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3449A - 양극 활물질 - Google Patents

양극 활물질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3449A
KR20220113449A KR1020227022982A KR20227022982A KR20220113449A KR 20220113449 A KR20220113449 A KR 20220113449A KR 1020227022982 A KR1020227022982 A KR 1020227022982A KR 20227022982 A KR20227022982 A KR 20227022982A KR 20220113449 A KR20220113449 A KR 202201134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active material
positive electrode
carbon
ion battery
sodium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702298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칭 왕
장-마리 타라스콘
모하메드 샤키르
사티야 마리야판
Original Assignee
르노 에스.아.에스.
상뜨르 나쇼날 드 라 러쉐르쉬 샹띠피끄
콜레주 드 프랑스
쏘흐본느 유니베흐시테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르노 에스.아.에스., 상뜨르 나쇼날 드 라 러쉐르쉬 샹띠피끄, 콜레주 드 프랑스, 쏘흐본느 유니베흐시테 filed Critical 르노 에스.아.에스.
Publication of KR202201134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344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36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 H01M4/48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 H01M4/50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 H01M4/505Selection of substances as active materials, active masses, active liquids of inorganic oxides or hydroxides of manganese of mixed oxides or hydroxides containing manganese for inserting or intercalating light metals, e.g. LiMn2O4 or LiMn2OxFy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GCOMPOUNDS CONTAINING METALS NOT COVERED BY SUBCLASSES C01D OR C01F
    • C01G45/00Compounds of manganese
    • C01G45/12Manganates manganites or permanganates
    • C01G45/1221Manganates or manganites with a manganese oxidation state of Mn(III), Mn(IV) or mixtures thereof
    • C01G45/1228Manganates or manganites with a manganese oxidation state of Mn(III), Mn(IV) or mixtures thereof of the type [MnO2]n-, e.g. LiMnO2, Li[MxMn1-x]O2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2Li-accumulators
    • H01M10/0525Rocking-chair batteries, i.e. batteries with lithium insertion or intercalation in both electrodes; Lithium-ion batter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10/00Secondary cells; Manufacture thereof
    • H01M10/05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 H01M10/054Accumulators with insertion or intercalation of metals other than lithium, e.g. with magnesium or aluminium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13Electrodes for accumulators with non-aqueous electrolyte, e.g. for lithium-accumulators; Processes of manufacture thereof
    • H01M4/131Electrodes based on mixed oxides or hydroxides, or on mixtures of oxides or hydroxides, e.g. LiCoOx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4/62Selection of inactive substances as ingredients for active masses, e.g. binders, fillers
    • H01M4/624Electric conductive fillers
    • H01M4/625Carbon or graphite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2/0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 C01P2002/70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 C01P2002/72Crystal-structural characteristics defined by measured X-ray, neutron or electron diffraction data by d-values or two theta-values, e.g. as X-ray diagram
    • CCHEMISTRY; METALLURGY
    • C01INORGANIC CHEMISTRY
    • C01PINDEXING SCHEME RELATING TO STRUCTURAL AND PHYSICAL ASPECTS OF SOLID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00Physical properties of inorganic compounds
    • C01P2006/40Electric properties
    • HELECTRICITY
    • H01ELECTRIC ELEMENTS
    • H01MPROCESSES OR MEANS, e.g. BATTERIES, FOR THE DIRECT CONVERSION OF CHEMICAL ENERGY INTO ELECTRICAL ENERGY
    • H01M4/00Electrodes
    • H01M4/02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 H01M2004/026Electrodes composed of, or comprising, active material characterised by the polarity
    • H01M2004/028Positive electrodes
    • YGENERAL TAGGING OF NEW TECHNOLOGICAL DEVELOPMENTS; GENERAL TAGGING OF CROSS-SECTIONAL TECHNOLOGIES SPANNING OVER SEVERAL SECTIONS OF THE IPC; TECHNICAL SUBJECTS COVERED BY FORMER USPC CROSS-REFERENCE ART COLLECTIONS [XRACs] AND DIGESTS
    • Y02TECHNOLOGIES OR APPLICATIONS FOR MITIGATION OR ADAPTATION AGAINST CLIMATE CHANGE
    • Y02EREDUCTION OF GREENHOUSE GAS [GHG] EMISSIONS, RELATED TO ENERGY GENERATION, TRANSMISSION OR DISTRIBUTION
    • Y02E60/00Enabling technologies; Technologies with a potential or indirect contribution to GHG emissions mitigation
    • Y02E60/10Energy storage using batteries

Abstract

본 발명은 하기 화학식 (I)을 갖는 양극 활물질(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에 관한 것이다: NaxLiyMn1-yO2 (I), 여기서, x는 0.8 내지 1 범위의 수이고; y는 0보다 엄밀하게(strictly) 크고 1/3 이하인 수이다.

