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R20220110700A - 구강용 조성물 - Google Patents

구강용 조성물 Download PDF

Info

Publication number
KR20220110700A
KR20220110700A KR1020220093834A KR20220093834A KR20220110700A KR 20220110700 A KR20220110700 A KR 20220110700A KR 1020220093834 A KR1020220093834 A KR 1020220093834A KR 20220093834 A KR20220093834 A KR 20220093834A KR 20220110700 A KR20220110700 A KR 20220110700A
Authority
KR
South Korea
Prior art keywords
extract
composition
centella asiatica
corn
tincture
Prior art date
Application number
KR1020220093834A
Other languages
English (en)
Other versions
KR102547873B1 (ko
Inventor
유아람
이지혜
문교태
하원호
Original Assignee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riority date (The priority date is an assumption and is not a legal conclusion. Google has not performed a legal analysis and makes no representation as to the accuracy of the date listed.)
Filing date
Publication date
Application filed by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filed Critical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Publication of KR20220110700A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20220110700A/ko
Application granted granted Critical
Publication of KR102547873B1 publication Critical patent/KR102547873B1/ko

Links

Classificati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89Magnoliopsida [di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8/00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K8/18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 A61K8/96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 A61K8/97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characterised by the composition containing materials, or derivatives thereof of undetermined constitution from algae, fungi, lichens or plants; from derivatives thereof
    • A61K8/9783Angiosperms [Magnoliophyta]
    • A61K8/9794Liliopsida [monocotyledon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QSPECIFIC USE OF COSMETICS OR SIMILAR TOILETRY PREPARATIONS
    • A61Q11/00Preparations for care of the teeth, of the oral cavity or of dentures; Dentifrices, e.g. toothpastes; Mouth rinses
    • AHUMAN NECESSITIES
    • A61MEDICAL OR VETERINARY SCIENCE; HYGIENE
    • A61KPREPARATIONS FOR MEDICAL, DENTAL OR TOILETRY PURPOSES
    • A61K2800/00Properties of cosmetic compositions or active ingredients thereof or formulation aids used therein and process related aspects
    • A61K2800/40Chemical, physico-chemical or functional or structural properties of particular ingredients
    • A61K2800/59Mixtures
    • A61K2800/591Mixtures of compounds not provided for by any of the codes A61K2800/592 - A61K2800/596

Landscapes

  •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Life Sciences & Earth Sciences (AREA)
  • Veterinary Medicine (AREA)
  • Public Health (AREA)
  • General Health & Medical Sciences (AREA)
  • Animal Behavior & Ethology (AREA)
  • Epidemiology (AREA)
  • Birds (AREA)
  • Mycology (AREA)
  • Microbiology (AREA)
  • Botany (AREA)
  • Biotechnology (AREA)
  • Engineering & Computer Science (AREA)
  • Oral & Maxillofacial Surgery (AREA)
  • Emergency Medicine (AREA)
  • Cosmetics (AREA)

Abstract

본 발명은 구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으로,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강 내에서의 항염 효과가 극대화되거나, 또는 치주질환에 대한 개선 효과가 극대화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Description

