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3139A - 언어 학습 시스템 및 학습 방법 - Google Patents

언어 학습 시스템 및 학습 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3139A
KR20220113139A KR1020210016952A KR20210016952A KR20220113139A KR 20220113139 A KR20220113139 A KR 20220113139A KR 1020210016952 A KR1020210016952 A KR 1020210016952A KR 20210016952 A KR20210016952 A KR 20210016952A KR 20220113139 A KR20220113139 A KR 2022011313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learning
information
language
unit
display uni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95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유경춘
박나예
권보미
박용필
황순호
김길중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교원
주식회사 플레이탱고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교원, 주식회사 플레이탱고 filed Critical 주식회사 교원
Priority to KR1020210016952A priority Critical patent/KR20220113139A/ko
Publication of KR2022011313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3139A/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09B19/06Foreign languag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13/00Interconnection of, or transfer of information or other signals between, memories, input/output devices or central processing units
    • G06F13/38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 G06F13/382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 G06F13/385Information transfer, e.g. on bus using universal interface adapter for adaptation of a particular data processing system to different peripheral device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14Digital output to display device ; Cooperation and interconnection of the display device with other functional unit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2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visual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e.g. using film strip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7/00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 G09B7/02Electrically-operated teaching apparatus or devices working with questions and answers of the type wherein the student is expected to construct an answer to the question which is presented or wherein the machine gives an answer to the question presented by a student

Abstract

본 발명은 학습자가 디지털 활동과 교구 활동을 병행하며 창의적으로 언어를 학습할 수 있는 언어 학습 시스템 및 학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하여, 언어 학습에 대한 학습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부재 및 상기 학습 부재와 연결 가능하며, 상기 학습 부재로부터 상기 학습 정보를 취득하는 교구 유닛 및 상기 교구 유닛과 무선 환경을 통해 연동되며, 상기 교구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학습 정보에 대한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언어 학습 시스템 및 학습 방법{LEARNING SYSTEM AND METHOD FOR LANGUAGE}
본 발명은 언어 학습 시스템 및 학습 방법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학습자에게 언어를 학습시키는 언어 학습 시스템 및 학습 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모국어 교육은 유아기부터 학습하기 시작하며, 사람의 삶에 꼭 필요한 지식이기 때문에 배움에 대한 인식이 긍정적으로 시작해야 한다. 특히, 집중력이 약한 유아기에 대부분의 학습이 이루어짐에 따라 지속적인 흥미를 유발하고, 다양한 컨텐츠를 제공하여 배움에 대한 즐거움을 느끼게 해야 한다.
이러한 모국어 교육 방법은 이미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37260호(유아교육용 한글 학습교재, 1998.11.21.)"에 의해 공개되어 있다. 상기 등록고안은 유아에게 모국어를 학습시키기 위한 것으로, 체계적이고 흥미로운 학습교재를 제공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다만, 아날로그적 모국어 학습법은 한정된 콘텐츠로 인해 학습자의 흥미를 지속적으로 유발하지 못하고, 모국어를 익히는데 많은 시간이 소요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이에, 학습자가 참여할 수 있는 디지털 방식의 모국어 학습법이 개발되어 있으나, 단순 암기 방식으로 교육을 진행하여 학습자의 교육 효율이 저하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대한민국 등록실용신안공보 제0137260호(유아교육용 한글 학습교재, 1998.11.21.)
본 발명의 목적은 학습자가 디지털 활동과 교구 활동을 병행하며 창의적으로 언어를 학습할 수 있는 언어 학습 시스템 및 학습 방법을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학습 시스템은 언어 학습에 대한 학습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부재 및 상기 학습 부재와 연결 가능하며, 상기 학습 부재로부터 상기 학습 정보를 취득하는 교구 유닛 및 상기 교구 유닛과 무선 환경을 통해 연동되며, 상기 교구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학습 정보에 대한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한다.
