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4294A -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 - Google Patents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 Download PDFInfo
- Publication number
- KR20220114294A KR20220114294A KR1020210017609A KR20210017609A KR20220114294A KR 20220114294 A KR20220114294 A KR 20220114294A KR 1020210017609 A KR1020210017609 A KR 1020210017609A KR 20210017609 A KR20210017609 A KR 20210017609A KR 20220114294 A KR20220114294 A KR 20220114294A
- Authority
- KR
- South Korea
- Prior art keywords
- seawater
- tank
- marine
- ship
- marine life
- Prior art date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13/00—Conduits for emptying or ballasting; Self-bailing equipment; Scuppers
-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3—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RELATED EQUIPMENT
- B63B—SHIPS OR OTHER WATERBORNE VESSELS; EQUIPMENT FOR SHIPPING
- B63B25/00—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 B63B25/02—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 B63B25/08—Load-accommodating arrangements, e.g. stowing, trimming; Vessels characterised thereby for bulk goods fluid
Landscapes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Ocean & Marine Engineering (AREA)
- Catching Or Destruction (AREA)
Abstract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에 관한 것으로, 선박에 설치된 장비를 냉각시키기 위한 해수를 저장하도록 선박(1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해수탱크; 상기 해수탱크의 베이스라인 상에 쉘플레이트가 설치되고, 해수가 유입되게 상기 쉘플레이트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해수유입구멍;을 마련하여 해수유입구멍의 폭을 좁게 형성하여 어류 등의 해양생물이 해수탱크 내부로 들어올 수 없게 되고, 해수의 유입속도가 낮아 어류 등의 해양생물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 해수탱크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자유롭게 유영해서 빠져나가게 할 수 있다.
Description
본 발명은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에 관한 것으로, 더욱 상세하게는 선박 내에 설치된 각종 장비를 냉각시키기 위하여 해수의 흡입 시 해양의 생물이 해수와 함께 흡입되지 않도록 하는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선박 또는 FPSO와 같은 해양구조물에서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의 운용에 필요한 해수를 해상으로부터 얻어 공급하고,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에서 사용된 해수를 다시 해상으로 배출시킨다.
한편 쇄빙선과 같이 극저온 지방을 운행하는 선박은 필요로 하는 해수를 흡입할 수 있도록 해수의 유입부가 사이드 쉘에 마련된다.
그런데 해수의 얼음 조각(ICE BUG)이 해수의 유입부 내부 영역으로 그대로 유입되면, 해수를 흡입하기 위한 펌프 순환기 계통을 파손시키는 경우가 발생한다.
이를 방지하기 위해 해수의 유입부에는 해수의 흡입 시에 얼음조각들의 유입을 차단할 수 있도록 아이스 씨 체스트(ICE SEA CHEST)가 설치된다.
기존의 해수의 유입부에 설치되는 아이스 씨 체스트로는 그리드구조가 사용된다. 이러한 그리드구조는 사이드 쉘(SIDE SHELL)에 있는 해수의 유입부에서 얼음 조각(ICE BUG) 유입을 방지할 수 있는 아이스 차단구조로 마련된다.
그러나 기존에는 얼음조각이 아이스 씨 체스트의 홀들보다 작고, 해수의 흡입력이 강한 경우, 얼음조각이 사이드 쉘(SIDE SHELL)에 설치된 그리드를 그대로 통과하는 경우가 종종 발생하였으며, 펌프 순환기 계통에 대한 동일한 파손이 발생하였다.
한편 환경규제가 점점 강화되는 추세 속에서 한 지역에 오래 머물러 있는 선종인 LNG BARGE 또는 FSRU 뿐만 아니라 일반 상선의 경우에도 항구에 기항하는 동안 냉각 목적의 해수를 해수흡입구를 통해 사용하게 된다.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이하 '선박'으로 통칭한다.)에는 선박에 설치되어 있는 장비들을 냉각시키기 위하여 해수를 이용하게 되며, 해수는 선박의 해수흡입구(Sea chest)를 통해 유입된다.
