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543189B1 -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 - Google Patents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543189B1
KR101543189B1 KR1020140173812A KR20140173812A KR101543189B1 KR 101543189 B1 KR101543189 B1 KR 101543189B1 KR 1020140173812 A KR1020140173812 A KR 1020140173812A KR 20140173812 A KR20140173812 A KR 20140173812A KR 101543189 B1 KR101543189 B1 KR 101543189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spelling
plate
module
switch
scanning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40173812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한선경
Original Assignee
한선경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한선경 filed Critical 한선경
Priority to KR1020140173812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543189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543189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543189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 G09B21/04Devices for conversing with the deaf-blind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19/00Teaching not covered by other main groups of this subclass
    • GPHYSICS
    • G09EDUCATION; CRYPTOGRAPHY; DISPLAY; ADVERTISING; SEALS
    • G09BEDUCATIONAL OR DEMONSTRATION APPLIANCES; APPLIANCES FOR 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MODELS; PLANETARIA; GLOBES; MAPS; DIAGRAMS
    • G09B21/00Teaching, or communicating with, the blind, deaf or mute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Business, Economics & Management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Educational Administration (AREA)
  • Educational Technology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udiology, Speech & Language Pathology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Entrepreneurship & Innovation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복잡한 전자,기계적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철자들을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고 각 철자 그룹을 표시하고 있는 판의 배경 색을 달리하는 동시에 철자 그룹의 해당 철자들 간에도 색을 달리함으로써, 의사소통 시 소통의 속도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에 관한 것으로서,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은, 오감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감각을 통해 서로 구분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배경판의 일면에 오감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감각을 통해 서로 구분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철자가 형성되는 복수의 철자판과, 상기 철자판의 철자에 대한 스캐닝 과정에서 사용자의 철자 선택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철자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으며, 여기서 상기 철자판들은 상기 배경판의 색이 각기 다른 동시에 철자판별로 상기 철자의 색이 각기 다르거나, 상기 배경판의 재질이 각기 다른 동시에 철자판별로 상기 철자의 재질이 각기 다를 수 있다.

Description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Letter board for Augmentalive and Atternative Commnunication}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에 관한 것으로서, 예컨대, 복잡한 전자,기계적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며 철자들을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고 각 철자 그룹을 표시하고 있는 판의 배경 색을 달리하는 동시에 철자 그룹의 해당 철자들 간에도 색을 달리함으로써, 의사소통 시 소통의 속도 및 효율성을 향상시킬 수 있는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보완대체의사소통(Augmentalive and Atternative Commnunication, AAC)은 의사소통에 어려움이 있는 사람의 말을 다른 방법으로 ‘보완’하거나 ‘대신함’(대체)으로써 의사소통 능력을 높여주는 방법을 말한다. 예를 들어, 발음이 부정확하여 말 명료도가 낮거나 표현할 수 있는 어휘가 제한되어 있는 경우, 도구를 사용해서 전하고 싶은 바를 정확히 전달하는 경우가 ‘보완’적인 의사소통의 경우이고, 전혀 발화(發話)할 수 없거나 발성이 안되는 경우, 자신의 말을 대신하는 방법으로 의사소통 도구를 사용하는 경우가 ‘대체’적인 의사소통의 경우라 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보완대체의사소통에 사용되는 도구나 장치들은 기자재의 복잡성 정도에 따라 하이 테크놀로지(High technology)와 로우 테크놀로지(Low technology)로 나뉠 수 있다.
하이 테크놀로지로 분류되는 도구나 장치들은 컴퓨터, 멀티미디어 시스템이 사용되거나 비교적 복잡한 전자,기계적 장치가 포함된 형태로써, 다양한 기능을 가짐에 따라 가격 및 유지비가 비싸고, 또한 기능이 다양한 만큼 사용방법을 익히는데 시간이 걸리며, 의사소통을 하는 상대방도 사용방법을 일정 수준 숙지해야 원활한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다.
로우 테크놀로지로 분류되는 도구나 장치들은 비교적 단순한 장치들을 말하며, 가장 일반적인 형태로써, 그림을 판이나 공책에 붙여서 말을 못하는 아동이 해당 그림을 지적하여 의사소통을 하는 의사소통판이나 의사소통책을 들 수 있다.
그러나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위한 기존의 의사소통판은 그림 및 간단한 단어들을 통해 의사소통이 이루어지는 형태이므로, 의사소통의 가능 범위가 좁아 다양한 사용자들에게 범용적으로 적용되지 못하는 측면이 있었다.
즉, 사용자별로 많이 표현하는 의사 표시 내용이 다를 것이므로, 한 종류의 의사소통판이 다양한 사용자에게 공통으로 적용되면서 해당 사용자들의 의사 표시 내용을 원활하게 전달하는데 어려움이 따를 수 있다. 또한 사용자별로 의사소통에 어려움을 겪는 정도가 다르므로, 기존 단일의 의사소통판을 통해 의사 표시의 능력이 다른 사용자들 모두에게 원활한 의사소통 기능을 제공하기에는 무리가 따른다.
한국 등록특허 제10-0859379호(2008.09.22. 공고), “언어장애자 의사소통 지원시스템” 한국 등록특허 제10-1169249호(2012.08.06.공고), “장애인용 보완대체 의사소통 장치”
본 발명의 실시 예는 구어(말)를 통해 의사를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다양한 장애 정도의 장애인들이 표현하려는 의사를 철자 방식을 통해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고, 이렇게 의사 표현에 사용되는 구조가 복잡한 전자, 기계적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비교적 간단한 구조를 갖는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철자들을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 각 철자 그룹을 표시하고 있는 판의 배경 색을 달리하는 동시에 철자 그룹의 해당 철자들 간에도 색을 달리함으로써, 반복 사용의 과정에서 색을 매개로 철자의 종류를 구분하는 학습효과가 이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시력이 매우 나쁘거나 철자의 종류를 분별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사용자도 반복 사용 과정에서의 색 구분을 통한 철자 인지 효과를 통해 표현하려는 의사를 철자 방식을 통해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을 제공한다.