구강용 조성물{Oral composition}
치약 양치액 등을 포함한 구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에 관한 것이다.
치아조직은 에나멜질, 시멘트질 및 상아질로 구성되어 있다. 외부에 노출되어 있는 치아의 바깥쪽은 에나멜질로 덮여 있고, 치조골 내에 위치하는 치아 뿌리 부분의 바깥쪽은 시멘트질로 덮여 있으며, 이들 내부에 상아질이 존재한다. 상아질에는 상아세관이라는 미세한 관이 상아질 전체에 걸쳐 분포하고 있다.
치아의 시린이 증상은 노출된 치아의 상아질 부분이 찬 공기나 자극적인 음식물 등에 접촉되었을 때 민감하게 느껴지는 것으로서, 이 증상의 근본적인 원인으로서 치아의 상아질에 존재하는 많은 세관이 외부로 노출되면서 나타난다. 치아의 시린이 증상은 가벼운 증상에서 격렬하고 지속적인 통증까지 다양하게 나타날 수 있다. 또한, 치아는 특성상 재생이 되지 않기 때문에 진통제나 소염제 등의 복용은 시린 현상의 근본적인 해결책이 되지 못하므로 시린이 증상을 완화하기 위한 여러 치료법이 발달하였다.
시린이 증상의 치료는 크게 상아세관 밀봉법과 치수신경 탈감작법 두가지가 있다. 상아세관 밀봉법은 노출된 상아세관을 레진 등으로 메우거나 불소 도포 등으로 손실된 법랑질을 다시 회복하는 방법이고, 치수신경 탈감작법은 신경전달이 나트륨 이온과 칼륨 이온의 적정 비율에 의해 조절되는 점을 감안하여 칼륨 이온의 함량을 인위적으로 높여줌으로써 신경이 시린 통증을 느끼지 못하게 하는 치료법이다. 그러나 이러한 전문 치료법의 시술은 치과에 가서 받아야 하는 번거로움이 있어 평소 생활에서 시린이를 치료 또는 예방할 수 있는 시린이를 위한 치약들이 판매되고 있다.
이러한 치약들은 상기 2가지 치료방법에 유용한 유효성분을 함유하고 있다. 그러나 이 중 제이인산칼륨 성분 등을 함유하여 치수신경 탈감작 효능이 나타나도록 구성된 치약은 효능이 나타나는 시간이 15일 정도로 길기 때문에 상대적으로 효능이 빨리 나타나는 상아세관 밀봉법에 의한 효능을 갖는 치약이 선호되고 있다.
그러나 종래의 상아세관 밀봉효과를 활용한 시린이 전문 치약의 경우 상아세관을 밀봉하기 위하여 유효성분의 미세한 파우더를 함유하게 되는데 통상적으로 칫솔질하는 과정에서 금방 묽게 희석되고, 물로 헹구는 과정에서 대부분 씻겨나가는 바람에 세관이 밀봉되지 못하고 다시 노출하게 되는 문제점이 있었다.
한편, 구취의 원인은 크게 구강 내 원인, 구강 외 원인 및 심인적 원인으로 분류되고 그 중 구취 원인의 80~90% 정도를 차지하는 구강 내 원인으로 타액량 감소, 타액 점조도 증가, 수소이온농도 완충능력 감소, 구강 미생물의 양과 활동성 증가 및 혀의 배면에 부착된 설태와 치료되지 않은 치아 우식증과 치주질환과 같은 구강질환 등이 있다.
한편, 구강질환 중 치아 우식증과 치주질환은 통증, 저작기능 장애, 치주조직의 파괴 및 구취와 같은 다양한 임상적인 증상을 유발하고 치아상실을 초래하는 주된 요인으로 알려져 있으며 식생활의 변화로 치아 우식의 원인요소는 더 증가하고 있는 실정이다.
치면세균막 내에 서식하면서 치아우식, 치주질환 및 구취를 유발하는 구강병원균 증식을 억제하는 방법으로, 이들 세균들에 대한 살균 및 정균작용을 갖는 항생제를 포함한 다양한 종류의 항균제제가 충치, 치주질환, 치수 및 치근단 감염의 억제 및 치료제로써 개발되어 왔다.
그런데 항생제는 우리 몸에 대한 전신적인 부작용과 함께 구강 내 내성균의 출현 및 균교대증을 유발할 수 있기 때문에 장기적인 사용이 곤란하여 단지 치료제로만으로 이용될 수 있다는 단점이 있다. 또한, 항균제인 불소의 경우는 충치예방효과는 뚜렷하지만 아직까지 치주나 치수, 치근단 질환에 대한 효과는 보고된 바가 없다. 그 외에 치약, 양치액 또는 기타 구강청정제에 사용되고 있는 항균제제로는 생귀나린(sanguinarine), 리스테린(listerine), 퍼록사이드(peroxide) 또는 클로르헥시딘(chlorohexidine) 등이 있다. 그러나, 생귀나린은 구강 내에서 세균에 대한 효과가 불분명하고 치주질환 치료효과에 대해서는 더욱 불분명할 뿐만 아니라 가격도 비싸다는 단점이 있고, 리스테린은 알코올이 주성분으로 실제 구강 내에서는 일시적인 효과 내지는 약간의 정균작용이 있으나 장기간 사용시 조직에 대해 위해작용도 나타날 수 있는 단점이 있으며, 최근 미백효과를 위해 첨가되고 있는 퍼록사이드는 세균에 대한 독성 작용이 있으나 동시에 인체조직에도 독성 작용을 나타내어 안전성에 문제가 있을 뿐 아니라 간혹 세균에서 퍼록사이드에 대한 내성균이 출현하기도 한다. 또한, 클로르헥시딘은 치태형성억제와 더불어 치주질환 예방 및 치료제로써 현재까지 알려진 제제 중에서 가장 우수한 것으로 알려져 있으나, 조직에 대한 자극, 조직의 착색 및 변성, 특히 자극적인 맛이 강하고 냄새가 심한 부작용을 나타내는 문제점이 있을 뿐 아니라, 그 외도 균교대증이 유발될 수 있고, 발암성이 있어 임신부의 경우 사용이 제한되는 등 치료나 특히 예방의 목적으로 장기간 사용할 수 없는 단점이 있다(Contemporary periodontics [ed. R.J. Genco et al.], p161~169, p368~369, p433, C.V. Mosby Company, St. Louis, 1990).
이에, 상기와 같은 부장용에 대한 우려가 없으면서, 구강에서 발생하는 장애 내지 질환의 예방, 개선 또는 치료 효과가 우수한 천연소재를 개발하고, 개발된 천연소재의 효능을 향상시키고자 하는 노력이 계속되고 있다.
본 발명이 해결하고자 하는 과제는 구강에서 발생하는 장애, 질환 또는 각종 해로운 증상의 개선 효과가 우수하고, 특히 항염 효과가 극대화되는 구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하는데 있다.
상술한 과제를 해결하기 위하여,
본 발명은 구강에서 항염증 효과가 우수한 천연소재를 유효성분으로 하는 구강용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보다 구체적으로, 본 발명은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 옥수수불검화추출물 및 후박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는 구강용 항염증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을 제공한다.
본 발명자들은 인체에 사용 가능한 수많은 천연소재들을 대상으로 선별 과정을 거치면서, 센텔라아시아티카, 옥수수불검화추출물과 후박에 항염증 및 항균 효과가 있음을 확인하였다. 그러나 치주질환을 비롯한 구강 내의 염증 질환은 복합적인 원인에 의해 발생되고 악화되는 병증으로, 센텔라아시아티카, 옥수수불검화추출물 또는 후박의 각각의 단독 사용만으로는 염증의 원인균에 대한 항균 작용, 염증 유발인자의 활성화 억제, 그리고 결합조직 붕괴 및 치조골 붕괴의 억제 및 재생에 이르는 복잡하고 광범위한 효과를 나타내기 어렵고, 따라서 구강용 항염증 조성물로서 유효한 효과를 발휘하지 못한다는 것을 확인하였다. 하지만,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 옥수수불검화추출물 및 후박추출물을 특정 중량비로 병용하면, 이들 간 시너지 작용을 일으켜, 구강 내에서 극대화된 항염 활성을 나타냄을 확인하였으며, 상기 3가지 추출물의 병용과 함께 수용성 식물틴크제를 더하면, 그 효과가 더욱 향상됨을 확인하고 본 발명을 완성하였다.
[추출물]
본 발명에 있어서, 용어 "추출물"은 추출처리에 의하여 얻어지는 추출액, 상기 추출액의 희석액이나 농충액, 상기 추출액을 건조하여 얻어지는 건조물, 상기 추출액의 조정제물이나 정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 등, 추출액 자체 및 추출액을 이용하여 형성 가능한 모든 제형의 추출물을 포함한다. 상기 건조물은 진공 건조, 동결 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 당업계 공지된 통상의 과정을 통해 수득할 수 있다. 상기 정제물은 통상적인 정제과정, 예를 들어, 일정한 분자량으로 컷-오프값을 갖는 여과막을 이용한 막 분리, 크기, 전하, 소수성 또는 친화성에 따른 분리를 위한 다양한 크로마토그래피에 의한 분리 등의 과정을 통해 수득할 수 있다.