이러한 해수흡입구에는 해수가 유입되게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그리드(Grid)가 설치됨은 물론 스트레이너(Strainer)가 설치되며, 상기 그리드 및 스트레이너는 해수를 펌핑하는 펌프 안으로 이물질을 통과하지 못하도록 펌프를 보호하도록 설치된다.
그러나 작은 어류의 경우에는 해수흡입구(Sea Chest)를 통해 그리드 사이를 통과할 수 있을 뿐만 아니라 해수의 해수흡입속도가 약 2.0㎧ 내지 3.0㎧인 경우 스트레이너를 통과하지는 못하더라도 다시 해수흡입구의 그리드 밖으로 유영해 나갈 수 없게 된다.
이러한 해수흡입구는 해수의 유입속도가 약 2.0㎧ 내지 3.0㎧로 설계되므로, 해수흡입구의 그리드를 통해 어류 또는 이물질 등이 유입되고, 이로 인해 펌프 고장의 원인이 되기도 한다.
또한 해수흡입구의 그리드 내측으로 유입된 크기가 작은 어류들은 그리드 밖으로 빠져나가지 못한 상태에서 해양생물이 죽게 된다.
예를 들어, 하기 특허문헌 1에는 '해수흡입용 얼음차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이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1에 따른 해수흡입용 얼음차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은 얼음조각들이 있는 해수의 유입이 가능하도록 상기 얼음조각들을 걸러낼 수 있는 유입 홀들을 선체에 제공하는 아이스 체스트부 및 상기 아이스 씨 체스트부에 대응하는 상기 선체의 내부 공간에 마련되며, 상기 유입 홀들을 통과한 상기 얼음조각들을 걸러 내도록 배플들이 마련되는 복수의 배플존부를 포함한다.
상기 복수의 배플존부는 상기 얼음조각들에 상응하도록 상기 배플들이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에 기립 배치되는 제1 배플존부 및 상기 제1 배플존부의 상부에 배치되며, 상기 제1 배플존부를 따라 상부로 유동된 상기 해수의 얼음조각들을 걸러내도록 배플들이 마련되며, 상기 제1 배플존부의 상부에 교차하도록 배치되는 제2 배플존부를 포함한다.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에 마련되며, 상기 내부공간의 상부로 유동된 상기 해수의 얼음조각들을 녹일 수 있는 히터유닛을 더 포함하고, 상기 제2 배플존부는, 상기 제1 배플존부의 상부에 배치되되, 일단이 상기 제 1 배플존부의 상측과 결합되고 타단이 계단식으로 하강하여 배플들이 계단식으로 배치된 배플계단영역을 포함한다.
하기 특허문헌 2에는 '선박용 해수흡입장치'가 개시되어 있다.
하기 특허문헌 2에 따른 선박용 해수흡입장치는 선박 갑판의 일측에 힌지 결합되는 제1 플레이트와, 상기 제1 플레이트가 상기 선박의 일측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회동한 경우, 일단이 해수면 아래로 잠길 수 있도록 타단이 상기 제1 플레이트에 힌지 결합되는 제2 플레이트와, 상기 제2 플레이트의 일단에 탑재되는 수중펌프 및 상기 수중펌프에서 흡입하는 해수를 상기 선박으로 이송하는 파이프라인을 포함한다.
상기 제1 플레이트가 상기 선박의 일측을 통해 외부로 돌출되도록 회동한 경우, 상기 제1 플레이트가 수평을 유지하도록, 상기 선박의 일측에서 외부로 돌출되는 제1 스토퍼를 구비한다.
상기 제1 플레이트가 상기 선박의 갑판 상에 직립하도록 회동한 경우, 상기 제1 플레이트가 직립 상태를 유지하도록 상기 선박의 갑판에서 상향 돌출되는 제2 스토퍼를 구비한다.
