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4048A - 자동차용 구조적 선반 - Google Patents

자동차용 구조적 선반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4048A
KR20220114048A KR1020227024037A KR20227024037A KR20220114048A KR 20220114048 A KR20220114048 A KR 20220114048A KR 1020227024037 A KR1020227024037 A KR 1020227024037A KR 20227024037 A KR20227024037 A KR 20227024037A KR 20220114048 A KR20220114048 A KR 20220114048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helf
vehicle
wheel arch
plane
rear whee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403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막시밀리옹 랑
셀린느 바소스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220114048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4048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2Side panel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RVEHICLES, VEHICLE FITTINGS, OR VEHICLE PARTS,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0R22/00Safety belts or body harnesses in vehicles
    • B60R22/18Anchoring devices
    • B60R22/24Anchoring devices secured to the side, door, or roof of the vehicle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5/00Superstructure or monocoque structure sub-units; Parts or details thereof not otherwise provided for
    • B62D25/04Door pillars ; windshield pillars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2LAND VEHICLES FOR TRAVELLING OTHERWISE THAN ON RAILS
    • B62DMOTOR VEHICLES; TRAILERS
    • B62D27/00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 B62D27/02Connections between superstructure or understructure sub-units rigid
    • BPERFORMING OPERATIONS; TRANSPORTING
    • B60VEHICLES IN GENERAL
    • B60YINDEXING SCHEME RELATING TO ASPECTS CROSS-CUTTING VEHICLE TECHNOLOGY
    • B60Y2410/00Constructional features of vehicle sub-units
    • B60Y2410/12Production or manufacturing of vehicle parts
    • B60Y2410/124Welded part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Mechanical Engineering (AREA)
  • Chemical & Material Sciences (AREA)
  • Combustion & Propulsion (AREA)
  • Transportation (AREA)
  • Body Structure For Vehicles (AREA)
  • Warehouses Or Storage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후방 필러(20), 후방 휠 아치(13)의 상부 표면(31) 및 자동차의 차체 측면(15) 사이에 고정되도록 된 자동차용 선반(30)에 대한 것으로서, 상기 선반(30)은 단일 부품을 포함하되, 상기 단일 부품은, 실질적으로 중앙 평면(33) 상에서 연장되며, 주변부(34)에 의해 구획되는 중앙 영역(32); 상기 중앙 평면(33)과 교차하고 바람직하게는 중앙 평면에 수직인 방향(36, 37, 38, 39)으로 주변부(34)의 모든 지점에서 연장되는 윤곽부(35);를 포함한다.

Description

자동차용 구조적 선반
본 발명은 차량, 특히 자동차의 기술 분야에 있으며, 차량 내부, 특히 뒷좌석 승객을 위해 배치된 안전 벨트용 와인더를 지지하도록 의도될 수 있는 구조적 선반에 관한 것이다.
자동차 분야에서 차량의 후면부는 서로 결합되고 다양한 역할과 기하학적 구조를 갖는 많은 요소로 구성된다. 이러한 요소 중 내측 후방 휠 아치가 언급될 수 있다. 내측 후방 휠 아치는 차량의 후방 휠을 수용하도록 의도된 캐비티와 일반적으로 승객실 및/또는 트렁크의 일부인 차량 내부 사이에 배치된 측면 파티션을 형성하는 금속 시트이다. 이것은 일반적으로 단일 판금 패널로 구성된다. 휠 아치의 일체형 구성은 견고성에 기여한다. 이것은 스탬핑을 통해 얻어지게 된다.
차체 측면은 프레임을 형성하고 도어 프레임을 구성하는 고정 측면 요소 세트이다.
마지막으로 차량의 후방 필러는 차체 측면의 차량 후방에 위치한 직립부이다.