추출물에는 후술하는 각각의 식물을 설명하며 특정된 부위 외에도 그의 잎, 줄기, 지상부, 나무껍질, 뿌리, 꽃 또는 꽃눈, 과실, 종자, 수액, 열매 및 전체 식물이 포함될 수 있고, 식물 조직 배양물로부터도 추출이 가능하다.
추출물을 제조하기 위하여, 통상의 기술자는 당업계에 공지된 임의의 적합한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예를 들어, 용매 추출법에 의할 수 있다. 식물 전체 또는 임의의 부분을 분쇄한 다음(예를 들어, 블렌더), 추출 용매를 처리하여, 용매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다. 분쇄 전에 건조 과정을 거친 다음 분쇄할 수도 있다. 또한, 용매 추출물은 감압 증류 및 동결건조 또는 분무 건조 등과 같은 추가적인 과정에 의해 분말 상태로 제조될 수 있다. 상기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비제한적인 예로는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글리세린, 부틸렌글라이콜, 프로필렌글라이콜 등의 다가 알코올; 및 메틸아세테이트, 에틸아세테이트, 아세톤, 벤젠, 헥산, 디에틸에테르, 디클로로메탄 등의 탄화수소계 용매;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상기 용매를 사용하여 1회 이상 추출하여 용매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으며, 상기 용매 추출물을 감압 증류한 후 동결건조 또는 분무 건조하여 얻은 건조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상기 추출 용매의 양은 이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에 따라 다양할 수 있으나, 예를 들어 대상 식물의 건조 중량에 대하여 1 내지 20배, 또는 5 내지 20배로 사용할 수 있다. 
이외에도, 당업계 공지된 다양한 추출 공정, 예를 들어, 온침(maceration), 인퓨전(infusion), 퍼콜레이션(percolation), 소화, 전즙(decoction), 고온 연속 추출(hot continuous extraction), 수성-알코올성 추출, 역류 추출, 마이크로파 보조 추출, 초음파 추출, 초임계 유체 추출, 조직편 추출(phytonic extract) (예를 들어, 하이드로-플루오로-카본 용매) 등) 등을 선택하여 사용할 수 있으며, 이들은 단독으로 수행되거나 2 종 이상의 방법을 병용하여 수행될 수 있다.
본 발명의 구강용 항염증 조성물의 유효성분으로 사용되는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 옥수수불검화추출물 및 후박추출물은 수불용성 항염증제로 사용되어 조성물의 항염증 효과를 현저하게 향상시킬 수 있다.
센텔라아시아티카(Centella asiatica)는 산형(Umbelliferae)과(미나리과: Apiaceae), 특히 피막이(Hydrocotyle)아과에 속한다. 센텔라아시아티카에 포함된 활성 화합물은 예를 들어, 트리테르펜 게닌(triterpene genin) 형태: 아시아틱산(asiatic acid) 및 마데카식산(madecassic acid); 또는 트리테르텐 헤테로사이드(triterpene heteroside) 형태: 아시아티코사이드(asiaticoside), 마데카소사이드(madecassoside) 및 터미놀로사이드(terminoloside);의 펜타시클릭 트리테르펜(pentacyclic triterpene) 등이다. 원산지는 한국이며, 우리나라 남부 지방의 섬에 주로 분포하는 여러해살이풀이다.
본 발명에 따른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은 센텔라아시아티카를 대상으로 추출처리를 통해 얻어지는 다양한 제형의 결과물을 의미한다. 상기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은, 센텔라아시아티카의 천연, 잡종 또는 변종 식물의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종자(씨앗), 뿌리, 지상부, 줄기, 잎, 꽃, 열매의 몸통, 열매의 껍질뿐만 아니라 식물 조직 배양물로부터도 추출이 가능하나, 바람직하게 줄기 또는 잎을 이용해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 용매 추출법에 의할 수 있다. 센텔라아시아티카에 추출 용매를 처리하여, 용매 추출물을 수득할 수 있으며, 사용되는 추출 용매의 종류는 특별히 제한되지 아니하며, 당해 기술 분야에서 공지된 임의의 용매를 사용할 수 있고, 예를 들어 물, 메탄올, 에탄올, 프로필알코올, 부틸알코올 등의 C1 내지 C4의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에는 센텔라아시아티카 유래의 다양한 활성 화합물이 포함될 수 있으나, 바람직하게 아시아티코사이드 및 게닌이 포함되며,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의 총 건조 중량 대비 아시아티코사이드 36~44 중량% 및 총게닌(마데카신산 및 아시아틴산) 54~66 중량% 를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은 수불용성으로, 예를 들어 피리딘에 잘 녹고, 에탄올, 초산, 프로필렌글리콜 및 디옥산에 녹지만, 벤젠 및 물에 녹지 않는다. 따라서, 물이 과량 함유되어 있는 제형, 예를 들어 치약과 같은 페이스트 상태에서는 현탁상으로 존재하게 된다.
옥수수불검화추출물(Titrated extract of theunsaponifiable fraction of Zea Mays L.)은 옥수수(Zea Mays L.)에 비누화반응을 시킨 후 남은 불검화물을 정량적으로 추출하는 과정을 거친 것을 의미한다. 상기 불검화물은 지질 성분으로 물에 녹지 않고 강알카리와 반응해 가용성 비누를 만들지 않는 물질을 말하고, 예를 들어 탄화수소, 지용성 색소, 지용성 비타민 등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불검화추출물을 수득하기 위해 사용되는 옥수수는 천연, 잡종 또는 변종 식물을 이용할 수 있고, 특정 원산지 내지 분포지에 제한되지 않는다.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불검화추출물에는 옥수수불검화물에서 유래된 다양한 활성 화합물이 포함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피토스테롤, 스쿠알렌, 카로틴, 토포페롤 등이 포함되며, 상기 피토스테롤에는 베타-시토스테롤, 알파-시토스테롤, 또는 캄페스테롤 등이 포함되고, 바람직하게 베타-시토스테롤이 포함된다.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불검화추출물은 당업계 공지된 다양한 방법을 통해 수득할 수 있고, 상업적으로 유통되는 것을 이용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옥수수(예를 들어, 옥수수 배아 등)로부터 채취한 옥수수기름을 가성소다 용액과 유기용매(예를 들어, n-헥산)를 사용하여 연속적인 검화 과정을 통하여 불검화물을 함유하는 추출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옥수수불검화추출물은 수불용성으로, 물이 과량 함유되어 있는 제형, 예를 들어 치약과 같은 페이스트 상태에서는 현탁상으로 존재하게 된다.
후박(Magnolia Bark)은 일본목련(Magnolia ovobata Thunberg), 후박 (厚朴) (Magnolia officinalis Rehder et Wilson) 또는 요엽후박 (凹葉厚朴) (Magnolia officinalis Rehder et Wilson var. biloba Rehder et Wilson (목련과 Magnoliaceae))의 줄기껍질이다.