본 발명의 목적은 상기한 바와 같은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것으로, 선박에 설치된 장비의 냉각에 필요한 해수의 흡입속도 및 유입량을 확보하면서도 해양생물이 해수와 함께 유입되지 않게 하는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해수의 흡입속도를 낮추어 어류 등의 해양생물이 자유롭게 움직이게 하여 해양생물이 선박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하는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상기한 바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에 따른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는 선박(10)에 설치된 장비를 냉각시키기 위한 해수를 저장하도록 선박(1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해수탱크(110); 상기 해수탱크(110)의 베이스라인 상에 쉘플레이트(131)가 설치되고, 해수가 유입되게 상기 쉘플레이트(131)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해수유입구멍(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수유입구멍(130)은 해수유입구멍(130)을 통해 해양생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해수의 유입속도가 해당 지역의 해수 유입속도 이하로 유입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수탱크(110)는 상기 베이스라인에서부터 선박의 탱크탑 높이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수탱크(110)는 상기 베이스라인에서부터 선박의 탱크탑 높이까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탱크(115); 상기 선박의 탱크탑에서부터 제2 데크의 높이까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탱크(1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수평탱크(115)는 펌프(118)에 연결된 파이프(117)에서 해수의 흡입 시 상기 수평탱크(115)의 내의 해수가 균일한 속도로 유입되도록 상기 수평탱크(115)의 일측의 높이(h1)보다 상기 수평탱크(115)의 타측의 높이(h2)를 낮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기 해수유입구멍(130)은 일정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해수유입구멍(130)의 길이(L)는 상기 해수유입구멍(130)의 폭(W)보다 3배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에 의하면, 해수유입구멍의 폭을 좁게 형성하여 어류 등의 해양생물이 해수탱크 내부로 들어올 수 없게 되고, 해수의 유입속도가 낮아 어류 등의 해양생물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 해수탱크 내부로 유입되지 않게 되는 효과가 얻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에 의하면, 쉘플레이트에 일정 간격으로 다수의 해수유입구멍이 형성되어 충분한 양의 해수를 확보할 수 있고, 해수탱크의 일측을 낮게 형성하여 해수탱크 내의 해수를 고르게 흡입하여 사용할 수 있다는 효과가 얻어진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를 도시한 평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를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를 도시한 평면도,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를 도시한 확대도,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를 도시한 단면도,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를 도시한 단면도.
아래에서는 첨부한 도면을 참고로 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대하여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가 용이하게 실시할 수 있도록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관한 설명은 구조적 내지 기능적 설명을 위한 실시 예에 불과하므로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본문에 설명된 실시예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된다.
예컨대, 실시 예들은 다양한 변경이 가능하고 여러 가지 형태를 가질 수 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기술적 사상을 실현할 수 있는 균등물들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또한 본 발명에서 제시된 목적 또는 효과는 특정 실시예가 이를 전부 포함하여야 한다거나 그러한 효과만을 포함하여야 한다는 의미는 아니기 때문에 본 발명의 권리범위는 이에 의하여 제한되는 것으로 이해되어서는 아니 될 것이다.
본 명세서에서, 본 실시 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그리고 본 발명은 청구항의 범주에 의해 정의될 뿐이다.
따라서 몇몇 실시 예에서, 잘 알려진 구성 요소, 잘 알려진 동작 및 잘 알려진 기술들은 본 발명이 모호하게 해석되는 것을 피하기 위하여 구체적으로 설명되지 않는다.
한편, 본 발명에서 서술되는 용어의 의미는 사전적 의미에 제한되지 않으며, 다음과 같이 이해되어야 할 것이다.
여기서 사용되는 모든 용어들은 다르게 정의되지 않는 한,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일반적으로 이해되는 것과 동일한 의미를 가진다.
일반적으로 사용되는 사전에 정의되어 있는 용어들은 관련 기술의 문맥상 가지는 의미와 일치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하며, 본 발명에서 명백하게 정의하지 않는 한 이상적이거나 과도하게 형식적인 의미를 지니는 것으로 해석될 수 없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를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하게 설명한다.
