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3091A - 선형 스피커 - Google Patents

선형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3091A
KR20220113091A KR1020210016849A KR20210016849A KR20220113091A KR 20220113091 A KR20220113091 A KR 20220113091A KR 1020210016849 A KR1020210016849 A KR 1020210016849A KR 20210016849 A KR20210016849 A KR 20210016849A KR 20220113091 A KR20220113091 A KR 20220113091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coupling means
seating groove
magnetic force
coupled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6849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33620B1 (ko
Inventor
왕기성
유종민
강명구
Original Assignee
대홍테크뉴(주)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대홍테크뉴(주) filed Critical 대홍테크뉴(주)
Priority to KR1020210016849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33620B1/ko
Priority to PCT/KR2022/001691 priority patent/WO2022169263A2/ko
Publication of KR20220113091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3091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33620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33620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02Casings; Cabinets ; Supports therefor; Mountings therein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1/00Details of transducers, loudspeakers or microphones
    • H04R1/20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 H04R1/22Arrangement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or directional characteristics for obtaining desired frequency characteristic only 
    • H04R1/28Transducer mountings or enclosures modified by provision of mechanical or acoustic impedances, e.g. resonator, damping means
    • H04R1/2807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 H04R1/2838Enclosures comprising vibrating or resonating arrangements of the bandpass type
    • H04R1/2846Vents, i.e. ports, e.g. shape thereof or tuning thereof with damping materia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25Magnetic circuit

Abstract

본 발명은 선형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의 진동판을 가지는 스피커를 쉽게 조립하기 위한 선형 스피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Description