본 발명에 따른 후박 추출물은 후박을 대상으로 추출처리를 통해 얻어지는 다양한 제형의 결과물을 의미한다. 상기 후박 추출물은, 후박의 천연, 잡종 또는 변종 식물의 다양한 기관으로부터 추출될 수 있고, 예를 들어 다양한 기관 또는 부분, 즉, 잎, 꽃, 열매, 줄기, 뿌리, 가지 및 껍질뿐만 아니라 식물 조직 배양물로부터도 추출이 가능하나, 바람직하게 껍질을 이용해 추출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후박 추출물은 특별히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 초임계 유체 추출법에 의할 수 있다. 초임계 유체 추출법은 초임계 유체 용매의 용해력을 이용해 물질을 추출 및 분리하는 방법으로, 시료와 초임계 유체 용매가 서로 밀접하게 접촉하면 용해도의 차이에 의해 시료 중 가용성분이 초임계 유체로 용해되고, 추출단계에서 나오는 용질을 함유하고 있는 초임계 유체는 온도 및/또는 압력에 의해 분리단계에서 용질과 분리된다. 본 발명에 따른 초임계 유체 추출법에 이용할 수 있는 용매는 바람직하게 초임계 이산화탄소이고, 바람직하게 30 ~ 60℃ 및/또는 10 ~ 30 mpa의 압력 조건 하에서 추출할 수 있다. 초임계 유체 추출을 위해서는 RESS(Rapid Expansion of Supercritical Solutions), GAS(Gas Anti-Solvent), SAS(Supercritical fluid Anti-Solvent), ASES(Aerosol Solvent Extraction System), SEDS(Solution Enhanced Dispersion by Supercritical Fluids), PGSS(Particles from Gas Saturated Solutions) 또는 RPSS(Reactive Precipitaion in Supercritical Solution) 방법을 사용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후박추출물은 수불용성이므로, 물이 과량 함유되어 있는 제형, 예를 들어 치약과 같은 페이스트 상태에서는 현탁상으로 존재하게 된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 옥수수불검화추출물 및 후박추출물, 3가지 모두를 유효성분으로 포함한다.
본 명세서에서, "유효성분"이란 단독으로 목적하는 활성을 나타내거나 또는 그 자체는 활성이 없는 담체와 함께활성을 나타낼 수 있는 성분을 의미한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항염증 구강용 조성물은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 옥수수불검화추출물 및 후박추출물을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003~0.5 중량%로 포함할 수 있고, 더욱 바람직하게 0.005~0.3 중량%로 포함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은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1~0.2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5~0.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옥수수불검화추출물은 0.001~0.2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5~0.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또한, 상기 후박추출물은 0.001~0.2 중량%, 바람직하게는 0.005~0.1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항염증 구강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으로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 옥수수불검화추출물 및 후박추출물 중 2종 이상을 포함할 수 있다. 상기 유효성분이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 및 후박추출물인 경우에는 1 : 1~20, 바람직하게 1 : 2~10, 더욱 바람직하게 1 : 3~6의 중량비(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 : 후박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성분이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 및 옥수수불검화추출물인 경우에는 1 : 0.5~10, 바람직하게 1 : 1~7, 더욱 바람직하게 1 : 2~5의 중량비(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 : 옥수수불검화추출물)일 수 있다. 또한, 상기 유효성분이 옥수수불검화추출물 및 후박추출물인 경우에는 1 : 0.5~20, 바람직하게 1 : 1~10, 더욱 바람직하게 1 : 2~5의 중량비(옥수수불검화추출물 : 후박추출물)일 수 있다.
본 발명에 있어서, 상기 유효성분이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 옥수수불검화추출물 및 후박추출물로 이루어지는 경우,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 옥수수불검화추출물 및 후박추출물의 중량비는 1 : 0.5~10 : 1~20, 바람직하게 1 : 1~7 : 2~10, 더욱 바람직하게 1 : 2~5 : 3~6, 가장 바람직하게 1 : 2 : 5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 : 옥수수불검화추출물 : 후박추출물)일 수 있다.
바람직하게, 본 발명의 항염증 구강용 조성물은 유효성분을 상기 함량 또는 중량비의 범위로 포함할 때 항염증 활성이 가장 우수하게 발휘될 수 있다.
[식물틴크제]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는 상술한 3가지 추출물 외에, 수용성 식물틴크제가 추가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식물틴크제는 식물을 에탄올과 정제수의 혼합액으로 침출하여 만든 약상의 제제를 의미한다.
본 발명에 따른 수용성 식물틴크제로는 본 발명의 효과를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계에서 통상적으로 사용하는 다양한 수용성 식물틴크제가 사용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으나, 바람직하게 몰약틴크, 라타니아틴크, 카모밀레틴크 및 이들의 2이상의 혼합물이 사용될 수 있다.
상기 몰약틴크는 몰약(Myrrh)을 이용한 틴크제이며, 상기 몰약은 쓴맛이 나며 향기가 좋고 노란색을 띤 적갈색의 함유수지 고무로서, 콤미포라속(Commiphora 屬)의 작고 가시가 있는 꽃피는 교목에서 혹은 콤미포라 미르라(Commiphora myrrha)나 콤미포라 아비시니카(Commiphora abyssinica) 같은 감람과(橄欖科, Burseraceae) 식물에서 얻어지나, 언급한 식물(Commiphora myrrha)과는 구별되는 물질이다. 상기 라타니아틴크는 라타니아(rhatany)를 이용한 틴크제이며, 상기 라타니아는 크라메리아카세에 과에 속하는 식물로서, 에콰도르, 페루 및 볼리비아 지역의 토착 식물이다. 해발 1,000m∼3,000m 높이의 안데스 산맥 서부 경사면에 자생하고 있다. 라타니아는 통상적으로 건조뿌리가 이용된다. 상기 카모밀레틴크는 카모밀레를 이용한 틴크제이며, 상기 카모밀레(chamomilla)는 번대국화라고도 하고, 유럽이 원산지이다. 줄기는 밑 부분에서 가지가 많이 갈라지고 높이가 50cm∼100cm이며 능금 향기가 나고 모가 난 줄이 있다. 유럽에서는 민간에서 신경통, 치통, 월경곤란에 내복하고, 구강염, 결막염, 화농증에 의용하였다. 카모밀레는 항염증, 항경련제, 구풍제, 소독제로서 사용되며 마른 꽃 봉우리를 사용한다. 주요성분으로는 Chamazulene, α-bisabolol oxide A, α-bisabolol oxide B, bisabolone oxide A가 있다.
