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1049A - 블록 조립식 가구 - Google Patents

블록 조립식 가구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1049A
KR20220111049A KR1020210014200A KR20210014200A KR20220111049A KR 20220111049 A KR20220111049 A KR 20220111049A KR 1020210014200 A KR1020210014200 A KR 1020210014200A KR 20210014200 A KR20210014200 A KR 20210014200A KR 20220111049 A KR20220111049 A KR 20220111049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frame
block
space
roll
prefabricated furni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10014200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474167B1 (ko
Inventor
박주환
Original Assignee
박주환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박주환 filed Critical 박주환
Priority to KR1020210014200A priority Critical patent/KR102474167B1/ko
Publication of KR20220111049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1049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474167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474167B1/ko

Links

Image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05Linkable dependent elements with the same or similar cross-section, e.g. cabinets linked together, with a common separation wall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61/00Wardrobes
    • A47B61/003Details of garment-holder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87/00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 A47B87/02Sectional furniture, i.e. combinations of complete furniture units, e.g. assemblies of furniture units of the same kind such as linkable cabinets, tables, racks or shelf units stackable ; stackable and linkabl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00Details of cabinets, racks or shelf units not covered by a single one of groups A47B43/00 - A47B95/00;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96/14Bars, uprights, struts, or like supports, for cabinets, brackets, or the like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20/00General furniture construction, e.g. fittings
    • A47B2220/0061Accessories
    • AHUMAN NECESSITIES
    • A47FURNITURE; DOMESTIC ARTICLES OR APPLIANCES; COFFEE MILLS; SPICE MILLS; SUCTION CLEANERS IN GENERAL
    • A47BTABLES; DESKS; OFFICE FURNITURE; CABINETS; DRAWERS; GENERAL DETAILS OF FURNITURE
    • A47B2230/00Furniture jointing; Furniture with such jointing
    • A47B2230/0074Mortise and tenon joints or the like including some general male and female connections

Landscapes

  • Assembled Shelve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블록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으로,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혹은 사용 용도에 따라 형태나 구성을 변경하여 조립하는 것이 가능하여 공간과 용도에 제약이 없다. 또한, 내부 공간을 분리할 수 있는 추가 구성을 포함하여 수납 내용물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Description