<제1 실시 예>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는 선박(10)에 설치된 장비를 냉각시키기 위한 해수를 저장하도록 선박(1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해수탱크(110)와, 상기 해수탱크(110)의 베이스라인 상에 쉘플레이트(131)가 설치되고, 해수가 유입되게 상기 쉘플레이트(131)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해수유입구멍(130)을 포함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박(10)에는 다수개의 해수탱크(110)가 마련된다. 상기 제1 해수탱크(111)는 선박(10)의 소정 위치에 형성된다.
도 1 및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선박(10)에는 제2 해수탱크(112)와 제3 해수탱크(113)가 각각 형성된다.
상기 제1 해수탱크(111)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상기 제2 해수탱크(112)와 제3 해수탱크(113)는 선박(10)의 중심선을 기준으로 좌우 대칭되게 형성된다.
도 4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를 도시한 평면도이고, 도 5는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1 실시 예에 따른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를 도시한 확대도이다.
도 4는 제1 해수탱크(111), 제2 해수탱크(112) 및 제3 해수탱크(113)의 바닥면을 도시한 것으로, 상기 선박(10)의 베이스라인 상에는 쉘플레이트(131)가 설치된다.
상기 쉘플레이트(131)에는 해수가 유입되게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해수유입구멍(130)이 형성된다.
예를 들어, 해수유입구멍(130)은 어류 등의 해양생물이 들어오지 못하도록 일정 길이를 갖는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해수유입구멍(130)은 해수유입구멍(130)을 통해 해양생물이 유입되더라도 자유롭게 출입이 가능하도록, 해수의 유입속도가 해당 지역의 해류 속도 이하로 유입되게 해수의 유입속도를 제한할 수 있다.
즉, 해수의 유입속도는 해당 지역의 해류 속도를 기준으로 설계될 수 있다.
예를 들어, 해당 지역의 해류 속도가 약 0.1㎧이면, 해수유입구멍은 해수의 유입속도를 약 1㎧ 이하로 제한하고, 해당 지역의 해류 속도가 약 0.5㎧m이면 ㅎ해해수의 유입속도를 약 0.51㎧ 이하로 제한하도록 설계될 수 있다.
이는 해양생물이 해당 지역의 해류 속도를 이길 수 있을 만큼의 유영능력을 갖추기 때문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상기 해수유입구멍(130)은 도 4에서와 같이, 충분한 양의 해수가 유입되게 각각의 쉘플레이트(131)에 형성되고, 각각의 쉘플레이트(131)에는 해수유입구멍(130)을 일정 간격으로 이격시켜 배치한다.
이와 같이, 본 실시 예에서는 해수의 유입속도를 해당 지역의 해류 속도 이하로 유입되게 하여 해양생물, 예컨대 어류가 해수의 흡입속도에 영향을 받지 않고서 자유로운 활동이 가능하게 할 수 있다.
즉, 해수의 유입속도는 선박(10)이 정박한 각 지역의 해류의 속도 이하로 유입되게 하여 어류가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게 된다. 이에 따라, 어류는 해수의 유입속도 제한에 의해 해수탱크로 유입되더라도 자유롭게 유영해서 빠져나올 수 있다.
또한 상기 해수구멍(130)은 일정 구역의 쉘플레이트(131)에 형성됨으로써, 해수탱크(110) 내에 충분한 양의 해수가 유입되게 한다.
한편 도 2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1 해수탱크(111)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며, 상기 제2 해수탱크(112)와 제3 해수탱크(113)는 단면상 대략 'ㄴ'자 형상으로 대칭되게 형성된다.
상기 해수탱크(110) 중 제1 해수탱크(111)는 상기 베이스라인에서부터 선박의 탱크탑 높이까지 형성된다.