선형 스피커{LINEAR SPEAKER}
본 발명은 선형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의 진동판을 가지는 스피커를 쉽게 조립하기 위한 선형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선형 스피커는 전형적인 포인트 소스 스피커에 비해 소리를 확성하는 것에 있어서, 구조와 성능에 큰 차이가 있고, 공간이 넓어질수록 라인 어레이 스피커의 사용이 포인트 소스 스피커의 사용보다 더 유리할 수 있다.
선형 스피커는 무지향성 방사 스피커 소자들의 그룹으로, 구체적으로는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형상의 진동판을 가지는 스피커 장치이다. 선형 스피커는 장거리에 소리를 방사에 매우 효과적일 수 있다.
선형 스피커는 기존의 디스크 형상의 진동판을 가지는 스피커와 진동판을 진동하기 위한 구동부의 구조 또는 부품의 구성이 다르고, 조립과정에서 부품 간의 간섭으로 최소화하여 쉽고 빠르게 스피커를 조립하기 위한 기술이 필요하다.
본 발명은 선형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일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의 진동판을 가지는 스피커를 쉽게 조립하기 위한 선형 스피커를 제공하기 위한 것이다.
본 발명이 이루고자 하는 기술적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한 기술적 과제들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기술적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본 발명의 선형 스피커는 상하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진동하고 상기 제1 방향에서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하측 면에 상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일 기판; 상기 코일 기판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자력부; 상기 코일 기판의 타측면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 자력부; 상기 제1 자력부가 고정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자력부가 고정되고, 상기 코일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형 스피커에서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자력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1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2 자력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2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형 스피커에서 상기 제1 안착홈의 저면 또는 천정면에는 제1 조립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안착홈의 저면 또는 천정면에는 제2 조립홀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형 스피커에서 상기 제1 프레임에는 상기 제1 안착홈에 안착된 제1 자력부의 일면이 상기 코일 기판의 상기 일측면에 노출되도록 하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상기 제2 안착홈에 안착된 제2 자력부의 일면이 상기 코일 기판의 상기 타측면에 노출되도록 하는 제2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형 스피커에서 상기 제1 안착홈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1 개구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길고, 상기 제2 안착홈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2 개구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긴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형 스피커에서 상기 제1 프레임에는 상기 제2 프레임과 대면하는 일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상기 제1 프레임과 대면하는 일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 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제1 프레임에는 상기 제2 프레임과 대면하는 일면에 상기 제2 결합 수단과 결합하는 제3 결합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상기 제1 프레임과 대면하는 일면에 상기 제1 결합 수단과 결합하는 제4 결합 수단이 마련되는 것 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형 스피커에서 상기 제1 결합 수단 및 상기 제3 결합 수단은 상기 제2 방향 상에서 상기 제1 안착홈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며, 상기 제2 결합 수단 및 상기 제4 결합 수단은 상기 제2 방향 상에서 상기 제2 안착홈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형 스피커에서 상기 제1 프레임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통기를 위한 복수의 제1 통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통기를 위한 복수의 제2 통기홀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형 스피커에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제1 안착홈, 상기 제2 안착홈, 상기 제1 통기홀 및 상기 제2 통기홀을 덮도록 상기 가요성 프레임을 통해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형 스피커는 상기 코일 기판의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3 방향 상의 일단부가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3 방향 상의 타단부가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가요성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형 스피커에서 상기 가요성 지지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주름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형 스피커에서 상기 가요성 지지부는 제1 통기홀 및 상기 제2 통기홀을 덮지 않도록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형 스피커는 조립과정에서 구동부로서 사용되는 제1 자력부와 제2 자력부 간의 간섭을 최소화하여, 조립을 쉽고 빠르게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형 스피커는 선형 스피커의 대칭 구조를 활용한 것으로,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동일 금형으로 제조하여, 제조에 요구되는 자원을 최소화할 수 있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형 스피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선형 스피커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는 제1 프레임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선형 스피커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선형 스피커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들을 참조하여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를 상세히 설명한다. 이 과정에서 도면에 도시된 구성요소의 크기나 형상 등은 설명의 명료성과 편의상 과장되게 도시될 수 있다. 또한, 본 발명의 구성 및 작용을 고려하여 특별히 정의된 용어들은 사용자, 운용자의 의도 또는 관례에 따라 달라질 수 있다. 이러한 용어들에 대한 정의는 본 명세서 전반에 걸친 내용을 토대로 내려져야 한다.