블록 조립식 가구{Block Assembly Furniture}
본 발명은 블록, 프레임, 공간조정부를 포함하여 수납 공간을 조정하고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 조립 구조와 구성을 변경하는 것이 가능한 블록 조립식 가구에 관한 것으로 공간을 분할하거나 수납 형태를 변형하는 것이 가능하다.
종래의 수납을 위한 가구는 티비장, 붙박이장, 옷장, 책장, 선반, 서랍장과 같이 정해진 형태에 한정되며 정해진 형태로 인해 용도가 한정되는 불편함이 존재했다.
종래의 기술 중 대한민국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92565호, 가구 결합형 옷장은 "측장에 책장 등의 가구를 나란히 밀착 배치 내지 결합하여 사용할 수 있는 가구 결합형 옷장"을 개시하고 있다. 이처럼, 해당 문헌은 옷장의 용도로 구성된 제품을 옷장에 한정하여 다른 용도로 사용하지 못하고 별도의 용도가 한정된 또 다른 가구를 부착하는 방식만을 제공하고 있다. 즉, 종래의 기술은 용도, 형태, 구성 등의 변경이 자유로운 가구를 제공하지 못하고 있다.
(선행문헌 0001) 등록실용신안공보 제20-0492565호, 2020.10.30.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용도나 형태를 한정하지 않고, 사용자의 편의 혹은 사용하고자 하는 용도 혹은 설치 공간에 따라 그 구성이나 형태를 변경할 수 있는 가구를 제공하는 것이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과제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과제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한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는 블록과 블록의 결합, 블록과 프레임의 결합, 프레임과 프레임의 결합 및 블록과 프레임과 공간조정부의 결합이 가능하여, 설치 공간에 맞춘 형태, 사용 용도에 맞춘 형태로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조립될 수 있다. 또한, 행거를 추가할 수 있고, 분할부재로 하나의 프레임 공간을 분리하여 수납하거나 혹은 공간분리재로 적어도 하나 이상의 프레임 공간을 분리할 수 있다. 추가로, 공간분리재를 이용해 프레임의 공개된 공간을 막힌 공간으로 전환하는 용도로 전환시킬 수 있으며, 프레임에 공간조정부를 얹거나, 블록을 사용하여 의자로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의 기타 구체적인 사항들은 상세한 설명 및 도면들에 포함되어 있다.
첫째,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형상을 변경할 수 있다.
둘째, 용도에 맞춰 조립 방식이나 구성을 변경할 수 있다.
셋째, 프레임 내부 공간을 분리하여 수납 물건을 분리하여 수납할 수 있다.
넷째, 블럭 쌓기와 같은 형태로 조립이 이루어지고 별도의 결합수단을 필요로 하지 않아 조립이 용이하다.
다섯째, 사용 중에도 조립 형태를 변경하는 것이 가능하다.
본 발명의 효과들은 이상에서 언급된 효과로 제한되지 않으며, 언급되지 않은 또 다른 효과들은 아래의 기재로부터 통상의 기술자에게 명확하게 이해될 수 있을 것이다.
도 1은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태도이다.
도 2는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상면을 포함한 형태도이다.
도 3은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의 하면을 포함한 형태도이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상부를 포함한 형태도이다.
도 5는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하부를 포함한 형태도이다.
도 6은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조정부의 상면을 포함한 형태도이다.
도 7은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조정부의 하면을 포함한 형태도이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과 블록의 조립상태도이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과 프레임의 조립상태도이다.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과 프레임의 조립상태도이다.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조정부와 프레임의 조립상태도이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할부재 형태도이다.
