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0469305B1 - 문자학습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 - Google Patents

문자학습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0469305B1
KR100469305B1 KR10-2002-0009569A KR20020009569A KR100469305B1 KR 100469305 B1 KR100469305 B1 KR 100469305B1 KR 20020009569 A KR20020009569 A KR 20020009569A KR 100469305 B1 KR100469305 B1 KR 100469305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character
text
input board
input
character input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02-000956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20020040697A (ko
Inventor
최석천
Original Assignee
최석천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최석천 filed Critical 최석천
Priority to KR10-2002-000956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0469305B1/ko
Publication of KR20020040697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020040697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0469305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0469305B1/ko

Link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5/00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 G09B5/06Electrically-operated educational appliances with both visual and audible presentation of the material to be studied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3Arrangements for converting the position or the displacement of a member into a coded form
    • G06F3/033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 G06F3/0354Pointing devices displaced or positioned by the user, e.g. mice, trackballs, pens or joysticks; Accessories therefor with detection of 2D relative movements between the device, or an operating part thereof, and a plane or surface, e.g. 2D mice, trackballs, pens or pucks
    • G06F3/03545Pens or styl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Electrically Operated Instructional Devic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유아나 아동 및 문맹자들을 대상으로 한 문자 학습시 사용 가능한 문자학습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자자형 가이드 홈이 형성된 문자입력패널과, 상기 문자입력패널에 문자가 입력됨을 감지하는 입력감지패널을 구비한 문자입력보드를 착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문자입력보드를 통하여 입력된 문자를 음성으로 출력하고, 화상으로 그 문자를 표시하며, 그 문자의 쓰임을 화면에 표시하는 문자학습기를 제공하며, 문자학습기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보드 장착부에 상기 문자입력보드가 삽입됨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삽입된 문자입력보드의 종류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삽입된 문자입력보드로부터의 문자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문자에 해당하는 화상을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문자에 해당하는 음성을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학습기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을 제공한다. .

Description

문자학습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METHOD FOR LEARNING CHARACTERS AND THEREFOR MACHINERY FOR LEARNING CHARACTERS}
본 발명은 유아나 아동 및 문맹자들을 대상으로 한 문자 학습시 사용 가능한 문자학습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에 관한 것으로, 특히 문자자형 가이드 홈이 형성된 문자입력패널과, 상기 문자입력패널에 문자가 입력됨을 감지하는 입력감지패널을 구비한 문자입력보드를 착탈 가능하도록 함으로써, 상기 문자입력보드를 통하여 입력된 문자를 음성으로 출력하고, 화상으로 그 문자를 표시하며, 그 문자의 쓰임을 화면에 표시하는 문자학습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문자를 배우기 시작하는 유아나 아동들을 위한 문자학습서는 연필 등의 필기구를 이용하여 인쇄되어 있는 문자 위를 겹쳐서 따라 쓰게 하거나 인쇄문자 하단의 공란을 인쇄문자를 보면서 따라 그리면서 채우는 방법이 널리 사용되고 있다.
또한 이러한 인쇄된 문자를 따라 베끼거나 그리는 방법은 문자를 처음 배우기 시작하는 유아나 아동들에게는 매우 힘이 들뿐만 아니라, 의미는 같지만 전혀 모양새가 맞지 않은 문자를 익히게 될 우려가 있다. 뿐만 아니라 따라쓰기를 하는 유아나 아동들이 쉽게 싫증을 느끼게 되어 학습능률이 떨어지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으므로, 이를 극복하고자 문자자형을 쉽게 따라 쓸 수 있는 문자자형 가이드 홈을 형성한 문자자형 연습판이 발명되었다.
이에 따라 유아나 아동 및 문맹자들을 대상으로 한 문자 학습 시 유아나 아동 및 문맹자들이 용이하게 따라 쓸 수 있고, 따라쓰기를 수행 할 시 촉각 및 청각적으로 문자학습에 대한 흥미를 유발하여, 문자학습을 수행하는 과정에서 자연스럽게 올바른 자형을 익힐 수 있게 된다. 또한 휴대가 간편하고 일반 필기구 없이도 문자자형의 연습이 가능하다.
그러나, 상기 문자자형 가이드 홈을 형성한 문자자형 연습판은 학습 시 해당문자의 의미와 정확한 발음 및 올바른 획순을 교사 또는 보호자가 지속적으로 지도해 주어야 하므로, 실제로 학습하는 과정에서는 학습보조자가 필요한 비효율적인 면이 있다.