본 발명의 설명에 있어서, 유의하여야 할 점은 용어 "중심", "상", "하" "좌", "우", "수직", "수평", "내측", "외측", “일면”, “타면” 등이 지시한 방위 또는 위치 관계는 도면에서 나타낸 방위 또는 위치 관계, 또는 평소에 본 발명 제품을 사용할 시 배치하는 방위 또는 위치관계에 기초한 것이고, 본 발명의 설명과 간략한 설명을 위한 것일 뿐, 표시된 장치 또는 소자가 반드시 특정된 방위를 가지고 특정된 방위로 구성되거나 조작되어야 하는 것을 제시 또는 암시하는 것이 아니므로 본 발명을 제한하는 것으로 이해해서는 아니 된다.
도 1은 본 발명의 선형 스피커를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선형 스피커를 나타내는 분해사시도이다. 도 3은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을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4는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을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도 5는 제1 프레임(100)을 나타내는 사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선형 스피커를 나타내는 평면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선형 스피커를 나타내는 저면도이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을 참조하여, 본 발명의 선형 스피커에 대해서 상세히 설명한다.
도 1 및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형 스피커는, 상하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진동하고 상기 제1 방향에서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진동판(500); 상기 진동판(500)의 하측 면에 상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일 기판(600); 상기 코일 기판(600)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자력부(300); 상기 코일 기판(600)의 타측면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 자력부(400); 상기 제1 자력부(300)가 고정되는 제1 프레임(100); 및 상기 제2 자력부(400)가 고정되고, 상기 코일 기판(600)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프레임(100)과 결합되는 제2 프레임(200)을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이하, 도 1 내지 도 7에서, 상하 방향인 z축 방향을 제1 방향이라 하고, 제1 방향과 수직하고 진동판(500)의 길이 방향인 x축 방향을 제2 방향이라 하며, 제1 방향 및 제2 방향에 수직한 y축 방향을 제3 방향이라 한다.
본 발명의 스피커 장치에서, 진동판(500)의 면에서 수직한 상기 제1 방향에 평행한 직선에 대해서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은 축 대칭으로 형성될 수 있다. 즉,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은 3차원 공간에서 z축 방향을 기준으로 서로 축 대칭 관계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프레임(100)을 대칭 축(z축과 평행한 축)을 기준으로 180도 회전하면 제2 프레임(200)이 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프레임(100)과 제2 프레임(200)은 동일한 금형으로 제작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선형 스피커는 소리를 생성하는 진동판(500)의 형상이 선형으로 형성된 것으로, 구체적으로는 진동판(500)은 제1 방향에 수직한 평면으로 형성되며, 제3 방향으로 일정한 폭을 가지고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즉, 본 발명의 선형 스피커에서 진동판(500)은 제2 방향으로 길이가 제3 방향의 길이보다 더 긴 평면일 수 있다. 진동판(500)은 허니컴(honeycomb) 재질의 판으로 경량으로 휨 응력이 강할 수 있다. 또한, 허니컴 재질의 진동판(500)은 소리의 직진성에 이점이 있을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진동판(500)의 테두리를 따라 가요성 프레임(510)이 연결될 수 있다. 가요성 프레임(510)은 고리 형상으로 마련되어 내주에 진동판(500)의 테두리가 연결되고, 외주가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의 상부면에 연결될 수 있다. 가요성 프레임(510)은 곡면으로 형성되어 작은 응력으로 형상이 변화될 수 있다. 가요성 프레임(510)은 TPU(thermo plastic polyurethane), NBR(nitrile-butadiene rubber) 등의 재질로 마련될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자성체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의 제1 영구자석(310)과, 제1 영구자석(31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1 요크(3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1 영구자석(310)의 자기분극 방향은 제1 방향일 수 있다. 제1 요크(320)는 제1 방향에 수직한 평면을 가지는 플레이트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도 2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2 자성체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막대 형상의 제2 영구자석(410)과, 제2 영구자석(410)의 상단부 및 하단부에 각각 결합되는 한 쌍의 제2 요크(420)를 포함할 수 있다. 제2 영구자석(410)의 자기분극 방향은 제1 방향으로, 제1 영구자석(310)의 자기분극 방향과 반대 방향일 수 있다. 제2 요크(420)는 제1 방향에 수직한 평면을 가지는 플레이트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영구자석(310)의 자기분극 방향이 N극이 상측 S극이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되면, 제2 영구자석(410)의 자기분극 방향은 S극이 상측 N극이 하측을 향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자력부(300) 및 제2 자력부(400)의 상부 및 하부에는 제3 방향으로 자기장이 형성될 수 있다.
