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2018003B1 -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 - Google Patents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2018003B1
KR102018003B1 KR1020180153444A KR20180153444A KR102018003B1 KR 102018003 B1 KR102018003 B1 KR 102018003B1 KR 1020180153444 A KR1020180153444 A KR 1020180153444A KR 20180153444 A KR20180153444 A KR 20180153444A KR 102018003 B1 KR102018003 B1 KR 102018003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atient
vowel
display window
clock
window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8015344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윤현진
Original Assignee
윤현진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윤현진 filed Critical 윤현진
Priority to KR1020180153444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018003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01800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018003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1Arrangements for interaction with the human body, e.g. for user immersion in virtual reality
    • G06F3/013Eye tracking input arrangement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18Input/output arrangements for oriental characters
    • GPHYSICS
    • G06COMPUTING; CALCULATING OR COUNTING
    • G06FELECTRIC DIGITAL DATA PROCESSING
    • G06F3/00In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to be processed into a form capable of being handled by the computer; Output arrangements for transferring data from processing unit to output unit, e.g. interface arrangements
    • G06F3/01Input arrangements or combined input and output arrangements for interaction between user and computer
    • G06F3/04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 G06F3/0487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 G06F3/0488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 G06F3/04886Interaction techniques based on graphical user interfaces [GUI] using specific features provided by the input device, e.g. functions controlled by the rotation of a mouse with dual sensing arrangements, or of the nature of the input device, e.g. tap gestures based on pressure sensed by a digitiser using a touch-screen or digitiser, e.g. input of commands through traced gestures by partitioning the display area of the touch-screen or the surface of the digitising tablet into independently controllable areas, e.g. virtual keyboards or menu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General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Theoretical Computer Science (AREA)
  • Human Computer Interaction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General Physics & Mathematics (AREA)
  • Input From Keyboards Or The Like (AREA)
  • User Interface Of Digital Computer (AREA)

Abstract

본 발명에 따른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은 모든 자음과 숫자들이 여러 개의 분할 표시창에 소정의 개수로 분할되어 배치된 통합 글자판, 상기 분할 표시창에 포함된 자음들이 배치된 세부 글자판, 모든 모음들이 여러 개의 모음 표시창에 소정의 개수로 분할되어 배치된 모음 전체 글자판 및 상기 모음 표시창에 포함된 모음들이 배치된 모음 세부 글자판을 포함하여 구성될 수 있다. 환자는 눈동자의 움직임을 통해서 제시되는 문자 입력자판에서 의도하는 정보가 나타난 창을 선택하고, 보호자는 선택된 자음과 모음을 결합하여 환자가 의도하는 단어를 조합하여 의사소통할 수 있다.

Description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Word input keyboard for critically ill patients}
본 발명은 문자 입력자판에 관한 것으로서, 보다 상세하게는 루게릭 병과 같이 신체의 일부를 움직일 수 없는 증상을 가진 환자가 사용할 수 있는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의사소통 장애인을 위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은 주로 발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기술이 많으며, 특히 운동 능력에 제한이 없는 발달장애 아동을 대상으로 한 제품이 주를 이루고 있다. 그러나, 근위축성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케네디병(Kennedy Disease: KD), 진행성 연수마비(Progressive Bulbar Palsy: PBP)과 같은 운동신경질환이 있는 성인환자들은 점차 운동 능력에 제한이 생기고, 언어를 사용한 의사소통이 매우 어려운 상황에 이르게 된다.
이들의 신체의 대부분은 점차 운동능력을 상실하고 최종적으로는 눈 응시 혹은 눈움직임만이 가능한 상태가 되며, 이로 인해 말을 통한 의사소통은 거의 불가능한 상황이 된다. 결국 이들에게는 눈 응시 및 눈움직임이 외부와의 소통을 위한 유일한 신호가 되지만, 종래 이들의 특수한 상황을 고려한 보완 대체 의사소통 관련 제품은 개발이 많이 되어 있지 않은 상황이다.