상기 식물틴크제는 상업적으로 유통되는 제품을 이용할 수 있고, 또는 당업계 공지된 다양한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으며, 예를 들어 냉침법(maceration) 또는 퍼콜레이션법을 이용할 수 있다. 냉침법은 식물을 상온에서 침출제에 담가 가용성 성분을 침출하는 방법이며, 퍼콜레이션법은 침출기(percolator)에 충전한 식물층에 침출제를 통과시켜 가용성 성분을 침출하는 방법이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식물틴크제는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005~3 중량%, 바람직하게 0.01~2 중량%, 더욱 바람직하게 0.02~1.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수용성 식물틴크제가 0.005~3 중량% 범위로 포함될 경우 상기 3종의 추출물과 병용하여 특히 우수한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식물틴크제와 상기 3가지 추출물의 중량비는 1 : 0.01~100, 바람직하게 1 : 0.1~50 (식물틴크제 : 추출물)일 수 있으며, 1 : 0.5~30 범위에서 특히 우수한 효과가 발휘될 수 있다.
[추가 성분]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에는 본 발명의 효과를 저해하지 않는 범위에서, 적절한 제형화 및 제형 안정성, 소망하는 효과의 증진, 사용 기호도 증진 등을 위하여, 구강용 조성물에 사용할 수 있는 공지의 첨가 성분을 배합할 수 있다. 이러한 첨가 성분으로는, 예를 들면, 연마제, 습윤제, 결합제, 기포제, 감미제, pH 조정제, 충치예방제, 향료, 용제, 탈감각제 등을 들 수 있다. 이하에 첨가 성분의 구체예를 기재하였으나, 본 발명의 구강용 조성물에 배합 가능한 성분이 이들로 제한되는 것은 아니다.
상기 연마제는 예를 들어, 실리카, 실리카겔, 지르코늄실리케이트, 인산일수소칼슘, 무수인산일수소칼슘, 함수알루미나, 경질탄산칼슘, 중질탄산칼슘, 칼슘피로인산염, 불용성메타인산염 및 알루미늄실리케이트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지만, 바람직하게 실리카가 사용될 수 있다. 상기 연마제는 총 중량 대비 1 ~ 20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상기 습윤제로는 예를 들어, 농글리세린, 글리세린, 소르비톨수용액, 비결정성 소르비톨수용액, 폴리에틸렌글리콜류 및 프로필렌글리콜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결합제로는 예를 들어,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카라기난, 잔탄검, 히드록시에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메틸셀룰로오스, 히드록시프로필셀룰로오스, 구아검, 젤란검, 카보머, 펙틴, 폴리비닐피롤리돈, 카르복시비닐폴리며, 알긴산나트륨 및 라포나이트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종 이상, 바람직하게는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또는 잔탄검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기포제로는 예를 들어, 알킬황산나트륨, 라우릴 황산나트륨, 자당지방산에스테르, 소르비탄지방산에스테르 등의 음이온 및 비이온 계면 활성제를 사용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감미제는 예를 들어, 삭카린나트륨, 수크랄로스, 말티톨, 아스파탐, 에리스리톨, 자일리톨 및 감초산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방부제로는 안식향산, 메틸파라벤, 프로필파라벤, 파라옥시안식향산에스테르 및 안식향산나트륨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충치예방제로는 불화나트륨, 일불소인산나트륨, 불화주석, 클로로헥시딘, 알란토인 클로로히드록시알루미네이트, 아미노카프론산, 염화아연, 염산피리독신, 초산토코페롤 및 효소류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향료로는 페퍼민트 오일, 스페아민트 오일, 멘톨 등을 단독 또는 혼합하여 사용하기도 하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pH 조정제로는 인산나트륨, 인산이나트륨, 구연산, 트리에탄올아민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탈감각제로는 플루오르화나트륨, 플루오르화칼륨, 플루오르화암모늄, 플루오르화주석, 모노플루오로인산나트륨 등의 플루오르화물, 아밀라제, 프로테아제, 리소자임, 덱스트라나제 등의 효소, 비타민 B, C, E 등의 비타민류, 질산칼륨, 유산알루미늄 등을 사용할 수 있고,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상기 탈감각제는 총 중량 대비 0.01 ~ 5 중량% 포함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용제로서는, 예를 들면, 물, 및, 탄소수 1 내지 4의 저급알코올 등을 들 수 있다. 구강용 조성물이 용제로서 물을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구강용 조성물 총 중량 대비 20∼95 중량%로 포함될 수 있다. 구강용 조성물이 용제로서 저급알코올을 함유하는 경우, 그 함유량은, 구강용 조성물 전량에 대해 1∼30 중량%일 수 있다.
또한, 상술한 첨가 성분 외에, 본 발명의 효과를 해하지 않는 범위 내에서, 당업계 공지된 천연소재가 추가로 포함될 수도 있다. 예를 들어, 천궁추출물, 지황추출물, 당귀추출물, 또는 이들의 혼합물이 포함될 수 있으며, 이에 제한되지 않는다. 그 함유량은 구강용 조성물 총 중량 대비 각각의 추출물이 0.001 ~ 1 중량%일 수 있다.
[조성물]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조성물의 제형·형상은 특히 한정되지 않고, 예를 들면, 액체(용액, 유액, 현탁액 등), 반고체(겔, 크림, 페이스트 등), 고체(정제, 입자상제, 캡슐제, 필름제, 혼련물, 용융 고체, 왁스상 고체, 탄성 고체 등) 등의 임의의 제형으로 조제할 수 있다.
또한, 상기 조제된 제제는, 예를 들면, 치마제(련치마, 액체치마, 액상치마, 분치마 등), 세구제, 도포제, 첩부제, 구중 청량제, 식품(예를 들면, 추잉검, 정과, 캔디, 구미, 필름, 트로키 등) 등의 각종 제품으로서 이용할 수 있지만, 구강 용도의 범위에서, 상기로 한정되지 않는다.
[효능·효과]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조성물은 우수한 항염증 활성을 나타낸다.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 옥수수불검화추출물 및 후박추출물의 조합에 의해, 각 추출물의 시작물질인 식물, 이들의 중간체, 및 이들의 최종물질의 효과의 총합을 넘어서는 상승 효과를 나타낸다.
본 발명에 따른 항염증 구강용 조성물은 항염증 외에 항균 활성도 우수하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조성물은 우수한 항염증 또는 항균 활성을 바탕으로 구강에서 발생될 수 있는 각종 질환, 장애 또는 해로운 증상의 개선 효과가 있다.