상기 제1 해수탱크(111)는 선박의 베이스라인(Base Line)에서부터 선박의 탱크탑(Tank Top)의 높이로 형성되어 사용하고자 하는 충분한 양의 해수를 저장할 수 있도록 한다.
상기 제2 해수탱크(112)와 제3 해수탱크(113)는 상기 베이스라인에서부터 선박의 탱크탑 높이까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탱크(115)와, 상기 선박의 탱크탑에서부터 제2 데크의 높이까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탱크(116)로 이루어진다.
도 1 및 도 3에서와 같이, 상기 제2 해수탱크(112)와 제3 해수탱크(113)에는 수평 방향으로 수평탱크(115)가 형성되고, 수직 방향으로 수직탱크(116)가 일체로 형성된다.
상기 수평탱크(115)는 선박(10)의 베이스라인(Base Line)에서부터 탱크탑(Tank Top)의 높이까지 형성되고, 상기 수직탱크(116)는 선박(10)의 탱크탑(Tank Top)에서부터 제2 데크(2ND Deck)의 높이까지 일체로 형성된다.
아울러 상기 수평탱크(115)의 상부에는 제2 해수탱크(112)와 제3 해수탱크(113)의 해수를 흡입할 수 있도록 파이프(117)가 설치되고, 상기 파이프(117)를 통해 해수를 펌핑하는 다수개의 펌프(118)가 설치된다.
또한 도 4에서와 같이, 상기 제2 해수탱크(112)와 제3 해수탱크(113)의 일측에는 잠수부 등의 작업자가 출입할 수 있도록 개폐도어(119)가 개폐 가능하게 설치된다.
도 5에서와 같이, 상기 해수유입구멍(130)은 일정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해수유입구멍(130)의 길이(L)는 상기 해수유입구멍(130)의 폭(W)보다 3배 이상의 길이로 형성될 수 있다.
상기 해수유입구멍(130)은 장공으로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해수유입구멍(130)의 길이(L)는 해수유입구멍(130)의 폭(W)보다 길게 형성되며, 상기 길이(L)는 폭(W)의 3배 이상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2 실시 예>
본 발명의 제2 실시 예에 따른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는 상기 수평탱크(115)는 펌프(118)에 연결된 파이프(117)에서 해수의 흡입 시 상기 수평탱크(115)의 내의 해수가 균일한 속도로 유입되도록 상기 수평탱크(115)의 일측의 높이(h1)보다 상기 수평탱크(115)의 타측의 높이(h2)를 낮게 형성된다.
도 6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를 도시한 단면도이고, 도 7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제2 실시 예에 따른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를 도시한 단면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해수탱크(110)에는 해수의 균일한 펌핑이 이루어지도록 다각형의 형상으로 형성된다.
도 6에서와 같이, 상기 제1 해수탱크(111)의 일측의 높이(h1)는 타측의 높이(h2)에 비하여 높게 형성된다. 이는 펌프(118)에 의해 해수의 흡입 시 높이(h2)가 낮은 해수가 보다 빠른 속도로 이동되게 한다.
즉, 높이(h2)가 낮은 쪽의 해수는 파이프(117)를 향해 보다 빠른 속도로 이동되고, 높이(h1)가 높은 쪽의 해수는 보다 느린 속도로 이동되어 해수탱크(111) 내의 해수가 고르게 흡입되게 한다.
도 7에서와 같이, 상기 수평탱크(115)의 일측은 타측의 높이(h2)보다 높게 형성되고, 타측의 높이(h2)를 보다 낮게 형성한다.
이는 해수탱크(112, 113) 내의 해수가 고르게 펌핑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즉, 파이프(117)와 가까운 쪽의 해수는 느린 속도로 흡입되고, 파이프(117)와 먼 쪽의 해수는 보다 빠른 속도로 이동되어 흡입됨에 따라 해수탱크(112, 113) 내의 해수가 고르게 흡입된다.