따라서 상기 유아나 아동 및 문맹자들이 보조자의 아무런 도움 없이 스스로 문자를 학습할 수 있는 문자학습교구가 요망됨에 따라 문자를 따라 쓰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해당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기술이 제공되었다.
그러나, 상기 문자를 따라 쓰는 경우, 이를 감지하여 해당 문자의 뜻을 음성으로 알려주는 문자학습교구는 음성 교습의 한계로 하여 그 학습효과가 단편적인 문제점이 있다. 즉, 학습의 주체가 되는 유아나 아동 및 문맹자들이 종래의 문자학습교구를 통하여 한글/영어/한자/도형 등의 모양을 따라 쓰고 그 이름을 익히는 경우, 문자입력보드의 공간적 제약으로, 그 의미와 쓰임을 학습할 수 없다. 따라서 지속적으로 향상된 학습내용을 제공하는데 한계가 있다. 또한 한글뿐만 아니라 영어/한자/도형 등 다양한 문자들을 익히기 위해서는 각각의 문자학습기가 필요한 불편함이 있다.
한편 컴퓨터 등을 통하여 다양한 문자학습 교육 프로그램이 제공되고 있으나, 그 가격이 매우 비쌀 뿐 아니라, 처음 문자를 접하는 유아나 아동 및 문맹자들이 사용하기에는 그 내용이 너무 다양하고 복잡한 단점이 있다.
따라서, 상기한 문제점을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목적은 유아나 아동 및문맹자들을 대상으로 한 문자 학습 시 보조자의 아무런 도움 없이 문자를 지속적으로 학습할 수 있는 문자학습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유아나 아동이 따라쓰기를 수행 할 시 시각 및 청각적으로 문자학습효과를 향상시킬 수 있는 문자학습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본 발명의 또 다른 목적은 다양한 문자를 하나의 문자학습기에서 배울 수 있도록 문자입력보드의 교환이 자유로운 문자학습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문자학습기의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학습기의 내부 블록 구성도,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학습기에 사용되는 문자입력보드의 사시도,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학습기에 사용되는 문자입력보드의 상세 구조도,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학습기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화면을 보인 도면,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학습기의 문자입력패널에 음각으로 형성된 문자자형 가이드 홈의 상세도,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학습기의 문자입력패널에 양각으로 형성된 문자자형 가이드 홈의 상세도,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학습기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을 보인 제어 흐름도.
< 도면의 주요 부분에 대한 부호의 설명 >
10: 모니터 20: 문자입력보드
22: 문자입력패널 24: 발광패널
26: 입력감지패널 28: 문자입력보드 접속핀
30: 스피커 40: 문자학습기 서브바디
50: 잠금버튼 60: 펜꽂이 홈
70: 문자입력보드 착탈버튼 80: 문자입력보드 장착부
90: 펜 100: 문자학습기
102: 제어부 104: 음성처리부
106: 모니터 구동부 108: 메모리부
110: 전원부 112: 발광부
200: 음각된 가이드 홈 202: 음각 가이드 홈의 내부돌기
300: 양각된 가이드 홈 302: 양각 가이드 돌기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문자자형 가이드 홈이 형성된 문자입력패널과, 상기 문자입력패널에 문자가 입력됨을 감지하는 입력감지패널을 포함하는 문자입력보드를 구비하는 문자학습기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보드를 장착하고, 상기 문자입력보드로부터 입력 감지한 문자를 전자신호로 변환하는 문자입력보드 장착부와, 상기 문자입력보드 장착부로부터 수신된 전자신호에 따라 해당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문자입력보드 장착부로부터 수신된 전자신호에 따라 해당 문자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모니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학습기를 제공한다.
이때 상기 문자입력보드 장착부는 상기 문자입력보드를 착탈식으로 교체 가능하며, 상기 문자입력패널에 형성된 상기 문자자형 가이드 홈을 따라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문자자형 가이드 홈을 따라 상기 문자의 형태로 빛을 점등하는 발광패널을 더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한 본 발명은 문자자형 가이드 홈이 형성된 문자입력패널 및 상기 문자입력패널에 문자가 입력됨을 감지하는 입력감지패널을 포함하는 문자입력보드와, 상기 문자입력보드를 장착하여 상기 문자입력보드로부터 입력 감지한 문자를 전자신호로 변환하는 문자입력보드 장착부와, 상기 문자입력보드 장착부로부터 수신된 전자신호에 따라 해당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문자입력보드 장착부로부터 수신된 전자신호에 따라 해당 문자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모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문자학습기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보드 장착부에 상기 문자입력보드가 삽입됨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삽입된 문자입력보드의 종류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삽입된 문자입력보드로부터의 문자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문자에 해당하는 화상을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문자에 해당하는 음성을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학습기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을 제공한다.