상기 학습 부재는 상기 교구 유닛에 삽입 가능하며 일영역에 마련된 인식코드를 통해 상기 교구 유닛이 상기 학습 정보를 취득하도록 하는 학습 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학습 카드는 일면에 텍스트 정보 및 이미지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인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서는 상기 텍스트 정보 및 상기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의미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의미 정보는 동영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서는 상기 의미 정보가 출력되기 이전에 상기 학습 정보에 대한 문제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학습 부재는 상기 문제에 대한 답변으로 상기 교구 유닛에 안착되는 학습 블록을 포함하며, 상기 학습 블록은 복수 개로 마련되며 각각이 상기 언어에 대한 문자 기호로 마련되는 언어 블록을 포함하고, 상기 교구 유닛은 상기 학습 블록을 센싱하여 상기 답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학습 부재는 상기 교구 유닛에 지지 가능하며 일영역에 마련된 인식코드를 통해 상기 교구 유닛이 상기 학습 정보를 취득하도록 하는 학습 보드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학습 보드는 일면에 텍스트 정보 및 이미지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인쇄되고,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서는 상기 텍스트 정보 및 상기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의미 정보가 출력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서는 상기 의미 정보가 출력되기 이전에 상기 학습 정보에 대한 문제가 출력되고, 상기 학습 부재는 상기 문제에 대한 답변으로 상기 교구 유닛의 상부에 지지된 상기 학습 보드에 안착되는 표식 블록을 더 포함할 수 있다.
상기 교구 유닛은 상기 학습 보드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표식 블록을 센싱하여 상기 답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전달할 수 있다.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학습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언어 학습에 대한 문제를 출력하고, 상기 학습 부재는 상기 문제에 대한 답변으로 상기 교구 유닛에 안착되는 학습 블록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학습 블록은 하부로 연장된 삽입 돌출부를 포함하고, 상기 교구 유닛은 상부면에 상기 삽입 돌출부가 선택적으로 삽입 가능한 복수 개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학습 블록의 형태 및 종류를 인식할 수 있다.
상기 교구 유닛은 상부면에 복수 개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학습 블록이 상부에 안착될 때에 음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학습 블록의 형태 및 종류를 인식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학습 방법은 언어 학습에 대한 학습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부재를 교구 유닛에 삽입하는 단계 및 상기 교구 유닛이 상기 학습 부재로부터 학습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 및 상기 교구 유닛과 무선 환경을 통해 연동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상기 학습 정보에 대한 콘텐츠가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한다.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학습 시스템 및 학습 방법은 다양한 학습자 참여형 콘텐츠를 제공하여 모국어를 빠르게 습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학습 시스템 및 학습 방법은 디지털 활동과 교구의 병행 학습으로 모국어 습득 과정에서 창의력을 향상시키고, 지속적인 흥미 유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이상과 같은 본 발명의 기술적 효과는 이상에서 언급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당업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고,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 시스템의 학습 방법을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 시스템의 제1 콘텐츠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 시스템의 제2 콘텐츠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 시스템의 제3 콘텐츠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 시스템의 제4 콘텐츠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 시스템의 제5 콘텐츠를 나타낸 개념도이고,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 시스템의 제6 콘텐츠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그러나 본 실시예는 이하에서 개시되는 실시예에 한정되는 것이 아니라 서로 다양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으며, 단지 본 실시예는 본 발명의 개시가 완전하도록 하며,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발명의 범주를 완전하게 알려주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도면에서의 요소의 형상 등은 보다 명확한 설명을 위하여 과장되게 표현된 부분이 있을 수 있으며, 도면 상에서 동일 부호로 표시된 요소는 동일 요소를 의미한다.
도 1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 블록도이고, 도 2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 시스템을 개략적으로 나타낸 구성도이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 시스템(1000, 이하, 학습 시스템이라 칭한다.)은 디스플레이 유닛(100), 학습 부재(200) 및 교구 유닛(300)을 포함하여, 학습자에게 언어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한다. 다만, 이하에서는 학습 언어를 한글로 설명하나,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학습 시스템(1000)은 영어, 중국어 및 일본어 등의 언어 학습에 적용될 수 있음을 앞서 밝혀둔다.