근래에는 사용자가 기기를 통해 의사를 표현할 수 있도록 하는 두뇌-컴퓨터 인터페이스(Brain-Computer Interface)와 같은 기술이 개발되고 있다. 이는, 뇌의 활동과정에서 나오는 뇌파를 실시간으로 분석하여 사용자의 의도를 파악하여 키보드를 입력하게 하거나 특정 기기를 동작하게 하는 등 상용화에 성공한 사례가 점차 증가하는 추세에 있다.
그러나, 이러한 BCI 시스템은 비교적 고가이기에 일반 사용자가 접하기에 다소 부담스러운 점이 있으며, BCI 시스템을 사용한다 하여도 간단한 의사소통을 위해서 항상 머리에 뇌파를 분석하는 장치를 쓰고 있어야 하는 번거로운 문제가 발생할 수도 있다. 이에, 일반 사용자가 손쉽게 사용할 수 있는 중증 환자와의 의사소통 제품이 개발될 필요성이 높아지고 있다.
본 발명은 근위축성측삭경화증(Amyotrophic Lateral Sclerosis: ALS), 케네디병(Kennedy Disease: KD), 진행성 연수마비(Progressive Bulbar Palsy: PBP)과 같이 신체의 일부를 움직일 수 없는 운동신경질환을 앓고 있는 중증 환자와의 의사소통이 보다 쉽게 이루어질 수 있는 매개 수단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은 중증 환자가 보호자에 의존하지 않고도 본인의 의사를 표현할 수 있는 문자 입력자판을 제공함에 그 목적이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은 모든 자음들이 여러 개의 분할 표시창에 소정의 개수로 분할되어 배치된 통합 글자판; 상기 분할 표시창에 포함된 자음들이 배치된 세부 글자판; 모든 모음들이 여러 개의 모음 표시창에 소정의 개수로 분할되어 배치된 모음 전체 글자판; 및 상기 모음 표시창에 포함된 모음들이 배치된 모음 세부 글자판을 포함하고, 환자에게 상기 통합 글자판, 세부 글자판, 모음 전체 글자판, 모음 세부 글자판이 순차적으로 제시되고, 환자는 눈동자의 움직임을 통해 상기 통합 글자판으로부터 의도하는 분할 표시창을 선택하고, 상기 세부 글자판으로부터 의도하는 자음을 선택하며, 상기 모음 글자판으로부터 의도하는 모음 표시창을 선택하고, 상기 모음 세부 글자판으로부터 의도하는 모음을 선택하며, 환자의 대화상대는 선택된 자음과 모음을 결합하여 단어를 구성함을 특징으로 한다.
여기서, 상기 통합 글자판은 복수개의 자음을 포함하는 분할 표시창, 입력을 취소하고 처음부터 시작하고자 할 때 선택되는 재시작창 및 환자의 대화상대에 의해 환자가 선택한 자음 또는 모음의 입력이 수행되는 문자 입력창을 포함할 수 있다.
이 때, 상기 분할 표시창은 최대 4개의 자음을 포함하면서 상기 통합 글자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10시 방향에 위치한 제1 분할 표시창, 2시 방향에 위치한 제2 분할 표시창, 7시 방향에 위치한 제3 분할 표시창, 5시 방향에 위치한 제4 분할 표시창, 6시 방향에 위치한 제5 분할 표시창을 포함할 수 있다.
그리고, 상기 모음 전체 글자판은 복수개의 모음을 포함하는 모음 표시창, 통합 글자판을 제시받기 위해 선택되는 전환창, 환자의 대화상대에 의해 입력이 수행되는 문자 입력창을 포함하며, 환자가 의도하는 단어가 받침이 있는 경우, 상기 전환창을 눈동자의 움직임으로 선택하여 제시된 모음 전체 글자판을 통합 글자판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이 때, 상기 모음 표시창은 최대 4개의 모음을 포함하면서 상기 모음 전체 글자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10시 방향에 위치한 제1 모음 표시창, 2시 방향에 위치한 제2 모음 표시창, 7시 방향에 위치한 제3 모음 표시창, 5시 방향에 위치한 제4 모음 표시창, 6시 방향에 위치한 제5 모음 표시창을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은 신체움직임 중에서 눈의 움직임이 가능한 환자에 대해서 사용할 수 있으며, 환자는 고가의 장비를 사용하지 않고도 눈을 응시하여 원하는 바를 빠르고 정확하게 표현할 수 있다.