코일 기판(600)은 제3 방향에 수직한 평면을 가지고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형상으로 형성 수 있다. 코일 기판(600)의 상단부는 진동판(500)에 결합되고, 코일 기판(600)의 하단부는 후술할 가요성 지지부(700)에 결합될 수 있다. 코일 기판(600)은 제1 자력부(300) 및 제2 자력부(400)에 비접촉 상태로 제1 자력부(300) 및 제2 자력부(400) 사이에 위치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3 방향 상에서 제1 자력부(300), 코일 기판(600), 제2 자력부(400) 순으로 배열될 수 있다. 코일 기판(600)의 제1 방향 상의 길이는 제1 자력부(300) 및 제2 자력부(400)의 제1 방향 상의 길이보다 길게 형성되어, 코일 기판(600)의 상단부는 제1 자력부(300) 및 제2 자력부(400)의 상단부보다 더 상측으로 돌출되고, 코일 기판(600)의 하단부는 제1 자력부(300) 및 제2 자력부(400)의 하단부보다 더 하측으로 돌출될 수 있다. 코일 기판(600)에는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직선 구간을 포함하는 배선로 형성된 코일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프레임(1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자력부(300)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1 안착홈(11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200)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2 자력부(400)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2 안착홈(210)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착홈(110) 및 제2 안착홈(210)은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의 상부면에 각각 형성되어, 제1 자력부(300) 및 제2 자력부(400)는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의 상측에서 제1 안착홈(110) 및 제2 안착홈(210) 각각에 삽입될 수 있다.
제1 안착홈(110)은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향에 수직한 제1 안착홈(110)의 단면 형상은 제1 방향에 수직한 제1 자력부(300)의 단면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제2 안착홈(210) 또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장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안착홈(210)의 단면 형상은 제1 방향에 수직한 제2 자력부(400)의 단면의 형상과 대응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안착홈(110)의 저면 또는 천정면에는 제1 조립홀(111)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안착홈(210)의 저면 또는 천정면에는 제2 조립홀(211)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예를 들어, 제1 안착홈(110)이 제1 프레임(100)의 상부면에 형성될 경우, 제1 안착홈(110)의 저면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제1 조립홀(111)이 형성될 수 있다. 마찬가지로, 제2 안착홈(210)이 제2 프레임(200)의 상부면에 형성될 경우, 제2 안착홈(210)의 저면을 상하방향으로 관통하는 제2 조립홀(211)이 형성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프레임(100)에는 상기 제1 안착홈(110)에 안착된 제1 자력부(300)의 일면이 상기 코일 기판(600)의 상기 일측면에 노출되도록 하는 제1 개구부(120)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200)에는 상기 제2 안착홈(210)에 안착된 제2 자력부(400)의 일면이 상기 코일 기판(600)의 상기 타측면에 노출되도록 하는 제2 개구부(220)가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자력부(300)의 일부가 제1 개구부(120)에 삽입되도록 제1 자력부(300)의 일면의 일부 영역은 제3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제2 자력부(400) 또한, 제2 자력부(400)의 일부가 제2 개구부(220)에 삽입되도록 제2 자력부(400)의 일면의 일부 영역은 제3 방향으로 돌출될 수 있다.
도 3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안착홈(110)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1 개구부(120)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길고, 상기 제2 안착홈(210)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2 개구부(220)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긴 것일 수 있다. 따라서, 제1 자력부(300)의 일부와 제2 자력부(400)의 일부는 제1 개구부(120) 및 제2 개구부(220)에 각각 삽입되어, 제1 자력부(300)와 제2 자력부(400)의 간의 간격을 최소화하여 강한 자기장을 형성할 수 있고, 제1 개구부(120) 및 제2 개구부(220)에 삽입되지 않은 제1 자력부(300)의 나머지 일부와 제2 자력부(400)의 나머지 일부는 충분한 두께의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의 구조물로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3 내지 도 5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프레임(100)에는 상기 제2 프레임(200)과 대면하는 일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 수단(131)이 마련되고, 상기 제2 프레임(200)에는 상기 제1 프레임(100)과 대면하는 일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 수단(231)이 마련되며, 상기 제1 프레임(100)에는 상기 제2 프레임(200)과 대면하는 일면에 상기 제2 결합 수단(231)과 결합하는 제3 결합 수단(132)이 마련되고, 상기 제2 프레임(200)에는 상기 제1 프레임(100)과 대면하는 일면에 상기 제1 결합 수단(131)과 결합하는 제4 결합 수단(232)이 마련되는 것일 수 있다.
상기 제1 결합 수단(131) 및 상기 제3 결합 수단(132)은 상기 제2 방향 상에서 상기 제1 안착홈(110)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며, 상기 제2 결합 수단(231) 및 상기 제4 결합 수단(232)은 상기 제2 방향 상에서 상기 제2 안착홈(210)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것일 수 있다.
제1 결합 수단(131)과 제2 결합 수단(231)은 제1 방향에 평행한 축에 대칭 서로 대칭 구조일 수 있고, 제3 결합 수단(132)과 제4 결합 수단(232)은 제1 방향에 평행한 축에 대칭 서로 대칭 구조일 수 있다.