한편,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컴퓨터, 노트북, 태블릿 PC 및 스마트폰 등으로 마련될 수 있으며, 디스플레이 유닛(100)의 종류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인터넷 환경을 통해 서버로부터 콘텐츠를 제공받아 출력하거나, 디스플레이 유닛(100) 내부에 저장된 콘텐츠를 출력하여 한글 학습이 이루어지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블루투스 방식 등의 무선 환경을 통해 교구 유닛(300)과 연동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교구 유닛(300)으로부터 학습 정보를 제공받아 학습상태를 판별하고 화면을 통해 피드백 정보를 출력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교구 유닛(300)으로부터 제공되는 정보를 기반으로 학습자 정보 및 학습 상태를 저장하여 학습 관리 및 이력 관리 등이 가능할 수 있다.
그리고 학습 부재(200)는 학습 카드(210), 학습 보드(220) 및 학습 블록(230)을 포함할 수 있다.
학습 카드(210)는 학습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인쇄된다. 이러한 학습 카드(210)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재질은 한정하지 않는다. 학습 카드(210)는 교구 유닛(300)에 삽입 가능한 형태로 마련되며, 일측에 바코드 또는 인식코드 등이 마련되어 교구 유닛(300)에 삽입될 때에, 학습자가 선택한 학습 콘텐츠를 학습 시스템(1000)에 인지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학습 보드(220)는 학습 카드(210)와 마찬가지로 학습 콘텐츠에 대한 정보가 인쇄된다. 학습 보드(220)는 종이 또는 플라스틱 재질로 마련될 수 있으나, 재질은 한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학습 보드(220)는 플레이트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며, 교구 유닛(300)에 삽입 가능하도록 마련된다. 그리고 학습 보드(220)에는 학습자가 선택한 학습 콘텐츠를 입력하기 위한 바코드 또는 인식코드 등이 마련될 수 있다.
학습 블록(230)은 복수 개로 마련되며, 언어 블록(231) 및 표식 블록(232)을 포함할 수 있다.
언어 블록(231)은 교구 유닛(300)에 연결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언어 블록(231)은 복수 개로 마련되며 한글 교육을 위해 자음 및 모음을 포함하는 다양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학습 언어가 영어일 경우에 복수 개의 언어 블록(231)은 알파벳 형태로 마련될 수 있고, 다른 나라의 언어일 경우에 해당 문자의 기호일 수 있다.
그리고 표식 블록(232)은 교구 유닛(300)에 연결 가능한 형태로 마련될 수 있다. 다만, 본 실시예에서는 표식 블록(232)이 사각형 형태로 마련되는 것을 도시하고 있다. 그러나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표식 블록(232)의 형태는 한정하지 않는다.
이러한 학습 블록(230)의 하부면에는 삽입 돌출부(미도시)가 형성될 수 있다. 삽입 돌출부는 교구 유닛(300)의 삽입홈(310)에 삽입되는 형태로 교구 유닛(300)과 연결될 수 있다. 이에, 교구 유닛(300)은 복수 개의 삽입홈(310)에 선택적으로 연결된 삽입 돌출부에 따라 학습 블록(230)의 종류를 인지할 수 있다. 다만, 이는 본 실시예를 설명하기 위한 것으로 학습 블록(230)에는 삽입 돌출부가 배제될 수 있다. 이때, 교구 유닛(300)은 학습 블록(230)이 삽입홈(310) 상측에 위치할 때에, 음영정보를 기반으로 학습 블록(230)의 종류 및 형태를 인식할 수 있다.
이러한 교구 유닛(300)은 보드 형태로 마련될 수 있으나, 교구 유닛(300)의 형태는 한정하지 않는다. 교구 유닛(300)은 무선 환경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00)과 연동된다. 이러한 교구 유닛(300)의 상부면에는 복수 개의 삽입홈(310)이 배열된 학습 영역(300a)이 형성된다. 이에, 교구 유닛(300)은 학습 영역(300a) 상부에 위치한 학습 블록(230)을 인식하여, 인식된 정보를 디스플레이 유닛(100)으로 전달할 수 있다.