본 발명의 문자 입력자판은 휴대가 가능한 스마트폰 또는 패드에서 화면으로 보여지는 상태로 제공될 수 있으며, 각각의 화면이 여러개의 문자 입력자판으로 제공될 수도 있기 때문에 환자에게 적합한 방식을 선택하여 의사표현이 가능하며, 환자가 이동중인 경우에도 의사표현이 가능한 장점이 있다.
본 발명의 문자 입력자판은 사용자의 신체적 능력에 따라 자발적 사용 또는 대화 상대자의 보조에 의한 사용이 가능하고, 인지능력이 정상 수준에 해당하며 문해력이 있는 환자에게 적용 가능하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에서 통합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에서 세부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에서 모음 전체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에서 모음 세부 화면을 나타낸 도면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에서 받침이 없는 경우 문자 입력 과정을 나타낸 도면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에서 받침이 있는 경우 문자 입력 과정을 나타낸 도면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실시예에 대하여 상세하게 설명하지만, 본 실시예에 의해 제한되거나 한정되는 것은 아니다. 본 발명을 설명함에 있어서, 공지된 기능 혹은 구성에 의해 구체적인 설명은 본 발명의 요지를 명료하게 하기 위해 생략될 수 있다.
본 발명은 신체 움직임 중에서 유일하게 눈의 응시만이 가능한 퇴행성 의사소통 장애 환자가 사용할 수 있는 문자 입력자판으로, 스마트폰 또는 패드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으로 제공될 수도 있고, 복수개의 문자판 세트로 제공될 수도 있으며 이하에서는 스마트폰과 같은 전자기기의 화면에서 본 문자 입력자판을 사용함을 예로 들어 설명한다. 또한, 본 발명의 문자 입력자판은 한글을 기초로 한 타이핑 방법에 기초하고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에서 통합 글자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1을 참조하면, 통합 글자판(100)은 자음으로 시작하는 한글의 특성에 따라 환자에게 처음으로 보여지는 문자 입력자판일 수 있다.
상기 통합 글자판(100)은 복수개의 분할 표시창(110, 120, 130, 140, 150), 재시작창(160) 및 문자 입력창(1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분할 표시창(110, 120, 130, 140, 150)과 상기 재시작창(160)은 환자가 눈동자의 응시를 통해 선택되는 창이며, 상기 문자 입력창(170)은 환자의 대화상대(보호자)에 의해 입력되는 창일 수 있다. 상기 재시작창(160)에는 '처음'이라는 단어가 기재되어 있으며 문자 입력을 취소하고 처음 상태로 돌아가고자 할 때 환자에 의해 선택될 수 있다.
상기 분할 표시창(110, 120, 130, 140, 150)들은 상기 통합 글자판(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한글의 자음은 쌍자음을 포함하여 총 19개이며, 19개의 자음이 소정의 개수만큼 분할되어 각각의 분할 표시창에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는 상기 각각의 분할 표시창이 최대 4개의 자음을 포함하도록 배치하였으며, 이에 통합 글자판(100)에는 총 5개의 분할 표시창이 표시될 수 있다.
상기 분할 표시창은 통합 글자판(100)의 중심을 기준으로 10시 방향에 위치한 제1 분할 표시창(110), 2시 방향에 위치한 제2 분할 표시창(120), 7시 방향에 위치한 제3 분할 표시창(130), 5시 방향에 위치한 제4 분할 표시창(140), 6시 방향에 위치한 제5 분할 표시창(150)을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환자의 눈의 응시가 5방향으로 구분되도록 최대 4개의 자음을 포함한 분할 표시창을 5개가 되도록 배치하였다.
도 1에서는 편의상 자음의 순서대로 정렬하여 각각의 분할 표시창에 표시되도록 하였으나, 19개의 자음은 각 분할 표시창에 랜덤하게 섞여 있어도 무방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에서 세부 글자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2를 참조하면, 세부 글자판은 도 1에서 환자에 의해 선택되는 분할 표시창에 따라 선택될 수 있는 문자 입력자판이다.