Description

양극 활물질
본 발명은 재충전가능한 배터리, 소듐-이온(Na-ion) 및 리튬 이온(Li-ion) 배터리, 특히 Na-이온 배터리의 전반적인 분야에 관한 것이다.
더욱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양극 활물질(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s), 및 이를 포함하는 양극에 관한 것이다.
소듐은, 특히 그것의 풍부한 이용가능성 및 저렴한 비용으로 인해, 리튬보다 경제적으로 매력적이기 때문에, 소듐 이온 배터리는 리튬 이온 배터리의 가장 유망한 대안들 중 하나이다.
Na 이온 배터리를 위한 양극에 대한 집중적인 연구가 수행되었다. 이 작업의 결과로, 양극을 두 가지 주요 범주로 분류하게 되었다.
제1 범주는 다가음이온성 화합물(polyanionic compounds)을 함유한다. 이러한 다가음이온성 화합물들 중, Na3V2(PO4)2F3 화합물은 Na 이온 배터리에 사용하기에 적합한 것으로 확인되었다. 실제로, 이것은 특히, 문헌 WO 2014/009710에 기술된 바와 같이, 합성 용이성, 습한 조건에서 사용될 때의 안정성, 보관 시 공기 중에서의 안정성, 또는 높은 비에너지(specific energy)를 특징으로 한다.
그러나, 전극 내 바나듐의 존재는, 그것의 독성 성질로 인해, 소듐 이온 배터리의 중기/장기 사용 동안 문제가 될 수 있다. 게다가, 비록 이 다가음이온성 화합물을 사용하여 최상의 결과를 얻을 수 있지만, 그것의 상대적으로 무거운 분자량으로 인해, 그것의 비용량(specific capacity)이 제한된다.
제2 범주는 층상 소듐 산화물(lamellar sodium oxides)을 포함한다. 이 특정 산화물은 일반 화학식 NabMO2를 가지며, 여기서, b는 1 이하이고, M은 적어도 하나의 전이 금속을 나타낸다. 이러한 층상 산화물은 분자량이 더 가볍기 때문에 다가음이온 화합물보다 더 유망한 것으로 보인다. 또한, 그것들은, 그것들의 구조적 및 조성적 풍부함 및 그것들의 합성 용이성 때문에 흥미롭다. 또한, 층상 소듐 산화물의 중량 에너지 밀도는 화합물 Na3V2(PO4)2F3보다 높다(대략 4.5 g/cm3 대 대략 3 g/cm3).
따라서, 층상 소듐 산화물에 대한 많은 연구가 수행되었으며, 금속들의 성질에 특별한 주의를 기울이게 되었다. 일부 전이 금속들은, 특히 V, Co 및 Ni와 같은 금속들은, 그것들의 독성 성질 때문에 피하는 것이 가장 좋다.
이와 관련하여, 흥미로운 물질들이 확인되었으며, 특히, 활물질 NadFe0.5Mn0.5O2(여기서, d는 1 이하임)(참고 문헌: “P2-type Nax[Fe1/2Mn1/2]O2 made from earth-abundant elements for rechargeable Na batteries”, N. Yabuuchi et al., Nature Materials, 11, 512-517 (2012)), 또는 활물질 NafMnO2(여기서, f는 1 이하임)(참고 문헌: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Monoclinic NaMnO2”, X. Ma, H. Chen, G. Ceder, J. Electrochem. Soc., 158, A1307 (2011), 및 “β-NaMnO2: A High-Performance Cathode for Sodium-Ion Batteries”, J. Billaud et al., J. Am. Chem. Soc., 136, 17243-17248 (2014))이 확인되었다.
그러나, 이러한 활물질들의 높은 이론 용량(240 mAh/g)으로 인해 이것들이 제시한 유망함에도 불구하고, 이러한 활물질들의 용량은 Na 이온 배터리의 충전 및 방전 사이클 동안 감소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층상 산화물은 또한 습기에 매우 민감하여 보관 및 가공이 어렵다.
따라서, 상술한 단점들, 특히 용량 저하 및 습도 안정성 문제를 극복하는 새로운 양극 활물질의 개발이 필요하다.