도 13a 및 13b는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조정부와 프레임과 블록의 조립상태도이다.
도 14, 도 15a 및 15b는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분리재 사용도이다.
이하 첨부된 도면을 참조하면서 본 발명에 따른 바람직한 실시예에 상세히 설명하기로 한다. 이에 앞서, 본 명세서 및 청구범위에 사용된 용어나 단어는 통상적이거나 사전적인 의미로 한정해서 해석되어서는 아니 되며, 발명자는 그 자신의 발명을 가장 최선의 방법으로 설명하기 위해 용어의 개념을 적절하게 정의할 수 있다는 원칙에 입각하여,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에 부합하는 의미와 개념으로 해석되어야만 한다.
따라서, 본 명세서에 기재된 실시예와 도면에 도시된 구성은 본 발명의 가장 바람직한 일 실시예에 불과할 뿐이고 본 발명의 기술적 사상을 모두 대변하는 것은 아니므로, 본 출원시점에 있어서 이들을 대체할 수 있는 다양한 균등물과 변형예들이 있을 수 있음을 이해하여야 한다.
도 1은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의 일실시예에 따른 조립형태도이다. 도 1에 따르면,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는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블록(100)을 도어형 혹은 서랍형으로 설치할 수 있고, 블록(100)이 도어형인 경우 도어의 형태에 따라 다양한 구성이 가능하다.
일실시예로, 도어형은 문이 하나인 경우, 양문형인 경우, 미닫이 문인 경우, 여닫이 문인 경우 등으로 구성할 수 있다. 이때, 도어의 구성을 탈착이 가능한 형태로 구성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도어의 상부면과 하부면에 도어연결구를 형성하고, 블록(100)의 내측면에 연결구와 결합하는 복수 개의 도어연결홈을 형성하여, 도어의 형태에 따라 도어연결구의 위치에 대응하는 도어연결홈에 결합할 수 있다.
또한, 미닫이 문이나 여닫이 문인 경우, 레일부를 포함하며, 레일부의 블록(100)의 내측면이 닿는 부분에 레일연결구를 형성하여 도어연결홈과 결합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는 프레임(200)과 공간조정부(30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프레임(200)은 12개의 골격부재가 육면체의 골격을 형성하며, 프레임(200) 간의 결합을 통해 내부 공간의 규모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혹은 수납하고자 하는 대상의 크기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공간조정부(300)는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프레임(200)의 바닥 혹은 천장을 형성한다. 공간조정부(300)는 프레임(200)이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 상단을 형성한 경우, 블록 조립식 가구의 상단을 선반으로 활용할 수 있도록 해당 프레임(200)의 상부에 거치되도록 결합하여 청장을 형성할 수 있다. 또한, 프레임(200) 간의 결합에 있어서 각각의 프레임(200)이 포함하고 있는 공간을 분리하기 위하여, 사용자의 선택에 의한 특정 프레임(200)에 바닥을 형성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2개의 프레임(200),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이 있고, 제 1 프레임이 제 2 프레임의 상부에 조립된 형태를 취한다. 통일된 공간 내에 수용 가능한 높이의 화분이 수납된 상태에서, 사용자의 편의에 의해 화분을 빼내고 전자렌지와 전기밥솥을 수납하고자 할 때,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 사이에 공간조정부(300)를 적층할 수 있다. 이에 따라,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의 공간이 서로 분리되어 칸이 나뉘게 된다. 사용자는 제 1 프레임의 공간에 전자렌지를 수납하고 제 2 프레임의 공간에 전기밥솥을 수납할 수 있다.
또한,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의 형태 특성상 개방된 공간을 형성하기 때문에 전선을 블록 조립식 가구 밖으로 빼내어 콘센트나 멀티탭에 연결하여 전자기기를 수납된 상태에서 사용하는 것이 가능하다.
도 2는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100)의 상면을 포함한 형태도이며, 도 3은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100)의 하면을 포함한 형태도이다. 도 8a 및 8b는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100)과 블록(100)의 조립상태도이다.