제1 결합 수단(131)은 제4 결합 수단(232)과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되고, 제2 결합 수단(231)은 제3 결합 수단(132)과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 수단(131)은 제2 프레임(200)과 대면하는 제1 프레임(100)의 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4 결합 수단(232)은 제1 프레임(100)과 대면하는 제2 프레임(200)의 일면에 홈으로 형성되며, 제1 결합 수단(131)이 제4 결합 수단(232)에 삽입되어 제1 결합 수단(131)과 제4 결합 수단(232)은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2 결합 수단(231)은 제1 프레임(100)과 대면하는 제2 프레임(200)의 일면에 돌출되어 형성되고, 제3 결합 수단(132)은 제2 프레임(200)과 대면하는 제1 프레임(100)의 일면에 홈으로 형성되며, 제2 결합 수단(231)이 제3 결합 수단(132)에 삽입되어 제2 결합 수단(231)과 제3 결합 수단(132) 역시 서로 결합될 수 있다.
제1 결합 수단(131) 또는 제2 결합 수단(231)은 스냅핏(snap-fit), 훅(hook) 등의 구조로 형성될 수 있고, 제3 결합 수단(132) 또는 제4 결합 수단(232)은 홀 또는 홈으로 형성될 수 있다.
제1 결합 수단(131)과 제4 결합 수단(232) 사이 또는 제2 결합 수단(231)과 제3 결합 수단(132) 사이에는 접착제가 도포되어 본딩으로 결합될 수 있다.
다른 실시 양태로, 제1 결합 수단(131)과 제4 결합 수단(232) 간의 결합 구조 또는 제2 결합 수단(231)과 제3 결합 수단(132) 간이 결합 구조는 리벳(rivets) 구조, 스프링 클립(spring clips) 구조, 머신 스크류(machine screw) 구조, 셀프 테핑 스크류(self tapping screw) 구조, 행핀 힌지(Pin hinge) 구조, 훅앤아이 힌지(hook and eye hinge) 구조, 리빙 힌지(living hinge) 구조, 볼 그립 힌지(ball grip hinge) 구조, 스트랩 힌지(strap hinge) 구조, 스프링 클립 힌지(spring clip hinge) 구조 또는 히트 실링 힌지(heat sealing hinge) 구조 등일 수 있다.
도 3 및 도 4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제1 프레임(100)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통기를 위한 복수의 제1 통기홀(140)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200)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통기를 위한 복수의 제2 통기홀(240)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제1 통기홀(140) 및 제2 통기홀(240)은 진동판(500)이 조립체 내부의 공기에 의해서 운동을 방해받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제1 통기홀(140)은 제1 방향으로 제1 프레임(1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되고, 제2 통기홀(240)은 제1 방향으로 제2 프레임(200)을 관통하도록 형성될 수 있다.
도 6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진동판(500)은 상기 제1 안착홈(110), 상기 제2 안착홈(210), 상기 제1 통기홀(140) 및 상기 제2 통기홀(240)을 덮도록 상기 가요성 프레임(510)을 통해 상기 제1 프레임(100) 및 상기 제2 프레임(200)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이와 같은 구조로, 제1 통기홀(140) 및 제2 통기홀(240)은 제1 프레임(100) 및 제2 프레임(200)과 진동판(500) 사이의 공기가 외부 공기와 통기 가능하도록 할 수 있다.
본 발명의 선형 스피커는 상기 코일 기판(600)의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3 방향 상의 일단부가 상기 제1 프레임(100)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3 방향 상의 타단부가 상기 제2 프레임(200)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가요성 지지부(700)를 더 포함하는 것일 수 있다. 가요성 지지부(700)는 코일 기판(600)이 기울거나 정위치에서 이탈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상기 가요성 지지부(700)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주름이 형성되는 것일 수 있다. 가요성 지지부(700)에 형성된 주름은 가요성 지지부(700)가 코일 기판(600)의 운동을 방해하는 것을 방지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상기 가요성 지지부(700)는 제1 통기홀(140) 및 상기 제2 통기홀(240)을 덮지 않도록 상기 제1 프레임(100) 및 상기 제2 프레임(200)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것일 수 있다. 구체적으로 가요성 지지부(700)는 제1 방향으로 수직한 면을 가지는 직사각형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가요성 지지부(700)에서 제2 방향과 평행한 두 모서리가 각각 제1 프레임(100)의 저면 및 제2 프레임(200)의 저면에 부착될 수 있다.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제1 프레임(100)의 저면에는 한쌍의 제1 전극홈(150)이 형성되고, 제2 프레임(200)의 저면에는 한쌍의 제2 전극홈(250)이 형성될 수 있다. 제1 전극홈(150)은 제3 방향 상에서 제2 프레임(200)과 대면하는 제1 프레임(100)의 단부에 위치하며, 제2 전극홈(250)은 제3 방향 상에서 제1 프레임(100)과 대면하는 제2 프레임(200)의 단부에 위치하는 동시에 제1 전극홈(150)과 대면하는 위치에 형성될 수 있다. 따라서, 제1 전극홈(150)과 제2 전극홈(250)이 합해져 하나의 홈을 형성할 수 있다. 즉, 하나의 전극(800)은 제1 전극홈(150)과 제2 전극홈(250)에 동시에 삽입될 수 있다.
한쌍의 제1 전극홈(150) 및 제2 전극홈(250)에 삽입된 한쌍의 전극(800)은 통전 와이어(900)로 코일 기판(600)에 형성된 코일과 전기적으로 연결될 수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선형 스피커를 조립하는 선형 스피커 조립 방법에 대해서 설명한다.
본 발명의 선형 스피커 조립 방법은,
제1 자력부를 제1 안착홈에 삽입시키고, 제2 자력부는 제2 안착홈에 삽입시키는 단계;
제1 프레임과 제2 프레임을 결합하는 단계;
상단부가 진동판에 결합된 코일 기판을 제1 자력부와 제2 자력부 사이에 삽입시키는 단계;
진동판을 가요성 프레임을 통해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상부면에 결합하는 단계;
코일 기판의 하단부에 가요성 지지부를 부착하는 단계;
가요성 지지부를 제1 프레임 및 제2 프레임의 하부면에 결합하는 단계;
전극을 제1 전극홈 및 제2 전극홈에 삽입하는 단계; 및
전극과 코일 기판을 통전 와이어로 연결하는 단계를 포함할 수 있다.
이상에서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이 설명되었으나, 이는 예시적인 것에 불과하며, 당해 분야에서 통상적 지식을 가진 자라면 이로부터 다양한 변형 및 균등한 범위의 실시예가 가능하다는 점을 이해할 것이다. 따라서, 본 발명의 진정한 기술적 보호 범위는 다음의 특허청구범위에 의해서 정해져야 할 것이다.
100...제1 프레임 110...제1 안착홈
111...제1 조립홀 120...제1 개구부
131...제1 결합 수단 132...제3 결합 수단
140...제1 통기홀 150...제1 전극홈
200...제2 프레임 210...제2 안착홈
211...제2 조립홀 220...제2 개구부
231...제2 결합 수단 232...제4 결합 수단
240...제2 통기홀 250...제1 전극홈
300...제1 자력부 310...제1 영구자석
320...제1 요크 400...제2 자력부
410...제2 영구자석 420...제2 요크
500...진동판 510...가요성 프레임
600...코일 기판 700...가요성 지지부
800...전극 900...통전 와이어