이러한 부품은 예를 들어 용접과 같은 적절한 방법으로 서로 결합된다. 이렇게 얻은 구조체는 부착 표면을 만드는 데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도 1은 차량 차체의 수직 구조체에 가까운 승객실의 후방 영역에 위치된 시트 벨트 와인더(11)용 지지체(10)를 도시한다. 상기 지지체(10)는 표면(14)에서 후방 휠 아치(13)에 고정된 베이스 플레이트(12)를 포함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는 그 표면(16)에서 차체 측면(15)에 고정된다. 따라서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는 후방 휠 아치 및 차체에 단단히 고정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는 베이스 플레이트(12)에 대한 전체 접촉 표면에 걸쳐 휠 아치(13) 및 차체 측면(15)에 고정되므로, 용접에 의한 접합의 예에서, 접촉면의 둘레 주위에 용접 스폿의 적용을 필요로 한다. 상기 지지체(10)는 차량의 수평면에 실질적으로 평행한 평면에서 연장되는 표면(18)을 구비하는 고정부(17)를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7)의 표면(18)은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상면에 고정된다. 상기 고정부(17)는 상기 표면(18)의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연장하는 측면(19)을 포함한다. 상기 고정부(17)는 그 표면(18)에서 차체 측면(15)에 고정된다. 마지막으로, 상기 고정부(17)는 영역(21)에서 차량의 후방 필러(20)에 부착하기 위한 부착 지점으로 구성된다. 따라서, 상기 지지체(10)는 후방 휠 아치, 차체 측면 및 후면 필러에 견고하게 고정되어 차량의 차체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상기 베이스 플레이트(12)의 측벽에는 차량의 수평면과 대략 평행한 평면에서 와인더(11)가 고정될 수 있다. 충돌시 안전벨트에 의해 가해지는 탑승자 구속력이 상기 지지체(10)로 전달되어, 후방 휠 아치, 차체 측면 및 후방 필러로 분산되어, 와인더가 충분한 수준의 구속력을 제공하도록 하는 것을 보장하게 된다.
그러나 이러한 유형의 지지체에는 여러 가지 단점이 있다. 그것은 두 부분으로 구성되는데, 즉, 두 개의 개별 부품을 제조해야 하며, 이 부품은 차량의 차체에 결합되고 고정되어야 한다. 두 부품 사이의 접촉면과 지지체와 차체 사이의 접촉면은 또한 고정을 위해 여러 지점이 필요하다(예: 용접). 이것은 결합을 더 복잡하게 만든다.
본 발명은 구조적 선반을 제공함으로써 위에서 언급한 문제의 전부 또는 일부를 극복하는 것을 목적으로 하며, 그 기능은 차량의 차체를 보강하는 것이다. 이러한 선반은 후방 필러를 후방 휠 아치에 기계적으로 연결한다. 본 발명의 구조적 선반은 뒷좌석 승객용 시트 벨트의 와인더를 위한 지지 부재로서 더 작용할 수 있다.
이를 위해, 본 발명은 후방 필러, 후방 휠 아치의 상부 표면 및 상기 자동차의 차체 측면 사이에 고정되도록 의도된 자동차용 선반에 관한 것으로, 상기 선반은 다음을 포함하는 단일 부품을 포함하되, 상기 단일 부품은,
a. 실질적으로 중앙 평면 상에 연장되는 중앙 영역으로서, 상기 중앙 영역은 둘레에 의해 구획된, 중앙 영역;
b. 상기 중앙 평면과 교차하고 바람직하게는 중앙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상기 둘레의 모든 지점에서 연장되는 윤곽부.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윤곽부는:
a. 후방 필러에 고정되도록 된 후방 표면;
b. 상기 중앙 영역과 관련하여 후방 표면에 대향하고 후방 휠 아치에 고정되도록 된 하부 표면;
c. 차량의 차체 측면에 고정되도록 된 외부 측면;
d. 상기 중앙 영역과 관련하여 상기 외부 측면과 반대편에 있는 내부 측면;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측면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를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반은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를 더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반은 시트 벨트 와인더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영역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차체 조립체에 관한 것으로서, 상기 자동차용 차체 조립체는,
a. 제1 평면 상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후방 필러;
b. 상기 제1 평면과 교차하는 제2 평면에서 연장되는 상부 표면을 포함하는 후방 휠 아치;
c. 상기 제 1 평면 및 제 2 평면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3 평면 상에서 연장되는 차체 측면;을 포함하며,
상기 차체 조립체는 상기 후방 필러, 상기 후방 휠 아치의 상부 표면 및 차체 측면 사이에 본 발명에 따른 선반을 더 포함하며,
중앙 평면은 후방 필러와 4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45°의 각도를 형성한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후방 휠 아치는 후방 측면부, 전방 측면부 및 중앙부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는 후방 측면부와 전방 측면부 사이에 위치되고 차량의 주행 기어에 따라 상호 교환 가능하며, 상기 선반은 전방 측면부에 고정된다.
