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101259398B1 - 스피커 - Google Patents

스피커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101259398B1
KR101259398B1 KR1020120114057A KR20120114057A KR101259398B1 KR 101259398 B1 KR101259398 B1 KR 101259398B1 KR 1020120114057 A KR1020120114057 A KR 1020120114057A KR 20120114057 A KR20120114057 A KR 20120114057A KR 101259398 B1 KR101259398 B1 KR 101259398B1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plate
attached
frame
voice coil
coil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120114057A
Other languages
English (en)
Inventor
노유현
Original Assignee
범진아이엔디(주)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범진아이엔디(주), 범진시엔엘 주식회사 filed Critical 범진아이엔디(주)
Priority to KR1020120114057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1259398B1/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1259398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1259398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9/00Transducers of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 H04R9/02Details
    • H04R9/04Construction, mounting, or centering of coil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7/00Diaphragms for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Cones
    • H04R7/16Mounting or tensioning of diaphragms or cone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209/00Details of transducers of the moving-coil, moving-strip, or moving-wire type covered by H04R9/00 but not provided for in any of its subgroups
    • H04R2209/024Manufacturing aspects of the magnetic circuit of loudspeaker or microphone transducers
    • HELECTRICITY
    • H04ELECTRIC COMMUNICATION TECHNIQUE
    • H04RLOUDSPEAKERS, MICROPHONES, GRAMOPHONE PICK-UPS OR LIKE ACOUSTIC ELECTROMECHANICAL TRANSDUCERS; DEAF-AID SETS; PUBLIC ADDRESS SYSTEMS
    • H04R2400/00Loudspeakers
    • H04R2400/11Aspects regarding the frame of loudspeaker transducers

Landscapes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Physics & Mathematics (AREA)
  • Acoustics & Sound (AREA)
  • Signal Processing (AREA)
  • Multimedia (AREA)
  • Audible-Bandwidth Dynamoelectric Transducers Other Than Pickup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보이스코일의 접착 불량의 발생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하면서 접착제의 불균일한 도포에 따른 변형이 방지되도록 하며 보이스코일의 평탄도가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상기 스피커는 상하가 개방된 장방형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상호 대응되면서 이격되게 장착되는 한 쌍의 하부 플레이트와;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상호 대응되면서 이격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의 상단을 따라 부착되는 엣지와;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엣지의 내측에 부착되는 진동판과; 상기 마그넷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진동판의 하면 중앙에 수직으로 부착되고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코일설치판과, 상기 코일설치판을 관통하여 트랙형으로 형성되는 설치공과, 상기 설치공의 내부에 장착되고 코일이 적층되게 와권되어 형성되는 적층형 보이스코일을 가지는 보이스코일판을; 포함한다.