도 2와 도 3에 따르면 블록은 블록상면결합부(110)와 블록하면결합부(120)를 포함한다.
블록상면결합부(110)는 블록(100)의 상면 모서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 되도록 위치하여 돌출되며, 블록하면결합부(120)는 블록(100)의 하면 모서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하여 오목하게 홈 형성된다. 이에 따라, 도 8과 같은 결합구조에 있어서, 단순히 쌓아올려 조립하는 것이 아닌, 윗층 블록(100)과 아랫층 블록(100) 간의 요철부위가 결합되어 결합된 상태를 고정할 수 있도록 한다.
구체적으로, 윗층 블록(100)의 블록하면결합부(120)와 아랫층 블록(100)의 블록상면결합부(110)가 대응되도록 형성되어 있어, 서로 간의 결합을 통해 윗층과 아랫층의 적층 상태를 안정적으로 유지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블록(100)은 상면과 하면 간의 결합구조 뿐만 아니라, 블록(100)과 프레임(200)의 측면 간의 결합을 위한 구조를 추가할 수 있다. 예컨데, 측면에 프레임(200) 결합을 위한 측면돌출부를 형성하여 측면돌출부가 프레임(200) 측면의 4개의 골격부재 내에 맞도록 결합될 수 있다.
도 4a 및 도 4b는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상부를 포함한 형태도이며, 도 5는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의 하부를 포함한 형태도이다. 도 9a 및 9b는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의 일실시예에 따른 프레임과 프레임의 조립상태도이며, 도 10a 및 10b는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의 일실시예에 따른 블록과 프레임의 조립상태도이다.
도 4a와 도 5에 따르면, 프레임(200)은 프레임상부결합부(210)와 프레임하부결합부(220)를 포함한다.
프레임상부결합부(210)는 상부에 블록하면결합부(120)와 대응하도록 형성되며, 프레임하부결합부(220)는 블록상면결합부(110)와 대응하도록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프레임상부결합부(210)는 프레임(200)의 상부를 이루는 4개의 골격부재로부터 프레임(200) 상부 방향으로 돌출되도록 형성되며, 블록하면결합부(120)에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또한, 프레임하부결합부(220)는 프레임(200)의 하부를 이루는 4개의 골격부재로부터 프레임(200) 상부 방향으로 파져 홈을 형성하도록 형성되며, 블록상면결합부(110)가 결합되는 형태로 구성된다. 즉, 프레임상부결합부(210)는 블록상면결합부(110)와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되며, 프레임하부결합부(220) 또한 블록하부결합부와 동일한 규격으로 형성된다.
도 4b에 따르면, 프레임(200)은 행거(230), 행거고리(240) 및 고리연결홈(241)을 더 포함할 수 있다.
도시된 바와 같이, 행거(230)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옷걸이를 거는 것이 가능하며, 프레임(200) 상부에 거치될 수 있다. 행거고리(240)는 행거(230)가 프레임(200)의 상부에 거치되도록, 일단에 행거(230)를 고정한다. 고리연결홈(241)은 프레임(200) 상부의 사각형을 형성하는 4개의 골격부재 중 마주보는 한 쌍의 골격부재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홈형성되어, 행거고리(240)의 타단이 결합한다.
일실시예로, 행거고리(240)는 갈고리형, 자석형, 링형 등으로 형성될 수 있으며, 행거고리(240)가 자석형으로 형성된 경우, 행거(230) 또한 행거고리(240)에 고정되는데 있어 행거고리(240)에 대응되는 위치에 자석을 구성하여 자성에 의해 부착될 수 있어야 한다.
또한, 일실시예로, 행거고리(240)는 고리연결홈(241)과 결합하는데 있어서, 행거고리(240)와 고리연결홈(241)이 결합하는 면에 각각 서로에 대응하는 나사산을 형성하여 나사결합을 할 수 있다. 혹은, 행거고리(240) 타단이 고리연결홈(241)에 억지끼움으로 결합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행거고리(240) 타단에 갈고리를 형성하여 프레임(200) 상부를 구성하는 4개의 골격부재 중 하나에 걸어서 고정하는 방법이 있을 수 있다.