본 발명은 선반이 스탬핑에 의해 제조되는, 전술한 자동차용 선반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용접에 의해 자동차에 전술한 바와 같은 선반을 결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윤곽부를 후방 필러, 후방 휠 아치의 상부 표면 및 차량의 차체 측면에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그러한 차체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량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은 더 잘 이해될 것이고 다른 이점들은 예로서 주어지는 일 실시예의 상세한 설명을 읽을 때 명백해질 것이며, 그 설명은 첨부된 도면에 의해 예시된다.
위에서 설명된 도 1은 종래 기술의 안전 벨트 와인더에 대한 지지체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방 휠 아치, 차체 측면 및 후방 필러에 고정된 선반의 레이아웃을 개략적으로 도시한 도면이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반의 다른 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도 4는 도 3에 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선반의 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하는 도면이다.
이들 도면에서, 명료함을 위해, 수치가 모두 동일한 축척에 있지는 않다. 또한 동일한 요소는 도면과 도면간에 동일한 참조 부호를 포함한다. 또한 "전방" 및 "후방"이라는 용어는 차량의 일반적인 방향과 관련하여 이해해야 한다. "전방"이라는 용어는 수평 방향에서 차량의 전방을 향한 위치를 의미한다. "후방"이라는 용어는 전술한 수평 방향에서 차량의 후방을 향한 위치를 의미한다.
내측 후방 휠 아치는 차량의 후방 휠을 수용하기 위한 공간과 차량 내부 사이에 배치되는 사이드 격벽을 형성하는 부분에 관한 것이다. 다음 텍스트에서 용어의 표현을 단순화하기 위해 내측 후방 휠 아치를 "후방 휠 아치"라고 한다.
도 1은 종래 기술의 시트 벨트 와인더(11)용 지지체(10)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것은 위에서 설명되었다.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차량의 후방 휠 아치(13), 차체 측면(15) 및 후방 필러(20)에 고정된 선반(30)의 배치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본 발명은 후방 필러(20), 후방 휠 아치(13)의 상부 표면(31) 및 상기 차량의 차체 측면(15) 사이에 고정되도록 된 차량용 선반(30)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르면, 선반(30)은 중앙 평면(33) 상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되고, 주변부(34)에 의해 구획되는 중앙 영역(32), 및 상기 주변부(34) 상의 모든 지점에서 상기 중앙 평면(33)에 교차하고 바람직하게는 중앙 평면에 수직인 방향으로 연장되는 윤곽부(35)(또는 예를 들어 이러한 주변부(34) 상의 지점에 따른 37, 38, 39)를 포함하는 단일 부품을 구비한다. 다시 말해서, 상기 윤곽부(35)는 중앙 영역(32)에 실질적으로 수직으로 중앙 영역(32)의 주변부로부터 상승하고; 윤곽부(35)와 중앙 영역(32)은 단일 부품을 형성한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반(30)은 스탬핑에 의해 얻어지는 부품이라는 이점이 있다. 그것은 단일 부품, 즉 한 조각의 펼쳐진 선반이다. 상기 선반(30)의 중앙 영역(32)은 후술하는 바와 같이 후방 필러와 휠 아치에 의해 형성되는 전체 구조의 강성을 보장한다. 상기 중앙 영역(32)으로부터 중앙 영역(32)의 중앙 평면(33)과 교차하는 방향으로 연장되는 윤곽부(35)는 영역(21)에서 후방 필러(20), 상기 차체 측면(15), 및 상기 후방 휠 아치의 상부 표면(31)에 고정되도록 된 고정 표면을 선반(30)에 제공한다.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선반(30)의 다른 도면을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이러한 도면에서는후방 휠 아치가 도시되지 않았다.