또한 본 발명의 실시 예는 눈깜박임, 눈동자 움직임 등의 눈움직임 또는 입꼬리 올리기, 입 벌리기나 닫기 등의 입술 움직임 등 사용자의 특정 제스처를 선택 동작으로 인식하는 과정을 통해 특정 철자들이 선택되면서 사용자의 표현하려는 의사가 철자 방식을 통해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손을 통한 기구 조작이 힘든 사용자들도 평소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제스처를 통해 특정 철자를 선택하면서 표현하려는 의사를 철자 방식을 통해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도록 하는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을 제공한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은, 오감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감각을 통해 서로 구분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배경판의 일면에 오감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감각을 통해 서로 구분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복수의 철자가 형성되는 복수의 철자판과, 상기 철자판의 철자에 대한 스캐닝 과정에서 사용자의 철자 선택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철자 선택부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철자판들은 상기 배경판의 색이 각기 다른 동시에 철자판별로 상기 철자의 색이 각기 다르거나, 상기 배경판의 재질이 각기 다른 동시에 철자판별로 상기 철자의 재질이 각기 다를 수 있다.
또한 상기 철자판은 상기 철자로써 서로 다른 자음이 형성되는 자음판 및 서로 다른 모음이 형성되는 모음판 그리고 서로 다른 숫자가 형성되는 숫자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모음판의 모음들은 천지인 방식의 문자 입력에 사용되는 모음들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음판에는 쌍자음이 있는 자음과 인접한 위치에 해당 자음이 쌍자음이 있음을 알리기 위한 쌍자음 존재사실 표시부가 형성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자음판의 자음은 해당 철자의 문법에 따른 순서대로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모음판의 모음은 해당 철자의 문법에 따른 순서대로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철자 선택부는 스캐닝 중인 철자들의 순차적 지시를 위한 스캐닝 전환 스위치 및 상기 철자판에 해당 철자별로 설치되고 상기 스캐닝 전환 스위치의 조작을 통한 신호 입력에 따라 점등되어 해당 철자가 지시되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조명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명모듈은 해당되는 상기 철자의 배면 쪽에서 빛을 방출하는 백라이트 방식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캐닝 전환 스위치는 상기 철자판과 구분되는 독립 형태의 조작몸체에 설치되는 형태이고, 상기 조작몸체에 설치된 상기 스캐닝 전환 스위치가 상기 조명모듈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형태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몸체는 상기 스캐닝 전환 스위치가 포함된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위한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스마트 단말기로 이루어져,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터치스크린의 화면상에 가상의 상기 스캐닝 전환 스위치가 표시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철자 선택부는 상기 철자판의 철자들에 대한 스캐닝을 시작하기 위한 스캐닝 시작 스위치 및 상기 철자판에 해당 철자별로 설치되어 순차적으로 점등되어 해당 철자가 지시되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조명모듈 그리고 상기 스캐닝 시작 스위치로부터의 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조명모듈이 순차적으로 점등 후 소등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조명모듈을 통해 현재 지시되고 있는 철자를 선택하기 위한 철자 선택 스위치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스캐닝 시작 스위치, 제어모듈, 철자 선택 스위치는 상기 철자판과 구분되는 독립 형태의 조작몸체에 설치되는 형태이고, 상기 조작몸체에 설치된 상기 철자 선택 스위치가 상기 조명모듈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거나 상기 제어부가 상기 조명모듈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형태인 것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작몸체는 상기 스캐닝 시작 스위치 및 철자 선택 스위치가 포함된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위한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스마트 단말기로 이루어져,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터치스크린의 화면상에 가상의 상기 스캐닝 시작 스위치 및 철자 선택 스위치가 표시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철자 선택부는 상기 철자판에 상기 철자별로 설치되어 해당 철자가 지시되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조명모듈 및 상기 조명모듈을 통해 스캐닝 되고 있는 상기 철자들 중 현재 지시되고 있는 철자의 선택을 위한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제스처 인식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제스처 인식모듈은 상기 조명모듈을 통해 지시되고 있는 철자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제스처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 및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제스처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 제스처 영상이 사전 설정된 철자 선택을 위한 제스처의 영상에 해당되는지 판별하는 제스처 판별모듈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복수의 철자판을 일체로 연결하는 베이스판을 더 포함할 수 있고, 상기 베이스판은 사용자 파지용의 손잡이를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베이스판은 상기 철자 선택부를 통해 선택되는 철자 및 선택된 철자들을 통해 형성되는 단어를 표시하기 위한 메모판을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메모판은 철자 및 단어를 수기로 적을 수 있는 화이트보드 또는 종이 형태이거나, 상기 철자 선택부를 통한 철자 선택 시 해당 신호의 입력을 통해 해당 철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면상에 수기 방식의 메모가 가능한 동시에 메모된 철자나 단어 또는 상기 철자 선택부의 철자 선택 시 신호에 따라 표시된 철자나 단어를 