밝혀진 바에 따르면, 특정 양극 활물질은 상기 활물질을 포함하는 향상된 셀 용량을 제공하였고, 그러한 셀 용량은 반복된 충전 및 방전 사이클들에 의해 감소되지 않았으며, 그에 따라, 습도에 대한 향상된 안정성이 제공되었다.
따라서, 본 발명의 목적은 하기 화학식 (I)을 갖는 양극 활물질이다:
NaxLiyMn1-yO2 (I),
여기서:
- x는 0.8 내지 1 범위의 수이고;
- y는 0보다 엄밀하게(strictly) 더 크고 1/3 이하인 수이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활물질의 제조 방법이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을 제공하는 것 역시 본 발명의 목적이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을 포함하는 Na 이온 배터리 셀, 및 또한 적어도 하나의 Na 이온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Na 이온 배터리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 셀, 및 또한 앞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리튬 이온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에 관한 것이다.
본 발명의 추가적인 이점 및 특징은 상세한 설명 및 첨부된 도면을 숙독함으로써 더욱 명확해질 것이다.
도 1은 충전 및 방전 사이클들의 횟수에 따른 여러 개의 Na 이온 배터리 셀들의 용량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도 2는 충전 및 방전 사이클들의 횟수에 따른 Na 이온 배터리 셀의 전압을 나타내는 그래프이다.
도 3은 두 개의 활물질들에 대한 두 개의 회절도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4는 두 개의 활물질들에 대한 두 개의 회절도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5는 두 개의 활물질들에 대한 두 개의 회절도들을 나타낸 것이다.
도 6은 용량에 따른 리튬이온 배터리 셀의 전압을 나타낸 그래프이다.
명시적으로 기재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설명에서 사용되는 표현 "... 내지 ..."은 언급된 종점들 각각을 포함하는 것으로 이해되어야 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양극 활물질은 상기 언급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활물질이다.
바람직하게는, y는 0.1 내지 1/3이고,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3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y는 1/3과 동일하다.
본 발명의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x는 0.9 내지 1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x는 1과 같다.
본 발명의 특히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앞에서 정의된 바와 같은 화학식 (I)의 활물질은 화학식 NaLi1/3Mn2/3O2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는 본 발명에 따른 활물질의 제조 방법을 제공하는 것이다:
(a) 적어도 하나의 전이 금속 염 또는 전이 금속들 염을 적어도 하나의 리튬 전구체 및 적어도 하나의 소듐 전구체와 혼합하는 단계;
(b) 단계 (a)에서 얻은 혼합물을 500 ℃ 내지 900 ℃ 범위의 온도까지 가열하는 단계; 및
(c) 상기 활물질을 회수하는 단계.
바람직하게는, 전이 금속 염은 망간 염이다.
유리하게는, 리튬 전구체는, 산화물, 과산화물, 염,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리튬 카보네이트, 리튬 니트레이트, 리튬 아세테이트, 리튬 술페이트, 리튬 하이드록사이드, Li2O, Li2O2,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된다.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소듐 전구체는 산화물, 과산화물, 염, 및 이들의 혼합물 중에서 선택되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소듐 카보네이트, 소듐 니트레이트, 소듐 아세테이트, 소듐 술페이트, 소다, Na2O, Na2O2로부터 선택된다.
바람직한 구현예에 따르면, 단계 (a)로부터 얻어진 혼합물은 600 ℃ 내지 900 ℃ 범위의 온도까지 가열된다.
바람직하게는, 단계 (b)는 6 시간 내지 20 시간 범위의, 바람직하게는 6 시간 내지 16 시간 범위의, 더욱 바람직하게는 6 시간 내지 12 시간 범위의, 특히 바람직하게는 8 시간의, 기간 동안 수행된다.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단계 (b)는 아르곤 흐름 하에서 수행된다.
유리하게는, 단계 (b) 다음에 냉각 단계가 뒤따른다.
예를 들어, 혼합물을 오븐에서 700 ℃까지 8 시간 동안 가열한 다음 300 ℃ 이하의 온도까지 냉각한 다음 오븐에서 꺼낸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본 발명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이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양극은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화합물을 더 포함한다.
특정 구현예에 따르면, 전도성 화합물은 금속 입자, 탄소,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이다.
상기 금속 입자는 은, 구리, 또는 니켈 입자일 수 있다.
탄소는 흑연, 카본 블랙, 탄소 섬유, 탄소 나노와이어, 탄소 나노튜브, 또는 탄소 나노구의 형태일 수 있고, 바람직하게는 카본 블랙의 형태일 수 있다.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양극은 유리하게는 Timcal에 의해 판매되는 SuperP® 카본 블랙을 포함한다.