상기 윤곽부(35)는 후방 필러(20)에 고정되도록 된 후방 표면(41)을 포함한다.
상기 윤곽부(35)는 중앙 영역(32)과 관련하여 후방 표면(41)에 대향하고 후방 휠 아치(13)에 고정되도록 된 하부 표면(42)을 포함한다. 상기 하부 표면(42)은 선반(30)과 휠 아치(13) 사이의 지지 표면의 범위를 증가시키기 위해 지지하는 후방 휠 아치의 상부 표면과 같이 실질적으로 평평한 만곡부를 가질 수 있다.
상기 윤곽부(35)는 차량의 차체 측면(15)에 고정되도록 된 외부 측면(43)을 포함한다.
상기 윤곽부(35)는 중앙 영역(32)과 관련하여 외부 측면(43)에 대향하는 내부 측면(44)을 포함한다.
2개의 (외부 및 내부) 측면(43, 44)은 방향(36, 38)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방향으로 후방 연장부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내부 측면(44)의 연장부는 기준부(48)를 지지한다. 이 두 개의 연장부와 후방 표면(41)은 선반(30)과 후방 필러(20) 사이의 접촉면으로 작용하여 후방 필러(20)에 선반(30)을 고정하기 위한 고정영역을 나타낸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내부 측면(44)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45)를 포함한다. 상기 개구(45)는 고정 클립과 같은 적절한 고정 수단을 통해 액세서리, 예를 들어 트렁크 라이닝이 고정되게 한다.
도 4는 도 3에 제시된 본 발명에 따른 선반(30)의 투시도를 개략적으로 도시한다.
상기 선반(30)은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46)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보강 리브(46)는 충격의 경우에 변형에 대한 선반(30)의 저항성을 증가시킨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선반(30)은 시트 벨트 와인더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영역(47)을 더 포함한다.
본 발명은 또한 다음을 포함하는 자동차용 차체 조립체(50)에 관한 것이며, 상기 차체 조립체는,
a. 제1 평면(51) 상에서 실질적으로 연장되는 후방 필러(20);
b. 상기 제1 평면(51)과 교차하는 제2 평면(52) 상에서 연장되는 상부 표면(31)을 포함하는 후방 휠 아치(13);
c. 상기 제1 평면(51) 및 제2 평면(52)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3 평면(53)(더 나은 가시성을 위해 도 2에 도시됨) 상에서 연장되는 차체 측면(15);
d. 후방 필러(20), 후방 휠 아치(13)의 상면(31) 및 차체 측면(15) 사이에 고정되는 전술한 바와 같은 선반(30);를 포함한다. 또한, 중앙 평면(33)은 후방 필러(20)와 4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45°의 각도(도면부호 54)를 형성한다.
따라서 상기 선반(30)은 차량의 차체를 보강하는 일체형 부품이다. 상기 선반(30)은 후방 필러(20)를 휠 아치(13)에 기계적으로 연결한다. 상기 선반(30)은 전체 높이에 걸쳐 바람직하게는 실질적으로 45°만큼 차체 필러(20)에 대해 기울어진 구조적 부분이다. 즉, 상기 선반(30)은 후방 필러(20)와 후방 휠 아치(13)를 연결하는 버팀대 역할을 하며, 충돌시 후방 필러(20)가 힘을 견디도록 돕는다.