지우기 위한 삭제 스위치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의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철자판의 배경판별 및 철자별로 대응되는 의사소통판의 종류가 매핑되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및 상기 철자판의 배경판 또는 철자로부터의 신호 입력에 따라 해당 신호와 대응되는 상기 의사소통판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게 하는 제어부가 더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르면, 구어(말)를 통해 의사를 표현하는데 어려움을 겪는 다양한 장애 정도의 장애인들이 표현하려는 의사를 철자 방식을 통해 빠르고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고, 이렇게 의사 표현에 사용되는 구조가 복잡한 전자, 기계적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 비교적 간단한 구조로 이루어져 생산비용의 절감에 따른 비교적 저가의 제품 보급을 통해 보완대체의사소통을 하려는 다양한 사용자들이 비교적 부담없이 구입하여 사용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철자들을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 각 철자 그룹을 표시하고 있는 판의 배경 색을 달리하는 동시에 철자 그룹의 해당 철자들 간에도 색을 달리함으로써, 반복 사용의 과정에서 색을 매개로 철자의 종류를 구분하는 학습효과가 이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시력이 매우 나쁘거나 철자의 종류를 분별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사용자도 반복 사용 과정에서의 색 구분을 통한 철자 인지 효과를 통해 표현하려는 의사를 철자 방식을 통해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또한 눈깜박임, 눈동자 움직임 등의 눈움직임 또는 입꼬리 올리기, 입 벌리기나 닫기 등의 입술 움직임 등 사용자의 특정 제스처를 선택 동작으로 인식하는 과정을 통해 특정 철자들이 선택되면서 사용자의 표현하려는 의사가 철자 방식을 통해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손을 통한 기구 조작이 힘든 사용자들도 평소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제스처를 통해 특정 철자를 선택하면서 표현하려는 의사를 철자 방식을 통해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의 외형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의 전기적 구성을 보인 블록도
도 3 내지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의 사용 상태를 보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에서 전기적 구성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블록도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에서 전기적 구성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블록도
이하의 본 발명에 대한 상세한 설명들은 본 발명이 실시될 수 있는 실시 예이고 해당 실시 예에 대한 예시로써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한다. 이들 실시 예는 당업자가 본 발명을 실시하기에 충분하도록 상세히 설명된다. 본 발명의 다양한 실시 예는 서로 다르지만 상호 배타적일 필요는 없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예를 들어, 여기에 기재되어 있는 특정 형상, 구조 및 특성은 일 실시 예에 관련하여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다른 실시 예로 구현될 수 있다. 또한 각각의 기재된 실시 예 내의 개별 구성요소의 위치 또는 배치는 본 발명의 사상 및 범위를 벗어나지 않으면서 변경될 수 있음이 이해되어야 한다.
따라서 후술되는 상세한 설명은 한정적인 의미로서 취하려는 것이 아니며, 본 발명의 범위는 적절하게 설명된다면 그 청구항들이 주장하는 것과 균등한 모든 범위와 더불어 첨부된 청구항에 의해서만 한정된다. 도면에서 유사한 참조부호는 여러 측면에 걸쳐서 동일하거나 유사한 기능을 지칭한다.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본 발명에서의 기능을 고려하면서 가능한 현재 널리 사용되는 일반적인 용어들을 선택하였으나, 이는 당 분야에 종사하는 기술자의 의도 또는 판례, 새로운 기술의 출현 등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또한 특정한 경우는 출원인이 임의로 선정한 용어도 있으며, 이 경우 해당되는 발명의 설명 부분에서 상세히 그 의미를 기재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에서 사용되는 용어는 단순한 용어의 명칭이 아닌, 그 용어가 가지는 의미와 본 발명의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정의되어야 한다.
명세서 전체에서 어떤 부분이 어떤 구성요소를 “포함”한다고 할 때, 이는 특별히 반대되는 기재가 없는 한, 다른 구성요소를 제외하는 것이 아니라 다른 구성요소를 더 포함할 수 있음을 의미한다. 또한 명세서에 기재된 “...부”, “...모듈” 등의 용어는 적어도 하나의 기능이나 동작을 처리하는 단위를 의미하며, 이는 하드웨어 또는 소프트웨어로 구현되거나 하드웨어와 소프트웨어의 결합으로 구현될 수 있다.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을 설명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의 외형적인 구성을 보인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의 전기적 구성을 보인 블록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은 철자판(100) 및 철자 선택부(20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은 베이스판(600) 및 메모판(700)을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철자판(100)은 오감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감각을 통해 서로 구분될 수 있는 형태로 형성되는 배경판(110) 및 이러한 배경판(110)에 형성되되 오감 중 하나 또는 둘 이상의 감각을 통해 서로 구분될 수 있는 형태인 복수의 철자(120)를 포함하여 형성된다. 즉, 철자판(100)은 복수로 이루어져, 각각의 철자판(100)은 그 배경판(110)의 색상이나 재질을 달리하며, 또한 각 철자판(100)은 그 배경판(110)에 서로 다른 색상이나 재질을 갖는 철자들을 형성한 형태이다.
본 실시 예를 기준으로 설명하면, 철자판(100)은 다섯 개의 철자판(100)으로 형성되며, 첫 번째 철자판(100)에는 ‘ㄱ,ㄴ,ㄷ,ㄹ,ㅁ’의 5개 자음이 형성되고, 두 번째 철자판(100)에는 ‘ㅂ,ㅅ,ㅇ,ㅈ,ㅊ’의 5개 자음이 형성되며, 세 번째 철자판(300)에는 ‘ㅋ,ㅌ,ㅍ,ㅎ’의 4개 자음이 형성된다. 그리고 네 번째 철자판(100)에는 휴대폰 등의 문자 입력에서 사용되고 있는 천지인 방식의 모음들이 형성되며, 다섯 번째 철자판(100)에는 0부터 9까지의 숫자가 형성된다.
다시 말해, 철자판(100)은 각 배경판(110)의 일면에 자음철자를 형성하고 있는 복수의 자음판 및 배경판(110)의 일면에 모음철자를 형성하고 있는 모음판 그리고 배경판(110)의 일면에 숫자를 형성하고 있는 숫자판을 포함한다.
그리고 각각의 철자판(100)은 배경판(110)의 색이 상이하며, 또한 각 철자판(110)별로 그 배경판(110)에 형성된 자음, 모음, 또는 숫자의 색이 상이하다.