본 명세서에서 "개선"은 치료, 방지, 완화를 포함하는 의미이고, 상기 "방지"는 질환 등이 발생하기 이전에 예방하는 포괄적인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상기 "완화"는 질환 등이 줄어들거나 누그러지는 것을 의미하며, 개선, 예방, 치료 등을 포함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치료"는 질환 등을 일어나지 않은 원래의 상태에 가깝도록 회복시키는 것을 의미하는 넓은 개념으로 이해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른 구강용 조성물은 특히, 치주질환 개선에 효과적이다.
상기 치주질환은 치주질환(Periodontal disease)은 병의 정도에 따라 치은염(gingivitis)과 치주염(periodontitis)으로 나뉘는데 잇몸 등의 연조직에 국한된 병소를 지니며 비교적 가볍고 회복이 빠른 형태의 치주질환을 치은염이라고 하며 치은염으로 인한 염증이 잇몸과 잇몸뼈 주변까지 진행된 경우 치주염이라고 한다. 이러한 치주질환은 구강 내 타액에 존재하는 단백질이 치아의 표면에 엷은 막을 형성하고 여기에 음식물, 박리 된 표피세포, 백혈구 등과 함께 세균이 부착하여 증식하는 현상이 일어나면서 진행된다. 세균이 무기물과 함께 침착하면서 프라그(Plaque)를 생성하고 LPS(Lipopolysaccharide), nuclease, leukotoxin, 황화수소 등의 독소를 내어 주변 조직에 염증 반응을 일으켜 치아와 잇몸 사이에 치주낭을 형성한다. 숙주 면역세포로부터 여러 종류의 사이토카인(Cytokine)이 분비되고 숙주 면역세포와 세균에 의하여 MMP(Matrix metalloproteinase) 등이 분비되어 염증반응이 심해질수록 치주낭의 깊이가 깊어지고 져 잇몸퇴축 및 골 소실을 유발되는 등 치주질환이 진행된다. 상기 치주질환을 발생시키는 주요 혐기성 세균으로는, 포르피로모나스 진지바리스(Porphyromonas gingivalis), 악티노바실루스 악티노마이세템코미탄스(Actinobacillus actinomycetemcomitans), 트레포네마 엔티콜라(Treponema denticola), 프리보텔라 인터메디아(Prevotella intermedia) 등이 있다.
[제조방법]
본 발명에 따른 조성물은 당업계 공지된 통상의 방법에 따라 제조될 수 있다. 구체적으로, 습윤 성분인 솔르비톨액에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및 사카린 등의 분말 성분을 분산시키고 정제수를 넣은 다음 혼합기에서 1차 혼합하고, 그 다음에 침강 실리카 등의 연마제와 약효제를 투입하고 혼합한 후, 마지막으로 향료 성분을 넣고 진공상태 하에서 혼합하여 구강용 조성물을 제조할 수 있다.
본 발명에 따르면, 구강 내에서의 항염 효과가 극대화되고, 나아가 치주질환에 대한 개선 효과가 극대화되는 우수한 효과가 있다.
이하, 본 발명의 이해를 돕기 위하여 실시예 등을 들어 상세하게 설명하기로 한다. 그러나, 본 발명에 따른 실시예들은 여러 가지 다른 형태로 변형될 수 있으며, 본 발명의 범위가 하기 실시예들에 한정되는 것으로 해석되어서는 안 된다. 본 발명의 실시예들은 당업계에서 평균적인 지식을 가진 자에게 본 발명을 보다 완전하게 설명하기 위해 제공되는 것이다.
실시예 : 구강용 조성물의 제조
실시예 1 내지 4 및 비교예 1 내지 4의 치약 조성물은 하기 표 1에 나타낸 성분 및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구체적으로, 습윤 성분인 솔르비톨액에 카르복시 메틸셀룰로오스나트륨 및 사카린 등의 분말 성분을 분산시키고 정제수를 넣은 다음 혼합기에서 1차 혼합하였고, 그 다음에 침강 실리카 등의 연마제와 약효제를 투입하고 혼합하였다. 마지막으로 향료성분을 넣고 진공상태 하에서 혼합하여 치약 조성물을 하기 표 1의 성분 및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구분 실시예 비교예
1 2 3 4 1 2 3 4
덴탈타입실리카 14.000 14.000 14.000 14.000 14.000 14.000 14.000 14.000
소르비톨액(70%) 50.000 50.000 50.000 50.000 50.000 50.000 50.000 50.000
사카린나트륨 0.100 0.100 0.100 0.100 0.100 0.100 0.100 0.100
카르복시메틸셀룰로오스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향료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1.000
소듐라우릴 설페이트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2.000
정제수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적량
후박추출물 0.001 0.050 0.100 0.200 - 0.001 - -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 0.001 0.010 0.020 0.050 - - 0.001 -
옥수수불검화정량추출물 0.001 0.020 0.040 0.050 - - - 0.001
실시예 5 내지 19의 치약 조성물을 하기 표 2에 나타낸 성분 및 조성비로 제조하였다.
Figure pat00001
실험예 : 수불용성 항염증제(식물성 추출물)의 조성비 및 틴그 함량에 따른 치은 출혈 억제효과
<실험 방법>
연구 대상인 치아 및 치아면의 기준은 치은염 지수평가와 동일하게 적용하였다. 치은염 검사 시, 프로빙(probing) 후 10~30초 이내에 출혈이 있으면 1점, 없으면 0점으로 기록하였고(Bleeding on probing, BOP), 전체 검사 치면에 대한 출혈의 발생률을 산출하였다.
BOP = 총 점수의 합 / 검사한 총 치면수 X 100
<실험 결과>
실험 결과는 하기 표 3에 나타내었다. 실시예 1 내지 4에서 나타나는 바와 같이, 치은 출혈지수는 수불용성 항염증제의 함량 및 비율에 따라서 감소되는 것을 확인할 수 있었다. 특히, 후박추출물,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 및 옥수수불검화추출물의 중량비가 1:1:1에 비하여 5:1:2 (후박추출물 :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 : 옥수수불검화추출물)일 때, 치은 출혈지수의 감소 효과가 가장 높은 것으로 나타나, 특정한 비율에서 항염증 효과에 상승 효과가 나타나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실시예 5 내지 19에서는 틴크제의 함량과 종류에 따라서 치은 출혈지수가 감소하는 경향을 나타내었으며, 3종을 혼합하여 사용한 경우에는 단독으로 사용한 군에 비하여 치은 출혈지수의 감소가 더 현격하게 나타남을 확인하였다. 따라서 수불용성 항염증제와 틴크제를 공동으로 사용함으로써 구강위생제에 의한 출혈지수의 감소 효과가 더욱 향상될 수 있음을 확인하였다.
치약군 n Baseline 4주 후 P-value
평균 표준편차 평균 표준편차
실시예1 30 8.82 2.22 6.82 1.82 초기대비<0.001
실시예2 30 8.81 1.89 6.31 1.77
실시예3 31 8.86 1.85 5.86 2.10
실시예4 29 8.88 1.71 5.48 1.52
실시예5 29 8.81 1.73 5.31 1.64
실시예6 30 8.87 1.64 4.87 1.82
실시예7 30 8.86 1.73 4.56 1.54
실시예8 31 8.83 1.84 4.23 1.93
실시예9 31 8.86 1.68 5.36 1.90
실시예10 30 8.86 1.67 4.86 2.15
실시예11 30 8.85 1.95 4.55 1.54
실시예12 30 8.81 1.69 4.21 2.25
실시예13 29 8.80 1.92 5.30 1.95
실시예14 31 8.86 1.93 4.86 1.73
실시예15 31 8.83 1.51 4.53 1.80
실시예16 30 8.85 1.51 4.25 1.55
실시예17 30 8.83 1.51 4.63 1.51
실시예18 30 8.81 1.92 4.61 1.60
실시예19 29 8.84 1.52 4.34 1.90
비교예1 29 8.83 2.00 8.53 1.61
비교예2 31 8.88 1.85 8.38 2.11
비교예3 29 8.81 2.09 8.31 1.72
비교예4 30 8.82 1.82 8.32 2.22