도 6은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조정부의 상면을 포함한 형태도이며, 도 7은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조정부의 하면을 포함한 형태도이다. 도 11a 및 11b는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조정부와 프레임의 조립상태도이다.
도 6 및 도 7에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조정부(300)는 조정부상면결합부(310)와 조정부하면결합부(320)를 포함할 수 있다.
조정부상면결합부(310)는 상면의 모서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하여 돌출되며, 조정부하면결합부(320)는 하면의 모서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되도록 위치하여 오목하게 홈 형성된다. 구체적으로, 조정부상면결합부(310)는 프레임하부결합부(220)에 결합되는 형태이며, 조정부하면결합부(320)는 프레임상부결합부(210)가 결합되는 형태이다. 즉, 조정부상면결합부(310)는 프레임상부결합부(210)와 동일한 규격을 가지고, 조정부하면결합부(320)는 프레임하부결합부(220)와 동일한 구격을 갖는다.
도 12a 내지 도 12c는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의 일실시예에 따른 분할부재 형태도이다.
도시된 바와 같이, 공간조정부(300)는 분할부재(330)를 더 포함할 수 있다. 분할부재(330)는 공간조정부(300)의 상면에 수납되어, 일측이 공간조정부(300)의 상면으로부터 회전하여 타측이 공간조정부(300)의 상면으로부터 직각이 되도록 세워진 상태에서 고정되면 공간조정부(300)가 위치한 프레임(200)의 수납 공간을 분할할 수 있다. 또한, 분할부재(330)는 공간조정부(300)가 프레임(200)의 천장을 형성한 경우에도 공간조정부(300)에 거치된 책과 같은 물품이 넘어지지 않도록 지지해주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분할부재(330)는 공간조정부(300) 상면에 홈형성된 분할부재결합홈을 포함하고 분할부재(330)는 조정부결합돌기를 돌출형성하여 분할부재결합홈에 슬라이딩 결합 혹은 억지끼움결합 할 수 있다. 또한, 분할부재(330)는 공간조정부(300)에 하나 이상 형성될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공간조정부(300)는 전선구명, 전선구멍커버 및 허브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전선구멍은 공간조정부(300)를 관통하여 전원선이 통과하도록 홀(hole)형성되며, 전선구멍커버는 전선구멍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전선구멍을 커버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전선구멍은 공간조정부(300)의 프레임(200)과 닿는 모서리에 오목형성되어 개방되되 프레임(200)의 골격부재에 의해 닫힌 형상이 될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로, 전선구멍커버는 전선구멍의 미사용 시 커버 역할을 하는 것 뿐만 아니라, 전원구멍을 사용시, 전선을 수용하는 전선수용홈을 포함하여 전선을 정리하는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허브는 전원입력부와 전원공급부를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전원입력부는 콘센트나 멀티탭 혹은 PC에 연결되어 허브에 전원을 공굽하며, 전원공급부는 콘센트형 또는 USB형으로 형성되어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에 수납된 전자기기에 전원을 공급할 수 있다. 전원공급부는 하나 이상으로 구성된다.
도 13a 및 13b는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조정부와 프레임과 블록의 조립상태도이다.
도 13a 및 13b에 따르면, 블록(100)과 프레임(200), 프레임(200)과 공간조정부(300)는 서로간의 결합을 위해 블록고정돌기(410), 블록고정홈, 고정돌기(420), 고정홈, 조정부고정돌기(430) 및 조정부고정홈을 포함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블록(100)과 블록(100), 프레임(200)과 프레임(200) 간의 결합에도 블록고정돌기(410), 블록고정홈, 고정돌기(420) 및 고정홈의 구성이 결합에 도움을 줄 수 있다.
블록고정돌기(410)는 블록상면결합부(110)에 하나 이상 돌출형성되며, 블록고정홈은 블록하면결합부(120)에 하나 이상 오목형성된다. 고정돌기(420)는 프레임상부결합부(210)에 블록고정홈과 대응되도록 돌출형성되고 고정홈은 프레임하부결합부(220)에 블록고정돌기(410)와 대응되도록 오목형성된다.