그리고 교구 유닛(300)의 상부면에는 교구 유닛(300)을 제어하기 위하여, 다양한 스위치가 마련될 수 있다. 그리고 교구 유닛(300)의 일측부에는 학습 카드(210)가 삽입되는 제1 삽입부(320)가 마련되고 학습 영역(300a)의 둘레에는 학습 보드(220)가 삽입 가능한 제2 삽입부(330)가 형성된다.
이에, 학습 시스템(1000)은 디스플레이 유닛(100), 학습 부재(200) 및 교구 유닛(300)을 이용하여 학습자가 디지털 활동과 교구 활동을 병행하며 한글을 학습하도록 할 수 있다.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학습 시스템(1000)을 이용한 학습 방법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상술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3 및 도 4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 시스템의 학습 방법을 나타낸 학습 개념도이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학습 시스템(1000)의 학습 방법을 살펴보면, 먼저 학습자는 디스플레이 유닛(100)과 교구 유닛(300)의 전원을 켜고, 디스플레이 유닛(100)을 이용하여 학습 콘텐츠를 호출한다.
그리고 학습자는 디스플레이 유닛(100)과 교구 유닛(300)을 인접 배치하여 무선 환경을 통해 디스플레이 유닛(100)과 교구 유닛(300)이 자동으로 연동되도록 한다. 이후, 디스플레이 유닛(100)에서는 연동을 알리는 아이콘이 출력되고, 교구 유닛(300)은 연결 완료 사운드와 함께 LED를 발광하여 연결을 통지한다. 만약, 자동 연결에 실패할 경우에, 학습자는 디스플레이 유닛(100)을 제어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00)과 교구 유닛(300)이 수동 연결되도록 할 수 있다.
한편, 디스플레이 유닛(100)과 교구 유닛(300)의 연동이 완료되면, 학습자는 원하는 학습 카드(210)를 제1 삽입부(320)에 삽입한다. 이때, 교구 유닛(300)은 삽입된 학습 카드(210)를 인식하여 해당 정보를 디스플레이 유닛(100)으로 전달하고, 디스플레이 유닛(100)에서는 학습 카드(210)에 대응되는 학습 콘텐츠, 예컨대 낱말이 출력될 수 있다.
이후, 학습자는 디스플레이 유닛(100)에서 출력되는 낱말을 보며, 언어 블록(231)을 교구 유닛(300)의 학습 영역(300a)에 조합한다. 즉, 학습자는 자음 및 모음을 조합하여 디스플레이 유닛(100)에서 출력되는 단어와 동일한 단어를 학습 영역(300a)에 구성한다. 그리고 학습자가 교구 유닛(300)에 마련된 스위치(S)를 선택하면, 교구 유닛(300)은 학습자가 조합한 언어 블록(231)의 형태를 디스플레이 유닛(100)으로 전달한다. 이때,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정답 또는 오답을 판단하여 판단결과를 화면으로 출력하고, 후속 학습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후속 학습 콘텐츠의 제공에서는 학습자가 학습 보드(220)를 제2 삽입부(330)에 끼워 학습 영역(300a)의 상부에 학습 보드(220)를 고정시킨다. 이에, 학습 시스템(1000)은 학습자가 학습하고자 하는 콘텐츠를 인식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 유닛(100)에서는 학습 보드(220)에 관련된 교육 콘텐츠가 출력된다. 예컨대, 여기서 출력되는 교육 콘텐츠는 언어 학습을 위한 선택 콘텐츠일 수 있다. 예컨대, 학습자는 디스플레이 유닛(100)에서 출력되는 콘텐츠를 보며, 학습 보드(220)에 인쇄된 다양한 이미지 중 정답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때, 학습 보드(220)에는 이미지 선택을 위한 삽입홀(221)이 형성된 상태이다. 이에, 학습자는 이미지에 인접하게 마련된 삽입홀(221)에 표식 블록(232)을 끼워 넣어 표식 블록(232)이 학습 영역(300a)의 삽입홈(310)에 삽입되도록 하는 것에 의해 이미지를 선택할 수 있다.
이후, 학습자는 교구 유닛(300)에 마련된 스위치를 선택하고, 교구 유닛(300)은 탑재된 표식 블록(232)에 대한 위치 정보를 디스플레이 유닛(100)으로 전달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유닛(100)은 학습자가 선택한 답변의 정답 또는 오답을 판단하여 판단결과를 학습자에게 전달하고 후속 콘텐츠를 제공할 수 있다.