도면에서 철자판(100)에 서로 다른 방향의 빗금 및 점 등을 표시한 것은 각 철자판(100)의 배경판(110) 색상이 서로 다름을 예시한 것이고, 또한 도면에 표현하지 않았지만 각 철자판(110)별로 자음, 모음, 또는 숫자의 철자들이 서로 다른 색으로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상술한바 있으며, 도면에 철자판(100)의 철자들을 모두 검정색으로 도시한 것은 도시의 편의를 위한 것일 뿐임을 밝혀 둔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각 철자판(100)별로 배경판(110)의 철자(120)들이 흰색 바탕의 사각 블록 내에 형성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경판(110)의 전체에 배경 색이 있고 이에 따라 배경판(110)의 색 위에 철자(120)가 형성되는 형태여도 무방하다.
또한 본 실시 예에서는 배경판(110)에 흰색 바탕의 사각 블록들이 인쇄되고 이러한 흰색 바탕의 사각 블록별로 철자(120)가 인쇄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배경판(110)에 철자(120)가 탈부착 형태 또는 고정 형태로 결합되는 것일 수 있고, 철자(120)가 인쇄되는 판형의 블록이 인서트 사출을 통해 형성되는 배경판(110)과 일체로 형성되는 형태 등 다양한 형태로 변형 실시될 수 있다.
이렇게 철자판(100)의 배경판(110) 및 철자판(100)별 철자(120)들이 서로 다른 색을 가짐에 따라, 철자판(100)별 해당 철자(120)들의 종류를 시각적으로 보다 선명하게 확인할 수 있는 동시에 색을 매개로 한 기억 효과를 통해 색만을 보고도 해당 배경판(110) 및 철자(120)의 종류가 무엇인지 무의식적으로 인지할 수 있게 된다. 또한 철자판(100)의 배경판(110) 색을 통해 해당 철자판(100)에 어떠한 철자(120)들이 있는지를 먼저 예측하고, 이어서 해당 철자판(100) 내의 철자(120)별 색을 통해 해당 색의 철자 종류를 무의식 중에 인지할 수 있어, 보완대체의사소통에 필요한 시간이 크게 단축될 수 있다. 이에 더하여 시력이 좋지 못하거나 철자의 종류를 분별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사용자들도 반복 사용 과정에서 철자판(100)의 배경판(110)별 및 철자(120)별 색을 이용해 철자(120)들의 종류를 시각적으로 구분하는 감각이 발달되면서 철자판(100)별 철자(120) 종류를 비교적 쉽게 인지할 수 있게 된다.
한편, 시각 장애인들의 경우 색의 구분을 할 수 없으므로, 철자판(100)별 그 배경판(110)의 재질을 다르게 하는 동시에 각 철자판(100)별 형성되는 철자(120)들의 재질을 다르게 함으로써, 상술한 시각을 통한 기억 작용 및 그에 따른 보완대체의사소통의 속도 향상 등의 효과를 촉각을 통해 동일하게 구현 가능하다.
또한 철자판(100) 중 자음철자를 표시하고 있는 철자판(100), 다시 말해 자음판들에는 쌍자음이 있는 자음의 경우 해당 자음이 쌍자음이 있음을 알리기 위한 쌍자음 존재사실 표시부(130)가 해당 자음과 인접하여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실시 예에서는 쌍자음이 있는 자음의 아래 쪽에 원형 기호를 통해 해당 자음이 쌍자음이 있는 자음임을 표시하는 형태를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쌍자음 존재사실 표시부(130)는 원형 이외의 다른 다양한 기호나 이미지들일 수 있고 또한 그 형성되는 위치 또한 해당 자음의 위쪽이나 옆쪽 등 다양하게 변형 실시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쌍자음 존재사실 표시부(130)는 보완대체의사소통의 과정이 보다 원활한 동시에 빨리 이루어지도록 도움을 주기 위한 것으로서, 사용자들은 쌍자음 존재사실 표시부(130)를 통해 해당 자음이 쌍자음이 사용되는 자음 종류임을 시각적으로 인식하고 이를 바탕으로 표현하려는 의사의 문자적 표현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결정할 수 있다. 치매를 통해 언어 체계에 혼동이 온 사용자를 예로 부연 설명하면, 해당 사용자가 “따라가다”의 “따”를 표현하려 할 때 “따”가 맞는지 “다”가 맞는지 혼동이 오는 동시에 “따”라는 음절 자체가 맞는 표현인지 조차도 혼동이 올 때 철자 “ㄷ”의 아래 쪽에 위치한 쌍자음 존재사실 표시부(130)를 통해 “ㄸ”의 철자가 존재하는 사실을 아는 것만으로도 해당 “따라가다”의 문자적 표현을 보다 빠르고 정확하게 결정 및 전달하는데 크게 도움을 받을 수 있다.
또한 철자판(100)의 자음 및 모음은 해당 철자(120)의 문법에 따른 순서대로 차례로 배치될 수 있다. 즉, 철자판(100) 중 자음판의 자음은 해당 철자(120)의 문법에 따른 순서대로 차례로 배치되고, 철자판(100) 중 모음판의 모음은 해당 철자(120)의 문법에 따른 순서대로 차례로 배치된다. 본 실시 예를 기준으로 부연 설명하면, 자음판의 자음은 한글 자음의 순서인 ㄱ, ㄴ, ㄷ, ㄹ…(중략)…ㅍ,ㅎ의 순서대로 해당 자음판에 배치된다.
이렇게 철자판(100)의 자음 또는 모음들이 해당 문법에 맞는 순서대로 차례로 배치됨에 따라, 보완대체의사소통을 통해 의사를 표현하려는 사용자들은 철자판(100)의 철자들에 대한 순차적인 스캐닝 과정에서 현재 지시되는 철자로부터 다음에 스캐닝되는 철자를 보다 용이하게 예측할 수 있고, 이는 보완대체의사소통 과정에서 의사 전달이 보다 빠르게 정확하게 진행되는데 도움을 주게 된다.