도 1에서 제1 분할 표시창(110)은 (ㄱ, ㄴ, ㄷ, ㄹ, 1, 2)의 자음과 숫자를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1 분할 표시창(110)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분할 표시창(110)의 세부 정보를 포함하는 제1 세부판(111)이 환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세부판(111)은, 상기 제1 세부판(111)의 중심을 기준으로 10시 방향에 위치한 제1 자음부(112), 2시 방향에 위치한 제2 자음부(113), 7시 방향에 위치한 제3 자음부(114), 5시 방향에 위치한 제4 자음부(115), 12시 방향에 위치한 제1 숫자부(116) 및 6시 방향에 위치한 제2 숫자부(11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분할 표시창(110)은 (ㄱ, ㄴ, ㄷ, ㄹ, 1, 2)의 자음과 숫자를 포함하고 있으므로, 제1 자음부(112)는 'ㄱ', 제2 자음부(113)는 'ㄴ', 제3 자음부(114)는 'ㄷ', 제4 자음부(115)는 'ㄹ', 제1 숫자부(116)는 '1', 제2 숫자부(117)는 '2'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분할 표시창(120)에 포함된 자음 정보(ㅁ, ㅂ, ㅅ, ㅇ, 3, 4)를 포함한 제2 세부판(121), 제3 분할 표시판(130)에 포함된 자음 정보(ㅈ, ㅊ, ㅋ, ㅌ, 5, 6)를 포함한 제3 세부판(131), 제4 분할 표시창(140)에 포함된 자음 정보(ㅍ, ㅎ, ㅆ, 7, 8)를 포함한 제4 세부판(141), 제5 분할 표시창(150)에 포함된 자음 정보(ㄲ, ㄸ, ㅃ, ㅉ, 9, 0)를 포함한 제5 세부판(151)이 마련될 수 있다.
실시예에서는 자음 또는 숫자가 포함된 분할 표시창을 5개로 배치하였기 때문에, 이에 대응되는 세부판 또한 5개가 마련될 수 있다.
도 3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에서 모음 전체 화면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3을 참조하면, 상기 모음 전체 글자판(200)은 복수개의 모음 표시창(210, 220, 230, 240, 250), 전환창(260) 및 문자 입력창(270)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음 표시창(210, 220, 230, 240, 250)과 재시작창(260)은 환자가 눈의 응시를 통해 선택하기 위한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모음 표시창(210, 220, 230, 240, 250)들은 모음 전체 글자판(200)의 중심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에 따라 배치될 수 있다. 한글의 모음은 총 20개이며, 20개의 모음이 소정의 개수만큼 분할되어 각각의 모음 표시창에 표시될 수 있다. 실시예는 상기 각각의 모음 표시창이 4개의 모음을 포함하도록 배치하였으며, 이에 모음 전체 글자판(100)에는 총 5개의 분할 표시창이 배치될 수 있다.
도 4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에서 모음 세부 글자판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4를 참조하면, 모음 세부 글자판(200)은 도 3에서 환자에 의해 선택되는 모음 표시창에 따라 선택될 수 있는 문자 입력자판이다.
도 3에서 제1 모음 표시창(210)은 (ㅏ, ㅑ, ㅓ, ㅕ)의 모음을 포함하고 있으며, 상기 제1 모음 표시창(210)이 선택되는 경우에는 상기 제1 모음 표시창(210)의 세부 모음 정보를 포함하는 제1 모음 세부판(211)이 환자에게 제시될 수 있다.