한편, 이하에서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 시스템의 콘텐츠에 대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다만, 상술된 구성요소에 대해서는 상세한 설명을 생략하고 동일한 참조부호를 부여하여 설명하도록 한다.
도 5는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 시스템의 제1 학습 콘텐츠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학습 시스템(1000)에서는 제1 학습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다. 제1 학습 콘텐츠는 학습자에게 낱말의 의미를 학습하게 한다.
여기서, 학습 카드(210)의 전면에는 그림글자, 예컨대 낱말을 그림 형태로 나타낸 글자와, 해당 글자의 이미지가 인쇄된 상태일 수 있다. 그리고 학습 카드(210)의 후면에는 해당 낱말의 텍스트 정보가 인쇄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학습자가 학습 카드(210)를 교구 유닛(300)의 제1 삽입부(320)에 삽입하면, 디스플레이 유닛(100)에서는 학습 카드(210)의 그림글자와 동일한 그림글자가 출력될 수 있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유닛(100)에서는 해당 낱말에 대한 애니메이션이 출력되며 학습자에게 해당 낱말의 의미를 학습시킬 수 있다.
도 6은 본 실시예에 따른 언어 학습 시스템의 제2 학습 콘텐츠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학습 시스템(1000)에서는 제2 학습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다. 제2 학습 콘텐츠에서는 글자의 모양, 소리 및 획순을 학습하게 한다.
여기서, 학습 카드(210)의 전면에서는 학습하고자 하는 자음 또는 모음의 형태와, 이에 대응되는 그림글자가 인쇄된 상태일 수 있다. 여기서, 그림글자는 캐릭터가 글자 모양을 몸으로 따라 하는 이미지 일 수 있다. 그리고 학습 카드(210)의 후면에서는 자음 또는 모음의 형태와 획순 정보가 인쇄된 상태일 수 있다.
만약, 학습자가 'ㅏ'를 나타내는 학습 카드(210)를 제1 삽입부(320)에 삽입하면, 디스플레이 유닛(100)에서는 해당 모음의 형태가 출력된다. 즉, 디스플레이 유닛(100)에서는 'ㅏ'가 출력된다. 이때, 학습자는 해당 자음의 형태에 대응되는 언어 블록(231)을 교구 유닛(300)에 인식할 수 있다. 즉, 학습자는 'ㅏ' 형태의 언어 블록(231)을 교구 유닛(300)에 인식시킬 수 있다.
그리고 학습자가 교구 유닛(300)에 마련된 스위치(S)를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유닛(100)에서는 정답 유무를 판단하여 판단결과를 화면을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유닛(100)에서는 해당 글자의 소리와 획순에 대한 콘텐츠가 출력되고 글자 모양을 몸으로 따라 하는 복습 영상이 출력된다.
도 7은 본 실시예에 따른 모국어 학습 시스템의 제3 학습 콘텐츠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학습 시스템(1000)에서는 제3 학습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다. 제3 학습 콘텐츠에서는 낱말의 의미 및 낱말을 구성하는 글자를 학습하게 한다. 여기서, 학습 카드(210)의 전면에는 낱말의 텍스트 정보와 이미지가 인쇄된 상태일 수 있다.
이에, 학습자가 학습 카드(210)를 교구 유닛(300)의 제1 삽입부(320)에 삽입하면, 디스플레이 유닛(100)에서는 해당 낱말의 형태가 출력된다. 이에, 학습자는 해당 낱말에 대응되도록 언어 블록(231)을 조합하여 언어 블록(231)이 교구 유닛(300)에 인식되도록 한다.
그리고 학습자가 교구 유닛(300)에 마련된 스위치(S)를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유닛(100)에서는 정답 유무를 판단하여 판단결과를 화면을 통해 출력할 수 있다. 이후, 디스플레이 유닛(100)에서는 해당 낱말의 의미를 나타내는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
도 8은 본 실시예에 따른 모국어 학습 시스템의 제4 학습 콘텐츠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학습 시스템(1000)에서는 제4 학습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다. 제4 콘텐츠에서는 주제별 여러 낱말의 의미와 모양을 복습하게 한다.