이때 상기 문자입력보드로부터 문자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문자위치의 발광체를 점등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문자를 디스플레이 한 후, 상기 감지된 문자와 관련한 어휘와 그림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가진다.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를 첨부한 도면을 참조하여 상세히 설명한다. 우선 각 도면의 구성 요소들에 참조부호를 부가함에 있어서, 동일한 구성 요소들에 한해서는 비록 다른 도면상에 표시되더라도 가능한 한 동일한 부호를 가지도록 하고 있음에 유의해야 한다. 그리고 본 발명의 요지를 불필요하게 흐릴 수 있다고 판단되는 공지 기능 및 구성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 예에 따른 문자학습기의 사시도로서,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입력보드(20)가 장착되는 문자학습기(100) 본체와, 상기 문자입력보드(20)에 입력되는 문자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모니터(10)가 설치된 문자학습기 서브바디(40)로 이루어진다.
본 발명에 따른 문자학습기(100)는 문자학습기(100)본체에 문자입력보드(20)를 착탈할 수 있는 문자입력보드 장착부(80)를 구비하고, 문자학습기(100) 측면의 문장입력보드 교체용 홈을 통하여 상기 문자입력보드(20)를 장착한다. 상기 문자입력보드(20)는 도 1에 도시된 바와 같이 한글, 영어, 한문, 도형 등의 문자에 대하여 양각 또는 음각으로 가이드 홈을 형성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학습기에 사용되는 문자입력보드의 사시도이고,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학습기에 사용되는 문자입력보드의 상세 구조도이다.
이를 참조하여 상기 문자입력보드(20)를 상세히 설명하면, 상기 문자입력보드(20)는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면에 각종 문자가 음각 또는 양각의 가이드 홈을 따라 형성된 문자입력패널(22)와, 사용자가 문자 입력 시 가하는 압력 또는 터치에 의해 해당 위치에 빛을 점등하는 발광패널(24) 및 사용자의 문자 입력을 감지하는 입력감지패널(26)로 구성된다.
이를 좀 더 상세히 설명하면,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입력패널(22)에 형성한 각 문자에는 사용자의 문자입력에 대응하여 가압센서 또는 터치센서의 역할을 수행하는 상기 발광패널(24) 및 상기 입력감지패널(26)이 설치된다. 따라서 사용자의 상기 문자입력패널(22)을 통한 문자입력에 대응하여 상기 발광패널(24)의 해당 위치가 점등되고, 상기 입력감지패널(26)로부터 발생한 입력감지 신호가 문자입력보드 접속핀(28)을 통해 문자입력보드 장착부(80)로 전송된다.
한편 상기 문자입력보드(20)의 일측에 상기 문자입력패널(22)의 문자자형 가이드 홈을 따라 익힌 표준자형을 즉시 자유롭게 써 볼 수 있는 터치패널을 구비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문자입력보드(20)을 터치패널로 구현하여 사용자가 상기 문자입력보드(20) 전체에 대하여 자유로운 판서가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문자입력보드(20)에 PC(Personal Computer)와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부를 구비토록 하여, 상기 문자입력보드(20)를 상기 PC의 데이터 입력장치 중 문자입력장치로서 활용할 수도 있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상기 문자입력보드(20)가 연결된 PC를 통하여 본 발명에 따른 문자학습을 효과적으로 수행할 수 있다.