상기 제1 모음 세부판(211)은, 제1 모음 세부판(211)의 중심을 기준으로 10시 방향에 위치한 제1 모음부(212), 2시 방향에 위치한 제2 모음부(213), 7시 방향에 위치한 제3 모음부(214), 5시 방향에 위치한 제4 모음부(215), 12시 방향에 위치한 재시작부(216) 및 하단부에 마련된 문자 입력부(217)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모음 세부판(211)은 (ㅏ, ㅑ, ㅓ, ㅕ)의 모음을 포함하고 있으므로, 제1 모음부(212)는 'ㅏ', 제2 모음부(213)는 'ㅑ', 제3 모음부(214)는 'ㅓ', 제4 모음부(215)는 'ㅕ'의 정보를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제1 모음 세부판(211)은 제1 세부창(111)과는 달리 전환부(216)를 포함할 수 있다. 실시예는 기본적으로 모음이 선택된 후에 다시 자음을 선택하기 위한 통합 글자판을 환자에게 제시하게 되는데, 환자가 의도하는 단어가 받침이 있는 경우에는 자음이 연속으로 제시될 필요가 있다.
상기 전환부(216)는 상기와 같이 연속적인 자음을 선택해야 할 시 모음 전체 글자판이 제시된 경우에 다시 통합 문자 글자판을 제시받기 위해 선택될 수 있다.
문자 입력부(217)는 환자의 대화상대(보호자)가 입력을 수행하는 영역으로, 환자가 선택한 모음을 입력하여 단어를 완성할 수 있다.
도 5는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에서 문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나타낸 도면으로, 문자 입력자판을 사용하여 하나의 글자를 입력하는 과정을 보여주고 있다.
우선, 환자의 대화상대(보호자)는 환자와의 의사소통을 위해 환자가 문자 입력자판을 볼 수 있는 위치로 최초 문자 입력자판인 통합 글자판(100)을 제시한다. 환자는 의도한 단어를 표현하기 위해 눈동자를 움직여 의도한 단어의 초성에 해당하는 자음 또는 숫자가 포함되어 있는 분할 표시창을 응시한다. 이 때, 보호자는 환자의 눈동자 움직임을 관찰하여 환자가 응시하고 있다고 판단되는 분할 표시창을 인식한다.
'사'라는 글자를 입력하는 것으로 예를 들어 설명하면, 환자는 'ㅅ'이 포함된 제2 분할 표시창(120)을 응시할 것이며, 보호자는 해당 제2 분할 표시창(120)의 세부 정보를 포함한 제2 세부창(121)을 환자에게 제시한다. 환자는 다시 제2 세부창(121)에서 'ㅅ'이 위치한 제3 자음부(124)를 응시할 것이며, 보호자는 환자의 눈동자 움직임을 보고 문자 입력부(127)에 'ㅅ'을 기입한다.
이어서, 환자에게 모음 전체 글자판(200)이 제시될 수 있다. 환자는 눈동자를 움직여 제1 모음 전체 글자판(200)에 배치된 여러 개의 모음 표시창 중에서 제1 모음 표시창(210)을 응시할 것이다. 환자가 제1 모음 표시창(210)을 응시하였다고 판단되면, 보호자는 제1 모음 표시창(210)의 모음 정보를 포함한 제1 모음 세부판(211)을 환자에게 제시한다. 환자는 다시 제1 모음 세부판(211)에서 'ㅏ'가 위치한 제1 모음부(212)를 응시할 것이며, 보호자는 환자의 눈동자 움직임을 보고 문자 입력부(217)에 'ㅏ'를 기입하며, 이전에 기입된 'ㅅ'과 결합하여 '사'가 기입될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에서 받침이 없는 경우 문자 입력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한글의 키보딩 방식은 받침이 없는 경우 자음-모음-자음-모음이 연속되어 이루어지지만, 받침이 있는 경우에는 자음-모음-자음-자음-모음과 같이 중간에 자음이 두번 포함된다. 실시예는 받침이 없는 단어를 입력하는 것을 기본으로 하여 환자에게 순차적으로 글자판을 제시한다.
도 6과 같이 환자에 의해 'ㅅ, ㅏ, ㅇ'이 순차적으로 입력된 후에 환자에게는 기본설정에 따라 다시 모음 전체 글자판(200)을 제시한다. 환자는 표현하고자 하는 단어가 받침이 없을 경우 해당되는 모음 전체 글자판(200)에서 의도하는 모음이 포함된 모음 표시창을 선택함에 따라 의도하는 단어가 표현될 수 있다.