여기서, 학습자는 제4 콘텐츠에 관련된 학습 보드(220)를 제2 삽입부(330)에 삽입하여 학습 보드(220)를 학습 영역(300a)에 고정시킨다. 이에, 디스플레이 유닛(100)에서는 선택 콘텐츠가 출력된다.
예컨대, 먼저 학습 보드(220)에는 다양한 이미지가 인쇄된 상태일 수 있고, 각각의 이미지에 인접하도록 삽입홀(221)이 형성될 수 있다. 이에, 디스플레이 유닛(100)에서 학습 보드(220)에 인쇄된 복수 개의 이미지 중 하나를 선택하는 선택 콘텐츠가 출력되면, 학습자는 복수 개의 이미지 중 어느 하나를 선택하여 선택된 삽입홀(221)에 표식 블록(232)을 삽입한다. 이때, 표식 블록(232)은 학습 영역(300a)의 삽입홈(310)에 삽입된다.
그리고 학습자가 교구 유닛(300)에 마련된 스위치(S)를 선택하면, 디스플레이 유닛(100)에서는 정답 유무를 판단하여 판단결과를 화면을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유닛(100)에서는 해당 이미지의 의미를 나타내는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
도 9는 본 실시예에 따른 모국어 학습 시스템의 제5 학습 콘텐츠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9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학습 시스템(1000)에서는 제5 학습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다. 제5 학습 콘텐츠에서는 서로 다른 글자의 소리와 모양을 구분하는 학습을 수행하게 한다.
여기서, 학습자는 제5 콘텐츠에 관련된 학습 보드(220)를 제2 삽입부(330)에 삽입하여 학습 보드(220)를 학습 영역(300a)에 고정시킨다. 그리고 학습자는 학습 보드(220)와 디스플레이 유닛(100)에서 주어진 완성되지 않은 글자를 보고, 해당 글자를 완성하기 위해 빈칸에 들어갈 언어 블록(231)을 선택하여 해당 글자를 완성할 수 있다.
보다 구체적으로, 글자는 낱자와 낱자가 모여 완성되며 낱말은 글자들이 모여 완성된다. 이에, 제5 학습 콘텐츠 학습에서는 완성되지 않은 글자, 예컨대 빈칸에 자음 또는 모음을 위치해야 완성되는 글자가 나타난다. 이와 함께 해당 글자를 완성하기 위한 추가 정보가 나타날 수 있다.
예를 들어, 완성되지 않은 글자는 "ㅇ"으로 나타날 수 있고 학습자는 모음을 선택하여 글자를 완성할 수 있다. 이때, 학습자는 글자를 완성하기 위한 추가 정보를 확인하며 글자를 완성할 수 있다. 만약, 해당 추가 정보가 "기", "침", "버지" 등을 나타낸다면, 학습자는 "ㅏ"를 선택하여 "아"를 완성할 수 있다.
이와 같이, 학습자는 글자의 빈칸에 해당하는 언어 블록(231)을 학습 영역(300a)에 인식시킨 이후에 교구 유닛(300)에 마련된 스위치(S)를 선택하게 되고, 디스플레이 유닛(100)에서는 정답 유무를 판단하여 판단결과를 화면을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유닛(100)에서는 해당 낱말의 의미를 학습하기 위한 콘텐츠가 출력될 수 있다.
도 10은 본 실시예에 따른 모국어 학습 시스템의 제6 학습 콘텐츠를 나타낸 개념도이다.
도 10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실시예에 따른 학습 시스템(1000)에서는 제6 학습 콘텐츠를 수행할 수 있다. 제6 학습 콘텐츠에서는 자음자와 모음자를 조합하여 글자를 완성할 수 있다. 여기서, 학습자는 제6 학습 콘텐츠에 관련된 학습 보드(220)를 제2 삽입부(330)에 삽입하여 학습 보드(220)를 학습 영역(300a)에 고정한다.