Description

스피커{A SPEAKER}
본 발명은 스피커에 관한 것으로, 보다 상세하게는 보이스코일의 접착 불량의 발생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하면서 접착제의 불균일한 도포에 따른 변형이 방지되도록 하며 보이스코일의 평탄도가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스피커에 관한 것이다.
일반적으로 스피커는 전기신호를 진동판의 진동으로 바꾸어 공기에 소밀파(疏密波)를 발생시킴으로써 음파를 방사하는 음향장치이다. 스피커에 구비되는 상기 진동판이 진동되는 원리는, 자기장에 놓여진 보이스코일에 전류가 흐를 때 발생되는 로렌츠 힘에 의해 진동판을 저주파로 진동시키면 저음이 발생하고, 고주파로 진동시키면 고음이 발생되는 현상을 이용하며, 이때 같은 진동수를 갖더라도 진폭이 커지면 음압레벨이 높아져 소리의 크기도 커지게 된다.
종래의 스피커의 일예인 등록특허 제0306117호 "평면 진동판을 갖는 스피커"를 도 7 내지 도 9에 도시하여 그 구성과 작동 관계를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도 7 및 도 8에 도시된 바와 같이 종래의 스피커의 보이스코일판(100)은 비자성 재료로 구성되는 코일부착부재(101)와, 상기 코일부착부재(101)에 부착되며 상기 코일부착부재(101)의 평면상에 와권(渦捲)된 내측 말단부가 절곡되어 외부로 노출되는 내측 전원인가선(106)과, 상기 코일부착부재(101)의 평면상에 와권된 외측 말단부가 외부로 노출되는 외측 전원인가선(104)을 포함하는 보이스코일(102)로 구성되며, 상기 보이스코일판(100)의 단면을 보여주는 도 8에서처럼 코일부착부재(101)의 한쪽 면에만 코일이 와권되는 구조를 갖는다.
도 9는 종래의 평판형 스피커의 구조를 나타내는 분해 사시도이며, 도 7에 도시한 종래의 스피커용 보이스코일판(100)은 연속적인 요철형으로 절곡되어 진동판(200)에 부착되고, 영구 자석이 설치되는 플레이트(300)에 형성된 삽입홈(302)으로 인입된다.
상기 보이스코일(102)에 전류가 흐를 때, 상기 보이스코일판(100)은 진동판에 수직인 방향으로 진동하게 되고 이에 따라 상기 보이스코일판(100)에 부착된 진동판이 가진되어 음파가 방사된다.
그런데, 상기와 같은 종래 기술에는 다음과 같은 문제점이 있었다.
종래의 스피커용 보이스코일판(100)은 코일을 트랙형으로 와권하여 상기 보이스코일(102)을 형성한 후에 이와 같이 와권되어 형성된 상기 보이스코일(102)을 상기 코일부착부재(101)의 외면에 접착제로 접착하여 제조됨으로써, 접착 불량이 발생할 우려가 크고 접착제의 양에 따라 접착제가 경화되는 중에 상기 코일부착부재 자체를 변형시키고 접착제가 불균일하게 도포되어 상기 보이스코일(102)의 평탄도가 낮아지는 문제점이 있었다.
등록특허 제0306117호 "평면 진동판을 갖는 스피커"
이에 본 발명은 상기와 같은 종래의 제반 문제점을 해소하기 위해 안출된 것으로,
본 발명의 목적은, 보이스코일의 접착 불량의 발생이 원천적으로 방지되도록 하면서 접착제의 불균일한 도포에 따른 변형이 방지되도록 하며 보이스코일의 평탄도가 현저히 향상되도록 하는 스피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코일설치판의 배면에 전원접속판을 설치하여 보이스코일에 대한 전원의 접속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면서 코일설치판의 견고성이 향상되도록 하는 스피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끼움공과 끼움턱을 형성하여 상기 전원접속판의 조립이 보다 간편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피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진동판의 하면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상기 진동판의 하면에 상기 코일설치판의 부착이 보다 용이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피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프레임에 고정부재를 장착하여 마그넷과 플레이트의 조립 및 설치가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도록 하는 스피커를 제공함에 있다.
또한, 본 발명의 다른 목적은, 댐퍼를 설치하여 상기 보이스코일판의 상하 진동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도록 하는 스피커를 제공함에 있다.
상기와 같은 목적을 달성하기 위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는, 상하가 개방된 장방형의 프레임과;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상호 대응되면서 이격되게 장착되는 한 쌍의 하부 플레이트와;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마그넷과; 상기 마그넷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프레임의 내측면에 상호 대응되면서 이격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상부 플레이트와; 상기 프레임의 상단을 따라 부착되는 엣지와;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엣지의 내측에 부착되는 진동판과; 상기 마그넷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진동판의 하면 중앙에 수직으로 부착되고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코일설치판과, 상기 코일설치판을 관통하여 트랙형으로 형성되는 설치공과, 상기 설치공의 내부에 장착되고 코일이 적층되게 와권되어 형성되는 적층형 보이스코일을 가지는 보이스코일판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상기 보이스코일판은, 상기 코일설치판의 배면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장착홈과, 상기 장착홈에 상호 대칭되게 부착되고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전원접속판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상기 보이스코일판은, 상기 전원접속판에 형성되는 끼움공과, 상기 끼움공에 대응하여 상기 코일설치판의 배면에 형성되는 끼움턱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상기 진동판은, 상기 코일설치판의 상단이 삽입된 상태로 부착되도록 상기 진동판의 하면 중앙에 형성되는 삽입홈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상기 프레임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마그넷 및 상부 플레이트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의 양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조립공과, 상기 조립공에 끼워져 걸린 상태로 부착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와 마그넷 및 상부 플레이트를 일체로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또한,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는, 상기 프레임의 개방된 하부에 양단이 부착되고, 상기 코일설치판의 하단이 중앙에 부착되며, 주름지게 형성되는 댐퍼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한다.