일실시예로, 프레임(200)과 프레임(200) 사이에 블록(100)이 결합되는 경우, 2개의 프레임(200), 제 1 프레임과 제 2 프레임 사이에 블록(100)이 결합되면, 제 1 프레임의 고정홈에 블록(100)의 블록고정돌기(410)가 삽입되고 제 2 프레임의 고정돌기(420)가 블록(100)의 블록고정홈에 삽입되어 결합의 고정된 정도가 단단해진다.
조정부고정돌기(430)는 조정부상면결합부(310)에 고정홈과 대응되도록 돌출형성되고, 조정부고정홈은 조정부하면결합부(320)에 고정돌기(420)와 대응되도록 오목형성된다.
도시된 바와 같이, 프레임(200) 상부에 공간조정부(300)의 하면이 결합되는 경우, 조정부하면결합부(320)에 프레임상부결합부(210)가 삽입되면서 고정돌기(420)가 조정부고정홈에 결합되어 프레임(200)과 공간조정부(300) 간의 결합이 단단하게 고정될 수 있다.
도 14, 도 15a 및 15b는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의 일실시예에 따른 공간분리재 사용도이다.
도시된바에 따르면, 프레임(200)은 상부롤(251), 하부롤(252) 및 공간분리재(253)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상부롤(251)은 프레임(200)에 탈착 가능하며, 골격부재를 따라 이동하거나 고정된다. 하부롤(252)은 프레임(200)에 탈착 가능하며, 골격부재를 따라 이동하거나 고정되며, 상부롤(251)과 대응되는 형상일 수 있다. 공간분리재(253)는 상부롤(251)과 하부롤(252)을 연결하되 상부롤(251)과 하부롤(252) 중 적어도 하나에 롤링되어 수납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공간분리재(253)는 두루마리 형식으로 상부롤(251)과 하부롤(252) 양쪽 모두에 말려 들어가거나 어느 한쪽에 말려 들어감으로써 수납이 될 수 있다. 공간분리재(253)의 면적이 늘려짐에 따라 상부롤(251)과 하부롤(252)이 서로 이격되면, 상부롤(251)이 블록 조립식 가구의 구성 중 하나의 프레임(200) 상부에 고정되고 하부롤(252)이 상부롤(251)이 고정된 프레임(200)과 동일한 프레임(200)의 하부 혹은 이웃한 프레임(200)에 고정됨으로써 공간분리재(253)가 본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 내부 공간을 분리하는 것이 가능하다. 즉, 공간분리재(253)는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길이방향으로 조정이 가능하다.
일실시예로, 상부롤(251)과 하부롤(252)가 각각 포함한 고정부재(254a, 254b)는 롤러형, 갈고리형, 자석형, 레일형 및 억지끼움결합형 등으로 프레임(200)과 결합할 수 있다. 고정부재(254a, 254b)가 프레임(200)과 결합하는 형태에 따라 공간분리재(253)가 프레임(200) 내부 공간을 나누는 형태를 사용자의 편의에 따라 조정할 수 있다.
일실시예로, 공간분리재(253)는 프레임(200) 내부 공간을 대각선으로 나눌 수 있다. 즉, 나뉘어진 2개의 공간 각각의 단면이 이루는 형상이 사다리꼴 형태일 수 있다. 또한, 일실시예로, 프레임(200) 내부 공간을 가리기 위한 용도로 공간분리재(253)가 프레임(200)의 가림막 역할을 수행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상부롤(251)의 양단이 프레임(200) 상부 4개의 골격부재 중 하나에 고정되고 하부롤(252)의 양단이 프레임(200) 하부 4개의 골격부재 중 상부롤(251)이 고정된 골격부재와 직하, 수평인 골격부재에 고정되어 프레임(200)의 육면체 형상 중 일면이 공간분리재(253)에 의해 갈려지도록 할 수 있다. 따라서, 사용자가 수납된 물품이 노출되는 것을 꺼리거나, 공조기에 의한 바람으로 수납된 물품이 흩어지는 것을 받지하기 위해 공간분리재(253)로 프레임(200) 내부 공간을 가릴 수 있다.
도시되지는 않았으나, 본원 발명의 블록 조립식 가구는 조립된 형태의 바닥면에 위치하여 마찰력을 높이는 미끄럼방지재 및 조립된 형태의 수평을 조절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수평조절재를 더 포함할 수 있다.
이상과 같이, 본 발명은 비록 한정된 실시예와 도면에 의해 설명되었으나, 본 발명은 이것에 의해 한정되지 않으며 본 발명이 속하는 기술분야에서 통상의 지식을 가진 자에 의해 본 발명의 기술 사상과 아래에 기재될 청구범위의 균등 범위 내에서 다양한 수정 및 변형이 가능함은 물론이다.
100 : 블록
110 : 블록상면결합부
120 : 블록하면결합부
200 : 프레임
210 : 프레임상부결합부
220 : 프레임하부결합부
230 : 행거
240 : 행거고리
241 : 고리연결홈
251 : 상부롤
252 : 하부롤
253 : 공간분리재
254a, 254b : 고정부재
300 : 공간조정부
310 : 조정부상면결합부
320 : 조정부하면결합부
330 : 분할부재
410 : 블록고정돌기
420 : 고정돌기
430 : 조정부고정돌기