바람직하게는, 본 발명에 따른 활물질 함량은 양극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50 wt% 내지 90 wt%, 바람직하게는 70 wt% 내지 90 wt%의 범위이다.
유리하게는, 전도성 화합물 함량은 양극의 총 중량을 기준으로 하여 10 wt% 내지 50 wt%, 바람직하게는 10 wt% 내지 30 wt%, 더욱 바람직하게는 15 wt% 내지 25 wt%의 범위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음극, 세퍼레이터,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Na 이온 배터리 셀에 관한 것이다.
바람직하게는, 배터리 셀은 전극들 사이에 위치되고 전기 절연체로서 작용하는 세퍼레이터를 포함한다. 여러 재료들이 세퍼레이터로서 사용될 수 있다. 세퍼레이터는 통상적으로 다공성 폴리머, 바람직하게는 폴리에틸렌 및/또는 폴리프로필렌으로 구성된다. 그것들은 또한, 유리 마이크로파이버로 만들어질 수 있다.
유리하게는, 사용된 세퍼레이터는 Whatman에 의해 판매되는 CAT No. 1823-070® 유리 마이크로파이버 세퍼레이터이다.
바람직하게는, 상기 전해질은 액체이다.
이 전해질은 하나 이상의 소듐 염들 및 하나 이상의 용매들을 포함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소듐 염들은 NaPF6, NaClO4, NaBF4, NaTFSI, NaFSI 및 NaODFB 중에서 선택될 수 있다.
하나 이상의 소듐 염들은 바람직하게는, 예를 들어 에틸렌 카보네이트, 프로필렌 카보네이트, 디메틸 카보네이트, 디에틸 카보네이트, 및 메틸 에틸 카보네이트와 같은, 극성 비양성자성 용매들로부터 선택된 하나 이상의 용매들 중에 용해된다.
유리하게는, 전해질은 1 M 소듐 염 NaPF6과 혼합된 프로필렌 카보네이트를 포함한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셀을 포함하는 Na 이온 배터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또한, 본 발명에 따른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 음극, 세퍼레이터,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 셀에 관한 것이다.
또한, 본 발명의 목적은 앞에서 언급한 바와 같은 적어도 하나의 리튬 이온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은 하기 실시예들에 의해 비제한적인 방식으로 예시된다.
<실시예>
실시예 1
Na 이온 전기화학적 반쪽 전지의 제조
1. 활물질의 합성
1.1 활물질 Na2/3Fe0.5Mn0.5O2의 합성
777.30 mg의 Fe2O3, 768.50 mg의 Mn2O3 및 687.90 mg의 소듐 카보네이트를 첨가한다. 분당 3 ℃의 속도로 온도를 900 ℃까지 올린 다음, 혼합물을 퍼니스에서 900 ℃에서 12시간 동안 하소한다. 그 다음 혼합물을 오븐에서 꺼낸다.
이 활물질은 문헌 『“P2-type Nax[Fe1/2Mn1/2]O2 made from earth-abundant elements for rechargeable Na batteries”, N. Yabuuchi et al., Nature Materials, 11, 512-517 (2012)』에 설명된 방법에 따라 합성된다.
이 비교 활물질은 활물질 A라고 지칭된다.
1.2 활물질 NaMnO2의 합성
1436.10 mg의 Mn2O3 및 964.16 mg의 소듐 카보네이트를 첨가한다. 분당 3 ℃의 속도로 온도를 700 ℃까지 올린 다음, 혼합물을 퍼니스에서 700 ℃에서 10 시간 동안 하소한다. 그 다음 혼합물을 오븐에서 꺼낸다.
이 비교 활물질은 활물질 B라고 지칭된다.
1.3 활물질 NaLi1/3Mn2/3O2의 합성
1078.40 mg의 Mn2O3, 103.00 mg의 Li2O 및 809.50 mg의 Na2O2가 첨가된다. 온도를 분당 2 ℃의 속도로 700 ℃까지 상승시킨 다음, 혼합물을 아르곤 흐름 하에 퍼니스에서 700 ℃에서 8시간 동안 하소한다. 그 다음 혼합물을 분당 1 °C의 속도로 300 ℃까지 냉각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 활물질은 활물질 C라고 지칭된다.
1.4 활물질 NaLi0.2Mn0.8O2의 합성
617.78 mg의 Na2O, 59.56 mg의 Li2O, 693.30 mg의 MnO2 및 629.40 mg의 Mn2O3가 첨가된다. 온도를 분당 3 ℃의 속도로 600 ℃까지 상승시킨 다음, 혼합물을 아르곤 흐름 하에 퍼니스에서 600 ℃에서 8 시간 동안 하소한다. 그 다음, 혼합물을 분당 1 ℃의 속도로 300 ℃까지 냉각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 활물질은 활물질 D라고 지칭된다.