삭제
상술한 바와 같은 본 발명은, 보이스코일의 접착 불량의 발생이 원천적으로 방지되고, 접착제의 불균일한 도포에 따른 변형이 방지되며, 보이스코일의 평탄도가 현저히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코일설치판의 배면에 전원접속판을 설치하여 보이스코일에 대한 전원의 접속이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코일설치판의 견고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끼움공과 끼움턱을 형성하여 상기 전원접속판의 조립이 보다 간편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보이스코일판의 조립성과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진동판의 하면에 삽입홈을 형성하여 상기 진동판의 하면에 상기 코일설치판의 부착이 보다 용이하면서 안정적으로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스피커 자체의 조립성과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프레임에 고정부재를 장착하여 마그넷과 플레이트의 조립 및 설치가 보다 간편하게 이루어지고, 그에 따라 스피커 자체의 조립성과 생산성이 향상되는 효과를 갖는다.
또한, 본 발명은, 댐퍼를 설치하여 상기 보이스코일판의 상하 진동이 안정적으로 지지되는 효과를 갖는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결합 사시도,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개략적인 종단면도,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보이스코일판의 사시도,
도 5는 도 4에 따른 보이스코일판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도 6은 도 4에 따른 B-B 선의 단면도,
도 7은 종래의 스피커의 보이스코일판을 보인 정면도,
도 8은 도 7의 A-A 선의 개략적인 단면도,
도 9는 종래의 스피커를 보인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
이하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가 도시된 첨부 도면을 참조하여 보다 상세하게 설명하면 다음과 같다. 그러나 본 발명은 다수의 상이한 형태로 구현될 수 있고, 기술된 실시예에 제한되지 않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고, 도 2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결합 사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개략적인 종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는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내측에 설치되는 하부 플레이트(20)와, 상기 하부 플레이트(20)의 상면에 부착되는 마그넷(30)과, 상기 마그넷(30)의 상면에 부착되는 상부 플레이트(40)와, 상기 프레임(10)의 상단 둘레에 부착되는 엣지(50)와, 상기 엣지(50)의 내측에 부착되는 진동판(60)과, 상기 진동판(60)의 하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보이스코일판(70)과, 상기 프레임(10)의 하단 내측에 부착되는 댐퍼(80)를 포함한다.
상기 프레임(10)은 상하가 개방된 장방형으로 구비되는 것으로, 그 내측에 제반 부품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면서 제반 부품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20)와 마그넷(30) 및 상부 플레이트(40)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10)의 양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조립공(11)과, 상기 조립공(11)에 끼워져 걸린 상태로 부착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20)와 마그넷(30) 및 상부 플레이트(40)를 일체로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12)를 더 포함한다.
상기 조립공(11)은 상기 고정부재(12)가 끼워져 걸린 상태로 부착되거나 장착되어 조립될 수 있도록 하는 구멍이다.
상기 고정부재(12)는 상기 조립공(11)에 걸린 상태로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 플레이트(20)와 마그넷(30) 및 상부 플레이트(40)를 일체로 고정시키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은 역할을 하는 상기 고정부재(12)는 상기 하부 플레이트(20)의 하면과 상기 상부 플레이트(40)의 상면을 지지하도록 내측면에 상하로 이격된 한 쌍의 턱이 형성된다.
상기 하부 플레이트(20)는 수평으로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프레임(10)의 내측면에 상호 대응되게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마그넷(30)의 자력을 수직방향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마그넷(30)은 수평으로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고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20)의 상면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보이스코일판(70)에 발생된 자기장에 대응하여 인력 및 척력과 같은 자력을 발생시켜 상기 보이스코일판(70)이 상하로 진동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상부 플레이트(40)는 수평으로 상호 이격되게 한 쌍으로 구비되고 상기 마그넷(30)의 상면에 부착되며 상기 프레임(10)의 내측면에 상호 대응되게 장착되는 것으로, 상기 하부 플레이트(20)와 마찬가지로 상기 마그넷(30)의 자력을 수직방향으로 모아주는 역할을 한다.