한편 상기 문자학습기(100)는 사용자의 상기 문자입력보드(20)를 통한 문자입력에 대응하여 이를 음성으로 출력할 수 있는 스피커(30)를 일측 적소에 구비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문자학습기(100)는 각종 문자입력보드(20)를 간편하고 용이하게 착탈하여 교체할 수 있도록 문자입력보드 착탈버튼(70)을 구비하며, 상기문자학습기(100)의 일측에 펜꽂이 홈(60)을 형성하여 상기 문자입력보드(20)에 문자를 입력할 펜(90)모양의 입력장치를 수납할 수 있다. 또한 휴대 시, 편의를 위하여 상기 문자학습기 서브바디(40)를 상기 문자학습기(100)의 몸체와 잠글 수 있는 잠금버튼(50)을 구비한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학습기의 내부 블록 구성도로서, 문자학습기(100)는 제어부(102), 음성처리부(104), 모니터 구동부(106), 메모리부(108), 전원부(110), 발광부(112) 및 스피커(30), 모니터(10), 문자입력보드 장착부(80)로 구성된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문자입력보드 장착부(80)는 문자입력보드(20)를 장착하고, 상기 문자입력보드(20)로부터 입력 감지한 문자를 전자신호로 변환한다. 상기 문자입력보드 장착부(80)는 상기 문자입력보드(20)가 착탈식으로 장착되므로, 각종 문자입력보드(20)의 교체 시 매우 편리하다.
상기 발광부(112)는 상기 문자입력보드(20)를 통한 사용자의 문자입력에 대응하여 입력이 감지된 위치의 문자 가이드 홈에 LED등의 발광체를 점등토록 하여 사용자에게 시각적인 문자학습 효과를 제공한다.
상기 음성처리부(104)는 상기 문자입력보드(20)를 통한 문자입력 시, 상기 문자입력보드 장착부(80)를 통하여 입력된 전자신호에 따라 해당 문자의 음성신호를 상기 스피커(30)로 전송한다.
상기 모니터 구동부(106)는 상기 문자입력보드(20)를 통한 문자입력 시, 상기 문자입력보드 장착부(80)를 통하여 입력된 전자신호에 따라 해당 문자의 화상신호를 상기 모니터(10)로 전송한다. 뿐만 아니라 상기 모니터 구동부(106)는 상기 문자입력보드 장착부(80)를 통해 감지된 문자와 관련한 어휘와 그림을 디스플레이하도록 상기 모니터(10)를 구동한다. 상기 메모리부(108)는 본 발명에 따른 문자학습기(100)의 동작을 전반적으로 수행할 수 있는 프로그램을 저장하며, 특히 본 발명에 따른 상기 각종 문자입력보드(20)에 형성된 문자와 관련한 어휘와 그림 및 문자를 따라쓰는 과정에서 획순이 틀린 경우, 이를 교정해 주는 음성 데이터를 저장한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학습기의 모니터에 표시되는 화면을 보인 도면으로서, 도 5의 (a)에 도시된 화면은 사용자가 한글 문자입력보드(20)를 상기 문자학습기에 장착하여 'ㅎ'을 입력한 경우, 상기 모니터(10)에 표시된 화상의 일 예를 보인 것이다.
도 5의 (a)는 'ㅎ'이 사용된 어휘와 함께 의미를 전달하기 위해 어휘가 뜻하는 대상을 그림으로 보여준다. (b)는 영어 문자입력보드(20)를 상기 문자학습기(100)에 장착하여 사용하는 경우, 'D' 및 'd'가 사용된 어휘와 함께 그 의미를 그림으로 보여준 것이다.
도 5의 (c)는 한자 문자입력보드(20)를 상기 문자학습기(100)에 장착하여 사용한 일 예로서, '國'의 상세한 뜻과 함께 사용된 어휘를 보여준다.
상기 도 2의 전원부(110)는 상기 문자학습기(100)에 전원을 공급하며, 입력기(90)는 사용자가 문자입력 시 사용할 수 있도록 한 펜 형태의 끝이 뾰족한 기구이다.
도 6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학습기의 문자입력패널에 음각으로 형성된 문자자형 가이드 홈의 상세도이고, 도 7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학습기의 문자입력패널에 양각으로 형성된 문자자형 가이드 홈의 상세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문자입력패널(22)은 문자자형 가이드 홈(200)을 형성하여 일반 필기구가 없이도 문자자형의 연습이 가능하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문자자형을 음각으로 형성한 문자자형 가이드 홈(200)의 내부에는 다수개의 돌기(202)가 형성되어 사용자가 필기구 형태의 뾰족한 기구를 사용하여 문자연습을 수행할 시 필기감을 제공한다.
이에 따라 입력감지패널(26)이 상기 돌기(202)를 긁는 필기 동작에 따라 그 필기 순서를 용이하게 감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문자입력패널(22)은 문자자형 가이드 홈(300) 내부에 형성된 다수의 돌기(302)가 양각으로 형성되어, 손끝으로도 문자학습이 가능하므로 시각 장애인도 본 발명에 따라 문자학습이 가능하다.