모음 전체 글자판(200)에서 환자가 제2 모음 표시창(220)을 응시하면, 환자에게 제2 모음 세부판(221)이 제시되고, 환자가 'ㅛ'에 해당하는 모음을 선택하면, 키보드 입력 방식에 따라 'ㅅ, ㅏ, ㅇ, ㅛ'는 '사요'의 단어로 입력될 수 있다.
도 7은 본 발명의 실시예에 따른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에서 받침이 있는 경우 문자 입력 과정을 나타낸 도면이다. 도 7을 참조하면, 환자에 의해 'ㅅ, ㅏ, ㅇ'이 순차적으로 입력된 후에 환자에게는 기본설정에 따라 다시 모음 전체 글자판(200)을 제시될 수 있다. 이 때, 환자가 의도하는 단어가 받침이 있는 경우에 환자는 제시된 모음 전체 글자판(200)에서 '전환'이라는 글자가 기재된 전환부(260)를 응시한다.
환자에 의해 전환부(260)가 선택되면, 보호자는 통합 글자판(100)을 환자에게 제시할 수 있다. 즉, 앞서서 입력된 'ㅅ, ㅏ, ㅇ'은 키보드 입력방식에 따라 '상'이란 글자로 바뀌고, 이후에 선택되어 입력되는 모음에 따라 단어가 완성될 수 있다.
상술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문자 입력자판은 키보드의 입력방식에 기초하여 환자가 자음과 모음을 순차적으로 선택하고, 선택된 자음과 모음을 보호자가 입력함으로써 환자가 의도하는 단어가 완성될 수 있으며, 이에 환자와 보호자 간의 의사소통이 이루어질 수 있다.
실시예는 자음과 모음을 선택함에 있어서, 자음과 모음을 여러 개의 집합으로 나누어 복수개의 창으로 구성하고 환자의 눈동자 움직임을 통해 어느 하나의 창이 선택되면, 선택된 창에 해당되는 세부 자음과 모음 정보가 있는 문자 입력자판을 제시하여 단어를 완성하는 방식을 적용하였다.
실시예는 자음과 모음이 대략 20개 내외인 것을 고려하여, 환자의 눈동자 응시 방향을 보다 잘 인식할 수 있도록 문자 입력자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5방향에 선택할 수 있는 창이 배치되도록 하였다. 즉, 통합 글자판과 이에 연동되는 세부 글자판 내부의 배치된 창의 개수가 동일하기 때문에, 환자는 눈동자의 움직임을 2가지의 글자판에서 동일하게 유지할 수 있어 이는 보호자가 눈동자의 위치를 파악하는데 더욱 유리한 이점을 가질 수 있다.
실시예는 보호자가 환자에게 문자 입력자판을 제시하고 환자에 의해 선택된 자음 또는 모음창을 인식하여 해당되는 문자 입력자판을 다시 환자에게 제시하는 방식으로 설명하였다. 문자 입력자판은 종이의 형태로 제작될 수도 있으며 내구성을 위해 가벼운 플라스틱 재질로 제작될 수도 있다.
또한, 본 발명은 스마트 폰 또는 패드에 설치된 어플리케이션의 형태로 제공될 수 있다. 이 경우에는, 디스플레이의 형식으로 환자에게 통합 화면이 제시되며, 환자는 화면에서 의도하고자 하는 자음 또는 숫자가 포함된 분할 표시창을 응시할 수 있으며, 보호자는 환자의 눈동자의 위치를 파악하여 해당되는 분할 표시창을 터칭한다. 분할 표시창에는 해당되는 세부판이 미리 저장되어 있어, 선택된 세부판이 포함하는 자음 또는 숫자가 화면의 중앙을 기준으로 기설정된 각도로 화면상에 배치될 수 있다. 환자가 눈동자의 움직임을 통해 의도하는 자음 또는 숫자를 응시하면, 환자의 대화상대가 해당되는 자음 또는 숫자를 터치함에 따라 화면의 하단 또는 특정 영역에 해당 자음이 나타난다.