1.5 활물질 NaLi0.1Mn0.9O2의 합성
70.29 mg의 Li2CO3, 1488.60 mg의 MnO2 및 1008.21 mg의 Na2CO3가 첨가된다. 온도를 분당 3 ℃의 속도로 900 ℃까지 상승시킨 다음, 혼합물을 퍼니스에서 아르곤 흐름 하에 900 ℃에서 12 시간 동안 하소한다. 그 다음 혼합물을 분당 1 ℃의 속도로 300 ℃까지 냉각한다.
본 발명에 따른 이 활물질은 활물질 E라고 지칭된다.
2. 양극(positive electrodes)의 제조
활물질 A, B 및 C로부터, 각각 EN-A, EN-B, 및 EN-C로 명명된 3개의 양극들을 제조하였다. 양극들 EN-A 및 EN-B는 비교 전극이다. 양극 EN-C는 본 발명에 따른 전극이다.
양극 EN-A는, 공기에 노출되지 않은 채 오븐으로부터 글로브 박스 내로 곧바로 옮겨진 활물질 A의 80 wt%와, SuperP® 카본 블랙 20 wt%를 혼합함으로써 만들어 지는데, 그 다음 이 혼합물은 SPEX 8000M 믹서를 사용하여 15 분 동안 분쇄된다.
다른 양극들 EN-B 및 EN-C는, 활물질 B 및 C 각각의 80 wt%와, SuperP® 카본 블랙 20 wt%를 혼합함으로써 만들어 지는데, 그 다음, 이 혼합물은 양극 EN-A와 동일한 방식으로 분쇄된다. 활물질 A와 동일한 방식으로, 활물질 B 및 C는 공기에 노출되지 않은 채 퍼니스로부터 글러브 박스 내로 곧바로 옮겨졌다.
3. 전기화학적 반쪽 전지의 조립
그 다음, 각각 양극 EN-A 및 EN-C를 포함하는 3개의 전기화학적 반쪽 전지들을 제조하였다. 반쪽 전지들은 각각 CE-A, CE-B, 및 CE-C로 명명된다.
전기화학적 반쪽 전지들은 직경 12 mm의 Swagelok® 커넥터로 이루어진 장치를 사용하여 글로브 박스 내에서 조립된다. 각각의 반쪽 전지는 세퍼레이터, 음극, 및 전해질을 포함한다.
3.1 반쪽 전지 CE-A의 조립
양극
그 다음, 분말 형태의 전극 EN-A 6 mg을 반쪽 전지 CE-A에 배치된 알루미늄 플런저(plunger) 상에 뿌린다.
세퍼레이터
CAT No. 1823-070® 유리 마이크로파이버 세퍼레이터들의 3개의 층들은 충전 및 방전 사이클들 동안 양극과 음극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는 데 사용된다. 이 세퍼레이터들은 12 mm의 직경 및 675 마이크론의 두께로 절단된다.
음극
10 mm 직경의 펠릿들이 소듐 금속의 시트로부터 절단된다. 그 다음, 생성된 펠릿은 스테인리스강 집전체에 압착된다. 그 다음, 이 집전체를 반쪽 전지 내의 세퍼레이터 멤브레인 상에 배치한다.
전해질
사용된 전해질은 프로필렌 카보네이트에 용해된 1 M NaPF6으로 이루어진 용액이다.
3.2 반쪽 전지 CE-B 및 CE-C의 조립
양극
그 다음, 분말 형태의 EN-B 및 EN-C 전극들 각각의 6 mg을 각각 반쪽 전지들 CE-B 및 CE-C에 배치된 알루미늄 플런저 상에 뿌린다.
세퍼레이터들, 음극들 및 전해질들은 반쪽 전지 CE-A에서 사용된 것들과 동일하다.
II. 전기 기술 시험(Electrotechnical tests)
1. 비교 반쪽 전지 CE-A
정전류 사이클링을 C/8의 사이클링 속도로 BioLogic 사이클러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반쪽 전지 CE-A의 용량을 도 1과 같이 4.3 V 내지 1.5V 범위의 전압에서 사이클 회수에 따라 측정하였다. 용량 추세는 곡선 A에서 볼 수 있다. 이 활물질의 충전 및 방전 전위창은 문헌 『“P2-type Nax[Fe1/2Mn1/2]O2 made from earth-abundant elements for rechargeable Na batteries”, N. Yabuuchi et al., Nature Materials, 11, 512-517 (2012)』에서 설명된 것과 같다.