그리고 학습자는 학습 보드(220)와 디스플레이 유닛(100)에서 주어진 완성되지 않은 글자를 보고 해당 글자를 완성하기 위해 학습 보드(220)에 인쇄된 자음 및 모음을 선택한다. 이때, 자음 및 모음의 선택에서는 낱말을 완성하기 위한 추가 정보를 참고할 수 있다. 만약, 해당 정보가 "기", "침", "버지" 등의 정보를 나타낸다면, 학습자는 학습 보드에 인쇄된 "ㅇ"과 "ㅏ"의 위치에 표식 블록(232)을 삽입한다.
이와 같이, 학습자는 선택된 자음 및 모음에 표식 블록(232)을 삽입하여 학습 영역(300a)에 인식시킨 이후에 교구 유닛(300)에 마련된 스위치(S)를 선택하게 된다. 이에, 디스플레이 유닛(100)에서는 정답 유무를 판단하여 판단결과를 화면을 통해 출력한다. 그리고 디스플레이 유닛(100)에서는 해당 낱말이 나타내는 의미를 확인할 수 있다.
이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언어 학습 시스템 및 학습 방법은 다양한 학습자 참여형 콘텐츠를 제공하여 모국어를 빠르게 습득할 수 있는 효과가 있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모국어 학습 시스템 및 학습 방법은 디지털 활동과 교구의 병행 학습으로 모국어 습득 과정에서 창의력을 향상시키고, 지속적인 흥미 유발이 가능한 효과가 있다.
앞에서 설명되고, 도면에 도시된 본 발명의 일 실시예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한정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보호범위는 청구범위에 기재된 사항에 의하여만 제한되고, 본 발명의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는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다양한 형태로 개량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따라서 이러한 개량 및 변경은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자명한 것인 한 본 발명의 보호범위에 속하게 될 것이다.

Claims (14)

  1. 언어 학습에 대한 학습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부재;상기 학습 부재와 연결 가능하며, 상기 학습 부재로부터 상기 학습 정보를 취득하는 교구 유닛; 및상기 교구 유닛과 무선 환경을 통해 연동되며, 상기 교구 유닛으로부터 제공되는 학습 정보에 대한 콘텐츠를 출력하는 디스플레이 유닛을 포함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2. 제1 항에 있어서,상기 학습 부재는상기 교구 유닛에 삽입 가능하며 일영역에 마련된 인식코드를 통해 상기 교구 유닛이 상기 학습 정보를 취득하도록 하는 학습 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3. 제2 항에 있어서,상기 학습 카드는일면에 텍스트 정보 및 이미지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인쇄되고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서는상기 텍스트 정보 및 상기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의미 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4. 제3 항에 있어서,상기 의미 정보는동영상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5. 제3 항에 있어서,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서는상기 의미 정보가 출력되기 이전에 상기 학습 정보에 대한 문제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6. 제5 항에 있어서,상기 학습 부재는상기 문제에 대한 답변으로 상기 교구 유닛에 안착되는 학습 블록을 포함하며,상기 학습 블록은복수 개로 마련되며 각각이 상기 언어에 대한 문자 기호로 마련되는 언어 블록을 포함하고,상기 교구 유닛은 상기 학습 블록을 센싱하여 상기 답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7. 제1 항에 있어서,상기 학습 부재는상기 교구 유닛에 지지 가능하며 일영역에 마련된 인식코드를 통해 상기 교구 유닛이 상기 학습 정보를 취득하도록 하는 학습 보드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8. 제7 항에 있어서,상기 학습 보드는일면에 텍스트 정보 및 이미지 정보 중 어느 하나가 인쇄되고,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서는상기 텍스트 정보 및 상기 이미지 정보 중 적어도 어느 하나의 의미 정보가 출력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9. 제8 항에 있어서,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에서는상기 의미 정보가 출력되기 이전에 상기 학습 정보에 대한 문제가 출력되고,상기 학습 부재는상기 문제에 대한 답변으로 상기 교구 유닛의 상부에 지지된 상기 학습 보드에 안착되는 표식 블록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10. 제9 항에 있어서,상기 교구 유닛은 상기 학습 보드에 형성된 홀을 통해 상기 표식 블록을 센싱하여 상기 답변에 대한 정보를 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으로 전달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11. 제1 항에 있어서,상기 디스플레이 유닛은 상기 학습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언어 학습에 대한 문제를 출력하고,상기 학습 부재는상기 문제에 대한 답변으로 상기 교구 유닛에 안착되는 학습 블록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12. 제11 항에 있어서,상기 학습 블록은하부로 연장된 삽입 돌출부를 포함하고,상기 교구 유닛은상부면에 상기 삽입 돌출부가 선택적으로 삽입 가능한 복수 개의 삽입홈이 형성되어 상기 학습 블록의 형태 및 종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13. 제11 항에 있어서,상기 교구 유닛은상부면에 복수 개의 삽입홈이 형성되며 상기 학습 블록이 상부에 안착될 때에 음영 정보를 기반으로 상기 학습 블록의 형태 및 종류를 인식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언어 학습 시스템.