그리고 복수의 철자판(100)은 베이스판(600)을 통해 일체로 연결될 수 있는 것으로서, 즉, 베이스판(600)은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 따른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의 베이스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서, 이러한 베이스판(600)에 복수의 철자판(100) 및 철자 선택부(200)의 전체 또는 일부 구성이 설치된다. 또한 베이스판(600)은 사용 시 및 휴대를 위한 손잡이(610)를 구비하여 이러한 손잡이(610)를 이용한 파지를 통해 사용자가 보다 용이하게 사용 및 휴대할 수 있게 하는 형태일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베이스판(600)의 일부 영역에 메모판(700)이 형성되는 것으로서, 이러한 메모판(700)은 철자 선택부(200)를 통해 선택되는 철자 및 선택된 철자들을 통해 형성되는 단어를 표시하는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이에 대해서는 이어서 설명되는 철자 선택부(200)와 연계하여 더 설명키로 한다.
철자 선택부(200)는 철자판(100)의 철자(120)에 대한 스캐닝 과정에서 사용자의 철자 선택신호를 입력받는 기능을 한다. 다시 말해, 보완대체의사소통을 통해 의사를 표현하려는 사용자는 철자판(200)의 철자(120)들에 대한 순차적인 스캐닝 과정에서 의사 표현을 위한 구어에 해당되는 철자(120)가 스캐닝 될 때 철자 선택부(200)를 통해 해당 철자를 선택하게 된다.
이러한 철자 선택부(200)는 스캐닝 전환 스위치(210) 및 조명모듈(220)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또한 철자 선택부(200)는 조작몸체(도5 참조, 도5의 240)를 더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그리고 본 실시 예는 스캐닝 전환 스위치(210)를 조작하는 사용자가 보완대체의사소통을 통해 의사 표현을 하려는 사용자일 때 더 적합한 형태이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스캐닝 전환 스위치(210)는 철자판(100)의 철자들을 순차적으로 지시하기 위한 신호 입력 기능을 하는 것으로서, 다시 말해 사용자는 스캐닝 전환 스위치(210)를 조작하여 철자판(100)별 철자들을 순차적으로 지시하게 된다. 여기서, 상술한 바와 같이 사용자는 보완대체의사소통을 통해 의사를 전달하려는 사용자에 해당하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사용자는 보완대체의사소통을 통해 의사를 전달받으려는 사용자일 수도 있다.
조명모듈(220)은 철자판(100)에 해당 철자(120)별로 설치되며, 이러한 조명모듈(220)은 스캐닝 전환 스위치(210)의 조작을 통한 신호 입력에 따라 점등되어 해당 철자(120)가 지시되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조명모듈(200)이 해당 철자(120)의 배면 쪽에서 빛을 방출하는 백라이트 방식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이러한 구성에 따라, 스캐닝 전환 스위치(210)의 순차적 조작 및 이를 통해 순차적으로 점등되는 조명모듈(220)을 통해 철자판(100)의 철자(120)들을 순차적으로 스캐닝하던 중 특정 철자(120)에서 스캐닝이 멈추면서 해당 철자(120)의 조명모듈(220)이 점등된 상태를 유지하면, 이렇게 조명모듈(220)을 통해 조명된 상태가 유지되는 철자(120)를 보완대체의사소통을 통해 의사를 전달하려는 사용자가 선택한 철자로 보는 것이다.
그리고 이렇게 특정 철자(120)가 선택된 후 이어서 스캐닝을 하거나 처음부터 다시 스캐닝을 하는 방식을 통해 복수의 철자(120)가 선택되게 하고 이렇게 선택된 철자(120)들의 조합된 구어를 통해 의사 전달이 이루어지게 되는 것이다.
조작몸체(도5 참조, 도5의 240)는 스캐닝 전환 스위치(210)가 설치되는 동시에 철자판(100)과 구분되는 독립 형태로 이루어져, 설치된 스캐닝 전환 스위치(210)가 각각 철자판(100)의 조명모듈(220)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형태이다. 또한 이러한 조작몸체(도5 참조, 도5의 240)는 스캐닝 전환 스위치(210)가 포함된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위한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 단말기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화면상에 가상의 스캐닝 전환 스위치가 표시되는 형태일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일 실시 예에서는 이러한 스마트 단말기가 스마트폰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스마트 단말기는 스마트폰, 태블릿 PC 등 컴퓨팅 기능이 있는 모든 단말기를 포함하는 개념이다.
도 3 내지 도 5를 더 참조하여 도 1 및 도 2에 따른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의 사용 예를 설명한다.
도 3은 사용자가 두 번째 철자판(100)의 자음철자 중 ‘ㅂ’을 선택함에 따라 해당 철자인 ‘ㅂ’에 대응되게 설치된 조명모듈(220)이 점등되어 철자 ‘ㅂ’을 백라이트 방식으로 조명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도 4는 도 3에 이어서 사용자가 네 번째 철자판(100)의 모음철자 중 ‘ㅣ’을 선택함에 따라 해당 철자인 ‘ㅣ’에 대응되게 설치된 조명모듈(220)이 점등되어 철자 ‘ㅣ’을 백라이트 방식으로 조명하고 있는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그리고 베이스판(600)에는 철자 선택부(200)를 통해 선택되는 철자판(100)의 철자(120) 및 선택된 철자(120)들을 통해 형성되는 단어를 표시하기 위한 메모판(700)이 구비될 수 있음은 상술한바 있다.
메모판(700)은 철자 선택부(200)를 통해 선택되는 철자판(100)의 철자(120) 및 선택된 철자(120)들을 통해 형성되는 단어를 수기로 적을 수 있는 화이트보드 또는 종이 형태일 수 있으며, 이와 다른 형태로써, 메모판(700)은 디스플레이 패널의 형태일 수 있다.
즉, 철자 선택부(200)를 통한 철자판(100)의 철자(120) 선택 시 해당 신호가 디스플레이 패널 구조인 메모판(700)에 입력되고, 이에 따라 메모판(700)은 철자 선택부(200)를 통해 선택된 철자판(100)의 철자(120)를 디스플레이하는 방식이다. 또한 메모판(700)을 형성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면상에 수기 방식의 메모가 가능한 동시에 메모된 철자나 단어 또는 철자 선택부(200)의 철자 선택 시 신호에 따른 표시 철자를 지우기 위한 삭제 스위치(미도시)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의 형태일 수 있다.