Claims (4)

  1. 수납 공간을 포함하는 블록;
    12개의 골격부재가 육면체의 골격을 형성하는 프레임; 및
    사용자의 선택에 따라 상기 프레임의 바닥 혹은 천장을 형성하는 공간조정부;를 포함하며,
    상기 블록은,
    상면의 모서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 되도록 위치하여 돌출된 블록상면결합부; 및
    하면의 모서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 되도록 위치하여 오목하게 홈 형성된 블록하면결합부;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부에 상기 블록하면결합부와 대응하도록 형성된 프레임상부결합부; 및
    하부에 상기 블록상면결합부와 대응하도록 형성된 프레임하부결합부;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조정부는,
    상면의 모서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 되도록 위치하여 돌출된 조정부상면결합부; 및
    하면의 모서리로부터 내측으로 이격 되도록 위치하여 오목하게 홈 형성된 조정부하면결합부;를 포함하는 블록 조립식 가구.
  2.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프레임은,
    사용자의 선택에 의해 옷걸이를 거는 것이 가능한 행거;
    상기 행거가 상기 프레임의 상부에 거치되도록, 일단에 상기 행거를 고정하는 행거고리; 및
    상기 프레임 상부의 사각형을 형성하는 4개의 골격부재 중 마주보는 한 쌍의 골격부재에 서로 대응되는 위치에 홈형성되어, 상기 행거고리의 타단이 결합하는 고리연결홈;을 더 포함하는 블록 조립식 가구.
  3. 제 2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은,
    개방형, 도어형, 서랍형 중 어느 하나로 형성되며,
    상기 공간조정부는,
    상기 공간조정부를 관통하여 전원선이 통과하도록 홀(hole)형성된 전선구멍;
    상기 전선구멍에 대응하는 형상으로 상기 전선구멍을 커버하는 전선구멍커버;
    전원입력부와 전원공급부를 포함하는 허브; 및
    상기 공간조정부의 상면에 수납되어, 일측이 상기 공간조정부의 상면으로부터 회전하여 타측이 상기 공간조정부의 상면으로부터 직각이 되도록 세워진 상태에서 고정되면 상기 공간조정부가 위치한 프레임의 수납 공간을 분할하는 분할부재;를 더 포함하는 블록 조립식 가구.
  4. 제 1 항에 있어서,
    상기 블록 조립식 가구는,
    조립된 형태의 바닥면에 위치하여 마찰력을 높이는 미끄럼방지재; 및
    상기 조립된 형태의 수평을 조절하여 수평상태를 유지하도록 하는 수평조절재;를 더 포함하고,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며, 상기 골격부재를 따라 이동하거나 고정되는 상부롤;
    상기 프레임에 탈착 가능하며, 상기 골격부재를 따라 이동하거나 고정되는 하부롤; 및
    상기 상부롤과 상기 하부롤을 연결하되 상기 상부롤과 상기 하부롤 중 적어도 하나에 롤링되어 수납되는 공간분리재;를 더 포함하여,
    상기 공간분리재의 면적이 늘려짐에 따라 상기 상부롤과 상기 하부롤이 서로 이격 되어, 상기 상부롤이 상기 블록 조립식 가구의 구성 중 하나의 프레임 상부에 고정되고 상기 하부롤이 상기 상부롤이 고정된 프레임과 동일한 프레임의 하부 혹은 이웃한 프레임에 고정됨으로써 상기 공간분리재가 상기 블록 조립식 가구 내부 공간을 분리하며,
    상기 블록은,
    상기 블록상면결합에 돌출형성된 하나 이상의 블록고정돌기; 및
    상기 블록하면결합부에 오목형성된 하나 이상의 블록고정홈;를 포함하며,
    상기 프레임은,
    상기 프레임상부결합부에 상기 블록고정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형성되는 고정돌기; 및
    상기 프레임하부결합부에 상기 블록고정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오목형성되는 고정홈;를 포함하고,
    상기 공간조정부는,
    상기 조정부상면결합부에 상기 고정홈과 대응되는 위치에 돌출형성되는 조정부고정돌기; 및
    상기 조정부하면결합부에 상기 고정돌기와 대응되는 위치에 오목형성되는 조정부고정홈;를 포함하는 블록 조립식 가구.
KR1020210014200A 2021-02-01 2021-02-01 블록 조립식 가구 KR102474167B1 (ko)