상기 내부돌기(202, 302)를 따라 사용자의 문자입력이 이루어지면 발광패널(24)은 이를 감지하여 입력이 이루어진 문자부분에 빛을 점등한다. 또한 입력감지패널(26)이 문자입력을 감지하여 이를 문자입력보드 장착부(80)를 통하여 제어부(102)로 전달한다.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문자입력을 감지하면, 음성처리부(104)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을 상기 스피커(30)로 출력하토록 한다. 그리고 상기 문자입력 시, 입력획순이 올바르지 못하면, 입력획순을 바르게 교정해 주는교정음성을 출력하도록 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문자입력을 감지하면, 모니터 구동부(106)를 제어하여 상기 입력된 문자에 대응하는 문자를 상기 모니터(10)로 출력하도록 하고, 메모리부(108)에 저장되어 있는 상기 입력된 문자와 관련된 어휘 및 그림을 상기 모니터(10)로 출력하도록 한다.
이에 따라 사용자는 자신이 학습하고자 하는 글자를 따라쓰면서 문자자형 가이드 홈(200, 300)으로 필기감을 익히고, 발광부(112)로부터의 점등으로 시각적인 학습이 이루어진다. 이어, 자신이 따라쓰는 글자에 대한 정확한 발음을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성으로 익히고, 모니터를 통하여 자신이 따라 쓴 글자의 실제 쓰임과 함께 그림을 통하여 그 의미를 익히게 된다.
상기 스피커를 통하여 출력되는 음성은 그 횟수를 반복하여 학습효과를 높일 수 있으며, 상기 문자를 입력하는 문자입력보드(20)를 터치패널을 이용하여 이미 익힌 문자를 자유롭게 판서해 볼 수 있다.
도 8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문자학습기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을 보인 제어 흐름도로서, 이를 참조하여 문자학습기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을 상세히 설명한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문자학습방법은, 문자입력보드(20)와, 상기 문자입력보드(20)를 장착하여 상기 문자입력보드(20)로부터 입력 감지한 문자를 전자신호로 변환하는 문자입력보드 장착부(80)와, 상기 문자입력보드 장착부(80)로부터 수신된 전자신호에 따라 해당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30)와, 상기 문자입력보드 장착부(80)로부터 수신된 전자신호에 따라 해당 문자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모니터(10)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문자학습기를 이용한 것으로서, 우선 제어부(102)는 상기 문자입력보드 장착부(80)에 상기 문자입력보드(20)가 삽입됨을 감지한다.
이어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삽입된 문자입력보드(20)의 종류를 판별하여 한글, 영어, 한문, 도형 중 어떠한 문자입력보드(20)인지를 판별한다. 그리고 상기 삽입된 문자입력보드(20)로부터의 문자 입력을 감지하고, 문자의 입력이 감지되면 해당하는 문자의 화상을 상기 모니터(10)에 디스플레이 한다. 그리고 상기 감지된 문자를 디스플레이 한 후, 상기 감지된 문자와 관련한 어휘와 그림을 상기 모니터(10)에 디스플레이한다.
또한,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감지된 문자에 해당하는 음성을 상기 스피커(30)로 출력토록 상기 음성처리부(104)를 제어한다.
한편, 상기 제어부(102)는 상기 문자입력보드로부터 문자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발광부(112)를 제어하여 상기 감지된 문자위치의 발광체를 점등한다.
한편 본 발명의 일실시 예에서는 한글 자음을 가이드 홈으로 형성한 문자학습기(100)를 도시하였으나, 상기 본 발명의 문자학습기(100)는 한글 모음 및 한글 자모의 결합과, 영문 알파벳이나 한자의 기본획 및 기본 상용한자들을 동일한 방법으로 형성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유아나 아동 및 문맹자들은 문자를 따라 쓰기만을 통해 익혀야 했던 어려움을 해소하고, 따라쓰기를 연습하면서, 익힐 수 없었던 그 문자의 의미와쓰임을 학습할 수 있다.