Claims (7)

  1.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 옥수수불검화추출물 및 후박추출물을 유효성분으로 포함하며,
    수용성 식물틴크제를 포함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구강용 조성물.
  2.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 옥수수불검화추출물 및 후박추출물은 조성물의 총 중량 대비 0.003 ~ 0.5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구강용 조성물.
  3.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 옥수수불검화추출물 및 후박추출물의 중량비는 1 : 0.5~10 : 1~20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 : 옥수수불검화추출물 : 후박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구강용 조성물.
  4.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센텔라아시아티카추출물은 물, 저급 알코올, 또는 이들의 혼합물을 용매로 이용한 용매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구강용 조성물.
  5. 제1항에 있어서, 상기 후박추출물은 이산화탄소 초임계 추출물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구강용 조성물.
  6.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식물틴크제는 몰약틴크, 라타니아틴크 및 카모밀레틴크로 이루어진 군으로부터 선택된 1 이상인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구강용 조성물.
  7. 제1항에 있어서, 상기 수용성 식물틴크제는 상기 조성물 총 중량 대비 0.005 내지 3 중량%인 것을 특징으로 하는 치주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구강용 조성물.
KR1020220093834A 2016-05-04 2022-07-28 구강용 조성물 KR102547873B1 (ko)

Applications Claiming Priority (3)