이와 같이 해수탱크(110)의 높이를 다르게 형성하여 유량이 적은 쪽의 해수도 흡입되게 하여 해수탱크(110) 내의 해수가 균일하게 흡입된다.
다음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의 작동방법을 설명한다.
본 볼명의 실시 예에 따른 해수탱크(110)는 해수를 사용하고자 하는 구역에 다수개로 설치된다.
상기 제1 해수탱크(111)는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고, 제2 해수탱크(112)와 제3 해수탱크(113)는 수평 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연통되게 형성된다.
즉, 선박(10)에는 해수를 사용하고자 하는 구역에 제1 해수탱크(111) 또는 제2 및 제3 해수탱크(112, 113)를 필요에 따라 각각 설치할 수 있다.
이러한 해수탱크(110)의 베이스라인(Base Line)에는 쉘플레이트(131)가 설치되고, 상기 쉘플레이트(131)에는 일정 간격으로 이격된 장공의 해수유입구멍(130)이 형성된다.
이들 해수유입구멍(130)은 충분한 양의 해수가 유입되도록 다수의 쉘플레이트(131)에 형성된다.
상기 해수유입구멍(130)을 통해 유입되는 해수는 해당 지역의 해류 속도 이하의 속도로 흡입되어 어류 등의 해양생물이 자유롭게 움직일 수 있게 되며, 이로 인해 어류는 해수탱크(110) 내부로 유입되더라도 자유롭게 유영해서 빠져나올 수 있다.
또한 해수유입구멍(130)은 폭(W)이 좁은 장공의 형상으로 형성되어 어류 등이 드나들지 못하도록 할 수도 있다.
이상 본 발명자에 의해서 이루어진 발명을 상기 실시 예에 따라 구체적으로 설명하였지만, 본 발명은 상기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고 그 요지를 이탈하지 않는 범위에서 여러 가지로 변경 가능한 것은 물론이다.
110: 해수탱크
111: 제1 해수탱크
112: 제2 해수탱크 113: 제3 해수탱크
115: 수평탱크 116: 수직탱크
117: 파이프 118: 펌프
130: 해수유입구멍 131: 쉘플레이트
112: 제2 해수탱크 113: 제3 해수탱크
115: 수평탱크 116: 수직탱크
117: 파이프 118: 펌프
130: 해수유입구멍 131: 쉘플레이트
Claims (6)
- 선박(10)에 설치된 장비를 냉각시키기 위한 해수를 저장하도록 선박(10)에 형성되는 다수개의 해수탱크(110);
상기 해수탱크(110)의 베이스라인 상에 쉘플레이트(131)가 설치되고, 해수가 유입되게 상기 쉘플레이트(131)에 일정 간격으로 이격되게 배치되는 다수개의 해수유입구멍(13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유입구멍(130)은 해수유입구멍(130)을 통해 해양생물이 유입되지 않도록 해수의 유입속도가 해당 지역의 해류 속도 이하로 유입되게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탱크(110)는 상기 베이스라인에서부터 선박의 탱크탑 높이까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탱크(110)는 상기 베이스라인에서부터 선박의 탱크탑 높이까지 수평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평탱크(115);
상기 선박의 탱크탑에서부터 제2 데크의 높이까지 수직 방향으로 형성되는 수직탱크(116);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
-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수평탱크(115)는 펌프(118)에 연결된 파이프(117)에서 해수의 흡입 시 상기 수평탱크(115)의 내의 해수가 균일한 속도로 유입되도록 상기 수평탱크(115)의 일측의 높이(h1)보다 상기 수평탱크(115)의 타측의 높이(h2)를 낮게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
-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해수유입구멍(130)은 일정 길이를 갖는 장공으로 형성되고,
상기 해수유입구멍(130)의 길이(L)는 상기 해수유입구멍(130)의 폭(W)보다 3배 이상의 길이로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7609A KR20220114294A (ko) | 2021-02-08 | 2021-02-08 |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 |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Title |
---|---|---|---|
KR1020210017609A KR20220114294A (ko) | 2021-02-08 | 2021-02-08 |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 |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 Publication Date |
---|---|