상기 엣지(50)는 상기 프레임(10)의 상단을 따라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10)에 대응하여 상기 진동판(60)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진동판(60)은 상기 프레임(1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엣지(50)의 내측에 부착되는 것으로, 상기 보이스코일판(70)의 상하 진동에 따라 진동되면서 외부로 음향을 출력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진동판(60)은 그 하면 중앙에 형성되는 삽입홈(61)을 더 포함한다. 상기 삽입홈(61)은 상기 보이스코일판(70)의 상단이 삽입된 상태로 부착될 수 있도록 하여 상기 보이스코일판(70)이 적절한 위치에 손쉽게 부착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상기 보이스코일판(70)은 상기 진동판(60)의 하면에 수직으로 부착되는 것으로, +/- 전원의 공급에 의해 전자석이 되어 자기장을 형성하면서 상기 마그넷(30)과 상호 작용으로 상하 진동력을 발생시키는 역할을 한다.
상기 댐퍼(80)는 상기 프레임(10)의 개방된 하부에 양단이 부착되고 상기 보이스코일판(70)의 하단이 중앙에 부착되며 주름지게 형성되는 것으로, 상기 프레임(10)의 하단 내측에서 상기 보이스코일판(70)의 상하 진동을 지지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구성되는 본 스피커는 전원의 공급에 의해 상기 마그넷(30)의 사이에서 상기 보이스코일판(70)이 상기 댐퍼(80)에 의해 지지된 상태로 상하로 진동하게 되고, 그에 따라 상기 보이스코일판(70)의 상단에 부착된 상기 진동판(60)이 상기 엣지(50)에 지지된 상태로 진동하여 외부로 음향을 출력하게 되는 것이다.
도 4는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보이스코일판의 사시도이고, 도 5는 도 4에 따른 보이스코일판의 개략적인 분해 사시도이며, 도 6은 도 4에 따른 B-B 선의 단면도이다.
이에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에 따른 스피커의 상기 보이스코일판(70)은 상기 마그넷(3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진동판(60)의 하면 중앙에 수직으로 부착되고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코일설치판(71)과, 상기 코일설치판(71)을 관통하여 트랙형으로 형성되는 설치공(72)과, 상기 설치공(72)의 내부에 장착되고 코일이 적층되게 와권되어 형성되는 적층형 보이스코일(73)을 포함한다.
상기 코일설치판(71)은 상기 적층형 보이스코일(73)이 설치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설치공(72)은 상기 적층형 보이스코일(73)이 상기 코일설치판(71)의 내측에 일체로 장착되는 장소를 제공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적층형 보이스코일(73)은 금속재 와이어로, 예를 들면 구리선으로, 형성되는 코일이 도시된 바와 같이 수평방향 및 수직방향으로 적층되어 하나의 트랙형 구조를 형성하는 것으로, 전원의 공급에 의해 전자석으로 형성되는 역할을 한다.
이와 같이 상기 적층형 보이스코일(73)은 적층되는 구조로 형성되어 그 자체가 견고성을 가져 상대적으로 변형이 방지되는 구조를 이루며 상기 설치공(72)의 내측에서 상기 코일설치판(71)에 견고하게 부착됨으로써, 접착 불량과 접착제에 의한 평탄도의 저하가 원활히 방지된다.
아울러, 상기 코일설치판(71)은 상기 적층형 보이스코일(73)을 인서트한 상태에서 합성수지로 사출 성형되어 형성되는 것이 가장 바람직하다. 이와 같이 상기 적층형 보이스코일(73)이 상기 코일설치판(71)에 인서트 사출 성형되어 고정됨으로써, 상기 적층형 보이스코일(73)과 상기 코일설치판(71)이 별도의 접착제 없이 견고하게 일체로 부착된다.
상기 보이스코일판(70)은 상기 코일설치판(71)의 배면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장착홈(74)과, 상기 장착홈(74)에 상호 대칭되게 부착되고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전원접속판(75)을 더 포함한다.
상기 장착홈(74)은 상기 전원접속판(75)이 일정한 위치에 견고히 부착될 수 있는 공간을 제공하는 역할을 하고, 상기 전원접속판(75)은 상기 적층형 보이스코일(73)과 연결되어 상기 적층형 보이스코일(73)에 전원이 손쉽게 연결될 수 있도록 하면서 금속재의 판으로, 예를 들면 구리판으로, 형성되어 상기 코일설치판(71)을 보강하는 역할을 한다.
상기 보이스코일판(70)은 상기 전원접속판(75)에 형성되는 끼움공(76)과, 상기 끼움공(76)에 대응하여 상기 코일설치판(71)의 배면에 형성되는 끼움턱(77)을 더 포함한다.
상기 끼움공(76)은 상기 끼움턱(77)에 끼워지면서 상기 전원접속판(75)이 상기 코일설치판(71)의 배면의 정해진 위치에 손쉽게 고정될 수 있도록 하는 것이다.
이상에서 본 발명의 바람직한 실시예를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은 다양한 변화와 변경 및 균등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은 상기 실시예를 적절히 변형하여 동일하게 응용할 수 있음이 명확하다. 따라서 상기 기재 내용은 하기 특허청구범위의 한계에 의해 정해지는 본 발명의 범위를 한정하는 것이 아니다.
한편, 본 발명의 상세한 설명에서는 구체적인 실시 예에 관해서 설명하였으나, 본 발명의 범위에서 벗어나지 않는 한도 내에서 여러 가지 변형이 가능함을 당해 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게 있어서 자명하다할 것이다.
10 : 프레임
11 : 조립공 12 : 고정부재
20 : 하부 플레이트
30 : 마그넷
40 : 상부 플레이트
50 : 엣지
60 : 진동판
61 : 삽입홈
70 : 보이스코일판
71 : 코일설치판 72 : 설치공
73 : 적층형 보이스코일 74 : 장착홈
75 : 전원접속판 76 : 끼움공
77 : 끼움턱
80 : 댐퍼