따라서, 충전 및 방전 사이클들에 따라 용량 저하가 관찰될 수 있다. 약 145 mAh.g-1의 용량이 20 사이클 후에 측정되고, 약 106 mAh.g-1의 용량이 40 사이클 후에 측정된다.
2. 비교 반쪽 전지 CE-B
정전류 사이클링을 C/8의 사이클링 속도로 BioLogic 사이클러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반쪽 전지 CE-B의 용량은 도 1과 같이 3.8 V 내지 2.0 V 범위의 전압에서 사이클 회수에 따라 측정되었다. 용량의 추세는 곡선 B에서 볼 수 있다. 이 활물질의 충전 및 방전 전위창은 문헌 『“Electrochemical Properties of Monoclinic NaMnO2”, X. Ma, H. Chen, G. Ceder, J. Electrochem. Soc., 158, A1307 (2011)』에서 설명된 것과 같다.
따라서, 충전 및 방전 사이클들에 따라 매우 빠른 용량 저하가 관찰될 수 있다. 실제로, 단지 20회의 충전 및 방전 사이클들 후에 측정된 용량은, 동일한 사이클 회수 후, 즉 20회의 사이클들 후, 반쪽 전지 CE-A의 용량보다 이미 더 낮으며, 대략 120 mAh.g-1이다.
3. 본 발명에 따른 반쪽 전지 CE-C
정전류 사이클링을 C/8의 사이클링 속도로 BioLogic 사이클러를 사용하여 수행하였다. 반쪽 전지 CE-C의 용량은 도 1과 같이 4.5 V 내지 1.5 V 범위의 전압에서 사이클 회수에 따라 측정되었다. 용량 추세는 곡선 C에서 볼 수 있다.
따라서, 약 170 mAh.g-1의 용량이 20 사이클들 후에 측정되고, 40 사이클들 후에는 약 173 mAh.g-1이 측정된다.
반쪽 전지 CE-A 및 CE-B의 용량과 비교하여, 본 발명에 따른 반쪽 전지 CE-C의 용량은 충전 및 방전 사이클들에 걸쳐 더 높고 더 안정적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활물질을 포함하는 반쪽 전지의 용량이 개선된다.
또한, 반쪽 전지 CE-C의 평균 전위가 도 2와 같이 사이클 회수에 따라 측정되었다. 평균 전위 추세는 곡선 C1에서 볼 수 있다.
반쪽 전지 CE-C의 평균 전위는 반복적인 충전 및 방전 사이클들에 의해 저하되지 않아 안정적임을 분명히 알 수 있다.
실시예 2
I. 활물질의 합성
활물질들 A, B 및 C는 실시예 1에서 상기 기술된 바와 같은 합성 방법에 따라 합성된다.
II. 습도에 대한 민감도 평가
1. 비교 활물질 A
합성 후, 활물질 A는 도 3(곡선 A1)에 표시된 것처럼 회절도(diffractogram)를 통해 특성분석된다.
활물질 A는 또한, 도 3(곡선 A2)에 표시된 것처럼 물로 세척한 후 회절도를 통해 특성분석되었다. 활물질 A를 30 분 동안 분말 100 mg 대 물 10 mL의 비율로 물로 세척한 후 80 ℃에서 밤새 진공 건조하였다.
이 활물질 A는 습도에 매우 민감한 것으로 관찰되었다. 실제로 두 회절도는 겹치지 않는다. 도 3에서 # 기호로 표시된 차이점들이 두 회절도 사이에서 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구조적 변화들을 나타낸다.
2. 비교 활물질 B
합성 후, 활물질 B는 도 4(곡선 B1)에 표시된 것처럼 회절도를 통해 특성분석된다.
활물질 B 또한, 도 4(곡선 B2)에 표시된 대로 활물질 A에 대해 설명한 것과 동일한 프로토콜에 따라 물로 세척한 후 회절도를 통해 특성분석되었다.
또한, 관찰된 바에 따르면, 이 활물질 B는 습도에 매우 민감하며, 재료 A보다 훨씬 더 민감하다. 실제로, 두 회절도는 전혀 겹치지 않는다. 실제로, 두 회절도 간에 많은 차이들을 볼 수 있으며, 그에 따라, 구조적 변화들을 나타낸다.
3. 본 발명에 따른 활물질 C
합성 후, 활물질 C는 도 5(곡선 C2)에 표시된 것처럼 회절도를 통해 특성분석된다.