Priorit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200A KR102474167B1 (ko) 2021-02-01 2021-02-01 블록 조립식 가구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1)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1020210014200A KR102474167B1 (ko) 2021-02-01 2021-02-01 블록 조립식 가구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1049A true KR20220111049A (ko) 2022-08-09
KR102474167B1 KR102474167B1 (ko) 2022-12-02

Family

ID=82844788

Family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210014200A KR102474167B1 (ko) 2021-02-01 2021-02-01 블록 조립식 가구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1) KR102474167B1 (ko)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2662U (ja) * 1999-04-01 1999-10-08 ワン ウェン−ツァン 収納家具
KR200383734Y1 (ko) * 2005-02-22 2005-05-09 (주)동현 오,에스,에프 사물함
US7254952B2 (en) * 2003-11-10 2007-08-14 Lilke Harvey D Modular wine cellar and wine storage system
US20080000863A1 (en) * 2006-06-09 2008-01-03 Dibello Brad Modular closet system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storage structure
US7866769B2 (en) * 2006-09-06 2011-01-11 Target Brands, Inc. Storage and organization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KR20140003249U (ko) * 2012-11-22 2014-05-30 박대희 종이가구
US9380885B1 (en) * 2014-12-12 2016-07-05 Nguyen Nguyen Modular seat and shelving system
KR20200002144U (ko) * 2019-03-21 2020-10-05 정세경 멀티퍼즐 아크릴 조립형 진열상자
KR200492565Y1 (ko) 2019-01-14 2020-11-05 편상연 가구 결합형 옷장

Patent Citations (9)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JP3062662U (ja) * 1999-04-01 1999-10-08 ワン ウェン−ツァン 収納家具
US7254952B2 (en) * 2003-11-10 2007-08-14 Lilke Harvey D Modular wine cellar and wine storage system
KR200383734Y1 (ko) * 2005-02-22 2005-05-09 (주)동현 오,에스,에프 사물함
US20080000863A1 (en) * 2006-06-09 2008-01-03 Dibello Brad Modular closet systems and method for constructing a storage structure
US7866769B2 (en) * 2006-09-06 2011-01-11 Target Brands, Inc. Storage and organization system and components thereof
KR20140003249U (ko) * 2012-11-22 2014-05-30 박대희 종이가구
US9380885B1 (en) * 2014-12-12 2016-07-05 Nguyen Nguyen Modular seat and shelving system
KR200492565Y1 (ko) 2019-01-14 2020-11-05 편상연 가구 결합형 옷장
KR20200002144U (ko) * 2019-03-21 2020-10-05 정세경 멀티퍼즐 아크릴 조립형 진열상자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74167B1 (ko) 2022-12-02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US12123211B2 (en) Modular space dividing systems and methods
US10750884B2 (en) Skateboard stand
CA2502318C (en) Modular furniture system
KR20220111049A (ko) 블록 조립식 가구
US10856658B2 (en) Kit for providing modular kitchens
US20130229094A1 (en) Modular desk
JPH0998845A (ja) 家 具
KR20150102458A (ko) 다기능 복합 가구
JP3382650B2 (ja) 間仕切り収納家具
KR200462388Y1 (ko) 다목적 가변식 거실장 구조
JP3382652B2 (ja) 間仕切り収納家具
US11744360B1 (en) Table with cable passageways
KR100522555B1 (ko) 천정 코너 고정형 수납 가구
JP6102163B2 (ja) 机と収納キャビネットの組合せ家具
JP3382651B2 (ja) 間仕切り収納家具
KR200457684Y1 (ko) 조립식 가구
JP6844596B2 (ja) 間仕切収納システム
KR20140005997U (ko) 조립식 옷장
JPH0354603Y2 (ko)
JP7151341B2 (ja) 収納棚の配線構造
JPH10271649A (ja) オフィス空間における電源,信号ラインの取出装置
US20210003286A1 (en) Digital Mantelpiece
CN206150925U (zh) 多功能书架
JP2013169330A (ja) 室内改変に使用する正六面構造体及び当該構造体により形成される空間構造並びに当該構造体を基礎素材とする室内改変方法
JP2020054525A (ja) 収納システム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PA0109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code: PA01091R01D

Comment text: Patent Application

Patent event date: 20210201

PA0201 Request for examination
PG1501 Laying open of application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PE0701 Decision of registration

Patent event code: PE07011S01D

Comment text: Decision to Grant Registration

Patent event date: 20220830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
PR0701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Comment text: Registration of Establishment

Patent event date: 20221130

Patent event code: PR07011E01D

PR1002 Payment of registration fee

Payment date: 20221130

End annual number: 3

Start annual number: 1

PG1601 Publication of registr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