  14. 언어 학습에 대한 학습 정보를 포함하는 학습 부재를 교구 유닛에 삽입하는 단계; 상기 교구 유닛이 상기 학습 부재로부터 학습 정보를 취득하는 단계;상기 교구 유닛과 무선 환경을 통해 연동되는 디스플레이 유닛에서 상기 학습 정보에 대한 콘텐츠가 출력되는 단계를 포함하는 언어 학습 방법.
KR1020210016952A 2021-02-05 2021-02-05 언어 학습 시스템 및 학습 방법 KR20220113139A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952A KR20220113139A (ko) 2021-02-05 2021-02-05 언어 학습 시스템 및 학습 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952A KR20220113139A (ko) 2021-02-05 2021-02-05 언어 학습 시스템 및 학습 방법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139A true KR20220113139A (ko) 2022-08-12

Family

ID=8280383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952A KR20220113139A (ko) 2021-02-05 2021-02-05 언어 학습 시스템 및 학습 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20220113139A (ko)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7260B1 (ko) 1993-06-16 1998-05-15 김광호 음성신호편집기능을 갖는 비데오테이프레코더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0137260B1 (ko) 1993-06-16 1998-05-15 김광호 음성신호편집기능을 갖는 비데오테이프레코더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0578431C (zh) 用来把用户笔迹和用户可写单元相关联的方法和设备
US20210248919A1 (en) Interactive phonics game system and method
US20080131852A1 (en) Systems and methods for teaching proper letter and character formation
JP6963302B2 (ja) 漢字学習装置
US20110300516A1 (en) Tactile Tile Vocalization
US20180197433A1 (en) Device and method for teaching phonics using a touch detecting interface
US7318195B2 (en) System and method for integrating tactile language with the visual alphanumeric characters
JP2019507913A (ja) 教育玩具シミュレータ
KR101017598B1 (ko) 증강 현실을 이용한 한글 교습 시스템 및 한글 정보 제공 방법
KR102218012B1 (ko) 큐브 블록을 이용한 학습 시스템
Honig Teaching our children to read: The components of an effective, comprehensive reading program
JP3230975U (ja) フォニックス学習支援具
CN105917293B (zh) 使用物体与语言元素交互的系统和方法
US20030162153A1 (en)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writing
KR102428745B1 (ko) 코딩 토이를 이용한 학습 시스템
KR20220113139A (ko) 언어 학습 시스템 및 학습 방법
CN112384961A (zh) 符号操纵教育系统和方法
KR20170094633A (ko) 성조 컬러표시 장치 및 방법
CN114613206A (zh) 面向读写障碍儿童的多感官语言拼读学习智能装置
KR100469305B1 (ko) 문자학습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
US20060147883A1 (en) Method for teaching typing
KR100294034B1 (ko) 문자의 획순학습장치 및 그 학습방법
RU2662139C1 (ru) Устройство для обучения рельефно-точечному шрифту Брайля слепых и слабовидящих детей
KR20190085570A (ko) 시각장애인용 점자 교육 시스템 및 방법
US20100120003A1 (en) Holistic Approach to Learning to Type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601 Decision to refuse applic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