활물질 C 또한, 도 5(곡선 C3)에 표시된 대로 활물질 A에 대해 설명한 것과 동일한 프로토콜에 따라 물로 세척한 후 회절도를 통해 특성분석되었다.
분명하게 관찰된 바와 같이, 이 활물질은 습도에 민감하지 않다. 실제로, 두 회절도들은 겹친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활물질은 선행 기술의 활물질과 비교하여 습도에 대한 향상된 안정성을 갖는다.
실시예 3
I. 리튬 이온 전기화학적 반쪽 전지의 제조
본 발명에 따른 활물질 C 및 양극을 실시예 1에서 앞에서 언급한 방법에 따라 제조하였다.
반쪽 전지는 직경 12 mm의 Swagelok® 커넥터로 이루어진 장치를 사용하여 글로브 박스에서 조립된다. 반쪽 전지는 세퍼레이터, 음극 및 전해질로 구성된다.
양극
그 다음, 분말 형태의 양극 6 mg을 반쪽 전지에 배치된 알루미늄 플런저 상에 뿌린다.
세퍼레이터
CAT No. 1823-070® 유리 마이크로파이버 세퍼레이터들의 두개의 층들은 충전 및 방전 사이클들 동안 양극과 음극 사이의 단락을 방지하는 데 사용된다. 이 세퍼레이터들은 12 mm의 직경과 675 마이크론의 두께로 절단된다.
음극
직경 10 mm의 펠릿들이 리튬 금속 시트로부터 절단된다. 그 다음, 생성된 펠릿은 스테인리스강 집전체에 압착된다. 그 다음, 이 집전체를 반쪽 전지의 세퍼레이터 멤브레인 상에 배치한다.
전해질
사용된 전해질은 에틸렌 카보네이트와 디메틸 카보네이트의 50/50 부피 혼합물에 용해된 1 M LiPF6으로 이루어진 용액을 포함한다.
II. 전기화학 시험
2 V 내지 4.8 V 범위의 전압에서 다수의 충전 및 방전 사이클들을 적용하는 것을 포함하는 사이클링 방법을 C/10의 사이클링 속도로 수행하였다.
반쪽 전지 전압이 도 6(곡선 C4)과 같이 용량에 따라 측정되었다.
따라서, 반쪽 전지의 용량은 반복적인 충전 및 방전 사이클들에서 안정적임을 알 수 있다.
반쪽 전지의 용량은 충전 및 방전 사이클들을 반복해도 저하되지 않는다.
따라서, 본 발명에 따른 활물질 C는 적합한 전기화학적 거동을 갖는 리튬 이온 배터리용 활물질이 될 수 있다.

Claims (12)

  1. 하기 화학식 (I)을 갖는 양극 활물질(positive electrode active material):
    NaxLiyMn1-yO2 (I),
    여기서:
    - x는 0.8 내지 1 범위의 수이고;
    - y는 0보다 엄밀하게(strictly) 크고 1/3 이하인 수이다.
  2. 제 1 항에 있어서, y는 0.1 내지 1/3의 범위이고, 바람직하게는 0.2 내지 1/3의 범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1/3인, 양극 활물질.
  3. 제 1 항 또는 제 2 항에 있어서, x는 0.9 내지 1의 범위이고, 더욱 바람직하게는 x는 1인, 양극 활물질.
  4.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양극 활물질의 제조 방법으로서, 다음 단계들을 포함하는 제조 방법:
    (a) 적어도 하나의 전이 금속 염 또는 전이 금속들 염을 적어도 하나의 리튬 전구체 및 적어도 하나의 소듐 전구체와 혼합하는 단계;
    (b) 단계 (a)에서 얻어진 혼합물을 500 ℃ 내지 900 ℃ 범위의 온도까지 가열하는 단계; 및
    (c) 상기 양극 활물질을 회수하는 단계.
  5. 제 1 항 내지 제 3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양극 활물질을 포함하는 양극(positive electrode).
  6. 제 5 항에 있어서, 적어도 하나의 전도성 화합물을 더 포함하는 양극.
  7. 제 6 항에 있어서, 상기 전도성 화합물은 금속 입자, 탄소, 및 이들의 혼합물로부터 선택되고, 바람직하게는 탄소인, 양극.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탄소는 흑연, 카본 블랙, 탄소 섬유, 탄소 나노와이어, 탄소 나노튜브, 또는 탄소 나노구의 형태이고, 바람직하게는 카본 블랙의 형태인, 양극.
  9.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양극, 음극, 세퍼레이터,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소듐 이온 배터리 셀.