한글뿐만 아니라 영어/한자/도형 등 다양한 문자들을 문자입력보드의 교체가 가능한 하나의 문자학습기를 사용함으로써 효율적이고, 향상된 학습내용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를 들어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그러므로 본 발명의 범위는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하는 특허청구의 범위뿐 아니라 이 특허청구의 범위와 균등한 것들에 의해 정해져야 한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은 유아나 아동 및 문맹자들을 대상으로 한 문자 학습 시 따라쓰기를 한 해당문자의 의미와 정확한 발음을 음성으로 출력함과 아울러, 화면에 그 의미와 쓰임을 표시하여 줌으로써 보조자의 아무런 도움 없이도 스스로 문자를 학습할 수 있으며 더욱 효율적이고, 향상된 학습내용을 지속적으로 제공할 수 있는 이점이 있다. 또한 문자자형을 음각 및 양각으로 형성하고 이를 따라 쓸 시, 음성으로 그 의미를 출력시켜 줌으로써 시각장애인의 문자학습을 가능케 하는 장점이 있다.
뿐만 아니라 휴대가 간편하고 일반 필기구 없이도 문자자형의 연습이 가능하므로 장소에 구애됨이 없이 문자자형을 익힐 수 있어 지속적인 학습효과가 있다.

Claims (7)

  1. 문자자형 가이드 홈이 형성된 문자입력패널과, 상기 문자입력패널에 문자가 입력됨을 감지하는 입력감지패널을 포함하는 문자입력보드를 구비하는 문자학습기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보드를 장착하고, 상기 문자입력보드로부터 입력 감지한 문자를 전자신호로 변환하는 문자입력보드 장착부와,
    상기 문자입력보드 장착부로부터 수신된 전자신호에 따라 해당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문자입력보드 장착부로부터 수신된 전자신호에 따라 해당 문자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모니터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학습기.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보드 장착부는,
    상기 문자입력보드를 착탈식으로 교체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학습기.
  3.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보드는,
    상기 문자입력패널에 형성된 상기 문자자형 가이드 홈을 따라 문자가 입력되면, 상기 문자자형 가이드 홈을 따라 상기 문자의 형태로 빛을 점등하는 발광패널을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학습기.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보드는,
    개인용컴퓨터와 데이터의 교환이 가능한 인터페이스부를 더 구비함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학습기.
  5. 문자자형 가이드 홈이 형성된 문자입력패널 및 상기 문자입력패널에 문자가 입력됨을 감지하는 입력감지패널을 포함하는 문자입력보드와, 상기 문자입력보드를 장착하여 상기 문자입력보드로부터 입력 감지한 문자를 전자신호로 변환하는 문자입력보드 장착부와, 상기 문자입력보드 장착부로부터 수신된 전자신호에 따라 해당 문자에 대응하는 음성을 출력하는 스피커와, 상기 문자입력보드 장착부로부터 수신된 전자신호에 따라 해당 문자에 대응하는 화상을 표시하는 모니터를 포함하여 이루어지는 문자학습기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보드 장착부에 상기 문자입력보드가 삽입됨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삽입된 문자입력보드의 종류를 판별하는 과정과,
    상기 삽입된 문자입력보드로부터의 문자 입력을 감지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문자에 해당하는 화상을 상기 모니터에 디스플레이 하는 과정과,
    상기 감지된 문자에 해당하는 음성을 상기 스피커로 출력하는 과정으로 이루어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학습기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
  6.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문자입력보드로부터 문자입력이 감지되면,
    상기 감지된 문자위치의 발광체를 점등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학습기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
  7.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감지된 문자를 디스플레이 한 후,
    상기 감지된 문자와 관련한 어휘와 그림을 디스플레이하는 과정을 더 가짐을 특징으로 하는 문자학습기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
KR10-2002-0009569A 2002-02-22 2002-02-22 문자학습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 KR100469305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569A KR100469305B1 (ko) 2002-02-22 2002-02-22 문자학습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02-0009569A KR100469305B1 (ko) 2002-02-22 2002-02-22 문자학습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

Related Child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2020020005437U Division KR200279399Y1 (ko) 2002-02-23 2002-02-23 문자학습기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697A KR20020040697A (ko) 2002-05-30
KR100469305B1 true KR100469305B1 (ko) 2005-02-02

Family

ID=1971941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02-0009569A KR100469305B1 (ko) 2002-02-22 2002-02-22 문자학습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0469305B1 (ko)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683B1 (ko) 2004-07-23 2006-05-30 곽영식 교육 및 오락 용구