상기 선반(30)은 후방 휠 아치(13)가 일체형이 아닐 때 특히 유리하다. 특히, 차량 조립 라인에서 쉽게 결합할 수 있도록 3-부품 휠 아치를 고려하는 것이 좋다. 후방 휠 아치는 휠 아치의 중앙부(57)에서 차량의 후방 주행 기어의 베어링에 고정하기 위한 고정 영역을 포함한다. 주행 기어의 베어링은 차체와 차량의 후방 축을 연결하는 기계적 부재이며, 후방 축은 차량의 후방 휠에 연결된다. 따라서 고정 영역은 주행 기어의 베어링에 연결하는 데 적합하다. 그러나, 주행 기어는 차량마다 다를 수 있으므로, 이는 복수의 후방 휠 아치 형상을 초래한다. 3부분으로 된 휠 아치는 일체형인 선행 기술의 후방 휠 아치와 달리, 차량에 조립되는 모든 유형의 주행 기어에 대해 표준 및 동일한 모양을 가진 두 개의 측면부(55, 56) 및 그 부분에서 차량에 조립되도록 된 임의의 유형의 주행 기어에 따라 변화하는 교체가능한 중앙부를 포함한다. 후방 휠 아치가 조립될 때 작업자는 휠 아치의 두 측면부을 결합하고 결합할 중앙부만 조정하면 된다. 이것은 조립을 용이하게 한다. 그러나, 이러한 3부분으로 된 후방 휠 아치는 더 이상 도 1에 설명된 바와 같이 선행 기술의 차체 조립체에 필요한 강성을 제공하지 않는다. 이는 3부분으로 된 후방 휠 아치가 주행 기어의 유형에 따라 달라지는 상부 표면을 갖기 때문이다. 종래 기술에서 수행된 바와 같이 베이스 플레이트(12)를 휠 아치에 고정하는 것은 더 이상 가능하지 않다. 그리고 베이스 플레이트(12)의 형상을 조정하고 휠 아치에 고정하더라도 충돌 시 안전 벨트에서 오는 힘은 베이스 플레이트(12) 및 고정부(17)가 찢어지는 원인이 될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선반(30)은 후방 필러(20)와 휠 아치(13) 사이에 생성되는 연결로 인해 이러한 문제를 해결할 수 있게 한다. 상기 선반(30)은 실질적으로 평면이고 후방 필러에 대해 실질적으로 45°로 배향된다. 또한, 이것은 상기 휠 아치(13)의 상부 표면(31)과 각도를 형성한다. 3-부품 휠 아치의 경우, 상기 선반(30)은 전방 측면부(56)(차량 방향으로)에 고정된다. 즉, 3-부품 휠 아치가 있는 경우에도, 상기 선반(30)은 차량의 차체를 강화하는 데 도움이 된다. 충돌시, 후방 필러(20), 선반(30) 및 휠 아치(13) 사이에 형성되는 브레이싱은 후방 필러(20)가 힘을 견디는 데 도움이 된다.
따라서, 상기 선반(30)의 주요 역할은 차체 조립체(50)의 무결성을 향상시키는 구조적 역할과 함께 후방 필러(20)와 휠 아치(13)를 연결하는 것이다. 상기 선반(30)은 안전벨트 와인더를 지지하는 보완적인 역할을 할 수 있다. 이 경우, 안전벨트 와인더는 중앙 영역(32)에 위치되어 이를 위해 마련된 고정 영역(47)에서 선반(30)에 고정될 수 있다.
본 발명은 또한 자동차용 선반(30)을 제조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여기서 선반은 스탬핑에 의해 제조된다.
본 발명은 또한 용접에 의해 자동차에 선반(30)을 결합하는 방법에 관한 것으로, 상기 방법은 윤곽부(35)를 후방 필러(20), 후방 휠 아치(13)의 상부 표면(31) 및 차량의 차체 측면(15)에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한다.
상기 선반(30)의 윤곽부(35)와 차체 측면(15), 후방 필러(20), 휠 아치(13) 사이에 가해지는 강한 전류와 점압을 결합하여 용접할 수 있다. 이 방법은 외부에 아무것도 추가할 필요가 없다. 전류는 재료가 녹을 때까지 가열한다. 압력은 전극과 조립체 사이의 접촉을 보장한다.
더 정확하게 그리고 적어도 부분적으로 볼 수 있는 바와 같이, 도 2에서 윤곽부(35)는 스폿 용접에 의해 선반(30)을 차체에 고정하는 것을 가능하게 한다. 용접 지점이 적용되는 윤곽부(35)의 섹션에 따라 2개 또는 3개의 시트가 함께 용접된다. 예를 들어, 후방 표면(41)에서, 이것은 윤곽부(35)의 두께, 후면 필러(20)의 두께 및 후면 필러(20)의 보강재의 두께에 해당하는 3층 스폿 용접을 포함한다. .