Claims (7)

  1. 상하가 개방된 장방형의 프레임(10)과;
    상기 프레임(10)의 내측면에 상호 대응되면서 이격되게 장착되는 한 쌍의 하부 플레이트(20)와;
    각각 상기 하부 플레이트(20)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호 이격되는 한 쌍의 마그넷(30)과;
    상기 마그넷(30)의 상면에 부착되고 상기 프레임(10)의 내측면에 상호 대응되면서 이격되게 장착되는 한 쌍의 상부 플레이트(40)와;
    상기 프레임(10)의 상단을 따라 부착되는 엣지(50)와;
    상기 프레임(10)의 개방된 상부를 폐쇄하도록 상기 엣지(50)의 내측에 부착되는 진동판(60)과;
    상기 마그넷(30)의 사이에 배치되도록 상기 진동판(60)의 하면 중앙에 수직으로 부착되고 비전도성 재질로 형성되는 코일설치판(71)과, 상기 코일설치판(71)을 관통하여 트랙형으로 형성되는 설치공(72)과, 상기 설치공(72)의 내부에 장착되고 코일이 적층되게 와권되어 형성되는 적층형 보이스코일(73)을 가지는 보이스코일판(70)을;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코일판(70)은,
    상기 코일설치판(71)의 배면 양측에 형성되는 한 쌍의 장착홈(74)과,
    상기 장착홈(74)에 상호 대칭되게 부착되고 금속재질로 형성되는 한 쌍의 전원접속판(75)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3. 제2항에 있어서,
    상기 보이스코일판(70)은,
    상기 전원접속판(75)에 형성되는 끼움공(76)과,
    상기 끼움공(76)에 대응하여 상기 코일설치판(71)의 배면에 형성되는 끼움턱(77)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진동판(60)은,
    상기 코일설치판(71)의 상단이 삽입된 상태로 부착되도록 상기 진동판(60)의 하면 중앙에 형성되는 삽입홈(61)을,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은,
    상기 하부 플레이트(20)와 마그넷(30) 및 상부 플레이트(40)에 대응하여 상기 프레임(10)의 양측면에 관통되게 형성되는 한 쌍의 조립공(11)과,
    상기 조립공(11)에 끼워져 걸린 상태로 부착되고 상기 하부 플레이트(20)와 마그넷(30) 및 상부 플레이트(40)를 일체로 고정하는 한 쌍의 고정부재(12)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10)의 개방된 하부에 양단이 부착되고, 상기 코일설치판(71)의 하단이 중앙에 부착되며, 주름지게 형성되는 댐퍼(80)를;
    더 포함하는 것을 특징으로 하는 스피커.
  7. 삭제
KR1020120114057A 2012-10-15 2012-10-15 스피커 KR101259398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057A KR101259398B1 (ko) 2012-10-15 2012-10-15 스피커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120114057A KR101259398B1 (ko) 2012-10-15 2012-10-15 스피커