App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Filing Date Title
KR20160055691 2016-05-04
KR1020160055691 2016-05-04
KR1020170057060A KR102434853B1 (ko) 2016-05-04 2017-05-04 구강용 조성물

Related Parent Applications (1)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060A Division KR102434853B1 (ko) 2016-05-04 2017-05-04 구강용 조성물

Publications (2)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20220110700A true KR20220110700A (ko) 2022-08-09
KR102547873B1 KR102547873B1 (ko) 2023-06-26

Family

ID=60387094

Family Applications (4)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061A KR102413125B1 (ko) 2016-05-04 2017-05-04 구강용 조성물
KR1020170057060A KR102434853B1 (ko) 2016-05-04 2017-05-04 구강용 조성물
KR1020170057062A KR102413124B1 (ko) 2016-05-04 2017-05-04 구강용 조성물
KR1020220093834A KR102547873B1 (ko) 2016-05-04 2022-07-28 구강용 조성물

Family Applications Before (3)

Application Number Title Priority Date Filing Date
KR1020170057061A KR102413125B1 (ko) 2016-05-04 2017-05-04 구강용 조성물
KR1020170057060A KR102434853B1 (ko) 2016-05-04 2017-05-04 구강용 조성물
KR1020170057062A KR102413124B1 (ko) 2016-05-04 2017-05-04 구강용 조성물

Country Status (1)

Country Link
KR (4) KR102413125B1 (ko)

Families Citing this family (1)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102441460B1 (ko) * 2020-04-01 2022-09-06 김종길 치주 질환 예방 및 개선을 위한 반려동물용 영양제 조성물 및 그로부터 제조되는 영양제

Family Cites Familie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Publication number Priority date Publication date Assignee Title
KR20110001472A (ko) * 2009-06-30 2011-01-06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센틸라아시아티카 추출물 및 구강조직수렴제를 포함하는 구강 조성물
KR20120136140A (ko) * 2011-06-08 2012-12-18 주식회사 엘지생활건강 잔토리졸의 구강 내 흡착 및/또는 잔류 증진용 조성물

Non-Patent Citations (2)

* Cited by examiner, † Cited by third party
Title
드러그아바웃, "인사덴트 닥터, 동국제약/잇몸관리전문치약", [online], (2016.02.25.공개)* *
티스토리블로그, "[생활] 호랑이풀 치약으로 우리가족 구강건강 지키기",[online], (2010.08.10.공개)* *

Also Published As

Publication number Publication date
KR102413125B1 (ko) 2022-06-24
KR20170125750A (ko) 2017-11-15
KR20170125751A (ko) 2017-11-15
KR102434853B1 (ko) 2022-08-22
KR20170125752A (ko) 2017-11-15
KR102413124B1 (ko) 2022-06-24
KR102547873B1 (ko) 2023-06-26

Similar Documents

Publication Publication Date Title
AU2015234351B2 (en) Oral care composition for treating dry mouth
EP2996666B1 (en) Dentifrice compositions containing extracts of nigella sativa and related methods
KR102547873B1 (ko) 구강용 조성물
JP4873805B2 (ja) 抗歯周病剤
KR101216427B1 (ko) 카렌듈라 치약 조성물 및 그 제조방법
JPH11279039A (ja) 口腔用組成物
KR20170103476A (ko) 금앵자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07260792B (zh) 包含天然复合物的用于预防或治疗口腔疾病的组合物
KR102070316B1 (ko) 천연 복합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CN110613801B (zh) 用于预防或改善口腔疾病的口腔用组合物及其用途
KR102597684B1 (ko) 아마란스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KR20150047704A (ko) 광물성 무독황을 포함하는 구강용 치약 조성물 및 이의 제조방법
KR0149483B1 (ko) 생약추출물을 함유한 구상위생 증진용 조성물
KR20170103482A (ko) 연전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102597685B1 (ko) 파슬리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용 조성물
CN114601760A (zh) 口腔用组合物
JP2001278801A (ja) 抗う蝕剤
KR20100120546A (ko) 염증 예방 및 개선용 조성물
KR20170142975A (ko) 익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3517A (ko) 화피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3528A (ko) 조협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05772A (ko) 건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KR20170118984A (ko) 익모초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Achuthan et al. Toothpaste: An Assessment on Toothpaste Formulation
KR20170103538A (ko) 생강 추출물을 포함하는 구강질환 예방 또는 치료용 조성물

Legal Events

Date Code Title Description
A107 Divisional application of patent
E902 Notification of reason for refusal
E701 Decision to grant or registration of patent right
GRNT Written decision to grant