외측 측면(43)에서 상기 스폿 용접은 용접될 윤곽부(35)의 표면(43) 섹션에 따라 2층 또는 3층 스폿 용접이다. 상부의 쿼터 패널 라이닝에서, 이것은 2층 스폿 용접을 포함된다. 중간 영역에서, 상기 스폿 용접은 원피스 휠 아치의 경우 2층 스폿 용접이다. 한편, 3-부품 후방 휠 아치의 경우, 스폿용접은 3층 스폿용접이다. 그 이유는 윤곽부(35)가 후방 휠 아치의 중간 부분과 후방 휠 아치의 전방 측면부에 용접되어야 하기 때문이다. 휠 아치의 앞부분에서 후방 휠 아치의 유형(원피스 또는 3-부품)에 관계없이, 스폿 용접은 2층 스폿 용접(윤곽부(35) 및 후방 휠 아치)이다. 용접에 의한 접합은 해당 영역에 따라 도 2(각 원은 용접 지점을 나타냄)와 같이 한 줄 또는 두 줄의 용접 지점으로 수행될 수 있다.
상기 하부 표면(42)에서, 접합은 바람직하게는 2열의 용접 지점으로 수행된다. 차량 방향으로 가장 앞쪽에 있는 열은 2층 스폿 용접이다(윤곽부(35)의 두께와 휠 아치의 두께). 후방으로 가장 먼 행은 일체형 후방 휠 아치의 경우 2층 스폿 용접이고, 3-부품 후방 휠 아치의 경우(윤곽부(35)의 두께와 후방 휠 아치의 전방 측면부과 중간 부분의 스택을 설명하자면) 3층 스폿 용접이다.
마지막으로, 본 발명은 차체 조립체(50)를 포함하는 자동차에 관한 것이다.
13: 후방 휠 아치
15: 차체 측면
20: 후방 필러
30: 선반
31: 상부 표면
32: 중앙 영역
33: 중앙 평면
34: 주변부

Claims (10)

  1. 후방 필러(20), 후방 휠 아치(13)의 상부 표면(31) 및 자동차의 차체 측면(15) 사이에 고정되도록 된 자동차용 선반(30)에 있어서, 상기 선반(30)은 단일 부품을 포함하되, 상기 단일 부품은,
    실질적으로 중앙 평면(33) 상에서 연장되며, 주변부(34)에 의해 구획되는 중앙 영역(32);
    상기 중앙 평면(33)과 교차하고 바람직하게는 중앙 평면에 수직인 방향(36, 37, 38, 39)으로 주변부(34)의 모든 지점에서 연장되는 윤곽부(3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반(30).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윤곽부(35)는,
    상기 후방 필러(20)에 고정되는 후방 표면(41);
    상기 중앙 영역(32)에 대해 상기 후방 표면(41)에 대향되고 후방 휠 아치(13)에 고정되도록 된 하부 표면(42);
    차량의 차체 측면(15)에 고정되도록 된 외부 측면(43);
    상기 중앙 영역(32)과 관련하여 상기 외부 측면(43)에 대향하는 내부 측면(44);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반(30).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내부 측면(44)은 적어도 하나의 개구(45)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반(30).
  4. 제1항 내지 제3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보강 리브(46)를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반(30).
  5. 제1항 내지 제4항 중 어느 한 항에 있어서,
    시트 벨트 와인더를 고정하기 위한 고정 영역(47)을 추가로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반(30).
  6. 차량용 차체 조립체(50)에 있어서, 상기 차체 조립체는,
    실질적으로 제1 평면(51) 상에서 연장되는 후방 필러(20);
    상기 제1 평면(51)과 교차하는 제2 평면(52)에서 연장되는 상부 표면(31)을 포함하는 후방 휠 아치(13);
    상기 제1 평면(51) 및 제 2 평면(52)에 실질적으로 수직인 제 3 평면(53)에서 연장되는 차체 측면(15);을 포함하되,
    후방 필러(20), 후방 휠 아치(13)의 상부 표면(31) 및 차체 측면(15) 사이에 고정된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선반(30)을 추가로 포함하며,
    상기 중앙 평면(33)은 상기 후방필러(20)와 40 내지 50°, 바람직하게는 45°의 각도를 형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조립체.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후방 휠 아치(13)는 후방 측면부(55), 전방 측면부(56) 및 중앙부(57)를 포함하고, 상기 중앙부(57)는 상기 후방 측면부(55)와 전방 측면부(56) 사이에 위치하며, 차량의 주행기어에 따라 교체 가능하고, 상기 선반(30)은 전방 측면부(56)에 고정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차체 조립체.