  10. 제 9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소듐 이온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소듐-이온 배터리.
  11. 제 5 항 내지 제 8 항 중 어느 한 항에 따른 양극, 음극, 세퍼레이터, 및 전해질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 셀.
  12. 제 11 항에 따른 적어도 하나의 리튬 이온 배터리 셀을 포함하는 리튬 이온 배터리.
KR1020227022982A 2019-12-06 2020-12-04 양극 활물질 KR20220113449A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FR1913905A FR3104150B1 (fr) 2019-12-06 2019-12-06 Matériau actif d’électrode positive
FR1913905 2019-12-06
PCT/FR2020/052278 WO2021111087A1 (fr) 2019-12-06 2020-12-04 Materiau actif d'electrode positive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449A true KR20220113449A (ko) 2022-08-12

Family

ID=70613877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27022982A KR20220113449A (ko) 2019-12-06 2020-12-04 양극 활물질

Country Status (6)

Country Link
EP (1) EP4069642A1 (ko)
JP (1) JP2023505236A (ko)
KR (1) KR20220113449A (ko)
CN (1) CN114929626A (ko)
FR (1) FR3104150B1 (ko)
WO (1) WO2021111087A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CN116504953B (zh) * 2023-06-28 2023-11-17 宁德时代新能源科技股份有限公司 正极活性材料及制备方法、正极极片、电池以及用电设备

Family Cites Familie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US8557438B2 (en) * 2010-08-25 2013-10-15 Uchicago Argonne, Llc Electrode materials for rechargeable battery
GB2503898A (en) 2012-07-10 2014-01-15 Faradion Ltd Nickel doped compound for use as an electrode material in energy storage devices
EP2962346B1 (en) * 2013-02-27 2018-06-13 Umicore Doped sodium manganese oxide cathode material for sodium ion batteries
US20160218363A1 (en) * 2013-09-09 2016-07-28 The Regents Of The University Of California Lithium and sodium containing layered oxide material, cathodes and sodium ion electrochemical cells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FR3104150A1 (fr) 2021-06-11
WO2021111087A1 (fr) 2021-06-10
FR3104150B1 (fr) 2022-06-17
EP4069642A1 (fr) 2022-10-12
CN114929626A (zh) 2022-08-19
JP2023505236A (ja) 2023-02-08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7468224B2 (en) Battery having improved positive electrode and method of manufacturing the same
CN106797022B (zh) 钾离子二次电池或钾离子电容器
TWI429132B (zh) 具有高比容量及優異循環之層層富含鋰的複合金屬氧化物
US8999579B2 (en) Surface treated anode active material and method of making the same, anode including the same, and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same
KR101754800B1 (ko) 양극, 그 제조방법 및 이를 채용한 리튬전지
JP5308675B2 (ja) 電池に最適な陽極物質、その製造方法、電極、及び該方法を実施するためのバッテリー
JP2008034368A (ja) 負極活物質としてTiO2−Bを含むリチウムイオン蓄電池
EP2575199A1 (en) Lithium-ion secondary battery
JP2017520892A (ja) リチウム電池用正極
JP5073504B2 (ja) 少なくとも一種の遷移金属を含有するリチウムベースの酸化物を修飾する方法、当該酸化物を含む正極、及びリチウム二次電池
CN102792509A (zh) 锂离子二次电池
US10522869B2 (en) Battery, battery pack, and uninterruptible power supply
US20150017524A1 (en) Electrode active material for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method for preparing the same, electrode including the same, and rechargeable lithium battery including the electrode
KR101666796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이의 제조 방법,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이차 전지
EP0810681B1 (en)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KR20220113449A (ko) 양극 활물질
CN111316484B (zh) 高电压正电极材料以及包括它的阴极和锂离子电池和电池组
KR101439630B1 (ko) 리튬이온 이차전지용 양극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이온 이차전지
KR102452938B1 (ko) 리튬 금속 전지용 전해질 및 이를 포함하는 리튬 금속 전지
JP2005519426A (ja) アノードとして炭素質材料と炭化モリブデンとを有する電気化学電池
JP6715209B2 (ja) リチウム空気二次電池
KR100378012B1 (ko) 리튬 이차 전지용 양극 활물질 조성물 및 이 조성물을이용하여 제조된 리튬 이차 전지
US10153486B2 (en) Positive electrode material, positive electrode for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and non-aqueous electrolyte secondary battery
CN114586194B (zh) 锂离子电池以及用于制造锂离子电池的方法
KR20210116433A (ko) 소듐 이온 배터리용 양극 활물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