KR20220114294A true KR20220114294A (ko) | 2022-08-17 |
Family
ID=8311066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 Title | Priority Date | Filing Date |
---|---|---|---|
KR1020210017609A KR20220114294A (ko) | 2021-02-08 | 2021-02-08 |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 |
Country Status (1)
Country | Link |
---|---|
KR (1) | KR20220114294A (ko) |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28572A (ko) | 2013-09-06 | 2015-03-16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선박용 해수흡입장치 |
KR20160004788A (ko) | 2014-07-04 | 2016-01-13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해수흡입용 얼음차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
KR20170004175A (ko) | 2015-07-01 | 2017-01-11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선박의 해수 유입 및 배출 구조와 이를 구비한 선박 |
-
2021
- 2021-02-08 KR KR1020210017609A patent/KR20220114294A/ko unknown
Patent Citations (3)
Publication number | Priority date | Publication date | Assignee | Title |
---|---|---|---|---|
KR20150028572A (ko) | 2013-09-06 | 2015-03-16 | 삼성중공업 주식회사 | 선박용 해수흡입장치 |
KR20160004788A (ko) | 2014-07-04 | 2016-01-13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해수흡입용 얼음차단장치 및 이를 포함하는 선박 또는 해양구조물 |
KR20170004175A (ko) | 2015-07-01 | 2017-01-11 | 대우조선해양 주식회사 | 선박의 해수 유입 및 배출 구조와 이를 구비한 선박 |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 Publication Date | Title |
---|---|---|
KR20110112430A (ko) | 해수 시스템 및 이 해수 시스템을 포함하는 부유 선박 | |
US9199704B2 (en) | Floatable dry docks | |
CN106184619B (zh) | 一种适用于极地航行船舶的海底门装置 | |
KR102436713B1 (ko) | 물 흡입 시스템 및 그러한 시스템이 장착된 부유식 선박 | |
KR20220114294A (ko) | 해양생물보호를 위한 선박용 해수흡입구 | |
KR101003012B1 (ko) | 선박용 씨 체스트 | |
KR101215474B1 (ko) | 선박용 에어벤트라인의 드레인배출장치 설치구조 | |
KR101616337B1 (ko) | 선박용 냉각시스템 | |
KR101667251B1 (ko) | 평형수를 이용한 냉각 시스템 | |
CN103318399A (zh) | 烟囱式低噪声海底阀箱 | |
KR20120016284A (ko) | 수중 펌프에 적합한 탱크 장치 | |
CN211571843U (zh) | 一种布置在坐底式海工平台上的取水装置 | |
CN108867766A (zh) | 核动力船舶重要厂用水系统的应急供水方法 | |
JP2003276675A (ja) | 船首スラスター用外板開口部の船体抵抗低減装置 | |
KR200335226Y1 (ko) | 선박용 씨 체스트 | |
JP6775670B2 (ja) | 船舶用脱硫装置の排水システム | |
JP6366173B2 (ja) | 船舶の水タンク | |
KR101239345B1 (ko) | 선박 | |
CN206280293U (zh) | 一种挖泥船新型海水冷却和泥泵封水系统 | |
KR101029653B1 (ko) | 발라스트 탱크를 가지는 도크게이트 개폐방법 및 그도크게이트 | |
KR20090109772A (ko) | 고정형 고조방파제 | |
CN220221105U (zh) | 一种海底阀箱 | |
KR101648780B1 (ko) | 침몰선 인양을 위한 유체 제거기 | |
FI62799C (fi) | Foerfarande vid fartyg av s k floater-typ eller andra liknandefartyg foer att foerhindra isflak eller andra liknande fr aemande kroppar att komma in i dockningsbassaengen | |
KR101814749B1 (ko) | 리프트 펌프의 안벽 테스트용 보조 장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