  8.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자동차용 선반(30)을 제조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선반(30)은 스탬핑에 의해 제조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용 선반의 제조 방법.
  9. 용접에 의해 제1항 내지 제5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선반을 자동차에 결합하는 방법에 있어서,
    상기 방법은 윤곽부(35)를 후방 필러(20), 후방 휠 아치의 상부 표면(31) 및 자동차의 차체 측면(15)에 용접하는 단계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선반을 자동차에 결합하는 방법.
  10. 제6항 또는 제7항에 따른 차체 조립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자동차.
KR1020227024037A 2019-12-19 2020-12-07 자동차용 구조적 선반 KR20220114048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FR1915018 2019-12-19
FR1915018A FR3105154B1 (fr) 2019-12-19 2019-12-19 Tablette structurelle pour véhicule automobile
PCT/EP2020/084852 WO2021122097A1 (fr) 2019-12-19 2020-12-07 Tablette structurelle pour véhicule automobil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4048A true KR20220114048A (ko) 2022-08-17

Family

ID=6981129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4037A KR20220114048A (ko) 2019-12-19 2020-12-07 자동차용 구조적 선반

Country Status (4)

Country Link
EP (1) EP4077104B1 (ko)
KR (1) KR20220114048A (ko)
FR (1) FR3105154B1 (ko)
WO (1) WO2021122097A1 (ko)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941273B1 (ko) * 2007-12-12 2010-02-11 현대자동차주식회사 시트 벨트 앵커 마운팅 강성 강화 장치
FR2987014B1 (fr) * 2012-02-22 2014-02-28 Peugeot Citroen Automobiles Sa Piece de fixation et ou de renfort d'ancrage de ceinture de securite de vehicule.
CN106494513B (zh) * 2016-11-01 2019-08-02 广州汽车集团股份有限公司 一种汽车后侧围结构
CN106347470B (zh) * 2016-11-25 2023-05-12 上汽通用五菱汽车股份有限公司 一种分块式结构的后侧围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1122097A1 (fr) 2021-06-24
FR3105154B1 (fr) 2021-11-19
EP4077104A1 (fr) 2022-10-26
EP4077104B1 (fr) 2024-02-14
FR3105154A1 (fr) 2021-06-25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58632B2 (en) Vehicle body structure
US9248865B2 (en) Vehicle body front structure
US20130161981A1 (en) Motor vehicle body with reinforcing structure
US20120119542A1 (en) Car body with reinforcing structure
CN108725588B (zh) 车身底板构造
KR101806701B1 (ko) 차량용 카울크로스바
JP6188761B2 (ja) 車体前部構造
US20070052261A1 (en) Multiple part automobile body
US9150257B2 (en) Transverse element comprising a vehicle instrument panel crossmember and a support element
US7789429B2 (en) Bodywork structure of a motor vehicle with a suspension strut dome
JP2013006519A (ja) 車体上部構造
JP7264846B2 (ja) 自動車ボデー
KR20220114048A (ko) 자동차용 구조적 선반
US20240166273A1 (en) Vehicle body structure of cab-over type vehicle
JP3307870B2 (ja) 自動車車体のサイドシル補強構造
JP2020090112A (ja) フロントピラー構造
JP2020152153A (ja) 車両下部構造
JP5813088B2 (ja) 車体構造
JP7392371B2 (ja) 車両の下部車体構造
JP5072037B2 (ja) 車両の車体前部における補強構造
JPH11192977A (ja) 自動車の車体フレーム補強構造
JP3789191B2 (ja) フロントピラー下部構造
JP5935753B2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JP2007168713A (ja) キャブオーバ型車両のキャブ構造
JP3773094B2 (ja) 車両の後部車体構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