Claims (12)

  1. 상하 방향인 제1 방향으로 진동하고 상기 제1 방향에서 수직한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진동판;
    상기 진동판의 하측 면에 상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코일 기판;
    상기 코일 기판의 일측면으로부터 상기 제1 방향 및 상기 제2 방향에 수직한 제3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1 자력부;
    상기 코일 기판의 타측면으로부터 상기 제3 방향으로 일정 거리 이격되어 위치하는 제2 자력부;
    상기 제1 자력부가 고정되는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자력부가 고정되고, 상기 코일 기판을 사이에 두고 상기 제1 프레임과 결합되는 제2 프레임을 포함하는 것인 선형 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1 자력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1 안착홈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부면 또는 하부면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상기 제2 자력부가 삽입되어 안착되는 제2 안착홈이 형성되는 것이 선형 스피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홈의 저면 또는 천정면에는 제1 조립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안착홈의 저면 또는 천정면에는 제2 조립홀이 형성되는 것인 선형 스피커.
  4.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에는 상기 제1 안착홈에 안착된 제1 자력부의 일면이 상기 코일 기판의 상기 일측면에 노출되도록 하는 제1 개구부가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상기 제2 안착홈에 안착된 제2 자력부의 일면이 상기 코일 기판의 상기 타측면에 노출되도록 하는 제2 개구부가 형성되는 것인 선형 스피커.
  5. 제4항에 있어서,
    상기 제1 안착홈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1 개구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길고,
    상기 제2 안착홈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는 상기 제2 개구부의 상기 제2 방향으로의 길이보다 더 긴 것인 선형 스피커.
  6.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에는 상기 제2 프레임과 대면하는 일면에 형성되는 제1 결합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상기 제1 프레임과 대면하는 일면에 형성되는 제2 결합 수단이 마련되며,
    상기 제1 프레임에는 상기 제2 프레임과 대면하는 일면에 상기 제2 결합 수단과 결합하는 제3 결합 수단이 마련되고,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상기 제1 프레임과 대면하는 일면에 상기 제1 결합 수단과 결합하는 제4 결합 수단이 마련되는 것인 선형 스피커.
  7. 제6항에 있어서,
    상기 제1 결합 수단 및 상기 제3 결합 수단은 상기 제2 방향 상에서 상기 제1 안착홈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며,
    상기 제2 결합 수단 및 상기 제4 결합 수단은 상기 제2 방향 상에서 상기 제2 안착홈을 사이에 두고 위치하는 것인 선형 스피커.
  8. 제2항에 있어서,
    상기 제1 프레임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통기를 위한 복수의 제1 통기홀이 형성되고,
    상기 제2 프레임에는 상기 제1 방향으로 통기를 위한 복수의 제2 통기홀이 형성되는 것인 선형 스피커.
  9. 제8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은 상기 제1 안착홈, 상기 제2 안착홈, 상기 제1 통기홀 및 상기 제2 통기홀을 덮도록 상기 가요성 프레임을 통해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상부면에 결합되는 것인 선형 스피커.
  10. 제9항에 있어서,
    상기 코일 기판의 하단부가 결합되고,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며, 상기 제3 방향 상의 일단부가 상기 제1 프레임의 하부면에 결합되고, 상기 제3 방향 상의 타단부가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가요성 지지부를 더 포함하는 것인 선형 스피커.
  11.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지지부는 상기 제2 방향으로 연장되는 복수의 주름이 형성되는 것인 선형 스피커.
  12. 제10항에 있어서,
    상기 가요성 지지부는 제1 통기홀 및 상기 제2 통기홀을 덮지 않도록 상기 제1 프레임 및 상기 제2 프레임의 하부면에 결합되는 것인 선형 스피커.
KR1020210016849A 2021-02-05 2021-02-05 선형 스피커 KR102433620B1 (ko)