KR100707300B1 (ko) * 2005-01-05 2007-04-17 김민한 유아용 문자학습기 및 그의 구동방법

Families Citing this famil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134036B1 (ko) 2009-12-21 2012-04-13 김민한 유아용 문자학습기
KR101146566B1 (ko) * 2010-10-14 2012-05-25 양동효 어학 학습기
KR101707537B1 (ko) * 2015-11-03 2017-02-16 김신우 영유아를 위한 문자학습방법, 이를 구현하기 위한 프로그램이 저장된 기록매체 및 이를 구현하기 위해 매체에 저장된 컴퓨터프로그램
CN106652591A (zh) * 2017-03-17 2017-05-10 马鞍山鑫霖电子科技有限公司 一种节能儿童学习机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461A (ko) * 1996-11-27 1998-08-17 김광호 그림책 인식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그림책
US5869789A (en) * 1997-01-27 1999-02-09 Educational Testing Service Image digitizer with page number detector and recorder
KR19990018235U (ko) * 1997-11-08 1999-06-05 김광희 전자 교습기구
KR19990080879A (ko) * 1998-04-23 1999-11-15 김광일 문자학습기
KR200178559Y1 (ko) * 1999-11-08 2000-04-15 주식회사모닝테크놀로지 음성이 함께 발생되는 글자의 생성과 쓰기 장치
KR20000056277A (ko) * 1999-02-11 2000-09-15 홍정선 문자의 획순학습장치 및 그 학습방법
KR200260654Y1 (ko) * 2001-09-13 2002-01-18 홍정선 유아용 문자학습장치

Patent Citations (7)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9980039461A (ko) * 1996-11-27 1998-08-17 김광호 그림책 인식장치 및 이에 사용되는 그림책
US5869789A (en) * 1997-01-27 1999-02-09 Educational Testing Service Image digitizer with page number detector and recorder
KR19990018235U (ko) * 1997-11-08 1999-06-05 김광희 전자 교습기구
KR19990080879A (ko) * 1998-04-23 1999-11-15 김광일 문자학습기
KR20000056277A (ko) * 1999-02-11 2000-09-15 홍정선 문자의 획순학습장치 및 그 학습방법
KR200178559Y1 (ko) * 1999-11-08 2000-04-15 주식회사모닝테크놀로지 음성이 함께 발생되는 글자의 생성과 쓰기 장치
KR200260654Y1 (ko) * 2001-09-13 2002-01-18 홍정선 유아용 문자학습장치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0584683B1 (ko) 2004-07-23 2006-05-30 곽영식 교육 및 오락 용구
KR100707300B1 (ko) * 2005-01-05 2007-04-17 김민한 유아용 문자학습기 및 그의 구동방법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020040697A (ko) 2002-05-30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5596698A (en) Method and apparatus for recognizing handwritten inputs in a computerized teaching system
Plimmer et al. Multimodal collaborative handwriting training for visually-impaired people
US11238752B2 (en) Phonics exploration toy
US10861347B2 (en) Device and method for teaching phonics using a touch detecting interface
US6535204B2 (en) Manuscript input data processing device
JP5307413B2 (ja) 文字練習教材
US20050125228A1 (en) Digital electronic correction pen with audio pronunciation and spell check capabilities, with built-in memory. Also calculation processing... thereof...
AU2022218635B2 (en) A smart interactive system for braille learning
KR100469305B1 (ko) 문자학습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
McCall Accessing the curriculum
KR101543189B1 (ko)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
KR200279399Y1 (ko) 문자학습기
JP2013174914A (ja) 文字練習教材
HU226347B1 (en) Computer system and method for teaching handwriting and reading
Mackenzie et al. Handwriting, keyboarding or both?
KR100881694B1 (ko) 무선신호를 이용한 범용 유아교육기기
KR20210013293A (ko) 기호 교구 교육 시스템 및 방법
KR200279397Y1 (ko) 문자학습판
Birns Review of literature on braille reading
CN214377019U (zh) 一种幼儿用多功能中文、韩语学习机
KR100491947B1 (ko) 문자학습장치
KR20080091318A (ko) 마그네틱 카드를 이용한 영어교육용 교구
Diah et al. Digital training tool framework for Jawi character formation
TWM592580U (zh) 圖像式發音標示系統
KR20180016195A (ko) 문자음성 변환기술을 이용한 한국어 자가학습 시스템 및 방법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G15R Request for early opening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