도 5는 사용자가 조작몸체(240)로 사용되는 스마트폰을 통해 철자판(100)의 철자(120)들을 선택하는 상태를 예시한 것이다.
다음은 도 6 및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에서 철자 선택부(400,500)의 다른 실시 형태를 설명한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에서 전기적 구성의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블록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 예에서 철자 선택부(4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동시에 해당 구성들의 부호도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의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음을 밝혀 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철자 선택부(400)는 스캐닝 시작 스위치(410), 조명모듈(420), 제어모듈(430), 철자 선택 스위치(440)를 포함하여 구성된다.
스캐닝 시작 스위치(440)는 철자판(100)의 철자(120)들에 대한 스캐닝 시작을 위해 해당 신호를 제어모듈(420)에 입력하는 기능을 한다. 다시 말해, 스캐닝 시작 스위치(410)를 통해 철자판(100)의 철자(120)들을 순차적으로 스캐닝하기 위한 개시 신호가 제어모듈(430)에 입력된다.
조명모듈(420)은 철자판(100)에 해당 철자(120)별로 설치되며, 이러한 조명모듈(420)은 스캐닝 시작 스위치(410)의 조작을 통한 제어모듈(430)의 제어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되어 해당 철자(120)가 지시되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조명모듈(420)이 해당 철자(120)의 배면 쪽에서 빛을 방출하는 백라이트 방식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어모듈(430)은 스캐닝 시작 스위치(410)로부터의 신호 입력에 따라 철자판(100)들의 철자(120)들이 순차적으로 지시되도록 조명모듈(420)을 순차적으로 점등 후 소등시킨다. 부연 설명하면, 제어모듈(430)은 첫 번째 조명모듈(420)을 점등시킨 후 이렇게 점등된 첫 번째 조명모듈(420)을 소등시키고 이어서 두 번째 조명모듈(420)을 점등시키는 방식을 통해 조명모듈(420)들을 순차적으로 점등시킨다.
철자 선택 스위치(440)는 조명모듈(420)을 통해 현재 지시되고 있는 철자(120)를 선택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철자 선택 스위치(440)를 통해 제어모듈(430)에 신호가 입력되고, 이에 따라 제어모듈(430)이 철자 선택 스위치(440)를 통한 신호 입력 시 점등된 상태였던 조명모듈(420)을 점등된 상태로 사전 설정된 시간 동안 유지시켜 해당 조명모듈(420)의 철자가 선택되었음을 사용자가 인지할 수 있도록 하는 방식이 사용될 수 있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또한 철자 선택부(400)는 조작몸체(450)를 더 포함할 수 있는 것으로서, 조작몸체(450)는 스캐닝 시작 스위치(410), 제어모듈(420), 철자 선택 스위치(440)가 설치되는 동시에 철자판(100)과 구분되는 독립 형태로 이루어져 철자 선택 스위치(440)가 조명모듈(420)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거나 제어모듈(430)이 조명모듈(420)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형태이다. 다시 말해, 조작몸체(450)는 도 5를 참조하여 설명한 도 1및 도 2에 따른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의 조작몸체(240)와 유사한 형태이다.
이에 따라 조작몸체(450)는 스캐닝 시작 스위치(410) 및 철자 선택 스위치(440)가 포함된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위한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이 탑재된 스마트 단말기일 수 있으며, 이에 따라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스마트 단말기의 터치스크린 화면상에 가상의 스캐닝 시작 스위치 및 철자 선택 스위치가 표시되는 형태일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 예에 따른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에서 전기적 구성의 또 다른 실시 예를 보인 블록도이다.
설명에 앞서, 본 실시 예에서 철자 선택부(500)를 제외한 나머지 구성은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의 구성과 동일하므로, 이에 대한 상세한 설명은 생략하는 동시에 해당 구성들의 부호도 도 1 내지 도 5에 따른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의 부호와 동일한 부호를 사용하였음을 밝혀 둔다.
도시된 바와 같이, 철자 선택부(500)는 조명모듈(510) 및 제스처 인식모듈(520)을 포함하여 구성된다.
조명모듈(510)은 철자판(100)에 해당 철자(120)별로 설치되며, 이러한 조명모듈(510)은 소정의 조작신호에 따라 순차적으로 점등되어 해당 철자(120)가 지시되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한다. 그리고 본 실시 예에서는 조명모듈(510)이 해당 철자(120)의 배면 쪽에서 빛을 방출하는 백라이트 방식인 것을 예로 하였으나, 본 발명이 이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제스처 인식모듈(520)은 조명모듈(510)을 통해 스캐닝 되고 있는 철자판(100)의 철자(120)들 중 해당 조명모듈(510)이 점등되어 현재 지시되고 있는 철자(120)를 선택하려는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기능을 한다. 여기서, 사용자의 제스처로는 해당 사용자의 눈깜박임이나 입술 움직임 등이 이용될 수 있다.
그리고 이러한 제스처 인식모듈(520)은 카메라 모듈(521) 및 제스처 판별모듈(522)을 포함할 수 있다.
카메라 모듈(521)은 조명모듈(510)을 통해 지시되고 있는 철자판(100)의 철자(120)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제스처를 촬영하는 기능을 한다.
제스처 판별모듈(522)은 카메라 모듈(521)을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제스처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 제스처 영상이 사전 설정된 철자 선택을 위한 제스처의 영상에 해당되는지 판별하는 기능을 한다.
한편, 도면에 도시하진 않았으나, 본 발명의 실시 예들에 따른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은 데이터베이스부 및 제어부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삭제
삭제
삭제
삭제
데이터베이스부는 철자판(100)의 배경판(110)별 및 철자(120)별로 대응되는 의사소통판 종류가 해당 배경판(110) 또는 철자(120)와 매핑되어 저장된다.