Priority Applications (2)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849A KR102433620B1 (ko) 2021-02-05 2021-02-05 선형 스피커
PCT/KR2022/001691 WO2022169263A2 (ko) 2021-02-05 2022-02-03 선형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6849A KR102433620B1 (ko) 2021-02-05 2021-02-05 선형 스피커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3091A true KR20220113091A (ko) 2022-08-12
KR102433620B1 KR102433620B1 (ko) 2022-08-19

Family

ID=82742403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6849A KR102433620B1 (ko) 2021-02-05 2021-02-05 선형 스피커

Country Status (2)

Country Link
KR (1) KR102433620B1 (ko)
WO (1) WO2022169263A2 (ko)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0952A (ko) * 2007-10-23 2009-04-28 (주)에스더블유피신우전자 전자음향변환기
KR101259399B1 (ko) * 2012-10-15 2013-04-30 범진아이엔디(주) 스피커

Family Cites Families (3)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35627B1 (ko) * 2011-09-06 2013-12-03 주식회사 윈스메탈 스피커
KR101259400B1 (ko) * 2012-10-15 2013-04-30 범진아이엔디(주) 스피커용 보이스판
KR101259398B1 (ko) * 2012-10-15 2013-04-30 범진아이엔디(주) 스피커

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090040952A (ko) * 2007-10-23 2009-04-28 (주)에스더블유피신우전자 전자음향변환기
KR101259399B1 (ko) * 2012-10-15 2013-04-30 범진아이엔디(주) 스피커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WO2022169263A2 (ko) 2022-08-11
WO2022169263A3 (ko) 2022-10-13
KR102433620B1 (ko) 2022-08-19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8400027B2 (en) Flat linear vibrating motor
US7136501B2 (en) Acoustically enhanced electro-dynamic loudspeakers
US10432074B2 (en) Vibrator unit and vibration generator
US6973194B2 (en) Speaker
US7245048B2 (en) Tactile panel
US11510008B2 (en) Stick-type vibrating driver
KR20170136627A (ko) 선택적으로 지지되는 코일 와이어 및 도선을 구비하는 모바일 적용예를 위한 무프레임형 오디오 변환기
EP4061007A1 (en) Flat panel type vibration driver
KR102433620B1 (ko) 선형 스피커
JP6188417B2 (ja) ハイブリッドスピーカ
JP2023539346A (ja) ラウドスピーカ及び電子装置
JP6548050B2 (ja) ブザーユニットおよび信号表示灯
KR102240554B1 (ko) 비원형 진동자
JP2012034184A (ja) スピーカ装置
KR100533714B1 (ko) 폐루프 형상의 코일판을 구비하는 평판스피커
CN109982222B (zh) 一种微型受话器
KR102474550B1 (ko) 선형 스피커
KR102472158B1 (ko) 진동자
WO2010013330A1 (ja) スピーカ装置、およびスピーカ装置の製造方法
CN211831145U (zh) 扬声器设备
US20240137703A1 (en) Flat panel type vibration driver
US10932056B2 (en) Speaker
JP2016140061A (ja) ボイスコイル、磁気回路、及びアクチュエータ
JP2022043691A (ja) スピーカ
CN112702683A (zh) 一种微型扬声器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