이후의 과정은 앞서 설명한 바와 동일하게 진행될 수 있으며, 보호자는 환자가 선택하는 자음, 모음, 숫자를 조합하여 환자의 의도를 단어 또는 문장으로 표현함으로써 환자와의 의사소통을 원활하게 수행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대하여 그 바람직한 실시예를 중심으로 설명하였으나 이는 단지 예시일 뿐 본 발명을 한정하는 것은 아니며, 본 발명이 속하는 분야의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라면 본 발명의 본질적인 특성을 벗어나지 않는 범위에서 이상에 예시되지 않은 여러 가지의 변형과 응용이 가능함을 알 수 있을 것이다. 예를 들어 본 발명의 실시예에 구체적으로 나타난 각 구성 요소는 변형하여 실시할 수 있는 것이다. 그리고 이러한 변형과 응용에 관계된 차이점들은 첨부된 청구 범위에서 규정하는 본 발명의 범위에 포함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야 할 것이다.
100: 통합 글자판
110, 120, 130, 140, 150: 분할 표시창
111: 제1 세부판
112: 제1 자음부, 113: 제2 자음부, 114: 제3 자음부, 115: 제4 자음부
116: 제1 숫자부, 117: 제2 숫자부
160: 재시작창
170: 문자 입력창
200: 모음 전체 글자판
210, 220, 230, 240, 250: 모음 표시창
211: 제1 모음 세부판
212: 제1 모음부, 213: 제2 모음부, 214: 제3 모음부, 215: 제4 모음부
216: 재시작부
260: 전환창
270: 문자 입력창

Claims (5)

  1. 한글에 사용되는 모든 자음과 숫자들이 여러 개의 분할 표시창에 소정의 개수로 분할되어 배치된 통합 글자판;
    상기 분할 표시창에 포함된 자음과 숫자들이 각각 한 개씩 배치된 세부 글자판;
    한글에 사용되는 모든 모음들이 여러 개의 모음 표시창에 소정의 개수로 분할되어 배치된 모음 전체 글자판; 및
    상기 모음 표시창에 포함된 모음들이 각각 한 개씩 배치된 모음 세부 글자판을 포함하고,
    상기 통합 글자판, 세부 글자판, 모음 전체 글자판 및 모음 세부 글자판에는 적어도 하나의 자음, 모음 또는 숫자를 포함한 복수개의 창이 소정의 각도를 이루도록 배열된 것을 특징으로 하며,
    환자의 대화상대는 환자에게 상기 통합 글자판을 제시하여 환자의 눈동자가 주시하는 방향에 해당되는 분할 표시창을 인식하고, 상기 분할 표시창의 정보를 포함한 세부 글자판을 환자에게 제시하여 환자의 눈동자가 주시하는 방향에 해당되는 자음 또는 숫자를 선택하여 입력하며,
    상기 환자에게 상기 모음 전체 글자판을 제시하여 환자의 눈동자가 주시하는 방향에 해당되는 모음 표시창을 인식하고, 상기 모음 표시창의 정보를 포함한 모음 세부판을 환자에게 제시하여 환자의 눈동자가 주시하는 방향에 해당되는 모음을 선택하여 입력하는 일련의 과정을 반복하여 단어 또는 문장을 생성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
  2.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통합 글자판은 복수개의 자음과 숫자를 포함하는 분할 표시창, 입력을 취소하고 처음부터 시작하고자 할 때 선택되는 재시작창 및 환자의 대화상대에 의해 환자가 선택한 자음 또는 모음의 입력이 수행되는 문자 입력창을 포함하는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
  3. 제 2항에 있어서,
    상기 분할 표시창은 최대 4개의 자음과 2개의 숫자를 포함하며, 상기 분할 표시창은 상기 통합 글자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10시 방향에 위치한 제1 분할 표시창, 2시 방향에 위치한 제2 분할 표시창, 7시 방향에 위치한 제3 분할 표시창, 5시 방향에 위치한 제4 분할 표시창, 6시 방향에 위치한 제5 분할 표시창을 포함하는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
  4. 제 1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전체 글자판은 복수개의 모음을 포함하는 모음 표시창, 통합 글자판을 제시받기 위해 선택되는 전환창, 환자의 대화상대에 의해 입력이 수행되는 문자 입력창을 포함하며,
    환자가 의도하는 단어가 받침이 있는 경우, 상기 전환창을 눈동자의 움직임으로 선택하여 제시된 모음 전체 글자판을 통합 글자판으로 전환하도록 하는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
  5. 제 4항에 있어서,
    상기 모음 표시창은 최대 4개의 모음을 포함하면서 상기 모음 전체 글자판의 중심을 기준으로 10시 방향에 위치한 제1 모음 표시창, 2시 방향에 위치한 제2 모음 표시창, 7시 방향에 위치한 제3 모음 표시창, 5시 방향에 위치한 제4 모음 표시창, 6시 방향에 위치한 제5 모음 표시창을 포함하는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
KR1020180153444A 2018-12-03 2018-12-03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 KR102018003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444A KR102018003B1 (ko) 2018-12-03 2018-12-03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80153444A KR102018003B1 (ko) 2018-12-03 2018-12-03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018003B1 true KR102018003B1 (ko) 2019-09-03

Family