제어부는 철자판(100)의 배경판(110) 또는 철자(120)로부터의 신호 입력에 따라 해당 신호와 대응되는 의사소통판의 정보를 데이터베이스부로부터 검출하여 메모판(700)인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게 한다.
상기 의사소통판의 예로는 통증판, 신체판 등이 포함된다.
상술한 도 1 내지 도 7의 실시 예들을 통하여 알 수 있는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은, 보완대체의사소통 과정이 복잡한 전자,기계적 장치를 필요로 하지 않으면서도 다양한 사용자들이 표현하려는 의사를 철자 방식을 통해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철자들을 복수의 그룹으로 나누어 각 철자 그룹을 표시하고 있는 판의 배경 색을 달리하는 동시에 철자 그룹의 해당 철자들 간에도 색을 달리함으로써, 반복 사용의 과정에서 색을 매개로 철자의 종류를 구분하는 학습효과가 이용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시력이 매우 나쁘거나 철자의 종류를 분별하는 능력이 떨어지는 사용자도 반복 사용 과정에서의 색 구분을 통한 철자 인지 효과를 통해 표현하려는 의사를 철자 방식을 통해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한다.
또한 눈깜박임이나 입술 모양의 변화 등 사용자의 특정 제스처를 선택 동작으로 인식하는 과정을 통해 특정 철자들이 선택되면서 사용자의 표현하려는 의사가 철자 방식을 통해 정확하게 전달될 수 있고, 이를 통해 손을 통한 기구 조작이 힘든 사용자들도 평소 용이하게 할 수 있는 제스처를 통해 특정 철자를 선택하면서 표현하려는 의사를 철자 방식을 통해 정확하게 전달할 수 있게 한다.
이상과 같이 본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구성 요소 등과 같은 특정 사항들과 한정된 실시 예 및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이는 본 발명의 보다 전반적인 이해를 돕기 위해서 제공된 것일 뿐, 본 발명은 상기의 실시 예에 한정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에서 통상적인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러한 기재로부터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하다.
따라서 본 발명의 사상은 설명된 실시 예에 국한되어 정해져서는 안되며, 후술되는 특허청구범위 뿐만 아니라 이 특허청구범위와 균등하거나 등가적 변형이 있는 모든 것들은 본 발명 사상의 범주에 속한다고 할 것이다.
100 : 철자판 110 : 배경판
120 : 철자 130 : 쌍자음 존재사실 표시부
200,400,500 : 철자 선택부 210 : 스캐닝 전환 스위치
220,420,510 : 조명모듈 240,450 : 조작몸체
410 : 스캐닝 시작 스위치 430 : 제어모듈
440 : 철자 선택 스위치 520 : 제스처 인식모듈
521 : 카메라 모듈 522 : 제스처 판별모듈
600 : 베이스판 610 : 손잡이
700 : 메모판

Claims (21)

  1. 색을 통해 서로 구분될 수 있는 형태의 배경판 일면에 색을 통해 서로 구분될 수 있는 형태의 철자들이 형성되는 복수의 철자판;
    상기 철자판의 철자에 대한 스캐닝 과정에서 사용자의 철자 선택신호를 입력받기 위한 철자 선택부;
    상기 철자판들을 일체로 연결하는 베이스판;
    상기 베이스판에 설치되고 상기 철자 선택부를 통한 철자 선택 시 해당 신호의 입력을 통해 해당 철자를 디스플레이하는 디스플레이 패널을 포함하며,
    상기 철자판은 상기 철자로써 서로 다른 자음이 형성되는 자음판 및 서로 다른 모음이 형성되는 모음판 그리고 서로 다른 숫자가 형성되는 숫자판을 포함하되, 상기 자음판의 자음은 ‘ㄱ, ㄴ, ㄷ, ㄹ.......’의 순서에 따라 차례로 배치되고, 상기 모음판의 모음은 ‘ㅏ, ㅑ, ㅓ, ㅕ.......’의 순서에 따라 차례로 배치되며, 상기 자음판에는 쌍자음이 있는 자음과 인접한 위치에 해당 자음이 쌍자음이 있음을 알리기 위한 쌍자음 존재사실 표시부가 형성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
  2. 삭제
  3. 삭제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판의 모음들은 천지인 방식의 문자 입력에 사용되는 모음들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
  5. 삭제
  6. 삭제
  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자 선택부는 스캐닝 중인 철자들의 순차적 지시를 위한 스캐닝 전환 스위치 및 상기 철자판에 해당 철자별로 설치되고 상기 스캐닝 전환 스위치의 조작을 통한 신호 입력에 따라 점등되어 해당 철자가 지시되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조명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
  8.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조명모듈은 해당되는 상기 철자의 배면 쪽에서 빛을 방출하는 백라이트 방식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
  9. 제 7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전환 스위치는 상기 철자판과 구분되는 독립 형태의 조작몸체에 설치되는 형태이고, 상기 조작몸체에 설치된 상기 스캐닝 전환 스위치가 상기 조명모듈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
  10. 제 9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몸체는 상기 스캐닝 전환 스위치가 포함된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위한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스마트 단말기로 이루어져,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터치스크린의 화면상에 가상의 상기 스캐닝 전환 스위치가 표시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
  1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자 선택부는 상기 철자판의 철자들에 대한 스캐닝을 시작하기 위한 스캐닝 시작 스위치 및 상기 철자판에 해당 철자별로 설치되어 순차적으로 점등되어 해당 철자가 지시되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조명모듈 그리고 상기 스캐닝 시작 스위치로부터의 신호 입력에 따라 상기 조명모듈이 순차적으로 점등 후 소등되도록 제어하는 제어모듈 및 상기 조명모듈을 통해 현재 지시되고 있는 철자를 선택하기 위한 철자 선택 스위치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
  12. 제 11 항에 있어서,
    상기 스캐닝 시작 스위치, 제어모듈, 철자 선택 스위치는 상기 철자판과 구분되는 독립 형태의 조작몸체에 설치되는 형태이고, 상기 조작몸체에 설치된 상기 철자 선택 스위치가 상기 조명모듈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거나 상기 제어부가 상기 조명모듈들과 전기적으로 접속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
  13. 제 12 항에 있어서,
    상기 조작몸체는 상기 스캐닝 시작 스위치 및 철자 선택 스위치가 포함된 보완대체의사소통을 위한 전용의 어플리케이션을 탑재한 스마트 단말기로 이루어져, 상기 어플리케이션의 실행에 따라 터치스크린의 화면상에 가상의 상기 스캐닝 시작 스위치 및 철자 선택 스위치가 표시되는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