Publications (1)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1259398B1 true KR101259398B1 (ko) 2013-04-30

Family

ID=48443940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20114057A KR101259398B1 (ko) 2012-10-15 2012-10-15 스피커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1259398B1 (ko)

Cited By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235B1 (ko) * 2013-05-22 2013-10-15 범진아이엔디(주) 슬림형 스피커 및 이의 조립 방법
CN105933834A (zh) * 2016-03-21 2016-09-07 东莞市乐莱电子有限公司 一种振动发声结构及其制备工艺
KR101765679B1 (ko) 2016-06-09 2017-08-08 주식회사 비에스이 모바일 디바이스용 평판 보이스 코일 스피커
WO2022169263A3 (ko) * 2021-02-05 2022-10-13 대홍테크뉴(주) 선형 스피커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5286A (ja) * 1995-01-30 1996-08-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
KR20050054653A (ko) * 2003-12-05 2005-06-10 신정열 평판형 스피커용 보이스코일판
KR20120011769A (ko) * 2010-07-23 2012-02-08 주식회사 엑셀웨이 평판형 스피커의 자석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프레임 구조
KR101119499B1 (ko) 2011-02-16 2012-02-28 주식회사 엑셀웨이 진동판 상부에 장착되는 진동-리드 플레이트를 갖는 평판형 스피커

Patent Citations (4)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H08205286A (ja) * 1995-01-30 1996-08-09 Matsushita Electric Ind Co Ltd スピーカ
KR20050054653A (ko) * 2003-12-05 2005-06-10 신정열 평판형 스피커용 보이스코일판
KR20120011769A (ko) * 2010-07-23 2012-02-08 주식회사 엑셀웨이 평판형 스피커의 자석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프레임 구조
KR101119499B1 (ko) 2011-02-16 2012-02-28 주식회사 엑셀웨이 진동판 상부에 장착되는 진동-리드 플레이트를 갖는 평판형 스피커

Cited By (5)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1318235B1 (ko) * 2013-05-22 2013-10-15 범진아이엔디(주) 슬림형 스피커 및 이의 조립 방법
CN105933834A (zh) * 2016-03-21 2016-09-07 东莞市乐莱电子有限公司 一种振动发声结构及其制备工艺
CN105933834B (zh) * 2016-03-21 2021-10-19 东莞市乐莱电子有限公司 一种振动发声结构及其制备工艺
KR101765679B1 (ko) 2016-06-09 2017-08-08 주식회사 비에스이 모바일 디바이스용 평판 보이스 코일 스피커
WO2022169263A3 (ko) * 2021-02-05 2022-10-13 대홍테크뉴(주) 선형 스피커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CN107404693B (zh) 辐射器及双悬边扬声器和音箱及其应用
US8929570B2 (en) Speaker
CN209787376U (zh) 磁感应耳机喇叭及耳机
EP2475190A1 (en) Multifunctional micro-speaker
KR101471061B1 (ko) 스피커
KR101259398B1 (ko) 스피커
WO2022183801A1 (zh) 扬声器和电子设备
KR20120011769A (ko) 평판형 스피커의 자석 플레이트 및 베이스 프레임 구조
CN111819866A (zh) 扬声器
KR101208243B1 (ko) 박형 스피커 및 이를 위한 자기회로
WO2013176053A1 (ja) ハイブリッドスピーカ
KR101259399B1 (ko) 스피커
KR101134612B1 (ko) 장방형 스피커 모듈
KR101052825B1 (ko) 초슬림형 스피커
KR101259400B1 (ko) 스피커용 보이스판
KR100576268B1 (ko) 평판형 스피커용 보이스코일판
CN114286266B (zh) 扬声器和电子设备
KR101351892B1 (ko) 음향변환장치
KR101273734B1 (ko) 댐퍼리스 스피커
KR100576266B1 (ko) 양면 보이스코일판을 구비하는 평판형 스피커
KR102228315B1 (ko) 패널 가진형 스피커
US20200021917A1 (en) Speaker
KR20110085102A (ko) 스피커
CN210093497U (zh) 一种扬声器
CN114257932B (zh) 扬声器和电子设备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201 Request for examination
A302 Request for accelerated examination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60524

Year of fee payment: 4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70522

Year of fee payment: 5

FPAY Annual fee payment

Payment date: 20180405

Year of fee payment: 6