的地砖填缝装置
JP2009268684A (ja) 回転ロータ、掃除機用吸込具、電気掃除機及び空気調和機
CN110173969A (zh) 一种具有除尘作用的纺织生产用烘干风箱
KR102442475B1 (ko) 편직물 기모 가공장치
CN210512502U (zh) 一种纤维丝纺织用布料烘干装置
CN213061155U (zh) 一种粗纱机牵伸装置清洁组件
JP3418359B2 (ja) マット洗浄機
CN205871463U (zh) 一种集尘型纺织用织布印花装置
CN101205685A (zh) 熨烫机蒸汽喷头
CN209854365U (zh) 一种纱线清洗烘干一体化装置
CN106004025A (zh) 一种集尘型纺织用织布印花装置
KR200412096Y1 (ko) 자동 골프채 세척기
CN115216904A (zh) 一种聚酯纤维面料抗静电处理设备及处理方法
CN213203462U (zh) 一种涤棉面料染色用快速烘干装置
CN113622111A (zh) 一种纺织生产用纺织布去毛绒装置
CN109750482A (zh) 一种纺织布料除尘装置
CN210177130U (zh) 一种纺织品表面快速清洁装置
CN113373642A (zh) 一种布料加工用具有防烫结构的自动电烫机
CN207512463U (zh) 一种纺织布料除尘装置
CN208426091U (zh) 全自动鞋底清洗机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