ID=67951764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80153444A KR102018003B1 (ko) 2018-12-03 2018-12-03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018003B1 (ko)

Cited B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499A (ko) * 2018-09-27 2022-02-04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3622A (ko) * 2012-04-06 2013-10-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
KR101543189B1 (ko) * 2014-12-05 2015-08-07 한선경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
KR20170075904A (ko) * 2015-12-23 2017-07-04 주식회사 키보플 부가 서비스 기능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용 소프트웨어 키보드

Patent Citation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30113622A (ko) * 2012-04-06 2013-10-16 고려대학교 산학협력단 입력 장치 및 문자 입력 방법
KR101543189B1 (ko) * 2014-12-05 2015-08-07 한선경 보완대체의사소통 글자판
KR20170075904A (ko) * 2015-12-23 2017-07-04 주식회사 키보플 부가 서비스 기능을 포함하는 모바일 기기용 소프트웨어 키보드

Cited By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220013499A (ko) * 2018-09-27 2022-02-04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KR20230022936A (ko) * 2018-09-27 2023-02-16 후지모리 고교 가부시키가이샤 점착제 조성물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Brodwin et al. Computer assistive technology for people who have disabilities: Computer adaptations and modifications.
Hansen et al. Command without a click: Dwell time typing by mouse and gaze selections.
Tuisku et al. Now Dasher! Dash away! Longitudinal study of fast text entry by eye gaze
Majaranta et al. Text entry by gaze: Utilizing eye-tracking
Chen et al. Reading Pinyin activates sublexcial character orthography for skilled Chinese readers
Tapp et al. Attention to the hands disrupts skilled typewriting: The role of vision in producing the disruption
KR102018003B1 (ko) 중증 환자를 위한 문자 입력자판
Simpson Computer Access for People with Disabilities: A Human Factors Approach
Singh et al. HELF (Haptic Encoded Language Framework): a digital script for deaf-blind and visually impaired
US9542099B1 (en) Touch-sensitive rectangular panel and control method thereof
Cecotti et al. A multiscript gaze-based assistive virtual keyboard
Lopes Designing user interfaces for severely handicapped persons
WO2014146140A9 (en) A mnemonic relative position international keyboard system set on new focus field platform
KR20210016752A (ko) 중증 환자를 위한 영문 입력자판
JP7041976B2 (ja) 重症患者のための日本語入力キーボード
KR20160130908A (ko) 눈 응시용 보완 대체 의사소통판 세트
DV et al. Eye gaze controlled adaptive virtual keyboard for users with SSMI
Go et al. Itone: a japanese text input method for a dual joystick game controller
Jabeen et al. C-SAK: Chinese Scanning Ambiguous Keyboard for Parkinson's Disease Patients
KR102065532B1 (ko) 한글 입력용 안구인식 키보드
KR102361607B1 (ko) 한글 깨치기 단말기
Aranyanak An experimental analysis of braille reading using a high-resolution tracking system
Jabeen et al. Improving Mobile Device interaction for Parkinson's Disease Patients via PD-Helper.
Fiske Removing obstacles to easy reading
Sen The Specific ICT Tools Enable Disabled Students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