  1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자 선택부는 상기 철자판에 상기 철자별로 설치되어 해당 철자가 지시되고 있음을 시각적으로 표시하는 조명모듈 및 상기 조명모듈을 통해 스캐닝 되고 있는 상기 철자들 중 현재 지시되고 있는 철자의 선택을 위한 사용자의 제스처를 인식하는 제스처 인식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
  15. 제 14 항에 있어서, 상기 제스처 인식모듈은
    상기 조명모듈을 통해 지시되고 있는 철자에 대한 사용자의 선택 제스처를 촬영하기 위한 카메라 모듈;
    상기 카메라 모듈을 통해 촬영된 사용자의 제스처 영상을 분석하여 해당 제스처 영상이 사전 설정된 철자 선택을 위한 제스처의 영상에 해당되는지 판별하는 제스처 판별모듈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
  16. 삭제
  17.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베이스판은 사용자 파지용의 손잡이를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
  18. 삭제
  19. 삭제
  20.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은 화면상에 수기 방식의 메모가 가능한 동시에 메모된 철자나 단어 또는 상기 철자 선택부의 철자 선택 시 신호에 따라 표시된 철자나 단어를 지우기 위한 삭제 스위치를 포함하는 터치스크린의 형태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
  21.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철자판의 배경판별 및 철자별로 대응되는 의사소통판의 종류가 매핑되어 저장되는 데이터베이스부;
    상기 철자판의 배경판 또는 철자로부터의 신호 입력에 따라 해당 신호와 대응되는 상기 의사소통판의 정보를 상기 데이터베이스로부터 검출하여 상기 디스플레이 패널에 표시되게 하는 제어부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
KR1020140173812A 2014-12-05 2014-12-05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 KR101543189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812A KR101543189B1 (ko) 2014-12-05 2014-12-05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40173812A KR101543189B1 (ko) 2014-12-05 2014-12-05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543189B1 true KR101543189B1 (ko) 2015-08-07

Family

ID=53886729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40173812A KR101543189B1 (ko) 2014-12-05 2014-12-05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543189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381B1 (ko) * 2015-12-22 2017-11-30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운동능력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언어장애인을 위한 문자 기반 의사소통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102018003B1 (ko) * 2018-12-03 2019-09-03 윤현진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
KR20200062980A (ko) * 2018-11-27 2020-06-04 황인권 장애인 의사소통기
KR20200102151A (ko) 2019-02-21 2020-08-31 한선경 눈 응시용 의사 소통판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0334A (ja) * 2011-01-20 2012-08-09 Panasonic Corp 意思伝達装置

Patent Citations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2012150334A (ja) * 2011-01-20 2012-08-09 Panasonic Corp 意思伝達装置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803381B1 (ko) * 2015-12-22 2017-11-30 성신여자대학교 산학협력단 운동능력에 따른 인터페이스를 포함하는 언어장애인을 위한 문자 기반 의사소통 장치, 이를 위한 방법 및 이 방법이 기록된 컴퓨터로 판독 가능한 기록매체
KR20200062980A (ko) * 2018-11-27 2020-06-04 황인권 장애인 의사소통기
KR102018003B1 (ko) * 2018-12-03 2019-09-03 윤현진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
KR20200102151A (ko) 2019-02-21 2020-08-31 한선경 눈 응시용 의사 소통판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9965974B2 (en) Portable device with virtual tactile keyboard and refreshable Braille display
US6115482A (en) Voice-output reading system with gesture-based navigation
US8944824B2 (en) Multi-modal learning system
KR101650099B1 (ko) 시각장애인용 착용형 햅틱 패턴 디스플레이 장치
KR101543189B1 (ko)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
AU1114899A (en) Voice-output reading system with gesture-based navigation
AU2009295791A1 (en) Method and device for inputting texts
US20220139257A9 (en) Tactile and visual display with paired and active stylus with means and methods
CN104657054A (zh) 一种基于点读机的学习方法及装置
WO2002059736A1 (en) Character generation system
CN112204639A (zh) 用于进行新的训练的装置及程序
KR100983194B1 (ko) 터치스크린을 이용한 문자입력방법 및 장치
US8533621B1 (en) Communication system and method of use thereof
Hirayama A book reading magnifier for low vision persons on smartphones and tablets
KR20160050975A (ko) 색성조 표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100469305B1 (ko) 문자학습기 및 그를 이용한 문자학습방법
EP3021231A1 (en) Method for providing sign image search service and sign image search server used for same
US20200380879A1 (en) Color Intonation Display System and Method Thereof
KR20180022750A (ko) 성조를 포함하는 중국어 문자 표기 방법 및 시스템
KR101653963B1 (ko) 요미가나 병기 기능이 추가된 일본어 학습 단말기
KR102361607B1 (ko) 한글 깨치기 단말기
CN215577084U (zh) 一种学习机
KR20000056277A (ko) 문자의 획순학습장치 및 그 학습방법
KR20160051699A (ko) 색성조 표시 시스템 및 그 방법
KR20160148928A (ko) 성조를 포함하는 중국어 문자 표기 방법 및 시스템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LAPS Lapse due to unpaid annual fee